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목재 화재시 최기의 연소속도가 매분 평균 0.75m~1m씩 원형으로 확대한다면 발화 5분 후 연소된 면적은 약 몇 m2정도 되는가?

  1. 38~70
  2. 38~78.5
  3. 40~65
  4. 44~78.5
(정답률: 38%)
  • 최기의 연소속도가 매분 평균 0.75m~1m씩 원형으로 확대한다는 것은, 매분마다 최기의 연소가 시작된 지점에서 반지름이 0.375m~0.5m인 원이 생기고, 이 원 안에 있는 모든 목재가 연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화 5분 후에는 최기의 연소가 시작된 지점에서 반지름이 1.875m~2.5m인 원 안에 있는 모든 목재가 연소되었을 것이다. 이 원의 면적은 πr2이므로, 약 44m2~78.5m2 정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4~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1종가연물에 해당되는 물질은?

  1. 고무풀
  2. 대패밥
  3. 톱밥
  4. 석탄
(정답률: 41%)
  • 제1종가연물은 불이 붙으면 쉽게 연소되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고무풀은 가연성이 높아서 제1종가연물에 해당됩니다. 대패밥, 톱밥, 석탄은 가연성이 낮아서 제1종가연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사는 전자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2. 복사에너지의 전파속도는 빛과 같다.
  3. 복사에너지의 파장이 가시광선대에 들어가면 빛을 발한다.
  4. 진공속에서는 복사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정답률: 70%)
  • "진공속에서는 복사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복사는 전자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하며, 전파속도는 빛과 같습니다. 파장이 가시광선대에 들어가면 빛을 발합니다. 진공속에서도 복사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스테판-볼쯔만(Stefan-Boltzman)법칙에 맞는 것은?

  1.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3. 복사열은 열전달 면적의 제곱에 비례한다.
  4. 복사열은 열전달 면적의 4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입니다.

    스테판-볼쯔만 법칙은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이 그 물체의 절대온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물체의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는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방출하는 복사에너지가 매우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물체는 매우 강한 복사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객석유도등
  2. 내화구조
  3. 방연커텐
  4. 특별피난계단전실
(정답률: 44%)
  • 내화구조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구조물이나 재료가 불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는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 아니라 건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화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연성 액체에 점화원을 가져가서 인화된 후에 점화원을 제거하여도 가연물이 계속 연소되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인화점
  2. 폭발온도
  3. 연소점
  4. 자동발화점
(정답률: 70%)
  • 연소점은 가연성 액체나 고체가 공기 중에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액체에 점화원을 가져가서 인화된 후에 점화원을 제거하여도 가연물이 계속 연소되는 최저온도를 연소점이라고 합니다. 인화점은 가연성 물질이 발화하고 불꽃이 일어나는 온도를 말하며, 폭발온도는 가연성 물질이 폭발하는 온도를 말하고, 자동발화점은 가연성 물질이 스스로 발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전기의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은?

  1. 자동차를 장시간 주행하는 경우
  2. 위험물 옥외탱크에 석유류를 주입하는 경우
  3.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
  4. 부도체를 마찰시키는 경우
(정답률: 66%)
  • 정전기는 부도체와 마찰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데,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도체와 공기 사이에 물 분자가 존재하여 부도체와 공기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정전기 발생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가 정전기 발생이 가장 적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황이나 나프탈렌 같은 고체위험물의 연소 형태는?

  1. 표면연소
  2. 증발연소
  3. 자기연소
  4. 분해연소
(정답률: 69%)
  • 황이나 나프탈렌은 고체 상태에서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전환된 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증발연소라고 부릅니다. 이는 고체위험물이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 일어나는 일반적인 연소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난계획의 일반적 원칙이 아닌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 명료할 것
  2. 두 방향의 피난동선을 항상 확보하여 둘 것
  3. 피난수단은 이동식 시설을 원칙으로 할 것
  4.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피난계획을 세울 것
(정답률: 90%)
  • "피난수단은 이동식 시설을 원칙으로 할 것"은 일반적인 피난계획의 원칙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동식 시설은 대규모 재난이나 비상상황에서는 제한적인 수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식 시설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주요 피난수단은 건물 내부의 안전한 공간이나 외부로의 안전한 이동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소화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소화효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질식소화
  2. 제거소화
  3. 기압소화
  4. 냉각소화
(정답률: 89%)
  • 기압소화는 일반적인 소화효과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화재장소 내부의 기압을 높여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이나 가스 등의 화재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축방화계획에서 건축구조 및 재료를 불연화하므로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공간적 대응은?

  1. 회피성 대응(回避性 對應)
  2. 도피성 대응(逃避性 對應)
  3. 대항성 대응(對抗性 對應)
  4. 설비적 대응(設備的 對應)
(정답률: 59%)
  • 건축방화계획에서 건축구조 및 재료를 불연화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은 사전적 대응이며, 이는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대응은 "회피성 대응"이다. 회피성 대응은 위험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휘발유의 인화점은?

  1. -18℃
  2. -43℃
  3. 11℃
  4. 70℃
(정답률: 44%)
  • 휘발유는 가연성이 높은 액체이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인화되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때, 인화점은 그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수록 더 쉽게 인화되어 위험합니다. 휘발유의 인화점이 "-43℃" 인 것은 다른 보기들보다 낮기 때문에 더 쉽게 인화되어 위험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방화안전관리시에 화점의 관리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화기책임자를 선정한다.
  2. 화기의 사용시간과 장소를 제한한다.
  3. 스프링클러설비 등을 사용 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4. 가연물과 위험물의 보관방법을 개선한다.
(정답률: 68%)
  • 스프링클러설비 등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은 화점의 관리사항 중에서 화재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이므로, 화점의 관리사항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클러설비 등을 사용 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방화안전관리시에 화점의 관리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중 열류층(HEAT LAYER)을 형성, 화재의 진행과 더불어 열류층이 점차 탱크 바닥으로 도달해 탱크 저부에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해 부피팽창에 의하여 유류의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의 분출을 발생시키면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

  1. 보일오버(BOIL OVER)
  2. 스로프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프래시오버(FLASH OVER)
(정답률: 87%)
  • 보일오버는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 중 열류층이 탱크 저부에 도달하여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여 유류가 갑작스럽게 탱크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화재의 진행과 함께 발생하며, 화재를 더욱 확대시키는 원인이 된다. 스로프오버는 탱크 내부의 유류가 과도하게 채워져 넘쳐서 발생하는 현상, 프로스오버는 화재 중 생성된 거품이 넘쳐서 발생하는 현상, 프래시오버는 화재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빠르게 확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재발생시 소화작업에 주로 물을 이용한다. 물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무엇 때문인가?

  1. 가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2.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기 위해서
  3. 공기중의 산소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
  4. 물의 현열을 이용하기 위해서
(정답률: 83%)
  •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화재 온도를 낮추고, 화재를 억제하기 위해서입니다. 물이 증발할 때는 열을 흡수하므로, 화재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물을 뿌려 화재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인화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기계유
  2. 질소
  3. 이황화탄소
  4. 에테르
(정답률: 76%)
  • 인화성 물질은 불에 닿으면 화재를 일으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그러나 질소는 불에 닿아도 화재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인화성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산화 탄소의 소화능력을 1 로한 경우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능력은 얼마인가?

  1. 1.1
  2. 1.4
  3. 2
  4. 3
(정답률: 45%)
  • 이산화 탄소의 소화능력을 1로 한 경우,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능력은 2입니다. 이는 분말 소화약제가 이산화 탄소의 두 배인 양의 소화능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분말 소화약제는 이산화 탄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연발화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도가 낮은곳을 피한다.
  2. 통풍을 양호하게 한다.
  3.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4. 주의 온도를 낮게한다.
(정답률: 71%)
  • 습도가 낮은 곳을 피하는 것은 자연발화 예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자연발화 예방을 위해서는 열의 축적을 방지하고, 통풍을 양호하게 유지하며, 주의 온도를 낮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장층에서 개구부로 인정되기 위한 필요 조건은?

  1. 개구부 크기가 지름 30cm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것.
  2. 그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5m인 것.
  3.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할 것.
  4. 창에 방범을 위하여 40cm 간격으로 창살을 설치한 것
(정답률: 85%)
  • 무장층에서 개구부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개구부 크기나 높이와 같은 조건보다는 파괴나 개방이 쉬운지 여부가 더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개구부의 크기나 높이와 관련된 조건이므로 정답은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연된 금속분말에 물을 뿌릴 때 수소(H2)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Co
  2. Na
  3. K
  4. Li
(정답률: 67%)
  • Co는 수소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활성 금속으로,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Na, K, Li는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하는 활성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1. 광전기
  2. 열전대
  3. 측온저항체
  4. 차동변압기
(정답률: 51%)
  • 온도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열전대입니다. 열전대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합하여 만든 요소로,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열전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줍니다. 이러한 열전대는 측온기나 온도 조절 장치 등에서 사용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고율이 2가 되는 파형은?

  1. 반파정류파
  2. 톱니파
  3. 전파정류파
  4. 정현파
(정답률: 45%)
  • 파고율이 2인 파형은 반주기당 2개의 파동이 존재하는 파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반파정류파는 반주기당 1개의 파동이 존재하며, 다른 보기들은 반주기당 2개 이상의 파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파고율이 2인 파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파정류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퀀스제어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회로가 조합사용된다.
  2. 기계적 계전기접점이 사용된다.
  3. 전체시스템에 연결된 접점들이 일시에 동작할 수 있다.
  4. 시간 지연요소가 사용된다.
(정답률: 77%)
  • "전체시스템에 연결된 접점들이 일시에 동작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퀀스제어에서는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접점들이 동작하며, 전체 시스템에 연결된 접점들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결합회로의 합성인덕턱스는 몇 H 인가?

  1. L1+L2+2M
  2. L1+L2-2M
  3. L1+L2+M
  4. L1+L2-M
(정답률: 60%)
  • 인덕턴스의 결합은 서로 더해지거나 빼지는데, 이 회로에서는 L1과 L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더해지고, M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빼주어야 한다. 따라서 L1+L2-2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정류회로에서 R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몇 V인가? (단, Vi 는 정현파 전압이다.)

  1. 20
  2. 20√2
  3. 40
  4. 40√2
(정답률: 69%)
  • 정류회로에서 R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은 다이오드의 최대 역전압과 같다. 이 회로에서 사용된 다이오드는 정방향 전압이 0.7V 이상일 때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역전압이 발생하면 다이오드가 차단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역전압은 다이오드의 최대 역전압인 20V가 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최대 역전압을 묻는 것이 아니라 최대 전압을 묻는 것이므로,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압인 Vi가 R에 걸리는 최대 전압이 된다. Vi는 정현파 전압이므로 최대값은 Vm = 20√2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기적인 구형파의 신호는 그 주파수 성분이 어떻게 되는가?

  1.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성분을 가진다.
  2. 주파수 성분을 갖지 않는다.
  3. 직류분만으로 구성된다.
  4. 교류 합성을 갖지 않는다.
(정답률: 52%)
  • 주기적인 구형파는 복잡한 파형으로, 여러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구형파가 원형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주기적인 파동이 합쳐져서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형파는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조절부와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요소
  2. 제어대상
  3. 피드백요소
  4. 기준입력요소
(정답률: 77%)
  • 조절부와 조작부는 제어요소라고 부릅니다. 이는 시스템이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하거나 조작하는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어요소는 제어대상을 조작하고, 피드백요소를 통해 기준입력요소와 비교하여 제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선간전압 E[V]의 3상 평형전원에 대칭 3상저항부하 R[Ω]이 그림과 같이 접속되었을 때 a, b 두 상간에 접속된 전력계의 지시값이 W[W]라면 C상의 전류는 몇 A 인가?

(정답률: 66%)
  • 전원이 평형전원이므로 각 상의 전압은 동일하다. 따라서 a, b 상의 전압은 모두 E[V]이다. 또한, 저항부하가 대칭이므로 각 상의 저항값은 모두 R[Ω]이다. 따라서 각 상의 전류는 Ohm의 법칙에 따라 I = E/R 이다. 따라서 C상의 전류는 W/(E/R) = WR/E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보기 설명:
    - "": 위에서 구한 대로 C상의 전류는 WR/E 이므로, 이 값을 보기에서 선택한 것이다.
    - "": 이 값은 전류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는 전력의 정의식인 P = VIcosθ 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 "": 이 값은 전류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는 전력의 정의식인 P = VIcosθ 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 "": 이 값은 전류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는 전력의 정의식인 P = VIcosθ 이므로 선택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기기기에 생기는 손실중 권선의 저항에 의하여 생기는 손실은?

  1. 철손
  2. 동손
  3. 저항손
  4. 유전체손
(정답률: 67%)
  • 전기기기에서 전류가 권선을 통과할 때, 권선의 저항에 의해 일부 전기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어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손실을 권선 손실이라고 합니다. 권선은 대부분 구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 손실을 동손이라고도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SCR의 양극전류가 10A일 때 게이트전류를 2배로 늘리면 양극전류는 몇 A 인가?

  1. 0
  2. 10
  3. 20
  4. 40
(정답률: 74%)
  • SCR의 양극전류는 게이트전류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전류를 2배로 늘려도 양극전류는 변하지 않고 계속 10A가 유지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는?

  1. 벨로우즈
  2. 다이어프램
  3. 가변저항기
  4. 유압분사관
(정답률: 39%)
  • 유압분사관은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는 유체가 흐르는 관을 이용하여 변위를 유체 압력으로 변환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유압분사관은 변위 측정에 많이 사용되며, 자동차 엔진에서 연료를 분사하는데에도 사용됩니다. 벨로우즈나 다이어프램은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되지만, 유압분사관보다는 다른 용도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가변저항기는 전기 신호를 변환시키는데 사용되며, 이와는 전혀 다른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과대한 부하전류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경우의 적당한 대책은?

  1.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한다.
  2.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한다.
  3.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저항을 추가한다.
  4.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콘덴서를 추가한다.
(정답률: 69%)
  •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하는 것은 부하전류가 과대한 경우에도 전류가 다이오드 하나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개의 다이오드로 분산되어 흐르게 되므로,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류가 감소하여 파손될 우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동일한 조건에서 전동기중 기동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보통 농형 유도전동기
  2. 권선형 유도전동기
  3. 분상기동형 유도전동기
  4. 반발기동형 유도전동기
(정답률: 75%)
  • 반발기동형 유도전동기는 회전자와 스테이터 간의 자기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기동 시에 큰 반발력이 발생하여 기동토크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전동기 중 기동토크가 가장 큰 것은 반발기동형 유도전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알칼리 축전지의 음극의 재료는?

  1. 수산화니켈
  2. 카드뮴
  3. 이산화연
(정답률: 69%)
  • 알칼리 축전지의 음극은 카드뮴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카드뮴이 높은 전기 화학 활성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카드뮴은 수산화니켈보다 더 높은 활성도를 가지며, 이산화연과 연보다는 더 안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카드뮴은 알칼리 축전지의 음극 재료로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피드백 제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1. 구동장치
  2. 출력장치
  3.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4. 안정도를 좋게 하는 장치
(정답률: 80%)
  • 피드백 제어에서는 원하는 출력값과 실제 출력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값을 얻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장치는 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피드백 제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회로에서 CD간의 전압을 100V로 할 때 AB간의 단자전압은 몇 V인가?

  1. 100
  2. 102
  3. 104
  4. 106
(정답률: 33%)
  • AB간의 전압은 CD간의 전압과 R1, R2, R3에 의해 나눠지게 된다. 따라서 AB간의 전압은 (R2+R3)/(R1+R2+R3) * 100V 이다. 이를 계산하면 AB간의 전압은 106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무한장 직선도체에 1A의 전류가 흐른다. 이 때 생기는 자계의 세기가 0.2AT/m인 점은 도체로부터 몇 m 떨어진 점인가?

  1. 5/π
  2. 5/2π
  3. 10π
(정답률: 48%)
  • 생기는 자계의 세기는 아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B = μ₀I/2πr

    여기서 B는 자계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I는 전류의 세기, r은 측정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따라서, r = μ₀I/2πB = (4π×10⁻⁷ × 1 × 1)/(2π × 0.2) = 5/2π (m)

    따라서 정답은 "5/2π"이다.

    이유는 위의 식에서 r은 I와 B의 비례식이므로, I가 일정하면 B와 r은 역수 관계에 있다. 따라서 B가 2배가 되면 r은 1/2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B가 2배가 되는 것은 "5/2π"이므로, r은 1/2이 되어 "5/2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측정량과 별도로 크기를 조정할 수 없는 표준량을 준비하고 이것을 표준량과 평행시켜 표준량으로부터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감도가 좋고 정밀측정에 적합한 측정 방법은?

  1. 편의법
  2. 직편법
  3. 영위법
  4. 반경법
(정답률: 50%)
  • 영위법은 크기를 조정할 수 없는 표준량을 이용하여 측정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표준량과 측정량이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감도가 높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기기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영위법은 정밀측정에 적합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논리식 를 간단히 나타낸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는 모든 조건이 참일 때 참을 반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A, B, C, D 모두 참일 때 논리식이 참이 되므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진상콘덴사는 어느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가?

  1. 수전점
  2. 고압모선
  3. 변압기 2차측
  4. 부하와 병렬
(정답률: 61%)
  • 진상콘덴사는 역률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역률은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회로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진상콘덴사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변압기 2차측도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지만, 이 위치에 설치하면 전압이 높아져 위험할 수 있으므로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전점과 고압모선은 역률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위험물제조소에 환기설비를 시설할 때 바닥면적이 100m2라면 급기구의 면적은 몇 cm2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0
  2. 300
  3. 450
  4. 600
(정답률: 30%)
  • 위험물제조소에서는 화학물질 등을 다루기 때문에 환기설비가 필수적이다. 환기설비 중에서도 급기구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화학물질을 빠르게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급기구의 면적은 바닥면적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급기구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1% 이상이어야 하므로, 100m2의 바닥면적에서는 1m2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cm2로 환산하면 1m2 = 10,000cm2 이므로, 1%인 100cm2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의 소방시설이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더라도 당해설비의 유효범위안의 부분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없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물분무소화설비
  3. 포소화설비
  4. 연결살수설비
(정답률: 42%)
  • 연결살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설비이기 때문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없습니다. 다른 설비들은 화재 진압을 위한 것이므로 유효범위 안에 있더라도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있지만, 연결살수설비는 인명 구조를 위한 것이므로 면제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시설공사 후 설비의 하자보수기간으로 그 기간이 1년인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인듯 합니다. 기존 정답은 2번이며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자동식소화기
  2. 비상방송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59%)
  • 기존에는 소방시설공사 후 설비의 하자보수기간이 2년이었지만, 2021년 1월 1일부터는 1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설비로, 인명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방시설의 필수 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비상방송설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할 특수장소중 1급 방화관리대상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는 연면적 3000m2인 소방 대상물
  2. 자동차재탐지설비를 설치한 연면적 3000m2인 소방 대상물
  3. 전력용 또는 통신용 지하구
  4. 가연성가스를 1000톤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
(정답률: 73%)
  • 1급 방화관리대상물은 대규모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한 시설이며, 가연성가스를 1000톤 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은 대량의 가연성가스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1급 방화관리대상물에 해당된다. 따라서 방화관리자를 두어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시설로서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저장용량의 합계가 몇톤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49%)
  • 가스시설은 화학물질 안전관리법에 따라 저장용량이 100톤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정답은 "100"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정해진 규정이며, 이보다 적은 용량의 탱크는 가스시설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장비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압기
  2. 비중계
  3. 유량계
  4. 절연저항측정기
(정답률: 40%)
  •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는 탱크 내부에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수압기가 필요합니다. 비중계는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유량계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절연저항측정기는 전기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장비는 수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옥외탱크저장소의 펌프설비에서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몇 미터이상의 공지를 보유하여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40%)
  • 옥외탱크저장소의 펌프설비는 폭발위험이 있는 장비이므로 안전을 위해 주위에 충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최소 3미터 이상의 공간을 보유해야 합니다. 이는 폭발위험이 있는 장비의 안전거리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방시설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화기구, 옥내 소화전설비는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2. 유도등, 비상조명등설비는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3.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4. 연결살수설비는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정답률: 60%)
  • 소화기구와 옥내 소화전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유도등과 비상조명등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경보를 위한 역할을 하므로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방시설에서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연결살수설비는 소방시설과 연결되어 있는 상수도나 소화용수를 공급받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중 소방용 기계ㆍ기구등의 형식승인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법 기준에 따라야 하는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행정자치부령
  4. 시ㆍ도 조례
(정답률: 25%)
  • 소방용 기계ㆍ기구등의 형식승인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행정자치부령"에 따라야 합니다. 이는 소방법 시행령 제9조에 따라 행정자치부가 정한 규정에 따라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기계ㆍ기구등이 행정자치부의 규정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형식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에 관하여 화재 예방상 필요하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에 위험이 미칠 것으로 인정될 때에는 관계인에게 당해 소방대상물의 개수명령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사람은?

  1. 시ㆍ도지사
  2. 시장ㆍ군수
  3. 당해 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자
  4.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
(정답률: 74%)
  •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에 대한 판단은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며, 이를 가진 사람은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화재 예방 및 대응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ㆍ도지사나 시장ㆍ군수는 일반적으로 행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당해 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자는 해당 대상물의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누가 정하는가?

  1. 행정자치부령
  2. 소방본부장
  3. 소방서장
  4. 대통령
(정답률: 45%)
  •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행정자치부령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행정자치부령"이 정답이다.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대통령은 이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직무로 옳은 것은?

  1. 이상기상의 예보 또는 특보가 있을지라도 화재위험경보를 발할 수는 없다.
  2.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기간을 정하여 일정한 구역안에 있어서의 모닥불, 흡연 등 화기취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3. 화재의 위험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관계인은 해당구역안에 상주하여야 한다.
  4. 화재의 현장에 방화 경계구역을 설정할 수 있으나 그 구역으로부터 퇴거를 명하거나 출입을 금지 또는 제한할 수는 없다.
(정답률: 72%)
  •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기취급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일정한 구역안에서 모닥불, 흡연 등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기간을 정하여 일정한 구역안에 있어서의 모닥불, 흡연 등 화기취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가 옳은 직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유취급소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되는 것은?

  1. 볼링장 또는 대중이 모이는 체육시설
  2. 주유취급소의 관계자가 거주하는 주거시설
  3. 자동차 등의 세정을 위한 작업장
  4. 주유취급소에 출입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
(정답률: 66%)
  • 주유취급소는 인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이므로, 대중이 모이는 체육시설과 같은 장소와 함께 설치하여는 안 됩니다. 이는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소방신호
  2. 대피신호
  3. 훈련신호
  4. 구급신호
(정답률: 58%)
  • 소방신호는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 등과 같은 소방 관련 활동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말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정확히 전달하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방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방염대상물품외에 방염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소방서장이 방염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는 물품은?

  1. 책상
  2. 전등
  3. 전선
  4. 침구류
(정답률: 47%)
  • 침구류는 불이 붙었을 때 빠르게 확산되는 물질인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방염처리가 필요한 물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소방서장이 방염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는 물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방화관리업무 등에 관한 강습은 누가 실시하는가?

  1. 시.도지사
  2. 소방서장
  3. 한국소방안전협회장
  4. 한국소방검정공사사장
(정답률: 62%)
  • 한국소방안전협회는 소방안전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단체이며, 방화관리업무 등에 관한 강습을 실시하는 것은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국소방안전협회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험물 제조소등의 허가취소 또는 사용정지 사유가 아닌 것은?

  1. 허가조건 위반
  2. 위험물 시설안전원을 두지 않았을 때
  3. 유자격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았을 때
  4. 제조소의 위치, 구조, 설비를 허가없이 변경한 때
(정답률: 50%)
  • 위험물 시설안전원은 위험물 제조소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시설로, 이를 두지 않으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허가취소 또는 사용정지 사유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대상물의 검사시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자 또는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공무원의 출입 또는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 또는 기피한 자의 벌칙에 해당하는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이하의 벌금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이하의 벌금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률: 50%)
  • 소방대상물의 검사는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절차이므로,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하거나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 또는 기피하는 행위는 엄격하게 처벌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벌칙으로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조소 등의 설치자가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때에는 그 해임한 날부터 몇 일이내에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1. 7
  2. 10
  3. 20
  4. 30
(정답률: 76%)
  • 위험물안전관리규정 제9조 제2항에 따르면, 제조소 등의 설치자가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경우에는 해임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새로운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도간의 소방업무 상호 응원협정을 할 때는 미리 규약을 정하여야 하는데 필요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방신호방법의 통일
  2. 응원출동 대상지역 및 규모
  3. 소요경비의 부담 구분
  4. 연전출동의 요청방법
(정답률: 54%)
  • 소방신호방법은 각 지역의 문화, 환경,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하는 것이 어렵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방업무 상호 응원협정을 할 때는 소방신호방법의 통일은 필요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자동화재재탐지설비에서 비화재보가 빈번할 때의 조치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감지기 설치장소에 급격한 온도상승을 가져오는 발열체가 있는지를 조사
  2. 전원회로의 전압계 지시치가 0 인가를 확인
  3. 수신기 내부의 계전기 기능을 조사
  4. 감지기 회로배선의 절연상태 조사
(정답률: 54%)
  • 전원회로의 전압계 지시치가 0 인가를 확인하는 것은 비화재보가 빈번하게 발생할 때 적당하지 않은 조치입니다. 이는 감지기와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전원 회로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감지기 설치장소에 급격한 온도상승을 가져오는 발열체가 있는지를 조사하거나 수신기 내부의 계전기 기능을 조사하거나 감지기 회로배선의 절연상태를 조사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옥외형 M형 발신기는 100V에서 300V까지의 전압으로 작동하는 용량 3A의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가?

  1. 보안기
  2. 중계기
  3. 수신기
  4. 경보기
(정답률: 24%)
  • M형 발신기는 고전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과전류를 차단하는 보안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보안기"이다. 중계기는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수신기는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경보기는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누전경보기의 증폭기는 어느 부분에 내장되어 있는가?

  1. 변류기
  2. 수신기
  3. 경보기
  4. 계전기
(정답률: 41%)
  • 누전경보기의 증폭기는 수신기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는 누전경보기가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증폭하여 경보기로 전달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수신기는 누전경보기의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발신기를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닌 것은?

  1. R형
  2. T형
  3. M형
  4. P형
(정답률: 23%)
  • "R형"은 발신기의 기능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니라, 다른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 것입니다. "R형"은 일반적으로 무선 송신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발신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으로 자사발전설비를 사용했을 경우 그것의 용량은 제연설비를 몇 분이상 가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60
(정답률: 57%)
  •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으로 자사발전설비를 사용할 경우, 용량은 제연설비를 최소 20분 이상 가동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비상상황에서 충분한 시간동안 제연설비를 가동시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몇 Ω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62%)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저항이 낮을수록 신호의 손실이 적어지고 정확한 감지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낮을수록 좋으며, 이에 따라 전로저항은 50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피난구 유도등의 설치장소로 적장하지 않는 곳은?

  1.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출입구
  2.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3. 직통계단, 직통계단의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4. 안전 구획된 거실로 통하는 출입구
(정답률: 45%)
  • 피난구 유도등은 비상시에 대피를 위해 사용되는데, 만약 설치장소가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쉽게 도달할 수 없다면 대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출입구가 적장한 설치장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피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설치장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로된 소방대상물의 자동화재탐지 설비중 열전대식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18m2마다 1개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는 15개이하로 한다.
  2.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22m2마다 1개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열전대부는 15개이하로 한다.
  3.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18m2마다 1개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한다.
  4.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22m2마다 1개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한다.
(정답률: 33%)
  • 정답은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22m2마다 1개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한다."이다.

    열전대부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에 따라 설치해야 하며, 감지구역의 크기가 커질수록 열전대부의 개수도 증가해야 한다. 또한,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의 개수도 제한되어야 한다. 이는 검출부에 접속되는 연전대부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감지 신호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열전대부는 감지구역의 바닥면적 22m2마다 1개 이상으로 하고, 하나의 검출부에 접속하는 연전대부는 20개 이하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설치 높이가 10m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의 종류는?

  1. 차동식스포트형
  2. 보상식스포트형
  3. 차동식분포형
  4. 정온식스포트형
(정답률: 52%)
  • 10m 높이에서는 차동식분포형 감지기가 적합합니다. 이는 차동식분포형 감지기가 불규칙한 공간에서도 불균일한 온도 분포를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차동식분포형 감지기는 다른 종류의 감지기보다 더 넓은 범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위치에서의 감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종합방재센터에서 이용하는 제어방식이 아닌 것은?

  1. Ten Key를 이용한 제어방식
  2. Optimization을 이용한 제어방식
  3. Light Pen을 이용한 제어방식
  4. Touch Screen을 이용한 제어방식
(정답률: 43%)
  • "Optimization을 이용한 제어방식"은 종합방재센터에서 이용하는 제어방식이 아닙니다. 이유는 Optimization은 일반적으로 수학적인 모델링과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제어방식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Optimization을 이용한 제어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기관식감지기의 화재감지 동작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열→관내 공기팽창 →리크밸브 동작→회로접점 접속
  2. 열→다이아프램 팽창→리크밸브 동작→회로접점접속
  3. 열→관내 공기팽창→다이아프램 팽창→회로접점 접속
  4. 열→리크밸브 동작→관내 공기팽창→회로접점 접속
(정답률: 60%)
  • 공기관식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관내 공기가 팽창하면서 다이아프램이 팽창하고, 이로 인해 리크밸브가 동작하여 회로접점이 접속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관내 공기팽창→다이아프램 팽창→회로접점 접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축전지설비의 구성요소로 맞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방전장치
  2. 보안장치
  3. 제어장치
  4. 역변환장치
(정답률: 36%)
  •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로 "보안장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축전지 설비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방전장치는 축전지의 방전을 제어하고, 제어장치는 축전지의 운전을 제어하며, 역변환장치는 축전지에서 발생한 DC 전력을 AC 전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보안장치는 시설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축전지 설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안장치는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로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R형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수신기는?

  1. M형수신기
  2. R형수신기
  3. GP수신기
  4. GR수신기
(정답률: 67%)
  • GR수신기는 R형수신기의 기능과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겸한 수신기이다. R형수신기는 광범위한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으며, GR수신기는 이에 더해 가스누설경보기의 수신부 기능을 갖추어 가스누설 등의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GR수신기는 R형수신기와 가스누설경보기의 기능을 모두 갖춘 다기능적인 수신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상방송설비에 음량 조정기를 설치할 경우 음량 조정기의 배선방식으로 옳은 것은?

  1. 1선식
  2. 2선식
  3. 3선식
  4. 4선식
(정답률: 75%)
  • 비상방송설비에는 3선식 배선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음량 조정기가 전원을 공급받는 라인과 출력을 내보내는 라인, 그리고 접지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구성된 3선식 배선방식은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노이즈 감소를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음향경보장치로 방송에 의한 경보장치를 설치할 경우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25
  2. 30
  3. 35
  4. 50
(정답률: 72%)
  •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음향경보장치는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모든 부분에서 경보음이 들리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수평거리가 가장 먼 부분에서도 경보음이 들리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준인 "건축물 내 음향설계기준"에 따라, 방송에 의한 경보장치를 설치할 경우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25m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설치기준중 맞지 않는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한다.
  2. 스위치는 사람이 만지지 못하도록 자물쇠장치를 하여 둔다.
  3. 종합방재센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시근무하는 자가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4.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이상,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정답률: 71%)
  • "종합방재센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시근무하는 자가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스위치는 사람이 만지지 못하도록 자물쇠장치를 하여 두는 이유는 불법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비상콘센트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접지공사의 종류는?

  1. 제1종접지
  2. 제2종접지
  3. 제3종접지
  4. 특별제3종접지
(정답률: 63%)
  • 비상콘센트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접지공사가 필요하다. 접지공사는 전기적인 장치나 시설물의 땅과 연결하여 전기적인 충격이나 화재 등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제1종접지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경우에 사용되며, 전기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사용된다.

    제2종접지는 제1종접지보다 더 안전한 방식으로, 전기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사용된다.

    제3종접지는 전기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은 일반적인 장소에 사용되며, 전기적 안전을 위한 추가적인 보호장치로 사용된다.

    특별제3종접지는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며, 전기적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은 장소에 사용된다.

    따라서, 비상콘센트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제3종접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2. 단자는 한국산업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이상, 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3.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400m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m이상의 거리를 둔다.
  4. 단자의 보호함의 표면은 적색으로 도색하고 “무선기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한다.
(정답률: 71%)
  •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400m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m이상의 거리를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보행거리 400m 이내마다 설치하는 것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기준이며,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다.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접속단자는 소방활동이 가능한 장소 또는 상시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하며,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와는 5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의 설치장소로 적합지 않은 곳은?

  1. 화재에 의한 영향이 없는 곳
  2.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영향이 없는 곳
  3.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곳
  4. 점검에 편리한 장소
(정답률: 80%)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은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곳에 설치하면 제어반 자체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부식성 가스는 금속이나 기타 물질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어반의 부식은 제어반의 작동을 방해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은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조에 해당되는 것은?

  1. 공기팽창을 이용
  2. 바이멜탈을 이용
  3. 열반도체를 이용
  4. 공기팽창과 열기전력을 이용
(정답률: 35%)
  •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는 공기팽창을 이용하여 구조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감지기 내부에 있는 공기가 열에 의해 팽창되어 압력이 증가하고, 이를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