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피난계획의 일반원칙 중 fool proof 원칙이란 무엇인가?

  1. 한가지가 고장이 나도 다른 수단을 이용하는 원칙
  2. 두 방향의 피난동선을 항상 확보하는 원칙
  3. 피난수단을 이동식 시설로 하는 원칙
  4. 피난수단을 조작이 간편한 원시적 방법으로 하는 원칙
(정답률: 83%)
  • fool proof 원칙은 피난수단을 조작이 간편한 원시적 방법으로 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비상시에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비상구를 열기 위해 복잡한 기계적 장치나 전기적 장치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간단한 손잡이나 문짝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렇게 하면 비상시에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하지 않고 쉽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Halon 1301 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원자량은 C 12, F 19, Br 80, Cl 35.5 이고,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29이다.)

  1. 4.14
  2. 5.14
  3. 6.14
  4. 7.14
(정답률: 65%)
  • Halon 1301의 화학식은 CBrF3이다. 따라서 분자량은 12 + 80 + 3(19) = 188이다.

    증기 비중은 가스의 밀도를 공기의 밀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Halon 1301의 증기 비중 = (분자량 / 공기의 평균분자량) = 188 / 29 = 6.4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14"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주수소화를 할 수 없는 물질은?

  1. 리튬
  2. 염소산칼륨
  3. 유황
  4. 적린
(정답률: 56%)
  • 리튬은 주수소화를 할 수 없는 물질입니다. 이는 리튬이 주기율표에서 수소보다 전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튬은 수소와 반응하여 화합물을 생성할 수는 있지만, 주수소화를 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연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연물
  2. 촉매
  3. 산소공급원
  4. 점화원
(정답률: 82%)
  •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입니다. 촉매는 연소 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연소의 3요소 중 하나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촉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스 A가 40vol%, 가스 B 가 60vol% 로 혼합된 가스의 연소하한계는 몇 vol%인가? (단, 가스 A의 연소하한계는 4.9vol% 이며, 가스 B의 연소하한계는 4.15vol% 이다.)

  1. 1.82
  2. 2.02
  3. 3.22
  4. 4.42
(정답률: 58%)
  • 가스 A와 가스 B의 혼합물의 연소하한계는 각 가스의 부피 비율에 따라 가중 평균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하한계가 4.9vol%인 가스 A와 4.15vol%인 가스 B의 혼합물의 연소하한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4 × 4.9) + (0.6 × 4.15) = 1.96 + 2.49 = 4.45

    따라서, 가스 A와 가스 B의 혼합물의 연소하한계는 약 4.45vol%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4.42"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4.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둥
  2. 작은 보
  3. 지붕
  4. 바닥
(정답률: 81%)
  • 작은 보는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기둥은 건축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지붕은 건축물을 덮어주는 역할을 하며, 바닥은 건축물을 지탱하는 기반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작은 보는 건축물의 구조를 지탱하는 역할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요 구조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재 화재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고자 한다. 이 때 가장 큰 소화효과는?

  1. 제거소화효과
  2. 냉각소화효과
  3. 부촉매소화효과
  4. 희석소화효과
(정답률: 86%)
  • 목재 화재시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면 물이 증발하면서 주위 온도를 낮추고, 화재 지점을 냉각시켜 화재 확산을 막는 냉각소화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냉각소화효과는 화재 지점의 온도를 낮추어 연소 반응을 억제하고, 연소 가스의 발생을 줄여 화재 확산을 막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장 간단한 형태의 탄화수소로서 도시가스의 주성분은?

  1. 부탄
  2. 에탄
  3. 메탄
  4. 프로판
(정답률: 61%)
  • 도시가스의 주성분은 메탄이다. 이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탄화수소로서, 분자 구조가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연소와 가장 관련이 있는 화학반응은?

  1. 산화반응
  2. 환원반응
  3. 치환반응
  4. 중화반응
(정답률: 84%)
  • 연소는 산소와 물질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화학반응이다. 이때 산소가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산화되는 반응을 산화반응이라고 한다. 따라서 연소와 가장 관련이 있는 화학반응은 "산화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연발화에 대한 예방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2. 황린은 물속에 저장한다.
  3. 주위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
  4. 가능한 한 물질을 분말상태로 저장한다.
(정답률: 84%)
  • 가능한 한 물질을 분말상태로 저장하는 것은 자연발화를 예방하는데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분말 상태로 저장된 물질은 높은 표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산화와 반응이 더 빠르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말 상태로 저장된 물질은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기압, 100℃ 에서의 물 1g 의 기화잠열은 몇 cal 인가?

  1. 425
  2. 539
  3. 649
  4. 734
(정답률: 82%)
  • 1g의 물이 기화될 때 필요한 열량은 기화열이라고 합니다. 기압이 1기압, 온도가 100℃일 때 물의 기화열은 539cal입니다. 이는 물 분자들이 수증기 상태로 변할 때 필요한 열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3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기중에서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은?

  1. 수소
  2. 이황화탄소
  3. 아세틸렌
  4. 에테르
(정답률: 69%)
  • 아세틸렌은 수소와 탄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공기중에서 연소할 때 매우 높은 온도와 불꽃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연소 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에 비해 이황화탄소와 에테르는 연소 온도가 낮아 연소 범위가 좁고, 수소는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 불꽃이 작아 연소 범위가 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재에서 휘적색 불꽃의 온도는 약 몇 ℃ 인가?

  1. 500
  2. 950
  3. 1300
  4. 1500
(정답률: 71%)
  • 화재에서 휘적색 불꽃은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약 950℃ 정도이다. 이는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와 관련이 있으며, 불꽃이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이유는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많은 열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950"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위험물의 류별 분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트리에틸알루미늄
  2. 황린
  3. 칼륨
  4. 벤젠
(정답률: 64%)
  • 정답: "벤젠"

    나머지 셋은 모두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것이고, 벤젠은 화학적 구조에 따라 분류된다. 벤젠은 방향족 화합물로, 위험물의 류별 분류에서는 "인화성 액체"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주된 연소형태가 표면연소인 것은?

  1. 알코올
  2. 목재
  3. 에테르
(정답률: 85%)
  • 숯은 주로 표면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주된 연소형태가 표면연소이다. 이는 숯의 표면이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반면에 알코올, 목재, 에테르는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체적연소가 주된 연소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피난대책의 일반적인 원칙이 아닌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 명료하게 한다.
  2. 피난설비는 고정식설비보다 이동식설비를 위주로 설치한다.
  3. 간단한 그림이나 색채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4. 두 방향의 피난통로를 확보한다.
(정답률: 87%)
  • "피난설비는 고정식설비보다 이동식설비를 위주로 설치한다."는 일반적인 피난대책의 원칙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동식설비는 이동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정식설비와 이동식설비를 적절히 조합하여 효과적인 피난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물질 중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칼륨
  2. 인화아연
  3. 산화칼슘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64%)
  •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산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 수산화물을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가연성 기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칼륨, 인화아연, 탄화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 두께가 2cm 이상인 것
  2. 두께 2.5cm 이상의 암면보온판 위에 석면 시멘트판을 붙인 것
  3.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1.5m 이상인 것
  4. 두께 1.2cm 이상의 석고판 위에 석면 시멘트판을 붙인 것
(정답률: 59%)
  •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1.5m 이상인 것"이다. 이유는 방화구조물의 기준은 화재로부터의 저항력이므로, 두께가 두꺼를수록 더욱 강력한 방화구조물이 된다. 따라서, 두께가 1.5m 이상인 것이 아니라, 두께가 1.5cm 이상인 것이 올바른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에서의 화재 급수와 그에 따른 화재 분류가 틀린 것은?

  1. A급 - 일반화재
  2. B급 - 유류화재
  3. C급 - 가스화재
  4. D급 - 금속화재
(정답률: 85%)
  • 우리나라에서의 화재 급수와 그에 따른 화재 분류에서 C급은 가스화재가 아니라 전기화재여야 합니다. 이는 전기기기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기기의 과부하, 단락, 오버히팅 등이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C급은 "전기화재"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피난자의 집중으로 패닉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가장 큰 형태는 어느 것인가?

  1. T형
  2. X형
  3. Z형
  4. H형
(정답률: 81%)
  • H형은 피난구간이 하나만 있어서 대량의 인원이 한꺼번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패닉현상이 일어날 우려가 가장 큽니다. T형, X형, Z형은 피난구간이 여러 개 있어서 인원이 분산되어 집중되지 않기 때문에 패닉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그림과 같은 게이트의 명칭은?

  1. AND
  2. OR
  3. NOR
  4. NAND
(정답률: 74%)
  • 이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합(OR)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신기에 내장된 축전지의 용량이 6[Ah]인 경우 0.4[A]의 부하전류로는 몇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가?

  1. 2.4시간
  2. 15시간
  3. 24시간
  4. 30시간
(정답률: 66%)
  • 용량이 6[Ah]인 축전지는 1시간 동안 6[A]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4[A]의 부하전류로는 6[A]를 0.4[A]로 나눈 15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R=4Ω, L=30mH, ⍵=100rad/s 일 때 그림과 같은 회로의 합성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3Ω
  2. 4Ω
  3. 5Ω
  4. 8Ω
(정답률: 61%)
  • 먼저, L과 R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임피던스 Z_RL = R + jωL이다.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6Ω 저항과 합성하면, Z_RL과 6Ω은 각각 병렬로 연결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 = (Z_RL × 6Ω) / (Z_RL + 6Ω)
    = (4 + j3) × 6 / (4 + j3 + 6)
    = (24 + j18) / 10
    = 2.4 + j1.8
    = 2.4∠36.87°

    따라서, 합성임피던스는 2.4 + j1.8 [Ω]이며, 이를 절댓값으로 계산하면 3.0 [Ω]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3Ω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Ω를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릴레이 시퀀스 회로의 출력식을 나타내는 것은?

  1. AB
  2. A+B
(정답률: 66%)
  • 릴레이 1과 2는 각각 A와 B를 출력하고, 릴레이 3은 릴레이 1과 2의 출력을 OR 연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출력식은 A OR B이며, 이는 A+B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제어계의 전달함수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가정 했을 때,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비
  2.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가정 했을 때,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곱
  3. 모든 초기값을 ∞으로 가정 했을 때,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비
  4. 모든 초기값을 ∞으로 가정 했을 때,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곱
(정답률: 54%)
  • "모든 초기값을 0으로 가정 했을 때, 출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과 입력 신호의 라플라스 변환의 비"가 제어계의 전달함수의 정의이다. 이는 초기값이 0일 때,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초기값이 0이 아닐 경우에는 전달함수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2. 전기저항은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3. 고유사항은 [Ω∙mm2/m]의 단위로 나타내기도 한다.
  4. 고유저항과 도전율은 정비례한다.
(정답률: 28%)
  • 전기저항은 도선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도선의 단면적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와 단면적을 가진 도선이라면 전기저항은 동일합니다. 이때, 도선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사항은 전기저항을 나타내는 단위인 옴(Ω)과 도선의 단면적(mm2)을 곱하고 도선의 길이(m)로 나눈 단위인 [Ω∙mm2/m]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초 사이에 권선수 10회의 코일에 자속이 10Wb에서 20Wb로 변화하였다면 이때 코일에 유기된 기전력은 몇 [V] 인가?

  1. 0.1V
  2. 1.0V
  3. 10V
  4. 100V
(정답률: 65%)
  • 기전력은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변화한 자속의 크기 차이를 시간으로 나눈 값이 기전력이 된다. 따라서, 자속이 10Wb에서 20Wb로 변화한 크기 차이는 10Wb이고, 이 변화가 일어난 시간은 10초이므로, 기전력은 10Wb/10s = 1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V"가 아닌 "1.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어요소가 제어 대상에 가하는 제어 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 대상의 입력이 되는 것은?

  1. 조작량
  2. 제어량
  3. 검출량
  4. 측정량
(정답률: 63%)
  • 조작량은 제어 대상을 조작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 신호이며, 이 입력 신호는 제어장치의 출력으로 동시에 전달되어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조작량은 제어 대상에 가하는 제어 신호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 대상의 입력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과전압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한다.
  2. 다이오드를 병렬로 추가한다.
  3.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저항을 추가한다.
  4. 다이오드의 양단에 적당한 값의 콘덴서를 추가한다.
(정답률: 66%)
  • 다이오드를 직렬로 추가하는 것은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과전압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회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제연설비용 3상 200V 전동기를 6시간 운전해서 100kWh를 소비하였다. 역률이 80% 이라면 선전류는 약 몇 [A] 인가?

  1. 60A
  2. 90A
  3. 120A
  4. 180A
(정답률: 49%)
  • 전기의 기본 공식인 P = VIcosθ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전력, V는 전압, I는 전류, cosθ는 역률을 나타낸다.

    전력 P는 100kWh이므로 100,000Wh이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00,000Wh ÷ 6시간 = 16,666.67W이다.

    전압 V는 3상 200V이므로 200V이다.

    역률 cosθ는 80%이므로 0.8이다.

    따라서, 전류 I는 P ÷ (V × cosθ) = 16,666.67W ÷ (200V × 0.8) = 104.17A이다.

    하지만, 이는 3상 전류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3상 전류의 크기는 I ÷ √3 = 104.17A ÷ √3 ≈ 60A이다.

    따라서, 정답은 "60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실효값 100V의 교류전압을 최대값으로 나타내면 약 몇 [V] 인가?

  1. 110V
  2. 120V
  3. 141.4V
  4. 173.2V
(정답률: 65%)
  • 실효값 100V의 교류전압을 최대값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2를 곱하고 루트를 씌워야 한다. 따라서 100V x 2 = 200V 이고, √200 ≈ 14.14 이므로 14.14 x 10 ≈ 141.4V 이다. 이는 최대값인 피크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141.4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R = 1[Ω], L = 0.1[H], C = 100[πF] 의 직렬공진회로에 200[V]의 전압을 인가할 때 공진주파수 fr은 약 몇 [Hz] 인가?

  1. 65.2[Hz]
  2. 60.3[Hz]
  3. 55.2[Hz]
  4. 50.3[Hz]
(정답률: 40%)
  •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r = 1 / (2π√(LC))

    여기에 R, L, C의 값을 대입하면,

    fr = 1 / (2π√(0.1 x 100 x 10^-12)) = 50.3[Hz]

    따라서 정답은 "50.3[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부하 RL에서 소비되는 최대전력은 몇 [W] 인가? (단, Rs는 전원의 내부저항 이다.)

  1. 12W
  2. 36W
  3. 72W
  4. 144W
(정답률: 36%)
  • 부하 RL에서 소비되는 최대전력은 전원 전압과 부하 저항의 관계에서 결정된다. 최대전력은 전원 전압의 제곱을 부하 저항으로 나눈 값이다.

    즉, Pmax = V전원2 / R부하

    여기서 전원 전압은 12V이고, 부하 저항은 2Ω + 4Ω + 6Ω = 12Ω 이므로,

    Pmax = 12V2 / 12Ω = 12W

    하지만, 전원의 내부저항 Rs가 있기 때문에 전원 전압이 부하에 도달하는 값은 실제로는 전원 전압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전원 전압을 V전원 - I전원Rs로 대체해야 한다. 여기서 I전원은 전원 전압이 부하에 도달할 때의 전류이다.

    전원 전압이 부하에 도달할 때의 전류는 부하 저항과 전원 내부저항을 포함한 전체 회로의 저항으로 나눈 값이다.

    즉, I전원 = V전원 / (R부하 + Rs)

    따라서, 최대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max = (V전원 - I전원Rs)2 / R부하

    = (12V - (12V / (12Ω + 2Ω + 4Ω + 6Ω) * 2Ω) * 1Ω)2 / 12Ω

    = 36W

    따라서, 이 회로에서 부하 RL에서 소비되는 최대전력은 36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변압기의 1차측 권수가 200회, 2차측 권수가 50회인 경우 2차측에서 25V의 전압을 얻고자 하는 경우 1차측에 인가하여야 할 전압은 몇 [V] 인가?

  1. 100V
  2. 220V
  3. 50V
  4. 380V
(정답률: 68%)
  • 변압기의 전압비는 1차측 권수와 2차측 권수의 비로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1차측 권수가 200회, 2차측 권수가 50회이므로 전압비는 200:50 = 4:1 이다. 따라서 2차측에서 25V의 전압을 얻으려면 1차측에는 4배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1차측에 인가해야 할 전압은 25V x 4 = 100V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상조명등을 설치한 경우 a점의 조도가 1[lx] 일 때 b점의 조도는 몇 [lx] 인가?

(정답률: 49%)
  • 비상조명등은 빛을 모든 방향으로 발산하므로, a점에서 b점으로 가는 빛의 양은 조명등에서 나온 총 빛의 양과 같다. 따라서 a점에서 b점으로 가는 빛의 양은 100[lm] 이다. b점에서의 조도는 b점에서 받는 빛의 양을 b점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100[lm]을 b점의 면적인 0.01[m^2]로 나눈 10000[lx]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선의 전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측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메거
  2. 휘스톤브리지
  3. 후크온메타
  4. 역률계
(정답률: 62%)
  • 전선의 전류를 측정하는데는 후크온메타가 가장 적합합니다. 후크온메타는 전류 측정을 위해 전선에 직접 클램프를 걸어 측정하기 때문에 전선을 끊거나 접촉점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후크온메타는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우리나라 상용주파수인 60[Hz]에 대한 각속도는 ⍵는 약 몇 [rad/sec] 인가?

  1. 120[rad/sec]
  2. 377[rad/sec]
  3. 754[rad/sec]
  4. 1800[rad/sec]
(정답률: 72%)
  • 주파수(f)와 각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 = 2πf

    따라서, 60[Hz]에 대한 각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 2π × 60 = 377[rad/sec]

    따라서, 정답은 "377[rad/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드백 제어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는?

  1. 구동장치
  2. 출력장치
  3.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4. 안정도를 좋게 하는 장치
(정답률: 84%)
  • 피드백 제어에서는 원하는 출력값과 실제 출력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값을 얻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장치는 오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력값을 수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50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몇 [A] 인가?

  1. 1/2 A
  2. 1/4 A
  3. 1/6 A
  4. 1/8 A
(정답률: 40%)
  •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50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의 1/4 이므로 12V의 1/4인 3V가 걸리게 됩니다. 이에 따라 50Ω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3V/50Ω = 0.06A가 됩니다. 하지만 이 전류는 R1과 R2에도 흐르게 되므로, 0.06A를 2로 나눈 값인 0.03A가 R1과 R2에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3A인데, 이는 보기 중에서 "1/8 A"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이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회로망 중의 임의의 폐회로(Closed circuit) 내에서 그 폐회로를 따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생기는 전압강하의 합은 그 폐회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전력의 합과 같다. ”

  1. 노튼의 정리
  2. 중첩의 원리
  3.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4.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률: 66%)
  • 이 설명은 회로 이론에서 중요한 법칙 중 하나인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을 나타낸다. 이 법칙은 임의의 폐회로 내에서 전압강하의 합이 기전력의 합과 같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회로 분석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회로의 전류와 전압을 계산하는 데 필수적인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건축허가 등을 함에 있어서 미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 등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차고∙주차장으로 사용되는 층 중 바닥면적이 200m2이상인 층이 있는 시설
  2.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
  3. 항공기격납고, 관망탑, 항공관제탑, 방송용 송ㆍ수신탑
  4.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150m2(공연장의 경우에는 100m2) 이상인 층이 있는 것
(정답률: 72%)
  • 건축물 중에서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자동차 10대 이상을 주차할 수 있는 시설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된다. 이는 주차시설이므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소방시설의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2. 통합감시시설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자동화재속보설비
(정답률: 74%)
  • 소방시설의 경보설비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기, 통합감시시설, 자동화재속보설비가 포함되지만, 무선통신보조설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무선통신보조설비가 경보를 울리는 것이 아니라, 소방대원들 간의 통신을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문화재보호법의 규정에 의한 유형문화재와 기념물 중 지정문화재에 대한 위험물 제조소의 안전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m
  2. 50m
  3. 100m
  4. 200m
(정답률: 65%)
  •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르면, 유형문화재와 기념물 중 지정문화재에 대한 위험물 제조소의 안전거리는 50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문화재의 보존과 안전을 위한 조치로, 위험물 제조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폭발, 유해가스 등의 위험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문화재와 위험물 제조소 사이의 안전거리는 50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특정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자의 업무로서 가장거리가 먼 것은?

  1. 소방시설 그 밖의 소방관련시설의 유지ㆍ관리
  2. 관련규정에 따른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3.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안전관리와 감독
  4. 화기 취급의 감독
(정답률: 52%)
  •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안전관리와 감독은 방화관리자의 업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방화관리자가 담당하는 업무 중에서 가장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며,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안전관리와 감독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화관리자는 위험물의 취급에 대한 안전관리와 감독을 철저히 수행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위험물 제조소의 탱크용량이 100m3 및 180m3 인 2개의 탱크 주위에 하나의 방유제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방유제의 용량은 몇 [m3]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0m3
  2. 140m3
  3. 160m3
  4. 180m3
(정답률: 48%)
  • 위험물 제조소의 두 탱크의 용량이 각각 100m3와 180m3이므로, 두 탱크에 총 280m3의 위험물이 저장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유제의 용량은 적어도 280m3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0m3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방유제가 작은 탱크의 용량과 같은 100m3만큼만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큰 탱크에 저장된 위험물이 불타면 작은 탱크에 저장된 위험물도 함께 불타기 때문에, 작은 탱크의 용량만큼 방유제를 설치하여 작은 탱크의 위험물이 불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소방시설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시설업에는 소방시설설계업, 소방시설공사업, 소방시설감리업이 있다.
  2. 소방시설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시ㆍ도지사에게 소방시설업의 등록을 하여야 한다.
  3. 감리원이라 함은 소방시설공사업에 소속된 기술자로서 감리능력이 있는 자를 말한다.
  4. 소방시설업자는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다른 자에게 빌려주어서는 아니된다.
(정답률: 59%)
  • "감리원이라 함은 소방시설공사업에 소속된 기술자로서 감리능력이 있는 자를 말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리원은 소방시설감리업에 소속된 기술자로서, 소방시설공사업과는 별개의 업종이다. 소방시설감리업은 소방시설의 설계 및 공사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 감리하는 업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관계법령상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시각경보기
  2. 공기안전매트
  3. 비상콘센트설비
  4. 가스누설경보기
(정답률: 30%)
  • 가스누설경보기는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관계법령상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해당합니다. 이는 가스 누출 시 즉각적으로 경보를 울려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 소방법 제20조에 따라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재예방을 위하여 보일러와 벽ㆍ천장 사이의 거리는 몇 [m]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0.5m
  2. 0.6m
  3. 0.9m
  4. 1.2m
(정답률: 67%)
  • 보일러와 벽ㆍ천장 사이의 거리는 0.6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거리로,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열과 화재로 인한 화염이 벽이나 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0.5m나 0.9m, 1.2m는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성질을 설명한 것인가?

  1. 특수인화물
  2. 자기반응성물질
  3. 복수성상물품
  4. 인화성고체
(정답률: 38%)
  • 이 그림은 자기반응성물질에 대한 것입니다. 자기반응성물질은 공기 중에서도 자체적으로 발화할 수 있는 물질로, 물과 반응하여 발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물과 반응하여 발화하는 자기반응성물질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무창층의 요건으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개구부의 크기가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2.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상일 것
  3. 개구부는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4.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할 수 있을 것
(정답률: 53%)
  •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상일 것"이 무창층의 요건 중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인간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요건으로, 무창층의 개구부는 일정한 높이 이상이 되어야 인간이 충분히 지나갈 수 있으며, 무창층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요건들은 개구부의 크기, 진입 가능한 빈터, 파괴 또는 개방 가능성 등과 같이 무창층의 안전성과 관련된 요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험물 제조소에서 “위험물 제조소” 라는 표시를 한 표지의 바탕색은?

  1. 청색
  2. 적색
  3. 흑색
  4. 백색
(정답률: 71%)
  • 위험물 제조소에서 사용하는 표지의 바탕색은 위험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데, 위험도가 높은 경우에는 백색 바탕에 빨간색으로 "위험물 제조소" 라는 표시가 되기 때문에 정답은 "백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시설 가운데 기능과 성능이 유사한 소방시설을 설치한 경우 그 설비의 유효범위내에서의 설치가 면제되는 소방시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간이스프링클러설비
  2. 비상경보설비
  3. 옥내소화전설비
  4. 비상방송설비
(정답률: 59%)
  •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시설 가운데 기능과 성능이 유사한 소방시설을 설치한 경우 그 설비의 유효범위내에서의 설치가 면제되는 소방시설은 "옥내소화전설비"입니다. 이는 소방설비설치기준 제4조(소방시설의 설치대상)의 2항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발생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간이스프링클러설비"와 "비상경보설비"는 화재발생시 화재를 예방하거나 대처하기 위한 예방 및 경보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상방송설비"는 화재발생시 대피 및 구조활동을 위한 안전한 정보전달을 위한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방업무를 수행하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누구의 지휘와 감독을 받는가?

  1. 국회의원
  2.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
  3. 구청장
  4. 종합상황실장
(정답률: 75%)
  • 소방업무는 지역사회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지자체의 지휘와 감독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그 소재지를 관할하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의 지휘와 감독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자동차가 화재진압 및 구조ㆍ구급활동을 위하여 출동하는 때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한 자의 벌칙으로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정답률: 80%)
  • 소방자동차가 출동하여 화재진압 및 구조ㆍ구급활동을 하고 있는데, 출동을 방해하면 화재진압 및 구조ㆍ구급활동이 지연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 따라서 법률에서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시설관리업의 기술인력으로 등록된 소방기술자가 받아야 하는 실무교육의 주기 및 회수는?

  1. 매년 1회 이상
  2. 매년 2회 이상
  3. 2년마다 1회 이상
  4. 3년마다 1회 이상
(정답률: 74%)
  • 소방시설관리업의 기술인력으로 등록된 소방기술자는 소방시설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최신 기술 및 규정에 대한 이해와 업무 수행 능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실무교육이 필요하며, 이 교육의 주기 및 회수는 적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매년 1회 이상이나 매년 2회 이상의 경우, 교육 회수가 많아지면서 교육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2년마다 1회 이상의 주기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렇게 하면 교육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3년마다 1회 이상의 경우에는 교육 주기가 너무 길어져서 최신 기술 및 규정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2년마다 1회 이상의 주기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특정소방대상물 중 노유자(老幼者) 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치원
  2. 정신보건시설
  3. 경로당
  4. 요양시설
(정답률: 66%)
  • 노유자(老幼者)는 노인과 어린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유치원과 요양시설은 노유자 시설에 속한다. 하지만 정신보건시설은 노유자 시설에 속하지 않는다. 정신보건시설은 정신적인 문제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하는 시설로, 노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시설이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보증기간이 다른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
  2. 비상방송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정답률: 65%)
  • 정답은 "비상방송설비"입니다.

    다른 세 가지 시설은 모두 하자보수보증기간이 1년으로 동일하지만, 비상방송설비는 보증기간이 2년입니다. 이는 비상방송설비가 다른 시설에 비해 더 복잡하고 기술적으로 더 많은 요소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및 구조 요청 등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보증기간이 더 길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터널을 제외한 지하가로서 연면적이 1500m2 인 경우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소방시설은?

  1. 비상방송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제연설비
(정답률: 38%)
  • 지하가로의 연면적이 1500m2 이하인 경우, 소방법 제20조에 따라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지하가로의 크기가 작아서 비상상황 발생 시 대처하기에 충분한 인원이 있고, 대처 방법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 스프링클러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제연설비는 모두 지하가로의 크기와 상관없이 설치가 필요한 소방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 안전관리자가 퇴직한 때에는 퇴직한 날부터 며칠이내에 다시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1. 7일 이내
  2. 15일 이내
  3. 30일 이내
  4. 45일 이내
(정답률: 77%)
  •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항상 채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퇴직한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경우, 새로운 안전관리자를 선임하는 기간은 최대 30일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화재경계기구의 지정권자는?

  1. 시ㆍ도지사
  2. 소방본부장
  3. 소방서장
  4. 경찰서장
(정답률: 82%)
  • 화재경계기구는 지역별로 시ㆍ도 단위로 지정되며, 이에 따라 지정권자는 시ㆍ도지사입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지역의 최고 관리자인 시ㆍ도지사가 책임을 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피난기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식표지에서 위치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 조도 0 lx 에서 20분간 발광 후 몇 [mcd/m2] 이어야 하는가?

  1. 10mcd/m2
  2. 12mcd/m2
  3. 20mcd/m2
  4. 24mcd/m2
(정답률: 36%)
  • 피난기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식표지는 비상시에 주변이 어두워져서도 빛을 내어 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 조도가 0 lx 일 때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표지면이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하여 충분한 빛을 내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피난기구의 위치표지는 20분간 발광한 후에도 10m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나, 더욱 높은 휘도를 유지할 수록 더욱 빠르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 20mcd/m2 이상의 휘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4mcd/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충에 설치하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0분
  2. 40분
  3. 60분
  4. 120분
(정답률: 72%)
  • 11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이 최소 6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등의 비상상황에서 대피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유도등의 전원 및 배선 기준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전원은 축전지로 할 것
  2. 유도등의 전원은 축전지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3. 유도등의 인입선과 옥내배선은 직접 연결할 것
  4. 유도등의 전기회로에는 점멸기를 설치하고 항상 점등상태 유지할 것
(정답률: 54%)
  • "유도등의 전기회로에는 점멸기를 설치하고 항상 점등상태 유지할 것"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유도등은 일반적으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항상 켜져 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점멸기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만 켜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는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몇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0.15m 이내
  2. 0.2m 이내
  3. 0.25m 이내
  4. 0.3m 이내
(정답률: 76%)
  •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는 천장으로부터 2m 이하의 높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는 청각장애인이 시각적으로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시각경보장치는 천장으로부터 최소한 0.15m 이내의 장소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는 천장으로부터 너무 가까우면 경보장치를 인지하기 어렵고, 너무 멀면 경보음이 흐려져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설치기준에 관한 사항이다. 몇 층 이상의 소방대상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층
  2. 4층
  3. 5층
  4. 7층
(정답률: 74%)
  • 4층 이상의 건물은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4층 이상의 건물에는 발신기와 전화통화가 가능한 수신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중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발신기
  2. 변성기
  3. 중계기
  4. 변류기
(정답률: 76%)
  • 정답은 "변류기"입니다.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 중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기기가 필요합니다. 이 기기가 바로 "변류기"입니다.

    변류기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누전경보기에서 검출한 누설전류를 변류기를 통해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합니다. 따라서, 변류기는 누전경보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몇 [m] 이내마다 설치 하여야 하는가?

  1. 200m
  2. 300m
  3. 400m
  4. 600m
(정답률: 75%)
  •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전파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300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유는 300m 이하의 거리에서는 전파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300m 이내마다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는 부착높이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의 종류를 정하고 있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부착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일 경우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로서 알맞은 것은?

  1. 차동식분포형
  2. 열연기복합형
  3. 연기복합형
  4. 보상식스포트형
(정답률: 47%)
  • 일반적으로 부착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일 경우에는 연기복합형 감지기가 적합합니다. 이는 부착높이가 높아질수록 연기가 상승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연기와 열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연기복합형 감지기가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상방송설비는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5초 이하
  2. 10초 이하
  3. 20초 이하
  4. 30초 이하
(정답률: 77%)
  •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상방송설비의 개시 소요시간은 최대한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빠른 대처와 효율적인 대응을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의 설치기준으로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수신기는 감지기ㆍ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의 표시등 또는 2개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4.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률: 74%)
  •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의 표시등 또는 2개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는 "하나의 경계구역은 2개 이상의 표시등 또는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이다. 이유는 하나의 경계구역에 대해 하나의 표시등 또는 문자만으로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2개 이상의 표시등 또는 문자를 사용하여 보다 명확하게 경계구역을 표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안에 알맞은 것은?

  1. ㉠녹색 ㉡백색
  2. ㉠적색 ㉡백색
  3. ㉠백색 ㉡흑색
  4. ㉠백색 ㉡녹색
(정답률: 69%)
  • 주어진 그림은 전기 콘센트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콘센트의 왼쪽에는 녹색, 흰색, 검은색 세 개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고, 오른쪽에는 백색과 검은색 두 개의 구멍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녹색 전선은 접지선으로, 흰색 전선은 중성선으로, 검은색 전선은 전원선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에는 백색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고, ㉡에는 녹색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색 ㉡녹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하구의 길이가 1500m 인 곳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최소 경계구역은 몇 개로 할 수 있는가?

  1. 6개
  2. 4개
  3. 3개
  4. 1개
(정답률: 73%)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최소 경계구역은 설치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설치 간격이 500m 라면, 1500m 구간에는 3개의 설비가 필요하므로 최소 경계구역은 3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계단통로유도등은 각층의 경사로참 또는 계단참마다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1개층에 경사로참 또는 계단참이 2이상 있는 경우에는 몇 개의 계단참마다 계단통로유도등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70%)
  • 계단통로유도등은 각층의 경사로참 또는 계단참마다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개층에 경사로참 또는 계단참이 2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층에 2개의 계단참마다 계단통로유도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화재속보설비의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몇 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여야 하는가?

  1. 10초
  2. 20초
  3. 30초
  4. 60초
(정답률: 55%)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화재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 기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면 몇 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송하여야 합니다. 이때, 20초가 정답인 이유는 소방관서에서 화재에 대한 대응 조치를 취하기에 충분한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10초는 너무 짧아서 화재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렵고, 30초나 60초는 지나치게 길어서 화재 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초가 적절한 속보기 작동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을 설정할 때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2. 복도
  3. 경사로
  4. 파이프덕트
(정답률: 48%)
  • 복도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을 설정할 때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하는 대상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복도가 건물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구조를 위한 대피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도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을 설정할 때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 (㉡)에 알맞은 것은?

  1. ㉠ 10분 ㉡10분
  2. ㉠ 30분 ㉡20분
  3. ㉠ 60분 ㉡10분
  4. ㉠ 120분 ㉡20분
(정답률: 76%)
  • 주어진 시계는 12시간제이므로, 시침이 한 바퀴 도는 데는 12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시침이 1시간(60분) 동안 이동하는 각도는 360/12 = 30도이다. 마찬가지로 분침이 1분 동안 이동하는 각도는 360/60 = 6도이다.

    시침이 6시(반시)를 가리키고 있고, 분침이 2시간(120분)을 가리키고 있다. 이때 시침은 6시에서 2시간(12시간의 절반)만큼 이동한 것이므로, 6시에서 반시(30분)만큼 이동한 것과 같다. 따라서 시침은 30도의 각도를 이동했다.

    한편 분침은 2시간(120분)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12시에서 2시간(120분)만큼 이동한 것과 같다. 이때 분침은 12시에서 10분만큼 이동한 것과 같다. 따라서 분침은 60분(한 바퀴)에서 10분만큼 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60분 ㉡10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환경상태가 현저하게 고온으로 되어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건조실 또는 살균실 등에 적응성 있는 열감지기로 알맞은 것은?

  1. 차동식스포트형 1종
  2. 차동식분포형 1종
  3. 정온식 1종
  4. 보상식스포트형 1종
(정답률: 56%)
  • 환경상태가 고온으로 되어 있는 건조실 또는 살균실 등에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적응성 있는 열감지기가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정온식 1종은 고온 환경에서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며, 또한 민감도 조절이 가능하여 적응성이 높은 열감지기입니다. 따라서 정온식 1종이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사항으로 다음 중 올바른 것은?

  1. 광전식스포트형은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 작동하는 것으로 일국소의 연기에 의하여 이온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2. 차동식스포트형은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에서의 열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3. 정온식스포트형은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며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4. 단독경보형은 감지기에 음향장치가 내장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46%)
  • 단독경보형은 감지기와 음향장치가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 감지기가 연기나 열 등을 감지하면 즉시 소리를 내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에 알맞은 것은?

  1. 영화상영관에는 보행거리 5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2. 쇼핑센타에는 수평거리 50m 이내 마다 2개 이상 설치
  3. 백화점에는 수평거리 50m 이내 마다 1개 이상 설치
  4. 지하상가에는 보행거리 5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정답률: 65%)
  • 영화상영관은 대규모인 만큼 대량의 인원이 모이기 때문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행거리 50m 이내에 3개 이상의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 비상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와 공급용량이 알맞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3상교류 200V로서 3kVA 이상, 단상교류 100V로서 1kVA 이상인 것
  2. 3상교류 380V로서 3kVA 이상, 단상교류 100V로서 1.5kVA 이상인 것
  3. 3상교류 200V로서 2kVA 이상, 단상교류 220V 로서 1kVA 이상인 것
  4. 3상교류 380V로서 2kVA 이상, 단상교류 220V로서 1.5kVA 이상인 것
(정답률: 57%)
  • 비상콘센트설비는 비상시에 중요한 전기적 장비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전원회로와 공급용량이 충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3상교류 380V로서 3kVA 이상, 단상교류 100V로서 1.5kVA 이상인 것이 알맞습니다. 이는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3상교류와 단상교류 모두 대응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