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가연물의 주된 연소형태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자기연소 - 석탄
  2. 분해연소 - 목재
  3. 증발연소 - 유황
  4. 표면연소 - 숯
(정답률: 78%)
  • 정답은 "자기연소 - 석탄"입니다. 석탄은 분해연소를 일으키는 연료로, 자기연소는 일반적으로 유기화합물이나 폴리머 등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석탄은 자기연소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연물
  2. 촉매
  3. 산소
  4. 점화원
(정답률: 80%)
  •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입니다. 촉매는 연소 반응속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연소의 3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위험물의 유별에 따른 대표적인 성질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제1류 - 산화성 고체
  2. 제2류 - 가연성 고체
  3. 제4류 - 인화성 액체
  4. 제5류 - 산화성 액체
(정답률: 83%)
  • 제5류 - 산화성 액체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으며, 제1류 - 산화성 고체는 공기 중에서도 자연 발화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제1류 - 산화성 고체와 제5류 - 산화성 액체는 모두 산화성이지만, 성질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유화재가 발생했을 때 주수소화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는 이유는?

  1. 경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화재면의 확대 우려가 있으므로
  2. 경유는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3. 경유의 연소열로 인하여 산소가 방출되어 연소를 돕기 때문에
  4. 경유가 연소할 때 수소가스를 발생하여 연소를 돕기 때문에
(정답률: 85%)
  • 경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화재면의 확대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경유가 물보다 가벼우므로 화재면에서 떠다니며 불을 퍼뜨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유화재 발생 시 주수소화를 하기보다는 적극적인 소화제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재에서 휘적색의 불꽃온도는 섭씨 몇 도 정도인가?

  1. 325
  2. 550
  3. 950
  4. 1300
(정답률: 70%)
  • 화재에서 휘적색의 불꽃은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는데, 이는 대략 1000도 이상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인 "1300"은 너무 높은 값이므로, 그 다음으로 높은 값인 "950"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동식물유류에서 “요오드값이 크다” 라는 의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불포화도가 높다
  2. 불건성유이다.
  3. 자연발화성이 낮다.
  4. 산소와의 결합이 어렵다.
(정답률: 84%)
  • "요오드값이 크다"는 해당 동식물유류가 요오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을 조절하는 데 필요한 요오드가 부족하면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어 갑상선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불포화도가 높다"는 해당 동식물유류가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강에 좋은 지방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은 우리 몸에서 생산하지 못하므로 식품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촉매역할을 하기 때문에
  2.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에
  3. 연소작용을 하기 때문에
  4. 제거작용을 하기 때문에
(정답률: 88%)
  • 소화약제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소화약제가 증발할 때 발생하는 열을 물이 흡수하여 화재를 냉각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재시 나타나는 인간의 피난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최초로 행동한 사람을 따른다.
  2. 발화지점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3. 평소에 사용하던 문, 통로를 사용한다.
  4. 어두운 곳으로 대피한다.
(정답률: 88%)
  • 화재시 인간의 피난특성은 대부분 "최초로 행동한 사람을 따른다.", "발화지점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평소에 사용하던 문, 통로를 사용한다." 이지만, "어두운 곳으로 대피한다."는 오히려 위험한 행동이기 때문에 피난특성으로 볼 수 없습니다. 어두운 곳으로 대피하면 화재의 위치나 방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조작업이나 대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시에는 가능한 밝은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류탱크화재에서 비점이 낮은 다른 액체가 밑에 있는 경우에 열류층이 탱크 아래의 비점이 낮은 액체에 도달 할 때 급격히 부피가 팽창하여 다량의 유류가 외부로 넘치는 현상은?

  1. 백 드래프트(black draft)
  2. 블로우 오프(blow off)
  3. 보일 오버(boil over)
  4. 백 화이어(back fire)
(정답률: 82%)
  • 보일 오버(boil over)는 유류탱크화재에서 열류층이 탱크 아래의 비점이 낮은 액체에 도달하여 급격히 부피가 팽창하여 다량의 유류가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유류가 끓어오르는 것과 비슷한 현상으로, 탱크 내부의 액체가 고온에 노출되어 증발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화재 진압 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층건물의 방화계획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발화요인을 줄인다.
  2. 화재 확대방지를 위해 구획한다.
  3.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한다.
  4. 복도 끝에는 계단보다 엘리베이터를 집중 배치한다.
(정답률: 88%)
  • 복도 끝에 엘리베이터를 집중 배치하는 것은 방화계획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이다. 이는 건물 내부의 이동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에는 계단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방화안전 지식이지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경우를 대비하여 엘리베이터를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방화계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열의 3대 전달방법이 아닌 것은?

  1. 흡수
  2. 전도
  3. 복사
  4. 대류
(정답률: 77%)
  • 열의 3대 전달방법은 전도, 복사, 대류이다. "흡수"는 열의 전달방법이 아니라, 열이 물체에 흡수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흡수"는 열의 전달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화구조의 건축물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철골조의 계단
  2. 철근콘크리트조의 지붕
  3.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 10cm 이상의 벽
  4.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 5cm 이상의 바닥
(정답률: 60%)
  • 내화구조의 건축물은 불이 나도 구조가 유지되는 건축물을 말하는데,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 5cm 이상의 바닥은 내화성능이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내화구조의 건축물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알루미늄분
  2. 유황
  3. 팽창질석
  4. 소맥분
(정답률: 82%)
  • 팽창질석은 물에 젖으면 부피가 늘어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분진폭발 위험이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팽창질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햇볕에 장시간 노출된 기름 걸레가 자연 발화하였다. 그 원인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산소의 결핍
  2. 산화열 축척
  3. 단열 압축
  4. 정전기 발생
(정답률: 87%)
  • 기름은 산화열 축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물질입니다. 산화열 축척은 물질이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열이 축적되어 높은 온도를 유발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햇볕에 장시간 노출된 기름 걸레가 자연 발화한 것은 산화열 축척이 일어나서 높은 온도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알루미늄
  2. 철재
  3. 암면(광물섬유)
(정답률: 85%)
  • 암면(광물섬유)이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이유는 그 구조 때문입니다. 암면은 매우 작은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열이 전달되는 경로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암면은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암면은 열 절연재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스테판-볼쯔만의 법칙에 따르면 복사열은 절대온도와 어떤 관계에 있는가?

  1.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3. 절대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절대온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80%)
  • 스테판-볼쯔만의 법칙은 복사열의 양이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복사열의 양이 온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스테판-볼쯔만의 법칙과는 달리,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복사열의 양이 더욱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복사열이 전자기파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전자기파의 에너지는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사열의 양도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제2석유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에테르, 이황화탄소
  2. 아세톤, 벤젠
  3. 아세트산, 아트릴산
  4. 중유, 아닐린
(정답률: 44%)
  • 아세트산과 아트릴산은 모두 카복실산에 해당하는데, 이는 제2석유류에 속합니다. 반면, 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톤, 벤젠, 중유, 아닐린은 다른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세트산, 아트릴산"은 제2석유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유일한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연기에 의한 감광계수가 0.1m-1, 가시거리가 20~30m일 때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
  2.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
  3. 어둠침침한 것을 느낄 정도
  4. 앞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
(정답률: 83%)
  • 연기에 의한 감광계수가 0.1m-1이고 가시거리가 20~30m일 때, 공기 중에 연기가 많아서 시야가 흐려지고 약간 어둡게 느껴질 수 있으며,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로 연기가 많아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전기 발생 방지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접지를 한다.
  2. 습도를 높인다.
  3.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늘인다.
  4. 공기를 이온화 한다.
(정답률: 67%)
  •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정전기가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해야 합니다. 접지를 하면 정전기가 발생할 때 발생한 전하가 지면으로 흐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습도를 높이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가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공기를 이온화하면 공기 중의 이온이 증가하여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늘이는 것은 정전기 발생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산소농도를 늘이는 것은 정전기 발생 방지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기계적 점화원으로만 되어 있는 것은?

  1. 마찰열, 기화열
  2. 용해열, 연소열
  3. 압축열, 마찰열
  4. 정전기열, 연소열
(정답률: 82%)
  • 압축열과 마찰열은 모두 기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열입니다. 압축열은 기계적인 압력에 의해 발생하며, 마찰열은 물체가 서로 마찰하면서 발생합니다. 반면에 기화열, 용해열, 연소열, 정전기열은 화학적인 반응이나 전기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I는 5[A]이고, G는 5[℧],GL은 8[℧]일 때 GL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약 몇 [W] 인가?

  1. 1.18[W]
  2. 2.36[W]
  3. 3.54[W]
  4. 4.74[W]
(정답률: 42%)
  • GL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GL에 흐르는 전류(I)의 제곱에 GL의 저항(R)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GL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5^2 x 8 = 200[W]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W]가 아닌 [mW]로 주어졌기 때문에, 200을 1000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따라서 GL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0.2[W]이며,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18[W]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논리식 와 같은 것은?

  1. F = A+ B
  2. F = AㆍB
(정답률: 76%)
  • 이 논리식은 AND 게이트를 나타내며,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 F가 참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CR의 동작상태 중 래칭전류(Latching Curr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이리스터의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압을 상승하면 급히 증가하게 되는 순전류
  2. 트리거 신호가 제거된 직후에 사이리스터를 ON상태로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주전류
  3. 사이이스터가 ON상태를 유지하다가 OFF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전류
  4.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가 도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순전류
(정답률: 70%)
  • 정답은 "트리거 신호가 제거된 직후에 사이리스터를 ON상태로 유지하는데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주전류"입니다. 이는 SCR이 한 번 켜지면 게이트 신호가 없어도 유지되는 특성 때문에, 즉 SCR이 래칭 상태에 돌입하면 최소한의 전류만 유지하면 계속 ON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류전압을 측정할 수 없는 계기는?

  1. 가동코일형계기
  2. 정전형계기
  3. 유도형계기
  4. 열전형계기
(정답률: 38%)
  • 유도형계기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유도전압을 발생시켜 측정하는 계기이므로 직류전압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유도형계기는 직류전압을 측정할 수 없는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시계기에 대한 동작원리가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대형 계기 - 정전작용
  2. 유도형 계기 -회전 자장 및 이동자장
  3. 전류력계형 계기 - 코일의 자계
  4. 열선형 계기 - 열선의 팽창
(정답률: 74%)
  • 열전대형 계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정전작용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열전대형 계기 - 정전작용"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시퀀스회로는 어떤 회로인가?

  1. 자기유지회로
  2. 인터록회로
  3. 타이머회로
  4. 수동복귀회로
(정답률: 85%)
  • 이 회로는 자기유지회로입니다. 이는 입력신호가 없어도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회로로, 이 회로에서는 스위치를 누르면 LED가 켜지고, 스위치를 다시 누르면 LED가 꺼지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동작은 회로 내부의 플립플롭과 게이트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R-L 직렬회로에서 시정수의 값이 클수록 과도현상의 소멸되는 시간은 어떻게 되나?

  1. 짧아진다.
  2. 길어진다.
  3. 과도기가 없어진다.
  4. 관계가 없다.
(정답률: 50%)
  • 시정수가 클수록 전류가 급격하게 변하는 과도기에서의 전압이 작아지기 때문에 과도현상이 더 느리게 소멸되어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길어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kWh]의 전력량은 몇 [J] 인가?

  1. 1J
  2. 60J
  3. 1000J
  4. 3.6×106J
(정답률: 60%)
  • 1[kWh]는 1000[W]의 전력을 1시간 동안 사용한 것이므로, 전력과 시간을 곱하여 에너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kWh]는 1000[W] × 3600[s] = 3.6×106J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피드백제어계의 종합 전달함수 C/R는?

(정답률: 55%)
  • 전달함수 C/R은 입력신호가 출력신호로 어떻게 변환되는지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그림에서는 피드백 제어계가 나타나 있으므로, 출력신호가 다시 입력신호로 피드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달함수를 구할 때 분모에 1과 C*R을 곱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속도 ⍵=376.8rad/s인 정현파 교류의 주파수는 몇 [Hz]인가?

  1. 50Hz
  2. 60Hz
  3. 100Hz
  4. 120Hz
(정답률: 75%)
  • 주파수는 각속도를 2π로 나눈 값이므로,

    주파수 = ⍵/2π = 376.8/2π ≈ 60 [Hz]

    따라서 정답은 "60Hz"이다.

    보통 전기 제품들은 60Hz 또는 50Hz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이는 전기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교류의 주파수가 이 두 값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60Hz를 사용하고,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는 50Hz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회 감은 코일에 지나가는 자속이 1/100sec 동안에 0.3Wb에서 0.5Wb로 증가하였다면 유도되는 기전력은 몇[V]가 되는가?

  1. 5.0V
  2. 10V
  3. 20V
  4. 40V
(정답률: 49%)
  • 유도전압은 자속 변화율에 비례하므로,

    ΔΦ/Δt = (0.5Wb - 0.3Wb)/(1/100sec) = 20V

    따라서 유도되는 기전력은 20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과전류가 흐를 때 자동적으로 회로를 끊어서 보호하는 것으로 그 자신에 아무런 손상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것은?

  1. 퓨즈(Fuse)
  2. 노퓨즈브레이커(NFB)
  3. 계전기(Relay)
  4. 나이프스위치(KS)
(정답률: 65%)
  • 노퓨즈브레이커(NFB)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회로를 끊어서 보호하는데, 이때 퓨즈와 달리 회로를 끊은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나이프스위치(KS)와 달리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인간의 개입 없이도 보호가 가능하다. 따라서 노퓨즈브레이커(NF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R-C 필터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1. C를 크게 한다.
  2. R을 크게 한다.
  3. C와 R을 크게 한다.
  4. C와 R을 적게 한다.
(정답률: 73%)
  • 리플 함유율은 전압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데, 이는 전압이 변화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더 심해진다. 따라서 RC 필터 회로에서 리플 함유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빠르게 변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C와 R을 크게 한다. C가 커지면 전압이 빠르게 변화하는 속도가 느려지고, R이 커지면 전류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져서 전압이 일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C와 R을 크게 하는 것이 리플 함유율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바리스타(varistor)의 주된 용도는?

  1. 전압 증폭
  2. 온도 보상
  3. 출력전류 조절
  4.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
(정답률: 79%)
  • 바리스타는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를 주된 용도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바리스타가 전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회로를 보호하고, 전압을 안정화시켜서 다른 부품들이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리스타는 전기회로에서 안정적인 전압 공급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추치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제어량의 종류에 의하여 분류한 자동제어의 일종
  2. 출력의 변동을 조정하는 동시에 목표값에 정확히 추종하도록 설계한 제어
  3. 제어량이 공업 프로세스의 상태량일 경우의 제어
  4. 정치제어의 일종으로 주로 유량, 위치, 주파수, 전압 등을 제어
(정답률: 67%)
  • 추치제어는 출력의 변동을 조정하는 동시에 목표값에 정확히 추종하도록 설계된 제어이다. 즉, 제어량의 변화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목표값에 정확히 따라가도록 하는 제어 방식이다. 이는 제어량의 종류에 따라 분류된 자동제어의 일종으로, 공업 프로세스의 상태량일 경우에 사용된다. 정치제어와는 달리 유량, 위치, 주파수, 전압 등을 제어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완전 통전상태에 있는 SCR을 차단상태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게이트 전류를 차단시킨다.
  2. 게이트에 역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3. 양극전압을 (-)로 한다.
  4. 양극전압을 더 높게 한다.
(정답률: 58%)
  • SCR은 양극전압이 양쪽 다 양수일 때만 동작하므로, 양극전압을 (-)로 하면 양극전압이 0이 되어 SCR이 차단상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용량이 같을 것
  2.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3. 극성이 같을 것
  4. 권수비가 같을 것
(정답률: 49%)
  • 용량이 같을 것은 단상 변압기의 병렬운전 조건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용량이 같을 경우 전압과 전류가 동일하게 분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량이 같은 단상 변압기를 병렬로 운전할 경우에는 전압과 전류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임피던스 강하, 극성, 권수비는 모두 단상 변압기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병렬운전 조건에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그림에서 I2는 몇 [A] 인가?

  1. 0.05A
  2. 0.3A
  3. 0.55A
  4. 0.6A
(정답률: 26%)
  • I2는 0.6A이다. 이유는 전류의 분기점에서 전류의 합은 분기점 이전의 전류와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I1 + I2 = 1A 이므로 I2 = 1A - 0.4A = 0.6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평형 3상 회로의 △결선된 부하를 Y결선으로 접속을 바꾸면 소비전력은 어떻게 되는가?

  1. △결선의 3배로 됨
  2. △결선의 1/3로 됨
  3. △결선의 9배로 됨
  4. △결선의 1/9로 됨
(정답률: 73%)
  • Y결선으로 접속하면 각 상의 전압은 △결선일 때보다 1/√3배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이 작아지면서 전류는 그만큼 커지게 되므로 소비전력은 △결선일 때의 1/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각종 소방설비의 표시등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DP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
  2. PNP접합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3.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진동에 약하다.
  4. 발광다이오드 재료로는 Cu, Ag 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72%)
  •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LED가 전기 신호를 받아서 빛을 내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이는 LED가 작은 크기와 낮은 전압으로도 빛을 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LED는 신호등이나 비상등과 같이 빠른 반응이 필요한 곳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소방시설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화기구, 옥내ㆍ외소화전설비는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2. 유도등, 비상조명등설비는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3. 소화수조, 저수조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4.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정답률: 62%)
  • 소화기구, 옥내ㆍ외소화전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유도등, 비상조명등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경보를 위한 역할을 하므로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소화수조, 저수조는 소화활동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공사감리 대상의 경우 감리현장 연면적 총 합계가 10만m2 이하일 때 1인의 책임감리원이 담당하는 소방공사감리현장은 몇 개 이하인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36%)
  • 일반공사감리 대상의 경우, 소방공사감리는 연면적이 5,000m2 이하인 경우 1인이 감리 가능하다. 따라서, 감리현장 연면적 총 합계가 10만m2 이하일 때 1인의 책임감리원이 담당할 수 있는 소방공사감리현장의 최대 개수는 20개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하"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20개보다 적은 개수가 답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숙박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호텔
  2. 모텔
  3. 휴양콘도미니엄
  4. 오피스텔
(정답률: 84%)
  • 오피스텔은 주거용과 사무용을 겸비한 시설로, 숙박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피스텔은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숙박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방시설등의 지체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시설관리사ㆍ소방기술사 자격을 가진 방화관리자는 종합정밀점검에 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2. 작동기능점검은 연 1회 이상 실시하되 종합정밀점검대상은 종합정밀점검을 받은 달부터 6월이 되는 달에 실시하여야 한다.
  3. 자체점검에 따른 수수료는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제20조의 규정에 따른 대가기준 가운데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방식에 따라 산정한다.
  4. 작동기능점검을 실시한 자는 그 점검결과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청장에세 30일 이내에 제출하고 2년간 자체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27%)
  • 작동기능점검을 실시한 자는 그 점검결과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청장에세 30일 이내에 제출하고 2년간 자체보관하여야 한다. - 이 설명이 옳지 않다. 작동기능점검 결과는 1년간 자체보관하여야 하며, 제출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염도료
  2. 단독경보형감지기
  3. 휴대용비상조명등
  4. 가스누설경보기
(정답률: 65%)
  • 휴대용비상조명등은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법령상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에서 소방용 기계ㆍ기구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염도료, 단독경보형감지기, 가스누설경보기 등이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산염류 300kg
  2. 황린 10kg
  3. 알킬알루미늄 10kg
  4. 과산화수소 300kg
(정답률: 53%)
  •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해당 물질이 어느 정도의 양이 되면 위험성이 증가하게 되는지를 나타내는 기준값이다. 따라서, 위험물의 지정수량은 해당 물질의 위험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황린은 위험물로 분류되지만, 지정수량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따라서, "황린 10kg"는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조소등의 위치ㆍ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당해 제조소등에서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ㆍ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재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며칠 전까지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3일
  2. 5일
  3. 7일
  4. 14일
(정답률: 62%)
  • 제조소 등에서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 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재수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때, 변경하고자 하는 날의 며칠 전까지 신고를 해야 하는지는 행정안전부령에서 정해져 있습니다. 현재는 7일 전까지 신고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무창층에서 개구부라 함은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몇 [m] 이내를 말하는가?

  1. 1.0m 이내
  2. 1.2m 이내
  3. 1.5m 이내
  4. 1.7m 이내
(정답률: 57%)
  • 무창층에서 개구부는 건물 외벽에 있는 창문이나 문 등의 개방 부분을 말한다. 이 개구부의 아래 부분은 보통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보도나 길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상의 이유로 일정한 높이 이상은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국내 건축 기준인 건축법 시행령 제26조에 따르면, 무창층에서 개구부의 아래 부분은 1.2m 이내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1.2m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험물을 취급함에 있어 정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접지에 의한 방법
  2. 공기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하는 방법
  3. 공기를 이온화하는 방법
  4. 제습기를 가동시키는 방법
(정답률: 70%)
  • 제습기를 가동시키는 방법은 정전기를 유효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거리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제습기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여 상대습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있는 설비 주변의 공기를 건조하게 만들어 정전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방염업을 등록한 경우 받게 되는 행정처분은?

  1. 영업정지 6개월
  2. 경고처분
  3. 영업정지 1년
  4. 등록 취소
(정답률: 73%)
  •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방염업을 등록한 경우, 해당 업체는 등록 취소 처리됩니다. 이는 업체가 등록 시 제출한 정보가 사실과 다르거나 부정확하게 제출되었기 때문에, 해당 업체가 방염업을 올바르게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등록 취소 처리는 방염업을 올바르게 운영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검사를 하고자 하는 때에는 몇 시간 전에 관계인에게 알려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6시간
  2. 12시간
  3. 18시간
  4. 24시간
(정답률: 73%)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소방검사를 하고자 하는 경우, 관계인에게 24시간 전에 알려야 합니다. 이는 검사를 받을 대상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검사를 받을 대상자가 일정을 조정하거나 다른 일정을 잡을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검사를 받을 대상자와 관계인 모두에게 협조와 편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4류 위험물의 성질로 알맞은 것은?

  1. 인화성 액체
  2. 산화성 고체
  3. 가연성 고체
  4. 산화성 액체
(정답률: 77%)
  • 인화성 액체는 공기 중에서 쉽게 증발하여 불에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물질은 불꽃, 열, 전기 등의 자극에 의해 쉽게 불이 붙을 수 있으며, 불이 붙으면 큰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화성 액체는 안전에 매우 중요한 위험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소방기본법의 목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환경보호와 기초질서 유지
  2.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보호
  3. 공고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
  4.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ㆍ구급활동
(정답률: 68%)
  • 소방기본법의 목적은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보호, 공고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ㆍ구급활동입니다. 환경보호와 기초질서 유지는 소방기본법의 목적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소방기본법은 환경보호와 관련된 법률이 아니며, 기초질서 유지는 법의 목적 중 하나이지만, 소방기본법의 주요 목적은 생명ㆍ재산보호와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시설공사업자가 소방대상물의 일부분에 대한 공사를 마친 경우로서 전체시설의 준공 전에 부분사용이 필요한 때에 그 일부분에 대하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청하는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부분용도검사
  2. 부분완공검사
  3. 부분사용검사
  4. 부분준공검사
(정답률: 48%)
  • 부분완공검사는 소방시설공사업자가 전체시설의 준공 전에 일부분에 대한 공사를 마친 경우에 그 일부분에 대하여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청하는 검사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부분완공검사"이다. 부분완공검사는 일부분의 공사가 완료되었는지, 그리고 해당 부분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거지역ㆍ상업지역 및 공업지역 이외에 있어서 소방용수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소방대상물과의 수평거리는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40m
  2. 160m
  3. 180m
  4. 200m
(정답률: 59%)
  •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소방용수 시설을 설치할 때 소방대상물과의 수평거리는 140m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소방용수 시설이 소방대상물로부터 멀어질수록 소방작업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방용수 시설을 설치할 때는 이 거리를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소방검사를 실시할 때 중점적으로 검사하여야 할 장소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적절히 표현된 것은?

  1. 방화관리자의 주요 근무 장소
  2. 화재시 인명피해의 발생이 우려되는 층이나 장소
  3. 고가품이 많이 배치되어 있는 장소
  4. 건축물 관계자가 요청하는 장소
(정답률: 81%)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소방검사를 실시할 때 중점적으로 검사해야 할 장소는 화재시 인명피해의 발생이 우려되는 층이나 장소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가장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장소에서는 화재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과 관련된 소화전의 설치기준에서 소방용 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몇 [mm]로 하여야 하는가?

  1. 45mm
  2. 50mm
  3. 65mm
  4. 100mm
(정답률: 68%)
  • 소방용 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65mm로 해야 한다. 이는 소방용 호스의 직경이 65mm이기 때문이다. 소화전은 화재 발생 시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소방용 호스를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기 때문에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호스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소방용 호스의 직경이 65mm이므로 연결금속구의 구경도 65mm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재경계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한 소방검사 실시 주기는?

  1. 월 1회 이상
  2. 분기별 1회 이상
  3. 반기별 1회 이상
  4. 년 1회 이상
(정답률: 47%)
  • 화재경계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방검사를 통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나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등은 일반 건물과는 다르기 때문에, 검사 주기를 높여야 합니다. 따라서 년 1회 이상의 소방검사 주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소방기본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소방신호의 종류로 맞지 않는 것은?

  1. 화재신호
  2. 훈련신호
  3. 해제신호
  4. 경계신호
(정답률: 54%)
  • 소방기본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소방신호의 종류는 "훈련신호", "해제신호", "경계신호"이다. "화재신호"는 소방법에서 정하는 것이며, 소방기본법 시행규칙에서는 정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재신호"는 소방기본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소방신호의 종류로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소방기본법상 소방용수시설이 아닌 것은?

  1. 저수조
  2. 급수탑
  3. 소화전
  4. 고가수조
(정답률: 65%)
  • 소방용수시설은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저수조, 급수탑, 소화전이 소방용수시설에 해당된다. 하지만 고가수조는 소방용수시설이 아니며, 주로 상수도나 댐 등에서 물을 저장하거나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고가수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피난기구 위치표지의 표지면의 휘도 기준은 주위 조도0 룩스에서 60분간 발광 후 몇 [mcd/m2]로 하여야 하는가?

  1. 5mcd/m2
  2. 7mcd/m2
  3. 10mcd/m2
  4. 20mcd/m2
(정답률: 71%)
  • 피난기구 위치표지는 비상시에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표지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충분히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 조도가 0 룩스일 때 60분간 발광한 후에도 최소한 5mcd/m2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도 더욱 밝게 만들기 위해 국내에서는 7mcd/m2 이상의 휘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mcd/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안전기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2.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m 이내마다 설치할 것
  3. 접속단자 보호함의 표면에 “중계용 접속단자” 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4. 누설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100Ω으로 할 것
(정답률: 66%)
  •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와 가까이 설치하면 전기적으로 간섭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두어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1.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비상콘센트설비의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기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2.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3.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4.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정답률: 80%)
  • -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 비상콘센트설비는 비상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일정 시간 동안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 기준에서는 시간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1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것은 부적절하다.

    -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의 이유:
    비상콘센트설비는 비상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일정 시간 동안 전기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비상시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이상 작동할 수 있는 용량으로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일국소의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감도가 변화하는 것으로서 차동 및 정온식의 성능을 갖는 것
  2.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 상태의 것
  3. 그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상승률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광범위한 열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4. 그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상승률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일국소의 열효과에 의해서 동작하는 것
(정답률: 59%)
  •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것으로서 외관이 전선 상태의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20m ㉯10m
  2. ㉮30m ㉯20m
  3. ㉮20m ㉯20m
  4. ㉮30m ㉯30m
(정답률: 55%)
  • 주어진 도형은 직사각형이며, 대각선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직각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때, 한 삼각형의 밑변은 20m이고 높이는 30m이므로, 해당 삼각형의 넓이는 300 제곱미터입니다. 다른 삼각형도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넓이가 400 제곱미터이므로, 전체 직사각형의 넓이는 700 제곱미터입니다.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20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400 제곱미터이고, 이를 빼면 남은 부분이 바로 "㉮30m ㉯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영화상영관에는 수평거리 25m 이내 마다 2개 이상
  2.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50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3. 건전지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백화점에는 수평거리 25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
(정답률: 63%)
  • 휴대용비상조명등은 비상시에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건전지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긴급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건전지의 용량은 2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치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실내에 설치할 경우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W
  2. 3W
  3. 10W
  4. 30W
(정답률: 72%)
  •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는 비상상황에서 대량의 인원에게 음성을 전달해야 하므로, 충분한 음량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최소 1W 이상의 음성입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충분한 음량을 유지하면서도 실내 환경에 적합한 크기의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은?

  1. 변류기
  2. 중계기
  3. 검지기
  4. 발신기
(정답률: 79%)
  • 변류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로, 경계전로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전류로 변환하고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변류기"입니다. 중계기는 신호를 중계하는 장치, 검지기는 신호를 검지하는 장치, 발신기는 신호를 발신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설치시 검출부는 몇[°]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정답률: 74%)
  •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데, 검출부가 경사지면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감지 능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검출부는 5°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부착해야 한다. 이는 간단명료한 설명으로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

  1. 반자의 높이가 15m 이상 20m 미만인 장소
  2. 보행거리 15m 인 복도
  3. 계단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4. 엘리베이터 권상기실ㆍ린넨슈트ㆍ차이프피트 및 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정답률: 70%)
  • 연기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이다. 따라서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적은 장소이다. 반면, 보행거리 15m 인 복도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적은 장소 중 하나로, 출입구와 방 사이의 통로로서 화재 발생 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곳을 통해 대피할 수 있기 때문에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2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는?

  1. 분배기
  2. 분파기
  3. 증폭기
  4. 혼합기
(정답률: 67%)
  • 혼합기는 2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하여 출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가장 잘 수행하는 것은 혼합기입니다. 분배기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분파기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합니다. 증폭기는 입력신호의 전력을 증폭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하지만, 입력신호를 조합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합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설치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정격전압의 7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을 것
  2. 실내에 설치하는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이상일 것
  3. 확성기는 2개 층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
  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 가능할 것
(정답률: 74%)
  •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 시에 대처하기 위한 시설로, 이 중 음향장치는 대피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음향장치의 설치 기준은 정격전압, 음성입력, 설치 위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자동화재탐지설비와의 연동은 화재 발생 시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비상방송설비가 작동하여 대피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보행거리 ㉯25m
  2. ㉮ 수평거리 ㉯25m
  3. ㉮ 보행거리 ㉯50m
  4. ㉮ 수평거리 ㉯50m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 거리는 수평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수평거리 ㉯25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상전원을 축전지설비로 할 경우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 몇 분 이상 경보 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하는가?

  1. 30분간 감시상태 지속, 10분 이상 경보
  2. 30분간 감시상태 지속, 20분 이상 경보
  3. 60분간 감시상태 지속, 10분 이상 경보
  4. 60분간 감시상태 지속, 20분 이상 경보
(정답률: 81%)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비상전원이 필요합니다. 축전지설비를 사용할 경우, 감시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축전지에서 공급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은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할 수 있는지와 경보를 몇 분 이상 할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60분간 감시상태 지속, 10분 이상 경보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화재가 발생하면 최대한 빠르게 대처해야 하므로, 감시상태를 최소한 1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경보를 울리는 시간도 충분해야 하므로,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용량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전류 부하인 경우 알칼리 축전지의 용량[Ah] 산출식은? (단, I : 방전전류, L : 보수율, K: 방전시간, C : 25℃에 있어서의 정격 방전율 용량)

(정답률: 50%)
  • 알칼리 축전지의 용량은 방전시간과 방전전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때 보수율을 고려하여 실제 용량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산출식에서는 방전시간과 방전전류를 곱한 값에 보수율을 곱하고, 이를 1000으로 나누어서 Ah 단위로 변환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 저항은 DC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5MΩ
  2. 5MΩ
  3. 10MΩ
  4. 20MΩ
(정답률: 57%)
  •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어야 하므로 외함과 충전부 사이의 절연 저항이 높아야 합니다. DC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절연 저항이 5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충분한 절연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저항이 낮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의 절연 저항은 5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 높이에 관한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단. 천장의 높이가 3m 인 경우이다. )

  1.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2. 바닥으로부터 1.0m 이상 1.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3. 바닥으로부터 1.5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4. 바닥으로부터 2.0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정답률: 75%)
  •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천장의 높이가 3m인 경우, 청각장애인이 시야를 잘 살피는 범위는 대략 2.0m에서 2.5m 사이입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 2.0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유도등은 3선식 배선에 따라 상시 충전되는 구조이다.)

  1. 공연장 등으로서 어두워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
  2. 소방대상물의 종사원이 주로 사용하는 장소
  3. 외부광에 따라 피난방향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소
  4.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장소
(정답률: 54%)
  • 유도등은 상시 충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기가 공급되는 장소에서만 점멸기를 설치할 수 있다. 지하층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외되며, 층수가 11층 이상인 곳은 고층 건물이기 때문에 비상상황에서 피난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점멸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장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방시설용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 소방회로용의 것으로 수전설비, 변전설비 그 밖의 긱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전용큐비클식
  2. 공용큐비클식
  3. 전용분전반
  4. 공용분전반
(정답률: 66%)
  • 전용큐비클식은 소방시설 내에서 소방회로용으로만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전용분전반과는 달리 다른 전기설비와 구분되어 설치되며, 금속제 외함에 수납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다. 따라서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 소방회로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전용큐비클식이 사용된다. 공용큐비클식은 여러 시설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전용분전반과 공용분전반은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지만, 전용분전반은 소방회로용으로만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고, 공용분전반은 여러 시설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회로는 3상교류 380V인 것과 단상교류 220V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 3상교류의 경우 3VA 이상인 것과 단상교류의 경우 1.5VA 이상인 것으로 하여야 한다.
  2. 전원회로는 각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나 설치하여야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3.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하여야 하나 다른 설비의 회로의 사고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는것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전원으로부터 각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분기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 안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전원회로는 각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나 설치하여야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상콘센트는 각 층마다 최소 2개 이상 설치되어야 하며, 각 층의 비상콘센트는 서로 분리된 회로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비상시에도 전기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