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07)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2021-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건축법령상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내진구조부
  2. 건축설비부
  3. 보조구조부
  4. 주요구조부
(정답률: 89%)
  •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구조물로,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 등을 포함합니다. 이들 구조물은 건축법령상에서도 특별한 보호를 받으며, 건축물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건축물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이산화탄소의 물성으로 옳은 것은?

  1. 임계온도 : 31.35℃, 증기비중 : 0.529
  2. 임계온도 : 31.35℃, 증기비중 : 1.529
  3. 임계온도 : 0.35℃, 증기비중 : 1.529
  4. 임계온도 : 0.35℃, 증기비중 : 0.529
(정답률: 85%)
  • 이산화탄소는 31.35℃에서 임계온도를 가지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액체 상태가 아닌 기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증기비중은 공기 대비 약 1.5배로, 공기보다 무겁지만 수증기보다는 가볍습니다. 따라서, "임계온도 : 31.35℃, 증기비중 : 1.529"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물의 증발잠열로 기대할 수 있는 소화효과는?

  1. 냉각소화
  2. 질식소화
  3. 제거소화
  4. 촉매소화
(정답률: 89%)
  •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물의 증발잠열로 인해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서 불꽃이 꺼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냉각소화라고 합니다. 즉, 불을 끄는 것이 아니라 불을 냉각시켜서 소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블레비(BLEVE)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핵분열
  2. 가연성액체
  3. 화구(Fire ball)의 형성
  4. 복사열의 대량 방출
(정답률: 82%)
  • 블레비(BLEVE) 현상은 가연성액체가 갑자기 기화되어 화구(Fire ball)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복사열의 대량 방출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핵분열은 이와는 관계가 없는 현상으로, 핵분열은 핵심에서 원자핵이 분열하여 방사선과 열을 방출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한다
  2. 할로겐족 원소가 사용된다
  3. 전기에 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 효과가 있다.
  4. 소화약제의 변질분해 위험성이 낮다.
(정답률: 75%)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연쇄반응을 차단하여 소화하며, 할로겐족 원소가 사용된다. 하지만 전기에 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 효과가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전기화재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차단하거나 전기를 차단할 수 있는 소화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테판-볼쯔만의 법칙에 의해 복사열과 절대온도와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3.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4.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82%)
  • 스테판-볼쯔만의 법칙에 따르면, 모든 물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사 에너지를 더 많이 방출한다. 이 때,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복사 에너지가 온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스테판-볼쯔만의 법칙과 달리, 복사열은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사열은 절대온도가 높아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분자식이 CF2BrCl 인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1. Halon 1301
  2. Halon 1211
  3. Halon 2402
  4. Halon 2021
(정답률: 83%)
  • CF2BrCl 분자식은 Halon 계열의 소화약제 중 하나인 Halon 1211의 분자식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Halon 1211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두유가 침적된 기름 걸레를 쓰레기통에 장시간 방치한 결과 자연발화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그 이유로 옳은 것은?

  1. 융해열 축적
  2. 산화열 축적
  3. 증발열 축적
  4. 발효열 축적
(정답률: 84%)
  • 대두유가 침적된 기름 걸레를 쓰레기통에 방치하면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산화열이 축적되었기 때문에 자연발화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입니다. 산화 반응은 화학 반응 중 하나로, 물질과 산소가 만나서 열과 빛을 발생시키며 산화물을 생성하는 반응입니다. 따라서 산화열 축적이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연성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1. 일산화탄소
  2. 산소
  3. 수소
  4. 부탄
(정답률: 86%)
  • 조연성 가스는 화재 발생 시 연소를 돕는 가스로, 산소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에 저장하는 것이 안전한 물질은?

  1. 나트륨
  2. 수소화칼슘
  3. 이황화탄소
  4. 탄화칼슘
(정답률: 76%)
  • 이황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물에 저장해도 안전합니다. 하지만 나트륨과 수소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하거나 발화할 수 있으며,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메탄가스를 생성하므로 물에 저장하기에는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각 물질과 물이 반응하였을 때 발생하는 가스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탄화칼슘 - 아세틸렌
  2. 탄화알루미늄 - 이산화황
  3. 인화칼슘 - 포스핀
  4. 수소화리튬 - 수소
(정답률: 72%)
  • 탄화알루미늄과 물이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하고, 이산화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탄화알루미늄 - 이산화황"이 연결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자들의 집중으로 패닉(Panic)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피난방향은?

(정답률: 87%)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방향으로 피난하면 건물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출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향으로 피난하면 막다른 곳이나 내부로 빠져들어가는 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패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위험물별 저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황은 정전기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한다
  2. 적린은 화기로부터 격리하여 저장한다
  3. 마그네슘은 건조하면 부유하여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물에 적시어 보관한다
  4. 황화린은 산화제와 격리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85%)
  • "마그네슘은 건조하면 부유하여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물에 적시어 보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마그네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고 열을 방출하므로 물에 닿지 않도록 보관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단락
  2. 과전류
  3. 누전
  4. 절연 과다
(정답률: 82%)
  • 절연 과다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할 부분에 과도한 절연재가 사용되어 전기적인 에너지가 축적되고, 이로 인해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화점이 낮은 것부터 높은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에틸알코올 < 이황화탄소 < 아세톤
  2. 이황화탄소 < 에틸알코올 < 아세톤
  3. 에틸알코올 < 아세톤 < 이황화탄소
  4. 이황화탄소 < 아세톤 < 에틸알코올
(정답률: 66%)
  • 인화점이 낮은 순서로 나열된 것이므로, 인화점이 가장 낮은 에틸알코올이 가장 먼저 나와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이황화탄소가 나오고, 가장 인화점이 높은 아세톤이 가장 마지막에 나와야 합니다. 따라서 "에틸알코올 < 이황화탄소 < 아세톤"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연성 가스이면서도 독성 가스인 것은?

  1. 질소
  2. 수소
  3. 염소
  4. 황화수소
(정답률: 78%)
  • 황화수소는 가연성 가스이면서도 독성 가스입니다. 이는 황과 수소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가스로,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신경계 및 호흡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 산업 등에서는 안전에 주의해 다루어야 하는 가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기압상태에서, 100℃ 물 1g이 모두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량은 몇 cal 인가?

  1. 429
  2. 499
  3. 539
  4. 639
(정답률: 84%)
  • 100℃에서의 물의 증기압은 1기압이므로, 이는 물과 수증기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100℃ 물 1g이 모두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량은 물의 증발열인 539 cal이 된다. 이는 물이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량을 의미하는 증발열과 같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물질 중 연소범위를 통해 산출한 위험도 값이 가장 높은 것은?

  1. 수소
  2. 에틸렌
  3. 메탄
  4. 이황화탄소
(정답률: 65%)
  • 이황화탄소는 연소 범위가 매우 넓어서 공기 중에서도 연소가 가능하며, 높은 농도에서는 폭발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도 값이 가장 높습니다. 반면, 수소, 에틸렌, 메탄은 연소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위험도 값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으로 공기 중 산소농도를 몇 vol% 이하로 감소시키면 연소속도의 감소 및 질식 소화가 가능한가?

  1. 15
  2. 21
  3. 25
  4. 31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공기 중 산소농도가 15 vol% 이하로 감소하면 연소속도가 감소하고 질식 소화가 가능해진다. 이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충분하지 않아 연소가 일어나지 않거나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질식 소화는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산소를 제거하여 연소 반응을 중단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산소농도가 15 vol% 이하로 감소하면 질식 소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연물질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학적 활성이 클 것
  2. 열의 축적이 용이할 것
  3.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4. 산소와 결합할 때 발열량이 작을 것
(정답률: 68%)
  • "산소와 결합할 때 발열량이 작을 것"은 가연물질이 불에 타면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불이 붙었을 때 빠르게 확산되지 않고 불꽃이 작아지는 등 불이 잘 안 붙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비조건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논리식 을 간단히 하면?

  1. 1
  2. XY
  3. X
  4. Y
(정답률: 73%)
  • 간단화된 논리식은 "X" 입니다. 이유는 AND 연산자(&)는 두 개의 입력값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을 반환하는데, "X"와 "Y" 중 하나가 거짓이면 전체 식은 거짓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Y"와 "Y"는 거짓이므로 정답은 "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측정계기의 지시값을 M, 참값을 T라 할 때 보정률(%)은?

(정답률: 73%)
  • 보정률(%)은 (M-T)/T x 100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M-T의 값이 가장 작은 ""이 보정률이 가장 작을 것입니다. 이는 측정계기의 지시값과 참값이 가장 가까워서 보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보정이 적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반지름 r(m)인 원의 원주상 임의의 2점 a, b 사이에 전류 I(A)가 흐른다. 원의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몇 A/m인가??

(정답률: 41%)
  • 원주상의 전류는 원의 둘레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 I는 원주의 길이 L과 비례한다. 따라서, L = 2πr 이므로 I = kL = 2πkr (k는 상수)이다. 자계의 세기 H는 전류 I와 반지름 r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H = k'Ir (k'는 상수)이다. 따라서, H = 2πk'kr = 2k'πr^2 이므로, 원의 중심에서의 자계의 세기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회로에서 a, b 간의 합성저항(Ω)은? (단, R1=3Ω, R2=9Ω이다.)

  1. 3
  2. 4
  3. 5
  4. 6
(정답률: 56%)
  • a와 b는 병렬 연결이므로,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R = 1/R1 + 1/R2

    1/R = 1/3 + 1/9

    1/R = 4/9

    R = 9/4

    따라서, a와 b 간의 합성저항은 9/4Ω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3"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차 제어시스템에서 무제동으로 무한 진동이 일어나는 감쇠율(damping ratio) δ는?

  1. δ = 0
  2. δ > 1
  3. δ = 1
  4. 0 < δ < 1
(정답률: 70%)
  • 2차 제어시스템에서 무제동으로 무한 진동이 일어나는 경우는 고유진동수(undamped natural frequency) ωn과 감쇠율 δ가 모두 0일 때 발생합니다. 이는 시스템이 외부 입력이 없이 초기 조건만으로 계속해서 진동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δ = 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블록선도의 전달함수 (C(s)/R(s))는?

(정답률: 62%)
  • 전달함수는 출력값을 입력값으로 나눈 것이므로, C(s)/R(s)는 출력값인 Y(s)를 입력값인 R(s)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블록선도에서 Y(s)와 R(s) 사이에 있는 블록의 전달함수를 구하면 됩니다. 이 블록은 1/(1+G(s))로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Y(s)/R(s) = G(s)/(1+G(s))가 됩니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C(s)/R(s) = Y(s)/R(s) = G(s)/(1+G(s)) =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3상 유도전동기의 특성에서 토크, 2차 입력, 동기속도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토크는 2차 입력과 동기속도에 비례한다
  2. 토크는 2차 입력에 비례하고 동기속도에 반비례한다
  3. 토크는 2차 입력에 반비례하고 동기속도에 비례한다
  4. 토크는 2차 입력의 제곱에 비례하고 동기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토크는 2차 입력에 비례하고 동기속도에 반비례한다"입니다.

    이유는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2차 입력 전류와 회전자의 상대적인 속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2차 입력 전류가 증가하면 회전자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토크도 증가합니다. 반면에 회전자의 상대적인 속도가 증가하면 유도전류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토크도 감소합니다. 따라서 토크는 2차 입력에 비례하고 동기속도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회로에 v(t)=150sinωt(V)의 전압을 가하니 i(t)=12sin(ωt-30°)(A)의 전류가 흘렀다. 이 회로의 소비전력(유효전력)은 약 몇 W 인가?

  1. 390
  2. 450
  3. 780
  4. 900
(정답률: 48%)
  • 전압과 전류의 주파수가 같으므로 유효전력은 P=VIcosθ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와 I는 효과전압과 효과전류이며, cosθ는 두 신호의 위상차이(cos(ωt-θ))에 해당한다.

    V=150sinωt(V)
    I=12sin(ωt-30°)(A)

    위상차이는 30도이므로 cosθ=cos30°=√3/2이다.

    따라서 유효전력은 P=VIcosθ=150×12×√3/2=780W이다. 따라서 정답은 "7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평행한 두 도선 사이의 거리가 r이고, 각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두 도선 간의 작용력이 F1일 때, 두 도선 사이의 거리를 2r로 하면 두 도선 간의 작용력 F2 는?

  1. F2=2F1
  2. F2=4F1
(정답률: 56%)
  • 두 도선 사이의 작용력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결정된다. 두 도선 사이의 거리가 2r이 되면, 각 도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두 배가 되므로, 작용력도 2배가 된다. 따라서 F2=2F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00V의 교류전압에서 30A의 전류가 흐르는 부하가 4.8KW의 유효전력을 소비하고 있을 때 이 부하의 리액턴스(Ω)는?

  1. 6.6
  2. 5.3
  3. 4.0
  4. 3.3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전용량이 0.02㎌인 커패시터 2개와 정전용량이 0.01㎌인 커패시터 1개를 모두 병렬로 접속하여 24V의 전압을 가하였다. 이 병렬회로의 합성 정전용량(㎌)과 0.01㎌의 커패시터에 축적되는 전하량(C)은?

  1. 0.05, 0.12×10-6
  2. 0.05, 0.24×10-6
  3. 0.03, 0.12×10-6
  4. 0.03, 0.24×10-6
(정답률: 70%)
  •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면 정전용량은 각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의 합과 같아진다. 따라서, 0.02㎌인 커패시터 2개와 0.01㎌인 커패시터 1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용량은 0.02㎌ + 0.02㎌ + 0.01㎌ = 0.05㎌가 된다.

    전하량은 Q = CV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이고, V는 커패시터에 가해지는 전압이다. 병렬회로에서 각 커패시터에 가해지는 전압은 모두 같으므로, 0.01㎌인 커패시터에 가해지는 전압은 24V이다. 따라서, 0.01㎌인 커패시터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Q = 0.01×10^-6 × 24 = 0.24×10^-6 C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5, 0.24×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회로에서 출력전압 Vo는? (단,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1. 10V
  2. 5V
  3. 1V
  4. 0V
(정답률: 75%)
  • 입력전압이 10V일 때, 다이오드는 정방향이므로 전류가 흐르고 출력전압은 0.7V이다. 하지만, 출력전압이 0.7V보다 작아지면 다이오드는 역방향이 되어 전류가 차단되므로 출력전압은 0.7V가 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5V일 때는 다이오드가 역방향이 되어 출력전압은 5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데브난의 정리를 이용하여 그림(a)의 회로를 그림 (b)와 같은 등가회로로 만들고자 할 때 Vth(V)와 Rth(Ω)은?

  1. 5V, 2Ω
  2. 5V, 3Ω
  3. 6V, 2Ω
  4. 6V, 3Ω
(정답률: 44%)
  • (a)의 회로를 (b)와 같은 등가회로로 만들기 위해서는 병렬저항을 이용하여 2Ω과 3Ω을 합쳐야 한다. 이를 통해 5Ω의 저항을 얻을 수 있다. 이후에는 직렬저항을 이용하여 5Ω과 5Ω을 합쳐 10Ω의 저항을 얻을 수 있다. 이제 10Ω과 2Ω가 직렬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합쳐 12Ω의 저항을 얻을 수 있다. 이제 전압과 저항을 이용하여 Vth와 Rth를 구할 수 있다.

    Vth는 회로가 닫혀있을 때 전압차이를 의미하므로, 5V와 1Ω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전압을 구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면 Vth = 5V이다.

    Rth는 회로의 내부저항을 의미하므로, 전원과 저항을 제외한 부분의 등가저항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12Ω의 저항을 제외한 부분을 생각해보면, 5Ω과 5Ω이 병렬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합쳐 2.5Ω의 저항을 얻을 수 있다. 이제 2.5Ω와 2Ω가 직렬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합쳐 Rth = 4.5Ω이다.

    따라서 정답은 "6V, 2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LC 직렬회로에 직류전압 E를 t=0(s)에 인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 I(t)는?

(정답률: 64%)
  • LC 직렬회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는 진동하게 되며, 이 때 진동 주기는 L과 C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진동 주기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에서 L과 C의 값이 주어졌을 때, 진동 주기는 2π√(LC)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소자 중에서 온도 보상용으로 쓰이는 것은?

  1. 서미스터
  2. 바리스터
  3. 제너다이오드
  4. 터널다이오드
(정답률: 82%)
  •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온도 보상용으로 쓰입니다. 바리스터는 전압에 따라 전기 저항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압 제어용으로 쓰입니다. 제너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로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터널다이오드는 전류가 터널링 현상을 일으키면서 전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옳은 것은?

  1. 다이어프램
  2. 가변 저항기
  3. 벨로우즈
  4. 노즐 플래퍼
(정답률: 60%)
  • 노즐 플래퍼는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변위가 발생합니다. 이 변위는 압력 변환기로 사용되어,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위를 압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노즐 플래퍼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저항 R1(Ω), 저항 R2(Ω), 인덕턴스 L(H)의 직렬회로가 있다. 이 회로의 시정수(s)는?

(정답률: 64%)
  • 시정수(s)는 L/R의 값으로 계산된다. 이 직렬회로에서는 전압이 R1과 R2를 거치면서 감소하므로, 전압이 가장 느리게 감소하는 L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L의 값이 클수록 시정수가 커지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기 인덕턴스 L1, L2가 각각 4mH, 9mH인 두 코일이 이상적인 결합이 되었다면 상호 인덕턴스는 몇 mH인가? (단, 결합계수는 1이다.)

  1. 6
  2. 12
  3. 24
  4. 36
(정답률: 61%)
  • 상호 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k√(L1L2)

    여기서 k는 결합계수이며, 이 문제에서는 1로 주어졌다.

    따라서,

    M = √(4mH × 9mH) = √36mH² = 6mH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류기를 사용하여 내부저항이 RA인 전류계의 배율을 9로 하기 위한 분류기의 저항 RS(Ω)은?

  1. RS=8RA
  2. RS=9RA
(정답률: 67%)
  • 분류기는 입력 전류의 일부를 출력으로 보내는 장치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류계의 배율을 9로 만들어야 하므로, 분류기의 출력 전류는 입력 전류의 1/9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분류기의 저항 RS는 입력 전류의 1/8을 출력으로 보내는 ""이 정답이다. 이유는 입력 전류의 일부를 출력으로 보내기 때문에, 분류기의 출력 전류는 입력 전류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RS는 RA보다 작아져야 하며, ""가 RA의 1/8이므로 RS=8R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의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 게이트는?

  1. NOR
  2. NAND
  3. NOT
  4. OR
(정답률: 55%)
  • 위 그림에서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NOT 게이트를 거치면 1이 됩니다. 이때,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OR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따라서, NOR 게이트의 출력은 0이 되고, 이는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만 발생하는 출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소방기본법령상 저수조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상일 것
  2.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 이상일 것
  3. 흡수에 지장이 없도록 토사 및 쓰레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것
  4.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변의 길이가 60cm 이상, 원형의 경우에는 지름이 60cm 이상일 것
(정답률: 65%)
  •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상일 것"이 틀린 이유는, 실제로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3m 이상일 것"이 올바른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저수조 내부에 물이 충분히 충전되어 있을 때, 물의 무게로 인해 저수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저수조의 내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수조 설치 시에는 이러한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의 낙차를 3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업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정답률: 63%)
  •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업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영업을 하는 것은 불법이므로, 이를 위반한 자는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벌칙으로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법령상의 규정이며, 불법적인 영업을 방지하고 소방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이 변경되어 그 기준이 강화되는 경우 기존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중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는 소방시설은?

  1. 비상경보설비
  2. 비상방송설비
  3. 비상콘센트설비
  4. 옥내소화전설비
(정답률: 68%)
  • 강화된 기준에 따라 소방시설을 적용할 때, 비상경보설비는 대피 및 구조활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화된 기준에 따라 설치/유지해야 합니다. 비상경보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경로 안내, 화재 상황 안내, 구조요청 등을 위한 경보 및 통신 시스템을 말합니다. 따라서, 비상경보설비는 화재 예방 및 대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강화된 기준에 따라 설치/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조사의 종류 중 화재원인조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발화원인 조사
  2. 인명피해 조사
  3. 연소상황 조사
  4. 소방시설 등 조사
(정답률: 77%)
  • 화재원인조사는 화재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고, 연소상황조사는 화재 발생 시 연소 상황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소방시설 등 조사는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의 상태 등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반면, 인명피해조사는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화재원인조사와는 다른 분야입니다. 따라서, 인명피해조사는 화재원인조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타종에 의한 훈련신호는 연 3타 반복
  2. 싸이렌에 의한 발화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10초씩 3회
  3. 타종에 의한 해제신호는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4. 싸이렌에 의한 경계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30초씩 3회
(정답률: 53%)
  • 정답은 "타종에 의한 훈련신호는 연 3타 반복"입니다.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타종에 의한 발화신호: 연속적으로 3회 반복
    - 싸이렌에 의한 발화신호: 5초 간격을 두고, 10초씩 3회
    - 타종에 의한 해제신호: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 싸이렌에 의한 경계신호: 5초 간격을 두고, 30초씩 3회

    따라서, 싸이렌에 의한 발화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10초씩 3회 울리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수행하여야 하는 소방안전관리 업무가 아닌 것은?

  1. 소방훈련의 지도/감독
  2. 화기(火氣) 취급의 감독
  3.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
  4. 소방시설이나 그 밖의 소방 관련시설의 유지/관리
(정답률: 70%)
  • 소방훈련의 지도/감독은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수행하여야 하는 소방안전관리 업무 중 하나가 아닙니다. 소방훈련의 지도/감독은 소방서 등의 소방기관이나 소방전문업체 등에서 수행하는 업무로, 소방안전관리 업무와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방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소방대의 조직구성원이 아닌 것은?

  1. 의무소방원
  2. 소방공무원
  3. 의용소방대원
  4. 공항소방대원
(정답률: 79%)
  • 공항소방대원은 소방대의 일종이지만, 소방기본법에서는 소방대의 조직구성원으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이는 공항소방대원이 소방대와는 별도의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인화성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를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주위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유제의 기준 중 틀린 것은?

  1.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에는 그 탱크 용량의 110% 이상으로 할 것
  2.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 이상으로 할 것
  3. 방유제는 높이 1m 이상 2m 이하, 두께0.2m 이상, 지하매설 깊이 0.5m 이상으로 할것
  4. 방유제내의 면적은 80000m2 이하로 할 것
(정답률: 65%)
  • 방유제는 높이 1m 이상 2m 이하, 두께 0.2m 이상, 지하매설 깊이 0.5m 이상으로 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방유제의 높이, 두께, 지하매설 깊이는 모두 다른 기준이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기준으로 언급되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기준은 "방유제는 높이 0.3m 이상 0.5m 이하, 두께 0.1m 이상, 지하매설 깊이 0.3m 이상으로 할 것"입니다. 이유는 방유제는 인화성액체위험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탱크와 방유제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 유출된 액체가 방유제로 흐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방유제의 높이와 두께는 유출된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용량과 관련이 있으며, 지하매설 깊이는 방유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당해 제조소등을 설치 할 수 있는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73%)
  •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제조소 등의 설치에 대해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한 기준으로 "인구 밀집 지역에서의 최소 거리"가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위험물 제조소 등의 설치는 인구 밀집 지역에서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등의 동의대상물의 범위기준 중 틀린 것은?

  1. 건축등을 하려는 학교시설 : 연면적 200m2이상
  2. 노유자시설 : 연면적 200m2이상
  3. 정신의료기관(입원실이 없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은 제외) : 연면적 300m2이상
  4.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 연면적 300m2이상
(정답률: 52%)
  • 정답: "건축등을 하려는 학교시설 : 연면적 200m2이상"

    해설: 건축허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물의 범위기준 중, 학교시설의 경우 연면적 300m2 이상이어야 건축허가 대상이지만, 화재예방 및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에서는 학교시설 중 연면적 200m2 이상인 경우에도 건축허가 및 안전관리에 대한 동의가 필요하다. 이는 학교시설이 대규모인 경우에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지하가는 연면적이 최소 몇m2이상이어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는가? (단, 터널은 제외한다.)

  1. 100
  2. 200
  3. 1000
  4. 2000
(정답률: 68%)
  • 지하가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스프링클러설비 설치 기준은 「소방시설설치유지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경우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방시설ㆍ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점검ㆍ정비계획
  2.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예방규정을 정하는 제조소등의 위험물 저장ㆍ취급에 관한사항
  3. 특정소방대상물의 근무자 및 거주자의 자위소방대 조직과 대원의 임무에 관한 사항
  4. 방화구획, 제연구획,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불연재료ㆍ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사용된 것) 및 방염물품의 사용현황과 그밖의 방화구조 및 설비의 유지ㆍ관리계획
(정답률: 53%)
  • 위험물안전관리법에 따라 예방규정을 정하는 제조소등의 위험물 저장ㆍ취급에 관한 사항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와는 관련이 있지만,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업무상 과실로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유출ㆍ방출 또는 확산시켜 사람의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위험을 발생시킨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
  3. 7년 이하의 금고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4. 7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7%)
  •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업무상 과실로 위험물을 유출ㆍ방출 또는 확산시켜 사람의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위험을 발생시킨 자에 대해 7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이는 위험물을 다루는 업무에서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위험물을 다루는 업무에서의 책임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 중 급수탑의 급수배관의 구경은 최소 몇m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68%)
  •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의 설치기준 중 급수탑의 급수배관의 구경은 최소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충분한 물 공급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이다. 더 작은 구경의 배관을 사용하면 물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할 때는 이러한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공사감리자 지정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물분무등소화설비(호스릴 방식의 소화설비는 제외)를 신설ㆍ개설하거나 방호ㆍ방수 구역을 증설할 때
  2. 제연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제연구역을 증설할 때
  3. 연소방지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살수구역을 증설할 때
  4.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방호ㆍ방수구역을 증설할 때
(정답률: 73%)
  •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공사감리자 지정대상은 물분무등 소화설비, 제연설비, 연소방지설비, 캐비닛형 간이스프링클러설비를 신설ㆍ개설하거나 방호ㆍ방수구역을 증설할 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기준 중 ( )에 알맞은 것은?

  1. 400
  2. 600
  3. 1000
  4. 3500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의 총 연면적이 600㎡ 이상이기 때문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연면적이 600㎡ 이상인 건물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형식승인을 받지 아니한 방용품을 판매하거나 판매목적으로 진열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3%)
  • 법령상 형식승인을 받지 아니한 방용품을 판매하거나 판매목적으로 진열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한 자는 화재예방 및 안전관리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벌칙 기준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이라는 벌칙 기준이 적용되는 이유는, 법령상 형식승인을 받지 아니한 방용품을 판매하거나 판매목적으로 진열하거나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한 자는 화재예방 및 안전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므로,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벌칙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림
  2. 차량
  3. 건축물
  4. 항해 중인 선박
(정답률: 81%)
  • 소방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소방대상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소방시설물, 건축물, 산림, 차량 등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항해 중인 선박은 물 위에서 운행되는 이동물체이므로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의 면제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간이스프링클러설비
  4. 청정소화약제소화설비
(정답률: 71%)
  •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 중 하나로, 불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진압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화재 예방 및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설치 면제 기준에서 스프링클러설비가 면제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유별 저장/취급의 공통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제1류
  2. 제2류
  3. 제3류
  4. 제4류
(정답률: 49%)
  • 위 그림에서 보이는 위험물은 산화제이며, 산화제는 화재 위험이 있으나 폭발 위험은 적기 때문에 제2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에 따라 하나의 전용회로에 단상교류 비상콘센트 6개를 연결하는 경우, 전선의 용량은 몇 kVA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
  2. 3
  3. 4.5
  4. 9
(정답률: 54%)
  • NFSC 504에서는 단상교류 비상콘센트 1개당 750VA의 용량이 필요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6개의 비상콘센트를 연결하면 전체 용량은 750VA x 6 = 4500VA = 4.5kVA가 됩니다. 따라서 전선의 용량은 최소 4.5kVA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라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몇m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층에 한하여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68%)
  • NFSC 505에서는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 깊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얼마 이하인 경우"라는 일반적인 기준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기준을 따르면,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1m 이하인 경우 해당층에 한하여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정답이 "1"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속보기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동통화용 송수화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작동 시 그 작동시간과 작동회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4.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 차단기 등과 같은 보호장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속보기의 구조에서는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이 아닌, 교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속보기가 정확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교류전류를 통해 접지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감지기의 기능시험을 하였더니 검출기의 접점수고치가 규정이상으로 되어 있었다. 이때 발생되는 장애로 볼 수 있는 것은?

  1. 작동이 늦어진다.
  2. 장애는 발생되지 않는다.
  3. 동작이 전혀 되지 않는다.
  4. 화재도 아닌데 작동하는 일이 있다.
(정답률: 55%)
  • 검출기의 접점수고치가 규정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검출기가 화재를 감지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동이 늦어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경종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경종은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 몇%범위에서 변동하는 경우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47%)
  • 경종의 전원전압이 정격전압의 ±20% 범위에서 변동하는 경우에도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서 정해진 기준이며, 전원전압의 변동이 크면 경종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종 제품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5)에 따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단, 해당 누전경보기에 대하여 방폭ㆍ방식ㆍ방습ㆍ방온ㆍ방진 및 정전기 차폐등의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이다.)

  1. 습도가 낮은 장소
  2.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
  3.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4. 부식성의 증기ㆍ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정답률: 76%)
  • 누전경보기는 수신부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 습도가 낮은 환경이 적합합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수신부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화재 발생 시 경보가 정확하게 울리지 않을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는 습도가 낮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호구역
  2. 방수구역
  3. 경계구역
  4. 화재구역
(정답률: 70%)
  • 경계구역은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합니다. 이 구역은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경계구역은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중요한 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 용어의 정의에 따라 수용장소의 조영물(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은 무엇인가?

  1. 인입선
  2. 내화배선
  3. 열화배선
  4. 인입구배선
(정답률: 60%)
  • 인입선은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서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따라서 수용장소의 조영물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 중에서도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이 인입선이 된다. 내화배선은 내화성능이 있는 배선, 열화배선은 열에 강한 배선, 인입구배선은 인입구에서부터 내부로 들어가는 배선을 의미한다. 이들은 인입선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상콘센트설비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른 표시등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100, ⓑ 1
  2. ⓐ 300, ⓑ 3
  3. ⓐ 500, ⓑ 5
  4. ⓐ 1000, ⓑ 10
(정답률: 59%)
  • 이미지에서 보이는 표시등은 3개의 LED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LED는 100의 단위로 표시되므로 최대 300까지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LED는 1의 단위로 증가하므로 최소 단위는 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300, ⓑ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감시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일반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1, ⓑ 15, ⓒ 60
  2. ⓐ 1, ⓑ 30, ⓒ 60
  3. ⓐ 2, ⓑ 15, ⓒ 60
  4. ⓐ 2, ⓑ 30, ⓒ 60
(정답률: 61%)
  • 단독경보형감지기는 화재발생 시 적어도 1분 이내에 경보를 울리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경보시작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에서는 1분, (ⓑ)에서는 30초, (ⓒ)에서는 60초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시간인 (ⓑ) 30초가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반적인 비상방송설비의 계통되다.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변류기
  2. 발신기
  3. 수신기
  4. 음향장치
(정답률: 66%)
  • 위 그림에서는 방송국에서 발신기를 통해 전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송출합니다. 이때,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수신하여 음향장치로 송출할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신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에 따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음향장치의 설치 장소로 옳은 것은?

  1. 발신기의 내부
  2. 수신기의 내부
  3. 누전경보기의 내부
  4. 자동화재속보설비의 내부
(정답률: 56%)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음향장치는 화재 발생 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설치되며, NFSC 203에서는 주음향장치를 수신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는 수신기가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신기의 내부나 누전경보기의 내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내부에 주음향장치를 설치하면 장애 발생 시 수리가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비상조명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비상조명등의 일반구조로 광원과 전원부를 별도로 수납하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원함은 방폭구조로 할 것
  2. 배선은 충분히 견고한 것을 사용 할 것
  3. 광원과 전원부 사이의 배선길이는 1m 이하로 할 것
  4. 전원함은 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의 재질을 사용할 것
(정답률: 4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누전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누전경보기에 사용되는 표시등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누전등이 설치된 수신부의 지구등은 적색외의 색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2.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전구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3. 소켓은 접촉이 확실하여야 하며 쉽게 전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4. 누전등 및 지구등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부착된 기타의 표시등은 적색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44%)
  •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전구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타로 인해 잘못 기재된 것이며, 실제로는 "방전등 또는 발광다이오드의 경우 전구는 2개 이상을 직렬로 접속하여야 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중요하기 때문에 직렬로 접속해야 하며, 병렬로 접속하면 전류가 분산되어 정확한 감지가 어렵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영상표시소자(LED, LCD 및 PDP 등)를 이용하여 피난유도표시 형상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방식은?

  1. 투광식
  2. 패널식
  3. 방폭형
  4. 방수형
(정답률: 67%)
  • 영상표시소자(LED, LCD 및 PDP 등)를 이용하여 피난유도표시 형상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방식 중 패널식은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패널식은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에서 요구하는 표시 크기, 색상, 밝기 등의 기술기준을 충족시키며,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발신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발신기의 작동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2, ⓑ 8
  2. ⓐ 3, ⓑ 7
  3. ⓐ 2, ⓑ 7
  4. ⓐ 3, ⓑ 8
(정답률: 64%)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 발신기의 작동기능 발신기의 조작부는 작동스위치의 동작방향으로 가하는 힘이 2[kg]을 초과하고 8[kg] 이하인 범위에서 확실하게 동작되어야 하며, 2[kg]의 힘을 가하는 경우 동작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 경우 누름판이 있는 구조로서 손끝으로 눌러 작동하는 방식의 작동스위치는 누름판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라 객석유도등은 바닥면 또는 디딤바닥면에서 높이 0.5m의 위치에 설치하고 그 유도등의 바로 및에서 0.3m 떨어진 위치에서의 수평조도가 몇 lx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
  2. 0.2
  3. 0.5
  4. 1
(정답률: 33%)
  • 객석유도등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르면, 객석유도등의 수평조도는 최소 0.2lx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입니다. 이는 객석유도등이 충분한 밝기를 유지하여 비상시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에 따라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주요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증폭기
  2. 분배기
  3. 음향장치
  4. 누설동축케이블
(정답률: 59%)
  • NFSC 505에서는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 주요구성요소로는 증폭기, 분배기, 누설동축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음향장치는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음향장치는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주요기능인 신호 증폭, 분배, 전송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향장치는 NFSC 505에서 주요구성요소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 따라 일반전기사업자로부터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비상전원 수전설비로 큐비클형을 사용하는 경우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옥내에 설치하는 경우이다.)

  1. 외함은 내화성능이 있는 것으로 제작 할 것
  2. 전용큐비클 또는 공용큐비클식으로 설치할 것
  3. 개구부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4. 외함은 두께 2.3mm 이상의 강판과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질 것
(정답률: 58%)
  • "개구부에는 갑종방화문 또는 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비상전원 수전설비는 화재 발생 시에도 계속 작동해야 하므로, 화재로 인한 열과 연기가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화문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기준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에 대한 내용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66%)
  • 화재안전기준에 따르면,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는 최소한 25dB(A) 이상의 소리를 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