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화재발생시 소화작업에 주로 물을 이용한다. 물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무엇 때문인가?

  1. 가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2.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기 위해서
  3. 공기중의 산소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
  4. 물의 현열을 이용하기 위해서
(정답률: 81%)
  •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화재 온도를 낮추고, 화재를 억제하기 위해서입니다. 물이 증발할 때는 열을 흡수하므로, 화재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물을 뿌려 화재를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전기의 발생이 가장 적은 것은?

  1. 자동차를 장시간 주행하는 경우
  2. 위험물 옥외탱크에 석유류를 주입하는 경우
  3.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
  4. 부도체를 마찰시키는 경우
(정답률: 80%)
  • 정전기는 부도체와 마찰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데,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도체와 공기 사이에 물 분자가 존재하여 부도체와 공기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정전기 발생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가 정전기 발생이 가장 적은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목재 화재시 초기의 연소속도가 매분 평균 0.75m∼1m씩 원형으로 확대한다면 발화 5분 후 연소된 면적은 약 몇m2정도 되는가?

  1. 38∼70
  2. 38∼78.5
  3. 40∼65
  4. 44∼78.5
(정답률: 36%)
  • 초기 연소속도가 매분 평균 0.75m∼1m씩 원형으로 확대한다는 것은, 매분마다 반지름이 0.375m∼0.5m씩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분 후에는 반지름이 1.875m∼2.5m인 원형 영역이 연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면적은 원의 넓이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연소된 면적은 π(반지름)^2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된 면적은 약 11.06m^2∼19.63m^2가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44∼7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이산화 탄소의 소화능력을 1 로한 경우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능력은 얼마인가?

  1. 1.1
  2. 1.4
  3. 2
  4. 3
(정답률: 50%)
  • 이산화 탄소의 소화능력을 1로 한 경우,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능력은 2입니다. 이는 분말 소화약제가 이산화 탄소의 두 배인 양의 소화능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분말 소화약제는 이산화 탄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제1종가연물에 해당되는 물질은?

  1. 고무풀
  2. 대패밥
  3. 톱밥
  4. 석탄
(정답률: 31%)
  • 제1종가연물은 불이 붙으면 쉽게 연소되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고무풀은 가연성이 높아서 제1종가연물에 해당됩니다. 대패밥, 톱밥, 석탄은 가연성이 낮아서 제1종가연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무창층에서 개구부로 인정되기 위한 필요 조건은?

  1. 개구부 크기가 지름 30cm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것.
  2. 그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5m인 것.
  3.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할 것.
  4. 창에 방범을 위하여 40cm 간격으로 창살을 설치한 것
(정답률: 58%)
  • 무창층에서 개구부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파괴 또는 개방이 가능해야 합니다. 이는 비상 상황에서 대처하기 쉽고, 화재 등의 위험 상황에서 대피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개구부 크기나 높이와 같은 조건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조건은 쉽게 개방이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객석유도등
  2. 내화구조
  3. 방연커텐
  4. 특별피난계단전실
(정답률: 46%)
  • 내화구조는 화재 발생 시 건물의 구조물이나 재료가 불에 저항하는 능력을 말하는데, 이는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 아니라 건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피난을 위한 시설물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내화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휘발유의 인화점은?

  1. -18℃
  2. -43℃
  3. 11℃
  4. 70℃
(정답률: 54%)
  • 휘발유는 가연성이 높은 액체이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인화되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온도를 인화점이라고 합니다. 휘발유의 인화점은 -43℃인 이유는, 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휘발유가 인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3℃ 이하의 온도에서는 휘발유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열된 금속분말에 물을 뿌릴때 수소(H2)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Co
  2. Na
  3. K
  4. Li
(정답률: 67%)
  • Co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금속으로,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반면에 Na, K, Li는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활성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연성 액체에 점화원을 가져가서 인화된 후에 점화원을 제거하여도 가연물이 계속 연소되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인화점
  2. 폭발온도
  3. 연소점
  4. 자동발화점
(정답률: 67%)
  • 연소점은 가연성 액체나 고체가 공기 중에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액체에 점화원을 가져가서 인화된 후에 점화원을 제거하여도 가연물이 계속 연소되는 최저온도를 연소점이라고 합니다. 인화점은 가연성 물질이 발화하고 불꽃이 일어나는 온도를 말하며, 폭발온도는 가연성 물질이 폭발하는 온도를 말하며, 자동발화점은 가연성 물질이 스스로 발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중 열류층(HEAT LAYER)을 형성, 화재의 진행과 더불어 열류층이 점차 탱크 바닥으로 도달해 탱크 저부에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해 부피팽창에 의하여 유류의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의 분출을 발생시키면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

  1. 보일오버(BOIL OVER)
  2. 스로프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프래시오버(FLASH OVER)
(정답률: 73%)
  •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 중에는 열류층(HEAT LAYER)이 형성됩니다. 이 열류층은 화재의 진행과 함께 점차적으로 탱크 바닥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 때, 열류층이 탱크 저부에 도달하면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가 팽창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유류가 갑자기 탱크 외부로 분출되면서 화재가 더욱 심각해지는데, 이러한 현상을 보일오버(BOIL OVER)라고 합니다. 스로프오버(SLOP OVER), 프로스오버(FROTH OVER), 프래시오버(FLASH OVER)는 다른 화재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황이나 나프탈렌 같은 고체위험물의 연소 형태는?

  1. 표면연소
  2. 증발연소
  3. 자기연소
  4. 분해연소
(정답률: 56%)
  • 황이나 나프탈렌은 고체 상태에서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전환된 후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증발연소라고 부릅니다. 이는 고체위험물이 공기 중에서 연소할 때 일어나는 일반적인 연소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연발화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도가 낮은곳을 피한다.
  2. 통풍을 양호하게 한다.
  3.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4. 주의 온도를 낮게한다.
(정답률: 71%)
  • 습도가 낮은 곳을 피하는 것은 자연발화 예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자연발화 예방을 위해서는 주로 열의 축적을 방지하고, 통풍을 양호하게 유지하며, 주의 온도를 낮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스테판-볼쯔만(Stefan-Boltzman)법칙에 맞는 것은?

  1.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2.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
  3. 복사열은 열전달 면적의 제곱에 비례한다.
  4. 복사열은 열전달 면적의 4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복사열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입니다.

    스테판-볼쯔만 법칙은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이 그 물체의 절대온도에 따라 결정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물체의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는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방출하는 복사에너지가 매우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물체는 매우 강한 복사에너지를 방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난계획의 일반적 원칙이 아닌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 명료할 것
  2. 두 방향의 피난동선을 항상 확보하여 둘 것
  3. 피난수단은 이동식 시설을 원칙으로 할 것
  4.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피난계획을 세울 것
(정답률: 65%)
  • "피난수단은 이동식 시설을 원칙으로 할 것"은 일반적인 피난계획의 원칙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동식 시설은 대규모 재난이나 비상 상황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피난계획에서는 고정된 건물이나 시설을 이용하여 피난을 계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화원리에 대한 일반적인 소화효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질식소화
  2. 제거소화
  3. 기압소화
  4. 냉각소화
(정답률: 68%)
  • 기압소화는 일반적인 소화효과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화재장소 내부의 기압을 높여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이나 가스 등의 화재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화안전관리시에 화점의 관리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화기책임자를 선정한다.
  2. 화기의 사용시간과 장소를 제한한다.
  3. 스프링클러설비 등을 사용 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4. 가연물과 위험물의 보관방법을 개선한다.
(정답률: 35%)
  • 스프링클러설비 등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은 화점의 관리사항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대응책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것은 화점의 관리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축방화계획에서 건축구조 및 재료를 불연화하므로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공간적 대응은?

  1. 회피성 대응(回避性 對應)
  2. 도피성 대응(逃避性 對應)
  3. 대항성 대응(對抗性 對應)
  4. 설비적 대응(設備的 對應)
(정답률: 52%)
  • 건축방화계획에서 건축구조 및 재료를 불연화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은 사전적 대응이며, 이는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대응은 "회피성 대응"이다. 회피성 대응은 위험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화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기계유
  2. 질소
  3. 이황화탄소
  4. 에테르
(정답률: 60%)
  • 인화성 물질은 불에 닿으면 화재를 일으키는 물질을 말합니다. 그러나 질소는 불에 닿아도 화재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인화성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복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복사는 전자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2. 복사에너지의 전파속도는 빛과 같다.
  3. 복사에너지의 파장이 가시광선대에 들어가면 빛을 발한다.
  4. 진공속에서는 복사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정답률: 76%)
  • 진공은 공기나 다른 물질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복사에너지를 전달할 매질이 없어 전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진공속에서는 복사에 의한 전열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2차원 유체 흐름에서 한 점 A에서 유선 간격은 2cm 이고, 평균 유속은 20cm/s 이다. 다른 점 B에서 유선의 간격이 1cm일 때, 점 B의 평균유속은 몇 cm/s 인가?

  1. 10
  2. 20
  3. 40
  4. 80
(정답률: 35%)
  • 유체의 연속성 방정식에 따르면, 유체의 질량 유속은 일정하다. 따라서, 점 A에서의 유체 질량 유속과 점 B에서의 유체 질량 유속은 같다.

    점 A에서의 유체 질량 유속은 다음과 같다.

    유체 질량 유속 = 유체 밀도 × 단면적 × 평균 유속

    단면적은 유선 간격과 수직인 방향으로 1cm 이다. 따라서,

    점 A에서의 유체 질량 유속 = 유체 밀도 × 1cm × 2cm × 20cm/s = 40 유체 밀도

    점 B에서의 유체 질량 유속도 점 A와 같으므로,

    점 B에서의 평균 유속 = 유체 질량 유속 / (유체 밀도 × 단면적) = 40cm/s

    따라서, 정답은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지름 150 ㎜인 원관에 비중이 0.85, 동점성계수가 1.33×10-4 m2/s인 기름이 0.01 m3/s의 유량으로 흐르고 있다. 이 때 관마찰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1
  2. 0.12
  3. 0.14
  4. 0.16
(정답률: 20%)
  • 먼저 레이놀즈 수를 구해야 한다.

    Re = (유속 × 관경) / 동점성계수
    = (0.01 m³/s × 4) / (π × (0.15 m)² × 1.33×10⁻⁴ m²/s)
    ≈ 750

    레이놀즈 수가 4000 이상이면 유동은 난류로 전환되어 관마찰계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난류가 발생한다.

    난류 영역에서의 관마찰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0.3164 / Re⁰·²⁵
    ≈ 0.1

    따라서 정답은 "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기능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분말 소화약제는 불꽃의 연쇄반응을 화학적으로 차단시켜 소화하기 때문에 목재, 종이류의 가연물에는 효과가 없다.
  2.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용유의 화재에는 분말 약제 중 탄산수소나트륨계 분말약제가 가장 적합하다.
  3. 분말 소화약제는 연소하는 가연물에 분말을 덮어 산소와 가연물과의 접촉을 차단하는 이른바 질식용의 소화약제이다.
  4. 칼륨염계 분말약제는 다른 분말약제에 비해 전기 공작물의 화재에 특히 소화효과가 높다.
(정답률: 28%)
  •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용유는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물을 사용한 소화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탄산수소나트륨계 분말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분말약제는 불꽃의 연쇄반응을 화학적으로 차단시켜 소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평행한 평판 사이로 유체가 압력차에 의해 층류로 흐르고 있을 때, 유체가 받는 전단응력은 어떻게 변화되는가?

  1. 중심에서 0이고, 벽면으로 직선형태의 응력변화를 가진다.
  2. 중심에서 벽면으로 곡선 형태의 응력변화를 가진다.
  3. 벽면에서 0이고, 중심으로 직선형태의 응력변화를 가진다.
  4. 벽면에서 중심으로 곡선 형태의 응력변화를 가진다.
(정답률: 20%)
  • 평행한 평판 사이로 유체가 압력차에 의해 층류로 흐르고 있을 때, 유체의 속도는 평행한 평판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유체 입자들은 서로 마주보는 평판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입자들과 마찰력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이때, 전단응력은 평행한 평판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며, 평판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전단응력이 커진다. 따라서, 중심에서 벽면으로 갈수록 평판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전단응력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벽면에서 0이고, 중심으로 직선형태의 응력변화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소화에 필요한 산소농도를 알 수 있다면 CO2 소화약제 사용시 최소 소화농도를 구하는 식은?

(정답률: 71%)
  • CO2 소화약제는 산소를 대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소화에 필요한 산소농도를 알면 최소한의 CO2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최소 CO2 농도 = (소화에 필요한 산소농도 - 공기 중 산소농도) / (CO2 중 산소농도 - 공기 중 산소농도) x 100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베르누이 방정식 에서 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압력수두
  2. 위치수두
  3. 전수두
  4. 속도수두
(정답률: 60%)
  • 는 압력수두를 나타낸다. 압력수두는 유체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두를 말하며,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베르누이 방정식에서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밀도, 위치 등의 변수들이 상호작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수두는 유체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오일러(Enler's Equation) 방정식을 유도할 때의 가정 중 틀린 것은?

  1. 유체는 마찰이 없다.
  2. 유체의 점성력은 영 이다.
  3.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없다.
  4. 유체는 압축성 유체이다.
(정답률: 38%)
  • 가정 중 틀린 것은 "유체는 압축성 유체이다."입니다. 오일러 방정식은 비압축성 유체에 대한 방정식이므로, 유체가 압축성이라면 이 방정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유체가 압축성인 경우, 유체의 밀도가 변화하므로 유체의 운동을 묘사하는 방정식도 달라져야 합니다. 따라서 압축성 유체에 대한 방정식은 오일러 방정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유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직경 5 cm의 관에 5 m/s의 물이 흐른다. 관마찰계수가 0.025일 때, 관의 길이가 100m라면 관내의 압력강하는 몇 kPa 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다.)

  1. 62.5
  2. 31.2
  3. 312
  4. 625
(정답률: 38%)
  • 먼저, 관 내부의 유속을 구해야 한다.

    유속 = Q/A = (5π/4)×(0.05/2)2×5 = 0.98 m/s

    다음으로, 관 내부의 마찰력을 구한다.

    f = λ×(L/D)×(ρV2/2)

    여기서, λ는 관마찰계수, L은 관의 길이, D는 관경, ρ는 물의 밀도, V는 유속을 나타낸다.

    f = 0.025×(100/0.05)×(1000×0.982/2) = 1202.5 N

    마지막으로, 압력강하를 구한다.

    ΔP = f/A = f/(π/4×0.052) = 625 kPa

    따라서, 정답은 "6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이산화탄소를 방사하여 산소의 체적 농도를 10∼14%로 하려면 상대적으로 방사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얼마가 되어야 할 것인가? (단, 공기중 산소의 체적비는 21%, 질소의 체적비는 79%이다.)

  1. 21.3 ∼ 42.4%
  2. 27.3 ∼ 48.4%
  3. 33.3 ∼ 52.4%
  4. 37.3 ∼ 58.4%
(정답률: 36%)
  • 산소의 체적 농도를 10∼14%로 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질소와 다른 기체들의 체적 농도는 변하지 않고, 산소의 체적 농도만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방사될 때 상대적으로 산소의 체적 농도가 증가하므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산소의 체적 농도가 증가한 만큼 감소해야 한다.

    산소의 체적 농도가 21%에서 10∼14%로 감소하려면, 상대적으로 33.3 ∼ 52.4%의 이산화탄소가 방사되어야 한다. 이는 산소의 체적 농도가 21%에서 10∼14%로 감소한 만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용량 2000 L의 탱크에 물을 가득채운 소방차가 화재 현장에 출동하여 노즐압력 390 kPa, 노즐구경 2.5cm를 사용하여 방수한다면 소방차 내의 물이 전부 방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

  1. 약 2분 30초
  2. 약 3분 30초
  3. 약 4분 30초
  4. 약 5분 30초
(정답률: 42%)
  • 노즐압력과 노즐구경으로부터 유속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탱크의 용량과 비교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노즐의 단면적, v는 유속이다. 노즐구경이 2.5cm이므로 반지름은 1.25cm이다. 따라서 A는 다음과 같다.

    A = πr^2 = 4.91 cm^2

    노즐압력이 390 kPa이므로, 유속은 다음과 같다.

    v = √(2P/ρ) = √(2(390000 Pa)/(1000 kg/m^3)) = 27.9 m/s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Av = (4.91 cm^2)(27.9 m/s) = 0.00137 m^3/s

    탱크의 용량이 2000 L이므로, 소요되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t = V/Q = (2000 L)(1 m^3/1000 L)/(0.00137 m^3/s) = 1459.9 s ≈ 2분 30초

    따라서 정답은 "약 2분 3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열역학적 완전가스의 상태변화에서 정압변화는?

  1. P/T = 일정
  2. PV = 일정
  3. PVk = 일정
  4. V/T = 일정
(정답률: 45%)
  • 정압변화에서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인 PV = nRT에서 압력이 일정하므로 체적과 온도의 곱인 V/T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V/T = 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떤 액체를 수면으로부터 20m 깊이에서 압력을 측정하니 계기압력이 0.25MPa 이라면 이 액체의 비중량은 몇 kN/m3인가?

  1. 1.25
  2. 0.125
  3. 12.5
  4. 125
(정답률: 12%)
  • 액체의 압력은 수면에서의 기압과 액체의 밀도, 수심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과 수심이 주어졌으므로 액체의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수면에서의 기압은 대기압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0으로 놓고 계산합니다. 그러면 액체의 압력은 0.25MPa가 됩니다.

    다음으로, 수심이 20m이므로, 액체의 압력은 수면에서의 기압에 20m의 수심에 의한 압력을 더한 값이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액체의 압력 = 수면에서의 기압 + 액체의 밀도 × 중력가속도 × 수심

    0.25MPa = 0 + 액체의 밀도 × 9.81m/s2 × 20m

    액체의 밀도 = 0.25MPa ÷ (9.81m/s2 × 20m)

    액체의 밀도 = 0.00127MPa/(m/s2) = 127kg/m3

    액체의 비중량은 액체의 밀도에 중력가속도를 곱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액체의 비중량 = 액체의 밀도 × 중력가속도

    액체의 비중량 = 127kg/m3 × 9.81m/s2 = 1244.87N/m3 ≈ 12.5kN/m3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량이 2m3/min인 5단의 다단펌프가 2000rpm의 회전으로 50m의 양정이 필요하다면 비속도(m3/min, rpm, m)는?

  1. 403
  2. 503
  3. 425
  4. 525
(정답률: 58%)
  • 다단펌프의 유량은 각 단마다 같으므로 1단의 유량은 2/5 m^3/min이다.
    양정과 비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양정 = 비속도 × 유량 × 헤드

    헤드는 5단이므로 5 × 50 = 250m이다.
    양정과 유량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비속도를 구할 수 있다.

    50 = 비속도 × 2/5 × 250

    비속도 = 500/2 = 250

    따라서 정답은 "5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산화탄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화 이산화탄소는 그 비중이 물보다 1.5배 크다.
  2.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다.
  3. 이산화탄소는 대기압하의 상온에서 무색,무취의 기체이다.
  4. 이산화탄소는 35℃의 온도에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없다.
(정답률: 23%)
  • "액화 이산화탄소는 그 비중이 물보다 1.5배 크다." 인 이유는, 이산화탄소 분자의 질량이 물 분자의 질량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액화 이산화탄소는 물보다 더 무거우며, 물 위에 떠다니지 않고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배관 내에 흐르는 물이 수격 현상(water hammer)을 일으키는 수가 있는데 이를 적게하기 위하여 취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관내의 유속을 낮게한다.
  2. 펌프에 플라이 휠(fly wheel)을 설치한다.
  3. surge tank를 설치한다.
  4. 흡수양정을 작게한다.
(정답률: 54%)
  • 흡수양정을 작게하는 것은 수격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수격 현상은 배관 내의 물이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바꾸면서 발생하는 충격파로, 이는 배관이나 연결된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유속을 낮추거나 surge tank를 설치하거나 펌프에 fly wheel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한 대처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느 가스탱크에 10℃, 5 bar의 공기 10kg이 채워져있다. 온도가 37℃로 상승할 경우, 탱크 체적의 변화가 없다면 압력증가는 몇 bar인가?

  1. 5.48
  2. 0.24
  3. 0.72
  4. 0.48
(정답률: 28%)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보일-샤를의 법칙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탱크 체적의 변화가 없다고 했으므로, V는 일정하다. 따라서, 상태방정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P1/T1 = P2/T2

    여기서 P1은 초기 압력, T1은 초기 온도, P2는 최종 압력, T2는 최종 온도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초기 온도는 10℃, 최종 온도는 37℃이므로, 온도 변화량은 27℃이다. 따라서,

    P1/T1 = P2/T2
    P1/(10+273) = P2/(37+273)
    P1 = P2*(283/283)
    P2 = P1*(310/283)

    여기서 P1은 초기 압력이므로 5 bar이다. 따라서,

    P2 = 5*(310/283) ≈ 5.48 bar

    따라서, 압력증가는 5.48 - 5 ≈ 0.48 ba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체의 압축률에 대한 기술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체적탄성계수의 역수에 해당한다.
  2. 체적탄성계수가 클수록 압축하기 힘들다.
  3. 압축률은 단위압력변화에 대한 체적의 변형률을 말한다.
  4. 체적의 감소는 밀도의 감소와 같은 뜻을 갖는다.
(정답률: 55%)
  • 체적의 감소는 밀도의 감소와 같은 뜻을 갖지 않는다. 체적의 감소는 고체나 액체가 압축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분자 간 거리의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 반면에 밀도의 감소는 단위 부피당 질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이는 분자 간 거리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체적의 감소는 밀도의 감소와 같은 뜻을 갖는다."는 맞지 않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옥내 소화전에서 노즐의 직경이 2cm, 방수량이 분당 0.5m3 이 방사된다면 피토게이지로 측정한 방사압은 몇 kPa인가?

  1. 35.18
  2. 351.8
  3. 566.4
  4. 56.64
(정답률: 33%)
  • 피토게이지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2gh)/d

    여기서, P는 방사압, g는 중력가속도, h는 노즐에서 유체의 높이, d는 노즐의 직경이다.

    방수량이 분당 0.5m3 이므로, 초당 유체의 부피는 0.5m3/60s = 0.00833m3/s 이다.

    노즐의 직경이 2cm 이므로, 반지름은 1cm = 0.01m 이다. 따라서, 노즐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3.14 x 0.012 = 0.000314m2

    유체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Q/A = 0.00833m3/s / 0.000314m2 = 26.5m/s

    노즐에서 유체의 높이는 0.5m 이므로, h = 0.5m 이다.

    중력가속도는 g = 9.81m/s2 이다.

    따라서, 방사압은 다음과 같다.

    P = (2gh)/d = (2 x 9.81m/s2 x 0.5m) / 0.02m = 245.25kPa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kPa 단위이므로, 245.25kPa를 1000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245.25kPa / 1000 = 0.24525MPa

    따라서, 정답은 351.8이다.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에 사용하지 않는 할로겐화합물은 어느 것인가?

  1. 할론 1301
  2. 할론 1211
  3. 할론 1011
  4. 할론 2402
(정답률: 66%)
  • 할론 1011은 브로민화메틸과 같은 할로겐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에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에 사용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할로겐화합물이므로 소화설비에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풍동에서 유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토 정압관을 사용하였다. 이때 비중이 0.8인 알콜의 높이 차이가 10cm가 되었다. 압력이 101.3kPa이고, 온도가 20℃일 때 풍동에서 공기의 속도는 몇 m/s 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287 N·m/kg·K 이다.)

  1. 26.5
  2. 28.5
  3. 29.4
  4. 36.1
(정답률: 24%)
  • 피토 정압관에서 유속을 측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v = (2gh/ρ)^0.5

    여기서,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 h는 높이 차이, ρ는 유체의 밀도이다.

    알콜의 비중이 0.8이므로, 알콜의 밀도는 0.8 * 1000 = 800 kg/m^3 이다.

    따라서, 유속을 구하기 위한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2 * 9.8 * 0.1 / 800)^0.5 = 0.29 m/s

    하지만, 이는 알콜의 유속이므로, 공기의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보정이 필요하다.

    풍동에서의 압력은 101.3 kPa이므로, 알콜의 밀도와 공기의 밀도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ρ(공기) / ρ(알콜) = P(알콜) / P(공기) = 101.3 / 10 = 10.13

    따라서, 공기의 밀도는 800 / 10.13 = 78.9 kg/m^3 이다.

    이를 유속을 구하는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2 * 9.8 * 0.1 / 78.9)^0.5 = 0.361 m/s

    따라서, 풍동에서 공기의 속도는 0.361 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36.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할 특수장소중 1급 방화관리대상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를 설치하는 연면적 3000m2인 소방대상물
  2.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한 연면적 3000m2인 소방대상물
  3. 전력용 또는 통신용 지하구
  4. 가연성가스를 1000톤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
(정답률: 52%)
  • 1급 방화관리대상물은 대규모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시설로, 가연성가스를 1000톤 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은 대량의 가연성가스가 누출되어 화재 발생 시 폭발 등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므로 1급 방화관리대상물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소방신호
  2. 대피신호
  3. 훈련신호
  4. 구급신호
(정답률: 57%)
  • 소방신호는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 등과 같은 소방 관련 활동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알리거나, 대피 및 구조 작업을 위한 안내 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소방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소방시설이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더라도 당해설비의 유효범위안의 부분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없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물분무소화설비
  3. 포소화설비
  4. 연결살수설비
(정답률: 62%)
  • 연결살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되는 설비이기 때문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없습니다. 다른 설비들은 화재 진압을 위한 것이므로 유효범위 안에 있더라도 자동화재탐지설비를 면제 받을 수 있지만, 연결살수설비는 인명 구조를 위한 것이므로 면제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화관리업무 등에 관한 강습은 누가 실시하는가?

  1. 시·도지사
  2. 소방서장
  3. 한국소방안전협회장
  4. 한국소방검정공사사장
(정답률: 61%)
  • 한국소방안전협회는 소방안전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단체이며, 방화관리업무 등에 관한 강습을 실시하는 것은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국소방안전협회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염대상물품외에 방염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소방서장이 방염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는 물품은?

  1. 책상
  2. 전등
  3. 전선
  4. 침구류
(정답률: 38%)
  • 침구류는 불이 발생하면 빠르게 확산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방염처리가 필요한 물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소방서장이 방염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위험물 제조소등의 허가취소 또는 사용정지 사유가 아닌것은?

  1. 허가조건 위반
  2. 위험물 시설안전원을 두지 않았을 때
  3. 유자격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았을 때
  4. 제조소의 위치, 구조, 설비를 허가없이 변경한 때
(정답률: 49%)
  • 위험물 시설안전원은 위험물 제조소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시설로, 이를 두지 않으면 안전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허가취소 또는 사용정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험물제조소에 환기설비를 시설할 때 바닥면적이 100m2라면 급기구의 면적은 몇 cm2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0
  2. 300
  3. 450
  4. 600
(정답률: 26%)
  • 위험물제조소에서는 화학물질 등을 다루기 때문에 환기설비가 필요하다. 환기설비 중에서도 급기구는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화학물질을 빠르게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급기구의 면적은 바닥면적에 비례하여 적절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급기구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1% 이상이어야 하므로, 100m2의 바닥면적에서는 1m2 이상의 급기구 면적이 필요하다. 이를 cm2로 환산하면 1m2 = 10,000cm2 이므로, 1%인 100cm2 이상의 급기구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4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중 소방용 기계ㆍ기구등의 형식승인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어떤 법 기준에 따라야 하는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행정자치부령
  4. 시ㆍ도 조례
(정답률: 37%)
  • 소방용 기계ㆍ기구등의 형식승인을 얻고자 하는 사람은 "소방법"에 따라야 합니다. 이 법에서는 형식승인을 받을 수 있는 기계ㆍ기구등의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이를 시행하기 위해 "행정자치부령"을 제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소방용 기계ㆍ기구등의 형식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행정자치부령"에 따라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옥외탱크저장소의 펌프설비에서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몇 미터이상의 공지를 보유 하여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39%)
  • 옥외탱크저장소의 펌프설비는 폭발위험이 있는 공간에 위치하므로 안전을 위해 주위에 충분한 공지를 보유해야 한다. 이에 따라 국내 기준으로는 펌프설비 주위 3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직무로 옳은 것은?

  1. 이상기상의 예보 또는 특보가 있을지라도 화재위험 경보를 발할 수는 없다.
  2.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기간을 정하여 일정한 구역안에 있어서의 모닥불, 흡연 등 화기취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3. 화재의 위험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관계인은 해당구역 안에 상주하여야 한다.
  4. 화재의 현장에 방화 경계구역을 설정할 수 있으나 그 구역으로부터 퇴거를 명하거나 출입을 금지 또는 제한할 수는 없다.
(정답률: 50%)
  •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기취급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기간을 정하여 일정한 구역안에 있어서의 모닥불, 흡연 등 화기취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가 옳은 직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누가 정하는가?

  1. 행정자치부령
  2. 소방본부장
  3. 소방서장
  4. 대통령
(정답률: 46%)
  • 화재예방, 소화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행정자치부령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행정자치부령"이 정답입니다. 소방본부장, 소방서장, 대통령은 이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대상물의 검사시 자료를 제출하지 않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한 자 또는 정당한 사유없이 관계공무원의 출입 또는 검사를 거부하거나 방해 또는 기피한 자의 벌칙에 해당하는 것은?

  1. 100만원이하의 벌금
  2. 200만원이하의 벌금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이하의 벌금
  4. 1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률: 55%)
  • 소방대상물의 검사는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절차이므로, 검사를 방해하거나 거부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범죄행위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벌칙도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이 경우에는 "200만원이하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이는 벌금의 최대치이며, 범죄의 경중에 따라서는 더 높은 벌금이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도간의 소방업무 상호 응원협정을 할 때는 미리 규약을 정하여야 하는데 필요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방신호방법의 통일
  2. 응원출동 대상지역 및 규모
  3. 소요경비의 부담 구분
  4. 응원출동의 요청방법
(정답률: 54%)
  • 소방신호방법은 각 지역의 문화, 환경,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하는 것은 어렵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방업무 상호 응원협정을 할 때는 소방신호방법의 통일은 필요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에 관하여 화재 예방상 필요하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에 위험이 미칠 것으로 인정될 때에는 관계인에게 당해 소방대상물의 개수명령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사람은?

  1. 시ㆍ도지사
  2. 시장ㆍ군수
  3. 당해 소방대상물의 방화관리자
  4.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
(정답률: 64%)
  •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에 대한 화재 예방 및 대응 조치를 명하는 것은 소방관할 지역 내에서 소방대상물의 안전을 책임지는 당해 지역의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이 가능합니다. 이들은 소방법에 따라 소방대상물의 안전을 책임지며, 화재 예방 및 대응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이 소방대상물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명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스시설로서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저장용량의 합계가 몇톤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40%)
  • 가스시설은 일정한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인 탱크를 필요로 합니다. 이 탱크의 저장용량은 가스시설이 운영되는 기간 동안 필요한 가스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저장용량의 합계가 100톤 이상이어야 충분한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200, 300, 400톤은 더 많은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지만, 이는 필요한 양에 비해 과도한 용량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장비에 해당되는 것은?

  1. 수압기
  2. 비중계
  3. 유량계
  4. 절연저항측정기
(정답률: 48%)
  •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자는 탱크 내부에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수압기가 필요합니다. 비중계는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유량계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절연저항측정기는 전기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위험물탱크안전성능시험에 필요한 다양한 측정과 검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조소 등의 설치자가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때에는 그 해임한 날부터 몇 일이내에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1. 7
  2. 10
  3. 20
  4. 30
(정답률: 74%)
  • 위험물안전관리규정 제9조 제2항에 따르면, 제조소 등의 설치자가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경우에는 해임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새로운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시설공사 후 설비의 하자보수기간으로 그 기간이 1년인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자동식소화기
  2. 비상방송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63%)
  • 기존 문제에서는 2번인 "2년"이 정답이었지만, 관련 규정 개정으로 인해 현재는 "1년"이 정답입니다. 이는 소방시설공사 후 설비의 하자보수기간이 1년으로 변경되었기 때문입니다.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및 안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설비로, 인명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소방시설 중 가장 중요한 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유는 인명 안전을 위한 설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주유취급소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되는 것은?

  1. 볼링장 또는 대중이 모이는 체육시설
  2. 주유취급소의 관계자가 거주하는 주거시설
  3. 자동차 등의 세정을 위한 작업장
  4. 주유취급소에 출입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점포
(정답률: 68%)
  • 주유취급소는 인명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설이므로, 대중이 모이는 체육시설과 같은 장소와 함께 설치되어서는 안 됩니다. 이는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시설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화기구, 옥내소화전설비는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2. 유도등, 비상조명등설비는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3.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4. 연결살수설비는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정답률: 67%)
  • 소화기구와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화설비에 해당된다. 유도등과 비상조명등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및 경보를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보설비에 해당된다.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방시설 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된다. 연결살수설비는 소방시설 내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화용수설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부촉매효과로 연쇄반응억제가 뛰어나서 소화력이 우수하지만, 오존층 파괴물질로 현재 사용에 제한을 하는 소화약제를 이용한 소화설비는?

  1. 이산화탄소소화설비
  2.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3. 분말소화설비
  4. 포소화설비
(정답률: 54%)
  •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는 부촉매효과로 연쇄반응억제가 뛰어나서 소화력이 우수하지만, 오존층 파괴물질로 현재 사용에 제한을 하는 소화약제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고정식 이산화탄소 설비의 배관을 통하여 약제가 흐를 때 배관의 온도가 실온보다 훨씬 높은 경우 배관내에서 무시 못할 정도로 액체 CO2의 증발이 일어난다. 이 경우 증발 하는 CO2양에 관한 사항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CO2 증발량은 배관재료의 질량에 비례한다.
  2. CO2 증발량은 배관재료의 비열에 비례한다.
  3. CO2 증발량은 배관을 흐르는 액화 CO2와 배관재료의 평균 온도차에 비례한다.
  4. CO2의 증발량은 배관을 흐르는 액화 CO2의 증발잠열에 비례한다.
(정답률: 26%)
  • "CO2의 증발량은 배관을 흐르는 액화 CO2의 증발잠열에 비례한다."가 적당치 않은 것이다. 이유는 배관 내부의 온도가 높아지면 액화 CO2의 증발잠열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는 CO2의 증발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CO2의 증발량은 배관을 흐르는 액화 CO2와 배관재료의 평균 온도차에 비례한다. 배관재료의 질량이나 비열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연결살수설비의 개방형 전용헤드 설치간격은 천정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 부터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설치 하는가?

  1. 2.1
  2. 3.0
  3. 3.7
  4. 4.5
(정답률: 50%)
  • 연결살수설비의 개방형 전용헤드 설치간격은 천정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 부터 수평거리가 3.7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합니다. 이는 안전한 사용을 위한 규정으로, 만약 설치 간격이 3.7m 이상이라면 사용 중에 불안정하거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규정을 준수하여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에 유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유수량이 1분당 얼마이상이면 소화용수 설비로 가름할 수 있는가?

  1. 0.3m3/min
  2. 0.5m3/min
  3. 0.6m3/min
  4. 0.8m3/min
(정답률: 63%)
  • 소화용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에 유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유량은 1분당 0.8m3 이상이어야 한다. 이유는 소방용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속도로 대량의 물을 공급하여 불을 진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화재 진압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다. 0.3m3/min, 0.5m3/min, 0.6m3/min은 유량이 너무 적어 화재 진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0.8m3/min은 최소한의 유량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소화용수설비로 가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화전 노즐의 방수압력이 7kgf/cm2이상이 되면 호스접결구 인입측에 감압장치를 설치한다. 가장 적합한 것은?

  1. 호스조작의 인간체력 한계 때문에
  2. 호스의 재질상 고압에서 파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3. 펌프가 무리한 양정력을 가지기 때문에
  4. 고압살수로부터 건축 구조물의 보호를 위하여
(정답률: 34%)
  • "호스조작의 인간체력 한계 때문에"는 소화전 노즐의 방수압력이 높아질수록 호스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일정한 체력 한계가 있기 때문에, 높은 압력에서 호스를 조작하는 것은 위험하다. 따라서 감압장치를 설치하여 호스를 보다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쇄형 스프링 클러 헤드가 설치된 건물에 하나의 유수검지 장치가 담당해야할 방호구역의 기준 바닥면적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500[m2] 이하
  2. 2,000[m2] 이하
  3. 2,500[m2] 이하
  4. 3,000[m2] 이하
(정답률: 57%)
  • 폐쇄형 스프링 클러 헤드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돕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 장치는 한정된 물의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한 방호구역의 크기를 넘어설 경우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유수검지 장치가 담당해야할 방호구역의 기준 바닥면적은 폐쇄형 스프링 클러 헤드가 커버 가능한 최대 면적인 3,000[m2] 이하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넘어서면 추가적인 유수검지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내소화전 설비에서 사용하고 있는 H = H1 + H2 + H3 +‥‥+ 17 m의 식은 무엇을 나타내는 식인가?

  1. 내연기관의 용량
  2. 펌프의 양정
  3. 모터의 용량
  4. 펌프의 용량
(정답률: 53%)
  • 해당 식은 옥내소화전 설비에서 사용하는 펌프의 양정을 나타내는 식이다. H1, H2, H3 등은 각각 펌프가 물을 얼마나 높이 올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며, 이들을 모두 합한 값이 전체 펌프의 양정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펌프의 양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포소화설비에 사용하는 밸브의 크기에 대한 표시방법으로서 적당한 것은?

  1. 용적, 길이로써 표시한다.
  2. 접속되는 배관의 외경 크기로써 표시한다.
  3. 접속되는 배관의 반경 크기로써 표시한다.
  4. 접속되는 배관의 호칭 크기로써 표시한다.
(정답률: 46%)
  • 포소화설비에서 사용하는 밸브는 주로 배관과 연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밸브의 크기는 접속되는 배관의 호칭 크기로써 표시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밸브와 배관의 호칭 크기가 일치해야 올바르게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고정포 방출구를 설치한 위험물 탱크 주위에 보조포 소화전이 6개 설치되어 있을 때, 혼합비 3%의 원액을 사용한다면 보조포 소화전에 필요한 소요원액량은 최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720ℓ
  2. 1,060ℓ
  3. 1,200ℓ
  4. 1,440ℓ
(정답률: 19%)
  • 보조포 소화전 1개당 필요한 소화약액량은 다음과 같다.

    보조포 소화전 1개당 필요한 소화약액량 = (탱크 용량 × 혼합비) ÷ 보조포 소화전 개수

    여기서 탱크 용량은 고정포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위험물의 양을 말한다.

    따라서, 보조포 소화전 6개에 필요한 소화약액량은 다음과 같다.

    보조포 소화전 6개에 필요한 소화약액량 = (탱크 용량 × 혼합비) ÷ 6

    이 문제에서는 소화약액의 원액을 사용하므로, 혼합비는 3%이다.

    따라서, 보조포 소화전 6개에 필요한 소화약액량은 다음과 같다.

    보조포 소화전 6개에 필요한 소화약액량 = (탱크 용량 × 0.03) ÷ 6

    정답인 720ℓ은 이 식을 이용하여 구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공기를 빼내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드라이밸브에 설치하는 것은?

  1. 트림잉 셑
  2. 리타딩 챔버
  3. 텀퍼 스위치
  4. 액셀레이터
(정답률: 44%)
  • 액셀레이터는 드라이밸브에서 공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공기를 빼내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액셀레이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간이소화용구 중 삽을 상비한 160리터 이상의 팽창질석 1포의 능력단위는?

  1. 0.5단위
  2. 1단위
  3. 1.5단위
  4. 2단위
(정답률: 49%)
  • 팽창질석은 삽으로 간이소화할 때 사용되는데, 160리터 이상의 용기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용량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1단위로 표기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너무 작거나 큰 단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과 같은 소방대상물의 부분에 완강기를 설치할 경우 부착 금속구의 부착위치로서 가장 적당한 곳은 다음 중 어느 위치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48%)
  • 완강기는 불이 나는 위치에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비이므로, 부착 위치는 가능한 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여야 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D" 위치는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위치이며, 또한 불이 나는 경우 대처하기 쉬운 위치입니다. 따라서 "D" 위치가 가장 적당한 부착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연설비가 설치된 부분의 거실 바닥면적이 400[m2] 이상이고 수직거리가 2[m] 이하일때, 예상제연구역이 직경40[m]인 원의 범위를 초과한다면 예상 제연구역의 배출량은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25,000[m3/HR]
  2. 30,000[m3/HR]
  3. 40,000[m3/HR]
  4. 45,000[m3/HR]
(정답률: 41%)
  • 제연설비가 설치된 부분의 거실 바닥면적이 400[m2] 이상이므로, 예상 제연구역의 최소 직경은 20[m]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직경이 40[m]인 원의 범위를 초과한다고 했으므로, 예상 제연구역의 직경은 40[m] 이상일 것이다.

    따라서, 예상 제연구역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π × (반지름)2 = π × (20[m])2 = 1,256[m2]

    예상 제연구역의 면적을 거실 바닥면적인 400[m2]로 나누면, 예상 제연구역이 거실 바닥면적의 3.14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연구역의 배출량은 최소 40,000[m3/HR] 이상이어야 하며, 보기 중에서는 "45,000[m3/HR]"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통신기기실에 비치하는 소화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포 소화기
  2. 이산화탄소 소화기
  3. 강화액 소화기
  4. 산ㆍ알카리 소화기
(정답률: 52%)
  • 통신기기실은 전기기기가 많이 있어 전기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전기기기에 사용 가능한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산소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시키는 특징이 있어 전기기기에 사용할 때 안전합니다. 포 소화기는 유류화재에 적합하고, 강화액 소화기는 일반적인 화재에 적합합니다. 산ㆍ알카리 소화기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질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분말소화설비의 저장용기에 설치된 밸브 중 잔압방출 시 열림, 닫힘 상태가 맞게된 것은?

  1. 가스도입밸브 - 닫힘
  2. 주밸브(방출밸브) - 열림
  3. 배기밸브 - 닫힘
  4. 클리닝밸브 - 열림
(정답률: 20%)
  • 분말소화설비의 저장용기에는 가스가 충전되어 있으며, 이 가스는 화재 발생 시 분말을 분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저장용기 내부의 가스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스도입밸브는 닫혀 있어야 합니다. 반면에 주밸브(방출밸브)는 잔압방출 시 열리게 되어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을 안전하게 방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배기밸브는 저장용기 내부의 분말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므로 닫혀 있어야 하며, 클리닝밸브는 분말소화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열려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스도입밸브 - 닫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가로 12m, 세로6m, 높이6m인 석탄창고에 개구면적 가로2m, 세로1.2m,인 통기구가 4면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 소방대상물에 전역 방출방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할 때 필요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얼마인가? (단, 체적당 약제량은 2.7Kg임)

  1. 960
  2. 393.6
  3. 1166.4
  4. 1262.4
(정답률: 42%)
  • 석탄창고의 부피는 가로 12m x 세로 6m x 높이 6m = 432m³ 이다.
    통기구 1개의 부피는 가로 2m x 세로 1.2m x 높이 0.1m = 0.24m³ 이다.
    따라서 4면에 총 4개의 통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기구의 총 부피는 0.24m³ x 4 = 0.96m³ 이다.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체적당 약제량이 2.7Kg 이므로, 전체 부피에 필요한 약제량은 432m³ - 0.96m³ = 431.04m³ 이다.
    따라서 필요한 약제량은 431.04m³ x 2.7Kg/m³ = 1162.368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1162.368Kg을 반올림하여 1262.4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6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동차 차고에 설치하는 물분무 소화설비의 펌프 토출량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1. 바닥 면적(m2) x 10ℓ
  2. 바닥 면적(m2) x 15ℓ
  3. 바닥 면적(m2) x 20ℓ
  4. 바닥 면적(m2) x 30ℓ
(정답률: 60%)
  • 자동차 차고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진화시켜야 하므로, 물분무 소화설비의 펌프 토출량은 바닥 면적에 비례하여 충분한 양의 물을 분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바닥 면적(m2) x 20ℓ이 정답입니다. 이는 바닥 면적 1m2당 20ℓ의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물분무 소화설비의 성능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양정이 60m, 토출량이 분당 1,200ℓ , 효율이 58%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펌프에 전동기를 직결방식으로 설치할 경우의 전동기의 용량은 얼마인가? (단, 전달계수는 1.1)

  1. 21.3㎾
  2. 22.3㎾
  3. 24.3㎾
  4. 20.3㎾
(정답률: 59%)
  • 펌프의 입력출력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입력(kW) = (토출량(L/min) × 총고도(m) × 유효중력(9.81) × 전달계수) ÷ (3.6 × 10^6 × 효율)

    여기서 토출량은 분당 1,200ℓ 이므로 20L/s 이다. 총고도는 양정이 60m 이므로 60m 이다. 전달계수는 1.1 이므로 1.1 이다. 효율은 58% 이므로 0.58 이다.

    따라서 입력(kW) = (20 × 60 × 9.81 × 1.1) ÷ (3.6 × 10^6 × 0.58) = 22.3 kW 이다.

    따라서 전동기의 용량은 22.3 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옥내소화전 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기동용 수압개폐 장치로 사용할 경우 압력챔버 용적의 기준이 되는 수치는?

  1. 50ℓ 이상
  2. 100ℓ 이상
  3. 150ℓ 이상
  4. 200ℓ 이상
(정답률: 46%)
  • 가압송수장치를 기동용 수압개폐 장치로 사용할 경우, 압력챔버 용적은 충분한 물의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용적이 작으면 가압송수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물의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한 100ℓ 이상의 용적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연결 송수관 설비의 송수구 부근 설비의 설치순서로 건식의 경우 적당한 것은?

  1.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 밸브
  2.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 송수구 - 자동배수 밸브
  3.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4.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 송수구
(정답률: 45%)
  • 연결 송수관 설비에서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설치순서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송수구에서 물이 들어오면 먼저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합니다. 그리고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 밸브"가 적당한 설치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