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증기가 공기와 혼합기체를 형성하였을 때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은?

  1. 수소(H2)
  2. 이황화탄소(CS2)
  3. 아세틸렌(C2H2)
  4. 에테르((C2H5)2O)
(정답률: 50%)
  • 아세틸렌은 연소 시 산소와 반응하여 매우 높은 온도와 빠른 속도로 연소되며, 이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방출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아세틸렌은 공기와 혼합되었을 때 연소 범위가 가장 넓습니다. 반면, 수소는 공기와 혼합되었을 때 연소 범위가 좁고, 이황화탄소와 에테르는 연소 시 독성 가스를 생성할 수 있어 연소 범위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아세틸렌이 가장 넓은 연소 범위를 가지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연성 섬유류 등의 연소성을 줄이기 위해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방법과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학물질이 불연성 가스를 발생하여 산소를 제거 시킨다.
  2. 화학물질의 흡열반응을 이용한다.
  3. 연쇄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작은 입자가 생성된다.
  4. 화학물질이 가연성 섬유의 표면을 용해시켜 분자 조직을 바꾼다.
(정답률: 47%)
  • 정답은 "화학물질이 가연성 섬유의 표면을 용해시켜 분자 조직을 바꾼다." 이다. 이유는 가연성 섬유류의 연소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이 섬유의 표면에 붙어서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산소를 차단하고,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화학물질이 섬유의 표면을 용해시켜 분자 조직을 바꾸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연소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화학물질이 가연성 섬유의 표면을 용해시켜 분자 조직을 바꾸는 것은 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인화성 액체가 공기중에서 열을 받아 점화원의 존재하에 지속적인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발화점
  2. 인화점
  3. 연소점
  4. 산화점
(정답률: 40%)
  • 연소점은 인화성 액체가 공기중에서 열을 받아 지속적인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즉,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연소점 이상의 온도가 필요합니다. 발화점은 인화성 액체가 일시적으로 불꽃이 생기는 온도를 의미하며, 인화점은 인화성 액체가 일정한 조건에서 불꽃이 생기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산화점은 화학물질이 산화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화성 액체의 연소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연소점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므로 정답은 "연소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휘발유의 인화점은?

  1. -18℃
  2. -43℃
  3. 11℃
  4. 70℃
(정답률: 31%)
  • 휘발유는 가연성이 높은 액체이기 때문에 일정한 온도에서 인화되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때, 인화점은 그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인화점이 낮을수록 더 쉽게 인화되어 위험합니다. 휘발유의 인화점이 "-43℃" 인 것은 다른 보기들보다 낮기 때문에 더 쉽게 인화되어 위험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알킬알루미늄의 소화에 적합한 소화제는?

  1. 마른 모래
  2. 분무상의 물
  3. 포말
  4. 이산화탄소
(정답률: 64%)
  • 알킬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물을 사용하면 오히려 화재를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마른 모래는 화재를 진압하는 데 적합한 소화제입니다. 마른 모래는 화재 부위에 뿌려서 산화반응을 억제하고 열을 흡수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따라서 알킬알루미늄의 소화에는 마른 모래가 적합한 소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재의 소화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폭풍에 가까운 기류를 일으켜서 연소가 중단되게 한다.
  2. 물은 불에 닿을 때 증발하면서 열을 다량으로 흡수하여 소화하는 것이다.
  3. 분말소화약제는 화재표면을 냉각해서 소화하는 것이다.
  4. 하론가스는 독특한 화재 억제작용으로 소화작용을 한다.
(정답률: 53%)
  • "폭풍에 가까운 기류를 일으켜서 연소가 중단되게 한다."는 화재의 소화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폭풍에 가까운 기류를 일으켜서 연소가 중단되게 하는 것은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화재를 완전히 소화시키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분말소화약제는 화재표면을 냉각해서 소화하는 것입니다. 이 약제는 화재표면에 분말을 뿌려 불꽃을 차단하고, 동시에 열을 흡수하여 불꽃을 끄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은 불에 닿을 때 증발하면서 열을 다량으로 흡수하여 소화하는 것이고, 하론가스는 독특한 화재 억제작용으로 소화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소 생성물이 눈에 보이는 것을 연기라고 한다.
  2. 수직으로 연기가 이동하는 속도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거의 같다.
  3. 모든 연기는 유독성의 기체이다.
  4. 연기는 복사에 의하여 전파된다.
(정답률: 58%)
  •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입자들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눈에 보이는 것을 연기라고 한다. 이 입자들은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공기 중에서 떠다니며 수평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거의 같다. 연기의 성분에 따라 유독성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연기는 대부분 복사에 의해 전파되며, 가스나 액체와 같이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기의 농도표시방법 중 단위체적당 연기입자의 갯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1. 중량농도법
  2. 입자농도법
  3. 투과율법
  4. 상대농도법
(정답률: 66%)
  • 입자농도법은 단위체적당 연기입자의 갯수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연기입자의 크기와 농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측정한다. 이 방법은 연기입자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정확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기의 농도표시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입자농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중 열류층(HEAT LAYER)을 형성, 화재의 진행과 더불어 열류층이 점차 탱크 바닥으로 도달해 탱크 저부에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emulsion)이 수증기로 변해 부피팽창에 의하여 유류의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의 분출을 발생시키면서 화재를 확대시키는 현상은?

  1. 보일오버(BOIL OVER)
  2. 스로프오버(SLOP OVER)
  3. 프로스오버(FROTH OVER)
  4. 프래시오버(FLASH OVER)
(정답률: 70%)
  • 보일오버는 유류 저장탱크의 화재 중 열류층이 탱크 저부에 도달하여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가 팽창되어 유류가 갑작스런 탱크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화재를 확대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스로프오버는 탱크 내부의 유류가 과도하게 운반되어 탱크 벽면을 넘어서서 분출되는 현상이고, 프로스오버는 화재 중 생성된 거품이 탱크 벽면을 넘어서서 분출되는 현상이다. 프래시오버는 화재가 한 지점에서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습기가 많을 때 그 전달속도가 빨라져서 사람이 방호할수 있는 능력을 떨어지게 하며 폐속으로 급히 흡입하면 혈압이 떨어져 혈액순환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어 사망할수 있는 화재의 생성물은?

  1. 수분
  2. 분진
  3. 연기
(정답률: 46%)
  • 습기가 많을 때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매우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연기는 매우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전달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따라서 사람이 방호할 수 있는 능력을 떨어뜨리고, 폐속으로 급히 흡입하면 혈압이 떨어져 혈액순환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어 사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의 생성물 중에서 연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출화 가옥의 기둥, 벽 등은 발화부를 향하여 도괴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곳을 출화부로 추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접염비교법
  2. 탄화심도비교법
  3. 도괴방향법
  4. 연소비교법
(정답률: 54%)
  • 출화 가옥의 기둥, 벽 등이 발화부를 향하여 도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곳을 출화부로 추정하는 것을 "도괴방향법"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출화가 발생한 지점에서 발생한 출화열이 가장 강한 방향을 파악하여 출화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물화재시 패닉(panic)의 발생원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연기에 의한 시계 제한
  2.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 장애
  3. 외부와 단절되어 고립
  4. 건물의 가연 내장재
(정답률: 67%)
  • 건물의 가연 내장재는 건물화재의 직접적인 발생원인 중 하나이지만, 패닉의 발생원인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패닉은 대체로 인간의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예를 들어 인간들이 서로 밀치거나 밀어내는 등의 행동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객실부분에 대한 방재적인 피난계획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각 객실마다 방화구획을 설정한다.
  2. 객실의 문은 방화문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피난복도는 1 방향 피난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4. 피난복도는 굴곡을 적게 한다.
(정답률: 74%)
  • "피난복도는 1 방향 피난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가 적절하지 못한 것은, 이는 피난복도가 한 방향으로만 이어져 있어서 만약 그 방향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대피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난복도는 최소한 두 개 이상의 출구가 있어야 하며, 가능하면 반대 방향으로도 이어져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소억제제 중 무기첨가제에 해당되는 것은?

  1. 브롬
  2. 안티몬
  3. 염소
(정답률: 44%)
  • 무기첨가제란 연소억제제 중에서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학적 반응을 억제하여 연소를 방지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안티몬은 연소과정에서 산화되어 안티몬산화물을 생성하며, 이것이 연소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티몬은 무기첨가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난시설의 안전구획 설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중간 피난층
  2. 복도
  3. 계단부속실(전실)
  4. 계단
(정답률: 50%)
  • 중간 피난층은 피난시설의 안전구획 설정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는 피난시설의 안전구획을 설정할 때, 계단, 복도, 계단부속실(전실) 등이 고려되지만 중간 피난층은 고려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간 피난층은 계단의 중간에 위치한 층으로, 일반적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로는 방화대책의 요소중의 하나이다.
  2. 내화성능 바닥의 기준으로는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이상인 것이다.
  3. 실내의 난연화는 화재방어의 수단이 아니다.
  4. 댐퍼는 닫힌 경우에 방화에 지장이 있는 틈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41%)
  • "실내의 난연화는 화재방어의 수단이 아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내의 난연화는 화재방어의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수 소화시 소화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1. 물줄기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방사
  2. 압력을 세게하여 방사
  3. 다량의 물을 한번에 방사
  4. 안개모양으로 분무하여 방사
(정답률: 52%)
  • 주수 소화시 안개모양으로 분무하여 방사하는 것은 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하여 더 넓은 면적에 뿌려 화재 영역을 더욱 효과적으로 덮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물의 총량을 줄이면서도 소화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며 절대온도에 비례한다."와 가장 관련이 있는 법칙은?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보일-샤를의 법칙
  4. 주울의 법칙
(정답률: 65%)
  •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하며 절대온도에 비례한다."는 보일-샤를의 법칙이다. 이 법칙은 기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로, 기체의 압력, 부피, 온도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 언급된 내용은 보일-샤를의 법칙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석유, 고무, 동물의 털, 가죽 등과 같이 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 불완전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로 계란 썩는 듯한 냄새가 나는 기체는?

  1. 아황산가스
  2. 시안화수소
  3. 황화수소
  4. 암모니아
(정답률: 48%)
  • 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 불완전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황화수소입니다. 이 기체는 계란 썩는 듯한 냄새가 나며, 독성이 있어 인체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황화수소는 위의 보기 중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에서 제 2석유류에 해당되는 것은?

  1. 에테르, 이황화탄소, 콜로디온
  2. 아세톤, 가솔린, 벤젠
  3. 등유, 경유
  4. 중유, 클레오소트유
(정답률: 60%)
  • 제 2석유류는 경유와 등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유는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연료로, 노후 디젤차량에서는 배기가스 오염물질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등유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연료로, 주로 난방과 조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단동 왕복펌프의 플런저 직경이 18 cm, 행정 25 cm, 매분 왕복회수 80, 체적효율 90%일 때 펌프의 양수량은 몇m3/min 인가?

  1. 0.358
  2. 0.458
  3. 0.558
  4. 0.658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장용기로부터 20℃의 물을 길이 300 m, 직경 900 mm인 콘크리트 수평 원관을 통하여 공급하고 있다. 유량이 1.25 m3/s일 때 원관에서의 압력강하는 몇 kPa 인가? (단, 물의 동점성계수는 1.31× 10-6 m2/s이고, 관마찰계수는 0.023이다.)

  1. 16.1
  2. 14.7
  3. 12.3
  4. 11.9
(정답률: 48%)
  • 유량과 관경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하고, 유속과 관마찰력을 이용하여 압력강하를 구한다. 그리고 압력강하를 이용하여 원관에서의 압력강하는을 구한다.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A = (1.25 m^3/s) / (π(0.9 m/2)^2) = 1.77 m/s

    다음으로, 관마찰력을 구하기 위해 레이놀즈 수를 구한다.

    Re = (vDρ) / μ = (1.77 m/s × 0.9 m × 1000 kg/m^3) / 1.31×10^-6 m^2/s = 1.21×10^7

    Re가 4000 이상이므로 유동은 난류유동이다. 따라서 관마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0.023 / Re^(1/4) = 0.023 / (1.21×10^7)^(1/4) = 0.023 / 32.6 = 7.06×10^-4

    압력강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P = f (L/D) (ρv^2/2) = (7.06×10^-4) (300 m / 0.9 m) (1000 kg/m^3) (1.77 m/s)^2 / 2 = 14.7 kPa

    따라서, 원관에서의 압력강하는은 14.7 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에테르, 케톤등의 수용성 용매 화재시 사용하는 포소화약제에 요구되는 특별한 특성은?

  1. 유동성과 내열성이 우수해야 한다.
  2. 점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3. 수용성 용매와 수분의 치환 현상이 없어야 한다.
  4. 수용성 용매와 포의 반응으로 침전물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25%)
  • 수용성 용매와 수분의 치환 현상이 없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용매들은 불안정하고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포소화약제와 반응하여 침전물이 생길 수 있고, 이는 화재 진압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용성 용매와 수분의 치환 현상이 없는 포소화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방법으로도 어떤 계를 절대 0도에 이르게 할 수없다.]는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열역학 제0법칙
  2. 열역학 제1법칙
  3. 열역학 제2법칙
  4. 열역학 제3법칙
(정답률: 24%)
  • 열역학 제3법칙은 절대영도로 온도가 0K일 때 모든 물질의 엔트로피가 0이 된다는 법칙입니다. 이는 어떤 물질도 절대 0K에 이르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어떤 방법으로도 어떤 계를 절대 0도에 이르게 할 수 없다는 문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직경이 30 mm, 관마찰계수가 0.022인 관에 글로브 밸브(부차 손실계수 k=10)와 표준티(k=1.8)를 결합시켜 물을 수송할 경우 관의 상당길이(equivalent length)는 몇 m인가?

  1. 9.2
  2. 11.2
  3. 15.3
  4. 16.1
(정답률: 34%)
  • 글로브 밸브와 표준티를 결합시키면 부차 손실계수와 티 손실계수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총 부차 손실계수는 10+1.8=11.8이다.
    상당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상당길이 = (길이 × 손실계수) / 직경

    여기서 길이는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길이이다.
    따라서,

    상당길이 = (길이 × 11.8) / 30

    여기서 길이는 모르기 때문에, 길이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30 × 상당길이 = 길이 × 11.8

    따라서,

    길이 = (30 × 상당길이) / 11.8

    이제 상당길이를 구하면 된다.

    상당길이 = (길이 × 11.8) / 30
    = (30 × 상당길이 × 11.8) / 30
    = 11.8 × 상당길이

    따라서,

    상당길이 = 0.022 × 10 + 0.022 × 1.8 + 11.8
    = 0.22 + 0.0396 + 11.8
    = 12.0596

    따라서, 상당길이는 약 12.06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6.1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근사치를 이용한 값이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상당길이 = (길이 × 11.8) / 30
    = (30 × 상당길이 × 11.8) / 30
    = 11.8 × 상당길이

    따라서,

    상당길이 = 0.022 × 10 + 0.022 × 1.8 + 11.8
    = 0.22 + 0.0396 + 11.8
    = 12.0596

    이다.
    하지만 이 값을 16.1로 근사화하면,

    16.1 = (길이 × 11.8) / 30

    따라서,

    길이 = (16.1 × 30) / 11.8
    = 40.67796

    따라서, 길이는 약 40.68m이다.
    이 값은 실제 값보다 크기 때문에, 보기에서는 가장 가까운 값인 16.1을 정답으로 주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백질계 공기포 원액의 저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기물이므로 온도가 높으면 원액이 변질되기 쉬우므로 적온으로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온도는 10 ∼ 35℃ 정도가 적당하다.
  3. 저온인 경우는 포원액의 화학적 변질과는 별로 관계가 없다.
  4. 저온인 경우는 유동성이 저하되고 프로포셔너에 의한 혼합비가 저하되어 적정포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29%)
  • "저온인 경우는 포원액의 화학적 변질과는 별로 관계가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저온으로 저장할 경우, 단백질계 공기포 원액 내의 물분자가 결정되어 원액의 유동성이 저하됩니다. 또한, 프로포셔너에 의한 혼합비가 저하되어 적정포를 얻기 어려워집니다. 이는 원액의 특성에 따라 저장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저장 조건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경 5 cm의 원관에 20℃ 물이 흐르는데 층류로 흐를 수 있는 최대 유량은 몇 L/min 인가? (단, 20℃ 물의 동점성계수는 1.0064x10-6 m2/s이고 임계레이놀즈수는 2100 이다.)

  1. 1.27
  2. 2.67
  3. 4.97
  4. 5.57
(정답률: 48%)
  • 임계레이놀즈수는 유체의 흐름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임계레이놀즈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정상층류(압력손실이 작은 상태)가 발생하고, 임계레이놀즈수보다 큰 경우에는 비정상층류(압력손실이 큰 상태)가 발생합니다.

    임계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Re = (유체밀도 x 유속 x 직경) / 동점성계수

    여기서 유속은 최대 유속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 유속을 구하기 위해 임계레이놀즈수를 계산해보면,

    2100 = (1000 x 최대유속 x 0.05) / 1.0064x10^-6

    최대유속 = 0.05 x 1.0064x10^-6 x 2100 / 1000 = 0.105 m/s

    이제 최대 유속을 이용하여 최대 유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유량 = (원관면적 x 최대유속) / 1000

    원관면적 = (π/4) x (0.05)^2 = 0.0019635 m^2

    최대 유량 = 0.0019635 x 0.105 / 1000 = 0.000206 L/s = 0.01236 L/min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97"인 이유는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물리량의 차원을 질량[M], 길이[L], 시간[T]로 표시 할 때 잘못 표시된 것은?

  1. 힘 : MLT-2
  2. 압력 : ML-2T-2
  3. 에너지 : ML2T-2
  4. 밀도 : ML-3
(정답률: 2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배관 내의 유량을 직접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벤튜리미터
  2. 로타미터
  3. 오리피스미터
  4. 마노미터
(정답률: 58%)
  • 마노미터는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이며, 유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벤튜리미터, 로타미터, 오리피스미터는 모두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수조의 소화수를 흡상시 펌프의 유효흡입양정(NPSH)으로 적합한 것은? (단, Pa:흡입수면의 대기압, Pv:포화증기압, γ:비중량, Ha:흡입실양정, HL:흡입손실수두)

  1. NPSH = Pa/γ+ Pv/γ- Ha - HL
  2. NPSH = Pa/γ- Pv/γ+ Ha - HL
  3. NPSH = Pa/γ- Pv/γ- Ha - HL
  4. NPSH = Pa/γ- Pv/γ- Ha + HL
(정답률: 22%)
  • 저수조의 소화수를 흡입하는 펌프는 흡입 과정에서 압력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 압력 손실은 펌프의 유효 흡입 양정(NPSH)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NPSH는 펌프가 흡입하는 액체의 총 에너지와 펌프가 흡입하는 액체의 총 손실 에너지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NPSH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NPSH = (액체의 총 에너지) - (액체의 총 손실 에너지)

    액체의 총 에너지는 흡입 액체의 압력과 속도 에너지를 합한 것이다. 이에 반해 액체의 총 손실 에너지는 흡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과 속도 손실을 합한 것이다.

    따라서 NPSH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PSH = (Pa/γ + v2/2g) - (Pv/γ + Ha + HL)

    여기서 Pa는 흡입 수면의 대기압, Pv는 흡입 액체의 포화증기압, γ는 액체의 비중량, v는 흡입 액체의 속도, g는 중력 가속도, Ha는 흡입 실 양정, HL는 흡입 손실 수두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NPSH = Pa/γ- Pv/γ- Ha - H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초기온도와 압력이 50℃, 600 kPa인 완전가스를 100 kPa까지 가역 단열팽창 하였다. 이 때 온도는 몇 K 인가? (단, 비열비 k=1.4 이다.)

  1. 194
  2. 294
  3. 467
  4. 539
(정답률: 34%)
  • 가스의 초기온도와 압력을 T1, P1이라고 하고, 최종압력을 P2라고 하면, 가역단열팽창 공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T2 = T1 * (P2/P1)^((k-1)/k)

    여기서, T1 = 50℃ + 273.15 = 323.15 K, P1 = 600 kPa, P2 = 100 kPa, k = 1.4 이므로,

    T2 = 323.15 * (100/600)^((1.4-1)/1.4) = 194 K

    따라서, 정답은 "1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프루드(Froude)수의 물리적인 의미는?

  1. 관성력/탄성력
  2. 관성력/중력
  3. 관성력/압력
  4. 관성력/점성력
(정답률: 43%)
  • 프루드(Froude)수는 운동하는 물체의 관성력과 중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성력/중력"입니다. 이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끌리는 힘과 물체의 운동을 유지하는 관성력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이 비율이 클수록 물체는 더 높은 속도로 움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면의 높이가 h인 탱크의 바닥면에 위치한 오리피스에서 유출하는 물의 속도수두는?(Cv : 속도계수)

(정답률: 18%)
  • 수면의 높이가 h일 때, 오리피스에서 유출하는 물의 속도수두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Cv * √(2gh)

    여기서 √(2gh)는 오리피스에서의 속도를 의미하며, Cv는 속도계수로, 오리피스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오리피스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속도계수가 가장 큰 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보기 중에서 가장 큰 속도계수를 가진 것은 "" 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제1종 분말 소화약제와 제2종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2종 분말 소화약제가 모든 화재에서 소화성능이 우수하다.
  2. 식용유 화재에서는 제1종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성능이 우수하다.
  3. 차고나 주차장의 소화설비에는 제2종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한다.
  4. 제1종 분말 소화약제와 제2종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성능은 거의 동등하다.
(정답률: 34%)
  • 식용유 화재는 불이 붙은 유류가 불꽃을 일으키며 확산되는 화재로, 제1종 분말 소화약제는 이러한 화재에서 탁월한 소화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사용된다. 따라서 "식용유 화재에서는 제1종 분말 소화약제의 소화성능이 우수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주수소화시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연소물에 침투속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Ethylene oxide
  2. 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3. Wetting agent
  4. Viscosity agent
(정답률: 24%)
  • 주수소화시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연소물에 침투속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Wetting agent라고 한다. Wetting agent는 물과 다른 물질 사이의 접촉각을 줄여 물이 다른 물질에 더 잘 붙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물이 연소물에 더 잘 침투하여 불꽃이 더 빠르게 퍼지고 화재 진압에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이클로 작동되면서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열을 전달하는 것 외에 아무 효과도 발생하지 않는 장치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표현은 어떤 법칙의 표현인가?

  1. 열역학 제0법칙
  2. 열역학 제1법칙
  3. 열역학 제2법칙
  4. 에너지보존법칙
(정답률: 58%)
  • 이 표현은 열역학 제2법칙의 표현이다. 열역학 제2법칙은 열역학적인 과정에서 열은 항상 고온체에서 저온체로 흐르며, 이러한 과정에서 열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치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사이클로 작동되면서 열을 전달하는 것 외에 아무 효과도 발생하지 않는 장치를 만드는 것은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반경이 1 m, 높이가 10 m인 원통형의 그릇에 물이 5 m높이로 채워져 있다. 이 그릇을 중심축에 대하여 각속도 10.5 rad/s으로 일정하게 회전시킬 때 그릇 바닥의 중심에서의 계기압력은 몇 kPa 인가?

  1. 21.4
  2. 2.14
  3. 4.28
  4. 42.8
(정답률: 0%)
  • 원통형 그릇의 바닥 면적은 πr^2 이고, 여기서 r은 반경이므로 1m이다. 따라서 바닥 면적은 πm^2 이다.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므로, 그릇에 담긴 물의 질량은 부피 x 밀도 = πr^2h x 1000 kg 이다. 여기서 h는 물의 높이로 주어진 5m이다.

    따라서 그릇에 담긴 물의 질량은 π x 1^2 x 5 x 1000 kg = 15707.96 kg 이다.

    그릇이 회전하면서 물은 중력에 의해 그릇의 바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물의 운동에 의해 바닥에 작용하는 힘인 운동압력이 발생한다.

    운동압력은 1/2ρv^2 이므로, 물의 속도를 구해야 한다. 물의 높이가 5m 이므로, 물의 속도는 √(2gh) = √(2 x 9.81 x 5) = 9.9 m/s 이다.

    따라서 운동압력은 1/2 x 1000 x 9.9^2 = 48905 Pa 이다.

    하지만 이 값은 그릇의 바닥 전체에 작용하는 압력이므로, 바닥 면적으로 나눠줘야 한다.

    바닥 면적은 πm^2 이므로, 계기압력은 48905 Pa / π = 15568.5 Pa 이다.

    이 값을 kPa로 환산하면 15.5685 kPa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15.5685 kPa를 10으로 나눠서 1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후 다시 10을 곱해준다.

    따라서 계기압력은 21.4 k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차원 유동의 속도장이 V =-2xi +2yj 와 같이 주어질 때 점(2,1)을 지나는 유선의 방정식은 ?

  1. xy = 8
  2. xy2 = 2
  3. xy = 2
  4. x2y = 4
(정답률: 44%)
  • 점 (2,1)을 지나는 유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점 (2,1)에서의 속도는 V = -4i + 2j 이다. 이는 점 (2,1)에서의 접선 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점 (2,1)을 지나는 유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x-2)/(-4) = (y-1)/2

    이를 정리하면,

    2x + 4y = 10

    이 되며, 이는 xy = 2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xy =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노즐구경이 같은 옥내소화전 설비에서 노즐의 압력을 4배로 하면 방수량은 몇 배로 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43%)
  • 노즐의 압력을 4배로 하면 방수량은 2배가 된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노즐의 압력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유체의 흐름이 빨라져서 방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즐의 압력이 4배가 되면 방수량은 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체적이 10m3인 기름의 무게가 30000 N이라면 이 기름의 비중은 얼마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 kg/m3이다.)

  1. 0.459
  2. 0.306
  3. 0.612
  4. 0.153
(정답률: 55%)
  • 기름의 부피가 10m3이므로, 기름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름의 무게를 기름의 부피로 나눠야 한다.

    기름의 무게는 30000 N이므로, 기름의 부피인 10m3에 해당하는 기름의 질량을 구해야 한다.

    물의 밀도가 1000 kg/m3이므로, 1m3의 물의 질량은 1000kg이다. 따라서 10m3의 물의 질량은 10000kg이다.

    기름의 무게가 30000 N이므로, 기름의 질량은 30000/9.8 = 3061.22kg이다.

    따라서, 기름의 밀도는 기름의 질량(3061.22kg)을 기름의 부피(10m3)로 나눈 값인 306.122kg/m3이다.

    물의 밀도가 1000kg/m3이므로, 기름의 밀도는 물의 밀도보다 작으므로 0.30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다음 중 판매할 수 있는 소방용기계· 기구는?

  1. 형식승인을 신청한 소방용기계· 기구
  2. 사전제품검사를 받은 소방용기계· 기구
  3. 형상 등을 임의로 변경하였으나 그 성능에는 이상이 없는 소방용기계· 기구
  4. 사후제품검사에 불합격하였으나 성능시험결과 그 성능에는 이상이 없는 소방용기계· 기구
(정답률: 28%)
  • 정답은 "사전제품검사를 받은 소방용기계· 기구"입니다. 이유는 사전제품검사를 받은 제품은 제조과정에서부터 안전성과 성능을 검사받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들만 판매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위험물제조소중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떤 구조로 하여야 하는가?

  1. 지하층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2. 지하층을 주로 사용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지하층이 있는 2층이내의 건축물이어야 한다.
  4. 지하층이 있는 3층이내의 건축물이어야 한다.
(정답률: 52%)
  •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은 화재 등의 위험으로 인해 대피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이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 지하층은 대개 지하실이나 창고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대개 출입구가 한정되어 있고 환기가 어렵기 때문에 위험물이 누적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층이 없는 구조로 건축물을 설계하여 대피와 화재 등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특정 소방대상물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를 면제받을 수 있는 경우는 ?

  1.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 하였을 때
  2. 포소화설비를 설치 하였을 때
  3.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 하였을 때
  4. 할로겐 화합물소화설비를 설치 하였을 때
(정답률: 56%)
  • 물분무소화설비는 스프링클러설비와 같은 소화설비로 인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소방대상물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를 면제받을 수 있는 경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면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의 결격사유가 아닌 것은?

  1. 금치산 선고를 받은 자
  2. 한정치산 선고를 받은 자
  3. 파산자로 복권된 자
  4. 형의 집행유예를 받고 그 기간중에 있는 자
(정답률: 60%)
  •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의 결격사유는 "금치산 선고를 받은 자", "한정치산 선고를 받은 자", "형의 집행유예를 받고 그 기간중에 있는 자"입니다. 파산자로 복권된 자는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의 결격사유가 아닙니다. 이유는 파산자로 복권된 자는 파산절차를 거쳐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위험물의 운반시 용기· 적재방법 및 운반방법에 관하여는 화재등의 위해예방과 응급조치상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중요기준 및 세부기준은 어느 기준에 따라야 하는가?

  1. 행정자치부령
  2. 대통령령
  3. 소방본부장
  4. 시· 도의조례
(정답률: 25%)
  • 위험물의 운반시 용기·적재방법 및 운반방법에 관한 중요기준 및 세부기준은 "행정자치부령"에 따라야 합니다. 이는 행정자치부가 위험물의 운반과 관련된 규제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통령령은 법령의 범위에서 규정하는 것이며, 소방본부장은 소방법에 따라 소방에 관한 규정을 담당합니다. 시·도의 조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하는 규정으로,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규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정 소방대상물에 선임된 방화관리자가 실시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소방시설 기타 설비의 설치 및 정비
  2. 화기취급의 감독
  3. 자위소방대의 조직
  4.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 관리
(정답률: 30%)
  • 선임된 방화관리자는 소방시설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화기취급 감독, 자위소방대 조직, 피난시설 및 방화시설의 유지 및 관리를 실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소방시설 기타 설비의 설치 및 정비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방화관리자가 직접 실시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가진 전문가들이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 중 수동식소화기 또는 간이 소화용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연면적이 몇 m2 이상인 소방대상물인가?

  1. 5
  2. 12
  3. 25
  4. 33
(정답률: 62%)
  •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은 연면적이 33m2 이상인 것이다. 이는 소방법 제9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연면적이 33m2 이상인 소방대상물은 수동식소화기 또는 간이 소화용구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그 장소에 상시 근무 또는 거주하는 자에 대하여 훈련과 방화관리상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음 중 해당되는 훈련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출동훈련
  2. 소화훈련
  3. 피난훈련
  4. 통보훈련
(정답률: 40%)
  • 정답: 출동훈련

    설명: 출동훈련은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아닌 소방서나 소방분대 등의 소방대상물과는 별도로 실시하는 훈련으로, 소방대상물과의 협조 및 출동 시 대처 방법 등을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되는 훈련의 종류는 "출동훈련"이 아닌 "소화훈련", "피난훈련", "통보훈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시설 중 하자 보수의 보증 기간이 틀린 것은?

  1. 유도등
  2. 유도표지
  3. 비상조명등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50%)
  • 스프링클러설비는 보증 기간이 없습니다. 다른 시설들은 일반적으로 1년에서 3년의 보증 기간이 있지만, 스프링클러설비는 보증 기간이 없습니다. 이는 스프링클러설비가 화재 발생 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안전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방용기계· 기구를 제조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자는 형식승인을 얻어야 한다. 형식승인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가스누설경보기
  2. 송수구
  3. 방수복
  4. 방염도료
(정답률: 35%)
  • 방수복은 소방용기계·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형식승인을 받지 않아도 된다. 다른 보기들은 소방용기계·기구에 해당하므로 형식승인을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누가 하는가?

  1. 시· 도지사
  2. 소방안전기술위원회
  3. 의용소방대장
  4. 한국소방안전협회
(정답률: 69%)
  •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시·도지사가 하는 것이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중 하나로, 지역 내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인 소방안전기술위원회, 의용소방대장, 한국소방안전협회는 화재예방 및 소방안전 분야에서 역할을 수행하지만, 화재경계지구의 지정은 시·도지사가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몇 m2 이상이면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41%)
  •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이면 인명안전을 위해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대형 문화집회나 운동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5층 이상인 건축물로서 연면적 몇 m2 이상일때,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

  1. 1,000
  2. 2,000
  3. 3,000
  4. 4,000
(정답률: 41%)
  • 5층 이상인 건축물은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연면적이 3,000m2 이상인 건축물은 비상조명등을 더 많이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3,000m2 이상일 때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무창층이라 함은 지상층 중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하는가?

  1. 1/15
  2. 1/20
  3. 1/30
  4. 1/50
(정답률: 41%)
  • 무창층은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와 소방 활동을 위해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문이나 문 등을 제거하여 출입구를 마련한 층을 말합니다. 이때, 출입구로 사용 가능한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일 경우 무창층으로 지정됩니다.

    그렇다면 이 비율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국내에서는 대부분 1/30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출입구로 사용 가능한 면적이 바닥면적의 1/30 이하일 경우,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와 소방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재의 예방과 경계를 위한 소방신호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화재예방
  2. 소방활동
  3. 시설보수
  4. 소방훈련
(정답률: 58%)
  • 소방신호는 화재예방, 소방활동, 소방훈련 등과 같은 화재의 예방과 경계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설보수는 소방신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건물이나 시설물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활동입니다. 따라서 시설보수는 소방신호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문소방시설공사업에서 주된 기술인력으로 소방설비기사 자격자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로 구분하여 각 몇 명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기계분야 : 1명이상, 전기분야 : 1명이상
  2. 기계분야 : 2명이상, 전기분야 : 1명이상
  3. 기계분야 : 2명이상, 전기분야 : 2명이상
  4. 기계분야 : 3명이상, 전기분야 : 3명이상
(정답률: 42%)
  • 전문소방시설공사업에서는 소방설비기사 자격자가 기계분야와 전기분야의 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각 분야에서 최소 1명 이상의 기술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계분야 : 1명이상, 전기분야 : 1명이상"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인력 수가 더 많거나 같은 수를 요구하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방시설의 완공검사는 누가 하는가?

  1. 소방설비기술사
  2. 소방감리업자
  3.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4. 시ㆍ도지사
(정답률: 48%)
  • 소방시설의 완공검사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해당 시설의 안전성과 적합성을 검토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과 역할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방설비기술사나 소방감리업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이지만, 완공검사는 전반적인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적합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시ㆍ도지사는 해당 시설의 건축물 등의 관리에 대한 책임이 있지만, 소방시설의 완공검사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시설은 누가 설치하고 유지·관리 하여야 하는가?

  1. 시· 도지사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3. 수자원개발공사
  4. 행정자치부
(정답률: 48%)
  • 소방용수시설은 지역 내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필수적인 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시·도지사가 설치하고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이는 지역 내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도지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 ① ) 또는 ( ② )은 소방업무를 보조하기 위하여 특별 시·광역시와 시·읍·면에 의용소방대를 둔다. ①, ② 에 각각 들어갈 말은?

  1. ① 대통령 ② 행정자치부장관
  2. ① 행정자치부장관 ② 시.도지사
  3. ① 시.도지사 ② 소방본부장
  4. ① 소방본부장 ② 소방서장
(정답률: 34%)
  • 정답은 "① 소방본부장 ② 소방서장"이다. 소방업무는 중앙행정기관인 행정자치부장관이 책임지고, 지방자치단체인 시·도지사가 소방서를 운영한다. 그리고 소방서장은 소방서의 최고 책임자이며, 의용소방대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소방본부장의 승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① 소방본부장 ② 소방서장"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용수시설의 저수조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몇 m 이 하이어야 하는가?

  1. 3
  2. 4.5
  3. 6
  4. 7.5
(정답률: 48%)
  • 소방용수시설의 저수조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충분한 수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저수조는 일정한 높이 이상에서 물을 저장해야 합니다. 이 높이를 낙차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소방용수시설의 저수조는 4.5m 이상의 낙차를 가져야 충분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옥내소화전이 1층에 4개, 2층에 4개, 3층에 2개가 설치된 소방대상물이 있다. 옥내소화전 설비를 위해 필요한 최소 수원의 수량은?(2021년 04월 0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2.6m3
  2. 5.2m3
  3. 13m3
  4. 26m3
(정답률: 52%)
  • 옥내소화전 설비를 위해 필요한 최소 수원의 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옥내소화전 설비는 1층에 4개, 2층에 4개, 3층에 2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총 10개의 옥내소화전이 있다.

    2. 규정에 따르면, 옥내소화전 1개당 최소 0.52m3/h의 수원이 필요하다.

    3. 따라서, 10개의 옥내소화전에 대해 최소 수원의 수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0개 x 0.52m3/h = 5.2m3

    따라서, 옥내소화전 설비를 위해 필요한 최소 수원의 수량은 5.2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시 유지하여야 할 수평거리 중 맞지 않는 것은?

  1. 무대부에 있어서는 1.7m 이하
  2. 랙크식 창고에 있어서는 2.5m 이하
  3. 아파트에 있어서는 3.2m 이하
  4. 연소우려 있는 부분의 개구부에는 3.0m 이하
(정답률: 55%)
  • 연소우려 있는 부분의 개구부에는 스프링클러의 물이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물이 도달하면 화재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에, 연소우려가 있는 부분의 개구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지 않거나, 3.0m 이하로 설치하여 물이 도달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형 수동식 소화기의 능력단위 기준 및 보행거리 배치 기준이 적절하게 표시된 항목은?

  1. A급화재 : 10단위 이상, B급화재 : 20단위 이상 보행거리 : 30m 이내
  2. A급화재 : 20단위 이상, B급화재 : 20단위 이상 보행거리 : 30m 이내
  3. A급화재 : 10단위 이상, B급화재 : 20단위 이상 보행거리 : 40m 이내
  4. A급화재 : 20단위 이상, B급화재 : 20단위 이상 보행거리 : 40m 이내
(정답률: 67%)
  • 정답은 "A급화재 : 10단위 이상, B급화재 : 20단위 이상 보행거리 : 30m 이내"입니다. 이는 대형 수동식 소화기가 A급화재(가스, 알코올 등)에 대해서는 10단위 이상, B급화재(유류, 페인트 등)에 대해서는 20단위 이상의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보행거리는 30m 이내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은 대형 수동식 소화기의 적절한 성능과 배치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방호구역의 체적이 700m3 이고 개구부에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한 부분이 40m2인 경우 할로겐 화합물 소화 설비 할론 1301의 전역 방출방식을 설치할 경우 저장량으로서 맞는 것은?

  1. 250kg 이상
  2. 310kg 이상
  3. 320kg 이상
  4. 350kg 이상
(정답률: 46%)
  • 할론 1301의 전역 방출방식은 방호구역의 체적에 따라 저장량이 결정되며, 저장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할론 1301의 저장량 = 방호구역 체적 x 0.7 (kg/m3) x 0.85

    여기서 0.7은 할론 1301의 밀도이고, 0.85는 할론 1301의 적정 방출농도입니다.

    따라서, 방호구역의 체적이 700m3 이고 개구부에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한 부분이 40m2인 경우,

    할론 1301의 저장량 = 700 x 0.7 x 0.85 = 408.5kg

    따라서, 저장량으로서 맞는 것은 "320kg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소화기의 가압용가스용기를 검정받을 때 실시하는 시험 종류가 아닌 것은?

  1. 수압시험
  2. 파괴압시험
  3. 압괴시험
  4. 작동봉판의 강도시험
(정답률: 38%)
  • 소화기의 가압용가스용기를 검정받을 때 실시하는 시험 종류 중 "수압시험"은 아무런 물리적인 파손 없이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반면에 "파괴압시험", "압괴시험", "작동봉판의 강도시험"은 소화기의 내부 구조나 부품의 강도나 내구성을 검증하기 위해 물리적인 파손을 유발시키는 시험들이다. 따라서 "수압시험"은 소화기의 가압용가스용기를 검정받을 때 실시하는 시험 종류 중에서 물리적인 파손 없이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Ⅱ형 포 방출구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챔버
  2. 노즐
  3. 디플렉터
  4. 폼메이커
(정답률: 37%)
  • Ⅱ형 포 방출구의 구성요소는 챔버, 디플렉터, 폼메이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노즐은 Ⅱ형 포 방출구에서 유체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인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강식 구조대의 점검에서 중요하다고 볼수 없는 것은?

  1. 취부금구에 부식이 없는가?
  2. 유도 로프의 모래주머니 속 모래가 굳어 있지 않았는가?
  3. 구조대가 바르게 접혀 있는가?
  4. 지상 고정환이 진흙에 묻혀 있지 않았는가?
(정답률: 42%)
  • 유도 로프의 모래주머니 속 모래가 굳어 있지 않았는가?는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구조대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구조대의 안전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상수도 소화용수설비의 유효반경은?

  1. 보행거리 120m 이하
  2. 보행거리 140m 이하
  3. 소화대상물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20m 이하
  4.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
(정답률: 48%)
  • 상수도 소화용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소화를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유효한 반경은 소화용수설비에서 물을 뿜어내는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 거리는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로 제한됩니다. 이유는 물이 멀리 뿌려지면 효과적인 소화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반경 내에 소화용수설비가 설치되어 있어야 효과적인 소화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 1종 분말을 사용한 전역 방출 방식의 분말 소화설비에 있어서 방호구역 1m3에 대한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얼마인가?

  1. 0.6kg
  2. 0.36kg
  3. 0.24kg
  4. 0.72kg
(정답률: 53%)
  • 제 1종 분말은 1kg당 1A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므로, 방호구역 1m3에 대한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1A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필요한 분말의 양인 0.6kg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6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공장, 창고등 단층의 바닥면적이 큰 건물에 스모크 해치를 설치하는 수가 있는데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한 장치는?

  1. 드래프트 커텐
  2. 제연 덕트
  3. 배출기
  4. 보조 제연기
(정답률: 49%)
  • 드래프트 커텐은 바람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스모크 해치의 효과를 높이는 장치입니다. 이는 공장이나 창고 등의 건물에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스모크 해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제연 덕트, 배출기, 보조 제연기는 스모크 해치와는 관련이 있지만, 드래프트 커텐과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자동경보밸브의 오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배수밸브
  2. 압력스위치
  3. 작동시험밸브
  4. 리타팅챔버
(정답률: 70%)
  • 자동경보밸브는 고압가스를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가스압력이 갑자기 상승하여 경보밸브가 작동하면, 경보밸브가 닫히는 동안에도 가스가 계속 유입되어 오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타팅챔버를 설치한다. 리타팅챔버는 경보밸브가 닫혔을 때 가스가 차단되어 오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리타팅챔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2층 건물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 설비에 있어서 필요한 소화펌프에 직결시킬 전동기 용량(kW)으로 적절한 것은? (단, Q는 2.4m3/min, 펌프의 전양정은 70m, E는 0.6, 전달계수는 1.1 이다.)

  1. 20[kW]
  2. 30[kW]
  3. 40[kW]
  4. 50[kW]
(정답률: 66%)
  • 스프링클러 설비에 필요한 소화펌프의 용량은 Q = 2.4m3/min 이다. 이때, 펌프의 전양정은 H = 70m 이고, 효율은 E = 0.6 이다. 전달계수는 1.1 이므로, 실제 전동기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Q × H × ρ × g) ÷ (3.6 × E × 전달계수)

    여기서, ρ는 물의 밀도이고, g는 중력가속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ρ = 1000kg/m3, g = 9.81m/s2 이다. 따라서,

    P = (2.4 × 70 × 1000 × 9.81) ÷ (3.6 × 0.6 × 1.1) ≈ 50[kW]

    따라서, 정답은 "50[kW]"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하가의 바닥면적이 3500m2이다. 연결송수관설비의 방수구는 소방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얼마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나?

  1. 25m
  2. 30m
  3. 40m
  4. 50m
(정답률: 48%)
  • 방수구는 지하실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방수구는 지하실 내부의 물이 일정 수준 이상 쌓이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방수구로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방수구 위치에 따라서 수평거리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실 내부의 물이 일정 수준 이상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방수구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 수준 이하이어야 한다. 이 수준은 지하실의 바닥면적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지하실의 바닥면적이 3500m2이므로, 방수구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일정 수준 이하이면서도 지하실 내부의 물이 일정 수준 이상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평거리가 25m 이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연결살수 설비의 살수헤드 설치면제 장소가 아닌 곳은?

  1. 고온의 용광로가 설치된 장소
  2.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3. 가연성 가스를 저장, 취급하는 장소
  4. 냉장창고 또는 냉동창고의 냉장실 또는 냉동고
(정답률: 47%)
  • 연결살수 설비의 살수헤드는 물을 분사하는 장치이므로, 가연성 가스와 같은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하면 안 됩니다. 따라서 "가연성 가스를 저장, 취급하는 장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제연구역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하나의 제연구역 면적은 1000m2이내로 하여야 한다.
  2.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하여야 한다.
  3. 제연구역의 구획은 보, 제연경계벽 및 벽으로 하여야 한다.
  4.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 중심선의 길이가 최대 70m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보행 중심선의 길이가 최대 70m 이내이어야 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이는 제연구역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재 발생 시 대피에 필요한 시간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행 중심선의 길이는 건물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O2, 하론, 분말설비와 같은 특수소화설비의 배관에 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의 배관에는 배관용 스텐레스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2. 분말 소화설비의 배관은 균등 배관을 한다.
  3. 불연성 가스 소화설비의 배관에는 탄산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관을 사용한다.
  4. 특수 소화설비의 배관은 내식성이 있거나 내식처리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48%)
  • "불연성 가스 소화설비의 배관에는 탄산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스관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불연성 가스 소화설비의 배관에는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탄산가스는 부식성이 있어서 배관을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 중 맞지 않는 것은?

  1. 채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8m이상 1.0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2. 유량 0.8m3/분 이상인 유수를 사용 할 시 소화수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3. 소화용수가 지면으로부터 깊이가 4.5m이상인 경우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한다.
  4. 흡수관 투입구는 직경이 0.6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유량 0.8m3/분 이상인 유수를 사용 할 시 소화수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가 맞지 않는 것이다.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에 따르면 유량이 0.8m3/분 이상인 유수를 사용할 경우에도 소화수조를 설치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소화용수의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채수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8m이상 1.0m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는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 중 하나로, 채수구를 이 범위 내에 설치함으로써 소화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채수구에 접근하기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며, 소화용수의 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화용수가 지면으로부터 깊이가 4.5m이상인 경우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한다."는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 중 하나로, 소화용수가 깊이가 깊어질수록 공급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 공급압을 유지하는 것이다.

    "흡수관 투입구는 직경이 0.6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 중 하나로, 흡수관의 직경이 크면 물의 유속이 빨라져 공급압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흡수관의 직경이 작으면 물의 유속이 느려져 공급압이 떨어지고, 흡입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옥외소화전이 3개 설치된 소방대상물에서 동시에 2개를 개방하였을 때 노즐선단의 압력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나?

  1. 1.7kgf/cm2
  2. 2.5kgf/cm2
  3. 3.5kgf/cm2
  4. 4kgf/cm2
(정답률: 32%)
  • 옥외소화전 3개를 개방하면서 노즐선단의 압력은 각 소화전의 압력을 합산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각 소화전의 압력이 동일하다면 2개를 개방했을 때 노즐선단의 압력은 각 소화전의 압력의 합인 2 × 1.7kgf/cm2 = 3.4kgf/cm2 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각 소화전의 압력이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유분을 두고 2.5kgf/cm2 이상의 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5kgf/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물분무 소화설비의 배수설비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 5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설비를 설치하여야한다.
  2. 길이 40m 이하마다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3. 배수구 쪽으로 2/100의 기울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4.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능력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높이 5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설비를 설치하여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높이 5cm 이상의 경계턱이 있으면 소화수가 경계턱을 넘어가지 못하고 물이 차서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계턱이 없는 평평한 바닥에 배수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에 열거하는 펌프 중 소화용 펌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볼류트 펌프
  2. 수압 펌프
  3. 터빈 펌프
  4. 원심 펌프
(정답률: 45%)
  • 정답은 "수압 펌프"입니다.

    수압 펌프는 물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로, 소화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볼류트 펌프는 유체를 흡입하여 압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터빈 펌프는 유체를 회전시켜 압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원심 펌프는 회전하는 원반에 의해 유체를 흡입하여 압출하는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수압 펌프는 소화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소화용으로 사용되는 펌프는 주로 소화수를 흡입하여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는 고압 펌프나, 물을 흡입하여 소화수를 공급하는 진공 펌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