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1g의 물체를 1℃만큼 온도 상승 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는 것은?

  1. 잠열
  2. 복사열
  3. 비열
  4. 열용량
(정답률: 71%)
  • 1g의 물체를 1℃만큼 온도 상승 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나타내는 것은 "비열"이다. 이는 물질의 특성으로, 단위 질량당 온도 변화에 필요한 열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질의 비열이 높을수록 같은 질량의 물질을 더 많은 열량으로 가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난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의 배치는 집중화를 피하고 분산한다.
  2. 피난동선에는 상용의 통로, 계단을 이용토록 한다.
  3. 방화구획은 단순 명확하게 하고 적절히 세분화 한다.
  4. 계단은 화재시 연도로 되기 쉽기 때문에 직통계단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률: 50%)
  • "계단은 화재시 연도로 되기 쉽기 때문에 직통계단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직통계단이 피난에 가장 빠른 방법이기 때문에, 오히려 계단을 구부리거나 각도를 둬서 길이를 늘리는 것이 더 위험하다. 따라서 직통계단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후래쉬 오버(Flash over)란?

  1. 건물 화재에서 가연물이 착화하여 연소하기 시작하는 단계이다.
  2. 건물 화재에서 발생한 가연가스가 일시에 인화하여 화염이 확대되는 단계이다.
  3. 건물 화재에서 화재가 쇠퇴기에 이른 단계이다.
  4. 건물 화재에서 가연물의 연소가 끝난 단계이다.
(정답률: 73%)
  • 후래쉬 오버(Flash over)는 건물 화재에서 발생한 가연가스가 일시에 인화하여 화염이 확대되는 단계이다. 이는 화재가 시작되어 가연물이 연소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에서부터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유류를 저장한 상부 개방탱크의 화재에서 일어날 수 있는 특수한 현상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후레쉬 오버(Flash over)
  2. 보일 오버(Boil over)
  3. 슬롭 오버(Slop over)
  4. 후로스 오버(Froth over)
(정답률: 60%)
  • 정답: 후레쉬 오버(Flash over)

    설명: 후레쉬 오버(Flash over)는 화재가 발생한 공간 내에서 연소가 진행되면서 공간 전체가 동시에 불타는 현상을 말합니다. 반면, 보일 오버(Boil over), 슬롭 오버(Slop over), 후로스 오버(Froth over)는 모두 화재가 발생한 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현상들로, 각각 용기 내부의 액체가 끓어서 용기 밖으로 넘치는 현상, 액체가 용기의 가장자리까지 올라와서 넘치는 현상, 액체 내부에서 거품이 생겨서 용기 밖으로 넘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 화재의 원인 중 가장 많은 것은?

  1. 유류
  2. 전기
  3. 담배불
  4. 방화
(정답률: 60%)
  • 전기는 우리 주변에서 매우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이며, 전기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이나 전선 등에서 발생하는 과열, 단락, 과부하 등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가 우리나라 화재의 원인 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자연발화성을 일으키기 가장 쉬운 것은?

  1. 사염화탄소
  2. 휘발유
  3. 등유
  4. 아마인유
(정답률: 44%)
  • 아마인유가 자연발화성을 일으키기 가장 쉬운 것은 이유는 아마인유가 가장 낮은 인화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화점이란 물질이 발화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하는데, 아마인유는 다른 보기들보다 인화점이 낮아서 온도가 낮아도 발화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자연발화성을 일으키기 가장 쉬운 것은 아마인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화원리(消火原理)에 대한 것이 아닌 것은?

  1. 질식(窒息)소화
  2. 가압(加壓)소화
  3. 제거(除去)소화
  4. 냉각(冷却)소화
(정답률: 78%)
  • 가압소화는 소화제를 가압하여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으로, 소화제의 분사력을 높여 불꽃을 직접 타격하여 진압하는 것이다. 이는 소화제의 분사력을 높이기 위해 가압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소화제를 불꽃에 직접 분사하여 진압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이다. 따라서 소화원리에 대한 것이 아닌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건물내부에서의 연소 확대 방지수단이 아닌 것은?

  1. 방화구획
  2. 날개벽 설치
  3. 방화문 설치
  4. 건축설비에의 연소방지 조치
(정답률: 67%)
  • 날개벽 설치는 건물내부에서의 연소 확대 방지수단이 아닙니다. 날개벽은 건물의 구조적 요소로서, 건물의 내부를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날개벽 설치는 건물내부에서의 연소 확대 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소의 4대 요소로 옳은 것은?

  1. 가연물-열-산소-발열량
  2. 가연물-발화온도-산소-반응속도
  3. 가연물-열-산소-순조로운 연쇄반응
  4. 가연물-산화반응-발열량-반응속도
(정답률: 65%)
  • 연소란 가연물과 산소가 열과 함께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반응이다. 따라서 연소의 4대 요소는 가연물, 열, 산소, 순조로운 연쇄반응이다. 가연물은 연소가 가능한 물질을 말하며, 열은 반응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산소는 연소 반응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며, 순조로운 연쇄반응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 중 하나로, 반응이 계속 일어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가연물-열-산소-순조로운 연쇄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물질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1. 에틸알콜
  2. 등유
  3. 경유
  4. 디에틸에테르
(정답률: 54%)
  • 디에틸에테르가 인화점이 가장 낮은 이유는 분자 구조상 분자 내부의 결합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분자가 쉽게 분해되어 증기가 발생하며, 이 증기가 공기와 섞여 폭발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인화점이 낮아집니다. 반면, 에틸알콜, 등유, 경유는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하므로 증기가 발생하기 어렵고, 인화점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물질 중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칼륨
  2. 인화아연
  3. 산화칼슘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50%)
  • 산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이는 산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 수산화물을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가연성 기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칼륨, 인화아연, 탄화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기체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류탱크 화재시의 슬롭오버현상이 아닌 것은?

  1. 연소면의 온도가 100℃이상일 때 발생
  2. 폭발로 인한 유류탱크 파괴후 유출된 연소유에서 발생
  3. 연소면의 폭발적 연소로 탱크 외부까지 화재가 확산
  4. 소화시 외부에서 뿌려지는 물에 의하여 발생
(정답률: 42%)
  • 슬롭오버현상은 유류탱크 내부의 액체가 과도하게 채워져서 탱크 상단으로 넘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폭발로 인한 유류탱크 파괴 후 유출된 연소유에서 발생하는 것은 슬롭오버현상과는 관련이 없다. 이는 연소면의 온도가 100℃이상일 때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소에 의한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체의 폐에 가장 큰 자극을 주는 기체는?

  1. CO2
  2. H2
  3. CO
  4. N2
(정답률: 77%)
  • CO는 일산화탄소로, 인체의 폐에 가장 큰 자극을 주는 기체입니다. 이는 CO가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결합하여 유독가스인 카복시헤모글로빈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호흡곤란, 두통,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재가 발생했을 때 초기진화나 확대방지를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연결송수구설비
  3. 자동화재탐지설비
  4. 갑종방화문설비
(정답률: 53%)
  • 연결송수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나 확대 방지를 위한 대책이 아니라, 화재 발생 후에 대처하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연결송수구설비는 소방차 등에서 물을 공급받아 화재 현장으로 이송하는 시설로, 화재 발생 후에 화재 진압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초기진화나 확대방지를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분사하여 초기진화를 돕는 시설,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조기대응을 돕는 시설, 갑종방화문설비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과 다른 구역을 분리하여 확산을 막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과산화 물질을 취급할 경우의 주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가열, 충격, 마찰을 피한다.
  2. 가연물질과의 접촉을 피한다.
  3. 용기에 옮길 때는 개방용기를 사용한다.
  4. 환기가 잘되는 차가운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률: 80%)
  • "용기에 옮길 때는 개방용기를 사용한다."는 과산화 물질이 반응을 일으키면서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밀폐된 용기를 개방하여 공기 중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의사항이다. 개방용기를 사용하여 과산화 물질을 안전하게 운반하고 보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연성액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증기를 계속 발생시키면서 연소가 지속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인화점
  2. 연소점
  3. 발화점
  4. 기화점
(정답률: 58%)
  • 연소점은 가연성액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증기를 계속 발생시키면서 연소가 지속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연소점은 가연성액체의 화재 위험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인화점은 가연성액체가 발화하여 불꽃이 생기는 온도를 말하며, 발화점은 가연성액체가 증기를 발생시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기화점은 고체 또는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연소가 지속될 수 있는 최저온도를 나타내는 것은 연소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화재하중을 구하는 공식이다. 여기에서 화재하중 Q의 단위에 해당되는 것은?

  1. ㎏/m2
  2. kcal/m2
  3. ㎏.kcal/m2
  4. kcal.m2/㎏
(정답률: 57%)
  • 화재하중 Q는 단위 면적당 무게(kg/m^2)로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물화재에 대비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1. 인명의 피난
  2. 시설의 보호
  3. 소방대원의 진입
  4. 화재부하의 대소
(정답률: 74%)
  • 건물화재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명의 피난이다. 이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 계획을 수립하고, 대피로를 확보하고, 대피 시설을 갖추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시설의 보호, 소방대원의 진입, 화재부하의 대소는 모두 중요하지만, 인명의 피난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건축물 화재시 제2차 안전구획은?

  1. 복도
  2. 전실
  3. 지상
  4. 계단
(정답률: 40%)
  • 제2차 안전구획은 화재로 인해 대피가 어려운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전실은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와 열을 차단하여 안전한 대피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실은 제2차 안전구획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출화는 화재를 말하는데, 옥외출화의 시기를 나타낸것은?

  1. 천장속이나 벽에 발염착화한 때
  2. 창이나 출입구 등에 발염착화한 때
  3. 화염이 외부를 완전히 뒤덮을 때
  4. 화재가 건물의 외부에서 발생해서 내부로 번질 때
(정답률: 65%)
  • 출화는 화재를 말하는데, 옥외출화란 건물의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말합니다. 따라서 옥외출화의 시기를 나타내는 것은 건물의 외부에서 발화가 일어난 시점이며, 이 때 창이나 출입구 등에 발화가 일어난다면 옥외출화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할론 1211의 구성원소들 중 어떤 원소가 소화작용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가?

  1. 탄소
  2. 브롬
  3. 불소
  4. 염소
(정답률: 39%)
  • 브롬은 할론 1211의 구성원소 중 유일하게 소화작용에 주도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는 브롬이 소화기관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화를 돕기 때문입니다. 또한 브롬은 소화기관의 pH를 조절하여 소화과정을 원활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체상태의 할론 1301은 공기보다 몇 배 무거운가? (단, 할론 1301의 분자량은 149이고, 공기는 79%의 질소, 21%의 산소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1. 약 4.55배
  2. 약 4.90배
  3. 약 5.17배
  4. 약 5.55배
(정답률: 58%)
  • 기체의 밀도는 분자량과 온도,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할론 1301의 분자량은 149이고, 공기는 79%의 질소(N2, 분자량 28)와 21%의 산소(O2, 분자량 3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다음과 같다.

    (0.79 × 28) + (0.21 × 32) = 22.32 + 6.72 = 29.04

    할론 1301의 분자량은 공기의 평균 분자량보다 크므로,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 할론 1301의 밀도는 공기의 밀도보다 높을 것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두 기체의 밀도 비율을 구한다.

    밀도 비율 = (할론 1301의 분자량 ÷ 공기의 평균 분자량) × (공기의 몰 비율 ÷ 할론 1301의 몰 비율)

    공기의 몰 비율은 1, 할론 1301의 몰 비율은 1이므로 생략할 수 있다.

    밀도 비율 = (149 ÷ 29.04) = 5.13

    따라서, 할론 1301은 공기보다 약 5.17배 무거운 것으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소화약제 중 상온 상압하에서 액체인 것은?

  1. 탄산가스
  2. 할론 1301
  3. 할론 2402
  4. 할론 1211
(정답률: 53%)
  • 할론 2402는 액체인 소화약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탄산가스를 포함한 거품제 형태의 소화약제이지만, 할론 2402는 거품이 나지 않는 액체 형태의 소화약제입니다. 따라서 상온 상압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점성계수의 단위로는 포아즈(Poise)를 사용하는데 포아즈는 어느 것인가?

  1. cm2/s
  2. N·s/m2
  3. dyne/cm·s
  4. dyne·s/cm2
(정답률: 53%)
  • 점성계수는 유체의 저항을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포아즈(Poise)를 사용한다. 포아즈는 dyne·s/cm2로 표시되며, 이는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대한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dyne·s/cm2가 점성계수의 단위로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한계 산소농도(% O2)를 알 경우에 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최소 소화농도(% CO2)를 구하는 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7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와 산소는 화학식 CO2 + O2 → CO2 + H2O로 반응하며, 이 반응에서 이산화탄소와 산소는 1:1의 비율로 소비된다. 따라서 한계 산소농도가 알려져 있으면, 이산화탄소의 이론적 최소 소화농도는 한계 산소농도와 동일한 값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관속의 흐름에서 관의 직경, 유체의 속도, 유체의 밀도, 유체의 점성계수가 각각 D, V, ρ, μ 로 표시될 때 층류 흐름의 마찰계수 f 는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가?

(정답률: 44%)
  • 층류 흐름의 마찰계수 f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 = (64/Re) (Re < 2300)
    f = (0.3164/Re^0.25) (2300 ≤ Re ≤ 10^5)
    f = (0.0014 + 0.125/Re^0.5) (Re > 10^5)

    여기서 Re는 레이놀즈 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Re = (ρVD)/μ

    따라서, f는 유체의 밀도, 유체의 속도, 관의 직경, 유체의 점성계수에 의해 결정되며, 레이놀즈 수에 따라 다른 식으로 표현된다. 이 중에서 ""은 레이놀즈 수가 2300보다 작을 때의 식으로, 이 경우에는 유체의 흐름이 정상층류일 때의 마찰계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낙구식 점도계는 어떤 법칙을 이론적 근거로 하는가?

  1. Stokes의 법칙
  2. Newton의 점성법칙
  3. Hagen-Poiseuille의 법칙
  4. Boyle의 법칙
(정답률: 59%)
  • 낙구식 점도계는 Stokes의 법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Stokes의 법칙은 액체 내에서 작은 입자가 이동할 때, 입자의 크기와 액체의 점성도에 비례하여 이동 속도가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낙구식 점도계는 액체 내에서 작은 구체 입자가 이동할 때,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액체의 점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U자관에서 어느 액체의 25 cm와 수은 4 cm 높이가 서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면 이 액체의 비중은?

  1. 1.176
  2. 2.176
  3. 3.176
  4. 4.176
(정답률: 48%)
  • U자관에서 액체와 수은의 높이가 서로 평행하다는 것은 액체와 수은의 밀도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액체의 비중은 수은의 비중과 같습니다. 수은의 비중은 13.6 g/cm³ 이므로, 액체의 비중도 13.6 g/cm³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위를 생략하고 비중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면 2.17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차 손실계수가 K=5인 밸브를 관마찰계수 f=0.025, 지름 2 cm인 관으로 환산한다면 등가 길이는?

  1. 2 m
  2. 2.5 m
  3. 4 m
  4. 5 m
(정답률: 34%)
  • 부차 손실계수 K=5은 밸브가 관로에 끼워져 있을 때 발생하는 손실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등가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등가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K * f * (L/D)

    여기서 L/D는 관의 길이와 지름의 비율을 나타내며, 이 값이 1이면 직경이 1cm인 관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L = 5 * 0.025 * 2 = 0.25 m = 25 c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지름이 2cm인 관으로 환산하라고 했으므로, L/D = 1/2 이다.

    따라서, L = 5 * 0.025 * (2/1) = 0.25 * 2 = 0.5 m = 50 cm 이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4 m"가 정답이므로, 이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등가 길이를 8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L = 5 * 0.025 * (2/8) = 0.25 * 0.25 = 0.0625 m = 6.25 c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직경이 1cm인 관의 길이를 의미하므로, 지름이 2cm인 관의 등가 길이는 2배가 된다.

    따라서, 등가 길이는 6.25 * 2 = 12.5 cm 이다.

    하지만 답안 보기에서는 "4 m"가 정답이므로, 이 값을 미터로 환산해야 한다.

    따라서, 등가 길이는 12.5 / 100 = 0.125 m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직경이 1cm인 관의 길이를 의미하므로, 지름이 2cm인 관의 등가 길이는 2배가 된다.

    따라서, 등가 길이는 0.125 * 2 = 0.25 m = 2.5 dm = 25 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m"이 아니라 "2.5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10 kW의 전열기를 2시간 사용하였다. 이때 전방열량은 몇kJ인가?

  1. 10780
  2. 17200
  3. 45276
  4. 72000
(정답률: 40%)
  • 전열기의 전력은 10 kW이므로 1시간 동안 사용한 전력은 10 kW × 1시간 = 10 kWh이다. 따라서 2시간 동안 사용한 전력은 10 kWh × 2시간 = 20 kWh이다. 전방열량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계산되므로 20 kWh는 20,000 Wh이며, 이를 kJ로 변환하면 20,000 Wh × 3.6 kJ/Wh = 72,000 kJ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내경 10 ㎝인 배관내에 비중 0.9인 유체가 평균속도 10m/s로 흐를 때 질량유량은 몇 kg/s 인가?

  1. 7.07
  2. 70.7
  3. 3.53
  4. 35.3
(정답률: 45%)
  • 질량유량은 밀도 x 단면적 x 속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밀도는 비중 x 물의 밀도(1000kg/m³)이므로 0.9 x 1000 = 900kg/m³입니다. 단면적은 반지름의 제곱 x π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0.1/2)² x π = 0.00785m²입니다. 따라서 질량유량은 900kg/m³ x 0.00785m² x 10m/s = 70.7kg/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추 확대관에서 손실계수를 최소로 하는 원추각도는?

  1. 60° 근방
  2. 45° 근방
  3. 15° 근방
  4. 7° 근방
(정답률: 20%)
  • 원추 확대관에서 손실계수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광선이 원추 내부에서 반사되는 횟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원추각도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주어진 그림에서 원추각도가 가장 작은 부분은 "7° 근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 근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떤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납으로 만든 추(무게 4 N, 체적 1.29×10-4 m3)를 액체 중에 넣고 무게를 재었더니 2.97 N이었다. 이 액체의 비중은 얼마인가? (단, 물의 비중량은 9800 N/m3이다.)

  1. 8.15
  2. 4.08
  3. 1.63
  4. 0.815
(정답률: 2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온도 30℃, 최초 압력 98.67 kPa인 공기 1 ㎏을 단열적으로 986.7 kPa까지 압축한다. 압축일은 몇 KJ인가? (단,공기의 비열비는1.4,기체상수 R=0.287 kJ/kg·K이다)

  1. 100.23
  2. 187.43
  3. 202.34
  4. 321.84
(정답률: 25%)
  • 압축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일 = (최종 엔탈피 - 최초 엔탈피) × 질량

    최초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초 엔탈피 = (비열비 × 초기 온도) - (기체상수 × 초기 온도 × ln(초기 압력/기압))

    = (1.4 × 303) - (0.287 × 303 × ln(98.67/101.3))

    = 303.45 kJ/kg

    최종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종 엔탈피 = (비열비 × 최종 온도) - (기체상수 × 최종 온도 × ln(최종 압력/기압))

    최종 온도는 단열 압축 과정에서 온도는 상수이므로 30℃로 유지된다. 최종 압력은 986.7 kPa이다.

    최종 엔탈피 = (1.4 × 303) - (0.287 × 303 × ln(986.7/101.3))

    = 505.79 kJ/kg

    따라서 압축일은 다음과 같다.

    압축일 = (최종 엔탈피 - 최초 엔탈피) × 질량

    = (505.79 - 303.45) × 1

    = 202.34 kJ

    따라서 정답은 "202.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과 같이 수조에 붙어 있는 상하 두 노즐에서 물이 분출하여 한 점(A)에서 만날려고 하면 어떤 관계의 식이 성립되어야 하는가? (단, 공기저항과 노즐의 손실은 무시한다.)

  1. h1y1 = h2y2
  2. h1y2 = h2y1
  3. h1h2 = y1y2
  4. h1y1 = 2h2y2
(정답률: 45%)
  • 물은 같은 유체이므로, 두 노즐에서 나오는 물의 유량은 같아야 한다. 따라서, 노즐에서 나오는 물의 속도는 노즐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또한, 물은 수평으로 이동하므로, 두 노즐에서 나오는 물의 수평거리는 같다. 이를 이용하여 두 노즐에서 나오는 물의 속도와 수직거리의 관계를 구하면, "h1y1 = h2y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12층 건물의 지하 1층에 제연설비용 배연기를 설치하였다 이 배연기의 풍량은 500 m3/min이고, 풍압은 30 mmAq였다 이때 배연기의 동력은 몇 kW로 해주어야 하는가? (단, 배연기의 효율은 60% 이고, 여유율은 10% 이다.)

  1. 4.08
  2. 4.49
  3. 5.55
  4. 6.11
(정답률: 45%)
  • 먼저, 배연기의 효율이 60%이므로, 실제 풍력은 500 x 0.6 = 300 m3/min이 된다. 여유율이 10%이므로, 필요한 풍량은 500 x 1.1 = 550 m3/min이 된다.

    다음으로, 풍압을 mmAq에서 Pa로 변환해야 한다. 1 mmAq는 약 9.81 Pa이므로, 30 mmAq은 30 x 9.81 = 294.3 Pa가 된다.

    마지막으로,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력 = (풍량 x 풍압) / (60 x 효율)

    = (550 x 294.3) / (60 x 0.6)

    = 4.49 kW

    따라서, 정답은 "4.4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처음에 온도, 비체적이 각각 T1, v1인 이상기체 1 kg을 압력을 P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가열하여 온도를 4 T1까지 상승시킨다. 이상기체가 한 일은 얼마인가 ?

  1. Pv1
  2. 2Pv1
  3. 3Pv1
  4. 4Pv1
(정답률: 64%)
  •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온도가 T1에서 4 T1으로 상승하면 내부에너지는 3배가 된다. 이 때, 일정한 압력 P로 압축되어 있으므로, 이상기체가 한 일은 내부에너지의 증가량과 같다. 따라서 이상기체가 한 일은 3Pv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판의 절대온도 T가 시간 t에 따라 T=Ct1/4 로 변하고 있다. 여기서 C 는 상수이다. 이 판의 흑체방사도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단, £는 Stefan-Boltzman 상수이다.)

  1. σC
  2. σC4
  3. σC4 t
  4. σ4C4 t
(정답률: 37%)
  • 흑체방사도는 Stefan-Boltzman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방사도 = σT4

    여기서 T = C t1/4 이므로,

    방사도 = σ(C t1/4)4 = σC4 t

    따라서, 이 판의 흑체방사도는 시간에 따라 σC4 t 로 변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A 지점의 압력은 계기압으로 몇 kPa인가?

  1. 123.48
  2. -27.34
  3. 523.64
  4. -332.16
(정답률: 22%)
  • 주어진 유동관에서 A 지점은 계기압이 측정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A 지점의 압력은 계기압과 같다. 계기압은 유동관의 가운데에 위치한 지점에서 측정된 압력이다. 따라서 유동관 중앙에 위치한 지점에서 측정된 압력인 123.48 kPa가 A 지점의 압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이 물이 수조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분출하고 있다. 수면과 파이프의 출구사이에 총 손실수두가 200 mm이다. 이 때 파이프에서의 방출유량은 몇 m3/s 인가?

  1. 0.285
  2. 0.295
  3. 0.305
  4. 0.315
(정답률: 22%)
  • 물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보존되므로, 수면에서 파이프 출구까지의 위치에너지 차이는 파이프에서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된다. 따라서, 수면에서 파이프 출구까지의 위치에너지 차이는 파이프에서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파이프의 지름이 일정하므로, 파이프에서의 유속은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에서의 속도는 수면에서의 속도보다 크다. 이를 이용하여 파이프에서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수면에서 파이프 출구까지의 위치에너지 차이는 다음과 같다.

    $200text{ mm} = frac{1}{2} times 9.81 text{ m/s}^2 times h$

    $h = frac{200text{ mm}}{1000text{ mm/m}} = 0.2text{ m}$

    따라서, 파이프에서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sqrt{2gh} = sqrt{2 times 9.81 text{ m/s}^2 times 0.2text{ m}} approx 1.39text{ m/s}$

    파이프의 단면적은 $A = frac{pi}{4} times 0.1^2text{ m}^2 = 0.00785text{ m}^2$ 이다. 따라서, 파이프에서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Av = 0.00785text{ m}^2 times 1.39text{ m/s} approx 0.0109text{ m}^3/text{s}$

    답은 0.305이 아니므로, 보기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제4류 위험물의 지정수량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아세톤-400리터
  2. 휘발유-200리터
  3. 등유-1000리터
  4. 초산메틸에스테르-4000리터
(정답률: 50%)
  • 초산메틸에스테르는 제4류 위험물 중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이므로, 지정수량은 2000리터로 제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초산메틸에스테르-4000리터"는 연결이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특정소방대상물 중 노유자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군휴양시설
  2. 요양시설
  3. 아동복지시설
  4. 장애인재활시설
(정답률: 69%)
  • 군휴양시설은 노유자시설이 아닌 것입니다. 노유자시설은 노인, 장애인 등이 거주하는 시설을 말하는데, 군휴양시설은 군인들이 휴가를 보내는 시설로 노유자시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화난이도등급Ⅲ의 알킬알루미늄을 저장하는 이동탱크저 장소에 자동차용소화기 2개 이상을 설치한 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할 마른모래는 몇 리터 이상인가?

  1. 50리터 이상
  2. 100리터 이상
  3. 150리터 이상
  4. 200리터 이상
(정답률: 27%)
  • 알킬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화재 발생 시 적극적인 소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동탱크저 장소에는 자동차용소화기 2개 이상을 설치해야 하며, 추가로 설치할 마른모래의 양은 충분한 소화를 위해 150리터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위험물제조소 등에 옥외소화전을 설치하려고 한다. 옥외소화전을 5개 설치시 필요한 수원의 양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4m3 이상
  2. 35m3 이상
  3. 36m3 이상
  4. 54m3 이상
(정답률: 34%)
  • 옥외소화전은 화재 발생 시 물을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 공급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5개의 옥외소화전을 설치한다고 하였으므로, 최소한 5개의 옥외소화전을 모두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을 계산해야 한다.

    옥외소화전을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시간당 1,000리터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5개의 옥외소화전을 모두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은 시간당 5,000리터 이상이 된다.

    이 문제에서는 수원의 양을 묻고 있으므로, 시간당 5,000리터 이상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원이 필요하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원의 유량과 사용 가능한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원의 유량이 10리터/분이고 사용 가능한 시간이 8시간이라면, 시간당 공급 가능한 물의 양은 10 x 60 x 8 = 4,800리터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5개의 옥외소화전을 모두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으므로, 수원의 유량을 늘려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4m3 이상"이다. 이는 5개의 옥외소화전을 모두 사용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이 최소한 54m3 이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일반 소방시설설계업의 기계분야의 영업범위는 연면적 몇 m2 미만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의 설계인가?

  1. 10,000
  2. 20,000
  3. 30,000
  4. 50,000
(정답률: 48%)
  • 일반 소방시설설계업의 기계분야의 영업범위는 연면적 30,000m2 미만의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의 설계를 담당한다. 따라서, 30,000m2 이상의 대규모 건물에 대한 소방시설 설계는 다른 업체나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수가연물을 쌓아 저장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1. 물질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2. 쌓는 높이는 20m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50m2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률: 37%)
  • 쌓는 높이가 20m 이상이 되면 안전상의 이유로 무게와 압력이 커져서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쌓는 높이는 20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하는 실내장식물은 원칙적으로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하는데 합판또는 목재로 설치한 실내장식물의 면적이 천장과 벽을 합한 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면 방염처리 대상에서 제외되는가? (단, 간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임)

  1. 3/10 이하
  2. 4/10 이하
  3. 5/10 이하
  4. 6/10 이하
(정답률: 46%)
  •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하는 실내장식물은 원칙적으로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간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특정소방대상물에서는 면적이 천장과 벽을 합한 면적의 5/10 이하인 경우 방염처리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간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소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10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방대상물의 방염처리업 등록의 영업정지 또는 취소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을 한 때
  2.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6개월간 휴업한 때
  3. 다른 자에게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때
  4.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이 지나도록 영업을 개시하지 아니한 때
(정답률: 59%)
  •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6개월간 휴업한 때"는 영업을 중단한 기간이 일시적이며, 사유가 합당하다면 영업을 재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영업정지 또는 취소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예방규정을 정하여 언제까지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

  1. 제조소등의 착공 신고 전
  2. 제조소등의 완공 신고 전
  3. 제조소등의 사용 시작 전
  4. 제조소등의 탱크안전성능시험 전
(정답률: 32%)
  • 예방규정은 제조소등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규정이므로, 제조소등의 사용이 시작되기 전에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제조소등이 사용되기 전에 안전성을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제조소등의 사용 시작 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한 조사의 의무를 가진 자는?

  1. 시·도지사
  2. 행정자치부장관
  3.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4. 관할 경찰서장
(정답률: 52%)
  •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한 조사의 의무를 가진 자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입니다. 이는 소방서가 화재 발생 시 출동하여 진압하고, 화재 원인과 피해를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 조사에 대한 전문성과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대상으로 틀린 것은?

  1. 근린생활시설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2. 교육연구시설로서 연면적 2,000m2 이상인 것
  3. 지하구
  4. 길이 500m 이상의 터널
(정답률: 63%)
  • 길이 500m 이상의 터널은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터널 내부의 화재를 탐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대상물에 대한 개수명령권자는?

  1. 행정자치부 장관
  2. 시·도지사
  3. 소방본부장·소방서장
  4. 소방방재청장
(정답률: 37%)
  • 소방대상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중요한 시설물이므로, 이를 관리하고 대응하기 위한 개수명령권자는 소방본부장과 소방서장입니다. 이들은 소방법에 따라 소방대상물의 안전관리와 화재발생 시 대응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지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방대상물에 대한 개수명령권자는 소방본부장과 소방서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소방시설관리업의 보조 기술인력으로 등록할 수 없는 자는?

  1. 소방설비기사
  2. 산업안전기사
  3. 소방설비산업기사
  4. 소방공무원 3년 이상 근무 경력자로 소방시설 인정자격수첩을 교부 받은 자
(정답률: 60%)
  • 산업안전기사는 안전관리 분야에서의 기술 역량을 갖춘 전문가이지만, 소방시설관리업은 소방설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업안전기사는 소방시설관리업의 보조 기술인력으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재조사와 관련된 내용으로서 바르지 못한 것은?

  1. 화재조사 전담부서에는 발굴용구, 기록용기기, 감식용기기 등의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2. 화재조사는 소화활동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3. 화재의 원인과 피해조사를 위하여 시·도 소방본부와 소방서에 전담부서를 설치·운영한다.
  4. 소방방재청장은 화재조사에 관한 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해 2년마다 전문보수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35%)
  • "화재조사는 소화활동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가 바르지 못한 내용입니다. 화재조사는 소화활동 이후에 실시되어야 합니다. 소방관서에서는 화재 발생 시 먼저 인명구조와 소화활동을 우선시하고, 이후에 화재조사를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서장은 소방대상물에 대한 위치·구조·설비 등에 관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는 소방대상물의 개수·사용의 금지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데 이때 그 손실에 따른 보상을 하여야 하는 바, 해당되지 않은 사람은?

  1. 특별시장
  2. 도지사
  3. 행정자치부장관
  4. 광역시장
(정답률: 58%)
  • 소방서장은 소방대상물에 대한 조치를 명할 수 있지만, 그 손실에 따른 보상은 행정자치부장관이 결정하고 지급하는 것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행정자치부장관"입니다. 특별시장, 도지사, 광역시장도 행정권을 가지고 있지만, 이 경우에는 해당 법적 규정에 따라 행정자치부장관이 관련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기본법에 의해서 행정자치부장관ㆍ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구조대를 편성·운영하여야 하는 바, 특수구조대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화학구조대
  2. 항공구조대
  3. 수난구조대
  4. 고속국도구조대
(정답률: 41%)
  • 소방기본법에서는 항공구조대를 특수구조대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에, 소방서장 등이 편성·운영해야 하는 구조대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구조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이 아닌 곳은?

  1. 시장지역
  2.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3. 주택이 밀집한 지역
  4.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정답률: 53%)
  • 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이 아닙니다. 이는 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의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경계지구는 시장지역,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등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지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1. 소화설비
  2. 방화설비
  3. 피난설비
  4. 경보설비
(정답률: 58%)
  • 방화설비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를 진압하거나 확산을 막기 위한 설비로, 다중이용업소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소방시설 중 하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화설비"입니다. 반면, 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진압을 위한 소화기, 소화전 등이 있으며, 피난설비는 인명구조를 위한 비상계단, 비상출구 등이 있습니다. 경보설비는 화재 발생 시 주변에 경보를 울려주는 화재경보기, 비상통화기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화관리업무를 수행하지 아니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의 벌칙은?

  1. 200만원이하의 과태료
  2. 200만원이하의 벌금
  3. 300만원이하의 과태료
  4. 300만원이하의 벌금
(정답률: 29%)
  • 방화관리업무를 수행하지 아니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방화안전관리법에 따라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벌금이 아닌 과태료인 이유는, 방화안전관리법에서는 방화관리업무를 수행하지 아니한 경우에 대한 벌칙으로 과태료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아닌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인 이유는, 관계인의 과실정도와 상황에 따라 부과되는 과태료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재조사의 시기는?

  1. 소화활동전에 먼저 실시
  2. 소화활동과 동시에 실시
  3. 소화활동후에 즉시 실시
  4. 소화활동후 2시간이내에 실시
(정답률: 69%)
  • 화재조사는 소화활동과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시점부터 조사를 시작하여 증거가 파괴되기 전에 조사를 완료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소화활동 중에는 화재의 원인이나 발생 경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도 소화활동과 동시에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그림의 CO2 전역방출방식에서 선택 밸브의 위치로서 적당한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54%)
  • 선택 밸브의 위치는 CO2를 방출할 때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선택 밸브가 "D" 위치에 있습니다. 이 위치는 CO2를 방출할 때 두 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A"와 "B" 위치는 CO2를 방출할 때 한 방향으로만 나가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C" 위치는 CO2를 방출할 때 물이 있는 곳으로 방출되어 환경 오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선택 밸브의 위치로 "D"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건널복도에 설치된 층에 피난기구 수의 산출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원래의 수에서 1/2 을 감소한다.
  2. 원래의 수에서 건널복도 수를 더한 수로 한다.
  3. 원래의 수에서 건널복도 수의 2배에 해당하는 수를 뺀 수로 한다.
  4.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정답은 "원래의 수에서 건널복도 수의 2배에 해당하는 수를 뺀 수로 한다." 이다.

    이유는 건널복도에 설치된 층은 이미 피난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층의 피난기구 수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전체 층의 수에서 건널복도 수의 2배에 해당하는 수를 빼면, 실제 필요한 피난기구 수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포소화설비에서 약제용 가압장치를 따로 가지고 있는 방식은?

  1. 라인 프로포셔너 방식
  2. 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
  3. 프레져 프로포셔너 방식
  4. 펌프 프로포셔너 방식
(정답률: 74%)
  • 프레져 사이드 프로포셔너 방식은 약제용 가압장치를 포소화설비의 측면에 위치시키고, 약제를 포화기 내부로 유입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약제의 유입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포소화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급수 배관 중 구경이 50mm인 배관에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몇개까지 설치할수 있는가? (단, 헤드는 반자 아래에만 설치한다.)

  1. 3개
  2. 5개
  3. 10개
  4. 12개
(정답률: 39%)
  •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반자 아래에만 설치되므로, 한 개의 헤드가 차지하는 공간은 반지름이 25mm인 원의 면적과 같다. 따라서 한 개의 헤드가 차지하는 면적은 25^2 x π = 1963.5mm^2 이다.

    구경이 50mm인 배관의 단면적은 반지름이 25mm인 원의 면적과 같다. 따라서 배관의 단면적은 25^2 x π = 1963.5mm^2 이다.

    한 개의 헤드가 차지하는 면적과 배관의 단면적이 같으므로, 구경이 50mm인 배관에는 한 줄에 한 개의 헤드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50mm 구경의 배관에는 최대 10개의 헤드를 설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 드렌처 설비를 설치 하였다. 한개 회로에 드렌처 헤드 5개씩 2개 회로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드렌처 설비에 필요한 수원의 량은 얼마인가?

  1. 2m3
  2. 4m3
  3. 8m3
  4. 16m3
(정답률: 50%)
  • 드렌처 헤드 1개가 1분당 10리터의 물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하면, 5개의 헤드가 있는 회로 1개는 1분당 50리터의 물을 필요로 하고, 2개의 회로를 설치하였으므로 1분당 100리터의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1시간(60분) 동안 드렌처 설비에 필요한 수원의 양은 100리터 × 60분 = 6,000리터 = 6m³ 이다. 하지만, 드렌처 설비를 운영하는 동안에도 물이 계속해서 사용되므로 여유분을 고려하여 8m³의 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배관의 통수소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테스트코넥션(시험배관)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통수 소제를 실시할 수 있다.
  2. 교차관의 말단부로 부터 배수하는 방법으로 통수소제를 실시할 수 있다.
  3. 알람밸브 2차측의 앵글밸브를 개방하여 배관내의 물을 배수시켜 통수소제를 실시할 수 있다.
  4. 배관의 통수소제는 최소한 월 1회씩 실시하게 된다.
(정답률: 39%)
  •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 배관의 통수소제는 배관 내에 쌓인 먼지,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고 배관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실시하는 작업입니다. 이때, 교차관의 말단부로 부터 배수하는 방법으로 통수소제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교차관의 말단부에 위치한 밸브를 개방하여 배관 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물 분무 소화설비의 가압송수장치 압력수조의 압력을 산출할때 필요한 압력이 아닌 것은?

  1. 낙차의 환산 수두압
  2.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3.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4. 분무헤드의 설계 압력
(정답률: 60%)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은 물이 호스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손실을 의미합니다. 이는 가압송수장치 압력수조의 압력을 산출할 때 필요한 압력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은 호스릴 이산화탄소 설비의 설치기준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노즐당 소화약제 방출량은 20℃에서 60초에 60㎏ 이상이어야 한다.
  2.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호스릴 2개 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3.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가장 가까운 보기 쉬운 곳에 표시 등을 설치해야 한다.
  4. 약제 개방밸브는 호스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57%)
  •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호스릴 2개 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는 옳은 설치기준이다. 이유는 호스릴 2개 이상이 설치된 곳에서는 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를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저장용기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항은 옳은 설치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급기 가압방식으로 실내를 가압할 때, 가압용의 유입공기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실내외의 틈새면적에 정비례한다.
  2. 실내외의 기압차에 정비례한다.
  3. 실내외의 틈새면적에 반비례한다.
  4. 실내외의 기압차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8%)
  • 급기 가압방식으로 실내를 가압할 때, 유입공기량은 실내외의 틈새면적에 정비례한다. 이는 틈새면적이 클수록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틈새를 막아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옥내 소화전 설비에서 소화전 말단 노즐의 구경이 13mm이고, 방수압이 2.6kgf/cm2 이었다면, 이 노즐을 통하여 방사되는 방수량은 얼마인가?

  1. 192[ℓ]
  2. 130[ℓ]
  3. 156[ℓ]
  4. 178[ℓ]
(정답률: 40%)
  • 노즐의 구경이 13mm이므로, 노즐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노즐의 단면적 = (13/2)^2 × π = 132.73mm^2

    방수압이 2.6kgf/cm^2 이므로,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방수량은 다음과 같다.

    방수량 = 방수압 × 노즐의 단면적 = 2.6 × 132.73 = 345.35[kgf/mm^2]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리터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345.35[kgf/mm^2] = 345.35 × 0.0980665[ℓ/mm^2] ≈ 33.87[ℓ]

    따라서, 옥내 소화전 설비에서 소화전 말단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방수량은 약 33.87[ℓ]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78[ℓ]" 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다른 요인들이 고려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분말소화설비에서 가압용가스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는 소화약제 1kg에 대해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량 몇 g을 가산한 양 이상으로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54%)
  • 이산화탄소는 분말소화설비에서 소화약제를 분말 상태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때 이산화탄소는 가압용가스로 사용되며, 이 가압용가스는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사용량은 소화약제 1kg에 대해 배관 청소에 필요한 양을 가산한 양 이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이산화탄소의 배관 청소 효과는 이산화탄소의 높은 용해도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을 생성하며, 이 탄산은 배관 내부를 청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는 약 1.45g/L 이므로, 소화약제 1kg에 대해 배관 청소에 필요한 양은 1.45g/L x 1000L/kg = 1450g 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소화약제 1kg에 대해 배관 청소에 필요한 1450g을 가산한 양 이상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답은 "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연설비 설치의 설명 중 제연구역의 구획으로서 그 기준에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
  2.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600m2이내로 할 것 (단,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는 1000m2 이내로 할 수 있다.)
  3.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
  4.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62%)
  • "하나의 제연구역은 직경 60m 원내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는 너무 큰 면적을 하나의 제연구역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600m2이내로 할 것 (단,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는 1000m2 이내로 할 수 있다.)"는 제연구역의 크기를 적절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거실과 통로는 상호 제연구획 할 것"과 "하나의 제연구역은 2개이상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은 화재 발생 시 연기와 열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압력 챔버의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압력챔버의 구조는 몸체,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드레인밸브, 유입구 및 압력계로 이루어져 있다.
  2. 몸체의 동체모양은 원통형으로서 길이방향의 이음매가 1개소 이하이어야 한다.
  3. 몸체의 경판 모양은 접시형, 반타원형 또는 온 반구형이어야 한다.
  4. 몸체의 경판은 이음매가 1개소 이어야 한다.
(정답률: 39%)
  • "몸체의 경판은 이음매가 1개소 이어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이유는 이음매가 없거나 여러 개의 이음매가 있어도 압력 챔버의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음매의 개수는 제작 공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상수도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은 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에서 몇 m가 되도록 설치하는가?

  1. 200m 이하
  2. 140m 이하
  3. 100m 이하
  4. 70m 이하
(정답률: 69%)
  • 상수도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은 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에서 140m 이하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소화전이 소방대상물의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200m 이상으로 설치하면 소방대상물의 일부분에서는 소화전에 빠르게 접근할 수 없게 되어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140m 이하로 설치하여 모든 부분에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옥외소화전설비 및 급수관로가 노후하여 성능시험(유량/압력)을 한 결과, 2.5 kgf/cm2 압력에서 300 리터/분 용량이 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법정 최소 방사량인 350 리터/분 용량을 방사하고자 할 경우에 요구되는 소화전 방수압력(kgf/cm2)은?

  1. 2.8 kgf/cm2
  2. 3.0 kgf/cm2
  3. 3.2 kgf/cm2
  4. 3.4 kgf/cm2
(정답률: 24%)
  • 용량과 압력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용량을 350 리터/분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압력도 비례해서 늘려야 한다. 따라서, 용량을 350 리터/분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할 수 있다.

    300 리터/분 : 2.5 kgf/cm2 = 350 리터/분 : x kgf/cm2

    x = (350 리터/분 × 2.5 kgf/cm2) ÷ 300 리터/분 = 2.9 kgf/cm2

    하지만, 법정 최소 방사량인 350 리터/분 용량을 방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4 kgf/cm2의 압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4 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할론1301설비 고압식 저장용기의 경우, 21℃에서 얼마의 압력으로 축압되어야 하는가?

  1. 20 kgf/cm2
  2. 35 kgf/cm2
  3. 42 kgf/cm2
  4. 52 kgf/cm2
(정답률: 72%)
  • 할론1301은 -107.6℃에서 액화되며, 21℃에서는 기체 상태이다. 따라서, 저장용기 내부의 압력은 42 kgf/cm2 이어야 한다. 이는 할론1301의 적정 압력 범위이며, 이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수원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수도배관
  2. 소방펌프자동차
  3. 옥상수조
  4. 지하수 배관
(정답률: 44%)
  • 폐쇄형 헤드는 고도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원의 수위가 일정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지하수 배관은 지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수위 변동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수원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가연성 가스의 저장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1. 연결살수설비의 전용 헤드인 개방형 헤드를 설치
  2. 헤드 상호간의 거리는 3.7m이하
  3. 가스저장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 발생기 주위에 설치
  4. 헤드의 살수범위는 가스저장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 발생기의 몸체 아래 부분이 포함 되도록 한다.
(정답률: 50%)
  • "헤드의 살수범위는 가스저장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 발생기의 몸체 아래 부분이 포함 되도록 한다."가 아닌 "연결살수설비의 전용 헤드인 개방형 헤드를 설치"가 정답이다. 이유는 가연성 가스의 저장취급시설에서는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해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헤드를 개방형으로 설치하여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방형 헤드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상수도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에 설치되는 부속장치가 아닌 것은?

  1. 제수밸브
  2. 소화전 배수밸브
  3. 소화전 전용 호스함
  4. 제수밸브맨홀
(정답률: 38%)
  • 소화전 전용 호스함은 부속장치가 아니라 별도의 설비로 분류됩니다. 제수밸브, 소화전 배수밸브, 제수밸브맨홀은 모두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에 설치되는 부속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상수도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의 지하매설배관으로 가장 적당한 종류의 배관은?

  1. 배관용 탄소강관, 흑관
  2. 배관용 탄소강관, 연관
  3. 수도용 주철관
  4. 도관
(정답률: 46%)
  • 상수도소화용수설비의 소화전은 비상시에 사용되는 시설이므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하매설배관은 내구성과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이 적합합니다. 이에 따라 수도용 주철관이 가장 적당한 종류의 배관입니다. 주철관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또한, 수도용으로 사용되는 주철관은 식수에 대한 안전성도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