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건축기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아파트의 입체형식 중 복층형에 대한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수를 적게 할 수 있다.
  2. 복도가 없는 층은 통풍 및 채광이 나쁘다.
  3. 통로면적을 감소하고 임대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소규모 주택에는 면적면에서 불리하다.
(정답률: 56%)
  • 정답: "소규모 주택에는 면적면에서 불리하다."

    복도가 없는 층은 통풍 및 채광이 나쁘다는 이유는, 복층형 아파트는 일반적으로 천장이 높아서 윗층에서 아래층으로 공기가 잘 순환하지 않고, 아래층에서 윗층으로 채광이 잘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도가 없는 층은 통풍 및 채광이 나쁘다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수를 적게 할 수 있고, 통로면적을 감소하고 임대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은 복층형 아파트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회중석의 수용인원이 1,000명 이상인 경우의 교회 평면 그림에서 좌석중심각 A와 가청거리 B의 값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110° ‾120° , B:23m이내
  2. A:110° ‾120° , B:25m이내
  3. A:80° ‾90° , B:25m이내
  4. A:80° ‾90° , B:23m이내
(정답률: 26%)
  • 회중석의 수용인원이 많을수록 좌석 중심각이 작아져야 하고, 가청거리는 너무 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A:80° ‾90° , B:23m이내가 가장 적합하다. A:110° ‾120°일 경우 좌석 중심각이 너무 크고, B:25m이내일 경우 가청거리가 너무 멀어져서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호텔건축의 기능적 분류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공간적으로 분명한 조닝체계에 의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다음중 호텔건축의 기능적 분류의 세 부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관리부분
  2. 공공부분
  3. 숙박부분
  4. 설비부분
(정답률: 60%)
  • 설비부분은 호텔건축의 기능적 분류 중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건물 내부의 기계, 전기, 수도, 난방, 냉방 등과 같은 시설물을 의미하는데, 이는 건물의 기능적 분류와는 별개의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오피스 랜드스케이핑(office landscaping)에 관한 기술로써 옳지 못한 것은?

  1. 개인적 공간으로의 분할로 독립성 확보가 쉽다.
  2. 이 계획방법으로 의사전달, 작업흐름의 연결이 용이하다.
  3. 공간의 가변성을 필요에 의해 기대할 수 있다.
  4. 작업단위에 의한 그룹(Group)배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77%)
  • "개인적 공간으로의 분할로 독립성 확보가 쉽다."가 옳지 못한 것이다. 오피스 랜드스케이핑은 개인적인 공간보다는 공동 작업 공간을 강조하며, 개인적인 공간을 최소화하여 협업과 소통을 촉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개인적 공간으로의 분할은 오피스 랜드스케이핑의 기본 원칙과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심포계 건축양식의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둥위 주두위에만 공포를 둔다.
  2. 출목은 2출목이하이고 대부분 연등천정이다.
  3. 창방위에 평방을 받아 구조적 안정을 가진다.
  4. 대표적인 건물로는 봉정사 극락전, 관음사 원통전이 있다.
(정답률: 44%)
  • 주심포계 건축양식은 창방위에 평방을 받아 구조적 안정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 양식은 기둥위와 주두위에만 공포를 두고, 출목은 2출목 이하이며 대부분 연등천정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건물로는 봉정사 극락전, 관음사 원통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소건축의 기준층 평면형태 결정요소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구조상 스팬의 한도
  2. 방화구획상 면적
  3. 덕트, 배선, 배관 등 설비 시스템상의 한계
  4. 대피상 최소 피난거리
(정답률: 46%)
  • 대피상 최소 피난거리는 사무소건축의 기준층 평면형태 결정요소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부적절한 보기는 없습니다. 대피상 최소 피난거리는 인명안전을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쇼핑센터의 공간구성요소인 몰(Mall)계획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몰은 쇼핑센터내의 주요 보행동선으로 쇼핑거리인 동시에 고객의 휴식공간이다.
  2. 몰에는 층외로 개방된 Open Mall과 닫혀진 실내공간으로 된 Enclosed Mall이 있다.
  3. 몰에는 코트(court)를 설치해 각종 연회, 이벤트 행사 등을 유치하기도 한다.
  4. 몰의 활성화를 위해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는 몰과 면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78%)
  • "몰의 활성화를 위해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는 몰과 면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가 몰과 면하도록 배치해야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객들이 몰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몰 내부로 유입되는 고객 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장부지 선정은 노동력의 공급이 쉽고, 원료의 공급이 용이한 곳에 정한다.
  2. 공장건축의 형식에서 집중식(Block Type)은 건축비가 저렴하고, 공간효율도 좋다.
  3.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小種多量生産)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적합하다.
  4. 공장 작업장의 지붕형식으로 균일한 조도를 얻기 위해 톱날지붕을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50%)
  •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소종다량생산이나 표준화가 쉬운 경우에 적합하다는 이유는 작업자들이 원활하게 이동하며 생산라인을 따라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파트의 동 계획에서 지상층에 피로티를 두는 이유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개방감의 확보
  2. 원할한 보행 동선의 연결
  3. 휴식 공간 등 주민 편의 시설의 확보
  4. 용적률의 감축 및 공사비 절감
(정답률: 59%)
  • 용적률의 감축 및 공사비 절감은 적절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피로티를 지상층에 두면 건축물의 전체적인 면적이 줄어들어 용적률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하주차장을 건축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 모듈(Module)에 대한 기술 중에서 가장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양산의 목적과 공업화를 위해 쓰여진다.
  2. 모든 치수의 수직과 수평이 황금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3. 복합 모듈은 기본 모듈의 배수로서 정한다.
  4. 모든 모듈은 인간척도에 맞추어 채택된다.
(정답률: 50%)
  • 가장 잘못된 것은 "모든 치수의 수직과 수평이 황금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다. 이는 건축 모듈(Module)에 대한 잘못된 기술이다. 황금비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비율이지만, 모든 건축물이 황금비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 건축 모듈은 일정한 크기와 비율을 가진 단위로, 건축물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이다. 이러한 모듈은 건축물의 구성과 설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교통 및 상업의 중심지인 도시에 위치하여 일반관광객 외에 상업, 사무 등 각종 비즈니스를 위한 여행자를 대상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호텔 경영내용의 주체를 식사료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1. 커머셜 호텔(commercial hotel)
  2. 레지덴셜 호텔(residential hotel)
  3. 아파트먼트 호텔(apartment hotel)
  4. 터미널 호텔(terminal hotel)
(정답률: 35%)
  • 레지덴셜 호텔은 일반적으로 호텔 내 식사 시설보다는 객실 내 주방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자유롭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 체류를 위한 시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텔 경영내용의 주체를 식사료에 비중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비즈니스를 위한 장기 체류를 계획하는 여행자들에게 적합한 호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음향설계적 측면을 고려한 관객석 계획 중 틀린 항목은?

  1. 미국의 누드슨(Knudsen)과 해리스(Harris)에 의하면, 2000석의 수용인원을 갖는 극장에 1객석당 4.95m3의 용적이 필요하다.
  2. 객석의 형이 원형일 경우 확산작용을 하도록 계획하면 음향조건이 크게 개선된다.
  3. 발코니 하부의 깊이를 개구부 높이의 2배 이상으로 하여 음을 흡수하도록 한다
  4. 천장이나 벽은 무대에서 멀리 떨어진 객석에 적당한 반사음을 보내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40%)
  • "발코니 하부의 깊이를 개구부 높이의 2배 이상으로 하여 음을 흡수하도록 한다"는 오히려 음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틀린 항목이다. 발코니 하부의 깊이를 늘리면 음파가 반사되어 객석에 도달하기 전에 소멸되는 시간이 늘어나므로 음향환경이 개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술관의 주체는 전시실의 순회형식이다. 다음중 부지의 이용률이 높은 지점에 건립할 수 있으나, 장래의 확장에 많은 무리를 가지고 있는 전시실 순회형식은?

  1. 갤러리 및 코리더(복도)형식
  2. 연속순로 형식
  3. 중앙홀 형식
  4. 실 연속 순회형식
(정답률: 68%)
  • 중앙홀 형식은 전시실의 중앙에 큰 홀을 두고 그 주위에 작은 전시실들을 배치하는 형식이다. 이 형식은 중앙홀을 중심으로 전시실을 순회하면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관람객들의 이동이 원활하다. 하지만 전시실의 확장이 어렵고, 중앙홀을 제외한 작은 전시실들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큰 작품이나 대규모 전시물을 전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생산업체의 기술자가 최신의 기술자료를 얻으려 한다면 다음 중 어느 부류의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1. 공공도서관
  2. 대학도서관
  3. 국회도서관
  4. 전문도서관
(정답률: 72%)
  • 전문도서관은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과 최신 기술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업체의 기술자가 최신의 기술자료를 얻기에 가장 효과적인 도서관입니다. 다른 도서관들도 유용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만, 전문도서관은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은행건축계획에 관한 사항중에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은행실을 구성하는 고객용 로비와 영업실의 면적비는 1(고객용 로비):0.8‾1.5(영업실)이다.
  2. 주출입구는 보온을 위해 방풍실을 두는 것이 좋으며 출입문은 바깥 여닫이문으로 함이 타당하다.
  3. 영업실은 인공조명의 균일화된 조도로 업무능률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벽에 큰 창을 만들지 않는다.
  4. 임대금고는 일반적으로 일반금고실과 같이 고객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정답률: 29%)
  • 은행건축계획에 관한 사항 중에서 가장 적당한 것은 "은행실을 구성하는 고객용 로비와 영업실의 면적비는 1(고객용 로비):0.8‾1.5(영업실)이다." 이다. 이유는 고객용 로비는 고객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지만, 영업실은 업무능률을 고려하여 적정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비율은 고객과 업무를 모두 고려한 적절한 비율이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택의 평면계획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노인침실은 일조가 충분하고 전망이 좋은 조용한 곳에 면하게 하고 식당, 욕실 등에 근접시킨다.
  3. 부엌은 사용시간이 길므로 동남 또는 남쪽에 배치해도 좋다.
  4. 현관의 위치는 대지의 형태, 도로와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답률: 49%)
  • "거실은 평면계획상 통로나 홀로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거실은 가족이 모여서 생활하는 공간으로, 통로나 홀과 같은 통행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공간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거실이 통행로로 사용되면 가족들이 모여서 생활하기 어렵고, 통행로로 사용되는 공간은 보통 밝고 시원한 공간이기 때문에 거실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건축양식의 발달순서가 옳게 된 것은?

  1. 초기 그리스도교 - 비잔틴 - 로마네스크 - 로코코 - 르네상스
  2. 로마 - 비잔틴 - 고딕 - 로마네스크 - 르네상스 - 바로크
  3. 그리스 - 로마네스크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
  4. 이집트 - 비잔틴 - 로마네스크 - 르네상스 - 고딕
(정답률: 53%)
  • 정답은 "그리스 - 로마네스크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이다.

    그리스 양식은 고대 그리스의 건축양식으로, 로마네스크 양식은 중세 유럽의 건축양식으로, 르네상스 양식은 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문화적 운동으로 건축양식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바로크 양식은 17세기 유럽에서 발전된 양식으로, 로코코 양식은 18세기 유럽에서 발전된 양식이다. 따라서, 그리스 - 로마네스크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의 발달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학교건축의 배치계획 중 분산병렬형 배치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일조· 통풍등 교실의 환경조건이 균등하다.
  2. 놀이터와 정원이 생긴다.
  3. 부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률: 48%)
  • "구조계획이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분산병렬형 배치계획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부적당한 것이다.

    "부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분산병렬형 배치계획의 특징 중 하나로, 학교 건축물을 가능한 한 작은 부지에 최대한 많은 공간을 확보하여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부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건축물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근린생활권의 주택지의 단위로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단위이며 어린이 공원, 운동장, 우체국, 소방서, 동사무소등이 설립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인보구
  2. 근린분구
  3. 근린주구
  4. 커뮤니티
(정답률: 67%)
  • 근린주구는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주거지역 단위로서, 주민들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시설들이 설치되는 지역입니다. 따라서 어린이 공원, 운동장, 우체국, 소방서, 동사무소 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인보구는 인구보호구역, 근린분구는 근린생활지구, 커뮤니티는 지역사회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조트 호텔의 입지조건 중 비교적 관계가 먼 것은?

  1. 수량이 풍부하고 수질이 좋을 것
  2. 조망 및 주변 경관조건 양호
  3. 자동차 교통의 접근 양호
  4. 수해 및 풍설해의 위험이 없을 것
(정답률: 50%)
  • 자동차 교통의 접근 양호는 리조트 호텔 입지 조건 중 다른 조건들과는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다른 조건들은 호텔의 자연환경, 경관, 안전 등과 관련이 있지만 자동차 교통의 접근 양호는 주로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이동 편의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다른 조건들과는 조금 더 독립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철골공사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야한다.
  2. 볼트죄기에는 임팩트렌치, 토크렌치 등을 사용한다.
  3. 철골은 화재에 의한 강성저하가 심하므로, 반드시 내화피복을 하여야 한다.
  4. 용접 후, 용접부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비파괴검사에는 침투탐상, 초음파 탐상법 등이 있다.
(정답률: 42%)
  •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볼트접합부는 부식하기 쉬우므로 방청도장을 하여야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철골재의 수량산출에서 도면 정미수량에 가산할 할증율로 서 부적당한 것은?

  1. 경량형강 : 10%
  2. 강판 : 10%
  3. 봉강 : 5%
  4. 각 파이프 : 5%
(정답률: 26%)
  • 경량형강은 일반 철강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사용량이 많아지면 전체 철골재의 무게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10%의 할증율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판과 철판이 겹치든가 맞닿는 부분이 각을 이루도록 용접하는 것은?

  1. 맞댐용접
  2. 모살용접
  3. 용입용접
  4. 다층용접
(정답률: 50%)
  • 모살용접은 두 개의 철판이나 부품을 각을 이루도록 맞댐하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겹치는 부분이 없이 맞닿는 부분만 용접하여 강한 결합력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을 이루도록 용접해야 하므로 모살용접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접착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 내수, 내구성적인 측면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은?

  1. 요소계수지
  2. 페놀계수지
  3. 비닐계수지
  4. 아교
(정답률: 34%)
  • 페놀계수지는 내수,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접착력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목재접착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화재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재료나 항공기 부품 등에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목재접착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 내수, 내구성적인 측면에서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은 페놀계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분할도급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전문공종별분할도급은 기업주와 시공자와의 의사소통이 잘 되나 공사 전체관리가 곤란하다.
  2. 공정별 분할도급은 정지,구체, 마무리 공사등 과정별로 나누어 도급을 주는 방식이다.
  3. 공구별 분할도급은 설계완료분만 발주하거나 예산배 정상 구분될 때 편리하다.
  4.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은 직영제도에 가까운 것으로서 총괄도급의 하도급에 많이 적용된다.
(정답률: 34%)
  • 공구별 분할도급은 설계완료분만 발주하거나 예산배 정상 구분될 때 편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공구별 분할도급은 공구(장비, 기계 등)를 기준으로 도급을 분할하는 방식으로, 공구가 필요한 모든 공정에서 해당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설계나 예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건축공사의 공사원가 계산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료비 = 재료량 × 단위당 가격
  2. 경비 = 소요(소비)량 × 단위당 가격
  3. 이윤 = 공사원가 × 이윤율(%)
  4. 일반관리비 = 공사원가 × 일반관리비율(%)
(정답률: 36%)
  • 이윤 = 공사원가 × 이윤율(%)은 공사를 수행하는 건축업체가 이익을 얼마나 얻을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윤율은 건축업체가 설정하는 것이므로 공사원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윤 = 공사원가 × 이윤율(%)은 공사원가 계산 방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컴퓨터, 정보통신 및 자동화 생산, 조립기술 등을 토대로 건설행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들과 인력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각 건설업체의 업무를 각사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 하는 것
  2. 재무, 인사관리 등의 요소들을 대상으로 건설업체의 업무수행을 전산화 처리하여 업무를 신속하게 수행토록 하는 것
  3. 건축 시공시에 컴퓨터를 활용하여 시공량의 점검, 시공부위 확인 등을 수행토록 하는 것
  4. 컴퓨터를 활용하여 건설의 입찰 및 계약업무를 전산화 하여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토록 하는 것
(정답률: 60%)
  • "컴퓨터, 정보통신 및 자동화 생산, 조립기술 등을 토대로 건설행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들과 인력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각 건설업체의 업무를 각사의 특성에 맞게 최적화 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E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AE콘크리트로서의 유효 공기량은 2%이하의 범위가 좋다.
  2. 콘크리트의 조건이 일정할 경우 공기량 10%의 범위에서는 AE제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량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3. 일반적으로 플레인콘크리트에 골재 최대치수에 따라 적당한 양의 공기를 연행시키면 단위수량은 6-8% 정도 감소한다.
  4. 통상적으로 공기량 1%가 슬럼프에 미치는 효과는 콘크리트 단위수량의 3%에 상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28%)
  • "AE콘크리트로서의 유효 공기량은 2%이하의 범위가 좋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이유는 AE제가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공기량이 많아질수록 콘크리트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공기량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이하의 범위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충분한 공기량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발주자에 의한 현장관리 제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착공신고제도
  2. 공정관리
  3. 현장회의 운영
  4. 중간관리일
(정답률: 29%)
  • 공정관리는 발주자에 의한 현장관리 제도 중 하나가 아니라, 공사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와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공정관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물시멘트비는 55%이하로 한다.
  2. 공기연행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3. 단위수량은 185kg/m3 이하로 한다.
  4. 슬럼프치는 15cm이하로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공기연행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이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고강도화를 위해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적게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공기연행제는 콘크리트 내부 공기를 유지시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직교하는 단부 보에 있어서 기둥이 없을때의 철근 정착 위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보와 보 상호간에 정착시킨다.
  2. 정착이 필요없다.
  3. 슬래브에 정착한다.
  4. 벽체에 정착한다.
(정답률: 36%)
  • 보와 보 상호간에 정착시킨다.

    이유는 직교하는 단부 보에서 기둥이 없을 경우, 보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와 보 사이에 상호간에 정착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보의 수평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둥 없이도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보와 보 상호간에 정착시키는 것이 가장 적절한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지붕공사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는?

  1. 천연 아스팔트
  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 아스팔트 피치
  4. 블로운 아스팔트
(정답률: 38%)
  • 지붕공사에 주로 사용하는 재료는 블로운 아스팔트입니다. 이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서 지붕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녹과 부식에도 강합니다. 또한, 블로운 아스팔트는 쉽게 가공이 가능하고, 방수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붕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도면에서 G1과 같은 보가 8개 있는 건물에서 보의 콘크리트량으로서 적당한 것은?

  1. 11.52m3
  2. 12.23m3
  3. 13.44m3
  4. 15.36m3
(정답률: 39%)
  • G1과 같은 보가 8개 있는 건물에서 보의 콘크리트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 보의 길이, 너비, 높이를 곱한 후 8로 곱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G1 보의 길이는 4m, 너비는 0.2m, 높이는 0.3m 이므로, 4 x 0.2 x 0.3 x 8 = 1.92m3 입니다. 이를 모든 보에 대해 계산하면, 1.92 x 8 = 15.36m3 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적당한" 콘크리트량을 구하는 것이므로, 보의 길이, 너비, 높이를 조금씩 조정해가며 계산해보면, 11.52m3 가 가장 적당한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의 JOINT의 종류에 대해 나열한 것 중 계획된 JOINT가 아닌 것은?

  1. CONTROL JOINT
  2. CONSTRUCTION JOINT
  3. COLD JOINT
  4. EXPANSION JOINT
(정답률: 60%)
  • "COLD JOINT"는 계획되지 않은 조인트로, 콘크리트가 한 번에 부어지지 않아 생긴 조인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조인트들과 달리 계획되지 않은 조인트이므로 정답은 "COLD JOI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철골용접작업중 운봉을 용접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왔다갔다 움직여 용착금속을 녹여 붙이는 것의 용어로서 옳은 것은?

  1. 밀 스케일(mill scale)
  2. 글루우브(groove)
  3. 위이핑(weeping)
  4. 블로우 홀(blow hole)
(정답률: 50%)
  • 위이핑(weeping)은 철골용접작업 중 운봉을 용접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왔다갔다 움직여 용착금속을 녹여 붙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시 발생하는 슬래그나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착금속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기술입니다. 따라서 위이핑은 용접시 발생하는 불순물 제거 및 용착금속 분포 개선을 위한 중요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미장공법 중 균열이 가장 적게 생기는 것은?

  1. 소석고 플라스터 바름
  2. 경석고 플라스터 바름
  3. 마그네시아 시멘트 바름
  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바름
(정답률: 30%)
  • 균열이 가장 적게 생기는 미장공법은 경석고 플라스터 바름입니다. 이는 경석고가 물에 반응하여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천연 균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석고는 수분 흡수율이 낮아 건조가 빠르고 강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균열이 생기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작업성(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위수량의 증가와 워커빌리티의 향상은 비례적이다.
  2. 빈배합이 부배합보다 워커빌리티가 좋다.
  3. 깬자갈의 사용은 워커빌리티를 개선한다.
  4. AE제에 의해 연행된 공기포는 워커빌리티를 개선한다.
(정답률: 45%)
  • AE제에 의해 연행된 공기포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증가시켜 작업성을 개선시킨다. 이는 콘크리트의 미세한 구조를 개선하고, 더 많은 공기가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어 더 쉽게 혼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AE제에 의해 연행된 공기포는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콘크리트공사 중 거푸집 공사에 있어 거푸집의 존치기간에 대한 기술로서 틀린 것은?

  1. 바닥슬래브밑, 지붕슬래브밑 및 보밑의 거푸집판재는 원칙적으로 받침기둥을 해체한 후 떼어낸다.
  2. 기초, 보옆, 기둥 및 벽의 거푸집판재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50kgf/cm2 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3.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밑, 보밑 모두 설계기준강도의 90%이상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진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4. 받침기둥을 해체할시 해체가능한 압축강도는 최저 120kgf/cm2이다.
(정답률: 19%)
  •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밑, 보밑 모두 설계기준강도의 90%이상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진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이것이 틀린 것이 아님)

    해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강해져서 지지할 수 있는 시기까지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거푸집판재의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결정됩니다. 이 때, 받침기둥의 존치기간은 슬래브밑, 보밑 모두 설계기준강도의 90% 이상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얻어진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축공사에서 언더피닝(Under Pinning) 공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수량이 많은 깊은기초 구축에 쓰이는 공법이다.
  2. 기존 건물의 기초 혹은 지정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3. 터파기 공법의 일종이다.
  4. 일명 역구축 공법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48%)
  • 언더피닝은 기존 건물의 기초 혹은 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철골공사에서 크롬산 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료로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것은?

  1. 광명단
  2. 징크로메이트 도료
  3. 그래파이트 도료
  4. 알루미늄 도료
(정답률: 44%)
  • 알루미늄은 철과 반응하여 부식되기 쉬우므로, 철골공사에서는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는 부적합합니다. 따라서, 철골공사에서는 부식방지를 위해 크롬산 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료로 한 징크로메이트 도료를 사용합니다. 징크로메이트 도료는 철골공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부식방지 도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보에서 B점의 반력값으로 옳은 것은?

  1. 6 t
  2. 7.5 t
  3. 9.0 t
  4. 11 t
(정답률: 42%)
  • 보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B점의 반력값이 하중의 합력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A점에서의 하중 6t와 C점에서의 하중 3t의 합력은 B점에서의 반력값 9t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9.0 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모멘트를 받을 때 정정보의 휨모멘트도로서 옳은 것은?

(정답률: 2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모멘트의 정의인 "힘 x 수직거리"를 적용해보면, 모멘트의 크기는 가장 큰 것이 ""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힘의 크기나 수직거리가 작아서 모멘트의 크기가 "" 보다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근콘크리트 단근보에서 fck=240kg/cm2,fy=3,000kg/cm2일때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철근비를 구한 값으로 맞는 것은?

  1. 0.039
  2. 0.043
  3. 0.046
  4. 0.049
(정답률: 21%)
  •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ρbal = 0.85fck / (fy + 0.85fck)

    여기서, fck는 공압압축강도, fy는 철근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ρbal = 0.85 x 240 / (3,000 + 0.85 x 240) = 0.039

    따라서, 정답은 "0.03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은 철근 콘크리트 보의 주근 배근이다. 주근의 이음 위치로 가장 나쁜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30%)
  • (C) 위치는 주근의 이음 위치가 교차하는 지점으로, 이곳에서는 주근의 강도가 약해지고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위치는 구조적으로 가장 나쁜 위치이다. (A)와 (B)는 이음 위치가 교차하지 않아 강도가 유지되며, (D)는 이음 위치가 넓게 분포하여 강도가 유지되지만, (C)와 같이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가장 나쁜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D22철근을 인장시켰을 때 늘어난 길이는 ? (단, E = 2.1 × 103 t/cm2, 1-D22 단면적은 3.87cm2)

  1. 0.17 cm
  2. 0.24 cm
  3. 0.43 cm
  4. 0.51 cm
(정답률: 35%)
  • D22 철근의 인장 응력은 F/A = 20/3.87 = 5.17 t/cm2 이다. 이 때, 인장 변형률은 ε = σ/E = 5.17/2.1×103 = 0.00246 이다. 따라서, 늘어난 길이는 Lε = 500 × 0.00246 = 1.23 cm 이다. 하지만, 이는 철근의 양 끝이 고정되어 있을 때의 값이므로, 실제로는 늘어난 길이의 절반인 0.615 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0.17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이 외력이 작용할 때 휨모멘트도는?

(정답률: 21%)
  • 외력이 작용하는 위치와 힘의 방향이 휨의 중심축과 수직이므로, 휨모멘트는 외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하중때문에 그림과 같은 균열이 생겼다. 이 균열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 취하여야 할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인장철근을 증가시킨다
  2. 압축철근을 증가시킨다
  3. 스터럽(stirrup)을 증가시킨다
  4. 인장 및 압축철근의 부착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34%)
  • 스터럽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강재입니다. 스터럽을 증가시키면 보의 강도가 증가하고,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인장철근이나 압축철근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터럽을 증가시키는 것이 균열 방지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인장 및 압축철근의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균열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벳 접합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리벳의 허용내력은 리벳 직경에 대해 산정한다.
  2. 구조상 중요한 부재의 단부에 체결하는 리벳의 최소 개수는 3개 이상이다.
  3. 리벳접합부 판두께의 총합은 일반적으로 리벳 직경의 5배 이하로 한다.
  4. 모멘트를 받는 접합부에서 전단 리벳의 응력은 리벳군(群)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27%)
  • "구조상 중요한 부재의 단부에 체결하는 리벳의 최소 개수는 3개 이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구조상 중요한 부재의 단부에 체결하는 리벳의 최소 개수는 2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이는 리벳의 허용내력과 구조상 요구되는 강도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린벽으로 구획된 10m 길이의 조적조 벽체에 최대한 허용 가능한 개구부 폭의 합계는?

  1. 4 m
  2. 5 m
  3. 6 m
  4. 7 m
(정답률: 30%)
  • 대린벽은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벽체로,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부를 두어야 합니다. 이 간격은 건축법 등 규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0m 길이의 벽체에서는 최대 5m의 개구부 폭이 허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약지반의 구조에 관한 대책 중 부적당한 것은?

  1. 건물을 경량화 한다.
  2. 기초에 마찰말뚝을 이용한다.
  3. 이웃건물과의 거리를 좁힌다.
  4. 지하실을 설치한다.
(정답률: 49%)
  • 이웃건물과의 거리를 좁히면, 지반의 하중이 집중되어 이웃건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부적당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절점 B에 외력 M=20 t.m가 작용하는 경우 MAB는?

  1. 2 tm
  2. 4 tm
  3. 6 tm
  4. 8 tm
(정답률: 46%)
  • MAB는 절점 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멘트이므로, MAB = FAB × AB × sinθ 이다. 이 때, FAB는 절점 B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반력이다. 구조물이 평형상태이므로, FAB = 20 t 이다. AB는 절점 A와 B 사이의 거리이며, 2 m이다. θ는 M과 AB 사이의 각도이며, 90도이다. 따라서, MAB = 20 t × 2 m × sin90° = 40 tm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tm"이 아니라 "40 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휨모멘트 Mx = 6.0tonf· m, 축방향력 N=50tonf를 받는 부재의 단면을 H-250x125x10x19(Zx=587cm3, A=70.73cm2)로 설계했을때 H형강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의 값은?

  1. 1.73 tonf/cm2
  2. 1.80 tonf/cm2
  3. 1.83 tonf/cm2
  4. 1.90 tonf/cm2
(정답률: 23%)
  • H형강보에 생기는 최대 휨응력도의 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 휨응력도 = (휨모멘트 × 극간거리) ÷ 단면계수

    여기서 극간거리는 H형강보의 높이인 250mm이고, 단면계수는 H형강보의 단면적과 균일분포하게 분포된 응력을 가정한 값인 1.5이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도 = (6.0 × 250) ÷ (587 × 1.5) = 1.73 tonf/cm2

    따라서 정답은 "1.73 ton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구조물의 응력계산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트러스(Truss)는 주로 축방향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2. 라멘(Rahmen)은 주로 휨모멘트와 전단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3. 아취(Arch)는 주로 축방향응력과 전단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4. 쉘(Shell)은 주로 면내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정답률: 50%)
  • "아취(Arch)는 주로 축방향응력과 전단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가 틀린 것이다. 아취는 주로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한다. 이는 아취의 곡률 형태와 관련이 있다. 아취는 곡률이 크기 때문에 축방향응력과 전단응력보다는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신축건물의 기초파기 중 토질에 생기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보일링(boiling)
  2. 히이빙(heaving)
  3. 파이핑(piping)
  4. 언더 피닝(under-pinning)
(정답률: 48%)
  • 신축건물의 기초파기 중 토질에 생기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보일링(boiling)"이다. 이는 지하수가 토양 속에서 끓어오르는 현상으로, 기초파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반면, 언더 피닝(under-pinning)은 기초파기 후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존 기초 아래에 새로운 기초를 추가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기초파기와 관련이 있으며,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단근장방형보가 평형변형도 상태에 있다.강도설계법에 의거할 때 인장철근량으로 가장 옳은 것은 ? (단, fck=210kg/cm2, fy=3000kg/cm2, a=16.8cm)

  1. 20cm2
  2. 25.7cm2
  3. 30cm2
  4. 35cm2
(정답률: 30%)
  • 강도설계법에 의하면 인장철근의 최소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min = (0.85fy x Ast) / (0.87fck)

    여기서 Ast는 단면의 전체 면적이고, As,min은 최소 인장철근 면적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As,min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As,min = (0.85 x 3000 x 16.8) / (0.87 x 210) = 30.02cm2

    따라서, 최소 인장철근 면적은 약 30cm2이므로 정답은 "30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도설계법에서 보의 모멘트에 대해서 설계할 때 과소철 근비가 되도록 설계하는 이유로 적당한 것은?

  1. 철근의 인장력이 크기 때문에
  2. 철근의 배치가 쉽고 시공이 용이하므로
  3. 처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4. 압축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막기 위해서
(정답률: 35%)
  • 압축콘크리트는 압축에 강한 반면, 인장에는 약하기 때문에 보의 하부에 위치한 압축콘크리트가 취성파괴되면 보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됩니다. 따라서 보의 모멘트에 대한 설계 시에는 압축콘크리트의 취성파괴를 막기 위해 과소철근비가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항복선 해석이론의 적용에 대한 가정 중 잘못된 것은?

  1. 파괴시 항복선의 철근은 완전히 항복한다.
  2. 파괴시 슬래브는 탄성변형을 하고 항복선을 따라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진다.
  3. 2방향 슬래브의 경우 휨모멘트와 비틀림모멘트는 항복선을 따라 균등하게 분포한다.
  4. 탄성변형은 소성변형에 비해 무시할만하다.
(정답률: 12%)
  • 잘못된 가정은 "파괴시 슬래브는 탄성변형을 하고 항복선을 따라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진다." 입니다. 파괴시 슬래브는 탄성한계를 초과하여 일어나는 비탄성변형으로 인해 항복선을 넘어선 후 파괴됩니다. 이 때 슬래브는 일부분이나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틀림모멘트(torsional moment)에 대하여 주의해야 할 경우가 많은 부재는?

  1. 지중보
  2. 기둥
  3. 작은 보가 걸치는 외벽 선상의 큰 보
  4. 양교절 아아치
(정답률: 25%)
  • 작은 보가 걸치는 외벽 선상의 큰 보는 지지점이 불규칙하고, 부재의 길이가 길어 비틀림모멘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지진이나 바람 등의 외부하중이 작용할 경우 부재의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지므로 적절한 설계와 강도 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적조 벽체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벽의 길이는 10m를 넘을 수 없다.
  2.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80m2를 넘을 수 없다.
  3. 하나의 층에 있어 개구부와 바로 위층의 개구부까지의 수직거리는 90cm 이상으로 해야 한다.
  4. 간막이벽의 두께는 9c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24%)
  • "하나의 층에 있어 개구부와 바로 위층의 개구부까지의 수직거리는 90cm 이상으로 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건축법에서 규정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인명구조를 위해 화재가 발생한 층과 바로 위층의 개구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구부와 바로 위층의 개구부까지의 수직거리는 최소한 60cm 이상으로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순보의 전단력도가 그림과 같을 때 보의 최대 휨모멘트는?

  1. 10.1 t· m
  2. 8.5 t· m
  3. 9.4 t· m
  4. 11.8 t· m
(정답률: 24%)
  • 보의 최대 휨모멘트는 단면에서의 전단력이 최대인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 그림에서 보면 왼쪽 끝에서 2m 지점에서 전단력이 최대값을 가진다. 이 최대 전단력은 5.05t이다. 이 최대 전단력이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최대 휨모멘트는 M = F x L/2 = 5.05 x 2/2 = 5.05t·m이다. 따라서 정답은 10.1 t·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물 10kg을 10 ℃에서 60 ℃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1. 200 kcal
  2. 300 kcal
  3. 400 kcal
  4. 500 kcal
(정답률: 42%)
  • 물의 비열은 1g당 1℃씩 변화하는 열량인 1 cal/g℃이다. 따라서 10kg의 물을 50℃만큼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10kg x 1000g/kg x 50℃ x 1 cal/g℃ = 500,000 cal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kcal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500,000 cal을 1000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500,000 cal ÷ 1000 = 500 kcal

    따라서 정답은 "500 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조명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반조명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
  2. 직접조명방식은 강한 음영이 생기지만 경제적이다.
  3. 간접조명방식은 조명능률이 떨어진다.
  4. 국부조명은 부분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가 적다.
(정답률: 48%)
  • 국부조명은 부분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가 적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사실 국부조명은 일부분만 밝게 비추어져서 다른 부분은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기조화설비 열원으로 빙축열 시스템을 채용하는 주된 목적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보다 찬 열원을 얻을 수 있어 실내가 쾌적해 진다.
  2. 얼음으로 축열하므로 설비점유 스페이스를 감소시킨다.
  3. 냉동기용량을 작게 하고 가동시간을 이동시켜 전력의 피크부하를 감소시킨다.
  4. 야간전력을 이용하여 공조에너지를 절약한다.
(정답률: 26%)
  • 냉동기용량을 작게 하고 가동시간을 이동시켜 전력의 피크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 전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전기 요금을 절감하고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연면적 1500m2인 사무소 건물에서 필요한 1일 급수량은 얼마인가 ? (단, 이 건물의 유효면적비율은 연면적의 50%, 유효면적당 인원 0.2인/m2, 1인 1일당 급수량은 100ℓ /c/d)

  1. 10m3
  2. 15m3
  3. 20m3
  4. 25m3
(정답률: 44%)
  • 유효면적은 연면적의 50%이므로 1500m2 x 0.5 = 750m2이다. 이 건물의 수용인원은 유효면적당 인원 0.2인/m2를 곱해 계산하면 750m2 x 0.2인/m2 = 150명이다. 따라서 1일 급수량은 150명 x 100ℓ /c/d = 15,000ℓ/d 이다. 이를 m3/d로 환산하면 15m3/d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피뢰침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하도선 사이의 간격은 50m 이하로 한다.
  2.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부터 10cm 이상 돌출하여 설치한다.
  3. 피뢰도체 및 피뢰도선은 가연성 물질과는 5cm 이상 거리를 둔다.
  4. 돌침은 지름 5mm 이상인 알루미늄, 철 또는 강봉 등의 강도의 성능을 갖춘 것으로 한다.
(정답률: 15%)
  • 인하도선 사이의 간격을 50m 이하로 한 이유는 번개가 지나갈 때 인하도선을 따라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인하도선 사이의 간격이 너무 멀면 전기가 흐르는 길이가 길어져 전기 저항이 커지고, 이로 인해 전기가 흐르지 못하거나 전기가 흐르더라도 충분한 보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간이 느끼는 열적 쾌적감을 객관적인 지표로 나타내기 위해 몇가지 단위가 쓰인다. 그중에서 clo라는 단위가 나타내는 의미는?

  1. 투습저항정도
  2. 옷의 단열정도
  3. 잠열에 의한 열손실정도
  4. 환기에 의한 열손실정도
(정답률: 57%)
  • clo는 옷의 단열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즉, 옷이 얼마나 열을 잘 가둬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인간이 느끼는 열적 쾌적감을 측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급수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구 연결관의 관경에 의한 결정
  2.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3. 마찰 저항 선도에 의한 관경 결정
  4. 배수부하 단위에 의한 결정
(정답률: 17%)
  • 배수부하 단위에 의한 결정은 급수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배수량과 배수구의 수 등을 고려하여 하수도 설계 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급수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기구 연결관의 관경에 의한 결정,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마찰 저항 선도에 의한 관경 결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기설비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고압이란 직류 600∼7,000V , 교류 750∼7,000V범위를 말한다.
  2. 버스닥트(bus duct)방식은 빌딩, 공장 등에 있어서 비교적 큰 전류의 저압 배전반 부근 및 간선에 이용된다.
  3. 3로 스위치란 3개의 단자를 구비한 전환용 스위치로서, 한 개의 전등을 2개소 위치에서 점멸할 때 사용한다.
  4. 플로어닥트(floor duct)방식은 대규모 사무실 등에서 콘센트, 전화 등의 취출에 편리한 방식이다.
(정답률: 18%)
  • 고압이란 범위는 정확하지 않다. 직류 1,000V 이상, 교류 1,500V 이상을 일반적으로 고압으로 분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에서 난방용 트랩이 아닌 것은?

  1. 버킷 트랩(Bucket trap)
  2. 드럼 트랩(Drum trap)
  3. 플로트 트랩(Float trap)
  4. 벨로우즈 트랩(Bellows trap)
(정답률: 29%)
  • 드럼 트랩은 난방용 트랩이 아니라, 주로 배관에서 물을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트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드럼 트랩(Drum tra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은?

  1. 경사도는 45° 이하로 한다.
  2. 정격속도는 하강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30m/min 이하로 한다.
  3. 수송능력은 엘리베이터보다 30배 정도 많다.
  4. 구동장치, 제어장치 등을 격납하는 기계실은 되도록 크게 한다.
(정답률: 47%)
  • 에스컬레이터의 하강방향은 중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움직일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격속도는 하강방향의 안전을 고려하여 30m/min 이하로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용어의 단위가 틀린 것은?

  1. 열전도율 - kcal/m2h℃
  2. 비열 - kcal/kg℃
  3. 열관류 저항 - m2h℃/kcal
  4. 실내습도 - %
(정답률: 35%)
  • 정답은 "열관류 저항 - m2h℃/kcal"입니다.

    열전도율은 단위 면적당 열의 전달량과 온도차이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단위는 kcal/m2h℃입니다. 이는 1m2 면적에서 1시간 동안 1℃의 온도차이가 유지될 때 전달되는 열의 양을 나타냅니다.

    비열은 단위 질량당 열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kcal/kg℃입니다. 이는 1kg의 물질이 1℃ 온도 변화를 일으킬 때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냅니다.

    실내습도는 상대습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입니다. 이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과 포함 가능한 최대 수증기 양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반면, 열관류 저항은 열전도율의 역수로, 열의 전달이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단위는 m2h℃/kcal인데, 이는 1kcal의 열이 1시간 동안 1℃의 온도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흐를 수 있는 면적을 나타냅니다. 이 단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급수기구 중 최저필요압력이 가장 큰 것은?

  1. 일반수전
  2. 샤워기
  3. 블로우아웃식대변기
  4. 가스순간탕비기
(정답률: 41%)
  • 블로우아웃식대변기는 대변을 강력하게 푸시하고 청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급수기구들보다 더 많은 물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저필요압력이 가장 큰 급수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트랩의 봉수파괴현상이다. 잘못된 것은?

  1. 배수가 만수상태로 흐르면 사이폰작용으로 트랩의 봉수가 파괴된다.
  2. 감압에 의한 흡인작용으로 압력을 감소시켜 봉수를 파괴한다.
  3. 역압에 의한 봉수파괴현상은 상층부 기구에서 자주 발생한다.
  4. 모세관작용은 헝겊 등에 의한 흡인식 사이폰 작용이다.
(정답률: 28%)
  • "역압에 의한 봉수파괴현상은 상층부 기구에서 자주 발생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역압에 의한 봉수파괴현상은 하층부 기구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층부 기구에서는 감압에 의한 봉수파괴가 더 자주 발생한다. 역압에 의한 봉수파괴는 배수관이 막혀서 물이 차오르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하층부 기구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과 같은 사무실에서 방열기의 설치 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정답률: 31%)
  • 정답은 "①"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방열기는 창문이나 문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 이유는 창문이나 문 주변은 외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교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열기를 창문이나 문 주변에 설치하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그림에서 보면 "①"은 창문과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따라서 "①"이 방열기를 설치하기에 가장 적당한 위치입니다.

    3. 반면에 "②"와 "③"은 창문과 거리가 있어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4. "④"는 문과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문이 닫혀있을 때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변전실 위치중 맞지 않는 것은?

  1. 건물전체부하의 한쪽 부근
  2. 지반이 좋고 침수의 염려가 없는 곳
  3. 습기, 먼지가 적은 곳
  4. 기기의 반출입이 용이한 곳
(정답률: 53%)
  • 변전실은 건물 전체의 전기 부하를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곳으로, 건물 전체 부하의 한쪽 부근에 위치하면 전기적으로 불균형이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건물 전체 부하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변전실 위치에 적합한 조건으로, 지반이 좋고 침수의 염려가 없는 곳, 습기와 먼지가 적은 곳, 기기의 반출입이 용이한 곳이 변전실 위치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배전 방식 중 일반 사무실이나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것은?

  1. 220V/110V단상 3선식
  2. 220V 3상 3선식
  3. 3상 4선식
  4. 6kV(3kV) 3상 3선식
(정답률: 17%)
  • 일반 사무실이나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배전 방식은 전기 용량이 작고, 전기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곳이기 때문에 220V/110V 단상 3선식이 사용된다. 이는 220V 또는 110V의 전압을 가진 단상 전원을 3개의 전선으로 분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콘센트와 같은 단상 전원을 사용하는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빛과 관련된 용어가 아닌 것은?

  1. dB
  2. 연색성
  3. 휘도
  4. 조도
(정답률: 56%)
  • 정답은 "dB"입니다.

    "dB"는 빛과 관련된 용어가 아니라,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데시벨(decibel)을 의미합니다.

    - 연색성: 빛의 색상이 얼마나 순수한지를 나타내는 지표
    - 휘도: 물체가 방출하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지표
    - 조도: 특정 면적에 비춰지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복사난방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열용량이 커서 예열시간이 짧다.
  2. 수직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실내가 쾌적하다.
  3. 대류난방에 비하여 설비비가 비싸다.
  4. 실온을 낮게 유지할 수 있어서 열손실이 적다.
(정답률: 50%)
  • 복사난방 방식은 공기를 통한 열전달이 아닌 복사에 의한 열전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직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실내가 쾌적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직온도분포가 균일하고 실내가 쾌적하다."는 특징은 복사난방 방식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열용량이 커서 예열시간이 짧다."는 특징은 복사난방 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급탕배관 계통에서 총손실열량이 30,000kcal/h이고 급탕 온도가 80℃, 반탕온도가 70℃라면 순환수량(ℓ /min)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0 (ℓ /min)
  2. 100 (ℓ /min)
  3. 1,000 (ℓ /min)
  4. 3,000 (ℓ /min)
(정답률: 13%)
  • 급탕배관 계통에서 총손실열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총손실열량 = 순환수량 × 1분당 1℃당 열량 × (급탕온도 - 반탕온도)

    여기서 1분당 1℃당 열량은 물의 비열인 1 kcal/(kg℃)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위 식을 순환수량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환수량 = 총손실열량 ÷ (1분당 1℃당 열량 × (급탕온도 - 반탕온도))

    순환수량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환수량 = 30,000 ÷ (1 × (80 - 70)) = 3,000 (ℓ /h)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분당이므로, 시간 단위를 분으로 환산해주어야 합니다.

    순환수량 = 3,000 ÷ 60 = 50 (ℓ /min)

    따라서 정답은 "50 (ℓ /m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로서 종점 스위치가 고장났을 때 작동되는 장치는?

  1. 조속기
  2. 제한 스위치
  3. 완충기
  4. 비상정지장치
(정답률: 37%)
  • 종점 스위치는 엘리베이터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는 스위치입니다. 만약 이 스위치가 고장나면 엘리베이터는 계속해서 이동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때 제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제한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점 스위치가 고장났을 때 작동되는 안전장치는 제한 스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건축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물 및 담장은 건축선의 수직면을 넘어서는 아니된다.
  2. 도로와 접한 부분에 있어서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선은 대지와 도로의 경계선으로 한다.
  3. 소요너비에 미달되는 너비의 도로의 경우에는 그 경계선으로부터 당해 소요너비의 2분의 1에 상당하는 수평거리를 후퇴한 선을 건축선으로 한다.
  4. 도로면으로부터 높이 4.5미터 이하에 있는 출입구·창문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은 개폐시에 건축선의 수직면을 넘는 구조로 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률: 28%)
  • "소요너비에 미달되는 너비의 도로의 경우에는 그 경계선으로부터 당해 소요너비의 2분의 1에 상당하는 수평거리를 후퇴한 선을 건축선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건축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내용이 아니라, 도로법에서 정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선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물의 연면적이 10,000m2로서 주차전용건축물에서 주차장 외의 부분을 판매 및 영업시설로 사용하고자 할 때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이 최소한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37%)
  • 주차전용건축물에서는 주차장 외의 부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비율은 규정되어 있다. 대개는 70% 이상의 비율로 주차장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최소한 70% 이상의 비율로 주차장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용도지구의 지정에서 세분되어 있지 않은 지구는?

  1. 미관지구
  2. 고도지구
  3. 위락지구
  4. 취락지구
(정답률: 39%)
  • 위락지구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지구로, 주로 관광, 레저, 문화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락시설이 많이 위치한 지역이나 관광지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건축물의 존치기간을 정하여 착공 5일전에 시장· 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할 가설건축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시를 위한 견본주택
  2. 농업용 고정식 온실
  3. 공장안에 설치하는 창고용 천막
  4. 연면적이 15m2인 조립식구조로 된 경비용 가설건축물
(정답률: 20%)
  • 건축법 제2조에 따르면, 가설건축물이란 건축물의 존치기간을 정하여 착공 5일전에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 건축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면적이 15m2인 조립식구조로 된 경비용 가설건축물은 가설건축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건축면적의 산정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2. 지표면으로부터 1미터 이하에 해당되는 건축물의 부분은 건축면적 산정에서 제외된다.
  3.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인 경우 그 건축면적의 산정방법은 건축물의 외벽 중 내측내력 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다.
  4. 건축물의 차양과 부연은 건축물의 건축면적 산정에서 제외된다.
(정답률: 29%)
  • "건축물의 차양과 부연은 건축물의 건축면적 산정에서 제외된다." 이 내용이 옳지 않습니다. 차양과 부연은 건축물의 건축면적 산정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차양은 건축물의 외벽에서 밖으로 돌출된 부분이며, 부연은 건축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속 건축물을 말합니다. 이들도 건축물의 면적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건축허가신청에 필요한 기본설계도서 중 건축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
  2. 건축물의 규모
  3. 공개공지 및 조경계획
  4. 주차장 규모
(정답률: 44%)
  • 건축계획서는 건축물의 기본적인 계획과 설계를 담은 문서이며,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과 규모, 주차장 규모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공개공지 및 조경계획은 건축계획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공개공지는 건축물 건설 시 이웃 주민들에게 건축물 건설 계획을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말하며, 조경계획은 건축물 주변의 조경을 계획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둘은 건축계획서와는 별도의 문서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대지안의 조경면적에서 옥상조경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옥상조경면적의 2/3를 인정하되 전체조경면적의 60/100을 초과할 수 없다.
  2. 옥상조경면적의 1/2를 인정하되 전체조경면적의 50/100을 초과할 수 없다.
  3. 옥상조경면적의 2/3를 인정하되 전체조경면적의 50/100을 초과할 수 없다.
  4. 옥상조경면적의 1/3를 인정하되 전체조경면적의 50/100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47%)
  • 대지안의 조경면적에서 옥상조경기준은 옥상조경면적의 2/3를 인정하되 전체조경면적의 50/100을 초과할 수 없다. 이는 대지안의 조경면적 중 옥상조경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최대 2/3까지 가능하며, 전체조경면적 중 옥상조경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최대 50%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건물의 높이와 면적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대개는 지자체의 조경관리규정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기반시설로 볼 수 없는 것은?

  1. 운동장
  2. 보건위생시설
  3. 주차장
  4. 주거시설
(정답률: 31%)
  • 주거시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기반시설로 볼 수 없습니다. 기반시설은 국민의 생활에 필수적인 시설로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건설, 유지, 보수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주거시설은 개인이 건설하거나 거주하는 시설로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건설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반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시가화조정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정
  2. 도시지역의 계획적·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정
  3. 보안상 필요에 의하여 도시개발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정
  4.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 지정
(정답률: 42%)
  • "보안상 필요에 의하여 도시개발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정"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가화조정구역은 도시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이고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며,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동안 시가화를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될 때 지정됩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정되는 것이며, 보안상 필요에 의한 제한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자동차용 승강기로 운반된 자동차가 주차구획까지 자주식으로 들어가는 노외주차장의 경우에 자동차용 승강기는 주차대수 몇 대당 1대를 설치하는가?

  1. 10대
  2. 15대
  3. 20대
  4. 30대
(정답률: 29%)
  • 자동차용 승강기는 주차구획까지 자주식으로 들어가는 노외주차장에서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자동차를 운반할 수 있는 승강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주차대수가 많을수록 승강기의 필요성이 높아지므로, 주차대수 몇 대당 1대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용 승강기는 보통 30대당 1대를 설치한다. 즉, 주차대수가 30대일 경우에는 1대의 승강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배연 설비의 구조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배연구 및 배연풍도는 불연재료로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원활하게 배연시킬 수 있는 규모로서 외기 또는 평상시에 사용하지 아니하는 굴뚝에 연결할 것
  2. 배연구가 외기에 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배연기를 설치할 것
  3. 배연기는 배연구의 열림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고, 충분한 공기배출 또는 가압능력이 있을 것
  4. 배연구는 평상시에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닫힌 경우에는 배연에 의한 기류로 인하여 열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40%)
  • 정답은 "배연구는 평상시에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닫힌 경우에는 배연에 의한 기류로 인하여 열리지 아니하도록 할 것"입니다. 이는 비상상황에서 배연구가 닫혀 있을 경우 배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연구는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건축법상 건축물의 용도변경시 분류된 시설군이 아닌것은?

  1. 영업 및 판매시설군
  2. 문화 및 집회시설군
  3. 공업시설군
  4. 주거 및 업무시설군
(정답률: 36%)
  • 건축법상 건축물의 용도변경시 분류된 시설군 중에서 "공업시설군"은 건축물의 용도변경이 불가능한 시설군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축물의 용도변경이 가능한 시설군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구단위계획구역의 내용 중 제1종지구단위계획의 지정 목적 달성에 필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건축물의 용도제한
  2. 건축물의 건폐율 및 용적률
  3.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
  4. 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 및 최저한도
(정답률: 38%)
  •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제1종지구단위계획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등의 용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지정하고, 건축물의 용도제한, 건축물의 건폐율 및 용적률, 건축물 높이의 최고한도 및 최저한도 등을 규제하여 지정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는 건축물의 위치와 관련된 사항으로, 지정 목적을 달성하는 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사항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지와 도로와의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심지 공개공지 등을 확보하여야 하는 지역과 건축물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준공업지역
  2.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3. 시장· 군수· 구청장이 도시화의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하여 지정· 공고하는 지역
  4. 연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문화 및 집회시설
(정답률: 22%)
  • 연면적의 합계가 3,000m2 이상인 문화 및 집회시설은 도심지 공개공지 등을 확보하여야 하는 지역과 건축물에 대한 내용 중 유효한 내용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시설들이 대규모인원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공지 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도시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정책방향이 아닌 것은?

  1. 공원· 녹지에 관한 사항
  2. 환경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경관에 관한 사항
  4. 공동구의 설치에 관한 사항
(정답률: 39%)
  • 도시기본계획은 도시의 발전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계획으로, 주로 도시의 공간 계획, 교통체계, 주거환경, 경제발전 등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공동구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도시기본계획에 포함되어서는 안 되는 정책방향이다. 공동구란 공동주택, 아파트 등의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물을 말하는데, 이는 도시계획보다는 건축물 설계나 관리에 관한 사항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노상주차장의 구조· 설비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종단구배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종단구배가 6%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종단구배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종단구배가 4%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종단구배가 6%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종단구배가 6%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종단구배가 6%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종단구배가 4%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률: 39%)
  • 보기 중 첫 번째인 "종단구배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종단구배가 6% 이하의 도로로서 보도와 차도의 구별이 되어 있고, 그 차도의 너비가 13m 이상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가 옳다.

    종단구배란 도로의 상하 경사를 말하며, 이 값이 너무 크면 차량 운행에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때에는 종단구배가 일정 이하인 도로에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차도의 너비가 충분히 넓고 보도와 차도가 구별되어 있으면, 종단구배가 조금 높아도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차량의 출입이 용이하고, 주변 도로와의 연결성도 좋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구조의 안전과 지진의 안전을 함께 확인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은?

  1. 층수가 6층인 건축물
  2. 연면적이 1만제곱미터인 건축물
  3.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박물관으로서 연면적의 합계가 500제곱미터인 것
  4.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지진구역 안의 건축물
(정답률: 25%)
  • 국가적 문화유산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박물관은 구조의 안전과 지진의 안전을 함께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건축물이다. 이는 해당 건축물이 보존가치가 높아서 그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자원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조의 안전과 지진의 안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건축물의 높이· 층수 등의 산정방법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난간벽의 2분의 1 이상이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은 당해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2. 처마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건축물의 지붕틀 또는 이와 유사한 수평재를 지지하는 벽· 깔도리 또는 기둥의 상단까지의 높이로 한다.
  3. 층고는 방의 바닥구조체 중간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중간까지의 높이로 한다.
  4. 층의 구분이 명확하지 아니한 건축물은 당해 건축물의 높이 4m마다 하나의 층으로 산정한다.
(정답률: 36%)
  • "층고는 방의 바닥구조체 중간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중간까지의 높이로 한다."가 옳은 것이다. 이유는 건축물의 층고는 건축물 내부 공간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바닥과 천장의 중간부터 다음 층의 바닥과 천장의 중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중형 기계식주차장에 주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최대 무게는?

  1. 1,300 kg
  2. 1,600 kg
  3. 1,900 kg
  4. 2,200 kg
(정답률: 31%)
  • 중형 기계식주차장은 일반적으로 2단 혹은 3단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주차 가능한 무게 제한이 있습니다. 이 중형 기계식주차장에서 주차 가능한 최대 무게는 보통 1,600 kg 정도입니다. 이는 주차장의 구조와 안전을 고려한 결과로, 이보다 무거운 차량은 주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관계 공사의 관계 기술자와의 의무적 협력관계가 틀린 것은?

  1. 연면적 10,000m2의 중앙공급식 아파트 난방공사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2. 깊이 9m의 토지굴착공사 - 토목분야 기술자격취득자
  3. 높이 6m의 옹벽공사 - 토목분야 기술자격취득자
  4. 연면적 10,000m2의 사무소 급배수 공사 - 공조냉동 기계기술사
(정답률: 20%)
  • "깊이 9m의 토지굴착공사 - 토목분야 기술자격취득자"가 틀린 것이다. 토지굴착공사는 건축분야가 아닌 토목분야에 속하므로, 토목분야 기술자격취득자가 담당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