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건축기사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사무소건축의 코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내력벽 구조체로 내진벽 역할을 한다.
  2. 중심코어형은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며 저층건물에 주로 사용된다.
  3. 설비시설을 집중할 수 있다.
  4. 공용부분을 한 곳에 집약시킴으로서 사무소의 유효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7%)
  • 중심코어형은 바닥면적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며 저층건물에 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중심코어형은 오히려 높은 건물에 적합하며, 높은 건물일수록 중심코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집니다. 이유는 높은 건물일수록 바람이나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진성능이 강화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심코어형은 높은 건물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호텔의 세부계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이실과 서비스실은 숙박시설이 있는 각층의 코어에 인접하여 둔다.
  2. 일반적으로 호텔의 부분별 면적 중 관리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30 ~ 40% 정도이다.
  3. 퍼블릭 스페이스층에는 60m 이내 마다 공동화장실을 설치한다.
  4. 지배인실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고 대화할 수 있는위치에 두도록 한다.
(정답률: 46%)
  • "일반적으로 호텔의 부분별 면적 중 관리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30 ~ 40% 정도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호텔의 부분별 면적 중 관리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일반적으로 30 ~ 40% 정도이다. 이유는 호텔 운영에 필요한 부대시설과 인력 등을 보유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쇼핑센타에서 전체면적에 대한 일반적인 핵점포의 면적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약 50%
  2. 약 30%
  3. 약 20%
  4. 약 10%
(정답률: 52%)
  • 쇼핑센터는 대부분 상점과 공용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점 면적은 일반적으로 핵점포보다 작기 때문에, 전체 면적 대비 핵점포 면적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그러나 공용공간은 핵점포보다 크기 때문에, 전체 면적 대비 핵점포 면적 비율은 낮아집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쇼핑센터의 전체 면적 대비 핵점포 면적 비율은 약 50% 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쇼윈도 유리면의 반사방지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외부보다 쇼윈도 내부를 어둡게 한다.
  2. 곡면 유리를 사용한다.
  3. 유리를 사면으로 설치한다.
  4. 차양을 달아 외부에 그늘을 준다.
(정답률: 62%)
  • 외부보다 쇼윈도 내부를 어둡게 한다는 것은 내부에서 빛을 적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반사가 줄어들어 반사방지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가장 부적당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파트 각 형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홀형은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1대당 이용률이 복도형에 비해 적다.
  2. 편복도형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수 있는 형식이다.
  3. 집중형은 기후조건에 따라 기계적 환경조절이 필요하다.
  4. 편복도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정답률: 73%)
  • "편복도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편복도형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수 있는 형식으로, 주거공간과 공용공간을 분리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학교 건물에서 단층 교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계단이 필요없으므로 재해시 피난상 유리하다.
  2. 학습 활동을 실외에 연장할 수 있다.
  3. 채광, 환기에 유리하고 내진ㆍ내풍구조가 용이하다.
  4. 설비 등을 집약할 수 있어서 치밀한 평면계획이 가능하다.
(정답률: 76%)
  • 설비 등을 집약할 수 있어서 치밀한 평면계획이 가능하다는 것은, 단층 교사 건물은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물 내부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학교운영 방식 중 전학급을 2분단으로 하고, 한 분단이 일반 교실을 사용할 때 다른 분단은 특별교실을 사용하는 방식은?

  1. 종합교실형(U형)
  2. 일반교실· 특별교실형(U· V형)
  3. 플라툰형(P형)
  4. 달톤형(D형)
(정답률: 65%)
  • 전학급을 2분단으로 나누어 일반 교실과 특별교실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방식은 플라툰형(P형)이다. 이는 학생들이 학습환경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교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시실 순회 방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연속 순회형은 비교적 소규모 전시실에 적합하다.
  2. 갤러리 및 코리더형은 중앙에 중정을 두는 경우도 많다.
  3. 갤러리 및 코리더형은 각실에 직접 들어갈 수 있는 점이 유리하다.
  4. 중앙홀형은 홀의 크기가 크면 중앙부 동선의 혼란이 있다.
(정답률: 61%)
  • "중앙홀형은 홀의 크기가 크면 중앙부 동선의 혼란이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중앙홀형은 전시물을 중앙에 집중시켜 관람객의 시선 집중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으며, 대형 전시물을 전시할 때 유리하다. 그러나 홀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앙부 동선이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시실의 채광방식 중 천장에 가까운 측면에서 채광하는 방법으로 다음 그림과 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것은?

  1. 고측광창 형식(Clerestory)
  2. 정광창 형식(Top light)
  3. 측광창 형식(Side light)
  4. 정측광창 형식(Top side light)
(정답률: 48%)
  • 정답은 "고측광창 형식(Clerestory)"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듯이 천장에 가까운 측면에서 채광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Clerestory는 건물의 높은 부분에 위치한 창문으로, 건물 내부에 자연광을 공급하는 방식 중 하나이다. 이러한 형식은 건물 내부에 자연광을 공급하면서도 외부에서 보았을 때 건물의 높은 부분에 창문이 위치하기 때문에 건물의 디자인적인 특징을 강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동주택의 단위주거 단면구성 형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복층형(메조네트형)은 엘리베이트의 정지 층수를 적게 할 수 있다
  2. 스킵 플로어형은 주거단위의 단면을 단층형과 복층형에서 동일층으로 하지 않고 반층씩 엇나게 하는 형식을 말한다.
  3. 트리플렉스형은 듀플렉스형보다 프라이버시의 확보율은 낮고 통로면적도 불리하다.
  4. 플랫형은 주거단위가 동일층에 한하여 구성되는 형식이다.
(정답률: 79%)
  • "트리플렉스형은 듀플렉스형보다 프라이버시의 확보율은 낮고 통로면적도 불리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트리플렉스형이 듀플렉스형보다 더 많은 공간을 가지고 있어 프라이버시의 확보율이 높고, 통로면적도 더 넓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이집트 건축에서는 볼트와 아치가 적극적으로 이용 되었다.
  2. 비잔틴 건축에서는 모자이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3. 그리이스 건축에서의 기둥은 분리되지 않은 단일한 석재로 되어 있었다.
  4. 로마건축에서는 첨두 아치(pointed arch)가 주로 사용되었다.
(정답률: 44%)
  • 비잔틴 건축에서는 모자이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는 비잔틴 문화에서 예술적인 표현 수단으로서 모자이크가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모자이크는 작은 조각들을 조합하여 그림이나 패턴을 만드는 기술로, 비잔틴 건축에서는 벽면이나 천장 등에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근린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00ha, 2000호를 생활권으로 한다.
  2.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공동시설이 운영 가능한 단위이다.
  3. 아파트의 경우는 3~4층 건물로서 1~2동이 해당된다.
  4. 중심시설로는 초등학교, 도서관, 우체국 등이 있다.
(정답률: 44%)
  • 근린분구는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공동시설이 운영 가능한 단위이다. 이는 주거지역 내에서 필요한 시설들을 제공하며, 100ha, 2000호를 생활권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파트의 경우는 3~4층 건물로서 1~2동이 해당되며, 중심시설로는 초등학교, 도서관, 우체국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서관에 관한 다음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열람실은 다른 방으로의 통로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폐가식 출납시스템은 대출절차가 필요없어 이용에 편리하다.
  3. 아동열람실은 개가식이 좋다.
  4. 서고내에 설치하는 소규모의 개인연구실을 캐럴이라고 한다.
(정답률: 81%)
  • "아동열람실은 개가식이 좋다."는 부적당한 기술입니다. 이유는 아동들이 개와 함께 있을 때 안전상의 이유로 개가식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폐가식 출납시스템은 대출절차가 필요없어 이용에 편리하다."는 대출절차가 간소화되어 이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중 조선후기의 대표적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수원 팔달문
  2. 경복궁 근정전
  3. 서울 동대문
  4. 봉정사 대웅전
(정답률: 56%)
  • 봉정사 대웅전은 고려시대에 건립된 건축물로, 조선후기의 대표적 건축물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반단독주택의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관의 위치는 대지의 형태, 방위, 도로와의 관계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2. 노인의 침실은 일조, 전망이 양호하며 식당, 욕실 및 화장실에 근접된 곳에 위치시킨다.
  3. 거실은 홀(hall)과 겸하여 사용되는 평면 배치를 하는 것이 좋다.
  4. 식당의 면적은 가족의 수와 식탁의 크기 등에 의해서 정해진다.
(정답률: 60%)
  • 거실은 홀과 겸하여 사용되는 평면 배치를 하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개인의 취향과 주거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부 가구는 홀과 거실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하며, 주거환경이 협소한 경우에는 홀과 겸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극장의 각 평면형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프로시니엄 형은 객석 수용 능력에 있어서 제한을 받는다.
  2. 오픈스테이지 형은 무대장치를 꾸미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애리나 형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극장표현에 대한 최대한의 선택 가능성을 부여한다.
  4. 가변형 무대는 필요에 따라서 무대와 객석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답률: 44%)
  • 애리나 형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극장표현에 대한 최대한의 선택 가능성을 부여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애리나 형은 무대와 관객석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관객들이 무대에서 멀어지지 않고 고르게 시야를 즐길 수 있으며, 무대의 중앙에 위치한 관객석은 배치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는 건축 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애리나 형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극장표현에 대한 최대한의 선택 가능성을 부여하는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병원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술부의 위치는 타 부분의 통과교통이 없는 장소이어야 한다.
  2. 건축형식 중 분관식은 일조, 통풍조건이 좋지 않으며 각 병실의 환경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3. 병실의 창문 높이는 90cm 이하로 하여 환자가 병상에 서 외부를 전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4. 병원의 규모는 병상수를 통해 산정한다.
(정답률: 70%)
  • 건축형식 중 분관식은 일조, 통풍조건이 좋지 않으며 각 병실의 환경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분관식이 아닌 집적식이 해당한다. 분관식은 각 병실에 창문이 있어 일조와 통풍이 잘 이루어지며, 각 병실의 환경이 균일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은행건축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일반적으로 출입문은 안여닫이로 함이 타당하다.
  2. 은행실은 고객대기실과 영업실로 나누어지며 은행의 주체를 이루는 곳이다.
  3. 영업실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적어도 20m2 이상되어야 한다.
  4. 금고실은 고객대기실에서 떨어진 위치에 둔다.
(정답률: 76%)
  • "금고실은 고객대기실에서 떨어진 위치에 둔다."는 부적당한 기술이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금고실을 고객대기실에서 떨어뜨려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 올바른 기술이다.

    "영업실의 면적은 은행원 1인당 적어도 20m2 이상되어야 한다."의 이유는 은행원들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작은 공간에서 일하게 되면 은행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직장 내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은행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직장 내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국은행 본점 구관(舊館)은 어느 양식의 건물인가?

  1. 비잔틴 양식
  2. 르네상스 양식
  3. 로마네스크 양식
  4. 고딕 양식
(정답률: 71%)
  • 한국은행 본점 구관은 르네상스 양식 건물이다. 이는 건물의 외형이 고전적인 로마 건축 양식을 참조하면서도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디자인을 구현한 양식으로,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대각선으로 교차하는 지붕의 형태와 대형 아치형 창문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장건축의 레이아웃(layou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식 레이아웃은 기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정, 기계를 접합하여 고정 배치하는 방식이다.
  2. 레이아웃은 장래 공장규모의 변화에 대응한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3.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생산성이 높다.
  4. 표준화가 어려운 경우에 적합한 형식은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이다.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인 것은?

  1. 폴리에스테르수지
  2. 폴리프로필렌수지
  3. 에폭시수지
  4. 멜라민수지
(정답률: 39%)
  • 정답은 "폴리프로필렌수지"입니다. 폴리프로필렌은 열가소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폴리에스테르는 열에 약하고, 에폭시는 열에 강하지만 내구성이 낮고, 멜라민은 열에 강하지만 가공성이 떨어지는 등 각각의 특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폭 6m, 두께 15cm로 630m의 도로를 7m3레미콘을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한다. 주문해야 할 레미콘 트럭 대수는?

  1. 40대
  2. 59대
  3. 74대
  4. 81대
(정답률: 42%)
  • 도로의 부피는 폭×두께×길이 = 6×0.15×630 = 56.7m3 이다.
    레미콘 1m3 당 부피는 7m3 이므로, 필요한 레미콘의 양은 56.7 ÷ 7 = 8.1m3 이다.
    한 대의 레미콘 트럭이 운반할 수 있는 레미콘의 양은 7m3 이므로, 필요한 레미콘 트럭 대수는 8.1 ÷ 7 ≈ 1.157 ≈ 2 대이다.
    따라서, 정답은 "81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경량콘크리트공사에서 경량골재의 취급 및 저장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짐부리기, 쌓아 올리기 및 물뿌리기를 할 때 입자가 분리되도록 한다.
  2. 골재를 쌓아둘 곳은 될 수 있는 대로 물빠짐이 좋게한다.
  3. 골재를 쌓아둘 곳은 햇볕을 덜 받는 장소를 택한다.
  4. 골재에 때때로 물을 뿌리고 표면에 포장 등을 하여 항상 같은 습윤상태를 유지한다.
(정답률: 57%)
  • "골재의 짐부리기, 쌓아 올리기 및 물뿌리기를 할 때 입자가 분리되도록 한다."는 옳은 내용이 아니다. 경량골재는 입자가 분리되면 경량성이 감소하고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내용은 "골재의 짐부리기, 쌓아 올리기 및 물뿌리기를 할 때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이다.

    이유는 경량골재는 가벼워서 바람에 쉽게 날아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보관이 필요하다. 골재를 쌓아둘 곳은 물빠짐이 좋은 곳을 선택하고, 바람이나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또한 골재는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물을 뿌릴 때에도 골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수량 산출시 할증율이 가장 큰 것은?

  1. 원형철근
  2. 대형형강
  3. 고장력볼트
  4. 이형철근
(정답률: 71%)
  • 대형형강이 가장 큰 할증율을 가지는 이유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입니다. 수량 산출시 할증율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수량 이상부터는 할증율이 더 크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형형강은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정 수량 이상부터는 할증율이 가장 크게 적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동화콘크리트의 용어 중에서 베이스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동화 콘크리트 제조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 배합의 콘크리트
  2.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 유동화제를 첨가한 후의 콘크리트
  3. 기초 콘크리트에 타설하기 위해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4. 지하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0%)
  • "유동화 콘크리트 제조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 배합의 콘크리트"가 옳은 설명이다. 베이스 콘크리트는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적인 콘크리트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콘크리트를 말한다. 이 콘크리트는 유동성이 낮고 강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유동성을 높이고 가공성을 개선한 후 유동화 콘크리트로 제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MCX(Minimum cost Expending)기법에 의한 공사기간 단축방법에서 아무리 비용을 투자해도 그 이상 공기를 단축할수 없는 한계점은?

  1. 특급점(crash point)
  2. 표준점(normal point)
  3. 포화점
  4. 경제 속도점
(정답률: 77%)
  • MCX 기법에서 특정 작업을 더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투자할 때, 그 작업의 최소 시간을 달성할 수 있는 한계점을 특급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추가 비용을 투자해도 더 이상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없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특급점은 MCX 기법에서 최적의 공사기간을 찾는 데 중요한 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녹막이 도료 중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가장 적합한 도료는?

  1. 광명단
  2. 징크로메이트 도료
  3. 아연분말 도료
  4. 역청질 도료
(정답률: 70%)
  • 알루미늄은 산화되기 쉬우므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는 부식방지를 위한 도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징크로메이트 도료는 부식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내구성이 높아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가장 적합한 도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징크로메이트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면이 네모진 돌을 수평줄눈이 부분적으로 연속되고, 세로 줄눈이 일부 통하도록 쌓는 돌쌓기 방식은?

  1. 바른층 쌓기
  2. 허튼층 쌓기
  3. 오늬무니 쌓기
  4. 허튼 쌓기
(정답률: 39%)
  • 허튼층 쌓기는 면이 네모진 돌을 수평줄눈이 부분적으로 연속되고, 세로 줄눈이 일부 통하도록 쌓는 돌쌓기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돌을 쌓을 때 일부분이 허공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래층 돌과 연결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쌓을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건축물의 무게를 분산시켜서 지반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도 강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중 유리의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Na2O
  2. CaO
  3. SiO2
  4. K2O
(정답률: 69%)
  • 유리의 주성분은 SiO2이다. 이는 유리를 구성하는 주요 원소 중 하나이며, 유리의 물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성분들은 유리의 특성을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지만, SiO2는 유리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철골공사의 공장작업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원척도→ 본뜨기→ 금매김→ 절단 및 가공→ 구멍뚫기→ 가조립→ 본조립→ 검사
  2. 본뜨기→ 원척도→ 금매김→ 절단 및 가공→ 구멍뚫기→ 가조립→ 본조립→ 검사
  3. 원척도→ 금매김→ 본뜨기→ 절단 및 가공→ 구멍뚫기→ 가조립→ 본조립→ 검사
  4. 원척도→ 본뜨기→ 금매김→ 구멍뚫기→ 절단 및 가공→ 가조립→ 본조립→ 검사
(정답률: 53%)
  • 철골공사의 공장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원척도
    2. 본뜨기
    3. 금매김
    4. 절단 및 가공
    5. 구멍뚫기
    6. 가조립
    7. 본조립
    8. 검사

    이 순서는 철골제작 공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서로, 원척도에서는 철골의 크기와 형태를 정확히 측정하고, 본뜨기에서는 철골의 길이와 각도를 조절합니다. 금매김은 철골의 표면을 정리하고, 절단 및 가공에서는 필요한 크기로 자르고 가공합니다. 구멍뚫기는 철골에 필요한 구멍을 뚫는 작업이며, 가조립에서는 철골을 조립하여 구조물의 일부를 만듭니다. 본조립에서는 가조립한 부품들을 모아 전체 구조물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검사를 통해 완성도를 확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제치장 콘크리트에 관한 사항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제치장 콘크리트는 외장하지 않고 노출되는 콘크리트면 자체가 치장이 되게 마무리하는 콘크리트이다.
  2. 콘크리트 부어넣기는 벽· 기둥에서는 한번에 꼭대기까지 부어넣어야 한다.
  3. 철근의 피복은 외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때보다 1㎝정도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4. 슬럼프는 기초에서 12∼16㎝, 기타는 18㎝ 정도로 한다.
(정답률: 27%)
  • "슬럼프는 기초에서 12∼16㎝, 기타는 18㎝ 정도로 한다."는 옳은 내용이 아니다. 슬럼프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형태 유지 없이 바닥에 부어놓았을 때 콘크리트의 높이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슬럼프의 높이는 콘크리트의 용도나 형태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5~18cm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치장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기초에서 12∼16㎝, 기타는 18㎝ 정도로 한다."라는 내용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지하연속벽 공법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불가능하다.
  2. 흙막이벽은 벽의 길이에 제한이 있다.
  3. 시공시의 소음· 진동이 크다.
  4. 흙막이벽은 깊은 지층까지 조성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지하연속벽 공법은 지하공간을 지탱하기 위해 지하에 연속적으로 벽을 설치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의 특징 중 하나는 흙막이벽이 깊은 지층까지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지하공간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깊은 지층까지 벽을 설치하여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흙막이벽은 깊은 지층까지 조성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이프 회전용의 선단에 커터(cutter)를 장치하여 흙을 뒤섞으며 지중으로 파들어간 다음 파이프 선단에서 모르타르를 분출시켜 흙과 모르타르를 혼합하면서 파이프를 빼내는 말뚝이름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1. 페데스탈 말뚝
  2. 레이몬드 말뚝
  3. C.I.P 말뚝(cast in place)
  4. M.I.P 말뚝(mixed in place)
(정답률: 53%)
  • 정답은 "M.I.P 말뚝(mixed in place)"입니다.

    M.I.P 말뚝은 파이프 회전용의 선단에 커터를 장착하여 흙을 뒤섞으며 지중으로 파들어간 다음 파이프 선단에서 모르타르를 분출시켜 흙과 모르타르를 혼합하면서 파이프를 빼내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말뚝입니다. 이 방식은 지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혼합비를 적용할 수 있어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적어서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철골철근 콘크리트의 사무소 건축에 있어서 철골 1t당 통상 사용되는 현장치기 리벳의 수로 적당한 것은?

  1. 100 - 150
  2. 200 - 250
  3. 300 - 400
  4. 500 - 600
(정답률: 20%)
  • 철골철근 콘크리트 건축에서 사용되는 현장치기 리벳의 수는 철골 1t당 100-150개가 적당하다. 이는 철골과 리벳의 크기, 건축물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을 위해서는 이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너무 적게 사용하면 건축물의 강도가 떨어지고, 너무 많이 사용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의 거푸집은 중앙에서 간사이(span)의 얼마 정도로 치켜 올리는 것이 옳은가?

  1. 1/300∼1/500
  2. 1/150∼1/200
  3. 1/100∼1/150
  4. 1/50∼1/100
(정답률: 32%)
  • 보의 거푸집은 중앙에서 간사이(span)의 얼마 정도로 치켜 올리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답은 "1/300∼1/50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보의 거푸집은 보의 중앙에서 양쪽으로 치켜 올리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보의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거푸집을 너무 많이 치켜 올리면 보의 중앙에서의 굽힘 모멘트가 증가하게 되어 보의 내구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크기는 보의 길이와 하중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의 길이가 길수록 거푸집의 크기는 작아져야 하며, 하중이 크면 거푸집의 크기는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보의 거푸집을 중앙에서 간사이의 얼마 정도로 치켜 올리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답은 "1/300∼1/500"이 된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의 크기 범위이며, 보의 길이와 하중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공법에 관한 내용이다. 맞는 내용은?

  1. 하프 PC합성바닥판공법
  2. 역타공법
  3. 적층공법
  4. 지하연속벽공법
(정답률: 68%)
  • 적층공법은 여러 층의 바위를 깊이 파고들어 각 층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공법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림에서도 보듯이 층을 파악하고 그에 맞게 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베노토(Benoto) 공법의 특징이 아닌것은?

  1. All casing공법이므로 주위지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시공이 됨
  2. 긴말뚝(50∼60m)의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음
  3. 굴삭 후 배출되는 토사로서 토질을 알 수 있어 지지층에 도달됨을 판명
  4. 기계는 대형 중량이고 케이싱튜브를 뽑아내는 반력도 커서 심히 연약한 지반 또는 수상시공에는 적절치 않음
(정답률: 39%)
  • 베노토(Benoto) 공법은 All casing공법이므로 주위지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시공이 됨, 굴삭 후 배출되는 토사로서 토질을 알 수 있어 지지층에 도달됨을 판명하는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긴말뚝(50∼60m)의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기계가 대형 중량이고 케이싱튜브를 뽑아내는 반력도 커서 심히 연약한 지반 또는 수상시공에는 적절치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최근에는 바닥 마감재의 시공성 확보 및 일체성을 위해 플라스틱 바름 바닥재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다음의 플라스틱 바름 바닥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리우레탄 바름 바닥재 - 공기중의 수분과 화학반응하는 경우 저온과 저습에서 경화가 늦으므로 5℃이하 에서는 촉진제를 사용한다.
  2. 에폭시수지 바름 바닥재 - 수지 페이스트와 수지모르타르용 결합재에 경화제를 혼합하면 생기는 기포의 혼입을 막도록 소포제를 첨가한다.
  3.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바름 바닥재 - 표면경도(탄력성) , 신축성 등이 폴리우레탄에 가까운 연질이고 페이스트, 모르타르, 골재 등을 섞어서 사용한다.
  4. 프란수지 바름 바닥재 - 탄력성과 미끄럼 방지에 유리하여 체육관에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55%)
  • 프란수지 바름 바닥재 - 탄력성과 미끄럼 방지에 유리하여 체육관에 많이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다. 프란수지 바름 바닥재는 체육관, 댄스 스튜디오, 요가 스튜디오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탄력성과 미끄럼 방지 기능이 뛰어나다. 이는 운동 시 안전성을 높이고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정관리 용어로서 전체 공사과정중 관리상 특히 중요한 몇몇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특정시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간관리일(Milestone)
  2. 절점(Node)
  3. 표준점(Normal Point)
  4. 비작업일
(정답률: 59%)
  • 중간관리일은 공정관리에서 특정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나타내는 중요한 시점을 의미합니다. 이 시점은 전체 공사과정에서 관리상 특히 중요한 작업에 대해 설정되며, 해당 작업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조기에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중간관리일은 공정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철골공사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리벳치기에서 리벳은 900-1,000℃로 가열한 것을 사용하고, 600℃이하로 냉각된 것은 사용할 수 없다.
  2. 녹막이도장은 작업장소의 온도가 5℃ 이하, 또는 상대습도가 80% 이상일 때는 작업을 중지한다.
  3. 철골이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은 특히 녹막이 칠을 잘해야 한다.
  4. 볼트 접합은 일반적으로 처마높이 9m 이하이고 스팬이 13m 이하의 건축물에서 사용한다.
(정답률: 65%)
  • "볼트 접합은 일반적으로 처마높이 9m 이하이고 스팬이 13m 이하의 건축물에서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볼트 접합은 건축물의 높이나 스팬과는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철골이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은 녹막이 칠을 잘해야 하는 이유는 철골과 콘크리트가 서로 다른 재질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변화에 따라 생기는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에 따라 철골과 콘크리트 사이에 간극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건축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녹막이 칠을 통해 철골과 콘크리트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고, 철골과 콘크리트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설계에서 그림과 같은 보가 지지할 수 있는 최대전단강도는 얼마인가? (단, 사용재료는 fck=24MPa , fy=400MPa이다.) (1MPa=10kgf/cm2)

  1. 28.9 t
  2. 31.9 t
  3. 35.9 t
  4. 40.9 t
(정답률: 2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 중 강도설계법의 강도감소계수에 관한 기술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휨모멘트와 축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보통 철근콘크리트 부재 : 0.75
  2. 전단 및 비틀림모멘트 : 0.70
  3. 콘크리트의 지압력 : 0.70
  4.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 0.80
(정답률: 20%)
  • 콘크리트의 지압력 강도감소계수가 0.70인 이유는 콘크리트가 지반과 접촉하여 받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 구조물 등에서는 콘크리트의 지압력을 고려하여 강도감소계수를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A점에 휨모멘트 18tf· m가 작용하는 경우 C점의 휨모멘트 MC의 값으로 옳은 것은?

  1. 12 tf· m
  2. 14 tf· m
  3. 16 tf· m
  4. 18 tf· m
(정답률: 31%)
  • A점에서 작용하는 휨모멘트는 시계방향으로 18tf·m이므로, C점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필요하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C점에서는 A점에서 작용하는 힘의 반대 방향인 6tf의 수직 하중이 필요하다. 이 때, C점에서의 휨모멘트는 6tf x 2m = 12tf·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 tf·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 기둥의 구조제한에 관한 사항 중에 옳지 않은 것은?

  1. 단면의 최소 치수는 200㎜
  2. 단면의 최소 단면적은 60,000mm2
  3. 주근의 순간격은 25㎜ 이상.
  4. 주근의 최소 개수는 4개
(정답률: 18%)
  • 단면의 최소 치수와 최소 단면적, 주근의 최소 개수는 모두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만, 주근의 순간격은 구조적 안전성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도 고려하여 결정되는 요소이다. 주근의 순간격이 너무 크면 구조적 안전성이 떨어지고, 너무 작으면 시공성과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근의 순간격은 25㎜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의 휨모멘트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23%)
  • 캔틸레버 보의 휨모멘트는 F × d로 계산됩니다. 이 때 F는 힘의 크기, d는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기준점 사이의 거리입니다. 그림에서는 F가 가장 멀리 위치하고 있으므로, d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F × d가 가장 큰 B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철골조 주각 부분의 그림에서 A의 명칭은?

  1. base plate
  2. side angle
  3. anchor plate
  4. wing plate
(정답률: 63%)
  • A의 명칭은 "anchor plate"이다.

    "wing plate"는 이 그림에서 보이는 부분 중에서 가장 가운데에 위치한 부분으로, 주각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부분을 "wing plate"라고 부른다.

    "base plate"는 구조물의 기초를 받치는 바닥판을 의미하며, 이 그림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side angle"은 주각의 옆면을 이루는 철재를 의미한다.

    "anchor plate"는 구조물의 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철재로, 이 그림에서는 주각의 하단 부분에 위치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좌우대칭의 T형 단면의 도심(G)이 플랜지 하단과 일치하게 하려면 플랜지 폭 B의 크기는? (단위: cm )

  1. 360 cm
  2. 180 cm
  3. 120 cm
  4. 60 cm
(정답률: 44%)
  • 도심(G)이 플랜지 하단과 일치하게 하기 위해서는 T형 단면의 좌우대칭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T형 단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플랜지의 폭을 나누어야 합니다. 중심축으로부터 플랜지 하단까지의 거리는 T형 단면의 높이인 240cm 이므로, 플랜지의 폭 B는 240cm를 2로 나눈 값인 120cm 입니다. 하지만, T형 단면은 좌우대칭이므로, 좌측과 우측의 플랜지 폭을 합한 값이 전체 폭인 240cm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좌측과 우측의 플랜지 폭은 각각 120cm가 되어 전체 폭은 240c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 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원형철근을 대신하여 이형 철근을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압축응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2. 전단응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3. 인장응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4. 부착응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44%)
  • 이형 철근은 원형철근보다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부착면적이 더 넓어져 부착응력을 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형 철근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부착응력을 크게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형 단면의 지름을 D라고 하면 단면계수 Z는?

(정답률: 36%)
  • 원형 단면의 지름이 D일 때, 단면계수 Z는 4입니다. 이는 원형 단면이 가장 강한 단면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면 형태들은 모서리나 각이 있어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있지만, 원형 단면은 모서리나 각이 없어서 응력이 고르게 분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형 단면은 가장 강한 단면 형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치수 8mm, 용접길이 400mm인 양면 모살용접의 유효 단면적은 다음 중 어느 것과 가까운가?

  1. 21cm2
  2. 32cm2
  3. 38cm2
  4. 43cm2
(정답률: 40%)
  • 양면 모살용접의 경우, 용접치수와 용접길이를 이용하여 유효 단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유효 단면적 = 용접치수 x 용접길이 x 2

    여기서 2는 양면 모살용접이므로 곱해준다.

    따라서,

    유효 단면적 = 8mm x 400mm x 2 = 6400mm2

    하지만, 단위를 cm2로 바꾸어야 하므로 100으로 나누어준다.

    유효 단면적 = 6400mm2 ÷ 100 = 64cm2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43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왕대공 지붕틀의 평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ㅅ자보와 평보는 볼트로 죈다.
  2. 평보는 천장이 없을 때에는 단순한 인장재이지만, 이 것이 있을 때에는 휨을 받는 인장재가 된다.
  3. 이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스팬의 1/4되는 지점에서 잇는다.
  4. ㅅ자보와 평보의 맞춤은 빗턱통넣고 장부맞춤 또는 안장맞춤으로 한다.
(정답률: 29%)
  • "이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스팬의 1/4되는 지점에서 잇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왕대공 지붕틀의 평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어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스팬의 1/4 지점에서 잇는 것은 일반적인 규칙은 아닙니다. 평보의 위치는 건축물의 크기와 형태,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골 플레이트 보에서 중간 스티프너(stiffner)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웨브 플레이트(web plate)에 생기는 휨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
  2. 플렌지 앵글(flange angle)의 단면을 작게 하기 위해
  3. 플랜지 앵글의 리벳간격을 넓게 하기 위해
  4. 웨브 플레이트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48%)
  • 중간 스티프너는 웨브 플레이트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보의 중앙 부분에서 생기는 휨모멘트에 의해 웨브 플레이트가 좌우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도설계법에서 하중조합이 옳게 표현되지 않은 것은? (D:고정하중, L:활하중, W:풍하중, E:지진하중)

  1. 1.4D + 1.7L
  2. 0.75(1.4D + 1.7L + 1.9W )
  3. 0.75(1.4D + 1.7L + 1.8E )
  4. 0.9D + 1.3W
(정답률: 18%)
  • 정답은 "0.75(1.4D + 1.7L + 1.8E )"입니다. 이유는 지진하중(E)은 다른 하중과는 달리 지진의 방향, 지진의 크기, 건물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하중 조합 계수가 다른 하중과는 다르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0.75(1.4D + 1.7L + 1.8E )"에서는 지진하중에 대한 계수가 1.8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적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벽돌벽의 공간쌓기의 목적은 방습이나 열의 차단효과를 얻는 데 있다.
  2. 조적조에 있어서 통줄눈을 피하는 이유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이다.
  3. 영식쌓기는 한 켜는 길이쌓기,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를 번갈아 쌓고 끝부분에 한 켜 걸러 칠오토막을 넣는다.
  4. 보강콘크리트 블록조 벽은 테두리보를 설치하여 내력벽과 일체시킴으로써 건축물의 강도를 높인다.
(정답률: 33%)
  • 옳지 못한 설명은 "영식쌓기는 한 켜는 길이쌓기,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를 번갈아 쌓고 끝부분에 한 켜 걸러 칠오토막을 넣는다." 이다. 영식쌓기는 한 켜를 쌓고 그 위에 다음 켜를 쌓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마구리쌓기는 한 켜를 쌓고 그 위에 다음 켜를 90도 회전시켜 쌓는 방식이다. 끝부분에는 보통 칠오토막 대신 쌓은 벽돌을 잘라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x-x축에 대한 단면2차반경 값으로 맞는 것은?

  1. 5.5cm
  2. 6.9cm
  3. 7.7cm
  4. 8.1cm
(정답률: 46%)
  • 주어진 단면은 타원형이며, 타원의 2차반경은 x-x축에 대한 반지름의 길이이다. 따라서, 타원의 긴 축과 짧은 축의 길이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2차반경을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그림에서 긴 축의 길이는 11cm, 짧은 축의 길이는 7cm이다. 이를 이용하여 2차반경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차반경 = √((11/2)^2 - (7/2)^2) = √(30.25 - 12.25) = √18 = 4.24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2차반경이 4.24에 가장 가까운 값은 "6.9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지중보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기초를 서로 연결시켜 기초의 부동침하 및 이동을 방지한다.
  2.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도를 증가시킨다.
  3. 압축력과 국부좌굴에 저항한다.
  4. 철근콘크리트보의 전단내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0%)
  • 지중보는 기초를 서로 연결시켜 기초의 부동침하 및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건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벽체에 관한 기술 중 옳지 못한 것은?

  1. 목조 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하기 위해 가새를 설치한다.
  2. 벽돌구조에서 각 층의 대린벽으로 구획된 벽에서는 문꼴의 나비의 합계는 그 벽길이의 1/2이하로 한다.
  3. 목조 벽체에서 샛기둥은 본기둥 사이에 벽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가새의 옆휨을 막는데 유효하다.
  4. 창문의 나비가 1.2m 이상인 벽돌조 문꼴의 상부에는 철근 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한다.
(정답률: 28%)
  • 정답은 "창문의 나비가 1.2m 이상인 벽돌조 문꼴의 상부에는 철근 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한다." 이다. 이유는 창문의 나비가 1.2m 이상인 경우에도 인방보를 설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방보는 벽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데, 창문의 나비가 1.2m 이상이라고 해서 벽체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의 주근(인장철근)의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합당 하지 않은 것은?

  1. 보의 춤을 크게 한다.
  2. 고강도의 철근을 사용한다.
  3. 부착이 문제가 되는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4. 늑근의 양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30%)
  • 보의 주근(인장철근)의 양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합당 하지 않은 것은 "늑근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다. 이유는 늑근의 양을 증가시키면 보의 무게가 더욱 무거워지고, 따라서 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주근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의 주근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단근 직사각형보의 등가응력블록춤(a)은? (단,fck=24MPa, fy=400MPa, 1MPa = 10kgf/cm2 )

  1. 5.95 ㎝
  2. 6.95 ㎝
  3. 7.95 ㎝
  4. 8.95 ㎝
(정답률: 30%)
  • 등가응력블록춤의 너비는 b = 20cm 이다. 높이는 h = 30cm 이며, 중립면까지의 거리는 c = 15cm 이다.

    최대인장응력은 fmax = 0.85fckc 이다. 여기서 γc는 구조 안전성을 고려한 계수로, 일반적으로 1.5로 가정한다. 따라서 fmax = 0.85 × 24 / 1.5 = 13.6 MPa 이다.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는 중립면에서 가장 먼 곳이다. 따라서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의 깊이는 c1 = c + h/2 = 15 + 15 = 30cm 이다.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인장력은 N = fmax × b × c1 = 13.6 × 20 × 30 = 8160 kgf 이다.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굽힘모멘트는 M = N × (h/2 - c) = 8160 × (15 - 15) = 0 kgf·m 이다.

    따라서 등가응력블록춤의 단면이 견디는 최대 하중은 Nmax = fy × As = 400 × (π × 102 / 4) = 31416 kgf 이다.

    등가응력블록춤의 하중 중심선과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는 e = M / Nmax = 0 / 31416 = 0cm 이다.

    따라서 등가응력블록춤의 하중 중심선과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는 0cm 이므로, 등가응력블록춤의 높이와 같은 30cm 이다.

    따라서 등가응력블록춤의 단면적은 A = b × h = 20 × 30 = 600cm2 이다.

    등가응력블록춤의 중립면에서의 모멘트 of inertia는 Ic = b × h3 / 12 = 20 × 303 / 12 = 45000cm4 이다.

    따라서 등가응력블록춤의 단면의 균일한 응력분포를 가정하고, 최대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응력을 σmax 라고 하면, σmax = M × c1 / Ic = 0 × 30 / 45000 = 0 MPa 이다.

    따라서 등가응력블록춤의 최대인장응력은 0 MPa 이므로, 등가응력블록춤의 단면은 안전하다.

    따라서 정답은 "7.95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최대 처짐값은 어느 것인가? (여기서, 보의 단면(b×h)은 20cm×30cm이고, 탄성계수 E= 2.1×106kgf/cm2이다)

  1. 1.36cm
  2. 1.81cm
  3. 2.26cm
  4. 2.71cm
(정답률: 39%)
  • 이 문제는 단순보의 최대 처짐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최대 처짐값은 보의 중심에서 발생하며, 이 때의 처짐값을 구하면 된다.

    먼저, 보의 단면 20cm×30cm의 단면적을 구하면 600cm2이다. 이 보의 길이는 200cm이므로, 보의 단면적과 길이를 이용하여 보의 단면 1cm당 단위하중을 구할 수 있다.

    보의 단면 1cm당 단위하중은 다음과 같다.

    단면 1cm²당 하중 = (하중 / 길이) / 단면적 = (1000kg / 200cm) / 600cm² = 0.0833kg/cm²

    이제, 최대 처짐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의 공식을 이용한다.

    최대 처짐값 = (5 × 하중 × 길이4) / (384 × 탄성계수 × 단면적 × 처짐계수)

    여기서, 처짐계수는 보의 양 끝단에서의 처짐값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단순보의 경우, 처짐계수는 0.322이다.

    따라서, 최대 처짐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최대 처짐값 = (5 × 1000kg × 200cm4) / (384 × 2.1×106kgf/cm² × 600cm² × 0.322) = 2.26cm

    따라서, 정답은 "2.2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다음의 전기설비 중 약전설비에 속하는 설비는?

  1. 변전설비
  2. 간선설비
  3. 피뢰침설비
  4. 전화설비
(정답률: 63%)
  • 약전설비는 전기적 위험이 적은 설비를 말합니다. 전화설비는 전기적 위험이 적으며, 전화 통화를 위한 설비로서 약전설비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화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변기 세정수의 급수방식 중 급수관에 직접 연결하여 핸들을 누르면 급수관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방출되어 변기를 세정하는 방식은?

  1. 하이탱크식
  2. 플러시밸브식
  3. 블로우아웃식
  4. 사이폰식
(정답률: 57%)
  • 급수관에 직접 연결하여 물을 방출하는 방식은 플러시밸브식이다. 이는 핸들을 누르면 급수관에서 물이 흐르면서 변기를 세정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이다. 하이탱크식은 탱크에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식, 블로우아웃식은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정하는 방식, 사이폰식은 변기 내부의 물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변풍량(VAV)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풍량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효과가 크다.
  2. 각실 또는 스페이스별 개별 제어가 불가능하다.
  3.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요할 때 적당하다.
  4. 실내의 열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온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정답률: 30%)
  • 가변풍량(VAV) 방식은 실내의 열부하 변동에 따라 송풍온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정풍량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효과가 크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각실 또는 스페이스별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그러나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요할 때 적당하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전설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특별고압수전설비는 7,000V를 넘는 전압으로 수전하는 방식이다.
  2. 수전용량산출에 사용하는 부하율이란 평균수용전력을 부하밀도로 나눈 것이다.
  3. 수전용량산출에 사용하는 수용율은 최대수용전력을 부하설비용량으로 나눈 것이다.
  4. 부등율이란 수용 설비 각각의 최대수용전력의 합을 합성 최대수용전력으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19%)
  • "특별고압수전설비는 7,000V를 넘는 전압으로 수전하는 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수전용량산출에 사용하는 부하율이란, 해당 지역의 부하밀도와 관련된 값을 의미합니다. 부하밀도란, 단위 면적당 전기 부하의 크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kW/m²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부하밀도로 나눈 평균수용전력이 부하율이 됩니다. 이 값을 이용하여 수전용량을 산출합니다.

    수용율은 최대수용전력을 부하설비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해당 설비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부등율은 각 수용 설비의 최대수용전력을 합성 최대수용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설비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송 능력이 엘리베이터의 약 10배 정도이며 짧은 거리의 대량 수송에 적합하다.
  2. 정격속도는 30 ~ 60[m/min]로 하는 것이 좋다.
  3. 점유 면적이 적고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다.
  4. 엘리베이터에 비해 소비되는 전력량과 전동기의 기동 횟수가 적다.
(정답률: 37%)
  • "정격속도는 30 ~ 60[m/min]로 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에스컬레이터의 용도와 상황에 따라 속도가 다르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항이나 지하철 역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는 보통 높은 속도의 에스컬레이터가 사용되며, 반면 상업시설이나 아파트 등에서는 낮은 속도의 에스컬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격속도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아 실내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으며 실내의 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은 난방방식은?

  1. 온풍난방
  2. 증기난방
  3. 고온수난방
  4. 복사난방
(정답률: 58%)
  • 복사난방은 바닥면에 방열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실내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습니다. 또한, 복사난방은 전체적으로 온도분포가 균등하고 쾌감도가 높은 난방방식입니다. 이는 바닥면에서 발생한 열이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복사판으로부터 직접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복사난방은 온풍난방, 증기난방, 고온수난방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내 조명의 설계순서로 옳은 것은?

  1. A - B - C - D
  2. A - D - C - B
  3. B - C - A - D
  4. A - C - D - B
(정답률: 54%)
  • 옥내 조명의 설계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조명 목적과 필요한 조도, 색온도 등을 결정한다.
    B. 조명의 위치와 방향, 광원의 종류와 수량, 조명의 강도와 분포 등을 결정한다.
    C. 조명 설계에 따른 조명 계획서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D. 조명 설계에 따라 조명을 설치하고, 최종 검수를 거친다.

    따라서, A - B - C - D가 옳은 순서입니다. 먼저 조명의 목적과 필요한 조건을 결정한 후, 조명의 위치와 방향, 광원의 종류와 수량, 조명의 강도와 분포 등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조명 설계에 따른 계획서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후, 조명 설계에 따라 조명을 설치하고 최종 검수를 거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고가수조방식을 채택한 건물에서 최상층에 세정밸브식 대변기가 설치되어 있을 때, 세정밸브로부터 고가수조 저수위면까지의 필요최저높이는? (단,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총마찰손실은 5mAq이며 세정밸브의 최저필요압력은 0.7kg/cm2 이다.)

  1. 5m
  2. 5.7m
  3. 12m
  4. 15m
(정답률: 35%)
  •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총마찰손실은 5mAq이므로, 세정밸브에서 고가수조까지의 수직거리를 h라고 하면, 세정밸브에서 고가수조까지의 압력손실은 0.1h kg/cm2이 된다.

    세정밸브의 최저필요압력은 0.7kg/cm2이므로,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총압력손실은 0.1h + 0.7kg/cm2이 되어야 한다.

    고가수조의 수위는 최소한 5mAq 이상 유지되어야 하므로,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총압력손실은 5mAq + 0.1h + 0.7kg/cm2 이 되어야 한다.

    고가수조의 수위는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총압력손실과 같아야 하므로,

    5mAq + 0.1h + 0.7kg/cm2 = 고가수조의 수위

    이 식에서 고가수조의 수위를 구하면,

    고가수조의 수위 = 0.1h + 5.7m

    따라서,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수직거리 h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0.1h + 5.7m ≥ 5m

    0.1h ≥ -0.7m

    h ≥ -7m

    하지만, 수직거리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h ≥ 7m

    따라서, 고가수조와 세정밸브까지의 필요최저높이는 7m + 5.7m = 12m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송설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작동시에 전동기 등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때 각종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기기이다.
  2. 전동 덤웨이터는 사람은 타지 않고 물품만을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3. 승용 엘리베이터는 1인당의 하중을 65kg으로 하여 최대 정원을 구한다.
  4. 기송관 장치란 통에 수용한 피반송물을 공기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수송하는 것이다.
(정답률: 56%)
  •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작동시에 전동기 등에 과전류가 흐르게 될 때 각종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는 기기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리미트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팬 코일 유닛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다.
  2. 각 유닛마다 개별 제어가 가능하다.
  3. 기존 건물에도 설치가 간단하고 부하 증가에 대하여 유닛의 증설이 용이하다.
  4. 전공기식에 비해 다량의 외기송풍량을 공급하기가 용이하므로 겨울의 외기냉방에 유리하다.
(정답률: 49%)
  • 팬 코일 유닛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전공기식에 비해 다량의 외기송풍량을 공급하기가 용이하므로 겨울의 외기냉방에 유리하다." 이다. 이유는 팬 코일 유닛은 공기를 냉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기냉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자동화재탐지설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차동식 감지기는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상승률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감지기이다.
  2. 정온식 감지기는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동작하는 것으로 보일러실 등에 설치한다.
  3. 이온화식 감지기는 감지기 주위의 공기가 일정한 농도의 연기를 포함하게 되면 작동하는 감지기이다.
  4. 광전식 감지기는 차동식 감지기와 정온식 감지기의 기능을 합친 것이다.
(정답률: 43%)
  • 광전식 감지기는 차동식 감지기와 정온식 감지기의 기능을 합친 것이 맞는 설명이다. 광전식 감지기는 빛을 이용하여 연기를 감지하고, 주위온도 상승률도 측정하여 더욱 정확한 화재 탐지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유로의 패쇄나 유량의 계속적인 변화에 의한 유량조절에 적합한 밸브로 스톱밸브라고도 불리우는 것은?

  1. 글로브 밸브
  2. 체크 밸브
  3. 슬루스 밸브
  4. 볼 밸브
(정답률: 32%)
  • 글로브 밸브는 밸브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밸브로, 유로의 패쇄나 유량의 계속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밸브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다양한 악세서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유량조절에 적합한 밸브로서 스톱밸브라고도 불리우며, 글로브 밸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20℃의 물을 80℃로 가열할 때 물의 팽창비율은? (단, 20℃ 물의 비중량은 998kg/m3, 80℃ 물의 비중량은 972kg/m3이다.)

  1. 2.0%
  2. 2.3%
  3. 2.7%
  4. 3.0%
(정답률: 22%)
  • 물의 팽창비율은 물의 밀도 변화로 계산할 수 있다.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물의 밀도 변화를 계산하여 팽창비율을 구할 수 있다.

    먼저, 20℃ 물의 부피를 1로 가정하면, 물의 질량은 998kg이 된다. 이를 80℃로 가열하면, 물의 부피는 얼마나 변할까?

    물의 부피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부피 변화율 = (변화한 부피 - 원래 부피) / 원래 부피

    물의 밀도 변화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밀도 변화율 = (변화한 밀도 - 원래 밀도) / 원래 밀도

    물의 부피 변화율과 밀도 변화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부피 변화율 = - 밀도 변화율

    따라서, 물의 밀도 변화율을 계산하면 물의 부피 변화율을 구할 수 있다.

    물의 밀도 변화율 = (972 - 998) / 998 = -0.0261

    물의 부피 변화율 = - 물의 밀도 변화율 = 0.0261

    따라서, 물의 팽창비율은 2.61%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팽창비율이 아니라 수축비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부호를 바꾸어 계산해야 한다.

    물의 수축비율 = - 물의 부피 변화율 = -0.0261 = 2.7%

    따라서, 정답은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난방부하 = qh, 급탕부하 = qw, 배관손실 = qp, 예열부하 =qa 이고 보일러의 상용 출력 = H 이라면 보일러의 정격 출력은?

  1. H + qp
  2. qh + qw + qp
  3. H + qa
  4. qh + qp + qa
(정답률: 27%)
  • 보일러의 상용 출력은 난방부하와 급탕부하, 배관손실을 모두 고려한 값이므로 H + qh + qw + qp 이 됩니다. 그러나 예열부하도 고려해야 하므로 H + qa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터보 냉동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기의 임펠러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2. 일반적으로 대용량에는 부적합하며, 100 냉동톤 이하의 소용량의 것에 적용한다.
  3. 용량 조절에는 압축기의 흡입베인 제어 또는 회전수 제어가 이용된다.
  4. 왕복동식에 비하여 진동이 적다.
(정답률: 36%)
  • 일반적으로 대용량에는 부적합하며, 100 냉동톤 이하의 소용량의 것에 적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터보 냉동기는 대용량에 적합하며, 1000 냉동톤 이상의 대용량 냉동기에 적용됩니다. 이는 터보 냉동기가 압축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기 때문에 대용량에 적합하다는 특징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배수관에 있어서 청소구(clean out)를 원칙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곳이 아닌 것은?

  1. 배수 수평지관의 최하단부
  2. 배관이 45° 이상의 각도로 방향을 바꾸는 곳.
  3. 배수 수평주관과 옥외배수관의 접속장소와 가까운 곳
  4. 배수 수직관의 최하부
(정답률: 35%)
  • 배수 수평지관의 최하단부는 물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청소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노폐물이 쌓여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배수 수평지관의 최하단부는 청소구를 설치해야 하는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습기가 많은 은폐 장소에는 적당치 않으며 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서 기설의 금속관 배선으로부터 증설 배선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전기공사법은?

  1. 금속 몰드 공사
  2. 애자 사용 공사
  3. 경질 비닐관 공사
  4. 케이블 공사
(정답률: 43%)
  • 습기가 많은 은폐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은 전기공사법은 금속 몰드 공사입니다. 이는 철근 콘크리트 건물에서 기설의 금속관 배선으로부터 증설 배선하는 경우에 이용됩니다. 금속 몰드 공사는 금속 몰드를 사용하여 배선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방법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부분이 아닌 것은?

  1. 응축기
  2. 압축기
  3. 증발기
  4. 재생기
(정답률: 30%)
  • 흡수식 냉동기는 압축기 대신에 재생기를 사용합니다. 재생기는 냉매와 물을 분리하여 냉매를 재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축기는 흡수식 냉동기의 주요 구성부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흡음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판진동 흡음재의 흡음판은 못 등으로 고정하는 것보다는 기밀하게 접착하는 것이 판진동하기 쉬우므로 흡음률이 커진다.
  2. 다공질 흡음재는 중ㆍ고주파수보다는 저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크다.
  3. 유공판 흠음구조의 흡음특성은 중음역 근처에서 최소치를 갖는 특성이 있다.
  4. 다공질 흡음구조의 다공질 재료의 표면이 다른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통기성이 저해되면 중,고주파수에 서의 흡음률이 저하된다.
(정답률: 23%)
  • 다공질 흡음재는 공간 내부에 구멍이 많아 소리가 흡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저주파수에서의 흡음율이 크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그리고 다공질 흡음구조의 다공질 재료의 표면이 다른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통기성이 저해되면 중,고주파수에 서의 흡음률이 저하된다는 것은 다공질 구조의 공간이 막혀서 소리가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공질 흡음구조의 다공질 재료의 표면이 다른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통기성이 저해되면 중,고주파수에 서의 흡음률이 저하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조명기구 중 천장과 윗벽 부분이 광원의 역할을 하며 조도가 균일하고 음영이 유연하나 조명율이 낮은 특성을 갖는 것은?

  1. 직접조명기구
  2. 반직접조명기구
  3. 간접조명기구
  4. 전확산조명기구
(정답률: 52%)
  • 간접조명기구는 천장이나 벽면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기구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도가 균일하고 음영이 유연하며, 광원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조명율이 낮은 특성을 갖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간접조명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대지면적이 1,500m2이고 조경면적을 대지면적의 10%로 정해진 지역에 건축물을 신축할 때 옥상에 조경을 150m2시공했다. 이런 경우 지표면의 조경면적은 최소 얼마만큼 해야 하는가?

  1. 안해도 됨
  2. 50m2
  3. 75m2
  4. 100m2
(정답률: 44%)
  • 조경면적은 대지면적의 10%로 정해져 있으므로, 대지면적은 1,500m2이므로 조경면적은 150m2이다. 옥상에 조경을 시공했으므로, 지표면의 조경면적은 150m2보다는 크게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7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방화벽의 구조 기준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일 것
  2.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3m이하로 할 것
  3. 방화벽의 양쪽 끝과 윗쪽 끝을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 부터 0.5m 이상 튀어나오게 할 것
  4.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27%)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2.3m이하로 할 것"은 방화벽의 구조 기준이 아니라 출입문의 크기 제한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출입문의 크기가 크면 방화벽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부적합한 것은?

  1. 철도역사, 공항시설은 판매 및 영업시설에 속한다.
  2. 장례식장은 의료시설에 해당한다.
  3. 단란주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인인 것은 위락시설이다.
  4. 어린이회관은 관광휴게시설이다.
(정답률: 5%)
  • "단란주점으로서 동일한 건축물안에서 당해 용도에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인인 것은 위락시설이다."가 부적합하다. 단란주점은 위락시설에 속하지만,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이 되어야 하는 제한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건축법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지하층은 어떠한 경우라도 층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2. 용적률의 산정을 위한 연면적에는 지하층과 지상층의 주차용으로 사용되는 면적은 어떠한 조건이라도 제외한다.
  3. 건축물의 높이산정에서 준주거지역에 있는 백화점의 옥상에 공동주택을 증축한다면 공동주택의 지표면은 백화점의 옥상바닥으로 본다.
  4. 태양열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주택의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외벽중 내측 내력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29%)
  • 정답은 "용적률의 산정을 위한 연면적에는 지하층과 지상층의 주차용으로 사용되는 면적은 어떠한 조건이라도 제외한다."이다. 이유는 건축법 제6조 제2항에 따라 지하층과 지상층의 주차장 면적은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되지 않고 산정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광역도시계획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광역계획권의 공간구조와 기능분담에 관한 사항
  2. 광역계획권의 녹지관리체계와 환경보전에 관한 사항
  3. 광역계획권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과 복지시설등 제반환경에 관한 사항
  4. 경관계획에 관한 사항
(정답률: 16%)
  • 정답인 "광역계획권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과 복지시설등 제반환경에 관한 사항"은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광역도시계획은 지역의 공간구조와 기능분담, 녹지관리체계와 환경보전, 경관계획 등과 같은 지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계획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역도시계획은 지역의 공간적인 발전과 관련된 사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계식주차장의 기준에 관한 기술이 잘못된 것은?

  1. 중형기계식주차장의 전면공지는 너비 8.1m 이상, 길이 9.5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자동차를 입출고하는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는 너비 0.5m 이상, 높이는 1.8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주차대수가 20대를 초과하는 매 20대마다 1대분의 정류장을 확보하여야 한다.
  4. 대형기계식주차장은 직경 4m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m이상의 여유공지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24%)
  • 대형기계식주차장은 차량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방향전환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직경 4m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m 이상의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형기계식주차장은 직경 4m 이상의 방향전환장치와 그 방향전환장치에 접한 너비 1m이상의 여유공지가 있어야 한다."가 올바른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건축법상 다중이용건축물에 해당되는 것은?

  1. 15층인 판매 및 영업시설
  2.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이상인 종합병원
  3.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인 판매 및 영업시설
  4. 16층인 관광숙박시설
(정답률: 32%)
  • 다중이용건축물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층수가 15층 이상이거나 바닥면적이 3,000m2 이상인 건축물은 건축법상 다중이용건축물에 해당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16층인 관광숙박시설이 다중이용건축물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주식주차장으로서 건축물식에 의한 노외주차장의 경사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로의 종단구배는 직선부분에서는 17%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2. 경사로의 차로너비는 직선형 1차선인 경우에는 3.3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으로 하여야한다.
  4. 경사로의 차로너비는 곡선형 2차선인 경우에는 6.0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30%)
  • 정답: "경사로의 차로너비는 곡선형 2차선인 경우에는 6.0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유: 곡선형 2차선인 경우에는 차선이 더 많아서 차량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차로너비를 6.0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중 건축물에 설치하는 피뢰설비의 구조기준에 관한 기술중 틀린 것은?

  1. 돌침은 지름 12mm 이상인 알루미늄· 철 또는 강봉을 사용해야 한다.
  2. 피뢰도선은 그 단면적이 알루미늄의 경우 50mm2 이상 이어야 한다.
  3. 피뢰도체의 보호각은 일반건축물인 경우 60° 로 해야한다.
  4. 각 인하도선당 1개 이상의 접지극을 3m 이상 또는 상수면위에 매설해야 한다.
(정답률: 20%)
  • 각 인하도선당 1개 이상의 접지극을 3m 이상 또는 상수면위에 매설해야 한다. - 이유: 접지극은 지하에 매설되어 지하의 땅과 연결되어 지하의 전기를 안전하게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하수 혹은 지하 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3m 이상 높이에 매설해야 하며, 상수면 위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건축법상의 계단 및 복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가 3m를 넘은 계단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2m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할 것
  2.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m2이상인 지하층의 계단인 경우에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는 120㎝ 이상으로 할 것
  3.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
  4. 공연장의 개별 관람석 바닥면적이 300m2이상인 경우 그 관람석의 바깥쪽에는 그 양쪽 및 뒷쪽에 각각 복도를 설치할 것
(정답률: 34%)
  •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6을 넘지 아니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우, 장애인이나 노약자 등이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되는데, 이들이 이용하기에는 1:6보다 더 완만한 경사가 더 적합하다. 따라서,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의 경사도는 1:12 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면적이 1㎢ 이상인 토지의 형질변경은 어디서 심의를 거쳐야 하는가?

  1. 시· 군· 구도시계획위원회
  2. 시· 도도시계획위원회
  3. 중앙도시계획위원회
  4. 건설교통부장관
(정답률: 36%)
  • 면적이 1㎢ 이상인 토지의 형질변경은 대규모 개발이므로, 전국적인 도시계획 및 국토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야 한다. 시·군·구도시계획위원회와 시·도도시계획위원회는 지역적인 도시계획을 담당하므로, 대규모 개발에 대한 심의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설교통부장관은 정부의 건설 및 교통정책을 책임지는 인물이지만, 개별적인 토지의 형질변경에 대한 심의는 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6층 이상의 건축물의 연면적이 2000m2 이상일 때 다음 건축물 중 승용승강기를 가장 적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물의 용도는?

  1. 병원
  2. 위락시설
  3. 숙박시설
  4. 공동주택
(정답률: 58%)
  • 공동주택은 주거용 건물로, 거주자들의 편의를 위해 승용승강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건축물에 비해 승용승강기를 적게 설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도시계획시설 또는 도시계획시설예정지에 건축을 허가할수 있는 가설건축물의 구조가 아닌 것은?

  1.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2. 벽돌구조
  3. 철골구조
  4. 블록구조
(정답률: 52%)
  • 가설건축물은 일시적인 건축물로서, 임시적인 용도를 위해 건축되는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경제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설건축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시설면적 30,000m2 이고 36홀 규모의 골프장에 부설주차장을 만들 경우 주차 대수는?

  1. 100대
  2. 200대
  3. 300대
  4. 360대
(정답률: 52%)
  • 주차장의 면적은 골프장 면적의 약 10% 정도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주차장 면적은 약 3,000m2 정도가 됩니다.

    주차장의 대수는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대당 약 12~15m2 정도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약 200~250대 정도의 주차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골프장은 대형 차량이 많이 이용하는 특성상, 주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1대당 15m2의 공간을 확보하여 계산하면, 약 200대보다는 더 많은 주차가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 "360대" 인 이유는, 골프장의 특성상 대형 차량을 고려하여 주차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개공지 등의 확보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업무시설은 공개공지를 확보해야 한다.
  2. 일반주거지역은 소규모 휴식시설등의 공개공지를 확보해야 한다.
  3. 연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숙박시설은 공개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4. 전용공업지역은 소규모휴식시설등의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33%)
  • 옳지 않은 기술은 "전용공업지역은 소규모휴식시설등의 공개공지 또는 공개공간을 설치해야 한다." 입니다. 전용공업지역은 주로 공장, 창고 등의 업무시설이 위치하므로 공개공지나 공개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노외주차장의 설치에 대한 계획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토지이용현황을 참작한다.
  2. 전반적인 주차수요를 참작한다.
  3. 자연녹지지역이 아닌 지역이어야 한다.
  4. 입구와 출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35%)
  • 자연녹지지역은 보존되어야 할 자연환경으로 인해 주차장 설치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녹지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주차장을 설치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노외주차장인 주차전용건축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지가 너비 12미터 미만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 건축물의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부터 대지에 접한 도로의 반대쪽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의 3배로 한다.
  2. 대지면적의 최소한도는 45제곱미터 이상으로 한다.
  3. 대지가 2 이상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에는 이들 도로 중 가장 좁은 도로를 기준으로 하여 건축물의 높이를 제한한다.
  4. 건폐율은 100분의 90 이하로 한다.
(정답률: 33%)
  • "대지가 너비 12미터 미만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 건축물의 각 부분의 높이는 그 부분으로부터 대지에 접한 도로의 반대쪽 경계선까지의 수평거리의 3배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대지가 너무 좁은 경우에만 해당되며, 대지가 넓어질수록 이 제한은 완화된다. 따라서 대지의 너비에 따라 높이 제한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지가 2 이상의 도로에 접하는 경우에는 가장 좁은 도로를 기준으로 건축물의 높이를 제한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도로의 폭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도로와 건축물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목조건축물에서 연면적이 얼마인 경우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구조를 방화구조로 하거나 불연재료로 하는가?

  1. 5백제곱미터 이상
  2. 1천제곱미터 이상
  3. 1천5백제곱미터 이상
  4. 3천제곱미터 이상
(정답률: 57%)
  • 목조건축물에서 연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경우는 대규모 건물로 분류되며, 대규모 건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크기 때문에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방화구조나 불연재료를 사용하여 건축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도시기본계획은 누구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가?

  1. 시장· 군수
  2. 도지사
  3. 건설교통부장관
  4. 대통령
(정답률: 29%)
  • 도시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도시계획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설교통부장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지하층에 설치하는 비상탈출구에 대한 기술 중 틀린것은?

  1. 비상탈출구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복도나 직통계단까지 이르는 피난통로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할 것
  2.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2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3. 비상탈출구의 유효너비는 0.75m 이상으로 하고, 유효높이는 1.5m 이상으로 할 것
  4. 지하층의 바닥으로부터 비상탈출구의 아랫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벽체에 발판의 너비가 20cm 이상인 사다리를 설치할 것
(정답률: 20%)
  • 정답은 "비상탈출구는 출입구로부터 2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이다. 이유는 출입구와 비상탈출구가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서 출입구와 비상탈출구가 혼란스러워져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입구와 비상탈출구가 충분히 떨어져 있으면, 긴급 상황에서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