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건축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다음 중 주택의 거실 규모 결정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가족수
  2. 전체 주택의 규모
  3. 가족 구성
  4. 현관의 위치
(정답률: 67%)
  • 현관의 위치는 거실 규모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거실 규모 결정시에는 주로 가족수, 가족 구성, 전체 주택의 규모 등을 고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간의 효율적 이용
  2. 조경면적의 확대
  3. 사무능률의 향상
  4. 시설비와 유지비 절감
(정답률: 69%)
  • 정답: 조경면적의 확대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공간의 효율적 이용, 사무능률의 향상, 시설비와 유지비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사무실 디자인 방식이다. 따라서 조경면적의 확대는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오피스 랜드스케이프는 실내 공간에서도 자연적인 느낌을 주는 식물이나 잔디 등을 활용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직원들의 생산성과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이트 모던(Late Modern)건축양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호학적 분절을 추구하였다.
  2. 공업기술을 바탕으로 기술적 이미지를 과장하였다.
  3. 대표적 건축가로서 시저 펠리, 노만 포스터 등이 있다.
  4. 폼피두 센터는 이 양식에 부합되는 건축물이다.
(정답률: 36%)
  • "기호학적 분절을 추구하였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레이트 모던 건축양식은 공업기술을 바탕으로 기술적 이미지를 과장하고, 대표적 건축가로서 시저 펠리, 노만 포스터 등이 있으며, 폼피두 센터는 이 양식에 부합되는 건축물이다. 하지만 "기호학적 분절을 추구하였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무소 건축의 엘리베이터 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자에게 직접 잘 알려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2. 엘리베이터의 위치는 1개소로 한정하는 것이 운영면에서 효율적이다.
  3. 알코브형 배치는 4대 정도를 한도로 하고 그 이상일 경우 직렬로 배치하는 것을 고려한다.
  4. 전층스톱운행형식은 고층 사무소에는 부적당하나 전층 거주자에 대해 균등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정답률: 64%)
  • "알코브형 배치는 4대 정도를 한도로 하고 그 이상일 경우 직렬로 배치하는 것을 고려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알코브형 배치는 건물의 구조와 크기, 사용자의 수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해진 한도가 없다. 따라서 4대 이상일 경우에도 알코브형 배치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극장의 평면 형식 중 애리나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까운 거리에서 관람하면서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
  2.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있다.
  3. 무대의 장치나 소품은 주로 낮은 가구들로 구성된다.
  4. 연기는 한정된 액자 속에서 나타나는 구성화의 느낌을 준다.
(정답률: 81%)
  • "연기는 한정된 액자 속에서 나타나는 구성화의 느낌을 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애리나형은 무대가 중앙에 위치하고 관객석이 둘러싸는 형태로, 무대의 크기와 형태가 자유로우며 배경이나 장치, 소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가 액자 속에서 나타나는 구성화의 느낌을 주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병원건축에서 간호단위의 병상수가 과다한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환자 보호자들에 의한 간호가 불가능해 진다.
  2. 전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워진다.
  3. 간호사들의 동선이 길어진다.
  4. 병실 간호능력이 저하된다.
(정답률: 82%)
  • 병상수가 과다한 경우, 간호사들의 동선이 길어지고 병실 간호능력이 저하되므로, 환자 보호자들에 의한 간호가 불가능해진다. 이는 간호사들이 환자들을 적극적으로 관찰하고 감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문제점 중 하나이지만, 환자 보호자들에 의한 간호가 불가능해지는 것이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초기 기독교 시기의 바실리카 양식의 본당의 평면도에서 화랑의 중앙부분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아일(Aisle)
  2. 페디먼트(pediment)
  3. 네이브(Nave)
  4. 아트리움(Atrium)
(정답률: 54%)
  • 바실리카 양식의 본당은 중앙에 네이브(Nave)라 불리는 큰 공간이 있고, 그 양쪽에는 아일(Aisle)이 위치합니다. 따라서 네이브는 본당의 중앙부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페디먼트는 건물의 정면 부분을 장식하는 삼각형 모양의 부분을 뜻하며, 아트리움은 건물 내부에 있는 중앙 정원이나 물 웅덩이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극장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연극 등을 감상하는 경우 연기자의 표정을 읽을 수 있는 가시한계는 15m 정도이다.
  2. 객석의 크기는 1인당 점유면적을 0.6m2 정도로 하여 산정할 수 있다.
  3. 관객의 눈과 무대 위의 점을 연결하는 가시선이 쾌적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4. 객석의 의자의 폭은 최소 35cm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65%)
  • "객석의 의자의 폭은 최소 35cm 이상으로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이유는 객석의 의자 폭이 넓을수록 관객들이 더 편안하게 앉을 수 있기 때문에, 관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넓은 의자 폭은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관객들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학교운영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초등학교 고학년에는 일반교실 및 특별교실형(UㆍV형)이 일반적이다.
  2. 일반교실 및 특별교실형(UㆍV형)은 학생의 이동이 없어 안정적이다.
  3. 교과교실형(V형)은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 때문에 만들어 진다.
  4. 플래툰형(P형)은 교사의 수와 적당한 시설이 없으면 실시가 곤란하다.
(정답률: 62%)
  • "교과교실형(V형)은 모든 교실이 특정 교과 때문에 만들어 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교과교실형(V형)은 특정 교과목을 위해 만들어진 교실이지만, 모든 교실이 그렇지는 않다. 일반교실 및 특별교실형(UㆍV형)은 학생의 이동이 없어 안정적이다는 이유는 학생들이 교실을 옮겨 다니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내과는 진료검사에 시간이 걸리므로 소진료실을 다수 설치한다.
  2. 정형외과는 보행이 편리한 곳에 두고 미끄러질 염려가 있는 바닥마무리와 경사로를 피한다.
  3. 외과는 1실에서 여러 환자를 볼 수 있도록 대실로 한다.
  4. 안과는 진료실, 기공실, 검사실, 암실을 설치하며, 검안을 위해 3m 정도 거리를 확보한다.
(정답률: 68%)
  • "안과는 진료실, 기공실, 검사실, 암실을 설치하며, 검안을 위해 3m 정도 거리를 확보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안과는 검안을 위해 3m 정도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검안을 위해 3m 정도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점이 쇼윈도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점의 전면이 넓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쇼윈도우와 출입구는 비대칭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2. 평형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본형으로 상점내의 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3. 곡면형은 곡면유리를 사용하여 쇼윈도우의 구성에 변화를 주어 일단 형태감에서 통행인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4. 경사형은 유리면을 경사지게 처리하여 단조로움이 적게 되지만 유리면의 눈부심이 크다.
(정답률: 63%)
  • 옳지 않은 설명은 "경사형은 유리면을 경사지게 처리하여 단조로움이 적게 되지만 유리면의 눈부심이 크다." 이다. 경사형은 유리면을 경사지게 처리하여 시선을 유도하고,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특수한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극장에서 그린 룸(green room)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1. 온실
  2. 출연대기실
  3. 연주실
  4. 분장실
(정답률: 82%)
  • 그린 룸(green room)은 극장이나 스튜디오에서 배우나 뮤지션 등이 공연이나 촬영 전에 대기하고 준비하는 공간을 말하는데, 이는 출연대기실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전통이 한식주택에서 문꼴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출입하는데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2. 하기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
  3. 동기에 일조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
  4. 겨울의 방한을 위해서
(정답률: 75%)
  • 한식주택은 주로 한국의 기후와 환경에 맞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문꼴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는 하기의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서입니다. 한식주택은 대부분 바닥난방을 사용하며, 바닥에서부터 열이 올라와 공간 전체를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이 때문에 문꼴 부분은 바닥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 하기로 인한 습기와 열을 가장 많이 받게 됩니다. 따라서 문꼴 부분의 면적을 크게 설계하여 하기의 고온다습을 견딜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병원건축의 형식 중 분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선이 길어진다.
  2. 채광 및 통풍이 좋다.
  3. 대지면적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4. 환자는 주로 경사로를 이용한 보행 또는 들것으로 운반된다.
(정답률: 80%)
  • 분관식은 대지면적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 주로 적용되는 형식이 아니라, 대지면적이 넓은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분관식은 건물 내부를 분리하여 동선을 간소화하고, 채광과 통풍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환자는 주로 엘리베이터나 승강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며, 경사로나 들것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병원건축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심부에 병원건축을 계획할 경우 블록타입(block type) 보다는 파빌리온 타입(pavillion type)이 유리하다.
  2. 중앙진료부는 외래부와 병동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편이 좋다.
  3. 병동부의 전체면적에 대한 비율은 40% 정도가 적당하다.
  4. 심근, 협심증환자를 대상으로 집중치료하는 간호단위를 C.C.U(Coronary Care Unit)라 한다.
(정답률: 68%)
  • 병원건축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병동부의 전체면적에 대한 비율은 40% 정도가 적당하다."이다. 이유는 병원의 크기, 종류, 기능 등에 따라 적절한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병동부의 전체면적 비율은 50% 이상일 수도 있고, 30% 이하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병원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비율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노인거주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 양쪽에 난간을 부착하도록 한다.
  2. 단차가 있는 바닥은 대비가 약한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침실이나 욕실 바닥재는 미끄럼이 없고 청소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한다.
  4. 출입구에는 휠체어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비를 맞지 않도록 계획한다.
(정답률: 86%)
  • "단차가 있는 바닥은 대비가 약한 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단차가 있는 바닥은 시각적으로 경사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대비가 강한 색을 사용하면 더욱 눈에 띄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비가 약한 색을 사용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덜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또한, 대비가 약한 색을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바닥과 벽이 구분되어 더욱 안전하게 걸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파트의 각 형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홀형은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1대당 이용률이 복도형에 비해 적다.
  2. 편복도형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수 있는 형식이다.
  3. 집중형은 기후조건이 따라 기계적 환경조절이 필요한다.
  4. 편복동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정답률: 73%)
  • 정답: "편복동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설명: 편복도형은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는 형식으로, 주거공간과 공용공간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홀형은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1대당 이용률이 복도형에 비해 적고, 집중형은 기계적 환경조절이 필요한 형식입니다. 하지만 편복동형은 공용복도에 있어서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상점건축의 매장 가구의 배치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게 한다.
  2. 들어오는 고객과 직원의 시선이 바로 마주치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3. 감시하기 쉽고 또한 고객에게 감시받고 있다는 인상을 주어 미연에 도난에 방지하도록 한다.
  4. 고객과 직원의 동선이 원활하고, 소수의 직원으로 다수의 고객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85%)
  • "감시하기 쉽고 또한 고객에게 감시받고 있다는 인상을 주어 미연에 도난에 방지하도록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은, 이것은 도난 방지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도난 방지를 위한 감시 카메라 등의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매장 가구의 배치 계획에서 고려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불사건축의 진입방법에서 누하진입방식을 취한 것은?

  1. 부석사
  2. 통도사
  3. 화엄사
  4. 범어사
(정답률: 63%)
  • 불사건축의 진입방법 중 누하진입방식은 불교의 성경인 누하경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이 방식은 불교의 교리를 깊이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만이 진입할 수 있으며, 부석사는 불교의 교리를 깊이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으로, 누하진입방식을 취한 불사건축이 이루어진 곳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석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호텔의 성격상 연면적에 대한 숙박면적의 비가 가장 큰 것은?

  1. 리죠트 호텔
  2. 커머셜 호텔
  3. 레지덴셜 호텔
  4. 클럽 하우스
(정답률: 82%)
  • 커머셜 호텔은 비즈니스 출장객 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연회나 회의 등 대규모 행사를 자주 개최하고, 이에 따라 연면적 대비 숙박면적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텔의 성격상 연면적에 대한 숙박면적의 비가 가장 큰 것은 "리조트 호텔"이 아닌 "커머셜 호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작업의 상호관계만을 도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화살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ummy
  2. event
  3. activity
  4. critical path
(정답률: 73%)
  • 정답은 "dummy"이다. dummy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작업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작업을 의미한다. 이는 실제로는 수행되지 않지만 다른 작업들 간의 선후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화살선은 실제 작업이 아닌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dummy라고 부른다. "event"는 작업의 시작 또는 완료를 나타내는 지점을 의미하며, "activity"는 실제로 수행되는 작업을 의미한다. "critical path"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미장공사에서 시멘트 모르타르 바름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1. 1회의 바름두께는 바닥의 경우를 제외하고 10mm를 표준으로 한다.
  2. 초벌바름 후 방치기간 없이 바로 고름질을 하는 것이 좋다.
  3. 쇠흙손 마무리는 쇠흙손으로 바르고 나무흙손으로 눌러 고른 다음, 쇠흙손으로 마무리 한다.
  4. 콘크리트 바닥면에 모르타르를 바를 때는 바닥에 물이 고인상태에서 바르는 것이 좋다.
(정답률: 43%)
  • 쇠흙손 마무리는 쇠흙손으로 바르고 나무흙손으로 눌러 고른 다음, 쇠흙손으로 마무리 한다. - 이유: 쇠흙손은 모르타르를 바를 때 사용하는 가장 미세한 손질 도구이며, 나무흙손은 모르타르를 고르게 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쇠흙손으로 바른 후 나무흙손으로 고르게 펴주고 다시 쇠흙손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른 모르타르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계속 타설 중인 콘크리트에 있어 외기온이 25℃미만일 때의 이어붓기 시간간격의 한도로 옳은 것은?

  1. 60분
  2. 90분
  3. 120분
  4. 150분
(정답률: 30%)
  • 콘크리트는 초기 경화 후에도 계속 경화하며, 이어붓기 시간간격은 이러한 경화 과정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외기온이 25℃ 미만일 때는 경화가 느리기 때문에 이어붓기 시간간격이 길어져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시간간격은 150분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경화 상태와 외기온을 고려한 결과로, 이 시간간격을 유지하면 콘크리트가 안정적으로 경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름 100mm, 높이 200mm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쪼갬인장강도시험에 의해 강도를 측정하였더니 파괴하중이 63kN이었다. 이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1. 0.8MPa
  2. 1.5MPa
  3. 2MPa
  4. 3MPa
(정답률: 39%)
  • 공식: 인장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단면적 = πr² = π(50mm)² = 7,853.98mm²

    인장강도 = 63kN / 7,853.98mm² = 8.02MPa

    따라서, 인장강도는 8.02MPa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2MPa"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조적식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식구조인 각 층의 벽은 편심하중이 작용하지 아니 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조적식구조인 칸막이벽의 두께는 90mm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폭이 1.2m를 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 윗인방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조적식구조인 내어쌓기창은 철골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하여야 한다.
(정답률: 41%)
  • "폭이 1.2m를 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 윗인방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구조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라, 건축법상의 규정으로 인해 필요한 것이다. 개구부의 폭이 1.2m를 넘으면 안전상의 이유로 철근콘크리트 윗인방을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플리머함침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계의 재료를 건조시켜 미세한 공극에 수용성폴리머를 함침, 중합시켜 일체화한 것이다.
  2. 내화성이 뛰어나며 현장시공이 용이하다.
  3.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4. 고속도로 포장이나 댐의 보수공사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63%)
  • 틀린 것은 "내화성이 뛰어나며 현장시공이 용이하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플리머함침콘크리트는 시멘트계의 재료를 건조시켜 미세한 공극에 수용성폴리머를 함침, 중합시켜 일체화한 것으로,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고속도로 포장이나 댐의 보수공사 등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량이 많을수록 슬럼프는 증대한다.
  2. AE공기량은 온도가 높이질수록 증가한다.
  3. AE공기량은 진동을 주면 감소한다.
  4. 공기량이 많을수록 강도는 저하한다.
(정답률: 58%)
  • AE공기량은 온도가 높이질수록 감소한다. 이유는 공기가 높은 온도에서 팽창하고, 콘크리트 내부에서 공기가 더 많이 팽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는 온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기량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공정표 작성시 공정계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복수의 작업에 후속되는 작업의 EST는 복수의 선행작업중 EFT의 최소값으로 한다.
  2. 복수의 작업에 선행되는 작업의 LFT는 후속작업의 LST중 최대값으로 한다.
  3. 전체여유(TF)는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할 때 생기는 여유시간이다.
  4. 종속여유(DF)는 후속작업의 EST에 영행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이다.
(정답률: 48%)
  • 공정표 작성시 공정계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전체여유(TF)는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할 때 생기는 여유시간이다." 이다. 이는 해당 작업이 완료되는 시간과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시간 사이에 생기는 여유시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중 콘크리트에서 초기 동해방지에 필요한 최소 압축강도는 얼마인가?

  1. 5MPa
  2. 10MPa
  3. 15MPa
  4. 20MPa
(정답률: 60%)
  • 초기 동해방지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높은 강도의 콘크리트는 초기 수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강도를 선택해야 합니다. 한중 콘크리트에서는 초기 동해방지를 위해 최소 5MPa의 압축강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균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값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운딩(Sounding)시험에 속하지 않는 시험법은?

  1. 표준관입시험
  2. 콘 관입시험
  3. 베인전단시험
  4. 평판재하시험
(정답률: 59%)
  • 평판재하시험은 바다 밑바닥의 지형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바다 밑바닥에 평판재를 놓고 그 위에 무게를 싣고 물속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바다 밑바닥의 지형을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사운딩 시험과는 다른 방법이다. 반면, 표준관입시험, 콘 관입시험, 베인전단시험은 모두 사운딩 시험에 속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철근조립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과 철근의 순간격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1.25배 이상으로 한다.
  2.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를 사용한다.
  3. 철근의 교차부에서 겹친 이음인 경우에는 2개소 이상을 결속하여야 한다.
  4. 철근조립 전에 철근에 부착된 진흙, 기름 등의 유해물은 제거하는 것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 향상에 좋다.
(정답률: 53%)
  •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철근 간격을 조절하는 간이나 철근 거치대를 사용하며, 세퍼레이터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골가공 및 용접에 있어 자동용접의 경우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로 쓰이는 분말상의 재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럭스(flux)
  2. 슬래그(slag)
  3. 시드(sheathe)
  4. 샤모테(chamotte)
(정답률: 66%)
  • 자동용접에서는 용접봉과 함께 플럭스라는 분말상의 재료가 사용됩니다. 이는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을 하며, 용접 시에 산화 방지와 용접 부위의 청소, 용접봉의 소모량 감소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럭스(flux)"입니다. 슬래그는 용접 후 발생하는 불순물이 모인 용접재의 표면에 생기는 산화물층을 말하며, 시드는 용접봉의 내부에 있는 보호재를 의미하고, 샤모테는 내화물질로서 용접부위의 내화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급자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공사내용과 공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 집행가능한 최소의 투자를 전제하여 시공계획과 손익의 목표를 합리적으로 표현한 금액적계획서를 일반적으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목표예산
  2. 실행예산
  3. 도급예산
  4. 소요예산
(정답률: 55%)
  • 정답은 "실행예산"입니다.

    실행예산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공사내용과 공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면서 집행가능한 최소의 투자를 전제하여 시공계획과 손익의 목표를 합리적으로 표현한 금액적 계획서입니다. 따라서 공사를 실제로 실행할 때 필요한 예산을 계획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목표예산, 도급예산, 소요예산은 각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예산, 도급자가 제시하는 예산, 필요한 예산을 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멘트 600포대를 저장할 수 있는 시멘트 창고의 최소 필요면적으로 옳은 것은?

  1. 18.46m2
  2. 21.64m2
  3. 23.25m2
  4. 25.84m2
(정답률: 61%)
  • 시멘트 1포대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면적은 0.03m²이다. 따라서 600포대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600 × 0.03 = 18m²의 면적이 필요하다. 하지만 창고의 크기는 정사각형이 아닐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약간의 여유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최소 필요면적은 18 × 1.03 ≈ 18.46m²이다. 따라서 정답은 "18.46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하연속벽 공법 중 슬러리 월(slurry wall)에 대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시 소음ㆍ진동이 크다.
  2.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3. 주변 지반에 대한 영향이 적고 차수효과가 확실하다.
  4. 지반 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시공시 소음ㆍ진동이 크다."는 슬러리 월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라 단점이다. 슬러리 월은 인접 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며, 주변 지반에 대한 영향이 적고 차수효과가 확실하며, 지반 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시공시 소음과 진동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지하에 깊이 파고 들어가는 공법이기 때문에 지상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지하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방수공사에 사용하는 아스팔트의 견고성 정도를 침의 관입 저항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1. 침입도
  2. 마모도
  3. 연화점
  4. 신도
(정답률: 78%)
  • 아스팔트는 방수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로, 침수를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아스팔트의 견고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는 침의 관입 저항입니다. 즉, 아스팔트가 얼마나 침투에 저항하는지를 측정하여 그 견고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입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정관리 용어로서 전체 공사과정 중 관리상 특히 중요한 몇몇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특정시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간관리일
  2. 절점
  3. 표준점
  4. 비작업일
(정답률: 57%)
  • 중간관리일은 전체 공사과정 중에서 관리상 특히 중요한 몇몇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특정 시점을 말합니다. 이 시점은 공정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조치를 취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중간관리일은 공정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절점은 곡선이나 직선의 교차점을 의미하며, 표준점은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정한 시점을 말합니다. 비작업일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일정을 의미합니다. 이들 용어는 중간관리일과는 관련이 있지만, 중간관리일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조적공사의 벽돌쌓기에 관한 다음 내용 중 틀린 것은?

  1. 벽돌은 충분히 물에 축여 표면의 물기가 빠진 뒤에 쌓는다.
  2. 1일 쌓는 높이는 통상 1.2m를 표준으로 한다.
  3. 세로줄눈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줄눈이 되게 한다.
  4.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 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정답률: 67%)
  • "세로줄눈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줄눈이 되게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벽돌을 쌓을 때 수직과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눈금선인데, 세로줄눈은 벽돌의 수직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통줄눈은 벽돌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세로줄눈과 통줄눈을 모두 사용하여 벽돌을 쌓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테라조(terrazzo)현장 갈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름철 강기는 3일 이상 충분히 경화시킨 다음 갈기시작한다.
  2. 초절 갈기는 돌말이 균등하게 나타나도록 하고 시멘트 풀먹임이 경화되기 전 중갈기를 한다.
  3. 정벌 갈기는 중갈기가 끝나고 시멘트 풀 먹임을 2~3회 거듭한 후 행한다.
  4. 광내기 왁스칠은 시간을 두고 얇게 여러번 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0%)
  • "초절 갈기는 돌말이 균등하게 나타나도록 하고 시멘트 풀먹임이 경화되기 전 중갈기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초절 갈기는 시멘트 풀먹임이 경화되기 전에 돌말이 노출되도록 갈아내는 작업이다. 따라서 "시멘트 풀먹임이 경화되기 전 중갈기를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철골부재 각 부에 사용되는 접합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초콘크리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 용접
  2. 기둥과 기둥 - 고장력 볼트
  3. 기둥과 보 - 용접
  4. 보와 보 - 고장력 볼트
(정답률: 62%)
  • 기초콘크리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기초콘크리트와 베이스 플레이트가 서로 다른 재질이기 때문에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시에는 부식이나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기초콘크리트와 베이스 플레이트는 고정을 위해 볼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강도설계법에서 벽체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ㆍ수평 철근비로 옳은 것은? (단, fy=400MPa, D13 철근 사용)

  1. 수직철근비 0.0012, 수평철근비 0.0020
  2. 수직철근비 0.0015, 수평철근비 0.0020
  3. 수직철근비 0.0015, 수평철근비 0.0025
  4. 수직철근비 0.0020, 수평철근비 0.0025
(정답률: 63%)
  • 강도설계법에서 벽체 전체 단면적에 대한 최소 수직ㆍ수평 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수직 철근비: 0.24fy/fc
    - 수평 철근비: 0.48fy/fc

    여기서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fc는 콘크리트의 공압강도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fy=400MPa, D13 철근을 사용하므로 수직 철근비는 0.24×400/21=4.57, 수평 철근비는 0.48×400/21=9.14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최소값이므로, 실제 설계에서는 이보다 큰 철근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수직철근비 0.0012, 수평철근비 0.0020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최소값보다 큰 값이므로, 실제 설계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의 기둥에서 Euler의 좌굴하중은 얼마인가? (단, E=2.1×105MPa, Ix=1620cm4, Iy=113cm4)

  1. 209.8kN
  2. 585.5kN
  3. 620.8kN
  4. 840kN
(정답률: 47%)
  • 기둥의 Euler의 좌굴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cr = π2 EImin / Leff2

    여기서, Imin은 Ix와 Iy 중 작은 값이고, Leff는 유효길이로서, 기둥의 양 끝단에서의 지지나 연결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Leff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기둥의 길이 L을 유효길이로 가정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Pcr = π2 EImin / L2 = π2 × 2.1×105 × 113 / 16202 ≈ 585.5kN

    따라서, 정답은 "585.5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강도설계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공칭 전단강도(Vc)가 80kN이고, 전단보강근의 공칭전단강도(Vs)가 120kN일 때 설계전단강도(øVn)의 크기는? (단, 전단에 대한 강도감소계수는 0.85임)

  1. 150kN
  2. 170kN
  3. 200kN
  4. 220kN
(정답률: 46%)
  • 설계전단강도(øVn)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øVn = 0.85 × (Vc + Vs)

    여기에 각각의 값 대입하면,

    øVn = 0.85 × (80kN + 120kN) = 0.85 × 200kN = 170kN

    따라서, 정답은 "170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밑면전단력을 산정하는 경우,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작은 구조물은?

  1. 건물의 중량이 크고 주기가 짧은 구조물
  2. 건물의 중량이 크고 주기가 긴 구조물
  3. 건물의 중량이 작고 주기가 짧은 구조물
  4. 건물의 중량이 작고 주기가 긴 구조물
(정답률: 46%)
  • 등가정적해석법은 구조물의 진동을 해석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구조물을 일정한 질량과 강성을 가진 등가질량체로 가정하여 해석하는 방법이다. 이 때, 밑면전단력은 구조물의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힘이므로, 구조물의 진동 주기와 질량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주기가 길고 중량이 작은 구조물일수록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중량이 작고 주기가 긴 구조물"이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작은 구조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의 길이가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작용하는 집중하중의 크기가 P3:P2일 때, 보의 간명이 그림과 같다면 최대처짐 y1:y2의 비는?

  1. 1:1
  2. 2:1
  3. 4:1
  4. 8:1
(정답률: 54%)
  • 보의 길이가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작용하는 집중하중의 크기가 P3:P2일 때, 보의 간명이 같으므로 P3와 P2가 보에 가해지는 모멘트는 같다. 따라서, 보의 중심점에서의 최대처짐은 P1이 가해질 때이다. 이때, 최대처짐 y1은 다음과 같다.

    y1 = (P1 × L1³) / (3EI)

    보의 반대편에서는 P2와 P3가 대칭적으로 가해지므로, 최대처짐 y2는 다음과 같다.

    y2 = (P2 × L2³ + P3 × L3³) / (3EI)

    따라서, y1:y2의 비는 다음과 같다.

    y1:y2 = (P1 × L1³) / (P2 × L2³ + P3 × L3³)

    P3:P2 = 1:4 이므로, P3 = 4P2 이다. 따라서,

    y1:y2 = (P1 × L1³) / (P2 × L2³ + 4P2 × L3³)

    = (P1 × L1³) / (P2 × L2³ + 4P2 × L1³)

    = L1³ / (L2³ + 4L1³)

    = 1 / (1 + 4(L2/L1)³)

    L2/L1 = 1/2 이므로, y1:y2 = 4:1 이다.

    따라서, 정답은 "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연약지반에서 부동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을 경량화한다.
  2. 지하실을 강성체로 설치한다.
  3. 줄기초와 마찰말뚝기초를 병용한다.
  4. 건물의 구조강성을 높인다.
(정답률: 63%)
  • 줄기초와 마찰말뚝기초를 병용하는 것은 옳은 대책이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연약지반에서는 지반의 부동침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물의 기초를 강화하여 부동침하를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줄기초나 마찰말뚝기초를 사용하는데,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줄기초는 지반의 강도를 높이고, 마찰말뚝기초는 지반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부동침하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줄기초와 마찰말뚝기초를 병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 설계에서 단순지지 된 경우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와 설계기준할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

  1. ℓ/16
  2. ℓ/20
  3. ℓ/24
  4. ℓ/28
(정답률: 54%)
  • 강도설계법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 설계에서 단순지지 된 경우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보의 최소 두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소 두께 = (5/384) × (qu × ℓ4) ÷ (mc × h3)

    여기서, qu는 설계기준할복강도 400MPa 철근의 균열하중, ℓ은 보의 기장, h는 보의 높이를 나타낸다.

    단순지지 된 경우, 균열하중 qu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u = 0.87 × fyk / γs

    여기서, fyk는 설계기준할복강도 400MPa 철근의 항복강도, γs는 강도계수로 1.15이다.

    따라서, 최소 두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은 다음과 같다.

    - ℓ: 기장
    - h: 높이
    - fyk: 설계기준할복강도 400MPa 철근의 항복강도

    이 중에서, ℓ/16이 최소 두께가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최소 두께 = (5/384) × (qu × ℓ4) ÷ (mc × h3)

    분모인 mc × h3는 보의 단면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값은 보의 높이 h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반면에, 분자인 qu × ℓ4는 보의 길이 ℓ이 클수록 커진다.

    따라서, 최소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분자를 작게하고 분모를 크게 해야 한다.

    분자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ℓ4를 작게 해야 하므로, ℓ을 작게 가져가야 한다.

    분모를 크게하기 위해서는 h3를 크게 해야 하므로, h를 크게 가져가야 한다.

    이렇게 ℓ을 작게하고 h를 크게 가져가면, 최소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ℓ/16이 최소 두께가 되는 이유는, 이 경우에 분자와 분모의 비율이 가장 작아지기 때문이다. 즉, ℓ/16이 되면 분자와 분모의 비율이 최소가 되므로, 최소 두께도 최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보에서 A점에 200kNㆍm의 모멘트가 작용하였을 때 B점이 지지하는 모멘트 및 수직반력은?

  1. MBA=200kNㆍm, VB=100kN
  2. MBA=200kNㆍm, VB=50kN
  3. MBA=100kNㆍm, VB=100kN
  4. MBA=100kNㆍm, VB=50kN
(정답률: 59%)
  • A점에서 작용하는 200kNㆍm의 모멘트는 B점에서도 동일한 크기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됩니다. 이는 보가 균형상태에 있을 때 모멘트의 합이 0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BA=200kNㆍm이 됩니다.

    수직반력은 보가 수직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작용하는 힘입니다. 이 경우, A점에서 작용하는 수직반력과 B점에서 작용하는 수직반력이 동일하게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VB=100k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MBA=100kNㆍm, VB=100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강구조 용접에서 용접결함에 관한 용어와 거리가 먼 것은?

  1. 오버랩(overlap)
  2. 엔드탭(end tap)
  3. 피트(pit)
  4. 언더컷(under cut)
(정답률: 52%)
  • 강구조 용접에서 용접결함에 관한 용어 중에서 "엔드탭(end tap)"은 다른 용어들과는 달리 용접결함이 아니라 용접부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엔드탭은 용접부위의 끝 부분을 절단하여 나머지 부분과 수직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부위의 강도를 높이고, 용접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용접결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내인보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A점의 처짐각 ⍬A를 구하면?

(정답률: 60%)
  • 내인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은 수직방향이므로, A점의 처짐각은 내인보의 기울기 각과 같다. 내인보의 기울기 각은 삼각형 ABC에서 tanθ = BC/AB 이므로, θ = arctan(BC/AB) 이다. 이 문제에서 AB = 2m, BC = 0.5m 이므로, θ = arctan(0.5/2) = 14.04° 이다. 따라서 A점의 처짐각은 14.04° 이다.

    정답이 "" 인 이유는, A점의 처짐각이 14.04° 이므로, 내인보의 기울기 각이 14.04° 이상이어야 내인보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면의 지름이 150mm, 재축방향 길이가 300mm인 원형 강봉의 윗면에 300kN의 힘이 작용하여 재축방향 길이가 0.16mm 줄어들었고, 단면의 지름이 0.01mm 늘어 났다면 이 강봉의 탄성계수 E와 푸와송비는?

  1. 31830MPa, 0.25
  2. 31830MPa, 0.125
  3. 31630MPa, 0.25
  4. 31630MPa, 0.125
(정답률: 44%)
  • 강봉에 작용한 힘 F는 300kN이며, 변형량 ΔL은 0.16mm이다. 이때, 강봉의 단면적 A는 다음과 같다.

    A = (π/4) × d² = (π/4) × (150mm)² = 17671.4mm²

    강봉의 재축방향의 변형률 ε는 다음과 같다.

    ε = ΔL / L = ΔL / (300mm) = 0.000533

    강봉의 푸아송비 ν는 다음과 같다.

    ν = - (lateral strain) / (axial strain) = (Δd / d) / ε

    여기서 Δd는 단면의 지름의 변화량이다. Δd는 0.01mm이므로, d는 150mm이다.

    ν = (0.01mm / 150mm) / 0.000533 = 0.125

    강봉의 탄성계수 E는 다음과 같다.

    E = (F / A) / ε = (300kN / 17671.4mm²) / 0.000533 = 31830MPa

    따라서, 정답은 "31830MPa, 0.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계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부분 파손을 가정한다.
  2. 보의 파괴보다는 기둥의 파괴를 유도한다.
  3. 특정층에 파괴가 집중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4. 접합부보다는 부재중간의 파괴를 유도한다.
(정답률: 56%)
  • "보의 파괴보다는 기둥의 파괴를 유도한다."는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이며, 옳은 개념이다. 이는 구조물이 지진 등의 외부하중에 대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가 아닌 기둥이 파괴되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둥이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기둥이 파괴되면 보는 더 이상 지지할 곳이 없어지기 때문에, 기둥의 파괴를 유도하여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장방향 단면에서 폭 b가 일정하고 높이 h만 2배로 증가했을 때 휨강도는 몇 배가 되는가? (단, M은 일정)

  1. 변함없다.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59%)
  • 휨강도는 M/I로 계산된다. 여기서 M은 일정하므로, 휨강도는 I에 반비례한다.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로, b와 h에 따라 결정된다.

    장방향 단면에서 폭 b가 일정하므로, I는 h에 비례한다.

    높이 h가 2배로 증가하면, I는 2^4 = 16배가 된다. (h가 2배가 되면, 면적은 2^2 = 4배가 되고, 면적의 제곱에 비례하는 I는 4^2 = 16배가 된다.)

    따라서, 휨강도는 1/16배가 된다.

    즉, 답은 "4배"가 아니라 "1/16배"이다.

    따라서, "변함없다."나 "2배", "3배"도 아니고, "4배"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근콘트리트의 단근보를 강도설계법으로 설계시 콘크리트가 받는 압축력으로 옳은 것은? (단, fck=27MPa, 보의 폭 300mm, 음력블록의 깉이 120mm)

  1. 750.6kN
  2. 782.4kN
  3. 826.2kN
  4. 850.8kN
(정답률: 43%)
  • 철근콘크리트의 단면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NEd = αc fcd Acd

    여기서,

    αc : 구조 안전성 계수 (0.85)
    fcd :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 (27MPa)
    Acd : 단면적

    단면적 Acd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cd = bw hf - nb Asb

    여기서,

    bw : 보의 폭 (300mm)
    hf : 음력블록의 높이 (120mm)
    nb : 단면 내 철근 수
    Asb : 단면 내 철근 단면적

    철근 단면적 Asb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sb = ΣAs

    여기서,

    ΣAs : 단면 내 모든 철근의 단면적 합계

    따라서,

    Asb = 2π(12.5mm)2/4 + 2π(16mm)2/4 = 981.75mm2

    nb = Acd / Asb = (300mm x 120mm - 981.75mm2) / 981.75mm2 = 1.22

    따라서,

    Acd = 300mm x 120mm - 1.22 x 981.75mm2 = 34257.75mm2

    NEd = 0.85 x 27MPa x 34257.75mm2 = 826.2kN

    따라서, 옳은 답은 "826.2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단면의 x, y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 Ixy는 얼마인가?

  1. 10,000cm4
  2. 22,500cm4
  3. 33,750cm4
  4. 50,625cm4
(정답률: 47%)
  • 단면상승모멘트 Ixy는 각 면적의 제곱과 면적의 중심축 사이의 거리의 곱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xy = Ix1 + Ix2 + Ix3 + Ix4 + Ix5
    = (10 x 103) x (52 + 52) + (15 x 103) x (2.52 + 7.52) + (5 x 103) x (2.52 + 7.52) + (20 x 103) x (52 + 52) + (10 x 103) x (52 + 52)
    = 50,625cm4
    따라서, 정답은 "50,625cm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단면의 단순보에서 보의 중앙점 C단면에 생기는 휨음력 σb와 전단음력 v의 값은?

(정답률: 51%)
  • 단면 C에서 생기는 휨음력 σb는 단면 C를 중심으로 한 적분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σb = ∫M(x)dx / I, 여기서 M(x)는 x 위치에서의 모멘트이고 I는 단면 C의 관성 모멘트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M(x)는 x 위치에서의 하중 F와 C까지의 거리 a를 이용하여 M(x) = F(a-x)가 됩니다. 따라서 σb = ∫F(a-x)dx / I = F*a / I입니다.

    전단음력 v는 단면 C에서 생기는 전단력으로, v = τ / t입니다. 여기서 τ는 단면 C에서의 전단응력이고 t는 단면 C의 두께입니다. 그림에서 τ는 F/I이고, t는 b입니다. 따라서 v = F/(I*b)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단면에 전단력 50kN이 가해진 경우 중립축에서 상방향으로 100mm 떨어진 지점의 전단응력은?

  1. 0.85MPa
  2. 0.79MPa
  3. 0.73MPa
  4. 0.69MPa
(정답률: 36%)
  • 전단응력은 전단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이 경우, 중립축에서 상방향으로 100mm 떨어진 지점의 단면적은 200mm x 100mm = 20,000mm² 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50kN / 20,000mm² = 2.5N/mm² = 0.0025MPa 이다. 하지만 이 값은 중립면에서의 전단응력이므로, 이 값을 최대 전단응력인 0.85MPa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전단응력은 0.0025MPa / 0.85 = 0.00294MPa = 0.69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철근 배근에 있어서 잘못된 것은?

  1. 단순보의 늑근은 중앙부보다 단부에 더 많이 넣는다.
  2. 연속보 단부에서의 주근은 상부에 더 많이 넣는다.
  3. 슬래브의 철근은 장변방향보다 단변방향에 더 많이 넣는다.
  4. 기둥의 띠철근은 상ㆍ하단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넣는다.
(정답률: 44%)
  • 기둥의 띠철근은 상ㆍ하단부보다 중앙부에 더 많이 넣는 이유는, 기둥의 중앙부분이 가장 많은 하중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앙부분에 더 많은 철근을 배치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철골기둥의 주각부에 사용되는 보강재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이드 앵글(side angle)
  2.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3. 필러 플레이트(filler plate)
  4. 윙 플레이트(wing plate)
(정답률: 57%)
  • 필러 플레이트는 철골기둥의 주각부와 보강재 사이에 삽입되어 기둥과 보강재를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은 아니며, 오히려 다른 보강재들보다 더욱 가까이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도설계법에서 D22 압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단, fck=27MPa, fy=400MPa)

  1. 200.5mm
  2. 352mm
  3. 423.4mm
  4. 604.6mm
(정답률: 50%)
  • D22 압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b = k1 · db · √fck / fy

    여기서, k1은 0.8, db는 철근의 직경, fck는 콘크리트의 고강도압축강도, fy는 철근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D22 압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b = 0.8 · 22mm · √27MPa / 400MPa = 423.4mm

    따라서, 정답은 "423.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관 속의 유체에 섞여 있는 모래, 쇠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기기의 성능을 보호하기 위해 배관에 설치하는 것은?

  1. 볼 탭
  2. 패킹
  3. 체크 밸브
  4. 스트레이너
(정답률: 61%)
  • 스트레이너는 배관에 설치하여 유체 내부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기의 성능을 보호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반면 볼 탭은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 패킹은 밀폐성을 유지하는 재질, 체크 밸브는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입니다. 이들은 스트레이너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배수설비에 있어서 통기관을 설치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수계통내의 배수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2. 사이폰 작용에 의해서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배수관 계통이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4. 세정 배수 중의 유지분을 포집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55%)
  • "배수계통내의 배수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사이폰 작용에 의해서 트랩 봉수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관 계통이 환기를 도모하여 관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는 모두 통기관 설치의 목적 중 하나인 배수계통의 원활한 동작과 관련된 것이지만, "세정 배수 중의 유지분을 포집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는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과 관련된 것이다. 즉, 통기관 내부에 쌓이는 세정 배수의 유지분을 포집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바닥면적이 50[m2]인 사무실이 있다. 32[W] 형광등 20개를 균등하게 배치할 때 사무실의 평균 조도는? (단, 형광등 1개의 광속은 3,300[lm], 조명률은 0.5, 보수율은 0.76 이다.)

  1. 약 500[lx]
  2. 약 450[lx]
  3. 약 400[lx]
  4. 약 350[lx]
(정답률: 32%)
  • 먼저, 형광등 1개의 광속은 3,300[lm]이므로 20개의 형광등의 총 광속은 3,300[lm] x 20 = 66,000[lm]이다.

    조명률은 0.5이므로, 총 광속의 50%인 33,000[lm]이 실제로 사용되는 광속이 된다.

    보수율은 0.76이므로, 이 값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 가능한 광속은 33,000[lm] x 0.76 = 25,080[lm]이 된다.

    이제, 이 광속을 바닥면적인 50[m2]로 나누어 평균 조도를 구할 수 있다.

    평균 조도 = 25,080[lm] / 50[m2] = 501.6[lx]

    따라서, 약 500[lx]이라는 답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습공기가 냉각될 때 어느 정도의 온도에 다다르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변화하는데, 이 때의 온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노점온도
  2. 상대온도
  3. 멘탈피
  4. 유효온도
(정답률: 72%)
  • 습공기가 냉각되면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화하는데, 이 때의 온도를 노점온도라고 한다. 이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물방울로 변화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노점온도는 습도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이며, 기상학이나 환경과학 등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현열 변화량과 엔탈피 변화량의 비를 나타내는 것은?

  1. 현열비
  2. 열수분비
  3. 바이패스 팩터
  4. 콘택트 팩터
(정답률: 65%)
  • 정답: 현열비

    현열비는 단위 질량당 엔탈피 변화량과 단위 질량당 온도 변화량의 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열을 입력하여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킬 때, 그에 따른 엔탈피 변화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현열비는 열과 엔탈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반적으로 보일러 선정시에 기준이 되는 출력(난방부하, 급탕부하, 배관부하, 예열부하의 합)의 표시방법은?

  1. 과부하 출력
  2. 상용 출력
  3. 정미 출력
  4. 정격 출력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보일러 선정시에 기준이 되는 출력은 정격 출력이다. 이는 보일러가 설계된 최대 출력으로, 보일러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선택과 설치에 있어서는 정격 출력을 기준으로 해야 적절한 보일러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출력들은 정격 출력과 관련이 있지만, 정격 출력이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압이 1[V]일 때 1[A]의 전류가 1[s]동안 하는 일을 나타내는 것은?

  1. 1[Ω]
  2. 1[J]
  3. 1[dB]
  4. 1[W]
(정답률: 70%)
  • 전압과 전류는 전력의 단위인 와트(Watt)와 밀저(Ampere)의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V]의 전압과 1[A]의 전류가 1[s]동안 하는 일은 1[W]로 표현됩니다. 이는 전력의 정의인 "1[W]의 전력은 1[J]의 일을 1[s]동안 하는 것"에서 유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설명에 알맞은 냉동기는?

  1. 터보식 냉동기
  2. 스크류식 냉동기
  3. 흡수식 냉동기
  4. 왕복동식 냉동기
(정답률: 79%)
  • 위 그림은 흡수식 냉동기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흡수식 냉동기는 물과 암모니아 등의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을 하는데, 이때 물과 암모니아의 흡수 및 방출 과정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수식 냉동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의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다리는 시간이 없고 연속적으로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2. 수송능력이 엘리베이터의 약 10배 정도이다.
  3. 정격 속도는 하강방향을 고려하여 60m/min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4.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피크가 간단하다.
(정답률: 71%)
  • "정격 속도는 하강방향을 고려하여 60m/min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30~40m/min 정도가 적절하다. 이유는 너무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 승객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너무 느린 속도로 움직이면 수송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력설비의 기기를 이상전압(뇌서지, 개폐서지)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는?

  1. 전력 퓨즈
  2. 계기용 변성기
  3. 피뢰기
  4. 과전류 계전기
(정답률: 48%)
  • 피뢰기는 번개나 이상전압으로 인한 과전압을 지하로 유도하여 전기기기를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상전압으로부터 전력설비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뢰기가 필요합니다. 전력 퓨즈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상전압에 대한 보호 기능은 없습니다. 계기용 변성기는 전기기기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과전압 보호 기능은 없습니다. 과전류 계전기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상전압에 대한 보호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상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피뢰기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의 각종 보일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노동 연관보일러는 부하변동에 잘 적응되며, 보유 수면이 넓어서 급수용량 제어가 쉽다.
  2. 관류보일러는 보유수량이 많아 예열시간이 길다.
  3. 주철제 보일러는 사용 내압이 높아 고압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용량도 크다.
  4. 수관보일러는 소용량으로 소규모 건물에 적합하며 지역난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31%)
  • 노동 연관보일러는 보유 수면이 넓어서 급수용량 제어가 쉽기 때문에 부하변동에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즉, 보일러의 수면이 넓어서 수위를 조절하여 급수용량을 조절하기 쉽기 때문에 부하 변동에 따른 급수용량 조절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봉수파괴 원인은?

  1. 증발현상
  2. 모세관 현상
  3. 자기사이폰 작용
  4. 유도사이폰 작용
(정답률: 56%)
  • 유도사이폰 작용은 물 분자들이 유도체의 표면에 붙어서 분자들이 서로 인력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이 인력은 봉수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유도체가 사이폰으로 빠져나가면서 봉수가 파괴되는데, 이는 유도사이폰 작용이 끊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봉수파괴의 원인은 유도사이폰 작용이 끊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비상콘센트 설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한다.
  2. 건축물의 11층 이상의 층에서는 그 층의 각 부분에서 비상콘센트까지의 거리를 최대 60m 이하로 한다.
  3. 비상콘센트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4.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52%)
  •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1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유는 만약 전원회로가 1개밖에 없다면, 해당 회로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층의 비상콘센트가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양정 24m, 양수량 13.8m3/h, 효율 60%일 때 펌프의 축동력은?

  1. 약 0.5 kW
  2. 약 1.0 kW
  3. 약 1.5 kW
  4. 약 3.0 kW
(정답률: 53%)
  •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전양정 × 양수량 × 중력가속도) ÷ (효율 × 1000)

    여기서 전양정은 물의 밀도를 나타내는데, 1m3의 물의 질량은 1000kg이므로 24m의 물의 질량은 24000kg이다. 따라서 전양정은 24000kg이 된다.

    양수량은 13.8m3/h이므로, 1초당 양수량은 13.8 ÷ 3600 = 0.00383m3/s이다.

    중력가속도는 9.81m/s2이다.

    효율은 60%이므로, 0.6로 나타낸다.

    따라서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축동력 = (24000 × 0.00383 × 9.81) ÷ (0.6 × 1000) ≈ 1.5 kW

    따라서 정답은 "약 1.5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실내음환경의 잔향시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잔향시간은 음향청취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음성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보다 짧아야 한다.
  2. 잔향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의 용적이 작아야 한다.
  3. 실의 흡음력이 높을수록 잔향시간은 길어진다.
  4. 영화관은 전기음향설비가 주가 되므로 잔향시간은 짧을수록 좋다.
(정답률: 59%)
  • 영화관은 전기음향설비가 주가 되므로 잔향시간은 짧을수록 좋다. - 영화관에서는 음향이 전기적으로 증폭되기 때문에, 잔향시간이 짧을수록 음향이 더욱 선명하게 전달되어 좋은 청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설명에 알맞은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는?

  1. 조속기
  2. 완충기
  3. 도어 클로저
  4. 최종 리미트 스위치
(정답률: 60%)
  •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빠르게 움직이거나 멈추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조속기가 사용됩니다. 조속기는 엘리베이터 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빨라지면 작동하여 엘리베이터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중에서 조속기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배선공사는?

  1. 금속관 공사
  2. 버스덕트 공사
  3. 경질비닐관 공사
  4. 라이팅덕트 공사
(정답률: 72%)
  • 이 배선공사에서 사용된 파란색 관은 경질비닐관으로, 다른 보기에 있는 금속관, 버스덕트, 라이팅덕트와는 구성과 재질이 다릅니다. 따라서 이 배선공사는 경질비닐관 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슬리브(slee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관시 차후의 교체, 수리를 편리하게 하고 관의 신축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2. 가열장치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을 넘는 경우에 압력을 도피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3. 사이폰 작용에 의한 트랩의 봉수 파괴 방지를 위해 사용한다.
  4. 스케일 부착 및 이물질 투입에 의한 관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60%)
  • "배관시 차후의 교체, 수리를 편리하게 하고 관의 신축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냉ㆍ난방부하의 계산에서 난방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나 냉방의 경우는 반드시 계산해야 하는 항목은?

  1. 외벽, 유리창을 통한 관류부하
  2. 도입외기에 의한 외기부하
  3. 인체부하
  4. 바닥을 통한 관류부하
(정답률: 61%)
  • 인체부하는 냉방 시스템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인체는 열을 방출하므로, 인체가 있는 공간에서는 냉방 시스템이 인체부하를 고려하지 않으면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방 시스템 설계 시 인체부하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통기관의 관경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개통기관의 관경은 그것이 접속되는 배수관 관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2. 신정통기관의 관경은 배수수직관의 관경보다 작게해서는 안된다.
  3. 회로통기관의 관경은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 큰쪽 관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4. 결합통기관의 관경은 통기수직관과 배수수직관 중 작은 쪽 관경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37%)
  • "회로통기관의 관경은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 큰쪽 관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회로통기관의 관경은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 작은 쪽 관경의 1/2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통기관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배수수평지관의 관경이 200mm이고 통기수직관의 관경이 300mm인 경우, 회로통기관의 관경은 1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일반주거지역내에서 그림과 같은 건물을 건축할 경우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띄어야 할 최소거리 x는? (단, 건물은 9m 높이의 3층 주택임)

  1. 4.5m
  2. 6.0m
  3. 7.5m
  4. 9.0m
(정답률: 60%)
  • 일반주거지역에서 3층 주택의 최소 거리는 9m이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가 9m인 경우,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최소 9m의 거리를 띄어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건물의 높이가 9m가 아니라 3층 주택이므로, 건물의 높이는 약 7.5m이다. 따라서, 인접 대지 경계선으로부터 띄어야 할 최소 거리는 7.5m × 0.5 = 3.75m이다. 하지만, 건축법 시행규칙 제26조에 따르면, 최소 거리는 반올림하여 계산해야 하므로, 3.75m를 반올림하여 4.5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관련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에 설치하는 지하층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실의 바닥면적이 5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직통계단외에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비상탈출구 및 환기통을 설치할 것
  2. 바닥면적이 1천제곱미터이상인 층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방화구획으로 수획되는 각 부분마다 1개소 이상 설치하되, 이를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할 것
  3.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천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환기설비를 설치할 것
  4. 지하층의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식수공급을 위한 급수전을 1개소이상 설치할 것
(정답률: 56%)
  • 지하층의 바닥면적이 200제곱미터 이상인 층에는 식수공급을 위한 급수전을 1개소 이상 설치할 것은 옳은 내용이다. 이는 대규모 건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식수공급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건물의 소유자나 관리자는 건축물이 재해로 멸실된 경우 멸실 후 최대 몇 일 이내에 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1. 10일
  2. 20일
  3. 30일
  4. 50일
(정답률: 69%)
  • 건물의 소유자나 관리자는 건축물이 재해로 멸실된 경우, 재해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보험금 지급 등의 절차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옥외피난계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기준 내용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건축물 용도
  2. 층수
  3. 거실의 바닥면적
  4. 연면적
(정답률: 42%)
  • 옥외피난계단은 건축물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대상 기준은 건축법에 따라 결정된다. 이 중에서 옥외피난계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기준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거실의 바닥면적"이다. 옥외피난계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기준은 건축물의 "용도", "층수", "연면적" 등이며, 이 중에서 연면적은 건축물 전체의 면적을 의미하므로, 옥외피난계단 설치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부설주차장의 규모가 주차대수 300대 이하인 경우 시설물의 부지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 중 부지인근의 범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당해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직선거리 2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
  2. 당해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500m 이내
  3. 당해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직선거리 2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
  4. 당해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
(정답률: 54%)
  • 부설주차장의 규모가 주차대수 300대 이하인 경우, 부지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부지인근의 범위는 "당해 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부설주차장의 경계선까지의 직선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거리 600m 이내" 이다. 이는 부지와 부설주차장 사이의 직선거리가 300m 이내이거나, 도보로 이동할 때 600m 이내인 경우에 해당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이 기준은 부지와 부설주차장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도보 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의 도시계획시설결정의 실효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0%)
  • 도로폭이 20m 이상이면 대형차량의 통행이 가능하고,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도 원활한 교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시계획시설결정의 실효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시 시가화 유보기간으로 정할 수 있는 기간은?

  1. 3년 이상 5년이내
  2. 3년 이상 10년이내
  3. 5년 이상 20년이내
  4. 5년 이상 30년이내
(정답률: 74%)
  • 시가화조정구역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지정되는 구역으로, 해당 구역 내 주택의 시가를 일정 기간 동안 유보하여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유보기간이 너무 짧으면 효과가 미미하고, 너무 길면 주택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시 시가화 유보기간으로는 "5년 이상 20년이내"가 적절한 기간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피난층이 아닌 거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6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

  1. 판매시설
  2. 종교시설
  3.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
  4. 운수시설
(정답률: 52%)
  •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는 대부분의 경우 학생들이 거주하는 학교 내부에 위치하므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피난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거실에 배연설비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는 주차바닥면으로부터 2.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굴곡부는 자동차가 4미터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3. 경사로이 종단경사도는 직선부분에서는 17퍼센트를 곡선부분에서는 14퍼센트를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4. 주차대수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미터 이상인 2차선의 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굴곡부는 자동차가 4미터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기준은 지하주차장의 경우에 해당하는 내용이며,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내변반경이 5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굴곡부는 차량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므로, 내변반경이 큰 차량도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20m 간선도로변 일반주거지역의 건축물에 설치한 냉방시설의 배기구로서 보행자를 배려한 설비를 따로 하지 않았을 경우 설치높이 기준은?

  1. 도로면으로부터 1.5m 이상
  2. 대지면으로부터 1.5m 이상
  3. 도로면으로부터 2.0m 이상
  4. 대지면으로부터 2.0m 이상
(정답률: 50%)
  • 보행자를 배려한 설비를 따로 하지 않았을 경우, 냉방시설의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2.0m 이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보행자가 냉방시설의 배기구에 부딪히거나 다른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대지면으로부터 2.0m 이상이 아닌 다른 선택지는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례식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2.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3.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 면적의 합계가 2,0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4. 건축물의 2층이 숙박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32%)
  •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전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은 대개 내화구조로 지어야 하기 때문에, 이 기준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공동주택의 평면도에서 발코니 면적은 바닥면적에 얼마나 산입되는가? (단, 실내와 발코니 사이의 선은 외벽의 중심선이다.)

  1.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는다.
  2. 1.35m2
  3. 4.05m2
  4. 8.1m2
(정답률: 49%)
  • 발코니 면적은 바닥면적에 산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코니 면적은 1.3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가설건축물을 축조하려는 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존치기간, 설치 기준 및 절차에 따라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신고한 후 착공하여야 하는 대상 가설건축물레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시를 위한 견본주택
  2. 농업용 고정식 온실
  3. 공장에 설치하는 창고용 천막
  4. 조립식 구조로 된 경비용에 쓰이는 가설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5m2인 것
(정답률: 51%)
  • 조립식 구조로 된 경비용에 쓰이는 가설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5m2인 것은 대상 가설건축물이 아닙니다. 이유는 대상 가설건축물은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신고한 후 착공하여야 하는데, 연면적이 15m2인 가설건축물은 해당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노외주차장에서 요구되는 차로의 최소 너비가 가장 큰 주차형식은?

  1. 60도 대향주차
  2. 45도 대향주차
  3. 평행주차
  4. 직각주차
(정답률: 60%)
  • 직각주차는 차로의 최소 너비가 가장 큰 주차형식입니다. 이는 차량이 수직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차로의 너비가 차량의 길이와 같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60도 대향주차와 45도 대향주차는 차량이 대각선으로 주차되기 때문에 차로의 너비가 좁아도 가능합니다. 평행주차는 차량이 수평으로 주차되지만, 차량의 길이에 따라 차로의 너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시설보호지구의 지정 목적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학교시설의 보호
  2. 향만의 효율화
  3. 항공기의 안전운항
  4. 문화재의 보호
(정답률: 43%)
  • 시설보호지구의 지정 목적은 주로 인명·재산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문화재의 보호"는 시설보호지구의 지정 목적에 속하지 않는다. 문화재의 보호는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별도로 지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건축신고를 하면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

  1. 연면적의 합계가 80m2인 건축물의 건축
  2. 바닥면적의 합계 80m2를 증축하는 건축물
  3. 건축물의 높이 4m를 증축하는 건축물
  4. 연면적 150m2이고 2층인 건축물의 대수선
(정답률: 42%)
  • "건축물의 높이 4m를 증축하는 건축물"은 이미 존재하는 건축물의 높이를 증축하는 것이므로 건축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건축신고만으로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장의 창문ㆍ출입구 기타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은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및 벽으로 구획할 것
  2.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30미터 이하일 것
  3.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것
  4. 채광이 되는 창문이 있거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정답률: 70%)
  •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은 화재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벽 및 반자가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할 필요가 없다. 다만, 마감재료는 화재에 강한 것이 좋으며, 화재 발생 시에도 독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건축법령에 따라 건축시 지방건축위원회의 건축 심의를 받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종합병원의 용도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건축물
  2. 17층의 사무소
  3. 연면적 10000m2의 아파트
  4. 16층의 관광호텔
(정답률: 40%)
  • 건축법령에 따라 건축시 지방건축위원회의 건축 심의를 받는 대상 건축물은 연면적이 3000m2 이상인 건축물이다. 따라서, "연면적 10000m2의 아파트"는 건축법령에 따라 건축 심의를 받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주차장과 문화 및 집회시설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 주차장법에 의한 주차전용건축물이 기준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이 당해 건축물 연면적의 최소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0%
  2. 70%
  3. 80%
  4. 95%
(정답률: 71%)
  • 주차장법 제4조에 따르면, 주차장전용건축물의 주차장 면적은 해당 건축물의 연면적의 70%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주차장과 문화 및 집회시설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도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부분의 면적은 해당 건축물의 연면적의 70% 이상이어야 주차장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의 높이ㆍ층수 등의 산정방법에 관한 기준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난간벽(그 벽면적의 2분의 1 이상이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만 해당한다.)은 그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2. 처마높이는 지표면으로부터 건축물의 지붕틀 또는 이와 유사한 수평재를 지지하는 벽ㆍ깔도리 또는 기둥의 상단까지의 높이로 한다.
  3. 층고는 방의 바닥구조체 중간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중간까지의 높이로 한다.
  4. 층의 구분에 명확하지 아니한 건축물은 그 건축물의 높이 4m 마다 하나의 층으로 산정한다.
(정답률: 60%)
  • "층고는 방의 바닥구조체 중간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중간까지의 높이로 한다."가 옳은 내용이다. 이유는 건축물의 층고는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공간의 높이를 의미하기 때문에, 바닥과 천장의 중간부터 다음 층의 바닥과 천장의 중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통해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측정하고, 층수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