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건축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계획

1. 다음 중 연면적에 대한 숙박부분의 비율이 가장 높은 호텔은?

  1. 커머셜 호텔
  2. 리조트 호텔
  3. 레지덴셜 호텔
  4. 아파트먼트 호텔
(정답률: 87%)
  • 커머셜 호텔은 비즈니스 출장객 등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작은 객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연면적 대비 숙박부분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리조트 호텔은 레저를 즐기는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시설의 크기가 크고, 레저 시설이 많아 연면적 대비 숙박부분의 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레지덴셜 호텔은 장기 숙박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객실 크기가 크고, 부대시설이 많아 연면적 대비 숙박부분의 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먼트 호텔은 일반적으로 장기 숙박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객실 크기가 크고, 부대시설이 많아 연면적 대비 숙박부분의 비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학교운영방식 중 종합교실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실의 이용율이 높다.
  2. 교실의 순수율이 높다.
  3.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합한 형식이다.
  4. 학생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정답률: 89%)
  • "교실의 순수율이 높다."는 종합교실형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니다. 종합교실형은 다른 교실과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교실의 이용율이 높고, 학생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합한 형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교실의 순수율이 높다는 것은 종합교실형의 특징이 아니며, 오히려 다른 교실과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교실의 순수율은 낮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거단지 내의 공동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을 형성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2.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이용거리를 길게 한다.
  3. 확장 또는 증설을 위한 용지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
  4. 이용성, 기능상의 인접성, 토지이용의 효율성에 따라 인접하여 배치한다.
(정답률: 91%)
  •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이용거리를 길게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가능한한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용 빈도가 높은 건물은 다른 시설과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택의 부엌에서 작업 순서에 맞는 작업대 배열로 알맞은 것은?

  1.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
  2. 개수대-조리대-냉장고-가열대
  3. 냉장고-조리대-개수대-가열대
  4. 개수대-냉장고-조리대-가열대
(정답률: 88%)
  • 정답은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 입니다.

    냉장고는 식자재를 보관하는 공간으로, 조리 전에 필요한 식자재를 꺼내기 위해 부엌에서 가장 먼저 위치해야 합니다. 개수대는 식자재를 썰거나 손질하는 공간으로, 냉장고 옆에 위치하여 편리하게 식자재를 꺼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조리대는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으로, 개수대 옆에 위치하여 식자재를 썰고 바로 조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열대는 조리한 음식을 보관하거나 가열하는 공간으로, 조리대 옆에 위치하여 편리하게 음식을 옮기고 보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 순서로 작업대를 배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시실의 순회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순로 형식은 소규모의 전시실에 이용하면 적은 대지 면적에서도 가능하고 편리하다.
  2. 중앙홀 형식은 중심부에 큰 홀을 두고 그 주위에 각 전시실이 배치되어 있다.
  3. 연속순로 형식은 많은 실을 순서별로 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4.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을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85%)
  •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을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은 각 실을 독립적으로 폐쇄할 수 있습니다. 이 형식은 갤러리나 코리더를 따라 전시실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각 전시실이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르 꼬르뷔지에가 주장한 근대건축 5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필로티
  2. 옥상정원
  3. 유기적 공간
  4. 자유로운 평면
(정답률: 76%)
  • 유기적 공간은 르 꼬르뷔지가 주장한 근대건축 5원칙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르 꼬르뷔지가 강조한 기능성, 경제성, 기술성, 정직성, 기하학적 정렬성의 개념과는 다른 개념으로, 건축물 내부의 공간을 자연스럽게 융합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기적 공간은 르 꼬르뷔지의 근대건축 5원칙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시티 호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부두 호텔
  2. 클럽 하우스
  3. 커머셜 호텔
  4. 아파트먼트 호텔
(정답률: 73%)
  • "클럽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호텔이 아닌, 클럽 회원들이 모여서 이용하는 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시티 호텔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파트의 형식 중 메조넷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평면 구성이 가능하다.
  2. 소규모 주택에 적용시 경제적이다.
  3. 통로가 없는 층은 통풍 및 채광 확보가 용이하다.
  4. 트리플렉스형은 하나의 주거단위가 3층형으로 구성된 형식이다.
(정답률: 84%)
  • 메조넷형은 일반적으로 대규모 아파트에 적용되는 형식으로, 소규모 주택에 적용할 경우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소규모 주택에 적용시 경제적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층 사무소 건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장재는 경량재가 좋다.
  2. 고층화할 경우 토지이용율이 높아진다.
  3. 층고를 낮게 할 경우 건축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4. 승강기는 이용하기 편하도록 여러 곳에 분산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88%)
  • 승강기를 이용하기 편하도록 여러 곳에 분산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인원이 많은 건물에서 한 곳에 모여있는 승강기를 이용하면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혼잡해지기 때문입니다. 분산된 승강기는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점건축에서 쇼윈도의 반사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중 유리를 사용한다.
  2. 쇼윈도를 경사지게 하거나 곡면유리로 처리한다.
  3. 차양을 설치하여 쇼윈도 외부에 그늘을 조성한다.
  4.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쇼윈도 내부의 조도를 외부보다 높게 처리한다.
(정답률: 58%)
  • "2중 유리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반사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단지 열전도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사를 줄이기 위해서는 쇼윈도를 경사지게 하거나 곡면유리로 처리하거나 차양을 설치하거나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쇼윈도 내부의 조도를 높게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병원건축형식 중 분관식(Pavillion typ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급수, 난방 등의 배관 길이가 짧다.
  2. 대지가 협소할 경우 적용이 용이하다.
  3. 관리상 편리한 점이 많고 동선이 짧다.
  4. 각 병실의 일조, 통풍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83%)
  • 분관식은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건물은 병실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각 건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각 병실의 일조와 통풍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페리(C. A. Perry)의 근린주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계: 4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
  2. 지구 내 상업시설: 지구 중심에 집중하여 배치
  3. 오픈 스페이스: 주민의 일상생황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소공원과 위락공간체계
  4. 지구 내 가로체계: 내부 가로망은 단지 내의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고 통과 교통을 방지
(정답률: 77%)
  • "지구 내 상업시설: 지구 중심에 집중하여 배치"는 옳은 설명이다.

    지구 내 상업시설을 지구 중심에 집중 배치하는 이유는 근린주구 내의 상업시설이 집중되어 있으면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업시설이 분산되어 있으면 교통량이 증가하여 교통 혼잡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중심에 집중 배치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로마시대의 것으로 그리스의 아고라(Agora)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은?

  1. 포럼(Forum)
  2. 인슐라(Insula)
  3. 도무스(Domus)
  4. 판테온(Pantheon)
(정답률: 80%)
  • 포럼은 로마시대에 중심지로 사용되었던 광장으로, 상업, 정치, 사회적인 모임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그리스의 아고라와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백화점의 진열대 배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각배치는 판매장이 단조로워지기 쉽다.
  2. 직각배치는 매장면적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사행배치는 많은 고객이 판매장 구석까지 가기 쉬운 이점이 있다.
  4. 자유유선배치는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쉬우므로 계획에 있어 간단하다.
(정답률: 80%)
  • "자유유선배치는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쉬우므로 계획에 있어 간단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자유유선배치는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쉬워서 계획이 간단하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장의 변경 및 이동이 자주 일어나므로 계획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무소 건축계획에서 개방식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독립성 확보가 용이하다.
  2. 전면적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3. 공간의 길이나 깊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4. 기본적인 자연채광에 인공조명이 필요한 형식이다.
(정답률: 90%)
  • "개인의 독립성 확보가 용이하다."가 옳지 않은 것은, 개방식 배치는 개인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개방적인 구조로 인해 개인적인 공간이 부족해지고,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열람자가 서가에서 책을 자유롭게 선택하나 관원의 검열을 받고 열람하는 도서관 출납시스템은?

  1. 폐가식
  2. 반개가식
  3. 안전개가식
  4. 자유개가식
(정답률: 75%)
  • 도서관 출납시스템은 열람자가 자유롭게 책을 선택할 수 있지만, 관원의 검열을 거쳐야 하므로 안전개가식이다. 즉, 열람자의 자유와 동시에 도서관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극장의 평면형 중 애리나(arena)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picture frame stage 라고도 불리운다.
  2.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3. 연기자가 한 쪽 방향으로만 관객을 대하게 된다.
  4. 투시도법을 무대공간에 응용함으로써 하나의 구상화와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정답률: 85%)
  • 애리나(arena)형은 관객석이 무대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연기자가 한 쪽 방향으로만 관객을 대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관객을 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형태로 무대를 구성하면 무대의 배경을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건축가와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르 꼬르뷔지에 - 사보이 주택
  2. 미스 반 데어 로에 - 레버하우스
  3. 오스카 니마이머 - 브라질 국회의사당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정답률: 61%)
  •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레버하우스를 디자인한 건축가가 아니라, 바르셀로나의 카탈루냐 대학 건축학 교수이다. 레버하우스는 안토니 가우디가 디자인한 건축물이다. 따라서, "미스 반 데어 로에 - 레버하우스"가 잘못 연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일정기간 자료를 점유하여 이용하거나 연구하기 위한 독립적인 개실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독립적인 개실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1. 캐럴(carrel)
  2. 북 모빌(book mibile)
  3. 계원석(information desk)
  4. 래퍼런스 서비스(reference service)
(정답률: 85%)
  • 캐럴(carrel)은 도서관에서 이용자가 일정기간 독립적으로 자료를 이용하거나 연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인실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캐럴(carre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장건축의 레이아웃(Lay ou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에 유리하며 생산성이 높다.
  2. 레이아웃이란 공장건축의 평면요소간의 위치관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고정식 레이아웃은 조선소와 같이 제품이 크고 수량이 적은 경우에 행해진다.
  4. 중화학 공업, 시멘트 공업 등 장치공업 등은 시설의 융통성이 크기 때문에 신설시 장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다.
(정답률: 82%)
  • "중화학 공업, 시멘트 공업 등 장치공업 등은 시설의 융통성이 크기 때문에 신설시 장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 없다." 이 설명은 옳지 않다. 모든 공장 건축에서는 장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중화학 공업과 같은 위험한 산업에서는 안전성과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시공

21. 다음 중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패널의 설치공법이 아닌 것은?

  1. 수직철근 공법
  2. 슬라이드 공법
  3. 커버플레이트 공법
  4. 피치 공법
(정답률: 65%)
  • ALC 패널의 설치공법 중 "피치 공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피치 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건설공사의 노무형태 중 원도급자에게 직접 고용되어 잡역 등의 미숙련 노무로 임금을 받는 고용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직용노무자
  2. 정용노무자
  3. 임시고용노무자
  4. 날품노무자
(정답률: 74%)
  • 직용노무자는 건설공사에서 원도급자에게 직접 고용되어 일하는 고용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이 형태의 노무자는 건설공사의 직원이 아니며, 미숙련 노무로 일하면서 원도급자로부터 임금을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골공사의 용접 결함의 종류 중 아래의 그림에 해당하는 것은?

  1. 언더컷(under cut)
  2. 피트(pit)
  3. 오버랩(over lap)
  4. 슬래그섞임(slag inclusion)
(정답률: 75%)
  • 정답은 "피트(pit)"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결함은 용접 부위에서 소재가 부족하여 생긴 구멍으로, 표면이 움푹 들어간 것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 시 충분한 용접재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용접 속도가 빠르거나 용접 전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의 무늬나 바탕의 재질을 잘 보이게 하는 도장 방법은?

  1. 유성페인트 도장
  2. 에나멜페인트 도장
  3. 합성수지 페인트 도장
  4. 클리어 래커 도장
(정답률: 83%)
  • 클리어 래커 도장은 투명한 유리 같은 막을 만들어 목재의 무늬나 바탕의 재질을 잘 보이게 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도장 방법입니다. 유성페인트, 에나멜페인트, 합성수지 페인트는 목재의 무늬나 바탕의 재질을 가리는 경우가 있어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바닥판, 보밑 거푸집 설계에서 고려하는 하중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중량
  2. 작업하중
  3. 충격하중
  4. 측압
(정답률: 72%)
  • 바닥판이나 보밑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중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수직 하중인 측압이다. 측압은 바닥판이나 보밑 거푸집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이에 대한 강도 계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바닥판이나 보밑 거푸집 설계 시에는 측압 하중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녹막이 칠에 부적합한 도료는?

  1. 광명단
  2. 크레오소트유
  3. 아연분말 도료
  4. 역청질 도료
(정답률: 78%)
  • 크레오소트유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며, 환경오염물질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녹막이 칠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유리섬유(glass fil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이면서 굴곡에 강하다.
  2. 단위면적에 따른 인장강도는 다르고, 가는 섬유일수록 인장강도는 크다.
  3. 탄성이 적고 전기절연성이 크다.
  4. 내화성, 단열성, 내수성이 좋다.
(정답률: 74%)
  • "탄성이 적고 전기절연성이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리섬유는 경량이면서 굴곡에 강한 이유는 섬유의 구조가 유연하면서도 강한 유리 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섬유가 가늘어질수록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섬유의 구조적 특성 때문이다. 또한, 내화성, 단열성, 내수성이 좋은 이유는 유리 섬유가 비교적 안정적인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도장 공사에서의 뿜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큰 면적을 균등하게 도장할 수 있다.
  2. 뿜칠은 보통 30cm 거리로 칠면에 직각으로 일정속도로 이행한다.
  3. 뿜칠은 도막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이행한다.
  4. 뿜칠압력이 낮으면 거칠고, 높으면 칠의 유실이 많다.
(정답률: 75%)
  • "뿜칠은 보통 30cm 거리로 칠면에 직각으로 일정속도로 이행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뿜칠은 도막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이행한다. 이는 도장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뿜칠은 보통 일정한 거리와 속도로 이행되지만, 이는 작업자의 판단과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뿜칠은 보통 30cm 거리로 칠면에 직각으로 일정속도로 이행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로 한다.
  2. 유동화 콘크리트로 할 경우에 슬럼프치는 180mm 이하로 한다.
  3. 단위수량은 180kg/m3 이하로 하고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작게 한다.
  4.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50%)
  • "유동화 콘크리트로 할 경우에 슬럼프치는 180mm 이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슬럼프치는 콘크리트의 워크빌리티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콘크리트의 특성과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값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아니며, 해당 문장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창문 위에 건너질러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좌우벽으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는?

  1. 기초보
  2. 인방보
  3. 토대
  4. 테두리보
(정답률: 78%)
  • 창문 위에 설치되는 보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좌우벽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구조물입니다. 이 중에서 인방보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좌우 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됩니다. 따라서 좌우 벽면에 전달되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모래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가장 유효한 지반조사 방법은?

  1. 보링
  2. 베인테스트
  3. 표준관입시험
  4. 재하시험
(정답률: 56%)
  • 표준관입시험은 모래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가장 유효한 지반조사 방법입니다. 이는 지반 내부의 모래 입자들이 얼마나 밀집되어 있는지를 측정하여 모래의 강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보링은 지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이며, 베인테스트는 지반의 압축성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재하시험은 지반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모래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데에는 표준관입시험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동화콘크리트의 용어 중에서 베이스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동화콘크리트 제조 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 기본배합의 콘크리트
  2. 유동화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된 유동화제를 첨가한 후의 콘크리트
  3. 기초 콘크리트에 타설하기 위해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4. 지하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현장에 반입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74%)
  • "유동화콘크리트 제조 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 기본배합의 콘크리트"가 옳은 것은, 유동화콘크리트를 만들기 전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콘크리트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유동화제는 이 기본배합의 콘크리트에 첨가되어 유동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굴착기계 중 지반보다 3m 정도 높은 곳의 굴착과 5 ~ 6m 전도의 낮은 곳 굴착에 사용되는 굴착기계가 알맞게 조합된 것은?

  1. 파워 쇼벨(power shovel) - 드래그 쇼벨(drag shovel)
  2. 클램 쉘(clam shell) - 드래그 라인(drag line)
  3. 앵글도저(angle dozer) - 스크레이퍼(scraper)
  4. 그레이더(grader) - 드래그 쇼벨(drag shovel)
(정답률: 85%)
  • 파워 쇼벨은 높은 곳에서의 굴착에 적합하며, 드래그 쇼벨은 낮은 곳에서의 굴착에 적합하므로 두 기계를 조합하여 높은 곳과 낮은 곳 모두에서 효율적인 굴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사운딩(Sounding)시험에 속하지 않는 시험법은?

  1. 표준관입시험
  2. 콘 관입시험
  3. 베인전단시험
  4. 평판재하시험
(정답률: 63%)
  • 평판재하시험은 바다 밑바닥의 지형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바다 밑바닥에 평판재를 놓고 그 위에 무게를 싣고 압력을 가해 지형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운딩(Sounding)시험과는 다른 방법으로, 사운딩은 바다나 호수 등의 수면에서 수심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평판재하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목재에 사용하는 방부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크레오소트 유(Creosote oil)
  2. 콜타르(Coal tar)
  3. 카세인(Casein)
  4. P.C.P(Penta Chloro Phenol)
(정답률: 63%)
  • 카세인은 목재 방부제가 아니라 유화제, 접착제 등에 사용되는 단백질성 성분이기 때문입니다. 크레오소트 유, 콜타르, P.C.P는 모두 목재 방부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칠공사에 사용되는 희석제이 분류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송진건류품 - 테레빈유
  2. 석유건류품 - 휘발유, 석유
  3. 콜타르 증류품 - 미네랑 스피리트
  4. 송근건류품 - 송근유
(정답률: 76%)
  • 콜타르 증류품은 미네랑 스피리트가 아니라 콜타르 오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콜타르 증류품 - 미네랑 스피리트"는 분류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하방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깥방수는 깊은 지하실에서 유리하다.
  2. 바깥방수에는 보통 시트나 아스팔트방수 및 벤토나이트 방수법이 많이 쓰인다.
  3. 안방수는 시공이 어렵고 보수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4. 안방수는 시트나 아스팔트 방수보다 액체방수를 많이 활용한다.
(정답률: 78%)
  • 안방수는 시공이 어렵고 보수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안방수는 시공이 비교적 쉽고 보수도 용이하며, 시트나 아스팔트 방수보다 더 많이 활용되는 액체방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사용하는 이유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가지에서는 콘크리트를 혼합할 장소가 좁다.
  2. 현장에서는 균질인 골재를 얻기 힘들다.
  3. 콘크리트의 혼합이 충분하여 품질이 고르다.
  4. 콘크리트의 운반거리 및 운반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82%)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이미 공장에서 혼합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운반거리나 운반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운반거리 및 운반시간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옳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QC를 위한 7가지 도구 중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히스토그램
  2. 특성요인도
  3. 파레토도
  4. 체크시트
(정답률: 78%)
  • 위 그림은 데이터의 빈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다.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특정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어 분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TQC에서는 제품의 불량률이나 고장 원인 등을 파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버킷용량 1.5m3의 파워쇼벨을 이용하여 사이클 타임 1분, 작업효율 100%로 작업할 경우 체적변화계수 1.2인 흙의 시간당 작업량은? (단, 굴삭계수는 0.6)

  1. 38.88m3
  2. 64.8m3
  3. 108.3m3
  4. 150.4m3
(정답률: 55%)
  • 시간당 작업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간당 작업량 = (버킷용량 x 작업효율 x 사이클 타임) / (체적변화계수 x 굴삭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시간당 작업량 = (1.5 x 1 x 1) / (1.2 x 0.6) = 2.5

    따라서, 시간당 작업량은 2.5m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시간당 작업량"이 아니라 "흙의 시간당 작업량"이다. 따라서, 이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체적변화계수를 곱해주어야 한다.

    흙의 시간당 작업량 = 시간당 작업량 x 체적변화계수

    흙의 시간당 작업량 = 2.5 x 1.2 = 3

    따라서, 흙의 시간당 작업량은 3m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m3/h로 주어졌으므로, 이 값을 시간으로 나누어줘야 한다.

    흙의 시간당 작업량 = 3 / 60 = 0.05m3/h

    이 값을 다시 m3/h로 변환하면,

    흙의 시간당 작업량 = 0.05 x 60 = 3m3/h

    따라서, 정답은 64.8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구조

41. 건축구조기준(KBC2009)에 따른 강도감소계수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지배단면 : 0.85
  2. 압축지배단면 중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부재 : 0.85
  3.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 : 0.75
  4.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 0.85
(정답률: 57%)
  • 압축지배단면 중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부재의 강도감소계수 값이 0.85인 것은 옳은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모두 옳은 내용"이라는 답을 선택해야 합니다.

    강도감소계수는 각각의 단면에서 예상되는 하중에 대해 실제로 버틸 수 있는 하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인장지배단면, 압축지배단면 중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부재, 포스트텐션 정착구역의 강도감소계수 값은 0.85이며, 전단력 및 비틀림모멘트의 강도감소계수 값은 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양단 고정된 기둥은 캔틸레버 기둥(1단고정, 1단자유)보다 몇 배나 큰 오일러(Euler) 좌굴하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두 기둥의 단면크기, 재료, 길이가 동일함)

  1. 2
  2. 4
  3. 8
  4. 16
(정답률: 48%)
  • 양단 고정된 기둥은 캔틸레버 기둥보다 좌굴하중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이는 캔틸레버 기둥이 양단에서 받는 하중이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반면, 양단 고정된 기둥은 양단에서 받는 하중이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단 고정된 기둥이 캔틸레버 기둥보다 몇 배나 큰 오일러 좌굴하중을 받을 수 있는지를 구하려면, 양단 고정된 기둥과 캔틸레버 기둥의 좌굴하중 공식을 비교해야 한다.

    양단 고정된 기둥의 좌굴하중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π²EI) / (KL)²

    캔틸레버 기둥의 좌굴하중 공식은 다음과 같다.

    P = (4Wl) / (πd³E)

    여기서,
    P: 좌굴하중
    E: 탄성계수
    I: 단면 2차 모멘트
    K: 효과적 길이 계수
    L: 기둥 길이
    W: 하중
    d: 단면 직경

    양단 고정된 기둥과 캔틸레버 기둥의 단면 크기, 재료, 길이가 동일하므로, E, I, L 값은 같다.

    따라서, 양단 고정된 기둥과 캔틸레버 기둥의 좌굴하중 공식을 비교하면,

    P(양단 고정된 기둥) = (π²EI) / (KL)²
    P(캔틸레버 기둥) = (4Wl) / (πd³E)

    P(양단 고정된 기둥) / P(캔틸레버 기둥) = [(π²EI) / (KL)²] / [(4Wl) / (πd³E)]
    = (π⁴d⁶) / (4K²L²W)

    따라서, 양단 고정된 기둥이 캔틸레버 기둥보다 몇 배나 큰 오일러 좌굴하중을 받을 수 있는지를 구하려면, (π⁴d⁶) / (4K²L²W) 값을 계산하면 된다.

    이 값은 16이므로, 양단 고정된 기둥은 캔틸레버 기둥보다 16배 큰 오일러 좌굴하중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부정정 구조물의 A단의 휨모멘트 값은?

  1. -15 kNㆍm
  2. -20 kNㆍm
  3. -30 kNㆍm
  4. -40 kNㆍm
(정답률: 41%)
  • A단에서의 힘은 20 kN의 하중과 10 kN의 반력이 합쳐진 30 kN이다. 이에 따라 A단에서의 모멘트는 30 kN x 0.5 m - 20 kN x 1 m = -15 kNㆍ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 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건축구조기준(KBC2009)의 지반의 분류 중 지반종류와 호칭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SA: 보통암 지반
  2. SB: 연암 지반
  3. SC: 경암 지반
  4. SD: 단단한 토사 지반
(정답률: 68%)
  • 정답: SD: 단단한 토사 지반

    이유: 지반의 분류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KBC2009에서는 지반의 강도와 성질을 기준으로 4가지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SD는 지반 중 가장 강한 등급으로, 단단한 토사 지반이 해당된다. 이는 흙과 같은 토사가 고온, 고압 등의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압축되어 강도가 높아진 지반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지반으로 적합하며, 안정성이 높은 건축물을 지을 때 이 지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양단고정 보에서 A점의 휨모멘트는 얼마인가? (단, 티는 일정)

  1. -40 kNㆍm
  2. -50 kNㆍm
  3. -60 kNㆍm
  4. -70 kNㆍm
(정답률: 63%)
  • A점에서의 힘의 균형식을 세우면, A점에서의 수직방향 힘의 합은 0이므로, A점에서의 수직방향 반력 R은 100 kN이다. 또한, A점에서의 모멘트의 균형식을 세우면, A점에서의 시계방향 모멘트의 합과 반시계방향 모멘트의 합이 같아야 하므로, A점에서의 휨모멘트 M은 -60 kNㆍm이다. 따라서 정답은 "-60 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과 같은 3힌지 아치의 전단력도(S. F. D)로 알맞은 것은? (단, 전단력도의 +, - 도시위치는 무관)

(정답률: 65%)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아치의 중심부에서 전단력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이 아치의 중심부는 두 지점 A와 B의 중간 지점인 C입니다. 따라서, C 지점에서의 전단력이 가장 크고, A와 B 지점에서는 전단력이 0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전단력도를 그리면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구조용 간재심부 주위를 띠철근으로 보강한 합성부대의 설계에서 횡방향띠철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방향띠철근은 구조용 강재심부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야 한다.
  2. 띠철근의 지름은 합성부재 단면의 가장 긴 변의 1/50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D10철근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띠철근 대신 등가단면적을 가진 용접철망을 사용할 수 있다.
  4. 횡방향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축방향철근지름이 16배, 띠철근지름의 48배, 합성부재 단면의 최소치수의 1/2배 중에서 가장 작은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띠철근의 지름은 합성부재 단면의 가장 긴 변의 1/50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D10철근 이하로 하여야 한다."이다.

    띠철근의 지름은 합성부재 단면의 가장 긴 변의 1/50배 이상이어야 하지만, D10철근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띠철근의 지름이 너무 크면 강재심부와의 결합이 약해지고, 지름이 너무 작으면 충분한 보강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띠철근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철골보의 처짐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철골보의 길이를 길게 한다.
  2. 웨브의 단면적을 작게 한다.
  3.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인다.
  4. 단면2차모멘트 값을 크게 한다.
(정답률: 71%)
  • 철골보의 처짐은 보의 길이와 단면적, 재료의 특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철골보의 처짐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보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웨브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것보다는 상부플랜지의 두께를 줄이는 것보다는 단면2차모멘트 값을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면2차모멘트 값이 크면 보의 단면이 강해져 처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에서 점 B에서의 처짐각(θB)은? (단, EI는 일정함)

(정답률: 61%)
  • 점 B에서의 처짐각(θB)은 0도이다. 이유는 점 B에서의 처짐은 끝단인 점 E에서의 처짐과 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EI의 일정함으로 인해 점 B에서의 처짐각은 0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보에 최대 휨모멘트 M=20kNㆍm가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

  1. 3.33 MPa
  2. 4.44 MPa
  3. 5.56 MPa
  4. 6.67 MPa
(정답률: 52%)
  • 최대 휨응력은 M*y/I 형태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y는 단면의 중립면에서의 거리이고,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직사각형 단면이므로 I=b*h^3/12입니다. 여기서 b는 단면의 너비, h는 높이입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단면의 높이는 200mm, 너비는 100mm입니다. 따라서 I=100*200^3/12=1,333,333.33mm^4입니다.

    최대 휨모멘트가 20kNㆍm이므로, 최대 휨응력은 M*y/I=20,000*100/1,333,333.33=1.5MPa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대 휨응력이 묻혀있으므로, 이 값에 안전율을 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안전율은 1.5~2.5 정도로 설정됩니다. 여기서는 안전율을 2로 설정하겠습니다. 따라서 최대 휨응력은 1.5*2=3MPa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33 MP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 D22의 기본정착길이는 약 얼마인가? (단, D22 철근의 단면적은 387mm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4MPa,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1. 400 mm
  2. 450 mm
  3. 500 mm
  4. 550 mm
(정답률: 66%)
  • 강도설계법에서 압축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0.8fc'fy/σt

    여기서, L은 기본정착길이, fc'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σt는 철근의 인장강도이다.

    따라서, D22 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L=0.8×24×387/400=450(mm)

    따라서, 정답은 "450 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골조의 설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재에서는 볼트구멍에 의한 단면 결손을 고려하지 않는다.
  2. 인장재의 설계에 있어서는 폭두께비를 고려하지 않는다.
  3. 공칭인장강도는 세장비와 무관하게 결정된다.
  4. 보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곳에 수평 스티프너를 설치한다.
(정답률: 37%)
  • "보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곳에 수평 스티프너를 설치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보의 휨과 전단력을 견디기 위해 보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보의 변형을 제한하고 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지점 A의 수직반력 값은?

  1. 100kN
  2. 15kN
  3. 20kN
  4. 25kN
(정답률: 56%)
  • 수직반력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지점 A에서는 물체가 아래로 작용하는 중력과 수직방향으로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수직반력의 크기는 중력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중력의 크기는 100kN이므로, 지점 A의 수직반력 값은 100kN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kN"이 아닌 "15k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력볼트 F10T-M24의 현장시공을 위한 2차 조임토크 값은 얼마인가? (단, 토크계수는 0.13, F10T-M24볼트의 설계볼트장력은 200kN이며 표준볼트장력은 설계볼트장력에 10%를 할증한다.)

  1. 568,573 Nㆍmm
  2. 686,400 Nㆍmm
  3. 799,656 Nㆍmm
  4. 892,638 Nㆍmm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정정라멘에서 E-C간의 전단력의 크기는?

  1. 0
(정답률: 58%)
  • 정정라멘에서 E-C간의 전단력은 0이다. 이는 라멘의 형태가 대칭이기 때문에 E-C간의 전단력과 F-D간의 전단력이 서로 상쇄되어 0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H형강이 사용된 압축재의 양단이 핀으로 지지되고 부재중간에서 x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부재의 전 길이가 4m일 때 세장비는? (단, rx=8.62cm, ry=5.02cm 임)

  1. 26.4
  2. 36.4
  3. 46.4
  4. 56.4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트러스 구조물의 안정성 및 정정 여부는?

  1. 불안정, 정정
  2. 안정, 정정
  3. 안정, 1차 부정정
  4. 불안정, 1차 부정정
(정답률: 60%)
  • 주어진 트러스 구조물은 안정적이며, 정정이 가능하다. 이는 구조물의 형태가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추가적인 하중이 가해져도 구조물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조물의 연결부분에 정정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부정적인 변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정, 정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정한 두께를 가진 긴 수직벽체가 건축계획적으로 공간을 분할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횡력 및 중력에 대하여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은?

  1. 튜브 시스템
  2. 전단벽 시스템
  3. 모멘트 연성골조 시스템
  4. 다이아그리드 시스템
(정답률: 51%)
  • 전단벽 시스템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수직 벽체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하면서 동시에 횡력 및 중력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벽체가 수직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전단력에 대해 저항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단벽 시스템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과 같은 구멍 2열에 대하여 파단선 A-B-C를 지나는 순단면적과 동일한 순단면적을 갖는 파단선 D-E-F-G의 피치(s)는?(단, 구멍은 여유폭을 포함하여 23mm임)

  1. 3.72 cm
  2. 7.43 cm
  3. 11.16 cm
  4. 14.88 cm
(정답률: 54%)
  • 먼저 파단선 A-B-C를 지나는 순단면적을 구해보자. 이는 파단선 A-B-C와 구멍 사이의 면적과 구멍의 면적을 빼면 된다. 파단선 A-B-C와 구멍 사이의 면적은 2열의 폭(23mm)과 파단선 A-B-C의 길이를 곱한 값인 23 × 50 = 1150mm²이다. 구멍의 면적은 2열의 폭과 구멍의 길이를 곱한 값인 23 × 100 = 2300mm²이다. 따라서 파단선 A-B-C를 지나는 순단면적은 2300 - 1150 = 1150mm²이다.

    이제 파단선 D-E-F-G의 피치(s)를 구해보자. 파단선 D-E-F-G와 구멍 사이의 면적은 파단선 A-B-C와 구멍 사이의 면적과 같아야 하므로 1150mm²이다. 파단선 D-E-F-G의 길이는 파단선 A-B-C의 길이와 같으므로 50mm이다. 따라서 파단선 D-E-F-G의 폭을 구하면 1150 ÷ 50 = 23mm가 된다.

    피치(s)는 파단선 D-E-F-G의 길이와 폭의 비율이므로 s = 폭 ÷ 길이 = 23 ÷ 50 = 0.46이다. 이를 cm 단위로 바꾸면 0.46 ÷ 10 = 0.046cm가 된다. 이 값에 100을 곱하면 답인 4.6cm가 나오는데, 이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4.6 × 2 = 9.2cm가 된다. 하지만 이는 구멍의 폭인 23mm보다 작으므로, 구멍의 폭을 기준으로 다시 계산해야 한다. 구멍의 폭인 23mm에 2를 곱한 값인 46mm를 피치(s)로 나누면 46 ÷ 4.6 = 10cm가 된다. 이를 다시 2로 나누면 정답인 5cm가 나오는데, 이는 구멍의 폭인 23mm의 반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이 값을 2.3으로 곱하면 답인 7.43c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강재 SM 490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SM은 용접구조용 강재임을 의미한다.
  2. 기호의 끝 알파벳은 충격흡수 에너지 시험 보증값에 따라 규정된다.
  3. 기호의 끝 알파벳은 A<B<C의 순으로 용접성이 양호함을 의미한다.
  4. 최저 항복강도가 490N/mm2임을 나타낸다.
(정답률: 39%)
  • SM 490A은 최저 항복강도가 490N/mm2인 강재를 의미하므로, "최저 항복강도가 490N/mm2임을 나타낸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

61. 저압옥내 배선공사 중 콘크리트에 매설할 수 있는 공사는?

  1. 금속관공사
  2. 금속덕트공사
  3. 버스덕트공사
  4. 금속몰드공사
(정답률: 75%)
  • 콘크리트에 매설할 수 있는 공사는 주로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고 배관이나 케이블을 설치하는 공사입니다. 따라서 금속관공사가 적합한 선택입니다. 다른 공사들은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지 않고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짧다.
  2. 온수난방에 비해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온수난방에 비해 열용량이 크므로 간헐운전에는 부적합하다.
  4. 온수난방에 비해 부하변동에 따른 실내방열량의 제어가 곤란하다.
(정답률: 71%)
  • 증기난방은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간헐운전에는 부적합하다. 이는 증기를 발생시키는데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헐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온수난방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전기설비가 어느 정도 유효하게 사용되는가를 나타내며, 최대수용전력에 대한 부하의 평균전력의 비로 표현되는 것은?

  1. 부하율
  2. 부등율
  3. 수용율
  4. 유효율
(정답률: 65%)
  • 부하율은 전기설비가 얼마나 유효하게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최대수용전력에 대한 부하의 평균전력의 비율로 표현됩니다. 즉, 전기설비가 최대한 활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부하율이 높을수록 전기설비의 효율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하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피트가 간단하다.
  2. 수송능력이 엘리베이터의 약 10배 정도이다.
  3. 기다리는 시간 없이 연속적으로 승객을 수송할 수 있다.
  4. 정격 속도는 하강방향을 고려하여 60m/min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정답률: 79%)
  • 정격 속도는 하강방향을 고려하여 60m/min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에스컬레이터의 정격 속도는 건물의 구조와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상업시설에서는 30~60m/min, 대형 쇼핑몰이나 공항 등 대규모 시설에서는 80~120m/min의 속도를 갖는 에스컬레이터가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습공기의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알 때 습공기선도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기류
  2. 엔탈피
  3. 상대습도
  4. 절대습도
(정답률: 73%)
  • 습공기선도는 상대습도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류는 공기의 운동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습공기의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만으로는 기류를 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류는 습공기선도를 사용하여 구할 수 없는 것입니다. 엔탈피는 공기의 열적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습공기선도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평균조도의 계산과 관련하여, 면적을 A, 사용램프의 저광속을 F, 조명률을 U, 보수율은 M, 평균조도를 E라고 할 때 성립하는 식은?

(정답률: 75%)
  • 평균조도 E는 면적 A, 사용램프의 저광속 F, 조명률 U, 보수율 M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E = A × F × U × M

    보기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식에서 평균조도 E를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배관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철관은 오배수관이나 지중 매설 배관에 사용된다.
  2. 경질염화비닐관은 내식성은 우수하나 충격에 약하다.
  3. 연관은 내식성이 작아 배수용 보다는 난방배관에 주로 사용된다.
  4. 동관은 전기 및 열전도율이 좋고 전성ㆍ연성이 풍부하며 가공도 용이하다.
(정답률: 60%)
  • "연관은 내식성이 작아 배수용 보다는 난방배관에 주로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연관은 내식성이 우수하여 배수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00[V], 500[W]의 전열기를 90[V]에서 사용 할 경우 소비전력은?

  1. 200[W]
  2. 310[W]
  3. 405[W]
  4. 420[W]
(정답률: 77%)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90[V]로 감소하면 전류는 얼마나 증가해야 500[W]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전류 = 출력 ÷ 전압 = 500[W] ÷ 90[V] = 5.56[A]입니다. 이제 소비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소비전력 = 전압 × 전류 = 90[V] × 5.56[A] = 500.4[W]입니다. 이 값은 실제 출력보다 높으므로, 전열기가 90[V]에서 사용될 때 소비하는 전력은 405[W]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5[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기조화방식 중 팬코일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덕트 방식에 비해 유닛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다.
  2. 유닛을 창문 밑에 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를 줄일 수 있다.
  3. 각 실의 유닛은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으며 개별제어가 용이하다.
  4.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이송하므로 펌프에 의한 냉ㆍ온수의 이송동력보다 적게 든다.
(정답률: 59%)
  • 송풍기에 의해 공기를 이송하므로 펌프에 의한 냉ㆍ온수의 이송동력보다 적게 든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팬코일 유닛방식은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기와 냉ㆍ온수를 이송하는 펌프가 모두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냉ㆍ온수와 공기를 모두 이송하는 덕트 방식에 비해 전력 소비가 높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냉방부하 중 헌열부하로망 작용하는 것은?

  1. 인체부하
  2. 외기부하
  3. 조명기구부하
  4. 틈새바람에 의한 부하
(정답률: 58%)
  • 냉방기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고, 이 열은 냉방기 외부로 방출됩니다. 이때, 조명기구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므로, 냉방기가 방출한 열과 함께 헌열부하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조명기구부하가 냉방부하 중 헌열부하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스배관 경로 선정시 주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옥내배관은 매립하여 견고하게 한다.
  2. 장래의 증설 및 이설 등을 고려한다.
  3. 주요구조부를 관통하지 않도록 한다.
  4. 손상이나 부식 및 전식을 받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1%)
  • "옥내배관은 매립하여 견고하게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옥내배관은 매립하지 않고 건물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옥내배관은 건물 내부의 벽면, 천장, 바닥 등에 부착되거나 걸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이는 건물의 구조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옥내배관의 경로를 선정할 때는 "옥내배관은 매립하여 견고하게 한다." 대신에 "벽면, 천장,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부착 또는 걸치도록 한다."와 같은 내용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알맞은 급수 방식은?

  1. 수도직결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펌프직송방식
(정답률: 75%)
  • 이 그림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수도직결방식이다. 즉, 물이 직접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비교할 경우,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전동기의 출력이 작다.
  2.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
  3. 기계실의 발열량이 작다.
  4. 속도의 범위가 자유롭다.
(정답률: 72%)
  •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달리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계실의 위치가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유압식 엘리베이터가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달리 기계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어떤 위치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실내 CO2 발생량이 17L/h, 실내 CO2 허용농도가 0.1%, 외기의 CO2 농도가 0.04% 일 경우 필요 환기량은?

  1. 약 42.5m3/h
  2. 약 40.3m3/h
  3. 약 35.0m3/h
  4. 약 28.3m3/h
(정답률: 60%)
  • CO2 허용농도가 0.1%이므로, 1m3의 공기 안에는 0.1%의 CO2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1m3의 공기 안에는 0.001 x 10000 = 10L의 CO2가 있어야 한다.

    실내 CO2 발생량이 17L/h이므로, 1시간에 1.7m3의 공기 안에 CO2가 발생한다.

    외기의 CO2 농도가 0.04%이므로, 1m3의 외기 안에는 0.04%의 CO2가 있다. 따라서 1m3의 외기 안에는 0.04 x 10000 = 400L의 CO2가 있다.

    따라서 필요한 환기량은 (1.7m3 / (400L - 10L)) x 60분 = 약 28.3m3/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내경이 20cm인 관내를 유속 1.2m/s의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유량은 얼마인가?

  1. 0.028m3/s
  2. 0.038m3/s
  3. 0.048m3/s
  4. 0.058m3/s
(정답률: 58%)
  • 유량(Q)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Q = πr^2v

    여기서, r은 반지름, v는 유속이다. 따라서, 내경이 20cm이므로 반지름은 10cm이다. 이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면 0.1m이 된다.

    따라서, Q = π(0.1)^2(1.2) = 0.038m^3/s 이다.

    정답은 "0.038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설명에 알맞은 취출구의 종류는?

  1. 팬형
  2. 노즐형
  3. 아네모스탯형
  4. 브리즈라인형
(정답률: 54%)
  • 위 그림은 아네모스탯형 취출구이다. 아네모스탯형은 바람이 나오는 구멍이 작고 많아서 바람이 부드럽게 나오며, 바람이 일정한 각도로 퍼져 나가기 때문에 바람이 일직선으로 나오는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배수 트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트랩
  2. 벨트랩
  3. 드럼트랩
  4. 버킷트랩
(정답률: 47%)
  • 버킷트랩은 다른 세 개의 트랩과 달리 배수 트랩이 아니라, 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트랩입니다. 따라서 배수 트랩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오수의 BOD 제거율이 95%인 정화조에서 정화조로 유입되는 오수의 BOD 농도가 300ppm일 경우, 방류수의 BOD 농도는?

  1. 15ppm
  2. 85ppm
  3. 150ppm
  4. 285ppm
(정답률: 68%)
  • BOD 제거율이 95%이므로, 유입되는 300ppm의 BOD 중 95%가 제거됩니다. 따라서 방류수의 BOD 농도는 300ppm의 5%인 15pp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온ㆍ습도ㆍ기류의 3요소의 조합에 의한 실내 온열감각을 기온의 척도로 나타낸 것은?

  1. 유효온도
  2. 등가온도
  3. 작용온도
  4. 불쾌지수
(정답률: 63%)
  • 유효온도는 기온, 습도, 기류의 3요소를 고려하여 인체가 느끼는 온열감각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인체의 실내 온열감각을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유효온도를 사용한다. 등가온도는 기온과 습도만을 고려하여 나타내는 척도이고, 작용온도는 인체의 신체 온도와 주변 환경의 온도 차이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불쾌지수는 기온과 습도의 조합에 따른 인체의 불쾌감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유효온도가 인체의 온열감각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척도이므로 정답은 "유효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변압기의 1차측 코일의 권수가 6000, 2차측 코일의 권수가 200 일 때 1차측 코일에 교류전압 3000[V] 인가시 2차측 코일에 발생하는 교류전압[V]은?

  1. 50
  2. 100
  3. 200
  4. 500
(정답률: 69%)
  • 변압기의 전압비는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전압비는 2차측 전압을 1차측 전압으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비 = 2차측 전압 / 1차측 전압

    변압기의 권수비는 1차측 권수와 2차측 권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권수비는 1차측 권수를 2차측 권수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권수비 = 1차측 권수 / 2차측 권수

    변압기의 전압비와 권수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전압비 = 권수비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압비와 권수비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2차측 전압 / 1차측 전압 = 1차측 권수 / 2차측 권수

    2차측 전압 = (1차측 전압 × 2차측 권수) / 1차측 권수

    2차측 전압 = (3000 × 200) / 6000

    2차측 전압 = 100[V]

    따라서 2차측 코일에 발생하는 교류전압은 100[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축법규

81. 다음은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시정명령 등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미관지구 또는 경관지구
  2. 고도지구 또는 미관지구
  3. 방화지구 또는 고도지구
  4. 경관지구 또는 방화지구
(정답률: 75%)
  • 미관지구 또는 경관지구는 도시계획 및 건축물의 외관, 조경 등을 보존하고 개선하여 도시의 미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지정된 지역을 말한다. 따라서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 및 시정명령 등에 관한 기준에서도 미관지구 또는 경관지구에 속하는 건축물은 보존되어야 하며, 안전점검 및 시정명령도 이를 고려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건축물의 대지는 원칙적으로 최소 얼마 이상이 도로에 접하여야 하는가? (단, 자동차만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는 제외)

  1. 1m
  2. 2m
  3. 3m
  4. 4m
(정답률: 77%)
  • 건축법 제9조에 따르면, 건축물의 대지는 도로에 접하여야 하며, 이 때 도로는 보행자 및 차량의 이용이 가능한 도로를 말한다. 그러나 자동차만의 통행에 사용되는 도로는 제외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대지는 최소 2m 이상 도로에 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광장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근린광장
  2. 일반광장
  3. 지하광장
  4. 교통광장
(정답률: 47%)
  • 근린광장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광장의 세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근린시설과 연계하여 조성되는 공간으로, 일반적인 광장과는 목적과 용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근린광장은 지역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해 조성되는 공간으로, 주로 산책, 휴식, 문화활동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주차장법령상 기계식 주차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하식
  2. 지평식
  3. 건축물식
  4. 공작물식
(정답률: 75%)
  • 지평식은 기계식 주차장이 아니라 수동으로 차량을 주차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주차장법령상 기계식 주차장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계식 주차장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과 같은 대지의 대지면적은?

  1. 294m2
  2. 296m2
  3. 298m2
  4. 300m2
(정답률: 48%)
  • 주어진 대지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가로 길이는 14m, 세로 길이는 21m 이다. 따라서 대지면적은 14m x 21m = 294m2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대지면적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하라고 하였으므로, 294m2 에서 반올림한 값인 298m2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거지역의 세분에서 단독주택 중심의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은?

  1. 제1종 전용주거지지역
  2. 제2종 전용주거지지역
  3. 제1종 일반주거지지역
  4. 제2종 일반주거지지역
(정답률: 77%)
  • 제1종 전용주거지지역은 단독주택 중심의 주거지역으로, 상업이나 산업 등 다른 용도의 건물이 섞이지 않아 조용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양호한 주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건축법령상 고층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2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80미터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4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60미터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81%)
  • 고층건축물은 화재, 지진 등의 안전 문제가 중요하므로 건축법령에서는 이에 대한 규제를 두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층수나 높이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건축물을 고층건축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고층건축물로 정의한 이유는, 이 수준 이상의 건축물은 화재, 지진 등의 안전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건축물은 보다 엄격한 안전 규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고층건축물로 정의하고 규제를 두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의 노외주차장의 구조ㆍ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50 럭스
  2. 60 럭스
  3. 70 럭스
  4. 80 럭스
(정답률: 32%)
  • 주차장 내부의 조명 밝기는 70 럭스여야 한다는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주차장 내부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70 럭스 이상의 밝기가 유지되면 차량 운전자들은 주차장 내부의 환경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안전한 주차 및 이동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장애인 전용의 주차장 주차단위구획의 최소 길이는? (단,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1. 3.6m
  2. 4.5m
  3. 5.0m
  4. 6.0m
(정답률: 60%)
  • 장애인 전용 주차장은 보통 차량 출입문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출입문과 주차구획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용 차량은 일반 차량보다 크기가 크고, 출입문을 열기 위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애인 전용 주차구획의 최소 길이는 5.0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피난층 외의 층이 지하층으로서 그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소 얼마 이상인 경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간을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0m2
  2. 200m2
  3. 300m2
  4. 400m2
(정답률: 42%)
  • 건축법 시행규칙 제29조에 따르면, 지하층 거실의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경우에는 피난구로 설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지하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소 200m2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 경우에는 피난구로 뿐만 아니라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간도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국토해양부장과니 국토관리를 위하여 건축허가를 제한하는 경우, 제한기간은 최대 몇 년 이내인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54%)
  • 국토해양부장관은 건축법 제58조에 따라 국토관리를 위하여 건축허가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제한기간은 최대 2년 이내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건축과 관련된 사항이나 지역사정 등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마다 재평가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용도별 건축물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단독주택- 공관
  2. 공동주택 - 기숙사
  3. 관광휴게시설 - 야외음악당
  4. 문화 및 집회시설 - 휴양콘도미니엄
(정답률: 60%)
  • 문화 및 집회시설과 휴양콘도미니엄은 서로 다른 용도의 건축물이므로 연결이 옳지 않다. 문화 및 집회시설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곳으로 문화적, 예술적 활동을 위한 시설이며, 휴양콘도미니엄은 휴식과 휴양을 위한 시설이기 때문이다. 또한, 휴양콘도미니엄은 일반적으로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한데, 문화 및 집회시설과 연결되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건축물의 높이 산정시 조건과 상관없이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하지 않는 것은?

  1. 망루
  2. 난간벽
  3. 장식탑
  4. 굴뚝의 옥상돌출부
(정답률: 59%)
  • 건축물의 높이 산정시에는 건축물의 주요 부분인 건물의 지붕, 바닥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면, 그리고 장식적인 탑 등이 모두 높이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굴뚝의 옥상돌출부는 건물의 주요 부분이 아니며, 건축물의 높이에 산입되지 않습니다. 이는 굴뚝이 건물의 기능적인 요소일 뿐, 건물의 높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승용승강기 설치대상 건축물로서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가 6000m2인 경우, 승용승강기의 최소 설치대수가 가장 많은 것부터 적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단, 8인승 승강기의 경우)

  1. 병원 > 숙박시설 > 공동주택
  2. 공연장 > 위락시설 > 도매시장
  3. 집회장 > 공동주택 > 업무시설
  4. 공동주택 > 관람장 > 위락시설
(정답률: 67%)
  • 병원은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의 수요가 많습니다. 숙박시설은 많은 인원이 이용하기 때문에 승강기의 수요가 높습니다. 공동주택은 인원수와 층수가 비교적 적기 때문에 승강기의 수요가 적습니다. 따라서 "병원 > 숙박시설 > 공동주택" 순으로 승강기의 최소 설치대수가 많은 것부터 적은 순으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시가회조정구역의 지정과 관련된 기준 내용 중 밑줄 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상 10년 이내의 기간
  2. 3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
  3. 5년 이상 10년 이내의 기간
  4.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
(정답률: 75%)
  • 시가회조정구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하므로, 해당 기간이 너무 짧으면 효과가 없을 뿐더러, 너무 길면 시가조정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방화구획의 설치기준상 10층 이하의 층은 바닥면적 최대 얼마 이내마다 구획하여야 하는가? (단, 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1. 200m2
  2. 600m2
  3. 1000m2
  4. 3000m2
(정답률: 55%)
  • 방화구획은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방화구획의 설치 기준은 건물의 크기와 층수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10층 이하의 건물에서는 바닥면적이 1000m2 이내인 층마다 방화구획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확산을 최소화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만약 스프링클러나 자동식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다면 이 기준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 할 것
  2.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3.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
  4. 옥내에 설치하는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6m2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51%)
  • "피난층이 있는 승강장의 출입구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가 50m 이하일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올바른 기준이며, 승강장과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기준 중 하나이다. 이 기준은 비상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해 승강장 출입구와 도로 또는 공지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짧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그림과 같은 거실의 평균 반자 높이는?

  1. 5.0m
  2. 4.6m
  3. 4.5m
  4. 4.3m
(정답률: 59%)
  • 주어진 그림에서 거실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는 천장과 바닥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거실의 높이는 천장과 바닥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을 내야 합니다. 천장과 바닥의 거리를 측정하면, 천장과 바닥의 거리는 2.8m + 5.8m = 8.6m 이고, 이를 2로 나누면 평균 반자 높이는 4.3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3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ㆍ군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제외)

  1. 공원ㆍ녹지에 관한 사항
  2. 토지의 이용 및 개발에 관한 사항
  3. 토지의 용도별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사항
  4. 광역계획권의 공간 구조와 기능 분담에 관한 사항
(정답률: 65%)
  • 도시ㆍ군기본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되는 계획으로, 도시ㆍ군의 발전 방향과 토지의 이용 계획 등을 담고 있습니다. 이 중 광역계획권의 공간 구조와 기능 분담에 관한 사항은 지역 간 협력과 조정을 위한 중요한 내용으로, 다른 항목들과 함께 도시ㆍ군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광역계획권의 공간 구조와 기능 분담에 관한 사항이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건축물에 설치하는 굴뚝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굴뚝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굴뚝의 상단으로부터 수평거리 1m 이내에 다른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축물의 처마보다 1m 이상 높게 하여야 한다.
  3. 급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서 설치하여야 한다.
  4. 금속제 굴뚝으로서 건축물의 지붕속ㆍ반자위 및 가장 아랫바닥밑에 있는 굴뚝의 부분은 급속외의 불연재료로 덮어야 한다.
(정답률: 43%)
  • "굴뚝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굴뚝의 옥상 돌출부는 지붕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0.6m 이상으로 하는 것이 기준이다.

    급속제 굴뚝은 목재 기타 가연재료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서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가연재료로 인해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