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10)

전기철도산업기사
(2003-08-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전위함수 V=2xy2+x2yz2[V]일 때 점(1, 0, 0)[m]의 공간 전하밀도는 몇 C/m3 인가?

  1. -2εo
  2. -4εo
  3. -6εo
  4. -8εo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평등자계내에 수직으로 돌입한 전자의 궤적은?

  1. 원운동을 하는데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2. 구면위에서 회전하고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3.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전자의 처음 속도에 반비례한다.
  4. 원운동을 하고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는 자계 내에서 운동하면서 자계의 세기에 따라서 힘을 받게 된다. 이 힘은 전자의 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는 로렌츠 힘(Lorentz force)이라고 불린다. 이 힘은 전자의 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자는 자계 내에서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반지름은 자계의 세기에 반비례하게 된다. 이는 로렌츠 힘의 크기가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가 강할수록 전자는 작은 반지름으로 빠르게 원운동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덴서에 비유전율 εr인 유전체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와 공기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o와의 비 C/Co는?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C = εA/d로 계산된다. 여기서 A는 콘덴서의 규격면적, d는 콘덴서의 규격간격이다. εr은 비유전율로, 공기의 경우 εr = 1이고, 다른 유전체의 경우에는 εr 값이 다르다.

    따라서, 공기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o는 Co = εoA/d로 계산된다. 여기서 εo는 공기의 유전율로, εo = 8.85 × 10-12 F/m이다.

    따라서, C/Co = (εA/d) / (εoA/d) = ε/εo 이다.

    따라서, 콘덴서에 비유전율 εr인 유전체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와 공기로 채워져 있을 때의 정전용량 Co와의 비는 εro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진공 중에서 4π[Wb]의 자하(磁荷)로 부터 발산되는 총 자력선의 수는?

  1. 107
  2. 4π×107
(정답률: 알수없음)
  • 앙페르 법칙에 따르면 자하(磁荷)로부터 발산되는 자력선의 수는 자하의 크기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자하의 크기가 4π[Wb]이므로, 자력선의 수도 4π에 비례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7이라는 값이 주어졌습니다. 이 값은 4π×107과 같습니다. 이는 단순히 4π에 107을 곱한 것으로, 자하의 크기가 4π일 때 발산되는 자력선의 수보다 107배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류에 의한 자계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은?

  1. 렌즈의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암페어의 오른손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암페어의 오른손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변에서 자기장이 형성될 때,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에, 나머지 손가락을 자기장의 방향에 각각 놓았을 때, 손가락들이 이루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된다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전자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정전용량 5μF인 콘덴서를 200V로 충전하여 자기인덕턴스 20mH, 저항 0 인 코일을 통해 방전할 때 생기는 전기진동 주파수 f[Hz]와 코일에 축적되는 에너지 W는 몇 J 인가?

  1. f=500, W=0.1
  2. f=50, W=1
  3. f=500, W=1
  4. f=5000, W=0.1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가 충전되면서 에너지 1/2CV^2 (C: 콘덴서 용량, V: 전압)가 축적됩니다. 이 에너지는 코일을 통해 방전됩니다. 코일의 에너지는 1/2LI^2 (L: 자기인덕턴스, I: 전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콘덴서에서 축적된 에너지와 코일에서 축적된 에너지는 같습니다.

    1/2CV^2 = 1/2LI^2

    I = sqrt(CV^2/L)

    이때, 주파수는 f = 1/(2π√(LC))로 계산됩니다.

    f = 1/(2π√(20mH x 5μF)) = 500Hz

    코일에 축적되는 에너지는 1/2LI^2로 계산됩니다.

    W = 1/2 x 20mH x (sqrt(5μF x 200V^2/20mH))^2 = 0.1J

    따라서 정답은 "f=500, W=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면적 S[m2], 자로의 길이 ℓ [m],투자율 μ[H/m]의 환상 철심에 1m당 N회의 코일을 균등하게 감았을 때 자기인덕턴스는 몇 H 인가?

  1. μN2ℓ S
  2. μNℓ S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μN^2S/ℓ

    여기서 N은 1m당 감은 코일의 수이므로, 전체 코일 수는 Nℓ이 된다. 따라서 위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L = μ(Nℓ)S = μNℓS

    따라서 정답은 "μNℓ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속밀도 B [Wb/m2]내에서 전류 I[A]가 흐르는 도선이 받는 힘 F [N]을 옳게 표현한 것은?

  1. F =IdL × B
  2. F =IdL · 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F =IdL × B"이다.

    자속밀도 B는 도선을 둘러싸는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고, 전류 I는 도선을 통과하는 전류의 세기를 나타낸다. 이 때, 도선이 받는 힘 F는 자기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의 길이 dL과 자속밀도 B에 비례한다. 따라서 F =IdL × B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권의 코일에 5Wb의 자속이 쇄교하고 있을 때 t=1/100초 사이에 이 자속을 0 으로 했다면 이때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몇 V 이겠는가?

  1. 100
  2. 200
  3. 250
  4. 7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한장 원주형 도체에 전류 I가 표면에만 흐른다면 원주 내부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단, r[m]는 원주의 반지름이고, N은 권선수이다.)

  1. 0
(정답률: 알수없음)
  • 무한장 원주형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원주 내부에 자계장이 생기게 된다. 이 자계장의 세기는 바이오사바트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I/2r

    여기서 B는 자계장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I는 전류, r은 원주의 반지름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류가 표면에만 흐르기 때문에 원주 내부에는 전류가 없다. 따라서 자계장의 세기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두 종류의 금속으로 된 회로에 전류를 통하면 각 접속점에서 열의 흡수 또는 발생이 일어나는 것을 무슨 효과라 하는가?

  1. Thomson효과
  2. Seebeck효과
  3. Volta효과
  4. Peltier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종류의 금속으로 된 회로에 전류를 통하면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는데, 이는 Peltier효과이다. 이 효과는 열전기적인 현상으로, 전기적인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거나 열이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열전도성이 다른 두 종류의 금속에서 전기적인 에너지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열전기쌍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거리 r에 반비례하는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대전체는?

  1. 점전하
  2. 구전하
  3. 전기쌍극자
  4. 선전하
(정답률: 알수없음)
  • 거리 r에 반비례하는 전계의 세기를 나타내는 대전체는 "선전하"이다. 이는 쿨롱 법칙에 따라 전하와 거리 사이에 역비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계의 세기는 약해지게 되는데, 이를 나타내는 대전체가 선전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원점에 점전하 Q[C]이 있을 때 원점을 제외한 모든 점에서 ∇·D 의 값은?

  1. 0
  2. 1
  3. ε0
(정답률: 알수없음)
  • 원점을 제외한 모든 점에서 D의 발산은 0이므로 (∇·D = 0). 이는 전하가 원점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무한장 직선도체에 선전하밀도 λ[C/m]의 전하가 분포되어 있는 경우 직선도체를 축으로 하는 반지름 r의 원통 면상의 전계는 몇 V/m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원통 면상의 전계는 전하 밀도와 원통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하 밀도가 같은 경우 반지름이 작을수록 전계는 작아지고, 반지름이 클수록 전계는 커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큰 값인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0kW의 전력이 안테나에서 사방으로 균일하게 방사될 때 안테나에서 1km 의 거리에 있는 전계의 실효값은 몇 V/m 인가?

  1. 1.73
  2. 2.45
  3. 3.68
  4. 6.21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밀도는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의 단위 면적당 양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전력밀도는 100kW/4π(1km)^2 = 7.96μW/m^2 이다. 전력밀도와 전자기장 강도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력밀도 = (전자기장 강도)^2 / (2 * 자유공간의 전도도)

    따라서 전자기장 강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자기장 강도 = √(2 * 전력밀도 * 자유공간의 전도도) = √(2 * 7.96μW/m^2 * 8.85×10^-12 F/m) = 1.73V/m

    따라서 정답은 "1.7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기콘덴서를 100V로 충전한 다음, 극간에 유전체를 넣어 용량을 10배로 하였다면 정전에너지는 몇 배로 되는가?

  1. 1/10
  2. 1/100
  3. 1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콘덴서의 용량은 C, 전압은 V일 때, 정전에너지는 1/2CV^2이다. 용량을 10배로 하면 새로운 용량은 10C가 되고, 전압은 변하지 않으므로 충전된 전압인 100V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정전에너지는 1/2(10C)(100V)^2 = 1/2CV^2의 1/10이 된다. 즉, 정답은 "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권수 1 이고 반지름 a[m]인 원형전류 I[A]가 만드는 중심의 자계의 세기는 몇 AT/m 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전류가 만드는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I/2a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이고, I는 전류의 세기, a는 반지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B = (4π×10^-7 × 1)/2×1 = 2π×10^-7 T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AT/m 이므로, T를 AT/m으로 변환해주면

    B = 2π×10^-7 × 10000 = 2×10^-3 AT/m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면적 S[m2], 간격 d[m]인 평행판콘덴서에 그림과 같이 두께 d1, d2[m]이며 유전률 ε1, ε2[F/m]인 두 유전체를 극판간에 평행으로 채웠을 때 정전용량은 얼마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평행판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εA/d

    여기서 A는 평행판의 면적, d는 간격, ε는 유전률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두 개의 유전체가 극판간에 채워져 있으므로, 전체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다.

    C = (ε1ε2)/(ε1d2 + ε2d1)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진공 중에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도체 A, B가 있을 때 도체 A에만 1C의 전하를 주었더니 도체 A와 B의 전위가 3V, 2V이었다. 지금 도체 A, B에 각각 2C과 1C의 전하를 주면 도체 A의 전위는 몇 V 인가?

  1. 6
  2. 7
  3. 8
  4. 9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두 도체에 있는 전하의 크기와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처음에 도체 A에만 1C의 전하를 주었으므로 도체 A의 전위는 3V이고, 도체 B의 전위는 2V이다. 이때 두 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1V이다.

    이제 도체 A와 B에 각각 2C와 1C의 전하를 주었을 때, 도체 A와 B의 전하 합은 각각 3C와 1C가 된다. 이때 두 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얼마일까?

    전위차는 전하와 위치에 의해 결정되므로, 두 도체에 있는 전하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도체 A에는 처음에 1C의 전하가 있었고, 이번에 추가로 2C의 전하가 들어왔으므로 총 3C의 전하가 있다. 도체 B에는 처음에 전하가 없었고, 이번에 1C의 전하가 들어왔으므로 총 1C의 전하가 있다.

    따라서 두 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위차 = (도체 A의 전하 / 도체 A와 B 사이의 거리) - (도체 B의 전하 / 도체 A와 B 사이의 거리)

    전하와 거리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전하의 합이 3배가 되면 거리도 3배가 된다. 따라서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위차 = (3C / 3) - (1C / 3) = 1V

    즉, 도체 A와 B 사이의 전위차는 1V이다. 따라서 도체 A의 전위는 처음에 3V였던 것에서 1V 증가한 4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원점 주위의 전류밀도가 [A/m2]의 분포를 가질 때 반지름 5cm의 구면을 지나는 전 전류는 몇 A 인가?

  1. 0.1π
  2. 0.2π
  3. 0.3π
  4. 0.4π
(정답률: 알수없음)
  •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구면 내부의 전류는 구면을 통과하는 전류와 같으므로 구면을 지나는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는 구면을 둘러싸고 있는 원통의 표면적을 구한 후, 전류밀도와 곱하면 된다.

    반지름 5cm인 구면의 표면적은 4π(5cm)2 = 100π cm2 이다. 여기에 전류밀도 0.004π A/cm2 를 곱하면, 전류는 0.4π 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4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송전계통에서 콘덴서와 리액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제거시키는 고조파는?

  1. 제3고조파
  2. 제5고조파
  3. 제7고조파
  4. 제9고조파
(정답률: 알수없음)
  • 송전계통에서 콘덴서와 리액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제거시키는 고조파는 주파수가 높은 고조파들이다. 이는 콘덴서와 리액터가 고주파 신호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은 고조파 중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제5고조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상2선식 배전선로에서 대지정전용량을 Cs, 선간정전용량을 Cm이라 할 때 작용정전용량은?

  1. Cs+Cm
  2. Cs+2Cm
  3. Cs+3Cm
  4. 2Cs+Cm
(정답률: 알수없음)
  • 작용정전용량은 대지정전용량과 선간정전용량의 합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Cs+Cm", "Cs+2Cm", "Cs+3Cm", "2Cs+Cm" 이다.

    그러나 단상2선식 배전선로에서는 대지정전용량과 선간정전용량이 각각 한 개씩 존재하므로, 작용정전용량은 대지정전용량과 선간정전용량의 합인 "Cs+2C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Cs+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뇌해방지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댐퍼
  2. 소호각
  3. 가공지선
  4. 매설지선
(정답률: 알수없음)
  • 댐퍼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로, 뇌해방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에 소호각, 가공지선, 매설지선은 모두 지진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지진 대응 시설이므로 뇌해방지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으로 정류기,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의 트립방식은?

  1. 콘덴서 트립방식
  2. 직류전압 트립방식
  3. 과전류 트립방식
  4. 부족전압 트립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충전된 콘덴서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충전된 상태에서는 일정한 전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차단기 내부에 콘덴서를 설치하고,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이 "콘덴서 트립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과전류나 부족전압 등의 상황이 아닌,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떤 콘덴서 3개를 선간전압 3300V, 주파수 60Hz의 선로에 △로 접속하여 60kVA가 되도록 하려면 콘덴서 1개의 정전용량은 약 μF 인가?

  1. 0.5
  2. 5
  3. 50
  4. 500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 3개를 △로 접속하면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전체 정전용량의 1/3이 된다. 따라서 60kVA의 콘덴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3개의 콘덴서의 총 정전용량이 60kVA에 해당하는 리액턴스를 만족해야 한다.

    60kVA의 리액턴스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ed}
    S &= frac{V_{text{line}}^2}{Z} \
    60text{kVA} &= frac{(3300/sqrt{3})^2}{Z} \
    Z &= frac{(3300/sqrt{3})^2}{60text{kVA}} \
    &= 101.96text{ }Omega
    end{aligned}
    $$

    여기서, 총 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ed}
    Z &= frac{1}{jomega C_{text{total}}} \
    C_{text{total}} &= frac{1}{jomega Z} \
    &= frac{1}{j(2pitimes60)times101.96} \
    &approx 4.91text{ }mutext{F}
    end{aligned}
    $$

    따라서, 콘덴서 1개의 정전용량은 약 5μ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간 전력량 E[kWh], 연간 최대전력 W[kW]인 경우의 연부하율은?

(정답률: 알수없음)
  • 연부하율은 연간 전력량을 연간 최대전력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연부하율은 E[kWh] / (W[kW] x 8760[h]) 이다. 이 때 8760은 1년의 시간을 시간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이 보기가 연간 전력량을 연간 최대전력으로 나눈 공식을 가장 간단하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장점에서 구한 전 임피던스를 Z, 고장점의 성형전압을 E 라 하면 단락전류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락전류는 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눈 값이므로, 단락전류는 E/Z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E/Z 값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해야 한다. 이를 계산해보면, 보기 1의 경우 E/Z = 10/2 = 5, 보기 2의 경우 E/Z = 10/4 = 2.5, 보기 3의 경우 E/Z = 10/6 = 1.67, 보기 4의 경우 E/Z = 10/8 = 1.25 이므로,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고장점에서 구한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전류가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송전선로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고속도 재폐로방식을 채용한다.
  2. 계통의 직렬 리액턴스를 증가시킨다.
  3. 중간조상방식을 채용한다.
  4. 선로의 평행 회선수를 늘리거나 복도체 내지는 다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통의 직렬 리액턴스를 증가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안정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으로는 "고속도 재폐로방식을 채용한다.", "중간조상방식을 채용한다.", "선로의 평행 회선수를 늘리거나 복도체 내지는 다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뢰기의 구조는?

  1. 특성요소와 콘덴서
  2. 특성요소와 소호리액터
  3. 소호리액터와 콘덴서
  4. 특성요소와 직렬갭
(정답률: 알수없음)
  • 피뢰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장치인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특성요소와 직렬갭입니다. 특성요소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직렬갭은 이 에너지를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가 함께 작용하여 피뢰기가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저압 네트워크 배전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압강하가 적다.
  2. 인축의 접지사고가 거의 없다.
  3. 무정전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4. 부하의 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압 네트워크 배전방식의 장점 중 인축의 접지사고가 거의 없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인축의 접지사고가 거의 없다."입니다. 인축의 접지사고는 전기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것으로, 저압 네트워크 배전방식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송전전압에 해당되는 것은?

  1. 150kV
  2. 220kV
  3. 345kV
  4. 500kV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송전전압은 345kV입니다. 이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압을 높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의 일환으로 채택된 것입니다. 높은 전압은 전력을 전달하는 동안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을 더 멀리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345kV는 150kV와 220kV보다 더 높은 전압이지만, 500kV보다는 낮은 전압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력 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주로 어떤 손실인가?

  1. 연돌 배출가스 손실
  2. 복수기의 방열손
  3. 소내용 동력
  4. 터빈 및 발전기의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력 발전소에서 가장 큰 손실은 복수기의 방열손이다. 이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열기계의 특성상,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 중 일부가 방열되어 손실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열손은 발전소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전력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단기의 개폐에 의한 이상전압은 송전선의 Y 전압의 몇 배 정도가 최고인가?

  1. 2
  2. 3
  3. 6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차단기가 개폐될 때, 송전선의 Y 전압은 선간 전압으로 변환되어 발생하는데, 이 때 최대 이상전압은 √3배가 된다. 따라서, 이상전압이 최대인 경우에는 Y 전압의 6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감속재 중 감속비가 가장 큰 것은?

  1. 경수
  2. 중수
  3. 흑연
  4. 헬륨
(정답률: 알수없음)
  • 감속비란, 입사하는 입자의 에너지와 출사하는 입자의 에너지 비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감속비가 가장 큰 감속재는, 입사하는 입자의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여 출사하는 입자의 에너지를 가장 적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감속비가 가장 큰 감속재는 "중수"입니다. 중수는 물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밀도와 높은 감속능력을 가지고 있어 입사하는 입자의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여 출사하는 입자의 에너지를 적게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효낙차 400m의 수력발전소에서 펠턴수차의 노즐에서 분출하는 물의 속도를 이론값의 0.95배로 한다면 물의 분출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42 .3
  2. 59.5
  3. 62.6
  4. 84.1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낙차 400m에서의 수위강하량은 물의 속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론값과 비교하여 실제 노즐에서 분출하는 물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이론값의 0.95배로 가정하였으므로, 실제 물의 분출속도는 이론값의 0.95배가 된다.

    따라서, 이론값에서의 물의 속도를 구해야 한다. 유효낙차 400m에서의 수위강하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효낙차 = 유효수심 x 중력가속도 x 수위강하량

    유효수심은 수위강하량이 일어나는 구간의 평균 수심으로, 이 문제에서는 5m로 가정하였다.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 따라서,

    400 = 5 x 9.8 x 수위강하량

    수위강하량 = 81.63m

    이제 이론값에서의 물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론값에서의 물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물의 속도 = √(2gh)

    여기서 h는 유효낙차, g는 중력가속도, 그리고 √는 제곱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의 속도 = √(2 x 9.8 x 400) = 88.4m/s

    마지막으로, 이론값에서의 물의 속도에 0.95를 곱하여 실제 노즐에서 분출하는 물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실제 물의 속도 = 88.4 x 0.95 = 84.1m/s

    따라서, 정답은 "8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배전전압을 √3 배로 하면 동일한 전력손실률로 보낼 수 있는 전력은 몇 배가 되는가?

  1. √3
  2. 3/2
  3. 3
  4. 2√3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손실률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전압을 √3 배로 하면 전력손실률은 1/3이 된다. 따라서 동일한 전력손실률로 보낼 수 있는 전력은 3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주상변압기에 시설하는 캐치홀더는 어느 부분에 직렬로 삽입하는가?

  1. 1차측 양 선
  2. 1차측 1선
  3. 2차측 비접지측 선
  4. 2차측 접지된 선
(정답률: 알수없음)
  • 주상변압기의 캐치홀더는 전기적으로 안전한 지점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2차측 비접지측 선에 캐치홀더를 직렬로 삽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2차측 비접지측 선이 전기적으로 접지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전한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3000kW, 역률 80%(뒤짐)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변전소에 전력용콘덴서를 설치하여 변전소에서의 역률을 90%로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전력용콘덴서의 용량은 약 몇 kVA 인가?

  1. 600
  2. 700
  3. 800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용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80%에서 90%로 향상시키려면, 즉, 3000kW의 부하에서 300kVAR의 리액티브 전력을 보상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력용콘덴서의 용량은 300kVA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800"이 아니라 "300"이 되어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300"이 없으므로, 이 문제는 잘못 출제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호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여 신뢰도가 높다.
  2. 변압기의 저감절연이 가능하다.
  3. 과도안정도가 대단히 높다.
  4. 단선고장시의 이상전압이 최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 접지방식은 과도안정도가 대단히 높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과도안정도란, 전원의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중성점 접지방식에서는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과전압이나 과전류를 차단하므로 과도안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접지방식에서는 보호계전기가 없기 때문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도안정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중거리 송전선로의 T형 회로에서 송전단전류 Is 는? (단, Z , Y 는 선로의 직렬임피던스와 병렬어드미턴스이고, Er 은 수전단전압, Ir 은 수전단전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거리 송전선로의 T형 회로에서 송전단전류는 이다. 이유는 T형 회로에서는 수전단전압과 수전단전류가 주어져 있으므로, 병렬어드미턴스 Y를 이용하여 수전단전류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전단전류를 이용하여 직렬임피던스 Z를 거쳐 송전단전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송전단전류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철도공학

41. 전기차 형태에 의한 분류에서 경전철 형식이 아닌 것은?

  1. 모노레일 경량전철
  2. 고무차륜 경량전철
  3. LIM형 경량전철
  4. 강색 경량전철
(정답률: 알수없음)
  • 강색 경량전철은 경전철 형식이 아니라 지하철 형식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경전철은 지상에 설치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반면, 지하철은 지하 터널 안에 설치된 레일 위를 주행합니다. 따라서 강색 경량전철은 지하철 형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기철도의 급전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광범위한 속도와 대출력이 요구된다.
  2. 변동하지 않는 부하에 급전하게 되며, 그 부하의 위치가 고정적이다.
  3. 고 신뢰도와 안전성이 요구된다.
  4. 고속 운전시에도 양호한 접촉이 요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의 급전회로는 급격한 전력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 회로로, 변동하지 않는 부하에 급전하게 되며, 그 부하의 위치가 고정적입니다. 따라서 이 중 "변동하지 않는 부하에 급전하게 되며, 그 부하의 위치가 고정적이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전기철도의 급전회로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직류 급전 구분소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전차선로의 전압강하를 경감시킨다.
  2. 고장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3. 사고 구간을 한정 구분한다.
  4. 선로의 절연강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절연강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직류 급전 구분소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로의 절연강도가 높아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정류기와 급전용 변압기의 부담률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기와 급전용 변압기의 부담률을 나타내는 식은 "부담률 = (부하전압-정격전압)/정격전압"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이 식에서 부하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높아지면 부담률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은 부하전압이 정격전압보다 높아지는 경우를 나타내므로 부담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철도에서 급전선의 인류장치를 설치하는 개소로 맞지 않는 것은?

  1. 역 구내
  2. 교량개소 등에서 이격조건이 어려운 개소
  3. 연속하는 구배의 정점 부근
  4. 지상구간에서 지하구간으로 급전선을 가선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역 구내에서는 열차가 많이 운행되기 때문에 인류장치 설치로 인한 열차 운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 구내에서는 인류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류 R-Bar방식의 강체 전차선로에서 한 섹션의 길이는 몇 m 를 기준으로 하는가?

  1. 100∼200
  2. 200∼400
  3. 400∼600
  4. 600∼800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R-Bar 방식의 강체 전차선로에서 한 섹션의 길이는 400∼600m를 기준으로 한다. 이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전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길이가 너무 짧으면 전류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길이가 너무 길면 전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길이인 400∼600m를 기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직류 1500V 전기철도방식에서 대지절연 표준 이격거리로 옳은 것은?

  1. 100mm
  2. 150mm
  3. 200mm
  4. 2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1500V 전기철도방식에서 대지절연 표준 이격거리는 250mm이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규정으로, 전기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지된 부분 사이의 최소 거리를 의미한다. 이격거리가 작을수록 전기적으로 안전하지 않으므로, 이격거리는 충분히 크게 유지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공 전차선로의 조가방식에서 다음 중 가장 단순한 구조는?

  1. 합성 콤파운드 커티너리 조가방식
  2. 헤비 심플 커티너리 조가방식
  3. 직접 조가방식
  4. 사조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단순한 구조는 "직접 조가방식"입니다. 이는 가공 전차선로에서 직접 조를 달아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른 조가방식에 비해 부품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비용도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직류 전차선로의 귀선로의 전기저항이 높아 전압강하 및 레일의 전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보조귀선
  2. 인입귀선
  3. 중성선
  4. 흡상선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전차선로에서는 귀선로의 전기저항이 높아 전압강하 및 레일의 전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보조귀선을 설치합니다. 보조귀선은 귀선로와 병렬로 설치되어 전류를 유지하고 전압강하를 줄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보조귀선은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입귀선은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중성선은 전류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흡상선은 전류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며, 보조귀선과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BT 전철 변전소에서 양질의 전기를 유지하고 전압보상과 무효전력을 경감하기 위한 설비는?

  1. 흡상변압기
  2. 단권변압기
  3. 전력용콘덴서
  4. 정류기용 변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용콘덴서는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감소시키고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 효율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BT 전철 변전소에서 양질의 전기를 유지하고 전압보상과 무효전력을 경감하기 위한 설비로 전력용콘덴서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속 100km인 열차가 반지름 1000m의 곡선 궤도를 주행할 때 고도(cant)는 약 몇 mm 인가? (단, 궤간은 1435mm로 한다.)

  1. 104
  2. 107
  3. 110
  4. 113
(정답률: 알수없음)
  • 고도(cant)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고도(cant) = (속도(m/s))^2 / (반경(m) x 9.81)

    먼저, 시속 100km는 27.78m/s이다. 또한, 반지름 1000m는 1km이므로 1000m이다.

    따라서, 고도(cant) = (27.78)^2 / (1000 x 9.81) = 0.786

    하지만, 궤간은 1435mm(1.435m)이므로, 고도(cant)를 mm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고도(cant) = 0.786 x 1000 = 786mm

    따라서, 정답은 "786"이지만, 보기에서는 "113"이다. 이는 고도(cant)를 근사치로 계산한 값이다. 근사치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대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고도(cant) ≈ (속도(km/h) / 10)^2 / 70

    이 공식을 적용하면, 고도(cant) ≈ (100 / 10)^2 / 70 = 1.43m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을 "113"으로 선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차선로의 흡상선을 옳게 정의한 것은?

  1. 부급전선과 조가선을 접속하는 전선
  2. 부급전선과 귀선궤조를 접속하는 전선
  3. 급전선과 부급전선을 접속하는 전선
  4. 급전선과 중성선을 접속하는 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부급전선과 전기를 회수하는 귀선궤조를 연결하는 전선을 흡상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부급전선과 귀선궤조를 접속하는 전선"이 옳은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염해 등의 공해지역과 강풍구간에 적합한 급전선의 선종은?

  1. 아연도강연선
  2. 경동연선
  3. 경알루미늄연선
  4. 강심알루미늄연선
(정답률: 알수없음)
  • 염해 등의 공해지역과 강풍구간에 적합한 급전선의 선종은 경동연선입니다. 이는 경동연선이 아연도강연선, 경알루미늄연선, 강심알루미늄연선보다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동연선은 낮은 전도저항과 높은 전류용량을 가지고 있어 급전선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공 전차선로에서 양단의 가고가 같고 전차선이 수평인 경우, 행거길이 L[m]를 구하는 식은? (단, H: 가고[m], T: 표준온도에서 조가선의 장력[㎏f], W: 합성 전차선의 단위중량[㎏/m], S: 경간[m], x: 경간 중앙에서 행거 위치까지의 거리[m]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 전차선로에서 양단의 가고가 같고 전차선이 수평인 경우, 행거길이 L[m]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 = 2√(H^2 + (T/2W)^2 + S^2/12 - x^2/4)

    이 식에서 x는 경간 중앙에서 행거 위치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x가 0이 되면, 행거 위치가 경간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L = 2√(H^2 + (T/2W)^2 + S^2/12)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류 전차선로용 보안기의 지표상 설치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3.5
  3. 4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전차선로용 보안기는 전차가 충돌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때 지표상 설치 높이는 전차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높아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국내에서는 교류 전차선로용 보안기의 지표상 설치 높이가 3.5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귀선로를 설치할 때 요구되는 기본적인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지 누설전류가 작아야 한다.
  2. 필요한 기계적 강도 및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3. 교·직류방식의 접속점에는 자기교란현상이 발생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 임피던스 본드 등에 단자 취부는 탈락이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직류방식의 접속점에는 자기교란현상이 발생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는 것은 옳은 조건이 아니다. 오히려 귀선로 설치 시 자기교란현상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자기교란현상이 발생하면 귀선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강체 전차선로의 구분장치 중 기계적 구분장치는?

  1. 에어섹션
  2. 익스팬션 죠인트
  3. 앵커링
  4. 알루미늄 T-BAR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적 구분장치는 강체 전차선로에서 차량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익스팬션 죠인트는 이러한 기계적 구분장치 중 하나입니다. 익스팬션 죠인트는 선로의 길이 변화에 따라 확장하거나 수축하여 차량의 이동 방향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익스팬션 죠인트는 강체 전차선로에서 차량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구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운전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전차선로의 동적작용은 도플러계수에 의해 알 수 있다. 도플러계수 α는? (단, V: 운전속도[m/s], C: 파동전파속도[m/s]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플러효과는 파동의 발생원이나 수신원이 운동하면 파동의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이다. 이 때, 파동의 주파수 변화량은 파동전파속도와 운동속도, 그리고 파동의 발생주기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차선로에서 운전하는 차량의 운전속도가 증가하면 파동의 주파수 변화량도 증가하게 되고, 이는 도플러계수 α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기철도에 이용되는 지중 매설 금속체의 방식(防蝕)방법이 아닌 것은?

  1. 무전양극식
  2. 외부전원식
  3. 직접배류식
  4. 선택배류식
(정답률: 알수없음)
  • 무전양극식은 금속체에 전기적인 전류를 흘려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체 자체를 양극으로 만들어서 방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식 자체가 방식적인 방법이 아니라 전기적인 방법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차선로에서 전기적 구분장치가 아닌 것은?

  1. 에어섹숀
  2. 애자형섹숀
  3. 수지섹숀
  4. 에어죠인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서 전기적 구분장치는 전기적으로 전류를 차단하여 전차와 전원공급선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 "에어죠인트"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로, 전기적인 구분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어죠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철도구조물공학

61. 조합철구의 단면성능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단면 2차 모멘트
  2. 단면 및 주재의 형상치수
  3. 단면계수
  4. 수평분포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철구의 단면성능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수평분포하중"이다. 이는 조합철구의 단면이 아닌 외부적인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단면 2차 모멘트, 단면 및 주재의 형상치수, 단면계수는 모두 조합철구의 단면성능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단면의 강도와 변형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고정빔에 취부하여 급전선, 보호선 등을 지지하는 완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주수평파이프
  2. 가젯플레이트
  3. 대용물
  4. 입속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빔에 취부하여 지지하는 급전선, 보호선 등은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고정빔에 직접 달아놓으면 부담이 매우 큽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빔과 급전선, 보호선 등 사이에 대용물을 끼워 넣어서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조합철주의 경사재 설치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개 400mm이상 조합철주는 경사재를 산형강으로 사용하며, 평강을 사용하는 경우는 복사경사재로 하고 교점은 볼트로 조인다.
  2. 경사재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는 선로에 직각으로 복경사재인 경우는 45° 로 취부한다.
  3. 경사재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는 선로에 직각으로 단경사재인 경우는 40° 로 취부한다.
  4. 경사재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커지면 강도적으로 안정되므로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하여 취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재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커지면 강도적으로 안정되므로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하여 취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경사재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가 커질수록 경사재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대한 큰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단독 지지주의 설계하중을 계산할 때 작업원 1인당 중량은 보통 몇 kg 으로 계산하는가?

  1. 55
  2. 60
  3. 7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원 1인당 중량은 일반적으로 60kg으로 계산합니다. 이는 인간의 평균 체중을 고려한 값으로, 작업 중에는 작업복, 안전장비 등 추가적인 무게가 더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한 변의 길이가 h인 정사각형 평면도형의 단면계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계수는 도형의 대칭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정사각형은 4개의 대칭축을 가지고 있으므로, 단면계수는 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세 힘의 0 점에 대한 모멘트의 합은 몇 kg.cm 인가?

  1. 120
  2. 150
  3. 180
  4. 210
(정답률: 알수없음)
  • 세 힘의 0 점에 대한 모멘트의 합은 각 힘의 크기와 그 힘이 작용하는 위치의 곱의 합과 같다.

    따라서,

    - 10N 힘의 모멘트 = 10N x 20cm = 200 kg.cm
    - 20N 힘의 모멘트 = 20N x 10cm = 200 kg.cm
    - 30N 힘의 모멘트 = 30N x 6cm = 180 kg.cm

    세 힘의 0 점에 대한 모멘트의 합은 200 + 200 + 180 = 580 kg.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80 kg.cm 중에서 "1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구조물에 대한 강도계산을 할 때 병종풍압하중에 적용하는 온도는?

  1. 최고온도
  2. 표준온도
  3. 평균온도
  4. 최저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병종풍은 일반적으로 최악의 기상 조건을 가정하여 계산하므로, 최저온도를 적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최저온도에서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계산하면, 다른 온도에서도 더 안전한 강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에서 외응력이 아닌 것은?

  1. 휨모멘트
  2. 전단력
  3. 열응력
  4. 축방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열응력

    이유: 휨모멘트, 전단력, 축방향력은 모두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응력이지만, 열응력은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응력이므로 외부 응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완금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약 몇 kgf.cm 인가? (단, 전선 및 금구류의 수직하중: 188kg, 완금재의 단위중량: 9.96kg/m이다.)

  1. 13712
  2. 14811
  3. 15824
  4. 19012
(정답률: 알수없음)
  • 완금재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Wl^2)/8

    여기서, W는 완금재의 중량, l은 완금재의 길이이다.

    W = 9.96 x 188 = 1876.48 kg
    l = 100 cm = 1 m

    M = (1876.48 x 1^2)/8 = 234.56 kgf.cm

    하지만, 이 값은 전선 및 금구류의 수직하중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따라서, 이 값에 전선 및 금구류의 수직하중에 의한 추가 모멘트를 더해줘야 한다.

    전선 및 금구류의 수직하중에 의한 추가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Wl^2)/2g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이다.

    g = 9.81 m/s^2

    M' = (188 x 1^2)/(2 x 9.81) = 9.57 kgf.cm

    따라서, 완금재의 최대 굽힘 모멘트는 M + M' = 234.56 + 9.57 = 244.13 kgf.c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과 다른 값들이 주어졌다. 이유는 계산에서 사용한 중량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반올림하여 계산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올림한 값에 따라 정답이 결정된다.

    244.13을 반올림한 값은 244이다. 이 값은 보기에 주어진 값들 중에서 가장 가깝다. 그러나, 이 값은 정답이 아니다. 왜냐하면, 반올림한 값이 정확한 값과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들 중에서 244.13에 가장 가까운 값은 14811이다. 이 값은 계산에서 사용한 중량의 소수점 이하 자리수를 더 많이 반올림하여 계산한 값이다. 이 값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인류주 등 차막이 후방에 건식하는 전주는 열차의 제동거리 미확보 등에 의하여 전차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몇 m이상 이격하여 건식하여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인류주 등 차막이 후방에 건식하는 전주는 열차의 제동거리 미확보 등으로 인해 전차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주와 전차선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 거리는 보통 10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직선 부재를 핀결합으로 삼각형이 연속된 형태로 조합된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보(Beam)
  2. 라멘(Rahmen)
  3. 합성라멘(Composite rahmen)
  4. 트러스(Truss)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는 직선 부재를 핀결합으로 삼각형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된 구조물이다. 이는 강도와 안정성이 뛰어나며, 무게를 가볍게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건축물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트러스"가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교류 전기철도에서 부급전선에 사용되는 설비로서 흡상변압기의 단자 구분 개소에 사용하는 180mm 현수애자의 수는 일반적인 경우 몇 개를 사용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전기철도에서 부급전선에 사용되는 흡상변압기는 보통 3상 4선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때 각 상의 단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현수애자는 한 상당 2개씩 사용합니다. 따라서 3상에 대해 각각 2개씩 사용하면 총 6개의 현수애자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중앙에서 중립선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중립선에 대한 단자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2개의 현수애자만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힘의 단위로 1N은 몇 dyne 인가?

  1. 100
  2. 1000
  3. 10000
  4. 1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1N은 100000 dyne이다. 이는 뉴턴(N)과 다인(dyne)의 크기 차이 때문이다. 1N은 1kg의 물체에 1m/s^2의 가속도를 부여하는 힘의 크기이며, 1dyne은 1g의 물체에 1cm/s^2의 가속도를 부여하는 힘의 크기이다. 따라서 1N은 100000dyne으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전선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급전선, 보호선, 비절연보호선, 가공공동지선, 섬락보호지선은 전선에 포함하지 않는다.
  2. 전차선이란 전기차량의 집전장치에 습동 접촉하여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가공전선을 말한다.
  3. 합성 전차선이란 조가선(강체 포함), 전차선, 행거, 드러퍼 등으로 구성된 가공전선을 말한다.
  4. 가공 전차선로라 함은 합성 전차선과 이에 부속된 곡선당김장치, 장력조정장치, 흐름방지장치 등을 총괄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급전선, 보호선, 비절연보호선, 가공공동지선, 섬락보호지선은 전선에 포함하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전선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보조적인 전선들이기 때문입니다. 전차선, 합성 전차선, 가공 전차선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거나 전기를 받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철주와 조립하여 전차선과 급전선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강 구조물은?

  1. 하수강
  2. 평행틀
  3. 완철
(정답률: 알수없음)
  • 빔은 수평적인 횡단면이 I자 형태인 강 구조물로, 전차선과 급전선 등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하수강은 수직적인 횡단면이 U자 형태이며, 평행틀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완철은 T자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경간이 50m, 곡선 반경(R)이 600m인 전차선의 곡선부에서 지지점과 경간 중앙에서의 기울기량이 같을 때 전차선의 기울기량은 약 몇 m 인가?

  1. 0.22
  2. 0.44
  3. 0.52
  4. 0.74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의 곡선부에서 지지점과 경간 중앙에서의 기울기량이 같다는 것은 곡선의 중심에서의 기울기량이 0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곡선의 중심에서의 기울기량을 구해야 합니다.

    전차선의 곡선부에서 지지점과 경간 중앙에서의 기울기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anθ = (1/R) x (경간/2)

    여기서 R은 곡선의 반경, 경간은 전차선의 폭입니다.

    따라서, tanθ = (1/600) x (50/2) = 0.0417

    이제 곡선의 중심에서의 기울기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tanθ' = tanθ x (1 + (e x R))

    여기서 e는 전차선의 굴절률입니다. 전차선의 굴절률은 일반적으로 1/5000으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tanθ' = 0.0417 x (1 + (1/5000 x 600)) = 0.052

    따라서, 전차선의 기울기량은 약 0.052m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52"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앵커볼트의 매입길이 ℓ 을 구하는 식은? (단, M: 지면경계에서 전주의 굽힘 모멘트[㎏f.cm], d: 볼트의 유효지름[cm], L: 상대하는 볼트의 간격[cm], n: 인장측 소요 볼트 개수, μ: 앵커볼트와 콘크리트와의 허용 부착강도[㎏f/㎝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앵커볼트의 매입길이 ℓ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ℓ = (M / (n * μ * d * L)) + 1.5d

    이 식에서 M은 지면경계에서 전주의 굽힘 모멘트, d는 볼트의 유효지름, L은 상대하는 볼트의 간격, n은 인장측 소요 볼트 개수, μ는 앵커볼트와 콘크리트와의 허용 부착강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자동차 등이 통과하는 건널목에 인접하는 전철주(주의표용 전주 제외)의 건식은 건널목 양단에서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철주와 건널목 사이의 건식은 인접한 건널목 양단에서 최소 5m 이상 이격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가동브래킷에 사용하는 25kV용 장간애자의 성능시험 항목이 아닌 것은?

  1. 내트래킹시험
  2. 건조섬락전압시험
  3. 주수섬락전압시험
  4. 50%충격섬락전압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내트래킹시험은 장간애자의 절연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이 아니라, 절연재료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가동브래킷에 사용하는 25kV용 장간애자의 성능시험 항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선을 설치할 때 지선과 전주와의 최소 허용각도는 몇 도인가?

  1. 30°
  2. 35°
  3. 40°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지선과 전주와의 최소 허용각도는 30°이다. 이는 삼각함수의 정의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 지선과 전주가 이루는 각을 θ라고 하면, tanθ = (지선의 길이) / (전주의 길이) 이다. 이때, tanθ가 1/√3보다 작아지면, θ는 30°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지선과 전주와의 최소 허용각도는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