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전기공사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100[cd] 점광원의 하방 1[m] 되는 곳에 있는 반사율 70[%]인 백색판이 광속발산도는?

  1. 70[rlx]
  2. 20[rlx]
  3. 7[rlx]
  4. 2[rlx]
(정답률: 77%)
  • 반사율은 광선이 물체와 만날 때, 몇 퍼센트의 광선이 반사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점광원에서 발산된 광선 중 70%가 백색판에서 반사되어 다시 나아갑니다. 이때, 백색판에서 나아가는 광선은 점광원에서 발산된 광선의 일부가 아니므로, 광속발산도는 반사된 광선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인 반사광속밀도(RLD)에 해당합니다.

    반사광속밀도(RLD)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RLD = (반사광속량) / (반사면적)

    반사광속량은 반사된 광선의 총 광속량을 의미하며, 반사면적은 광선이 반사된 면적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백색판의 반사율이 70%이므로, 반사광속량은 점광원에서 발산된 광속량의 70%가 됩니다. 또한, 백색판이 점광원에서 1m 떨어져 있으므로, 반사면적은 원의 넓이인 πr^2에서 r=1인 경우인 π가 됩니다.

    따라서, RLD = (0.7 x 100) / π ≈ 70[rlx]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0[V], 500[W]의 전열기를 90[V]에서 사용했을 때 의 전력은? (단, 전열기의 저항 값은 일정하다.)

  1. 450[W]
  2. 405[W]
  3. 502[W]
  4. 525[W]
(정답률: 69%)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90[V]로 감소하면 전류는 얼마나 증가해야 하는지 계산해야 합니다. 전압과 저항이 주어졌으므로 오옴의 법칙을 사용하여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압 ÷ 저항

    전류 = 90[V] ÷ (100[V] ÷ 500[W])

    전류 = 4.5[A]

    이제 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 = 전압 × 전류

    전력 = 90[V] × 4.5[A]

    전력 = 405[W]

    따라서, 정답은 "405[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0[W] 전구를 유백색 구형 글로브에 넣었을 경우 유백색 유리의 반사율 30[%], 투과율 40[%]라 할 때 글로브의 효율은?

  1. 약 25[%]
  2. 약 43[%]
  3. 약 57[%]
  4. 약 81[%]
(정답률: 80%)
  • 전구에서 발생한 빛 중 30%는 글로브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전구 쪽으로 돌아오고, 40%는 글로브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간다. 따라서 글로브를 통과한 빛의 양은 100% - 30% - 40% = 30% 이다. 따라서 글로브의 효율은 30%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5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차선의 이선 중 팬터그래프가 경점 등의 충격에 따라 불연속으로 발생되는 것은?

  1. 소 이선
  2. 대 이선
  3. 중 이선
  4. 고 이선
(정답률: 65%)
  • 전차선의 이선 중 팬터그래프가 경점 등의 충격에 따라 불연속으로 발생되는 것은 "중 이선"입니다. 이는 중 이선이 전차선의 구조상 경점 등의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 이선은 전차선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CR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스위칭 소자이다.
  2. 대전류 제어 정류용으로 이용된다.
  3. 아크가 생기며 열의 발생이 많다.
  4. 소형이면서 가법 고속동작이다.
(정답률: 83%)
  • "아크가 생기며 열의 발생이 많다."가 틀린 것이다. SCR은 아크가 생기면서 열이 발생하지만, 이는 SCR의 동작 원리 중 하나인 "유지"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SCR이 전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SCR은 열 발생이 많은 것이 아니라, 전류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류기의 손실 중 기계손으로만 구성된 것은?

  1. 베어링 마찰손, 풍손
  2. 브러시 마찰손, 와전류손
  3. 브러시 전기손, 계자권선동선
  4. 표류부하손, 히스테리시스손
(정답률: 81%)
  • 베어링 마찰손은 회전하는 축과 베어링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며, 풍손은 회전하는 축 주변의 공기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이 두 가지 손실은 모두 기계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하므로 기계손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일 정격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사용하면?

  1. 역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2.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전원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
  4. 필터 회로가 필요 없게 된다.
(정답률: 87%)
  • 다이오드를 병렬로 사용하면 전류가 분산되어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류가 줄어들게 되므로,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역전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정속도 특성을 갖고 있는 전동기는?

  1. 직류 분권전동기
  2. 가동 분권전동기
  3. 직류 직권전동기
  4. 차동 복권전동기
(정답률: 57%)
  • 정속도 특성을 갖고 있는 전동기는 "직류 분권전동기"입니다. 이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며, 분권식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여 정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직류 분권전동기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며, 속도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전기건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전열건조
  2. 적외선건조
  3. 저항건조
  4. 고주파건조
(정답률: 48%)
  • 저항건조는 전기를 통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지 않고, 가열체에 직접 전류를 흘려 보내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기건조 방식이 아니다. 대신에 가열체에 전류를 흘려 보내면 가열체가 발생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건조를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알칼리 축전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극에 Ni산화물, Ag산화물을 사용한다.
  2. 전해액은 묽은 황산용액을 사용한다.
  3. 진동에 약하고 급속 출방전이 어렵다.
  4. 전해액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다.
(정답률: 79%)
  • 알칼리 축전지는 전해액으로 묽은 황산용액을 사용하며, 음극에 Ni산화물, 양극에 Ag산화물을 사용합니다. 이 축전지는 진동에 약하고 급속 충전이 어렵지만, 전해액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이는 축전지 내부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전해액의 농도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배관공사중 양쪽의 관을 돌릴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접속 기구는?

  1. 엔트런스 캡
  2. 유니온 커플링
  3. 유니버셜 엘보
  4. 링 리듀서
(정답률: 71%)
  • 유니온 커플링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기구로, 한쪽 파이프를 고정시키고 다른 쪽 파이프를 회전시키면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쪽의 파이프를 돌릴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뢰침 설비에서 피뢰도선으로 사용되는 동선의 단면적은?

  1. 14[mm2] 이상
  2. 22[mm2] 이상
  3. 30[mm2] 이상
  4. 50[mm2] 이상
(정답률: 68%)
  • 피뢰침 설비에서는 전기적 안전성을 위해 피뢰도선으로 땅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때 피뢰도선은 지하에 묻히기 때문에 부식에 강한 동선이 사용됩니다. 또한, 피뢰도선은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지를 위해 충분한 단면적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단면적이 작은 동선은 전류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최소한 50[mm2] 이상의 단면적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자심재료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투자율이 크고 그 값이 일정할 것
  2.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클 것
  3. 약한 자장으로 자화되기 쉬울 것
  4.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안정할 것
(정답률: 83%)
  • "보자력 및 잔류자기가 클 것"이 아닌 것은 자심재료의 성질이 아닙니다.

    이유: 자심재료의 보자력과 잔류자기는 자기적인 성질을 나타내며, 자기장이 사라져도 일정한 자기력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심재료의 성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선의 굵기가 1000[mm2] 이하인 경우 분배전반의 소형덕트의 폭은?

  1. 15[cm]
  2. 20[cm]
  3. 25[cm]
  4. 30[cm]
(정답률: 53%)
  • 전선의 굵기가 1000[mm2] 이하인 경우에는 분배전반의 소형덕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소형덕트의 폭은 전선의 굵기에 따라 결정된다. 전선의 굵기가 1000[mm2] 이하이므로, 소형덕트의 폭은 30[cm]이 된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000[mm2] 이하인 전선에 대해 적용 가능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주의 길이가 12[m]인 경우 매설 깊이가 2[m]이다. 이때 전주가 빠지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치한 근가의 길이는?

  1. 1.0[m]
  2. 1.2[m]
  3. 1.5[m]
  4. 1.8[m]
(정답률: 45%)
  • 전주의 매설 깊이가 2[m]이므로 전주의 윗부분에서 매설 깊이까지의 거리는 10[m]이다. 이때 치한 근가의 길이는 전주의 윗부분에서 매설 깊이까지의 거리의 절반인 5[m]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1.5[m]"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고압 및 특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접지선은 공칭 단면적 몇 [mm2] 이상인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금속선을 사용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2.5[mm2]
  2. 6[mm2]
  3. 8[mm2]
  4. 16[mm2]
(정답률: 77%)
  • 기존 규정에서는 2.5[mm2]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었지만, 2018년 개정된 규정에서는 고압 및 특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의 접지선은 공칭 단면적 6[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금속선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더욱 안전한 전기시설을 위한 조치로, 접지선의 단면적을 더욱 늘려 안정성을 높인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m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옥내배선의 애자사용 공사에 많이 사용하는 특대 높애자의 높이는?

  1. 75[mm]
  2. 65[mm]
  3. 60[mm]
  4. 50[mm]
(정답률: 63%)
  • 옥내배선의 애자는 전선을 고정하는 부품으로, 특대 높애자는 큰 크기의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때, 특대 높애자의 높이는 전선의 직경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65mm는 50mm 이상 70mm 이하의 직경을 가진 전선에 사용되며,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특대 높애자의 높이가 65mm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알칼리 축전지에서 소결식에 해당하는 초급방전형은?

  1. AM 형
  2. AMH 형
  3. AL 형
  4. AH - S 형
(정답률: 87%)
  • AH-S형은 알칼리 축전지에서 소결식에 해당하는 초급방전형이다. 이는 높은 전류 방전에 대한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고용량 및 긴 수명을 제공한다. 또한, AH-S형은 고온 및 저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AH-S형은 알칼리 축전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급방전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간선 및 분기회로에 사용되는 배선용차단기는?

  1. MCCB
  2. VCB
  3. OCB
  4. MBB
(정답률: 87%)
  • 간선 및 분기회로에 사용되는 배선용차단기는 전기적으로 높은 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입니다. MCCB는 고정밀한 전류 제어와 높은 차단 용량을 가지고 있어, 대규모 전력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VCB(Vacuum Circuit Breaker), OCB(Oil Circuit Breaker), MBB(Miniature Circuit Breaker)는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MCCB와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칭전압 22kV인 중성점 비접지방식의 변전소에서 사용하는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1. 18[kV]
  2. 20[kV]
  3. 22[kV]
  4. 24[kV]
(정답률: 81%)
  • 중성점 비접지방식의 변전소에서 사용하는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공칭전압과 같은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칭전압이 22kV이므로, 정답은 "22[kV]"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공칭전압보다 약간 높은 값인 24[kV]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피뢰기가 고장이나 오작동 등으로 인해 공칭전압 이상의 전압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k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설비용량 800kW, 부등률 1.2, 수용률 60%일 때의 합성 최대전력은?

  1. 960[kW]
  2. 666[kW]
  3. 480[kW]
  4. 400[kW]
(정답률: 17%)
  • 설비용량 800kW에서 부등률 1.2를 곱해주면 960kW가 나옵니다. 이때, 수용률 60%를 곱해주면 최대 전력은 576kW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설비용량을 초과하므로, 설비용량 800kW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80kW를 넘지 않는 최대 전력이 합성 최대전력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압 뱅킹 배전방식으로 운전 중 변압기 또는 선로 사고에 의하여 뱅킹 내의 건전한 변압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쇄적으로 회로로부터 차단되는 현상을 지칭하는 것은?

  1. 댐핑(dapping)
  2. 아킹(arcing)
  3. 캐스캐이딩(cascading)
  4. 플리커(flicker)
(정답률: 21%)
  • 저압 뱅킹 배전방식에서 변압기나 선로 사고로 인해 건전한 변압기가 차단되면, 그 다음에 연결된 변압기도 차단되어 전체 시스템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쇄적인 차단 현상을 캐스캐이딩(cascad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력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주의해야 할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수용가가 당초 역률 80[%](지상)로 600[kW] 부하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역률 60[%](지상) 300[kW]의 부하를 증가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콘덴서로 합성 역률90[%]로 개선하려고 할 경우 콘덴서의 소요 용량[kVA]은 약 얼마인가?

  1. 414[kVA]
  2. 450[kVA]
  3. 483[kVA]
  4. 502[kVA]
(정답률: 12%)
  • 먼저, 기존의 부하는 600[kW]이고 역률은 80[%]이므로 유효전력은 480[kW]이고 무효전력은 300[kVAR]입니다.

    그리고 추가된 부하는 300[kW]이고 역률은 60[%]이므로 유효전력은 180[kW]이고 무효전력은 240[kVAR]입니다.

    따라서, 총 부하는 900[kW]이고 무효전력은 540[kVAR]입니다.

    합성 역률을 90[%]로 개선하려면, 총 무효전력을 150[kVAR] 감소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은 540[kVAR] - 150[kVAR] = 390[kVAR]입니다.

    하지만, 콘덴서는 용량이 kVAR 단위이므로, 콘덴서의 소요 용량은 390[kVAR] / 0.9 = 433.3[kVA]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414[kV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등수형 원자로의 특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기 발생기가 필요하다.
  2. 저농축 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한다.
  3. 순환펌프로서는 급수펌프뿐이므로 펌프동력이 작다.
  4. 방사능 때문에 증기는 완전히 기수분리를 해야 한다.
(정답률: 12%)
  • "증기 발생기가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등수형 원자로는 증기 발생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직접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산한다. 이는 원자로 내부에서 열을 생성하고, 그 열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산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2.9kV 가공배전선로에서 주 공급선로의 정전사고시 예비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되는 개폐장치는?

  1.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2. 자동선로 구분 개폐기
  3.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
  4. 기중부하 개폐기
(정답률: 16%)
  • 22.9kV 가공배전선로에서 주 공급선로의 정전사고시 예비전원 선로로 자동 전환되는 개폐장치는 "자동부하 전환 개폐기"입니다. 이는 정전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어 전력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로, 부하 전환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속한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장치는 가공배전선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선의 표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전선이 굵을수록, 또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2. 전선이 굵을수록, 또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3. 전선이 가늘수록, 또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4. 전선이 가늘수록, 또 주파수가 낮을수록 커진다.
(정답률: 20%)
  • 전선의 표피 효과는 전기가 전선의 표면을 따라 흐를 때, 전선의 표면에만 전기가 집중되어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선의 표면적이 증가할수록, 즉 전선이 굵을수록 효과가 커지며,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기파가 전선 표면에 집중되기 때문에 효과가 커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선이 굵을수록, 또 주파수가 높을수록 커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1.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값이 커진다.
  2. 선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값이 작아진다.
  3. 선로의 길이보다는 부하전력에 따라 값이 변한다.
  4. 선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14%)
  • 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선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는 전기적으로 일정한 속성을 가지는 선로가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특성임피던스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로의 길이가 길어져도 특성임피던스는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54kV 3상 3선식 전선로에서 각 선의 정전용량이 각각 Ca=0.031㎌, Cb=0.030㎌, Cc=0.032㎌ 일 때 변압기의 중성점 잔류전압은 계통 상전압의 약 몇 [%]정도 되는가?

  1. 1.9[%]
  2. 2.8[%]
  3. 3.7[%]
  4. 5.5[%]
(정답률: 1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뢰기의 충격 방전 개시전압은 무엇을 표시하는가?

  1. 충격파의 최상값
  2. 충격파의 실효값
  3. 충격파의 최대값
  4. 충격파의 평균값
(정답률: 18%)
  • 피뢰기의 충격 방전 개시전압은 충격파가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압을 나타내는데, 이 때 충격파의 최대값이 필요한 전압보다 높아야 충격파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은 "충격파의 최대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선로전압강하보상기(LDC)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분로 리액터로 전압 상승을 억제 하는 것
  2. 직렬 콘덴서로 선로 리액턴스를 보상하는 것
  3. 승압기로 저하된 전압을 보상하는 것
  4. 선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모선 전압을 조정하는 것
(정답률: 19%)
  • 선로전압강하보상기(LDC)는 선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모선 전압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LDC의 역할과는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유효낙차 256m, 출력 40000kW, 주파수 60Hz인 수차발전기의 극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단, 수차의 특유속도의 한도 으로 주어지고 H[m]는 유효낙차이다.)

  1. 6극
  2. 10극
  3. 14극
  4. 18극
(정답률: 9%)
  • 주어진 수식 에서 H는 유효낙차이므로, 유효낙차가 클수록 높은 극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효낙차 256m에 대해서는 극수가 높은 "18극"이 적당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출력이 40000kW로 매우 크므로, 높은 극수로 인한 회전수가 느려져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극수를 적당히 높이면서도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한 "14극"이 가장 적당한 극수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네트워크 배전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정전이 적다.
  2. 전압변동이 적다.
  3. 인축의 접촉사고가 적어진다.
  4. 부하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크다.
(정답률: 21%)
  • 인축의 접촉사고가 적어지는 것은 네트워크 배전방식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네트워크 배전방식은 전력을 분산시켜서 고장이 발생해도 전체 시스템이 정지되지 않고 일부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축의 접촉사고가 적어지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축의 접촉사고가 적어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배전선을 구성하는 방식 중 방사상식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부하의 분포에 따라 수지상의 분기선을 내는 방식이다.
  2. 선로의 전류분포가 가장 좋고 전압강하가 적다.
  3. 수용 증가에 따른 선로의 연장이 어렵다.
  4. 사고시 무정전 공급으로 도시 배전선에 적합하다.
(정답률: 10%)
  • 방사상식은 부하의 분포에 따라 수지상의 분기선을 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선로의 전류분포가 가장 좋고 전압강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용 증가에 따른 선로의 연장이 어렵고 사고시 무정전 공급으로 도시 배전선에 적합합니다. 즉, 이 방식은 부하가 집중되어 있지 않은 지역에 적합하며, 전력 수요가 적은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송전선로의 중성점 접지방식 중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3배까지 올라가며, 지락전류가 최소인 접지 방식은?

  1. 비 접지
  2. 고저항 접지
  3. 소호 리액터 접지
  4. 직접 접지
(정답률: 13%)
  • 송전선로의 중성점 접지방식 중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3배까지 올라가는 것은 지락전류가 흐르면서 중성점과 지락점 사이에 발생하는 접지전압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락전류를 최소화하면서도 건전한 전력공급을 유지할 수 있는 접지방식이 필요합니다. 이에 소호 리액터 접지는 송전선로의 중성점에 리액터를 설치하여 지락전류를 차단하고, 지락점과 중성점 사이의 전압상승을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소호 리액터 접지는 지락전류가 최소화되면서도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접지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20kV 미만의 옥내 변류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유입식 권선형
  2. 부싱형
  3. 관통형
  4. 건식 권선형
(정답률: 13%)
  • 20kV 미만의 옥내 변류기는 주로 건식 권선형을 사용합니다. 이는 유체가 없이 공기로 절연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 시 수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식이나 누수 등의 문제가 없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1. 제동권선의 사용
  2. 고속도 차단기 사용
  3. 단락비가 큰 발전기 사용
  4. 리액턴스가 큰 변압기 사용
(정답률: 17%)
  • 리액턴스가 큰 변압기를 사용하면 전력의 흐름이 느려져 전력 손실이 발생하고, 전압 안정성이 떨어져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상 전압에 대한 방호장치가 아닌 것은?

  1. 병렬콘덴서
  2. 가공지선
  3. 피뢰기
  4. 서지흡수기
(정답률: 19%)
  • 병렬콘덴서는 고전압이 발생할 경우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고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상 전압에 대한 방호장치가 아닙니다. 반면, 가공지선은 고전압이 발생할 경우 지폐나 동전 등의 금속 물체를 인식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피뢰기는 번개로 인한 고전압을 지하로 유도하여 지하로 흡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서지흡수기는 고전압이 발생할 경우 서지를 흡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이 지지점 A, B, C에는 고저차가 없으며, 경간 AB와 BC 사이에 전선이 가설되어 그 이도가 12[cm] 이었다고 한다. 지금 지지점 B에서 전선이 떨어져 전선의 이도가 D로 되었다면 D는? (단, 지지점 B는 A와 C의 중점이다)

  1. 17[cm]
  2. 24[cm]
  3. 30[cm]
  4. 36[cm]
(정답률: 16%)
  • 지지점 B가 AB와 BC의 중점이므로 AB와 BC의 길이는 같다. 따라서 AB = BC = 12/2 = 6[cm] 이다. 이 때, 삼각형 ABC의 높이는 AB와 BC 사이의 전선의 이도인 D와 같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AB × BC)/2 = 18[cm²] 이므로, 높이 D는 (2 × 18[cm²])/6[cm] = 6[cm] 이다. 따라서 D는 6[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합성 임피던스 0.20[%]의 개소에 시설해야 할 차단기의 차단 용량으로 적당한 것은? (단, 합성 인피던스는 10[MVA]를 기준으로 환산한 값이다)

  1. 4200[MVA]
  2. 4500[MVA]
  3. 4800[MVA]
  4. 5000[MVA]
(정답률: 17%)
  • 합성 임피던스가 0.20[%]이므로, 실제 차단 용량은 10[MVA] / 0.20[%] = 5000[M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00[MV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력용콘덴서와 비교할 때 동기조상기의 특징에 해당 되는 것은?

  1. 전력손실이 적다.
  2. 진상전류 이외에 지상전류도 취할 수 있다.
  3. 단락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
  4. 필요에 따라 용량을 계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19%)
  • 동기조상기는 전력용콘덴서와 달리 지상전류도 취할 수 있는 이유는, 동기조상기는 전력용콘덴서와 달리 중성점을 참조하지 않고, 단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상전류도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동기전동기의 토크와 공급전압과의 관계는?

  1. 2승에 비례
  2. 정비례
  3. 반비례
  4. 무관
(정답률: 12%)
  • 동기전동기의 토크와 공급전압은 정비례 관계에 있다. 이는 공급전압이 증가하면 토크도 증가하고, 공급전압이 감소하면 토크도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전기적인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데, 공급전압이 증가하면 전류도 증가하고, 전류가 증가하면 전자기력도 증가하여 모터의 회전력인 토크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크와 공급전압은 정비례 관계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상 서보 모터의 특성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제어 권선 전압이 0일 때 정지해야 한다.
  2. 제어 권선 전압이 0일 때 기동해야 한다.
  3. 회전자의 관성 모멘트가 커야 한다.
  4. 기동 토크는 작아야 회전자에 무리가 없다.
(정답률: 13%)
  • "제어 권선 전압이 0일 때 정지해야 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서보 모터가 제어 신호를 받지 않으면 정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어 권선 전압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모터가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원하는 위치나 속도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 권선 전압이 0일 때 모터가 정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단상변압기 3대로 △-Y결선을 할 때, 2차 선간전압(V2)과 1차 선간전압(V1)이 위상차는?

  1. V2가 V1보다 90°앞선다.
  2. V2가 V1보다 90°뒤진다.
  3. V2가 V1보다 30°앞선다.
  4. V2가 V1보다 30°뒤진다.
(정답률: 12%)
  • 단상변압기 3대로 △-Y결선을 할 때, 2차 선간전압(V2)과 1차 선간전압(V1)의 위상차는 30°이다. 이는 △-Y결선에서 2차 측의 Y접지점과 1차 측의 △접지점 사이에 30°의 위상차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상차는 전력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부하 효율이 88[%]되는 분권 직류전동기가 있다. 80[%] 부하에서 최대 효율이 된다면 이 전동기의 전부하에 있어서의 고정손과 부하손의 비는?

  1. 1.25
  2. 1
  3. 0.8
  4. 0.64
(정답률: 15%)
  • 전동기의 최대 효율이 88[%]이므로, 전동기의 출력과 입력의 비율은 88:100이다. 따라서, 전동기의 입력 전력에 대한 출력 전력은 88:100이다.

    80[%] 부하에서 최대 효율이 된다면, 전동기의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의 비율은 80:100이다. 따라서, 전동기의 입력 전력에 대한 출력 전력은 80:100이다.

    전동기의 전부하에서의 고정손과 부하손의 비는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와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의 비율이 같으므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와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의 비율을 구해보자.

    전동기의 입력 전력에 대한 출력 전력은 80:100이므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는 80:100이다. 따라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는 4:5이다.

    전동기의 입력 전력에 대한 고정손은 100:88이므로,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는 100:88이다. 따라서,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는 25:22이다.

    따라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와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의 비율은 4:5와 25:22이므로, 이를 간단화하여 최종적으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와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의 비율은 16:20와 25:22이다. 이를 간단화하면 4:5와 25:22가 되므로, 출력 전력과 부하손의 비와 입력 전력과 고정손의 비의 비율은 모두 4:5이다.

    따라서, 전부하에 있어서의 고정손과 부하손의 비는 4:5이다. 이를 소수로 나타내면 0.8이므로, 정답은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50[Hz], 6300/210[V], 15[kVA] 단상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 185[V], 임피던스 와트는 200[W]라고 한다. 이 변압기에 10[kVA], 역률(지상)0.8의 부하를 걸었을 때의 전압 변동률은?

  1. 약 1.3[%]
  2. 약 1.7[%]
  3. 약 2.0[%]
  4. 약 2.3[%]
(정답률: 9%)
  • 임피던스 전압은 부하 전압과 전압 강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하 전압은 6300/210 - 185 = 28[V]이다.

    부하 전압과 부하 전류를 이용하여 부하 복소전력을 구할 수 있다.

    S = 10[kVA] * 0.8 = 8[kVA] = 8,000[VA]

    부하 복소전력 = 8,000[VA] - 8,000[VA]j / 28[V] = 285.7 - 285.7j [VA/V]

    임피던스 와트는 200[W]이므로, 임피던스 복소저항은 200[W] / 8,000[VA] = 0.025 [Ω]이다.

    부하 복소전력과 임피던스 복소저항을 이용하여 부하 전압 강하를 구할 수 있다.

    부하 전압 강하 = 285.7 - 285.7j [VA/V] * 0.025 [Ω] = 7.14 - 7.14j [V]

    따라서, 전압 변동률은 (7.14 / 28) * 100 = 약 25.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역률(지상) 0.8의 부하를 걸었을 때의 전압 변동률이다.

    부하의 역률이 0.8이므로, 부하 전압 강하의 실수부만 고려하여 전압 변동률을 구할 수 있다.

    전압 변동률 = (7.14 / 28) * 0.8 * 100 = 약 20.1[%]

    따라서, 정답은 "약 1.7[%]"이 아닌 "약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3상 유도전동기의 전전압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의 1.5배이다. 전전압에 3/4으로 기동할 때 기동 토크는 전부하시 (T)의 몇 배인가?

  1. 0.68T
  2. 0.72T
  3. 0.84T
  4. 0.95T
(정답률: 13%)
  •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토크는 전전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전압이 3/4로 감소하면 기동 토크는 (3/4)배가 된다. 따라서 기동 토크는 1.5 x (3/4) = 1.125배가 된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T' = 1.125T이다. 여기서 T는 전부하시의 기동 토크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0.84T"이다. 이는 T'를 T로 나눈 값이다. 즉, T' = 0.84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도전동기 슬립 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지상태에서 s=0 이다.
  2. 동기속도는 회전자계의 속도이다.
  3. 같은 정격에서 농형이 권선형보다 약간 크다.
  4. 2차 기전력 주파수는 구속 상태의 (1/s)배가 된다.
(정답률: 12%)
  • 유도전동기 슬립 s는 회전자계의 속도와 동기화되지 않은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정지상태에서 s는 0이다. 동기속도는 회전자계의 속도이기 때문에, 회전자계가 동기속도와 동기화되면 s는 0이 된다. 같은 정격에서 농형이 권선형보다 약간 크다는 것은 유도전동기의 특성 중 하나이며, 2차 기전력 주파수는 구속 상태의 (1/s)배가 된다는 것은 유도전동기의 수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직류 분권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을 단중 중권으로 감으면?

  1. 브러시 수는 극수와 같아야 한다.
  2. 균압선이 필요 없다.
  3. 높은 전압, 작은 전류에 적당하다.
  4. 병렬 회로수는 항상 2이다.
(정답률: 16%)
  • 직류 분권발전기에서 전기자 권선은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극수와 같은 수의 브러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브러시 수는 극수와 같아야 한다."는 정답이다. 균압선이 필요 없는 이유는 직류 분권발전기는 전기적으로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높은 전압, 작은 전류에 적당하다는 것은 직류 분권발전기의 특성으로,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는 작아지기 때문이다. 병렬 회로수는 항상 2이다는 것은 직류 분권발전기의 구조상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2개의 병렬 회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3상 동기발전기가 병렬 운전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2.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3.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4. 회전수가 같은 것
(정답률: 16%)
  • 3상 동기발전기가 병렬 운전하는데 필요한 조건은 기전력의 크기, 주파수, 위상이 모두 같아야 합니다. 하지만 회전수는 다를 수 있습니다. 회전수가 같지 않더라도, 주파수가 같다면 변환기를 이용하여 회전수를 맞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수가 같은 것은 병렬 운전을 위한 필수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변압기의 병렬운전에서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1. 극성이 같을 것
  2. 정격전압이 같을 것
  3.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
  4. 출력이 같을 것
(정답률: 16%)
  • 변압기의 병렬운전에서 필요한 조건은 극성이 같을 것, 정격전압이 같을 것, % 임피던스 강하가 같을 것이다. 그러나 출력이 같을 필요는 없다. 출력이 다른 두 개의 변압기를 병렬로 연결하면, 출력이 더 큰 변압기가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하게 되고, 이는 더 작은 출력의 변압기가 과부하 상태가 되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이 같을 필요는 없지만, % 임피던스 강하가 같아야 전류 분배가 공평하게 이루어지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00kW, 4극, 3300V, 주파수 60Hz의 3상 유도전동기의 효율이 92%, 역률이 90%일 때 입력은?

  1. 약 21.1[kVA]
  2. 약 42.8[kVA]
  3. 약 120.8[kVA]
  4. 약 220.8[kVA]
(정답률: 12%)
  • 유도전동기의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은 100kW × 0.92 = 92kW입니다. 역률은 cos(θ)로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θ는 유지되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차입니다. 역률이 0.9이므로 cos(θ) = 0.9입니다. 따라서 유지되는 위상차는 acos(0.9) ≈ 25.84도입니다. 이제 입력 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력 = 출력 ÷ (효율 × 역률) = 92kW ÷ (0.92 × 0.9) ≈ 120.8kVA

    따라서 정답은 "약 120.8[kV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3상 반파정류회로에서 변압기의 2차 상전압 E[V]를 SCR을 사용하여 ao(점호제어각)로 위상제어를 할 때에 몇 [V]의 직류전압이 되는가?

  1. Ed=2.34E×cos ao
  2. Ed=1.17E×cos ao
  3. Ed=0.9E
  4. Ed=1.35E
(정답률: 17%)
  • SCR을 사용한 위상제어에서는 SCR의 점화각이 ao일 때, 반파정류회로에서 유효전압 Erms의 절반만이 유효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직류전압 Ed는 Erms/π×cos ao가 된다. 여기서 Erms는 2차 상전압 E[V]의 √2배이므로, Ed=E[V]/√2π×cos ao가 된다. 이를 정리하면 Ed=1.17E×cos ao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Ed=1.17E×cos a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기발전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집중권인 경우 매극 매상의 홈(slot)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16%)
  • 집중권인 경우 매극 매상의 홈(slot) 수는 1개입니다. 이는 집중권의 전기자 권선법이 한 개의 홈(slot)만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집중권은 전기자의 자기장이 집중되어 있는 형태로, 한 개의 홈(slot)만을 가지며, 이 홈에 전기자가 위치하면 전기자에게서 전기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단상 유도전동기 중 기동 토크가 가장 큰 것은?

  1. 콘덴서 기동형
  2. 반발 기동형
  3. 분상 기동형
  4. 셰이딩 코일형
(정답률: 16%)
  • 반발 기동형 유도전동기는 회전자와 스테이터 사이에 반발력을 일으켜 기동 토크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회전자가 스테이터의 자기장에 들어갈 때, 회전자와 스테이터 사이에 생기는 반발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발 기동형 유도전동기는 다른 유형의 유도전동기에 비해 기동 토크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권선형 유도전동기 2대를 직렬종속으로 운전하는 경우 그 동기속도는 어떤 전동기의 속도와 같은가?

  1. 두 전동기 중 적은 극수를 갖는 전동기
  2. 두 전동기 중 많은 극수를 갖는 전동기
  3. 두 전동기의 극수의 합과 같은 극수를 갖는 전동기
  4. 두 전동기의 극수의 차와 같은 극수를 갖는 전동기
(정답률: 19%)
  • 두 전동기를 직렬종속으로 운전하는 경우, 전류는 두 전동기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두 전동기의 속도는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두 전동기의 극수의 합과 같은 극수를 갖는 전동기의 속도가 됩니다. 이는 두 전동기의 자기장이 합쳐져서 하나의 자기장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류발전기의 부하특성곡선은 어느 관계를 표시한 것인가?

  1. 단자전압과 부하전류
  2. 출력과 부하전력
  3. 단자전압과 계자전류
  4. 부하전류와 계자전류
(정답률: 11%)
  • 직류발전기의 부하특성곡선은 단자전압과 계자전류의 관계를 표시한 것입니다. 이는 부하저항이 변할 때 발생하는 단자전압과 계자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발전기의 출력과 부하전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자전압과 계자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대형 수차 발전기를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로 하는 이유는?

  1. 효율이 좋다.
  2. 절연이 용이하다.
  3. 냉각 효과가 크다.
  4. 기전력의 파형을 개선한다.
(정답률: 8%)
  • 대형 수차 발전기는 매우 큰 전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절연이 매우 중요합니다.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는 회전자와 정자 사이에 공기 간격이 크기 때문에 절연이 용이하며, 이는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절연이 용이한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류발전기의 정류작용에서 보극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ec)이 리액턴스 전압(er)보다 클 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브러시의 앞쪽에서 불꽃이 발생한다.
  2. 정현파 정류상태로 된다.
  3. 보극의 권수가 적정치보다 적다.
  4. 정류가 거의 끝날 무렵에 브러시에 접한 도체의 전류변화가 크다.
(정답률: 14%)
  • "브러시의 앞쪽에서 불꽃이 발생한다."는 정류작용에서 보극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ec)이 리액턴스 전압(er)보다 클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보극과 브러시 사이의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전류 변화는 브러시의 앞쪽에서 가장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불꽃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정류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식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대한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50Hz용 변압기에 60Hz의 동일 전압을 인가하면 자속밀도(A) 및 손실(B)의 변화는?

  1. (A):감소, (B):증가
  2. (A):감소, (B):감소
  3. (A):증가, (B):증가
  4. (A):감소, (B):일정
(정답률: 11%)
  • (A): 감소, (B): 감소

    50Hz용 변압기에 60Hz의 전압을 인가하면 자기유도와 상호유도가 감소하게 되어 자속밀도가 감소합니다. 또한, 주파수가 증가하면서 코어 손실이 증가하는데, 이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코어 손실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자속밀도와 손실 모두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최소일 때 역률은?

  1. 0
  2. 0.707
  3. 0.866
  4. 1
(정답률: 15%)
  • 동기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최소일 때는 전자기력과 전류의 곱인 역력이 최소가 되는 상황입니다. 이때 역률은 1이 됩니다. 이유는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이 같아지는 경우가 바로 역률이 1이 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전기자 전류가 최소일 때는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이 같아지므로 역률이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전원과 부하가 다같이 △결선된 3상 평형회로에서 전원전압이 400[V], 부하 임피던스 4+j3[Ω]인 경우 선전류는?

  1. 80[A]
  2. 80/3[A]
  3. 80/√3[A]
  4. 80√3[A]
(정답률: 15%)
  • 3상 평형회로에서 선전류는 부하전류와 같으므로, 부하전압을 부하임피던스로 나눈 값이 부하전류가 된다.

    부하전압 = 전원전압 = 400[V]
    부하임피던스 = 4+j3[Ω]

    부하전류 = 부하전압 / 부하임피던스 = 400 / (4+j3) = 80/3 - j80/4

    3상 평형회로에서는 각 상의 선전압과 선전류가 같으므로, 선전류는 부하전류의 √3배가 된다.

    선전류 = 부하전류 x √3 = (80/3 - j80/4) x √3 = 80√3 - j80

    따라서 정답은 "80√3[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소자에 걸리는 전압이 이고, 흐르는 전류가 일 때 소비되는 전력은?

  1. 100[W]
  2. 150[W]
  3. 250[W]
  4. 300[W]
(정답률: 15%)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압과 전류를 곱한 후에 단위를 완성해주면 됩니다.

    전압: 220V
    전류: 0.68A

    전력 = 전압 x 전류
    전력 = 220V x 0.68A
    전력 = 149.6W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단위를 붙이면, 소비되는 전력은 15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의 역 라플라스 변환은?

  1. 2e-3t
  2. 2e3t
  3. 3e2t
  4. 3e-2t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각상의 전류가 일 때 영상 대칭뿐 전류는?

  1. 10sinwt
  2. 30sinwt
(정답률: 17%)
  • 주어진 전류가 짝수함수인 이므로, 이에 대한 대칭뿐 전류는 홀수함수인 -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10sinwt 인 답은 없으므로, 정답은 10sinw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R-L 직렬회로에 v=100sin(120πt)[A]의 전원을 연결하여 i=2sin(120πt-45°)[A]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려면 저항은?

  1. 50[Ω]
  2. 50/√2[Ω]
  3. 50√2[Ω]
  4. 100[Ω]
(정답률: 9%)
  • R-L 직렬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V = L(di/dt) + Ri

    여기서 v=100sin(120πt)[A], i=2sin(120πt-45°)[A] 이므로,

    100sin(120πt) = L(d/dt)(2sin(120πt-45°)) + R(2sin(120πt-45°))

    = 240πLcos(120πt-45°) + 2Rsin(120πt-45°)

    위 식에서 t=0일 때, cos(-45°)=sin(45°)=1/√2 이므로,

    100 = 240πL/√2 + 2R/√2

    따라서, R = 50/√2[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두 개의 커패시터 C1, C2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정 전용량이 3.75[F]이고,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정전용량이 16[F]이 된다. 두 커패시터는 각각 몇 [F]인가?

  1. 4[F]과 12[F]
  2. 5[F]과 11[F]
  3. 6[F]과 10[F]
  4. 7[F]과 9[F]
(정답률: 18%)
  • 직렬 연결 시 합성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C = 1/C1 + 1/C2

    여기에 C = 3.75[F]을 대입하면,

    1/3.75 = 1/C1 + 1/C2

    C1과 C2를 구하기 위해 두 식을 이항하여 정리하면,

    C1 + C2 = 3.75/((C1 * C2)/C1 + (C1 * C2)/C2)

    C1 + C2 = 3.75/(C2 + C1)

    C1 + C2 = 3.75/((C1 + C2)/C1 * (C1 + C2)/C2)

    C1 + C2 = 3.75/((C1 + C2)2/C1 * C2)

    C1 + C2 = 3.75C1C2/(C1 + C2)2

    (C1 + C2)3 = 3.75C1C2(C1 + C2)

    병렬 연결 시 합성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 = C1 + C2

    여기에 C = 16[F]을 대입하면,

    C1 + C2 = 16

    이 두 식을 풀면,

    C1 = 6[F], C2 = 10[F]

    따라서 정답은 "6[F]과 10[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위상정수가 π/8[rad/m]인 선로의 1[MHz]에 대한 전파 속도는?

  1. 8×107[m/sec]
  2. 5×107[m/sec]
  3. 3.2×107[m/sec]
  4. 1.6×107[m/sec]
(정답률: 13%)
  • 전파 속도는 주파수와 위상정수에 의해 결정된다. 주파수가 1[MHz]이므로, 전파 속도는 위상정수인 π/8[rad/m]와 주파수인 1[MHz]을 곱한 값이다.

    전파 속도 = π/8[rad/m] × 1[MHz] = 3.14 × 106[rad/sec] × 1/8[m] = 3.93 × 105[m/sec]

    하지만, 이 값은 직선적인 전파 속도이며, 실제 전파는 공기 등 매질의 굴절에 의해 더 느리게 전파된다. 따라서, 전파 속도는 약 1.6×107[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3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이 3HP, 전압이 200V, 효율80%, 역률 90% 일 때 전동기에 유입하는 선전류는? (단, 1HP은 746[W]이다)

  1. 약 7.18[A]
  2. 약 9.18[A]
  3. 약 6.85[A]
  4. 약 8.97[A]
(정답률: 15%)
  • 전동기의 출력은 3HP이므로, 이를 와트로 변환하면 3 x 746 = 2238W 이다.
    전압이 200V이므로, 전류는 전력을 전압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즉, 전류 = 전력 ÷ 전압 = 2238 ÷ 200 = 11.19A 이다.
    하지만, 전동기의 효율과 역률을 고려해야 하므로, 실제 선전류는 이 값보다 작아진다.
    효율 80%와 역률 90%를 곱하면, 실제 출력은 2238 x 0.8 x 0.9 = 1609.44W 이다.
    따라서, 실제 선전류는 전류 = 전력 ÷ 전압 = 1609.44 ÷ 200 = 8.05A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8.97[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R-C 병렬회로에 60[Hz], 100[V]를 가했을 때 유효 전력이 800[W]이고 무효전력이 600[Var]이다.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약 몇 [㎌]인가?

  1. 159[㎌]
  2. 180[㎌]
  3. 189[㎌]
  4. 219[㎌]
(정답률: 10%)
  • R-C 병렬회로에서 유효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무효 전력은 전압과 콘덴서의 리액턴스(1/ωC)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유효 전력 = 전압 × 전류
    무효 전력 = 전압 × (1/ωC)

    여기서 전압과 각각의 전력 값을 알고 있으므로, 전류와 콘덴서의 리액턴스 값을 구할 수 있다.

    유효 전력 = 전압 × 전류
    800[W] = 100[V] × 전류
    전류 = 8[A]

    무효 전력 = 전압 × (1/ωC)
    600[Var] = 100[V] × (1/(2π×60[Hz]×C))
    C = 1/(2π×60[Hz]×(600[Var]/100[V]))
    C = 159[㎌]

    따라서 정답은 "15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어떤 회로에 60+j80[V]의 전압을 인가할 때 부하에 흐르는 전류가 4 - j3[A]이다. 부하의 임피던스는?

  1. -j20[Ω]
  2. j20[Ω]
  3. 20+j20[Ω]
  4. 20-j20[Ω]
(정답률: 14%)
  • 부하의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인 저항과 리액턴스의 복소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부하의 임피던스는 (60+j80[V])/(4-j3[A]) = (60+j80[V])*(4+j3[A])/(4^2+3^2) = (240+320j+180j-240)/25 = j20[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시퀀스(sequence)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합논리회로도 사용된다.
  2. 제어용 계전기가 사용된다.
  3. 폐회로제어계로 사용된다.
  4. 시간 지연 요소도 사용된다.
(정답률: 11%)
  • 정답은 "폐회로제어계로 사용된다." 이다. 시퀀스 제어는 폐회로 제어보다는 개회로 제어에 더 많이 사용된다. 시퀀스 제어는 순차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조합논리회로뿐만 아니라 제어용 계전기와 시간 지연 요소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개루프 전달함수가 다음과 같은 계에서 단위속도 입력에 대한 정상 편차는?

  1. 0.2
  2. 0.25
  3. 0.33
  4. 0.5
(정답률: 13%)
  • 주어진 계는 1차 시스템이며, 개루프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G(s) = frac{1}{s+1}$$

    단위속도 입력에 대한 정상상태 오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lim_{sto 0} scdot G(s) = lim_{sto 0} frac{s}{s+1} = 0$$

    따라서, 정상 편차는 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2"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 2차 제어계의 극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δ<0 이면 S평면 우반부에 있다.
  2. δ=0 이면 두극은 허수이고 S=±jwn이다.
  3. δ=1 일 때 두극은 같고 부의 실수 (S=-wn)이다.
  4. δ>1 이면 두극은 부의 실수와 양의 실수가 된다.
(정답률: 13%)
  • 극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s_{1,2}=-zetaomega_npmomega_nsqrt{zeta^2-1}$$

    여기서 $zeta$는 감쇠비, $omega_n$은 고유진동수입니다.

    따라서 $delta=frac{zeta}{sqrt{1-zeta^2}}$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delta>1$이면 $sqrt{zeta^2-1}$이 양수가 되어 두극은 부의 실수와 양의 실수가 됩니다.

    즉, $delta>1$이면 감쇠비 $zeta$가 1보다 크므로 진동이 감쇠되지 않고 증폭되는 상태가 되어 두극이 부의 실수와 양의 실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제어계의 종류 중 목표 값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는 것은?

  1. 프로세스 제어
  2. 서보 기구
  3. 자동조정
  4. 비율 제어
(정답률: 10%)
  • 목표 값에 따라 출력 값을 조절하는 제어계는 비율 제어에 해당됩니다. 이는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목표 값을 달성하는 제어 방식으로, 예를 들어 온도 제어에서는 목표 온도와 현재 온도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열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블록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의 근은?

  1. -2, -5
  2. 2, 5
  3. -3, -4
  4. 3, 4
(정답률: 15%)
  • 주어진 블록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은 $(x+3)(x+4)=0$ 이므로 근은 $-3$과 $-4$이다. 이는 곱의 성질에 의해 $(x+3)=0$ 또는 $(x+4)=0$ 일 때 성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3,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그림에서 전달함수가 0형일 때 정상위치오차 eSP는? (단, KP는 위치오차상수이다.)

(정답률: 8%)
  • 전달함수가 0형일 때, 제어기의 출력은 오차 신호 e(t)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 오차가 0이 되려면 e(t)가 0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e(t)에 대한 제어기 출력의 변화율이 0이 되어야 하므로, 제어기 출력의 기울기 KP가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상위치오차 eSP는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신호 흐름선도에서 전달함수 C/R를 구하면?

(정답률: 18%)
  • 전달함수 C/R은 출력전압 Vout과 입력전압 Vin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C/R = Vout/Vin 이다. 이를 이용하여 각 노드에서 Vout과 Vin의 비율을 계산하면, C/R = 1/(1+sRC)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이는 R과 C로 이루어진 저항-커패시터 회로의 전달함수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상태방정식이 으로 주어져 있다. 이 상태방정식에 대한 장태천이행렬(state teansition matrix)의 2행 1열의 요소는?

  1. 3e-t-3e-2t
  2. -3e-t+3e-2t
  3. 6e-t-6e-2t
  4. -6e-t+6e-2t
(정답률: 1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신호흐름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의 근은?

  1. -1, -2
  2. 1, 2
  3. -2, -2
  4. -1, 2
(정답률: 9%)
  • 주어진 신호흐름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습니다.

    $(s+1)^2(s-2)=0$

    이를 풀면,

    $(s+1)^2=0$ 또는 $s-2=0$

    $s=-1$ (중근) 또는 $s=2$ (단근)

    따라서 특성방정식의 근은 -1, 2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가 두 번 등장합니다. 이는 실수 축 상에서 -1과 -2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1을 -2로 잘못 읽거나 반대로 -2를 -1로 잘못 읽은 것으로 추측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에서 근궤적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12%)
  • 정답은 "4"이다. 이유는 근궤적이란 행성이나 위성이 태양계의 중심을 따라 움직이는 궤도를 말하는데, 이 그림에서는 태양을 중심으로 4개의 행성이 근궤적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가공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지물의 강도계산에 적용하는 갑종풍압하중은 단도체 전선의 경우에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m2에 대하여 몇 [Pa]의 풍압으로 계산 하는가?

  1. 588[Pa]
  2. 745[Pa]
  3. 1039[Pa]
  4. 1255[Pa]
(정답률: 11%)
  • 갑종풍압하중은 단면적 1m2에 대하여 1[N/m2]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갑종풍압하중이 745[Pa]인 이유는 1[N/m2] = 1[Pa] 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용량 10kVA, 전압 3450/105V 단상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시험전압을 연속하여 몇 분간 가하였을 때 이에 견디어야 하는가?

  1. 5분
  2. 10분
  3. 15분
  4. 30분
(정답률: 21%)
  • 단상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을 시험할 때, 시험전압은 일반적으로 2배 이상의 값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690V 이상의 전압을 가하게 됩니다. 이 때, 용량 10kVA의 단상변압기 전로의 절연내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시험전압을 연속하여 10분간 가해야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절연시험에서 요구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 정격감도전류 30[mA]인 자동 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 접지저항 값은 몇 [Ω] 이하이어야 하는가?

  1. 75[Ω]
  2. 150[Ω]
  3. 300[Ω]
  4. 500[Ω]
(정답률: 11%)
  • 접지저항 값은 전류와 전압의 비율인 저항값으로 나타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정격감도전류가 30[mA]이므로, 접지저항 값은 전압이 15[V]일 때 500[Ω]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전압이 15[V]일 때 30[mA]가 흐를 때 접지저항 값이 500[Ω] 이하이면 자동 차단기가 작동하여 전로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고압 가공전선에 사용하는 가공지선에는 지름 몇 [mm]이상의 나경동선이나 이와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2.5[mm]
  2. 3.0[mm]
  3. 3.5[mm]
  4. 4.0[mm]
(정답률: 15%)
  • 고압 가공전선은 전기적 안전성을 위해 고압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가공지선에는 충분한 굵기와 세기의 나경동선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굵기와 세기가 큰 4.0[mm]이상의 나경동선이나 이와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400V 미만의 저압용의 계기용변성기에 있어서 그 철심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20%)
  • 400V 미만의 저압용 계기용 변성기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이유는 이러한 변성기는 전기적으로 중요하지만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3종 접지공사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제1종 접지공사와 제2종 접지공사는 더 높은 전압이나 위험도를 가진 장비에 적용되며, 특별 제3종 접지공사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사용전압 15[kV]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 다중 접지 시설은 각 접지선을 중성선으로부터 분리 하였을 경우 각 접지점의 대지 전기저항 값이 [1km] 마다의 중성선과 대지사이의 합성 전기저항 값은 몇 [Ω]이하이어야 하는가?

  1. 30
  2. 50
  3. 300
  4. 500
(정답률: 12%)
  •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 다중 접지 시설에서 각 접지선을 중성선으로부터 분리하면, 각 접지점은 지락저항과 대지저항으로 이루어진 병렬회로가 된다. 이때, 지락저항은 무시할 수 있고, 대지저항은 1km마다의 중성선과 대지사이의 합성 전기저항 값인 R을 구해야 한다.

    R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15 / 2π) × ln(2D / d)

    여기서 D는 중성선과 가장 먼 접지선까지의 거리, d는 중성선과 가장 가까운 접지선까지의 거리이다. 이때, D와 d는 모두 1km로 가정한다.

    R = (15 / 2π) × ln(2 × 1000 / 1000) = 30.1

    따라서, 각 접지점의 대지 전기저항 값은 30Ω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로서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애자 사용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몇[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5[cm]
  2. 3.0[cm]
  3. 4.5[cm]
  4. 5.0[cm]
(정답률: 13%)
  • 저압 옥내배선은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가 2.5[c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한 전기 사용을 위한 규정으로, 전선과 조영재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전기가 누설되어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애자 사용 공사를 할 때에는 이러한 규정을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레일면상 몇 [m] 이상으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1. 3[m]
  2. 3.5[m]
  3. 5[m]
  4. 6.5[m]
(정답률: 18%)
  • 철도나 궤도를 횡단하는 통신선은 안전상의 이유로 레일면상 6.5m 이상으로 시설되어야 합니다. 이는 철도나 궤도를 횡단하는 차량이나 기차 등과 충돌할 경우 통신선이 레일면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기울타리용 전원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사용전압은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

  1. 60[V]
  2. 120[V]
  3. 220[V]
  4. 250[V]
(정답률: 14%)
  • 전기울타리는 동물이나 사람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전기 충격을 가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전압과 전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울타리용 전원 장치의 사용전압은 250V 이하이다. 이는 충분한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여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66kV에 사용되는 변압기를 취급자 이외의 자가 들어가지 않도록 적당한 울타리·담 등을 설치하여 시설하는 경우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m]
  2. 6[m]
  3. 8[m]
  4. 10[m]
(정답률: 16%)
  • 66kV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고압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울타리나 담 등으로 시설하는데, 이 때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계는 최소 6m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 규정에 따른 것으로, 충전부분까지의 거리가 6m 이상이면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교량의 윗면에 시설하는 고압 전선로는 전선의 높이를 교량의 노면상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m]
  2. 4[m]
  3. 5[m]
  4. 6[m]
(정답률: 11%)
  • 고압 전선로는 보통 교량의 노면으로부터 최소 5m 이상 높이에 시설됩니다. 이는 보행자나 차량 등이 전선에 닿을 위험이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전선로가 높이가 낮을 경우에는 교량을 통과하는 선박 등과 충돌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최소 5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풀용 수중조명 등에 사용되는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의 사용전압이 몇 [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가?

  1. 30[V]
  2. 60[V]
  3. 150[V]
  4. 300[V]
(정답률: 16%)
  • 풀용 수중조명 등에 사용되는 절연변압기의 2차측 전로는 수중에서 사용되므로 안전을 위해 전압이 높을수록 위험합니다. 따라서, 30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입니다. 60V, 150V, 300V는 더 높은 전압이므로 더 위험하며, 따라서 더 높은 전압에서는 더 강력한 차단 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고압 옥내배선을 애자사용 공사로 하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전선을 조영재의 면을 따라 붙이는 경우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m]
  2. 2[m]
  3. 3[m]
  4. 5[m]
(정답률: 16%)
  • 고압 옥내배선은 안전상의 이유로 지지점간의 거리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 간격은 전선이 늘어나거나 수축할 때도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 간격은 전선의 지름과 전압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정답은 "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고압 가공인입선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m 높이에 시설하였다.
  2. 전선은 지름이 5mm 이상의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3. 애자사용공사로 시설하였다.
  4.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 하였다.
(정답률: 13%)
  • 정답은 "15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인입선을 시설 하였다."입니다. 이유는 고압 가공인입선은 해당 수용가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다른 수용가와 연결되어 있으면 안 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변압기의 고압측 전로의 1선 지락전류가 7A 일 때 제2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값은 약 몇 [Ω]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단, 자동차단장치는 없다.)

  1. 21[Ω]
  2. 23[Ω]
  3. 25[Ω]
  4. 31[Ω]
(정답률: 1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저압 가공인입선에 사용하지 않는 전선은?

  1. 나전선
  2. 절연전선
  3. 다심형 전선
  4. 케이블
(정답률: 17%)
  • 저압 가공인입선은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전선은 전기를 공급하지 않는 나전선이다. 절연전선, 다심형 전선, 케이블은 모두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전선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와 제1차 접근 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제 몇 종 보안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1종 특고압 보안공사
  2. 제2종 특고압 보안공사
  3.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4. 특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
(정답률: 12%)
  •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는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와 같은 공공시설과 제1차 접근 상태에서 시설되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대해 필요한 보안공사입니다. 이는 해당 시설이 일반인들이 자주 이용하는 곳이기 때문에 안전에 대한 책임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3종 특고압 보안공사를 수행하여 안전한 전력공급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교류 전차선 등은 삭도와 교차하여 시설하여서는 아니된다. 그러나 교류 전차선 등과 삭도 또는 그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 몇 [m] 이상 이격하고,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아도 되는가?

  1. 1[m]
  2. 2[m]
  3. 3[m]
  4. 4[m]
(정답률: 14%)
  • 교류 전차선과 삭도 또는 그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2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이며, 이격거리가 2m 미만으로 줄어들면 전기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격거리를 최소 2m 이상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저압 옥내배선용 전선의 굵기는 연동선을 사용할 경우 몇 [mm2]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1. 1.0[mm2]
  2. 1.5[mm2]
  3. 2.5[mm2]
  4. 10[mm2]
(정답률: 14%)
  • 저압 옥내배선용 전선은 안전상의 이유로 연동선을 사용해야 한다. 연동선은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연동선의 굵기는 전류량과 전선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2.5[mm2]의 연동선을 사용하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압 옥내배선용 전선의 굵기는 2.5[mm2]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저압 가공전선이 상부 조영재 위쪽에서 접근하는 경우 전선과 상부 조영재간의 이격거리는 얼마 이상이 어야 하는가? (단, 특고압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인 경우이다.)

  1. 0.8[m]
  2. 1.0[m]
  3. 1.2[m]
  4. 2.0[m]
(정답률: 7%)
  • 저압 가공전선은 안전을 위해 상부 조영재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이격거리는 전선의 종류와 전압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m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