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건설안전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안전점검의 시스템 중 4M 에 해당되는 것은?

  1. Man, Mangement, Macchine, Media
  2. Man, Mangement, Macchine, Material
  3. Man, Macchine, Maker, Management
  4. Man, Macchine, Maker, Media
(정답률: 91%)
  • 4M은 안전점검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중 하나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요소들을 나타냅니다. "Man"은 인적 요소, "Management"은 관리 요소, "Machine"은 기계 요소, "Media"는 환경 요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Man, Management, Machine, Media"입니다. "Material"이 아닌 "Media"인 이유는, 안전점검에서는 환경 요소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지체검사 대상기계ㆍ기구들 중 검사주기가 서로 다 것으로 조합된 것은?

  1. 프레스기, 전단기
  2. 원심기, 건조설비
  3. 아세틸렌 용접장치, 로울러기
  4. 보일러, 양중기
(정답률: 25%)
  • 원심기와 건조설비는 서로 다른 검사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심기는 일반적으로 6개월에 한 번, 건조설비는 1년에 한 번 정도 검사를 받습니다. 따라서 이 두 기기는 지체검사 대상으로 조합될 수 있습니다. 다른 기기들은 모두 같은 검사주기를 가지고 있거나 검사주기가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조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재해 운동의 3원칙 중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ㆍ해결 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의욕적으로 문제해결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참가의 원칙
  2. 무의 원칙
  3. 선취의 원칙
  4. 실천의 원칙
(정답률: 66%)
  • "참가의 원칙"은 무재해 운동에서 중요한 3원칙 중 하나로, 모든 참가자가 협력하여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해 각자의 위치에서 의욕적으로 문제해결을 실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모든 참가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상시 근로자 100명인 사업장에서 1년간 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그 휴업 일수가 총 219일 이라면 강도율은 약 얼마인가?(단, 1일 9시간씩 연간 290일 근무하였다.)

  1. 0.69
  2. 0.84
  3. 22.29
  4. 60
(정답률: 46%)
  • 강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강도율 = (부상자 수 × 휴업 일수) ÷ (근로자 수 × 근무 일수) × 1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강도율 = (6 × 219) ÷ (100 × 290) × 100

    = 1314 ÷ 29000 × 100

    = 0.69

    따라서, 정답은 "0.6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 표지로서 지시표지에 해당되는 색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R, 4.13
  2. 5G 5.5/6
  3. 7.5PB 2.5/7.5
  4. 2.5Y 8/12
(정답률: 46%)
  • 산업안전보건 표지에는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며, 각 색상은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지시표지에 해당하는 색상은 파란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란색 계열의 색상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파란색 계열의 색상은 "7.5PB 2.5/7.5" 입니다. 이 색상은 파란색과 보라색이 혼합된 색상으로, 일반적으로 지시표지에 사용됩니다. "7.5PB"는 색상의 색조를 나타내며, "2.5/7.5"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색상은 산업안전보건 표지에서 지시표지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Near Accident" 란 어떠한 상태의 사고를 의미하는가?

  1. 인적익 피해만 발생한 사고
  2. 물적인 피해만 발생한 사고
  3. 인적ㆍ물적 피해가 모두 발생한 사고
  4. 인적ㆍ물적 피해가 모두 발생하지 않은 사고
(정답률: 86%)
  • "Near Accident"는 사고 직전의 위험한 상황을 의미하며, 실제로 인적이나 물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적ㆍ물적 피해가 모두 발생하지 않은 사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전관리 조직 중 직계식(line type) 조직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안전에 관한 명령지시가 빠르다.
  3. 생산라인의 관리 감독자는 주로 안전보다 생산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4. 별도의 안전관리 전담요원이 직접 통제한다.
(정답률: 78%)
  • "별도의 안전관리 전담요원이 직접 통제한다."는 직계식(line type) 조직의 특징이 아니라, 행정적(line and staff) 조직의 특징입니다. 직계식 조직은 생산라인의 관리 감독자가 안전에 대한 책임을 직접 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안전관리 전담요원이 직접 통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고예방대책의 기본 원리 중 그 시정책의 선정에 필요한 조치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술적 개선
  2. 사고조사 및 점검
  3. 안전관리 행정 업무의 개선
  4. 기술 교육을 위한 훈련의 개선
(정답률: 52%)
  • 사고조사 및 점검은 이미 발생한 사고를 분석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이므로 시정책의 선정에 필요한 조치 사항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고조사 및 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Simonds 재해 Cost 산출공식에서 A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휴업상해 건수에 대한 직접 손실비
  2. 휴업상해 건수에 대한 간접 손실비
  3. 휴업상해 건수에 대한 비보험 코스트의 평균치
  4. 휴업상해 건수에 대한 비보험 코스트의 최고 액수
(정답률: 60%)
  • A는 휴업상해 건수에 대한 비보험 코스트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이는 보험으로 보호되지 않은 휴업상해로 인한 직접 및 간접 손실을 평균적으로 산출한 값이다. 따라서 이 값은 보험료 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업이 보험 가입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설치대상 사업장에서 명예산업안전 감독관의 당해 사업장에서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업장에서 행하는 기계ㆍ기구 자체검사 입회
  2. 사업장 산업재해예방계획수립의 참여
  3. 육산업재해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작업중지 요청
  4.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
(정답률: 69%)
  • 명예산업안전 감독관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 중에서 보호구의 구입시 적격품의 선정은 감독관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보호구의 구입은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나 책임자가 담당하며, 감독관은 보호구의 사용 및 관리 상태를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함에 있어 사용자 위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1. 안전관리자
  2. 명예산업안전감독관
  3. 당해 사업의 대표자
  4. 보건관리자
(정답률: 73%)
  •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사용자, 공급자, 전문가, 국가대표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은 해당 역할을 수행하는 직위이며, 실제로는 안전관리자, 당해 사업의 대표자, 보건관리자 등이 사용자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은 사용자 위원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종류와 외부 측면의 색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일산화탄소용 - 적색
  2. 암모니아용 - 회색
  3. 유기가스용 - 흑색
  4. 아황산가스용 - 황적색
(정답률: 69%)
  • 암모니아는 무색이거나 약간의 노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회색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자체검사대상 기계ㆍ기구 분야의 자체검사원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

  1. 안전관리자의 자격기준에 해당하는 자로서 해당 기계ㆍ설비의 취급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자
  2. 관리감독자 또는 안전담당자로서 당해 자체검사분야의 기계ㆍ기구를 취급하는 작업에 2년 이상 종사한 자
  3. 당해 대행사업장의 자체검사대상 기계ㆍ기구분야에 한하여 안전ㆍ보건관리대행기관의 대행요원
  4. 자체검사원 양성교육을 받고 소정의 시험에 합격한 자
(정답률: 19%)
  • 해당 기계ㆍ기구를 취급하는 작업에 2년 이상 종사한 관리감독자 또는 안전담당자가 자체검사원에 해당되지 않는 이유는 이미 안전관리자의 자격기준을 충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체검사원으로서 추가적인 교육과 시험을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업재해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ㆍ설비 ㆍ원재료ㆍ가스ㆍ증기ㆍ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한되는 것
  2. 물질 또는 타인과 접촉하였거나 각종의 물체 및 작업조건에 폭로 또는 사람의 작업행동응로 인하여 사람의 상해를 동반하는 사건이 일어나는것
  3. 산업활동의 정상적인 진행을 저지하고 또는 방해하는 사건이 일어나는 것
  4. 결함이 있는 작업조건 및 부적성의 작업방법에 의해 초래되는 계획되지 않은 사건이 일어나는 것
(정답률: 72%)
  •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 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이한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산업활동 중 발생하는 근로자의 사망, 부상, 질병 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동부장관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재해율 등을 공표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연간 사업재해율이 규모별 동종업종의 평균재해율 이상인 모든 사업장
  2.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산업재해의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3년 이내 2회 이상 보고하지 아니한 사업장
  4.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정답률: 55%)
  •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이 기준으로 틀린 것입니다. 산업재해 발생건수나 재해율은 일반적으로 예방 가능한 사항들이지만, 중대산업사고는 예방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연간 사업재해율이 규모별 동종업종의 평균재해율 이상인 모든 사업장"이 기준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 기준은 산업재해 발생건수나 재해율이 높은 사업장들을 대상으로 예방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산업재해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립ㆍ해체 작업장 입구에 설치하여야 할 출입금지 표지의 색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바탕 : 노란색, 기본모형 : 검정색, 관련부호 : 검정색, 그림: 검정색
  2. 바탕 : 흰색, 기본모형 : 빨간색, 관련부호 : 검정색, 그림: 검정색
  3. 바탕 : 흰색, 기본모형 : 녹색, 관련부호 : 녹색, 그림: 검정색
  4. 바탕 : 파란색, 기본모형 : 빨간색, 관련부호 : 흰색, 그림: 검정색
(정답률: 89%)
  • 조립ㆍ해체 작업장 입구에 설치되는 출입금지 표지는 위험을 경고하고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장 적합한 색체는 바탕이 흰색이고, 기본모형이 빨간색, 관련부호가 검정색, 그림이 검정색인 것입니다. 흰색은 경고와 주의를 더욱 강조하며, 빨간색은 위험을 상징하는 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검정색은 강조와 대비를 더해주며, 그림이 검정색인 것은 시인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탕이 노란색, 녹색, 파란색인 것보다는 바탕이 흰색인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년도 어느 건설회사의 년간 국내공사 실적액이 300억원이고, 이 해의 노무비율은 0.21 이며, 이 회사의 1일 평균임금은 73000원으로 평가되었다. 이 회사의 환산재해율을 산정하기 위한 상시근로자수는 약 얼마인가? ( 단, 월 평균 근로일수는 24일로 한다.)

  1. 300명
  2. 350명
  3. 400명
  4. 450명
(정답률: 41%)
  • 노무비율은 노동비/실적액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노동비는 300억원 x 0.21 = 63억원이다. 이 회사의 1일 평균임금은 73000원이므로, 1년간의 평균 근로일수는 24일 x 12개월 = 288일이다. 따라서 상시근로자 1명의 연간 임금은 73000원 x 288일 = 21,024,000원이다. 이 회사의 노동비를 상시근로자 1명의 연간 임금으로 나누면, 63억원 ÷ 21,024,000원 ≈ 300명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0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A 사업장에서 지난 해 2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1건(재해자수 : 5명) 은 재해조사표를 작성, 보고하였지만, 1건은 재해자가 1명뿐이어서 재해조사표를 작성하지 않았으며, 보고도 하지 않았다. 동일 사업장에서 올 해 1건(재해자수 :3명)의 재해로 인하여 재해조사 중 지난 해 보고하지 않은 재해를 인지하게 된다면 이 경우 지난 해와 올 해의 재해자수는 어떻게 기록되는가?

  1. 지난 해: 5명, 올 해 : 3명
  2. 지난 해: 6명, 올 해 : 3명
  3. 지난 해: 5명, 올 해 : 4명
  4. 지난 해: 6명, 올 해 : 3명
(정답률: 82%)
  • 지난 해에는 2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1건은 재해조사표를 작성하고 보고하였으며, 재해자수는 5명이었다. 하지만 나머지 1건은 재해자가 1명뿐이어서 재해조사표를 작성하지 않았고 보고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지난 해의 총 재해자수는 5명이다. 올 해에는 1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재해조사를 하고 있는 중에, 지난 해에 보고하지 않은 재해를 인지하게 된다면, 그 재해의 재해자수는 1명이므로, 지난 해의 총 재해자수는 5명에서 1명을 더한 6명이 되고, 올 해의 재해자수는 3명이므로, 올 해의 총 재해자수는 4명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지난 해: 5명, 올 해 : 4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분리식 방진마스크 2급에서 여과재의 분진 등 포집효율은 몇 % 이상이 되도록 정하여져 있는가?

  1. 80.0
  2. 85.0
  3. 94.0
  4. 99.0
(정답률: 37%)
  • 분리식 방진마스크 2급에서는 여과재의 분진 등 포집효율이 80.0% 이상이 되도록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마스크를 사용하는 사람이 입장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먼지, 연기, 바이러스 등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구와 자재가 바닥에 어지럽게 널려 있는 작업통로를 작업자가 보행 중 공구에 걸려 넘어져 통로바닥에 머리를 부딪혔다. 이 경우 “사고유형 - 기운물 - 가해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전도 - 바닥 - 공구
  2. 낙하 - 통로 - 바닥
  3. 전도 - 공구 - 바닥
  4. 추락 - 바닥 - 공구
(정답률: 82%)
  • 정답은 "전도 - 공구 - 바닥"입니다.

    이유는 작업자가 보행 중 공구에 걸려 넘어져 머리를 부딪혔기 때문에, 공구가 가해물이 되고, 작업자가 기운물이 되며, 바닥은 사고가 발생한 장소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전도 - 공구 - 바닥"이 올바른 사고유형 연결입니다.

    그리고, 보기에서 "전도 - 바닥 - 공구"는 가해물과 기운물의 위치가 바뀌어있으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낙하 - 통로 - 바닥"은 작업자가 낙하한 것이 아니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추락 - 바닥 - 공구"는 작업자가 추락한 것이 아니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21. 작업에 수반되는 피로 예방대책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부하를 크게 할 것
  2. 불필요한 마찰을 배제할 것
  3. 작업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것
  4. 근로시간과 휴식을 적절하게 취할 것
(정답률: 80%)
  • 작업부하를 크게 할 것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예방대책으로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작업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작업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작업 방법을 개선하거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유방임형 리더쉽에 따른 집단구성원의 반응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낭비 및 파손품이 많다
  2. 리더를 타인으로 간주한다
  3. 작업의 양과 질이 우수하다
  4. 개성이 강하고, 연대감이 없어진다
(정답률: 62%)
  • 자유방임형 리더쉽에 따른 집단구성원의 반응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작업의 양과 질이 우수하다"입니다. 이는 자유방임형 리더쉽이 개인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의 양과 질이 우수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맥그리거(McGregor)의 X, Y 이론에 따라 관리를 하고자 할 때 X 이론에 가까운 작업자에게는 어떠한 동기부여가 가장 적절한가?

  1. 직무의 확장
  2. 자아의 실현
  3. 보수의 인상
  4. 작업환경의 개선
(정답률: 67%)
  • X 이론에 따르면 작업자들은 보상을 받기 위해 일을 하며, 보수의 인상은 이들에게 가장 적절한 동기부여 방법이다. 따라서 X 이론에 가까운 작업자들에게는 보수의 인상이 가장 효과적인 동기부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매슬로우(Maslow)에 의해 발표된 인간의 욕구단계 이론 중 가장 저차원적인 욕구에 해당되는 것은?

  1. 자아실현의 욕구
  2. 안전 욕구
  3. 생리적 욕구
  4. 사회적 욕구
(정답률: 73%)
  •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욕구로, 식사, 수면, 체온 조절 등과 같은 기본적인 생리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욕구이다. 따라서 인간의 욕구 중에서 가장 저차원적인 욕구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간행동의 색채조절 효과로 기대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작업환경 개선
  2. 생산 증진
  3. 피로 증진
  4. 작업능력 향상
(정답률: 64%)
  • 인간행동의 색채조절 효과로는 작업환경 개선, 생산 증진, 작업능력 향상이 기대됩니다. 그러나 피로 증진은 기대되지 않습니다. 색채조절은 작업자의 시력 부담을 줄이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이며, 작업자의 집중력과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피로 증진은 오히려 작업자의 건강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업안전보건법규에서 정하는 사업내 안전보건교육 중 건설업에 종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실시하여야 할 특별안전보건교육과정의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

  1. 1시간 이상
  2. 2시간 이상
  3. 8시간 이상
  4. 16시간 이상
(정답률: 21%)
  • 건설업에 종사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실시하여야 할 특별안전보건교육과정의 교육시간은 "16시간 이상"입니다. 이는 건설현장에서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철저한 안전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교육은 건설업 종사자가 받는 일반 안전보건교육과는 별도로 실시되며, 건설업 종사자가 아닌 사람들도 건설현장에서 일을 하게 될 경우에는 이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중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리적 사고에 대하여 사물을 이용하여 인간의 성격을 알아보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투사법
  2. 면접법
  3. 질문지법
  4. 실험법
(정답률: 70%)
  • 정답은 "투사법"입니다.

    투사법은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심리적 사고를 알아보기 위해 사물을 이용하여 인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상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감정을 자신에게 투사하여 그 대상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상이 그림을 그리면 그림 속에 자신의 감정이나 성격이 투사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방법은 대상이 자신의 내면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대상의 심리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Project method 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동기부여가 충분하다.
  2. 현실적인 학습방법이다.
  3. 창조력이 생긴다.
  4. 시간과 에너지가 적게 소비된다.
(정답률: 72%)
  • 시간과 에너지가 적게 소비된다는 것은 Project method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roject method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창조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는 것은 Project method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학습전이(Transference)의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학습정도
  2. 학습자의 태도
  3. 학습시간
  4. 학습자의 지능
(정답률: 44%)
  • 학습전이란 이전에 학습한 내용이나 경험이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학습한 내용과 새로운 상황이 유사해야 합니다. 따라서 학습정도나 학습자의 태도, 지능은 학습전이의 조건으로서 중요하지만, 학습시간은 유사성을 갖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즉, 학습한 내용과 새로운 상황이 유사하다면 학습시간이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학습전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위험예지훈련 4R 방식 중 위험의 포인트를 결정하여 지적 확인하는 단계로 옳은 것은?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정답률: 62%)
  • 2단계는 위험의 포인트를 결정하여 지적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파악하고, 그 부분을 개선하여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2단계는 위험예지훈련 4R 방식 중에서 위험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주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의 집중은 리듬을 가지고 변한다.
  2. 주의력을 강화하면 그 기능은 저하된다.
  3. 많은 것에 대하여 동시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다.
  4. 주의는 중심에서 벗어나면 급격히 저하된다.
(정답률: 63%)
  • "주의력을 강화하면 그 기능은 저하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주의력을 강화하면 더 많은 것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고, 더 오래 집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부주의의 발생 원인 중 내적 조건에 속하는 것은?

  1. 의식의 우회
  2. 작업조건의 악화
  3. 환경조건의 악화
  4. 작업순서의 부자연성
(정답률: 82%)
  • 내적 조건은 개인의 인지, 태도, 행동 등과 관련된 요인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의식의 우회"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문제를 인식하지 않거나, 문제를 인식하더라도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선택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인지적 한계, 태도, 동기 부족 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부주의의 발생 원인 중 내적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의식의 우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간의 적성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작업 분석
  2. 계발적 경험
  3. 자기 이해
  4. 적성 검사
(정답률: 57%)
  • 작업 분석은 일의 세부적인 과정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인간의 적성을 발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개인의 경험, 자기 이해, 적성 검사 등을 통해 인간의 적성을 발견하는 데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방어적 기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립
  2. 승화
  3. 보상
  4. 치환
(정답률: 50%)
  • 보상, 승화, 치환은 모두 방어적 기제에 해당되지만, 고립은 방어적 기제가 아닌 대처적 기제에 해당된다. 고립은 문제 상황에서 자신을 격리시켜 외부 자극을 피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이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사회적 관계와 소통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하버드학파의 학습지도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지시(order)
  2. 준비(Preparation)
  3. 교시(Presentation)
  4. 총괄(Generalization)
(정답률: 59%)
  • 하버드학파의 학습지도법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참여를 중요시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는 과정을 돕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지시(order)"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참여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하버드학파의 학습지도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준비(Preparation)", "교시(Presentation)", "총괄(Generalization)"은 모두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발견하는 과정을 돕는 방법으로, 하버드학파의 학습지도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소모하는 열량이 1시간에 420kcal 이다. 이 작업의 시간당 휴식시간은 약 얼마인가?(단, 작업시 평균 에너지는 5kcal/min, 휴식시 에너지는 1.5kcal/min 이다.)

  1. 16분
  2. 18분
  3. 22분
  4. 24분
(정답률: 41%)
  • 작업을 1시간 동안 하면 총 소모하는 열량은 420kcal이므로, 1분당 평균 에너지 소모량은 420/60 = 7kcal이다.

    작업시간을 x시간이라고 하면, 작업시간 동안 소모하는 열량은 5x×60 = 300x kcal이다.

    휴식시간을 y시간이라고 하면, 휴식시간 동안 소모하는 열량은 1.5y×60 = 90y kcal이다.

    작업과 휴식을 번갈아가며 하므로, 총 소모하는 열량은 작업시간 동안 소모하는 열량과 휴식시간 동안 소모하는 열량의 합과 같다.

    따라서, 300x + 90y = 420

    이 식을 x에 대해 정리하면, x = (420 - 90y) / 300 = (14 - 3y) / 10 이다.

    x는 작업시간이므로, 정수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y는 2, 4, 6, 8, 10, 12, 14 중 하나이다.

    하지만, y가 14일 경우 x가 음수가 되므로 제외한다.

    따라서, y는 2, 4, 6, 8, 10, 12 중 하나이다.

    y가 2일 때 x는 1.2, y가 4일 때 x는 0.9, y가 6일 때 x는 0.6, y가 8일 때 x는 0.3, y가 10일 때 x는 0, y가 12일 때 x는 -0.3이다.

    x는 작업시간이므로, 양수여야 한다. 따라서, y가 2, 4, 6, 8 중 하나일 때 x는 양수이다.

    y가 2일 때 x는 1.2, y가 4일 때 x는 0.9, y가 6일 때 x는 0.6, y가 8일 때 x는 0.3이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1시간이므로 휴식시간은 22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육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강의법에 비해 실제 업무 현장에의 전이를 촉진한다.
  2.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를 준다.
  3.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4.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향상된다.
(정답률: 48%)
  • 사례연구법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난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참여자들은 자신의 무의식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며,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를 준다."는 사례연구법의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착시현상 중에서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데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잔상
  2. 원근 착시
  3. 가현운동
  4. 침착성 및 도덕성의 결여
(정답률: 71%)
  • 가현운동은 정지된 대상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심리적인 현상입니다. 이는 뇌가 시각적 자극을 처리하는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뇌는 시각적 자극을 일정한 패턴으로 처리하여 움직임을 인지합니다. 따라서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정지된 대상은 뇌에서 움직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가현운동은 영상, 광고 등에서 활용되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안전사고의 원인 중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기계설비의 결함
  2. 주의력의 산만
  3. 일관성의 원리
  4. 계속성의 원리
(정답률: 59%)
  • 기계설비의 결함은 안전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기계나 장비의 설계, 제조, 유지보수 등에서 결함이 발생하거나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계나 장비의 작동 중 문제가 발생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계나 장비의 결함을 사전에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학습이론 중 S - R 이론에서 조건반사설에 의한 학습 이론의 원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간의 원리
  2. 기억의 원리
  3. 일관성의 원리
  4. 계속성의 원리
(정답률: 43%)
  • S-R 이론에서 조건반사설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자극이 반응을 유발하면서 학습이 일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기억의 원리"는 S-R 이론에서 조건반사설에 해당되지 않는다. 기억은 학습의 결과물이지만, 조건반사설에서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기억과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인간의 심리적 조건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빛의 반사를 고려하여 기계설비의 배치에 도움이 되도록 색채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색채조절이라 한다. 다음 중 색채조절에 따라 기계의 본체에 가장 적합한 색상은?

  1. 녹색계통
  2. 황색계통
  3. 갈색계통
  4. 청색계통
(정답률: 53%)
  • 녹색계통이 기계의 본체에 가장 적합한 색상이다. 이는 인간의 시각 체계에서 녹색은 다른 색상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녹색은 인간의 눈에 가장 자연스러운 색상 중 하나이며, 긴 시간 동안 바라봐도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녹색은 빛의 반사율이 높아서 어둡거나 적은 조명에서도 잘 보이기 때문에 기계설비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외부로부터 별도의 반응을 요하는 여러 가지의 자극이 주어졌을 때 인간이 반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선택 반응시간이라고 한다. 자극의 수를 N 이라 할 때 다음중 선택 반응시간 T 와의 관계식으로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것은?(단, a,b 는 관련 동작 유형에 관계된 실험 상수이다.)

  1. T = (a + b)ㆍN
  2. T = aㆍN!+b
  3. T = a + bㆍen
  4. T = a + bㆍlog2N
(정답률: 32%)
  • 선택 반응시간은 자극의 수 N과 관련된 로그 함수의 형태를 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자극이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더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T = a + bㆍlog2N이 가장 적절한 관계식이다. 이 식에서 a는 자극이 없을 때의 반응시간, b는 자극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로그 함수의 밑이 2인 이유는 인간의 정보처리 능력이 2진법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극의 수가 2의 배수로 증가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청각적 표시장치와 시각적 표시장치 중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정보가 간단할 때
  2. 정보가 일저이간 경과 후 재참조 될 때
  3.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일 때
  4. 정보전달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
(정답률: 58%)
  • 정보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재참조 될 때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청각적 표시장치보다 시각적 표시장치가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재참조할 때 빠르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보가 간단할 때는 시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충분하며,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일 때는 시각적 표시장치보다는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정보전달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할 때도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조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명이 밝을수록 생산량은 계속 증가한다.
  2. 반사광은 세밀한 작업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3. 독서를 하는 경우에는 직접조명이 더 효과적이다.
  4. 작업장의 경우 공간 전체에 빛이 골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7%)
  • 작업장에서는 공간 전체에 빛이 골고루 퍼지게 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곳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잘못된 것은?

  1.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 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2.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 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3.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4.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정답률: 41%)
  •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 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300m 이상의 거리에서는 공기의 저항으로 인해 진동수가 높아지면 감쇠되기 때문에, 더 높은 진동수를 사용해도 효과가 없다. 따라서 1000Hz 이하의 진동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표시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조종장치 간의 위치 또는 배열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간공학적 설계원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개념양립성
  2. 공간양립성
  3. 운동양립성
  4. 문화양립성
(정답률: 49%)
  • “표시장치와 이에 대응하는 조종장치 간의 위치 또는 배열이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는 인간공학적 설계원리 중에서도 인간의 시각적, 공간적인 인지능력과 관련된 것이다. 이를 공간양립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양립성"이다. 이 원리는 사용자가 표시장치와 조종장치를 쉽게 인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와 배열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간의 감각 중 반응시간이 가장 빠른 것은?

  1. 시각
  2. 통각
  3. 청각
  4. 미각
(정답률: 56%)
  • 청각은 소리가 발생하는 순간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가장 빠릅니다. 시각이나 통각은 물체나 자극이 발생한 후에야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시간이 더 느립니다. 미각은 입안에 음식물이 들어와야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나 그 부품에 파손•고장이나 기능 불량이 발생 하여도 항상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ail safety system
  2. Lock system
  3. Monitoring system
  4. Fool proof system
(정답률: 62%)
  • "Fail safety system"은 파손, 고장, 기능 불량 등이 발생해도 시스템이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Lock system"은 잠금 시스템, "Monitoring system"은 모니터링 시스템, "Fool proof system"은 실수 방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시스템의 안전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Fail safety system"과 같이 시스템이 파손, 고장, 기능 불량 등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더라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구조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가리키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현실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하는 때에는 정비나 보수가 필수 불가결한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들로 인해시스템의 신뢰도 함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는?

  1. 대기구조
  2. n중k구조
  3. 병렬구조
  4. 직렬구조
(정답률: 42%)
  • 직렬구조는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요소의 고장이 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비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시스템 전체를 중단시켜야 하므로 시스템의 신뢰도 함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최소 컷셋(Minumal cut set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2. 어느 고장이나 에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3.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4.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이다.

    최소 컷셋은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시스템 내의 모든 기본사상들을 포함하는 최소한의 기본사상 집합을 의미한다. 이때, 최소 컷셋은 다른 컷셋을 포함하지 않는 최소한의 집합이어야 하므로,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은 FT도에서 각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이 다음과 같을 때의 발생확률은 얼마인가?

  1. 0.078
  2. 0.128
  3. 0.651
  4. 0.782
(정답률: 52%)
  • 각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을 곱해서 해당 사상이 발생할 확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번째 사상이 발생할 확률은 0.4 × 0.3 × 0.2 = 0.024 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사상의 발생확률을 구하고, 이들을 모두 더하면 전체 발생확률이 됩니다. 따라서, 각 사상의 발생확률을 곱한 값들의 합이 0.078이므로, 정답은 0.07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의 고장을 분석하는 데에는 고장밀도함수 f(t)보다 고장률함수 λ(t)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장률함수 λ(t)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단, R(t)는 신뢰도함수, F(t)는 불신뢰도함수를 의미한다.)

(정답률: 39%)
  • 고장률함수 λ(t)는 단위 시간당 시스템이 고장나는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고장을 분석할 때는 시간에 따른 고장률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장밀도함수 f(t)는 시스템이 특정 시간 t에서 고장할 확률밀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하지만 이는 시간에 따른 고장률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히 특정 시간에서의 고장 확률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시스템의 고장을 분석하는 데에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고장률함수 λ(t)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이다. 이는 시간에 따른 고장률의 변화를 고려한 함수로, 시스템의 고장을 분석하는 데에 더 적합하다.

    그리고 고장률함수 λ(t)와 신뢰도함수 R(t), 불신뢰도함수 F(t)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λ(t) = f(t) / R(t) = -dF(t) / dt

    즉, 고장률함수 λ(t)는 고장밀도함수 f(t)와 신뢰도함수 R(t), 불신뢰도함수 F(t)의 관계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에서 정량적 평가의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압력
  2. 온도
  3. 공정
  4. 설비용량
(정답률: 55%)
  •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에서 "공정"은 정량적인 평가 항목이 아니라, 설비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인적 요인, 운영 절차, 유지 보수 등의 관리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리스크(Risk)에 대하여 바르게 나타낸 식은?

  1. 피해의 크기 × 발생확률
  2. 노동손실일수 × 총 노동시간
  3. 발생확률 × 총 노동시간
  4. 피해의 크기 × 재해발생건수
(정답률: 46%)
  • 정답: "피해의 크기 × 발생확률"

    이유: 리스크는 어떤 사건이 발생할 때 그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의 크기와 그 사건이 발생할 확률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해의 크기 × 발생확률"이 올바른 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피해의 크기나 발생확률만 고려하고 있어서 올바른 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불대수(Boolean Algebra) 식에서 틀린 것은?

  1. A + A = A
  2. Aㆍ(BㆍC) = (AㆍB)ㆍC
(정답률: 19%)
  • 틀린 것은 ""이다. 이유는 논리곱(AND) 연산에서 모든 항목이 참(True)이어야 결과가 참(True)이 되는데, A와 A'는 모순이므로 항목 중 하나가 거짓(False)이므로 결과는 거짓(False)이 된다. 따라서 ""는 틀린 불대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그림과 같이 7개의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이 있다. 각 기기의 신뢰도가 보기와 같은 경우 이 시스템의 신뢰도는 얼마인가?

  1. 0.5552
  2. 0.6234
  3. 0.7427
  4. 0.9740
(정답률: 44%)
  • 이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각 기기의 신뢰도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0.9 × 0.8 × 0.95 × 0.85 × 0.99 × 0.9 × 0.95 ≈ 0.5552 이므로 정답은 0.55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손이나 특정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누적손상장애(CTDs)의 발생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리한 힘
  2. 다습한 환경
  3. 장시간의 진동
  4. 반복도가 높은 작업
(정답률: 69%)
  • 다습한 환경은 손이나 특정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누적손상장애(CTDs)의 발생 인자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다습한 환경에서는 손이나 피부가 습기를 흡수하여 부력이 감소하고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손이나 피부에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의 부위에 부담이 더해져 CTDs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환경에서는 적절한 환기와 습도 조절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작자와 제어버튼 사이의 거리,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정할 때 적용되는 인체측정자료 응용원칙은 어느 것인가?

  1. 평균치 설계원칙
  2. 최대치 설계원칙
  3. 최소치 설계원칙
  4. 조절식 설계원칙
(정답률: 31%)
  • 최소치 설계원칙은 인체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제품의 조작성을 개선할 때, 사용자들이 최소한의 불편함과 피로를 느끼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조작자와 제어버튼 사이의 거리나 조작에 필요한 힘 등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편의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 안전해석 방법 중 "HAZOP"에서 “완전 대체”를 의미하는 유인어는?

  1. NOT
  2. REVERSE
  3. PART OF
  4. OTHER THAN
(정답률: 71%)
  • HAZOP에서 "완전 대체"를 의미하는 유인어는 "OTHER THAN"이다. 이는 해당 시스템에서 이미 사용 중인 것과는 다른 대체 방법을 찾으라는 뜻이다. "NOT"은 해당 사항이 아님을 나타내는 것이고, "REVERSE"는 순서나 방향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PART OF"는 시스템의 일부를 대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점멸-융합(flicker-fusion) 주파수의 용도로 옳은 것인가??

  1. 야간 시력의 척도
  2. 반응 시간의 척도
  3. 피로 정도의 척도
  4. 적외선 감지 능력의 척도
(정답률: 25%)
  • 정답은 "피로 정도의 척도"입니다.

    점멸-융합 주파수는 눈이 반복적으로 깜빡이는 속도에 따라 인식하는 능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피로 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즉, 피로가 심해지면 눈이 더 빨리 피로해져서 더 높은 주파수에서 깜빡임을 인식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점멸-융합 주파수는 피로 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점멸-융합 주파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시공학

61. 콘크리트 공사의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응결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는 줄눈은?

  1.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2. 콘트롤 조인트(Control joint)
  3. 콘트락션 조인트(Contraction joint)
  4. 콜드 조인트(Cold joint)
(정답률: 78%)
  • 콜드 조인트는 시공과정 중 응결된 콘크리트와 새로운 콘크리트가 이어져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는 줄눈입니다. 이는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콜드 조인트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급업자의 선정방식 중 공개경쟁입찰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일반업자에게 균등한 기회를 준다.
  2. 부적격업자에게 낙찰될 우려가 없다.
  3. 응찰자가 많으므로 담합의 소지가 적다.
  4. 경쟁으로 인한 공사비가 절감된다.
(정답률: 68%)
  • 공개경쟁입찰은 일반업자에게 균등한 기회를 주고, 응찰자가 많으므로 담합의 소지가 적어지며, 경쟁으로 인한 공사비가 절감됩니다. 하지만 부적격업자에게 낙찰될 우려가 없다는 것은 공개경쟁입찰의 장점이 아닙니다. 오히려 부적격업자가 참여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검토하고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면에 기계를 두고 깊이 8m 정도의 연약한 지반의 깊은 기초 흙파기를 할 때 사용하는 기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파워 쇼벨(power shovel)
  2. 불도우저(bull dozer)
  3. 백호우(back hoe)
  4. 드래그라인(drag line)
(정답률: 50%)
  • 드래그라인은 큰 크레인과 유사한 형태의 기계로, 큰 버킷을 이용하여 지면을 파내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깊이 8m 정도의 연약한 지반의 깊은 기초 흙파기에 가장 적합한 기계입니다. 반면, 파워 쇼벨은 작은 깊이의 흙파기에 적합하며, 불도우저와 백호우는 지형 조성이나 평탄화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웰 포인트 공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접지반의 침하를 야기시키기 쉽다.
  2. 흙막이의 토압이 경감된다.
  3. 점토질 지반의 배수에 효과가 크다
  4. 흙의 전단저항이 증가된다.
(정답률: 30%)
  • "점토질 지반의 배수에 효과가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웰 포인트 공법은 인접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고 흙막이의 토압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흙의 전단저항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점토질 지반의 배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웰 포인트 공법은 점토질 지반에서도 적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강재말뚝공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지층에 깊이 박을 수 있다
  2.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이 크다.
  3. 중량이 가볍고, 단면적이 작다
  4. 부식에 따른 내구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3%)
  • 강재말뚝공법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부식에 따른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다. 이유는 강재는 부식에 취약하므로 부식 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현장 철골 세우기 작업순서로 옳은 것은?

  1. (1)-(4)-(3)-(2)-(5)
  2. (1)-(3)-(4)-(5)-(2)
  3. (1)-(4)-(3)-(5)-(2)
  4. (1)-(3)-(2)-(4)-(5)
(정답률: 60%)
  • 1. 기초공사 - 지반을 굳게 다져주는 작업으로, 철골을 세울 기초를 만드는 작업이다.
    2. 철골 조립 - 철골을 설계도에 맞게 조립하는 작업이다.
    3. 철골 세우기 - 조립된 철골을 세우는 작업이다.
    4. 철골 연결 - 세워진 철골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이다.
    5. 철골 보강 - 철골 구조물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보강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철골 세우기 작업순서는 (1)-(4)-(3)-(2)-(5)이다. 기초공사를 먼저 하고, 철골을 조립하고, 세우고, 연결하고,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은?

  1. 클램프
  2. 후커
  3. 세퍼레이터
  4. 인서트
(정답률: 55%)
  • 세퍼레이터는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는 철근이 콘크리트 안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건축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클램프는 부품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며, 후커는 물건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인서트는 철근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부온도가 최고온도에 달한 후는 보온하여 중심부의 온도 강하 속도가 크지 않도록 양생한다.
  2. 부어넣는 콘크리트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5°C 이하로서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3. 이어붓기시간간격은 외기온이 25°C 미만일 때는 120분으로 한다.
  4. 28일을 초과하는 재령을 기준으로 계획배합을 정할 경우, 기준으로 하는 재령은 42일까지로 한다.
(정답률: 49%)
  • 28일을 초과하는 재령을 기준으로 계획배합을 정할 경우, 기준으로 하는 재령은 42일까지로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매스콘크리트는 대용량의 콘크리트를 한 번에 부어넣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이 때, 내부온도, 부어넣는 콘크리트의 온도, 이어붓기 시간 간격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내부온도가 최고온도에 달한 후는 보온하여 중심부의 온도 강하 속도가 크지 않도록 양생하고, 부어넣는 콘크리트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35°C 이하로서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또한 이어붓기 시간 간격은 외기온이 25°C 미만일 때는 120분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28일을 초과하는 재령을 기준으로 계획배합을 정할 경우, 기준으로 하는 재령은 42일까지로 한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기를 의미하는데,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계획배합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철골의 공장 가공 공정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원척도작성 - 본뜨기 - 금매기 - 절단 - 가조립 - 리벳치기
  2. 원척도작성 - 금매기 - 본뜨기 - 절단 - 가조립 - 리벳치기
  3. 원척도작성 - 본뜨기 - 절단 - 금매기 - 구멍뜷기 - 리벳치기
  4. 원척도작성 - 금매기 - 본뜨기 - 절단 - 구멍뜷기 - 리벳치기
(정답률: 40%)
  • 철골 가공 공정순서는 원척도작성부터 시작하여, 본뜨기로 철근을 구부려 형상을 만들고, 금매기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필요한 크기로 만듭니다. 그 후 절단으로 전체적으로 자르고, 가조립으로 부품을 조립합니다. 마지막으로 리벳치기로 부품을 고정시킵니다. 따라서, "원척도작성 - 본뜨기 - 금매기 - 절단 - 가조립 - 리벳치기"가 올바른 공정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조적조 벽에 생기는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줄눈 모르타르에 방수제를 바른다.
  2. 흡수율이 작고 고온소성 벽돌을 사용한다.
  3. 벽돌면에 실리콘을 뿜칠한다.
  4. 줄눈 모르타르에 석회를 사용한다.
(정답률: 59%)
  • 줄눈 모르타르에 석회를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한 대책입니다. 이유는 석회는 백화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석회는 주로 건축물의 표면을 보호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건축물 내부에서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대책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암석의 분류상 변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안산암
  2. 반려암
  3. 사문암
  4. 석회암
(정답률: 39%)
  • 변성암은 고온과 고압에 의해 기존의 암석이 변형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사문암은 고온과 고압에 의해 변형된 암석으로, 화강암, 섬록암, 현무암 등이 변성되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사문암은 변성암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벽돌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어느 것인가?

  1. 흡수율 및 인장강도
  2. 흡수율 및 전단강도
  3. 흡수율 및 휨강도
  4. 흡수율 및 압축강도
(정답률: 61%)
  • 벽돌의 흡수율은 비가 내리거나 습한 환경에서 벽돌이 물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압축강도는 벽돌이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벽돌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항은 흡수율 및 압축강도입니다. 이는 벽돌이 내구성이 높고, 습기에 강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품질관리(TQC)를 위한 7가지 도구 중에서 불량수, 결점수등 셀 수있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었을 때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 가를 알기 쉽도록 한 그림 또는 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히스토그램
  2. 체크 시이트
  3. 파레토도
  4. 산포도
(정답률: 43%)
  • 정답: 체크 시트

    체크 시트는 품질관리(TQC)를 위한 7가지 도구 중 하나로, 불량수, 결점수 등 셀 수 있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항목별로 나누었을 때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알기 쉽도록 한 그림 또는 표를 말합니다. 따라서, 불량이나 결점 등을 체크하여 집중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히스토그램은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파레토도는 문제의 중요도를 파악하는 그래프, 산포도는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흙막이 공법 중 슬러리월(slurry wall)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 소음이 적다.
  2.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3. 차수효과가 확실하다.
  4. 기계, 부대설비가 소형이서 소규모 현장의 시공에 적당하다.
(정답률: 72%)
  • "기계, 부대설비가 소형이서 소규모 현장의 시공에 적당하다."는 슬러리월 공법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작은 공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작은 기계와 부대설비를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의 중성화 이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중에 있는 강재는 콘크리트의 중성화가 진행되면 철근의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어 녹이 발생한다.
  2. 중성화 측정시 페놀프탈레인 1%의 에탄올용액을 분사시켜 분홍색으로 착색된 부분이 중성화된 부위이다.
  3. 중성화의 깊이는 시멘트 품질, 골재의 품질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 물ㆍ시멘트비가 작은 콘크리트일수록 중성화 속도는 늦다.
(정답률: 44%)
  • "중성화 측정시 페놀프탈레인 1%의 에탄올용액을 분사시켜 분홍색으로 착색된 부분이 중성화된 부위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페놀프탈레인이 산성과 염기성 용액에서 각각 분홍색과 노란색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중성화된 부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사계약형태로서의 BOT방식(Build-Operate-Transfer contract)을 설명한 내용이라고 보기에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사회간접자본(SOC : Social Overhead Capital)의 민간투자유치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2. 발주처의 사무가 번잡해 지고 도급공사의 경우에 비하여 경제적 개념이 희박하고 종업원으 능률이 저하 되어 결국 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기한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3. 도급자가 자금을 조달하고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의 전부를 도급받아 시설물을 완성하고 그 시설을 일정기간 운영하는 것으로, 운영수입으로부터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그 시설을 인도하는 방식이다.
  4. 수입을 수반한 공공 혹은 공익 프로젝트(유료도로, 도시철도, 발전소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정답률: 70%)
  • 발주처의 사무가 번잡해 지고 도급공사의 경우에 비하여 경제적 개념이 희박하고 종업원의 능률이 저하되어 결국 공사비가 증대되고 공사기한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 BOT 방식의 단점을 설명한 것이므로 부적절한 것이 아니다.

    BOT 방식은 민간투자를 유치하여 공공 혹은 공익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식으로, 발주처의 사무가 번잡해지는 것은 당연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BOT 사업을 추진하는 전문적인 기관이나 조직이 필요하다. 또한, BOT 방식은 자금 조달,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운영 등 모든 과정을 도급받아 수행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높을 수 있다. 단, 이를 위해서는 신중한 계약 체결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철골 세우기용 기계설비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므로 건물의 층수가 적은 긴 평면에 유리하며 회전범위가 270°인 것은?

  1. 가이데릭(Guy derrick)
  2. 스티프레그 데릭(stiff-leg derrick)
  3. 트럭 크레인(truck crane)
  4.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룰(plate straining roll)
(정답률: 58%)
  • 스티프레그 데릭은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범위가 270°이므로 건물의 층수가 적은 긴 평면에 유리합니다. 이는 건물의 구조물을 세울 때 필요한 철골을 세우는 데 사용되는 기계설비로,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에 수평으로 뻗은 두 개의 다리가 있고, 그 사이에 기계장치가 달려있습니다. 이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철골을 들어올리고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현장타설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할 수 있는 리버스서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 Drill)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토, 실트층 등에 사용한다.
  2. 시공심도는 30~70m 정도이다.
  3. 시공직경은 0.5m 정도이다.
  4. 지하수위보다 2m 이상 물을 채워 정수압으로 공벽을 유지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시공직경은 0.5m 정도이다." 이다. 리버스서큘레이션 공법은 대형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형 장비로, 시공직경은 보통 1m 이상이다. 따라서 0.5m는 너무 작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철골공사에서 용접불량과 관계없는 것은?

  1. 엔드탭(end tab)
  2. 언더컷(under cut)
  3. 오버랩(over lap)
  4. 피트(pit)
(정답률: 61%)
  • 철골공사에서 용접불량과 관계없는 것은 "엔드탭(end tab)"입니다. 엔드탭은 철골 구조물에서 연결부위의 끝단에 위치한 부분으로, 용접이 아닌 볼트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용접불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언더컷, 오버랩, 피트는 모두 용접불량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굴착지반이 연약하여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흙파기 공법은?

  1. 트렌치 컷(Trench cut)공법
  2. 아일랜드 컷(Island cut)공법
  3. 흙막이 오픈 컷(Open cut)공법
  4. 비탈면 오픈 컷(Open cut)공법
(정답률: 59%)
  • 트렌치 컷 공법은 굴착지반이 연약하여 구조물 위치 전체를 동시에 파내지 않고, 측벽을 먼저 파내고 그 부분의 기초와 지하구조체를 축조한 다음 중앙부의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지하구조물을 완성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트렌치 컷(Trench cut)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재료학

81. 철강의 부식 및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식법 중 아연피복은 대기중에서 상당히 내구력이 있다.
  2. 철강의 표면은 대기중의 습기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녹을 발생시킨다.
  3. 공기나 탄산가스가 적은 땅 속에서는 대기중 보다도 오히려 부식이 적다.
  4. 일반적으로 산에는 부식되지 않으나 알칼리에는 부식된다.
(정답률: 53%)
  • 일반적으로 산에는 부식되지 않으나 알칼리에는 부식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산성 환경에서는 철강이 부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산성 환경에서 철이 이온화되어 철 이온이 생성되고, 이 철 이온이 물과 반응하여 수소 가스와 철의 산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성 환경에서는 철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식을 채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목재의 수축팽창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변재는 심재보다 수축률 및 팽창률이 일반적으로 크다.
  2.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이 클수록 수축률 및 팽창률이 커진다.
  3. 수종에 따라 수축률 및 팽창률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4. 수축이 과도하거나 고르지 못하면 할열, 비틀림 등이 생긴다.
(정답률: 50%)
  • 정답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이 클수록 수축률 및 팽창률이 커진다."이다. 이유는 함수상태에서는 이미 수축 및 팽창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함수율이 높아져도 더 이상 수축 및 팽창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상태에서는 함수율과 수축 및 팽창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열경화성 합성수지는?

  1. 페놀수지
  2. 염화비늘수지
  3. 아크릴수지
  4. 폴리에틸렌수지
(정답률: 32%)
  • 페놀수지는 열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경화성 합성수지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페놀수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아스팔트에 있어서 침입도, 점도, 경도, 연신도 등에 가장 큰영향을 주는 것은?

  1. 수분
  2. 온도
  3. 압력
  4. 비중
(정답률: 37%)
  • 아스팔트는 온도에 매우 민감한 재료입니다. 높은 온도에서는 침입도가 높아지고, 점도가 낮아지며, 경도가 낮아지고, 연신도가 높아집니다. 반면에 낮은 온도에서는 침입도가 낮아지고, 점도가 높아지며, 경도가 높아지고, 연신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강의 종류와 해당 용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연강: 스프링, 강선
  2. 극연강: 리벳, 철선
  3. 반경강: 레일
  4. 경강: 공구, 실린더재
(정답률: 27%)
  • 연강은 스프링과 같은 연속적인 금속재료를 만들기 위한 강종이며, 강선은 전기선과 같은 선형적인 금속재료를 만들기 위한 강종입니다. 따라서 "연강: 스프링, 강선"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석고플라스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미장재료 중 점성이 가장 작다.
  2. 경화시간이 극히 짧다.
  3. 내화성이 높다.
  4. 경화ㆍ건조사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24%)
  • 정답: "경화시간이 극히 짧다."

    석고플라스터는 미장재료 중 점성이 가장 작은 것으로, 물에 녹아들어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화성이 높아서 화재에도 강하며, 경화ㆍ건조사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서 변형이 적습니다. 하지만 경화시간은 비교적 오래 걸리는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점성을 높이기 위하여
  3.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4. 레이턴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답률: 65%)
  •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가장 주된 이유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입니다. 여물은 반죽 내부의 수분을 조절하여 반죽이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며, 이는 반죽이 균일하게 발효되어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조강포틀랜드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중공사에 사용이 가능하다.
  2. 매스콘크리트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3. 경화에 따른 수화열이 크다.
  4. 공사속도를 빨리 할 수 있다.
(정답률: 49%)
  •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매스콘크리트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시멘트이므로, "매스콘크리트용으로 주로 사용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표준형 내화벽돌 중 보통형의 기본치수는?

  1. 190mm×90mm×57mm
  2. 230mm×114mm×65mm
  3. 210mm×100mm×60mm
  4. 230mm×114mm×85m
(정답률: 27%)
  • 표준형 내화벽돌 중 보통형의 기본치수는 "230mm×114mm×65mm" 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벽돌의 기본치수로, 230mm는 벽돌의 가로 길이, 114mm는 세로 길이, 65mm는 높이를 나타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이와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보통 포틀랜드시멘트 제조시 석고를 혼합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색깔을 조정하기 위하여
  2.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3. 급속한 응결을 막기 위하여
  4. 분말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답률: 61%)
  • 포틀랜드시멘트는 물과 혼합되면 급속하게 응결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석고를 혼합합니다. 석고는 시멘트와 반응하여 응결속도를 늦추고, 시멘트의 강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급속한 응결을 막아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트래버틴(traver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석질이 불균일하고 다공질이다.
  2. 특수 외장용 장식재로서 주로 사용된다.
  3. 변성암으로 황갈색의 반문이 있다.
  4. 탄산석회를 포함한 물에서 침전, 생성된 것이다.
(정답률: 52%)
  • 트래버틴은 특수 외장용 장식재로 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축재료나 바닥재, 실내장식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골재로서 사용할 모래의 절건밀도는 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2. 잔골재의 최대 염화물 이온 함유량은 질량백분율로 0.05%이다.
  3.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골재는 사용할 수 없다.
  4. 잔골재로서 사용할 모래의 흡수율은 3.0% 이하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29%)
  • 잔골재의 최대 염화물 이온 함유량은 질량백분율로 0.05%이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염화물 이온이 콘크리트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콘크리트 제조 시 사용되는 잔골재는 최대한 염화물 이온 함유량이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의 합성수지 접착제 중 금속접착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요소수지 접착제
  2. 페놀수지 접착제
  3. 멜라민수지 접착제
  4. 에폭시수지 접착제
(정답률: 65%)
  • 금속 접착에 가장 알맞은 것은 에폭시수지 접착제입니다. 이는 강력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며, 금속과 다양한 재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온과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산업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점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질의 점토는 건조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내며 점토 집자가 미세할수록 가소성은 나빠진다.
  2. 점토의 주성분은 실리카와 알루미나이다.
  3. 인장강도는 점토의 조직에 관계하며 입자의 크기가 큰 영향을 준다.
  4. 점토제품의 색상은 철산화물 또는 석회물질에 의해 나타난다.
(정답률: 57%)
  • "양질의 점토는 건조상태에서 현저한 가소성을 나타내며 점토 집자가 미세할수록 가소성은 나빠진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점토 입자가 미세할수록 표면적 대비 첨가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입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져 가소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플라스틱 건설재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플라스틱은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작다.
  2.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크며, 각종 변화가 다양하다.
  3. 직사일광에 의한 자외선폭로나 열적변화의 영향 등에 따라 강도저하, 노화 등이 발생된다.
  4. 하중과 신장이 후크의 법칙에 적용되지 않지만, 응력변화에 있어서 명확한 탄성한계으 구별이 용이하다.
(정답률: 26%)
  • 플라스틱은 하중과 신장이 후크의 법칙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플라스틱 역시 탄성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탄성한계 이상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건설재료를 설계할 때에도 탄성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표건상태의 잔골재 500g을 건조시켜 기건상태에서 측정한 결과 460g, 절건상태에서 측정한 결과 450g이었다. 이 잔골재의 흡수율은?

  1. 8%
  2. 8.8%
  3. 10%
  4. 11.1%
(정답률: 53%)
  • 흡수율은 (기준중량-측정중량)/기준중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 기준중량은 표건상태의 잔골재의 무게인 500g이다. 따라서,

    흡수율 = (500-450)/500 x 100 = 50/500 x 100 = 10%

    하지만, 문제에서 측정한 결과는 절건상태에서의 무게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흡수율을 계산해야 한다. 절건상태에서의 무게는 기준중량보다 더 가벼우므로, 흡수율이 더 높아진다.

    기준중량 대비 절건상태에서의 무게의 차이는 500-450 = 50g 이다.

    흡수율 = (기준중량-측정중량)/기준중량 x 100 = (50/500) x 100 = 10%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다만, 보기에서는 계산 실수로 인해 10%보다 조금 높은 값인 "11.1%"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목재의 열 및 전기에 대한 성질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목재는 조직 가운데 공간이 있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크다.
  2. 목재의 함수율이 1% 증가하면 열전도율은 2% 감소한다.
  3. 목재의 전기저항은 비중과 상관없다.
  4. 목재의 전기전도율은 함수율이 클수록 증가한다.
(정답률: 58%)
  • 목재의 전기전도율은 함수율이 클수록 증가한다. 이는 목재 내부의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질수록 전기전도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목재 내부의 공간이 많을수록 전기전도율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염해는 철근과 무관하게 콘크리트 자체가 열화되는 것을 말한다.
  2. 알칼리 골재반응은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를 구성하는 실리카광물이 반응하여 콘크리트를 팽창시키는 반응이다.
  3. 콘크리트중의 연행기포가 많을수록 동결융해저항성은 높아지나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4. 중성화현상은 경화콘크리트중의 알칼리성분이 탄산가스등의 침입으로 중화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53%)
  • 염해는 철근과 무관하게 콘크리트 자체가 열화되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염해는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철근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비중이 크고 연하면서 연성이 크며, 방사선실의 방사선 차폐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재료는?

  1. 주석
  2. 크롬
(정답률: 73%)
  • 방사선은 금속을 통과할 수 있지만, 납은 방사선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사선실의 방사선 차폐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석회암이 변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고 색채와 결이 아름다우나, 풍화하기 쉬우므로 주로 내장재로 사용되는 것은?

  1. 화강함
  2. 안산암
  3. 응회암
  4. 대리석
(정답률: 61%)
  • 석회암은 풍화하기 쉬우므로 내장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변성되어 강도가 높아진 대리석은 내장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대리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본 터널(main tunnel)을 시공하기 전에 터널에서약간 떨어진 곳에 지질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은?

  1. 파일럿(pilot) 터널
  2. 프리패브(prefab) 터널
  3. 사이드(side) 터널
  4. 쉴드(shield) 터널
(정답률: 68%)
  • 파일럿(pilot) 터널은 본 터널(main tunnel)을 시공하기 전에 지질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입니다. 이는 본 터널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으로, 파일럿 터널을 통해 지하 지형과 지반 조건을 파악하고, 본 터널의 설계와 시공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럿 터널은 터널 시공 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오일러의 좌굴하중공식 이 적용되는 기둥단부의 구속조건으로 옳은 것은?(단, ℓ은 부재의 길이)

  1. 양단고정
  2. 일단고정 타단 자유단
  3. 일단고정 타단 힌지
  4. 양단힌지
(정답률: 27%)
  • 오일러의 좌굴하중공식은 기둥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공식으로, 기둥의 길이와 단면적, 탄성계수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기둥이 안정적인지를 판단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기둥의 단부 구속조건에 따라 적용되는데, 양단힌지 구속조건은 기둥의 양쪽 끝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구속조건에서 오일러의 좌굴하중공식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단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지게차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정답률: 56%)
  •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는 지게차를 운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들이기 때문에 작업시작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이들 요소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지게차 운전 중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도 모두 중요한 요소들이며, 작업시작 전에 모두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도로건설 작업중 측구를 굴착하고자 한다. 가장 적합한 기계는 어느 것인가?

  1. 드래그라인
  2. 백호우
  3. 불도우져
  4. 그레이더
(정답률: 56%)
  • 측구 굴착 작업은 지하에 있는 파이프나 케이블 등을 노출시키기 위한 작업이므로, 지면을 깊게 파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굴착력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기계 중에서 백호우는 강력한 굴착력과 깊이 조절 기능을 갖추고 있어 적합한 기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이동식 사다리를 조립할 때 사다리의 구조에 대해 준수하여야 할 사항 중 사다리의 폭은 최소 몇 c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cm
  2. 40cm
  3. 50cm
  4. 60cm
(정답률: 21%)
  • 이동식 사다리를 조립할 때 사다리의 폭은 최소 30c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인해 사다리를 오르내릴 때 발을 굳게 붙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다리의 폭이 좁을 경우에는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동안 불안정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이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식 사다리를 조립할 때는 사다리의 폭을 최소 30cm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표준관입시험에서 30cm 관입에 필요한 타격회수(N)가 50이상 일 때 모래의 상대밀도는 어떤 상태인가?

  1. 몹시 느슨하다.
  2. 느슨하다.
  3. 보통이다.
  4. 대단히 조밀하다.
(정답률: 58%)
  • 30cm 관입에 필요한 타격회수(N)가 50이상이면 모래는 대단히 조밀한 상태이다. 이는 모래의 입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어 타격에 대한 저항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격회수가 높을수록 모래의 상대밀도는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사다리식통로 설치시 길이가 10cm 이상인 때에는 몇 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하는가?

  1. 5m
  2. 7m
  3. 9m
  4. 10m
(정답률: 60%)
  • 사다리식통로 설치시 계단참을 설치하는 간격은 2.5m 이하여도 되지만, 2.5m 이상일 경우에는 10cm 이상일 때마다 계단참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10cm = 0.1m 이므로, 1m 당 10개의 계단참이 필요하다. 따라서 5m 이내에는 50개의 계단참이 필요하므로, 정답은 "5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중 안전시설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외부인 출입금지를 위한 가설울타리
  2. 추락방지용 방망
  3. 안전대걸이용 로프
  4. 각종 안전표지 등에 소요되는 비용
(정답률: 54%)
  • 건설현장에서 안전시설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시설물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외부인 출입금지를 위한 가설울타리"는 작업자들의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안전시설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그림과 같이 두곳에 줄을 달아 총중량물으 들 때, 매단 줄의 각도(α)가 얼마일 때 힘 P의 크기가 최소인가?

  1. 60°
  2. 120°
  3. 각도와 상관없이 모두 같다.
(정답률: 39%)
  • 이 문제는 힘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문제이므로,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식을 세워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중력과 매단 줄의 각도에 의한 힘이 작용하므로,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할 수 있다.

    P = (m1 + m2)g / (2cosα)

    여기서 m1과 m2는 각각 매단 줄에 매달린 물체의 질량이고, g는 중력 가속도이다. 이 수식에서 각도 α가 작아질수록 분모의 값이 커지므로, 힘 P의 크기는 각도 α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각도와 상관없이 모두 같다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각도가 작을수록 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최소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콘크크리 타설 이후 발생되는 블리딩(bleeding)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수량을 적게 해야 한다.
  2. 분말도가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3. 골재 중 먼지와 같은 유해물의 함량을 적게 한다.
  4. AE제나 포졸란 등을 사용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분말도가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이다. 이유는 분말도가 낮은 시멘트는 입자 크기가 작아서 물과 더 잘 혼합되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면서도 블리딩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콘크리트의 밀도를 낮추는 방법이므로 옳지 않은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강관비계를 조립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띠장간격은 2m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3m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2. 강관비계 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 1.5m 내지 1.8m 이하로 할 것
  3.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 되는 지점 일부분의 비계 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60%)
  • "띠장간격은 2m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3m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이 잘못된 것이다. 이는 오타로 보이며, 실제로는 "띠장간격은 2m 이하로 설치하되,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3m 이상의 위치에 설치할 것"이 맞는 내용이다. 이유는 첫 번째 띠장이 지면과 너무 가까이 위치하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연약지반 처리공법 중 점성토지반의 개량공법이 아닌 것은?

  1. 페이드 드레잍(paper drain) 공법
  2. 여성토(preloading) 공법
  3. 바이브로 플로테이션(vibroflotation) 공법
  4. 샌드 드레인(sand drain) 공법
(정답률: 58%)
  • 바이브로 플로테이션(vibroflotation) 공법은 점성토를 개량하는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 방법은 지반을 밀어내고 진동시켜 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연약한 지반에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지름이 10cm이고 높이가. 20cm인 원기둥 콘크리트 공시체가 할렬인장강도 시험에서 10,000kg에서 파괴되었다. 이 때 콘크리트의 할렬인장강도는 몇 kg/cm2 인가?

  1. 21.8
  2. 31.8
  3. 41.8
  4. 51.8
(정답률: 52%)
  • 할렬인장강도는 파단하게 되는 힘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단면적을 구해야 한다. 원기둥의 단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이므로, 이를 계산해보면:

    반지름 = 지름/2 = 5cm
    단면적 = 반지름^2 x 파이 = 25 x 3.14 = 78.5cm^2

    따라서, 할렬인장강도는 10,000kg / 78.5cm^2 = 127.39kg/cm^2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31.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통나무비계 중 외줄비계, 쌍줄비계 또는 돌출비계의 벽이음의 간격은 수직방향에서 (①)m이하, 수평방향에서 (②)m이하로 한다. ( )안의 수치로서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5.5, 7.5
  2. 5, 5
  3. 6, 8.5
  4. 5, 7
(정답률: 49%)
  • 정답은 "5.5, 7.5"이다.

    외줄비계, 쌍줄비계, 돌출비계는 모두 통나무를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들의 벽이음 간격은 수직방향으로는 통나무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을 두어야 하며, 수평방향으로는 통나무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에서의 간격은 통나무의 높이인 약 5m 이하로 두어야 하며, 수평방향에서의 간격은 통나무의 길이인 약 7m 이하로 두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정답은 "5.5,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해체(철거)용 장비로서 작은 부재의 파쇄에 유리하고 소음ㆍ진동 및 분진이 발생되므로 작업원은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하고 특히 작업원의 작업시간을 제한하여야 하는 장비는?

  1. 압쇄기
  2. 철해머
  3. 대형 브레이커
  4. 핸드 브레이커
(정답률: 42%)
  • 해체용 장비 중에서 작은 부재의 파쇄에 유리하고 소음ㆍ진동 및 분진이 발생되는 것은 대부분의 해체용 장비들이 해당됩니다. 그러나 작업원의 작업시간을 제한하여야 하는 장비는 핸드 브레이커입니다. 이는 작은 부재를 파쇄하는 데에도 유용하면서도 작업자의 손으로 직접 조작할 수 있어서 작업시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핸드 브레이커는 작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비계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인 작업장소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해야 한다. 이때 작업발판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달비계, 대달비계 및 말비계를 제외한다.)

  1. 작업발판의 폭은 40센티미터 이상으로 한다.
  2. 작업발판재료는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2개소 이상 지지물에 연결하거나 고정한다.
  3. 추락의 위험성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4. 발판재료 같의 틈은 5센티미터 이하로 한다.
(정답률: 70%)
  • "작업발판재료 같의 틈은 5센티미터 이하로 한다."는 발판재료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등의 안전상의 이유로 발판재료 간의 간격을 좁게 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작업자가 발을 놓았을 때 발이 미끄러지거나 빠져서 추락하는 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건설현장 토사붕괴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수위 증가
  2. 내부마찰각의 증가
  3. 점착력의 감소
  4. 차량에 의한 진동하중 증가
(정답률: 65%)
  • 내부마찰각은 토사간의 마찰력을 의미하며, 이 값이 증가하면 오히려 토사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건설현장 토사붕괴의 원인으로 내부마찰각의 증가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중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의하고 있는 양중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대하중이 12톤(Ton)인 타워크레인(Tower Crane)
  2. 최대하중이 2톤(Ton)인 리프트(Lift)
  3. 최대하중이 5톤(Ton)인 곤돌라
  4. 최대하중이 0.2톤(Ton)인 승강기
(정답률: 56%)
  • 정답: 최대하중이 0.2톤(Ton)인 승강기

    이유: 산업안전기준에 따르면 양중기는 최대하중이 2톤 이상인 기계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하중이 0.2톤인 승강기는 양중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다음 중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 또는 작업장내에 근로자가 사용하기 위한 안전한 통로를 설치할 때 가설통로의 설치기준 및 구조의 기준으로서 알맞지 않은 것은?

  1. 통로에는 75럭스(Lux)이상의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2. 통로의 주요한 부분에는 통로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인 때에는 7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4. 경사가 15도를 초과하는 때에는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수직갱에 가설된 통로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인 때에는 7미터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알맞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계단참을 설치하는 간격은 10미터 이내여야 하며, 7미터 이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기준은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통로 내에서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고, 긴 통로에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갑판의 윗면에서 선창 밑바닥까지의 깊이가 최소 몇 m를 초과하는 선창의 내부에서 화물취급작업을 하는 때에는 당해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3m
  2. 1.5m
  3. 1.8m
  4. 2.0m
(정답률: 53%)
  • 해당 규정은 해양환경안전법 시행규칙 제32조(선창 내부에서의 화물취급작업 등의 안전조치)에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선창 내부에서 화물취급작업을 할 때에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통행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때, 설비의 높이는 선창의 윗면에서 밑바닥까지의 깊이보다 1.5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