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건설안전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재해손실비의 평가방식 중 시몬즈 방식에서 비보험 코스트에 반영되는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휴업상해 건수
  2. 통원상해 건수
  3. 응급조치 건수
  4. 무손실사고 건수
(정답률: 75%)
  • 시몬즈 방식에서는 비보험 코스트에 반영되는 항목으로 휴업상해 건수, 통원상해 건수, 응급조치 건수가 포함됩니다. 이는 모두 사고로 인해 발생한 직접적인 손실과 간접적인 손실을 포함한 것입니다. 하지만 무손실사고 건수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비보험 코스트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중대재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가 2명 발생한 재해
  2. 부상자가 동시에 7명 발생한 재해
  3.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1명 발생한 재해
  4.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3명 발생한 재해
(정답률: 78%)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중대재해는 사망자가 2명 이상 발생하거나 부상자가 동시에 5명 이상 발생하거나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부상자가 동시에 7명 발생한 재해"는 중대재해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중 공정안전자료의 세부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안전운전지침서
  2. 공정위험성평가서
  3.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4.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정답률: 57%)
  • 공정안전보고서는 공정 안전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공정안전자료는 공정 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는 공정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설비들의 위치와 배치를 나타내는 자료로, 사고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중 공정안전자료의 세부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금지표시에 속하는 것은?

(정답률: 88%)
  • 정답은 ""입니다. 이는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위험"을 나타내는 금지표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순서대로 "화재 위험", "독성 물질", "전기적 위험"을 나타내는 금지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수율이 25인 사업장의 연간 재해발생 건수는 몇 건인가? (단, 이 사업장의 댕해 연도 총근로시간은 80000시간이다.)

  1. 1건
  2. 2건
  3. 3건
  4. 4건
(정답률: 65%)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를 총 근로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수율 = 발생한 사고 건수 / 총 근로시간 * 1000

    25 = 발생한 사고 건수 / 80000 * 1000

    발생한 사고 건수 = 25 * 80000 / 1000 = 2000 / 1000 = 2건

    따라서, 이 사업장의 연간 재해발생 건수는 2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설공사도급인은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사용명세서를 건설공사 종료 후 몇 년간 보존해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73%)
  • 건설공사 종료 후 1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2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건설공사도급인은 사용명세서를 보관하고, 관계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 제출해야 합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여 보존하게 되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도급 시 산업재해 예방조치
  2.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3. 안전인증대상기계와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지도
  4.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관계수급인 간의 사용에 관한 협의·조정 및 그 집행의 감독
(정답률: 69%)
  •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 "안전인증대상기계와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구입 시 적격품의 선정에 관한 지도"입니다. 이는 기계의 구입과 관련된 사항으로,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역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재해 발생 시 긴급조치사항을 올바른 순서로 배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3%)
  • 정답은 "㉢→㉤→㉣→㉡→㉠" 이다.

    ㉢: 재해 발생 시 즉시 대피하라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한다.
    ㉤: 대피 후,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하며, 상황파악을 한다.
    ㉣: 상황파악 후, 긴급구조 요청이 필요한 경우 구조요청을 한다.
    ㉡: 구조대기 중에는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하며, 구조대의 지시에 따른다.
    ㉠: 구조 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고, 상황파악 및 안전점검을 한다.

    따라서, ㉢→㉤→㉣→㉡→㉠ 순서로 배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계(Line)형 안전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과 보고가 간단명료하다.
  2.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3.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
  4. 각종 지시 및 조치사항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정답률: 76%)
  • 직계(Line)형 안전조직은 생산라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업무가 생산현장 라인을 통하여 시행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안전정보의 수집이 빠르고 전문적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가죽제안전화의 성능시험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답발성시험
  2. 박리저항시험
  3. 내충격성시험
  4. 내전압성시험
(정답률: 66%)
  • 내전압성시험은 가죽제안전화의 전기적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지만,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서는 해당 시험 방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험예지훈련 4R(라운드) 중 2R(라운드)에 해당하는 것은?

  1. 목표설정
  2. 현상파악
  3. 대책수립
  4. 본질추구
(정답률: 79%)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계, 기구 또는 설비를 신설하거나 변경 또는 고장 수리 시 실시하는 안전점검의 종류는?

  1. 정기점검
  2. 수시점검
  3. 특별점검
  4. 임시점검
(정답률: 73%)
  • 기계, 기구 또는 설비를 신설하거나 변경 또는 고장 수리 시에는 일반적으로 정기점검, 수시점검, 특별점검, 임시점검 등의 안전점검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특별점검은 일반적인 운영 중 발견하기 어려운 결함이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하는 점검으로, 보통 정기점검이나 수시점검에서 발견되지 않은 결함이나 위험성을 대상으로 실시됩니다. 따라서 특별점검은 보다 철저하고 신중한 검사가 필요하며,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실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 기계 또는 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리프트
  2. 압력용기
  3. 곤돌라
  4. 파쇄기
(정답률: 67%)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대상 기계 또는 설비에는 리프트, 압력용기, 곤돌라 등이 포함되지만, 파쇄기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파쇄기가 기계보다는 소모품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파쇄기는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며, 안전성을 검증하는 인증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브레인 스토밍의 4가지 원칙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판하지 않는다.
  2. 자유롭게 발언한다.
  3. 가능한 정리된 의견만 발언한다.
  4. 타인의 생각에 동참하거나 보충발언 해도 좋다.
(정답률: 85%)
  • 정답: "가능한 정리된 의견만 발언한다."

    이유: 브레인 스토밍에서는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자유롭게 발언하고, 타인의 생각에 동참하거나 보충 발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가능한 정리된 의견만 발언한다"는 원칙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참가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약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안전관리는 PDCA 사이클의 4단계를 거쳐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 중 PDCA 사이클의 4단계를 잘못 나타낸 것은?

  1. P : Plan
  2. D : Do
  3. C : Check
  4. A : Analysis
(정답률: 82%)
  • 정답 : A : Analysis

    PDCA 사이클의 4단계는 "P : Plan", "D : Do", "C : Check", "A : Act" 이다. "A : Act"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다음 사이클에 반영하는 단계이다. "Analysis"는 문제점을 분석하는 과정으로 "Check" 단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A : Analysis"는 PDCA 사이클의 단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재해의 발생형태 중 재해가 일어난 장소나 그 시점에 일시적으로 요인이 집중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유형은?

  1. 연쇄형
  2. 복합형
  3. 결합형
  4. 단순 자극형
(정답률: 61%)
  • 단순 자극형은 재해가 일어난 장소나 시점에 일시적으로 요인이 집중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유형입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자연재해나 인적 요인에 의한 사고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유형인 연쇄형, 복합형, 결합형과는 달리 단순하고 직접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시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 관리계획과 균형이 맞도록 한다.
  2. 안전보건을 저해하는 요인을 확실히 파악해야 한다.
  3. 수립된 계획은 안전보건관리활동의 근거로 활용된다.
  4. 과거실적을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현재 상태에 만족해야 한다.
(정답률: 85%)
  • 안전보건관리계획을 수립할 때, 과거실적을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현재 상태에 만족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안전보건관리계획의 목적과 맞지 않으며, 현재 상태에 만족하면서도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시에는 타 관리계획과 균형을 맞추고, 안전보건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며, 수립된 계획을 안전보건관리활동의 근거로 활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제출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15
  2. 30
  3. 45
  4. 60
(정답률: 60%)
  •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제출 기준 중 "사고 발생 시 60일 이내에 제출"이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해의 간접적 원인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스트레스
  2. 안전수칙의 오해
  3. 작업준비 불충분
  4. 안전방호장치 결함
(정답률: 71%)
  • 재해의 간접적 원인은 작업자나 작업환경에 대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안전방호장치 결함은 작업환경에 대한 요인이 아닌 기계나 장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먼 관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예방가능의 원칙
  2. 원인계기의 원칙
  3. 손실필연의 원칙
  4. 대책선정의 원칙
(정답률: 81%)
  • 정답: "손실필연의 원칙"

    설명: 재해예방의 4원칙은 예방가능의 원칙, 원인계기의 원칙, 대책선정의 원칙, 그리고 손실필연의 원칙으로 구성됩니다. 그 중에서 손실필연의 원칙은 재해가 발생하면 반드시 손실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원칙은 예방적인 측면에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학습전이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학습 정도
  2. 시간적 간격
  3. 학습 분위기
  4. 학습자의 지능
(정답률: 4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간의 동기에 대한 이론 중 자극, 반응, 보상의 3가지 핵심변인을 가지고 있으며, 표출된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에 기초한 동기이론은?

  1. 강화이론
  2. 형평이론
  3. 기대이론
  4. 목표성절이론
(정답률: 51%)
  • 강화이론은 행동에 따라 보상을 주는 방식에 기초한 동기이론으로, 자극, 반응, 보상의 3가지 핵심변인을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은 행동이 보상을 받으면 그 행동이 강화되고, 보상을 받지 못하면 그 행동이 약화된다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강화이론은 행동을 유도하고 강화시키기 위해 보상을 주는 방식을 중요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산업안전 심리의 5대요소가 아닌 것은?

  1. 동기
  2. 감정
  3. 기질
  4. 지능
(정답률: 74%)
  • 산업안전 심리의 5대요소는 동기, 감정, 기질, 지능, 인지능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능"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사고에 관한 표현으로 틀린 것은?

  1. 사고는 비변형된 사상(unstrained event)이다.
  2. 사고는 비계획적인 사상(unplaned event)이다.
  3. 사고는 원하지 않는 사상(undesired event)이다.
  4. 사고는 비효율적인 사상(ineffcient event)이다.
(정답률: 6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집단이 가지는 효과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개체가 힘을 합쳐 둘이 지닌 힘 이상의 효과를 내는 현상은?

  1. 시너지 효과
  2. 동조 효과
  3. 응집성 효과
  4. 자생적 효과
(정답률: 82%)
  • 시너지 효과는 집단이 가지는 효과 중 하나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개체가 함께 일할 때, 각자가 따로 일할 때보다 더 큰 성과를 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개별적으로는 미미한 효과를 보이지만 함께 일할 때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더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 명의 사람이 함께 일할 때, 각자가 따로 일할 때보다 더 많은 일을 처리할 수 있고, 더 나은 아이디어를 내고, 더 높은 수준의 문제 해결 능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는 집단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교육방법 중 하나인 사례연구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다.
  2.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를 준다.
  3.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4.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정답률: 61%)
  • 사례연구법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난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강의법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의식적인 내용의 표현 기회를 준다."는 장점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무와 관련한 정보를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로 구분할 경우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4.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
(정답률: 66%)
  • 직무기술서는 직무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를 담고 있는 문서이며, 이 중에서도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역량을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다른 항목들은 직무의 성격, 수행과정, 방법 등을 나타내는 반면,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역량을 나타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판단과정에서의 착오원인이 아닌 것은?

  1. 능력부족
  2. 정보부족
  3. 감각차단
  4. 자기합리화
(정답률: 52%)
  • 감각차단은 판단과정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로 감정적인 영향이나 선입견, 편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각차단은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판단과정에서의 착오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기법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인사관계
  2. 고객관계
  3. 회의의 주관
  4. 종업원의 향상
(정답률: 62%)
  • ATT 교육훈련기법은 인사관계, 고객관계, 종업원의 향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회의의 주관"은 ATT 교육훈련기법의 내용이 아닙니다. 이유는 ATT 교육훈련기법은 주로 개인의 역량 강화와 집단의 협업 능력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의의 주관"은 ATT 교육훈련기법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이 제시한 직무스트레스 모형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작업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으로 구분할 때 조직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관리유형
  2. 작업속도
  3. 교대근무
  4. 조명 및 소음
(정답률: 64%)
  • 조직요인은 조직 내부의 구성과 관리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관리유형"이 조직요인에 해당합니다. 관리유형은 조직 내부의 경영 및 인사정책, 조직문화, 리더십 등과 같은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입니다. 작업속도, 교대근무, 조명 및 소음은 모두 작업요인 또는 환경요인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안전교육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이나 품질의 향상에 기여한다.
  2. 작업자를 산업재해로부터 미연에 방지한다.
  3. 재해의 발생으로 인한 직접적 및 간접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한다.
  4. 작업자에게 작업의 안전에 대한 자신감을 부여하고 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안전교육에서 안전기술과 방호장치관리를 몸으로 습득시키는 교육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식교육
  2. 기능교육
  3. 해결교육
  4. 태도교육
(정답률: 68%)
  • 안전기술과 방호장치관리는 실제로 몸으로 습득해야 하는 기술적인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교육방법은 기능교육입니다. 기능교육은 이론적인 지식보다는 실제적인 기술과 경험을 중시하는 교육방법으로, 실제적인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을 직접 연습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안전교육에서도 기능교육을 통해 안전기술과 방호장치관리를 몸으로 습득시키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안전교육의 형태와 방법 중 Off.J.T(Off the Job Train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통된 대상자를 대상으로 일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2. 업무 및 사내의 특성에 맞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교육이 가능하다.
  3.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 수 있다.
  4.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률: 73%)
  • 정답: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할 수 있다."

    Off.J.T(Off the Job Training)는 교육 대상자를 일시적으로 업무에서 분리하여 교육하는 형태로, 교육 대상자들이 공통된 대상자들로 구성되어 일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고, 업무 및 사내의 특성에 맞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도교육이 가능하며, 다수의 근로자에게 조직적 훈련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전문가를 강사로 초청하는 것은 Off.J.T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레윈(Lewin)이 제시한 인간의 행동특성에 관한 법칙에서 인간의 행동(B)은 개체(P)와 환경(E)의 함수관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다음 중 개체(P)에 해당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령
  2. 지능
  3. 경험
  4. 인간관계
(정답률: 66%)
  • 인간관계는 개체(P)가 아닌 환경(E)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인간관계는 다른 인간과의 상호작용,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 등을 의미하며, 이는 인간이 속한 환경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인간관계는 레윈의 법칙에서 환경(E)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피들러(Fiedler)의 상황 연계성 리더쉽 이론에서 중요시 하는 상황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제의 구조화
  2. 부하의 성숙도
  3. 리더의 직위상 권한
  4. 리더와 부하간의 관계
(정답률: 54%)
  • 피들러의 상황 연계성 리더쉽 이론에서 중요시 하는 상황적 요인은 "과제의 구조화", "리더의 직위상 권한", "리더와 부하간의 관계"이다. 이 중 "부하의 성숙도"는 상황적 요인이 아니라 개인적 요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중요시하지 않는다. 즉, 리더쉽 스타일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부하의 성숙도는 상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직에 있어 구성원들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행동은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역할 기대와 실제 역할 행동 간에 차이가 생기면 역할 갈등이 발생하는데, 역할 갈등이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역할 마찰
  2. 역할 민첩성
  3. 역할 부적합
  4. 역할 모호성
(정답률: 74%)
  • 역할 민첩성은 조직 구성원들이 역할 갈등이 발생할 때 빠르게 대처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역할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역할 민첩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갈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역할 민첩성은 역할 갈등을 예방하고 조직의 원활한 운영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안전교육방법에 있어 도입단계에서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강의법
  2. 실연법
  3. 반복법
  4. 자율학습법
(정답률: 77%)
  • 도입단계에서는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안전교육을 제공해야 하므로, 대규모 교육이 가능한 강의법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방법들은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부주의의 발생방지 방법은 발생 원인별로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데 다음 중 발생 원인의 외적요인에 속하는 것은?

  1. 의식의 우회
  2. 소질적 문제
  3. 경험·미경험
  4. 작업순서의 부자연성
(정답률: 69%)
  • 작업순서의 부자연성은 외적요인에 속합니다. 이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순서가 자연스럽지 않거나 비효율적인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순서를 재조정하거나 개선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역할연기(role playing)에 의한 교육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관찰능력을 높이고 감수성이 향상된다.
  2. 자기의 태도에 반성과 창조성이 생긴다.
  3. 정도가 높은 의사결정의 훈련으로서 적합하다.
  4. 의견 발표에 자신이 생기고 고착력이 풍부해진다.
(정답률: 59%)
  • 정도가 높은 의사결정의 훈련으로서 적합하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역할연기는 의사결정에 대한 훈련보다는 관찰능력, 감수성, 반성, 창조성, 의견 발표 등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소심한 성격
  2. 주의력의 산만
  3. 기계설비의 결함
  4. 침착성 및 도덕성의 결여
(정답률: 64%)
  • 상황성 누발자는 주의력이 산만하고 침착성 및 도덕성이 결여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기계설비의 결함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대처하지 못하여 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계설비의 결함이 가장 적절한 재해유발원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후각적 표시장치(olfactory display)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냄새의 확산을 제어할 수 없다.
  2. 시각적 표시장치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3. 냄새에 대한 민감도의 개별적 차이가 존재한다.
  4. 경보 장치로서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정답률: 69%)
  • "경보 장치로서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너무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후각적 표시장치의 한계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냄새의 확산을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은 냄새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각적 표시장치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기술적인 한계와 비용 문제 때문입니다. 냄새에 대한 민감도의 개별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사람마다 냄새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HAZOP 기법에서 사용하는 가이드 워드와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No/Not – 설계 의도의 완전한 부정
  2. More/Less – 정량적인 증가 또는 감소
  3. Part of – 성질상의 감소
  4.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
(정답률: 69%)
  • HAZOP 기법에서 "Other than – 기타 환경적인 요인"은 가이드 워드가 아니라 추가적인 환경적인 요인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가이드 워드들과는 의미가 다릅니다. 따라서, 이 가이드 워드는 다른 가이드 워드들과는 별개로 사용되며, 이유는 가이드 워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FT도에서 F1=0.015, F2=0.02, F3=0.05이면, 정상사상 T가 발생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1. 0.0002
  2. 0.0283
  3. 0.0503
  4. 0.9500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유해위함방지계획서의 제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의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 7일전, ㉡ : 2
  2. ㉠ : 7일전, ㉡ : 4
  3. ㉠ : 15일전, ㉡ : 2
  4. ㉠ : 15일전, ㉡ : 4
(정답률: 72%)
  • 유해위함방지계획서는 건설공사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한 계획서이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 등에서는 공사시작 15일전까지 해당 계획서를 시행계획서와 함께 고용노동부에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 15일전, ㉡ :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차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폐음과 배음의 주파수가 가까울 때 차폐효과가 크다.
  2. 헤어드라이어 소음 때문에 전화 음을 듣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3. 유의적 신호와 배경 소음의 차이를 신호/소음(S/N) 비로 나타낸다.
  4. 차폐효과는 어느 한 음 때문에 다른 음에 대한 감도가 증가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64%)
  • 정답: "차폐효과는 어느 한 음 때문에 다른 음에 대한 감도가 증가되는 현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차폐효과는 주파수가 비슷한 두 음 중 한 음이 다른 음의 인지를 방해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다른 음에 대한 감도가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차폐음이 있는 상황에서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이 차폐음과 비슷한 주파수를 가진 다른 음을 더 어렵게 인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그림과 같이 FTA로 분석된 시스템에서 현재 모든 기본사상에 대한 부품이 고장난 상태이다. 부품 X1부터 부품 X5까지 순서대로 복구한다면 어느 부품을 수리 완료하는 시점에서 시스템이 정상가동 되는가?

  1. 부품 X2
  2. 부품 X3
  3. 부품 X4
  4. 부품 X5
(정답률: 69%)
  • 부품 X3은 시스템에서 유일하게 모든 다른 부품들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X3을 수리 완료하는 시점에서 시스템이 정상가동 될 수 있다. 다른 부품들은 X3이 수리되기 전에는 연결되지 않으므로 시스템이 정상가동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한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인공지능은 제외한다.)

  1.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다.
  2. 관찰을 통해서 일반화하여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3. 항공사진의 파시체나 말소리처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복잡한 자극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4. 수신 상태가 나쁜 음극선관에 나타나는 영상과 같이 배경 잡음이 심한 경우에도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암호화된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한 기능이다. 이는 인간이 기억력이 제한되어 있고,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능력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계는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에서는 인간보다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THERP(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률: 48%)
  • - THERP(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는 인간의 실수율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 THERP는 인간의 실수율을 예측하기 위해 인간의 작업 과정을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파악한다.
    - THERP는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 THERP는 인간의 실수율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 환경을 개선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 따라서, THERP는 인간의 실수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 ㉢: THERP는 인간의 작업 과정을 분석하고,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파악하여 인간의 실수율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작업 환경을 개선하거나 보완할 수 있으며, 인간의 실수를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이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인간의 과오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설비의 고장과 같이 발생확률이 낮은 사건의 특정시간 또는 구간에서의 발생횟수를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는?

  1.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
  2. 푸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
  3. 와이블분포(Welbull distribution)
  4.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
(정답률: 59%)
  • 푸아송분포는 단위시간 또는 단위구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수를 모델링하는데 적합한 분포입니다. 고장과 같이 발생확률이 낮은 사건의 경우, 이항분포로 모델링하면 매우 큰 표본이 필요하고 계산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푸아송분포가 더 적합합니다. 또한, 푸아송분포는 사건이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하고, 발생확률이 일정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간공학을 기업에 적용할 때의 기대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노사 간의 신뢰 저하
  2. 작업손실시간의 감소
  3. 제품과 작업의 질 향상
  4. 작업자의 건강 및 안전 향상
(정답률: 75%)
  • 노사 간의 신뢰 저하는 인간공학을 기업에 적용할 때의 기대효과가 아니라 부작용이다. 인간공학적 개선이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과 건강, 안전을 개선하고 작업 손실시간을 감소시키며 제품과 작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반면, 노동자들이 이러한 개선을 받지 못하거나 불만족스러운 조건에서 일을 하게 되면 노사 간의 신뢰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생산성과 노동자들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인간 에러(human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mission error :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데 기인한 에러
  2. commission error :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의 수행지연으로 인한 에러
  3. extraneous error :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
  4. sequential error :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의 순서 착오로 인한 에러
(정답률: 60%)
  • 정답은 "commission error :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의 수행지연으로 인한 에러"가 아닌 "extraneous error :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이다.

    인간 에러는 크게 omission error와 commission error로 나눌 수 있다. omission error는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데 기인한 에러이며, commission error는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하지만 지연으로 인한 에러이다.

    extraneous error는 불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기인한 에러로, 인간 에러의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sequential error는 필요한 작업 또는 절차의 순서 착오로 인한 에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눈과 물체의 거리가 23cm, 시선과 직각으로 측정한 물체의 크기가 0.03cm 일 때 시각(분)은 얼마인가? (단, 시각은 600이하이며, radian 단위를 분으로 환산하기 위한 상수값은 57.3가 60을 모두 적용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1. 0.001
  2. 0.007
  3. 4.48
  4. 24.55
(정답률: 45%)
  • 시선과 직각으로 측정한 물체의 크기가 0.03cm 이므로, 물체와 눈 사이의 각도는 아크탄젠트(0.03/23)이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0.007 라디안이 된다. 이 값을 분으로 환산하기 위해 57.3을 곱하면 약 0.4분이 된다. 하지만 이는 눈과 물체 사이의 거리가 무한히 멀 때의 각도이므로, 실제 시각은 이보다 더 큰 값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4.48이다.
  • ㅇ시각=(57.3*60*물체의 크기)/눈과 물체의 거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강렬한 소음 작업”에 해당하는 기준은?

  1.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8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4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률: 55%)
  • 강렬한 소음 작업은 귀에 해로운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이 강렬한 소음 작업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귀에 해로운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귀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에서는 귀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컴퓨터 스크린 상에 있는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가장 적합한 법칙은?

  1. Fitts의 법칙
  2. Lewin의 법칙
  3. Hick의 법칙
  4. Weber의 법칙
(정답률: 59%)
  • Fitts의 법칙은 움직이는 대상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서 움직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버튼의 크기와 거리가 멀수록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Fitts의 법칙이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데 가장 적합한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직무에 대하여 청각적 자극 제시에 대한 음성 응답을 하도록 할 때 가장 관련 있는 양립성은?

  1. 공간적 양립성
  2. 양식 양립성
  3. 운동 양립성
  4. 개념적 양립성
(정답률: 44%)
  • 직무에 대한 청각적 자극 제시에 대한 음성 응답은 일반적으로 양식 양립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응답자가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양식과 톤으로 응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응답을 제공하면, 응답자는 직무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면서도 상대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식 양립성은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양립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NIOSH lifting guideline에서 권장무게한계(RWL) 산출에 사용되는 계수가 아닌 것은?

  1. 휴식 계수
  2. 수평 계수
  3. 수직 계수
  4. 비대칭 계수
(정답률: 53%)
  • 휴식 계수는 NIOSH lifting guideline에서 권장무게한계(RWL) 산출에 사용되는 계수가 아닙니다. 휴식 계수는 작업자가 일하는 동안 휴식을 취할 때 사용되는 계수로, 일하는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권장무게한계(RWL) 산출에 사용되는 계수는 수평 계수, 수직 계수, 비대칭 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Sanders 와 McCormick의 의자 설계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요부 후만을 유지한다.
  2. 조정이 용이해야 한다.
  3. 등근육의 정적부하를 줄인다.
  4. 디스크가 받는 압력을 줄인다.
(정답률: 71%)
  • 정답: "요부 후만을 유지한다."

    이유: Sanders와 McCormick의 의자 설계의 일반적인 원칙은 모두 옳은데, "요부 후만을 유지한다"는 원칙은 없습니다. 이유는 요부 후만을 유지하면 척추의 곡률이 유지되지 않아 척추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좋은 의자 설계는 등과 척추를 지지하면서도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에서 정량적 평가의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훈련
  2. 조작
  3. 취급물질
  4. 화학설비용량
(정답률: 57%)
  •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에서 "훈련"은 정량적 평가의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훈련은 주로 인적 요소에 대한 평가이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화학설비의 안정성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들이며, 취급물질, 화학설비용량, 조작 등은 화학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이 신뢰도 95%임 펌프 A가 각각 신뢰도 90%인 밸브 B와 밸브 C의 병렬밸브계와 직렬계를 이룬 시스템의 실패확률은 약 얼마인가?

  1. 0.0091
  2. 0.0595
  3. 0.9405
  4. 0.9811
(정답률: 44%)
  • 병렬밸브계에서는 B와 C 중 하나만 정상적으로 작동해도 시스템이 작동하므로, 각각의 실패확률을 더해준 후에 (1-0.9)*(1-0.9)=0.01, 1-0.01=0.99이다. 직렬밸브계에서는 B와 C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시스템이 작동하므로, 각각의 실패확률을 곱해준 후에 0.1*0.1=0.01, 1-0.01=0.99이다. 따라서, 병렬밸브계와 직렬밸브계의 실패확률을 각각 구한 후에, 병렬밸브계와 직렬밸브계의 합을 구해준다. 0.99+0.99-0.99*0.99=0.0595이므로, 정답은 "0.05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FTA에서 사용되는 최소 컷셋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2. 정상사상(Top event)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집합이다.
  3. 반복되는 사건이 많은 경우 Limnios 와 Ziani Algorithm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이다.
(정답률: 56%)
  •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모든 사상의 집합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최소 컷셋은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최소한의 사건 집합으로,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시공학

61. 지하연속법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막이벽의 강성이 적어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
  2. 지수벽의 기능도 갖고 있다.
  3. 인접건물의 경계선까지 시공이 가능하다.
  4. 암반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반에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58%)
  • "흙막이벽의 강성이 적어 보강재를 필요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하연속법은 지반을 굴착하지 않고도 지하공간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지하공간을 지탱하기 위해 흙막이벽을 형성한다. 이 때, 흙막이벽의 강성이 적어 보강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오히려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벽돌공사 중 벽돌쌓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로 및 세로줄눈의 너비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10mm를 표준으로 한다.
  2.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불식쌓기 또는 미식쌓기로 한다.
  3.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들여쌓기로 한다.
  4. 벽돌은 각부를 가급적 동일한 높이로 쌓아 올라가고, 벽면의 일부 또는 국부적으로 높게 쌓지 않는다.
(정답률: 67%)
  •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불식쌓기 또는 미식쌓기로 한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벽돌쌓기는 불식쌓기 또는 미식쌓기가 아닌 일반적인 쌓기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말뚝으로 구멍을 뚫어 주입관과 굵은 골재를 채워 넣고 관을 통하여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은?

  1. MIP 파일(Mixed In Place pile)
  2. CIP 파일(Cast In Place pile)
  3. PIP 파일(Packed In Place pile)
  4. NIP 파일(Nail In Place pile)
(정답률: 69%)
  • CIP 파일은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말뚝을 구멍에 뚫어 넣고 주입관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파일들과는 구분되는 공법이며, 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구멍을 뚫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주입관과 모르타르를 준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근 이음의 종류 중 기계적 이음의 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위치
  2. 초음파 탐사검사
  3. 인장시험
  4. 외관 검사
(정답률: 50%)
  • 철근 이음의 기계적 이음은 위치, 인장시험, 외관 검사와 같은 물리적인 검사 항목들을 포함합니다. 그러나 초음파 탐사검사는 기계적 이음이 아닌, 철근의 내부 결함이나 불량 부분을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초음파 탐사검사는 기계적 이음의 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강구조 건축물의 현장조립 시 볼트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내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틈이 있는 경우에는 끼움판을 삽입해야 한다.
  2. 볼트조임 작업 전에 마찰접합면의 흙, 먼지 또는 유해한 도료, 유류, 녹, 밀스케일 등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불순물을 제거햐야 한다.
  3. 1군의 볼트조임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의 순으로 한다.
  4. 현장조임은 1차 조임, 마킹, 2차 조임(본조임), 육안검사의 순으로 한다.
(정답률: 69%)
  • 1군의 볼트조임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의 순으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볼트를 조임할 때는 중앙부터 가장자리로 조임해야 하며, 이는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중앙부터 조임하지 않으면 구조물이 불균형하게 되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거푸집 설치와 관련하여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폼타이
  2. 캠버
  3. 동바리
  4. 턴버클
(정답률: 54%)
  • 캠버는 거푸집을 고정시키는 부품 중 하나로, 거푸집과 지붕 사이에 위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거푸집 설치와는 관련이 없는 부품들입니다.
  • ㅇ 캠버(Camber, 솟음) : 보, 슬래브 및 트러스 등에서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처짐을 고려하여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것 또는 들어올린 크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품질관리를 위한 통계 수법으로 이용되는 7가지 도구(Tools)를 특징별로 조합한 것 중 잘못 연결된 것은?

  1. 히스토그램 - 분포도
  2. 파레토그램 - 영향도
  3. 특성요인도 - 원인결과도
  4. 체크시트 – 상관도
(정답률: 53%)
  • 정답은 "체크시트 – 상관도"입니다. 체크시트는 제품 또는 공정의 결함을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한 도구이며, 상관도는 두 변수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두 도구는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 ㅇ체크시트는 집중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말뚝지정 중 강재말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성콘크리트말뚝에 비해 중량으로 운반이 쉽지 않다.
  2. 자재의 이음 부위가 안전하여 소요길이의 조정이 자유롭다.
  3. 지중에서의 부식 우려가 높다.
  4. 상부구조물과의 결합이 용이하다.
(정답률: 59%)
  • "기성콘크리트말뚝에 비해 중량으로 운반이 쉽지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강재말뚝은 경량화된 구조로 제작되어 있어 기성콘크리트말뚝보다 운반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반조사 시 시추주상도 보고서에서 확인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층의 확인
  2. Slime의 두께 확인
  3. 지하수위 확인
  4. N값의 확인
(정답률: 5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철골부재 절단 방법 중 가장 정밀한 절단방법으로 앵클커터(angle cutter) 등으로 작업하는 것은?

  1. 가스절단
  2. 전단절단
  3. 톱절단
  4. 전기절단
(정답률: 70%)
  • 철골부재를 가장 정밀하게 절단하는 방법은 앵클커터(angle cutter) 등으로 작업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보기에서 정답이 "톱절단"인 이유는, 톱절단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장비를 사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며, 작업이 빠르고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톱절단은 곡선이나 각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절단할 수 있어서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M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한다.
  2. 시공자형 CM(CM at risk) 방식은 공사관리자의 능력에 의해 사업의 성패가 좌우된다.
  3.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에 있어서 독립된 공종별 수급자는 공사관리자와 공사계약을 한다.
  4. 시공자형 CM(CM at risk) 방식에 있어서 CM조직이 직접 공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정답률: 62%)
  •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에 있어서 독립된 공종별 수급자는 공사관리자와 공사계약을 한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대리인형 CM(CM for fee) 방식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발주자의 컨설턴트 역할을 수행하며, 시공자형 CM(CM at risk) 방식은 공사관리자의 능력에 따라 사업의 성패가 좌우되며, 시공자형 CM(CM at risk) 방식에 있어서 CM조직이 직접 공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보기의 블록쌓기 시공순서로 옳은 것은?

  1. A → D → B → C → F → E
  2. A → B → D → C → F → E
  3. A → C → B → D → E → F
  4. A → B → C → D → E → F
(정답률: 69%)
  • 정답은 "A → B → C → D → E → F" 입니다.

    A 블록을 먼저 쌓고, 그 위에 B 블록을 쌓습니다. 그리고 C 블록을 B 블록 위에 쌓습니다. D 블록은 A 블록 옆에 놓이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E 블록은 D 블록 위에 쌓이고, 마지막으로 F 블록을 E 블록 위에 쌓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강구조부재의 내화피복공법이 아닌 것은?

  1. 조적공법
  2. 세라믹울 피복공법
  3. 타설공법
  4. 메탈라스 공법
(정답률: 59%)
  • 강구조부재의 내화피복공법으로는 조적공법, 세라믹울 피복공법, 타설공법이 있지만, 메탈라스 공법은 내화피복공법이 아닙니다. 메탈라스 공법은 금속 표면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표면을 강화시키는 공법으로, 내화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콘크리트 공사 시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외기온도가 25℃ 이하일 경우이며, 허용이어치기 시간간격은 하층 콘크리트 비비기 시작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 완료한 후,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

  1. 2.0 시간
  2. 2.5 시간
  3. 3.0 시간
  4. 3.5 시간
(정답률: 52%)
  • 콘크리트는 초기 수화 반응 후 경화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며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상승합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를 한 번에 두께가 두꺼운 층으로 타설하면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높아져 경화 과정에서 생기는 열로 인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때는 하층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도를 갖추고 충분히 경화된 후에 상층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이 필요하며, 이 시간간격은 하층 콘크리트 비비기 시작에서부터 콘크리트 타설 완료한 후,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은 콘크리트 내부 온도, 외기온도, 상대습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외기온도가 25℃ 이하일 경우, 허용 이어치기 시간간격은 2.5 시간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하층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어 일정한 강도를 갖추고, 상층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판단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규모공사에서 지역별로 공사를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이며 공사기일단축, 시공기술향상 및 공사의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 유리한 도급방법은?

  1. 전문공종별 분할도급
  2. 공정별 분할도급
  3. 공구별 분할도급
  4. 직종별 공종별 분할도급
(정답률: 72%)
  • 공구별 분할도급은 대규모 공사를 각 지역별로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 중 하나로, 공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공구와 장비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도급을 맡기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 기술을 향상시키며, 공사의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 유리한 도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순조적 블록공사 시 방수 및 방습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습층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마루밑이나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접근되는 세로줄눈의 위치에 둔다.
  2. 물빼기 구멍은 콘크리트의 윗면에 두거나 물끊기 및 방습층 등의 바로 위에 둔다.
  3.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 물빼기 구멍의 직경은 10mm 이내, 간격 1.2m 마다 1개소로 한다.
  4. 물빼기 구멍에는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직경 6mm, 길이 100mm되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 튜브를 만들어 집어넣는다.
(정답률: 42%)
  • "방습층은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마루밑이나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접근되는 세로줄눈의 위치에 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습층은 콘크리트 바닥판 위에 둔다. 이유는 바닥판 아래에 둘 경우 바닥판과 방습층 사이에 공기가 차단되어 습기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기초굴착 방법 중 굴착 공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충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는 것은?

  1.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2. 베노토공법
  3. 심초공법
  4. 어스드릴공법
(정답률: 47%)
  • 어스드릴공법은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기초굴착 방법이며,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충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노토공법"은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충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는 기초굴착 방법이므로 정답은 "어스드릴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근콘크리트의 부재별 철근의 정착위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은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
  2.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3.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4.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정답률: 68%)
  • "작은 보의 주근은 기둥에 정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작은 보의 주근은 작은 보의 상부에 정착되며,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되는 것이 옳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콘크리트를 타설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그 표면이 한 구획 내에서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타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한 구획내의 콘크리트는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하여야 한다.
  3.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4. 콘크리트 타설의 1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타설한 콘크리트를 거푸집 안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고 공극이 생길 수 있으며, 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타설 시 수직으로 타설하고, 진동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제거하여 밀실하게 채워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각 거푸집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라잉 폼 : 벽체 전용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한 거푸집을 말한다.
  2. 갱 폼 : 대형벽체거푸집으로써 인력절감 및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3. 터널 폼 : 벽체용, 바닥용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벽과 바닥 콘크리트를 일체로 하는 거푸집공법이다.
  4. 트래블링 폼 : 수평으로 연속된 구조물에 적용되며 해체 및 이동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이동식 거푸집공법이다.
(정답률: 54%)
  • 정답은 "플라잉 폼 : 벽체 전용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한 거푸집을 말한다." 이다. 플라잉 폼은 벽체뿐만 아니라 천장, 기둥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 거푸집공법이다. 따라서 "벽체 전용거푸집"이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재료학

81. 통풍이 좋지 않은 지하실에 사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미장재료는?

  1. 시멘트 모르타르
  2. 회사벽
  3. 회반죽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60%)
  • 시멘트 모르타르는 물에 젖어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습기가 많은 지하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는 물에 잘 반응하여 빠르게 건조되기 때문에 시공 시간도 짧아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통풍이 좋지 않은 지하실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미장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점토의 성분 및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e2O3 등의 부성분이 많으면 제품의 건조수축이 크다.
  2. 점토의 주성분은 실리카, 알루미나이다.
  3. 소성 색상은 석회물질이 많을수록 짙은 적색이 된다.
  4. 가소성은 점토입자가 미세할수록 좋다.
(정답률: 61%)
  • "소성 색상은 석회물질이 많을수록 짙은 적색이 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석회물질이 많을수록 소성 시에 산화되어 적색 산화철 물질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회물질이 많을수록 적색이 짙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석재를 성인에 의해 분류하면 크게 화성암, 수성암, 변성암으로 대별하는데 다음 중 수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사문암
  2. 대리암
  3. 현무암
  4. 응회암
(정답률: 54%)
  • 수성암은 화성암과 변성암 사이에 위치한 암석으로, 화성암이 변성암에 의해 변화한 것이 아니라 원래 수성암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응회암"이 수성암에 속하는 것은 변성암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원래 수성암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 ㅇ 수성암의 종류 : 점판암, 사암, 응회암, 석회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블리딩현상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1. 공기량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2. 수화열을 발생시켜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킨다.
  3. 콜드조인트의 발생을 방지한다.
  4.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 수밀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62%)
  • 블리딩현상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이 증가하여 수밀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미장공사에서 사용되는 바름재료 중 여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름에 있어서 재료에 끈기를 주어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2. 흙손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3. 바름 중에는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바름 후에는 건조에 따라 생기는 균열을 방지한다.
  4. 여물의 섬유는 질기고 굵으며, 색이 짙고 빳빳한 것일수록 양질의 제품이다.
(정답률: 66%)
  • 여물의 섬유는 질기고 굵으며, 색이 짙고 빳빳한 것일수록 양질의 제품이다. - 이 설명은 옳다.

    바름재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여물은 바름의 주요 재료 중 하나이다. 여물은 대개 산양가죽, 소가죽, 말가죽 등의 가죽에서 만들어진다. 여물은 바름의 흐름을 조절하고, 바름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물의 섬유는 질기고 굵으며, 색이 짙고 빳빳한 것일수록 양질의 제품이다. 이는 여물이 바름에 사용될 때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플로트판유리를 연화점부근까지 가열 후 양 표면에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유리의 표면에 20 이상 60 이하(N/mm2)의 압축응력층을 갖도록 한 가공유리는?

  1. 강화유리
  2. 열선반사유리
  3. 로이유리
  4. 배강도 유리
(정답률: 47%)
  • 배강도 유리는 플로트판유리를 가열 후 냉각공기를 흡착시켜 압축응력층을 형성하는 강화유리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과 일치하며, 다른 보기들은 해당 조건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열선반사유리는 열선 반사코팅이 되어 있어 열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고, 로이유리는 높은 광투과율과 광학적 투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고로슬래그 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용광로에서 생기는 광재를 공기중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경화된 것을 파쇄하여 입도를 고른 것이다.
  2. 다른 암석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고로슬래그 쇄석을 사용한 콘크리트가 건조수축이 매우 큰 편이다.
  3. 투수성은 보통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크다.
  4.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율이 높다.
(정답률: 48%)
  • 다른 암석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고로슬래그 쇄석을 사용한 콘크리트가 건조수축이 매우 큰 편이다. -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고로슬래그 쇄석은 건조수축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유리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습제는 작은 기공을 수억 개 갖고 있는 입자로 기체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에 의해 밀폐공간에 건조상태를 유지하는 재료이다.
  2. 세팅 블록은 새시 하단부의 유리끼움용 부재료로서 유리의 자중을 지지하는 고임재이다.
  3. 단열간봉은 복층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재료로 알루미늄간봉을 말한다.
  4. 백업재는 실링 시공인 경우에 부재의 측면과 유리면 사이에 연속적으로 충전하여 유리를 고정하는 재료이다.
(정답률: 50%)
  • "단열간봉은 복층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재료로 알루미늄간봉을 말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단열간봉은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PVC,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 단열강봉은 복층유리의 간격을 유지하는 재료로 단열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목재 또는 기타 식물질을 절삭 또는 파쇄하고 소편으로 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합성수지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보드로써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파키트리 보드
  2. 파티클 보드
  3. 플로링 보드
  4. 파키트리 블록
(정답률: 63%)
  • 파티클 보드는 목재나 기타 식물질을 파쇄하여 소편으로 만들고 합성수지 접착제와 같은 유기질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보드로, 상판, 칸막이벽, 가구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파티클 보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금속재료의 일반적인 부식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한다.
  2.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은 뜨임질, 풀림 등에 의해서 제거한다.
  3. 표면은 깨끗하게 하고, 물기나 습기가 없도록 한다.
  4.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한다.
(정답률: 70%)
  • "가능한 다른 종류의 금속을 인접 또는 접촉시켜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대책입니다. 이는 금속 간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유발하여 부식을 가속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대책은 가공 중에 생긴 변형을 제거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며, 부분적으로 녹이 나면 즉시 제거하는 것입니다. 또한, 부식 방지를 위해 적절한 코팅이나 방청 처리를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목재용 유성 방부제의 대표적인 것으로 방부성이 우수하나, 악취가 나고 흑갈색으로 외관이 불미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이용되는 것은?

  1. 유성페인트
  2. 크레오소트 오일
  3. 염화아연 4% 용액
  4. 불화소다 2% 용액
(정답률: 69%)
  • 크레오소트 오일은 방부성이 우수하지만, 악취가 나고 흑갈색으로 외관이 불미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토대, 기둥, 도리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크레오소트 오일이다. 유성페인트는 목재용 도료이며, 염화아연 4% 용액과 불화소다 2% 용액은 방부제가 아니라 방염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접착에 가장 적합한 합성수지는?

  1. 멜라민수지
  2. 실리콘수지
  3. 에폭시수지
  4. 푸란수지
(정답률: 57%)
  •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은 표면이 매우 부드럽고 기름 또는 먼지 등이 묻어있을 수 있어서 접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경금속과 접착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합성수지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에폭시수지는 경도가 높고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며, 경금속과의 접착에 매우 적합합니다. 또한, 에폭시수지는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경금속과 같은 금속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접착에 가장 적합한 합성수지는 에폭시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리녹신에 수지, 고무물질, 코르크분말 등을 섞어 마포(hemp cloth) 등에 발라 두꺼운 종이모양으로 압면·성형한 제품은?

  1. 스펀지 시트
  2. 리놀륨
  3. 비닐 시트
  4. 아스팔트 타일
(정답률: 62%)
  • 리녹신은 고무물질과 코르크분말 등을 섞어 만든 제품으로, 마포 등에 발라 압면·성형하여 두꺼운 종이모양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제품은 "리놀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단백질계 접착제에 해당하는 것은?

  1. 카세인 접착제
  2. 푸란수지 접착제
  3. 에폭시수지 접착제
  4. 실리콘수지 접착제
(정답률: 56%)
  • 카세인 접착제는 단백질계 접착제에 해당한다. 카세인은 우유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가공하여 만든 접착제이다. 따라서 카세인 접착제가 단백질계 접착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고로시멘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열이 낮고 수축률이 적어 댐이나 항만공사 등에 적합하다.
  2.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하여 비중이 크고 풍화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다.
  3. 응결시간이 느리기 때문에 특히 겨울철 공사에 주의를 요한다.
  4. 다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화학저항성 및 수밀성, 알칼리골재반응 억제 등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3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비철금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용 장식철물에 사용된다.
  2. 알루미늄은 산 및 알칼리에 약하다.
  3. 아연은 산 및 알칼리에 약하나 일반대기나 수중에서는 내식성이 크다.
  4. 동은 전기 및 열전도율이 매우 크다.
(정답률: 44%)
  • "청동은 구리와 아연을 주체로 한 합금으로 건축용 장식철물에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청동은 건축용 장식철물뿐만 아니라 악기, 조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이다.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는 낮아진다.
  2. 일반적으로 물-시멘트비가 같으면 시멘트의 강도가 큰 경우 압축강도가 크다.
  3.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압축강도가 크다.
  4. 습윤양생을 실시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압축강도는 증진된다.
(정답률: 49%)
  •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초기강도는 낮아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고온에 노출될 경우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빨라져 초기강도는 높아지지만, 이후 수화반응이 빨리 끝나게 되어 장기적인 강도는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목재의 강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2. 벌목의 계절은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끼친다.
  3. 일반적으로 응력의 방향이 섬유방향에 평행인 경우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작다.
  4. 섬화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 감소에 따라 강도가 증대한다.
(정답률: 58%)
  •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지만 강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목재의 건조는 수분 함량을 감소시켜 목재의 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강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건조가 된 목재는 더 높은 강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목재의 건조는 중량을 경감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킨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목제 제품 중 합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향에 따른 강도차가 작다.
  2. 곡면가공을 하여도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3. 여러 가지 아름다운 무늬를 얻을 수 있다.
  4.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이 크다.
(정답률: 51%)
  •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변형이 크다는 것은 합판이 습기나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크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합판을 사용하는 곳에 따라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어떤 재료의 초기 탄성변형량이 2.0cm이고, 크리프(creep) 변형량이 4.0cm 라면 이 재료의 크리프 계수는 얼마인가?

  1. 0.5
  2. 1.0
  3. 2.0
  4. 4.0
(정답률: 66%)
  • 크리프 계수는 크리프 변형량을 초기 탄성변형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크리프 계수는 4.0cm / 2.0cm =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다음 중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쇄기
  2. 핸드 브레이커
  3. 철체햄머
  4. 진동롤러
(정답률: 67%)
  • 진동롤러는 주로 도로나 건물의 바닥재를 굴리면서 압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압쇄기, 핸드 브레이커, 철체햄머는 모두 해체작업용 기계 기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진동롤러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산업안전보건관리비계상기준에 따른 일반건설공사(갑), 대상액 「5억원 이상 ~ 50억원 미만」의 안전관리비 비율 및 기초액으로 옳은 것은?

  1. 비율 : 1.86%, 기초액 : 5,349,000원
  2. 비율 : 1.99%, 기초액 : 5,449,000원
  3. 비율 : 2.35%, 기초액 : 5,400,000원
  4. 비율 : 1.57%, 기초액 : 4,411,000원
(정답률: 60%)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에 따르면, 일반건설공사(갑)의 대상액이 5억원 이상 ~ 50억원 미만인 경우 안전관리비 비율은 1.86%이며, 기초액은 5,349,000원이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가 정답이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기준에 따라서 안전관리비 비율과 기초액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은 말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관한 준수사항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A : 75, B : 30
  2. A : 75, B : 40
  3. A : 85, B : 30
  4. A : 85, B : 40
(정답률: 63%)
  • 말비계는 A와 B 두 개의 무게축이 있으며, A축은 0~100g까지 1g씩, B축은 0~50g까지 2g씩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75g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A축에서 75g을, B축에서 0g을 맞추면 된다. 따라서 A : 75, B : 40이 정답이다. A축에서 85g을 맞추면 B축에서는 0g이 아닌 5g를 맞추어야 하므로 A : 85, B : 30은 오답이다. 마찬가지로 B축에서 40g을 맞추면 A축에서는 80g을 맞추어야 하므로 A : 75, B : 4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토질시험 중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현장시험은?

  1. 배인테스트(Vane Test)
  2. 표준관입시험(SPT)
  3. 하중재하시험
  4. 삼축압축시험
(정답률: 64%)
  • 배인테스트는 회전하는 배를 이용하여 지반의 점착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연약한 점토 지반의 강도를 판별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반의 강도나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연약한 점토 지반의 점착력을 판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터널등의 건설작업을 하는 경우에 낙반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직접적인 조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터널지보공 설치
  2. 부석의 제거
  3. 울 설치
  4. 록볼트 설치
(정답률: 49%)
  • 울 설치는 낙반 등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근로자가 작업하는 구간에 안전망을 설치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조치사항 중 하나입니다. 부석의 제거와 록볼트 설치는 건설작업에 필요한 일반적인 작업이며, 터널지보공 설치는 터널 내부의 안전을 위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낙반 등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직접적인 조치사항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다음 중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공사가 아닌 것은?

  1. 지상높이가 30m인 건축물 건설공사
  2. 최대지간길이가 50m인 교량건설공사
  3. 터널 건설공사
  4. 깊이가 11m인 굴착공사
(정답률: 62%)
  • 지상높이가 30m인 건축물 건설공사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공사가 아닙니다. 이는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지상높이가 30m 이상인 건축물 건설공사가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일 때 얼마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m 이내마다
  2. 4m 이내마다
  3. 5m 이내마다
  4. 6m 이내마다
(정답률: 62%)
  • 사다리식 통로에서 계단참을 설치하는 간격은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5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계단을 오르는 데 필요한 노력과 시간이 증가하며, 이는 작업자의 피로도와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길이가 길어질수록 계단참을 설치하는 간격이 넓어지면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길이가 짧아질수록 계단참을 설치하는 간격이 좁아져서 작업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다리식 통로의 길이가 10m 이상일 때는 5m 이내마다 계단참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비계의 부재 중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띠장
  2. 장선
  3. 가새
  4. 작업발판
(정답률: 61%)
  • 비계의 부재 중에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시키는 부재인 띠장, 장선, 가새가 있습니다. 하지만 작업발판은 기둥과 연결되는 부재가 아니라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바닥을 이루는 부재입니다. 따라서 작업발판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지반의 종류가 다음과 같을 때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11월 19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1 : 0.5 ~ 1 : 1
  2. 1 : 1 ~ 1 : 1.5
  3. 1 : 0.8
  4. 1 : 0.5
(정답률: 56%)
  • 굴착면의 기울기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다양한 지반의 종류가 주어졌고, 각각에 대한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이 제시되었습니다.

    정답은 "1 : 1 ~ 1 : 1.5" 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안정적인 굴착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굴착면의 기울기가 너무 작으면 지반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기울기가 너무 크면 지반이 미끄러져 굴착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기울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굴착면의 기울기가 너무 작거나 크기 때문에 안정적인 굴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 0.5 ~ 1 : 1" 의 경우 기울기가 너무 작아서 지반이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1 : 0.5" 의 경우에는 더욱 기울기가 작아서 굴착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1 : 0.8" 의 경우에는 범위가 좁아서 적용할 수 있는 경우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검토 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1.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산정한다.
  2.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한다.
  3.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한다.
  4. 사용할 거푸집동바리의 설치간격을 결정한다.
(정답률: 55%)
  •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동바리의 구조검토 시 가장 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거푸집동바리의 크기와 설치 간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을 먼저 수행해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거푸집동바리 설치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항만하역작업에서의 선박승강설비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00톤급 이상의 선박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경우에 근로자들의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현문(舷門) 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사다리 밑에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한다.
  2. 현문 사다리는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너비는 55cm 이상이어야 한다.
  3. 현문 사다리의 양측에는 82cm 이상의 높이로 울타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4. 현문 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화물용 발판 또는 화물용 보판으로 사용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54%)
  • 정답은 "현문 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화물용 발판 또는 화물용 보판으로 사용하도록 해서는 아니 된다."이다.

    이유는 현문 사다리는 근로자의 안전한 승강을 위한 것으로, 화물용 발판이나 보판으로 사용하면 근로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문 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장비 자체보다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데 적합한 장비는?

  1. 파워쇼벨(Power Shovel)
  2. 불도저(Bulldozer)
  3. 드래그라인(Drag line)
  4. 클램쉘(Clam Shell)
(정답률: 67%)
  •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데는 파워쇼벨이 적합합니다. 이는 파워쇼벨이 작은 공간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보이며, 땅을 빠르게 파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워쇼벨은 작은 공간에서도 높은 정밀도를 보이며, 깊은 구멍을 파낼 수 있어서 높은 장소의 땅을 굴착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터널작업 시 자동경보장치에 대하여 당일의 작업시작 전 점검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지부의 이상 유무
  2. 조명시설의 이상 유무
  3. 경보장치의 작동 상태
  4. 계기의 이상 유무
(정답률: 54%)
  • 조명시설의 이상 유무는 자동경보장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자동경보장치의 작동 상태, 검지부의 이상 유무, 계기의 이상 유무는 모두 작업시작 전에 점검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타워크레인을 자립고(自立高) 이상의 높이로 설치할 때 지지벽체가 없어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2.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를 수평면에서 60° 이내로 하되, 지지점은 4개소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각도로 설치할 것
  3. 와이어로프와 그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하되, 와이어로프를 클립·샤클(shackle)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
  4.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架空電線)에 근접하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59%)
  • "와이어로프를 클립·샤클(shackle)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전용지지프레임을 사용하거나 적절한 고정부위를 선택하여 고정해야 하지만, 클립·샤클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면 강도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은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준수해야할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숫자를 나열한 것은?

  1. A : 4, B : 10, C : 5
  2. A : 4, B : 10, C : 10
  3. A : 5, B : 10, C : 5
  4. A : 5, B : 10, C : 10
(정답률: 43%)
  • 강관틀비계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 강관의 직경과 두께, 그리고 비계의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최대 하중이 달라진다. 위 그림에서는 A가 4인 경우, B가 10인 경우, C가 10인 경우에 대해 하중표가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A : 4, B : 10, C :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준수하여야 할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2.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것
  3. 버팀대만으로 상단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는 3개 이상으로 하고 그 하단 부분은 견고한 버팀·말뚝 또는 철골 등으로 고정시킬 것
  4.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
(정답률: 56%)
  • 버팀줄만으로 상단 부분을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줄을 2개 이상으로 하고 같은 간격으로 배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버팀줄은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안정시켜주는 요소들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버팀줄만으로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버팀대나 말뚝 등 다른 안정시켜주는 요소들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운반작업을 인력운반작업과 기계운반작업으로 분류할 때 기계운반작업으로 실시하기에 부적당한 대상은?

  1.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
  2. 표준화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운반량이 많은 작업
  3.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
  4. 취급물이 중량인 작업
(정답률: 63%)
  •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은 기계운반작업으로 실시하기에 부적당한 대상입니다. 이유는 기계운반작업은 대부분 표준화되어 있어 지속적이고 운반량이 많은 작업에 적합하며, 취급물이 중량인 작업도 가능하지만, 취급물의 형상, 성질, 크기 등이 다양한 작업은 기계로 운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인력운반작업으로 처리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경우에 준수하여야 할 안전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는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정답률: 52%)
  •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3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이 옳지 않은 이유는,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면 강도가 약해지고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볼트나 철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파이프 서포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본 터널(main tunnel)을 시공하기 전에 터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지질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치하는 터널은?

  1. 프리패브(prefab) 터널
  2. 사이드(side) 터널
  3. 쉴드(shield) 터널
  4. 파일럿(pilot) 터널
(정답률: 57%)
  • 파일럿 터널은 본 터널을 시공하기 전에 지하 지질 조사, 환기, 배수, 운반 등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하는 터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럿 터널입니다. 프리패브 터널은 사전에 제작된 부품을 조립하여 만드는 터널, 사이드 터널은 본 터널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재료나 인력을 운반하는 터널, 쉴드 터널은 지하에서 토양을 파내면서 동시에 터널을 만드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터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추락방지용 설치 시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있는 방망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 kgf 이상
  2. 200 kgf 이상
  3. 300 kgf 이상
  4. 400 kgf 이상
(정답률: 61%)
  •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있는 방망이는 추락방지용 설치 시 사용되는 제품으로, 인장강도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장강도는 물체가 늘어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하며, 이 값이 높을수록 더 강한 힘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락방지용 설치 시 사용되는 그물코의 크기가 10cm인 매듭 있는 방망이의 인장강도 기준은 200 kgf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