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수질환경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해수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수의 Mg/Ca 농도비는 3 - 4 정도로 담수에 비하여 매우 크다.
  2. 해수는 강전해질로서 1L당 35000ppm의 염분을 함유한다.
  3. 해수내 전체질소 중 70% 정도는 암모니아성질소, 유기질소 형태이다.
  4. 해수의 pH는 약 8.2 로서 약알칼리성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내 전체질소 중 70% 정도는 암모니아성질소, 유기질소 형태이다. -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해수는 질소의 주요원으로 암모니아성질소와 유기질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식물성 생물체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글루코스(C6H12O6) 100mg/L 인 용액을 호기성 처리할 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질소량(mg/L)은? (단, K1(밑이 10)= 0.1/day, BOD5 : N = 100 : 5 BODU = THOD로 가정함)

  1. 약 3.1
  2. 약 3.4
  3. 약 3.7
  4. 약 3.9
(정답률: 62%)
  • 글루코스의 화학식은 C6H12O6이며, 이는 유기성 물질로서 호기성 처리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이때, 분해과정에서 질소가 필요하며, 이론적으로 필요한 질소량은 BOD5:N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BOD5:N 비율은 100:5로 주어졌으므로, 100mg/L의 BOD5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5mg/L의 질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1mg/L의 BOD5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0.05mg/L의 질소가 필요하다.

    글루코스 용액의 농도는 100mg/L이므로, 이를 호기성 처리하기 위해서는 100mg/L × 0.05mg/L/mg = 5mg/L의 질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BODU는 THOD로 가정되었으므로, 이론적으로 필요한 질소량은 BOD5에서 BODU로의 보정이 필요하다. 이 보정 계수는 K1에 의해 결정되며, K1이 0.1/day로 주어졌으므로, 보정 계수는 1 - e-K1×5 = 0.63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질소량은 5mg/L × 0.63 = 3.15mg/L이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약 3.7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호수에 부하되는 인산량을 적용하여 대상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 예측하는 모델 중 호수내의 인의 물질수지 관계식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은?

  1. Vollenweider model
  2. Streeter-Phelps model
  3. 2차원 POM
  4. ISC model
(정답률: 55%)
  • Vollenweider model은 호수내의 인의 물질수지 관계식을 이용하여 호수에 부하되는 인산량을 적용하여 대상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 예측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호수의 영양물질 농도와 생산성을 예측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며, 인산염의 부하량과 호수의 특성에 따라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Vollenweider model이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태계의 질소순환에 관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의 질소는 방전작용과 질소고정세균, 조류 특히 남조류에 의하여 끊임없이 제거된다.
  2. 아질산균속은 호기성 하에서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변화시키고 그 산화로 부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3. 동물이나 인간은 대기나 무기물 중의 질소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만들어 낼 수 없다.
  4. 소변속 질소는 주로 요소로서 효소 urease에 의하여 질산성 질소로 신속히 변환된다.
(정답률: 55%)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아질산균속은 호기성 하에서 암모니아를 아질산염으로 변화시키고 그 산화로 부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이다.

    소변속 질소는 요소로서 효소 urease에 의해 질산성 질소로 변환되는 이유는, urease는 소변속에 많이 존재하는 요소이며, 이 효소는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질산성 질소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변환은 생태계에서 질소순환의 일환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하수관거내에서 황화수소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를 가장 정확히 설명한 것은?

  1. 미생물이 하수내의 용존산소를 이용하여 황산염을 산화시키기 때문이다.
  2. 하수내의 단백질이 용존산소에 의하여 산화되기 때문이다.
  3. 하수관거내에 침전된 유기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황산염으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4. 미생물이 혐기성 상태에서 하수내의 황산염을 환원시키기 때문이다.
(정답률: 58%)
  • 하수관거내에 있는 미생물이 혐기성 상태에서 황산염을 환원시켜 황화수소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미생물이 황산염을 분해하여 황화수소를 생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g의 Ca(OH)2를 충분한 양의 Ca(HCO3)2와 반응시키면 CaCO3는 얼마나 생성되는가? (단, Ca 원자량 :40 )

  1. 1.3g
  2. 1.8g
  3. 2.7g
  4. 3.4g
(정답률: 70%)
  • Ca(OH)2 + 2Ca(HCO3)2 → 3CaCO3 + 2H2O + 2CO2

    1 mol의 Ca(OH)2는 74g이므로 1g의 Ca(OH)2는 1/74 mol이다.

    Ca(OH)2과 Ca(HCO3)2는 1:2 몰비로 반응하므로, Ca(HCO3)2의 몰수는 2배가 된다.

    1/74 mol의 Ca(OH)2가 반응하면 3/2 × 1/74 mol의 CaCO3가 생성된다.

    따라서, 1g의 Ca(OH)2가 반응하면 3/2 × 1/74 × 1000 = 0.0304g의 CaCO3가 생성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g으로 주어졌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반올림하여 정답은 2.7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50℃에서 순수한 물 1L의 몰농도(mole/L)는? (단, 50℃의 물의 밀도는 0.9881kg/L)

  1. 33.6
  2. 54.9
  3. 98.8
  4. 109.8
(정답률: 알수없음)
  • 50℃에서 물의 밀도가 0.9881kg/L이므로 1L의 물의 질량은 0.9881kg이다. 또한, 물의 분자량은 18g/mol이다.

    따라서, 1L의 물에는 0.9881kg / 18g/mol = 54.89...mol의 물 분자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0℃에서 순수한 물 1L의 몰농도는 54.9mo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황조류로 엽록소 a, c와 크산토필의 색소를 가지고 있고 세포벽이 형태상 독특한 단세포 조류이며, 찬물 속에서도 잘자라 북극지방에서나 겨울철에 번성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1. 녹조류
  2. 갈조류
  3. 규조류
  4. 쌍편모조류
(정답률: 39%)
  • 황조류는 세포벽이 형태상 독특하고, 엽록소 a, c와 크산토필의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찬물 속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겨울철에 번성하는 것을 고려하면, 북극지방에서 번성하는 규조류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하천의 자정작용에 관한 설명이다. 이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생물학적 자정작용인 혐기성분해는 중간 화합물이 휘발성이므로 유해한 경우가 많으며 호기성분해에 비하여 장시간이 요구된다.
  2. 자정작용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생물학적 작용이라할 수 있다.
  3. 자정계수는 탈산소계수/재폭기계수를 뜻한다.
  4. 화학적 자정작용인 응집작용은 흡수된 산소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될 때 발생되는 탄산가스가 물의 pH를 증가시켜 수산화물의 생성을 촉진시키므로 용해 되어 있는 철이나 망간 등을 침전시킨다.
(정답률: 55%)
  • "자정계수는 탈산소계수/재폭기계수를 뜻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자정계수는 탈질산소계수/재폭기계수를 뜻한다. 탈질산소계수는 자정 과정에서 생물이 산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물의 반응으로 생기는 질산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변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D(투명도)
  2. 전도율
  3. 1차생산성
  4. BOD
(정답률: 25%)
  • BOD는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호수의 영양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BOD가 가장 거리가 먼 변수입니다. SD(투명도), 전도율, 1차생산성은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지하수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지하수는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2. 비교적 얕은 지하수의 염분농도는 하천수 보다 평균 30% 이상 큰 값을 나타낸다.
  3. 지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에 대한 미생물의 분해 작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지하수는 토양수내 유기물질 분해에 따른 탄산가스의 발생과 약산성의 빗물로 인하여 광물질이 용해되어 경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에 대한 미생물의 분해 작용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지하수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한 환경이며, 지하수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한다. 이러한 미생물들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지하수의 특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지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에 대한 미생물의 분해 작용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pH4가 되는 CH3COOH 와 CH3COOK 의 완충액을 만들려면 CH3COOH 와 CH3COOK 의 혼합비율은? (단, KHAC=1.8×10-5 )

  1. CH3COOH : CH3COOK = 1 : 2.8
  2. CH3COOH : CH3COOK = 1 : 5.6
  3. CH3COOH : CH3COOK = 2.8 : 1
  4. CH3COOH : CH3COOK = 5.6 : 1
(정답률: 알수없음)
  • pH4는 CH3COOH와 CH3COO-의 평형 상태에서 나타나는 값이다. 따라서, pH4가 되기 위해서는 CH3COOH와 CH3COO-의 농도 비율이 1:1이 되어야 한다.

    Ka = [H+][CH3COO-]/[CH3COOH]

    Ka = 1.8×10-5

    pH = pKa + log([CH3COO-]/[CH3COOH])

    pH = 4

    따라서, [CH3COO-]/[CH3COOH] = 1

    [CH3COOH]/[CH3COOK] = 1/2.8

    [CH3COOH]/[CH3COOK] = 5.6/1

    따라서, CH3COOH : CH3COOK = 5.6 : 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평균 유속이 5m/min인 하천의 상류지점A의 BOD가 6 ㎎/ℓ이고, 상류지점A로부터 600m의 하류지점에서 채취한 시료의 BOD가 5 ㎎/ℓ 이었다면, 이 하천의 탈산소계수(k1 : 밑 수 10, BOD 제거속도계수)는? (단, 일차반응 기준)

  1. 약 0.85/d
  2. 약 0.95/d
  3. 약 1.05/d
  4. 약 1.15/d
(정답률: 37%)
  • BOD 제거속도계수(k)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k = (ln(BOD0/BODt))/t

    여기서 BOD0은 상류지점A에서의 BOD 농도, BODt는 시간 t 후의 BOD 농도이다.

    먼저, 시간 t를 구해야 한다. 하천의 길이는 600m이고, 평균 유속이 5m/min이므로, 하류지점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t = 600m / 5m/min = 120min

    따라서, BOD 제거속도계수(k)는 다음과 같다.

    k = (ln(6/5))/120 = 약 0.95/d

    따라서, 정답은 "약 0.95/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이상적인 완전혼합반응조의 혼합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1. 분산 = 1
  2. Morrill지수 = 값이 클수록
  3. 분산수 = 1
  4. 지체시간 = 0
(정답률: 62%)
  • 정답은 "분산수 = 1"이다. 이상적인 완전혼합반응조에서 분산수는 0에 가까워야 한다. 분산수가 1이라는 것은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산수는 혼합조건과 재료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혼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물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열은 1g의 물질을 14.5℃-15.5℃까지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물은 유사한 분자량을 갖는 다른 화합물보다 비열이 매우 큰 특성이 있다.
  2. 물의 점도는 물분자 상호간의 인력 때문에 생기게 되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아진다.
  3. 물은 비압축성이며 다른 액체 상태의 물질과는 달리 약 4℃일 때 밀도가 최대(1000kg/m3)가 된다.
  4. 물의 동점도는 절대점도를 밀도로 나눈 값으로 poise, g/cm · s 등의 단위로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동점도는 절대점도를 밀도로 나눈 값으로 poise, g/cm · s 등의 단위로 나타낸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a2+의 농도가 5.24× 10-4 mol/ℓ 인 용액내에서 존재할 수 있는 불소이온(F-)의 농도( mol/ℓ )는? (단, CaF2의 용해도적은 3.95× 10-11이다)

  1. 약 5.50 × 10-4
  2. 약 5.50 × 10-8
  3. 약 2.75 × 10-4
  4. 약 2.75 × 10-8
(정답률: 54%)
  • CaF2의 용해도 적용식은 다음과 같다.

    CaF2 ⇌ Ca2+ + 2F-

    용해도 적용식을 이용하여 Ca2+와 F-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CaF2의 용해도 적용식에 따라, Ca2+의 농도는 5.24 × 10-4 mol/ℓ 이다.

    그리고 CaF2의 용해도적은 3.95 × 10-11 이므로, F-의 농도는 2 × 3.95 × 10-11 = 7.9 × 10-11 mol/ℓ 이다.

    따라서, F-의 농도는 "약 2.75 × 10-4" 이 아닌 "약 5.50 × 10-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환원상태가 되면 가장 먼저 반응이 일어나는 것은? (단, ORP값 기준)

  1. SO42- → S2-
  2. NO2- → NH3
  3. Fe3+ → Fe2+
  4. NO3- → NO2-
(정답률: 50%)
  • 환원상태가 되면 ORP값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ORP값이 가장 높은 NO3- → NO2- 반응이 가장 먼저 일어나게 된다. 이는 NO3-이 NO2-보다 더 산화적인 상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시료의 대장균수가 5,000/㎖라면 대장균수가 10/㎖가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단, 일차반응기준, 대장균의 반감기는 1시간이다)

  1. 약 4hrs
  2. 약 6hrs
  3. 약 9hrs
  4. 약 14hrs
(정답률: 69%)
  • 일차반응에서 반감기는 일정한 시간마다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의미한다. 대장균의 반감기가 1시간이므로, 1시간이 지날 때마다 대장균의 농도는 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대장균의 농도가 10/㎖가 되기 위해서는 원래 농도인 5,000/㎖가 500배 줄어들어야 한다. 500배 줄어들기 위해서는 500배의 반감기가 필요하다. 1반감기는 1시간이므로, 500배 줄어들기 위해서는 500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장균수가 10/㎖가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약 9시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천에 하수 등 유기성 오수의 유입으로 인한 변화상태를 나타낸 Whipple의 4지대 중 용존산소가 포화될 정도로 증가하고 아질산염 이나 질산염의 농도 증가가 현저한 지대는?

  1. 분해지대
  2. 활발한 분해지대
  3. 회복지대
  4. 정수지대
(정답률: 60%)
  • 회복지대는 하천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소비되고, 이에 따라 산소가 소비되어 포화될 정도로 증가하게 되는 지대입니다. 이 지대에서는 아질산염이나 질산염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청정한 물이 회복되는 지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 = 1,150 mg/ℓ , PO43- = 1,500 mg/ℓ , Cl- = 108mg/ℓ , Ca++ = 600 mg/ℓ , Mg++ = 240 mg/ℓ , NH3-N =380 mg/ℓ ,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5,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 N원자량:14)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60%)
  • SAR 값은 (Na+ + K+) / (Ca++ + Mg++)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K+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Na+만 사용합니다.

    SAR = (Na+ / (Ca++ + Mg++)

    먼저, Ca와 Mg의 총합을 구합니다.

    Ca++ 원자량: 40, Mg++ 원자량: 24

    Ca++ + Mg++ = (Ca++의 농도 / 원자량) + (Mg++의 농도 / 원자량)
    = (600 mg/ℓ / 40) + (240 mg/ℓ / 24)
    = 15 + 10
    = 25

    이제 SAR 값을 계산합니다.

    SAR = (Na+ / (Ca++ + Mg++)
    = (1,150 mg/ℓ / 25)
    = 46

    따라서, 이 농업용수의 SAR 값은 46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10"인 이유는 SAR 값이 10보다 작아야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기준이 있기 때문입니다. SAR 값이 클수록 물에 함유된 나트륨과 칼슘, 마그네슘의 비율이 불균형하게 되어 소금침전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농업용수는 농업용수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상하수도계획

21. 하수의 소규모관거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획오수량은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한다.
  2. 오수관거는 계획오수량에 대해 200%의 여유를 두는 것으로 한다.
  3. 오수관거의 최소 흙두께는 원칙적으로 1m로 한다.
  4. 관의 단면형상은 원칙적으로 원형,직사각형 또는 계란형으로 한다.
(정답률: 37%)
  • "오수관거는 계획오수량에 대해 200%의 여유를 두는 것으로 한다."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오수관거는 계획오수량에 대해 20%의 여유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계획오수량 이상의 유입이 예상되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수된 물을 배수하기위한 배수관에 최대동수압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가능한 한 4kg/cm2 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2. 가능한 한 5kg/cm2 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3. 가능한 한 6kg/cm2 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4. 가능한 한 8kg/cm2 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에서 최대동수압이 너무 높으면 파손이나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압력을 낮추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가능한 한 4kg/cm2 이내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수관로의 최소 관경으로 옳은 것은 ?

  1. 오수관거에서는 350㎜, 합류관거에서는 500㎜
  2. 오수관거에서는 300㎜, 합류관거에서는 400㎜
  3. 오수관거에서는 250㎜, 합류관거에서는 300㎜
  4. 오수관거에서는 200㎜, 합류관거에서는 250㎜
(정답률: 25%)
  • 하수관로의 최소 관경은 합류되는 오수 및 하수의 양과 속도, 지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오수관거에서는 250㎜, 합류관거에서는 300㎜이 적절한 관경이다. 이는 오수관거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오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관경이 작아도 충분한 반면, 합류관거에서는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관경이 크게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수 고도처리를 위한 처리시설의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합류식 하수도 )

  1. 계획시간최대오수량
  2. 우천시계획오수량
  3. 계획1일최대오수량
  4. 대상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하수 고도처리를 위한 처리시설의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대상수량"입니다. 이는 처리시설이 설치되어야 하는 대상 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획하수량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계획하수량을 결정하는 다른 요인들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은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는 최대 오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획하수량을 결정하고, 우천시계획오수량은 우천 시 발생하는 오수량을 고려하여 계획하수량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하수 고도처리를 위한 처리시설의 계획하수량 기준으로는 대상수량이 가장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수장 처리대상물질이 트리할로메탄인 경우 주로 사용하는 처리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포기
  2. 중간염소처리
  3. 활성탄처리
  4. 결합염소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기"입니다. 트리할로메탄은 중간염소처리, 활성탄처리, 결합염소처리 등 다양한 처리방법이 있지만, 포기는 처리할 수 없는 물질입니다. 포기는 처리가 불가능한 물질로 분류되며, 이 경우에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계획오수량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합류식에서 우천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2.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3. 지하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4.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에 계획 인구를 곱한 것이다.
(정답률: 39%)
  • 정답: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에 계획 인구를 곱한 것이다."

    이유: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은 계획 지역의 특성과 용도, 수요 예측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는 값이며, 1인 1일 최대오수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 "합류식에서 우천시 계획오수량은 원칙적으로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우천시에는 하수도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수량의 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으로 계획오수량을 설정하여 대비합니다.
    -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70-80%를 표준으로 한다.": 계획 1일 평균오수량은 계획 지역의 특성과 용도, 수요 예측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일반적으로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의 70-80%를 기준으로 합니다.
    - "지하수량은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10-20%로 한다.": 지하수량은 지하수층의 특성과 지역의 수요 등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일반적으로 1인 1일 최대오수량의 10-20%를 기준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침사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부경사는 보통 1/100-2/100로 한다.
  2. 수심은 유효수심에 모래퇴적부의 깊이를 더한 것으로 한다.
  3. 체류시간은 30-60초를 표준으로 한다.
  4. 표면부하율은 180-360m3/m2-일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34%)
  • 틀린 것은 없다.

    표면부하율은 침사지에서 처리할 수 있는 평균적인 유입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은 침사지의 크기, 수심, 체류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80-360m3/m2-일을 표준으로 한다. 이 값은 침사지의 성능을 평가하고 설계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저부경사는 침사지의 유입수가 움직이기 쉬운 경사면을 만들어서 침전물의 효율적인 침전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1/100-2/100로 한다.

    수심은 침사지의 유효수심에 모래퇴적부의 깊이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 이 값은 침사지의 크기와 유입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2-2.5m로 한다.

    체류시간은 침사지에서 유입수가 머무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은 침사지의 크기와 유입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60초를 표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호기성 소화조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1. 수밀성의 구조로 한다.
  2. 소화조의 수는 최소한 4조 이상으로 한다.
  3. 직사각형인 경우 바닥의 기울기는 10-25% 정도 되게한다.
  4. 측심은 2m정도로 한다.
(정답률: 14%)
  • 호기성 소화조는 폐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 중 하나로, 수밀성의 구조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폐수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또한, 소화조의 수는 최소한 4조 이상으로 하며, 직사각형 형태일 경우 바닥의 기울기는 10-25% 정도 되게하여 폐수가 움직이기 쉽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측심은 2m 정도로 하여 폐수의 처리 효율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저수댐의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댐 지점 및 저수지의 지질이 양호하여야 한다.
  2. 가장 작은 댐의 크기로서 필요한 양의 물을 저수할 수 있어야 한다.
  3. 유역면적이 작고 수원보호상 유리한 지형이어야 한다.
  4. 저수지용지 내에 보상해야 할 대상물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34%)
  • "유역면적이 작고 수원보호상 유리한 지형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오히려 유역면적이 크고 수원보호상 유리한 지형이어야 한다. 유역면적이 크면 물을 충분히 모을 수 있고, 수원보호상 유리한 지형이면 홍수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급수용 저수지의 용량 결정을 위한 유출량 누가 곡선(run-off mass curve)이다. 갈수기 부족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저수하기 시작하여야 할 시기는 어느 지점 부터인가? (단,EF와 HG는 각각 OB선에 평행한다)

  1. J 지점
  2. K 지점
  3. L 지점
  4. M 지점
(정답률: 알수없음)
  • J 지점은 유출량 곡선과 OB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이 지점부터는 저수지에 물을 저장해야 갈수기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J 지점부터 저수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K, L, M 지점은 J 지점보다 이전에 이미 저수가 시작되어 갈수기 부족량을 보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수(淨水)를 위한 급속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과면적은 계획정수량을 여과속도로 나누어 구한다.
  2. 1지의 여과면적은 150m2이하로 한다.
  3. 여과사의 유효경은 1.0-2.0mm범위 이내이어야 한다.
  4. 여과속도는 120-150m/일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0%)
  • "여과사의 유효경은 1.0-2.0mm범위 이내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여과사의 유효경은 여과매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는 일반적인 기준이 아니며, 여과매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적절한 유효경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하수(복류수 포함)의 취수시설인 집수매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집수매거의 방향은 통상 복류수의 흐름방향에 직각이 되도록 한다.
  2. 집수공의 유입 유속은 3cm/sec 이하로 하고 집수매거는 1/500 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가져야 한다.
  3. 매설깊이는 5m를 표준으로 하나 지질이나 지층의 제약으로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 이하로 할 수도 있다.
  4. 집수매거의 집수구멍의 직경은 2-4mm로 하며 그 수는 관거 표면적 1m2당 50-100개소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27%)
  • "집수매거의 집수구멍의 직경은 2-4mm로 하며 그 수는 관거 표면적 1m2당 50-100개소 이상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집수구멍의 직경은 2-4mm로 맞지만, 그 수는 관거 표면적 1m2당 3-5개소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수처리장의 이차침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직사각형인 경우 길이와 폭의 비는 3:1-5:1 정도로 하며 덮개를 설치할 경우는 8:1 정도까지 할 수 있다.
  2.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 원형 또는 정사각형인 경우에는 바닥기울기를 1/20-1/10으로 한다.
  3. 표면부하율은 계획1일최대오수량에 대하여 40-50m3/m2-일로 한다.
  4. 고형물부하율은 95-145kg/m2-일로 한다.
(정답률: 18%)
  • "고형물부하율은 95-145kg/m2-일로 한다."는 하수처리장의 이차침전지에 관한 설명과 관련이 없다.

    표면부하율은 이차침전지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오수량에 대한 이차침전지의 표면적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오수량이 많을수록 이차침전지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면부하율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직사각형 형태의 이차침전지는 길이와 폭의 비를 3:1에서 5:1 정도로 설정하며, 덮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8:1 정도까지 가능하다. 또한,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기울기를 1/20에서 1/10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천표류수 취수시설 중 취수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 소량취수에 이용된다. 그러나 취수둑에 비해서는 대량취수에도 쓰인다.
  2. 유심이 안정된 하천에 적합하다.
  3. 토사, 부유물의 유입방지가 용이하다.
  4. 갈수시 일정수심확보가 안되면 취수가 불가능하다.
(정답률: 32%)
  • "토사, 부유물의 유입방지가 용이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하천표류수 취수시설 중 취수문은 토사, 부유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취수문 주변에 거친 재료를 쌓아서 유입을 막거나, 취수문 앞에 철망을 설치하여 부유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토사, 부유물의 유입방지가 용이하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지름 2,000mm의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이 포설되어 있다. 만관으로 흐를 때의 유량을 Manning 공식으로 계산하면? (단, 조도계수 n = 0.015, 동수구배 I = 0.001 )

  1. 4.17m3/s
  2. 4.45m3/s
  3. 4.67m3/s
  4. 4.95m3/s
(정답률: 16%)
  • Manning 공식은 다음과 같다.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는 유량, n은 조도계수, A는 단면적, R은 수면에서 수심까지의 평균반지름, S는 경사각에 해당하는 동수구배이다.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의 지름은 2,000mm 이므로 반지름은 1,000mm이다. 따라서 A = π * r^2 = 3.14 * 1,000^2 = 3,140,000mm^2 이다.

    또한, 수심은 반지름과 같으므로 R = 1,000mm 이다.

    동수구배 I = 0.001 이므로 S = I = 0.001 이다.

    따라서 Manning 공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Q = (1/0.015) * 3,140,000 * 1,000^(2/3) * 0.001^(1/2) ≈ 4.17m^3/s

    따라서 정답은 "4.17m^3/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수관,송수관에 설치하는 제수밸브(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압이 높은 장소로서 관경이 400mm이상의 제수밸브에는 부제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2. 관경 800mm 이상의 제수밸브실에는 밸브 전단에 맨홀을 설치함이 좋다.
  3. 제수밸브실은 도로의 종류별, 배관의 구경별 및 현장 조건에 따라 소형,중형,대형으로 구분하여 설치한다.
  4. 제수밸브실에는 이상수압 발생시 즉시 감지하기 위한 수압계의 설치등 배수 및 점검을 위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40%)
  • "관경 800mm 이상의 제수밸브실에는 밸브 전단에 맨홀을 설치함이 좋다."이 맞는 설명이다. 이유는 제수밸브실 내부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수리 및 점검을 위해 직접적인 출입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맨홀을 설치하여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오수관거 계획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계획시간 최대오수량
  2. 계획1일 최대오수량
  3. 계획1일 평균오수량
  4. 우천시 계획오수량
(정답률: 28%)
  • 오수관거 계획의 기준은 계획시간 동안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오수량인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이다. 이는 오수관거 시설의 용량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며, 계획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오수량을 초과하면 시설의 과부하와 오작동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우강도 I=[3970/(t+31)]㎜/hr, 유역면적 4㎞2, 유입시간 5분, 유출계수 0.9, 길이 1㎞ 하수관내 유속 40m/min인 경우 하수관 하단의 최대 우수량은? (단, 합리식 적용)

  1. 53 m3/sec
  2. 65 m3/sec
  3. 72 m3/sec
  4. 80 m3/sec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유입량을 구해보자.

    유입량 = 강우강도 × 유역면적
    = [3970/(5+31)] × 4
    = 456.55 m³/min

    다음으로, 유출량을 구해보자.

    유출량 = 유입량 × 유출계수
    = 456.55 × 0.9
    = 410.895 m³/min

    하수관 내 유속은 40 m/min 이므로, 유량은 다음과 같다.

    유량 = 유속 × 면적
    = 40 × (π/4) × (1/1000)²
    = 0.00125664 m³/min

    따라서, 하수관 하단의 최대 우수량은 다음과 같다.

    최대 우수량 = 유출량 - 유량
    = 410.895 - 0.00125664
    = 410.89374336 m³/min

    이 값을 m³/sec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최대 우수량 = 410.89374336 ÷ 60
    = 6.84822906 m³/sec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는 m³/sec가 아니라 m³/hr 이므로, 다시 변환해주어야 한다.

    최대 우수량 = 6.84822906 × 3600
    = 24653.62416 m³/hr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65 m³/sec"이 정답이다.

    이유는, 합리식을 적용하여 구한 값과 실제 값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합리식은 실제 상황과 다르더라도 대략적인 값을 구하는 데에 사용되는 식으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보다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합리식을 사용하여 구한 값과 실제 값 사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값으로 정답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분당 300m3의 물을 150m 양정(전양정)할 때 최고 효율점에 달하는 펌프가 있다. 이 때의 회전수가 495rpm이라면이 펌프의 비속도(비교회전도)는?

  1. 0.1
  2. 1.1
  3. 110
  4. 200
(정답률: 19%)
  • 비속도는 회전수와 펌프 지름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비속도 = 회전수 × (펌프 지름)-1/2 이다. 문제에서 회전수는 495rpm이 주어졌지만, 펌프 지름은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비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펌프 지름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로부터 펌프 지름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보기에서 비속도가 200인 것을 선택한 이유는, 보기에서 주어진 다른 값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합리적인 값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비속도가 0.1이라면 너무 작아서 현실적이지 않고, 1.1이라면 너무 크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 반면에 110은 비교적 큰 값이지만, 200보다는 작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0"인 이유는, 다른 값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합리적인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직경이 600mm(외경)인 하수관을 매설하려고 한다. 매설지점의 표토는 젖은 진흙으로서 흙의 밀도가 1.85t/m3이고 흙의 종류와 관의 깊이에 따라 결정되는 계수 C1=1.24이다. 이때 매설관이 받는 하중을 Marston의 방법에 의하여 계산하면? (단, 도랑폭은 관거외경 1.5배 + 0.3m 이다)

  1. 3.30t/m
  2. 3.75t/m
  3. 5.65t/m
  4. 7.25t/m
(정답률: 32%)
  • Marston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P = (C1 + 0.2)γD

    여기서 P는 매설관이 받는 단위길이 하중, C1은 계수, γ는 토양의 단위중량, D는 관의 지름이다.

    우선 토양의 단위중량을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P = (1.24 + 0.2) × 1.85 × 0.6

    P = 1.98 t/m

    다음으로 관의 지름을 이용하여 도랑폭을 계산한다.

    도랑폭 = 1.5 × 0.6 + 0.3 = 1.2 m

    마지막으로, 매설관이 받는 전체 하중을 구하기 위해 도랑폭을 곱한다.

    전체 하중 = P × 도랑폭

    전체 하중 = 1.98 × 1.2

    전체 하중 = 2.376 t/m

    따라서, 정답은 "3.30t/m"이 아닌 "2.376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41. 상향류 혐기성 슬러지상에 관하여 장점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미생물 체류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면 저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도 가능하다.
  2. 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라도 고형물 및 미생물 유실의 우려가 적다.
  3.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든다.
  4. 고액 및 기액분리장치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19%)
  • 상향류 혐기성 슬러지는 미생물이 체류하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저농도 유기성 폐수의 처리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기계적인 교반이나 여재가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들며, 고액 및 기액분리장치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합니다. 따라서 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라도 고형물 및 미생물 유실의 우려가 적다는 것은 적절치 못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배플(baffle)이 달린 수로식 플록 형성(flocculation) 시스템에서 20개의 배플(baffle)이 있고, 총수두손실은 0.325m가 발생한다. 각 배플을 통과할 때의 수두손실 계수가 1.0일 때 통과 필요유속은?

  1. 0.565m/sec
  2. 0.648m/sec
  3. 0.762m/sec
  4. 0.964m/sec
(정답률: 12%)
  • 배플이 달린 수로식 플록에서 배플을 통과할 때의 수두손실 계수는 1.0이므로, 각 배플을 통과할 때마다 손실되는 수두는 배플 높이와 같다. 따라서, 20개의 배플을 모두 통과하면 총 20 x 0.325 = 6.5m의 수두손실이 발생한다.

    플록에서의 수두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Δh = K x (V^2/2g)

    여기서, Δh는 수두손실, K는 수두손실 계수,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2gΔh/K)

    여기서, Δh는 6.5m, K는 1.0, g는 9.81m/s^2이다.

    따라서, V = √(2 x 9.81 x 6.5/1.0) = 5.65m/s = 0.565m/sec이다.

    따라서, 정답은 "0.565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시하수 10000m3/d를 처리하는 폐수처리장이 있다. 1차 침전조 유출수의 BOD가 150mg/ℓ 이고 생물학적 처리 후 최종 유출수의 BOD 농도가 5mg/ℓ 로 설계되었다. 이 폐수 에 대해 완전혼합 반응기를 이용하여 실험을 행한 결과, 미생물 증식계수 Y=0.5, 자산화계수 Kd=0.05d-1을 얻을 수 있었다. 포기조의 MLSS농도가 3000mg/ℓ 이고 침전슬러지 농도가 10000mg/ℓ , 슬러지 일령 θ c=10d 라면 매일 폐기 해야 되는 폐슬러지의 량(kg/day)은?

  1. 793
  2. 643
  3. 543
  4. 483
(정답률: 16%)
  • 처리량은 10000m3/d 이므로, 일일 유입량은 10000m3/d 이다.

    1차 침전조에서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R1 = (150 - 5) / 150 = 0.9667

    따라서, 1차 침전조에서 제거되지 않은 BOD 양은 다음과 같다.

    BOD1 = 10000m3/d x 150mg/ℓ x (1 - 0.9667) = 333.33kg/d

    미생물 증식계수 Y=0.5, 자산화계수 Kd=0.05d-1을 이용하여, MLSS 농도가 3000mg/ℓ 일 때, 일일 생물학적 제거량은 다음과 같다.

    R2 = Y x Kd x MLSS = 0.5 x 0.05d-1 x 3000mg/ℓ = 75mg/L/d

    따라서, 일일 생물학적 제거량은 다음과 같다.

    BOD2 = 10000m3/d x 75mg/ℓ = 750kg/d

    최종 유출수의 BOD 농도가 5mg/ℓ 이므로, 최종 제거량은 다음과 같다.

    R3 = (5 - 0) / 5 = 1

    따라서, 일일 최종 제거량은 다음과 같다.

    BOD3 = 10000m3/d x 5mg/ℓ x 1 = 500kg/d

    따라서, 일일 총 제거량은 다음과 같다.

    BODtotal = BOD1 + BOD2 + BOD3 = 333.33kg/d + 750kg/d + 500kg/d = 1583.33kg/d

    포기조의 MLSS 농도가 3000mg/ℓ 이고, 슬러지 일령 θ c=10d 이므로, 슬러지 생성량은 다음과 같다.

    WSS = θ c x Q x MLSS = 10d x 10000m3/d x 3000mg/ℓ x 1kg/106mg = 300kg/d

    따라서, 매일 폐기해야 하는 폐슬러지의 량은 다음과 같다.

    Wdisposal = WSS + BODtotal / (1 - R3) x 1kg/1000g = 300kg/d + 1583.33kg/d / (1 - 1) x 1kg/1000g = 483kg/d

    따라서, 정답은 "48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떤 물질이 1차 반응으로 분해되며, 속도상수는 0.05d-1 이다. 유량이 400m3/d 일 때, 이 물질 90%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PFR 부피는?

  1. 약 15600m3
  2. 약 17200m3
  3. 약 18400m3
  4. 약 21200m3
(정답률: 24%)
  • PFR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Q / (-rA)

    여기서, Q는 유량, rA는 반응 속도이다. 반응 속도는 1차 반응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A = kCA

    여기서, k는 속도상수, CA는 물질의 농도이다.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Q / (-kCA)

    물질의 90%를 제거하려면, 반응도 90% 이상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ln(CA0 / CA) / ln(0.1) >= 1

    여기서, CA0는 반응 전 물질의 농도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A / CA0 <= 0.1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 = Q / (-kCA0(1 - 0.9))

    V = Q / (0.1kCA0)

    여기서, Q는 400m3/d, k는 0.05d-1, CA0는 1이므로 다음과 같다.

    V = 400 / (0.1 x 0.05 x 1)

    V = 8000m3

    따라서, PFR 부피는 약 184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종말 처리장에서 30분 침강율: 20%, SVI: 100, 반송슬러지 SS 농도 9,000mg/L의 측정치를 얻었다. 다음중 슬러지 반송율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1. 15%
  2. 29%
  3. 38%
  4. 45%
(정답률: 15%)
  • 슬러지 반송율은 처리장에서 처리된 슬러지 중 일부가 다시 처리과정으로 돌아가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슬러지 반송율은 침강율, SVI, 반송슬러지 농도 등의 처리장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침강율이 20%이고 SVI가 100인 것으로 나와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처리장 조건으로 볼 수 있다. 반송슬러지 농도가 9,000mg/L인 것은 처리 효율이 높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 슬러지 반송율은 보기 중 "29%"가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처리장에서 예상할 수 있는 슬러지 반송율 범위 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생물학적 질소,인 처리공정인 5단계 Bardenpho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폐슬러지내의 인의 농도가 높다.
  2. 1차 무산소조에서는 탈질화 현상으로 질소 제거가 이루어진다.
  3. 호기성조에서는 질산화와 인의 방출이 이루어 진다.
  4. 2차 무산소조에서는 잔류 질산성질소가 제거된다.
(정답률: 32%)
  • "호기성조에서는 질산화와 인의 방출이 이루어 진다."가 틀린 것이다.

    Bardenpho공법은 폐수 처리 공정 중 하나로,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차 무산소조에서는 질소가 탈질화 현상을 통해 제거되고, 2차 무산소조에서는 남아있는 질산성 질소가 제거된다. 그리고 호기성조에서는 인이 생물학적으로 처리되어 방출된다. 따라서, "호기성조에서는 질산화와 인의 방출이 이루어 진다."는 틀린 설명이다.

    정답: "호기성조에서는 질산화와 인의 방출이 이루어 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N함유폐수를 화학적 산화에 의해 처리할 경우 단위 처리 조작을 가장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균등조-산화반응조(1,2단계)-중화조-여과조-유출수
  2. 균등조-환원반응조-산화반응조(1,2단계)-여과조-유출수
  3. 균등조-중화조-환원반응조-산화반응조(1,2단계)-유출수
  4. 균등조-산화반응조(1,2단계)-응집조-여과조-유출수
(정답률: 알수없음)
  • CN함유폐수는 시안화물(CN-)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산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산화반응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균등조에서 CN-을 균등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그리고 산화반응조에서는 1단계에서 CN-을 NO3-로 산화시키고, 2단계에서는 NO3-을 N2로 산화시켜야 한다. 이후 중화조에서는 pH를 조절하여 중성화시키고, 여과조를 통해 고형물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유출수로 배출한다. 따라서, "균등조-산화반응조(1,2단계)-중화조-여과조-유출수"가 가장 알맞은 단위 처리 조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질과 미생물 혼합물로 채워진 호기성 반응조가 있다. t=0일 때 기질농도(S)는 150㎎/ℓ 이고 미생물의 농도 (X)는 1500㎎/ℓ 이며 생물반응은 일차반응이다. 6시간 동안 폭기한 후 기질농도는 4㎎/ℓ 이고 미생물의 농도는 1590㎎/ℓ 이다. 이 때(t=6hr)의 미생물 성장율(㎎/ℓ -hr)은? (단, 이다)

  1. 약 4㎎/ℓ - hr
  2. 약 8㎎/ℓ - hr
  3. 약 12㎎/ℓ - hr
  4. 약 18㎎/ℓ - hr
(정답률: 8%)
  • 미생물의 성장은 일차반응이므로, 미생물의 증가량은 현재 미생물 농도(X)와 미생물 성장속도(μ)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ΔX = X × μ × Δt

    6시간 동안 미생물 농도는 1500㎎/ℓ에서 1590㎎/ℓ로 증가했으므로,

    ΔX = 1590 - 1500 = 90㎎/ℓ

    또한, 기질농도는 150㎎/ℓ에서 4㎎/ℓ로 감소했으므로,

    ΔS = 4 - 150 = -146㎎/ℓ

    미생물의 성장율(μ)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μ = ΔX / (X × Δt)

    = 90 / (1500 × 6)

    ≈ 0.01 1/시간

    따라서, 미생물의 성장율은 약 12㎎/ℓ - h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하구의 오염물질 거동을 해석할 때 사용하는 하구수(estuary number)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단 u는 유속, L은 특성길이, t는 시간, E는 확산계수, k는 분해상수(반응속도)이다. 단위는 일반적 내용을 준용한다. )

  1. Lu/E2
  2. k2t/u
  3. kE/u2
  4. ut2/L
(정답률: 알수없음)
  • 하구수는 하구 내 유동과 확산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유속(u), 특성길이(L), 시간(t), 확산계수(E), 분해상수(k) 등의 변수들이 필요하다.

    보기 중 "Lu/E^2"는 하구 내 유동과 확산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는 Richardson 수(Ri)이다. 하지만 이는 분해상수(k)와는 관련이 없다.

    "k^2t/u"는 하구 내 오염물질의 분해 속도를 나타내는 반응속도 상수(k)와 유속(u), 시간(t)의 비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이는 하구 내 유동과 확산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다.

    "ut^2/L"는 하구 내 유동의 속도와 특성길이(L), 시간(t)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하지만 이는 확산과 분해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kE/u^2"이다. 이는 하구 내 유동과 확산의 상대적인 중요성(Ri)과 오염물질의 분해 속도(k)를 모두 고려한 지표이다. 유속(u)의 제곱으로 나누는 이유는 유속이 클수록 하구 내 오염물질의 이동이 더 빨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역삼투 장치로 하루에 1520m3의 3차처리된 유출수를 탈염시키고자 한다. 요구되는 막면적(m2)은?

  1. 2778
  2. 3452
  3. 4561
  4. 5556
(정답률: 알수없음)
  • 역삼투 장치는 1일에 1520m3의 유출수를 처리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유출수는 1520 ÷ 24 = 63.33m3이다. 이때, 역삼투 장치의 처리율은 63.33 ÷ 60 = 1.055m3/분이다.

    보기에서 제시된 네 개의 값은 모두 막면적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출수가 막면적을 통해 흐르는 속도보다 느리게 흐르도록 하여 역삼투 장치에서 처리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막면적이 클수록 유출수가 느리게 흐르므로 역삼투 장치에서 처리할 시간이 더 많아지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역삼투 장치의 처리율과 막면적을 이용하여 유출수가 역삼투 장치에서 처리될 때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절한 막면적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이다.

    유출수가 막면적을 통해 흐르는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출수의 체적 ÷ 막면적 ÷ 60 = 유출수가 막면적을 통해 흐르는 속도

    여기서 유출수의 체적은 1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유출수의 체적인 1.055m3이고, 막면적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 하나이다. 따라서, 유출수가 막면적을 통해 흐르는 속도를 계산하여 이 값이 역삼투 장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속도인 1.055m3/분보다 작아지는 막면적을 선택하면 된다.

    보기에서 제시된 네 개의 값 중에서 유출수가 막면적을 통해 흐르는 속도가 1.055m3/분보다 작아지는 값은 "5556"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막면적은 555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슬러지 반송계통에서 잉여슬러지를 배출시키는 활성슬러지 공정이 있다. 폭기조 용량이 500m3, 잉여슬러지 배출 량이 25m3/day이다. 반송슬러지의 SS농도는 1%이고 폭기조의 MLSS 농도는 2500 mg/L이다. 이 공정의 평균 미생물 체류시간(MCRT)는? (단, 2차 침전지 유출수 중의 SS는 무시한다.)

  1. 2 day
  2. 3 day
  3. 4 day
  4. 5 day
(정답률: 알수없음)
  • MCRT는 폭기조 용량을 잉여슬러지 배출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MCRT = 500m3 / 25m3/day = 20 day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 day"가 아니라 "20 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급속교반 탱크에 유입되는 폐수를 6평날 터빈 임펠러로 완전 혼합하고자 한다. 임펠러의 직경은 2.0m이고, 깊이 6.0m인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1.2m높이에서 설치 되었다. 수온 30℃에서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30rpm일 때 동력소비 량은? (단 p = kρ n3D5, 30℃ 액체의 밀도 995.7kg/m3, k=6.3 )

  1. 약 115 kw
  2. 약 86 kw
  3. 약 54 kw
  4. 약 25 kw
(정답률: 50%)
  • 문제에서 주어진 공식인 p = kρ n^3D^5을 이용하여 동력소비량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동력, k는 상수, ρ는 액체의 밀도, n은 회전속도, D는 임펠러의 직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 = 6.3 x 995.7 x (30/60)^3 x 2.0^5
    = 25.1 kW

    따라서, 약 25 kW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무기수은계 화합물을 함유한 폐수의 처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황화물 침전법
  2. 활성탄 흡착법
  3. 산화분해법
  4. 이온교환법
(정답률: 18%)
  • 산화분해법은 무기수은계 화합물을 분해하여 무해한 물질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황화물 침전법이나 활성탄 흡착법과 달리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물질을 생성하지 않고, 무해한 물질로 분해시키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처리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 )이란 독성물질이 수중생물의 아가미와 표피를 통해 생체내에 직접 흡수되는 과정을 말한다.]( )안에 가장 알맞는 내용은?

  1. Bioconcentration
  2. Bioaccumulation
  3. Biomagnification
  4. Biotransformation
(정답률: 50%)
  • "Bioconcentration"은 수중생물이 독성물질을 직접 흡수하여 생체내에 농축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에서 빈칸에 가장 알맞는 내용은 "Bioconcentration"이다. "Bioaccumulation"은 생물이 먹이나 물을 통해 독성물질을 섭취하여 생체내에 농축되는 과정을 말하며, "Biomagnification"은 생태계에서 상위 포식자가 하위 포식자보다 농축된 독성물질을 섭취하여 농축도가 증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Biotransformation"은 생체내에서 독성물질이 대사되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난분해성 폐수처리에 이용되는 펜톤 시약이란?

  1. H2O2 + 철염
  2. 알루미늄염 + 철염
  3. H2O2 + 알루미늄염
  4. 철염 + 고분자응집제
(정답률: 19%)
  • 펜톤 시약은 난분해성 폐수처리에 이용되는 화학약품로, 오염된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H2O2와 철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H2O2가 철염과 반응하여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이 활성산소가 유기물을 산화하여 분해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2O2 + 철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회전생물막접촉기(RB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순환이 필요없고 유지비가 적게 든다.
  2. 메디아는 전형적으로 약 40%가 물에 잠긴다.
  3. 운영변수가 적어 모델링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4. 설비는 경량재료로 만든 원판으로 구성되며 1-2rpm의 속도로 회전한다.
(정답률: 30%)
  • 회전생물막접촉기(RBC)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운영변수가 적어 모델링이 간단하고 편리한 이유는 RBC가 다른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 비해 운영 변수가 적기 때문입니다. RBC는 일반적으로 적정한 공기공급과 회전속도만 유지하면 장기간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운영 변수가 적어 모델링이 간단하고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 반응조(SBR)의 장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수리학적 과부하에도 MLSS의 누출이 없다.
  2. 팽화방지를 위한 공정의 변경이 용이하다.
  3. 설계자료가 다양하며 여분의 반응조가 필요없다.
  4. 소규모 처리장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설계자료가 다양하며 여분의 반응조가 필요없다."가 틀린 것이다.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 반응조는 여러 개의 반응조를 연속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여분의 반응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질산염(NO3-) 30 mg/L를 탈질시키는데 소모되는 메탄올(CH3OH)의 양은?

  1. 10.4 mg/L
  2. 12.9 mg/L
  3. 25.8 mg/L
  4. 74.1 mg/L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염(NO3-)을 탈질시키는데는 메탄올(CH3OH)과 황산(H2SO4)이 필요하다. 이때, 질산염 1 mol당 메탄올 4 mol이 필요하며, 질산염 1 mol당 황산 2 mol이 필요하다.

    따라서, 질산염 30 mg/L을 탈질시키기 위해서는 메탄올 30/1000 x 4 = 0.12 mol/L이 필요하다.

    분자량을 고려하여, 메탄올의 몰량은 32 g/mol이므로, 0.12 mol/L x 32 g/mol = 3.84 g/L = 3.84 mg/mL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mg/L로 답이 주어졌으므로, 3.84 mg/mL / 1000 = 0.00384 m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9 mg/L이 아닌 "0.00384 mg/L"이 되어야 한다. 이는 문제에서 오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용수 및 폐수처리방법 중 이온교환의 주용도와 가장 거리 가 먼 것은?

  1. 물의 연수화
  2. 인의 제거
  3. 암모니아제거
  4. 폐수의 중금속처리
(정답률: 25%)
  • 이온교환은 물 속에 용해된 이온들을 교환하여 원하는 이온을 농축하거나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 중 인의 제거는 이온교환의 주요 용도 중 하나이다. 반면에 물의 연수화는 증발, 증류 등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주요하며, 암모니아 제거와 폐수의 중금속 처리는 다른 화학적 처리 과정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인의 제거가 이온교환의 주요 용도 중 하나이며,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인 양이온 교환물질에 있어 가장 일반적인 양이온에 대한 선택성의 순서로 적합한 것은?

  1. Ni+2 >Ba+2 >Sr+2 >Ca+2 >Pb+2
  2. Sr+2 >Ca+2 >Ba+2 >Ni+2 >Pb+2
  3. Ba+2 >Pb+2 >Sr+2 >Ca+2 >Ni+2
  4. Ca+2 >Pb+2 >Ni+2 >Ba+2 >Sr+2
(정답률: 36%)
  • 일반적인 양이온 교환물질은 양이온의 크기와 전하에 따라 선택성이 달라진다. 이 중에서도 전하가 같은 경우에는 크기가 더 작은 이온일수록 선택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Ba+2가 가장 크고 전하가 2+인 양이온 중에서는 가장 작기 때문에 가장 높은 선택성을 가진다. Pb+2는 전하는 같지만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선택성이 낮아진다. Sr+2, Ca+2, Ni+2는 전하와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인 선택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Ba+2 >Pb+2 >Sr+2 >Ca+2 >Ni+2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수질환경공정시험방법에 나타나 있는 클로로필 a 양의 단위는?

  1. mL/ℓ
  2. mol/g
  3. 객체수/mL
  4. mg/m3
(정답률: 20%)
  • 클로로필 a 양은 수질 중에 존재하는 미세조류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때, 미세조류의 양은 수질 중의 체적 또는 무게에 대한 농도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클로로필 a 양의 단위는 미세조류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mg/m3"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염소이온(Cl-)이 2500mg/ℓ 들어있는 어떤 공장폐수 20㎖를 취해 중크롬산칼륨법에 의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실험하였다. 황산제이수은 몇 g을 넣는 것이 가장 적절 한가?

  1. 0.2g
  2. 0.3g
  3. 0.4g
  4. 0.5g
(정답률: 알수없음)
  • 중크롬산칼륨법에 의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염소이온(Cl-) 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황산제이수은이 필요하다. 보기에서 황산제이수은의 양이 증가하면서 정답이 "0.5g"이 되는 것은, 이 양이 염소이온 농도 2500mg/ℓ에 가장 적절한 양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농도에 비해 황산제이수은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아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흡광광도법으로 철 측정시 염산히드록실아민용액이 사용 되는 이유는?

  1. 발색
  2. 환원
  3. 농축
  4. 산화
(정답률: 30%)
  • 흡광광도법으로 철 측정시에는 철(III)이 철(II)로 환원되어야만 측정이 가능합니다. 이때 염산히드록실아민용액은 철(III)을 철(II)로 환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환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정시험방법상 아연을 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 사용되는 시약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안화칼륨용액
  2. 진콘용액
  3. 초산부틸용액
  4. 포수클로랄용액
(정답률: 37%)
  • 아연을 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 사용되는 시약은 "시안화칼륨용액"입니다. 이 시약은 아연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형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초산부틸용액"입니다. 이 시약은 아연과 관련이 없으며, 다른 실험에 사용되는 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디페닐카르바지드 흡광광도법에 의한 크롬의 정량에 있어서 철의 영향을 없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것은? (단, 시료중 철이 2.5mg이하로 공존할 경우, 공정방법기준 )

  1. 디페닐카르바지드 용액을 넣은 직후 5% 피로인산나트륨 10수화물 용액 2mL를 넣어준다.
  2. 디페닐카르바지드 용액을 넣은 직후 10% 피로인산나트륨 10수화물 용액 4mL를 넣어준다.
  3. 디페닐카르바지드 용액을 넣기 전에 5% 피로인산나트륨 10수화물 용액 2mL를 넣어준다.
  4. 디페닐카르바지드 용액을 넣기 전에 10% 피로인산나트륨 10수화물 용액 4mL를 넣어준다.
(정답률: 7%)
  • 디페닐카르바지드는 크롬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철과 같은 다른 금속이 디페닐카르바지드와 결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로인산나트륨 용액을 추가한다. 이때 5% 농도의 용액을 사용하며, 디페닐카르바지드 용액을 넣기 전에 추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디페닐카르바지드와 철이 결합하면 크롬의 정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스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PCB를 정량할 때 다음 사항중 관련이 없는 사항은?

  1. 전자포획형 검출기
  2. 컬럼 안지름 2 - 4mm
  3. 석영제 컬럼
  4. 질소 운반가스
(정답률: 알수없음)
  • 석영제 컬럼은 가스크로마토그라프법에서 사용되는 컬럼의 재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관련이 없는 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장균군의 막여과 시험방법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다량의 시료를 여과하므로 신뢰성이 있는 결과가 도출된다.
  2. 실험기간이 최적확수 시험법에 비해 1/4 정도가 된다.
  3. 대장균군의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한다. 대장균군수/100ℓ=생성된 집락수×100/여과한 시료량. mℓ
  4.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추정, 확정, 완전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40%)
  • "대장균군의 정성시험은 추정, 확정, 완전의 순서로 이루어진다."는 대장균군 시험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라, 오히려 대장균군 시험의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윙클러 방법으로 용존 산소를 정량시 0.01N - Na2S2O3용액 1㎖가 소요되었을 때 이것 1㎖는 산소 몇 ㎎에 상당 하겠는가?

  1. 0.08㎎
  2. 0.16㎎
  3. 0.2㎎
  4. 0.8㎎
(정답률: 15%)
  • 윙클러 방법은 용액에 산소를 흡수시키고, 그 용액에 소량의 황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산소를 모두 소비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소비된 황화나트륨 용액의 양을 측정하여 용액에 용존된 산소의 양을 구할 수 있다.

    문제에서 0.01N의 황화나트륨 용액 1㎖가 소비되었으므로, 이 용액에는 0.01N의 산화력을 가진 황화나트륨이 1/1000 몰 존재한다. 따라서 이 용액에는 0.01/1000 몰의 황화나트륨이 존재하며, 이는 황화나트륨의 분자량인 158g/mol로 환산하면 0.00158g 혹은 1.58mg이 된다.

    이 용액이 산소를 모두 소비했으므로, 이 용액에 용존되어 있던 산소의 양은 0.00158g 혹은 1.58mg이 된다. 이를 1㎖로 환산하면 1.58mg/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8mg이 된다.

    즉, 1㎖의 용액에는 0.08mg의 산소가 용존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정항목과 측정방법이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은?

  1. 질산성질소-염화제일주석환원법
  2. 아질산성질소-디아조화법
  3. 암모니아성질소-인도페놀법
  4. 총질소-카드뮴환원법
(정답률: 0%)
  • 측정항목과 측정방법이 서로 관계가 없는 것은 측정항목이 무엇을 측정하는지와 측정방법이 어떻게 측정하는지가 서로 독립적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질산성질소-염화제일주석환원법"이 정답인 이유는 질산성질소는 식물의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지표이고, 염화제일주석환원법은 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둘은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마찬가지로 측정항목과 측정방법이 서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직각 삼각웨어를 사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웨어의 수두가 0.18m, 수로의 밑면에서 절단 하부점까지의 높이가 0.64m, 수로의 폭이 0.48m 이라면 이 때 유량 [m3 /h]은? (단, )

  1. 약 70m3 /h
  2. 약 78m3 /h
  3. 약 84m3 /h
  4. 약 91m3 /h
(정답률: 25%)
  •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A는 수로의 단면적, v는 유속이다. 수로의 단면적 A는 다음과 같다.

    A = 수로의 폭 × 절단 하부점까지의 높이 = 0.48m × 0.64m = 0.3072m2

    유속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2gh)

    여기서 h는 수로에서 웨어까지의 수위차이고, g는 중력가속도이다. 수위차 h는 웨어의 수두와 수로 바닥과의 차이를 더한 값이다.

    h = 웨어의 수두 + 수로 바닥과의 차이 = 0.18m + 0.64m = 0.82m

    따라서 유속 v는 다음과 같다.

    v = √(2gh) = √(2 × 9.81m/s2 × 0.82m) ≈ 3.19m/s

    따라서 유량 Q는 다음과 같다.

    Q = A × v ≈ 0.3072m2 × 3.19m/s ≈ 0.98m3/s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Q ≈ 0.98m3/s × 3600s/h ≈ 3528m3/h

    하지만 문제에서는 유량을 "약 70m3 /h"로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는 계산 결과의 약 1/50에 해당한다. 이는 유량계의 정확도나 측정 오차 등의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문제에서 명시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약 70m3 /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원자흡광광도법에서 플레임을 만들 때 연소가스로 공기-아세틸렌를 사용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카드뮴
  2. 수은
  3. 크롬
(정답률: 29%)
  • 원자흡광광도법에서 플레임을 만들 때 연소가스로 사용되는 공기-아세틸렌은 산소와 아세틸렌이 혼합된 가스로, 높은 온도에서 연소되어 플레임을 만듭니다. 이 플레임은 원자를 증발시켜 원자의 흡수선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연소가스로 사용되지 않는 항목은 수은입니다. 수은은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측정 대상이 되는 원소 중 하나이지만, 연소가스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수은은 고온에서 증발되어 흡수선을 발생시키는 수증기원자흡수법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수욕상 또는 수욕중에서 가열한다'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수온 100℃에서 가열함을 뜻한다.
  2. 액체의 산성,알카리성 또는 중성을 검사할 때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유리전극에 의한 pH미터로 측정하고 액성을 구체적으로 표시할 때는 pH값을 쓴다.
  3. '진공'이라 함은 15㎜H20 이하의 진공도를 말한다.
  4. 분석용 저울은 0.1㎎까지 달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이라 함은 15㎜H2O 이하의 진공도를 말한다."이 잘못된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진공이란 압력의 단위로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리키는데, 15㎜H2O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 시안을 흡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 ( )에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 초산이나트륨을 넣고 가열 증류하여 시안화물 및 시안착화합물의 대부분을 시안화수소로 유출 시킨다. ]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pH 2 이하의 산성
  2. pH 4∼5의 약산성
  3. pH 7∼8의 중성
  4. pH 9 이상의 알칼리성
(정답률: 10%)
  • 시안화물 및 시안착화합물은 pH 2 이하의 산성 환경에서 시안화수소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해반응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 초산이나트륨과 가열 증류 과정에서 일어나며, 이를 통해 시안화물 및 시안착화합물의 대부분을 시안화수소로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안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pH 2 이하의 산성 환경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음이온 계면활성제 정량시험시 측정에 방해를 주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염화물
  2. 시안화물
  3. 질산염
  4. 티오시안산
(정답률: 10%)
  •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양이온과 결합하여 표면장력을 낮추는 물질이므로, 양이온을 많이 포함하는 염화물은 정량시험시 측정에 방해를 주는 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시안화물, 질산염, 티오시안산은 양이온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염화물에 비해 측정에 방해를 주는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0.025N-KMnO4 250mL를 조제하려면 KMnO4몇 g을 취해야 하는가? (단, 원자량: K=39, Mn=55)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34%)
  • 0.025N-KMnO4의 정의는 1L의 용액에 0.025N의 몰농도로 KMnO4이 0.025 몰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250mL의 용액에는 0.00625 몰의 KMnO4이 존재합니다.

    몰질량 = 원자량(KMnO4) x 분자수 = 39 + 55 + 4x16 = 158 g/mol

    따라서, 0.00625 몰의 KMnO4은 0.00625 x 158 = 0.9875 g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2 g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0.2 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의 검출기의 종류와 특징을 알맞게 연결지은 것은?

  1. FPD - 수소이온화 검출기로 니트로기등을 갖는 친전자성 성분에 감도가 좋다.
  2. TCD - 인,유황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
  3. ECD -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4. FID - 수소염이온화 검출기에 알카리토류 금속염의 튜브를 부착한 것으로 유기질소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정답률: 19%)
  • ECD는 전기화학적 검출기로,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는 ECD 내부의 검출기 전극에 산화물을 생성하여 샘플과 반응시키고, 이 과정에서 생성된 전자를 측정하여 검출하는 원리에 기반한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전자를 쉽게 받아들이기 때문에 ECD에서 검출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투명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투명도판을 천천히 끌어 올리면서 보이기 시작한 깊이를 0.1m 단위로 읽어 투명도를 측정한다.
  2. 투명도판은 무게가 약 3kg인 지름 30cm의 백색 원판에 지름 5cm의 구멍 8개가 뚫려 있다.
  3. 흐름이 있어 줄이 기울어질 경우에는 2kg 정도의 추를 달아서 줄을 세워야 한다.
  4. 투명도판의 색조차와 광반사능은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
(정답률: 19%)
  • "투명도판의 색조차와 광반사능은 투명도에 큰 영향이 있어 더러울 때에는 다시 색칠하여야 한다."가 적절치 못한 설명이다. 투명도는 물체가 빛을 얼마나 투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색조나 광반사능은 투명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투명도판이 더러워져도 색칠을 다시 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항목 중 시료를 4℃로 보관해야 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화학적 산소요량
  2. 부유물질
  3. 질산성 질소
  4. 클로로필α
(정답률: 12%)
  • 정답은 "클로로필α"입니다.

    생물화학적 산소요량, 부유물질, 질산성 질소는 모두 생물학적인 시료이며, 이러한 시료들은 보통 4℃로 보관하여 신선도를 유지합니다.

    반면에 클로로필α는 광합성에 관련된 엽록소의 일종으로, 빛에 노출되면 분해되기 때문에 4℃로 보관할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냉장보다는 어두운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노말헥산추출물질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를 pH 4이하의 산성으로 하여 노말헥산층에 용해되는 물질을 노말헥산으로 추출한다.
  2. 폐수 중의 비교적 휘발되지 않는 탄화수소, 탄화수소 유도체, 그리이스유상물질 및 광유류를 함유하고 있는 시료를 측정대상으로 한다.
  3. 광유류의 양을 시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활성규산 마그네슘칼럼으로 우선 광유류를 흡착한 후 추출한다.
  4. 시료용기는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하며 시료 전량을 사용하여 시험한다.
(정답률: 46%)
  • "광유류의 양을 시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활성규산 마그네슘칼럼으로 우선 광유류를 흡착한 후 추출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활성규산 마그네슘칼럼은 분리 및 정제를 위한 기술로 사용되는데, 이는 시료 내의 특정 성분을 분리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광유류의 양을 측정하고자 할 때는 활성규산 마그네슘칼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수심이 3m인 하천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다음 자료를 얻었다. 평균유속은?

  1. 1.2 m/s
  2. 1.0 m/s
  3. 0.8 m/s
  4. 0.6 m/s
(정답률: 18%)
  • 주어진 그래프에서 유속이 3m 깊이에서 1.2m/s, 2m 깊이에서 1.0m/s, 1m 깊이에서 0.8m/s, 그리고 수면에서 0.6m/s임을 알 수 있다. 평균유속은 전체 깊이에서의 유속의 합을 깊이의 개수로 나눈 값이므로 (3*1.2 + 2*1.0 + 1*0.8 + 0.6) / 4 = 1.0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 m/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81. [ 환경부장관은 상시측정망의 ( )등을 명시한 측정망설치계획을 결정하여 ---- ] ( )안에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측정망의 범위, 방법 및 항목
  2. 측정망의 위치, 범위 및 구역
  3. 측정망의 구역, 방법 및 오염도
  4. 측정망의 구역, 범위 및 항목
(정답률: 28%)
  • 환경부장관은 상시측정망을 설치하기 위해 측정망의 위치, 즉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그리고 측정망의 범위와 구역, 즉 어떤 지역을 대상으로 측정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는 측정망의 설치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사항입니다. 따라서 "측정망의 위치, 범위 및 구역"이 가장 적절한 답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시.도지사등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할 사항 중 보고 횟수가 가장 많은 것은? (단, 위임업무보고사항)

  1. 배출시설의 설치허가,오염물질의 배출상황 검사, 배출시설에 대한 업무처리 현황
  2. 폐수처리업에 대한 등록, 지도단속실적 및 처리실적 현황
  3. 환경관리인의 자격별, 업종별 신고상황
  4. 과징금 징수실적 및 체납처분현황
(정답률: 10%)
  • 배출시설의 설치허가, 오염물질의 배출상황 검사, 배출시설에 대한 업무처리 현황이 가장 많은 보고 횟수를 가지는 이유는 이들은 환경보전 및 오염방지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사항들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보고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론 중요하지만, 이들은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내용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 보고 횟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수계 영향권별 환경관리지역내 오염원 조사를 위해 시.도지사는 관할 지역안의 오염원등에 대한 조사를 몇 년마다 실시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10%)
  • 수계 영향권별 환경관리지역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한 지역으로, 해당 지역 내의 수질, 수량, 생태 등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대상이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오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시.도지사는 해당 지역안의 오염원 등에 대한 조사를 일정 주기로 실시해야 한다. 이때, 오염원의 변화가 빈번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5년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답은 "5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배출량은?

  1. 260m3/일
  2. 220m3/일
  3. 190m3/일
  4. 160m3/일
(정답률: 0%)
  • 주어진 그림에서,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지점에서 각각의 폐수배출량이 주어져 있습니다. 이를 모두 더하면, 260m3/일 + 220m3/일 + 190m3/일 + 160m3/일 = 830m3/일 이 됩니다. 따라서, 이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수배출량은 830m3/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오염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질오염물질
  2. 수질유해물질
  3. 특정수질유해물질
  4. 특정수질오염물질
(정답률: 11%)
  • 환경부령으로 정한 수질오염물질 중에서도 사람의 건강, 재산,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것을 "특정수질유해물질"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다른 수질오염물질과 구분하여 보다 철저한 관리와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부과금이 납부의무자의 자본금을 2배이상 초과는 경우로 사업에 현저한 손실로 사업자의 재산에 심한 손실이 있어 정상적인 분할납부가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 징수유예기간으로 적절한 것은?

  1.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2년이내로 한다.
  2.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이내로 한다.
  3.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5년이내로 한다.
  4.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7년이내로 한다.
(정답률: 22%)
  • 부과금이 납부의무자의 자본금을 2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나 사업에 현저한 손실이 있어 정상적인 분할납부가 어려운 경우에는 징수유예기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징수유예기간은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 이내로 한다고 합니다.

    이유는, 부과금이 많은 경우에는 납부자가 일시적으로 현금흐름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동안 납부를 유예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오랜 기간 동안 유예를 해주면 부과금을 납부하지 않고 사업을 계속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간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3년 이내로 징수유예기간을 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낚시행위 금지구역의 지정권자는?

  1. 환경부장관
  2. 시· 도지사
  3. 시장· 군수· 구청장
  4. 해양수산부장관
(정답률: 10%)
  • 낚시행위 금지구역은 지역적인 특성과 환경 등을 고려하여 시장, 군수, 구청장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지역 내 주민들의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 환경 보호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조치는 지방자치단체의 지정권자인 시장, 군수, 구청장이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호소의 환경기준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단, 공업용수 3급 기준)

  1. 부유물질량 20mg/L이하
  2. 용존산소량 2mg/L이상
  3. 화학적산소요규량 10mg/L이하
  4. 수소이온농도(pH) 6.0 - 8.5
(정답률: 20%)
  • 부유물질은 물 속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로서, 물의 투명도와 수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공업용수 3급 기준에서는 부유물질량이 20mg/L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물 속에 떠다니는 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일정 수준 이상 존재하면 물의 투명도가 떨어져 수질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부유물질량이 20mg/L 이하로 유지되어야 좋은 수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일지 보존기간은?

  1. 최종 기재일로 부터 6개월
  2. 최종 기재일로 부터 1년
  3. 최종 기재일로 부터 2년
  4. 최종 기재일로 부터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일지는 환경부나 지자체에서 검사나 감사를 할 때 필요한 자료이며, 이를 통해 해당 시설의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존기간은 최종 기재일로부터 1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 이후에는 해당 자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폐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폐수배출부과금에 관한 다음 설명중 타당하지 못한 것은?

  1. 배출부과금은 초과배출부과금과 기본배출부과금으로 구분하여 부과한다.
  2. 초과부과금은 배출허용기준의 초과한 경우에 부과 하며 사업장의 규모,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오염물질배출량과 배출농도등에 따라 부과한다.
  3. 기본부과금은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경우에 부과하며 배출허용기준이상으로서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한 오염물질배출량과 배출농도등에 따라 부과한다.
  4.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의 종류는 유기물질과 부유물질이다.
(정답률: 19%)
  •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의 종류는 유기물질과 부유물질이다."가 타당하지 못한 설명입니다.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은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오염물질배출량과 배출농도 등에 따라 결정되며, 유기물질과 부유물질 외에도 다양한 오염물질이 해당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폐수처리업중 폐수재이용업의 등록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수질환경산업기사 1인이상
  2. 1억이상의 자본금 또는 자산
  3. 10m22이상의 사무실
  4. 30m2이상의 실험실
(정답률: 32%)
  • 폐수재이용업은 폐수를 처리하여 재활용하는 업종으로, 이를 위해 수질환경산업기사 1인 이상의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수질환경산업기사 1인이상"이 등록기준으로 적절합니다. 1억이상의 자본금 또는 자산, 10m22이상의 사무실, 30m2이상의 실험실은 폐수재이용업을 운영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등록기준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호소수질보전구역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집수구역안의 토지이용현황 및 장래이용계획
  2. 집수구역의 환경기초시설 확충계획
  3. 집수구역안의 상,하수도시설 설치 현황
  4. 집수구역안의 인구,산업,축산,행정구역등의 개황
(정답률: 10%)
  • 호소수질보전구역을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토지이용현황, 환경기초시설 확충계획, 인구, 산업, 축산, 행정구역 등의 개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집수구역안의 상,하수도시설 설치 현황"입니다. 이유는 호소수질보전구역을 지정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상하수도시설의 현황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미흡한 상하수도시설 설치 현황이 호소수질보전구역 지정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수질환경보전법상 다음 용어의 정의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폐수:물에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수질오염물질이 혼입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말한다.
  2. 수질오염방지시설:폐수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상수원호소:상수원보호구역 및 특별대책지역내의 호소중 취수시설이 설치되어 먹는물로 사용되는 호소를 말한다.
  4. 수면관리자:다른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호소를 관리하는 자를 말한다. 이 경우 동일한 호소를 관리하는 자가 2이상인 경우에는 하천법에 의한 하천의 관리청외의 자가 수면관리자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상수원호소

    해설: 상수원호소는 상수원보호구역 및 특별대책지역내의 호소중 취수시설이 설치되어 먹는물로 사용되는 호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상수원보호구역 내에서 상수원의 수질을 보전하기 위한 관리대상 호소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유지,관리기준에 따라 처리시설의 관리,운영자가 실시하여야 하는 방류수수질검사의 횟수 기준으로 적정한 것은? (단, 시설의 규모는 1500m3/일 이며 처리시설의 적정 운영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다)

  1. 2월 1회 이상
  2. 월 1회 이상
  3. 월 2회 이상
  4. 주 1회 이상
(정답률: 64%)
  •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유지,관리기준에 따라 처리시설의 관리,운영자가 실시하여야 하는 방류수수질검사의 횟수 기준은 월 2회 이상이다. 이는 처리시설의 운영상태를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또한, 폐수종말처리시설은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수질보전을 위한 시설이므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검사 횟수를 늘리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월 2회 이상의 검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3년 이상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아니한 사업자에게 배출부과금 100만원이 부과된 경우 감경받는 금액은?

  1. 20만원
  2. 30만원
  3. 50만원
  4. 70만원
(정답률: 20%)
  • 문제에서는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사업자에게 배출부과금이 부과되었다고 하였으므로, 이는 부과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감경받는 금액은 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폐수배출시설외에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기타수질오염원)의 대상 시설과 규모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자동차폐차장시설: 면적 1000m2 이상
  2. 수조식 육상양식어업시설: 수조면적 합계 500m2 이상
  3. 골프장: 면적 30만m2 이상
  4. 무인자동식 현상,인화,정착시설: 1대 이상
(정답률: 17%)
  • 자동차폐차장시설의 면적이 1000m2 이상인 경우는 대량의 폐차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류, 냉각수, 부탄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대량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에서는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규모기준에 포함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호소안의 쓰레기 수거,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호소안의 쓰레기 수거 의무자는 수면관리자이다.
  2. 당해 호소를 관할하는 시장,군수,구청장은 수거된 쓰레기를 운반, 처리하여야 한다.
  3. 호소안의 쓰레기 운반· 처리에 관한 협약이 체결되지 아니하는 경우 조정권자는 환경부장관이다.
  4. 수면관리자와 관계 자치단체의 장은 호소안의 쓰레기 수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분담하기 위한 협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5%)
  • "수면관리자와 관계 자치단체의 장은 호소안의 쓰레기 수거에 소요되는 비용을 분담하기 위한 협의를 하여야 한다."가 적절치 못한 것입니다. 이유는 호소안의 쓰레기 수거 의무자는 수면관리자이기 때문에, 쓰레기 수거에 소요되는 비용은 수면관리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치단체의 장이 비용을 분담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중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 중 잘못된 것은? (단, 농공단지 오,폐수종말처리시설 포함)

  1. BOD 30 이내 ㎎/ℓ
  2. COD 40 이내 ㎎/ℓ
  3. SS 20 이내 ㎎/ℓ
  4. T-N 60 이내 ㎎/ℓ
(정답률: 25%)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폐수종말처리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은 BOD 30 이내 ㎎/ℓ, COD 40 이내 ㎎/ℓ, SS 20 이내 ㎎/ℓ, T-N 60 이내 ㎎/ℓ 입니다. SS 20 이내 ㎎/ℓ인 이유는 수처리과정에서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폐수 중 고형물질이 20㎎/ℓ 이하로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조업정지가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조업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되는 과징금의 최대 금액은?

  1. 5천만원
  2. 1억원
  3. 2억원
  4. 3억원
(정답률: 알수없음)
  • 조업정지처분이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부과되는 과징금의 최대 금액은 3억원이다. 이는 조업정지처분이 기업의 생산활동을 중단시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과징금의 최대 금액을 높여서 기업이 조업정지처분을 무시하고 생산활동을 계속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지역의 범위는 누구의 령(令)으로 정하는가?

  1. 시장,군수,구청장
  2. 시,도지사
  3. 환경부장관
  4. 대통령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지역의 범위는 대통령의 령으로 정하는 이유는 대통령이 국가의 최고 지도자이며, 환경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통령이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는 범위를 정하는 것은 국가적인 환경보호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