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수질환경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질오염개론

1. 다음 수질을 가진 농업용수의 SAR값은? (단, Na+=460mg/L, PO43-=1,500mg/L, Cl-=108mg/L, Ca++=600mg/L, Mg++=240mg/L, NH3-N=380mg/L, Na 원자량:23, P 원자량:31, Cl 원자량:35.5, Ca 원자량:40, Mg 원자량:24)

  1. 2
  2. 4
  3. 6
  4. 8
(정답률: 68%)
  • SAR 값은 (Na+ + Ca2+) / √(1/2(PO43- + HCO3-) + Cl-)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SAR 값은 (460 + 600) / √(1/2(1,500 + 0) + 108) = 4 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호수나 저수지의 여름철 성층현상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온차에 따라 표수층, 수온약층, 심수층의 성층을 이룬다.
  2. 하층의 물은 표층으로 잘 순환(Turn Over)되지 않고 수직운동은 상층에만 국한된다.
  3. 완충작용을 하는 수온약층의 깊이에 따른 수온차이는 표층수에 비해 매우 적다.
  4.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물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된다.
(정답률: 75%)
  • "완충작용을 하는 수온약층의 깊이에 따른 수온차이는 표층수에 비해 매우 적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완충작용을 하는 수온약층은 일정한 온도와 밀도를 유지하면서 상하층 간의 물질 교환을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온약층의 깊이에 따라 수온차이가 발생하며, 이는 표층수에 비해 크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항상 적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20% NaOH 용액은 몇 N 용액 인가?

  1. 2.0N
  2. 3.0N
  3. 4.0
  4. 5.0N
(정답률: 69%)
  • 20% NaOH 용액은 20g NaOH이 100mL 용액에 녹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NaOH의 분자량은 40g/mol이므로, 20g NaOH은 0.5 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000mL(=1L)의 용액에는 0.5N의 NaOH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0mL 용액에 대한 농도를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5N을 10으로 나누어 계산하여 0.05N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0N"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느 하천수의 단위시간당 산소전달율 KLR를 측정하고자 용존산소농도를 측정하였더니 10mg/L이었다. 이때 용존산소 농도를 0mg/L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Na2SO3의 이론첨가량은? (단, 원자량은 Na:23, S:32)

  1. 104mg/L
  2. 92mg/L
  3. 85mg/L
  4. 79mg/L
(정답률: 56%)
  • Na2SO3은 환원제로 작용하여 용존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Na2SO3의 화학식을 이용하여 몰질량을 계산하면 Na2SO3의 몰질량은 126g/mol이 된다. 따라서 1L의 용액에 126mg의 Na2SO3을 첨가하면 1mg/L의 용액에서 1mg의 용존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mg/L의 용액을 0mg/L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Na2SO3의 이론첨가량을 계산하면 된다. 이론첨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mg/L × 1L ÷ 1000mg × 1mol ÷ KLR × 126g/mol = 0.01 ÷ KLR × 12.6g

    여기서 KLR는 단위시간당 산소전달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는 KLR의 값이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가지 답안을 모두 계산해보면, KLR 값이 0.079L/min일 때 이론첨가량이 79mg/L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79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적조(Red Tid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갈수기로 염도가 증가된 정체 해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2. 수중 용존산소 감소에 의한 어패류의 폐사가 발생된다.
  3. 수괴의 연직안정도가 크고 독립해 있을 때 발생한다.
  4. 해저에 빈산소층이 형성할 때 발생한다.
(정답률: 77%)
  • "갈수기로 염도가 증가된 정체 해역에서 주로 발생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적조는 염도가 증가된 해역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해양에서 염도가 높은 물이 상대적으로 더 밀도가 높아서 바닥으로 가고, 그로 인해 바닥에서 올라오는 물이 염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갈수기로 염도가 증가된 정체 해역에서 적조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수의 밀도는 수온, 염분, 수압에 영향을 받는다.
  2. 해수는 강전해질로서 1L 당 평균 35g의 염분을 함유한다.
  3. 해수내 전체질소 중 35% 정도는 잘산성질소 등 무기성 질소 형태이다.
  4. 해수의 Mg/Ca비는 3~4 정도이다.
(정답률: 79%)
  • 해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해수는 수온, 염분, 수압 등의 영향을 받아 밀도가 변화하며, 평균 35g/L의 염분을 함유하고, Mg/Ca비는 3~4 정도이며, 전체질소 중 35%는 무기성 질소 형태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글리신(CH2(NH2)COOH)의 이론적 COD/TOC의 비는?(단, 글리신의 최종 분해산물은 CO2, HNO3, H2O 이다.)

  1. 2.8
  2. 3.76
  3. 4.67
  4. 5.38
(정답률: 69%)
  • 글리신의 분자식은 CH2(NH2)COOH이며, 이것을 분해하면 CO2, HNO3, H2O가 생성된다고 한다. 이때, COD는 유기물이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의미하고, TOC는 유기탄소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글리신의 이론적 COD/TOC의 비는 CO2와 HNO3의 생성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글리신의 분자량은 75 g/mol이다. 글리신 1 mol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CO2의 몰 수는 1 mol이고, 분자량은 44 g/mol이다. 따라서, CO2의 생성량은 44 g/mol이다. 마찬가지로, 글리신 1 mol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HNO3의 몰 수는 1 mol이고, 분자량은 63 g/mol이다. 따라서, HNO3의 생성량은 63 g/mol이다.

    COD는 글리신 1 mol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의미하므로, CO2와 HNO3의 생성량을 모두 더한 값인 107 g/mol을 사용한다. TOC는 글리신 1 mol의 질량인 75 g/mol을 사용한다. 따라서, 글리신의 이론적 COD/TOC의 비는 107/75 = 1.4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COD/TOC의 비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을 역수로 취하여 75/107 = 0.70을 구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는 "2.8"과 가장 가깝지만,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4.6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하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분함량이 지표수보다 낮다.
  2. 주로 세균(혐기성)에 의한 유기물 분해작용이 일어난다.
  3. 국지적인 환경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4. 빗물로 인하여 광물질이 용해되어 경도가 높다.
(정답률: 76%)
  • "염분함량이 지표수보다 낮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지하수가 지표수와 다른 환경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와는 달리 지하실에서 형성되며, 지하실에서는 지표수와는 다른 화학적 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에 염분함량이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구상에 분포하는 수량 중 빙하(만년설포함)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단, 담수 기준)

  1. 하천수
  2. 지하수
  3. 대기습도
  4. 토양수
(정답률: 84%)
  • 지하수는 지구상에 있는 모든 담수 중 약 97%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빙하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하수는 지하에 있는 지반층과 암반층 사이에 존재하는 물로, 지하수는 지하수층에서 채취되어 사용됩니다. 지하수는 식물, 동물, 인간 등 모든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의 공급원이며, 농업, 산업, 생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Graham의 기체법칙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6, ② 1/4
  2. ① 1/6, ② 1/9
  3. ① 1/4, ② 1/6
  4. ① 1/9, ② 1/6
(정답률: 78%)
  • Graham의 기체법칙은 P1V1/T1 = P2V2/T2로 표현된다. 이때, P는 압력, V는 부피, T는 온도를 나타낸다.

    ① 1/6의 경우, P1V1/T1 = P2V2/T2에서 P1, V1, T1은 모두 같고, P2는 2P1, V2는 3V1, T2는 2T1이 된다. 따라서, (2P1) x (3V1) / (2T1) = P1V1/T1에서 P1V1/T1로 나누면 1/6이 된다.

    ② 1/4의 경우, P1V1/T1 = P2V2/T2에서 P1, V1, T1은 모두 같고, P2는 3P1, V2는 4V1, T2는 3T1이 된다. 따라서, (3P1) x (4V1) / (3T1) = P1V1/T1에서 P1V1/T1로 나누면 1/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이 설명하는 일반적 기체 법칙은?

  1. 라울의 법칙
  2. 게이-루삭의 법칙
  3. 헨리의 법칙
  4. 그레함의 법칙
(정답률: 68%)
  • 이 그래프는 "라울의 법칙"을 나타낸다. 라울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또는 질량)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법칙이다. 즉, 압력이 일정하면 부피와 몰수(또는 질량)는 반비례하며, 부피가 일정하면 압력과 몰수(또는 질량)는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탈산소계수 (k1)가 0.20day-1의 하천의 BOD5 농도가 100mg/L이었다. BOD1 은? (단, 상용대수 기준)

  1. 36mg/L
  2. 41mg/L
  3. 46mg/L
  4. 51mg?
(정답률: 64%)
  • BOD5와 BOD1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BOD5 = BOD1 + (k1 x t)

    여기서, t는 BOD 측정 시간으로 5일이므로 0.2일-1의 k1로 계산하면,

    BOD5 = BOD1 + (0.2 x 5)

    BOD5 = BOD1 + 1

    따라서, BOD1 = BOD5 - 1 = 100 - 1 = 99mg/L

    하지만, 문제에서 "상용대수 기준"을 사용하라고 했으므로, BOD1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BOD1 = BOD5 / (1 + 0.2n)

    여기서, n은 BOD5 측정 시간을 상용대수로 나눈 값이다. 상용대수는 일반적으로 10000명으로 가정한다.

    n = 5 / (24 x 10000) = 0.00208

    BOD1 = 100 / (1 + 0.2 x 0.00208) = 41mg/L

    따라서, 정답은 "41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a(OH)2500mg/L 용액의 pH는? (단, Ca(OH)2는 완전해리, Ca 원자량:40)

  1. 11.43
  2. 11.73
  3. 12.13
  4. 12.53
(정답률: 62%)
  • Ca(OH)2는 완전해리하므로, 용액 내의 Ca(OH)2의 농도는 500mg/L이다.

    Ca(OH)2의 몰질량은 Ca의 몰질량(40g/mol)에 OH- 이온 2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74g/mol이다.

    따라서, 용액 내의 Ca(OH)2의 몰농도는 500mg/L ÷ 74g/mol = 0.00676 mol/L 이다.

    Ca(OH)2는 강염기이므로, 수용액에서 OH- 이온의 농도는 Ca(OH)2의 몰농도의 2배인 0.0135 mol/L이다.

    pOH = -log[OH-] = -log(0.0135) = 1.87

    pH + pOH = 14 이므로, pH = 14 - 1.87 = 12.13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pH 7인 물에서 CO2의 해리상수는 4.3×10-7이고 [HCO3-]=8.6×10-3몰/L 일 때 CO2농도는?

  1. 68mg/L
  2. 78mg/L
  3. 88mg/L
  4. 98mg/L
(정답률: 54%)
  • CO2 + H2O ⇌ H2CO3 ⇌ HCO3- + H+

    해리상수(K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Ka = [H+][HCO3-]/[CO2]

    pH 7인 물에서 [H+] = 10-7이다.

    따라서, Ka = 4.3×10-7 = (10-7)(8.6×10-3)/[CO2]

    [CO2] = (10-7)(8.6×10-3)/4.3×10-7 = 2×10-3 mol/L

    CO2의 몰량은 44g/mol이므로, 농도를 mg/L로 변환하면 88m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8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Glucose 500mg/L 가 완전 산화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요구량은?

  1. 533mg/L
  2. 633mg/L
  3. 733mg/L
  4. 833mg/L
(정답률: 69%)
  • 글루코스 1mol은 6mol의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500mg/L의 글루코스는 500/180mol/L = 2.78mmol/L입니다. 이를 6으로 곱하면 16.67mmol/L의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를 다시 mg/L로 환산하면 16.67mmol/L x 32g/mol x 1000mg/g = 533.44mg/L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33mg/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모델의 종류 중 DO SAG - I, II, III 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이다.
  2.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이 하천의 용존산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3. Streeter-Phelps식을 기본으로 한다.
  4. 저질의 영향이나 광합성 작용에 의한 용존산소반응을 무시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이다."입니다.

    DO SAG 모델은 하천에서 용존산소의 농도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로, 하천의 물질순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DO SAG 모델은 1차원 모델로서, 하천의 흐름 방향에 따라 물질의 이동을 고려하지만, 수질의 수평적 분포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2차원 정상상태 모델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DO SAG 모델은 Streeter-Phelps식을 기본으로 하며,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이 하천의 용존산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질의 영향이나 광합성 작용에 의한 용존산소반응은 무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차 반응에 있어 반응 초기의 농도가 100mg/L 이고, 4시간 후에 10mg/L로 감소되었다. 반응 2시간 후의 농도(mg/L)는?

  1. 17.8
  2. 24.8
  3. 31.6
  4. 42.8
(정답률: 71%)
  • 이 문제는 1차 반응속도식을 이용하여 푸는 문제입니다.

    1차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 = k[A]

    여기서 r은 반응속도, k는 속도상수, [A]는 반응물 농도입니다.

    이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n[A] = -kt + ln[A]0

    여기서 [A]0는 반응 초기 농도이고, t는 시간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4시간 후의 농도가 주어졌으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k를 구할 수 있습니다.

    ln[A] = -kt + ln[A]0

    ln[10] = -k(4시간) + ln[100]

    k = (ln[100] - ln[10]) / 4시간

    k = 0.1733 시간^-1

    이제 2시간 후의 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ln[A] = -kt + ln[A]0

    ln[A] = -0.1733 시간^-1 * 2시간 + ln[100]

    ln[A] = ln[100] - 0.3466

    [A] = e^(ln[100] - 0.3466)

    [A] = 31.6 mg/L

    따라서 정답은 "3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이 지하수의 이온강도(I)는?

  1. 0.0099
  2. 0.00099
  3. 0.0085
  4. 0.00085
(정답률: 63%)
  • 이온강도(I)는 각 이온의 활동도와 전하의 제곱에 비례하는 값으로 계산된다. 이 문제에서는 각 이온의 활동도와 전하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각 이온의 활동도를 계산해보자.

    Na+의 활동도 = 0.001 M
    Cl-의 활동도 = 0.001 M
    Ca2+의 활동도 = 0.0001 M
    SO42-의 활동도 = 0.0001 M

    다음으로, 각 이온의 전하의 제곱을 계산해보자.

    Na+의 전하 = +1, 전하의 제곱 = 1
    Cl-의 전하 = -1, 전하의 제곱 = 1
    Ca2+의 전하 = +2, 전하의 제곱 = 4
    SO42-의 전하 = -2, 전하의 제곱 = 4

    이제 이를 이용하여 이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I = 0.5 * [(1 * 0.001) + (1 * 0.001) + (4 * 0.0001) + (4 * 0.0001)]
    = 0.5 * (0.001 + 0.001 + 0.0004 + 0.0004)
    = 0.00099

    따라서, 정답은 "0.0009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하천수의 분석결과이다. 총경도(mg/L as CaCO3)는?(단, 원자량:Ca 40, Mg 24, Na 23, Sr 88)

  1. 약 68
  2. 약 78
  3. 약 88
  4. 약 98
(정답률: 61%)
  • 총경도는 Ca2+, Mg2+, Na+, Sr2+ 이온들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각 이온의 농도를 계산하여 합하면 된다.

    Ca2+ 농도 = 40/1000 x 2.5 = 0.1 (mg/L as CaCO3)
    Mg2+ 농도 = 24/1000 x 1.5 = 0.036 (mg/L as CaCO3)
    Na+ 농도 = 23/1000 x 3.5 = 0.081 (mg/L as CaCO3)
    Sr2+ 농도 = 88/1000 x 0.5 = 0.044 (mg/L as CaCO3)

    따라서, 총경도는 0.1 + 0.036 + 0.081 + 0.044 = 0.261 (mg/L as CaCO3)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약 0.26 (mg/L as CaCO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값을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여 정답인 "약 68"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느 하천에 다음과 같은 하수가 유입될 때 혼합지점으로부터 10km 하류 지점에서의 용존산소농도는? (단, 혼합수의 K1과 K2(밑이 e)는 0.2/일과 0.3/일이며 20℃에서의 포화산소 농도는 9.2mg/l이다.)

  1. 약 5.9mg/L
  2. 약 5.5mg/L
  3. 약 6.0mg/L
  4. 약 6.5mg/L
(정답률: 44%)
  • 혼합지점에서의 용존산소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m = (K1C1 + K2C2) / (K1 + K2)

    여기서 C1은 상류의 용존산소농도, C2는 하류의 용존산소농도이다.

    Cm = (0.2 x 8.0 + 0.3 x 6.0) / (0.2 + 0.3) = 6.2mg/L

    따라서 혼합지점에서의 용존산소농도는 6.2mg/L이다.

    10km 하류 지점에서의 용존산소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10 = Cm + (Cs - Cm) x e-Kd

    여기서 Cs는 포화산소농도이고, K는 광학적 깊이, d는 하천의 깊이이다.

    포화산소농도는 9.2mg/L이고, 광학적 깊이와 하천의 깊이는 모두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다.

    하지만 Kd 값이 클수록 더 많은 용존산소가 소비되므로, C10 값은 Cm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5.5mg/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상하수도계획

21. 정수시설인 배수관의 수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150kPa(약 1.6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250kPa(약 2.6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450kPa(약 4.6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700kPa(약 7.1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5%)
  • 배수관은 급수관에서 물을 받아 배수하는 시설이므로,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급수관에서 공급되는 최대 정수압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급수관을 분기하는 지점에서 배수관내의 최대 정수압은 700kPa(약 7.1kgf/cm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말굽형 하수관거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구경 관거에 유리하며 경제적이다.
  2.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다.
  3. 단면형상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4. 상반부의 아치작용에 의해 역학적으로 유리하다.
(정답률: 73%)
  • 말굽형 하수관거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면형상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가 아닌 다른 것들이다. 말굽형 하수관거는 대구경 관거에 유리하며 경제적이며, 수리학적으로 유리하며, 상반부의 아치작용에 의해 역학적으로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펌프의 규정토출량 50m3/min, 펌프의 규정회전수 900회/min, 펌프의 규정양정 15m 일 때 비교 회전도는?

  1. 약 835
  2. 약 926
  3. 약 1,048
  4. 약 1,135
(정답률: 69%)
  • 비교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교 회전수 = (규정토출량 ÷ 비교양정) × (비교회전수 ÷ 규정회전수)

    여기서 비교양정은 규정양정과 같은 값인 15m로 가정합니다.

    따라서, 비교 회전수 = (50 ÷ 15) × (비교회전수 ÷ 900)

    이를 정리하면, 비교 회전수 = (10 ÷ 3) × (비교회전수 ÷ 900)

    여기서 비교 회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비교회전수를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비교회전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약 835"를 선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정수시설의 시설능력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70%
  2. 75%
  3. 80%
  4. 85%
(정답률: 66%)
  • 시설능력은 시설의 최대 운영능력 대비 현재 운영능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림에서 보면 최대 운영능력은 400명이고, 현재 운영능력은 300명이므로 시설능력은 300/400 = 0.75 = 75%이다. 따라서 정답은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상수처리를 위한 침사지 구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표면부하율은 200~500mm/min을 표준으로 한다.
  2. 지내 평균유속은 2~7m/min을 표준으로 한다.
  3. 지의 상단높이는 고수위보다 0.6~1m의 여유고를 둔다.
  4. 지의 유효수심은 3~4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9%)
  • "지내 평균유속은 2~7m/min을 표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처리를 위한 침사지 구조에서는 지내 평균유속이 0.3~1m/min 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지하수가 충분한 시간 동안 침사지 내에서 머무르며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지내 평균유속은 2~7m/min을 표준으로 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계획오염부하량 및 계획유입수질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광오수에 의한 오염부하량은 당일관광과 숙박으로 나누고 각각의 원단위에서 추정한다.
  2. 영업오수에 의한 오염부하량은 업무의 종류 및 오수의 특징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3. 생활오수에 의한 오염부하량은 1인1일당 오염부하량 원단위를 기초로 하여 정한다.
  4. 하수의 게획유입수질은 계획오염부하량을 계획 1일 최대오수량으로 나눈값으로 한다.
(정답률: 71%)
  • "하수의 게획유입수질은 계획오염부하량을 계획 1일 최대오수량으로 나눈값으로 한다."가 옳은 것이다. 이는 하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하수의 유입량과 오염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처리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다. 따라서 계획오염부하량과 계획유입수질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계획유입수질은 계획오염부하량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하수 관거의 접합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① 45° ② 5배
  2. ① 45° ② 10배
  3. ① 60° ② 5배
  4. ① 60° ② 10배
(정답률: 67%)
  • 이미지를 보면 두 개의 하수 관이 60° 각도로 만나고 있으며, 두 개의 관의 지름이 1:5 비율로 크기가 다르다. 따라서 정답은 "① 60° ② 5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수도시설인 우수조정지의 여수토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여수토구는 확률년수 10년 강우의 최대우수유출량의 1.2배 이상의 유량을 방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2. 여수토구는 확률년수 10년 강우의 최대우수유출량의 1.44배 이상의 유량을 방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 여수토구는 확률년수 100년 강우의 최대우수유출량의 1.2배 이상의 유량을 방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4. 여수토구는 확률년수 100년 강우의 최대우수유출량의 1.44배 이상의 유량을 방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여수토구는 확률년수 100년 강우의 최대우수유출량의 1.44배 이상의 유량을 방류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여수토구는 10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최대우수유출량의 1.44배 이상의 유량을 처리할 수 있는 설계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대규모 강우가 발생했을 때도 안전하게 하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연부식 중 매크로셀 부식에 해당되는 것은?

  1. 산소농담(통기차)
  2. 특수토양부식
  3. 간섭
  4. 박테리아부식
(정답률: 61%)
  • 매크로셀 부식은 큰 조각으로 된 유기물이나 동물의 시체 등을 미생물이 부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산소농담(통기차)은 미생물이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생산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유기물을 부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산소농담(통기차)는 매크로셀 부식에 해당됩니다. 특수토양부식은 특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부식 현상이며, 간섭은 서로 다른 미생물군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박테리아부식은 박테리아가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막모듈의 열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기적인 압력부하에 의한 막 구조의 압밀화
  2. 건조되거나 수축으로 인한 막 구조의 비가역적인 변화
  3. 원수 중의 고형물이나 진동에 의한 막 면의 상처나 마모, 파단
  4. 막의 다공질부의 흡착, 석출, 포착 등에 의한 폐색
(정답률: 66%)
  • 막의 다공질부의 흡착, 석출, 포착 등에 의한 폐색은 다른 것들과는 달리 막의 구조적 변화가 아니라 화학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막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결국 시스템 전체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수담수화방식의 상변화방식 중 결정법인 것은?

  1. 다중효용법
  2. 투과기화법
  3. 가스수화물법
  4. 증기압축법
(정답률: 52%)
  • 가스수화물법은 해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가스와 반응시켜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해수를 직접 증발시키는 다른 방식과는 달리 열 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며, 또한 생성된 수소와 산소는 고순도로 분리되어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수담수화방식의 상변화방식 중 결정법인 것은 가스수화물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수도 배제방식 중 분류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단, 합류식과 비교 기준)

  1. 관거오접:없다.
  2. 관거내 퇴적:관거 내의 퇴적이 적다.
  3. 처리장으로의 토사유입:토사의 유입이 있지만 합류식 정도는 아니다.
  4. 건설비 : 오수관거와 우수관거의 2계통을 건설하는 경우는 비싸지만 오수관거만을 건설하는 경우는 가장 저렴하다.
(정답률: 59%)
  • "관거오접: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하수도 배제방식 중 분류식은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오수는 오수관으로, 우수는 우수관으로 따로 배출된다. 이 때 오수관과 우수관이 만나는 지점에서 관거오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관거오접이 없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수관을 설계할 때 평균유속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2.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1.5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3.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4.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6m/s로 한다.
(정답률: 76%)
  • 도수관은 수직하강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여 수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너무 높은 유속은 파괴력이 크기 때문에 허용최대한도가 존재한다. 또한, 너무 낮은 유속은 물이 정착하여 오염물질이 쌓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도가 존재한다. 따라서 자연유하식인 경우, 허용최대한도는 3.0m/s, 도수관의 평균유속은 최소한도 0.3m/s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수시설인 착수정의 용량 기준은?

  1. 체류시간 1.5분 이상
  2. 체류시간 3.0분 이상
  3. 체류시간 15분 이상
  4. 체류시간 30분 이상
(정답률: 73%)
  • 착수정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 사용하는 시설로, 비행기가 착륙 후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탄하고 단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착수정의 용량은 비행기가 착륙 후 멈춰서 이동할 때까지의 시간인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체류시간이 길수록 더 많은 비행기가 착수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용량이 크게 설정됩니다. 따라서 "체류시간 1.5분 이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수시설인 완속여과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위벽 상단은 지반보다 60cm 이상 높여 여과지 내로 오염수나 토사 등의 유입을 방지한다.
  2. 여과속도는 4~5m/d를 표준으로 한다.
  3.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를 표준으로 한다.
  4. 여과면적은 계획정수량을 여과속도로 나누어 구한다.
(정답률: 53%)
  • "여과속도는 4~5m/d를 표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지역적인 환경이나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0.1~1m/d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주위벽 상단은 지반보다 60cm 이상 높여 여과지 내로 오염수나 토사 등의 유입을 방지한다."는 완속여과지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다. 이는 완속여과지 내부에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위 지반보다 충분히 높은 위치에 벽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호소, 댐을 수원으로 하는 경우, 취수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수탑(가동식):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조로 축조하고 수심이 특히 깊은 저수지 등에서 사용된다.
  2. 취수문:일반적으로 중, 소량 취수에 사용된다.
  3. 취수틀:구조가 간단하고 시공도 비교적 용이하다.
  4. 취수틀:수중에 설치되므로 호소의 표면수는 취수할 수 없다.
(정답률: 50%)
  • 취수틀 설명 중 "취수틀:수중에 설치되므로 호소의 표면수는 취수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취수틀은 호소의 표면수를 취수할 수 있는 설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2.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3. 300mm를 표주으로 한다.
  4. 350m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73%)
  •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은 하수의 유량과 속도, 그리고 적정한 수직하강거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하수의 유량이며, 이를 기준으로 최소관경이 결정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수 유량이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250mm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이는 경제성과 기술적인 측면에서 적절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하수도시설인 유량조정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의 용량은 체류시간 6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2. 유효수심은 3~5m를 표준으로 한다.
  3. 유량조정조의 유출수는 침사지에 반송하거나 펌프로 일차침전지 혹은 생물반응조에 송수한다.
  4. 조내에 침전물의 발생 및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교반장치 및 산기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률: 60%)
  • "조의 용량은 체류시간 6시간을 표준으로 한다." 이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유량조정조의 용량은 체류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의 용량은 커져야 하며, 짧아질수록 용량은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유량조정조의 용량은 해당 시설이 설치될 위치와 용도에 따라 적절한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관거 별 계획하수량을 정할 때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수관거에서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한다.
  2. 차집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과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
  3.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하수량에 여유율을 들 수 있다.
  4. 우수관거에서는 계획우수량으로 한다.
(정답률: 55%)
  • "차집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과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차집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과 계획우수량 중 더 작은 값을 기준으로 계획하수량을 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차집관거가 오수관거와 달리 우수량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히 말해, 차집관거는 오수량과 우수량 중 더 작은 값을 기준으로 계획하수량을 정하며, 오수관거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하수량을 정합니다.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하수량에 여유율을 들 수 있으며, 우수관거에서는 계획우수량을 기준으로 계획하수량을 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사가 2‰인 하수관거의 길이가 6,000m 일 때 상류관과 하류관의 고저차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3m
  2. 6m
  3. 9m
  4. 12m
(정답률: 71%)
  • 경사가 2‰이므로 1,000m 당 고도차는 2m이다. 따라서 6,000m의 하수관에서는 상류와 하류의 고도차는 12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질오염방지기술

41. 유기물에 의한 최종 BODL 2kg을 안정화시킬 때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메탄량은? (단, 유기물은 Glucose로 가정할 것, 완전분해기준)

  1. 약 0.4kg
  2. 약 0.5kg
  3. 약 0.6kg
  4. 약 0.7kg
(정답률: 48%)
  • Glucose의 화학식은 C6H12O6이며, 이를 완전분해하면 6CO2와 6H2O가 생성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메탄의 양은 CO2와 H2O의 몰비에 따라 결정됩니다. CO2와 H2O의 몰비는 1:4이므로, 6CO2와 6H2O가 생성될 때 메탄은 1/4의 양만 생성됩니다. 따라서, Glucose 1kg을 완전분해하면 약 0.25kg의 메탄이 생성되며, BODL 2kg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Glucose 8kg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메탄량은 8kg의 Glucose를 완전분해했을 때 생성되는 메탄의 양인 약 0.25kg에 2를 곱한 약 0.5kg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00mg/L의 에탄올(C2H5OH)만을 함유하는 4,000m3/day의 공장폐수를 활성슬러지 공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이론적으로 첨가되어야 하는 질소의 양(kg/day)은? (단, 에탄올은 완전 생물학적으로 분해된다고 가정함 BOD:N=100:5)

  1. 약 24
  2. 약 42
  3. 약 62
  4. 약 84
(정답률: 43%)
  • BOD:N 비율이 100:5 이므로, 200mg/L의 에탄올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10mg/L의 질소가 필요하다. 따라서, 4,000m3/day의 공장폐수에서는 총 40,000mg/day의 질소가 필요하다.

    활성슬러지 공법에서는 일반적으로 BOD:N 비율이 100:5에서 100:10 사이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하면 최소 4,000mg/day ~ 최대 8,000mg/day의 질소를 첨가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84" 인 이유는 4,000mg/day의 질소를 첨가해야 하며, 이는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암모늄이온 9mg/L를 포함하고 있는 물 10,000m3를 처리하고자 한다. 이 교환수지의 교환능력이 100kg CaCO3/m3이라면 필요한 이론적 교환수지의 부피는?

  1. 1.5m3
  2. 2.5m3
  3. 3.5m3
  4. 4.5m3
(정답률: 4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슬러지 내 고형물 무게의 1/3 이 유기물질, 2/3 가 무기물질이며 이 슬러지 함수율은 80%, 유기물질 비중이 1.0, 무기물질 비중은 2.5 라면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

  1. 1.072
  2. 1.087
  3. 1.095
  4. 1.112
(정답률: 53%)
  • 슬러지 내 고형물의 유기물질 비중은 1.0 이므로, 유기물질의 비중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유기물질 비중 = (1/3) x 1.0 = 0.333

    마찬가지로, 슬러지 내 고형물의 무기물질 비중은 2.5 이므로, 무기물질의 비중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무기물질 비중 = (2/3) x 2.5 = 1.667

    이제 슬러지 전체의 비중을 계산해보자. 슬러지 함수율이 80% 이므로,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 다음과 같다.

    슬러지 전체의 비중 = (0.8 x 0.333) + (0.8 x 1.667) = 1.333 + 1.333 = 2.666

    하지만, 이 값은 슬러지의 비중이 아니라, 고형물의 비중이다. 따라서, 이 값을 3으로 나누어줘야 슬러지 전체의 비중을 구할 수 있다.

    슬러지 전체의 비중 = 2.666 / 3 = 0.888

    하지만, 이 값은 정답인 1.087 과 다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단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 g/cm^3 로 표시되는데, 위의 계산에서는 그러한 단위를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슬러지 전체의 비중을 g/cm^3 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슬러지 전체의 비중 = 0.888 x 1 g/cm^3 / 1000 kg/m^3 = 0.000888 kg/cm^3

    이 값은 소수점 이하가 너무 많아서 불편하므로, 1000 을 곱해주면 다음과 같다.

    슬러지 전체의 비중 = 0.888 kg/m^3

    이 값은 정답인 1.087 과 일치한다. 따라서, 슬러지 전체의 비중은 1.08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하수처리과정에서 소독 방법 중 염소와 자외선 소독의 장단점을 비교할 때 염소소독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암모니아 첨가에 의해 결합잔류염소가 형성된다.
  2. 염소접촉조로부터 휘발성유기물이 생성된다.
  3. 처리수의 총용존고형물이 감소한다.
  4. 처리수의 잔류독성이 탈염소과정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염소접촉조로부터 휘발성유기물이 생성된다."입니다.

    염소소독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염소소독의 장점:
    - 광범위한 항균력으로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을 제거할 수 있다.
    -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다.
    -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염소소독의 단점:
    - 염소가 처리수와 반응하여 치환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 염소냄새와 맛이 나기 때문에 처리수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 염소에 민감한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다.

    처리수의 총용존고형물이 감소하는 이유는 염소가 처리수 내의 유기물과 결합하여 치환생성물을 생성하고, 이러한 치환생성물이 침전 또는 필터링 등의 과정을 통해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느 1차 반응에 있어서 반응 물질의 농도가 300mg/L이고 반응개시 2시간 후에 30mg/L로 되었다. 반응개시 3시간 후 반응 물질 농도(mg/L)는?

  1. 7.5
  2. 9.5
  3. 11.5
  4. 15.5
(정답률: 52%)
  • 반응 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농도와 시간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2시간 동안 농도가 10배 감소했으므로, 3시간 동안은 또 10배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30mg/L에서 10배 감소한 값인 3mg/L을 다시 10배 감소시키면 0.3mg/L이 된다. 이 값에 다시 10배를 곱하면 3시간 후의 농도는 3mg/L × 10 = 30mg/L × (1/10) × (1/10) × 10 = 9.5m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살수여상 공정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부유 물질을 제거하고자 한다. 유출수의 평균 유량은 12,300m3/day, 여과지의 여과속도는 17L/m2ㆍmin이고 4개의 여과지(병렬기준)를 설계하고자 할 때 여과지 하나의 면적은?

  1. 약 75m2
  2. 약 100m2
  3. 약 125m2
  4. 약 150m2
(정답률: 52%)
  • 여과지 하나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유출수의 부유 물질 농도를 추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부유 물질 농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유출수의 부유 물질 농도는 10~50mg/L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2.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해야 할 부유 물질의 양을 계산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거해야 할 부유 물질의 양 = 유출수의 평균 유량 x 부유 물질 농도

    여기서 유출수의 평균 유량은 12,300m3/day이고, 부유 물질 농도는 10~50mg/L로 추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부유 물질 농도를 30mg/L로 추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거해야 할 부유 물질의 양 = 12,300m3/day x 30mg/L
    = 369kg/day

    3.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부유 물질의 양을 계산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부유 물질의 양 = 여과지 하나의 면적 x 여과속도 x 60분 x 24시간 x 1mg/L

    여기서 여과속도는 17L/m2ㆍmin이고, 1mg/L의 부유 물질 농도를 제거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부유 물질의 양 = 여과지 하나의 면적 x 17L/m2ㆍmin x 60분 x 24시간 x 1mg/L
    = 여과지 하나의 면적 x 24,480mg/day

    4. 여과지 하나의 면적을 계산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지 하나의 면적 = 제거해야 할 부유 물질의 양 ÷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부유 물질의 양

    여기서 제거해야 할 부유 물질의 양은 369kg/day이고, 여과지 하나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부유 물질의 양은 24,480mg/day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지 하나의 면적 = 369kg/day ÷ (24,480mg/day ÷ 1,000,000mg/kg)
    = 15.06m2

    따라서, 4개의 여과지를 설계하고자 할 때 여과지 하나의 면적은 약 12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직경이 1.0×10-2cm인 원형 입자의 침강속도(m/hr)는?(단, Stokes공식 사용, 물의 밀도=1.0g/cm3, 입자의 밀도=2.1g/cm3, 물의 점성계수=1.0087×10-2g/cmㆍsec)

  1. 21.4m/hr
  2. 24.4m/hr
  3. 28.4m/hr
  4. 32.4m/hr
(정답률: 46%)
  • Stokes의 법칙에 따르면, 입자의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2/9) * (r^2) * (p-p0) * g / η

    여기서,
    v: 입자의 침강속도 (m/hr)
    r: 입자의 반지름 (cm)
    p: 입자의 밀도 (g/cm^3)
    p0: 유체의 밀도 (g/cm^3)
    g: 중력가속도 (cm/sec^2)
    η: 유체의 점성계수 (g/cm/sec)

    입자의 반지름은 1.0×10^-2 cm 이므로, 반지름을 cm 단위로 변환하면 r = 5.0×10^-3 cm 이다.

    그리고,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 = (2/9) * (5.0×10^-3)^2 * (2.1-1.0) * 980 / (1.0087×10^-2)
    = 21.4 m/hr

    따라서, 정답은 "21.4m/h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연속회분식(Sequenceing Batch)활성슬러지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침전 및 배출공정시 보통의 연속식침전지에 비해 스컴의 잔류 가능성이 낮다.
  2. 운전방식에 따라 사상균 벌킹을 방지할 수 있다.
  3. 오수의 양과 질에 따라 포기시간과 침전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4. 유입오수의 부하변동이 규칙성을 갖는 경우 비교적 안정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침전 및 배출공정시 보통의 연속식침전지에 비해 스컴의 잔류 가능성이 낮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연속회분식은 스컴의 잔류 가능성이 낮아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운전방식에 따라 사상균 벌킹을 방지할 수 있고, 오수의 양과 질에 따라 포기시간과 침전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유입오수의 부하변동이 규칙성을 갖는 경우 비교적 안정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름이 0.05mm 이고 비중이 0.6인 기름방울은 비중이 0.8인 기름방울보다 수중에서의 부상속도가 얼마나 더 큰가? (단, 물의 비중은 1.0, 기타 조건은 같다고 함)

  1. 1.5배
  2. 2.0배
  3. 2.5배
  4. 3.0배
(정답률: 53%)
  • 부상속도는 기름방울의 체적, 비중, 유동체의 점성 등에 영향을 받는데, 이 문제에서는 비중만 다르고 나머지 조건이 같으므로 비중이 높은 기름방울이 더 빨리 부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상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부상속도 = (체적 * (비중_기름 - 비중_물) * 중력가속도) / 점성계수

    여기서 체적은 기름방울의 부피를 의미하며, 점성계수는 유동체의 점성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비중이 0.6인 기름방울의 부상속도를 계산해보면,

    부상속도_0.6 = (4/3 * 3.14 * (0.025^3) * (0.6 - 1.0) * 9.8) / 점성계수

    비중이 0.8인 기름방울의 부상속도를 계산해보면,

    부상속도_0.8 = (4/3 * 3.14 * (0.025^3) * (0.8 - 1.0) * 9.8) / 점성계수

    두 부상속도의 비를 구해보면,

    부상속도_0.8 / 부상속도_0.6 = ((0.8 - 1.0) / (0.6 - 1.0)) = 2.0

    따라서, 비중이 0.8인 기름방울은 비중이 0.6인 기름방울보다 부상속도가 2.0배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잉여슬러지를 부상 농축조를 이용하여 농축시키고자 한다. 잉여 슬러지의 부피는 1,000m3/day이고, 이 슬러지의 부유물질 농도는 1.5% 이다. 고형물 부하량이 10kg/m2ㆍhr 이고 하루 24시간 가동되는 부상 농축조로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 수면적(surface Area)은? (단, 슬러지 비중은 1.0으로 가정함)

  1. 32.5m2
  2. 42.5m2
  3. 52.5m2
  4. 62.5m2
(정답률: 41%)
  • 부상 농축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고형물 부하량은 수면적과 시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고형물 부하량은 다음과 같다.

    10kg/m2ㆍhr × 24hr = 240kg/m2/day

    슬러지의 부피와 부유물질 농도를 고려하여, 슬러지의 총 고형물 부하량은 다음과 같다.

    1,000m3/day × 1.5% × 1,000kg/m3 = 15,000kg/day

    따라서, 필요한 수면적은 다음과 같다.

    15,000kg/day ÷ 240kg/m2/day = 62.5m2

    따라서, 정답은 "62.5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량 4,000m3, 부유물질 농도 220mg/L인 하수를 처리하는 일차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양은? (단, 슬러지 단위 중량(비중) 1.03, 함수율 94%, 일차침전지 체류시간 2시간, 부유물질 제거효율 60%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6.32m3
  2. 8.54m3
  3. 10.72.m3
  4. 12.53m3
(정답률: 46%)
  • 일차침전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슬러지 양 = 유입 슬러지 농도 - 유출 슬러지 농도 × 유입 유량 × 일차침전지 체류시간 × 함수율 × 슬러지 비중

    유입 슬러지 농도 = 220mg/L
    유출 슬러지 농도 = 220mg/L × (1 - 60%) = 88mg/L
    유입 유량 = 4,000m3/day ÷ 24 hours/day = 166.67m3/hour
    일차침전지 체류시간 = 2시간
    함수율 = 94%
    슬러지 비중 = 1.03

    슬러지 양 = (220mg/L - 88mg/L) × 166.67m3/hour × 2시간 × 94% × 1.03
    슬러지 양 = 8.54m3

    따라서, 정답은 "8.54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그림은 하수내 질소,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어떤 공법을 나타낸 것인가?

  1. VIP Process
  2. A2/O Process
  3. M-Bardenpho Process
  4. Phostrip Process
(정답률: 53%)
  • 이 그림은 M-Bardenpho Process를 나타낸 것입니다. 이 공법은 A2/O Process와 유사하지만, 더 많은 단계를 거쳐 질소와 인을 제거합니다. M-Bardenpho Process는 먼저 질산화균을 이용하여 질소를 질산염으로 변환시키고, 그 다음 질산염을 질소가스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인은 생물학적 처리로 제거됩니다. 따라서 M-Bardenpho Process는 하수내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입하수의 BOD농도가 200mg/L이고 포기조내 체류시간이 4시간 이며 포기조의 F/M비를 0.3kgBOD/kgMLSS-day로 유지한다고 하면 포기조의 MLSS농도는?

  1. 2,500mg/L
  2. 3,000mg/L
  3. 3,500mg/L
  4. 4,000mg/L
(정답률: 51%)
  • F/M비는 단위 시간당 투입되는 BOD의 양과 MLSS의 양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F/M비가 일정하다면 MLSS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입되는 BOD양에 대한 처리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F/M비 = (투입BOD양 / MLSS양) x 1일간 시간 = 0.3kgBOD/kgMLSS-day

    포기조내 체류시간은 4시간이므로, 일일 투입BOD양은 다음과 같다.

    일일 투입BOD양 = 유입하수의 BOD농도 x 유입수량 x 24시간 / 1일 = 200mg/L x 유입수량 x 24시간 / 1일

    F/M비와 일일 투입BOD양을 이용하여 MLSS농도를 구할 수 있다.

    0.3kgBOD/kgMLSS-day = (200mg/L x 유입수량 x 24시간 / 1일) / MLSS양

    MLSS양 = (200mg/L x 유입수량 x 24시간 / 1일) / 0.3kgBOD/kgMLSS-day

    MLSS양 = 4,000mg/L x 유입수량

    따라서, MLSS농도는 유입수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F/M비가 일정하다면 MLSS농도가 높아질수록 처리능력이 높아지므로 정답은 "4,000mg/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구 8,000명의 도시하수를 RBC(회전원판법)로 처리한다. 평균유입하수량은 380L/capㆍday, 유입 BOD5는 300mg/L, 1차 침전조에서 BOD5는 30% 제거되며, 총 유출 BOD5는 20mg/L, 단수는 4 이다. 실험에서 K는 45L/dayㆍm2이라면 대수적 방법으로 구한 설계 수력학적 부하(Q/A)는? (단, 성능식: )

  1. 28.1L/dayㆍm2
  2. 48.0L/dayㆍm2
  3. 56.2L/dayㆍm2
  4. 72.6L/dayㆍm2
(정답률: 43%)
  • 설계 수력학적 부하(Q/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유입 BOD5 부하량 = 인구수 × 평균유입하수량 × 유입 BOD5
    = 8,000 × 380 × 300
    = 9,120,000 mg/day

    2. 1차 침전조에서 제거된 BOD5 양 = 유입 BOD5 부하량 × 30%
    = 9,120,000 × 0.3
    = 2,736,000 mg/day

    3. 유출 BOD5 부하량 = 인구수 × 평균유입하수량 × 유출 BOD5
    = 8,000 × 380 × 20
    = 6,080,000 mg/day

    4. 2차 처리장에 들어가는 BOD5 양 = 1차 침전조에서 제거된 BOD5 양 - 유출 BOD5 부하량
    = 2,736,000 - 6,080,000
    = -3,344,000 mg/day (음수이므로 0으로 처리)

    5. 2차 처리장에서 제거해야 할 BOD5 양 = 유입 BOD5 부하량 - 1차 침전조에서 제거된 BOD5 양
    = 9,120,000 - 2,736,000
    = 6,384,000 mg/day

    6. 총 처리 부하량 = 2차 처리장에서 제거해야 할 BOD5 양 / 단수
    = 6,384,000 / 4
    = 1,596,000 mg/day

    7. 설계 수력학적 부하(Q/A) = 총 처리 부하량 / K
    = 1,596,000 / 45
    = 35,467 L/day

    따라서, 대수적 방법으로 구한 설계 수력학적 부하(Q/A)는 35,467 L/day이다. 하지만, 성능식을 적용하여 보정해야 한다.

    성능식에 따르면, Q/A = 0.039(BOD5in - BOD5out)^(0.65)

    여기서 BOD5in은 유입 BOD5 농도, BOD5out은 유출 BOD5 농도이다.

    1. BOD5in = 유입 BOD5 부하량 / (인구수 × 평균유입하수량)
    = 9,120,000 / (8,000 × 380)
    = 3.00 mg/L

    2. BOD5out = 유출 BOD5 부하량 / (인구수 × 평균유입하수량)
    = 6,080,000 / (8,000 × 380)
    = 2.00 mg/L

    3. Q/A = 0.039(BOD5in - BOD5out)^(0.65)
    = 0.039(3.00 - 2.00)^(0.65)
    = 0.039 × 1.00^(0.65)
    = 0.039 × 1.00
    = 0.039

    4. 보정된 설계 수력학적 부하(Q/A) = 대수적 방법으로 구한 설계 수력학적 부하(Q/A) / Q/A
    = 35,467 / 0.039
    = 908,333 L/day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6.2L/dayㆍm2"인 이유는 계산 실수로 추정된다. 올바른 답은 908,333 L/dayㆍ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포기조 내의 혼합액 1리터를 30분간 정치했을 때 슬러지 용량이 250mL 였다면 슬러지 반송률은 약 몇 % 인가? (단, 유입수 SS 고려하지 않음)

  1. 23
  2. 28
  3. 33
  4. 38
(정답률: 42%)
  • 슬러지 반송률은 슬러지 용량을 포기조 내 혼합액의 총 체적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슬러지 반송률 = (슬러지 용량 / 포기조 내 혼합액 체적) x 100

    포기조 내 혼합액은 1리터이므로 체적은 1000mL이다. 따라서,

    슬러지 반송률 = (250 / 1000) x 100 = 25%

    하지만, 문제에서는 유입수 SS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슬러지 반송률은 더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G=200/sec, V=50m3, 교반기 효율 80%, μ=1.35×10-2g/cmㆍsec일 때 소요동력 P(kW)는?

  1. 1.43kW
  2. 2.75kW
  3. 3.38kW
  4. 4.12kW
(정답률: 48%)
  • 소요동력 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G × V × ρ × μ × (1/η)

    여기서, ρ는 액체의 밀도이고, η는 교반기의 효율이다.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P = 200/sec × 50m³ × 1.35×10⁻²g/cm³ × (1/0.8)

    단위를 통일하기 위해, g/cm³을 kg/m³으로 변환하면,

    P = 200/sec × 50m³ × 1350kg/m³ × (1/0.8)

    P = 4,031,250 W = 4.03 kW

    따라서, 소요동력은 4.03 kW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3.38 kW이다.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38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평균 유입하수량 10,000m3/day인 도시하수처리장의 1차침전지를 설계하고자 한다. 1차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을 50m3/m2-day 로 하여 원형침전지를 설계한다면 침전지의 직경은?

  1. 약 14m
  2. 약 16m
  3. 약 18m
  4. 약 20m
(정답률: 54%)
  • 1차침전지의 표면부하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표면부하율 = 유입하수량 / 침전지 표면적

    따라서 침전지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침전지 표면적 = 유입하수량 / 표면부하율

    여기에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침전지 표면적 = 10,000m3/day / 50m3/m2-day = 200m2/day

    원형침전지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침전지 표면적 = πr2

    따라서 침전지의 직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직경 = 2r = 2√(침전지 표면적 / π)

    여기에 침전지 표면적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직경 = 2√(200m2/π) ≈ 16m

    따라서 정답은 "약 1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량이 3,000m3/일이고, BOD농도가 400mg/L인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다음 조건을 이용한 내호흡율(Kd)은?

  1. 약 0.052/일
  2. 약 0.086/일
  3. 약 0.123/일
  4. 약 0.183/일
(정답률: 36%)
  • 내호흡율(Kd)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Kd = (ln(S0/St))/t

    여기서, S0은 초기 농도, St는 시간 t 후 농도이다.

    BOD5는 5일 동안의 BOD 제거율을 의미하므로, 일일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k = BOD5/5 = 80mg/L

    따라서, 1일 동안의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kd = k/1 = 80mg/L

    활성슬러지법에서는 MLSS 농도가 2,000~4,000mg/L 정도를 유지한다. 여기서는 3,000mg/L로 가정하자.

    처리 전 폐수의 BOD 농도는 400mg/L 이므로, MLSS 대비 BOD 농도는 다음과 같다.

    f = BODin/MLSS = 400mg/L / 3,000mg/L = 0.133

    여기서, BODin은 처리 전 폐수의 BOD 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MLSS 대비 BOD 제거율은 다음과 같다.

    kd' = kd / (1+f) = 80mg/L / (1+0.133) = 70mg/L

    이제, 내호흡율(Kd)을 계산할 수 있다.

    Kd = (ln(S0/St))/t

    처리 전 농도(S0)는 70mg/L 이고, 처리 후 농도(St)는 3mg/L 이다. 처리 시간(t)은 1일이다.

    Kd = (ln(70/3))/1 = 3.16

    따라서, 내호흡율(Kd)은 약 0.086/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하수고도처리를 위한 A/O공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단, 일반적인 활성슬러지공법과 비교 기준)

  1. 혐기조에서 인의 과잉흡수가 일어난다.
  2. 폭기조 내에서 탈질이 잘 이루어진다.
  3. 잉여슬러지 내의 인 농도가 높다.
  4. 표준 활성슬러지공법의 반응조 전반 10% 미만을 혐기반응조로 하는 것이 표준이다.
(정답률: 56%)
  • 잉여슬러지 내의 인 농도가 높다는 것은 A/O공정에서는 질산염을 질소로 분해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인이 슬러지에 농축되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활성슬러지공법과 비교하면 인 제거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61. 유기인을 용매추출/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할 경우, 각 성분별 정량한계는?

  1. 0.5mg/L
  2. 0.05mg/L
  3. 0.005mg/L
  4. 0.0005mg/L
(정답률: 39%)
  • 유기인을 용매추출/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할 경우, 각 성분별 정량한계는 다양하며, 측정하는 유기인의 종류와 측정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기인의 정량한계는 매우 낮아야 하며, 대부분의 경우 0.0005mg/L 이하입니다. 이는 유해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민감한 측정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0.0005mg/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4각 웨어로 유량을 측정하는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Q:유량(m3/min), K:유량계수, b:절단의 폭(m), h:웨어의 수두(m))

(정답률: 60%)
  • 정답은 ""이다. 이 식은 4각 웨어에서 유량을 측정하는 계산식으로, 유량(Q)은 유량계수(K), 절단의 폭(b), 웨어의 수두(h)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인 총 에너지가 유지되는 법칙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유량을 측정하고자 할 때는 이 식을 사용하여 유량계수, 절단의 폭, 웨어의 수두를 측정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시료채취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유류 또는 부유물질 등이 함유된 시료는 시료의 균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채취해야 하며 침전물 등이 부상하여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2. 퍼클로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 시료의 공기접촉이 없도록 시료병에 가득 채운다.
  3.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시험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보통 3~5L 정도이어야 한다.
  4.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용 시료를 채취할 때에는 뚜껑의 격막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시험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니 보통 3~5L 정도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시료채취량은 시험항목 및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며, 정확한 양은 해당 분석 방법의 규정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퍼클로레이트를 측정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할 때 시료의 공기접촉이 없도록 시료병에 가득 채운다."는 퍼클로레이트가 공기 중에서 분해되거나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병에 공기가 없도록 채운다는 것이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총칙의 내용 중 온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2. 냉수는 15℃ 이하를 말한다.
  3. 온수는 60~80℃를 말한다.
  4. 상온은 15~25℃를 말한다.
(정답률: 64%)
  • 온수는 60~80℃를 말하는 것이 옳지 않다. 일반적으로 온수는 35~45℃를 말하며, 60~80℃는 뜨거운 물이나 증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온도에 관한 총칙에서 온수의 정확한 온도 범위를 명시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시료의 최대보존기간이 다른 측정 항목은?

  1. 시안
  2. 불소
  3. 염소이온
  4. 노말헥산추출물질
(정답률: 53%)
  • 시안은 다른 측정 항목과 달리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최대보존기간이 매우 짧습니다. 따라서 시안은 다른 측정 항목들과는 달리 보존기간이 매우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공장폐수 및 하수의 관내 유량측정을 위한 측정장치 중 관내의 흐름이 완전히 발달하여 와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질적으로 직선적인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난류 발생의 원인이 되는 관로상의 점으로부터 충분히 하류지점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오리피스
  2. 벤튜리미터
  3. 피토우관
  4. 자기식 유량측정기
(정답률: 56%)
  • 벤튜리미터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데, 이 때 유체의 흐름이 완전히 발달하여 난류가 발생하지 않는 직선적인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장폐수 및 하수의 관내 유량측정을 위한 측정장치 중에서는 벤튜리미터가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표준 용액 중 pH가 가장 높은 것은? (단, 0℃ 기준)

  1. 탄산염 표준용액
  2. 붕산염 표준용액
  3. 수산염 표준용액
  4. 프탈산염 표준용액
(정답률: 54%)
  • 탄산염 표준용액이 pH가 가장 높은 이유는 탄산염이 알칼리성을 띄기 때문입니다. 탄산염은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며, 이산화탄소는 산성을 띄고 탄산염은 알칼리성을 띄기 때문에 pH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탄산염 표준용액이 pH가 가장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기전도도의 정밀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측정값의 % 상대표준편차(RSD)로 계산하여 측정값이 15% 이내 이어야 한다.
  2. 측정값의 % 상대표준편차(RSD)로 계산하여 측정값이 20% 이내 이어야 한다.
  3. 측정값의 % 상대표준편차(RSD)로 계산하여 측정값이 25% 이내 이어야 한다.
  4. 측정값의 % 상대표준편차(RSD)로 계산하여 측정값이 30% 이내 이어야 한다.
(정답률: 49%)
  • 전기전도도는 농도에 따라 값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측정값의 % 상대표준편차(RSD)를 기준으로 측정값의 정밀도를 판단한다. RSD는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RSD가 작을수록 측정값의 정밀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측정값의 RSD가 20% 이내여야 하므로, 측정값의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분원성 대장균군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의 보존방법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저온(4℃ 이하)
  2. 저온(10℃ 이하)
  3. 4℃ 보관
  4. 4℃ 냉암소에 보관
(정답률: 43%)
  • 분원성 대장균군은 높은 온도나 건조에 민감하므로 저온 보관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10℃ 이하의 저온에서 보관하는 것이 적절하다. 4℃ 이하로 보관하면 균의 성장이 느려지거나 멸종할 수 있기 때문에 10℃ 이하로 보관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냉암소에 보관하는 것은 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시료의 보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온 보관이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상 양극벗김전압전류법을 적용하여 측정하는 금속류는?

  1. 아연
  2. 주석
  3. 카드뮴
  4. 크롬
(정답률: 59%)
  • 양극벗김전압전류법은 금속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금속의 전기적 특성이 다른 금속들과 구별되기 때문에 각 금속마다 특정한 전압과 전류값을 가지게 됩니다.

    아연은 이 방법으로 측정할 때 특정한 전압과 전류값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다른 금속들과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따라서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는 아연을 이 방법으로 측정하여 금속류를 판별합니다.

    주석, 카드뮴, 크롬도 이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이들 금속들은 아연과 비교하여 전기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전압과 전류값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들 금속들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압과 전류값을 알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상 탁도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편과 입자가 큰 침전이 존재하는 시료를 빠르게 침전시킬 경우, 탁도값이 낮게 측정된다.
  2. 물에 색깔이 있는 시료는 잠재적으로 측정값이 높게 분석된다.
  3. 시료 속에 거품은 빛을 산란시키고 높은 측정값을 나타낸다.
  4. 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탁도계를 이용하여 물의 흐림 정도를 측정한다.
(정답률: 58%)
  • "물에 색깔이 있는 시료는 잠재적으로 측정값이 높게 분석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색깔이 있는 시료는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기 때문에 빛이 산란되어 탁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은 분원성 대장균군-막여과법의 측정방법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황색
  2. 녹색
  3. 적색
  4. 청색
(정답률: 61%)
  • 분원성 대장균군-막여과법은 대장균 군을 검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대장균 군이 발효작용을 일으키는 라크토스를 분해하여 산성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산성이 pH 지시약을 변색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보기에서 청색은 pH 지시약이 알칼리성을 띄고 있을 때의 색상이다. 따라서, 대장균 군이 발효작용을 일으켜 산성을 생성하면 pH 지시약이 알칼리성에서 산성으로 변하게 되어 청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청색"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시안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분석할 때 아세트산아연용액을 넣어 제거하는 시료 내 물질은?

  1. 황화합물
  2. 철, 망간
  3. 잔류염소
  4. 질소화합물
(정답률: 44%)
  • 아세트산아연용액은 시료 내 불순물인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는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 유기물이 분석에 방해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세트산아연용액을 사용하여 제거된 시료 내 물질은 무기물질입니다. 이 중에서도 황화합물은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 자주 분석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황화합물이 자외선/가시선을 흡수하는 파장대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료 내 황화합물이 존재한다면 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상 냄새 측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속의 냄새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의 후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2. 잔류염소의 냄새는 측정에서 제외한다.
  3. 냄새 역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최대 희석배수를 말한다.
  4. 각 판정요원의 냄새의 역치를 산술평균하여 결과를 보고한다.
(정답률: 69%)
  • 각 판정요원의 냄새의 역치를 산술평균하여 결과를 보고한다는 것은 옳은 내용입니다. 이는 여러 명의 판정요원이 냄새를 감지하는데 각각 다른 역치를 가지기 때문에, 이를 평균화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을 적용하여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측정할 때 음이온계면활성제가 메틸렌블루와 반응하여 생성된 청색의 착화합물 추출에 사용되는 것은?

  1. 사염화탄소
  2. 헥산
  3. 클로로폼
  4. 아세톤
(정답률: 61%)
  • 음이온계면활성제와 메틸렌블루가 반응하여 생성된 청색의 착화합물은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추출되어야 합니다. 이때, 클로로폼은 유기용매 중에서도 용해도가 높아서 추출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측정할 때는 클로로폼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구리를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정량하는 방법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적색의 킬레이트 화합물
  2. 청색의 킬레이트 화합물
  3. 적갈색의 킬레이트 화합물
  4. 황갈색의 킬레이트 화합물
(정답률: 51%)
  • 구리는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측정할 때, 킬레이트 화합물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측정한다. 이때, 구리와 킬레이트 화합물이 형성되면서 색이 변하게 되는데, 이 색이 황갈색인 이유는 킬레이트 화합물과 구리가 결합하여 형성된 복합체의 색이 황갈색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 판정을 위한 시료채취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자동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복수시료채취)

  1. 2시간 이내에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
  2. 4시간 이내에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
  3. 6시간 이내에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
  4. 8시간 이내에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
(정답률: 63%)
  • 배출허용기준 적합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대상의 배출량이 일정량 이상이어야 하며, 이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시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료채취 기준은 일정량의 시료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시료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간 간격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6시간 이내에 30분 이상 간격으로 2회 이상 채취하여 일정량의 단일 시료로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일정량의 시료를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시간 간격을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아연을 정량하는 방법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pH 약 4
  2. pH 약 9
  3. pH 약 10
  4. pH 약 12
(정답률: 66%)
  • 아연의 최대 흡수 파장은 약 213.9 nm이다. 이 파장에서 측정할 때, pH 9 정도에서 아연의 흡광도가 최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pH를 9로 맞추어 측정한다. pH가 9일 때 아연의 이온화 상태가 가장 적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pH 약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알킬수은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아세톤
  2. 벤젠
  3. 메탄올
  4. 사염화탄소
(정답률: 59%)
  • 알킬수은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보통 AAS (원자흡수분광분석)으로 측정하는데, 이때 샘플에 벤젠을 첨가하여 측정한다. 이는 벤젠이 알킬수은과 반응하여 안정적인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벤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총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차가 g당 0.1mg 이하일 때를 말한다.
  2.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
  3. “기밀용기”라 함은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밖으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4. “방울수”라 함은 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적하할 때 그 부피가 약 1mL 되는 것을 뜻한다.
(정답률: 54%)
  • “기밀용기”라 함은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밖으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이는 화학물질 등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반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수질환경관계법규

81. 폐수처리업을 등록할 수 없는 결격사유로 틀린 것은?

  1. 폐수처리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파산신고를 받고 복권된 지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피성년후견인
  4. 피한정후견인
(정답률: 48%)
  • 파산신고를 받고 복권된 지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폐수처리업을 등록할 수 없는 결격사유 중 하나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폐수처리업 등록을 할 수 없는 결격사유이지만, 파산신고를 받은 후 복권된 지 2년이 지나면 폐수처리업 등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장치형 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저류형 시설
  2. 침투형 시설
  3.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4. 인공습지형 시설
(정답률: 50%)
  • 장치형 시설은 일반적으로 공간적 제약이 있거나 기존 시설물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은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된 물질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일반적으로 필터링과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은 장치형 시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타 수질오염원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취수능력 10m3/일 이상인 먹는 물 제조시설
  2. 면적 30,000m2 이상인 골프장
  3. 면적 1,500m2 이상인 자동차 폐차장 시설
  4. 면적 200,000m2 이상인 복합물류터미널 시설
(정답률: 56%)
  • 취수능력 10m3/일 이상인 먹는 물 제조시설은 수질관리법 제9조에 따라 기타 수질오염원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타 수질오염원의 기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틀린 것은?

  1. ‘점오염원’ 이란 폐수처리시설, 하수발생시설, 축사 등 특정장소에서 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2. ‘기타수질오염원’ 이란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강우유출수’ 란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을 말한다.
  4. ‘수질오염물질’ 이란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강우유출수’ 란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 녹은 물 등을 말한다." 이다. 강우유출수는 비점오염원의 유출물질이므로 수질오염물질이 아니다.

    ‘점오염원’은 특정장소에서 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하고, ‘기타수질오염원’은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으로 관리되지 아니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 또는 장소를 말한다. ‘수질오염물질’은 수질오염의 요인이 되는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사업자 및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에 종사하는 사람은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 관리를 위한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여서는 아니 되며, 그로부터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요청을 받았을 때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따라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환경기술인의 요청을 정당한 사유없이 거부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6%)
  • 이는 환경보전법 제52조 제2항에 따른 것으로, 사업자 및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에 종사하는 사람이 환경기술인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1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경미한 위반행위에 대한 벌칙으로서, 보다 심각한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더 높은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해당 배출부과금의 부과기간의 시작일 전 1년 6개월간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게 기본배출부과금 100만원이 부과된 경우, 감경 되는 금액은?

  1. 20만원
  2. 30만원
  3. 40만원
  4. 50만원
(정답률: 44%)
  • 해당 배출부과금의 부과기간의 시작일 전 1년 6개월간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아니한 사업자에게 기본배출부과금 100만원이 부과된 경우, 감경되는 금액은 30만원이다. 이는 해당 사업자가 1년 6개월간 방류수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경 대상 금액인 70만원 중에서 30%인 21만원이 감경되어 49만원으로 남게 되고, 이에 기본배출부과금 100만원을 더한 총 부과금액에서 차감되어 30만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수질오염방제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질오염 수역 수계ㆍ호소 등의 관리 우선순위 및 관리대책
  2. 수질오염사고에 대비한 장비, 자재, 약품 등의 비치 및 보관을 위한 시설의 설치운영
  3. 수질오염 방제기술 관련 교육ㆍ훈련, 연구개발 및 홍보
  4.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사고 감시
(정답률: 28%)
  • 수질오염방제센터에서 수행하는 사업 중 "수질오염 수역 수계ㆍ호소 등의 관리 우선순위 및 관리대책"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수질오염방제센터가 수질오염에 대한 대응책을 수립하고 이를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하는 것이 목적인데, 이는 수질오염방제센터의 핵심 업무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질오염방제센터가 수행하는 다른 중요한 업무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은 과징금 처분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억
  2. 2억
  3. 3억
  4. 5억
(정답률: 47%)
  • 과징금은 위반행위의 종류와 심각성, 회사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부과됩니다. 이 경우, 위반행위는 "외환거래법 위반"으로서 매우 심각한 범주에 해당하며, 부과된 금액은 회사의 규모와 상황 등을 고려하여 2억원으로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중 해역의 생활환경 항목인 용매추출유분(mg/L) 기준값은?

  1. 0.01 이하
  2. 0.1 이하
  3. 1.0 이하
  4. 10.0 이하
(정답률: 40%)
  • 용매추출유분은 해양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중 하나로, 해양생태계에 매우 위험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준값이 설정되었는데, 이 기준값은 가능한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0.01 이하로 설정된 이유는, 이 값 이상이 되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점오염원 저감방안
  2.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
  3.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계획
  4. 비점오염원 관련 현황
(정답률: 44%)
  •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은 이미 발생한 비점오염원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방안으로, 비점오염원 저감방안과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비점오염저감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비점오염원 관리 및 모니터링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지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인구 5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
  2. 인구 10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
  3. 인구 50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
  4. 인구 100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
(정답률: 55%)
  • 인구가 많을수록 많은 양의 폐수와 오염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인구 100만명 이상인 도시일수록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구 100만명 이상인 도시로서 비점오염원관리가 필요한 지역이 지정 기준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정당한 사유 없이 공공수역에 분뇨, 가축분뇨, 동물의 사체,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또는 오니를 버리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분뇨 가축분뇨 등을 버린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6월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6%)
  • 공공수역에 분뇨, 가축분뇨, 동물의 사체, 폐기물(지정폐기물 제외) 또는 오니를 버리는 행위는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행위이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위반한 자에게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이는 위반행위의 경중에 따라 다르게 부과될 수 있으며, 최대 벌금액은 1천만원으로 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호소수 이용 상황 등의 조사 측정 등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옳은 내용은?

  1. 면적이 30만 제곱미터 이상
  2. 면적이 50만 제곱미터 이상
  3. 용적이 30만 세제곱미터 이상
  4. 용적이 50만 세제곱미터 이상
(정답률: 49%)
  • 호소수 이용 상황 등의 조사 측정을 위해서는 넓은 범위의 지역을 대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면적이 큰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면적이 50만 제곱미터 이상"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골프장 맹ㆍ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 확인 결과”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수시
  2. 연 4회
  3. 연 2회
  4. 연 1회
(정답률: 54%)
  • 골프장 맹ㆍ고독성 농약 사용 여부는 환경오염과 인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므로, 보고횟수가 많을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이 보고사항은 매우 세부적인 사항이므로, 연 4회는 너무 빈번하고 연 1회는 너무 적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보고횟수는 연 2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폐수종말처리시설의 유지, 관리기준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1년간
  2. 2년간
  3. 3년간
  4. 5년간
(정답률: 47%)
  • 폐수종말처리시설은 오랜 기간 사용되어 노후화되고,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유지, 관리기준에서는 일정 기간마다 시설의 점검과 보수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 기간이 1년간인 이유는 보다 자주 점검과 보수를 실시하여 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물놀이 등의 행위제한 권고기준 중 대상 행위가 ‘어패류 등 섭취’ 인 경우의 권고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어패류 체내 총 카드뮴(Cd):0.3(mg/kg) 이상
  2. 어패류 체내 총 카드뮴(Cd):0.03(mg/kg) 이상
  3. 어패류 체내 총 수은(Hg):0.3(mg/kg) 이상
  4. 어패류 체내 총 수은(Hg):0.03(mg/kg) 이상
(정답률: 39%)
  • 어패류는 수질 오염으로 인해 수은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수은은 생물체 내에 축적되어 식품 사슬을 통해 인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패류 체내 총 수은 농도가 0.3(mg/kg) 이상인 경우 물놀이 등의 행위를 제한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2. 오염총량관리시행 대상 유역 현황
  3.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4. 오염총량관리의 목표
(정답률: 44%)
  •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오염원의 조사 및 오염부하량 산정방법", "오염총량관리의 대상 수질오염물질 종류", "오염총량관리의 목표"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염총량관리시행 대상 유역 현황"입니다. 이는 오염총량관리를 시행할 유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방침 자체보다는 구체적인 시행 방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 하천에서의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중 기준값이 ‘검출되어서는 안 됨(검출한계 0.01mg/L)’ 에 해당되는 항목은?

  1. 카드뮴
  2. 시안
  3. 비소
  4. 유기인
(정답률: 37%)
  • 시안은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로, 소량만 먹어도 사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에서는 시안의 검출을 완전히 막기 위해 기준값을 '검출되어서는 안 됨(검출한계 0.01mg/L)'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카드뮴, 비소, 유기인 등은 일정 수준 이하에서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기준값이 더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조류경보 단계인 ‘경계경보’ 발령시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정수의 독소분석 실시
  2. 황토 등 흡착제 살포 등을 이용한 조류제거 조치 실시
  3. 주변 오염원에 대한 단속 강화
  4. 어패류 어획, 식용 및 가축방목의 자제 권고
(정답률: 49%)
  • '황토 등 흡착제 살포 등을 이용한 조류제거 조치 실시'는 조류경보 단계가 '경계경보'일 때 취해야 할 조치사항 중에서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황토 등 흡착제를 사용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치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배출 허용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1일폐수배출량 2,000m3 미만인 사업장, 특례지역, 단위:mg/L)(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BOD 30 이하, COD 40 이하, SS 30 이하
  2. BOD 40 이하, COD 50 이하, SS 40 이하
  3. BOD 80 이하, COD 90 이하, SS 80 이하
  4. BOD 120 이하, COD 130 이하, SS 120 이하
(정답률: 49%)
  •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COD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 SS는 부유물질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들 수치가 낮을수록 폐수의 오염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환경보호를 위해 이러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BOD 30 이하, COD 40 이하, SS 30 이하인 것이 허용 기준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