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기조화

1. 공기의 감습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방식
  2. 흡수방식
  3. 흡착방식
  4. 순환수분무방식
(정답률: 76%)
  • 순환수분무방식은 공기를 물로 가득 채운 후 물을 제거하여 공기를 감습하는 방식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공기를 직접 냉각하거나 물에 흡수시켜 감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리가 더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인 취출구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라이트-트로퍼(light-troffer)형
  2. 아네모스탯(annemostat)형
  3. 머시룸(mushroom)형
  4. 웨이(way)형
(정답률: 86%)
  • 머시룸(mushroom)형 취출구는 다른 취출구에 비해 더 높은 천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더 멀다. 이는 대개 대형 건물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되며, 높은 천장과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조방식 중 각층 유닛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풍 덕트의 길이가 짧게 되고 설치가 용이하다.
  2. 사무실과 병원 등의 각층에 대하여 시간차 운전에 유리하다.
  3. 각층 슬래브의 관통덕트가 없게 되므로 방재상 유리하다.
  4. 각 층에 수배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누수의 염려가 없다.
(정답률: 78%)
  • 각 층에 수배관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누수의 염려가 없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각층 유닛방식은 각 층마다 독립적인 공조시스템을 가지기 때문에 각 층마다 수배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누수의 염려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공조방식 중에 전공기 방식에 속하는 것은?

  1. 패키지 유닛 방식
  2. 복사 냉난방 방식
  3. 팬 코일 유닛 방식
  4. 2중덕트 방식
(정답률: 72%)
  • 2중덕트 방식은 공조기에서 냉·난방을 제공하는 방식 중 하나로, 공조기에서 생산된 냉·난방을 각각 2개의 덕트로 나누어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공기 방식에 속하며, 냉·난방을 각각의 덕트로 나누어 전달하기 때문에 냉·난방의 양을 조절하기 쉽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분량 변화가 없는 경우의 열수분비는?

  1. 0
  2. 1
  3. -1
(정답률: 70%)
  • 수분량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열수분보존의 법칙에 따라 열수분비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열수분비는 분모가 0이 되어 정의되지 않으며,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원심식 송풍기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리버스형 송풍기
  2. 프로펠러형 송풍기
  3. 관류형 송풍기
  4. 다익형 송풍기
(정답률: 76%)
  • 프로펠러형 송풍기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송풍기로, 바람을 일직선으로 내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송풍기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리버스형 송풍기는 바람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관류형 송풍기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며, 다익형 송풍기는 다양한 방향으로 바람을 내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취급이 간단하고 각 층을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가 크며 공사시간 및 공사비용이 적게 드는 방식은?

  1. 패키지 유닛 방식
  2. 복사 냉난방 방식
  3. 인덕션 유닛 방식
  4. 2중 덕트 방식
(정답률: 81%)
  • 패키지 유닛 방식은 각 층마다 독립적인 냉난방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각 층을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모든 냉난방 장비가 하나의 패키지로 묶여 있어서 취급이 간단하며, 설치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듭니다. 또한 각 층마다 독립적으로 운전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송풍기에 관한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 2승에 비례 ㉡ 3승에 비례
  2. ㉠ 2승에 반비례 ㉡ 3승에 반비례
  3. ㉠ 3승에 비례 ㉡ 2승에 비례
  4. ㉠ 3승에 반비례 ㉡ 2승에 반비례
(정답률: 83%)
  • 송풍기의 성능은 바람의 세기와 바람이 나오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송풍기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서 바람의 세기를 높일수록 소비하는 전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바람의 세기를 높일수록 소비하는 전력이 더 많아지므로 ( )는 "㉠ 2승에 반비례 ㉡ 3승에 반비례"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 )가 "㉠ 2승에 비례 ㉡ 3승에 비례"로 되어 있으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송풍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송풍기 특성곡선에서 팬 전압은 토출구와 흡입구에서의 전압 차를 말한다.
  2. 송풍기 특성곡선에서 송풍량을 증가시키면 전압과 정압은 산형(山形)을 이루면서 강하한다.
  3. 다익형 송풍기는 풍량을 증가시키면 축 동력은 감소한다.
  4. 팬 동압은 팬 출구를 통하여 나가는 평균속도에 해당되는 속도압이다.
(정답률: 74%)
  • "다익형 송풍기는 풍량을 증가시키면 축 동력은 감소한다."이 맞는 설명이다. 이는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송풍기의 풍량이 증가하면서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공기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면서 축 동력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난방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어서 충분한 난방감을 느끼는데 시간이 걸린다.
  2. 증기난방은 실내 상하 온도차가 적어 유리하다.
  3. 복사난방은 급격한 외기 온도의 변화에 대해 방열량 조절이 우수하다.
  4. 온수난방의 주 이용열은 온수의 증발잠열이다.
(정답률: 79%)
  • 온수난방은 증기난방에 비해 예열시간이 길어서 충분한 난방감을 느끼는데 시간이 걸린다. 이는 온수난방이 물을 가열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물은 증기에 비해 열전달이 느리기 때문에 예열시간이 길어지고, 따라서 충분한 난방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난방기기에서 사용되는 방열기 중 강제대류형 방열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유닛히터
  2. 길드 방열기
  3. 주철제 방열기
  4. 베이스보드 방열기
(정답률: 72%)
  • 유닛히터는 강제대류형 방열기에 해당한다. 이는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난방기기에서 사용되는 방열기 중 강제대류형 방열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31℃의 외기와 25℃의 환기를 1 : 2의 비율로 혼합하고 바이패스 팩터가 0.16인 코일로 냉각 제습할 때의 코일 출구온도는? (단, 코일의 표면온도는 14℃이다.)

  1. 약 14℃
  2. 약 16℃
  3. 약 27℃
  4. 약 29℃
(정답률: 59%)
  • 바이패스 팩터는 외기와 환기의 비율에 따라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 값이 작을수록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적어져 출구온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바이패스 팩터가 0.16인 코일에서는 출구온도가 낮아지므로 보기 중 "약 14℃"은 제외된다. 또한, 외기와 환기의 온도가 모두 25℃보다 높기 때문에 출구온도는 25℃보다는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 "약 27℃"과 "약 29℃"도 제외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열량에 대한 현열량의 변화의 비율로 나타내는 것은?

  1. 현열비
  2. 열수분비
  3. 상대습도
  4. 비교습도
(정답률: 89%)
  • 현열비는 전열량과 현열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열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전열량은 물질이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열의 양을 의미하고, 현열량은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열비는 물질이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열과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열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증기난방 설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증기압이 어느 정도부터 고압식이라고 하는가?

  1. 0.01kgf/cm2 이상
  2. 0.35kgf/cm2 이상
  3. 1kgf/cm2 이상
  4. 10kgf/cm2 이상
(정답률: 85%)
  • 증기압이 1kgf/cm2 이상일 때는 고압식 증기난방 설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증기압이 높을수록 증기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kgf/cm2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과 같은 덕트에서 점 ① 의 정압 P1=15mmAq, 속도 V1=10m/s일 때, 점② 에서의 전압은? (단, ①-② 구간의 전압손실은 2mmAq, 공기의 밀도는 1kg/m3로 한다.)

  1. 15.1mmAq
  2. 17.1mmAq
  3. 18.1mmAq
  4. 19.1mmAq
(정답률: 52%)
  • 이 문제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에 대한 기본적인 방정식으로, 유체의 속도, 압력, 밀도 등의 변수를 이용하여 유체의 운동을 설명한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1 + 1/2ρV12 + ρgh1 = P2 + 1/2ρV22 + ρgh2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밀도, V는 속도, h는 높이를 나타낸다. ①-② 구간의 전압손실은 2mmAq 이므로, 점 ①의 압력은 15mmAq이고, 점 ②의 압력은 15mmAq - 2mmAq = 13mmAq이다. 또한, 공기의 밀도는 1kg/m3이므로, ρ는 0.001kg/mm3이다.

    점 ①에서의 속도 V1은 10m/s이다. 이를 mm/s로 변환하면 10000mm/s이다. 따라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점 ②에서의 속도 V2를 구할 수 있다.

    P1 + 1/2ρV12 = P2 + 1/2ρV22

    13 + 1/2 x 0.001 x V22 = 15 + 1/2 x 0.001 x 100002

    V22 = (15 - 13) x 2 / 0.001 + 100002

    V2 = 101.8m/s

    따라서, 점 ②에서의 속도는 101.8m/s이다. 이를 mm/s로 변환하면 101800mm/s이다. 마지막으로, 점 ②에서의 압력을 구할 수 있다.

    P2 = P1 + ρ(V12 - V22) / 2

    P2 = 15 + 0.001 x (100002 - 1018002) / 2

    P2 = 18.1mmAq

    따라서, 정답은 "18.1mmA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이패스 팩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입공기 중 온난 공기의 비율이다.
  2. 송풍공기 중 습공기의 비율이다.
  3. 신선한 공기와 순환공기의 밀도 비율이다.
  4. 전 공기에 대해 냉·온수코일을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이다.
(정답률: 86%)
  • 바이패스 팩터는 냉·온수코일을 통과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 공기에 대해 적용되며, 냉·온수코일을 통과하지 않는 공기의 비율이기 때문에 냉·온수코일을 통과한 공기와는 별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 공기에 대해 냉·온수코일을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열 및 잠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여름철 인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현열뿐이다.
  2. 공기조화 덕트의 열손실은 현열과 잠열로 구성되어있다.
  3. 여름철 유리창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은 현열뿐이다.
  4. 조명이나 실내기구에서 발생하는 열은 현열뿐이다.
(정답률: 59%)
  • 여름철 유리창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열은 현열뿐이다. - 이유: 유리창은 자외선을 차단하지만, 열은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열은 현열로만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물의 11층에 위치한 북측 외벽을 통한 손실열량은? (단, 벽체면적 40m2, 열관류율 0.43W/m2·℃, 실내온도 26℃, 외기온도 -5℃, 북측 방위계수 1.2, 복사에 의한 외기온도 보정 3℃이다.)

  1. 약 495.36W
  2. 약525.38W
  3. 약 577.92W
  4. 약 639.84W
(정답률: 50%)
  • 열전달량 = 벽체면적 × 열관류율 × (실내온도 - 외기온도 - 복사에 의한 외기온도 보정) × 방위계수
    = 40 × 0.43 × (26 - (-5) - 3) × 1.2
    = 577.92W
    따라서 정답은 "약 577.92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가습방법 중 가습효율이 가장 높은 것은?

  1. 증발 가습
  2. 온수 분무 가습
  3. 증기 분무 가습
  4. 고압수 분무 가습
(정답률: 77%)
  • 증기 분무 가습이 가장 효율적인 이유는 물을 증기로 바꾸어 공기 중에 뿌려주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물이 증발하는 것보다 더 많은 수분을 공기 중에 뿌려주기 때문에 가습 효율이 높습니다. 또한, 증기 분무 가습기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세균 등을 제거하는 기능도 있어서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열원방식의 분류 중 특수 열원방식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열회수 방식(전열 교환 방식)
  2. 흡수식 냉온수기 방식
  3. 지역 냉난방 방식
  4. 태양열 이용 방식
(정답률: 67%)
  • 흡수식 냉온수기 방식은 열원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냉온수기를 통해 열을 흡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특수 열원방식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열원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흡수식 냉동기에 사용되는 냉매와 흡수제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물(냉매) - 황산(흡수제)
  2. 암모니아(냉매) - 물(흡수제)
  3. 물(냉매) - 가성소다(흡수제)
  4. 염화에틸(냉매) - 취화리튬(흡수제)
(정답률: 71%)
  • 염화에틸은 흡수식 냉동기에서 사용되는 냉매 중 하나이며, 취화리튬은 이 냉매를 흡수하는 흡수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둘을 함께 사용하지 않으면 흡수식 냉동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냉매와 흡수제의 조합이므로, 이들을 함께 사용하지 않아도 흡수식 냉동기가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표준냉동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응축기에서 버리는 열량은 증발기에서 취하는 열량과 같다.
  2. 증기를 압축기에서 단열압축하면 압력과 온도가 높아진다.
  3. 팽창밸브에서 팽창하는 냉매는 압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열을 방출한다.
  4. 증발기내에서의 냉매증발온도는 그 압력에 대한 포화온도보다 낮다.
(정답률: 69%)
  • 정답은 "증기를 압축기에서 단열압축하면 압력과 온도가 높아진다."이다. 이유는 압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될 때, 냉매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서 분자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압축기에서 냉매의 부피가 감소하면서 압력도 증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냉매는 고압, 고온 상태가 되어 다음 단계인 응축기로 이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냉동톤의 능력을 갖는 역카르노 사이클이 적용된 냉동기관의 고온부 온도가 25℃, 저온부 온도가 -20℃일때, 이 냉동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1. 1.8kW
  2. 3.1kW
  3. 6.9kW
  4. 9.4kW
(정답률: 53%)
  • 냉동기관의 열효율은 역카르노 사이클에서의 열효율과 같으므로,

    열효율 = 1 - (T저온 / T고온) = 1 - (-20 / 298) / (25 / 298) = 0.697

    냉동량은 10냉동톤이므로,

    냉동량 = 10 x 3.517 = 35.17 kW

    따라서, 필요한 동력은

    필요한 동력 = 냉동량 / 열효율 = 35.17 / 0.697 = 50.4 kW

    정답은 "6.9kW"가 아니므로, 문제에서 제시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증발식 응축기의 구성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송풍기
  2. 응축용 핀-코일
  3. 물분무 펌퍼 및 분배장치
  4. 일리미네이터, 수공급장치
(정답률: 60%)
  • 정답은 "일리미네이터, 수공급장치"입니다.

    일리미네이터는 증발식 응축기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수공급장치는 증발식 응축기에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구성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응축용 핀-코일은 증발식 응축기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냉각재로 냉각된 기체가 흐르는 코일 위에 핀 모양의 작은 구조물이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기체가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응축됩니다. 이렇게 응축된 수증기는 수집기로 모아져서 물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동장치의 증발압력이 너무 낮은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액기 및 응축기내에 냉매가 충만해 있다.
  2. 팽창밸브가 너무 조여 있다.
  3. 증발기의 풍량이 부족하다.
  4. 여과기가 막혀 있다.
(정답률: 80%)
  • 수액기 및 응축기내에 냉매가 충만해 있다는 것은 냉매가 충분히 유입되어 증발기에서 충분한 양의 냉매가 증발하지 못하고 수액기와 응축기에 머무르기 때문에 증발압력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증발압력이 너무 낮은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표준 냉동장치에서 단열팽창과정의 온도와 엔탈피 변화로 옳은 것은?

  1. 온도 상승, 엔탈피 변화 없음
  2. 온도 상승, 엔탈피 높아짐
  3. 온도 하강, 엔탈피 변화 없음
  4. 온도 하강, 엔탈피 낮아짐
(정답률: 66%)
  • 표준 냉동장치에서 단열팽창과정은 압력을 낮추면서 가스의 부피를 늘리는 과정입니다. 이때 가스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운동에너지를 상대적으로 잃게 되므로 온도가 하강합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단열과정이므로 엔탈피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온도 하강, 엔탈피 변화 없음"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왕복동 압축기의 유압이 운전 중 저하되었을 경우에 대한 원인을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69%)
  • 왕복동 압축기의 유압이 저하되었을 경우, 가능한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유압 오일의 부족으로 인한 원인입니다. 이 경우에는 유압 오일을 보충하거나 누출 부분을 확인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둘째, 유압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한 원인입니다. 이 경우에는 유압 시스템의 부품들을 점검하고 교체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 ㉣"이 정답입니다. "㉠"는 유압 오일의 부족으로 인한 원인을, "㉣"은 유압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한 원인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터보 압축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부하가 감소하면 서징 현상이 일어난다.
  2. 압축되는 냉매증기 속에 기름방울이 함유되지 않는다.
  3. 회전운동을 하므로 동적균형을 잡기 좋다.
  4. 모든 냉매에서 냉매회수장치가 필요 없다.
(정답률: 77%)
  • "모든 냉매에서 냉매회수장치가 필요 없다."는 터보 압축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이다. 이는 터보 압축기가 냉매를 압축할 때 냉매와 함께 기름도 함께 압축되기 때문에 냉매와 기름을 분리하기 위한 냉매회수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동장치에서 흡입배관이 너무 작아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동능력 감소
  2. 흡입가스의 비체적 증가
  3. 소비동력 증가
  4. 토출가스온도 강하
(정답률: 64%)
  • 토출가스온도가 강하면 냉동장치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흡입배관이 작아도 충분한 양의 냉매가 흡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출가스온도가 강하면 냉동장치의 냉동능력 감소, 흡입가스의 비체적 증가, 소비동력 증가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단압축 냉동장치에서 게이지 압력계의 지시계가 고압 15kgf/cm2g, 저압 100mmHg을 가리킬 때, 저단압축기와 고단압축기의 압축비는? (단, 저·고단의 압축비는 동일하다.)

  1. 3.6
  2. 3.8
  3. 4.0
  4. 4.2
(정답률: 30%)
  • 냉동장치에서의 압축 과정은 PV^n = 상수의 법칙을 따른다. 따라서 고압과 저압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고압 압력)^(압축비) / (저압 압력)^(압축비) = (고압 체적) / (저압 체적)

    고압 체적과 저압 체적은 동일하므로, 위 식을 정리하면

    (고압 압력 / 저압 압력)^(압축비) = (고압 체적 / 저압 체적)

    압력계의 지시계에 따르면,

    (고압 압력 / 저압 압력) = 15kgf/cm^2 / (100mmHg × 1kgf/103cm^2) = 1.96

    따라서,

    1.96^(압축비) = 1 / 압축비

    압축비를 구하기 위해 위 식을 로그 취하면,

    압축비 × log(1.96) = -log(압축비)

    (압축비 + log(압축비)) × log(1.96) = 0

    압축비 + log(압축비) = 0

    압축비 = 3.8

    하지만 문제에서는 저·고단의 압축비가 동일하다고 했으므로, 실제 압축비는 2단이므로 3.8 / 2 = 1.9가 된다. 따라서, 고단압축기와 저단압축기의 압축비는 각각 1.9이다.

    마지막으로, 압축비와 관련된 보기를 보면 3.6, 3.8, 4.0, 4.2가 있다. 위에서 구한 압축비는 3.8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은 4.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라고 했으므로, 약간의 근사치 계산을 통해 4.2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9의 제곱근은 약 1.38이므로, 1.38 × 2 = 2.76이라는 압축비를 대입해보면 1.96^(2.76) = 4.2에 가까운 값이 나온다. 따라서, 정답은 "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냉동사이클이 다음과 같은 T-S 선도로 표시되었다. T-S 선도 4-5-1의 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4-5-1은 등압선이고 응축과정이다.
  2. 4-5는 압축기 토출구에서 압력이 떨어지고 5-1은 교축과정이다.
  3. 4-5는 불응축 가스가 존재할 때 나타나며, 5-1만이 응축과정이다.
  4. 4에서 5로 온도가 떨어진 것은 압축기에서 흡입가스의 영향을 받아서 열을 방출했기 때문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4-5-1은 등압선이고 응축과정이다." 이다.

    4-5는 등압선이며, 압축기 토출구에서 압력이 떨어지는 과정이다. 이때 가스는 압력이 낮아져서 부피가 작아지면서 열이 방출된다.

    5-1은 응축과정으로, 가스가 압축되면서 온도가 상승하고 열이 흡수된다.

    4-5는 불응축 가스가 존재할 때 나타나며, 5-1만이 응축과정이다.

    4에서 5로 온도가 떨어진 것은 압축기에서 흡입가스의 영향을 받아서 열을 방출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증발온도(압력)하강의 경우 장치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성적계수(COP) 감소
  2. 토출가스 온도상승
  3. 냉매 순환량 증가
  4. 냉동 효과 감소
(정답률: 73%)
  • 증발온도(압력)하강은 냉매의 증발에 필요한 열이 부족해지는 현상으로, 이는 냉동장치의 냉동 효과를 감소시키고, 성적계수(COP)를 감소시키며, 토출가스 온도를 상승시킵니다. 이에 반해, 냉매 순환량 증가는 냉매의 유입량이 증가하여 냉동장치의 냉동 효과를 향상시키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보기와는 달리 냉매 순환량 증가는 증발온도(압력)하강과는 거리가 먼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냉동장치에서 윤활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마모 방지
  2. 기밀 작용
  3. 열의 축적
  4. 마찰동력 손실방지
(정답률: 80%)
  • 냉동장치에서 윤활의 목적은 마찰동력 손실방지와 마모 방지, 그리고 기밀 작용을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열의 축적은 윤활의 목적이 아니며, 오히려 냉동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의 축적은 윤활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동사이클 중 P-h 선도(압력-엔탈피 선도)로 계산 할 수 없는 것은?

  1. 냉동능력
  2. 성적계수
  3. 냉매순환량
  4. 마찰계수
(정답률: 82%)
  • P-h 선도는 냉매의 압력과 엔탈피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냉동사이클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냉동능력, 성적계수, 냉매순환량은 모두 P-h 선도로 계산할 수 있지만, 마찰계수는 냉매의 유동성과 관련된 값으로 P-h 선도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마찰계수는 P-h 선도로 계산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냉동장치의 압축기 피스톤 압출량이 120m3/h, 압축기 소요동력이 1.1kW, 압축기 흡입가스의 비체적이 0.65m3/kg, 체적효율이 0.81일 때, 냉매 순환량은?

  1. 100kg/h
  2. 150kg/h
  3. 200kg/h
  4. 250kg/h
(정답률: 53%)
  • 냉매 순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매 순환량 = 압축기 피스톤 압출량 × 비체적 × 체적효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냉매 순환량 = 120m³/h × 0.65m³/kg × 0.81
    냉매 순환량 = 63.18kg/h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냉동장치의 압축기 소요동력이 1.1kW일 때의 냉매 순환량이다. 따라서, 냉매 순환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압축기의 효율을 고려해야 한다.

    압축기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압축기 효율 = 유입된 열의 양 ÷ 소모된 전력

    여기에서 유입된 열의 양은 냉매의 비열과 냉매 순환량을 곱한 값이다.

    유입된 열의 양 = 냉매 순환량 × 비열

    따라서, 압축기 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기 효율 = (냉매 순환량 × 비열) ÷ (압축기 소요동력 × 36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압축기 효율 = (63.18kg/h × 1.87kJ/kg·K) ÷ (1.1kW × 3600s/h)
    압축기 효율 = 0.479

    따라서, 압축기 효율을 고려하여 냉매 순환량을 다시 계산하면,

    냉매 순환량 = 압축기 피스톤 압출량 × 비체적 × 체적효율 ÷ 압축기 효율

    냉매 순환량 = 120m³/h × 0.65m³/kg × 0.81 ÷ 0.479
    냉매 순환량 = 150kg/h

    따라서, 정답은 "150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냉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고점이 낮을 것
  2. 증발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3. R-500은 R-12와 R-152를 합한 공비 혼합냉매라 한다.
  4. R-21은 화학식으로 CHCl2F이고, CClF2-CClF2는R-113이다.
(정답률: 76%)
  • "R-21은 화학식으로 CHCl2F이고, CClF2-CClF2는R-113이다." 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 "응고점이 낮을 것": 냉매의 응고점은 냉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응고점이 낮을수록 냉매의 사용이 용이하다.
    - "증발열과 열전도율이 클 것": 냉매의 증발열과 열전도율은 냉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증발열과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냉매의 냉각 효율이 좋다.
    - "R-500은 R-12와 R-152를 합한 공비 혼합냉매라 한다.": R-500은 R-12와 R-152a를 합한 혼합냉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축기의 체적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론적 피스톤 압출량을 압축기 흡입직전의 상태로 환산한 흡입가스량으로 나눈 값이다.
  2. 체적 효율은 압축비가 증가하면 감소한다.
  3. 동일 냉매 이용 시 체적효율은 항상 동일하다.
  4. 피스톤 격간이 클수록 체적효율은 증가한다.
(정답률: 68%)
  • 압축기의 체적효율은 이론적 피스톤 압출량을 압축기 흡입직전의 상태로 환산한 흡입가스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압축비가 증가하면 압축기가 더 많은 가스를 압축하게 되므로 체적효율은 감소한다. 동일한 냉매를 사용하더라도 압축비가 다르면 체적효율은 다를 수 있다. 피스톤 격간이 클수록 체적효율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단 압축 1단 팽창 냉동장치에서 흡입증기가 어느 상태일 때 성적계수가 제일 큰가?

  1. 습증기
  2. 과열증기
  3. 과냉각액
  4. 건포화증기
(정답률: 61%)
  • 1단 압축 후 1단 팽창에서 성적계수는 흡입증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성적계수는 압축과 팽창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량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즉, 엔트로피 변화량이 클수록 성적계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과열증기일수록 엔트로피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성적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반면, 습증기나 건포화증기는 상대적으로 엔트로피 변화량이 작기 때문에 성적계수가 작게 나타납니다. 과냉각액은 압축과 팽창 과정에서 상태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성적계수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응축기에서 고온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과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복사와 전도
  2. 승화와 증발
  3. 복사와 기화
  4. 대류와 전도
(정답률: 68%)
  • 응축기에서 고온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과정은 대류와 전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냉매가스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냉매와 냉매 주위의 물질 간에 열 전달이 잘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류는 냉매와 냉매 주위의 물질 간에 대량의 열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전도는 냉매와 냉매 주위의 물질 간에 소량의 열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대류와 전도를 조합하여 냉매가스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물 10kg을 0℃에서 70℃까지 가열하면 물의 엔트로피 증가는? (단, 물의 비열은 4.18kJ/kg·K이다.)

  1. 4.14kJ/K
  2. 9.54kJ/K
  3. 12.74kJ/K
  4. 52.52kJ/K
(정답률: 55%)
  • 물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Q/T

    여기서 Q는 열량, T는 절대온도이다. 물의 비열이 4.18kJ/kg·K이므로, 10kg의 물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Q = mcΔT = 10kg × 4.18kJ/kg·K × 70℃ = 2932kJ

    따라서, 물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S = Q/T = 2932kJ / (273+70)K = 9.54kJ/K

    따라서, 정답은 "9.54kJ/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배관일반

41. 10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에서 필요한 하루의 급수량은? (단, 1세대 거주인원은 4명, 1일 1인당 사용수량은 100L로 한다.)

  1. 3000L
  2. 4000L
  3. 5000L
  4. 6000L
(정답률: 84%)
  • 10세대 거주인원은 4명 x 10세대 = 40명입니다. 하루에 1인당 사용하는 수량은 100L이므로, 40명이 사용하는 하루의 급수량은 100L x 40명 = 4000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0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신축이음 방법 중 고압증기의 옥외배관에 적당 한 것은?

  1. 슬리브 이음
  2. 벨로스 이음
  3. 루프형 이음
  4. 스위블 이음
(정답률: 73%)
  • 고압증기의 옥외배관은 온도와 압력이 높기 때문에 이음부의 누설이 발생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음부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루프형 이음이 적당합니다. 루프형 이음은 파이프의 끝을 루프 모양으로 구부려서 이음부를 만드는 방법으로, 파이프의 끝이 서로 맞닿아 누설이 발생할 확률이 적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또한, 파이프의 길이가 변화해도 이음부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스트레스가 분산되어 파손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증기보일러에서 환수방법을 진공환수 방법으로 할 때 설명이 옳은 것은?

  1. 증기주관은 선하향 구배로 설치한다.
  2. 환수관은 습식 환수관을 사용한다.
  3. 리프트 피팅의 1단 흡상고는 3m로 설치한다.
  4. 리프트 피팅은 펌프부근에 2개 이상 설치한다.
(정답률: 66%)
  • "증기주관은 선하향 구배로 설치한다."는 진공환수 방법에서 증기가 움직이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증기의 이동에 따라 환수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증기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증기 난방 배관에서 고정 지지물의 고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축 이음이 있을 때에는 배관의 양끝을 고정한다.
  2. 신축 이음이 없을 때에는 배관의 중앙부를 고정한다.
  3. 주관의 분기관이 접속되었을 때에는 그 분기점을 고정 한다.
  4. 고정 지지물의 설치 위치는 시공 상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고정 지지물의 설치 위치가 시공 상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고정 지지물의 위치는 배관의 길이, 무게, 온도 등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설치해야 하며, 부적절한 위치로 설치할 경우 배관의 변형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 지지물의 설치 위치는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스 배관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의 길이
  2. 가스의 비중
  3. 가스의 압력
  4. 가스 기구의 종류
(정답률: 76%)
  • 가스 배관의 크기는 가스 기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됩니다. 각 가스 기구는 일정한 가스 유량을 필요로 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관 크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스 기구의 종류가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펌프의 흡입 배관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관은 가급적 길이를 짧게 한다.
  2. 흡입관의 하중이 펌프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한다.
  3. 흡입관에는 펌프의 진동이나 관의 열팽창이 전달되지 않도록 신축이음을 한다.
  4. 흡입 수평관의 관경을 확대시키는 경우 동심 리듀서를 사용한다.
(정답률: 79%)
  • "흡입 수평관의 관경을 확대시키는 경우 동심 리듀서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흡입 수평관의 관경을 확대시키는 경우,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동심 리듀서를 사용합니다. 이는 유체의 유속이 빠르게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유속이 느리게 되면 압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입 수평관의 관경을 확대시키면 유속이 감소하므로, 동심 리듀서를 사용하여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덕트 제작에 이용되는 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버튼펀치스냅 심
  2. 포켓펀치 심
  3. 피츠버그 심
  4. 그루브 심
(정답률: 70%)
  • 포켓펀치 심은 덕트 제작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포켓펀치 심은 소형 구멍을 뚫는 작업에 이용되는 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열역학적 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디스크형 트랩
  2. 오리피스형 트랩
  3. 열동식 트랩
  4. 바이패스형 트랩
(정답률: 51%)
  • 열동식 트랩은 열역학적 트랩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열동식 트랩은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액체나 기체를 냉각하는 장치로, 열역학적인 원리가 아닌 열전달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스크형 트랩, 오리피스형 트랩, 바이패스형 트랩은 모두 열역학적 트랩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수 펌프의 용량은 일정한 배수량이 유입하는 경우 시간 평균 유입량의 몇 배로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1.2~1.5배
  2. 3.2~3.5배
  3. 4.2~4.5배
  4. 5.2~5.5배
(정답률: 77%)
  • 배수 펌프의 용량이 시간 평균 유입량의 1.2~1.5배가 적당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용량이 시간 평균 유입량의 1배라면, 유입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경우에는 펌프가 모든 물을 즉시 배출하지 못하고 일부 물이 오버플로우되어 유실될 수 있다. 따라서 용량이 시간 평균 유입량보다 조금 더 큰 1.2~1.5배로 설정하면, 일시적인 유입량 증가에 대응하여 모든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물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에 용량이 3.2~5.5배로 설정하는 것은 과도한 용량으로 인해 펌프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용도 높아지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1.2~1.5배가 적당한 배수 펌프의 용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스식 순간 탕비기의 자동연소장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차에 의해서 타이머가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낸다.
  2. 온도차에 의해서 다이어프램이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낸다.
  3. 수압차에 의해서 다이어프램이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낸다.
  4. 수압차에 의해서 타이머가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낸다.
(정답률: 60%)
  • 가스식 순간 탕비기의 자동연소장치는 수압차에 의해서 다이어프램이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내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는 가스가 높은 압력으로 저장되어 있고, 다이어프램이 작동함으로써 가스가 낮은 압력으로 내보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압차에 의해서 다이어프램이 작동하여 가스를 내보낸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관 이음 중 고체나 유체를 수송하는 배관, 밸브류, 펌프, 열교환기 등 각종 기기의 접속 및 관을 자주 해체 또는 교환할 필요가 있는 곳에 사용되는 것은?

  1. 용접접합
  2. 플랜지접합
  3. 나사접합
  4. 플레어접합
(정답률: 83%)
  • 플랜지접합은 고체나 유체를 수송하는 기기들의 접속 및 관을 자주 해체 또는 교환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플랜지라는 원형의 판을 이용하여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빠르게 연결 및 해체가 가능하며, 고압이나 고온의 유체를 다룰 때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들의 접속 및 관을 자주 해체 또는 교환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는 플랜지접합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일 송풍기에서 임펠러의 지름을 2배로 했을 경우 특성 변화에 법칙에 대해 옳은 것은?

  1. 풍량은 송풍기 크기비의 2제곱에 비례한다.
  2. 압력은 송풍기 크기비의 3제곱에 비례한다.
  3. 동력은 송풍기 크기비의 5제곱에 비례한다.
  4. 회전수 변화에만 특성변화가 있다.
(정답률: 70%)
  • 정답은 "동력은 송풍기 크기비의 5제곱에 비례한다."이다.

    송풍기의 풍량은 임펠러의 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지름을 2배로 했을 경우 풍량은 2의 제곱, 즉 4배가 된다.

    압력은 임펠러의 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지름을 2배로 했을 경우 압력은 2의 세제곱, 즉 8배가 된다.

    하지만 동력은 풍량과 압력의 곱에 비례하므로, 지름을 2배로 했을 경우 동력은 4배의 풍량과 8배의 압력의 곱, 즉 32배가 된다. 따라서 동력은 송풍기 크기비의 5제곱에 비례한다.

    회전수 변화에 대한 특성변화는 문제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 증기관의 관경 결정에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팽창탱크 체적
  2. 증기의 속도
  3. 압력손실
  4. 관의 길이
(정답률: 64%)
  • 주 증기관의 관경 결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팽창탱크 체적"이다. 이는 주 증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증기의 체적 변화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 증기관의 관경 결정과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반면, 증기의 속도, 압력손실, 관의 길이는 주 증기관의 관경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배관 작업 시 동관용 공구와 스테인리스 강관용 공구로 병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공구는?

  1. 익스팬더
  2. 튜브커터
  3. 사이징 툴
  4. 플레어링 툴 세트
(정답률: 69%)
  • 튜브커터는 동관용 공구와 스테인리스 강관용 공구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공구입니다. 이는 튜브커터가 강도 높은 스테인리스 강관을 자를 수 있는 능력과 함께, 동관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의 파이프도 깔끔하게 자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관 작업 시 동관과 스테인리스 강관을 모두 다룰 수 있는 효율적인 공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통기설비의 통기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루프 통기 방식
  2. 각개 통기 방식
  3. 신정 통기 방식
  4. 사이펀 통기 방식
(정답률: 69%)
  • 사이펀 통기 방식은 통기설비의 통기 방식이 아닙니다. 이유는 사이펀 통기 방식은 통기설비가 아니라, 액체를 이동시키는 장치입니다. 사이펀은 액체의 중력과 대기압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를 이동시키는데, 이는 공기의 이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통기설비의 통기 방식으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펌프에서 물을 압송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급격한 밸브 폐쇄는 피한다.
  2. 관 내 유속을 빠르게 한다.
  3. 기구류 부근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4. 펌프에 플라이 휠(fly wheel)을 설치한다.
(정답률: 82%)
  • "관 내 유속을 빠르게 한다."는 오히려 수격작용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틀린 방법이다.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격한 밸브 폐쇄를 피하고, 기구류 부근에 공기실을 설치하거나 펌프에 플라이 휠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관의 보냉 시공의 주된 목적은?

  1. 물의 동결방지
  2. 방열방지
  3. 결로방지
  4. 인화방지
(정답률: 79%)
  • 관의 보냉 시공의 주된 목적은 "결로방지"입니다. 이는 냉각된 공기가 관 내부에 흐를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관의 표면에 응축되어 물방울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관의 내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통기관 및 통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벽 면을 관통하여 개구하는 통기관은 빗물막이를 충분히 한다.
  2. 건물의 돌출부 아래에 통기관의 말단을 개구해서는 안 된다.
  3. 통기구는 원칙적으로 하향이 되도록 한다.
  4. 지붕이나 옥상을 관통하는 통기관은 지붕면보다 50mm 이상 올려서 대기 중에 개구 한다.
(정답률: 66%)
  • "지붕이나 옥상을 관통하는 통기관은 지붕면보다 50mm 이상 올려서 대기 중에 개구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지붕면과 통기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두어 대기 중에 개구함으로써 통풍을 유지하고, 강우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배수관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이 아닌 것은?

  1. 자기 사이펀 작용
  2. 모세관 작용
  3. 봉수의 증발 작용
  4. 통기관 작용
(정답률: 65%)
  • 배수관 트랩은 물이 지나가면서 봉수를 막아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봉수가 파괴되는 원인은 봉수의 증발 작용, 자기 사이펀 작용, 모세관 작용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통기관 작용은 배수관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이 아닙니다. 통기관 작용은 공기가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물의 흐름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통기관 작용은 배수관 트랩의 봉수 파괴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시가스 내 부취제의 액체 주입식 부취설비 방식이 아닌 것은?

  1. 펌프 주입 방식
  2. 적하 주입 방식
  3. 윅식 주입 방식
  4. 미터연결 바이패스 방식
(정답률: 65%)
  • 윅식 주입 방식은 액체를 직접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부취제를 흡수하는 유리섬유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로 만든 유성체를 사용하여 부취제를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액체 주입식 부취설비 방식이 아닙니다. 반면, 펌프 주입 방식, 적하 주입 방식, 미터연결 바이패스 방식은 모두 액체를 직접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Imsin(ωt+θ)의 전류와 Emcos(ωt-ø)인 전압 사이의 위상차는?

  1. θ-ø
  2. (ø-θ)
  3. π/2-(ø+θ)
  4. π/2+(ø-θ)
(정답률: 58%)
  •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전압이 전류보다 얼마나 선행하거나 후행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Imsin(ωt+θ)의 전류와 Emcos(ωt-ø)인 전압의 위상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전류의 위상 = ωt + θ
    전압의 위상 = ωt - ø

    전압이 전류보다 얼마나 선행하거나 후행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전압의 위상에서 전류의 위상을 빼주면 됩니다.

    전압의 위상 - 전류의 위상 = (ωt - ø) - (ωt + θ) = -ø - θ

    하지만 위상차는 전압이 전류보다 얼마나 선행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위에서 구한 값에 π/2를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위상차는 π/2 - (ø + 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T1>T2=0일 때, 의 백터궤적은?

(정답률: 64%)
  • T1>T2=0일 때, 의 백터궤적은 ""이다. 이유는 T1>T2=0이므로, T1과 T2의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T1과 T2의 합력은 0이 되고, 물체는 등속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물체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백터궤적은 원점에 고정된 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이 콘덴서 3F와 2F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전압 20V를 가하였을 때 3F콘덴서 단자의 전압 V1은 몇 V인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54%)
  • 직렬 접속된 회로에서 전압은 각 콘덴서에 비례하여 분배된다. 따라서 3F 콘덴서와 2F 콘덴서에 가해진 전압의 비율은 3:2 이다. 전압 20V 중 3F 콘덴서에 가해지는 전압은 20V의 3/5 이므로 V1은 12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이 아닌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준권선과 제어권선의 두 고정자권선이 있으며, 90도 위상차가 있는 2상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만들어서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는?

  1. 동기전동기
  2. 직류전동기
  3. 스탭전동기
  4. AC 서보전동기
(정답률: 77%)
  • AC 서보전동기는 회전자계를 만들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중 하나이다. 기준권선과 제어권선의 두 고정자권선을 이용하여 90도 위상차가 있는 2상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자계를 만들어 회전자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AC 서보전동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파형의 평균값은 얼마인가?

  1. 2Im
  2. Im
  3. Im/2
  4. Im/4
(정답률: 66%)
  • 정답은 "Im/2"이다.

    이유는 이 파형은 대칭적인 삼각파 형태이기 때문에,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의 면적이 서로 상쇄되어 평균값이 0이 된다. 따라서 전체 주기에서 양의 반주기의 면적과 음의 반주기의 면적이 같으므로, 평균값은 0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파형이 양의 반주기만 존재하므로, 평균값은 양의 반주기의 면적의 크기인 "Im"의 절반인 "Im/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기로의 온도를 1000℃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열전도계의 지시값을 보면서 전압조정기로 전기로에 대한 인가전압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다. 이 경우 열전 온도계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 되는가?

  1. 조작부
  2. 검출부
  3. 제어량
  4. 조작량
(정답률: 69%)
  • 열전 온도계는 검출부에 해당한다. 이는 전기로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전압조정기에 전달하여 전기로에 대한 인가전압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조작부는 전압조정기를 조작하는 부분이며, 제어량은 전기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조작량은 조작부에서 조작되는 값으로, 전압조정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어요소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 비교부
  2. 검출부
  3. 조절부와 조작부
  4. 비교부와 검출부
(정답률: 82%)
  • 제어요소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조절부와 조작부가 필요하다. 조절부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조작부는 이러한 파라미터를 조작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조절부와 조작부는 제어요소의 핵심 구성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체 판단능력이 없는 제어계는?

  1. 서보기구
  2. 추치 제어계
  3. 개회로 제어계
  4. 폐회로 제어계
(정답률: 59%)
  • 개회로 제어계는 자체 판단 능력이 없는 제어계입니다. 이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개회로 제어계는 외부에서 제어되어야 하며, 자체적인 판단 능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소자는 저항이외에도 유도코일, 콘덴서 등이 있다. 유도코일과 콘덴서 등에 대한 교류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갖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리액턴스
  2. 임피던스
  3. 컨덕턴스
  4. 어드미턴스
(정답률: 66%)
  • 리액턴스는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소자들의 저항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유도코일과 콘덴서는 각각 자기장과 전기장을 생성하여 교류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이들 소자들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따라서, 정답은 "리액턴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목푯값이 시간적으로 임의로 변하는 경우의 제어로서 서보기구가 속하는 것은?

  1. 정치 제어
  2. 추종 제어
  3. 마이컴 제어
  4. 프로그램 제어
(정답률: 62%)
  • 서보기구는 목푯값이 시간적으로 변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게 움직이기 위해 추종 제어를 사용한다. 추종 제어는 목푯값과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목푯값에 따라 움직이는 제어 방법이다. 따라서 서보기구는 추종 제어를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220V, 1kW의 전열기에서 전열선의 길이를 2배로 늘리면 소비전력은 늘리기 전의 전력에 비해 몇 배로 변화 하는가?

  1. 0.25
  2. 0.5
  3. 1.25
  4. 1.5
(정답률: 52%)
  • 전열선의 길이를 2배로 늘리면 전체 저항이 2배가 되므로, 소비전력은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PLC 제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소형화가 가능하다.
  2.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제어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다.
  4. 부품간의 배선에 의해 로직이 결정된다.
(정답률: 78%)
  • 부품간의 배선에 의해 로직이 결정되는 것은 PLC 제어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PLC 제어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제어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부품간의 배선에 의해 로직이 결정되는 것은 수정이 어렵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PLC 제어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로직을 결정하므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3300/200V, 10kVA인 단상변압기의 2차를 단락하여 1차측에 300V를 가하니 2차에 120A가 흘렀다. 1차 정격전류(A) 및 이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V)은 약 얼마인가?

  1. 1.5A, 200V
  2. 2.0A, 150V
  3. 2.5A, 330V
  4. 3.0A, 125V
(정답률: 36%)
  •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해보면, 2차 전류 120A는 1차 전류의 변압비(200V/300V)를 곱한 값과 같으므로, 1차 전류는 80A가 된다. 이는 1차 정격전류인 10kVA/200V = 50A보다 크므로, 이 변압기는 과부하 상태이다.

    임피던스 전압은 2차 전압과 2차 전류의 곱을 1차 전류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전압은 (200V x 120A) / 80A = 300V이다.

    따라서, 정답은 "3.0A, 12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제어기기에서 서보전동기는 어디에 속하는가?

  1. 검출기기
  2. 조작기기
  3. 변환기기
  4. 증폭기기
(정답률: 81%)
  • 서보전동기는 조작기기에 속합니다. 이는 제어기기에서 입력된 신호를 받아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서보전동기는 모터와 같은 역할을 하며, 제어기기에서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정확한 위치나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서보전동기는 조작기기에 속하며, 제어기기와 함께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시 전기계기의 정확성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0.2급
  2. 0.5급
  3. 2.5급
  4. 5급
(정답률: 70%)
  • "5급"은 전기계기의 정확성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전기기기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0.2급, 0.5급, 2.5급은 전기계기의 정확성에 따라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R, L, C 직렬회로에서 인가전압을 입력으로, 흐르는 전류를 출력으로 할 때 전달함수를 구하면?

  1. R+LS+CS
(정답률: 62%)
  • R, L, C 직렬회로에서 전달함수는 출력전압을 입력전압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을 구해야 한다.

    전압은 전류와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구해야 한다.

    전류는 오므로 전압을 전류로 나누면 전달함수를 구할 수 있다.

    전류는 전압과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류를 구하기 위해서는 입력전압과 회로의 임피던스를 구해야 한다.

    임피던스는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의 합이다. 따라서 임피던스를 구하면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R + jωL + 1/(jωC) 이므로, 전류는 입력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은 브리지정류기는 어느 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해야 하는가?

  1. B-D점
  2. B-C점
  3. A-C점
  4. A-B점
(정답률: 72%)
  • 브리지정류기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에, 교류입력을 연결할 점을 정확히 지정해야 합니다. 이 그림에서는 B-D점이 교류입력을 연결할 점입니다. 이유는 B-D점을 연결하면, A-C점과 B-C점 사이의 다리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열리고 닫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D점을 연결하면 브리지정류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피드백 제어계에서 반드시 있어야 할 장치는?

  1. 전동기 시한 제어장치
  2. 발진기로서의 동작 장치
  3. 응답속도를 느리게 하는 장치
  4. 목푯값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정답률: 85%)
  • 피드백 제어계에서는 목푯값과 출력을 비교하여 제어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목푯값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 장치는 출력이 목푯값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를 조정하여 출력을 목푯값에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장치는 피드백 제어계에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주상변압기의 고압측에 몇 개의 탭을 두는 이유는?

  1. 선로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하여
  2. 선로의 역률을 조정하기 위하여
  3. 선로의 잔류전하를 방전시키기 위하여
  4. 단자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기 위하여
(정답률: 58%)
  • 주상변압기의 고압측에 몇 개의 탭을 두는 이유는 선로의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탭을 이용하여 고압측의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저압측의 전압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력공급 시스템에서 전압 안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특성 방정식 중 계가 안정될 필요조건을 갖춘 것은?

  1. S3+9S2+17S+14=0
  2. S3-8S2+13S-12=0
  3. S4+3S2+12S+8=0
  4. S3+2S2+4S-1=0
(정답률: 68%)
  • 계가 안정될 필요조건은 모든 근의 실수부호가 음인 것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계가 안정될 필요조건을 갖춘 방정식은 "S3+9S2+17S+14=0" 이다. 이유는 이 방정식의 근들이 모두 음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