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3-10)

정보통신기사(구)
(200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그림은 무슨 flip-flop회로인가?

  1. M-S FF
  2. S-R FF
  3. CLK FF
  4. D FF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D FF (데이터 플립-플롭) 회로입니다. 이유는 입력 신호가 D (데이터)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M-S FF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 S-R FF (세트-리셋 플립-플롭), CLK FF (클럭 플립-플롭)는 각각 다른 종류의 플립-플롭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a)회로에 그림(b)와 같은 전압을 입력측에 인가할 때 정상상태에서의 출력전압 Vo는?

  1. 3(V)의 진폭을 갖는 부의 펄스
  2. 3(V)의 진폭을 갖는 정의 펄스
  3. -6(V)의 직류전압
  4. +3(V)의 직류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의 평균값은 직류전압이므로, 입력신호의 평균값이 0이 아닌 -3V이므로 출력전압의 평균값은 -6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V)의 직류전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회로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문제 복원 오류로 정답은 1번입니다. 추후 그림파일은 복원하여 두겠습니다.)

  1. 출력 신호의 상단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2. 출력 신호의 하단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반파 정류회로이다.
  4. 클리퍼이며 일정값 이하로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출력 신호의 상단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유: 이 회로는 클리퍼 회로로, 입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이 되면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값으로 제한하여 상단 레벨을 유지한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상단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회로의 출력은?

  1. 0
  2. Vi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의 출력은 Vi이다.

    이유는 입력 전압 Vi가 R1과 R2를 통해 나눠져서 각각의 저항에 Vi/2의 전압이 생기고, 이들은 다시 R3과 R4를 통해 합쳐져서 출력으로 나온다. 따라서 출력은 Vi/2 + Vi/2 = Vi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위상변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송파의 위상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다.
  2. 신호파는 Vs=Vs cos wst이다.
  3. 반송파는 Vc=Vc sin (wct+θ)이다.
  4. 피변조파는 V(t)=Vc sin (wct+m sin wst)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변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다.

    피변조파는 반송파의 위상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으로, 신호파는 Vs=Vs cos wst이고 반송파는 Vc=Vc sin (wct+θ)이다. 따라서 피변조파는 V(t)=Vc sin (wct+m sin wst)이다. 이는 반송파의 위상을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할 때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트랜지스터
  2. 콘덴서
  3. 저항
  4. 코일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할 때 필요한 요소는 트랜지스터, 콘덴서, 저항이다. 코일은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코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회로는 Ic를 안정하게 하기위한 회로이다. 무슨 보상 방법인가?

  1. 전류 보상법
  2. 온도 보상법
  3. 전압 보상법
  4. 궤환 보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온도 보상법을 사용하고 있다. 온도가 변화하면 다이오드의 전압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온도 보상 회로를 사용한다. 이 회로는 온도가 변화해도 Ic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C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의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1. 부성 저항이 생기기때문
  2. 증폭기 소자의 특성이 변하기때문
  3. 결합 캐패시턴스의 영향 때문에
  4. 출력 회로의 병렬 캐패시턴스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RC결합 저주파 증폭회로에서 이득이 높은 주파수에서 감소되는 이유는 출력 회로의 병렬 캐패시턴스 때문입니다. 이 캐패시턴스는 고주파에서는 작아지지만 저주파에서는 크게 작용하여 회로의 전체적인 이득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이 캐패시턴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회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연산 증폭기 회로에서 상한 3(dB) 주파수는?

  1. 1/(2π RC)
  2. 1/ π RC
  3. 1/ π RsC
  4. 1/(2π R ㆍ C)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RC 저항-커패시턴스 커플링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데, 이 때 RC 회로의 컷오프 주파수는 "1/(2π RC)" 이다. 따라서 이 회로의 상한 3dB 주파수는 RC 회로의 컷오프 주파수와 동일하게 "1/(2π R ㆍ C)"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변조 신호 주파수가 2(㎑)인 FM파의 점유 주파수 대폭은 얼마인가? (단, 최대 주파수편이는 10(㎑)임)

  1. 38(㎑)
  2. 36(㎑)
  3. 24(㎑)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FM파의 점유 주파수 대폭은 최대 주파수편이의 2배보다 크기 때문에, 2(㎑) x 2 = 4(㎑)이다. 따라서, 변조 신호 주파수가 2(㎑)인 FM파의 점유 주파수 대폭은 4(㎑)이다. 그러나, FM파의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편이의 2배보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대략 4(㎑)보다 조금 더 큰 값이 된다. 이에 따라, "24(㎑)"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논리식 ABC+ABC+ABC+ABC을 간단히 하면?

  1. B(A+C)
  2. AB+BC+AC
  3. C(A+B)
  4. A+B+C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 ABC+ABC+ABC+ABC을 합치면 4ABC가 되고, 이를 간단히 하면 AB(2C)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2C는 C+C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AB(C+C+C)가 됩니다. 이를 다시 간단히 하면 AB+BC+AC가 되는데, 이는 논리식 ABC+ABC+ABC+ABC의 간단한 형태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B+BC+A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논리회로의 명칭은? (단, E:enable, S:select)

  1. 2×1 디코더
  2. 2×1 멀티플랙서
  3. 4×1 엔코더
  4. 2×1 디멀티플랙서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논리회로는 2개의 입력(A, B)과 1개의 출력(Y)을 가지고 있으며, E와 S는 제어신호이다. E가 0일 때는 출력이 항상 0이 되고, E가 1일 때는 S가 0이면 A 입력이 출력으로 전달되고, S가 1이면 B 입력이 출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는 2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2×1 멀티플랙서"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Karnaugh-map을 논리식으로 간략화 한 결과식은?

  1. A B + B C + B D
  2. A B + B D + B D
  3. A B + A C + B D
  4. A B + B D + A C
(정답률: 알수없음)
  • Karnaugh-map에서 인접한 1들을 그룹화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논리식은 A B + B D + B D 가 된다. B D 항이 두 번 나오는 것은 같은 그룹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슈미트 트리거 회로이다. 이 회로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이다.
  2.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로는 사용하지 못한다.
  3. 궤한 효과는 공통 에미터 저항을 통하여도 이루어 진다.
  4. 입력 전압의 크기가 on, off 상태를 결정하여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력 전압의 크기가 on, off 상태를 결정하여 준다."이다.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로는 사용할 수 있으며,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두 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이며, 궤한 효과는 공통 에미터 저항을 통하여도 이루어 진다.

    입력 전압의 크기가 on, off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일반적인 디지털 논리 회로의 역할이며, 슈미트 트리거 회로도 디지털 논리 회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플립플롭회로를 3개 직렬 접속한 후 입력에 1000(㎐)의 펄스를 가했다면 마지막 단 플립플롭에 나타나는 신호의 주파수는 몇(㎐)인가?

  1. 125
  2. 250
  3. 750
  4. 4000
(정답률: 알수없음)
  • 플립플롭 회로는 입력 신호의 주기에 따라 출력 신호의 주기가 결정된다. 3개의 플립플롭을 직렬 접속하면 입력 신호의 주기가 3배가 되므로 출력 신호의 주파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의 1/3이 된다. 따라서 입력 주파수가 1000(㎐)일 때, 출력 주파수는 1000/3 = 333.33(㎐)이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파수는 정수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25(㎐)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발진 주파수가 가장 안정적인 발진기는?

  1. 수정 발진기
  2. 위인 브리지 발진기
  3. 이상형 발진기
  4. 음향 발진기
(정답률: 55%)
  • 수정 발진기는 결정체의 고유한 진동수를 이용하여 발진하는데, 이는 결정체의 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발진 주파수가 가장 안정적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정 발진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RAM과 DRA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RAM은 리프레쉬 타임이 있다.
  2.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하다.
  3. DRAM과 SRAM은 전원을 끊으면 데이터가 소실된다.
  4. SRAM에는 리프레쉬 타임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하다."

    이유: SRAM은 DRAM과 달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캐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고 플립플롭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RAM은 DRAM에 비해 데이터 저장 용량을 높이는데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류회로에서 맥동율을 나타내는 수식으로 올바른 것은?

  1. 맥동률=맥동신호의평균전압/출력신호의평균전압×100(%)
  2. 맥동률=맥동신호의실효전압/출력신호의평균전압×100(%)
  3. 맥동률=맥동신호의실효전압/출력신호의실효전압×100(%)
  4. 맥동률=맥동신호의평균전압/출력신호의실효전압×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류회로에서 맥동율은 출력신호의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맥동신호는 정류회로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로, 이 신호가 출력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냅니다. 맥동율은 맥동신호의 효과를 출력신호의 전압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입니다. 따라서 맥동률=맥동신호의실효전압/출력신호의평균전압×100(%)가 올바른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exclusive-OR와 exclusive-NOR에 해당하는 논리식을 상호 변환한 아래의 식 중에서 틀린 것은? (문제 오류로 보기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1번입니다.)

  1. (A+B)⋅(A+B)=A⊕B
  2. (A⋅B)+(A⋅B)=A⊕B
  3. (A+B)⋅(A+B)=A⊕B
  4. (A⋅B)+(A⋅B)=A⊕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번입니다.

    (A+B)⋅(A+B)는 (A+B)²와 같으며, 전개하면 A²+2AB+B²입니다. 이를 exclusive-OR의 논리식으로 변환하면 (A⊕B)⋅(A⊕B)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A⊕B)²와 같으며, 전개하면 A²+B²입니다. 따라서 (A+B)⋅(A+B)와 (A⊕B)²는 서로 다른 논리식이므로 3번이 틀린 것입니다.

    (A⋅B)+(A⋅B)은 2AB로, 이는 exclusive-NOR의 논리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번은 맞는 논리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출력 증폭 회로의 입력과 출력파형이다. 이 증폭회로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C급 증폭으로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다.
  2. B급 증폭으로 중대역 대출력에 적합하다.
  3. A급 증폭으로 소신호 전압증폭에 적합하다.
  4. AB급 증폭으로 저주파 전류중폭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증폭회로의 출력파형이 입력파형과 같은 대칭적인 형태를 띄고 있으므로, 이는 C급 증폭회로의 특징이다. C급 증폭회로는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며, 이 회로의 출력파형이 대칭적인 형태를 띄는 이유는, C급 증폭회로가 양/음의 절반 주기에서만 증폭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증폭회로는 C급 증폭으로 고주파 대출력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동종의 네트워크들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단순 게이트웨이 장치는?

  1. bridge
  2. hub
  3. router
  4. brouser
(정답률: 알수없음)
  • 단순 게이트웨이 장치는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브리지는 물리적인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므로, 두 개의 네트워크를 하나로 연결할 때 가장 적합한 단순 게이트웨이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ridg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통신망의 구성조건중 틀리는 것은?

  1. 대상 지역 내의 모든 이용자간에 접속이 가능할 것
  2. 전송할 정보 내용을 제한 할 것
  3. 번호 체계는 통일적이고 장기간 변경이 없을 것
  4. 어느 장소에서나 접속품질, 전송품질 및 기타서비스품질이 동일하게유지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할 정보 내용을 제한 할 것"은 통신망의 구성조건으로서 올바르지 않습니다. 통신망은 정보의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법적인 제한이나 보안상의 이유로 일부 정보의 전송을 제한할 수는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통신망의 설계시 어떤 구역안의 탄템극과 그 구역내의 분국과의 전화회선망은 어느 방식으로 하여야 효과적인가?

  1. 망형망
  2. 성형망
  3. 사선망
  4. 복합망
(정답률: 알수없음)
  • 탄템극과 분국은 서로 거리가 가까우므로 성형망 방식으로 전화회선망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성형망은 중앙국과 지방국 사이에 여러 개의 지국을 두고, 각 지국에서는 해당 지역의 전화국과 연결된 회선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지역 간의 통화가 지연 없이 이루어지며, 회선의 효율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ISDN(종합정보통신망)에서의 채널 종류들중 신호용 채널로 사용하는 것은?

  1. B channel
  2. D channel
  3. H0 channel
  4. H12 channel
(정답률: 알수없음)
  • ISDN에서 B 채널은 음성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이며, H0 채널과 H12 채널은 통신 회선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입니다. 따라서, 신호용 채널로 사용되는 것은 D 채널입니다. D 채널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전화번호 식별, 호출 신호 및 기타 제어 정보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네트워크 구조상의 논리적 모델요소가 아닌 것은?

  1. 링크
  2. 노드
  3. 개체
  4. 프로세스
(정답률: 알수없음)
  • 개체는 논리적 모델요소가 아닙니다. 개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실제 세계에서 존재하는 사물이나 개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구조상의 논리적 모델요소가 아닙니다. 반면, 링크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이며, 노드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프로세스는 노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SI계층에서 인접한 장치간에 오류검출, 회복, 제어 등을 담당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트렌스포트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장치간에 오류검출, 회복, 제어 등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며, 각 프레임에는 오류 검출을 위한 CRC 코드와 주소 정보가 포함됩니다. 또한, 이 계층은 MAC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CSMA/CD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장치간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의 프레임 구조와 기술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비트 stuffing
  2. 동기형 프로토콜
  3. HDLC
  4. 문자지향 프로토콜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의 프레임 구조와 기술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문자지향 프로토콜"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는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기술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문자지향 프로토콜"은 프레임 구조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그림과 같은 시스템에서 패턴 발생기를 이용하여 변조복조기 A,B와 통신선로를 시험하고자 한다. 변복조기 A,B 및 선로까지 한꺼번에 시험하기 위한 변복조기 시험방식은?

  1. 로컬 디진탈 루프백(Local Digital)
  2. 로컬 아날로그 루프백(Local Analog Loop Back)
  3. 원격 디지털 루프백(Remote Digital Loop Back)
  4. 원격 아날로그 루프백(Remote Analog Loop Back)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 아날로그 루프백은 변복조기 A에서 생성한 아날로그 신호를 통신선로를 통해 변복조기 B로 전송하고, 변복조기 B에서 다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선로를 통해 변복조기 A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실제 통신 환경에서의 신호 전달과 수신을 모두 시뮬레이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통신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변복조기와 통신선로를 한꺼번에 시험할 때 가장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정보를 분산 시키는 방법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2. Frequency Hopping
  3. Time Hopping
  4. Frequency Multiplexing
(정답률: 알수없음)
  • Frequency Multiplexing은 정보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주파수를 분할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보안을 위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데이터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

  1. 통신경로가 물리적으로 통신종료시까지 구성된다.
  2. 전송대역폭 사용이 매우 융통적이다.
  3.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4. 소량의 간혈적인 통신에 매우 효율적이다.
(정답률: 10%)
  • 데이터회선교환방식은 통신을 위한 회선을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통신 경로가 물리적으로 통신 종료시까지 구성된다는 것은, 통신을 위한 회선이 연결되면 그 회선이 끊어질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통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조건과 전송되는 통신시스템의 전체 효율은?

  1. 87.5%
  2. 80%
  3. 75%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 시스템의 전체 효율은 각 구간의 효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2 구간의 효율이 0.8, 2-3 구간의 효율이 0.9, 3-4 구간의 효율이 0.8, 4-5 구간의 효율이 0.9, 5-6 구간의 효율이 0.9 이므로, 전체 효율은 0.8 x 0.9 x 0.8 x 0.9 x 0.9 = 0.46656 = 46.656%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0%" 인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상회선(Virtual Circuit)패킷교환방식과 데이터그램(Data gram)패킷 교환방식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패킷들은 전달될 때까지 저장되기도 한다.
  2. 각 패킷에 대하여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3. 전용선로는 없다.
  4. 대역폭 사용이 융통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통점: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라우터를 통해 목적지까지 전달된다.

    차이점: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은 패킷 전송 전에 경로를 미리 설정하고, 해당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 반면,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은 각 패킷마다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

    이유: 가상회선 패킷 교환 방식에서는 미리 경로를 설정하기 때문에, 패킷 전송 시 경로 선택에 대한 오버헤드가 적어진다. 반면,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 방식에서는 각 패킷마다 경로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경로 선택에 대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데이터 교환방식 중 망의 과부하로 인하여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지고 포화상태에 이르면 전송이 불가능한 것은?

  1. 메세지교환
  2. 음성을 위한 교환회선
  3. 패킷교환
  4. 데이터를 위한 교환회선
(정답률: 알수없음)
  • 패킷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망의 과부하로 인한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져도 다른 패킷들은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포화상태에 이르더라도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메세지교환과 데이터를 위한 교환회선은 전체 메시지나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망의 과부하로 인한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지면 전체 전송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음성을 위한 교환회선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서 망의 과부하로 인한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져도 전송이 가능하지만, 음성 통화의 실시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교환회선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광전송시스템의 장점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넓은 대역폭의 장점이 가능하다.
  2. 손실(loss)이 적다.
  3. 전송로를 통한 전원공급이 쉽다.
  4. 노이즈(noise)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로를 통한 전원공급은 광전송시스템의 장점과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광전송시스템은 광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전송로를 통한 전원공급이 쉽다는 것은 광전송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ITU-T 권고안 중 패킷교환용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의 상호접속을 위한 노드사이의 표준프로토콕(Protocol)은?

  1. X.3
  2. X.25
  3. X.28
  4. X.75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X.25"입니다. X.25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노드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이를 기반으로 한 X.75는 상호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X.75은 X.25와 함께 사용되어 다른 네트워크와의 상호접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평균고장 간격이 99시간 평균 수리시간이 2시간인 전산시스템이 있을 경우 이 시스템의 가동율은?

  1. 0.90
  2. 0.95
  3. 0.98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가동율은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평균고장 간격이 99시간이므로 시스템이 고장나는 평균 시간은 99시간입니다. 따라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시간은 평균고장 간격인 99시간에서 평균수리시간인 2시간을 뺀 97시간입니다. 이를 가동시간으로 나누면 가동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가동시간은 99시간 중에서 고장나는 시간인 2시간을 뺀 97시간입니다. 따라서 가동율은 97/99 = 0.979797... 로 계산됩니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9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T3디지탈 전송망의 접속 신호형태는?

  1. NRZ BIPOLAR
  2. RZ BIPOLAR
  3. B6ZS
  4. B3ZS
(정답률: 10%)
  • T3 디지털 전송망의 접속 신호형태는 B6ZS입니다. B6ZS는 Binary 6 Zero Substitution의 약자로, 6개의 0이 연속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특별한 신호로 대체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신호의 일정한 레벨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서 오류 발생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ISDN망 종단장치 NT2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TE1, 또는 TE2와 TA의 결합체가 NT2 없이 NT1에 연결될 수 있다.
  2. 최대 4개의 가입자 접속장치가 버스형태로 연결되어 NT2없이 NT1에 연결될 수 있다.
  3. 사설교환기도 NT2가 될 수 있다.
  4. NT2에서 버스구조도 접속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4개의 가입자 접속장치가 버스형태로 연결되어 NT2없이 NT1에 연결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NT2는 ISDN망에서 가입자 접속장치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최대 4개의 가입자 접속장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T2 없이 가입자 접속장치를 NT1에 직접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AN상에서 각노드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사전준비가 완결되어 있어서 데이터 충돌이 없는 액세스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SMA/CD
  2. Polling
  3. Token Passing
  4. Slotted Ring
(정답률: 알수없음)
  • CSMA/CD는 충돌 감지 다중 접속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 중인지 감지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충돌이 없는 액세스 방식에 해당합니다. Polling, Token Passing, Slotted Ring은 각각 다른 액세스 방식으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HDLC의 전송제어에서 프래그 패턴은 어떤 비트 구성을 사용하는가?

  1. 임의구성
  2. 01111110
  3. 10000001
  4. 10101010
(정답률: 알수없음)
  • HDLC의 전송제어에서 프래그 패턴은 "01111110" 비트 구성을 사용한다. 이는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로, 데이터 전송 시에 프래그 패턴으로 감싸져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 비트 구성은 다른 비트와 구분이 쉽고, 동기화를 위한 비트로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무선송신기의 AGC회로의 이득은 다음 중 어느것에 의해 제어되는가?

  1. Mixer
  2. IF Amplifier
  3. Detector
  4. Audio Amplifier
(정답률: 알수없음)
  • AGC 회로의 이득은 IF Amplifier에 의해 제어됩니다. 이는 무선신호가 믹서로 들어가기 전에 IF Amplifier에서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IF Amplifier에서 이득을 제어하면 믹서에서 생성되는 상호조합 왜곡을 최소화하고, 더 나은 동적 범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IF Amplifier에서 이득을 제어하면 더 나은 수신감도와 더 나은 잡음 제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위성통신이나 무선통신 등에서 여러가입자가 동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원접속방식이 아닌 것은?

  1. 주파수 분할 접속
  2. 멀티 분할 접속
  3. 시 분할 접속
  4. 코드 분할 접속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 분할 접속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면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일정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식인 주파수 분할 접속, 시 분할 접속, 코드 분할 접속과는 다르게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지 않고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중 무선송수신기에 사용되는 주파수합성기(synthesi-zer)의 기본적인 회로는?

  1. 혼합기
  2. 주파수분배기
  3. PLL
  4. 평형변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무선송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합성기는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원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주로 PLL(Phase Locked Loop)이 사용됩니다. PLL은 입력 신호와 생성된 신호의 위상 차이를 감지하여 오차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된 주파수를 조절하여 입력 신호와 생성된 신호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LL이 무선송수신기에서 사용되는 주파수합성기의 기본적인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모뎀의 송신부 중 데이터 패턴을 랜덤하게 하여 수신측에서 동기를 잃지 않도록 하며, 신호의 스펙트럼이 채널의대역폭 내에 가능한 넓게 분포하도록 하여 수신 측에서 동화기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변조기
  2. 데이터 부호화기
  3. 스크램블러
  4.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램블러는 모뎀에서 데이터 패턴을 랜덤하게 변화시켜 수신측에서 동기를 잃지 않도록 하고, 신호의 스펙트럼을 넓게 분포시켜 수신 측에서 동화기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램블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기식 전달 모드(STM)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다양한 속도 제공은 제한되어 있다.
  2. 통합의 정도는 모든 망이 통합되어 있다.
  3. 정보전송의 지연은 일정하다.
  4. 분배서비스의 정합도는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전송의 지연은 일정하다는 것은 STM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양한 속도 제공은 제한되어 있다는 것은 STM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ATM(비동기식 전달 모드)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하나이다. STM은 고정된 속도를 제공하며, 이는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ATM은 다양한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압신기와 신장기의 설치 설명중 옳은 것은?

  1. 모두 송단측에 설치한다.
  2. 모두 수단측에 설치한다.
  3. 압신기는 송단측에 신장기는 수단측에 설치한다.
  4. 압신기는 수단측에 신장기는 송단측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신기는 송단측에 설치하는 이유는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기 위해서이고, 신장기는 수단측에 설치하는 이유는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압신기는 송단측에 신장기는 수단측에 설치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음향 결합기(Acoustic Coupler)에서 주로 사용되는 변조방법은?

  1. PSK
  2. ASK
  3. FSK
  4. DPSK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 결합기에서는 주로 FSK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는 송신기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2개의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신기에서는 이 두 주파수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복조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중앙처리장치의 입출력채널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기억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2. 전송방식은 버스트모드와 다중모드가 있다.
  3. 셀렉터 채널은 다중모드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4. 블럭 멀티플렉서 채널은 블록단위로 다중동작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셀렉터 채널은 다중모드 전송방식을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셀렉터 채널은 단일 모드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중앙처리장치의 입출력채널은 주변장치와 기억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주변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전송방식은 버스트모드와 단일모드가 있으며, 블럭 멀티플렉서 채널은 블록 단위로 다중동작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채널의 시간슬롯이 고정되므로서 발생하는 낭비를 보완 하기 위한 방식은?

  1.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2. 주파수분할 다중화
  3. 코드분할 다중화
  4. 광파장분할 다중화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의 시간슬롯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시간슬롯이 사용되지 않는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는, 여러 사용자들이 동시에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간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각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량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필요한 만큼의 시간슬롯을 할당받아 효율적으로 채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슬롯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비디오 텍스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쌍방향 통신을 한다.
  2. 축적정보량이 비교적 많다.
  3. TV수신기와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4. 수신자수와 관계없이 동시접속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TV수신기와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디오 텍스는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TV수신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수신자수와 관계없이 동시접속이 가능한 이유는 서버가 여러 대 있어서 각각의 서버에서 동시에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전송 제어 기능이 아닌 것은?

  1. 신호 변환 제어 기능
  2. 오류 제어 기능
  3. 입.출력 제어 기능
  4. 송.수신 제어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전송 제어 기능이 아닌 것은 "신호 변환 제어 기능"입니다. 이는 정보 단말기가 전송되는 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오류 제어 기능, 입.출력 제어 기능, 송.수신 제어 기능은 모두 전송 제어 기능의 일부로, 정보의 안정적인 전송을 위해 필요한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지위성과 지구국 사이의 전파지연 시간은 약 얼마인가?

  1. 0.10-0.20초
  2. 0.20-0.35초
  3. 0.35-0.50초
  4. 0.50-0.65초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위성과 지구국 사이의 거리는 약 36,000km이며, 전파는 초당 약 30만 km의 속도로 전파된다. 따라서 전파가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0.24초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파가 대기나 지구의 지형 등에 의해 일부 지연되므로, 전파지연 시간은 약 0.20-0.35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디오텍스의 방식 중 카메라나 팩스로 화면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은?

  1. CAPTAIN
  2. CEPT
  3. NAPLPS
  4. PRESTEL
(정답률: 알수없음)
  • "CAPTAIN"은 "Camera and Portable Teleprinter Automatic Input"의 약자로, 카메라와 이동식 전신 자판기를 사용하여 화면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카메라나 팩스로 화면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는 방식은 "CAPTA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G3 Fax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디지털 전송방식을 이용한다.
  2. 수직방향의 표준 해상도는 3.85[선/mm]이다.
  3. A4용지를 1분대 전송한다.
  4. 고능률 부호화방식(MMR)을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4용지를 1분대 전송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G3 Fax는 A4용지를 2~3분대로 전송합니다.

    고능률 부호화방식(MMR)은 이미지를 압축하는 방식 중 하나로, 이미지의 밝기 정보와 패턴 정보를 분리하여 압축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선명도와 해상도를 유지하면서도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래픽 단말기의 화면 출력을 사용하는 방법중 모든픽섹에 액세스 가능한 네온 전구의 배열을 사용한 화면표시장치의 일종인 방식은 무엇인가?

  1. 스토리지 튜브
  2. 레스터 리프레쉬
  3. 랜덤스캔방식
  4. 플라즈마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토리지 튜브는 모든 픽셀에 액세스 가능한 네온 전구의 배열을 사용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튜브 안에 전자 빔을 저장하여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스토리지 튜브는 레스터 리프레쉬, 랜덤스캔방식, 플라즈마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화면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HDTV의 설명이 옳은 것은?

  1. 주사선 수는525이다.
  2. 화면의 종횡비는 3:4이다.
  3. 비월주사방식을 사용한다.
  4. 변조방식은 영상신호 AM-VSB, 은성신호는 F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HDTV는 비월주사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화면을 좌우로 나누어 각각의 화면을 번갈아가며 표시하는 방식으로, 빠른 움직임이 있는 영상도 부드럽게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SDN 가입자는 여러개의 단말기로 동시에 통화를 할수있다. 다음 중 ISDN 채널 다중화에 응용되면서 원거리 통신에 적합한 기술은?

  1. 시분할 다중화 기술
  2. 주파수 다중화 기술
  3. 통계적 다중화 기술
  4. 비동기식 다중화 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ISDN 채널 다중화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의 묶음으로 만들어서 데이터 전송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이 중에서 비동기식 다중화 기술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이를 수신측에서 다시 원래의 데이터로 재조립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원거리 통신에 적합한 기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동기식 다중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포트 공동이용기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1. 호스트 컴퓨터와 모뎀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 포트의수와 비용을 절감시킨다.
  2.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사용하며 포트의 증가 없이도 이용율을 높인다.
  3.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4. 포트공동 이용기는 버스형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정답률: 28%)
  • 정답은 "호스트 컴퓨터와 모뎀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 포트의수와 비용을 절감시킨다."이다. 이유는 포트 공동이용기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모뎀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와 모뎀 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 포트의 수와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DSU)의 설명중 틀린 것은?

  1. 단극성 신호를 변형된 양극성 신호로 바꾸어 주며 수신측에는 반대로 행한다.
  2. 선로에 한쪽극성의 전압이 실리는 것을 방지한다.
  3. 모뎀보다 비용이 많이 비싸다.
  4.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클럭 추출회로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DSU의 설명 중 "모뎀보다 비용이 많이 비싸다."는 틀린 설명이다. DSU는 모뎀과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모뎀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비싸다. 예를 들어, DSU는 단극성 신호를 변형된 양극성 신호로 바꾸어 주며 수신측에는 반대로 행하고, 선로에 한쪽극성의 전압이 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가 있다. 또한,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클럭 추출회로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교환기의 공통제어 방식의 특징으로서 가장 큰 단점은?

  1. 축적변환기능
  2. 저손실 중계
  3. 번호계획과 교환회로망 구성의 독립성
  4. 장애발생시 영향이 큼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기의 공통제어 방식은 교환회로망을 중앙에서 통제하므로, 교환기 중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교환회로망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장애발생시 영향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다음은 레일리 산란 손실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광섬유 제조시 열 동요 현상에 의한 광신호의 산란으로 생기는 불가피한 손실이다.
  2. 광섬유 코어내의 천이 금속, OH-와 같은 불손물에 의하여 광섬유 내에 열로 유실되어 발생하는 손실이다.
  3. 이론적으로 빛의 파장의 역수(入-4)에 비례하고 모드와 코어의 직경에는 무관핟.
  4. 현재 광섬유 전송 손실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 코어내의 천이 금속, OH-와 같은 불손물에 의하여 광섬유 내에 열로 유실되어 발생하는 손실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이는 광섬유 내부에서 빛이 이동하면서 코어와 주변의 불순물과 상호작용하여 일어나는 손실로, 현재 광섬유 전송 손실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손실은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디지털 신호의 펄스열을 그대로 또는 다른 형식의 디지털 펄스파형으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방식은?

  1. 베이스밴드 전송방식
  2. 반송대역 전송방식
  3. 광대역 전송방식
  4. 협대역 전송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은 디지털 신호의 펄스열을 그대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전송 대역과 일치하므로 전송 대역폭이 좁고 전송 거리가 짧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다른 전송방식들과는 달리 전송 대역폭이 좁고 전송 거리가 짧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날로그 신호X(t)를 매 1초마다 샘플링한후 델타변조하여 전송하려고한다.|X(t)|≤ 8일 때 샘플된 신호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샘플링 주파수가 1초당 1회이므로, 샘플링 주기는 1초이다. 따라서, 샘플링된 신호는 1초마다 한 번씩 전송된다. 델타변조는 이전 샘플과 현재 샘플 간의 차이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각 샘플마다 8비트(1바이트)가 전송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7,4) 해밍코드의 코드율은 얼마인가?

  1. 7/4
  2. 7/3
  3. 4/7
  4. 3/7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밍코드의 코드율은 정보 비트의 수를 전체 비트의 수로 나눈 값이다. (정보 비트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비트이며, 전체 비트는 정보 비트와 검사 비트를 합한 비트 수이다.)

    (7,4) 해밍코드에서 정보 비트는 4개이고, 전체 비트는 7개이므로 코드율은 4/7이다. 따라서 정답은 "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QPSK처럼 두 개의 비트가 한 개의 신호 단위로 이루어 질 경우 신호의 전송속도가 9,600[bps]일 때 보오속도(baunrate)는 얼마인가?

  1. 19,200
  2. 14,400
  3. 9,600
  4. 4,800
(정답률: 알수없음)
  • QPSK는 2개의 비트가 1개의 신호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전송속도가 9,600[bps]일 때는 4,800[baud]의 보오속도를 가진다. 이는 전송속도를 비트 단위가 아닌 신호 단위로 나눈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8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자동반복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 ) 기술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1. simple ARQ
  2. stop and wait ARQ
  3. go back N continuous ARQ
  4. selective-repeat continuous ARQ
(정답률: 알수없음)
  • "Selective-repeat continuous ARQ"는 송신측이 패킷 전송 후 수신측으로부터 확인응답(ACK)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일부 패킷만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체 패킷을 재전송하는 "go back N continuous ARQ" 방식보다 효율적이며,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lective-repeat continuous ARQ"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오류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전송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변조기법에서 원천코딩(source coding)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차동 PCM
  2. 적응 PCM
  3. 비선형 코딩
  4. 선형 예측코ELD
(정답률: 알수없음)
  • 원천코딩(source coding)은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술로,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하거나 중복되는 정보를 줄여서 저장공간을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변조기법 중에서 원천코딩과 관계가 없는 것은 "비선형 코딩"이다. 비선형 코딩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간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은 변조기법으로, 원천코딩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차동 PCM, 적응 PCM, 선형 예측코딩은 모두 원천코딩과 관련된 변조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송속도 (bit rate)에 대한 표현으로 맞는 것은?

  1. 전송속도 = {(부호화 비트수 * 채널 수) + 동기 부호수 } * 표본화 주파수
  2. 전송속도 = {(표본화 비트수 * 채널 수) + 동기 부호수 } * 표본화 주파수
  3. 전송속도 = {(부호화 비트수 * 채널 수) + 동기 부호수 } * 부호화 주파수
  4. 전송속도 = {(부호화 비트수 * 프레임 수) + 동기 부호수 } * 표본화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송속도 = {(부호화 비트수 * 채널 수) + 동기 부호수 } * 표본화 주파수"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송속도는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 부호화 비트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 채널 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의 수를 의미합니다.
    - 동기 부호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동기화 부호의 수를 의미합니다.
    - 표본화 주파수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송속도는 부호화 비트수, 채널 수, 동기 부호수, 표본화 주파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전송로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펄스변조 방식은?

  1. 펄스 진폭변조
  2. 펄스 주파수 변조
  3. 펄스 위치변조
  4. 펄스 부호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전송로에서 전송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때, 펄스 부호변조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각 시간 간격마다 펄스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생성된 펄스는 전송로를 통해 수신측으로 전송되어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펄스 부호변조 방식은 전송로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펄스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BCH코드에 대한 다음 설병중 틀린 것은?

  1. BCH코드의 대표적인 코드가 Reed-Solomon이다.
  2.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복수개의 에러를 정정할 수있다.
  3. 콘볼류션 코드의 일종으로 에러 전정에 사용된다.
  4. t개의 에러 정정을 위한 부호어 사이의 최소거리는 (2t + 1)보다 커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볼류션 코드의 일종으로 에러 전정에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BCH 코드는 콘볼류션 코드와는 다른 유형의 오류 정정 코드입니다. BCH 코드는 주로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며, Reed-Solomon 코드와 함께 가장 일반적인 오류 정정 코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여러 가지 동축케이블의 종류들이다. 가장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동축케이블은?

  1. P-1M
  2. P-4M
  3. C-60M
  4. C-120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C-120M"은 120MHz까지의 광대역 주파수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다른 동축케이블들은 주파수 대역폭이 더 좁거나, 더 낮은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하기 때문에 광대역 특성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취하는 방법의 예가 아닌 것은?

  1. 동기 패턴에 의한 캐릭터 동기식
  2. 텍스트의 구별 혹은 프레임의 식별을 행하는 플래그 동기식
  3. 조보식
  4. 수신인지 송신인지를 미리 정하는 예약 동기식
(정답률: 알수없음)
  • 조보식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기를 취하는 방법의 예이지만 조보식은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중 방송망의 매체 엑세스 제어중 비동기식 제어기술이 아닌 것은?

  1. 예약방식
  2. 라운드 로빈
  3. 주파수 분할 방식
  4. 경쟁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할 방식은 매체 엑세스 제어 기술 중 비동기식 제어 기술이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대역을 각각의 사용자에게 할당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예를 들어, 통신사에서는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각각의 고객에게 할당하여 동시에 통화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이 방식은 예약방식, 라운드 로빈, 경쟁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에서 주군(master group)의 주파수 대역으로 맞는 것은?

  1. 60 -108[kHz]
  2. 312-552[kHz]
  3. 812-2044[kHz]
  4. 8516-12388[kHz]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에서 주군(master group)은 다른 그룹들과 충돌 없이 통신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812-2044[kHz]" 대역은 다른 대역과 비교하여 충분한 대역폭을 가지고 있어 여러 그룹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대역이 주군의 주파수 대역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송로의 특성 중 시스템적인 왜곡(systematic distortion)에 해당되는 것은?

  1. 페이딩
  2. 에코(echo)
  3. 백색잡음
  4. 지연왜곡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로에서 신호가 일정한 시간만큼 지연되어 도착하는 경우, 이를 지연왜곡이라고 합니다. 이는 시스템적인 왜곡으로, 전송로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지연왜곡은 음성통화나 데이터 전송 등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송로의 딜레이를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베이스 밴드 신호중 샘플링이 필요치 않은 형태는?

  1. Return to Zero Space
  2. Return to Zero
  3. Return to Bias
  4. Nonreturn to Zero
(정답률: 알수없음)
  • "Return to Zero"는 신호가 0으로 돌아가는 시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샘플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샘플링이 필요한 방식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8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을 혼합하여 어느 신호를 변조하려 할 때 적장한 방법은?

  1. FSK(Frequency shift keying)
  2. FSK + AM
  3. DPSK(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 AM
  4. DPSK
(정답률: 알수없음)
  • 8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을 모두 이용하여 변조하려면 복잡한 방식이 필요합니다. FSK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므로 위상과 진폭을 모두 이용할 수 없습니다. FSK + AM은 주파수 변조와 진폭 변조를 함께 사용하지만, 위상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DPSK은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으로, 위상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DPSK + AM은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변조하면서 진폭 변조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8개의 위상과 2개의 진폭을 모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PSK + AM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다수의 음성 신호를 모아 하나의 신호파로 취급하여 각각의 반송파를 사용해서 변조하고 서도 신호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나의 전송로로 복수의 이용자에게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2. 주파수를 프레임이라는 간격으로 쪼개고 각 프레임을 사용자 시간 슬롯으로 할당할 수 있다.
  3. 다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단계적인 다중화 기구가 정해져 있는데 이를 아날로그 계층이라 한다.
  4. 슈퍼그룹인 60채널, 5r5o를 다중화한 그룹을 주군(master group)혹은 기초주군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도를 높이기 위해서 단계적인 다중화 기구가 정해져 있는데 이를 아날로그 계층이라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에서는 아날로그 계층이 아닌 디지털 계층이 존재합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은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전송을 할 때, 각각의 이용자에게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주파수를 프레임이라는 간격으로 쪼개고 각 프레임을 사용자 시간 슬롯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한 번에 여러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채널의 대역폭이 1000[Hz]이고 채널에서의 출력의 신호대 잡음비가 31일 때 대역통과 채널의 통신 용량을 tishs의 정리에 의해서 계산하면?

  1. 4000 bit/s
  2. 5000 bit/s
  3. 6000 bit/s
  4. 30000 bit/s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의 대역폭이 1000[Hz]이므로, 채널에서의 최대 전송 데이터 속도는 샤널의 대역폭과 같은 1000[Hz]이 됩니다.

    하지만, 채널에서의 출력의 신호대 잡음비가 31이므로,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호 대 잡음비는 31dB가 됩니다.

    따라서, 샤널에서의 전송 데이터 속도는 샤널 대역폭과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채널의 통신 용량 = 채널 대역폭 x log2(1 + 신호 대 잡음비)

    = 1000 x log2(1 + 31)

    = 1000 x log2(32)

    = 1000 x 5

    = 5000 bit/s

    따라서, 정답은 "5000 bit/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광섬유의 광손실중 외부의 힘에 의한 손실은?

  1. 매크로 밴딩 (macro banding) 손실
  2. 마이크로 밴딩(micro banding) 손실
  3. 나노 밴딩(nano banding) 손실
  4. 피코 밴딩(pico banding)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의 광손실 중 외부의 힘에 의한 손실은 마이크로 밴딩 손실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아 광섬유 내부에서 광파가 흩어지는 현상으로, 광섬유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실은 광섬유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전송 거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마이크로 프로세스의 전송명령 없이 데이터를 입출력장치에서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은?

  1. DMA
  2. Interrupt
  3. FIFO
  4. SCAN
(정답률: 알수없음)
  •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통해 입출력장치와 메모리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명령 없이 데이터를 입출력장치에서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입출력 과정에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큰 방식은?

  1. Programmed I/O
  2. Interrupt - Driver I/O
  3. DMA
  4. Channel I/O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입출력 동작을 직접 제어하고 처리하는 방식이 "Programmed I/O"이다. 다른 방식들은 CPU가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럽트나 DMA 등의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입출력을 처리한다. 따라서 CPU의 역할이 가장 큰 방식은 "Programmed I/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기억장치의 계층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것은?

  1. 주기억 장치
  2. 보조기억장치
  3. 캐쉬(cache) 기억장치
  4. 코아기억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캐쉬(cache) 기억장치는 CPU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속도가 빠릅니다. 반면에 주기억 장치와 보조기억장치는 CPU와 먼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캐쉬(cache) 기억장치보다 느립니다. 코아기억장치는 존재하지 않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문자의 표시와 관계 적은 코드는?

  1. BCD 코드
  2. EBCEIC 코드
  3. 그레이(Gray) 코드
  4. ASCII 코드
(정답률: 알수없음)
  •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회로 설계나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를 방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문자의 표시와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수치 자료 표현 방법에서 부동 소수점 표현(Floating Point Representation)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에는 부호부, 가수부로 구분할 수 있다.
  2. 정밀도가 요구되는 과학 및 공학 또는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된다.
  3. 수를 표현하는 자리수는 고정 소수점에 비하여 적게 든다.
  4. 수 표현 방법이 고정 소수점에 비하여 간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도가 요구되는 과학 및 공학 또는 수학적인 응용에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이 고정 소수점에 비해 더 큰 범위의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정 소수점에 비해 수를 표현하는 자리수가 적게 들어가므로 계산이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과학, 공학, 수학 등에서 정밀한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부동 소수점 표현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기간 통신 사업자가 경영하는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경우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

  1. 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2. 정보통신정책 심의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3. 통신 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4. 한국통신공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간 통신 사업자는 국가에서 부여받은 권한을 가지고 사업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을 휴지 또는 폐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한 법인은?

  1. 통신 위원회
  2.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
  3. 형식 승인 심의회
  4. 한국통신 품질 보증단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는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법인으로, 통신 기술 발전과 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정보통신부 장관은 불온통신에 대하여 누구로 하여금 그 취급을 거부 정지 또는 제한하도록 명할 수 있는가?

  1. 관할 체신청장
  2. 관할 경찰서장
  3. 전기통신사업자
  4. 국정원장
(정답률: 39%)
  • 정보통신부 장관은 불온통신에 대한 대응책으로 전기통신사업자에게 그 취급을 거부, 정지 또는 제한하도록 명령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기통신사업자가 불온통신을 막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관할 체신청장, 관할 경찰서장, 국정원장은 불온통신 대응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기통신사업자는 불온통신을 막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자가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

  1.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만 하면 된다.
  3. 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4. 정보통신부 장관의 등록만 하면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통신법 제58조에 따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사전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때,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를 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만 하면 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통신회선의 평형도의 단위는?

  1. [dB]
  2. [%]
  3. [dBm]
  4. [°]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회선의 평형도는 전력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dB (데시벨) 단위를 사용한다. dB는 전력 비율을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는 단위이므로, 크기가 큰 전력 차이를 더욱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른 단위들은 전력이 아닌 다른 물리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통신회선의 평형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전기통신 사업법에서 정하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유선전화서비스
  2. 긴급통신용 전화서비스
  3. 장애인. 저소득층 등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서비스
  4. 자가 전기 통신서비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 전기 통신서비스는 전기통신사업법에서 보편적 역무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개인이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전기통신망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호텔이나 아파트 등에서 제공하는 전화서비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순서도(flowchart)의 기본 형태가 아닌 것은?

  1. 직선형 순서도
  2. 분기형 순서도
  3. 세분화형 순서도
  4. 반복형 순서도
(정답률: 40%)
  • 세분화형 순서도는 일반적인 순서도의 기본 형태가 아니며, 작업을 더욱 상세하게 분해하여 표현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직선형 순서도", "분기형 순서도", "반복형 순서도"는 모두 일반적인 순서도의 기본 형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정보통신기술자의 공사 현장 배치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공사의 시공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2. 보수교육 이수자라야 한다.
  3. 공사 발주자의 승낙없이 공사 현장을 이탈할 수 없다.
  4. 배치기준은 공사의 종류(도급액)에 상응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수교육 이수자라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공사 현장 배치에 있어서는 보수교육 이수자일 필요는 없습니다. 보수교육은 정보통신기술자가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이며, 공사 현장 배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인터럽트 발생기에 돌아올 주소를 어디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터리 루틴으로 가는가?

  1. ALU
  2. STACK POINTER
  3. PROGRAM COUNTER
  4. STATUS REGISTER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럽트 발생 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저장해야 하므로, 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다. 이때, 스택 포인터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 시 돌아올 주소는 스택 포인터에 저장되고, 인터럽트 터리 루틴으로 가기 위해서는 스택 포인터가 가리키는 주소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STACK POIN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과 같은 32비트의 2의 보수(2's complement)형식의 고정 소수점의 수(fixed point number)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1. 231-1
  2. 231+1
  3. 232
  4. 231
(정답률: 알수없음)
  • 32비트의 2의 보수형식에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이므로, 나머지 31비트로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왼쪽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2의 보수형식에서 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은 모든 비트가 1인 경우이다. 이를 10진수로 변환하면 23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전기통신 설비의 기술기중에 관한 규칙에서 정의한 고주파수란?

  1. 3000[Hz] 미만의 주파수
  2. 300[Hz] 이상 3400[Hz] 이하의 주파수
  3. 34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
  4. 3[GHz]이상 30[GHz] 미만의 주파수
(정답률: 알수없음)
  • 고주파수는 전기통신 설비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 중에서 34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무선 통신이나 위성 통신 등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이며,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간통신 사압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 설비를 임차하여 전기 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임차통신사업
  2. 부가통신사업
  3. 특정통신사업
  4. 대여통신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통신사업은 기간통신 사압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 설비를 임차하여 전기 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임차통신사업"은 단순히 전기통신회선을 임대하는 사업이고, "특정통신사업"은 특정한 종류의 통신업무를 제공하는 사업이며, "대여통신사업"은 통신장비를 대여하는 사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파이프라인에 의한 이론적 최대 속도 증가율을 내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아닌 것은?

  1. 병목현상
  2. 자원회피
  3. 데이터 의존성
  4. 분기 곤란
(정답률: 9%)
  • 병목현상은 파이프라인에서 가장 느린 단계가 전체 작업의 속도를 제한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론적 최대 속도 증가율을 제한하는 가장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자원회피는 다른 작업이 필요한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서 작업이 지연되는 현상이며, 데이터 의존성은 이전 단계의 결과에 따라 다음 단계의 작업이 결정되어 작업이 지연되는 현상입니다. 분기 곤란은 파이프라인에서 다음 단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어려워서 작업이 지연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병목현상"이 이론적 최대 속도 증가율을 제한하는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2진수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102)8
  2. (107)8
  3. (141)8
  4. (145)8
(정답률: 75%)
  • 2진수 1100101을 3자리씩 끊어서 각각을 8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10 010 1

    이를 각각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6 2 1

    따라서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621)8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5)8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8진수에서 3자리씩 끊어서 나타낼 때, 첫 번째 자리가 0이 되도록 앞에 0을 추가한 것이다. 따라서 (621)8을 3자리씩 끊어서 나타내면 001 456이 되고, 이를 다시 8진수로 표현하면 (145)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어떤 용어의 정의에 해당되는가?

  1. 국선접속설비
  2. 지하관로설비
  3. 통신망 단자
  4. 설로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설로설비는 전기, 통신 등의 설비를 설치, 유지, 보수하기 위해 필요한 건축물 내부의 설비를 말한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전기, 통신 등의 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장비들로, 이는 설로설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