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정보통신기사(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회로의 입력에 정현파가 인가될 경우 이 회로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램프회로이다.
  2. 출력신호의 하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3. 반파정류회로이다.
  4. 클리퍼회로이며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입력신호에 대해 양쪽으로 클램핑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즉, 입력신호의 상한과 하한을 일정한 값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클램프회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출력신호의 하단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클램프회로의 역할을 설명한 것이므로 옳은 설명이다. "반파정류회로이다."와 "클리퍼회로이며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한다."는 이 회로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와 같은 동작 기능을 갖는 플립플롭은? (단, 회로에서 접지는 생략되어 있음)

  1. SR
  2. JK
  3. T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T 플립플롭입니다. T 플립플롭은 토글(Toggle) 기능을 가지며, 이전 상태와 반대로 출력이 바뀝니다. 이 회로에서 T 입력이 1이면, Q 출력은 이전 상태와 반대로 바뀝니다. 예를 들어, 이전에 Q가 0이었다면, T 입력이 1이 되면 Q는 1이 됩니다. 만약 T 입력이 0이면, Q 출력은 이전 상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T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NOR 게이트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 = R = 0 이면 상태 변화가 없고 처음의 상태를 유지한다.
  2. S = 1, R = 1 일 때, Qn = 0 이면 변화가 없고 Qn = 1 이면 Qn+1 = 0 으로 된다.
  3. S = 1, R = 1 일 때, Qn = 0 이면 Qn+1 = 1 로 되고 Qn = 1 이면 변화가 없다.
  4. S = 1, R = 0 일 때, Qn = 0 이면 1로 되고 Qn = 1 이면 Qn+1 은 변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S = 1, R = 1 일 때, Qn = 0 이면 Qn+1 = 1 로 되고 Qn = 1 이면 변화가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S = 1, R = 1 일 때, Qn = 0 이면 Qn+1 = 1 로 되고 Qn = 1 이면 Qn+1 = 0 으로 된다."가 맞는 설명이다. NOR 게이트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에서 S와 R이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와 상관없이 출력이 반전된다. 따라서 Qn이 0일 때 Qn+1은 1이 되고, Qn이 1일 때 Qn+1은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B급 푸시풀(push-pull) 증폭기의 특성과 가장 밀접한 것은?

  1. 하울링(howling)
  2. 험(hum)
  3. 크로스오버(crossover) 왜곡
  4. 기생진동(parasitic oscilll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B급 푸시풀(push-pull) 증폭기는 양쪽의 트랜지스터가 서로 대칭적으로 신호를 증폭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 크로스오버(crossover) 왜곡은 양쪽 트랜지스터가 신호를 증폭하는 구간에서 발생하는 왜곡으로, 신호의 양극성이 바뀌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전하 이동 시간 차이나 적정 전압을 유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로, 증폭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출력측에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입력전압(Vi)의 범위는 몇 V 인가? (단, 제너 다이오드는 20V 용이고 최대전류는 50mA)

  1. 15 ~ 20
  2. 22 ~ 27
  3. 28 ~ 32
  4. 35 ~ 40
(정답률: 28%)
  • 제너 다이오드는 입력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해도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회로에서 제너 다이오드의 용량은 20V이므로, 입력전압이 20V 이하일 때는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전류가 50mA이므로, 출력측의 저항값이 일정 이상이 되면 정전압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출력측의 저항값을 고려하여 입력전압의 범위를 구해야 한다. 출력측의 저항값은 470Ω이므로, 최대전류 50mA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출력전압이 23.5V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입력전압의 범위는 22V ~ 27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증폭회로의 이미터와 접지사이에 저항 Re를 삽입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TR은 NPN형)

  1. 출력임피던스는 감소한다.
  2. 이득이 증가하고 일그러짐이 커진다.
  3. 입력임피던스와 이득이 모두 감소한다.
  4.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모두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 Re를 삽입하면 TR의 베이스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TR의 증폭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임피던스는 감소하게 되고, 입력임피던스는 Re의 값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가 모두 커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수신기에서 포스터-실리형 검파기와 관련 있는 것은?

  1. AM(진폭변조)
  2. FM(주파수변조)
  3. DM(델타변조)
  4. PCM(펄스부호변조)
(정답률: 알수없음)
  • 포스터-실리형 검파기는 주파수 변조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FM(주파수변조) 신호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M(주파수변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다양한 논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범용논리 게이트(universal gate)에 해당하는 것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R 게이트
  4. Exclusive OR 게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NOR 게이트는 모든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논리 게이트라고 불립니다. NOR 게이트는 입력값이 모두 0일 때만 출력값이 1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NOT, AND, OR, NAND, XOR 등의 논리 연산을 모두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OR 게이트는 다양한 논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범용논리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출력이 140W 되는 반송파를 단일 주파수로 30% 변조하였을 때 AM 상측파의 전력은 몇 W 인가?

  1. 3.15
  2. 6.34
  3. 73.15
  4. 146.3
(정답률: 알수없음)
  • AM 변조에서 상측파의 전력은 변조 인덱스와 원래 반송파의 전력에 비례한다. 변조 인덱스는 변조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 변화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 변조 인덱스는 0.3이므로, 상측파의 전력은 원래 반송파의 전력과 0.3의 제곱(즉, 0.09)을 곱한 값이 된다. 따라서, 상측파의 전력은 140W x 0.09 = 12.6W 이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12.6W를 반올림하여 3.15W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0진수 4에 해당하는 그레이코드(gray code)는 얼마인가?

  1. 0100
  2. 0111
  3. 1000
  4. 0110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4에 해당하는 이진수는 100이다. 이진수를 그레이코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100의 그레이코드는 110이 된다. 이진수 110을 다시 2진수로 변환하면 01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논리회로와 같은 게이트(Gate) 회로에 해당되는 것은? (단, A, B는 입력단자 X는 출력단자이다.)

  1. AND
  2. NOR
  3. OR
  4. Exclusive OR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두 입력 A와 B를 받아서, A와 B가 서로 다를 때만 출력 X가 1이 되는 회로이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Exclusive OR 게이트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Exclusive 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부궤환 증폭회로에서 대역폭이 3배로 넓어지면 이득은 어떻게 되는가?

  1. 로 줄어든다.
  2. 배로 늘어난다.
  3. 3배로 늘어난다.
  4. 배로 줄어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증폭회로에서 대역폭이 3배로 넓어지면 이득은 " 배로 줄어든다." 대역폭이 넓어지면서 회로의 대역폭 외의 주파수에서도 신호가 증폭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잡음이 증폭되어 전체적인 이득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ECL(Emitter Coupled Logic)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로의 출력은 각각 OR, NAND 출력이 된다.
  2. TTL에 비해 동작속도가 일반적으로 빠르다.
  3. TTL에 비해 소비전력이 일반적으로 크다.
  4. 기본회로의 구성은 차동증폭기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로의 출력은 각각 OR, NAND 출력이 된다."가 틀린 것이다. ECL 회로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논리 부정(NOT) 출력이다. ECL은 차동 증폭기로 이루어진 회로로, TTL에 비해 동작 속도가 빠르지만 소비 전력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차동증폭기에서 차동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은 Ad 이고 동상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은 Ac 이다. 이 때 동상신호제거비(CMRR)를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동상신호제거비(CMRR)는 차동신호에 대한 전압이득과 동상신호에 대한 전압이득의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CMRR은 Ad/Ac 이다. 보기 중에서 이 값을 나타내는 것은 "" 이다. 이유는 이 보기가 Ad/Ac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기본 발진회로에서 증폭기 A의 전압이득이 50일 때, 귀환회로 β의 크기는 얼마인가?

  1. 0.01
  2. 0.02
  3. 0.05
  4. 0.1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 발진회로에서 귀환회로의 β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β = A / (1 + Aβ)

    여기서 A는 증폭기의 전압이득이고, β는 귀환회로의 크기이다.

    문제에서 A가 50이므로,

    β = 50 / (1 + 50β)

    위 식을 정리하면,

    50β² + β - 50 = 0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β를 구하면,

    β = (-1 + √(1 + 1000)) / 100

    β = 0.02

    따라서 정답은 "0.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회로에서 C 에 해당되는 커패시티를 제거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TR은 NPN형)

  1. 이득이 증가한다.
  2. 이득이 감소한다.
  3. 이득의 변동은 없다.
  4. 회로가 발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를 제거하면 TR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된다. 이로 인해 TR은 다이렉트 커패시턴스(DC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되어 이득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카르노도를 간략화한 논리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심 주파수가 455kHz 이고 대역폭이 8kHz 가 되는 단동조 회로가 있다. 이 회로의 Q 는 약 얼마인가?

  1. 14
  2. 26
  3. 29
  4. 57
(정답률: 알수없음)
  • Q는 중심 주파수를 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Q = 455kHz / 8kHz = 56.875 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57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논리식 중 등식이 성립되지 않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논리식 ""은 모든 경우에 참이 되므로 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아날로그 계산기에서 미분기보다 적분기를 주로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적분기의 회로가 간단하기 때문이다.
  2. 적분기는 비선형이기 때문이다.
  3. 적분기의 계산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4. 적분기의 잡음특성이 좋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아날로그 계산기에서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데, 이때 미분기는 잡음을 증폭시켜 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적분기는 입력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잡음이 누적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분기의 잡음특성이 좋기 때문에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아날로그 계산기에서는 미분기보다 적분기를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중 동화상, 고속데이터 등 광대역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광대역 ISDN 교환기에 사용하는 교환방식은?

  1. ATM 방식
  2. TDM 방식
  3. FDM 방식
  4. EDI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ATM 방식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각 패킷에는 목적지 주소가 포함되어 있어 동시에 여러 개의 연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광대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동화상, 고속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대역 ISDN 교환기에서는 ATM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오류 검출기법이 아닌 것은?

  1.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2. 허프만부호화 검사(Huffman coding check)
  3. 블록합 검사(Block sum check)
  4. 순환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정답률: 알수없음)
  • 허프만 부호화 검사는 데이터 통신에서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허프만 부호화는 데이터 압축 기술 중 하나로, 데이터를 더 작은 크기로 압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오류 검출기법은 패리티 검사, 블록합 검사, 순환잉여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교환망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회선교환망
  2. 메시지교환망
  3. 로컬교환망
  4. 패킷교환망
(정답률: 알수없음)
  • 로컬교환망은 교환망의 유형이 아니라,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이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로컬교환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ARP
  2. ICMP
  3. SLIP
  4. PPP
(정답률: 알수없음)
  •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IP주소를 가지고 있는 호스트의 물리적인 MAC 주소를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TCP/IP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 간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보통신 교환망의 기능 정지를 막고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뢰성 향상 대책으로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교환장치를 중앙에 집중화시킨다.
  2. 교환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주요 부분을 이중화한다.
  3. 주요 전송경로를 복수화한다.
  4. 보수지원 시스템을 개발 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환장치를 중앙에 집중화시킨다."는 오히려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대책입니다. 중앙 집중화된 교환장치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대책은 가장 관계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MODEM의 수신 입력단에서 최저 S/N 비가 25dB 필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한다. 전송로의 수신레벨이 -10dB 라고 할 때, 이 전송로의 허용되는 잡음 레벨은 몇 dB 인가?

  1. -45
  2. -35
  3. -25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S/N 비는 수신 신호의 강도와 잡음의 강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S/N 비가 25dB이면 수신 신호의 강도는 잡음의 강도보다 25dB 더 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송로의 수신레벨이 -10dB이므로, 수신 입력단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는 -10dB보다 25dB 더 커야 한다. 따라서 수신 입력단에서 수신 신호의 강도는 15dB 이상이어야 한다. 이때, 수신 입력단에서의 잡음 레벨은 수신 신호의 강도와 S/N 비에 따라 결정된다. 수신 신호의 강도가 15dB이고 S/N 비가 25dB이므로, 수신 입력단에서의 잡음 레벨은 15dB - 25dB = -10dB 이다. 따라서 전송로의 허용되는 잡음 레벨은 -10dB 이하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BSC 프로토콜에서 Selective Repeat ARQ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N 번째 프레임에 ERROR가 발생하였을 경우 어떻게 재전송을 하는가?

  1. N 번째 프레임만 재전송한다.
  2. N-1 번째 프레임부터 재전송한다.
  3. N 번째 프레임부터 모두 재전송한다.
  4. N-1 번째 프레임까지 재전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elective Repeat ARQ 방식에서는 수신측에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을 요청하고, 나머지 프레임은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N 번째 프레임만 재전송한다."가 정답입니다. 이 방식은 전체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며,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송로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디지털신호 코딩방식에서 요구되는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신측에서 용이하게 클록을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2. 코딩된 신호에는 직류 성분이 많아야 한다.
  3. 신호 오류의 감지가 용이해야 한다.
  4. 신호의 코딩에 의한 대역폭의 증가가 최소화 되어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딩된 신호에는 직류 성분이 많아야 한다."는 요구되는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신호는 직류 성분이 없는 교류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요구사항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ITU-T의 DTE/DCE 인터페이스에 관한 규정으로 전화와 음성 대역의 아날로그 전화 회선용으로 권고한 시리즈는?

  1. X 시리즈
  2. V 시리즈
  3. I 시리즈
  4. T 시리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 시리즈"입니다.

    V 시리즈는 ITU-T에서 DTE/DCE 인터페이스에 관한 규정 중 하나로, 아날로그 전화 회선용으로 권고한 시리즈입니다. V 시리즈는 모뎀과 전화 회선 간의 통신을 위한 규격으로, 모뎀과 전화 회선 간의 속도, 오류 제어, 압축 등을 규정합니다. 따라서 V 시리즈는 아날로그 모뎀의 표준 규격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시스템의 평균고장간격이 94시간이고, 평균수리시간이 6시간인 경우 가동률(%)은?

  1. 60
  2. 94
  3. 95
  4. 97
(정답률: 40%)
  • 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동률(%) = (평균고장간격) / (평균고장간격 + 평균수리시간) x 100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동률(%) = (94) / (94 + 6) x 100 = 94%

    따라서, 정답은 "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을 위한 장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브리지(bridge)
  2. 라우터(router)
  3. 게이트웨이(gateway)
  4. 모뎀(modem)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장치들 중에서 모뎀은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가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다른 장치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HDLC의 전송제어에서 플래그 패턴은 어떤 비트 구성을 사용하는가?

  1. 11110000
  2. 01111110
  3. 10000001
  4. 10101010
(정답률: 알수없음)
  • HDLC의 전송제어에서 플래그 패턴은 "01111110" 비트 구성을 사용한다. 이는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패턴은 데이터 프레임 내에서 출현하지 않는 비트 패턴이므로, 수신 측에서는 이 패턴을 감지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식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일반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가운데 다른 지역에서 이동해 온 이동국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DB는?

  1. MTSO
  2. VLR
  3. BS
  4. HLR
(정답률: 알수없음)
  • VLR은 Visitor Location Register의 약자로, 이동통신망에서 다른 지역에서 이동해 온 이동국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동국의 가입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해당 지역의 기지국(BS)에서 신호를 받아 MTSO(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를 통해 VLR에 가입자 정보를 저장합니다. 이후 이동국의 가입자가 통화나 문자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VLR에서 해당 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VLR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LAN을 분류하는 방법 중 액세스 방법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UTP LAN
  2. CSMA/CD LAN
  3. TOKEN-BUS LAN
  4. TOKEN-RING LAN
(정답률: 알수없음)
  • 액세스 방법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UTP LAN"입니다. UTP LAN은 케이블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액세스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 CSMA/CD LAN은 충돌 감지 방식을 사용하고, TOKEN-BUS LAN과 TOKEN-RING LAN은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하나의 셀로 전지역을 커버하는 광역셀 방식과 전지역을 다수의 좁은 지역으로 분할하는 셀룰러 방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셀룰러 방식에서는 주파수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광역셀에서는 가능하다.
  2. 셀룰러 방식에서의 단말기 출력이 광역셀 방식보다 저출력이다.
  3. 셀룰러 방식이 광역셀 방식보다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셀룰러 방식에서의 시스템 설계가 광역셀방식보다 더 복잡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셀룰러 방식에서는 주파수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광역셀에서는 가능하다."의 이유는, 셀룰러 방식에서는 전체 지역을 작은 셀로 나누어 각 셀마다 독립적으로 주파수를 할당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셀끼리는 서로 간섭이 발생하므로 주파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반면 광역셀 방식에서는 전체 지역을 하나의 셀로 커버하므로, 주파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PCM에서 양자화 잡음을 경감시키는 방법과 관련 없는 것은?

  1. 양자화 단계의 세분화
  2. 압축과 신장
  3. 비직선 양자화
  4. 부호 비트수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 비트수의 감소는 양자화 잡음을 경감시키는 방법과 관련이 없다. 부호 비트수의 감소는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양자화 잡음을 경감시키는 방법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정량적인 평가척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드
  2. 응답시간
  3. 통신장비
  4. 통신소프트웨어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의 정량적인 평가척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응답시간"입니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고 받아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노드", "통신장비", "통신소프트웨어"는 모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이지만,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응답시간이 가장 적합한 척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TM의 AAL 계층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가운데 Class B 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은?

  1. AAL-1
  2. AAL-2
  3. AAL-3
  4. AAL-4
(정답률: 알수없음)
  • AAL-2는 ATM의 AAL 계층에서 Class B 서비스를 지원하는 유일한 옵션이다. AAL-1은 Class A 서비스를, AAL-3과 AAL-4는 Class C 서비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AAL-2가 Class B 서비스를 지원하는 유일한 옵션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ITU-T의 X 시리즈 중 패킷망에서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CE 와 DTE 사이의 접속규격은?

  1. X.21
  2. X.21 bis
  3. X.25
  4. X.75
(정답률: 알수없음)
  • X.25은 패킷망에서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CE와 DTE 사이의 접속규격으로,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다중화 및 연결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X.25은 패킷망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종합음량정격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송화음량정격
  2. 접속음량정격
  3. 수화음량정격
  4. 잡음음량정격
(정답률: 알수없음)
  • 잡음음량정격은 종합음량정격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종합음량정격은 송화음량정격, 접속음량정격, 수화음량정격으로 구성되며, 이는 각각 송출하는 송화, 접속하는 접속, 수신하는 수화의 음량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면, 잡음음량정격은 주변 잡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합음량정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포트 공동 이용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호스트 컴퓨터와 모뎀 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 포트의 수와 비용을 절감시킨다.
  2. 모뎀과 단말기사이에 사용하며 포트의 증가 없이도 이용율을 높인다.
  3.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사이의 모뎀을 교체하여 비용을 절감시킨다.
  4. 모뎀 고장시에 모든 단말기가 운영 불능에 빠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트 공동 이용기는 호스트 컴퓨터와 모뎀 사이에 설치되어 컴퓨터 포트의 수와 비용을 절감시키는데, 이는 여러 대의 단말기를 하나의 모뎀으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포트의 증가 없이도 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부가가치 통신망(VAN)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교환기능
  2. 중계장치 생산기능
  3. 통신 처리기능
  4. 정보 처리기능
(정답률: 47%)
  • 부가가치 통신망(VAN)은 기업 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통신망으로, 교환기능, 통신 처리기능, 정보 처리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중계장치 생산기능은 VAN의 기능이 아니며, 이는 중계장치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나 업체 간의 거래와 관련된 기능이다. 따라서 정답은 "중계장치 생산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스켈치(Squelch) 회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FM 송신기에 입력신호가 없으면 자동으로 변조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2. FM 수신기에서 입력신호가 없을 때 자동으로 저주파 증폭기의 기능을 정시킨다.
  3. SSB 송신기에 출력신호가 없으면 자동으로 변조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4. FM 수신기의 주파수 변별기의 일종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켈치(Squelch) 회로는 FM 수신기에서 입력신호가 없을 때 자동으로 저주파 증폭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ATV의 기본구조 중 헤드엔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신증폭기
  2. 주파수변환기
  3. 변복조기
  4. 중계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CATV의 기본구조는 송출센터, 헤드엔드, 중계센터, 도착센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헤드엔드는 중계센터와 도착센터 사이에 위치하며, 주파수 변환기, 변복조기, 수신증폭기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중계증폭기는 헤드엔드에 속하지 않습니다. 중계증폭기는 중계센터에서 사용되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우리나라의 표준 TV 방식에서 전화면을 2회로 나누어 주사 하여 전송주파수를 반으로 줄이고 화상의 깜박거림(flicker)을 적게 하는 주사방식은?

  1. 수평주사
  2. 수직주사
  3. 비월주사
  4. 순차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비월주사는 수평주사와 수직주사를 번갈아가며 진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평선과 수직선을 동시에 그리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주파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고, 화면의 깜박거림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비월주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광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서 송신출력의 증폭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전력 증폭기는?

  1. 클라이스트론
  2. 파라메트릭 증폭기
  3. 자전관
  4. 진행파관
(정답률: 알수없음)
  • 진행파관은 광대역의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에서 송신출력을 증폭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전력 증폭기입니다. 이는 전자기파를 진행파로 변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진행파관은 고주파에서도 높은 효율과 출력을 내며, 대용량 전력을 처리할 수 있어 광대역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PCM 단국장치사이의 전송로 구간에서는 일정한 거리마다 중계기를 설치하여 3R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3R 기능과 관계 없는 것은?

  1. Reshaping
  2. Retiming
  3. Regeneration
  4. Retransmission
(정답률: 알수없음)
  • PCM 단국장치사이의 전송로 구간에서는 일정한 거리마다 중계기를 설치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성하며, 시간적인 오차를 보정하는 3R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Retransmission"은 3R 기능과 관계가 없다. Retransmission은 송신 측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 측에서 재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래픽 단말기의 화면 출력을 사용하는 방법 중 모든 픽셀에 액세스 가능한 네온 전구의 배열을 사용한 화면표시장치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스토리지 튜브
  2. 레스터 리프레쉬
  3. 랜덤스캔방식
  4. 플라즈마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네온 전구의 배열을 사용한 화면표시장치는 플라즈마방식이다. 플라즈마방식은 각 픽셀을 작은 세포로 나누어 각 세포에 전기적인 충전을 가해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빛을 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방식은 모든 픽셀에 액세스 가능하며, 레스터 리프레쉬 방식과 랜덤스캔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화면을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DSU)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디지털 전송로에 사용한다.
  2. 신호 전송을 위해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친다.
  3.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해 클럭 추출회로가 있다.
  4. 선로에 한쪽 극성의 전압이 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에 한쪽 극성의 전압이 실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DSU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신호 전송을 위해 스크램블링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패턴화된 데이터를 무작위화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스크램블링은 데이터를 XOR 연산 등을 이용하여 무작위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교환기 중 국내에서 개발된 전전자교환기는?

  1. NO.5 ESS
  2. S1240
  3. AXE-10
  4. TDX-10
(정답률: 알수없음)
  • TDX-10은 한국 통신사 KT에서 개발한 전전자교환기로, 국내에서 개발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산업, 교육 등 한정된 목적이나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2. 송신 화상에서 수신 화상까지 동축케이블 외는 구성되지 않는다.
  3. 송신에서 수신 화상까지 무선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4. 공중파 수신안테나를 사용하여 지역에 구분없이 누구나 수신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CCTV는 보안 및 감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목적으로는 산업, 교육 등 한정된 장소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산업, 교육 등 한정된 목적이나 장소에서 주로 사용된다."가 가장 알맞은 설명입니다. CCTV는 송신 화상에서 수신 화상까지 동축케이블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무선으로만 구성되거나 공중파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지역에 구분없이 누구나 수신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팩시밀리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주사장치
  2. 동기장치
  3. 음극선 표시장치
  4. 광전 변환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팩시밀리 장치는 주사장치, 동기장치, 광전 변환장치와 같은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들을 포함하며, 음극선 표시장치는 아날로그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팩시밀리 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네트워크 장비 중 경로결정(Path Determination)과 스위칭(Switching) 기능을 가진 장비는?

  1. 허브(Hub)
  2. 라우터(Router)
  3. 버퍼(Buffer)
  4. 리피터(Repeater)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터는 경로결정과 스위칭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경로결정은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는데 어떤 경로를 거쳐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이고, 스위칭은 패킷을 수신한 포트와 목적지 포트를 연결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라우터는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음성과 화상을 결합하는 형태의 멀티미디어의 총칭을 AV(Audio Visual)라 한다. 시간 및 통신 형태에 따른 AV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실시간 영역의 User 대 User의 회화형 AV
  2. 실시간 영역의 User 대 Machine의 검색형 AV
  3. 비실시간 영역의 User 대 User의 Massaging형 AV
  4. 비실시간 영역의 Machine 대 Machine의 검색형 AV
(정답률: 알수없음)
  • 비실시간 영역의 Machine 대 Machine의 검색형 AV는 시간 형태에 따른 분류 중에서도 실시간 영역이 아닌 비실시간 영역에 속한다. 이는 기계 간 통신을 위한 검색형 AV로, 사용자가 아닌 기계 간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비실시간 영역의 Machine 대 Machine의 검색형 AV"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DMA 이동통신방식에서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지연왜곡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신단에서 여러 경로로 적당한 시간 만큼 지연시켜서 각 경로에서 복조된 신호들을 결합하는 방식은?

  1. 전력제어
  2. 레이크 수신기
  3. 등화기
  4. 인터리빙
(정답률: 알수없음)
  • CDMA 이동통신방식에서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지연왜곡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경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결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신단에서는 각 경로에서 복조된 신호들을 적절한 시간만큼 지연시켜서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레이크 수신기라고 합니다. 레이크 수신기는 CDMA 이동통신에서 다중경로 페이딩에 대한 해결책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전송 제어 장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정보의 직∙병렬 변환기능
  2. 메시지 분석기능
  3. 문자의 조립과 분해기능
  4. 입∙출력 제어 및 감시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 제어 장치의 주요 기능은 정보의 직∙병렬 변환, 문자의 조립과 분해, 입∙출력 제어 및 감시이다. 그러나 메시지 분석 기능은 전송 제어 장치의 기능이 아니다. 메시지 분석은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로 구현되며, 전송 제어 장치는 이러한 프로토콜 스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메시지 분석 기능은 전송 제어 장치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디오텍스의 기술방식 중 패턴방식이라고 하며, 팩시밀리와 같은 원리로 문자 및 그림정보를 미리 정의 형태로 분해하여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방식은?

  1. 알파모자이크 방식
  2. 알파지오메트릭 방식
  3. 알파뮤즈 방식
  4. 알파포토그래픽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포토그래픽 방식은 문자나 그림 정보를 미리 정의된 패턴으로 분해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팩시밀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단말기에서는 이러한 패턴을 조합하여 원래의 정보를 복원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비디오텍스의 패턴방식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컴퓨터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필름에 들어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는?

  1. CAM
  2. CAR
  3. COM
  4. OCR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 필름에 들어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장치는 "COM"이나 "OCR"이 될 수 있지만, 컴퓨터를 사용하여 검색하는 것이므로 "CAR"가 정답이다. "CAR"는 Computer-Assisted Retrieval의 약자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사용거리에 따른 모뎀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제한거리 모뎀
  2. 라인드라이버 모뎀
  3. 저속도 모뎀
  4. 장거리 모뎀
(정답률: 42%)
  • 답: "라인드라이버 모뎀"

    설명: "제한거리 모뎀"은 전송 거리가 제한된 모뎀, "장거리 모뎀"은 멀리 떨어진 장소와 통신하는 모뎀, "저속도 모뎀"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모뎀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라인드라이버 모뎀"은 사용거리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전기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모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AM 통신기기와 비교하여 FM 통신기기에만 사용되는 것은?

  1. 고역통과필터(HPF)
  2. 대역통과필터(BPF)
  3. 진폭 제한기(Limiter)
  4. 포락선 검파기
(정답률: 62%)
  • 진폭 제한기는 FM 통신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FM 신호가 진폭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폭 제한기는 FM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더욱 깨끗한 음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AM 통신에서는 진폭 변화가 덜 일어나기 때문에 진폭 제한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프레임검사시퀀스(FCS : Frame Check Sequence)의 검사범위가 아닌 것은?

  1. 시작 flag
  2. 주소부(A)
  3. 제어부(C)
  4. 정보부(I)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작 flag는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이며, FCS는 프레임의 끝에 위치한 오류 검사 코드이므로 검사범위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작 fla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CM 통신방식에서 부호화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표본화된 펄스에서 일정한 주기로 나타나는 진폭의 폭을 바꾸어 준다.
  2. 주기적으로 PAM 변조하여 나타난 파형으로 표시한다.
  3. 표본화된 펄스를 진폭의 크기에 따라 수개의 단위펄스의 유, 무 조합(1, 0 의 조합)으로 만든다.
  4. 양자화된 파형의 위치 및 폭을 일정한 크기의 진폭을 갖는 연속, 불연속 신호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CM 통신방식에서는 표본화된 펄스를 진폭의 크기에 따라 수개의 단위펄스의 유, 무 조합(1, 0 의 조합)으로 만들어 부호화한다. 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이진수로 표현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노이즈에 강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이 용이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QPSK 변조시 각 신호간의 위상차는 얼마인가?

  1. 45°
  2. 90°
  3. 135°
  4. 180°
(정답률: 알수없음)
  • QPSK 변조에서는 2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하므로, 4개의 가능한 심볼이 존재합니다. 이 심볼들은 각각 0°, 90°, 180°, 270°의 위상을 가지며,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00, 01, 10, 11이 됩니다. 이때, 인접한 두 심볼 간의 위상 차이는 90°이므로, 각 신호간의 위상차는 9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ISO에서 개발한 국제표준 프로토콜인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자방식의 프로토콜이다.
  2. 오류제어를 위해 Go-back-N ARQ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3. 사용하는 문자코드와 상관이 없으며 비트삽입(비트스터핑)에 의해 투명한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한다.
  4. 반이중 및 전이중 통신을 지원한다.
(정답률: 40%)
  • "문자방식의 프로토콜이다."가 틀린 것이다. HDLC는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데이터 신호속도 9600[bps]로 30분 전송 했을 때 수신측의 에러 비트수가 48[bit]라면 비트 에러율은 약 얼마인가?

  1. 1.67×10-5
  2. 1.67×10-6
  3. 2.78×10-5
  4. 2.78×10-6
(정답률: 알수없음)
  • 비트 에러율은 수신측에서 수신된 에러 비트 수를 전체 전송된 비트 수로 나눈 값이다. 전송된 비트 수는 9600[bps] × 30[min] × 60[s/min] = 16,128,000[bit] 이다. 따라서 비트 에러율은 48[bit] / 16,128,000[bit] = 2.97×10-6 이다. 가장 가까운 값은 "2.78×10-6" 이므로 정답은 "2.78×1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바이폴라 부호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0 은 0 레벨의 펄스로, 1 은 +A, -A의 두 가지 레벨의 펄스로 교대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2. 이 부호는 3원 부호로 보이지만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은 2원 부호와 동등하다.
  3. 직류성분이 포함되는 단점이 있다.
  4. 0 부호의 연속을 억압하는 기능이 없어 수신단에서 타이밍(timing) 추출에 어려움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부호는 3원 부호로 보이지만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은 2원 부호와 동등하다."가 해당되지 않는다. 바이폴라 부호는 2진 부호로, 0과 1 두 가지 레벨의 펄스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직류성분이 포함되는 단점은, 전송되는 신호에 직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수신측에서는 이를 필터링하여 제거해야 한다는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디지털 변조방식 중 동일한 신호대 잡음비에서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것은?

  1. 2진 FSK
  2. 2진 ASK
  3. 2진 DPSK
  4. 2진 PSK
(정답률: 알수없음)
  • 2진 PSK가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진 PSK는 위상 변조 방식으로, 0과 1을 각각 다른 위상으로 변조하여 전송합니다. 이 때,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기에서 받은 신호의 위상과 원래 보내려고 했던 위상을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합니다. 이 방식은 다른 변조 방식에 비해 오류 검출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류확률이 가장 낮습니다.

    반면, 2진 FSK는 주파수 변조 방식으로, 0과 1을 각각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 간격이 작을수록 오류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류 검출 능력이 떨어집니다.

    2진 ASK는 진폭 변조 방식으로, 0과 1을 각각 다른 진폭으로 변조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진폭이 작을수록 오류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류 검출 능력이 떨어집니다.

    2진 DPSK는 위상 차이를 이용한 변조 방식으로, 이전에 보냈던 비트와 현재 보내려는 비트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오류 검출 능력이 높지만, 오류 발생 시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의 위상 차이가 크면 오류 검출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오류확률이 가장 낮은 디지털 변조 방식은 2진 PS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인캡슐화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가 아닌 것은?

  1. 주소
  2. 에러 검출 부호
  3. 프로토콜 제어
  4. 유료부하
(정답률: 알수없음)
  • 인캡슐화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 중 "유료부하"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인캡슐화는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 주소, 에러 검출 부호, 프로토콜 제어 등의 정보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유료부하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하므로 인캡슐화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정합필터(Matched filter)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적분기와 곱셈기
  2. 미분기와 곱셈기
  3. 적분기와 덧셈기
  4. 미분기와 덧셈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합필터는 입력 신호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로, 주로 신호 검출에 사용됩니다.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입력 신호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는 신호를 만들어주는 "적분기"와 입력 신호와 적분된 신호를 곱해주는 "곱셈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적분기와 곱셈기"입니다. 미분기와 덧셈기는 정합필터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이동통신에서 전파가 여러 경로로 반사되어 수신점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수신점에서의 전계강도가 시간적으로 심하게 변동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도플러 효과
  2. 페이딩 현상
  3. 대척점 효과
  4. 델린저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가 여러 경로로 반사되어 수신점에 도달하게 되면, 각 경로에서 전파의 진폭과 위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상쇄하거나 강화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수신점에서의 전계강도가 시간적으로 심하게 변동되는데, 이를 페이딩 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중모드광섬유(Multi Mode Fiber)와 비교하여 단일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송대역이 광대역이다.
  2. 분산손실이 적다.
  3. 고속 대용량 전송에 적합하다.
  4. 단거리 전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모드 광섬유는 단거리 전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광섬유의 코어 직경이 작아서 광의 진행 방향이 한 방향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광섬유의 끝에서 광이 흩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광신호가 약해져서 전송 거리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단일모드 광섬유는 장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멀티모드 광섬유가 단거리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PCM-24B 시스템에서 하나의 음성채널을 PCM 방식으로 전송할 때의 채널 당 정보전송량은 몇 kbps 인가?

  1. 24
  2. 48
  3. 56
  4. 64
(정답률: 알수없음)
  • PCM-24B 시스템은 24비트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샘플당 정보전송량은 24비트가 된다. 또한, PCM 방식에서는 초당 샘플링 횟수에 따라 정보전송량이 결정된다. PCM-24B 시스템에서는 초당 8,000회의 샘플링이 이루어지므로, 채널 당 정보전송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4비트/샘플 × 8,000샘플/초 = 192,000비트/초

    이를 kbps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92,000비트/초 ÷ 1,000 = 192kbps

    따라서, PCM-24B 시스템에서 하나의 음성채널을 PCM 방식으로 전송할 때의 채널 당 정보전송량은 192kbps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선택지는 24, 48, 56, 64 kbps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64를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마이크로웨이브 무선통신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광 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2. 외부 잡음의 영향이 적다.
  3. 전파손실이 적다.
  4. 기상 조건에 따라 전송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웨이브는 고주파 전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파손실이 적고 외부 잡음의 영향도 적지만, 기상 조건에 따라 전송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이는 마이크로웨이브가 대기 중 수증기, 비, 눈 등의 수증기 상태에 따라 전파가 흡수되거나 반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상 조건에 따라 전송품질이 변할 수 있어서 이는 마이크로웨이브 무선통신의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광섬유 접속 작업 중 발생되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코어의 두께 차이로 인한 손실 발생
  2. 간격이 벌어짐으로 인한 손실 발생
  3. 절단되어 구부러짐으로 인한 손실 발생
  4. 단면이 불완전하여 손실이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때 광섬유의 코어(중심부)가 일정한 두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만약 코어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면 빛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손실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코어의 두께 차이로 인한 손실 발생"은 광섬유 접속 작업 중 발생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에러제어 방식 중 성질이 다른 하나는?

  1. 패리티 체크 방식
  2. 해밍 코드 방식
  3. BCH 코드 방식
  4. 콘보루션 코드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패리티 체크 방식"

    설명:

    - 해밍 코드, BCH 코드, 콘보루션 코드 방식은 모두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하지만 패리티 체크 방식은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정정은 불가능하다.
    - 패리티 체크 방식은 데이터의 일부분에 추가적인 비트를 붙여서 전체 비트 중에서 1의 개수가 짝수(짝수 패리티) 또는 홀수(홀수 패리티)가 되도록 만든 후, 수신 측에서는 전송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를 검사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 따라서 패리티 체크 방식은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정정은 불가능하다는 성질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송제어절차의 5단계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작순서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통신회선접속 → 링크설정 → 정보메시지전송 → 링크종결 → 통신회선의 절단
  2. 링크설정 → 통신회선접속 → 정보메시지전송 → 통신회선의 절단 → 링크종결
  3. 링크설정 → 통신회선접속 → 정보메시지전송 → 링크종결 → 통신회선의 절단
  4. 통신회선접속 → 링크설정 → 링크종결 → 정보메시지 전송 → 통신회선의 절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통신회선접속 → 링크설정 → 정보메시지전송 → 링크종결 → 통신회선의 절단" 입니다.

    전송제어절차의 5단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로, 먼저 통신회선에 접속한 후 링크를 설정합니다. 그 다음 정보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링크를 종결합니다. 마지막으로 통신회선을 절단합니다. 이렇게 5단계를 거쳐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RQ 방식이 아닌 것은?

  1. 정지-대기 ARQ
  2. 선택적 재전송 ARQ
  3. 불연속적 ARQ
  4. Go-back-N ARQ
(정답률: 알수없음)
  • 불연속적 ARQ는 실시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이전에 전송한 패킷의 ACK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전 패킷의 ACK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다음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패킷의 ACK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재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연속적 ARQ는 실시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며, 다른 ARQ 방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분할 방식 스위치 회로망을 사용하는 디지털 교환기가 CEPT (30 +2)PCM 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그 부호 속도는 몇 Mbps 인가?

  1. 1.544
  2. 2.048
  3. 6.312
  4. 8.192
(정답률: 알수없음)
  • CEPT (30 +2)PCM 방식은 32개의 시간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슬롯은 8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 프레임은 32 x 8 = 256비트가 됩니다. 이 프레임은 125마이크로초 동안 전송되므로, 부호 속도는 256비트 / 125마이크로초 = 2.048Mbp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손실 중 광섬유 케이블에서 야기되는 손실이 아닌것은?

  1. 유도 손실
  2. 흡수 손실
  3. 산란 손실
  4. 마이크로밴딩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 손실은 전기적인 신호가 광섬유 케이블 주변의 금속 또는 전기장치에 의해 유도되어 발생하는 손실이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아니다. 반면, 흡수 손실은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산란 손실은 광섬유 케이블 내부의 결함이나 부드러운 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마이크로밴딩 손실은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해밍코드에서 해밍비트를 구하는 식은? (단, n : 블럭 전체의 비트수, k : 데이터 비트수 m : 해밍 비트수, n = m + k 이다.)

  1. 2m ≤ n + 1
  2. 2m ≥ n + 1
  3. 2m ≤ n + 2
  4. 2m ≥ n + 2
(정답률: 64%)
  • 해밍코드에서 해밍비트의 개수는 데이터 비트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해밍비트의 개수 m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m + k ≤ 2^m

    여기서 k는 데이터 비트의 개수이고, n은 블럭 전체의 비트수이므로 n = m + k이다. 이를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m + (n - m) ≤ 2^m

    n ≤ 2^m - 1

    n + 1 ≤ 2^m

    따라서, 2^m ≥ n + 1이 성립하게 된다. 이는 해밍코드에서 해밍비트의 개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2진수의 1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게이트는?

  1. AND
  2. NOT
  3. OR
  4. EX-OR
(정답률: 알수없음)
  • 2진수의 1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 비트를 반전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NOT 게이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NOT 게이트는 입력값을 반전시켜 출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O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기억 용량을 두 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2. 주기억장치를 보조기억장치로 대치시킬 수 있다.
  3. 프로그램의 총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 평균 액세스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캐시 메모리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곳으로, 이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면 CPU가 데이터를 가져오는 시간이 줄어들어 프로그램의 총 실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SRAM의 용량이 1024byte 일 경우 필요한 어드레스선의 개수는 몇 개인가? (단, 데이터선은 8선이다.)

  1. 4
  2. 9
  3. 10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SRAM의 용량이 1024byte 이므로, 1byte는 8bit이다. 따라서 SRAM은 총 1024 x 8 = 8192bit 이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3개의 어드레스선이 필요하다. (2^13 = 8192) 그러나 문제에서는 데이터선이 8선이므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8bit이다. 따라서 SRAM의 용량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8192bit를 8bit로 나누면 1024가 된다. 즉, SRAM의 용량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으로 나누어 주면 1024개의 어드레스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중앙처리장치(CPU)가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가져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nterrupt cycle
  2. Fetch cycle
  3. Execute cycle
  4. Bus request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처리장치가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가져오는 것을 Fetch cycle이라고 한다. 이는 CPU가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는 단계로, 인스트럭션을 메모리에서 읽어와 CPU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부동 소수점 수가 기억장치 내에 있을 때, 비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은?

  1. 부호(Sign)
  2. 지수(Exponent)
  3. 가수(Mantissa)
  4. 소수점(P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소수점은 부동 소수점 수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기억장치 내에 저장될 때는 실제로 비트를 차지하지 않습니다. 소수점은 단순히 가수와 지수 사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호일 뿐이며, 이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비트를 필요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수점(Poi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내에 기억시켜 놓고 동시에 실행하도록 하는 방식은?

  1. batch processing
  2. off-line processing
  3. multiprogramming
  4. multidata processing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보기 중에서 "multiprogramming"은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내에 기억시켜 놓고 동시에 실행하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batch processing"은 일괄 처리를 의미하며, "off-line processing"은 오프라인 처리를 의미합니다. "multidata processing"은 다중 데이터 처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속도가 가장 빠른 장치는?

  1. 레이저프린터
  2. 라인프린터
  3. 자기디스크
  4. X-Y 플로터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디스크가 속도가 가장 빠른 이유는 데이터를 읽고 쓰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자기디스크는 회전하는 디스크 위에 자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읽어들이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에 비해 레이저프린터와 라인프린터는 출력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며, X-Y 플로터는 그래프나 도형을 그리는 데에는 빠르지만, 데이터 처리 속도는 자기디스크보다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Self Complement Code는 무엇인가?

  1. 8421 Code
  2. Excess 3 Code
  3. Gray Code
  4. 5421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Self Complement Code는 자기 보수 코드를 의미하며, 어떤 수의 9의 보수와 같은 수를 더하면 10의 보수가 되는 코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6의 Self Complement Code는 3이 된다.

    하지만 Excess 3 Code는 8421 코드와는 달리 3을 더한 값을 이진수로 나타낸 코드이다. 이 코드는 4비트 이진수를 사용하며, 0부터 9까지의 10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코드의 장점은 연산이 간단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와 3을 더할 때, 각각의 Excess 3 Code를 더하고, 그 결과에 0011을 더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5의 Excess 3 Code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Excess 3 Cod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과 명령의 번지 부분을 더해서 유효 번지가 결정되는 주소 지정 방식은?

  1. 상대 번지 모드
  2. 직접 번지 모드
  3. 인덱스 번지 모드
  4. 베이스 레지스터 번지 모드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 번지 모드는 프로그램 카운터(PC)의 내용과 명령의 번지 부분을 더해서 유효 번지를 결정하는 주소 지정 방식이다. 이 방식은 명령어가 위치한 상대적인 주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대적인 주소를 사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위치를 변경해도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순서도를 작성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코딩(coding)의 기초 자료가 된다.
  2. 프로그램의 개요를 타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 에러의 수정이나 프로그램의 수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4.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코딩(coding)의 기초 자료가 된다."

    순서도를 작성하는 목적은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개요를 타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에러의 수정이나 프로그램의 수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기능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IDE(통합 개발 환경)에서 제공하는 디버깅 기능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따라서, 순서도를 작성하는 목적은 에러의 수정이나 프로그램의 수정을 자동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기본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때 미리 관계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할 사항은?

  1.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전기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사항을 미리 관계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통신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위해 관계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정보통신공사의 설계∙감리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감리원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에 적합하도록 공사를 감리하여야 한다.
  2. 발주자는 용역업자에게 공사의 설계를 발주하여야 한다.
  3. 발주자는 감리업협회에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한다.
  4. 공사업자와 용역업자가 친족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당해 공사에 관하여 공사와 감리를 함께 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발주자는 감리업협회에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한다."

    이유: 발주자는 감리업자를 선택할 수 있지만, 감리업협회에 감리를 발주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기술기준
  2. 전용회선
  3. 통신규약
  4. 안전대책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프로토콜"이라는 단어와 함께 다양한 통신 규약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통신규약"인 이유는, 이미지에서 나열된 것이 다양한 통신 규약들의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영능력
  2. 기술능력
  3. 자본금
  4. 사무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 중에서 "경영능력"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기술능력, 자본금, 사무실 등과는 달리 회사의 경영 능력과 관련된 요소로서, 등록 기준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관련 벌칙이 가장 엄한 경우는?

  1. 부정한 방법으로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하고 정보통신공사업을 영위한 경우
  2. 감리원이 아닌 자에게 감리를 하게 한 경우
  3. 타인의 경력수첩을 대여 받아 이를 사용한 경우
  4. 정보통신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정한 방법으로 정보통신공사업 등록을 하고 정보통신공사업을 영위한 경우"가 가장 엄한 벌칙인 이유는, 이는 정보통신공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합법적으로 등록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정보통신분야에서의 경쟁을 왜곡시키고, 소비자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벌칙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정보통신공사의 하도급에 관하여 사실과 다른 사항은?

  1. 공사업자가 도급받은 공사 중 그 일부를 다른 공사업자에게 하도급할 때에는 당해 공사의 발주자로부터 서면에 의한 승낙을 얻어야 한다.
  2. 하수급인과 하도급받은 공사의 시공에 있어서는 발주자에 대하여 수급인과 동일한 의무를 진다.
  3. 공사업자가 하도급할 수 있는 공사의 내용과 범위 등은 정보통신부령으로 정한다.
  4. 발주자가 공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사업자는 도급받은 공사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여 다른 공사업자에게 하도급할 수 있다.
(정답률: 10%)
  • 정보통신부령에서는 공사업자가 하도급할 수 있는 공사의 내용과 범위 등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벗어나는 하도급은 불법이다. 따라서 공사업자는 정보통신부령에 따라 하도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발주자로부터 승낙을 받아야 한다. 또한 하수급인과 하도급받은 공사의 시공에 있어서는 발주자에 대하여 수급인과 동일한 의무를 진다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의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를 말하는 것은?

  1. 정보통신망
  2. 정보통신설비
  3. 전송설비
  4. 컴퓨터통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망은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수신하는 체제를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정보통신설비, 전송설비, 컴퓨터통신은 정보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일 뿐, 정보통신망 전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가 반드시 시공하여야 하는 공사가 아닌 것은?

  1. 종합유선방송전송선로 설비 등 구내통신설비공사
  2. 무선가입자망설비(WLL) 등 고정무선통신설비공사
  3. 전방향표식(VOR)설비 등 항공∙항만통신설비공사
  4. 기간통신사업자가 허가받은 역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공하는 공사
(정답률: 40%)
  • 정답: "기간통신사업자가 허가받은 역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시공하는 공사"

    해설: 기간통신사업자가 허가받은 역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업무에 필요한 설비를 시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정보통신공사업자가 반드시 시공해야 하는 공사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정보통신공사업자가 시공해야 하는 공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정보의 수집∙가공∙저장∙검색∙송신∙수신 및 그 활용과 이에 관련되는 기기∙기술∙역무 기타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과 수단"으로 정의되는 것은?

  1. 정보화
  2. 정보통신
  3. 전기통신
  4. 정보자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은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하고 이를 활용하는 기술과 업무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정보화를 촉진하고, 기기와 기술을 개발하여 정보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정보통신이 가장 정확한 정의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공공복리의 증진
  2. 정보통신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
  3. 정보통신공사의 조사∙설계∙감리 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
  4. 정보통신공사의 적정한 시공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법의 목적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공공복리의 증진"입니다. 이유는 이 법은 정보통신공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정보통신공사의 조사∙설계∙감리 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며, 정보통신공사의 적정한 시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공복리의 증진"은 이 법의 목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