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9-02)

정보통신기사(구)
(2007-09-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논리회로의 출력(Y)은?

  1. Y = A+B+C+D+E+F+G
  2. Y = ABCDEFG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 B, C, D, E, F, G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OR 게이트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Y = A+B+C+D+E+F+G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 는 AND 게이트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Y = ABCDEFG" 는 입력값들이 모두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AND 게이트들이 연결되어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므로, 이 문제와도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전압 증폭도는? (단, R1=1[㏁], R2=2[㏁]이다.)

  1. 1
  2. 2
  3. 3
  4. 5
(정답률: 42%)
  • 입력 신호가 R1을 통해 기준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후 R2를 통해 출력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므로, 입력 신호가 R1을 통해 기준 전압으로 변환될 때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R1과 R2가 연결된 전압 분배 회로에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전압 증폭도는 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R1과 R2의 값이 주어졌으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3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6개의 플리플롭으로 구성된 상향계수기(upcounter)의 모듈러스와 이 계수기로 계수할 수 있는 최대계수는?

  1. 모듈러스 : 5, 최대계수 : 63
  2. 모듈러스 : 6, 최대계수 : 64
  3. 모듈러스 : 63, 최대계수 : 64
  4. 모듈러스 : 64, 최대계수 : 63
(정답률: 알수없음)
  • 6개의 플리플롭으로 구성된 상향계수기는 2진수로 6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계수기로 계수할 수 있는 최대값은 2^6 - 1 = 63입니다.

    모듈러스는 계수기가 돌아가는 주기를 결정하는 값으로, 계수기가 0부터 시작해서 모듈러스 값에 도달하면 다시 0부터 시작합니다. 따라서 모듈러스 값은 계수기가 계수할 수 있는 최대값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모듈러스 : 64, 최대계수 : 63"이 정답인 이유는, 계수기가 0부터 시작해서 63까지 계수할 수 있고, 모듈러스 값이 64이므로 계수기가 64에 도달하면 다시 0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듈러스 값이 최대계수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므로, "모듈러스 : 64, 최대계수 : 6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렬전압 궤환증폭기의 입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때와 비교하면 어떠한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변함없다.
  4. 증가하다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렬전압 궤환증폭기는 궤환이 없을 때보다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이는 궤환의 존재로 인해 입력 신호가 반사되어 다시 입력 신호와 상호작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스위칭 트리거 회로에서 SW를 OFF 시킬 때 C 에 충전시 시정수는 몇 ㎳ 인가? (단, R1 = 100Ω, R2 = 10㏀, C = 3.3㎌, IC의 입력임피던스는 무한대라 가정한다.)

  1. 0.33
  2. 3.3
  3. 33
  4. 330
(정답률: 알수없음)
  • SW가 OFF되면 R2와 C가 직렬로 연결되어, RC 시간상수에 따라 C가 충전된다. RC 시간상수는 R2C 이므로, 10㏀ × 3.3㎌ = 33㎳ 이다. 따라서, C에 충전되는 시정수는 3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과 같은 정 논리회로의 게이트 기능은?

  1. NOR
  2. NOT
  3. NAND
  4. AND
(정답률: 알수없음)
  • 입력 A와 B가 둘 다 1일 때, 오른쪽의 AND 게이트는 출력이 1이 되어 왼쪽의 NOT 게이트로 들어가게 됩니다.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이면 0을 출력하므로, 출력값은 0이 됩니다. 나머지 경우에는 AND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므로, NOT 게이트의 입력은 모두 1이 됩니다. 이제 NOT 게이트는 입력이 1이면 0을 출력하므로, 출력값은 0이 아닌 1이 됩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를 제외하고는 모두 1을 출력하므로, 이 회로는 NAND 게이트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A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회로에서 Re 의 값이 매우 커서 Rb/Re 값이 0에 접근하 때 안정도 S는 어떤 값에 가까워 지는가?

  1. 0
  2. 1
  3. β
(정답률: 알수없음)
  • Rb/Re 값이 0에 접근하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가 매우 작아지게 되어 안정도 S는 ∞에 가까워진다. 이는 Re가 매우 커서 증폭기의 출력 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 아닌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저임피던스 부하에서 고전류이득을 얻으려 할 때 사용되는 증폭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베이스 접지
  2. 컬렉터 접지
  3. 이미터 접지
  4. C급 증폭
(정답률: 34%)
  • 컬렉터 접지는 저임피던스 부하에서 고전류이득을 얻기에 적합한 증폭 방식입니다. 이는 컬렉터와 전원 사이에 부하를 연결하고, 베이스와 에미터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압 증폭 효과가 높고, 안정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저임피던스 부하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출력 Vo[V]는? (단, V1 = 10[V], V2 = 10.5[V])

  1. 10
  2. 5.2
  3. 1.4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V1과 V2의 차이가 0.5[V]이므로, 출력 신호도 이에 비례하여 증폭됩니다. 따라서 출력 Vo는 0.5[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저항이 2[㏁] 이고, 콘덴서 1[㎌] 인 회로에서 출력전압 Vo 에 대한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회로는 RC 회로로, 출력전압 Vo는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 Q와 저항 R을 통해 결정된다. 따라서 Vo는 Q/C = Vi/R*C 에 비례하며, R*C 값이 작을수록 Vo는 높아진다. 따라서 R*C 값이 2*10^-3 이므로, Vo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불 대수식 를 간단히 할 경우 옳은 것은?

  1. 1
  2. A
  3. B
  4. 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

    이유:

    불 대수식을 간단히 하면 다음과 같다.



    - AB + AC = A(B+C) (분배 법칙)

    따라서, 불 대수식 는 A(B+C)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회로에서 점선안의 회로를 부착해서 얻어지는 효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힌다.
  2. 전압이득이 감소된다.
  3. 비직선 왜곡이 감소된다.
  4.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설명: 점선 안의 회로는 부하 저항을 추가하는 것으로, 이는 출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면 신호 전달에 있어서 부하와의 매칭이 더 어려워지므로,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히는 것보다는 오히려 좋지 않은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면 전압이득이 감소되고, 비직선 왜곡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공간 전하용량이 달라지는 다이오드는?

  1. Zener Diode
  2. LCD
  3. Tunnel Diode
  4. Varactor Diode
(정답률: 알수없음)
  • Varactor Diode는 바이어스 전압에 따라 pn 접합의 전위차가 변화하여 공간 전하용량이 달라지는 다이오드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주파수 변조, 주파수 선택, 주파수 고정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송파와 변조파 주파수가 각각 일정한 경우, 다음의 각 변조지수로 FM 변조를 할 때 가장 양호한 신호대 잡음비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는?

  1. 0.4
  2. 0.5
  3. 1.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FM 변조에서 신호대 잡음비는 변조 지수에 영향을 받는다. 변조 지수가 클수록 신호대 잡음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양호한 신호대 잡음비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는 변조 지수가 가장 큰 "5.0" 인 경우이다. 이는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 변화량이 반송파와 변조파 주파수의 차이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잡음에 민감하지 않고 신호가 잘 들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과 같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출력(Vo)의 펄스폭 τ[sec]은?

  1. τ = C2R2 In 10
  2. τ = R1R2 In 2
  3. τ = C2R2 In 2
  4. τ = C2R1 In 10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오드 D1이 conducing 상태일 때, C2가 방전되면서 R2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 C2의 전압은 지수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 감소율을 결정하는 상수가 시간상수 τ입니다. 따라서 τ는 C2와 R2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그리고 다이오드 D2가 conducing 상태가 되면, C1가 방전되면서 R1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때도 C1의 전압은 지수적으로 감소하며, 이 감소율을 결정하는 상수가 시간상수 τ입니다. 따라서 전체 펄스폭은 두 시간상수의 합인 2τ가 됩니다. 로그함수의 밑이 2이므로, In 2를 곱해주면 최종적으로 τ = C2R2 In 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비안정, 쌍안정 동작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1. 결합회로의 구성
  2. 전원전압의 크기
  3.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4. 전원전류의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단안정, 비안정, 쌍안정 동작은 결합회로의 구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결합회로의 구성에 따라서 피드백 회로의 강도와 주파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 모드가 달라집니다. 전원전압의 크기,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 전원전류의 크기는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합회로의 구성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카르노도를 간략화 한 결과는?

(정답률: 40%)
  • 카르노도는 불필요한 항목을 제거하여 논리식을 간략화하는 방법이다. ""은 논리식을 가장 간략하게 만들어주는 항목이다. 이는 두 개의 변수가 모두 반대로 되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발진기의 출력 주파수가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발진기는?

  1. Hartley
  2. VCO
  3. Colpitts
  4. X-Tal
(정답률: 알수없음)
  • VCO는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의 약자로,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출력 주파수가 변하는 발진기입니다. 따라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변하는 VC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에서 전달 함수 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 함수는 입력값을 그대로 출력하는 항등 함수이다. 따라서 입력값과 출력값이 동일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24개의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한 개의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려고 한다. T 플리플롭을 이용할 경우 몇 개가 필요한가?

  1. 4
  2. 6
  3. 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T 플리플롭은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1024개의 입력 펄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1024개의 T 플리플롭이 필요하다. 이때, T 플리플롭의 개수는 2의 거듭제곱수인 2^n개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1024은 2^10과 같다. 따라서, 10개의 T 플리플롭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CATV 기술을 이용한 광대역 LAN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Star형
  2. Tree형
  3. Ring형
  4. Mesh형
(정답률: 알수없음)
  • CATV 기술은 케이블 TV 기술로, 주로 Tree형 토폴로지를 사용합니다. 이는 중앙의 허브에서 여러 개의 가지로 나뉘어져 있는 구조로, 각 가지는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CATV 기술은 이러한 Tree형 구조를 이용하여 광대역 LAN을 구성하며, 각 노드들은 케이블 TV 셋탑박스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합니다. 따라서 Tree형 토폴로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패킷형태 단말과 패킷교환망간의 제어절차를 규정한 것은?

  1. V.24
  2. X.21
  3. X.25
  4. X.400
(정답률: 100%)
  • 패킷형태 단말과 패킷교환망간의 제어절차를 규정한 것은 X.25입니다. X.25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패킷의 전송과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통신전송로의 요구되는 특성이나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손실성
  2. 접속의 임의성
  3. 고신뢰성
  4. 광대역성
(정답률: 64%)
  • 통신전송로의 요구되는 특성이나 조건 중에서 "접속의 임의성"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통신전송로가 어디에서든지 자유롭게 접속 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성질들은 통신전송로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특성들이지만, 접속의 임의성은 선택적인 특성으로서, 특정한 상황에서만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이 확장되거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새로운 장비나 회선을 추가하거나 기존의 장비나 회선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접속의 임의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작업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전송로의 요구되는 특성이나 조건 중에서도 접속의 임의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HDLC 전송제어 절차에서 프레임의 구조로서 잘못 나타낸 것은?

  1. 시작 플래그 : 8비트
  2. 주소 : 8비트(확장 가능)
  3. FCS : 8비트
  4. 종결 플래그 : 8비트
(정답률: 알수없음)
  • HDLC 전송제어 절차에서 프레임의 구조로서 잘못 나타낸 것은 없습니다.

    FCS는 Frame Check Sequence의 약자로, 전송된 프레임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값입니다. HDLC에서 FCS는 일반적으로 16비트 또는 32비트로 구성되지만, 문제에서는 8비트로 잘못 표기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CS : 8비트"가 아닌 "FCS : 16비트 또는 32비트"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FCS는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CRC (Cyclic Redundancy Check) 값을 계산하여 추가하는 것으로, 이 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FCS의 비트 수가 작을수록 오류 검출 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디지털 계위(Hierarchy)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북미방식의 24ch, 1.544[Mbit/s]를 기준
  2. 북미방식의 30ch, 2.048[Mbit/s]를 기준
  3. 유럽방식의 24ch, 2.048[Mbit/s]를 기준
  4. 유럽방식의 30ch, 1.544[Mbit/s]를 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계위 구성에서는 통신 회선의 속도와 채널 수에 따라 계층을 나누어 관리한다. 이 중 북미와 유럽에서 사용하는 통신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규격에 맞게 계위 구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북미방식과 유럽방식 중 어떤 규격을 기준으로 하는지가 중요한데, 이를 표시하기 위해 "북미방식의 24ch, 1.544[Mbit/s]를 기준"이라고 명시한 것이다. 이 규격을 기준으로 하면, 다른 규격에 대한 계위 구성도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더넷(Ethernet) LAN에 적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방식은?

  1. Token Ring
  2. CSMA/CD
  3. CDMA/CD
  4. FDDI
(정답률: 40%)
  • 이더넷 LAN에서는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는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충돌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데이터 전송에 융통성이 있고 메시지가 짧은 경우에 가장 유리한 방식은?

  1. 회선 교환방식
  2.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
  3. 메시지 교환방식
  4.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전송에 융통성이 있고 메시지가 짧은 경우에는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이 가장 유리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패킷만 재전송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전송 시간이 단축되고, 여러 개의 패킷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 융통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RC(Cyclic Redundancy Check)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문자단위 전송에서 응용하기 적합하다.
  2. 패리티 검사코드의 일종인 순환코드를 이용한다.
  3. 집단성 에러도 검출이 가능하다.
  4. CRC-12, CRC-16 등의 생성 다항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RC 방식은 문자단위 전송에서 응용하기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CRC 방식은 비트단위 전송에서 주로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방식은 패리티 검사코드의 일종인 순환코드를 이용하며, 집단성 에러도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CRC-12, CRC-16 등의 생성 다항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트(bit)방식 전송 프로토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BSC
  2. SDLC
  3. HDLC
  4. LAP-B
(정답률: 알수없음)
  • BSC는 비트(bit) 방식 전송 프로토콜에 속하지 않는다. BSC는 문자(character) 방식 전송 프로토콜로, 문자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에 SDLC, HDLC, LAP-B는 모두 비트(bit) 방식 전송 프로토콜로,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상단말(Virtual Terminal)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실제단말의 기능을 추상화, 일반화하여 정의한 표준 기능을 갖는 단말이다.
  2. 이기종간 통신을 대상으로 하는 OSI에 적용된다.
  3. 가상단말 기능은 일종을 프로토콜 서비스이다.
  4. 세션계층 프로토콜에서 채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션계층 프로토콜에서 채용되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가상단말은 세션계층이 아닌 응용계층에서 채용되고 있습니다. 가상단말은 실제 단말의 기능을 추상화, 일반화하여 정의한 표준 기능을 갖는 단말이며, 이기종간 통신을 대상으로 하는 OSI에 적용됩니다. 가상단말 기능은 일종의 프로토콜 서비스이며, 응용계층에서 채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광통신시스템에서 파장분할 다중화방식(WDM)을 사용하는 가장 큰 장점은?

  1. 전송거리가 길어진다.
  2. 전송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3. 광수신기의 특성이 좋아진다.
  4. 전송손실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WDM은 여러 개의 광 파장을 하나의 광섬유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용량을 크게 할 수 있습니다. 즉, 한 번에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송속도가 빨라지고 전송용량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50개국을 망형으로 구성할 경우 필요한 중계 회선수는?

  1. 25
  2. 49
  3. 1200
  4. 1225
(정답률: 64%)
  • 50개국을 망형으로 구성할 경우, 각 국가는 다른 49개의 국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계 회선의 수는 49+48+47+...+2+1로 계산됩니다. 이를 등차수열의 합 공식에 따라 계산하면 122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보통신을 위한 펄스변조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M
  2. PCM
  3. ADPCM
  4. FM
(정답률: 알수없음)
  • FM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며, 펄스 변조 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DM은 직접 변조 방식, PCM과 ADPCM은 직접 부호화 방식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9600[baud]를 갖는 모뎀에서 2개의 비트가 1개의 신호로 변조되었을 때 초당 전송속도[bps]는?

  1. 19200
  2. 4800
  3. 9600
  4. 2400
(정답률: 알수없음)
  • 9600 baud는 초당 9600개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개의 비트가 1개의 신호로 변조되었으므로, 전송속도는 9600/2 = 4800 bp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이 되어야 합니다. "19200"은 보기에 없는 값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데이터링크 계층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종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1. Bridge
  2. Repeater
  3. Router
  4. Brouter
(정답률: 알수없음)
  • Bridge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장치들을 연결하여 트래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종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B-ISDN 서비스 유형 B를 지원하며 가변비트율(VBR)의 연결형 패킷 영상 및 패킷 오디오 서비스에 적합하게 개발된 ATM 적응계층(AAL) 프로토콜은?

  1. AAL-1
  2. AAl-2
  3. AAL-4
  4. AAL-5
(정답률: 알수없음)
  • AAL-2 프로토콜은 가변비트율(VBR)의 연결형 패킷 영상 및 패킷 오디오 서비스에 적합하게 개발된 ATM 적응계층(AAL) 프로토콜 중 유일하게 B-ISDN 서비스 유형 B를 지원하기 때문에 정답은 AAL-2입니다. AAL-1은 고정비트율(CBR) 서비스에 적합하며, AAL-4와 AAL-5는 가변비트율(VBR)의 연결형 및 비연결형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광대역 ISDN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TM 셀 전송에 기반을 둔 통계적 다중화 방식의 가상 채널을 사용한다.
  2. VPI는 정보전송을 위한 가상 경로 식별자이다.
  3. ATM 셀의 전체는 48 바이트이고 처음 5바이트는 헤더이다.
  4. 회선교환망과 패킷교환망의 장점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ATM 셀의 전체는 48 바이트이고 처음 5바이트는 헤더이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ATM 셀은 48바이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중 처음 5바이트는 헤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프로토콜의 기능 중 흐름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의 기능
  2. 하나의 통신로를 다수의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
  3. 송 ㆍ 수신하는 두 기기간의 처리속도에 따라 통신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4. 통신개시에 앞서 데이터 링크를 설정하고 순서에 맞는 전달제어 및 오류제어를 설정하는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송ㆍ수신하는 두 기기간의 처리속도에 따라 통신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은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의 손실이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FDDI 프로토콜은 OSI 계층의 어느 프로토콜과 관련되는가?

  1. 세선계층, 응용계층
  2.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3. 전송계층, 네트워크계층
  4. 데이터링크계층, 전송계층
(정답률: 19%)
  • FDDI 프로토콜은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과 관련되어 있다. FDDI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링크계층에서 프레임을 생성하고 전송한다. 또한, FDDI는 물리적인 링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물리계층에서도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이동통신 채널의 특성 중 디지털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각각의 전파경로 길이가 다르므로 인해 수신기에 도달되는 시간이 달라 수신 데이터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은?

  1. 지연 분산(Delay Spread)
  2. 인접채널 및 동일 채널 간섭현상
  3. 누화 현상
  4. 도플러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 각각의 전파경로 길이가 다르므로 인해 수신기에 도달되는 시간이 달라지는데, 이 때문에 수신 데이터 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지연 분산(Delay Spread)이라고 합니다. 이는 인접채널 및 동일 채널 간섭현상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누화 현상은 신호가 전파되면서 에너지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하며, 도플러 현상은 이동하는 물체에 의해 전파주파수가 변화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변복조에서 심벌 간의 간섭, 다경로확산, 첨가잡음 및 페이딩에 의한 왜곡이 생겨서 수신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은?

  1. 대역여파기
  2. 디스크램블러
  3. 등화기
  4. 채너디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등화기는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등화기는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고, 신호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왜곡을 보상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화기가 데이터 전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지털 교환기의 TS(Time Switch)의 구성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통화메모리
  2. 제어메모리
  3. 카운터
  4. 디코더
(정답률: 알수없음)
  • TS(Time Switch)는 시간에 따라 교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로는 통화메모리, 제어메모리, 카운터 등이 있다. 그러나 디코더는 TS의 구성 요소로 적합하지 않다.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회로로, TS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PC와 전화기 간에 인터넷 음성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Telnet
  2. FTP
  3. IPv6
  4. VoI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oIP"입니다. VoI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PC와 전화기 간에 인터넷 음성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VoIP입니다.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IPv6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의 다음 버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통신제어 장치의 통신접속 기능으로서 분기회선에서 복수개의 단말이 1개의 통화회선을 공유하는 경우에 복수의 논리적인 통신회선을 설정하는 기능은?

  1. 통신방식제어
  2. 제어정보의 식별
  3. 다중접속제어
  4. 흐름 및 우선권 제어
(정답률: 54%)
  • 다중접속제어는 분기회선에서 복수개의 단말이 1개의 통화회선을 공유하는 경우에 복수의 논리적인 통신회선을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단말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으며, 각 단말의 우선순위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중접속제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ATV의 구성요소 중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채널의 방송신호를 중간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조정한 수 VHF대로 재변환하여 중계전송망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헤드 엔드
  2. 중계 전송망
  3. 원격조정기
  4. 가입자 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헤드 엔드는 CATV의 구성요소 중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각 채널의 방송신호를 중간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조정하고, 이를 다시 VHF대로 재변환하여 중계전송망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CATV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로, 수신한 신호를 적절하게 처리하여 가입자들에게 고품질의 방송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헤드 엔드는 CATV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개인용 컴퓨터를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구사항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CPU 등 고속 처리능력
  2. 대용량의 외부기억장치
  3. 영상정보의 고압축 기능
  4. 레이저 프린터 인터페이스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저 프린터 인터페이스 기능은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사용하는 데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컴퓨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를 사용할 때 필요한 기능으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사용하는 데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관계가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포트(port) 공동이용기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변복조기 공동이용기에 대체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2. 컴퓨터 포트의 비용을 절감한다.
  3. 컴퓨터와 모뎀사이에 설치한다.
  4. 단말기의 설치장소가 컴퓨터의 설치장소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말기의 설치장소가 컴퓨터의 설치장소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는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포트 공동이용기는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설치되며, 단말기의 연결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단말기의 설치 위치도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일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1. DNS(Domain Name Server)
  2. PPP(Point To Point Protocol)
  3.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er)
  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정답률: 알수없음)
  • RADIUS는 원격 인증 및 계정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ISP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일괄 관리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PPP는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SNMP는 네트워크 장비의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비디오텍스 통신시스템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회화형 화상정보통신이다.
  2. 단방향성 정보전달 서비스이다.
  3. 전용통신망을 사용한다.
  4. 비디오폰과 유사한 가입자 전용 통화장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디오텍스 통신시스템은 회화형 화상정보통신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양방향으로 대화하며 화상통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방향성 정보전달 서비스이다."와 "비디오폰과 유사한 가입자 전용 통화장치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또한, 전용통신망을 사용한다는 것은 비디오텍스 통신시스템이 고속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파전파의 경로 상 여러 요소의 영향 때문에, 수신전계강도에 시간적 강약의 변동이 발생하는 페이딩 wd에서 대류권파의 페이딩에 해당하는 것은?

  1. 편파성 페이딩
  2. 흡수성 페이딩
  3. 도약(Skip) 페이딩
  4. 신틸레이션 페이딩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류권은 고도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며, 이로 인해 전파의 속도와 방향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전파가 지나가는 경로 상에서 파동의 강약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를 대표적으로 신틸레이션 페이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틸레이션 페이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채널에 시간폭을 할당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지능 다중화기
  2.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
  3. 역 다중화기
  4.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역 다중화기는 데이터를 받는 측에서 각 채널에 대한 시간폭을 할당하는 방식이 아니라, 송신 측에서 각 채널에 대한 시간폭을 미리 할당해놓고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으로 시간폭을 할당하는 방식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서비스 지역 내의 통화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기지국의 채널 증서
  2. 대기 이론의 적용
  3. 동적 주파수 할당
  4. 대규모 셀의 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대규모 셀의 구성은 서비스 지역 내의 통화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대규모 셀의 구성은 기지국의 수를 줄이고, 각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을 넓히는 방법으로, 통화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의 수를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대규모 셀의 구성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날로그 전송과 비교하여 디지털 전송의 특징이 아닌것은?

  1. 원거리 전송시에 증폭기가 필요하다.
  2. PSDN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한다.
  3. 아날로그 전송보다 수십 ~ 수백배 이상의 빠른 전송 속도를 갖는다.
  4. 고품질의 전송서비스를 보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거리 전송시에 증폭기가 필요하다."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와 달리 전송 거리가 먼 경우에는 신호가 약해져서 수신측에서 신호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증폭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특정자 상호간을 연결한 TV에 의한 통신 시스템으로 특정 대상에 대해 VTR 또는 자체 스튜디오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1. HDTV
  2. CATV
  3. CCTV
  4. STV
(정답률: 알수없음)
  •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특정자 상호간을 연결한 TV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시스템은 특정 대상에 대해 VTR 또는 자체 스튜디오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CCTV가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MHS(Message Handling System)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AU(Access Unit) : 메시지 에러제어 기능
  2. MTA(Massage Transfer Agent) : 메시지 전송 기능
  3. UA(User Agent) : 사용자 대응 기능
  4. MS(Message Store) : 메시지 축적의 사서함 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AU(Access Unit)는 메시지 에러제어 기능이 아니라 메시지에 접근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AU는 MHS와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메시지 라우팅, 보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화기의 신호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전화기는 3개의 교류주파수의 조합으로 숫자신호를 구성한다.
  2. 다이얼 접속률은 전류가 흐르는 시간(a), 전류가 절단되는 시간(b)이라 할 때 a/(a+b) 이다.
  3. 푸시버튼 다이얼(Push button dial)은 저주파군(A군) 고주파군(B군)으로 나누며 버튼을 누를 경우 규정된 발진주파수를 송출한다.
  4. 다이얼의 3요소란 임펄스속도, 접속율, 최소단락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전화기는 3개의 교류주파수의 조합으로 숫자신호를 구성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디지털 전화기는 교류주파수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숫자신호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신호는 0과 1의 이진수로 표현되며, 이진수의 조합으로 숫자, 문자, 음성 등을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수신기의 성능 측정 변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도(Sensitivity)
  2. 선택도(Selectivity)
  3. 안정도(Stability)
  4. 신뢰도(Reliability)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도는 수신기의 성능 측정 변수가 아니라, 시스템이나 장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신뢰도(Reliabil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능형 교통시스템을 위한 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통행료 자동지불시스템, 주차장 관리, 물류 배송관리, 주유소 요금 지불, 자동차 쇼핑, 자동차 도선료 등 다방면에서 활용되는 단거리 통신은?

  1. DSRC
  2. GPS
  3. SDR
  4. Wibro
(정답률: 알수없음)
  • DSRC는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전용 단거리 통신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 기술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과 인프라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교통시스템에서 통행료 자동지불, 주차장 관리, 물류 배송관리, 주유소 요금 지불, 자동차 쇼핑, 자동차 도선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DSRC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단거리 통신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FM 수신기 리미터의 역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진폭 제한기
  2. 전류 증폭기
  3. 잡음 억제 회로
  4. 주파수체배기
(정답률: 알수없음)
  • FM 수신기에서 진폭 제한기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가장 타당한 역할은 "진폭 제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터네트워킹의 동적 라우팅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IP기능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작성, 경신하고 소규모에 적합하다.
  2. 관리가 편리하고 복잡한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3.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 서로 알려져 있는 네트워크의 IP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서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4. 경로가 바뀌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경신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IP기능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작성, 경신하고 소규모에 적합하다."입니다.

    동적 라우팅은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 서로 알려져 있는 네트워크의 IP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서로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경로가 바뀌면 라우팅 프로토콜은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경신하며, 관리가 편리하고 복잡한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IP기능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직접 작성, 경신하고 소규모에 적합하다."는 동적 라우팅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16 PSK 방식은 BPSK 방식에 비해 정보전송속도가 몇 배인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16 PSK 방식은 BPSK 방식보다 정보를 더 많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전송속도가 4배 빠릅니다. BPSK는 1비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16 PSK는 4비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16 PSK 방식은 BPSK 방식에 비해 4배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QAM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킨다.
  2. QAM신호는 두개의 직교성 DSB-SC신호를 선형적으로 합성한 것이다.
  3. 동기검파를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 할 수 있다.
  4. 동일한 신호레벨에서 PSK와 오류확률은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일한 신호레벨에서 PSK와 오류확률은 같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이며, QAM은 PSK와 달리 진폭과 위상을 모두 변화시키기 때문에 동일한 신호레벨에서 PSK보다 더 높은 오류확률을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두 개의 코드 C1 과 C2 가 다음과 같을 때 두 코드 사이의 해밍거리는 얼마인가?

  1. 1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밍거리란 두 코드 중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비트 중에서 서로 다른 비트의 개수를 말한다. 따라서 C1과 C2 사이의 해밍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같은 위치에 있는 비트 중에서 서로 다른 비트의 개수를 세어보면 된다.

    C1과 C2를 비교해보면, 첫 번째 비트와 네 번째 비트는 서로 다르다. 두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비트는 같다. 따라서 C1과 C2 사이의 해밍거리는 2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인 숫자는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HDLC 전송 제어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통신망에 많이 이용되는 전송제어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다.
  2. 비트 전송을 기본으로 한 전송 제어 프로토콜이다.
  3. OSI 7계층 중 계층 2에 관한 프로토콜의 일종이다.
  4. ISO에서 point-to-point 전송만을 지원키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합하지 않은 것은 "ISO에서 point-to-point 전송만을 지원키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이다." 이다. HDLC는 point-to-point 전송 뿐만 아니라 다중 접속 회선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신호 f(t) = 3cos60πt+2cos100πt 를 표본화 하였을 때, 나이키스트(Nyquist)표본화 간격은 몇 ㎳ 인가?

  1. 1
  2. 5
  3. 10
  4. 2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100π Hz 이므로, 나이키스트 표본화 정리에 따라 샘플링 주파수는 200π Hz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샘플링 주기는 1/(200π) ≈ 0.00158 s 이며, 이를 밀리초로 변환하면 약 1.58 ms 이다. 따라서, 나이키스트 표본화 간격은 약 1.58 ms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10"이 아니라 "1.58"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재생중계기의 3R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Reshaping
  2. Regeneration
  3. Reduction
  4. Retiming
(정답률: 알수없음)
  • 재생중계기의 3R 기능은 Reshaping, Regeneration, Retiming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Reduction은 3R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Reduction은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기능으로, 신호의 형태나 타이밍을 바꾸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프레임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은?

  1. Costas
  2. PLL(Phase Lock Loop)
  3. 펄스 타이밍(Pulse Stuffing)
  4. 펄스 쉐이핑(Pulse Shaping)
(정답률: 40%)
  • 프레임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 중에서는 펄스 타이밍(Pulse Stuffing)이 사용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와 수신 속도가 다른 경우에 발생하는 비트 동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으로, 송신 측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추가적인 펄스를 삽입하여 수신 측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동기를 맞춥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와 수신 속도가 다른 경우에도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다른 선택지인 Costas와 PLL은 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기법이며, 펄스 쉐이핑은 신호의 대역폭을 조절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시간(timing)
  4. 포맷(format)
(정답률: 알수없음)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요소는 구문, 의미, 시간이며, 포맷은 이러한 요소들을 구체화하여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형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포맷은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AMI부호에서의 "0"이 연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호는?

  1. 지연변조
  2. 고밀도 바이폴라
  3. 복극펄스
  4. CMI
(정답률: 알수없음)
  • AMI 부호에서 "0"이 연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호는 고밀도 바이폴라입니다. 이는 AMI 부호에서 "0"이 연속되는 경우 신호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0" 다음에 바로 다른 신호가 오도록 바이폴라 신호를 사용하여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FDM 다중통신과 비교하여 PCM 다중통신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량이 많다.
  2. 전송품질이 양호하다.
  3. 고가의 여파기가 필요하고 장치가 크다.
  4. 전송로의 잡음이나 누화 등의 영향이 적다.
(정답률: 50%)
  • 정보량이 많다는 것은 PCM 다중통신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특징입니다. 전송품질이 양호하고 전송로의 잡음이나 누화 등의 영향이 적다는 것은 PCM 다중통신의 장점입니다. 하지만 고가의 여파기가 필요하고 장치가 크다는 것은 PCM 다중통신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비가 복잡하고 비싸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HDLC 전송제어에서 사용하는 동작 모드가 아닌 것은?

  1. 정규응답모드(NRM)
  2. 초기 모드(IM)
  3. 비동기 평형모드(ABM)
  4. 비동기 응답모드(ARM)
(정답률: 알수없음)
  • HDLC 전송제어에서 사용하는 동작 모드 중 초기 모드(IM)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초기 모드(IM)가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성체는 크게 페이로드 시스템(payload system)과 버스서브 시스템(bus-sub system)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버스서브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세제어계
  2. 열제어계
  3. 트랜스폰더
  4. 전력계
(정답률: 알수없음)
  • 버스서브 시스템은 위성 내부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트랜스폰더"는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이 아니므로 버스서브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다. 트랜스폰더는 위성에서 수신한 전파를 증폭하거나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동축케이블의 특성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특성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는다.
  2. 장거리 전송에서 중계소의 무인화가 불가능하다.
  3. 고주파 영역에서 누와는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4. 위상정수는 주파수에 비례하고 감쇠량은 주파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거리 전송에서 중계소의 무인화가 불가능하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동축케이블은 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에 일정 거리마다 신호를 증폭해주는 중계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중계소는 인력이 필요하므로 무인화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HDLC에서 1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레임의 최소 길이는 몇 바이트인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알수없음)
  • HDLC에서는 프레임의 최소 길이가 7바이트이다. 이는 1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프레임 길이이며, 시작 구분자(SD) 1바이트, 주소(ADDR) 1바이트, 제어(CNTRL) 1바이트, 정보(DATA) 1바이트, CRC 2바이트, 종료 구분자(ED) 1바이트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 7바이트의 프레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중모드 광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분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색분산
  2. 모드분산
  3. 색분산, 모드분산
  4. 도파로분산
(정답률: 알수없음)
  • 다중모드 광케이블에서는 광의 속도가 각 모드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드간에 시간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간차로 인해 광신호가 왜곡되어 전송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분산을 모드분산이라고 합니다. 또한 광의 파장이 각 모드마다 다르기 때문에 파장에 따라 광의 속도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속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분산을 색분산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다중모드 광케이블에서 발생하는 분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색분산, 모드분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병렬전송과 비교하여 직렬전송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송속도가 느리다.
  2.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다.
  3. 전송로 비용이 저렴하다.
  4. 주로 근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직렬전송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직렬전송은 한 번에 하나의 비트만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직렬전송은 전송로 비용이 저렴하고, 직병렬 변환회로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로 근거리 전송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나, 짧은 거리의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송하려는 데잍를 다항식 형태로 표현한 것을 P(X)라 하면 완전한 CRC코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단, P(X) = 입력데이터의 다항식 표현)

  1. 생성다항식의 최저차항*P(X) - 패리티 비트
  2. 생성다항식의 최저차항*P(X) + 패리티 비트
  3. 생성다항식의 최고차항*P(X) - 패리티 비트
  4. 생성다항식의 최고차항*P(X) + 패리티 비트
(정답률: 알수없음)
  • CRC 코드는 입력 데이터의 다항식 표현인 P(X)에 생성 다항식을 나눈 나머지를 추가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생성 다항식의 최고차항은 P(X)의 최고차항보다 높아야 하며, 이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생성다항식의 최고차항*P(X) + 패리티 비트"가 정답이 된다. 이유는 생성 다항식의 최고차항을 곱해주는 것으로 인해 CRC 코드의 길이가 P(X)의 길이보다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패리티 비트는 CRC 코드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추가되는 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OSI 7계층 참조 모델에서 계층 표현의 중요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형식변환
  2. 암호화
  3. 데이터압축
  4. 경로선택
(정답률: 알수없음)
  • OSI 7계층 참조 모델에서 계층 표현의 중요기능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오류 및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경로선택"은 OSI 7계층 참조 모델에서 계층 표현의 중요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경로선택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광섬유 케이블에서 주로 발생하는 손실의 종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산란손실
  2. 흡수손실
  3. 누화손실
  4. 마이크로 벤딩 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손실의 종류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누화손실"입니다. 누화손실은 광섬유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광 신호가 약해지는 현상으로, 광섬유 케이블의 특성상 발생하는 손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광섬유 케이블의 설계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아니라 광섬유 케이블의 길이나 사용환경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CM에서 ISI를 측정하기 위해 sys pattern을 이용하는데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ISI 간섭없이 수신파를 sampling 할 수 있는 주기
  2. 시스템 감도
  3. 잡음의 여유도
  4. 변조도
(정답률: 알수없음)
  •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ISI 간섭없이 수신 신호를 샘플링할 수 있는 주기를 의미합니다. 이 때, sys pattern은 이러한 주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리고 눈을 뜬 상하의 높이가 높을수록 잡음의 여유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즉, 시스템이 잡음에 덜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잡음의 여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입ㆍ출력 채널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멀티플렉서 채널은 속도가 빠른 장치에 연결되는 채널 형태이다.
  2. 셀렉터 채널은 속도가 느린 장치에 연결되는 채널형태이다.
  3. 블록멀티플렉서 채널은 멀티플렉서 채널과 셀렉터 채널을 결합한 형태이다.
  4. 채널은 입ㆍ출력장치가 작동 줄일 때마다 중앙처리장치의 지시를 받아 동작한다.
(정답률: 34%)
  • 블록멀티플렉서 채널은 멀티플렉서 채널과 셀렉터 채널을 결합한 형태이다. 이는 멀티플렉서 채널과 셀렉터 채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를 모두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블록멀티플렉서 채널은 다양한 입ㆍ출력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범용 레지스터보다 실수용 레지스터가 더 큰 이유는?

  1. 계산과정에서 정수와 실수는 계산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2. 실수는 정수보다 자릿수가 크기 때문에
  3. 소수부분의 계산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4. 실수는 정수보다 계산속도가 늦기 때문에
(정답률: 16%)
  • 실수는 정수와 달리 소수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계산 과정에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수용 레지스터는 소수부분의 계산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더 크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데이터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즉시 처리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거나 요구에 대해 응답하는 방식은?

  1. batch processing
  2. random processing
  3. real time processing
  4. sequential processing
(정답률: 알수없음)
  • real time processing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결과를 출력하거나 요구에 대해 즉각적으로 응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처리 방식 중에서는 있지만, 실시간으로 처리하지 않는 방식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에서 페이지폴트(page fault)가 일어났을 때 메인메모리(Main memory)내의 가장 오래된 페이지와 교환하는 것은?

  1. FIFO
  2. LRU
  3. LFU
  4. NUR
(정답률: 알수없음)
  • FIFO는 "First In First Out"의 약자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가장 먼저 교체하는 알고리즘입니다. 페이지폴트가 발생하면 메인메모리 내에서 가장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하게 됩니다. 이는 가장 간단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이며, 구현이 쉽고 오버헤드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사용된 페이지가 교체될 가능성이 있어서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DMA에 의한 입ㆍ출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소형 마이크로프로세서에만 가능하다.
  2. 중앙처리장치와 관계없이 자료를 직접 기억장치에 입ㆍ출력한다.
  3. 일반적으로 속도가 느린 입ㆍ출력장치에 대하여 사용된다.
  4. DMA가 입ㆍ출력을 수행할 때는 중앙처리장치는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DMA(Direct Memory Access)는 입ㆍ출력장치가 직접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입ㆍ출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는 관계없이 자료를 직접 기억장치에 입ㆍ출력할 수 있으며, 이는 속도가 빠르고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유용하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관계없이 자료를 직접 기억장치에 입ㆍ출력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주소 지정 방식 중 기억 장치를 가장 많이 액세스(access)해야 하는 방식은?

  1. 직접 주소 지정 방식
  2. 상대 주소 지정 방식
  3. 간접 주소 지정 방식
  4.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 주소 지정 방식은 주소가 가리키는 값이 다른 주소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값을 찾기 위해 기억 장치를 더 많이 액세스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 주소 지정 방식 중에서 기억 장치를 가장 많이 액세스하는 방식은 간접 주소 지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제어장치
  2. 산술논리연산장치(ALU)
  3. 주기억장치(RAM)
  4. 레지스터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억장치(RAM)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일부가 아니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CPU는 제어장치, 산술논리연산장치(ALU),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합니다.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자료 구조의 선형 구조 표현에 대한 설명으로 트린 것은?

  1. 선형리스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단순한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2. 스택은 제일 나중에 들어온 원소가 제일 먼저 삭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LIFO 리스트라 한다.
  3. 큐는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선입선출 리스트라 한다.
  4. 데크는 스택의 변형으로 연속적인 리스트 원소들을 연결해주는 포인터를 사용하는 리스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데크는 스택과 큐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연속적인 리스트 원소들을 연결해주는 포인터를 사용하는 리스트이다. 이를 통해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운영체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UNIX
  2. PL/1
  3. LINUX
  4. Windows ME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UNIX, LINUX, Windows ME은 모두 운영체제에 해당한다. 하지만 PL/1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운영체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10진수 (20)10을 2진수, 8진수 및 16진수로 각각 옳게 표현한 것은?

  1. (010000)2, (24)8, (A4)16
  2. (010000)2, (20)8, (20)16
  3. (010100)2, (24)8, (20)16
  4. (010100)2, (24)8, (14)16
(정답률: 알수없음)
  • 10진수 (20)10을 2진수로 나타내면 10100이 되므로, 정답은 "(010100)2"이다.

    8진수로 나타내면 20이 되므로, 정답은 "(24)8"이다.

    16진수로 나타내면 14가 되므로, 정답은 "(14)16"이다.

    이유는 각 진법에서의 자릿수와 값의 대응 관계를 이해하면 된다. 2진수에서는 각 자리가 2의 거듭제곱으로 대응되고, 8진수에서는 각 자리가 8의 거듭제곱으로 대응되며, 16진수에서는 각 자리가 16의 거듭제곱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10진수 (20)10을 각 진법으로 변환할 때, 이러한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각 자리의 값을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1. 금치산자
  2. 한정치산자
  3.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4. 정보통신공사업법 규정에 위반하여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이 경과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르면,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금치산자", "한정치산자",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를 제외한 모든 자이다. 따라서, "정보통신공사업법 규정에 위반하여 벌금형의 선고를 받고 3년이 경과한 자"는 등록을 할 수 없는 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국가기관 ㆍ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보화촉진 등을 지원하고 정보화관련 정책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한 기관은?

  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3. 한국정보통신연합회
  4.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은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보화촉진을 지원하고 정보화관련 정책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입니다. 따라서 이 기관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이지만,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은 국가정책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기통신설비의 기술수준에 관한 규칙"의 제정은?

  1. 법률로 정한다.
  2.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3. 정보통신부령으로 정한다.
  4. KT(한국통신) 이용약관으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설비의 기술수준에 관한 규칙"은 정보통신부의 관할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정보통신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 )안에 들어가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규
  2. 이용규정
  3. 이용방법
  4. 이용약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는 "이용약관"이라는 제목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전기통신의 이용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질서 유지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4. 자가통신설비의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이용의 효율화와 질서 유지, 그리고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을 다루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자가통신설비의 설치 및 운용은 개인이나 기업체 등이 직접 설치하고 운용하는 것으로, 전기통신사업자와는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단말장치"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설비를 말한다.
  2. 통화회선에 접속하는 전화교환기, 변복조기 등을 말한다.
  3. 전기통신설비와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설치하는 짹, 플러그, 버턴 등을 말한다.
  4. 정보통신에 이용되는 정보통신기기 본체와 이에 부속되는 입출력장치 등 기타의 기기르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말장치"는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기기와 그 부속설비를 말합니다. 이는 전화기, 컴퓨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뿐만 아니라, 이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모뎀, 라우터 등의 부속설비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전기통신망에 접속되는 단말기기 및 그 부속설비를 말한다."가 가장 적합한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하여 기간통신역무외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1. 별정통신사업
  2. 자가통신사업
  3. 부가통신사업
  4. 임차통신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통신사업은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하여 기간통신역무외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과 일치하는 답은 부가통신사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 신청시 첨부하는 서류가 아닌것은?

  1. 기업진단보고서
  2. 사무실 보유를 증명하는 서류
  3. 정보통신기술자격자의 명단
  4. 정보통신공사용 장비 명세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 신청시 첨부하는 서류 중에서는 "정보통신공사용 장비 명세서"가 아닙니다. 이는 정보통신공사가 보유한 장비의 명세를 기재한 서류로, 등록 신청시에는 제출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등록 신청서와 함께 기업진단보고서, 사무실 보유를 증명하는 서류,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자격자의 명단 등을 첨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한 측량ㆍ조사 등을 위하여 타인의 주거용 건물에 출입하고자 할 때 그 절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미리 통고만 했으면 승낙 여부와 무관하다.
  2. 출입시 신분증표를 관계인에게 제시하면 된다.
  3. 먼저 거주자의 승낙을 얻어야 한다.
  4. 사용목적과 사용기간을 통고하면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사람의 주거용 건물에 출입하는 것은 개인의 사생활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먼저 거주자의 승낙을 얻어야 합니다. 이는 법적으로도 필요한 절차입니다. 따라서 "먼저 거주자의 승낙을 얻어야 한다."가 가장 적합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 감리원의 업무 범위가 아닌 것은?

  1. 하도급에 대한 타당성 검토
  2.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작성
  3.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 상세도면의 검토ㆍ확인
  4. 사용자재의 규격 및 적합성에 관한 검토ㆍ확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공사 감리원의 업무 범위 중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작성"은 감리원이 아닌 공사업자가 수행해야 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감리원은 공사계획 및 공정표를 검토하고 승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