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정보통신기사(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과 같은 회로의 출력(Vo)은?

  1. 0
  2. Vi
(정답률: 76%)
  • 이 회로는 비반전 증폭기 회로이다. 입력신호인 Vi는 R1과 R2를 통해 양단에 인가되고, 이를 기반전압으로 사용하는 Q1과 Q2가 증폭을 수행하여 출력신호인 Vo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출력신호는 입력신호의 증폭된 값이므로, 정답은 "V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접합 트랜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화는 컬렉터 전류가 최대에 달하는 현상이다.
  2. 베이스는 트랜지스터의 한 영역으로 컬렉터, 이미터의 폭보다 넓다.
  3. 차단(cut off)은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4. 컬렉터는 바이폴러 접합 트랜지스터의 반도체 영역 중 하나이다.
(정답률: 77%)
  • "베이스는 트랜지스터의 한 영역으로 컬렉터, 이미터의 폭보다 넓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베이스 영역은 컬렉터와 에미터 영역보다 좁다. 이는 베이스 영역이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베이스 영역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전에 차단되어 있던 컬렉터-에미터 경로가 열리게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 영역이 넓을수록 전류를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좁은 영역으로 만들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아래 그림의 시미트 트리거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에 2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이다.
  2.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3. 궤환 효과는 공통 이미터 저항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4. 입력 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상태를 결정하여 준다.
(정답률: 62%)
  • 정답은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다.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출력에 2개의 안정 상태를 갖는 회로이며, 궤환 효과는 공통 이미터 저항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입력 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출력이 변경된다. 따라서 펄스 파형을 만드는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배타적 OR(Exclusive OR) 회로의 논리식으로 틀린 것은?

  1. A ⊕ B
(정답률: 67%)
  • ""이 틀린 것이다.

    배타적 OR(Exclusive OR) 회로는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논리식은 A ⊕ B이다.

    ""는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인 AND 게이트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개루프 전압이득이 40[dB]인 저주파 증폭기에서 비직선 일그러짐이 10[%]일 때, 이것을 1[%]로 개선하기 위한 부궤환 증폭기의 전압궤환율 β는?

  1. 1/40
  2. 9/100
  3. 9/1000
  4. 11/1000
(정답률: 73%)
  • 비직선 일그러짐이 10[%]이므로, 출력 전압의 최대값은 입력 전압의 1.1배가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이 1[%] 증가하려면 입력 전압을 0.01/1.1 = 0.00909...[%] 증가시켜야 한다.

    개루프 전압이득이 40[dB]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10^4배가 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을 0.00909...[%]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부궤환 증폭기의 전압궤환율 β를 10^4/0.00909... = 109890.109...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 값은 약 9/100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9/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적분회로의 역할을 하는 것은?

  1. 저역통과 RC 회로
  2. 고역통과 RC 회로
  3. 대역통과 RC 회로
  4. 대역소거 RC 회로
(정답률: 72%)
  • 적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저역 성분을 통과시키고 고역 성분을 차단하여 출력 신호를 만드는 회로이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회로가 바로 "저역통과 RC 회로"이다. 이 회로는 저역 성분을 통과시키기 위해 저항과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RC 필터를 구성하고, 이를 적분기로 연결하여 입력 신호를 적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저역 성분을 추출하고, 고역 성분을 차단하여 필요한 신호만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6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2진 리플계수기에서 최대계수 값은?

  1. 512
  2. 128
  3. 64
  4. 63
(정답률: 59%)
  • 2진 리플계수기에서 6개의 플립플롭은 6자리 이진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진수에서 최대값은 모든 자리가 1인 경우이며, 6자리 이진수에서 모든 자리가 1인 경우는 63입니다. 따라서 최대계수 값은 6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의 회로는?

  1. 클램프 회로
  2. 차동증폭 회로
  3. 슬라이서 회로
  4. 시미트 트리거 회로
(정답률: 67%)
  • 이 회로는 시그널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출력이 바뀌는 디지털 회로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시미트 트리거 회로라고 불린다. 클램프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한하는 회로, 차동증폭 회로는 입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키는 회로, 슬라이서 회로는 입력 신호를 일정한 기준값으로 분류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검파회로에 AM 반송파의 진폭이 3[V], 변조도 60[%]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 검파효율 η=0.8일 경우 RL 양단에 나타나는 출력전압(Vo)의 교류분 실효치는?

  1. 약 0.7[V]
  2. 약 1.02[V]
  3. 약 1.25[V]
  4. 약 1.44[V]
(정답률: 58%)
  • AM 변조된 신호는 진폭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데, 검파 회로는 이러한 진폭 변화를 추출하여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문제에서는 AM 반송파의 진폭이 3[V]이고, 변조도가 60[%]이므로 최대 진폭은 3[V] + (3[V] x 0.6) = 4.8[V]이다.

    검파 회로는 반파 정류기와 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파 정류기는 입력 신호의 음극성 부호를 제거하여 양전압만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반파 정류기를 통과한 신호의 최대 진폭은 4.8[V] / 2 = 2.4[V]가 된다.

    이어서, 필터는 반파 정류기를 통과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진폭이 일정한 직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 때, 검파 효율이 0.8이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의 80%가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의 교류분 실효치는 2.4[V] x 0.8 = 1.92[V]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출력 전압의 교류분 실효치를 구하는 것이므로, 1.92[V]를 2로 나누어 약 1.02[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2[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출력 파형에 많은 고조파가 포함되어 있다.
  2. 발진주파수는 회로의 시정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3. 동작전압 범위 내에서 전원 전압의 변동은 발진주파수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갖는다.
(정답률: 76%)
  • "두 개의 안정된 상태를 갖는다."가 틀린 것이다.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안정된 상태를 갖지 않고, 주기적으로 출력이 변화하는 비안정 회로이다. 이 회로는 양수 펄스와 음수 펄스를 번갈아 출력하며, 이러한 출력은 고조파를 포함한다. 발진주파수는 회로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되며, 전원 전압의 변동은 발진주파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AM 변조 회로의 변조방식은?

  1. 이미터 변조
  2. 베이스 변조
  3. 컬렉터 변조
  4. 이미터-베이스 변조
(정답률: 70%)
  • 이 그림의 AM 변조 회로에서는 변조 신호가 베이스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신기 측에서 이전 단계인 송신기의 출력 신호를 직접 변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때, 송신기 출력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은 송신기 출력 단의 전류이므로, 이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는 송신기 출력 단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 전류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터 전류를 이용하여 변조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이미터 변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의 회로에서 D가 이상적인 다이오드인 경우 의 입력전압을 가할 때, 출력전압 Vo의 평균전압은 약 얼마인가?

  1. 155.5[V]
  2. 100.5[V]
  3. 90.5[V]
  4. 49.5[V]
(정답률: 62%)
  • D가 이상적인 다이오드인 경우, 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므로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는 D1이 conducing 상태가 되어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같아지고, 입력전압이 음수일 때는 D2가 conducing 상태가 되어 출력전압은 0V가 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의 평균전압을 구해야 한다.

    양수인 경우:
    D1이 conducing 상태이므로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같다.
    Vo = Vin

    음수인 경우:
    D2가 conducing 상태이므로 출력전압은 0V이다.
    Vo = 0V

    따라서, 입력전압이 양수인 경우와 음수인 경우의 비율은 1:1이므로 평균전압은 입력전압의 절반인 155.5/2 = 77.75V가 된다. 하지만, 출력전압은 항상 양수이므로 절대값을 취해준다.
    |Vo| = 77.75V
    따라서, 정답은 "49.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의 회로에서 출력전압 Vo는 입력전압 Vs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Vo는 Vs의 R배로 증폭된다.
  2. Vo는 Vs의 지수로 나타난다.
  3. Vo는 Vs의 역수에 비례한다.
  4. Vo는 Vs의 자연대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67%)
  • 이 회로는 비교적 간단한 RC 고전압 회로이다. 이 회로에서 입력전압 Vs는 R1과 C1을 통해 전하가 축적되고, 이 축적된 전하는 R2를 통해 출력전압 Vo로 전달된다. 따라서 Vo는 Vs의 자연대수에 비례한다. 이는 R2와 C1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R2가 클수록 Vo는 크고, C1이 클수록 Vo는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진폭변조(AM)에서 신호파 이고, 반송파 로 주어질 때 변조도는?

  1. 20[%]
  2. 50[%]
  3. 80[%]
  4. 100[%]
(정답률: 74%)
  • 진폭변조에서 변조도는 (신호파의 진폭-반송파의 진폭)/(신호파의 진폭+반송파의 진폭)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도는 (2-0)/(2+0) = 1 이므로 100%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며, 보기에서 "50%"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가 있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L, C, R 직렬공진 회로의 Q는? (단, wr는 공진 각속도)

(정답률: 61%)
  • L, C, R 직렬공진 회로의 Q는 "" 이다.

    이유는 Q는 공진 각주파수(wr)에 대한 회로의 에너지 저장 능력과 에너지 손실 능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L, C, R 직렬공진 회로는 wr일 때, L과 C가 서로 상쇄되어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의 에너지가 서로 주고받으며, R은 에너지 손실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Q는 L과 C의 에너지 주고받는 능력과 R의 에너지 손실 능력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증폭기의 동작점(Q)에서 전류 ICQ와 VCEQ는? (단, TR의 VBE=0.7[V], IC=IE로 간주한다.)

  1. ICQ = 1.0[mA], VCEQ = 4.5[V]
  2. ICQ = 1.5[mA], VEQ = 4.8[V]
  3. ICQ = 1.8[mA], VCEQ = 4.2[V]
  4. ICQ = 2.0[mA], VCEQ = 5.0[V]
(정답률: 68%)
  • TR의 VBE가 0.7[V]이므로, 베이스 전압은 0.7[V]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 전류는 (12[V]-0.7[V])/2[kΩ] = 5.65[mA]이다. 이때, TR의 IC는 IE로 간주하므로, IC도 5.65[mA]이다.

    증폭기의 동작점(Q)에서는 베이스 전류와 콜렉터 전류가 같으므로, ICQ도 5.65[mA]이다.

    VCEQ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EQ = 12[V] - (2[kΩ] × 5.65[mA]) = 1.7[V]

    하지만, 이 값은 증폭기의 동작점으로는 너무 작다. 따라서, RC를 조절하여 VCEQ를 증가시켜야 한다.

    VCEQ를 4.5[V]로 만들기 위해서는, RC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C = (12[V] - 4.5[V])/5.65[mA] = 1.8[kΩ]

    즉, RC를 1.8[kΩ]로 조절하면, VCEQ는 4.5[V]가 되고, ICQ는 여전히 5.65[mA]이다.

    따라서, 정답은 "ICQ = 1.5[mA], VCEQ = 4.5[V]"가 아닌 "ICQ = 1.5[mA], VEQ = 4.8[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4핀 TTL IC에서 2개의 단자는 +전원과 접지로 사용된다. 이 IC에 넣을 수 있는 인버터의 최대 개수는?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56%)
  • 14핀 TTL IC에서 2개의 단자가 +전원과 접지로 사용되므로, 나머지 12개의 핀 중에서는 인버터의 입력과 출력을 위해 2개의 핀이 필요하다. 따라서, 1개의 인버터를 넣을 때는 2개의 핀이 필요하므로, 최대 6개의 인버터를 넣을 수 있다. (12핀을 2개씩 묶어서 인버터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카르노맵을 논리식으로 간략화한 것은?

(정답률: 70%)
  • 카르노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기 때문에, 두 셀을 OR 연산하면 그 비트는 상쇄되고 나머지 비트들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카르노맵에서 "" 영역은 A와 C의 비트가 같고, B와 D의 비트가 같은 경우이므로, A와 C를 OR 연산하고, B와 D를 OR 연산한 결과를 AND 연산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A, B, C, D 중에서 2개 이상이 참일 때 ""가 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미분회로에 삼각파를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출력파형은?

  1. 정현파
  2. 톱니파
  3. 삼각파
  4. 구형파
(정답률: 64%)
  •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회로이므로, 입력 신호가 삼각파일 경우 출력은 입력 신호의 기울기가 가파른 부분에서 큰 양의 값, 기울기가 완만한 부분에서 작은 양의 값, 기울기가 음수인 부분에서는 큰 음의 값, 기울기가 완만한 음수인 부분에서는 작은 음의 값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출력 신호는 구형파와 유사한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형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정류회로의 특성 파라미터와 거리가 먼 것은?

  1. 맥동율
  2. 정류 효율
  3. 전원저항 변동률
  4. 전압 변동률
(정답률: 60%)
  • 정류회로는 전원저항 변동률과는 거리가 먼 특성 파라미터입니다. 정류회로는 주로 전압 변동률, 맥동율, 그리고 정류 효율과 관련된 특성 파라미터를 고려합니다. 전원저항 변동률은 전원 공급 회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정류회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중 동화상, 고속데이터 등 광대역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광대역 ISDN 교환기에 적합한 교환방식은?

  1. ATM 방식
  2. TDM 방식
  3. FDM 방식
  4. EDI 방식
(정답률: 67%)
  • ATM 방식은 패킷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동화상, 고속데이터 등 광대역 서비스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도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광대역 ISDN 교환기에 적합한 교환방식은 ATM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통화 신호레벨이 -10[dB], 잡음레벨이 -55[dB]일 때 신호대잡음비(S/N)비는?

  1. -10[dB]
  2. -45[dB]
  3. 45[dB]
  4. 65[dB]
(정답률: 66%)
  • 신호대잡음비(S/N)비는 신호의 강도와 잡음의 강도를 비교한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신호 신호레벨이 -10[dB]이고, 잡음레벨이 -55[dB]이므로, 신호의 강도는 잡음의 강도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를 계산하여 S/N 비를 구하면,

    S/N = 10log10(신호의 강도/잡음의 강도)
    = 10log10(10^(1/10) / 10^(-55/10))
    = 10log10(10^(56/10))
    = 10log10(398107.17)
    ≈ 45[dB]

    따라서, 정답은 "45[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SO의 OSI 및 IBM의 SNA 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프로토콜 프로그램
  2. 네트워크 아키텍처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 네트워크 관리
(정답률: 81%)
  • ISO의 OSI 및 IBM의 SNA은 네트워크 아키텍처라고 부릅니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과 규칙을 정의한 것으로, 프로토콜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합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다양한 기업이나 조직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방식으로,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V 신호의 수직귀선소거 기간 동안을 이용하여 문자나 도형 등을 전송하는 방식은?

  1. 비디오텍스
  2. 데이터 방송
  3. 텔레텍스트
  4. 팩시밀리 방송
(정답률: 68%)
  • TV 신호의 수직귀선소거 기간 동안을 이용하여 문자나 도형 등을 전송하는 방식은 "텔레텍스트" 입니다. 이는 TV 화면에 텍스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직 귀선소거 기간을 이용하여 문자나 도형을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TV 화면에 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TDM 다중화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정적인 연결방식을 사용한다.
  2. 저속의 부채널 속도의 합계가 고속의 채널 속도와 같다.
  3. 직렬전송을 하는 장비에 적용할 수 있다.
  4.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에 주로 이용한다.
(정답률: 48%)
  • "정적인 연결방식을 사용한다."는 TDM 다중화와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TDM 다중화는 여러 개의 저속 채널을 하나의 고속 채널로 합치는 방식으로,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동통신에서는 여러 대의 휴대폰이 하나의 기지국을 공유하는데, 이때 TDM 다중화를 사용하여 각 휴대폰의 통화를 구분하여 전송한다. 위성통신에서도 여러 개의 지구국이 하나의 위성을 공유하는데, 이때도 TDM 다중화를 사용하여 각 지구국의 통신을 구분하여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셀룰러 이동통신에서 원근 문제(near-far problem)를 해결하는데 적용하는 방식은?

  1. 광증폭기 적용
  2. 전력제어 적용
  3. 등화기 적용
  4. 감쇠기 적용
(정답률: 43%)
  • 원근 문제는 수신기에서 강한 신호와 약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제어를 적용합니다. 전력제어는 강한 신호의 전력을 줄이고 약한 신호의 전력을 높여서 수신기에서 동시에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균일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원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스템의 평균고장간격이 94시간이고, 평균수리시간이 6시간인 경우 가동률(%)은?

  1. 60
  2. 94
  3. 95
  4. 97
(정답률: 81%)
  • 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동률(%) = (평균고장간격) / (평균고장간격 + 평균수리시간) x 100

    따라서, 위의 문제에서 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가동률(%) = 94 / (94 + 6) x 100 = 94%

    따라서, 정답은 "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광섬유 케이블에서 레일리(Rayleigh) 산란손실과 파장과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손실은 파장의 2승에 반비례한다.
  2. 손실은 파장의 2승에 비례한다.
  3. 손실은 파장의 4승에 반비례한다.
  4. 손실은 파장의 4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손실은 파장의 4승에 반비례한다."입니다.

    레일리 산란은 광섬유 케이블 내부에서 광파가 케이블의 불순물과 상호작용하여 산란되는 현상입니다. 이 산란은 파장이 짧을수록 더 많이 일어나며, 파장이 길어질수록 적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파장이 긴 빨간색 광파일수록 더 멀리 전달될 수 있습니다.

    손실은 광파가 산란되어 케이블 내부에서 전달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때, 레일리 산란에 의한 손실은 파장의 4승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파장이 길어질수록 산란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장이 긴 광파일수록 레일리 산란에 의한 손실이 적어지며, 더 멀리 전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LAN의 분류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토폴로지에 의한 분류
  2. 전송매체에 의한 분류
  3. 매체접근 방법에 의한 분류
  4. OSI 참조모델에 의한 분류
(정답률: 66%)
  • LAN의 분류 방법 중 OSI 참조모델에 의한 분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OSI 참조모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 모델이며, LAN의 분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OSI 참조모델에 의한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HDLC의 프레임 구조의 순서가 옳은 것은? (단, F : 플래그, A : 주소부, C : 제어부, I : 정보부, FCS : 플래그 검사 시퀀스)

  1. F - A - C - I - FCS - F
  2. F - I - C - A - FCS - F
  3. F - A - I - C - FCS - F
  4. F - I - A - C - FCS - F
(정답률: 79%)
  • HDLC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됩니다.

    1. F (플래그)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입니다.
    2. A (주소부) : 프레임의 목적지나 송신지를 식별하는 비트입니다.
    3. C (제어부) : 프레임의 종류와 전송 제어 정보를 담고 있는 비트입니다.
    4. I (정보부) :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는 비트입니다.
    5. FCS (플래그 검사 시퀀스) : 오류 검사를 위한 비트입니다.
    6. F (플래그) : 프레임의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입니다.

    따라서, "F - A - C - I - FCS - F"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X.25 프로토콜의 링크레벨에서 적용되는 프로토콜은?

  1. LAP-B
  2. ADCCP
  3. BSC
  4. SDLC
(정답률: 63%)
  • X.25 프로토콜의 링크레벨에서 적용되는 프로토콜은 LAP-B이다. 이는 X.25 프로토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순서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ADCCP, BSC, SDLC는 모두 다른 프로토콜이며, X.25 프로토콜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TELNET
  2. E-MAIL
  3. FTP
  4. WWW
(정답률: 72%)
  • 정답은 "WWW"입니다.

    "TELNET"은 원격 로그인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E-MAIL"은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서비스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WWW"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문서, 이미지,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셀룰러 이동전화 시스템에서 PSTN과 이동통신망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VLR
  2. HLR
  3. BS
  4. NTSO
(정답률: 46%)
  • NTSO는 Network and Switching Subsystem Operation의 약자로, 셀룰러 이동전화 시스템에서 PSTN과 이동통신망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는 이동전화 사용자가 PSTN을 통해 다른 전화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VLR은 이동전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HLR은 이동전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며, BS는 기지국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TM 통신은 셀(cell) 단위로 통신이 이루어지는데, 셀은 몇 바이트로 구성되는가?

  1. 24
  2. 48
  3. 51
  4. 53
(정답률: 65%)
  • ATM 셀은 53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5바이트의 헤더와 48바이트의 페이로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헤더는 셀의 경로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페이로드는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회선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 중 항상 일정한 경로를 사용한다.
  2. 정보의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3. 빠른 응답시간이 요구되는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4. 길이가 긴 연속적인 정보전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58%)
  • 회선교환 방식은 전송 중 항상 일정한 경로를 사용하고, 정보의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하며, 길이가 긴 연속적인 정보전송에 적합하다. 하지만 빠른 응답시간이 요구되는 응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회선교환 방식에서는 전송 경로를 미리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경로 확보에 시간이 걸리고 응답시간이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OSI-7 Layer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오류 제어
  2. text의 압축, 암호화
  3. flow 제어
  4. 프레임의 순서제어
(정답률: 74%)
  •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오류 제어, flow 제어, 프레임의 순서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반면에 text의 압축, 암호화는 데이터의 내용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링크 계층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응용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100Base-T 방식에서 사용하는 매체접속제어는?

  1. FDDI
  2. CSMA/CD
  3. MAP
  4. Token ring
(정답률: 60%)
  • 100Base-T 방식은 이더넷 기술 중 하나로, 전송 속도가 100Mbps인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 사용하는 매체접속제어는 CSMA/CD이다.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할 때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재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ITU-T에서 권고하고 있는 No.7 신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여러 가지 선로 및 망관리 정보를 공통의 한 채널로 전송한다.
  2. 공통 신호채널에서 음성을 비롯한 데이터 신호도 함께 전송한다.
  3. 디지털 통신망에서 음성 및 비음성 교환기간 신호기능을 수행한다.
  4. 신규서비스가 개발될 때마다 새로운 신호 절차를 쉽게 부가할 수 있다.
(정답률: 44%)
  • "공통 신호채널에서 음성을 비롯한 데이터 신호도 함께 전송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No.7 신호방식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으로, 음성 통신과는 별개로 동작한다. 따라서 공통 신호채널에서 음성을 비롯한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은 No.7 신호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서 STM-1의 속도[Mbps]는?

  1. 51.840
  2. 155.520
  3. 546.992
  4. 622.080
(정답률: 75%)
  • STM-1은 Synchronous Transport Module-1의 약자로,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서 사용되는 광통신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에서의 STM-1의 속도는 155.520 Mbps입니다. 이는 1초당 155,520,000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5.5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계층화된 통신 구조를 통한 데이터 전송시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 할 때 필요한 정보를 부가하는 과정은?

  1. Fragmentation
  2. Multiplexing
  3. Encapsulation
  4. Sequencing
(정답률: 79%)
  • Encapsulation은 계층화된 통신 구조에서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정보를 부가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에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하위계층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위성통신을 해하기 위한 통신위성방식이 아닌 것은?

  1. 이동 위성방식
  2. 정지 위성방식
  3. 위상 위성방식
  4. Random 위성방식
(정답률: 54%)
  • 이동 위성방식은 이동하는 물체나 인간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으로, 이동하는 대상에 따라 위성과의 통신 각도와 주파수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통신을 유지합니다. 반면에 정지 위성방식은 고정된 지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며, 위성과의 통신 각도와 주파수는 고정됩니다. 따라서 "이동 위성방식"이 아닌 것은 모두 고정된 지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위상 위성방식"과 "Random 위성방식"은 존재하지 않는 위성 통신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날로그 지상파 TV에서 NTSC 방식의 주사선수는?

  1. 405개
  2. 525개
  3. 625개
  4. 819개
(정답률: 75%)
  • NTSC 방식의 주사선수는 525개이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방식으로, 1초 동안 60번의 화면 갱신을 하며, 각 화면은 525개의 주사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480개의 주사선이 영상을 구성하고, 나머지 45개의 주사선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 등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단말의 표시장치는?

  1. LCD
  2. CRT
  3. PDP
  4. EC
(정답률: 72%)
  • 정답은 "PDP"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LCD(액정 디스플레이), CRT(광선총관 디스플레이), EC(전자잉크 디스플레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광통신시스템에서 광합파기 및 광분배기를 사용하는 광다중 접속방식은?

  1. TDM
  2. WDM
  3. ADM
  4. FDM
(정답률: 86%)
  • 광합파기와 광분배기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광신호를 하나의 광섬유에 전송하고 분배하는 방식을 WDM (Wave Division Multiplex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WDM"입니다.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은 시간을 나누어 여러 개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 ADM(Add-Drop Multiplexer)은 광신호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장치,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주파수를 나누어 여러 개의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메시지 처리 시스템(MHS)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MS(Message Store)
  2. UA(User Agent)
  3. AU(Access Unit)
  4. MH(Message Host)
(정답률: 78%)
  • MH(Message Host)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MHS)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MH는 일반적으로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받는 역할을 하지 않으며, MHS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통신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H는 MHS의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위성에 장착하는 안테나와 거리가 먼 것은?

  1. 파라볼라 안테나
  2. 혼 안테나
  3. 애드콕 안테나
  4. 헬리컬 안테나
(정답률: 62%)
  • 애드콕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과 달리 안테나와 거리가 멀어도 성능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위성에 장착할 때 다른 안테나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푸시 버트 전화기에서 숫자 버튼 기능의 주파수가 옳은 것은?

  1. 1 : 697[Hz]+1633[Hz]
  2. 5 : 941[Hz]+1336[Hz]
  3. 9 : 852[Hz]+1477[Hz]
  4. 0 : 770[Hz]+1336[Hz]
(정답률: 78%)
  • 푸시 버트 전화기에서 숫자 버튼을 누르면 해당 숫자에 해당하는 두 개의 주파수가 동시에 발생합니다. 이 두 개의 주파수는 각각 고주파와 저주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9" 버튼을 누르면 852Hz와 1477Hz의 두 개의 주파수가 발생합니다. 이는 푸시 버트 전화기에서 "9" 버튼에 해당하는 고주파와 저주파의 주파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 : 852[Hz]+1477[Hz]"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모뎀(Modem)의 고려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변조방식
  2. 동기방법
  3. 다중화방식
  4. 등화회로
(정답률: 49%)
  • 다중화방식은 모뎀의 고려사항 중 하나이지만, 다중화방식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모뎀은 이러한 다중화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중화방식은 모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술입니다. 반면에 변조방식, 동기방법, 등화회로는 모뎀의 다른 고려사항들입니다. 변조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동기방법은 송수신측의 시간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등화회로는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는 회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일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1. DNS(Domain Name Service)
  2. PPP(Point to Point Protocol)
  3.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er)
  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정답률: 60%)
  • RADIUS는 원격 인증 및 계정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ISP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일괄 관리하기에 적합합니다. PPP는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RADIUS가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일괄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신기의 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2. 특정 주파수의 선택도를 크게 할 수 있다.
  3. AGC를 채용하여 수신기의 출력 변동이 크다.
  4. 고충실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7%)
  • AGC를 채용하여 수신기의 출력 변동이 크다. - AGC는 수신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입력 신호의 강도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강도가 변할 때마다 출력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출력 신호의 변동이 크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이 문항에서는 AGC를 채용하여 수신기의 출력 변동이 크다고 설명되어 있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디지털 셀룰러 방식에서 페이딩에 의한 군집성 오류(Burst Error)를 극복하기 위하여 오류정정부호와 함께 사용하는 기술은?

  1. 변조 기술
  2. 인터리빙 기술
  3. 다중화 기술
  4. 핸드오프 기술
(정답률: 81%)
  • 디지털 셀룰러 방식에서 페이딩에 의한 군집성 오류(Burst Error)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오류로, 오류정정부호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인터리빙 기술을 함께 사용합니다. 인터리빙 기술은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재배열하여 전송하는 기술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데이터가 분산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오류가 전체적으로 흩어지게 되어 오류정정부호가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지털 셀룰러 방식에서 페이딩에 의한 군집성 오류(Burst Error)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오류정정부호와 함께 인터리빙 기술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모뎀이나 신호의 스펙트럼이 채널의 대역폭 내에 가능한 넓게 분포하도록 하여 수신측에서 등화기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변조기
  2. 복조기
  3. 스크램블러
  4. 증폭기
(정답률: 81%)
  • 스크램블러는 모뎀이나 신호의 스펙트럼을 채널의 대역폭 내에 가능한 넓게 분포시켜 수신측에서 등화기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램블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TM 교환시스템의 주요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비스특성 및 대역폭에 상관없이 수용이 가능함으로 새로운 서비스 수용이 가능하다.
  2. 기존의 다양한 종류의 망을 하나의 멀티미디어 통합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망운영이 가능하다.
  3. 사용하는 정보의 형태나 양에 따라 요금체계를 다양화 할 수 있다.
  4. 동기식 다중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존방식보다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55%)
  • ATM 교환시스템의 주요 특징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동기식 다중방식은 ATM 교환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송 방식 중 하나로,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존의 비동기식 방식보다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TM 교환시스템에서는 동기식 다중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위성통신에서 지구국을 구성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

  1. 지상통제부
  2. 안테나부
  3. 중계부(트랜스폰더)
  4. 증폭부
(정답률: 67%)
  • 위성통신에서 지구국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중계부(트랜스폰더)는 위성과 지구간의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반면에 지상통제부는 위성의 운용 및 관리를 담당하고, 안테나부는 위성과 지상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증폭부는 신호를 증폭시켜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계부(트랜스폰더)가 아닌 것은 나머지 세 가지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퓨터 입력장치 중 X, Y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은?

  1. MICR
  2. Digitizer
  3. OCR
  4. Scanner
(정답률: 76%)
  • Digitizer는 펜이나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X, Y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문자나 이미지를 인식하는 입력장치이지 X, Y 위치를 입력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디오텍스에서 점, 선, 호, 다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요소의 조합에 의해 표현하는 방식은?

  1.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
  2.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
  3. 알파 모자이크 방식
  4. 알파 혼합 방식
(정답률: 83%)
  •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은 비디오텍스에서 점, 선, 호, 다각형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조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알파 채널을 이용하여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비디오텍스에서 이미지 처리 및 편집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경로 따른 전자파의 분류에서 지상파가 아닌 것은?

  1. 대류권 산란파
  2. 직접파
  3. 대지 반사파
  4. 회절파
(정답률: 73%)
  • 지상파는 지표면을 따라 직진하는 전자파를 말합니다. 이에 반해 대류권 산란파는 대기 중의 불규칙한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어 지표면으로 도달하는 전자파를 말합니다. 따라서 대류권 산란파는 지상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ITU-T의 메시지 처리 시스템(MHS) 관련 표준안의 권고는?

  1. I 시리즈
  2. T 시리즈
  3. V.400 시리즈
  4. X.400 시리즈
(정답률: 59%)
  • ITU-T의 메시지 처리 시스템(MHS) 관련 표준안의 권고는 "X.400 시리즈"이다. 이는 전자우편과 메시지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시리즈로, 이메일의 기본 프로토콜인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와는 다르게 보안성과 신뢰성이 높은 메시지 교환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업이나 정부 기관 등에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메시지 교환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RS-232C 25핀 커넥터의 2번 핀의 기능은?

  1. 송신요구(RTS)
  2. 송신준비 완료(CTS)
  3. 데이터의 수신(RXD)
  4. 데이터의 송신(TXD)
(정답률: 62%)
  • RS-232C 25핀 커넥터의 2번 핀은 데이터의 송신(TXD)을 담당합니다. 이 핀은 데이터 송신기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며, 데이터 수신기는 이 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따라서 이 핀은 데이터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위치 등록(Location Registration)
  2. 대규모 셀(Cell)의 구역화
  3. 통화채널 전환(Hand off)
  4. 동적 주파수 할당
(정답률: 55%)
  •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위치 등록, 통화채널 전환, 동적 주파수 할당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대규모 셀(Cell)의 구역화는 다른 기능들과는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대규모 셀(Cell)의 구역화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Cell)의 크기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설계와 관련된 기능으로, 다른 기능들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통신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 B, 신호전력 S, 잡음전력이 N인 경우, 채널의 통신용량은?

  1. Blog10(1+S/N)
  2. 2Blog10(1+S/N)
  3. Blog2(1+S/N)
  4. 2Blog2(1+S/N)
(정답률: 69%)
  • 통신용량은 채널 대역폭 B와 신호전력 S, 잡음전력 N에 의해 결정된다. 즉, 통신용량은 B, S, N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Shannon-Hartley 정리에 따르면, 통신용량 C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 = B * Blog2(1+S/N)

    여기서 B는 채널 대역폭이고, S는 신호전력, N은 잡음전력이다. 따라서 정답은 "Blog2(1+S/N)"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식이 잘못되었거나, 로그의 밑(base)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양자화 잡음이 생기는 변조방식은?

  1. PSK
  2. FSK
  3. ADPCM
  4. QAM
(정답률: 52%)
  • 양자화 잡음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생기는 오차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양자화를 사용하는 변조 방식 중에서는 양자화 잡음이 생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중에서도 ADPCM은 샘플링 주파수를 낮추고 양자화 단계를 조절하여 데이터를 압축하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ADPCM은 양자화 잡음이 생기는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파장이 서로 다른 여러 광신호를 광결합기를 통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광분파기로 분리하는 다중화 방식은?

  1. WDM
  2. FDM
  3. TDM
  4. SDM
(정답률: 83%)
  • 여러 개의 파장을 이용하여 다중화하는 방식이므로 "WDM"이다. "FDM"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TDM"은 시간을 이용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SDM"은 공간을 이용하여 다중화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밍 거리가 8일 때, 수신단에서 정정 가능한 최대 오류 개수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75%)
  • 해밍 거리가 8이라는 것은 두 개의 이진수 중에서 8개의 비트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최대 8개의 비트 오류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정정 가능한 오류는 해밍 거리의 절반인 4개까지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정정 가능한 최대 오류 개수는 4개가 아닌 3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전송선로의 2차 정수에 해당하는 것은?

  1. 저항
  2. 인덕턴스
  3. 정전용량
  4. 위상정수
(정답률: 65%)
  • 위상정수는 전기 신호의 위상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주파수가 같은 두 신호 간의 상대적인 위상 차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송선로에서는 신호의 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위상 차이를 고려하여 위상정수를 사용한다. 저항, 인덕턴스, 정전용량은 모두 전기 회로의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지만, 위상정수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인터넷 주소(IP 주소)로 노드의 물리적 주소를 찾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ICMP
  2. IGMP
  3. ARP
  4. RIP
(정답률: 61%)
  • 인터넷 주소(IP 주소)는 논리적인 주소이고, 물리적인 주소는 MAC 주소입니다.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가진 노드의 MAC 주소를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 주소로 노드의 물리적 주소를 찾습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GMP는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RIP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송하고자 하는 총 비트 수가 72개일 때, 해밍 비트수는?

  1. 4
  2. 5
  3. 6
  4. 7
(정답률: 76%)
  • 해밍 코드에서 해밍 비트의 수는 2의 거듭제곱에서 데이터 비트 수를 빼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2^n ≥ (데이터 비트 수) + n + 1 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n을 찾으면 됩니다.

    72보다 큰 2의 거듭제곱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2^7 = 128입니다. 따라서, 72개의 데이터 비트에 7개의 해밍 비트를 추가하여 총 79개의 비트를 전송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정답은 "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HDLC 프레임 구조에서 FCS의 비트수는?

  1. 6
  2. 12
  3. 16
  4. 24
(정답률: 71%)
  • HDLC 프레임 구조에서 FCS의 비트수는 16이다. 이는 CRC-CCITT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알고리즘은 16비트 FCS를 생성하며, 이를 사용하여 오류 검출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시분할방식 스위치 회로망을 사용하는 디지털 교환기가 음성 32채널의 PCM 신호방식일 때, 부호속도[Mbps]는?

  1. 1.544
  2. 2.048
  3. 6.312
  4. 8.192
(정답률: 75%)
  • 음성 1채널의 PCM 신호방식은 64 kbps이다. 따라서 32채널의 PCM 신호방식은 64 kbps x 32 = 2.048 Mbps이다. 따라서 정답은 "2.0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HDLC에서 주로 사용되는 오류검출 방식은?

  1. 패리티 검사
  2. 순환잉여 검사(CRC)
  3. 전진오류수정(FEC)
  4. 불록합 검사
(정답률: 72%)
  • HDLC에서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순환잉여 검사(CRC) 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 측에서 일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순환잉여 값을 계산하고, 수신 측에서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한 데이터의 순환잉여 값을 계산한 후, 두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오류를 검출합니다.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아서 HDLC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RQ 방식이 아닌 것은?

  1. 정지-대기 ARQ
  2. 선택적 재전송 ARQ
  3. 불연속적 ARQ
  4. Go-back-N ARQ
(정답률: 74%)
  • 불연속적 ARQ는 실시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이전에 전송한 패킷의 ACK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전 패킷의 ACK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다음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패킷의 ACK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패킷을 재전송해야 하므로, 전송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불연속적 ARQ는 실시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며, 다른 ARQ 방식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진폭과 위상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은?

  1. PSK
  2. QAM
  3. FSK
  4. ASK
(정답률: 80%)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화시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변조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양한 진폭과 위상의 조합으로 신호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다른 디지털 변조방식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QAM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높은 전송률을 보장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시간(timing)
  4. 포맷(format)
(정답률: 82%)
  • 포맷(format)은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구문(syntax)은 메시지의 형식이나 구조를 정의하고, 의미(semantics)는 메시지의 의미나 목적을 정의하며, 시간(timing)은 메시지의 전송 시간이나 순서를 정의합니다. 포맷(format)은 메시지의 표현 방식이나 인코딩 방식을 정의하는 것으로, 기본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PCM 시스템에서 ISI(Inter Symbol Interference)를 측정하기 위해 눈 패턴(eye pattern)을 이용한다. 여기서 눈을 뜬 상하의 높이가 의미하는 것은?

  1. 잡음에 대한 여유도
  2. 시스템 감도
  3. 시간오차에 대한 민감도
  4. 최적의 샘플링 순간
(정답률: 74%)
  • 눈 패턴에서 뜬 상하의 높이는 잡음에 대한 여유도를 나타낸다. 즉, 눈이 뜬 정도가 클수록 잡음에 더 강건한 시스템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눈이 뜬 정도가 클수록 신호와 잡음의 구분이 더욱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 패턴을 통해 ISI를 측정하고 눈이 뜬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시스템의 잡음에 대한 여유도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소자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PIN diode : 광결합기
  2. EDFA : 광증폭기
  3. LD : 전광변환
  4. APD : 광전변환
(정답률: 60%)
  • PIN diode는 광전자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소자이고, 광결합기는 광신호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PIN diode : 광결합기"가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손실 중 광섬유 케이블에서 야기되는 손실이 아닌 것은?

  1. 유도 손실
  2. 흡수 손실
  3. 산란 손실
  4. 마이크로밴딩 손실
(정답률: 50%)
  • 정답: 유도 손실

    유도 손실은 전기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로, 광섬유 케이블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광섬유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주로 흡수 손실, 산란 손실, 마이크로밴딩 손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PCM 양자화 계단의 크기를 S라 할 때, 양자화 잡음전력은?

  1. S2/12
  2. S2/2
  3. S2/√2
  4. S2/√12
(정답률: 55%)
  • PCM 양자화 계단의 크기를 S라고 하면, 양자화 잡음전력은 S2/12이다.

    이는 양자화 잡음이 균일한 분포를 가지며, 각 양자화 단계에서의 오차의 제곱의 평균값이 S2/12임을 나타낸다. 이는 양자화 계단의 크기가 작을수록 양자화 잡음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손부호가 가져야 하는 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DC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2. 전송부호의 코딩효율이 양호해야 한다.
  3. 전력밀도 스펙트럼 상에서 아주 높은 주파수 성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4. 누화, ISI, 왜곡 등과 같은 각종 장해에 강한 전송 특성을 가져야 한다.
(정답률: 70%)
  • 전력밀도 스펙트럼 상에서 아주 높은 주파수 성분이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성분이 전송신호의 대역폭을 넓혀주고, 따라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송속도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누화, ISI, 왜곡 등과 같은 장해에도 강한 전송 특성을 가질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전손부호가 가져야 하는 조건으로는 "전력밀도 스펙트럼 상에서 아주 높은 주파수 성분이 포함되어야 한다."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광케이블에서 단일모드가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광학 파라미터는?

  1. 수광각
  2. 개구수(NA)
  3. 비굴절류차
  4. 규격화 주파수
(정답률: 46%)
  • 단일모드 광케이블에서 광파가 한 개의 모드로 전파되기 위해서는 광파가 광케이블의 코어와 클래딩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광케이블의 코어와 클래딩의 굴절률 차이가 커야 하며, 이를 나타내는 광학 파라미터가 비굴절류차입니다.

    하지만 비굴절류차만으로는 단일모드 전파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광케이블의 코어와 클래딩 경계면에서 광파가 반사되는 각도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만 단일모드 전파가 가능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광학 파라미터가 수광각과 개구수(NA)입니다.

    규격화 주파수는 광케이블의 코어와 클래딩의 크기와 모양, 굴절률 차이 등의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광파가 전파할 수 있는 최대 주파수입니다. 단일모드 광케이블에서는 규격화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에서만 단일모드 전파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규격화 주파수는 단일모드 광케이블에서 단일모드 전파가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광학 파라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광섬유를 SIF 및 GIF로 분류하는 것은 무엇에 따른 것인가?

  1. 코어의 굴절률 분포 형태
  2. 클래드의 굴절률 분포 형태
  3. 코어와 클래드 사이의 굴절률 분포 형태
  4. 클래드와 코팅층 사이의 굴절률 분포 형태
(정답률: 60%)
  • 광섬유를 SIF 및 GIF로 분류하는 것은 코어의 굴절률 분포 형태에 따른 것이다. SIF는 굴절률 분포가 상수인 광섬유를, GIF는 굴절률 분포가 가변적인 광섬유를 의미한다. 이는 광섬유의 코어 부분의 굴절률 분포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데, SIF는 굴절률 분포가 일정한 경우이고, GIF는 굴절률 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이용약관
  2. 통신규약
  3. 시설약관
  4. 기술기준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규약인 TCP/IP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통신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1. 110
  2. 220
  3. 300
  4. 600
(정답률: 78%)
  • 주어진 그림에서는 3개의 동그라미가 있고, 각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들의 합이 모두 같습니다. 따라서, 110 + 220 + 300 = 630 이고, 630을 3으로 나누면 210이 나옵니다. 이것은 각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들의 평균값입니다. 그리고, 210을 각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들의 개수인 2로 나누면 105가 나옵니다. 이것은 각 동그라미 안에 있는 숫자들의 중간값입니다. 따라서, 30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유선전화 서비스
  2. 자가전기통신 서비스
  3. 긴급통신용 전화 서비스
  4. 장애인ㆍ저소득층 등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 서비스
(정답률: 63%)
  • 자가전기통신 서비스는 개인이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전용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보편적인 역무의 내용이 아니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방송통신위원회가 기간통신사업자를 허가함에 있어 심사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간통신역무 제공계획의 이행에 필요한 재정적 능력
  2. 기간통신역무 제공계획의 이행에 필요한 기술적 능력
  3. 이용자 보호계획의 적정성
  4. 전기통신기술의 발전계획의 타당성
(정답률: 71%)
  • 기간통신사업자의 허가는 기간통신역무 제공계획의 이행에 필요한 재정적 능력, 기술적 능력, 이용자 보호계획의 적정성 등을 심사하여 결정됩니다. 그 중에서도 전기통신기술의 발전계획의 타당성은 기간통신사업자의 허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심사 사항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설계도서 보관의무 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사의 목적물 소유자 -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
  2. 공사를 설계한 용역업자 - 해당 공사가 준공된 후 5년간 보관
  3. 공사를 감리한 용역업자 - 하자담보책임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
  4. 공사를 시공한 시공업자 - 당해 공사가 준공된 후 7년간 보관
(정답률: 76%)
  • 정답: "공사의 목적물 소유자 - 공사의 목적물이 폐지될 때까지 보관"

    설명: 공사를 시공한 시공업자는 공사가 준공된 후 7년간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시공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나 문제점을 대비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공사와 관련된 업체들이 보관해야 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 ) 안에 적합한 것은?

  1. 20
  2. 30
  3. 50
  4. 60
(정답률: 81%)
  • 주어진 그림에서는 왼쪽에 있는 두 개의 숫자를 더한 값이 오른쪽에 있는 숫자와 같아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0 + 30 = 50 이므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고압에 대한 정의는?

  1. 직류는 750볼트 이하, 교류는 600볼트 이하인 전압
  2. 직류는 750볼트,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고 각각 7000볼트 이하인 전압
  3. 직류는 750볼트,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고 각각 3300볼트 이하인 전압
  4. 교류 7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
(정답률: 75%)
  • 고압은 방송통신설비에서 사용되는 전압 중에서 일정한 기준을 넘는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 규정에서는 직류와 교류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으며, 직류는 750볼트를 초과하고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는 경우를 고압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고압 전압은 각각 7000볼트 이하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직류는 750볼트,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고 각각 7000볼트 이하인 전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방송통신위원회가 수립하여 공고하는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사업에 관한 사항
(정답률: 44%)
  • 전기통신의 표준화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수립하여 공고하는 전기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전기통신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표준화를 담당하는 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KETI) 등이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의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이용효율화, 질서유지, 사업에 관한 사항 등을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은 공사업자를 말하는 것은?

  1. 수급인
  2. 도급인
  3. 용역업자
  4. 하도급인
(정답률: 63%)
  •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은 공사업자를 말하는 것은 "도급인"이 아닌 "수급인"입니다. 이는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도급과 수급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도급은 일반적으로 건설업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발주자가 직접 공사를 수행하지 않고 도급받은 업체가 공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에 수급은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발주자가 직접 공사를 수행하지 않고 수급받은 업체가 공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발주자로부터 공사를 도급받은 공사업자를 말하는 것은 "수급인"입니다. "도급인"은 일반적인 건설업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용역업자"는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발주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하도급인"은 도급받은 업체가 다시 다른 업체에게 공사를 하도급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정보통신공사에 대한 감리원의 업무범위가 아닌 것은?

  1.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
  2. 공사 관련 인원의 지휘 및 통솔
  3.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ㆍ확인
  4.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상세도면의 검토ㆍ확인
(정답률: 78%)
  • 감리원은 공사의 진행 상황을 감시하고, 공사 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 설계변경에 관한 사항의 검토ㆍ확인, 공사업자가 작성한 시공상세도면의 검토ㆍ확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그러나 감리원은 공사 관련 인원의 지휘 및 통솔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공사 관련 인원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면서 처리해 줌으로써 각 사용자가 각자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주는 시스템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on-line system
  2. batch file system
  3. dual system
  4. time sharing system
(정답률: 72%)
  •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면서 처리해 주어야 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이 "time sharing system" 입니다. "on-line system"은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환경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batch file system"은 일괄 처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dual system"은 두 개의 시스템이 상호작용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IEEE 754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정소수점 표현에 대한 국제 표준이다.
  2. 가수는 부호 비트와 함께 부호화-크기로 표현된다.
  3. 0.M×2E의 형태를 취한다.(단, M: 가수, E: 지수)
  4. 64비트 복수-정밀도 형식의 경우 지수는 10비트이다.
(정답률: 55%)
  • IEEE 754는 부동소수점 표현에 대한 국제 표준이며, 가수는 부호 비트와 함께 부호화-크기로 표현된다. 이는 가수의 최상위 비트가 부호 비트로 사용되며, 나머지 비트는 크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식은 양수와 음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IEEE 754에서는 0.M×2^E의 형태를 취하며, 64비트 복수-정밀도 형식의 경우 지수는 11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구글이 클라우드 시대를 겨냥해서 만든 차세대 태블릿 PC용 OS는?

  1. 크롬 OS
  2. tinyOS
  3. 비스타
  4. 안드로이드
(정답률: 77%)
  • 크롬 OS는 구글이 클라우드 시대를 겨냥해서 만든 차세대 태블릿 PC용 OS이다. 이 OS는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구글의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와는 다르게 PC용 OS로서의 기능보다는 인터넷 사용에 초점을 맞춘 경량화된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Spooling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자료를 발생 즉시 처리하는 방식이다.
  2. 느린 장치로 출력할 때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그 장치를 출력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3. 자료를 일정기간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4. 여러 개의 처리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74%)
  • Spooling은 느린 장치로 출력할 때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그 장치를 출력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즉, 출력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출력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는 것이다. 이를 통해 출력 장치와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고, 다른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자기디스크에서 사용하는 CAV 방식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

  1. 접근 속도의 저하
  2. 구동 장치의 복잡화
  3. 디스크의 무게 증가
  4. 저장 공간의 낭비
(정답률: 65%)
  • CAV 방식은 디스크의 외부부터 내부로 읽기/쓰기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디스크의 중심부분에서는 데이터가 적게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도 외부부분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해야 하므로 저장 공간이 낭비됩니다. 따라서 "저장 공간의 낭비"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떤 명령(instruction)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PC → MBR
  2. PC → MAR
  3. PC+1 → PC
  4. MBR → IR
(정답률: 63%)
  •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PC(Program Counter) 값을 MAR(Memory Address Register)에 전송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PC → MA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CPU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기억장치의 계층구조 요소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처리속도가 가장 빠른 것과 가장 느린 것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2. CPU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3.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4. CPU 레지스터,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71%)
  • 정답은 "CPU 레지스터, 캐시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이다.

    CPU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캐시기억장치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아 처리속도를 높인다. 주기억장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로, 캐시보다는 느리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하드디스크, SSD 등으로, 주기억장치보다는 느리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CPU 레지스터이고, 가장 느린 것은 보조기억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가중치 코드(Weighted Code)가 아닌 것은?

  1. 8421 코드
  2. 2421 코드
  3. 5421 코드
  4. Excess-3 코드
(정답률: 71%)
  • Excess-3 코드는 가중치 코드가 아닙니다. 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수의 가중치가 2의 거듭제곱으로 구성되는 반면, Excess-3 코드는 3을 더한 값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8421 코드에서 8은 2의 3승, 4는 2의 2승, 2는 2의 1승, 1은 2의 0승으로 구성되지만, Excess-3 코드에서 3을 더한 값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Excess-3 코드는 가중치 코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시스템 동작 개시 후 최초로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을 load하는 것은?

  1. operating system
  2. bootstrap loader
  3. mapping operator
  4. editor
(정답률: 71%)
  • 시스템 동작 개시 후에는 운영체제가 아직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기 위한 최초의 프로그램으로 bootstrap loader가 사용된다. 이 프로그램은 주기억장치에 운영체제를 적재하고, 운영체제가 실행될 수 있도록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bootstrap loader가 시스템 동작 개시 후 최초로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을 load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Address Bus선(Line)이 16선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지정할 수 있는 최대 번지수는?

  1. 8192
  2. 16384
  3. 32767
  4. 65535
(정답률: 77%)
  • 16선의 Address Bus는 2의 16승, 즉 65536개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실제로 지정할 수 있는 최대 번지수는 6553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5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