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정보통신기사(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1.0진 BCD코드를 LED 출력으로 표시하려면 어떤 디코더 드라이브가 필요한가?

  1. BCD-10세그먼트
  2. Octal-10세그먼트
  3. BCD-7세그먼트
  4. Octal-7세그먼트
(정답률: 89%)
  • BCD-7세그먼트 디코더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이는 1.0진 BCD코드가 0부터 9까지의 10진수를 나타내는데, BCD-7세그먼트 디코더 드라이브는 0부터 9까지의 10진수를 7개의 LED 세그먼트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8진수를 표시하는 Octal-10세그먼트와 Octal-7세그먼트, 또는 10진수를 표시하는 BCD-10세그먼트이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논리 회로는?

  1. XOR
  2. XNOR
  3. AND
  4. OR
(정답률: 78%)
  • 이 그림의 논리 회로는 두 입력 A와 B를 받아서 XOR 게이트를 통해 출력을 내보내는 회로이다. X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는 0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는 A와 B가 서로 다를 때만 출력이 1이 되고, 같을 때는 0이 된다. 이에 반해, XNOR 게이트는 두 입력이 같을 때 1을 출력하고, 다를 때는 0을 출력한다. AND 게이트는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을 출력하고, 그 외에는 0을 출력하며, OR 게이트는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을 출력하고, 둘 다 0일 때만 0을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 클리핑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항R의 조건으로 옳은 것은? (단, Rd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이다.)

  1. R=Rd
  2. R=1/Rd
  3. Rd
  4. R>>Rd
(정답률: 77%)
  • 정답은 "R>>Rd"이다.

    병렬 클리핑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클리핑을 수행하므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Rd보다 큰 저항 R을 사용하여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해야 한다. 이를 위해 R은 Rd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R>>Rd"가 옳은 조건이다. 이는 R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매우 작아지고, 이로 인해 클리핑이 더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정시간 동안 200개의 비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트 중 15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비트 에러율(BER)은?

  1. 7.5[%]
  2. 15[%]
  3. 30[%]
  4. 40.5[%]
(정답률: 86%)
  • 비트 에러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를 전송된 비트의 개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비트 에러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송된 비트의 개수는 200개이고,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는 15개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15/200) x 100 = 7.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수정발진기는 임피던스가 어떤 조건일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는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유도성과 용량성 결합
(정답률: 68%)
  • 수정발진기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발진회로의 에너지 저장과 방출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도성 임피던스는 발진회로의 고주파 에너지를 유지하고 안정적인 발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정발진기에서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가장 적절하며 안정적인 발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답을 앞에서부터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7%)
  • ㉯: 1번째 줄에서 2번째 도형과 3번째 도형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도형

    ㉰: 2번째 줄에서 1번째 도형과 3번째 도형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도형

    ㉮: 3번째 줄에서 1번째 도형과 2번째 도형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도형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의 회로 명칭은?

  1. 가산기
  2. 감산기
  3. 반감산기
  4. 비교기
(정답률: 71%)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Carry-In(Cin)을 받아서 덧셈과 뺄셈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이 회로의 명칭은 "반가산기"이다.

    반가산기는 덧셈을 수행할 때는 입력 A와 B를 XOR 연산하여 합(S)을 구하고, AND 연산하여 자리올림(Cout)을 구한다. 반면, 뺄셈을 수행할 때는 입력 A와 B를 XOR 연산하여 차(S)를 구하고, NOT 연산하여 자리올림(Cout)을 구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덧셈과 뺄셈을 모두 수행할 수 있지만,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반"감산기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JK Flip-Flop 에서 현재 상태의 출력 Qn을 1로 하고, J 입력과 K입력이 1 일 때 출력 펄스 CP에 신호기 인가되면 다음 상태의 출력 Qn+1은? (단, 플립플롭의 setup time과 holding time은 만족하다고 가정함.)

  1. 부정
  2. 1
  3. 0
  4. Qn
(정답률: 68%)
  • JK 플립플롭에서 J와 K가 모두 1일 때는 토글(toggle) 동작이 발생합니다. 즉, 현재 상태의 출력 Qn이 1이면 다음 상태에서는 0이 되고, 0이면 1이 됩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의 출력 Qn이 1이므로 다음 상태에서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회로에서 제너다이오드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단, Vs는 제너다이오드의 동작을 위한 정격전압보다 크다.)

  1. 일정한 신호를 증폭시킨다.
  2. 사용하기 적당한 교류전압으로 변환한다.
  3. 리플 성분을 제거시킨다.
  4.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한다.
(정답률: 65%)
  • 제너다이오드는 양방향 전류 흐름을 막는 반도체 소자로, 양극과 음극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제너다이오드가 양극이 Vs보다 높은 전압을 받으면 전류가 흐르고, 음극이 Vs보다 높은 전압을 받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C1이 충전되어 전압이 증가하면, 제너다이오드가 양극이 되어 C1의 전압을 유지시키고, C2가 방전되어 전압이 감소하면, 제너다이오드가 음극이 되어 C2의 전압을 유지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직류 출력전압을 제공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슬라이서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전압이 어느 기준 레벨 이하일 때 출력을 증강시키는 회로
  2. 입력이 어느 레벨 이상이 될 때 깎아내어 레벨을 낮추는 회로
  3. 입력 파형을 일정 레벨로 고정시키는 회로
  4.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
(정답률: 55%)
  •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는 입력 신호의 양수와 음수 부분을 각각 다른 클리퍼에서 처리하여 출력 신호를 형성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이 증폭되거나 감소되지 않고, 입력 신호의 양수와 음수 부분을 모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신호 처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클리퍼를 연속 연결한 회로"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꾸는 연산은?

  1. XOR 연산
  2. 선택적-세트(selective-set) 연산
  3. 선택적-보스(selective-complement) 연산
  4. 마스크(mask) 연산
(정답률: 87%)
  • 마스크(mask) 연산은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꾸는 연산이다. 이는 비트 단위로 논리곱(AND) 연산을 수행하여 해당 비트를 0으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때, 마스크(mask)는 해당 비트만 0으로 만들고 나머지 비트는 그대로 유지하는 비트열이다. 따라서, 마스크(mask) 연산을 통해 특정 비트의 값을 무조건 0으로 바꿀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간접 FM변조방식(Armstrong방식)에서의 필수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산기(adder)
  2.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
  3. 위상천이기(90° phase shifter)
  4. 진폭제한기(limiter)
(정답률: 69%)
  • 간접 FM변조방식에서 가산기(adder)는 필수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변조 신호와 위상 변조 신호를 합치는 역할을 하는데, Armstrong 방식에서는 위상 변조 신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와 진폭제한기(limiter), 그리고 위상천이기(90° phase shifter)가 필수 요소입니다. 평형 변조기는 주파수 변조 신호와 진폭 제한된 원본 신호를 곱하여 FM신호를 생성하고, 위상천이기는 이를 위상 변조 신호로 변환합니다. 진폭제한기는 신호의 진폭을 제한하여 변조 신호의 왜곡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은 수정진동자의 등가회로를 나타내었다. 수정진동자의 직렬 공진주파수는?

(정답률: 70%)
  • 수정진동자의 직렬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C1과 C2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1과 C2의 등가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eq = C1 + C2

    2. Ceq와 L1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eq와 L1의 등가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eq = L1 / (1 - ω^2 Ceq L1)

    3. Leq와 C3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Leq와 C3의 등가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eq' = C3 + 1 / (ω^2 Leq)

    4. Ceq'와 L2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eq'와 L2의 등가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eq' = L2 / (1 - ω^2 Ceq' L2)

    5. Leq'와 C4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Leq'와 C4의 등가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eq'' = C4 + 1 / (ω^2 Leq' C4)

    6. Ceq''와 C5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eq''와 C5의 등가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eq''' = Ceq'' + C5

    따라서, 직렬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eq' Ceq'''))

    이를 계산하면, 정답은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진리표에 해당하는 논리회로도는?

(정답률: 79%)
  • 이 진리표는 AND 게이트의 진리표와 일치합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회로입니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므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상적인 A급 증폭기의 최대효율은?

  1. 18[%]
  2. 35[%]
  3. 50[%]
  4. 100[%]
(정답률: 76%)
  • 이유는 A급 증폭기는 입력 전력의 절반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대 효율은 5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틀린 것은?

  1. A+B=B+A
  2. AㆍB=BㆍA
  3. A+0=0
  4. Aㆍ1=A
(정답률: 85%)
  • 정답은 "A+0=0"이 아니다. 이는 덧셈의 항등원(identity element)에 관한 성질로, 어떤 수 A와 0을 더해도 A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A+0=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파 증간탭 정류기를 이용한 전파정류회로에서 맥동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에 비례한다.
  2. 부하저항에 반비례한다.
  3. 콘덴서 C의 정전용량에 반비례한다.
  4. 부하저항과 정전용량의 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1%)
  • "주파수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맥동률이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맥동률은 전파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자기장이 빠르게 변화하므로 맥동률도 높아진다. 따라서 전파 증간탭 정류기를 이용한 전파정류회로에서 맥동률은 주파수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입력에 계단 전압(step voltage)을 인가할 때 출력에는 어떤 파형의 전압이 나타나겠는가? (단, A는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이다.)

(정답률: 75%)
  • 입력에 계단 전압이 인가되면,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 A는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출력에는 계단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무부하시의 직류 출력 전압이 300[V]이고, 전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이 250[V]였다면 전압 변동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80%)
  • 전압 변동률은 ((전부하시 전압 - 무부하시 전압) / 무부하시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50 - 300) / 300) x 100 = -16.7[%] 이지만, 문제에서는 절대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16.7[%]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인 이유는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여러 과정 가운데 맥류를 완전한 직류로 바꾸어 준다.
  2. 입력의 신호변화가 출력단에 확대되어 나타난다.
  3. 교류 성분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 회로이다.
  4.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 전압원의(+)또는 (-)의 반 사이클을 정류하고, 부하에 직류 전압를 흘리도록 한다.
(정답률: 83%)
  • 입력된 신호를 출력단에서 확대시켜 주는 것이 증폭기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진폭을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통신망 관리 시스템 네트워크 내에서 소통되는 호의 상황, 설비 상황이나 그의 변동상황을 파악ㆍ관리하며 네트워크의 설비 설계, 폭주관리 설비 소통관리 등의 역할을 갖는 시스템은?

  1. 가입자 시설 집중 운용 분산 시스템(subscriber line maintenance and operation system)
  2. 장거리 회선 감시 제어 및 운용 관리 시스템
  3. 트래픽 집중 관리 시스템(centralized traffic management system)
  4. 네트워크 트래픽 시스템(network traffic system)
(정답률: 78%)
  • 트래픽 집중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통신량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중앙에서 관리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설비 설계, 폭주관리, 설비 소통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소통되는 호의 상황, 설비 상황이나 그의 변동상황을 파악ㆍ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트래픽 집중 관리 시스템(centralized traffic management syste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보통신 시스템 설계의 진행과정에서 가장 나중에 수향해야 하는 것은?

  1. 실시설계
  2. 조사분석
  3. 기본설계
  4. 계획설계
(정답률: 83%)
  • 정보통신 시스템 설계의 진행과정에서 가장 나중에 수행해야 하는 것은 "실시설계"이다. 이는 이전에 수행한 "조사분석", "기본설계", "계획설계"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시스템을 구현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 단계에서 수행한 분석과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시스템 구현을 수행하는 "실시설계"가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암호화에 사용되는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해쉬함수
  2. IPSec
  3. 공개키 암호화
  4. 대칭키 암호화
(정답률: 84%)
  • 해쉬함수는 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으로 변환하는 함수로, 입력값이 조금만 변경되어도 출력값이 완전히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거나, 비밀번호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보통신 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 처리계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 중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
  2. 통신 소프트웨어
  3. 데이터 전송회선
  4. 통신 제어장치
(정답률: 74%)
  •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단말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기기, 데이터 전송회선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회선, 통신 제어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통신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통신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준화
  2. 단편화와 재합성
  3. 에러제어
  4. 동기화
(정답률: 50%)
  • 표준화는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표준화는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규격을 따르도록 하여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표준화는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이 아니라, 통신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ATM 교환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셀이라고 하는 가변 길이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2.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이다.
  3. ATM의 품질기준에 따른 서비스 종류는 CBR, rt-VBR, nrt-VBR, ABR, UBR로 구분된다.
  4. ATM 트래픽 파라미터에는 PCR, SCR, MCR, MBS, CDVT 등이 있다.
(정답률: 59%)
  • "셀이라고 하는 가변 길이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한다."는 오히려 ATM 교환기술의 특징 중 하나이므로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LAN(Local Area Network)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2. 구성 및 연결, 사용 방법이 복잡하다.
  3. 패킷 지연이 최소화된다.
  4. 네트워크 유지, 보수, 운용이 용이하다.
(정답률: 83%)
  • LAN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LAN은 고속 통신이 가능하고 패킷 지연이 최소화된다는 특성을 가진다. 하지만 LAN의 구성 및 연결, 사용 방법이 복잡하다는 것은 LAN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설정이나 연결 방법 등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LAN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종류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LAN의 구성 및 연결, 사용 방법이 복잡하다는 것은 LAN의 특성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안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다음 중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개방형 네트워크
  2. 폐쇄형 네트워크
  3. 인터넷의 확산
  4. 전자상거래 등 각종 응용서비스의 출현
(정답률: 88%)
  • 정답: 폐쇄형 네트워크

    설명: 폐쇄형 네트워크는 외부와의 연결이 없거나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공격이나 침해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이 아니다. 반면 개방형 네트워크, 인터넷의 확산, 전자상거래 등 각종 응용서비스의 출현은 외부와의 연결이 많아지고 정보의 교환과 공유가 증가하면서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HDLC 프로토클에서 S-프레임의 명령어와 거리가 먼 것은?

  1. Receive Reagy(RR)
  2. Request Disconnect(RD)
  3. Reject(REJ)
  4. Selective-Reject(SREJ)
(정답률: 74%)
  • S-프레임은 제어 프레임으로,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를 처리하거나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 중에서 "Request Disconnect(RD)"는 연결 종료를 요청하는 명령어이다. 다른 S-프레임들은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를 처리하거나 흐름 제어를 위한 명령어이지만, "Request Disconnect(RD)"는 연결 종료를 요청하는 명령어이므로 다른 S-프레임들과는 목적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동통신망에서 착ㆍ발신되는 신호 처리, 기지국 감시 및 제어, 위치 등록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는?

  1. 이동통신 교환기
  2. 휴대용 단말기
  3. BSC
  4. HLR/AC
(정답률: 61%)
  • 이동통신 교환기는 이동통신망에서 착ㆍ발신되는 신호 처리, 기지국 감시 및 제어, 위치 등록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이는 이동통신망에서 통화나 데이터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이며, 이동통신 교환기가 없으면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동통신 교환기가 정답입니다.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망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BSC는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HLR/AC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OSI 7계층의 각 계층별 기능 중 종점간의 오류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계층
  2. 네트워크계층
  3. 트랜스포트계층
  4. 세션계층
(정답률: 67%)
  • 트랜스포트계층은 종단간의 오류수정과 흐름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분할하고, 전송 중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하며, 수신측에서 패킷을 재조립하여 상위 계층에 전달합니다. 또한, 흐름제어를 통해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 중에서 종단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은 트랜스포트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IPv4의 C 클래스 네트워크를 2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각 서브넷에는 4~5개의 호스트를 연결하려고 한다. 이러한 서브넷을 구성하기 위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55.192
  2. 255.255.255.224
  3. 255.255.255.240
  4. 255.255.255.248
(정답률: 65%)
  • 서브넷을 26개로 나누기 위해서는 5비트가 필요하다. 이는 2^5 = 32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서브넷에는 4~5개의 호스트를 연결하려고 하므로, 각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IP 주소는 8개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48이다. 이는 5비트를 서브넷 ID로 사용하고, 나머지 3비트를 호스트 ID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255.2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FM 피변조파의 최대 주파수 편이가 60[kHz],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기 15[kHz]일 때 FM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85%)
  • FM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로 나눈 값에 2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FM 변조지수는 (60[kHz]/15[kHz]) x 2 = 8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된 PC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하기 위해서 PC에 구성되어야 할 프로토클 구조는 무엇인가? (MAC : Medium Access Control)

(정답률: 82%)
  • PC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CP/IP 프로토콜 구조가 필요하다. MAC 주소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주소를 나타내는데, TCP/IP 프로토콜에서는 MAC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PC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되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CP/IP 프로토콜 구조와 MAC 주소가 필요하다. ""는 TCP/IP 프로토콜 구조와 MAC 주소를 모두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제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장 가까운 서비스는?

  1. Wibro
  2. WiFi
  3. LTE
  4. Bluetooth
(정답률: 88%)
  • LTE는 Long-Term Evolution의 약자로, 고속 이동통신을 위한 4세대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Wibro, WiFi, Bluetooth는 모두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아니며, LTE가 가장 가까운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통신망의 구성 형태 중 성형(star type) 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송 제어 기능이 간단하다.
  2. 각 터미널마다 전송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3. 제어용 컴퓨터가 필요 없다.
  4. 집중 제어형이므로 보수와 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성형 망은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용 컴퓨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각 터미널마다 전송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전송 제어 기능이 간단하며, 집중 제어형이므로 보수와 관리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제어용 컴퓨터가 필요 없다."가 성형 망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V.32, V.42, X.25등의 표준을 제정한 표준화 기구는 어디인가?

  1. IEEE
  2. ANSI
  3. ISO
  4. ITU-T
(정답률: 70%)
  • 정답은 "ITU-T"이다. V.32, V.42, X.25 등의 표준을 제정한 표준화 기구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전기통신 표준화 부문(ITU-T)이다. ITU-T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일부로, 전 세계적으로 통신 기술과 서비스의 표준화를 촉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IP 주소와 같은 숫자로 되어 있는 주소정보를 문자열 정보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며, 주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것은?

  1. SMTP(Simple Message Transfer Protocol)
  2. DNS(Domain Name Server)
  3. POP(Post Office Protocol)
  4.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정답률: 74%)
  • DNS는 IP 주소와 같은 숫자로 되어 있는 주소정보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열 정보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을 수 있으며,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검색하거나 이메일을 보낼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DNS가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되는 서버 중 하나이다. SMTP는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POP는 이메일 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TC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광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성, 데이터, 유무선, 통신, 방송 융합형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통합망
  2. 다야항 서비스를 용이하게 개발해 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Open API)기반의 통신망
  3. 보안(Security), 품질보장(QoS), IPv6가 지원되는 통신망
  4. 특정 네트워크 및 단말을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끊어짐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원하는 통신망
(정답률: 60%)
  • "특정 네트워크 및 단말을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끊어짐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원하는 통신망"이 옳은 설명이며, 다른 보기들도 BcN의 특성 중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BcN은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개방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안과 품질보장, IPv6를 지원하는 통신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TCP 프레임의 헤더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승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
  2.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는 응답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만 제공된다.
  3. Data Offset는 TCP 헤더에서 32비트 워드의 숫자를 특성화시킨다.
  4. Window는 수신부가 응답필드에서 지정한 번호부터 수신할 수 있는 바이트의 수를 표시한다.
(정답률: 69%)
  •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승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TCP 세그먼트의 데이터 부분에서 첫 번째 바이트의 순서를 지정합니다. 따라서 "승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정답은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는 응답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만 제공된다."입니다.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는 항상 TCP 세그먼트에 포함되며, 응답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문자나 그림으로 구성된 화상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TV 수상기와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정보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은?

  1. 쌍방향 CATV
  2. VRS(Video Response System)
  3. 팩시밀리
  4. 비디오텍스
(정답률: 78%)
  • 비디오텍스는 문자나 그림으로 구성된 화상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TV 수상기와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정보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비디오텍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T1급 혹은 E1급 전응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적합한 디지털 전송장비는?

  1. CSU
  2. MODEM
  3. CCU
  4. CODEC
(정답률: 72%)
  • T1급 혹은 E1급 전응선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매체이다. 이에 따라 적합한 디지털 전송장비는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 CSU(CSU/DSU)이다. CSU는 전송매체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고, 신호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T1급 혹은 E1급 전응선을 사용하는 경우 CSU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ATV 시스템의 기존구성에서 안테나로부터의 수신된 방송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전송망으로 보내는 것은?

  1. 탭오프(Tap-off)
  2. 간선 증폭기
  3. 분기 증폭기
  4. 해드엔드(Head-end)
(정답률: 82%)
  • 해드엔드는 CATV 시스템에서 안테나로부터의 수신된 방송신호를 조정하여 전송망으로 보내는 중심 장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해드엔드입니다. 탭오프는 신호를 분배하는 장비, 간선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하는 장비, 분기 증폭기는 신호를 분기하고 증폭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CDMA(IS-95A방식기준)망에서 BTS(Bass Transceiver Station)에서 수행하는 과정이 아닌 것은?

  1. 콘볼루션인코딩
  2. 심블반족
  3. 블록인터리빙
  4. CRC
(정답률: 73%)
  • CRC는 CDMA(IS-95A방식기준)망에서 BTS에서 수행하는 과정이 아닙니다. CRC는 데이터 전송 후 수신 측에서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이미 생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TS에서는 CRC를 생성하는 과정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LAN 장비에서 네트워크계층의 연결장비인 것은?

  1. Router
  2. Bridge
  3. Repeater
  4. Hub
(정답률: 84%)
  •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AN 장비 중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연결장비인 것은 Router입니다. Bridge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Repeater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Hub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s)라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단말은?

  1. 케이블 모뎀
  2. 휴대폰
  3. 스마트 패드
  4. 유선 일반전화기
(정답률: 85%)
  • DOCSIS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준이며, 따라서 DOCSIS를 활용하는 단말은 케이블 모뎀입니다. 케이블 모뎀은 케이블 회선을 통해 인터넷을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장비로, DOCSIS를 지원하여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스마트 패드, 유선 일반전화기는 DOCSIS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라우터의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인 접속 포트에 활용되지 않는 것은?

  1. TP
  2. AUI
  3. DVI
  4. MAU
(정답률: 79%)
  • DVI는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로,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인 접속 포트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이더넷 인터페이스에는 TP (Twisted Pair), AUI (Attachment Unit Interface), MAU (Media Attachment Unit)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디지털 지상파 TV방송의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1. ATSC
  2. DVB-H
  3. ISDB-T
  4. DMB-T/H
(정답률: 77%)
  • DVB-H는 모바일 TV를 위한 전송방식으로, 디지털 지상파 TV방송의 전송방식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메시지 전송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보 전송
  2. 발신 메시지 정보
  3. 우선도 지정
  4. 비밀도 표시
(정답률: 78%)
  • 비밀도 표시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보안 관련 기능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등기식 광전송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STM-1 신호를 기본신호 단위로 하여 그 배수로서 고계위 신호인 STM-n신호를 형성하는 장비이다.
  2. 간단히 다중처리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3. PDH처럼 단계적인 다중방식을 사용함으로 중간단계 다중화에서 오버헤드가 불필요하다.
  4. 기준의 모든 통신망 통합이 가능하여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단일 표준의 망구성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3%)
  • "PDH처럼 단계적인 다중방식을 사용함으로 중간단계 다중화에서 오버헤드가 불필요하다."가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등기식 광전송시스템은 PDH와 달리 단계적인 다중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STM-1 신호를 기본신호 단위로 하여 그 배수로서 고계위 신호인 STM-n신호를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중간단계 다중화에서도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정보 단말기의 일반적인 분류에서 인식장치가 아닌 것은?

  1. 광학문자판독기(OCR)
  2. 광학마크판독기(OMR)
  3.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4. 라인프린터(Line Printer)
(정답률: 85%)
  • 인식장치는 입력장치에 해당하는데, 라인프린터는 출력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라인프린터는 정보 단말기의 일반적인 분류에서 인식장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순한 전송 기능 이상으로 정보의 축척, 가공, 변환 처리 등의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성 또는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 주는 복합적인 정보서비스망은?

  1. DSU
  2. VAN
  3. LAN
  4. MHS
(정답률: 82%)
  • VAN은 Value-Added Network의 약자로, 단순한 전송 기능 이상으로 정보의 축척, 가공, 변환 처리 등의 부가가치를 부여하여 복합적인 정보서비스망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정답이다. DSU는 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회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 내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MHS는 Message Handling System의 약자로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등방성 안테나로부터 거리가 2,000[m] 떨어져 있는 점의 전계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력은 10[W]이다.)

  1. 8.66[mV/m]
  2. 0.866[mV/m]
  3. 1.866[mV/m]
  4. 0.186[mV/m]
(정답률: 60%)
  • 등방성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은 10[W]이므로, 이를 반경 2,000[m]인 구면으로 둘러싸는 전력밀도는 다음과 같다.

    $P_d = frac{P_t}{4pi r^2} = frac{10}{4pi cdot 2000^2} = 1.99 times 10^{-8} [W/m^2]$

    전력밀도와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E = sqrt{frac{P_d}{mu_0 cdot epsilon_0}}$

    여기서 $mu_0$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epsilon_0$는 자유공간의 유전율이다. 이 값을 대입하면,

    $E = sqrt{frac{1.99 times 10^{-8}}{4pi times 10^{-7} cdot 8.85 times 10^{-12}}} = 8.66 times 10^{-3} [V/m]$

    전계강도는 전압과 동일한 단위인 볼트(V)를 사용하지 않고, 전압과 관련된 단위인 밀리볼트(mV)를 사용한다. 따라서, 전계강도를 밀리볼트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E = 8.66 times 10^{-3} [V/m] = 8.66 [mV/m]$

    따라서, 정답은 "8.66[mV/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DMA시스템의 이론적인 주파수 재사용률(FRT : Frequency Reuse Pattern)은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1%)
  • CDMA 시스템의 이론적인 주파수 재사용률은 "1"이다. 이는 CDMA 시스템에서 모든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며, 각 사용자는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여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을 재사용하지 않고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보통신시스템 소프트웨어에서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감독기능
  2. 잡(job)관리기능
  3. 범용라이브러리 기능
  4. 통신제어기능
(정답률: 74%)
  •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은 감독기능, 잡(job)관리기능, 통신제어기능 등이 있지만, 범용라이브러리 기능은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닙니다. 범용라이브러리는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함수나 루틴 등을 모아놓은 라이브러리로, 운영체제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범용라이브러리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지위성에 비해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하다.
  2. 동일한 궤도에서도 여러 개의 위성이 필요하다.
  3. 정지위성에 비해 저궤도 위성의 수명이 매우 길다.
  4. 다중 빔 방식으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81%)
  • 저궤도 위성은 지구 주변을 빠르게 돌아가며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 때문에 정지위성보다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하고, 동일한 궤도에서도 여러 개의 위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저궤도 위성은 대기권과의 마찰로 인해 수명이 짧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위성에 비해 저궤도 위성의 수명이 매우 길다."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팩시밀리(Facsimile) 장치의 기본적인 상수가 아닌 것은?

  1. 주사선 길이
  2. 주사선 밀도
  3. 전송 시간
  4. 최소화 주파수
(정답률: 68%)
  • 팩시밀리 장치의 기본적인 상수는 주사선 길이, 주사선 밀도, 전송 시간이다. 최소화 주파수는 팩시밀리 장치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므로 기본적인 상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영상통신에서 지원하는 H.264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데이터는 직사각형 비디오 프레임을 지원한다.
  2. 움직임 보상의 최소 블록 크기는 4×4이다.
  3. 움직임 벡터(추정 및 보상)의 정확도는 1/4화소로 지원한다.
  4. 디코더 내부의 디블록킹 필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8%)
  • H.264는 디코더 내부의 디블록킹 필터를 사용한다. 이 필터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할 때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는 깨짐 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디코더 내부의 디블록킹 필터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맞지 않는다.

    - "데이터는 직사각형 비디오 프레임을 지원한다." : H.264는 직사각형 비디오 프레임을 지원한다.
    - "움직임 보상의 최소 블록 크기는 4×4이다." : H.264는 움직임 보상의 최소 블록 크기를 4×4로 지정한다.
    - "움직임 벡터(추정 및 보상)의 정확도는 1/4화소로 지원한다." : H.264는 움직임 벡터의 정확도를 1/4화소로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HDTV 방식에서 1채널의 대역폭은?

  1. 6[MHz]
  2. 9[MHz]
  3. 18[MHz]
  4. 27[MHz]
(정답률: 80%)
  • HDTV 방식에서 1채널의 대역폭은 6MHz이다. 이는 아날로그 TV 방식에서 사용되던 대역폭과 동일하며, 디지털 방식에서는 이 작은 대역폭으로도 고화질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HDTV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채널을 병렬로 전송하므로 전체 대역폭은 18MHz 이상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집중화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송수신 할 데이터가 없어도 타임슬롯을 할당한다.
  2. 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단말기의 속도, 터미널의 접속 개수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4. 패킷교환 집중화 방식과 회선교환 집중화 방식이 있다.
(정답률: 67%)
  • "송수신 할 데이터가 없어도 타임슬롯을 할당한다."는 집중화 방식의 특징이 아니며, 이는 TDMA 방식에서의 특징입니다. TDMA 방식에서는 각 단말기에게 일정한 시간대를 할당하여 통신을 진행하는데, 이 때 송수신 할 데이터가 없더라도 할당된 시간대는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단말기가 해당 시간대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Mobile IP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바인딩(bi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HA(Home Agent)가 MN(Mobile Node)에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터널을 연결하는 것
  2. COA(Care Of Address)와 MN(Mobile Node)의 홈 주소를 연결시키는 것
  3. HA(Home Agemt)와 FN(Foreign Agent)가 자신이 어느 링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광고로 알리는 것
  4. FA(Foreign Agent)가 MN(Mobile Node)과 다른 MN(Mobile Node)을 연결시키는 것
(정답률: 73%)
  • Mobile IP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바인딩(binding)은 COA(Care Of Address)와 MN(Mobile Node)의 홈 주소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MN이 이동하면서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게 되는데, 이를 HA에게 알리고 HA는 COA와 홈 주소를 연결하여 MN에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Mobile IP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DPS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력제한을 받는 시스템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 DPSK송신기의 논리회로에는 배타적 OR가 사용된다.
  3. DPSK수신기 내에는 위상 비교기, 지연회로, BPF가 있다.
  4. PSK의 일증으로 등기검파를 수행한다.
(정답률: 59%)
  • PSK의 일증으로 등기검파를 수행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DPSK는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PSK와는 다른 방식입니다. DPSK에서는 이전 심볼과 현재 심볼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문자등기방식에서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코드는?

  1. ETX(End of Text)
  2. STX(Start og Text)
  3. BCC(Block Chek Character)
  4. BSC(Binary Synchronous Control)
(정답률: 80%)
  • BCC(Block Check Character)는 문자등기방식에서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코드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의 모든 문자의 비트를 더한 후 그 결과를 일정한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코드입니다.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데이터 블록의 모든 문자의 비트를 더한 후, 이전에 전송된 BCC와 비교하여 에러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CC는 전송된 데이터 블록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UD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2. 연결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3. 연결 등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4. TCP에 비하여 오버헤드의 크기가 크다.
(정답률: 82%)
  • UD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TCP에 비하여 오버헤드의 크기가 크다." 이다. UDP는 TCP보다 오버헤드가 적기 때문에 더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UDP가 신뢰성을 제공하지 않고,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며, 연결 등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빛을 집광하는 능력 즉, 최대 수광각 범위 내로 입사시키기 위한 광학렌즈의 척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개구수(Numerical Aperture. NA)
  2. 조리개 값(F-number)
  3. 분해거리(Resolved Distance)
  4. 초점심도(Depth of Focus)
(정답률: 80%)
  • 개구수(Numerical Aperture. NA)는 광학렌즈가 빛을 집광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이는 광학렌즈의 최대 수광각 범위 내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결정하며, NA가 높을수록 더 많은 빛을 집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A가 높을수록 광학렌즈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광학렌즈의 성능을 나타내는 다른 척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프로토클의 기능 중 송신측 개체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수신측 개체에서 조절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연결제어
  2. 에러제어
  3. 흐름제어
  4. 등기제어
(정답률: 83%)
  • 흐름제어는 송신측 개체로부터 오는 데이터의 양이나 속도를 수신측 개체에서 조절하여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버플로우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흐름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이동통신에서 특정 셀내에서 최번시(Busy hour) 1시간 동안 2,000개 호가 발생하고, 호당 평균 보류시간(Holding time)이 100초인 경우, 호손을(Blocking probability) PB=2[%]를 적용하면, 해당 셀에서 필요한 채널 수는 어떻게 되는가? (단, 해당 셀의 최번시(BH)등안 층 트래픽 : 55.6[Erl] =2,000개 호×100초/3,600초)

  1. 64
  2. 65
  3. 66
  4. 67
(정답률: 58%)
  • 호손 확률(PB)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B = (채널 수)/(채널 수 + 트래픽량)

    여기서 채널 수를 구하면 된다.

    최번시(BH)는 55.6[Erl]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트래픽량을 구할 수 있다.

    트래픽량 = 최번시(BH) × 3,600초/1시간 = 55.6 × 3,600 = 199,296[Erl]

    보류시간은 100초이므로, 1시간 동안 호당 평균 트래픽량은 다음과 같다.

    호당 평균 트래픽량 = 1호당 트래픽량 × (1/보류시간) = 1 × (1/100) = 0.01[Erl]

    따라서, 1시간 동안 발생하는 호 수는 다음과 같다.

    호 수 = 트래픽량 ÷ 호당 평균 트래픽량 = 199,296 ÷ 0.01 = 19,929,600[호]

    이 중에서 PB만큼은 차단된다고 했으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호 수는 다음과 같다.

    사용 가능한 호 수 = 호 수 × (1 - PB) = 19,929,600 × (1 - 0.02) = 19,530,408[호]

    따라서, 1시간 동안 동시에 사용 가능한 채널 수는 다음과 같다.

    채널 수 = 사용 가능한 호 수 ÷ 최번시(BH) = 19,530,408 ÷ 55.6 = 351,864[채널]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채널 수가 정수로 주어져야 하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351,864를 사용한다.

    따라서, 해당 셀에서 필요한 채널 수는 6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동기식 전송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각 문자의 앞에는 시작비트 뒤에는 종료비트를 갖는다.
  2. 블록과 블록 사이에는 휴지간격이 없다.
  3. 정보전송 형태는 블록단위로 이루어진다.
  4. 수신측 단말에는 버퍼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73%)
  • "각 문자의 앞에는 시작비트 뒤에는 종료비트를 갖는다."는 동기식 전송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데이터 전송의 시작과 끝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이다. 시작비트는 데이터 전송이 시작됨을 알리고, 종료비트는 데이터 전송이 끝났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는 동기식 전송의 특징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전송 오류 제어에서 Stop-and-wait ARQ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RQ 방식 중 가장 간단하다.
  2. 전파 지연이 긴 시스템에 효과적이다.
  3. 오류 검출이 뛰어나다.
  4. 메모리 Buffer 용량은 큰 블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8%)
  • "Stop-and-wait ARQ 방식은 전파 지연이 긴 시스템에 효과적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 방식은 전송 후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아야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 중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고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송 속도가 느리고, 전송 중에는 대기 시간이 발생하므로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파 지연이 적은 시스템에서는 다른 ARQ 방식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8진 PSK 신호에 5,000[Hz]의 대역폭이 주어졌을 때 보오율(baud rate)과 비트율(bit rate)은 각각 얼마인가?

  1. 보오율: 5,000[baud/s], 비트율: 15,000[bps]
  2. 보오율: 5,000[baud/s], 비트율: 20,000[bps]
  3. 보오율: 10,000[baud/s], 비트율: 15,000[bps]
  4. 보오율: 10,000[baud/s], 비트율: 20,000[bps]
(정답률: 78%)
  • 8진 PSK 신호는 8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3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오율과 비트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보오율 = 대역폭 / 2 = 5,000[Hz] / 2 = 2,500[baud/s]
    비트율 = 보오율 x 비트수 = 2,500[baud/s] x 3 = 7,500[bps]

    따라서, 정답은 "보오율: 5,000[baud/s], 비트율: 15,000[bps]"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이 잘못되었거나, 다른 방식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의 손실 중 동축케이블에 나타나는 손실은?

  1. 적외선 흡수 손실
  2. 레일리 산란 손실
  3. 와류 손실
  4. 구조 불완전 손실
(정답률: 81%)
  • 동축케이블에 나타나는 손실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와류 손실"입니다. 이는 전기 신호가 동축케이블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 전기자기장이 동축케이블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와류 손실은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며,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더욱 심해집니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와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동축케이블을 선택하고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IPv4와 IPv6의 연동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이중 스택(Dual Stack)
  2. 터널링(Tunneling)
  3. IPv4./IPv6 변환(Translation)
  4. 라우팅(Routing)
(정답률: 72%)
  • IPv4와 IPv6의 연동 방법 중에서 라우팅은 틀린 것입니다. 라우팅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IPv4와 IPv6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라우팅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IPv4와 IPv6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이중 스택, 터널링, IPv4/IPv6 변환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표본화 정리에 의하면 주파수 대역이 60[Hz]~3.6[kHz]인 신호를 완전히 복원하기 위한 표본화 주기는?

  1. 1/60초
  2. 1/3.6초
  3. 1/7,200초
  4. 1/6,800초
(정답률: 83%)
  • 표본화 정리에 따르면, 주파수 대역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의 표본화 주기를 가져야 완전히 복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이 60[Hz]~3.6[kHz]인 경우, 최대 주파수는 3.6[kHz]이므로, 2배 이상인 7.2[kHz] 이상의 표본화 주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초 단위로 변환하면 1/7,200초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20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IP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클래스
  2. B클래스
  3. C클래스
  4. D클래스
(정답률: 77%)
  • C클래스는 3개의 네트워크 비트와 21개의 호스트 비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최대 2의 21승(약 200만)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습니다. A클래스와 B클래스는 호스트 비트가 더 많아서 더 많은 호스트를 가질 수 있지만, C클래스는 일반적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되며, 호스트 수가 적어도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브넷 마스크는 라우터에서 서브넷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2.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마찬가지로 32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3. 서브넷 마스크의 비트열이 1인 경우 해당 IP주소의 비트열은 네트워크 주소 부분으로 간주된다.
  4. 서브넷 마스크를 적용하는 방법은 목적지 IP주소의 비트열에 서브넷 마스크 비트열을 OR 논리를 적용한다.
(정답률: 74%)
  • "서브넷 마스크를 적용하는 방법은 목적지 IP주소의 비트열에 서브넷 마스크 비트열을 OR 논리를 적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목적지 IP주소의 비트열에 서브넷 마스크 비트열을 OR 논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물리계층 4대 특성 중 DTE와 DCE간의 신호의 전압레벨, 상승시간, 하강시간, 잡음이득을 규정한 것은?

  1. 기계적 특성
  2. 전기적 특성
  3. 기능적 특성
  4. 절차적 특성
(정답률: 79%)
  • 물리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기 신호를 사용합니다. 이 때 DTE와 DCE간의 신호의 전압레벨, 상승시간, 하강시간, 잡음이득 등의 전기적 특성을 규정하여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적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데이터 통신방식 중 Full-Duplex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1. 비등기식 전송방식에 적합하다.
  2. 데이털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3.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하다.
  4. 데이터를 병렬로 보낼 수 있다.
(정답률: 82%)
  • Full-Duplex 방식은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등기방식 중 클럭(CLOCK)을 사용하여 등기를 맞추는 방식은?

  1. 문자등기
  2. 비트등기
  3. 플래그동기
  4. 제어동기
(정답률: 62%)
  • 클럭(CLOCK)을 사용하여 등기를 맞추는 방식은 비트등기(Bitwise Transmission)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등록하고,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식입니다. 클럭 신호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며,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전송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속도와 클럭 신호의 주기를 일치시켜야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송로 구조 분산(도파로 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
  2. 실제 전송로의 경로의 길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도착 시간의 차이가 발생
  3. 광 펄스가 옆으로 퍼지는 현상
  4.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
(정답률: 62%)
  •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이 틀린 설명입니다.

    전송로 구조 분산(도파로 분산)은 광섬유 내에서 광 펄스가 전파되는 도중에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구조 변화와는 무관합니다. 광섬유 내에서 광 펄스가 전파될 때, 각 모드마다 전파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광 펄스가 도착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게 됩니다. 이러한 시간 차이가 모여서 전송로 구조 분산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채널간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간 간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드 밴드(guard band)
  2. 버퍼(buffer)
  3. 가드 타임(guard time)
  4. 부호화 타임(coding time)
(정답률: 77%)
  •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채널간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 간격을 가드 타임(guard time)이라고 한다. 이는 이전 채널의 신호가 완전히 소멸한 후 다음 채널의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시간 간격으로, 채널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신호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가드 밴드(guard band)는 주파수 간격을 의미하며, 버퍼(buffer)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부호화 타임(coding time)은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CPU가 어떤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인터럽트 요구가 들어오면, 원래의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를 위한 프로그램을 먼저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명령 실행 사이클
  2.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3. 인터럽트 사이클
  4. 인터럽트 플래그
(정답률: 78%)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먼저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오류나 외부 입력 신호 등의 이벤트를 처리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그레이 코드 10110110을 2진수를 변환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11011011
  2. 10101101
  3. 01001100
  4. 01101011
(정답률: 71%)
  • 정답은 "11011011"입니다.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차이가 1인 이진수로 표현된 코드입니다. 따라서, 이 코드를 2진수로 변환하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수행하면 됩니다.

    101101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10001입니다.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 XOR 연산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0 = 1

    1 ⊕ 1 = 0

    1 ⊕ 1 = 0

    0 ⊕ 0 = 0

    0 ⊕ 1 = 1

    0 ⊕ 0 = 0

    1 ⊕ 1 = 0

    따라서, 10110110을 그레이 코드로 변환한 결과는 11011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 컴파일러 ⓑ 인터프리터
  2. ⓐ 인터프리터 ⓑ 컴파일러
  3. ⓐ 어셈블리어 ⓑ 컴파일러
  4. ⓐ 인터프리터 ⓑ 어셈블리어
(정답률: 67%)
  • 위의 그림은 소스코드를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컴파일러"입니다.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바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컴파일러는 전체 소스코드를 번역하여 실행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순차탐색(sequenlial search)에서 n개의 자료에 대해 평균 키 비교 횟수는 얼마인가?

  1. n/2
  2. n
  3. (n+1)/2
  4. n+1
(정답률: 59%)
  • 순차탐색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자료를 하나씩 비교해가며 찾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균적으로는 찾으려는 자료가 중간에 있을 때 가장 효율적이다. 이 경우 비교 횟수는 (n+1)/2 번이 된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자료에서 5를 찾는 경우, 1, 2, 3, 4와 6, 7, 8, 9, 10을 각각 비교하면서 찾아야 한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n+1)/2 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운영체제에서 컴퓨터 시스템 내의 물리적인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과 논리적 자원인 파일들이 효율적으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관리가 제어하는 부분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메모리
  2. GUI
  3. 커널
  4. 1/O
(정답률: 66%)
  • 정답은 "커널"입니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합니다. 따라서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물리적 자원과 파일과 같은 논리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메모리는 운영체제에서 관리되는 자원 중 하나이며, GUI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1/O는 입출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프로그램에서 함수들을 호출하였을 때 복귀주소(return address)들을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자료구조는 어느 것인가?

  1. 스택(stack)
  2. 큐(queue)
  3. 트리(tree)
  4. 그래프(graph)
(정답률: 75%)
  • 정답은 "스택(stack)"입니다.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복귀주소를 저장하고, 호출된 함수가 종료되면 저장된 복귀주소를 참조하여 호출한 함수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러한 복귀주소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로는 스택이 가장 적합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함수 호출 시에는 호출된 함수의 복귀주소를 스택에 push하고, 함수 종료 시에는 스택에서 pop하여 저장된 복귀주소를 참조합니다. 이러한 스택의 특성 때문에 함수 호출 순서와 반대로 복귀주소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주소 지정방식 중 명령어 내에 오퍼랜드 필드의 내용이 데이터의 유효주소가 되는 주소지정방식은?

  1. 직접 주소지정방식
  2. 간접 주소지정방식
  3.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4. 레지스터 간접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56%)
  • 직접 주소지정방식은 명령어 내에 오퍼랜드 필드의 내용이 데이터의 유효주소가 되는 방식이다. 즉, 명령어 내에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이며, 데이터의 주소를 직접 지정하기 때문에 가장 빠르고 간단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길이(depth)가 4인 전 이진트리(full binary tree)를 배열로 표현하고자 한다. 배열의 시작 색인(index)이 0으로 ㅣ작된다면 마지막 색인의 값은 얼마인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58%)
  • 전 이진트리에서 깊이가 4인 경우, 총 노드의 개수는 2^4 - 1 = 15개이다. 배열의 시작 색인이 0으로 시작되므로, 마지막 색인은 15 - 1 = 1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자바(java) 언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지향언어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2. 컴파일러 언어이다.
  3. 분산환경에 알맞은 네트워크 언어이다.
  4. 플랫폼에 무관한 이식이 가능한 언어이다.
(정답률: 59%)
  • 자바는 컴파일러 언어이다. 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 과정을 통해 실행 파일을 만들어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파일러 언어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마이크로컴퓨터의 기본 정보는 ‘0’과 ‘1’로만 표현되며, 이러한 부호의 조합을 명령(instruction)이라고 한다. 그리고 명령들은 어떤 육적과 규칙에 따라 나열되고,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데이터(DATA)
  2. 소프트웨어(Software)
  3. 신호(Signal)
  4. 2진 코드
(정답률: 62%)
  • 메모리에 저장되는 명령들은 소프트웨어라고 부른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문서 등을 포함한 모든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명령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소프트웨어의 일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전기통신기본법에 따라 전기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장치ㆍ기기ㆍ부품 또는 선조 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전기통신기자재
  2. 전기통신회선설비
  3. 전기통신선로설비
  4. 전기통신설비재료
(정답률: 73%)
  • 전기통신기본법에서는 전기통신설비에 사용되는 장치, 기기, 부품, 선조 등을 "전기통신기자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전기통신기자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의 방송통신관련 설비 중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전도성이 있는 인장선을 사용하는 전력선 반송케이블
  2. 금속성 함ㅊ[로 내부에 전기적 접속을 하는 경우
  3. 광섬유케이블로 전도성이 없는 인장선을 사용하는 경우
  4. 중계기에 전원 공급을 병행하는 케이블 방송용 동축케이블
(정답률: 78%)
  • 광섬유케이블로 전도성이 없는 인장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접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광섬유케이블이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적 접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영업정지가 아닌 등록이 취소되는 경우는?

  1. 정보통신기술자를 공사현장에 배치하지 아니한 경우
  2. 상호, 명칭을 변경한 경우에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
  3. 부정한 방법으로 정보통신공사업을 등록을 한 경우
  4. 하도급항 수 있는 공사 범위를 넘어 하도급한 경우
(정답률: 82%)
  • 정보통신공사업을 등록할 때는 법적인 절차와 요건을 따라야 하며, 이를 위반하거나 부정한 방법으로 등록한 경우 등록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정한 방법으로 정보통신공사업을 등록을 한 경우"가 영업정지가 아닌 등록이 취소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정보통신공사업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방송통신설비의 설치 및 보전은 무엇에 따라 하여야 하는가?

  1. 설계도서
  2. 프로토클
  3. 전기통신기술기준
  4. 정보통신공사업법
(정답률: 71%)
  • 방송통신설비의 설치 및 보전은 전기통신기술기준에 따라야 하며, 이를 위해 설계도서가 필요하다. 설계도서는 설비의 구성, 배치, 연결 등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로,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프로토콜은 통신규약을 의미하며, 정보통신공사업법은 정보통신사업자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는 법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발주자는 누구에게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하는가?

  1. 감리원
  2. 정보통신기술자
  3. 용역업자
  4. 도급업자
(정답률: 73%)
  • 발주자는 공사의 감리를 용역업자에게 발주하여야 합니다. 이는 용역업자가 공사의 진행 상황을 전문적으로 감시하고, 발주자에게 정확한 보고를 제공하여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용역업자는 발주자와 독립적인 입장에서 감리를 수행하므로, 공정한 감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감리원의 업무 범위에 대한 것이 아닌 것은?

  1. 하도급에 대한 타당성 검토
  2. 공사 자재의 조달에 대한 감사
  3. 준공도서의 검토 및 준공확인
  4. 공사계획 및 공정표의 검토
(정답률: 55%)
  • 정보통신공사의 감리원은 공사의 진행 상황을 감시하고, 계약서에 명시된 사항들이 지켜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공사 자재의 조달에 대한 감사는 감리원의 업무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공사 자재의 조달은 일반적으로 발주처나 시공사의 책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전기도체, 절연물로 싼 전기도체 또는 절연물로 싼 것의 위를 보호피막으로 보호한 전기도체 등으로서 300볼트 이상의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력선
  2. 통신선
  3. 통신케이블
  4. 강전류전선
(정답률: 78%)
  • 강전류전선은 300볼트 이상의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으로, 전기도체나 절연물로 싸여 있으며 보호피막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전력선, 통신선, 통신케이블은 강전류전선과는 전압이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정부에서 정보통신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권장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정보통신망 상호간의 연계 운영
  2. 정보통신망의 경영 관리
  3. 정보통신망의 표준화
  4. 정보의 공동 활용 체제 구축
(정답률: 68%)
  • 정답: "정보통신망의 경영 관리"

    설명: 정부에서는 정보통신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보통신망 상호간의 연계 운영, 정보통신망의 표준화, 정보의 공동 활용 체제 구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통신망의 경영 관리"는 권장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정보통신망의 경영 관리는 기업이나 조직의 내부적인 문제로, 정부에서 권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설비공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보망설비공사
  2. 전송설비공사
  3. 철도통신ㆍ신호설비공사
  4. 정보매체설비공사
(정답률: 55%)
  • 전송설비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설비공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송설비공사가 정보통신망을 구성하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망을 구성하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보망설비공사, 철도통신ㆍ신호설비공사, 정보매체설비공사는 모두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따른 정보설비공사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에서 정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가전기통신설비”란 사업용전기통신설비 외의 것으로서 특정인인 타인의 전기통시네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전기통시설비를 말한다.
  2. “전기통신사업자”란 허가를 받거나 등록 또는 신고를 하고 전기통신 역무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3. “사업용전기통신설비”란 전기통시사업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통신 설비를 말한다.
  4. “전기통신설비”란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ㆍ기구ㆍ선로 또는 그 밖에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
(정답률: 74%)
  • 정답: "“자가전기통신설비”란 사업용전기통신설비 외의 것으로서 특정인인 타인의 전기통시네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전기통시설비를 말한다."

    해설: "자가전기통신설비"는 개인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통신설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인이나 타인의 전기통신을 이용하기 위해 설치한 전기통신설비를 말한다. 따라서 "특정인이나 타인의 전기통신을 이용하기 위해 설치한 전기통신설비"가 정확한 정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