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정보통신기사(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중 교류입력의 반주기에 대해 브리지 정류기의 다이오드 동작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2.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3. 모든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4. 모든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이다.
(정답률: 78%)
  • 정답은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이다.

    교류입력의 반주기 동안, 브리지 정류기의 다이오드 중 두 개는 항상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이다. 이는 교류입력의 양/음성 주기에 따라 다이오드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개의 다이오드는 교류입력의 양/음성 주기에 따라 전류를 통과시키며, 나머지 두 개의 다이오드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를 통해 교류입력을 정류하여 직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정전압회로에서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rd)는 2[Ω]이고, 입력 직렬저항 (Rs)는 500[Ω]일 경우 전압 안정계수(S)는 약 얼마인가?

  1. 0.004
  2. 0.005
  3. 0.006
  4. 0.007
(정답률: 69%)
  • 정전압회로에서 전압 안정계수(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 = ΔVout / ΔVin

    여기서 ΔVout은 출력 전압의 변화량, ΔVin은 입력 전압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이 회로에서 입력 전압이 변할 때,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rd)과 입력 직렬저항(Rs)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입력 직렬저항(Rs)에 걸리는 전압이 일부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rd)으로 분배된다.

    따라서, ΔVout은 ΔVin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 회로에서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rd)는 2[Ω]이고, 입력 직렬저항(Rs)는 500[Ω]이므로, 전압 분배 비율은 다음과 같다.

    rd / (rd + Rs) = 2 / (2 + 500) ≈ 0.004

    따라서, 전압 안정계수(S)는 약 0.0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정류회로의 명칭은?

  1. 단상반파 정류회로
  2. 3상반파 정류회로
  3. 단상전파 정류회로
  4. 브릿지전파 정류회로
(정답률: 69%)
  • 이 정류회로는 하나의 전압만을 사용하여 전류를 정류하는 단상전파 정류회로이다. 이 회로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하나의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단상전파 정류회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베이스 접지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른 접지증폭 방식에 비해 전압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
  2. 출력임피던스가 다른 접지증폭 방식에 비해 높다.
  3. 전류이득은 대략 1이다.
  4. 입력과 출력간의 위상은 반전이다.
(정답률: 73%)
  • 입력과 출력간의 위상이 반전이 아니라 같다. 베이스 접지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에 접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출력 신호는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서 측정되는데, 이 때문에 출력임피던스가 다른 접지증폭 방식에 비해 높다고 설명할 수 있다. 전압이득은 대략 1이며, 다른 접지증폭 방식에 비해 전압이득을 크게 할 수 있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달링턴 접속하였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류이득이 높아진다.
  2. 입력임피던스가 낮아진다.
  3. 전압이득은 1보다 작다.
  4. 출력임피던스가 낮아진다.
(정답률: 54%)
  • 정답은 "전압이득은 1보다 작다."이다.

    다닝턴(Darlington) 접속은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 증폭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때, 입력 임피던스는 감소하고 출력 임피던스는 증가한다. 전류 이득은 두 트랜지스터의 이득을 곱한 값이므로 높아진다. 하지만 전압 이득은 두 트랜지스터의 이득을 곱한 값보다 작아지므로 입력 신호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그림에서 입력전압 Vi는? (단, R1=2R2)

  1. Vi=Vo
  2. Vi=2Vo
  3. Vi=3Vo
(정답률: 75%)
  • 입력전압 Vi는 출력전압 Vo와 같으므로, 정답은 "" 이다. 즉, Vi=V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2. 부하변동에 의한 이득 변동의 감소로 동작이 안정된다.
  3. 일그러짐이 감소한다.
  4. 전력효율이 좋아진다.
(정답률: 61%)
  • 부궤환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력효율이 좋아진다는 것은 입력으로 들어온 전력에 비해 출력으로 나가는 전력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전기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발진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증폭기의 출력이 유지되는 방향으로 궤환이 일어나야 한다.
  2. 궤환루프의 위상천이가 0˚이어야 한다.
  3. 전체 폐루프의 전압이득이 (Ad)이 0이어야 한다.
  4. 발진의 안정조건은 |Aβ|=1이어야 한다. (A: 증폭기 증폭도, β: 궤환율)
(정답률: 68%)
  • "전체 폐루프의 전압이득이 (Ad)이 0이어야 한다."가 발진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이 조건은 발진을 유지하기 위한 필요조건 중 하나이지만, 다른 조건들과 달리 반드시 만족되어야 하는 조건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다른 조건들이 충족되면 전체 폐루프의 전압이득이 0이 아니더라도 발진은 유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정현파 발진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CR 발진기
  2. LC 발진기
  3. 수정발진기
  4.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80%)
  •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정현파 발진기의 종류가 아닙니다. 정현파 발진기는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진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회로로, CR 발진기는 저항과 콘덴서를 이용한 회로, LC 발진기는 인덕턴스와 콘덴서를 이용한 회로, 수정발진기는 수정의 특성을 이용한 회로입니다. 하지만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콘덴서와 저항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진 파형을 발생시키는 회로로, 정현파 발진기의 종류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주파수변조를 진폭변조와 비교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점유주파수대폭이 넓다.
  2. 초단파대의 통신에 적합하다.
  3. S/N비가 좋아진다.
  4. Echo의 영향이 많아진다.
(정답률: 75%)
  • "Echo의 영향이 많아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주파수 변조는 진폭 변조와 달리 주파수를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Echo의 영향이 적습니다. Echo는 신호가 반사되어 도착 시간이 지연되는 현상으로, 진폭 변조에서는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기 때문에 Echo가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슈퍼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검파방식의 주파수 성분을 구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영상주파수 = 수신주파수 + (2×중간주파수)
  2. 국부발진주파수 = 수신주파수 - 중간주파수
  3. 혼신주파수 = 영상주파수 - 국부발진주파수
  4. 중간주파수 = 국부발진주파수 + 영상주파수
(정답률: 63%)
  • "영상주파수 = 수신주파수 + (2×중간주파수)"이 틀린 것이다. 영상주파수는 수신주파수와 중간주파수의 차이인데, 이는 "영상주파수 = 수신주파수 - 중간주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중간주파수는 국부발진주파수와 영상주파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이는 수신된 신호를 국부발진기로 변조시켜서 중간주파수로 내리고, 이후에 필터링하여 영상주파수를 추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정시간 동안 200개의 비트가 전송되고, 전송된 비트 중 15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비트 에러율(BER)은?

  1. 7.5[%]
  2. 15[%]
  3. 30[%]
  4. 40.5[%]
(정답률: 85%)
  • 비트 에러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를 구한 후, 전체 비트 개수에 대한 비율을 계산하면 됩니다.

    전송된 비트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는 15개이므로, 비트 에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비트 에러율 =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개수 / 전송된 비트의 총 개수) x 100%
    = (15 / 200) x 100%
    = 7.5%

    따라서, 정답은 "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전원전압이 변동해도 발진주파수에는 변화가 없다.
  2. 출력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한다.
  3. 회로의 시정수로 출력파형의 주기가 결정된다.
  4. 부궤환으로 이루어진 회로이다.
(정답률: 57%)
  • 정답은 "부궤환으로 이루어진 회로이다." 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부궤환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회로는 발진주파수와 출력파형의 주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궤환 회로가 없으면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이 불가능하다. 다른 보기들은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입력 신호에서 어떤 특정된 제어 시간의 신호만 출력되도록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회로는?

  1. 슬라이싱(Slicing) 회로
  2. 클램퍼(Clamper) 회로
  3. 클리핑(Clipping) 회로
  4. 게이트(Gate) 회로
(정답률: 63%)
  • 게이트(Gate) 회로는 입력 신호에서 특정한 제어 시간의 신호만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와 제어 신호를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을 통해 처리하여 원하는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회로는 디지털 회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회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8진수 (67)8을 16진수로 바르게 표기한 것은?

  1. (43)16
  2. (37)16
  3. (55)16
  4. (34)16
(정답률: 82%)
  • 8진수 67은 6x8^1 + 7x8^0 = 54 + 7 = 61이다. 이를 16진수로 변환하면 61을 16진수로 표기한 것인데, 이는 (3x16^1 + 13x16^0) = (3D)16이다. 하지만 16진수에서는 한 자리를 4비트로 나누어 표기하기 때문에, (3D)16을 (37)16로 간략화하여 표기한다. 따라서 정답은 "(37)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논리식 A(A+B+C)를 간단히 하면?

  1. A
  2. 1
  3. 0
  4. A+B+C
(정답률: 80%)
  • 논리식 A(A+B+C)를 간단히 하면 A이다. 이유는 A(A+B+C)를 전개하면 A*A + A*B + A*C가 되는데, A*A는 A이고, A*B와 A*C는 A와 같은 값이므로 A+A+A는 A이다. 따라서 A(A+B+C)는 A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논리 회로는 어떤 논리 게이트(Logic Gate)로 동작하는가?

  1. OR
  2. NOR
  3. NAND
  4. AND
(정답률: 59%)
  • 입력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OR 게이트와는 반대로 동작하므로 NOR 게이트이다.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5비트 2진 카운터의 입력에 4[MHz]의 정방향 펄스가 가해질 때 출력 펄스의 주파수는?

  1. 25[kHz]
  2. 50[kHz]
  3. 250[kHz]
  4. 125[kHz]
(정답률: 63%)
  • 5비트 2진 카운터는 2^5=32개의 상태를 가지며,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1씩 증가하므로 출력 펄스는 32분의 1 주기마다 발생합니다. 따라서 출력 펄스의 주파수는 입력 펄스의 주파수를 32로 나눈 값이 됩니다. 4[MHz]를 32로 나누면 125[kHz]가 되므로 정답은 "125[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동기식 5진 카운터(Counter) 회로는 최소 몇 개의 플립플롭(Flip-Flop)이 필요한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81%)
  • 비동기식 5진 카운터는 5진수로 0부터 4까지 총 5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최소한 3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는 0부터 3까지의 4개의 상태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면 5진수로 0부터 4까지의 5개의 상태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병렬가산기
  2. 멀티플렉서
  3. 디멀티플렉서
  4. 디코더
(정답률: 81%)
  • 이 회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 중에서 하나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가진 장치를 멀티플렉서라고 합니다. 입력 신호는 선택선을 통해 제어되며, 선택선의 조합에 따라 출력 신호가 바뀝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멀티플렉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2.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3.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정답률: 85%)
  • DSU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DSU는 디지털 데이터를 이진수로 표현하고, 이를 전송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0개의 지국을 그물형(Mesh)으로 연결하려 할 때 소요되는 최소 링크 수는?

  1. 25
  2. 35
  3. 45
  4. 55
(정답률: 91%)
  •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려면 각 지국마다 최소 3개의 링크가 필요하다. 이는 한 지국과 인접한 두 지국과의 연결과,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 링크 수는 10개의 지국마다 3개의 링크가 필요하므로 30개이다. 그러나, 각 링크는 양방향이므로, 중복을 제외하면 15개의 링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5개의 링크에 3을 곱한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정보통신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N-Screen
  2. LTEM
  3. Super-WiFi
  4. MVNO
(정답률: 78%)
  • "N-Screen"은 다양한 기기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화면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로, 정보통신 기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다양한 기기 간 연결성"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서 대화형 통신에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메시지 교환방식
  2. 회선 교환방식
  3. 데이터그램 교환방식
  4. 가상회선 교환방식
(정답률: 74%)
  • 메시지 교환방식은 전체 메시지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서 대화형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에 모든 메시지를 모아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지연시간이 길어지고 대화형 통신에서는 실시간으로 응답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화형 통신에는 데이터그램 교환방식이나 가상회선 교환방식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화통신망(PSTN)에서 최번시 1시간에 발생한 호(Call)수가 240이고, 평균통화시간이 2분일 때 이 회선의 호량(Erlang)은?

  1. 0.1[Erl]
  2. 8[Erl]
  3. 40[Erl]
  4. 360[Erl]
(정답률: 90%)
  • 호량(Erlang)은 특정 시간 동안 사용된 회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호량은 발생한 호의 수와 평균통화시간을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호량 = 발생한 호의 수 × 평균통화시간 / 60

    호량 = 240 × 2 / 60

    호량 = 8[Erl]

    따라서 정답은 "8[Er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HDLC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이트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2.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방식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3.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4. 오류제어방식으로 ARQ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71%)
  • "바이트 방식의 프로토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HDLC 프로토콜은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이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비트 단위로 동기화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TCP 프레임의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송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
  2. 응답 번호(Acknowledgement Number)는 응답제어 비트가 설정되어 있을 때만 제공된다.
  3. Data Offset(HLEN)는 TCP Segment에 있는 데이터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나타낸다.
  4. Window Size는 수신부가 응답필드에서 지정한 번호부터 수신할 수 있는 바이트의 수를 표시한다.
(정답률: 72%)
  • "순차 번호(Sequence Number) 필드는 송신 TCP로부터 수신 TCP로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 중 마지막 바이트를 지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Data Offset(HLEN)는 TCP Segment에 있는 데이터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TCP 헤더의 길이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나타낸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Data Offset(HLEN)는 TCP Segment에 있는 데이터를 32비트 워드 단위로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대등-대-대등(peer-to-peer)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통신장치 간에 통신할 때 해당계층에서 통신하는 각 장치의 프로세스
  2. 하나의 장치에서 각 계층이 바로 아래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프로세스
  3. 인접한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프로세스
  4. 임의의 두 통신장치 간에 자신의 구조에 상관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세스
(정답률: 80%)
  • "임의의 두 통신장치 간에 자신의 구조에 상관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세스"가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이는 대등-대-대등(peer-to-peer) 프로세스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장치가 서로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층적인 구조에서의 프로세스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대등-대-대등 프로세스와는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중에서 데이터 전송시기와 전송속도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1. 타이밍
  2. 구문
  3. 의미
  4. 표준
(정답률: 88%)
  • 타이밍은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전송시기와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언제 전송되어야 하는지, 얼마나 빠르게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타이밍"이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중에서 데이터 전송시기와 전송속도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PCM 통신방식에서 4[kHz]의 대역폭을 갖는 음성 정보를 8[bit] 코딩으로 표본화하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전송률은 얼마인가?

  1. 4[kbps]
  2. 8[kbps]
  3. 32[kbps]
  4. 64[kbps]
(정답률: 65%)
  • PCM 통신방식에서 4[kHz]의 대역폭을 갖는 음성 정보를 8[bit] 코딩으로 표본화하면, 1초당 4,000개의 샘플링이 필요하며, 각 샘플링은 8[bit]로 표현된다. 따라서, 1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은 4,000 x 8 = 32,000[bit]이다. 이를 kbps 단위로 변환하면 32[kbps]가 되며,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다. 따라서, 정답은 "32[k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통신 중에 교환기의 스위치가 닫히게 되어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물리적인 회선이 만들어지며 전화나 TV같은 연속적인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교환방식은?

  1. 회선 교환
  2. 패킷 교환
  3. 메시지 교환
  4. 데이터그램 교환
(정답률: 82%)
  • 회선 교환은 통신 중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물리적인 회선을 만들어 전화나 TV와 같은 연속적인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 중에 데이터가 분할되지 않고 전체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중요한 음성 통화나 영상 전송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화통신망(PSTN)에서 인접선로간 차폐가 완전하지 않아, 인접선로 상의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쳐 발생하는 품질저하 요인은?

  1. 누화(Cross Talk)
  2. 신호감쇠
  3. 에코(Echo)
  4. 신호지연
(정답률: 84%)
  • 누화(Cross Talk)는 인접선로간 신호가 서로 섞여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PSTN에서 인접선로간 차폐가 완전하지 않아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다른 신호에 영향을 미쳐 통화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부가가치통신망(VA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AN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만 VAN 정보에 접속할 수 있다.
  2. 은행의 본점과 지점간 또는 다른 은행간의 자동이체 등은 VAN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3. 최근에는 개방형 구조의 인터넷기반 B2B, B2C로 발전하고 있다.
  4. VAN은 기존 통신망의 통신기능에 통신처리기능, 정보처리기능을 추가하여 가치를 높이는 통신망이다.
(정답률: 85%)
  • "VAN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만 VAN 정보에 접속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VAN은 인터넷과 별도로 독자적인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VAN 사용자는 전용 회선을 통해 VAN 정보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FM 피변조파의 최대 주파수 편이가 60[kHz],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가 15[kHz]일 때 FM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90%)
  • FM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FM 변조지수는 60[kHz] / 15[kHz] = 4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H.264/MPEG-4 기술과 비교하여 약 2배 높은 압축률을 가지면서도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제공하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압축) 표준은?

  1.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2. AVC(Advanced Video Coding)
  3. VCDG(Video Coding Experts Group)
  4. SVC(Scalable Video Coding)
(정답률: 89%)
  •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은 H.264/MPEG-4 기술과 비교하여 더욱 효율적인 비디오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이다. 이는 더욱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HEVC는 VCDG(Video Coding Experts Group)에서 개발되었으며, AVC(Advanced Video Coding)와 SVC(Scalable Video Coding)와 같은 다른 비디오 코딩 표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CSMA/CD 방식에 관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임의로 채널을 할당하는 랜덤할당방식이다.
  2. 버스 구조에 이용될 수 있다.
  3. 노드수가 많고, 데이터 전송량이 많을수록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4. 채널로 전송된 프레임은 모든 노드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78%)
  • "노드수가 많고, 데이터 전송량이 많을수록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송이 가능하다."는 옳은 특징이다. 이는 노드가 충돌하는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CSMA/CD 방식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때 임의로 채널을 할당하는 랜덤할당방식이며, 버스 구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채널로 전송된 프레임은 모든 노드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사용되는 채널할당방식에서 요구할당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ALOHA
  2. TDM
  3. CSMA/CD
  4. Token Bus
(정답률: 56%)
  •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사용되는 채널할당방식 중 요구할당방식은 Token Bus이다. 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토큰을 사용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각 장치는 토큰을 받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다음 장치에게 토큰을 전달하여 순서대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 방식은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송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 운용 중 현장 Access 설비로부터 1분당 평균 20개의 패킷이 전송되어 오고 있다. 이 스테이션에서의 처리시간이 1패킷당 평균 2초라 할 때 시스템의 이용률은?

  1. 1/3
  2. 2/3
  3. 1/6
  4. 5/6
(정답률: 88%)
  • 시스템의 이용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스템 이용률 = (처리시간 * 도착률) / 처리능력

    여기서 처리시간은 2초, 도착률은 20 패킷/분, 처리능력은 1/2 패킷/초이다.

    따라서 시스템 이용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스템 이용률 = (2초/패킷 * 20 패킷/분) / (1/2 패킷/초) = 40/60 = 2/3

    따라서 정답은 "2/3"이다. 이유는 시스템의 처리능력이 도착률보다 크기 때문에 모든 패킷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용률은 처리시간과 도착률의 비율에 해당하는 2/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보통신시스템에서 신뢰성의 척도로 가동률을 사용하고 있다. MTBF=22시간, MTTR=2시간일 때 가동률을 구하면? (단, 소수점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1. 0.98
  2. 0.96
  3. 0.94
  4. 0.92
(정답률: 82%)
  • 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가동률 = MTBF / (MTBF + MTTR)

    따라서, 주어진 MTBF와 MTTR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가동률 = 22 / (22 + 2) = 0.916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9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9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 구축시 네트워크에 관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측정방법
  2. 백업회선의 필요성 여부
  3. 단독 및 다중화 등 조사
  4. 분기회선 구성 필요성
(정답률: 74%)
  • 정보통신시스템 구축시 네트워크에 관한 고려사항 중 "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측정방법"은 네트워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파일 데이터의 종류 및 측정방법은 데이터 관리나 보안 등 다른 분야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다음 중 RFID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태그와 리더
  2. 안테나
  3. 서버
  4. QR 코드
(정답률: 79%)
  • RFID 시스템은 태그와 리더, 안테나, 서버로 구성됩니다. QR 코드는 RFID 시스템과는 별개의 기술로, 광학적으로 인식되는 바코드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QR 코드는 RFID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최단 펄스시간 길이가 1,000×10-6[sec]일 때, 이 펄스의 변조속도는?

  1. 1[baud]
  2. 10[baud]
  3. 100[baud]
  4. 1,000[baud]
(정답률: 90%)
  • 변조속도는 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를 의미한다. 즉, 1초 동안에 몇 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최단 펄스시간 길이가 1,000×10-6[sec]이므로, 이 펄스 하나가 전송하는 심볼의 수는 1/(1,000×10-6) = 1,000,000[baud]이다.

    따라서, 이 펄스의 변조속도는 1,000,000[baud]이 된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1,000[baud]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실제 변조속도가 아니라, 펄스 하나가 전송하는 심볼의 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펄스 하나가 전송하는 심볼의 수가 1,000개이므로, 정답은 1,000[baud]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통신 제어장치의 구성 중 전송 제어부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전송 제어 문자의 식별
  2. 송ㆍ수신 데이터의 직ㆍ병렬 변환
  3. 오류 검출 부호의 생성 및 오류 검출
  4. 컴퓨터와의 데이터 전송
(정답률: 54%)
  • 전송 제어 문자의 식별, 오류 검출 부호의 생성 및 오류 검출, 컴퓨터와의 데이터 전송은 모두 전송 제어부의 기능이지만, 송ㆍ수신 데이터의 직ㆍ병렬 변환은 전송 제어부가 아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수신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다중화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중화 기술이다.
  2. 아날로그방식의 주파수분할다중화(FDM)와 디지털방식의 시분할다중화(TDM) 및 코드분할다중화(CDM) 기술이 있다.
  3. 주파수분할다중화(FDM)는 채널마다 독립된 주파수대역으로 분할하여 다중화하는 방식으로 시분할다중화 또는 코드분할다중화보다 효율이 낮다.
  4. 시분할다중화(TDM)는 정해진 시간으로 슬롯을 배정하고 이를 다시 Frame으로 묶어 다중화하는 방식으로 코드분할다중화(CDM)보다 다중화 효율이 높다.
(정답률: 67%)
  • "시분할다중화(TDM)는 정해진 시간으로 슬롯을 배정하고 이를 다시 Frame으로 묶어 다중화하는 방식으로 코드분할다중화(CDM)보다 다중화 효율이 높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송신호 형태는 Analog 신호이다.
  2. 변조 방식으로는 주로 AMI(Bipolar)이다.
  3. 전송 속도는 1.2~9.6[kbps]이다.
  4. 사용 Network은 음성급 전용망, 교환망이다.
(정답률: 78%)
  • DSU(Digital Service Unit)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송신호 형태는 Analog 신호가 아닌 Digital 신호이다. 변조 방식으로는 주로 AMI(Bipolar)을 사용하는 이유는, AMI(Bipolar)은 신호의 0값을 표현하기 위해 신호의 양극성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의 크기를 줄이고, 신호의 동기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속도는 1.2~9.6[kbps]이며, 사용 Network은 음성급 전용망, 교환망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케이블 모뎀을 64-QAM으로 하향 데이터전송(6[MHz] 대역폭)을 한다.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1. 20[Mbps]
  2. 30[Mbps]
  3. 36[Mbps]
  4. 40[Mbps]
(정답률: 80%)
  • 64-QAM은 6MHz 대역폭에서 36Mbps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한다. 이는 64-QAM이 6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64-QAM은 6MHz 대역폭에서 최대 6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6 x 6 = 36Mbps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한다. 따라서, 정답은 "36[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모뎀의 궤환시험(Loop Back Test) 기능과 관련된 것이 아닌 것은?

  1. 모뎀의 패턴발생기와 내부회로의 진단테스트
  2. 자국내 모뎀의 진단 및 통신회선의 고장의 진단
  3. 전송속도의 향상
  4. 상대편 모뎀의 시험인 Remote Loop Back Test도 가능
(정답률: 74%)
  • 전송속도의 향상은 모뎀의 궤환시험 기능과 관련이 없습니다. 모뎀의 궤환시험 기능은 모뎀의 패턴발생기와 내부회로의 진단테스트, 자국내 모뎀의 진단 및 통신회선의 고장의 진단, 상대편 모뎀의 시험인 Remote Loop Back Test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공동이용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폴링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경우 통신 회선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단순화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치
  2. 여러 개의 단말장치들이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도 여러개의 단말장치들의 신호로 분리하여 입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3. 전송회선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타임 슬롯(Time Slot)이라는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고, 이들을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으로 묶어서 채널별로 특정시간대에 해당하는 슬롯에 배정하는 방식
  4.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채널에 시간폭을 할당하는 장치
(정답률: 59%)
  • "폴링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경우 통신 회선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단순화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치"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여러 개의 단말장치들이 하나의 통신회선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네트워크 기술들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팩시밀리의 원통직경이 50[mm]이고, 주사선 밀도가 5[선/mm]일 때 협동계수는 얼마인가?

  1. 10
  2. 25
  3. 100
  4. 250
(정답률: 76%)
  • 협동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협동계수 = (π/2) x (주사선 밀도) x (원통직경)^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협동계수 = (π/2) x 5 x (50)^2 = 250

    따라서 정답은 "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H.323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음성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oIP
  2. Zigbee
  3. Bluetooth
  4. WPAN
(정답률: 88%)
  • VoI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음성 통화를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H.323 또는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전송하고, 이를 받은 상대방은 다시 음성으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VoIP는 인터넷 상에서 음성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Zigbee, Bluetooth, WPAN은 모두 무선 통신 기술이지만, VoIP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의 전송방식이 아닌 것은?

  1. ATSC
  2. DVB-H
  3. ISDB-T
  4. DMB-T/H
(정답률: 72%)
  • DVB-H는 모바일 TV를 위한 전송방식으로,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의 전송방식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현재 방송장비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송 방식에서 아날로그 CCTV 카메라에서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을 활용해 고화질 영상전송이 가능하게 한 방식은?

  1. DNR
  2. HD-SDI
  3. HDMI
  4. WDR
(정답률: 75%)
  • HD-SDI는 High Definition Serial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고화질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동축케이블을 활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아날로그 CCTV 카메라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전송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화질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방송장비에서 많이 사용되는 전송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VoIP 기술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미디어 게이크웨이
  2. 시그널링 서버
  3. IP 터미널
  4. 구내 교환기
(정답률: 82%)
  • 구내 교환기는 VoIP 기술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구내 교환기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VoIP 기술과는 별개의 기술입니다. VoIP 기술의 구성요소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시그널링 서버, IP 터미널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DMA 대역확산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다중경로전파 가운데 원하는 신호만을 분리할 수 있는 수신기는?

  1. 레이크 수신기
  2. Multi channel 수신기
  3. 헤테로다인 수신기
  4. VLR 수신기
(정답률: 82%)
  • CDMA 대역확산 통신에서 다중경로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신호만을 분리하여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신기가 레이크 수신기입니다. 레이크 수신기는 다중경로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호를 분석하여 각 경로의 지연시간과 강도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신호만을 추출하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CDMA 통신에서 높은 품질의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등방성 안테나로부터 거리가 2,000[m] 떨어져 있는 점의 전계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력은 10[W]이다.)

  1. 8.66[mV/m]
  2. 0.866[mV/m]
  3. 1.866[mV/m]
  4. 0.186[mV/m]
(정답률: 54%)
  • 등방성 안테나에서 방사되는 전력은 10[W]이므로, 이를 반경 2,000[m]인 구면으로 둘러싸는 전력밀도는 다음과 같다.

    $P_d = frac{P_t}{4pi r^2} = frac{10}{4pi cdot 2000^2} = 1.99 times 10^{-8} [W/m^2]$

    전력밀도와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P_d = frac{E^2}{377}$

    따라서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다.

    $E = sqrt{377 cdot P_d} = sqrt{377 cdot 1.99 times 10^{-8}} = 8.66 times 10^{-4} [V/m] = 8.66 [mV/m]$

    따라서 정답은 "8.66[mV/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만약 우리나라에서 대륙간 국제 통화 회선 구성시, 고정 위성(Geostationary Satellite) 통신링크가 2개 포함되면(예를 들어 태평양 상공의 위성과 인도양 상공의 위성)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1. 음량이 약해서 통화에 불편하다.
  2. 반향(Echo)이 발생하여 통화에 방해가 된다.
  3. 2개의 위성 링크 홉(Hop)에서 전송 에러거 증가하여 통화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4. 지연이 증가하여 실시간 대화가 어렵다.
(정답률: 65%)
  • 2개의 위성 링크 홉(Hop)에서 데이터 전송 시간이 증가하므로, 지연이 증가하여 실시간 대화가 어렵다. 이는 데이터가 위성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시간 지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연은 대륙간 국제 통화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인 대안이 연구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HPA를 사용하는 기지국(BTS)에서 송신안테나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는?

  1. 필터
  2. 중계기
  3. 콤바이너
  4. 트랜시버
(정답률: 59%)
  • 콤바이너는 여러 개의 안테나 신호를 하나로 합쳐주는 장치로, HPA를 사용하는 기지국에서 송신 안테나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의 크기와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무엇인가?

  1. Tablet PC
  2. PDA
  3. Smart Phone
  4. Smart Grid
(정답률: 88%)
  • Smart Phone은 휴대전화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Tablet PC는 스마트폰과 유사하지만 더 큰 화면과 키보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PDA는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로, 스마트폰과 유사하지만 전화 기능이 없습니다. Smart Grid는 전력망을 지능화하는 기술로, 스마트폰과는 전혀 다른 분야입니다. 따라서 Smart Phon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기법 중 혼성압축 기법으로 틀린 것은?

  1. MPEG
  2. JPEG
  3. GIF
  4. FFT
(정답률: 84%)
  • FFT는 주로 신호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분석 기법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기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MPEG, JPEG, GIF는 모두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 기법 중 혼성압축 기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Full HD(1,920×1,080화소) TV방송보다 4배 이상 화질이 선명한 ‘4K급 초고화질’ TV방송 및 실물에 각까운 생생한 화질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는 무엇인가?

  1. 3DTV
  2. Smart TV
  3. UHD TV
  4. IPTV
(정답률: 89%)
  • UHD TV는 Full HD TV보다 4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따라서 더욱 선명하고 생생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이는 멀티미디어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실물과 거의 차이 없는 화질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UHD TV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다음 중 표본화 주파수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초당 샘플수가 낮다.
  2. 전송하려는 정보의 양이 적다.
  3. 요구되는 채널 용량이 커진다.
  4. 초당 프레임수가 낮다.
(정답률: 85%)
  • 표본화 주파수가 높다는 것은 초당 샘플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하려면 요구되는 채널 용량이 커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요구되는 채널 용량이 커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로 알맞은 것은?

  1. fs = 2fm
  2. fs < 2fm
  3. fs ≥ 2fm
  4. fs ≤ 2fm
(정답률: 77%)
  • 정답: "fs = 2fm"

    이유: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이론에 따르면, 신호를 정확하게 복원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fs)가 신호의 최대 주파수(fm)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fs = 2fm 이 성립해야 정확한 샘플링이 가능하다. 만약 fs가 2fm보다 작으면, 샘플링 주기가 너무 길어져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잃어버리게 되고, 이를 복원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6진 PSK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속도가 12,400[bps]라면 변조속도는 얼마인가?

  1. 775[baud]
  2. 1,550[baud]
  3. 3,100[baud]
  4. 6,200[baud]
(정답률: 84%)
  • 16진 PSK에서 한 심볼당 4개의 비트를 전송하므로, 데이터 신호속도는 변조속도의 4배가 된다. 따라서 변조속도는 12,400[bps] / 4 = 3,100[baud]이다. 따라서 정답은 "3,1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회로구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잡음이나 신호의 변화에 약하며, 광섬유를 이용한 디지털 전송에서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61%)
  • ASK는 Amplitude Shift Keying의 약자로, 신호의 진폭을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회로구성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광섬유를 이용한 디지털 전송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잡음이나 신호의 변화에 약하기 때문에 신호의 안정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전송로 상의 구조 분산(도파로 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
  2. 실제 전송로의 경로의 길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도착 시간의 차이가 발생
  3. 광 펄스가 옆으로 퍼지는 현상
  4.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
(정답률: 57%)
  •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이 틀린 설명입니다. 구조 분산은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기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구조 분산은 광섬유 내에서 전파가 전달되는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직경이나 굴절률 등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광 펄스가 도착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구조 분산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전송특성 열화 요인에서 정상 열화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상 히트
  2. 군지연 왜곡
  3. 주파수 편차
  4. 고주파 왜곡
(정답률: 61%)
  • 정상 열화 요인은 전송 매체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군지연 왜곡, 주파수 편차, 고주파 왜곡이 해당된다. 하지만 "위상 히트"는 전송 매체의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인으로, 정상 열화 요인에 속하지 않는다. "위상 히트"는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기 신호가 회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는 전기 신호의 왜곡을 유발하며, 전송 매체의 특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이동통신에서 나타나는 페이딩 현상으로 맞는 것은?

  1. 이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관측점과 파원의 실효 길이가 변호하게 되어 수신 신호 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이다.
  2. 신호 전파의 도달 거리 차에 의해 수신 전계강도가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이다.
  3. 인접한 이동체간에 동일 주파수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현상이다.
  4. 전파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다중 반사되어 나타나는 지연 현상이다.
(정답률: 66%)
  • "신호 전파의 도달 거리 차에 의해 수신 전계강도가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이다."가 맞습니다. 이는 이동통신에서 주파수 이동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이라고도 불리며, 이동체나 건물 등의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가 달라지면서 수신 전계강도가 변동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수신 신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과 같은 전송매체에 대한 표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속도가 10[Mbps]이다.
  2. 기저대역 전송을 행한다.
  3. 전송매체가 동축케이블이다.
  4. 전송거리가 최장 5[km]이다.
(정답률: 81%)
  • 전송매체가 동축케이블이기 때문에 전송거리가 최장 5[km]이다. 동축케이블은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전송거리에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공통선 신호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통화로와 신호전송이 분리되어 다수의 통화에 필요한 신호를 한 채널로 전송하는 방식
  2. 아날로그 신호방식(No.6)
  3. 디지털 신호방식(No.7)
  4. 국 간 망에 분포되어 있는 트래픽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전화국 간에 주고받는 신호
(정답률: 61%)
  • 국 간 망에 분포되어 있는 트래픽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전화국 간에 주고받는 신호는 공통선 신호 방식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이는 전화국 간의 통신 트래픽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공통선 신호 방식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비동기식 전송(Asynchronous Transmission)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Idle Time)이 없다.
  2. 2,400[bps] 이상의 전송 속도에 주로 사용한다.
  3. 문자 전송 시 한 문자 단위로 동기를 유지한다.
  4. 각 문자 앞에는 2개의 시작 펄스, 뒤에는 3개의 정지 펄스가 있다.
(정답률: 54%)
  • 비동기식 전송은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이 없고, 각 문자 앞에는 2개의 시작 펄스, 뒤에는 3개의 정지 펄스가 있다. 이 때문에 문자 전송 시 한 문자 단위로 동기를 유지한다. 2,400[bps] 이상의 전송 속도에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데이터 전송방식에서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글자의 앞뒤에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갖는다.
  2. 동기식 전송의 특성과 비동기식 전송의 특성을 혼합한 방식이다.
  3. 전송속도가 비동기식보다 빠르다.
  4.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상태에 있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6%)
  •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상태에 있지 않아도 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이 비동기식 전송방식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각의 데이터 프레임마다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인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상태에 있지 않아도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보기]의 공통선 신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을 모두 선택한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정답률: 68%)
  • - 공통선 신호방식이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전선으로 공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 위의 그림에서는 3개의 신호를 공통선으로 전송하고 있다.
    - "ㄱ"은 첫 번째 신호와 두 번째 신호가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고, 세 번째 신호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다.
    - "ㄷ"는 첫 번째 신호와 세 번째 신호가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고, 두 번째 신호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다.
    - "ㄹ"은 두 번째 신호와 세 번째 신호가 공통선을 통해 전송되고, 첫 번째 신호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VLAN의 종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포트기반(Port-based) VLAN
  2. LLC 주소기반 VLAN
  3. 프로토콜 기반 VLAN
  4. IP서브넷을 이용한 VLAN
(정답률: 60%)
  • LLC 주소기반 VLAN은 거리와는 관련이 없는 VLAN 종류입니다. LLC 주소기반 VLAN은 물리적인 위치나 포트 번호가 아닌 네트워크 장비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VLAN의 거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포트기반 VLAN은 스위치 포트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고, 프로토콜 기반 VLAN은 프로토콜 유형을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며, IP 서브넷을 이용한 VLAN은 IP 서브넷을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라우팅의 루핑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라우팅 정보가 들어온 곳으로는 같은 라우팅 정보를 내보내지 않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최대 홉 카운트(Maximum Hop Count)
  2. 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3. 홀드 다운 타이머(Hold Down Timer)
  4. 라우트 포이즈닝(Route Poisoning)
(정답률: 77%)
  • 스플릿 호라이즌은 라우팅 정보가 들어온 인터페이스로는 같은 라우팅 정보를 내보내지 않는 방법이다. 이는 라우팅 루핑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라우터가 자신이 배운 라우팅 정보를 다시 배우지 않도록 하여 라우팅 루핑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A라우터가 B라우터로부터 네트워크 X의 라우팅 정보를 받았을 때, A라우터는 B라우터로부터 받은 정보를 자신의 인터페이스로는 보내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A라우터는 B라우터로부터 받은 정보를 다시 B라우터로 보내는 라우팅 루핑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IP주소체계에서 네트워크 주소(network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2.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한다.
  3. 네트워크 자체를 의미한다.
  4. 패킷의 송신 주소나 수신 주소로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59%)
  • "패킷의 송신 주소나 수신 주소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며, 올바른 설명입니다. IP주소체계에서 네트워크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 자체를 의미하며,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를 지칭할 때 사용하고,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하여 구합니다. 또한, 패킷의 송신 주소나 수신 주소로 사용됩니다. 이는 패킷이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VLAN(Virtual LA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대의 분리된 스위치처럼 사용한다.
  2.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3. IEEE 802.1p은 VLAN 국제 표준 규격이다.
  4. 더 작은 LAN으로 세분화시켜 과부하 감소가 가능하다.
(정답률: 57%)
  • 정답은 "IEEE 802.1p은 VLAN 국제 표준 규격이다." 이다. IEEE 802.1p은 QoS(Quality of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이며, VLAN과는 관련이 없다. VLAN은 여러 대의 스위치를 마치 하나의 스위치처럼 사용하고, 하나의 포트를 통해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VLAN을 사용하면 더 작은 LAN으로 세분화시켜 과부하 감소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전송 오류 제어에서 Stop-and-wait ARQ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RQ 방식 중 가장 간단하다.
  2. 전파 지연이 긴 시스템에 효과적이다.
  3. 오류 검출이 뛰어나다.
  4. 메모리 Buffer 용량은 큰 블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1%)
  • "전파 지연이 긴 시스템에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Stop-and-wait ARQ 방식은 전송 후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아야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파 지연이 긴 시스템에서도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정답은 "메모리 Buffer 용량은 큰 블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입니다. Stop-and-wait ARQ 방식은 전송 중에는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므로, 메모리 Buffer 용량이 큰 블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작은 용량의 메모리 Buffer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ITU-T 권고안 시리즈 중 전화 전송품질과 전화기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것은?

  1. I
  2. Q
  3. P
  4. X
(정답률: 68%)
  • 정답은 "P"입니다.

    ITU-T 권고안 시리즈 중 전화 전송품질과 전화기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것은 P 시리즈입니다. P 시리즈는 전화 통신에 필요한 기술적인 규격을 제공하며, 전화기의 기능과 전송품질 등을 규정합니다. 따라서 P 시리즈는 전화 통신 기술에 대한 중요한 규격이며, 전화 통신 업계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 프레임의 제어부 형식 중 링크 상태의 초기 설정, 데이터 전송 동작 모드의 설정 요구 및 응답, 데이터 링크의 확립 및 절단 등에 사용되는 형식은?

  1. 정보전송 형식(I frame)
  2. 감시 형식(S frame)
  3. 비번호제 형식(U frame)
  4. 시험 형식(T frame)
(정답률: 69%)
  • 비번호제 형식(U frame)은 제어 프레임 중에서 링크 상태의 초기 설정, 데이터 전송 동작 모드의 설정 요구 및 응답, 데이터 링크의 확립 및 절단 등에 사용되는 형식입니다. 이는 비트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 정보만을 담고 있기 때문에 "비번호제" 형식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U frame은 HDLC 프로토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링크 제어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전송제어 프로토콜 중 BASIC 프로토콜의 전송제어 문자 내용이 틀린 것은?

  1. SYN : 헤딩의 시작
  2. STX : 헤딩의 종료 및 TEXT의 개시
  3. EOT : 전송의 끝 및 데이터링크의 초기화
  4. ACK : 수신한 정보 메시지에 대항 긍정응답
(정답률: 75%)
  • 정답은 "SYN : 헤딩의 시작"이 아닌 다른 것입니다.

    BASIC 프로토콜의 전송제어 문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YN : 동기화 시작
    - STX : 텍스트 시작
    - ETX : 텍스트 종료
    - EOT : 전송 종료
    - ACK : 긍정 응답
    - NAK : 부정 응답

    SYN은 동기화를 시작하는 문자입니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전에 서로의 상태를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YN을 보내면 수신측은 이를 인식하고 동기화를 위한 준비를 합니다.

    따라서 "SYN : 헤딩의 시작"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SYN은 헤딩의 시작이 아니라 동기화를 위한 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다음 중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증대
  2. 신뢰도(Reliability) 향상
  3. 처리능력(Throughput) 증대
  4. 응답시간(Turn Around Time) 연장
(정답률: 80%)
  • 응답시간(Turn Around Time) 연장은 운영체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입니다. 응답시간이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한 후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응답시간을 연장하면 사용자는 느린 시스템을 경험하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응답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운영체제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16비트 명령어 형식에서 연산코드 5비트, 오퍼랜드1은 3비트, 오퍼랜드2는 8비트일 경우, ⓐ 연산종류와 사용할 수 있는 ⓑ 레지스터의 수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32가지, ⓑ 512
  2. ⓐ 31가지, ⓑ 8
  3. ⓐ 32가지, ⓑ 8
  4. ⓐ 8가지, ⓑ 511
(정답률: 73%)
  • 정답: ⓐ 32가지, ⓑ 8

    이유: 연산코드가 5비트이므로 2^5 = 32가지의 연산 종류가 가능하다. 오퍼랜드1은 3비트이므로 2^3 = 8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오퍼랜드2는 8비트이므로 2^8 = 256개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킬 수 있다. 따라서 총 32가지의 연산 종류 중에서 각각 8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총 32 x 8 = 256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DMA(Direct Memory Acc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변장치와 기억장치 등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2. 프로그램방식보다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느리다.
  3. CPU의 개입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4. DMA 전송이 수행되는 동안 CPU는 메모리 버스를 제어하지 못한다.
(정답률: 67%)
  • "프로그램방식보다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느리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DMA가 프로그램방식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이유이다. DMA는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므로, CPU가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의 데이터 코드 중 가중치 코드가 아닌 것은?

  1. 8421 코드
  2. 바이퀴너리(Biquinary) 코드
  3. 그레이(Gray) 코드
  4. 링 카운터(Ring Couter) 코드
(정답률: 78%)
  • 가중치 코드는 각 자리수의 가중치가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는 코드를 말한다. 따라서 "바이퀴너리(Biquinary) 코드"와 "링 카운터(Ring Couter) 코드"는 가중치 코드이다. 하지만 "그레이(Gray) 코드"는 각 자리수의 가중치가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가중치 코드가 아니다. "그레이(Gray)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이진수 표현에서 한 비트만 다르게 표현하는 코드로, 회로 설계나 디지털 신호 처리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CPU의 하드웨어(Hardware) 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할 경우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산 기능
  2. 제어 기능
  3. 입출력 기능
  4. 전달 기능
(정답률: 56%)
  • 입출력 기능은 CPU의 하드웨어 요소가 아니라 CPU와 외부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나 컨트롤러 등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CPU의 하드웨어 요소는 연산 기능, 제어 기능, 전달 기능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내용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오버레이(Overlay)
  2. 스래싱(Thrashing)
  3. 데드락(Deadlocks)
  4. 덤프(Dump)
(정답률: 67%)
  • 스래싱(Thrashing)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프로세스가 너무 많이 스위칭되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를 찾기 위해 계속해서 하드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오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내용이 의미하는 소프트웨어는 무엇인가?

  1. 유틸리티
  2. 디바이스 미들웨어
  3. 응용소프트웨어
  4. 미들웨어
(정답률: 80%)
  • 이 그림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인 미들웨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미들웨어"이다. 유틸리티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디바이스 미들웨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프로그램 언어 중 구조적 프로그래밍(Structured Programming)에 적합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것은?

  1. BASIC
  2. FORTRAN
  3. C
  4. RPG
(정답률: 82%)
  • 정답은 "C"입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작은 모듈로 분할하고, 각 모듈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제어 구조가 중요한데, C 언어는 if-else, for, while, switch-case 등의 제어 구조를 제공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에 적합합니다. BASIC와 RPG는 제어 구조가 제한적이며, FORTRAN은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지만 C보다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C 언어가 구조적 프로그래밍에 적합한 기능과 구조를 갖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시스템 메모리에 쓰거나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일 수 있다.
  2.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입출력장치에 쓰거나 입출력 장치로부터 읽어 들일 수 있다.
  3.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읽어 들일 수 없다.
  4.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정답률: 70%)
  •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읽어 들일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읽어들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읽어들이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논리회로에 의해 계산된 결과 X는?

  1. A ⊕ B
  2. A • B
(정답률: 75%)
  • XOR 게이트는 입력이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A ⊕ B는 A와 B가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한다.

    주어진 논리회로를 살펴보면, AND 게이트를 통해 A와 B를 곱한 결과를 C에 저장하고, OR 게이트를 통해 A와 B를 더한 결과를 D에 저장한다. 그리고 C와 D를 XOR 게이트에 입력하여 X를 계산한다.

    따라서 X는 A와 B를 더한 결과와 A와 B를 곱한 결과가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므로 A ⊕ B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20
  2. 30
  3. 50
  4. 60
(정답률: 82%)
  • 주어진 그림에서는 왼쪽에 있는 두 개의 숫자를 더한 값이 오른쪽에 있는 숫자와 같아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0 + 30 = 50 이므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몇 옴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메가 옴
  2. 10메가 옴
  3. 50메가 옴
  4. 100메가 옴
(정답률: 74%)
  •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은 안전한 운영을 위해 일정한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는 저항값을 옴(Ω) 단위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과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이 안전한 운영을 위해 최소한 10메가 옴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값으로서, 이 값 이하로 절연저항이 떨어지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 설비를 설치ㆍ운영하는 자의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방송통신설비 관련 시책을 수립하기 위한 경우
  2. 국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경우
  3. 재난 재해 예방을 위한 경우
  4. 설치한 목적에 반하여 운용한 경우
(정답률: 66%)
  • 미래창조과학부장관이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게 할 수 있는 경우는 "방송통신설비 관련 시책을 수립하기 위한 경우", "국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경우", "재난 재해 예방을 위한 경우"이다. 하지만 "설치한 목적에 반하여 운용한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설치한 목적과 운용 방식이 다르게 되어 설치한 목적에 반하는 운용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방송통신 설비를 설치할 때는 일반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지만, 이를 불법적인 목적으로 운용하는 경우에는 설치한 목적에 반하는 운용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공무원이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등록하면 경영할 수 있는 전기통신사업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기간통신사업
  2. 별정통신사업
  3. 통합통신사업
  4. 부가통신사업
(정답률: 69%)
  • 전기통신사업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미래창조과학부장관에게 등록하면 경영할 수 있는 전기통신사업은 "별정통신사업"입니다. 이는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 제2항에서 "별도의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정의되며, 기간통신사업, 통합통신사업, 부가통신사업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서 규정한 ‘방송통신 표준화’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2. 방송통신기자재 생산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3. 방송시청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4. 방송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정답률: 78%)
  • 방송통신기자재 생산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은 방송통신 표준화의 목적이 아니라, 상업적 이익을 위한 목적이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방송통신 표준화의 목적은 방송통신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방송시청자 및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 규정한 정보통신기술자의 인정을 취소할 수 있는 경우는?

  1. 동시에 두 곳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한 경우
  2.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공사를 수행하게 한 경우
  3. 해당 국가기술자격이 취소된 경우
  4.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경력수첩을 대여해준 경우
(정답률: 70%)
  • 해당 국가기술자격이 취소된 경우는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 규정한 정보통신기술자의 인정을 취소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이는 해당 기술자의 기술 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유는 해당 기술자가 국가기술자격을 상실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사를 설계하는 자는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자는 그 설계도서에 서명 또는 기명날인하여야 한다.
  3. 감리원은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에 적합하도록 공사를 감리하여야 한다.
  4. 감리업체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준공 후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감리업체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준공 후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정보통신공사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맞다.

    감리업체가 준공 후 5년간 보관하는 이유는, 만약 공사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추후에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감리업체는 감리한 공사의 기록을 잘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공사 발주자가 감리원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시정조치에 해당하는 것은?

  1. 시정지시
  2. 감리원의 업무정지
  3. 감리원의 감봉조치
  4. 감리원의 철수요구
(정답률: 71%)
  • 시정지시는 감리원이 공사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이행하지 않거나 업무상의 오류 등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발주자가 감리원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조치로, 감리원의 업무를 일정 기간 동안 중지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감리원이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발주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시정지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구내통신선로설비의 설치 및 철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구내에 5회선 이상의 국선을 인입하는 경우 옥외회선은 지하로 인입한다.
  2. 사업자는 이용약관에 따라 체결된 서비스 이용계약이 해지된 경우에는 설치된 옥외회선을 철거하여야 한다.
  3. 배관시설은 설치된 후 배선의 교체 및 증설시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인입맨홀ㆍ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지하로 인입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82%)
  • "인입맨홀ㆍ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지하로 인입하지 않아도 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구내통신선로설비의 인입은 반드시 지하로 이루어져야 하며, 인입맨홀ㆍ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도 지하로 인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품질관리
  2. 시공관리
  3. 사후관리
  4. 안전관리
(정답률: 73%)
  • 보기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사후관리는 건축물이 완공된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지보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수명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