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0-06)

정보통신기사(구)
(2018-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 회로에서 안정계수(Sv) 값이 증가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Vs를 증가시킨다.
  2. Rs를 감소시킨다.
  3. 출력전압(ΔVL)을 감소시킨다.
  4. 출력전류(ΔLL)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68%)
  • 안정계수(Sv)는 출력전압(ΔVL)과 입력전압(ΔVs)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Sv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ΔVL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ΔVs를 증가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저항(Rs)을 감소시켜야 합니다. Rs를 감소시키면 ΔVs가 증가하게 되므로 Sv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Rs를 감소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이 2[kΩ]의 저항과 실리콘(Si)다이오드의 직렬 회로에서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 크기는 얼마인가?

  1. 0[V]
  2. 1[V]
  3. 5[V]
  4. 7[V]
(정답률: 68%)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작동하므로,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은 2[kΩ]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같습니다. 따라서, 전압 크기는 7[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부궤환 증폭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잡음이 감소된다.
  2.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
  3. 비직선 왜곡이 감소된다.
  4. 안정도가 다소 감소된다.
(정답률: 73%)
  • 안정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부궤환 증폭기가 신호를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전압 등의 변화로 인해 회로의 안정성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부궤환 증폭기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증폭기 회로에서 RE가 증가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차동이득이 감소한다.
  2. 차동이득이 증가한다.
  3. 동상이득이 감소한다.
  4. 동상이득이 증가한다.
(정답률: 57%)
  • RE가 증가하면 Q1의 출력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Q2의 베이스 전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Q2의 출력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전체 증폭기의 출력 전압이 감소하게 되므로 동상이득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상이득이 감소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궤환회로에서 발진이 일어나는 조건인 바크하우젠 발진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A는 증폭부의 증폭률이고 β는 궤환부의 궤환율이다.)

  1. 발진조건은 |Aβ|= 1 이다.
  2. Aβ<1이면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다.
  3. Aβ>1이면 발진은 되나 이득이 계속 증가하여 클리핑이 일어나면서 불안정하다.
  4. Aβ=1은 발진조건으로 일정한 진폭의 직류출력이 발생한다.
(정답률: 54%)
  • "Aβ=1은 발진조건으로 일정한 진폭의 직류출력이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궤환회로에서 양의 피드백이 발생해야 합니다. 이 때, 피드백이 일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A와 궤환회로에서 한 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β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Aβ=1일 때, 궤환회로에서 발진이 일어납니다. 이는 A와 β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 양의 피드백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발진의 진폭은 일정하며, 직류출력이 발생합니다.

    반면에, Aβ<1일 때는 궤환회로에서 발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는 피드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Aβ>1일 때는 발진이 일어나지만, 이득이 계속 증가하여 클리핑이 일어나면서 불안정해집니다. 이는 피드백이 지나치게 강해져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궤환회로에서 발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Aβ=1이어야 하며, 이 때 발진의 진폭은 일정하며, 직류출력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류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경우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는가?

  1. 변화가 없다.
  2. 0이 된다.
  3. 감소한다.
  4. 증가한다.
(정답률: 61%)
  • 전류 궤환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는 궤환이 없을 경우에 비해 증가한다. 이는 궤환의 존재로 인해 전류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반사된 전류는 출력 임피던스와 상호작용하여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출력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궤환을 사용하는 것이 전류 증폭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200[kHz]의 발진주파수를 얻고자 한다. C1과 C2의 값이 0.001[μF]이라면 L의 값은 약 얼마인가?

  1. 2.21[mH]
  2. 1.27[mH]
  3. 2.31[mH]
  4. 1.35[mH]
(정답률: 54%)
  • 이 발진회로는 콜피츠 발진회로로, 공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0 = 1 / (2π√(L·C1·C2))

    여기서 f0 = 200[kHz], C1 = C2 = 0.001[μF] 이므로,

    200[kHz] = 1 / (2π√(L·0.001[μF]·0.001[μF]))

    L = (1 / (4π²·(200[kHz])²·(0.001[μF])²)) = 1.27[mH]

    따라서 정답은 "1.27[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발진회로의 궤환루프의 감쇠가 0.5인 경우 발진을 유지하기 위한 증폭회로의 전압이득은?

  1. 전압이득은 2.0이어야 한다.
  2. 전압이득은 1.5이어야 한다.
  3. 전압이득은 1.0이어야 한다.
  4. 전압이득은 0.5보다 적어야 한다.
(정답률: 76%)
  • 발진회로의 궤환루프의 감쇠가 0.5인 경우, 한 주기가 지날 때마다 전압이 0.5배씩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발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한 주기가 지날 때마다 전압이 적어도 2배씩 증폭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압이득은 2.0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비동기 검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부발진 신호와 입력신호를 곱하게 하는 곱셈 검파기이다.
  2. 송수신측과 수신측이 동일한 반송파를 이용한다.
  3. 주로 ASK와 FSK에 이용된다.
  4. 동기검파보다 복조시스템이 복잡하다.
(정답률: 59%)
  • 비동기 검파는 입력신호와 국부발진 신호를 곱하여 검파하는 방식으로, 주로 ASK와 FSK와 같은 직교 변조 방식에서 이용된다. 이는 직교 변조 방식에서 국부발진 신호와 입력신호가 직교하기 때문에, 곱셈 검파기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파수 변조에서 신호주파수가 4[kHz], 최대 주파수 편이가 20[kHz]이면 변조지수는?

  1. 0.2
  2. 5
  3. 16
  4. 80
(정답률: 78%)
  •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신호주파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변조지수 = (20[kHz] / 4[kHz]) x 100 = 500% = 5. 이유는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와 신호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최대 주파수 편이가 4배 증가하면 변조지수도 4배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간접 FM변조방식(Armstrong방식)에서의 필요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산기(Adder)
  2.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
  3. 위상천이기(90˚ Phase Shifter)
  4. 진폭제한기(Limiter)
(정답률: 63%)
  • 간접 FM변조방식에서 가산기(Adder)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진폭 제한기(Limiter)와 평형 변조기(Balanced Modulation), 그리고 위상천이기(90˚ Phase Shifter)가 FM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 신호를 더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이며, FM 변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M변조에서 100[%] 변조인 경우 그 변조 출력 전력이 6[kW]일 때, 반송파 성분의 전력은 얼마인가?

  1. 1[kW]
  2. 1.5[kW]
  3. 2[kW]
  4. 4[kW]
(정답률: 59%)
  • AM 변조에서 100% 변조는 최대 변조로, 원래의 캐리어 파워에 변조 신호의 파워가 더해져 전체 출력 파워가 2배가 된다. 따라서, 100% 변조에서의 출력 파워는 6[kW] x 2 = 12[kW]가 된다. 이때, 반송파 성분의 전력은 캐리어 파워의 절반인 6[kW]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kW]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문제에서 계산한 값과는 다른 방법으로 계산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 파형의 아랫부분을 잘라내는 베이스 클리퍼 회로이다.
  2. 입력 파형의 윗부분을 잘라내는 피크 클리퍼 회로이다.
  3. 직렬형 베이스 클리퍼 회로이다.
  4. 입력 파형의 위, 아래 부분을 일정하게 잘라내는 클리퍼 회로이다.
(정답률: 74%)
  • 입력 파형의 윗부분을 잘라내는 피크 클리퍼 회로이다. 이는 다이오드가 양방향으로 전류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양의 반향 부분을 잘라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RC 회로의 출력에서 최종치의 10[%]~90[%]까지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연 시간
  2. 하강 시간
  3. 상승 시간
  4. 전이 시간
(정답률: 79%)
  • RC 회로의 출력에서 최종치의 10[%]~90[%]까지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승 시간"이라고 한다. 이는 출력이 상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RC 회로에서는 이 시간이 RC 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RC 상수는 저항과 커패시턴스의 곱으로 정의되며, 이 값이 클수록 상승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RC 회로에서는 상승 시간을 줄이기 위해 RC 상수를 작게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어떠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플립플롭인가?

  1. 지연 현상
  2. Race 현상
  3. Set 현상
  4. Toggle 현상
(정답률: 76%)
  • Master-Slave 플립플롭은 Race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플립플롭이다. Race 현상은 동시에 여러 입력 신호가 들어올 때, 각 입력 신호의 전달 속도에 따라 출력 값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Master-Slave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를 두 개의 플립플롭으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Rac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마스터 슬레이브 JK-FF에서 클럭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되는 것은?

  1. J=0, K=0
  2. J=1, K=0
  3. J=0, K=1
  4. J=1, K=1
(정답률: 75%)
  • 마스터 슬레이브 JK-FF에서 J=1, K=1일 때는 클럭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된다. 이는 JK-FF의 특성으로, J=1, K=1일 때는 이전 상태와 상관없이 출력이 반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JK-FF에서 클럭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출력 상태가 반전되는 것은 "J=1, K=1"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K 플립플롭(Flip-Flop)을 다음 그림과 같이 연결했을 때 결과치가 같은 플립플롭은?

  1. D 플립플롭
  2. RS 플립플롭
  3. T 플립플롭
  4. MS 플립플롭
(정답률: 62%)
  • 이 그림은 T 플립플롭의 구성과 같다. T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T와 함께 들어오면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T가 1이면 상태를 반전시킨다. 이 그림에서는 T가 1이므로 이전 상태를 반전시키지 않고 유지한다. 따라서 결과치가 같은 플립플롭은 T 플립플롭이다. D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D와 함께 들어오면 D값을 그대로 출력한다. RS 플립플롭은 R과 S값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데, 이 그림에서는 R과 S값이 모두 0이므로 출력값은 불확실하다. MS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M과 함께 들어오면 S값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데, 이 그림에서는 S값이 0이므로 출력값은 불확실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전감산기의 입력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감수
  2. 상위에서 자리 빌림
  3. 피감수
  4. 하위에서 자리 빌림
(정답률: 76%)
  • 정답은 "상위에서 자리 빌림"입니다.

    전감산기는 입력된 두 수의 합을 계산하는데, 이때 자리 올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리 올림이 발생하면 상위 자리수에서 1을 더해주는 것을 "상위에서 자리 빌림"이라고 합니다.

    반면 "하위에서 자리 빌림"은 입력된 수의 하위 자리수에서 1을 빌려와 계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감산기의 입력과 관계가 있으며, 입력된 두 수의 하위 자리수에서 자리 빌림이 발생할 경우 계산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어떤 논리 회로인가?

  1. 인코더
  2. 디코더
  3. RS플립플롭
  4. JK플립플롭
(정답률: 72%)
  • 이 논리 회로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그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이다. 입력 신호는 2진수 형태로 주어지며,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비트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형태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가 01일 경우 출력 신호는 0010이 된다. 따라서, 이 논리 회로는 디코더이다. 인코더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논리 회로이며, RS플립플롭과 JK플립플롭은 순차 논리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25진 리플 카운터를 설계할 경우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4개
  2. 5개
  3. 6개
  4. 7개
(정답률: 82%)
  • 25진수는 2^5 = 32보다 작은 수이므로, 5개의 플립플롭으로 25진수를 나타낼 수 있다. 5개의 플립플롭은 2^5 = 32가지의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정보통신망을 구성할 때 두 개 이상 다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통신회선에 연결되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방식은?

  1. 멀티포인트 방식
  2. 멀티플렉싱 방식
  3.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4. 집중 방식
(정답률: 64%)
  • 멀티포인트 방식은 하나의 통신회선에 두 개 이상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다수의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기식 전송과 비동기식 전송을 혼합한 것이다.
  2. 문자와 문자 사이에 휴지 시간이 있다.
  3. 송신측과 수신측이 비동기 상태에 있어야 한다.
  4. 비동기식보다는 전송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76%)
  • "송신측과 수신측이 비동기 상태에 있어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혼합형 동기식 전송방식은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화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이 비동기 상태에 있을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경찰·소방·국방·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 보호, 국가적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1. PS-LTE
  2. 3GPP
  3. Wibro
  4. IEEE 802.11s
(정답률: 83%)
  •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소방·국방·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 보호, 국가적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추진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가 PS-LTE이다. PS-LTE는 3GPP에서 개발한 고속 무선 통신 기술로, 고속 데이터 전송과 음성 통화 등 다양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보장한다. 또한, PS-LTE는 보안성이 높아 국가적인 안전 보호에 적합하다. 따라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에서 PS-LTE가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가상회선 교환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 전송은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2. 전송할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3. 연결이 설정되고 나면 모든 패킷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전송된다.
  4. 각 페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된다.
(정답률: 74%)
  • "각 페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가상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연결 설정 단계에서 경로가 설정되며, 이후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모든 패킷이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전송됩니다. 따라서 각 페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TCP/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TCP/IP는 De jure(법률) 표준이다.
  2. IP는 ARP, RARP, ICMP, IGMP를 포함한다.
  3.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4. TCP는 신뢰성 있는 스트림 전송 포트 대 포트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81%)
  • "TCP는 신뢰성 있는 스트림 전송 포트 대 포트 프로토콜이다."는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 TCP/IP는 De jure(법률) 표준이라는 것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이며,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는 ARP, RARP, ICMP, IGMP를 포함한다는 것도 TCP/IP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중에서 데이터 전송시기와 전송속도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1. 타이밍
  2. 구문
  3. 의미
  4. 표준
(정답률: 86%)
  • 타이밍은 데이터 전송시기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프로토콜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언제 전송되어야 하는지와 얼마나 빠르게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타이밍은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X.25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TU-T가 개발한 패킷 교환 방식의 장거리 통신망 표준이다.
  2. X.25 계층 구조는 물리계층, 프레임계층, 상위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패킷 방식 단말이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어떻게 패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가를 정의한다.
  4. 패킷의 다중화는 비동기식 TDM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패킷의 다중화는 비동기식 TDM을 사용한다."는 X.25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X.25은 패킷 교환 방식의 장거리 통신망 표준으로, 패킷 방식 단말이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어떻게 패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가를 정의하며, 물리계층, 프레임계층, 상위계층으로 구성된다. 다중화 방식으로는 비동기식 FDM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OSI 7 계층은?

  1. 물리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전송계층
(정답률: 65%)
  •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라우팅, 패킷 분할 및 조립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패킷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화통신망(PSTN)에서 최번시 1시간에 발생한 호(Call)수가 240이고, 평균통화시간이 2분일 때 이 회선의 호량(Erlang)은?

  1. 0.1
  2. 8
  3. 40
  4. 360
(정답률: 84%)
  • 호량(Erlang)은 특정 시간 동안 사용된 회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호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호량 = 발생한 호 수 × 평균 통화 시간 / 60

    따라서, 이 문제에서 호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호량 = 240 × 2 / 60 = 8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위성통신에서 다운링크(Down Lin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성으로부터 송신 지구국으로의 회선
  2. 위성으로부터 수신 지구국으로의 회선
  3. 송신 지구국으로부터 수신 지구국으로의 회선
  4. 수신 지구국으로부터 송신 지구국으로의 회선
(정답률: 81%)
  • 위성통신에서 다운링크(Down Link)는 위성으로부터 수신 지구국으로의 회선을 의미합니다. 이는 위성에서 전송된 신호가 지구에 도착하여 지구에서 수신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성으로부터 수신 지구국으로의 회선"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위성통신의 다중접속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DMA
  2. TDMA
  3. CDMA
  4. WDMA
(정답률: 75%)
  • 위성통신에서 WDMA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WDMA는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위성통신에서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법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xDSL회선의 변복조 방식인 CAP(Carrier-less Amplitude/Phase)와 DMT(Discrete Multi-Tone)의 주파수 배치표로 옳은 것은?

  1. CAP방식 : ㉮ 음성전화(POTS), ㉯ 역방향(Upstream), ㉰ 순방향(Downstream)
  2. CAP방식 : ㉮ 순방향(Downstream), ㉯ 역방향(Upstream), ㉰ 음성전화(POTS)
  3. DMT방식 : ㉮ 순방향(Downstream), ㉯ 역방향(Upstream), ㉰ 음성전화(POTS)
  4. DMT방식 : ㉮ 음성전화(POTS), ㉯ 순방향(Downstream), ㉰ 역방향(Upstream)
(정답률: 77%)
  • 정답은 "CAP방식 : ㉮ 음성전화(POTS), ㉯ 역방향(Upstream), ㉰ 순방향(Downstream)"이다.

    CAP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지 않고,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음성전화(POTS)와 같은 기존의 전화 회선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역방향(Upstream)은 주파수 대역이 좁고, 순방향(Downstream)은 주파수 대역이 넓다. 이는 역방향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더라도 신호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순방향에서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위함이다.

    반면 DMT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변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음성전화(POTS)와 함께 사용하기 어렵다. 순방향(Downstream)과 역방향(Upstream) 모두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사용하며, 음성전화(POTS)는 주파수 대역의 가장 낮은 부분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패킷 교환망(PSDN)에서 패킷 교환망 접속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비패킷 단말장치를 패킷 교환망으로 접속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무엇인가?

  1. TAD
  2. RAD
  3. PAD
  4. WAD
(정답률: 82%)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 단말장치와 패킷 교환망 간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PAD는 비패킷 단말장치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하여 패킷 교환망으로 전송하고, 패킷 교환망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비패킷 단말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따라서 PAD는 비패킷 단말장치를 패킷 교환망에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이동 통신의 무선 다중 접속 방식 중 FDMA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아날로그 방식이고,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중접속한다.
  2. 회선용량이 부족하고 간섭에 취약하다.
  3. 수신시에는 필터에 의해 필요한 반송파를 선택한다.
  4. 가입자 단위로 서로 다른 코드를 할당하므로 통신의 비밀이 보장된다.
(정답률: 69%)
  • 정답: "회선용량이 부족하고 간섭에 취약하다."

    FDMA 방식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중 접속하는 방식으로, 각 가입자에게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통신을 한다. 이 때, 각 가입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통신의 비밀이 보장된다. 따라서 "가입자 단위로 서로 다른 코드를 할당하므로 통신의 비밀이 보장된다."가 FDMA 방식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모든 사물에 센서 및 통신 기능을 결합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전달하는 네트워크는?

  1. M2M(Machine to Machine)
  2. SDR(Software Defined Radio)
  3.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4. IPS(Interusion Prevention System)
(정답률: 79%)
  • M2M은 기계 간 통신을 의미하며, 모든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결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따라서 M2M은 사물 인터넷(IoT)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SDR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라디오 기술을 의미하며, BcN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합한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IPS는 침입 방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들과는 달리 M2M은 사물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로, 사물 인터넷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방화벽의 구성형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패킷 필터링
  2. 서킷 게이트웨이
  3. 프록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4. SSL-VPN
(정답률: 73%)
  • SSL-VPN은 방화벽의 구성형태가 아니라, 원격 접속 기술 중 하나이다. SSL-VPN은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기업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로, 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일종이다. 따라서, SSL-VPN은 방화벽의 구성형태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인터넷보호 관련 표준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IPSec
  2. MPLS
  3. VPN
  4. Fire Wall
(정답률: 80%)
  • IPSec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인터넷보호 관련 표준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4명이 통신을 한다고 할 때, 4명이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키의 수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82%)
  • 4명이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람이 다른 3명과 통신해야 합니다. 따라서, 4명이 모두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4 x 3 = 12개의 비밀키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A와 B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비밀키는 B와 A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비밀키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12개의 비밀키 중에서 중복을 제거하면 6개의 비밀키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안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다음 중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개방형 네트워크
  2. 패쇄형 네트워크
  3. 인터넷의 확산
  4. 전자상거래 등 각종 응용서비스의 출현
(정답률: 87%)
  • 패쇄형 네트워크는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이 아닙니다. 패쇄형 네트워크는 외부와의 연결이 없는 내부 네트워크로,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나 해킹 등의 위협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따라서 보안 문제가 심각해지는 원인은 개방형 네트워크, 인터넷의 확산, 전자상거래 등 각종 응용서비스의 출현과 같이 외부와의 연결이 많아지면서 보안 위협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재난복구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획수립 그룹을 구성한다.
  2. 위험 평가와 감사를 수행한다.
  3.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의 복구 우선순위를 정한다.
  4. 재난발생시 모든 인원이 모든 복구작업에만 투입될 수 있도록 인원계획을 수립한다.
(정답률: 86%)
  • "재난발생시 모든 인원이 모든 복구작업에만 투입될 수 있도록 인원계획을 수립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비효율적이며, 각각의 역할과 책임을 분담하여 효율적인 복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인원 계획은 역할과 책임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다음 중 범용단말장치가 아닌 것은?

  1. POS(Point of Sale)
  2. OMR(Optical Mark Reader)
  3.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4. CRT(Cathode Ray Tube)
(정답률: 66%)
  • POS(Point of Sale)은 상점 등에서 판매 거래를 처리하는 전용 단말기로,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OMR(Optical Mark Reader),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CRT(Cathode Ray Tube)는 모두 범용단말장치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s)라는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을 활용하는 단말은?

  1. 케이블 모뎀
  2. 휴대폰
  3. 스마트 패드
  4. 유선 일반전화기
(정답률: 84%)
  • DOCSIS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므로, DOCSIS를 활용하는 단말은 케이블 모뎀입니다. 케이블 모뎀은 케이블 회선을 통해 인터넷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로, DOCSIS 규격을 준수하여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통신제어 장치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중앙처리 장치의 부하를 가중시킨다.
  2. 통신회선의 감시 및 접속, 전송오류검출을 수행한다.
  3. 회선접속장치를 원격처리장치로 연결한다.
  4.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지 않는다.
(정답률: 80%)
  • 통신제어 장치는 통신 회선의 상태를 감시하고 접속하여 전송 오류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통신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통신회선의 감시 및 접속, 전송오류검출을 수행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송신호 형태는 Analog 신호이다.
  2. 변조 방식으로는 주로 AMI(Bipolar)이다.
  3. 전송 속도는 1.2~9.6[kbps]이다.
  4. 사용 Network은 음성급 전용망, 교환망이다.
(정답률: 72%)
  • DSU(Digital Service Unit)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송신호 형태는 Analog 신호가 아닌 Digital 신호이다. 변조 방식으로는 주로 AMI(Bipolar)을 사용하는 이유는, AMI(Bipolar)은 신호의 0값을 표현하기 위해 신호의 양극성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의 크기를 줄이고, 신호의 동기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송 속도는 1.2~9.6[kbps]이며, 사용 Network은 음성급 전용망, 교환망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라우터를 로컬 내에서만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포트)는 무엇인가?

  1. 이더넷 포트
  2. 직렬 포트
  3. 콘솔 포트
  4. Auxiliary 포트
(정답률: 72%)
  • 콘솔 포트는 라우터를 로컬 내에서만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포트)입니다. 이더넷 포트는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포트이고, 직렬 포트는 라우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설정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Auxiliary 포트는 주로 모뎀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로컬에서 라우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콘솔 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채널에 시간폭을 할당하는 것은?

  1. 지능 다중화기
  2. 광대역 다중화기
  3. 주파수분할 다중화기
  4. 역 다중화기
(정답률: 75%)
  • 정답은 "지능 다중화기"이다.

    지능 다중화기는 실제로 데이터를 보내는 터미널에만 시간폭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다른 다중화기들과는 달리 각 채널에 고정된 시간폭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유동적으로 시간폭을 조절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모뎀의 수신기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변조기(Modulator)
  2. 등화기(Equalizer)
  3. 복조기(Demodulator)
  4. 디코더(Decoder)
(정답률: 60%)
  • 변조기(Modulator)는 전송할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모뎀의 수신기 구성요소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역할을 하는 등화기(Equalizer), 복조기(Demodulator), 디코더(Decode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조기(Modulat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ITU-T의 모뎀표준으로 14,400[bps] 전송을 지원하는 최초의 표준은?

  1. V.32
  2. V.32bis
  3. V.34bis
  4. V.90
(정답률: 65%)
  • V.32은 9,600[bps]까지만 지원하고, V.34bis는 33,600[bps]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14,400[bps] 전송을 지원하는 최초의 표준은 V.32bi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팩시밀리 중 MH(Modified Huffman)와 MR(Modified Read)방식의 데이터 압축 기술을 사용하며, A4 표준 원고인 경우 전송 시간이 약 1분 정도 소요되는 것은 무엇인가?

  1. G1
  2. G2
  3. G3
  4. G4
(정답률: 70%)
  • 정답은 "G3"이다. 이유는 G3 방식은 MH와 MR 방식보다 더욱 효율적인 CCITT 그룹 3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CCITT 그룹 3 방식은 압축률이 높고 전송 시간이 빠르며,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팩스 압축 방식 중 하나이다. 따라서 A4 표준 원고를 전송할 때 G3 방식을 사용하면 약 1분 정도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CATV의 기본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헤드엔드
  2. 중계전송망
  3. 가입자설비
  4. 모뎀
(정답률: 67%)
  • CATV의 기본 구성요소 중 "모뎀"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CATV의 기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헤드엔드: CATV 방송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2. 중계전송망: 헤드엔드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3. 가입자설비: 가입자가 CATV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

    모뎀은 가입자설비 중 하나로, CATV 방송을 수신하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화상회의 시스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동화상처리 방식에는 프레임 다중 방식 등이 있다.
  2. 음성처리 과정에서 하울링이나 에코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3. 음성, 영상압축 기술이 필요하며 광대역 고속 통신망이 유리하다.
  4. 정지화상 통신회의 시스템은 협대역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85%)
  • 정지화상 통신회의 시스템은 협대역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설명은 적합하다. 이유는 협대역 전송로는 대역폭이 넓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국내 HDTV방식의 1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은?

  1. 6[MHz]
  2. 9[MHz]
  3. 18[MHz]
  4. 27[MHz]
(정답률: 82%)
  • 국내 HDTV방식의 1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은 6MHz이다. 이는 ATSC 방식에서 사용되는 대역폭으로, 이 방식은 6MHz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국내 HDTV 방식에서도 이와 같은 대역폭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영상통신에서 지원하는 H.26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는 직사각형 비디오 프레임을 지원한다.
  2. 움직임 보상의 최소 블록 크기는 4X4이다.
  3. 움직임 벡터(추정 및 보상)의 정확도는 1/4화소로 지원한다.
  4. 디코더 내부의 디블록킹 필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6%)
  • 정답은 "디코더 내부의 디블록킹 필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다. H.264는 디블록킹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예측된 블록과 실제 블록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변환 기반의 압축 기술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는 아티팩트를 줄이고, 더욱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AM 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변환회로의 변환 컨덕턴스(Conductance)가 큰 것을 사용한다.
  2. 초단 증폭기의 잡음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3.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게 한다.
  4. 안테나 결합회로 및 각 증폭단의 이득을 크게 한다.
(정답률: 72%)
  •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게 한다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이는 대역폭이 넓어질수록 감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대역폭이 넓어지면 수신기가 받을 수 있는 신호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감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대역폭을 좁게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강우로 인한 위성통신 신호의 감쇠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Site Diversity
  2. Angle Diversity
  3. Orbit Diversity
  4. Beam Diversity
(정답률: 73%)
  • Angle Diversity는 위성과 지상국 사이의 각도를 다양화하여 신호의 경로를 다양화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강우로 인한 위성통신 신호의 감쇠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통신에서 입력속도 9.6[kbps], 출력속도 1.2288[Mbps]일 때 확산이득은 약 얼마인가?

  1. 15.03[dB]
  2. 19.40[dB]
  3. 21.07[dB]
  4. 24.50[dB]
(정답률: 72%)
  • 확산이득은 출력속도와 입력속도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확산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확산이득 = 10log(출력속도/입력속도)
    = 10log(1.2288/9.6)
    = 10log(0.128)
    = 10(-0.893)
    = 0.211
    ≈ 21.07[dB]

    따라서, 정답은 "21.07[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디지털 영상회의 시스템 기술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동화상처리
  2. 음성 처리
  3. 벡터 양자화
  4. 송·수신 주사방식
(정답률: 65%)
  • 송·수신 주사방식은 디지털 영상회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아니라,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송·수신 주사방식은 디지털 영상회의 시스템 기술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비디오텍스의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정보 통신망
  2. 사용자 단말기
  3. 중앙 정보 센터
  4. 헤드엔드
(정답률: 75%)
  • 헤드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비디오텍스의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비디오텍스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정보 통신망, 사용자 단말기, 중앙 정보 센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의 확산으로 멀티미디어 기기간 연결이 많아지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다음 중 WPAN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UWB
  2. Zigbee
  3. Bluetooth
  4. PLC
(정답률: 78%)
  • PLC는 Power Lin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전력선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WPAN 기술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므로, 전력선을 통한 통신 기술인 PLC는 WPAN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의 저장방식과 다중화방식 등을 규정하는 국제표준 규격은?

  1. MHEG
  2. HTML
  3. MPEG
  4. XML
(정답률: 64%)
  • 정답은 "MHEG"입니다.

    MHEG는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의 약자로,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의 저장방식과 다중화방식 등을 규정하는 국제표준 규격을 의미합니다. MHEG는 텔레비전, 디지털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인터랙티브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MHEG가 멀티미디어 및 하이퍼미디어의 저장방식과 다중화방식 등을 규정하는 국제표준 규격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다음 중 양자화 간격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선형양자화
  2. 비선형양자화
  3. 적응양자화
  4. 복합양자화
(정답률: 59%)
  • 복합양자화는 양자화 간격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여러 가지 양자화 기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선형양자화와 비선형양자화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적응양자화와 비선형양자화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합양자화는 양자화 간격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ADM은 양자화기의 스텝 크기를 입력신호에 따라 적응시키는 방법이다.
  2. PCM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3. DM은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양자화하는 변조 방법이다.
  4. DPCM은 진폭 값과 예측 값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7%)
  • 정답은 "DM은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양자화하는 변조 방법이다." 이다. DM은 진폭 값 자체를 양자화하는 방법이다.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양자화하는 방법은 DPCM이다.

    DM은 Delta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예측하여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를 1비트로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가 크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입력 신호의 변화율이 높은 경우에는 정확한 변환을 보장하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5단 귀환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로 구성된 PN부호 발생기의 출력 데이터 계열의 주기는?

  1. 5
  2. 16
  3. 31
  4. 32
(정답률: 62%)
  • 5단 귀환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된 PN부호 발생기는 2^5-1=31개의 서로 다른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레지스터의 5개 비트가 각각 2의 거듭제곱 수만큼의 주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력 데이터 계열의 주기는 3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양자화 잡음은 다음 중 어느 방식에서 주로 발생하는가?

  1. PDM
  2. PPM
  3. PCM
  4. PWM
(정답률: 71%)
  • 양자화 잡음은 PCM 방식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아날로그 신호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양자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신호의 작은 변동이 무시되거나 잘못된 값으로 양자화될 수 있어서 양자화 잡음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한대역매체를 통해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은 얼마인가? (단, n[bps]로 디지털 신호를 보내고자 한다.)

  1. n[Hz]
  2. 2n[Hz]
  3. 4n[Hz]
  4. 6n[Hz]
(정답률: 74%)
  •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기본파의 주파수는 n[Hz]이고, 제3고조파의 주파수는 3n[Hz]이다. 따라서, 이 두 주파수를 모두 포함하려면 최소한 2n[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이는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모두 전송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역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n[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장 널리 사용되는 100[Mbps] 디지털 전송용 UTP 케이블의 접속에 사용되는 8핀 커넥터 표준 규격은?

  1. RS-22
  2. RS-42
  3. RJ-22
  4. RJ-45
(정답률: 75%)
  • RJ-45은 8개의 핀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100Mbps 디지털 전송용 UTP 케이블의 접속에 필요한 핀 수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RJ-45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100Mbps 디지털 전송용 UTP 케이블의 접속에 사용되는 8핀 커넥터 표준 규격으로 선택됩니다. RS-22 및 RS-42는 시리얼 통신에 사용되는 규격이며, RJ-22는 전화기에 사용되는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광섬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모드 분산은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만 발생한다.
  2. 재료분산은 광섬유의 재질인 석영 유리의 굴절률이 전파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변화하면서 생긴다.
  3. 광소자란 빛을 발생하고 처리하고 감지하는 기능이 있는 전자장치를 말한다.
  4. 발광다이오드는 자연방출현상으로 빛을 발생하며, 레이저다이오드는 유도 방출현상으로 빛을 발생한다.
(정답률: 72%)
  • "모드 분산은 단일모드 광섬유에서만 발생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모드 분산은 다중모드 광섬유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드 분산은 광섬유 내에서 광의 파장에 따라 전파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광섬유 전송매체와 비교했을 때 일반적인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신호의 감쇠 및 간섭에 약하다.
  2.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송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3. 비용이 저렴한 편이다.
  4.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70%)
  • "대역폭이 넓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일반적인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광섬유에 비해 대역폭이 좁다. 이는 광섬유가 빛의 속도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스넬의 법칙(Snell's law)이란 광선 또는 전파가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입사하여 통과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과의 관계를 표현한 법칙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굴절률이 n1과 n2로 서로 다른 두 매질이 맞닿아 있을 때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는 매질마다 광속이 다르므로 휘게 되는데, 그 휜 정도를 빛의 입사 평면상에서 각도로 표시하면 과 가 된다. 이때 스넬의 법칙으로 n1, n2 Ɵ1, Ɵ2의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n1+cosƟ1 = n2+sinƟ2
  2. n1+cosƟ2 = n2+sinƟ2
  3. n1(sinƟ1) = n2(sinƟ2)
  4. n1(sinƟ2) = n2+(sinƟ1)
(정답률: 82%)
  • 스넬의 법칙은 "n1sinƟ1 = n2sinƟ2"로 표현된다. 이는 빛의 속도가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의 사인값의 비율이 매질의 굴절률의 비율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빛의 속도가 느린 매질에서는 굴절각이 더 작아지고, 빛의 속도가 빠른 매질에서는 굴절각이 더 커지게 된다. 이때 입사각과 굴절각은 각각 Ɵ1과 Ɵ2로 표현되며, 각각의 사인값을 곱한 것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n1sinƟ1 = n2sinƟ2"이 올바른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HDLC 프로토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트 방식 프로토콜의 일종
  2.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전송에 모두 사용
  3. 데이터 링크 형식으로 Point to Point, Multipoint 및 Loop가 가능
  4. 에러제어 방식으로 정지대기 ARQ 사용
(정답률: 58%)
  • HDLC 프로토콜은 에러제어 방식으로 선택적 반복 ARQ를 사용하며, 이는 정지대기 ARQ와는 다른 방식입니다. 선택적 반복 ARQ는 송신측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지 못하면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며, 정지대기 ARQ는 송신측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지 못하면 이전에 전송한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HDLC 프로토콜의 특징 중 에러제어 방식으로 정지대기 ARQ 사용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HDLC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 복합국끼리는 상대방 복합국의 허가가 없어도 명령과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모드는 무엇인가?

  1. 비동기 평형모드(ABM)
  2. 정규 응답모드(NRM)
  3. 비동기 응답모드(ARM)
  4. 절단모드(DCM)
(정답률: 59%)
  • 비동기 평형모드(ABM)에서는 복합국끼리 상대방의 허가 없이 명령과 응답을 송신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비동기 방식에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간을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평형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BM은 비동기 방식에서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통신방식 중 요금과 급여계산 및 경영자료 작성 등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1. 일괄 처리 방식
  2. 온라인 방식
  3. 직렬 전송 방식
  4. 병렬 전송 방식
(정답률: 74%)
  • 일괄 처리 방식은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요금과 급여계산, 경영자료 작성 등과 같이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일정한 주기로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호속도가 1[kHz]이고 4개의 기호확률이 1/2, 1/4, 1/8, 1/8일 때 엔트로피율은 얼마인가?

  1. 1,750[bps]
  2. 1,850[bps]
  3. 1,900[bps]
  4. 2,000[bps]
(정답률: 71%)
  •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H = -Σ(pi * log2(pi))

    여기서 pi는 각 기호의 확률이고, log2는 밑이 2인 로그 함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확률로부터 엔트로피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H = -(1/2 * log2(1/2) + 1/4 * log2(1/4) + 1/8 * log2(1/8) + 1/8 * log2(1/8))
    ≈ 1.75 [bits/symbol]

    기호속도가 1[kHz]이므로, 엔트로피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ntropy rate = H * 1[kHz] ≈ 1,750[bps]

    따라서, 정답은 "1,750[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IPv4와 IPv6의 연동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이중 스텍(Dual Stack)
  2. 터널링(Tunneling)
  3. IPv4/IPv6 변환(Translation)
  4. 라우팅(Routing)
(정답률: 75%)
  • IPv4와 IPv6의 연동 방법 중 라우팅은 틀린 것입니다. 라우팅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말하며, IPv4와 IPv6의 연동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중 스텍, 터널링, IPv4/IPv6 변환은 IPv4와 IPv6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 다른 방식으로 패킷을 전달하거나 변환하여 IPv4와 IPv6 네트워크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고속 LAN으로 대학캠퍼스나 공장같이 한 곳에 모여 있는 LAN들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FDDI
  2. ASK
  3. QAM
  4. FSK
(정답률: 82%)
  • FDDI는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의 약자로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고속 LAN을 구성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대학캠퍼스나 공장과 같이 멀리 떨어진 LAN들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ASK, QAM, FSK는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FDDI는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높은 대역폭과 신뢰성을 제공하므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리피터
  2. 라우터
  3. 허브
  4. 태그
(정답률: 80%)
  • 리피터, 라우터, 허브는 모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입니다. 그러나 태그는 VLAN(Virtual LAN)을 구성하기 위한 기술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아닙니다. VLAN은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기술로, 태그는 이러한 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TCP와 UDP 헤더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CP세그먼트의 헤더는 8바이트인 반면, UDP는 20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2. TCP 포트 번호는 UDP 포트 번호와 서로 독립적이다.
  3. TCP에서는 강제적으로 검사합(Checksum)을 수행하는 반면, UDP는 검사합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4. UDP는 비연결형 방식이고, TCP는 연결형 방식이다.
(정답률: 75%)
  • TCP세그먼트의 헤더는 8바이트인 반면, UDP는 20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 TCP세그먼트의 헤더는 20바이트이고, UDP는 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TCP와 UDP의 헤더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으며, 둘 다 송신지와 수신지의 포트 번호, 데이터 길이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TCP는 연결형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헤더에 시퀀스 번호, 확인 응답 번호, 윈도우 크기 등의 정보를 추가로 담고 있어서 헤더의 크기가 20바이트이다. 반면,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추가 정보가 없어서 헤더의 크기가 8바이트이다.

    따라서 "TCP세그먼트의 헤더는 8바이트인 반면, UDP는 20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통신속도가 2,000[bps]인 회선에서 1시간 전송했을 때, 에러 비트수가 36[bit]였다면, 이 통신회선의 비트 에러율은 얼마인가?

  1. 2.5 X 10-6
  2. 2.5 X 10-5
  3. 5 X 10-6
  4. 5 X 10-5
(정답률: 72%)
  • 에러 비트수는 전송된 비트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비트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송된 비트수를 계산해야 한다.

    1시간은 60분이므로, 전송된 비트수는 다음과 같다.

    전송된 비트수 = 2,000[bps] × 60[분] × 60[초] = 7,200,000[bit]

    비트 에러율은 에러 비트수를 전송된 비트수로 나눈 값이다.

    비트 에러율 = 36[bit] ÷ 7,200,000[bit] = 5 × 10-6

    따라서 정답은 "5 X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구문(Syntax)
  2. 실체(Entity)
  3. 의미(Semantics)
  4. 타이밍(Timing)
(정답률: 83%)
  • 정답: 타이밍(Timing)

    타이밍은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프로토콜이 정의하는 통신의 시간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구문은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형식과 구조를 나타내며, 실체는 프로토콜에서 통신하는 개체를 나타낸다. 의미는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의미와 목적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IP 통신망의 경로 지정 통신 규약의 하나로서 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또는 홉)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2.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3. BGP(Border Gateway Protocol)
  4.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정답률: 78%)
  • RIP는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유하는 라우터의 대수에 따라 최단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RIP는 경로 선택을 위해 라우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를 계산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RIP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16비트 명령어 형식에서 연산코드 5비트, 오퍼랜드1은 3비트, 오퍼랜드2는 8비트일 경우, ⓐ 연산종류와 사용할 수 있는 ⓑ 레지스터의 수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32가지, ⓑ 512
  2. ⓐ 31가지, ⓑ 8
  3. ⓐ 32가지, ⓑ 8
  4. ⓐ 8가지, ⓑ 511
(정답률: 73%)
  • 정답: ⓐ 32가지, ⓑ 8

    이유: 연산코드가 5비트이므로 2^5 = 32가지의 연산 종류가 가능하다. 오퍼랜드1은 3비트이므로 2^3 = 8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오퍼랜드2는 8비트이므로 2^8 = 256개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킬 수 있다. 따라서 오퍼랜드2는 레지스터가 아닌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사용 가능한 레지스터의 수는 8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전자계산기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과학용 프로그램
  2. 운영 시스템
  3.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4. 통신 제어 프로그램
(정답률: 74%)
  • 정답: 과학용 프로그램

    과학용 프로그램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운영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통신 제어 프로그램 등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0진수 (38)10을 2진수로 올바르게 변환한 것은?

  1. (100100)2
  2. (100101)2
  3. (100110)2
  4. (100111)2
(정답률: 80%)
  • 10진수 38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38 ÷ 2 = 19 ... 0
    2. 위에서 구한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19 ÷ 2 = 9 ... 1
    3. 위에서 구한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9 ÷ 2 = 4 ... 1
    4. 위에서 구한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4 ÷ 2 = 2 ... 0
    5. 위에서 구한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2 ÷ 2 = 1 ... 0
    6. 위에서 구한 몫을 다시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 1 ÷ 2 = 0 ... 1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쓰면 (100110)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11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는 레지스터는?

  1. 명령 레지스터(IR)
  2.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3.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4.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정답률: 77%)
  •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여러 비트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레지스터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레지스터가 바로 쉬프트 레지스터입니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여러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는 병렬전송을 받아서, 비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직렬전송으로 변경해줍니다. 따라서 쉬프트 레지스터는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는 데에 적합한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접근시간(Access Time)과 사이클시간(Cycle Tim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이클시간이 접근시간보다 대개 시간이 더 걸린다.
  2. 접근시간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거쳐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3. 접근시간은 주기억장치에만 관계되며 보조기억장치와는 상관이 없다.
  4. 접근시간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가지고 나와서 다시 재 기억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접근시간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가지고 나와서 다시 재 기억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이다.

    접근시간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가져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사이클시간은 한 번의 명령어 사이클이 완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사이클시간은 접근시간보다 대개 더 걸리기 때문에, 빠른 속도의 메모리를 사용하더라도 사이클시간이 느린 경우 전체 시스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접근시간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둘 다 빠를수록 전체 시스템 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접근시간은 주기억장치에만 관계되며 보조기억장치와는 상관이 없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로더(Loader)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연결(Linking)을 수행한다.
  2. 출력 데이터에 대해 일시 저장(Spooling)기능을 수행한다.
  3.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번지수를 재배치(Relocation)한다.
  4.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번지수를 계산하고 할당(Allocation)한다.
(정답률: 72%)
  • 로더의 주요 기능 중 출력 데이터에 대해 일시 저장(Spooling)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로더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간의 연결(Linking)을 수행하고,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도록 번지수를 재배치(Relocation)하며,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번지수를 계산하고 할당(Allocation)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ooling은 출력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해두고 나중에 처리하는 기능으로, 로더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파일 관리자는 파일 구조에 따라 각기 다른 접근 방법으로 관리한다. 다음 중 저장공간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파일 구조는 어느 것인가?

  1. 직접 파일(Direct File)
  2. 순차 파일(Sequential File)
  3.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4. 분할 파일(Partitioned File)
(정답률: 60%)
  • 순차 파일(Sequential File)이 저장공간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파일 구조이다. 이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을 때 디스크 헤드가 이동하는 횟수가 적어져서 입출력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저장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파일의 크기가 작아져서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스택(Stack)
  2. 컴파일러(Compiler)
  3. 로더(Loader)
  4. 응용 패키지(Application Package)
(정답률: 62%)
  • 스택(Stack)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아니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정답은 "스택(Stac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디스크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디스크를 재구성하지 않고 복사된 것을 대체함으로써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RAID 레벨(Level)은?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65%)
  • RAID 1은 미러링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다른 디스크에 복사하여 저장합니다. 이 때,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디스크를 재구성하지 않고 복사된 것을 대체함으로써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RAID 레벨은 RAID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몇 개의 관련 있는 데이터 파일을 조직적으로 작성하여 중복된 데이터 항목을 제거한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Data File
  2. Data Base
  3. Data Program
  4. Data Link
(정답률: 80%)
  • 정답은 "Data Base"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 있는 데이터 파일을 조직적으로 작성하여 중복된 데이터 항목을 제거한 구조를 말한다. 데이터 파일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이지만,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효율적인 검색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데이터 링크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할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사회복지 증진
  2. 정보화 촉진
  3. 공공의 이익과 안전
  4. 역무의 보급 방법
(정답률: 60%)
  •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모두 중요하지만, "역무의 보급 방법"은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급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역무의 보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방송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계통적 유기적으로 연결·구성된 방송통신 설비의 집합체는?

  1. 전화망
  2. 전송설비
  3. 전원설비
  4. 방송통신망
(정답률: 78%)
  • 방송통신망은 방송과 통신을 위한 설비들이 계통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집합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방송과 통신을 위한 모든 설비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과 방송이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화망", "전송설비", "전원설비"는 방송통신망의 일부분일 수 있지만, 방송통신망은 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방송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방송통신재난을 신속히 수습·복구하기 위한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곳은?

  1. 한국통신(KT)
  2. 방송통신위원회
  3. 소방청
  4. 행정안전부
(정답률: 76%)
  •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분야의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방송통신재난을 신속히 수습·복구하기 위한 방송통신재난관리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재난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통신망의 보전 및 운영관리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전 및 운영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집계·관리한다.
  2. 상호접속을 하는 경우 설계 시 접속대상 설계공정을 명확히 한다.
  3. 상호접속에 대한 작업의 분담, 책임범위 등을 명확히 한다.
  4. 통신망의 개량 및 교체주기를 짧게 관리한다.
(정답률: 80%)
  • "통신망의 개량 및 교체주기를 짧게 관리한다."는 통신망의 보전 및 운영관리기준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개량 및 교체주기를 짧게 관리하는 것은 보전 및 운영관리와는 별개의 기술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원도급, 하도급, 위탁 그 밖에 명칭이 무엇이든 공사를 완공할 것을 약정하고, 발주자가 그 일의 결과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급
  2. 도급
  3. 용역
  4. 감리
(정답률: 71%)
  • 도급은 공사를 완공할 것을 약정하고 대가를 지급하는 계약으로, 발주자가 공사의 결과물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와 달리 용역은 일정한 업무를 수행하는 계약으로, 결과물의 소유권은 수행자에게 있습니다. 감리는 공사의 진행 상황을 감독하고 검사하는 역할을 하는 계약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도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 설비를 설치·운영하는 자의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게 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유지·보수중인 방송통신설비인 경우
  2.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경우
  3. 재해·재난 예방을 위한 경우 및 재해·재난 발생한 경우
  4. 방송통신설비 관련 시책을 수립하기 위한 경우
(정답률: 70%)
  • 유지·보수중인 방송통신설비는 이미 설치되어 운영 중인 설비이므로 조사나 시험의 대상이 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소속 공무원으로 하여금 방송통신 설비를 설치·운영하는 자의 설비를 조사하거나 시험하게 할 수 있는 경우는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경우", "재해·재난 예방을 위한 경우 및 재해·재난 발생한 경우", "방송통신설비 관련 시책을 수립하기 위한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업을 양도할 수 있다.
  2. 공사업자인 법인 간에 합병할 수 있다.
  3. 공사업자인 법인을 분할하여 설립할 수 있다.
  4. 합병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은 소멸되는 법인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한다.
(정답률: 78%)
  • "합병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은 소멸되는 법인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합병에 의해 새로운 법인이 설립되면, 기존의 법인은 소멸하게 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법인은 기존 법인의 모든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방송통신을 통한 국민의 복리 향상과 방송통신의 원활한 발전을 위하여 수립하고 공고하는 방송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송통신서비스에 관한 사항
  2. 방송정보통신공사업의 연구에 관한 사항
  3. 방송통신콘텐츠에 관한 사항
  4. 방송통신기술의 진흥에 관한 사항
(정답률: 61%)
  • 방송정보통신공사업의 연구는 방송통신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기본계획이 국민의 복리 향상과 방송통신의 원활한 발전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송정보통신공사업의 연구는 다른 계획이나 정책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공동주택에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는 경우 갖추어야 할 홈네트워크 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집중구내통신실
  2. 단지네트워크장비
  3.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
  4. 홈게이트웨이
(정답률: 66%)
  • 공동주택에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는 경우 갖추어야 할 홈네트워크 장비 중 "집중구내통신실"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공동주택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장비로, 개별 가구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동주택 전체에서 관리되는 장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별 가구에서 갖추어야 할 홈네트워크 장비는 "단지네트워크장비", "폐쇄회로텔레비전장비", "홈게이트웨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에 종사하는 정보통신기술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통신기술자는 동시에 두 곳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할 수 없다.
  2. 동일한 종류의 공사인 경우 1명의 정보통신기술자가 다수의 공사를 관리할 수 있다.
  3. 정보통신기술자는 자기의 경력수첩이나 기술자격증을 대여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정보통신기술자는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용역 또는 공사를 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78%)
  • "정보통신기술자는 동시에 두 곳 이상의 공사업체에 종사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보통신기술자는 동일한 종류의 공사인 경우 1명의 정보통신기술자가 다수의 공사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공사업체에 종사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