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3-13)

정보통신기사(구)
(2021-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반도체 다이오드의 두 가지 바이어스(Bias) 조건으로 맞는 것은?

  1. 발진과 증폭
  2. 블록과 비블록
  3. 유도와 비유도
  4. 순방향과 역방향
(정답률: 85%)
  • 정답은 "순방향과 역방향"입니다.

    반도체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사용됩니다. 이때 다이오드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바이어스(Bias)라고 합니다.

    순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양끝에 양극성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역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양끝에 음극성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순방향과 역방향"이 정답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은 평활회로에서 출력 맥동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정류파형의 주파수를 높인다.
  2. L값을 크게 한다.
  3. C값을 크게 한다.
  4. RL값을 작게 한다.
(정답률: 76%)
  • 정류파형의 주파수를 높이면 출력 맥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옳지 않다. L값을 크게 하면 출력 맥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옳지 않다. C값을 크게 하면 정류파형의 주파수가 낮아져 출력 맥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옳지 않다. 따라서, RL값을 작게 하면 회로 내부의 손실이 감소하여 출력 맥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회로에서 RL 양단에 나타나는 정류출력전압은? (단, 입력에는 최대치 Vm인 사인파가 인가된다.)

  1. -Vm
  2. Vm
  3. -2Vm
  4. 2Vm
(정답률: 70%)
  • 다이오드 D1은 양의 주파수 사이클에서 전류를 허용하고, D2는 음의 주파수 사이클에서 전류를 허용합니다. 따라서 입력 사인파의 양의 주기에서는 D1이 작동하여 RL에 Vm의 전압이 인가됩니다. 음의 주기에서는 D2가 작동하여 RL에 -Vm의 전압이 인가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RL에 나타나는 최대 전압은 Vm - (-Vm) = 2V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V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드레인 접지형 FET 증폭기에 대한 특성으로 틀린 것은? (단, FET의 파라미터 Am은 상호 전도도이다.)

  1. 입력 임피던스는 매우 크다.
  2. 전압 이득은 약 1이다.
  3. 출력은 입력과 역위상이다.
  4. 출력 임피던스는 약 1/Am이다.
(정답률: 69%)
  • "출력은 입력과 역위상이다."가 틀린 것이다. 드레인 접지형 FET 증폭기의 출력은 입력과 같은 위상이다. 이는 FET의 특성상 드레인 전류가 게이트 전압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입력 임피던스는 매우 크고, 전압 이득은 약 1이며, 출력 임피던스는 약 1/Am이다. 이는 FET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바이어스로 회로에서 전류 궤환 회로로 변경하려 한다. 어느 부분이 추가 또는 수정되어야 하나?

  1. RC
  2. RE
  3. RB
  4. RC, RE
(정답률: 63%)
  • 전류 궤환 회로로 변경하려면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회로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RC"와 "RE"가 추가되어야 한다. "RC"는 콜렉터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콜렉터 전류를 제어하고, "RE"는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전류를 제어한다. 이렇게 추가된 "RC"와 "RE"는 각각 콜렉터 전류와 베이스 전류를 제어하여 전류 궤환을 형성하게 된다. "RB"는 베이스와 전원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전류를 제어하지만, 전류 궤환 회로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RC, R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계단(Step)입력에 대한 연산증폭기의 출력파형이 아래 그림과 같다. 슬루율(Slew Rate)은?

  1. 15[V/μS]
  2. 7.5[V/μS]
  3. 10[V/μS]
  4. 30[V/μS]
(정답률: 68%)
  • 슬루율은 출력전압이 일정한 값에서 다른 값으로 변화할 때의 변화율을 의미한다. 이 그림에서는 출력전압이 0V에서 10V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 변화가 0.67μs 동안 일어났다. 따라서 슬루율은 (10V-0V)/0.67μs = 15[V/μ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의 종류는?

  1. 반파정류회로
  2. 전파정류회로
  3. 피크검출기
  4. 대수 증폭기회로
(정답률: 65%)
  • 이 회로는 입력 신호를 대수적으로 증폭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대수 증폭기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가 0V일 때 출력 신호도 0V이고, 입력 신호가 5V일 때 출력 신호는 10V가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디지털 회로에서 논리 게이트의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콜피츠 발진회가 발진하는 조건은?

  1. jX1<0, jX2>0, jX3>0
  2. jX1<0, jX2<0, jX3<0
  3. jX1>0, jX2<0, jX3>0
  4. jX1<0, jX2<0, JX3>0
(정답률: 68%)
  • 콜피츠 발진회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때 발생합니다.

    - jX1 < 0 : X1 쪽으로 전압이 지연되는 경우
    - jX2 < 0 : X2 쪽으로 전압이 지연되는 경우
    - jX3 > 0 : X3 쪽으로 전압이 선회되는 경우

    이 조건을 만족하면, 콜피츠 발진회가 발생합니다. 이유는 콜피츠 발진회는 전압이 지연되는 부분과 선회되는 부분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1과 X2 쪽으로 전압이 지연되고, X3 쪽으로 전압이 선회되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병렬저항 이상형 RC발진회로에서 C=0.01[μF]일 때 1500[Hz]의 발진주파수를 얻기 위한 R값은 약 얼마인가?

  1. 1.51[kΩ]
  2. 2.52[kΩ]
  3. 3.23[kΩ]
  4. 4.33[kΩ]
(정답률: 51%)
  • RC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f = 1/(2πRC)로 주어진다. 따라서 R = 1/(2πfC)로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R = 1/(2π x 1500 x 0.01 x 10^-6) = 4.33[kΩ]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33[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증폭기와 정궤환 회로를 이용한 발진회로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A, 궤환율을 β라고 할 때, βA<1이면 출력되는 파형은?

(정답률: 77%)
  • βA<1이면 증폭기와 궤환 회로를 통과한 신호의 진폭이 입력 신호의 진폭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출력되는 파형은 ""와 같이 입력 신호의 진폭보다 작은 파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단측파대 변조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점유주파수대역폭이 매우 작다.
  2. 변복조기 사이에 반송파의 동기가 필요하다.
  3. 송신출력이 비교적 작게 된다.
  4. 전송 도중에 복조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71%)
  • 단측파대 변조 방식은 전송 도중에 복조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변조된 신호가 수신기에서 복조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동기 신호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송 도중에 복조되는 경우가 있다."는 특징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M 복조(검파) 회로에서 직선 검파회로의 RC(시정수)가 반송파의 주기보다 짧은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은?

  1. 중방전 특성이 늦어진다.
  2. 출력은 입력 전압의 반송파 진폭의 제곱에 비례하게 되며, 감도가 높아지게 된다.
  3. 방전이 빨리 일어나서 저항 R의 단자 전압변동이 크게 일어난다.
  4. 포락선의 변화에 추종하지 못한다.
(정답률: 64%)
  • AM 복조(검파) 회로에서 직선 검파회로의 RC(시정수)가 반송파의 주기보다 짧은 경우, 방전이 빨리 일어나게 되어 저항 R의 단자 전압변동이 크게 일어나게 됩니다. 이는 RC 시간상수가 짧아져서 충전 및 방전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저항 R의 단자 전압이 크게 변화하게 되어 검파 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변조도80%로 진폭 변조한 피변조파에서 반송파의 전력 Pc와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 Ps와의 비율은?

  1. 1 : 0.8
  2. 1 : 0.55
  3. 1 : 0.33
  4. 1 : 0.16
(정답률: 56%)
  • 진폭 변조된 피변조파의 전력은 원래의 반송파 전력에 진폭 변조 인자의 제곱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변조도가 80%이므로 진폭 변조 인자는 1.8이 된다. 이를 제곱하면 3.24가 되므로, 변조된 피변조파의 전력은 원래의 반송파 전력의 3.24배가 된다.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은 변조된 피변조파에서 원래의 반송파 전력을 빼면서 생기는 파대 전력이다. 이 파대 전력은 변조 인자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은 원래의 반송파 전력의 1/3.24배가 된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력 Pc와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 Ps와의 비율은 Pc : Ps = 1 : (1/3.24) = 1 : 0.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보 전송에서 800[Baud]의 변조 속도로 4상 차분 위상 변조된 데이터 신호 속도는 얼마인가?

  1. 600[bps]
  2. 1200[bps]
  3. 1600[bps]
  4. 3200[bps]
(정답률: 74%)
  • 800[Baud]의 변조 속도는 1초당 800번의 신호 변화를 의미합니다. 4상 차분 위상 변조는 1초당 4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 속도는 800 x 4 = 3200[bps]가 됩니다. 하지만, 4상 차분 위상 변조는 2개의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3200[bps]를 2로 나누면 1600[bp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회로에서 기전력 E를 가하고 S/W를 ON하였을 EO 저항 양단의 전압 VR은 t초 후 어떻게 표시되는가?

  1. E/e
(정답률: 57%)
  • 정답은 ""이다.

    이유는 S/W가 ON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 전류는 저항 R을 통해 전압강하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V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하지만 이 회로에서는 콘덴서 C가 존재하므로, 초기에는 콘덴서가 방전되어 전압이 0V이다. 따라서 S/W가 ON되고 나서 초기에는 VR도 0V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덴서가 충전되면서 VR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 때 VR의 증가율은 시간에 비례하므로, VR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VR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E에 수렴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Flip-Flop 회로를 쓰지 않는 것은?

  1. 리피터 회로
  2. 분주 회로
  3. 기억 회로
  4. 진 계수 회로
(정답률: 71%)
  • 리피터 회로는 입력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회로로, Flip-Flop 회로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lip-Flop 회로를 쓰지 않는 것 중에서도 리피터 회로가 선택되었다. 분주 회로는 입력 신호를 일정한 주기로 나누어 출력하는 회로, 기억 회로는 입력 신호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회로, 진 계수 회로는 이진수를 계산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BCD 코드란?

  1. byte
  2. bit
  3. 2진화 10진 코드
  4. 10진화 2진 코드
(정답률: 75%)
  • BCD 코드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하지만 BCD 코드는 비효율적이며, 계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어서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2진화 10진 코드가 정답이다. 2진화 10진 코드는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는 코드로, 컴퓨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회로와 등가인 회로는 어느 것인가?

  1. RS 플립플롭
  2. JK 플립플롭
  3. D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73%)
  • 주어진 회로는 D 플립플롭이다. 이유는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D)과 클럭 입력(C)을 가지고 있으며, 클럭 입력이 1일 때 데이터 입력이 출력(Q)으로 전달된다. 주어진 회로에서도 데이터 입력(D)과 클럭 입력(C)이 존재하며, 클럭 입력이 1일 때 데이터 입력이 출력(Q)으로 전달되므로 D 플립플롭이다. RS 플립플롭은 입력값에 따라 상태가 불확정해지는 문제가 있고, JK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겹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이 어렵다. T 플립플롭은 D 플립플롭과 유사하지만, T 플립플롭은 토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클럭 입력이 1일 때 이전 출력값의 반대값이 출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은 T F/F을 이용한 비동기 10진 상향계수기이다. 계수값이 10이 되었을 때 계수기를 0으로 하기 위해서는 전체 F/F을 clear시켜야 하는데 이렇게 하기 위해 (가)에 알맞은 게이트는?

  1. OR
  2. AND
  3. NOR
  4. NAND
(정답률: 72%)
  • 정답: NAND

    10진 상향계수기에서 계수값이 10이 되면 다시 0으로 돌아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 F/F을 clear시켜야 한다. 따라서, F/F의 출력이 모두 1일 때 clear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AND 게이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모든 F/F의 출력을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진다. 그러나 NAND 게이트를 사용하면 모든 F/F의 출력을 N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하면 된다. 이는 모든 F/F의 출력이 1일 때만 clear 신호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N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멀티플렉서의 설명이 아닌 것은?

  1. 특정한 입력을 몇 개의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꾼다.
  2. N개의 입력데이터에서 1개의 입력만 선택하여 단일 통로로 송신하는 장치이다.
  3. 멀티플렉서는 전환 스위치의 기능을 갖는다.
  4. 데이터 선택기라고도 한다.
(정답률: 60%)
  • "N개의 입력데이터에서 1개의 입력만 선택하여 단일 통로로 송신하는 장치이다."는 디멀티플렉서의 설명이다. 멀티플렉서는 "특정한 입력을 몇 개의 코드화된 신호의 조합으로 바꾼다."는 기능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중 지능망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IP(Intellingent Peripheral)
  2. LBS(Location Base Service)
  3. SCP(Service Control Point)
  4. SSP(Service Switching Point)
(정답률: 67%)
  • LBS(Location Base Service)는 지능망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LBS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검색, 길 안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LBS는 지능망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IP, SCP, SSP와 같은 요소들은 전화망에서 통화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통신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 처리계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 중 데이터 전송계가 아닌 것은?

  1. 단말장치
  2. 통신 소프트웨어
  3. 데이터 전송회선
  4. 통신 제어장치
(정답률: 74%)
  • 정답: 통신 소프트웨어

    설명: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회선과 통신 제어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등이 필요하다. 반면에 통신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따라서 통신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처리계에 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국내의 통신망 발전 단계로 올바른 것은?

  1. ISDN → PSTN → BCN
  2. BCN → ISDN → PSTN
  3. PSTN → ISDN → BCN
  4. ISDN → BCN → PSTN
(정답률: 71%)
  • 국내의 통신망 발전 단계는 PSTN(전화국), ISDN(통합국), BCN(광대역망) 순으로 발전해왔다. 이는 PSTN이 기초적인 전화 통신망이었고, 이후 ISDN이 디지털화된 통합 통신망으로 발전하였으며, BCN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고속 대역폭 통신망으로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PSTN → ISDN → BC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핀테크(FinTech)란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다음 중 핀테크의 일반적인 구성 범위가 아닌 것은?

  1. 자금결제
  2. 금융데이터 분석
  3. 금융 소프트웨어
  4. 마그네틱 결제
(정답률: 78%)
  • 마그네틱 결제는 핀테크의 일반적인 구성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전통적인 결제 방식으로, 신용카드나 현금과 같은 결제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핀테크는 주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자금결제, 금융데이터 분석, 금융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PP(Point-to-Point Protocol)에서 IP의 동적 협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은?

  1. NCP(Network Control Protocol)
  2. LCP(Link Control Protocol)
  3. SLIP(Serial Line IP)
  4. PPPoE(Point to Point Protocol over Ethernet)
(정답률: 66%)
  • NCP(Network Control Protocol)는 PPP(Point-to-Point Protocol)에서 IP의 동적 협상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LCP(Link Control Protocol)는 PPP 링크의 설정 및 유지를 담당하고, SLIP(Serial Line IP)은 PPP와 유사하지만 IP 주소 동적 협상 기능이 없습니다. PPPoE(Point to Point Protocol over Ethernet)는 이더넷을 통해 PPP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IP 주소 동적 협상 기능을 가지지만 PPP 자체에서는 아닙니다. 따라서, PPP에서 IP 주소 동적 협상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은 NCP(Network Control Protoc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BSC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식은?

  1. 루프(Loop) 방식
  2. 반이중(Half Duplex)방식
  3.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방식
  4. 멀티포인트(Multipoint)방식
(정답률: 69%)
  • BSC 프로토콜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식은 "루프(Loop) 방식"입니다. 이는 BSC 프로토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은 모두 BSC 프로토콜에서 사용됩니다. 루프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있어서 불안정하고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BSC 프로토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터넷 프로토콜 중 TCP/IP 계층은 ISO의 OSI 모델 7 계층 중 각각 어느 계층에 대응되는가?

  1. 인터넷계층 - 데이터링크계층
  2. 네트워크계층 - 세션계층
  3. 응용계층 - 물리계층
  4. 응용계층 - 표현계층
(정답률: 56%)
  • TCP/IP 계층에서 응용계층은 OSI 모델의 응용계층과 표현계층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TCP/IP 프로토콜이 OSI 모델의 응용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동시에 표현계층에서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거나 암호화/복호화하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CP/IP 계층의 응용계층은 OSI 모델의 응용계층과 표현계층에 대응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표준화 단체인 IETF가 인터넷 표준화를 위한 작업문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RFC(Request For Comment)
  2. RFI(Request For Information)
  3. RFP(Request For Proposal)
  4. RFO(Request For Offer)
(정답률: 71%)
  • RFC는 IETF가 인터넷 표준화를 위해 작성한 문서들을 의미합니다. 이 문서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기술적인 정보와 제안을 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RFC는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를 위한 중요한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ISO/IEC JTC 1의 활동 중 SC21(OSI 상위계층/데이터베이스)에 활동하는 WG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WG1: OSI 관리
  2. WG4: OSI 구조
  3. WG5: 특정 응용 서비스
  4. WG8: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60%)
  • WG5는 OSI 상위계층에서 특정 응용 서비스를 다루는 그룹입니다. 다른 WG들은 OSI 관리, 구조, 데이터베이스 등 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디지털 통신에서 펄스 성형(Pulse shaping)을 하는 주된 이유로 옳은 것은?

  1. 심볼간 간섭(ISI)를 줄이기 위함
  2. 노이즈를 줄이기 위함
  3. 다중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4. 채널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함
(정답률: 70%)
  • 펄스 성형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할 때 신호의 형태를 조절하여 심볼간 간섭(ISI)를 줄이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ISI는 인접한 심볼 간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로, 이를 줄이지 않으면 신호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펄스 성형은 디지털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패킷경로를 동적으로 설정하며, 일련의 데이터를 패킷단위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고, 목적지 노드에서는 패킷의 재순서화와 조립과정이 필요한 방식은?

  1. 회선교환방식
  2. 메시지교환방식
  3. 가상회선방식
  4. 데이터그램방식
(정답률: 66%)
  •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 경로를 동적으로 설정하며, 일련의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므로 패킷의 전송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목적지 노드에서는 패킷의 재순서화와 조립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데이터그램 방식은 인터넷 프로토콜(IP)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10[Gbps] 동기식 전송시스템의 신호를 표시한 것은?

  1. STM-16
  2. STM-32
  3. STM-64
  4. STM-128
(정답률: 59%)
  • 이미지가 제공되지 않아 답변이 불가합니다. 다만, 10[Gbps] 동기식 전송시스템은 STM-64로 표시됩니다. 이는 Synchronous Transport Module-64의 약자로, 64개의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0[G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시스템은 STM-64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사용되는 채널할당방식에서 요구할당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ALOHA
  2. TDM
  3. CSMA/CD
  4. Token Bus
(정답률: 61%)
  • 근거리통신망(LAN)에서 사용되는 채널할당방식 중 요구할당 방식은 Token Bus이다. Token Bus는 토큰 패킷을 이용하여 통신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각 노드는 토큰 패킷을 받으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이 끝나면 다시 토큰 패킷을 전송하여 다음 노드에게 통신 권한을 넘겨주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AN의 서비스 기능 중 통신처리기능(통신처리계층)으로 틀린 것은?

  1. 패킷 교환
  2. 코드 변환
  3. 속도 변환
  4. 프로토콜 변환
(정답률: 42%)
  • 정답은 "패킷 교환"입니다. VAN의 통신처리기능은 코드 변환, 속도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패킷 교환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입니다.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이를 수신측에서 다시 조합하여 전체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USN
  2. BcN
  3. TMN
  4. VAN
(정답률: 85%)
  • USN은 Ubiquitous Sensor Network의 약자로,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BcN은 브로드밴드 컴퓨터 네트워크, TMN은 통신 관리 네트워크, VAN은 차량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USN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유용한 시스템이 가져야할 특성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목적성
  2. 자동성
  3. 제어성
  4. 비선형성
(정답률: 83%)
  • 비선형성은 시스템의 유용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특성이다. 비선형성은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은 경우를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예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유용한 시스템이 가져야할 특성으로는 목적성, 자동성, 제어성이 있지만, 비선형성은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효율적인 정보통신시스템 유지보수 조직 운영 및 관리 방안 중 인력구성 계획단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운영 및 유지보수에 대한 지침을 이해한다.
  2. 운영 및 유지보수에 유경험자를 투입한다.
  3. 유지보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팀을 구성한다.
  4. 공사 시방서의 구축예정 물량을 확인한다.
(정답률: 75%)
  • 공사 시방서의 구축예정 물량을 확인하는 것은 인력구성 계획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시설물 구축 및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수집 단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사 시방서의 구축예정 물량을 확인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에서 정의하고 있는 5가지 관리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성능관리
  2. 보안관리
  3. 조직관리
  4. 구성관리
(정답률: 72%)
  • TMN에서 정의하고 있는 5가지 관리 기능 중 "조직관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TMN에서 정의하고 있는 관리 기능은 모두 네트워크와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기능들이기 때문입니다. "조직관리"는 조직 내부의 인력 및 업무 분배 등과 같은 인적 자원 관리와 관련된 기능으로, TMN의 범위를 벗어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문장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DNS
  2. SNMP
  3. OSPS
  4. TCP/IP
(정답률: 70%)
  • 이 문장은 SNMP에 대한 설명이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그림에서는 SNM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SNM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가 독자 개발한 대칭키 암호화 기술은 무엇인가?

  1. SEED
  2. RSA
  3. DES
  4. RC4
(정답률: 81%)
  • SEED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에서 개발한 대칭키 암호화 기술로, 128비트 블록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빠른 암호화를 제공합니다. RSA는 공개키 암호화 기술, DES는 블록 암호화 기술, RC4는 스트림 암호화 기술입니다. 따라서, SEED는 대칭키 암호화 기술 중에서도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Bluetooth
  2. Zigbee
  3. NFC
  4. RFID
(정답률: 78%)
  • 위 그림은 스마트홈에서 사용되는 IoT 기기들 간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Zigbee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홈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Zigbee는 저전력이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길고, 멀리 떨어져 있는 기기들 간에도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Zigbee가 사용되는 이유는 스마트홈에서 저전력이 필요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기기들 간에도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최단 펄스시간 길이가 1000x10-6[sec]일 때, 이 펄스의 변조속도는?

  1. 1[baud]
  2. 10[baud]
  3. 100[baud]
  4. 1000[baud]
(정답률: 82%)
  • 변조속도는 초당 전송되는 심볼(symbol)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인 baud로 표시된다. 이 문제에서는 최단 펄스시간 길이가 1000x10-6[sec]이므로,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개수는 1/1000 = 0.001이 된다. 따라서 변조속도는 0.001 baud가 되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10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입자선에 위치하고 단말기와 디지털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유니폴라 신호를 바이폴라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은?

  1. DSU(Digital Service Unit)
  2. 변복조기(MODEM)
  3. CSU(Channel Service Unit)
  4. 다중화기
(정답률: 73%)
  • DSU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으로, 가입자선과 단말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유니폴라 신호를 바이폴라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SU는 디지털 통신에서 필수적인 장비 중 하나입니다. 반면, 변복조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CSU는 디지털 회선에서 채널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회선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200[bps] 속도를 갖는 4채널을 다중화한다면, 다중화 설비 출력 속도는 적어도 얼마 이상이여야 하는가?

  1. 1200[bps]
  2. 2400[bps]
  3. 4800[bps]
  4. 9600[bps]
(정답률: 80%)
  • 4채널을 다중화한다는 것은 4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출력 속도는 4개의 입력 속도를 합한 것과 같아야 합니다.

    4개의 입력 속도가 모두 1200[bps]이므로, 출력 속도는 4 x 1200[bps] = 4800[bps]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LAN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전송매체
  2. 패킷교환기
  3. 라우터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정답률: 41%)
  • LAN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패킷교환기"이다.

    패킷교환기는 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재조립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패킷교환기는 LAN의 핵심 장비 중 하나이다.

    전송매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매체로, 유선 LAN에서는 케이블을 사용하고, 무선 LAN에서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로, LAN과 WAN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에 장착되어 LAN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0Base-5 이더넷의 기본 규격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전송 매체가 꼬임선이다.
  2. 전송 속도가 10[Mbps]이다.
  3. 전송 최대 거리가 500[m]이다.
  4. 전송 방식이 브로드밴드 방식이다.
(정답률: 81%)
  • 10Base-5 이더넷은 꼬임선 대신 코엑스 케이블을 사용하며, 이 케이블의 전송 거리 제한이 500m이기 때문에 전송 최대 거리가 5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회선 교환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정되면 데이터를 그대로 투과시키므로 오류 제어 기능이 없다.
  2.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기간에도 회선을 독점하므로 비효율적이다.
  3. 회선을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음성이나 동영상 등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미디어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65%)
  • "음성이나 동영상 등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미디어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회선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기간에도 회선을 독점하므로 비효율적이며, 오류 제어 기능이 없어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미디어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무실에서 인터넷 구내 망을 설치하여 음성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는?

  1. PBX
  2. IP-PBX
  3. ISDN-PBX
  4. Solo-PBX
(정답률: 75%)
  • IP-PBX는 인터넷 구내 망을 통해 음성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입니다. PBX는 기본적으로 사무실 내부에서 전화교환기 역할을 하며, IP-PBX는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통화를 전송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실에서 인터넷 구내 망을 설치하여 음성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설비는 IP-PBX입니다. ISDN-PBX는 ISDN망을 통해 음성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이며, Solo-PBX는 소규모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전화교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용량 전자교환기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접속 제어 방식은?

  1. 자동 제어 방식
  2. 반전자 제어 방식
  3.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
  4. 중앙 제어 방식
(정답률: 71%)
  • 대용량 전자교환기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접속 제어 방식은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접속 요청을 축적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량의 접속 요청이 발생할 때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 제어 방식이나 반전자 제어 방식은 일부 접속 요청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아질 경우 다른 요청들이 늦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H.261의 화상통신에 대한 지원 포맷으로 맞는 것은?

  1. 106.52[dB]
  2. 4CIF, CIF
  3. CIF, QCIF
  4. Sub-QCIF, 4CIF
(정답률: 60%)
  • H.261은 화상통신을 위한 비디오 코덱 표준이며, CIF와 QCIF를 지원합니다. CIF는 Common Intermediate Format의 약자로, 352x288 픽셀 해상도를 가지며, QCIF는 Quarter CIF의 약자로, 176x144 픽셀 해상도를 가집니다. 이 두 포맷은 H.261에서 사용되는 화상통신에 적합한 해상도를 제공하며, 대부분의 화상통신 시스템에서 지원됩니다. 따라서, CIF와 QCIF가 H.261의 화상통신에 대한 지원 포맷으로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영상회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음향부
  2. 망용량 관리
  3. 제어부
  4. 편집부
(정답률: 65%)
  • 영상회의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편집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영상회의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음향부, 영상부, 제어부, 망용량 관리 등이 있습니다. 편집은 영상 녹화 후에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영상회의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IPTV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엔지니어링과 품질 최적화를 위한 기능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트래픽 관리
  2. 망용량 관리
  3. 네트워크 플래닝
  4. 영상자원 관리
(정답률: 72%)
  • 정답은 "영상자원 관리"입니다.

    IPTV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엔지니어링과 품질 최적화를 위한 기능으로는 다양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 "트래픽 관리"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대량의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트래픽 관리가 중요합니다.
    - "망용량 관리"는 네트워크의 대역폭과 용량을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망용량 관리가 중요합니다.
    - "네트워크 플래닝"은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를 계획하는 기능입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영상자원 관리"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엔지니어링과 품질 최적화를 위한 기능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영상자원 관리"는 영상 제작과 관련된 기능으로, IPTV 서비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FM 수신기 리미터의 역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진폭 제한기
  2. 전류 증폭기
  3. 잡음 억제 회로
  4. 주파수체배기
(정답률: 68%)
  • FM 수신기에서 진폭 제한기는 수신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하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가장 타당한 역할은 "진폭 제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공위성이나 우주 비행체는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하고 있으므로 전파발진원의 이동에 따라서 수신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은?

  1. 페이지 현상
  2. 플라즈마 현상
  3. 도플러 현상
  4. 전파지연 현상
(정답률: 82%)
  • 인공위성이나 우주 비행체가 매우 빠른 속도로 운동하면서 전파발진원의 이동에 따라 수신주파수가 변하는 현상을 도플러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파의 파장이 발진원과 수신기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펴지면서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위성 통신이나 우주 비행체의 위치 추적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WCDMA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 간격은 1.15[MHz]이다.
  2. GPS로 기지국간 시간 동기를 맞추어 전송한다.
  3. 서로 다른 코드로 기지국을 구분한다.
  4. 칩 전송속도는 5.2288[Mbps]이다.
(정답률: 69%)
  • WCDMA 방식은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주파수 대역을 나누어 사용하는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나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달리, 서로 다른 코드로 기지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같은 주파수 대역과 시간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셀 종류 중 가장 작은 것은?

  1. Mega Cell
  2. Pico Cell
  3. Macro Cell
  4. Micro Cell
(정답률: 78%)
  •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셀 종류 중 가장 작은 것은 "Pico Cell"이다. 이는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나 지하철 등의 지하공간에서 사용된다. Mega Cell은 가장 큰 셀이며, Macro Cell과 Micro Cell은 그 사이의 크기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멀티디미어 데이터 압축기법 중 손실 압축 기법으로 틀린 것은?

  1. FFT(Fast Fourier Transform)
  2.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3.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4. Huffman Code
(정답률: 77%)
  • Huffman Code는 손실 압축 기법이 아니라 비손실 압축 기법이다. Huffman Code는 데이터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문자에 대한 가변 길이 코드를 생성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면서도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멀티미디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CPND의 의미로 틀린 것은?

  1. C: Contents(콘텐츠)
  2. P: Platform(플랫폼)
  3. N: Network(네트워크)
  4. D: Digital(디지털)
(정답률: 82%)
  • CPND의 의미는 "Contents, Platform, Network, Digital"이다. 따라서 D: Digital은 틀린 것이 아니며, 모든 요소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로 틀린 것은?

  1. MIDI
  2. AVI
  3. JPEG
  4. MPEG
(정답률: 81%)
  • 정답은 "MIDI"이다. MIDI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압축 기술이 아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이다. AVI는 비디오 파일을 압축하는 기술, JPEG는 이미지 파일을 압축하는 기술, MPEG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함께 압축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멀티미디어기기의 압축에 사용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21
(정답률: 81%)
  • MPEG-21은 멀티미디어 기기의 압축 방식이 아닙니다. MPEG-21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고 배포하기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따라서 MPEG-21은 압축 방식이 아니라 콘텐츠 관리와 배포를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ADM은 양자화기의 스텝 크기를 입력신호에 따라 적응시키는 방법이다.
  2. PCM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 하는 방법이다.
  3. DM은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양자화하는 변조 방법이다.
  4. DPCM은 진폭 값과 예측 값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DM은 예측 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양자화하는 변조 방법이다." 이다. DM은 진폭 값 자체를 양자화하는 방법이다.

    DM(Delta Modulation)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입력 신호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전 샘플 값과의 차이를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표현한다. 이 때, 양자화 단계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입력 신호의 변화량에 따라 양자화 단계를 조절하는 ADM(Adaptive Delta Modulation)도 있다. PCM(Pulse Code Modulation)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 값을 양자화하는 방법이며, DPCM(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은 예측 값과 측정 값의 차이만을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양자화 잡음비(S/NQ)의 개선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양자화 스텝을 크게 한다.
  2. 비선형 양자화 방법을 사용한다.
  3. 선형양자화와 압신방식을 같이 사용한다.
  4. 양자화 스텝수가 2배로 증가할 때마다 6[dB]씩 개선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양자화 스텝을 크게 한다." 이다.

    양자화 스텝을 크게 함으로써 양자화 단계가 적어지고, 따라서 양자화 잡음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선형 양자화 방법과 압축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비선형 양자화 방법은 양자화 단계를 더욱 적게 하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을 줄일 수 있지만,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양자화 스텝수가 2배로 증가할 때마다 6[dB]씩 개선된다는 것은 양자화 잡음비와 관련된 공식으로, 이는 일반적인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이지 정확한 값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0[GHz]의 직접확산 시스템이 20[kbaud]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20[Mbps]의 확산부호를 BPSK 변조시킬 때 이 시스템의 처리이득은 얼마인가?

  1. 13[dB]
  2. 18[dB]
  3. 27[dB]
  4. 30[dB]
(정답률: 67%)
  • 직접확산 시스템의 처리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이득 = 10log10(확산부호의 대역폭 / 데이터 전송 대역폭)

    여기서 확산부호의 대역폭은 20MHz이고, 데이터 전송 대역폭은 20kHz이다. 따라서 처리이득은 다음과 같다.

    처리이득 = 10log10(20MHz / 20kHz) = 30dB

    따라서 정답은 "3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TDM을 사용하여 5개의 채널을 다중화 하려고 한다. 각 채널이 100[byte/s]의 속도로 전송하고 각 채널마다 2[byte]씩 다중화 하는 경우 초당 전송해야 하는 프레임수와 비트 전송률[bps]은 각각 얼마인가?

  1. 50개, 2000[bps]
  2. 50개, 4000[bps]
  3. 100개, 2000[bps]
  4. 100개, 4000[bps]
(정답률: 70%)
  • TDM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여러 개의 채널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각 채널이 100[byte/s]의 속도로 전송하고, 2[byte]씩 다중화한다는 것은 한 프레임에 10개의 바이트가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개의 채널을 다중화하는 경우 한 프레임에는 50바이트가 전송되며, 초당 전송해야 하는 프레임수는 20프레임이 된다.

    비트 전송률[bps]은 초당 전송되는 바이트 수에 8을 곱한 값이므로, 20프레임 * 50바이트 * 8 = 4000[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개, 4000[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누설 콘덕턴스(G)는? (단, δ는 유전체의 손실각이다.)

  1. G = ωCsinɓ
  2. G = ωCtanɓ
  3. G = ωCcosɓ
(정답률: 54%)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누설 콘덕턴스(G)는 유전체의 손실각(δ)에 비례한다. 유전체의 손실각은 전기적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클수록 누설 콘덕턴스가 커진다.

    또한,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누설 콘덕턴스는 용량(C)과 각주파수(ω)의 곱에 탄젠트(ɓ)값을 곱한 것과 같다. 이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용량이 케이블의 누설 콘덕턴스를 통해 누설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공식으로, 탄젠트값이 클수록 누설 콘덕턴스가 커진다.

    따라서, 정답은 "G = ωCtanɓ"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스넬의 법칙(Snell's law)이란 광선 또는 전파가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입사하여 통과할 때 입사각과 굴절각과의 관계를 표현한 법칙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굴절률이 n1과 n2로 서로 다른 두 매질이 맞닿아 있을 때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는 매질마다 광속이 다르므로 휘게 되는데, 그 휜 정도를 빛의 입사 평면상에서 각도로 표시하면 θ1과 θ2가 된다. 이때 스넬의 법칙으로 n1, n2, θ1, θ2의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n1+cosθ1 = n2+sinθ2
  2. n1+cosθ2 = n2+sinθ2
  3. n1(sinθ1) = n2(sinθ2)
  4. n1(sinθ2) = n2(sinθ1)
(정답률: 76%)
  • 스넬의 법칙은 빛의 진행 방향이 매질을 통과할 때마다 굴절되는 각도를 나타내는데, 이때 빛의 속도가 서로 다른 두 매질을 통과할 때는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도 달라진다. 이때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θ1과 θ2는 서로 다른 매질의 굴절률 n1과 n2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스넬의 법칙은 다음과 같다.

    n1(sinθ1) = n2(sinθ2)

    이 식은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 θ1과 θ2가 서로 다른 매질의 굴절률 n1과 n2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가 작을수록 빛은 더 큰 굴절률을 가진 매질로 휘어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 θ1과 θ2는 서로 다른 매질의 굴절률 n1과 n2에 따라 결정되며, 이때 빛의 진행 방향이 굴절되는 각도가 작을수록 빛은 더 큰 굴절률을 가진 매질로 휘어들어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송로 상의 구조 분산(도파로 분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
  2. 실제 전송로의 경로의 길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도착 시간의 차이가 발생
  3. 광 펄스가 옆으로 퍼지는 현상
  4.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
(정답률: 54%)
  • "광섬유의 구조에 변화가 생겨 빛과 광케이블이 이루는 각이 파장에 따라 변해서 발생"이 틀린 설명입니다.

    전송로 상의 구조 분산(도파로 분산)은 광섬유 내부에서 광 펄스가 전파되는 동안 모드 사이의 전달되는 전파속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분산입니다. 이는 광섬유의 구조 변화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제한대역매체를 통해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은 얼마인가? (단, n[bps]로 디지털 신호를 보내고자 한다.

  1. n[Hz]
  2. 2n[Hz]
  3. 4n[Hz]
  4. 6n[Hz]
(정답률: 68%)
  • 디지털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최소한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기본파의 주파수는 n/2 Hz이고, 제3고조파의 주파수는 3n/2 Hz이다. 따라서, 이 두 주파수를 모두 포함하려면 대역폭은 2n Hz가 필요하다. 이는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모두 전송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밀리미터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저전력 사용
  2. 우수한 지향성
  3. 낮은 강우 감쇠
  4. 송수신장치의 소형화
(정답률: 61%)
  • 밀리미터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낮은 강우 감쇠"가 아니라 "높은 강우 감쇠"이다. 밀리미터파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이슬이 맺히면 신호가 감쇠되는데, 이를 강우 감쇠라고 한다. 따라서 밀리미터파는 비가 많이 오는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비동기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속도의 EIA-232D 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
  2.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3. 수신기가 각각 새로운 문자의 시작점에서 재동기를 수행
  4. 매 문자마다 Start, Stop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
(정답률: 58%)
  • 정답: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해설: 비동기 전송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매 문자마다 Start, Stop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신기는 Start 비트를 감지하여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고, Stop 비트를 감지하여 데이터 수신을 종료합니다. 따라서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비동기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혼합형 동기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비동기식보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2. 글자와 글자 사이에는 휴지시간이 없다.
  3. 각 글자가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가진다.
  4.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전송 특성을 혼합한 것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각 글자가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가진다." 이다.

    혼합형 동기방식은 동기식과 비동기식의 전송 특성을 혼합한 것으로, 비동기식보다 전송속도가 빠르고 글자와 글자 사이에는 휴지시간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각 글자가 스타트 비트와 스톱 비트를 가지는 것은 비동기식의 특징이므로, 혼합형 동기방식의 특징으로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데이터 통신방식 중 반이중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선식 전송로를 이용하며 어느 시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
  2. 전송 데이터 양이 적을 때 사용
  3. 데이터 전송방향을 바꾸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전송 반전 시간 필요
  4. 전이중 방식보다 전송효율이 높은 특성을 보유
(정답률: 76%)
  • "2선식 전송로를 이용하며 어느 시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이 반이중 방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반이중 방식은 전이중 방식과 달리 데이터 전송 방향이 양방향으로 가능하며, 전송 데이터 양이 적을 때 사용하고 전송 반전 시간이 필요하지만 전이중 방식보다 전송 효율이 높은 특성을 보유합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방향을 바꾸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전이중 방식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HDLC 전송 프로토콜의 국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전송 단위는?

  1. 데이터그램
  2. 프레임
  3. 비트
  4. 패킷
(정답률: 67%)
  • HDLC 전송 프로토콜에서 국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전송 단위는 "프레임"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묶어서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은 시작 구분자, 목적지 주소, 송신지 주소, 제어 정보, 데이터, CRC 등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IP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비접속형
  2. 신뢰성
  3. 주소 지정
  4. 경로 설정
(정답률: 70%)
  • IP는 비접속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연결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주소 지정과 경로 설정은 IP의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I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데이터의 손실이나 중복 전송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TCP와 같은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IP의 특성 중에서 "신뢰성"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넷을 단일 계층구조로 만들어 효율적인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2. 별도 서브넷팅 없이 내부 네트워크를 임의로 분할할 수 있다.
  3. 소수의 라우팅 항목으로 다수의 네트워크를 표현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식별자 범위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5%)
  • "인터넷을 단일 계층구조로 만들어 효율적인 네트워킹을 지원한다."는 CID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입니다. CIDR은 인터넷을 계층 구조로 유지하면서 더 효율적인 IP 주소 할당과 라우팅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CIDR은 IP 주소를 더 작은 블록으로 분할하여 라우팅 테이블의 크기를 줄이고, 더 효율적인 IP 주소 할당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CIDR은 인터넷을 단일 계층구조로 만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2. 연결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3. 연결 등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4. TCP에 비해 오버헤드의 크기가 크다.
(정답률: 78%)
  • UD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TCP에 비해 오버헤드의 크기가 크다." 이다. UDP는 TCP보다 오버헤드가 적으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고, 데이터 전송 중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HTTP
  2. PPP
  3. OSPF
  4. SMTP
(정답률: 55%)
  •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OSPF입니다. OSPF는 Open Shortest Path First의 약자로, 링크 상태 프로토콜(Link State Protocol)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최적의 경로를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게 경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OSI 7계층 중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입출력제어
  2. 회선제어
  3. 동기제어
  4. 세션제어
(정답률: 68%)
  • 세션제어는 OSI 7계층 중 5계층인 세션 계층에서 담당하는 기능이며, 데이터링크 계층은 주로 입출력제어, 회선제어, 동기제어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션제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송제어 프로토콜 중 HDLC 프로토콜의 프레임구조에서 어드레스(Address)부의 모든 비트가 1인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No Station Address
  2. Destination Address
  3. Source Address
  4. Global Address
(정답률: 65%)
  • 어드레스 부의 모든 비트가 1인 경우를 "Global Address"라고 한다. 이는 모든 스테이션에게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의미한다. 모든 스테이션은 이 메시지를 수신하며,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파악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Global Address"는 모든 스테이션에게 전달되는 특별한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FEC(Forward Error Correction)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역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2. 연속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3. 오류가 발생시 패킷을 재전송한다.
  4. 잉여 비트에 의한 전송채널 대역이 낭비된다.
(정답률: 49%)
  • 오류가 발생시 패킷을 재전송하는 것은 FEC의 특징이 아니라 ARQ(Automatic Repeat Request)의 특징이다. FEC는 잉여 비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역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잉여 비트에 의한 전송채널 대역이 낭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다음 중 DMA(Direct Memory Acc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변 장치와 기억장치 등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2. 프로그램 방식보다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느리다.
  3.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4. DMA 전송이 수행되는 동안 CPU는 메모리 버스를 제어하지 못한다.
(정답률: 66%)
  • "프로그램 방식보다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느리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DMA는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므로, 프로그램 방식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선택된 트랙에서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Seek Time
  2. Search Time
  3. Transfer Time
  4. Latency Time
(정답률: 62%)
  • 정답은 "Transfer Time"입니다. 이유는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디스크 헤드가 데이터를 찾는 "Seek Time"과 디스크 헤드가 데이터를 찾기 위해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Latency Time"이 있지만, 이 두 가지 시간은 디스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Transfer Time"은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데이터의 크기와 디스크의 전송 속도에 따라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ransfer Time"은 선택된 트랙에서 데이터를 Read 또는 Write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특수한 연필이나 수성펜 등으로 사람이 지정된 위치에 직접 표시한 것을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장치는?

  1. 디지타이저(Digitizer)
  2. 광학 표시 판독기(OMR)
  3. 광학 문자 판독기(OCR)
  4. 자기 잉크 문자 판독기(MICR)
(정답률: 77%)
  • 광학 표시 판독기(OMR)는 사람이 직접 표시한 것을 광학적으로 읽어내는 장치로, 특수한 연필이나 수성펜 등으로 지정된 위치에 표시한 정보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간단한 설문조사나 시험지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2진수 0011에서 2의 보수(2‘s Complement)는?

  1. 1100
  2. 1110
  3. 1101
  4. 0111
(정답률: 79%)
  • 2의 보수는 원래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한 값입니다. 따라서 0011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키면 1100이 됩니다. 그리고 1을 더하면 110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는 레지스터는?

  1. 명령 레지스터(IR)
  2.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3.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4.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정답률: 75%)
  • 쉬프트 레지스터는 여러 비트의 데이터를 병렬로 입력받아 직렬로 출력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병렬로 입력받는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레지스터는 쉬프트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ASCII 코드의 존(Zone)비트와 디지트(Digit) 비트의 구성으로 올바른 것은?

  1. 존 비트: 2, 디지트 비트: 3
  2. 존 비트: 3, 디지트 비트: 3
  3. 존 비트: 3, 디지트 비트: 4
  4. 존 비트: 4, 디지트 비트: 4
(정답률: 73%)
  • ASCII 코드에서 존 비트는 문자의 종류를 구분하는 비트이고, 디지트 비트는 해당 문자의 숫자 값을 나타내는 비트입니다. 따라서, 존 비트가 2일 경우에는 문자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적어지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존 비트가 4일 경우에는 비트 수가 많아져서 비효율적이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존 비트가 3이면서 디지트 비트가 4인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의 생성, 제거, 중지 등을 다루는 프로세스 관리
  2. 프로세스의 적재와 회수를 다루는 기억장치 관리
  3.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는 입출력 장치 관리
  4. 문서의 작성과 수정, 삭제 등에 관한 사용자 업무처리 관리
(정답률: 71%)
  • 운영체제의 기능 중 "문서의 작성과 수정, 삭제 등에 관한 사용자 업무처리 관리"는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닙니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프로그램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기계어라고 부른다.
  2.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기계어로 변환해야 실행이 가능하다.
  3. C, PASCAL, FORTRAN 등은 고급언어이다.
  4. 어셈블리어는 기계어라고 부른다.
(정답률: 64%)
  •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매우 유사한 언어로, 기계어와 1:1 대응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어셈블리어도 기계어로 분류된다. 따라서 "어셈블리어는 기계어라고 부른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의 내용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동작순서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

  1. (3) - (4) - (1) - (2)
  2. (4) - (1) - (2) - (3)
  3. (3) - (1) - (4) - (2)
  4. (4) - (2) - (3) - (1)
(정답률: 55%)
  • 정답은 "(4) - (1) - (2) - (3)"이다.

    (4) : 클럭 신호가 들어와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작을 시작한다.
    (1) : 명령어를 가져와서 해독한다.
    (2) : 명령어에 따라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
    (3) : 다음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프로그램 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클럭 신호가 들어와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작을 시작하고, 명령어를 가져와서 해독하고, 명령어에 따라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고, 다음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프로그램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순서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클럭의 주파수가 1[GHz]이고, 명령어 200개를 실행시키고자 한다. 이때 클럭 주기는 얼마인가?

  1. 0.1[ns]
  2. 1[ns]
  3. 10[ns]
  4. 100[ns]
(정답률: 48%)
  • 클럭의 주파수가 1[GHz]이므로 1초에 10억 번의 클럭 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1개의 클럭 주기는 1/10억초, 즉 0.1[ns]이다. 따라서 200개의 명령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200 * 0.1[ns] = 20[ns]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클럭 주기는 1[ns]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정보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기관은?

  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 한국정보화진흥원
  3. 국립전파연구원
  4.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답률: 70%)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정보통신의 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기관입니다. 따라서 이 기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표준화를 촉진하고, 관련 기업들의 협력과 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전력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방송통신설비가 갖추어야 할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전력선과의 접속부분을 안전하게 분리하고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
  2. 전력선으로부터 이상전류가 유입된 경우 접지될 수 있는 기능
  3. 단말기의 전력분배 기능
  4. 주장치의 이상 현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기능
(정답률: 61%)
  • 전력선통신을 행하기 위한 방송통신설비가 갖추어야 할 기능 중 "전력선과의 접속부분을 안전하게 분리하고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은 전력선과 통신선을 분리하여 전력선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이 기능이 없으면 전력선과 통신선이 연결되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보호기와 금속으로 된 주배선반·지지물·단자함 등이 사람 또는 방송통신설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 하는 시설은?

  1. 보안시설
  2. 통전시설
  3. 절연시설
  4. 접지시설
(정답률: 74%)
  • 접지시설은 전기적인 안전을 위해 사용되며, 전기적인 에너지를 지면으로 흡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호기와 금속으로 된 주배선반·지지물·단자함 등이 사람 또는 방송통신설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이러한 시설을 설치하여 전기적인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인터넷접속역무 제공사업자가 이용사업자에게 공개해야 하는 인터넷접속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호접속료
  2. 통신망 규모
  3. 가입자 수
  4. 트래픽 교환비율
(정답률: 55%)
  • "상호접속료"는 인터넷접속역무 제공사업자와 이용사업자 간의 상호접속에 대한 비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인터넷접속조건이 아닌 비용 요소이므로, 인터넷접속역무 제공사업자가 이용사업자에게 공개해야 하는 인터넷접속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 "통신망 규모", "가입자 수", "트래픽 교환비율"은 인터넷접속조건에 해당하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방송통신설비가 이에 접속되는 다른 방송통신설비의 위해 등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력선통신을 행하는 방송통신설비는 이상전압이나 이상전류에 대한 방지대책이 요구되지 않는다.
  2. 다른 방송통신설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전류가 송출되는 것이어서는 아니 된다.
  3. 다른 방송통신설비의 기능에 지장을 주는 방송통신콘텐츠가 송출되어서는 아니 된다.
  4. 다른 방송통신설비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전압이 송출되는 것이어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77%)
  • 전력선통신을 행하는 방송통신설비는 이상전압이나 이상전류에 대한 방지대책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은 전력선통신이 다른 방송통신설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전력선통신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다른 방송통신설비를 손상시키는 전류나 전압이 송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방지대책이 요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발주자는 누구에게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하는가?

  1. 감리원
  2. 정보통신기술자
  3. 용역업자
  4. 도급업자
(정답률: 66%)
  • 발주자는 공사의 감리를 용역업자에게 발주하여야 합니다. 이는 용역업자가 공사의 진행 상황을 전문적으로 감시하고, 발주자에게 정확한 보고를 제공하여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용역업자는 발주자와 독립적인 입장에서 감리를 수행하므로, 공정한 감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에서 정하는 “기간통신역무”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간통신역무”와의 전기통신역무는 “부가통신역무”라 말한다.
  2. 전화·인터넷접속 등과 같이 음성·데이터·영상 등을 그 내용이나 형태의 변경 없이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는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3. 음성·데이터·영상 등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대하는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4. 전화·인터넷접속 등과 같이 음성·데이터·영상 등의 내용이나 형태를 적합한 형태로 변경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는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정답률: 41%)
  • "전화·인터넷접속 등과 같이 음성·데이터·영상 등을 그 내용이나 형태의 변경 없이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는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간통신역무는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내용이나 형태를 변경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기통신업무를 말한다. 이는 부가통신업무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별정통신사업의 등록요건이 아닌 것은?

  1. 납입자본금 등 재정적 능력
  2. 기술방식 및 기술인력 등 기술적 능력
  3. 이용자 보호계획
  4. 정보통신자원 관리계획
(정답률: 46%)
  • 정보통신자원 관리계획은 별정통신사업의 등록요건 중 하나이며, 이를 갖추지 않으면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보통신자원 관리계획"은 별정통신사업의 등록요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가장 무거운 벌칙을 처벌받는 대상은?

  1. 전기통신업무 종사자가 재직 중에 통신에 관하여 알게 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한 자
  2. 전기통신사업자가 취급 중에 있는 통신의 비밀을 침해한 자
  3. 전기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제공으로 취득한 이용자의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한 자
  4.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전기통신역무를 이용하여 타인의 통신을 매개한 자
(정답률: 55%)
  • "전기통신업무 종사자가 재직 중에 통신에 관하여 알게 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한 자"가 가장 무거운 벌칙을 처벌받는 대상이다. 이는 전기통신업무 종사자가 자신의 업무와 관련하여 알게 된 타인의 비밀을 누설함으로써 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심각한 범죄행위를 저지른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처벌은 형사처벌과 함께 징계처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용어의 정의가 맞지 않는 것은?

  1. “강전류절연전선”이라 함은 절연물만으로 피복되어 있는 강전류 전선을 말한다.
  2. “전자파공급선”이라 함은 전파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장치나 수신장치와 안테나 사이를 연결하는 선을 말한다.
  3. “회선”이라 함은 전기통신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유형 또는 무형의 계통적 전기통신로를 말하며, 그 용도에 따라 국선 및 구내선 등으로 구분한다.
  4. “중계장치”라 함은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증폭장치 등을 말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강전류절연전선”이라 함은 절연물만으로 피복되어 있는 강전류 전선을 말한다." 이다. 강전류절연전선은 절연물과 함께 피복되어 있는 전선을 말한다.

    전자파공급선은 전파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으로, 송신장치나 수신장치와 안테나 사이를 연결한다.

    회선은 전기통신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유형 또는 무형의 계통적 전기통신로를 말하며, 국선 및 구내선 등으로 구분된다.

    중계장치는 선로의 도달이 어려운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폭장치 등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