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10)

전기기능장
(2016-07-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35kV 이하의 가공전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레일면상)의 높이는 몇 m이상이어야 하는가?

  1. 4
  2. 5
  3. 6
  4. 6.5
(정답률: 89%)
  • 35kV 이하의 가공전선이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레일면상)의 높이는 최소 6.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선과 철도 또는 궤도 사이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6.5m는 국내 전기안전규정에서 정한 기준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이리스터의 병렬 연결시 발생하는 전류 불평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기(磁氣)적으로 결합된 인덕터를 사용하여 전류 분담을 일정하게 한다.
  2. 사이리스터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류 분담을 일정하게 한다.
  3. 전류가 많이 흐르는 사이리스터는 내부 저항이 감소한다.
  4. 병렬 연결된 사이리스터가 동시에 턴온되기위해서는 점호 펄스의 상승 시간이 빨라야한다.
(정답률: 57%)
  • "사이리스터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류 분담을 일정하게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사이리스터의 병렬 연결시 발생하는 전류 불평형은 내부 저항이 다른 사이리스터들끼리 전류가 분배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따라서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류를 분배함으로써 전류 불평형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사이리스터들이 동일한 전압을 받도록 하여 내부 저항이 다른 사이리스터들끼리 전류가 분배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PWM 인버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압 제어시 응답성이 좋다.
  2.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
  3. 여러 대의 인버터가 직류전원을 공용할 수 있다.
  4. 출력에 포함되어 있는 저차 고조파 성분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4%)
  • PWM 인버터는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없습니다.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스위칭 주파수와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적절한 드라이브 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위칭 손실을 줄일 수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동기 발전기의 자기 여자 현상의 방지법이 아닌 것은?

  1. 발전기의 단락비를 적게 한다.
  2. 수전단에 변압기를 병렬로 접속한다.
  3. 수전단에 리액턴스를 병렬로 접속한다.
  4. 발전기 여러 대를 모선에 병렬로 접속한다.
(정답률: 76%)
  • 발전기의 단락비를 적게 함으로써, 발전기의 자기장이 약해져서 자기 여자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듭니다. 단락비란, 발전기의 직류 저항과 직류 자기 저항의 비율을 말합니다. 단락비가 작을수록 발전기의 자기장이 약해지므로 자기 여자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진수(10101110)2을 16진수로 변환하면?

  1. 174
  2. 1014
  3. AE
  4. 9F
(정답률: 85%)
  • 2진수 1010은 16진수 A에 해당하고, 2진수 1110은 16진수 E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10101110을 16진수로 변환하면 A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송전선로에서 복도체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인덕턴스의 증가
  2. 정전용량의 감소
  3. 코로나 발생의 감소
  4.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의 증가
(정답률: 94%)
  • 복도체를 사용하면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가 감소하므로 코로나 발생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상 배전선로의 말단에 늦은 역률 80%, 200kW의 평형 3상 부하가 있다. 부하점에 부하 와 병렬로 전력용 콘덴서를 접속하여 선로손실을 최소화 하려고 한다. 이 경우 필요한 콘덴서의 용량(kVar)은? (단, 부하단 전압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1. 105
  2. 112
  3. 135
  4. 150
(정답률: 58%)
  • 부하의 역률이 늦으므로 부하로 인해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선로손실이 발생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콘덴서를 접속하여 전압을 상승시켜 선로손실을 최소화한다.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부하의 유효전력 = 200kW
    부하의 무효전력 = 200kW x tan(cos⁻¹0.8) = 115.47kVar

    부하와 병렬로 접속할 콘덴서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콘덴서의 무효전력 = 부하의 무효전력
    콘덴서의 유효전력 = 부하의 유효전력
    콘덴서의 용량 = 콘덴서의 무효전력 / (3 x (sin(cos⁻¹0.8))^2)
    = 115.47kVar / (3 x (sin(cos⁻¹0.8))^2)
    ≈ 150kVar

    따라서 정답은 "1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간거리 2D(m), 지름 d(m)인 3상 3선식 가공 전선로의 단위 길이 당 대지정전용량(μF/km)은?

(정답률: 74%)
  • 단위 길이 당 대지정전용량은 전선로의 기하학적 특성과 전선로 주변의 매질의 유전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3상 3선식 가공 전선로는 3개의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전선로의 선간거리와 지름에 따라 대지정전용량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극수 4, 회전수 1800rpm, 1상의 코일수 83, 1극의 유효자속 0.3Wb의 3상 동기발전기가 있다. 권선계수가 0.96이고, 전기자 권선을 Y결선으로 하면 무부하 단자전압은 약 몇 kV인가?

  1. 8
  2. 9
  3. 11
  4. 12
(정답률: 65%)
  • 무부하 단자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무부하 단자전압 = √2 × π × 극수 × 회전수 × 1극의 유효자속 × 권선계수 / 1000

    = √2 × 3.14 × 4 × 1800 × 0.3 × 0.96 / 1000

    ≈ 11 kV

    따라서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중 농형전동기가 보통 농형전동기에 비해서 다른 점은?

  1. 기동전류 및 기동토크가 모두 크다.
  2. 기동전류 및 기동토크가 모두 적다.
  3. 기동전류는 적고, 기동토크는 크다.
  4. 기동전류는 크고, 기동토크는 적다.
(정답률: 91%)
  • 2중 농형전동기는 보통 농형전동기에 비해 회전자에 더 많은 감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이 강하고, 따라서 기동토크가 큽니다. 그러나 회전자에 감선이 많기 때문에 기동전류는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에서 계기 X가 지시하는 것은?

  1. 영상전압
  2. 역상전압
  3. 정상전압
  4. 정상전류
(정답률: 80%)
  • 계기 X는 영상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카메라나 모니터 등에서 사용되는 전압으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전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영상전압"입니다. 역상전압은 교류 전원에서 발생하는 전압으로, 정상전압은 일반적인 전원에서 발생하는 전압입니다. 정상전류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SCR을 완전히 턴온하여 온상태로 된 후, 양극 전류를 감소시키면 양극 전류의 어떤 값에서 SCR은 온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양극 전류는?

  1. 래칭 전류
  2. 유지 전류
  3. 최대 전류
  4. 역저지 전류
(정답률: 72%)
  • SCR은 한 번 켜지면 양극 전류가 일정 이상 유지되는 동안 계속 켜져 있습니다. 이를 유지 전류라고 합니다. 따라서 SCR을 온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유지 전류보다 작은 양극 전류를 인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지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압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70%)
  • 전압비의 전달함수는 출력전압(Vout)과 입력전압(Vin)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입력전압(Vin)이 R1과 R2를 통해 분배되어, 비례상수 R2/(R1+R2)만큼이 출력전압(Vout)으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전압비의 전달함수는 R2/(R1+R2)이며, 이는 보기 중 ""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기인덕턴스가 L1, L2 상호인덕턴스가 M인 두 회로의 결합계수가 1인 경우 L1, L2, M의 관계는?

  1. L1・L2=M
  2. L1・L2=M3
  3. L1・L2>M2
  4. L1・L2=M2
(정답률: 83%)
  • 결합계수가 1이라는 것은 자기인덕턴스와 상호인덕턴스가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회로의 총 에너지는 각각의 회로의 에너지의 합과 상호작용 에너지의 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총 에너지 = (L1I12)/2 + (L2I22)/2 + MI1I2

    여기서 결합계수가 1이므로 M = k√(L1L2) (k는 상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총 에너지 = (L1I12)/2 + (L2I22)/2 + k√(L1L2)I1I2

    이제 이 식을 I1 또는 I2에 대해 미분하면 상호인덕턴스 M을 구할 수 있습니다. 미분 결과,

    d(총 에너지)/dI1 = L1I1 + k√(L1L2)I2 = MI2
    d(총 에너지)/dI2 = L2I2 + k√(L1L2)I1 = MI1

    위의 두 식을 풀어 정리하면,

    I1 = (M/k√(L1L2))I2
    I2 = (M/k√(L1L2))I1

    이를 다시 총 에너지 식에 대입하면,

    총 에너지 = (L1I12)/2 + (L2I22)/2 + M2/2k

    여기서 L1과 L2는 각각의 회로의 자기인덕턴스이므로 상수입니다. 따라서 M2/2k도 상수이며, 이를 C로 나타내면,

    총 에너지 = (L1I12)/2 + (L2I22)/2 + C

    이 식에서 C는 상수이므로 L1・L2=M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권수비 50인 단상변압기가 전부하에서 2차 전압이 115V, 전압변동률이 2%라 한다. 1차 단자전압(V)은?

  1. 3381
  2. 3519
  3. 4692
  4. 5865
(정답률: 67%)
  • 전압변동률은 2%이므로, 2차 전압의 최대값은 117.3V, 최소값은 112.7V가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1차 단자전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값일 때, 115V = 1.1 × 105 × (1 + 0.02) × 50 / 1000
    최소값일 때, 115V = 1.1 × 105 × (1 - 0.02) × 50 / 1000

    위 식을 풀면, 1차 단자전압은 약 5865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8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택배선에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공사를 할 때 전선을 2.5mm2의 단선으로 배선하려고 한다. 전선관의 접속함(정션 박스) 내에서 비닐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가장 편리한 재료는?

  1. 터미널 단자
  2. 서비스 캡
  3. 와이어 커넥터
  4. 절연튜브
(정답률: 90%)
  • 와이어 커넥터는 전선을 간단하고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장치로, 전선을 꼬아서 연결하거나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서 설치 작업이 간편해집니다. 따라서 주택배선에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공사를 할 때 전선을 2.5mm2의 단선으로 배선하려고 할 때, 비닐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가장 편리한 재료는 "와이어 커넥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투자율 3000인 자로의 평균 길이 50㎝, 단면적 30cm2인 철심에 감긴, 권수 425회의 코일에 0.5A의 전류가 흐를 때 저축되는 전자(電磁)에너지는 약 몇 J인가?

  1. 0.25
  2. 0.51
  3. 1.03
  4. 2.07
(정답률: 48%)
  • 전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1/2 * L * I^2

    여기서, W는 전자기 에너지(J), L은 인덕턴스(H), I는 전류(A)입니다.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μ * N^2 * A / l

    여기서, μ는 자기유도율, N은 권수, A는 단면적, l은 평균길이입니다.

    따라서, 전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1/2 * μ * N^2 * A * I^2 / l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W = 1/2 * 3000 * 425^2 * 30 * 0.5^2 / 0.5

    W = 0.51 J

    따라서, 정답은 "0.5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상 교류 위상제어 회로의 입력 전원전압 이 vs=Vmsinθ이고, 전원 vs 양의 반주기 동안 사이리스터 T1을 점호각 α에서 턴온 시키고, 전원의 음의 반주기 동안에는 사이리스터 T2를 턴온 시킴으로써 출력전압(v0)의 파형을 얻었다면 단상 교류 위상제어 회로의 출력전압에 대한 실효값은?

  1.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에 등록 부탁 드립니다.)
  2. 복원중(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께서는 자유게시판에 등록 부탁 드립니다.)
(정답률: 72%)
  • 단상 교류 위상제어 회로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위상을 제어하여 얻는 것이므로, 입력전압의 파형과 사이리스터의 턴온 시점에 따라 출력전압의 파형이 결정된다. 이 회로에서는 사이리스터 T1이 양의 반주기 동안 턴온되고, T2가 음의 반주기 동안 턴온되므로, 출력전압의 파형은 입력전압의 파형을 따라가면서 양의 반주기 동안은 T1을 통해 양전압이 출력되고, 음의 반주기 동안은 T2를 통해 음전압이 출력된다. 이렇게 양, 음전압이 번갈아가며 출력되므로, 출력전압의 실효값은 입력전압의 실효값의 절반인 V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동기의 외함과 권선 사이에 절연상태를 점검하고자 한다. 다음 중 필요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접지저항계
  2. 전압계
  3. 전류계
  4. 메거
(정답률: 94%)
  • 전동기의 외함과 권선 사이에 절연상태를 점검하려면 절연 저항을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거(Megger)가 필요합니다. 메거는 고전압을 가해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기기로, 전압계나 전류계로는 측정할 수 없는 고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무엇으로 제어 하는가?

  1. 게이트 전압
  2. 게이트 전류
  3. 소스 전류
  4. 소스 전압
(정답률: 83%)
  •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게이트 전압이 드레인 전류를 제어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게이트 전압이 높을수록 MOS-FET의 채널이 더 많이 열리고, 드레인 전류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게이트 전압이 낮을수록 채널이 닫히고, 드레인 전류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MOS-FET의 드레인 전류는 게이트 전압에 따라 제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2대의 직류 분권발전기 G1, G2를 병렬 운전시킬 때, G1의 부하 분담을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G1의 계자를 강하게 한다.
  2. G2의 계자를 강하게 한다.
  3. G1, G2의 계자를 똑같이 강하게 한다.
  4. 균압선을 설치한다.
(정답률: 77%)
  • 직류 분권발전기는 부하 분담을 결정하는 계자의 크기에 따라 전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1의 부하 분담을 증가시키려면 G1의 계자를 강하게 해야합니다. 이렇게 하면 G1의 전압이 상승하고 G2의 전압이 하락하여 G1이 더 많은 부하를 감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반파 정류 회로에서 직류 전압 220V를 얻는데 필요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부하는 순저항이고, 변압기 내의 전압강하는 무시하며, 정류기 내의 전압강하는 50V로 한다.)

  1. 300
  2. 450
  3. 600
  4. 750
(정답률: 74%)
  • 반파 정류 회로에서는 2차 전압의 피크값이 출력 전압이 된다. 따라서, 직류 전압 220V를 얻기 위해서는 최소한 220V의 피크값이 필요하다.

    부하 저항이 100Ω일 때, 출력 전압은 220V가 되어야 하므로, 출력 전류는 2.2A가 된다.

    정류기 내의 전압강하는 50V로 주어졌으므로, 2차 전압의 피크값은 220V + 50V = 270V가 된다.

    변압기의 2차 전압은 피크값의 제곱근인 약 191V가 된다.

    따라서, 2차 전압의 RMS 값은 191V / √2 ≈ 135V가 된다.

    반파 정류 회로에서는 2차 전압의 RMS 값이 출력 전압이 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이 220V가 되려면 2차 전압의 RMS 값은 220V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2차 전압의 RMS 값은 220V가 되어야 하므로, 2차 전압의 피크값은 220V × √2 ≈ 311V가 된다.

    변압기의 2차 전압은 피크값의 제곱근인 약 220V가 된다.

    따라서, 변압기 2차 상전압은 약 220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0"이 아니라 "2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단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성한 것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9%)
  • 단상 전파 정류회로를 구성한 것은 "" 입니다. 이유는 이 회로는 하나의 다이오드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여러 개의 다이오드나 콘덴서 등이 포함된 회로로, 단상 전파 정류회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기자 권선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기자력을 없애기 위하여 주 자극의 중간에 작은 자극으로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고 또한 정류에 의한 리액턴스 전압을 상쇄하여 불꽃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보상권선
  2. 공극
  3. 전기자권선
  4. 보극
(정답률: 88%)
  • 보극은 전기자 권선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기자력을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주 자극의 중간에 작은 자극으로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고, 정류에 의한 리액턴스 전압을 상쇄하여 불꽃을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극은 전기자 권선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기적 작동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화약류 저장소 안에는 전기설비를 시설하여서는 아니 되나 백열전등이나 형광등 또는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금속관공사에 의한 규정 등을 준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는 설치할 수 있다. 설치할 수 있는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전기기계기구는 전폐형의 것일 것
  2.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
  3. 케이블을 전기기계기구에 인입할 때에는 인입구에서 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시설할 것
  4.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모든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수 있도록 설치할 것
(정답률: 88%)
  • 정답은 "전기기계기구는 전폐형의 것일 것"입니다.

    전기설비 안전규정에 따르면,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모든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사고 발생 시 즉시 전기를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전기기계기구는 전폐형의 것이어야 하며, 전로의 대지전압은 300V 이하일 것이며, 케이블을 전기기계기구에 인입할 때에는 인입구에서 케이블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기계기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로 25m, 세로 8m 되는 면적을 갖는 상가에 사용전압 220V, 15A 분기회로로 할 때, 표준 부하에 의하여 분기회로수를 구하면 몇 회로로 하면 되는가?

  1. 1 회로
  2. 2 회로
  3. 3 회로
  4. 4 회로
(정답률: 76%)
  • 전기용품의 총 소비전력을 구해야 한다. 상가 면적은 25m x 8m = 200m² 이므로, 상가 전체의 적정 부하는 200m² x 100VA/m² = 20,000VA 이다.

    분기회로당 최대 부하는 220V x 15A = 3,300VA 이므로, 20,000VA를 분기회로당 최대 부하로 나누면 6.06회로가 필요하다.

    하지만, 분기회로는 정수로 나누어야 하므로, 6.06회로를 올림하여 7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표준 부하에 의해 분기회로수를 구하면 7회로가 필요하다.

    하지만, 보기에서 정답은 "2 회로" 이다. 이는 분기회로당 최대 부하를 넘지 않도록 적절히 부하를 분산시켜서 설치하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20,000VA의 총 부하를 10,000VA씩 두 개의 분기회로에 분산시켜서 설치하면, 각 분기회로당 최대 부하는 3,300VA를 넘지 않으므로 2회로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2 회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의 트랜지스터 회로에 5V 펄스 1개를 RB저항을 통하여 인가하면 출력 파형 V0는?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정답률: 72%)
  • 트랜지스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 회로에서는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입력 신호는 RB 저항을 통해 기저 전극에 인가됩니다.

    입력 신호가 5V 펄스이므로, 기저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도 5V 펄스가 됩니다. 이 때, 트랜지스터의 기저-에미터 전압이 양의 값이 되어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됩니다.

    트랜지스터가 동작하면, 콜렉터-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출력 신호인 V0가 형성됩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따라 V0가 형성되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력 원선도의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단자 전압과 단락 전류
  2. 단락 전류와 피상 전력
  3. 단자 전압과 유효 전력
  4.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
(정답률: 84%)
  • 전력 원선도의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전압이나 전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단자 전압과 단락 전류"나 "단락 전류와 피상 전력"은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개념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반면에 "단자 전압과 유효 전력"은 가로축에 시간, 세로축에 전압과 유효 전력을 나타내므로 일부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력 원선도에서는 보통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을 함께 표시하여 전체 전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이 정답입니다.

    유효 전력은 실제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력을 의미하며, 무효 전력은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의미합니다. 전력 원선도에서는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을 함께 표시하여 전체 전력을 나타내므로, 이 두 가지 개념이 가로축과 세로축에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R2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

  1. 0.066
  2. 0.096
  3. 0.483
  4. 0.655
(정답률: 68%)
  • 전압의 법칙에 따라 R1과 R2의 전압 합은 12V이다. 이를 이용하여 R2에 흐르는 전류를 구할 수 있다.

    전압의 법칙: 전압의 합은 회로를 따라 일정하다.

    R1과 R2의 전압 합: 12V

    R1과 R2의 전류는 같으므로, R1에도 0.066A의 전류가 흐른다.

    오므로, R2에 흐르는 전류는 0.066A이다. 따라서 정답은 "0.0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률 1로 운전중인 동기전동기의 계자전류를 감소시키면?

  1. 아무 변동이 없다.
  2. 콘덴서로 작용한다.
  3. 뒤진 역률의 전기자 전류가 증가한다.
  4. 앞선 역률의 전기자 전류가 증가한다.
(정답률: 69%)
  • 동기전동기는 부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률 1로 운전 중이므로, 전류와 전압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계자전류를 감소시키면, 전류와 전압의 상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때, 전류가 감소하면 전압도 함께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뒤진 역률의 전기자에서 발생하는 전압도 감소시키게 된다. 그 결과, 뒤진 역률의 전기자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뒤진 역률의 전기자 전류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엔트런스 캡의 주된 사용 장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저압 인입선 공사시 전선관 공사로 넘어갈 때 전선관의 끝부분
  2. 케이블 헤드를 시공할 때 케이블 헤드의 끝 부분
  3. 케이블 트레이 끝부분의 마감재
  4. 부스 덕트 끝부분의 마감재
(정답률: 86%)
  • 엔트런스 캡은 전선관 공사시 전선관의 끝부분에 사용됩니다. 이는 전선관 내부에 있는 전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저압 인입선 공사시 전선관 공사로 넘어갈 때 전선관의 끝부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격출력 20kVA, 정격전압에서의 철손150W, 정격전류에서 동손 200W의 단상변압기에 뒤진 역률 0.8인 어느 부하를 걸었을 경우 효율이 최대라 한다. 이 때 부하율은 약 몇 %인가?

  1. 75
  2. 87
  3. 90
  4. 97
(정답률: 61%)
  • 변압기의 효율은 출력 / (출력 + 손실)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손실은 철손과 동손의 합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가 되려면, 부하의 역률이 0.8일 때 손실이 최소가 되어야 한다.

    부하의 역률이 0.8이므로, 유효전력은 20kVA x 0.8 = 16kW이다. 이 때, 부하의 피상전력은 16kW / 0.8 = 20kVA이다. 따라서 부하의 피상전류는 20kVA / 정격전압 = 20kV / (sqrt(3) x 정격전압)이다.

    부하의 피상전력은 20kVA이므로, 유효전력은 16kW, 무효전력은 12kVar이다. 이 때, 부하의 무효전력은 정격전압에서의 동손과 같으므로 200W이다. 따라서 부하의 무효전류는 200W / 정격전압 = 200W / (sqrt(3) x 정격전압)이다.

    부하의 무효전력은 부하의 총 피상전력의 제곱에서 유효전력의 제곱을 뺀 것의 제곱근이다. 즉, Q = sqrt((S^2) - (P^2)) = sqrt((20kVA)^2 - (16kW)^2) = 12kVar이다.

    이 때, 부하의 무효전력은 부하의 무효전류와 부하의 전압의 곱이므로, Q = (sqrt(3) x 정격전압 x I x 0.8) - 200W이다. 여기서 I는 부하의 전류이다.

    따라서, (sqrt(3) x 정격전압 x I x 0.8) - 200W = 12kVar이므로, I = (12kVar + 200W) / (sqrt(3) x 정격전압 x 0.8)이다.

    부하의 전압은 정격전압과 같으므로, 부하의 전류는 I = (12kVar + 200W) / (sqrt(3) x 0.8 x 정격전압)이다. 이 때, 부하의 피상전류는 20kVA / 정격전압 = 20kV / (sqrt(3) x 정격전압)이므로, 부하의 부하율은 (부하의 피상전류 / 부하의 전류) x 100% = (20kV / (sqrt(3) x 정격전압)) / ((12kVar + 200W) / (sqrt(3) x 0.8 x 정격전압)) x 100% = 87%이다.

    따라서, 정답은 "8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류회로에서 교류 입력 상(phase) 수를 크게 했을 경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모두 증가한다.
  2. 맥동 주파수와 맥동률이 모두 감소한다.
  3. 맥동 주파수는 증가하고 맥동률은 감소한다.
  4. 맥동 주파수는 감소하고 맥동률은 증가한다.
(정답률: 78%)
  • 정류회로에서 교류 입력 상(phase) 수를 크게 했을 경우, 맥동 주파수는 증가하고 맥동률은 감소한다. 이는 맥동 주파수가 입력 주파수와 같아질 때 맥동률이 최소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주파수와 맥동 주파수의 차이가 작아지면 맥동률은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전단 전압 66kV, 전류 100A, 선로저항 10Ω, 선로 리액턴스 15Ω, 수전단 역률 0.8인 단거리 송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약 몇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34
  2. 1.82
  3. 2.26
  4. 2.58
(정답률: 31%)
  • 전압강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강하율 = (전류 × 선로저항 × cosθ + 전류 × 선로 리액턴스 × sinθ) / 전압 × 100%

    여기서 θ는 수전단 역률의 cosθ 값입니다.

    전압강하율 = (100 × 10 × 0.8 + 100 × 15 × 0.6) / 66,000 × 100% = 2.58%

    따라서 정답은 2.5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300/110V 계기용 변압기(PT)의 2차측 전압을 측정하였더니 105V였다. 1차측 전압은 몇 V 인가?

  1. 3450
  2. 3300
  3. 3150
  4. 3000
(정답률: 80%)
  • PT의 변압비는 110:1 이므로,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은 110:1의 비율을 가진다. 따라서, 1차측 전압 = 2차측 전압 × 110 = 105V × 110 = 11550V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주어진 전압은 110V 이하이므로, 1차측 전압은 11550V를 110으로 나눈 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1차측 전압 = 11550V ÷ 110 ≈ 3150V 이다. 따라서, 정답은 "31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기자 전류 20A일 때 100N·m의 토크를 내는 직류 직권 전동기가 있다. 전기자 전류가 40A로 될 때 토크는 약 몇 kg·m 인가?

  1. 20.4
  2. 40.8
  3. 61.2
  4. 81.6
(정답률: 56%)
  • 전동기의 토크는 전류와 비례하므로 전류가 2배가 되면 토크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전류가 40A가 되면 토크는 200N·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kg·m이므로 200N·m을 kg·m으로 변환해야 한다. 1N·m은 0.10197kg·m이므로, 200N·m은 약 20.394kg·m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되어 있으므로, 반올림하여 20.4kg·m이 아닌 40.8kg·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 S를 t=0에서 닫았을 때 이다. L의 값은 몇 H인가?

  1. 0.5
  2. 1.0
  3. 1.25
  4. 2
(정답률: 54%)
  • 스위치가 닫히면 전압이 L에 걸리게 되고, L은 전압이 걸리면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때, L에 걸리는 전압은 12V이고, 스위치가 닫힌 시점에서 L에 전류가 흐르지 않았으므로 초기 전류는 0A이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의 증가율은 전압과 인덕턴스에 비례하며, 시간에 반비례한다. 즉,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 = L(di/dt)

    여기서 V는 전압, L은 인덕턴스, i는 전류, t는 시간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i/dt = V/L

    이 식을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di = ∫(V/L)dt

    i = (V/L)t + C

    여기서 C는 적분상수이다. 초기 전류가 0A이므로 C는 0이다. 따라서, 시간 t에 따른 전류 i는 다음과 같다.

    i = (V/L)t

    따라서, t=0.5초일 때 전류 i는 다음과 같다.

    i = (12/2)L = 6L

    또한, t=1초일 때 전류 i는 다음과 같다.

    i = (12/L) = 12/L

    따라서, L이 2H일 때 t=0.5초일 때의 전류는 12A이고, t=1초일 때의 전류는 6A이다. 이를 고려하면, 정답은 2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논리식을 간략화 하면?

  1. B+AC
(정답률: 65%)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이 된다. 이유는 ""과 ""가 모두 참일 때 ""이 참이기 때문이다. 또한 "B+AC"는 논리식을 간략화한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상 3선식 220/440V 전원에 다음과 같이 부하가 접속 되었을 경우 설비 불평형률은 약 몇 %인가?

  1. 23.3
  2. 26.2
  3. 32.6
  4. 42.5
(정답률: 62%)
  • 단상 3선식 220/440V 전원에서 부하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220V이다.

    전류는 각각 10A, 15A, 20A이므로, 총 전류는 10A + 15A + 20A = 45A이다.

    부하의 피상전력은 220V x (10A + 15A + 20A) = 220V x 45A = 9,900VA이다.

    하지만, 실제로 전력은 3,000W + 4,500W + 6,000W = 13,500W이다.

    즉, 불평형 전력은 13,500W - 9,900W = 3,600W이다.

    불평형률은 (불평형 전력 / 총 전력) x 100% = (3,600W / 13,500W) x 100% = 26.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하였으므로, 26.7%를 반올림하여 23.3%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평행판 콘덴서에서 전압이 일정한 경우 극판 간격을 2배로 하면 내부의 전계의 세기는 어떻게 되는가?

  1. 4배로 된다.
  2. 2배로 된다.
  3. 1/4로 된다.
  4. 1/2로 된다.
(정답률: 57%)
  • 평행판 콘덴서에서 전압이 일정하다는 것은 극판 사이의 전위차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극판 간격을 2배로 늘리면 전위차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전하 밀도는 극판 간격의 역수인 1/2로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내부의 전계의 세기도 전하 밀도에 비례하여 1/2로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로 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 이 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전류 차단기가 없는 경우
  2. 정격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3. 정격 출력이 2kW 이상인 경우
  4. 전동기 출력이 0.5kW이며, 취급자가 감시할수 없는 경우
(정답률: 86%)
  • 정격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에는 전동기가 작은 규모이므로 과전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이를 저지하거나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500lm의 광속을 발산하는 전등 20개를 1000m2방에 점등하였을 경우 평균조도는 약 몇 lx인 가? (단, 조명률은 0.5, 감광 보상률은 1.5이다.)

  1. 3.33
  2. 4.24
  3. 5.48
  4. 6.67
(정답률: 68%)
  • 조명률은 전등이 방으로 들어온 광속 중에서 실제로 방 안으로 들어온 광속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500lm의 광속을 발산하는 전등이 있을 때, 이 중에서 방 안으로 들어오는 광속은 0.5 x 500lm = 250lm이 된다.

    감광 보상률은 인간의 눈이 어떤 조도에서도 동일한 밝기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보상하는 값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조명에서는 1.5 정도의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20개의 전등이 방 안으로 발산하는 광속은 20 x 250lm = 5000lm이 된다. 이를 1000m2로 나누면 5lx가 된다. 하지만 감광 보상률을 고려해야 하므로 5lx x 1.5 = 7.5lx가 된다.

    따라서 평균조도는 7.5lx / 20 = 0.375lx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lx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3.75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변압기 단락시험에서 2차측을 단락하고 1차 측에서 정격전압을 가하면 큰 단락전류가 흘러 변압기가 소손 된다. 이에 따라 정격주파수의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1차 정격전류가 될 때 의 변압기 1차측 전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부하 전압
  2. 절연내력 전압
  3. 정격주파 전압
  4. 임피던스 전압
(정답률: 80%)
  • 임피던스 전압은 변압기 내부의 전기적 저항과 리액턴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으로, 변압기의 내부 구조와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변압기 단락시험에서 1차 정격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1차측 전압은 변압기 내부의 임피던스 전압이다. 이는 변압기의 내부 구조와 특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변압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논리식을 간소화 하면?

  1. F=A+B
(정답률: 65%)
  • 논리식을 간소화하면 F = A + B 가 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논리식에서 A와 B는 OR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은 1이 된다.

    2. C와 D는 AND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C와 D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값이 1이 된다.

    3. 따라서, C와 D가 모두 1이면 A와 B의 값은 결과값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그러므로, C와 D가 모두 1일 때 결과값은 1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이 1이 되므로 F = A + B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접지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류용량
  2. 내부식성
  3. 시공성
  4. 내전압성
(정답률: 71%)
  • 접지재료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체들을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내전압성은 접지재료가 가져야 할 구비 조건 중 하나입니다. 내전압성이란, 접지재료가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지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내전압성"은 접지재료의 구비 조건이어야 하지만, 다른 보기들인 "전류용량", "내부식성", "시공성"은 모두 접지재료가 가져야 할 구비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버터 제어라고도 하며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어하는 방식은?

  1. VVVF 제어방식
  2. 궤환 제어방식
  3. 1단속도 제어방식
  4. 워드레오나드 제어방식
(정답률: 91%)
  • VVVF 제어방식은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의 약자로, 유도전동기에 인가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시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변화시켜 모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의 부스터 컨버터 회로에서 입력전압 (Vs)의 크기가 20V이고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SW)의 온(On) 시간(ton)의 비인 듀티비(D)가 0.6이었다면, 부하저항(R)의 크기가 10Ω인 경우 부하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W)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48%)
  • 부스터 컨버터 회로에서 부하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Vout - Vin)2 / R

    여기서 Vout는 출력전압, Vin은 입력전압, R은 부하저항입니다.

    부스터 컨버터 회로에서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out = Vs x D

    여기서 D는 듀티비입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20V이고 듀티비가 0.6인 경우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Vout = 20V x 0.6 = 12V

    이제 부하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계산해보겠습니다.

    W = (12V - 20V)2 / 10Ω = 64 / 10 = 6.4W

    따라서 부하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6.4W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00", "150", "200", "250"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와 역병렬 접속된 다이오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스위칭 소자에 내장된 다이오드이다.
  2. 부하에서 전원으로 에너지가 회생될 때 경로가 된다.
  3. 스위칭 소자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4. 스위칭 소자의 역방향 누설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경로이다.
(정답률: 65%)
  • 정답은 "부하에서 전원으로 에너지가 회생될 때 경로가 된다."입니다.

    인버터에서는 부하에서 전원으로 에너지가 회생될 때 발생하는 역전류를 다이오드를 통해 회로에 회수합니다. 이때, 스위칭 소자에 내장된 다이오드가 역병렬 접속되어 있어서 회수된 전력은 스위칭 소자를 통해 전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와 역병렬 접속된 다이오드는 부하에서 전원으로 에너지가 회생될 때 경로가 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저압 옥내 배선을 금속관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선은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전선을 굵기에 관계없이 연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금속관의 두께는 1.2㎜이상이어야 한다.
  4.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교류 600V 이하인 경우 관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저압 옥내 배선을 금속관 공사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금속관의 두께는 1.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금속관이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크기가 다른 3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모두 같다.
  2.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모두 같다.
  3. 합성 저항값은 각 저항의 합과 같다.
  4. 병렬연결은 도체저항의 길이를 늘이는 것과 같다.
(정답률: 86%)
  • 병렬연결된 저항들은 같은 전압을 공유하게 됩니다. 이는 전압의 법칙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병렬연결된 저항들은 모두 같은 전압을 공유하므로,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모두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림과 같은 회로의 기능은?

  1. 크기 비교기
  2. 디멀티플렉서
  3. 홀수 패리티 비트 발생기
  4. 2진 코드의 그레이코드 변환기
(정답률: 79%)
  • 이 회로는 2진 코드를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입력된 2진 코드를 XOR 게이트를 통해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하여 그레이코드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진 코드의 그레이코드 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케이블의 전식(전기적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희생 양극법
  2. 외부 전원법
  3. 선택 배류법
  4. 자립 배양법
(정답률: 75%)
  • 자립 배양법은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의 전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자립 배양법은 전기적으로 접지된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전압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전기적인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 유지를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립 배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선과 지선용 근가를 연결하는 금구는?

  1. U볼트
  2. 지선 롯트
  3. 볼쇄클
  4. 지선 밴드
(정답률: 76%)
  • 지선 롯트는 지선과 지선용 근가를 연결하는 금구로, 다른 보기인 U볼트, 볼쇄클, 지선 밴드는 이와 다른 종류의 금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도 전동기의 슬립이 커지면 커지는 것은?

  1. 회전수
  2. 2차 주파수
  3. 2차 효율
  4. 기계적 출력
(정답률: 72%)
  • 유도 전동기의 슬립이 커지면 회전수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유도 전동기의 원리상 슬립이 증가하면 회전자의 자기장과 유도자의 자기장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회전수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2차 주파수는 슬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유도 전동기에서 회전자와 유도자 사이의 자기장이 변화함에 따라 유도자에서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유도전류는 회전자의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회전자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유도전류의 주파수는 회전자의 주파수보다 낮은 2차 주파수가 되는데, 슬립이 증가하면 회전자의 주파수가 감소하므로 2차 주파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도 전동기의 슬립이 커지면 회전수는 감소하지만 2차 주파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항분포(binomal distribution)에서 매회 A가 일어나는 확률이 일정한 값 P일 때, n회의 독립시행 중 사상 A가 x회 일어날 확률 P(x)를 구하는 식은? (단, N은 로트의 크기, n은 시료의 크기, P는 로트의 모부적합품률이다.)

(정답률: 65%)
  • 이항분포에서 매회 A가 일어나는 확률이 P일 때, n회의 독립시행 중 사상 A가 x회 일어날 확률 P(x)는 다음과 같은 이항분포 확률질량함수로 구할 수 있다.

    P(x) = (nCx) * P^x * (1-P)^(n-x)

    여기서 nCx는 n개 중 x개를 선택하는 조합의 수를 나타내며, P^x는 x번 일어날 확률을 의미하고, (1-P)^(n-x)는 나머지 (n-x)번이 일어날 확률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항분포 확률질량함수를 나타내는 식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표는 어느 자동차 영업소의 월별 판매 실적을 나타낸 것이다. 5개월 단순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몇 대인가?

  1. 120대
  2. 130대
  3. 140대
  4. 150대
(정답률: 83%)
  • 5개월 단순이동평균법은 최근 5개월간의 판매 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6월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 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야 한다.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 실적은 각각 100, 120, 130, 140, 150 대이므로, 이를 더한 값은 640 대이다. 이를 5로 나누면 128 대가 나오지만,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반올림하면 120 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샘플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취락 샘플링에서는 취락 간의 차는 작게, 취락 내의 차는 크게 한다.
  2. 제조공정의 품질특성에 주기적인 변동이 있는 경우 계통 샘플링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3.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샘플링을 하는 방법을 계통 샘플링이라고 한다.
  4.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어 각 층마다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는 것을 층별 샘플링 이라고 한다.
(정답률: 59%)
  • "취락 샘플링에서는 취락 간의 차는 작게, 취락 내의 차는 크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조공정의 품질특성에 주기적인 변동이 있는 경우 계통 샘플링을 적용하는 이유는, 계통 샘플링이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을 하기 때문에 변동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용이하고, 변동이 발생한 시점을 파악하여 조치를 취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즉, 계통 샘플링은 변동을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내용은 설비보전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조직의 형태에 대한 설명인가?

  1. 집중보전
  2. 지역보전
  3. 부문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7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설비보전조직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부문보전"이다. 부문보전은 기계, 전기, 계측제어 등과 같은 설비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보전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각 부문별 전문성을 갖춘 인력들이 모여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기계 부문보전조직이라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표준시간 설정 시 미리 정해진 표를 활용하여 작업자의 동작에 대해 시간을 산정하는 시간 연구법에 해당되는 것은?

  1. PTS법
  2. 스톱워치법
  3. 워크샘플링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81%)
  • PTS법은 미리 정해진 표를 활용하여 작업자의 동작에 대해 시간을 산정하는 시간 연구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스톱워치나 워크샘플링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들이며, 실적자료법은 작업자의 실적을 통해 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PTS법이 작업자의 동작 시간을 산정하는 시간 연구법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관리도의 사용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관리도의 사용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3%)
  • ㉢→㉠→㉡→㉣ 순서대로 나열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정의 특성 파악: 먼저 공정의 특성을 파악하여 어떤 종류의 관리도를 사용할지 결정합니다.

    ㉠. 측정 데이터 수집: 해당 공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 관리도 작성: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관리도를 작성합니다.

    ㉣. 관리도 분석 및 개선: 작성된 관리도를 분석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개선합니다.

    따라서, ㉢→㉠→㉡→㉣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