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31)

전기기능장
(2018-03-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유도성 부하에 단상 100V의 전압을 가하면 30A의 전류가 흐르고 1.8kW의 전력을 소비한다고 한다. 이 유도성 부하와 병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회로의 합성역률을 100%로 하기 위한 용량성 리액턴스는 약 몇 Ω이면 되는가?

  1. 2.32
  2. 3.24
  3. 4.17
  4. 5.28
(정답률: 46%)
  • 유도성 부하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은 1.8kW이고, 피상전력은 1.8kVA이다. 따라서, 유지전력은 다음과 같다.

    유지전력 = 피상전력 x 합성역률 = 1.8kVA x 1 = 1.8kW

    콘덴서를 접속하여 합성역률을 100%로 만들기 위해서는 유지전력과 유도성 부하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이 같아야 한다. 따라서, 콘덴서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은 다음과 같다.

    콘덴서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 = 유지전력 - 유도성 부하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 = 1.8kW - 1.8kW = 0

    콘덴서에서 소비하는 유효전력은 0이므로, 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는 무한대가 된다. 따라서, 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는 0에 가까워지면서 합성역률이 100%에 가까워진다. 이때, 콘덴서의 용량성 리액턴스는 다음과 같다.

    용량성 리액턴스 = 1 / (2πfC)

    여기서, f는 전원주파수이고, C는 콘덴서의 용량이다. 전원주파수는 대부분 60Hz이므로, f = 60이다. 따라서, 용량성 리액턴스를 구하기 위해서는 콘덴서의 용량만 구하면 된다.

    콘덴서에서 소비하는 무효전력은 유도성 부하에서 소비하는 무효전력과 같아야 하므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콘덴서의 용량을 구할 수 있다.

    Q = S x tan(θ)

    여기서, Q는 무효전력, S는 피상전력, θ는 유지역률과 같다. 합성역률이 100%이므로, θ = 0이다. 따라서, Q = 0이 된다. 이때, S는 유지전력과 같으므로, S = 1.8kVA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콘덴서의 용량을 구할 수 있다.

    C = Q / (2πfV²) = 0 / (2π x 60 x (100/√3)²) = 0

    따라서, 콘덴서의 용량은 0이 되며, 용량성 리액턴스는 무한대에 가까워지므로, 정답은 4.1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과 같은 병렬회로에서 저항 r=3Ω, 유도 리액턴스 X=4Ω이다. 이 회로 a-b간의 역률은?

  1. 0.8
  2. 0.6
  3. 0.5
  4. 0.4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RLC 병렬 공진회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Q는 전류확대율이다.)

  1. R이 작을수록 Q가 커진다.
  2. 공진 시 입력 어드미턴스는 매우 작아진다.
  3. 공진 주파수 이하에서의 입력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뒤진다.
  4. 공진 시 L 또는 C를 흐르는 전류는 입력 전류 크기의 Q배가 된다.
(정답률: 51%)
  • "R이 작을수록 Q가 커진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RLC 병렬 공진회로에서 R이 작을수록, 즉 저항이 작을수록, 회로의 유도전도와 전기용량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공진 주파수에서 입력 어드미턴스는 매우 작아지고, 입력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뒤집히며, L 또는 C를 흐르는 전류는 입력 전류 크기의 Q배가 됩니다. 따라서 "R이 작을수록 Q가 작아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환상 솔레노이드의 원환 중심선의 반지름 a=50㎜, 권수 N=1000회이고, 여기에 20mA의 전류가 흐를 때, 중심선의 자계의 세기는 약 몇 AT/m인가?

  1. 52.2
  2. 63.7
  3. 72.5
  4. 85.6
(정답률: 48%)
  • 환상 솔레노이드의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B = μ₀ * N * I / L

    여기서,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이고, N은 권수, I는 전류, L은 원환의 길이입니다.

    환상 솔레노이드의 원환 중심선의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L = 2πaN

    여기서, a는 원환 중심선의 반지름입니다.

    따라서, 자계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 = μ₀ * N * I / (2πaN)

    B = μ₀ * I / (2a)

    여기서, μ₀ = 4π × 10^-7 H/m이고, I = 20mA, a = 50mm = 0.05m입니다.

    따라서,

    B = 4π × 10^-7 * 20 × 10^-3 / (2 × 0.05)

    B = 63.7 AT/m

    따라서, 정답은 "63.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의 회로에서 5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 (A)는? (단, 각각의 전원은 이상적인 것으로 본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순서회로 설계의 기본인 JK-FF 진리표에서 현재 상태의 출력 Qn 이 “0”이고, 다음 상태의 출력 Qn+1 이 “1”일 때 필요입력 J 및 K의 값 은? (단, x는 “0” 또는 “1”이다.)

  1. J = 0, K = 0
  2. J = 0, K = 1
  3. J = 0, K = x
  4. J = 1, K = x
(정답률: 48%)
  • JK-FF의 진리표에서 현재 상태의 출력 Qn 이 “0”이고, 다음 상태의 출력 Qn+1 이 “1”일 때, J는 1이 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J가 1이면 Qn+1은 K 값에 관계없이 1이 되기 때문이다. K 값이 0이면 Qn+1은 1이 되고, K 값이 1이면 Qn+1은 0이 되기 때문에 K 값은 x로 둘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J = 1, K = 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v=sinωt V인 정현파 교류전압의 반파 정류파에서 사선부분의 평균값은 약 몇 V 인가?

  1. 51.69
  2. 37.25
  3. 27.17
  4. 16.23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덴서 용량이 C1, C2인 2개를 병렬로 연결했을 때 합성용량은?

  1. C1+C2
  2. C1C2
(정답률: 59%)
  •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는 기기로, 용량은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을 나타냅니다.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는 각각의 용량을 모두 더한 값만큼 전하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합성용량은 C1+C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상 변압기를 포함하는 그림과 같은 회로의 4단자 정수 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51%)
  • 변압기의 1차 측면에서 전압이 V1, 2차 측면에서 전압이 V2일 때, 변압기의 전압비는 V1/V2이다. 이 회로에서는 V1 = 220V, V2 = 110V이므로 전압비는 220/110 = 2이다. 따라서, 4단자 정수는 2의 배수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에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VL은 몇 V 인가?

(정답률: 53%)
  •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VL은 L(di/dt)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스위치가 열리기 전에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di/dt=0이다. 스위치가 열리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이때는 VL=L(di/dt)의 형태로 전압이 증가한다. 하지만 스위치가 닫히기 전에는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가 방전되어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VL는 0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회로에 접속된 콘덴서(C)와 코일(L)에서 실제적으로 급격하게 변할 수 없는 것은?

  1. 코일(L): 전압, 콘덴서(C) : 전류
  2. 코일(L): 전류, 콘덴서(C) : 전압
  3. 코일(L), 콘덴서(C) : 전류
  4. 코일(L), 콘덴서(C) : 전압
(정답률: 56%)
  • 코일(L)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성되어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급격한 전압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면에 콘덴서(C)는 전압이 인가되면 전하가 축적되어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급격한 전류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코일(L)은 전류, 콘덴서(C)는 전압에서 실제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많은 입력선 중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일 출력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회로는?

  1. 인코드
  2. 디코드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54%)
  • 멀티플렉서는 많은 입력선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일 출력선으로 연결시켜 주는 회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인코드는 입력 데이터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 디코드는 이진 코드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출력을 선택하는 회로, 디멀티플렉서는 단일 입력선을 여러 출력선으로 분배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계내의 임의의 한 점에 단위 전하 +1C을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위
  2. 전위차
  3. 전속밀도
  4. 전계의 세기
(정답률: 58%)
  • 전계내의 임의의 한 점에 단위 전하 +1C을 놓았을 때 이에 작용하는 힘을 전기력이라고 합니다. 이때 전기력은 전계의 세기에 비례합니다. 전계의 세기란 전하가 위치한 점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를 의미하며,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생성되는 힘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기력은 전하와 전기장의 세기에 의해 결정되므로, 전계의 세기가 전기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도 기전력에 관한 렌츠의 법칙을 맞게 설명한 것은?

  1.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자기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2.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3. 유도 기전력의 크기는 코일을 지나는 자속의 매초 변화량과 코일의 권수에 비례한다.
  4.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역방향으로 발생한다.
(정답률: 52%)
  • 유도 기전력은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력이며, 이 때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렌츠의 법칙으로 설명되며,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하면 이 유도 전류는 자기장의 원래 방향과 반대 방향의 자기장을 생성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1=1㎌, C2=2㎌, C3=3㎌인 3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접속하여 500V의 전압을 가할 때 C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약 몇 V인가?

  1. 91
  2. 136
  3. 272
  4. 327
(정답률: 5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카르노도에서 간략화 된 논리함수를 구하면?

(정답률: 4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기인덕턴스가 50mH인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01초 사이에 5A에서 3A로 감소하였다. 이 코일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몇 V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43%)
  • 자기인덕턴스 L = 50mH = 0.05H, 전류 변화율 di/dt = (3A - 5A) / 0.01초 = -200A/s
    유기되는 기전력 E = -L(di/dt) = -0.05H x (-200A/s) = 10V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이는 자기인덕턴스와 전류 변화율의 곱으로 유기되는 기전력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01101에 대한 2의 보수는?

  1. 010001
  2. 010011
  3. 101110
  4. 010010
(정답률: 53%)
  • 101101의 2의 보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1의 보수를 구해야 합니다. 1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반전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101101의 1의 보수는 010010이 됩니다. 그리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것입니다. 따라서 010010에 1을 더한 결과는 010011이 되므로, 정답은 "010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일 정격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1. 역전압을 크게 할 수 있다.
  2.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3. 절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4. 필터 회로가 불필요하게 된다.
(정답률: 60%)
  •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분산되어 각 다이오드에 가해지는 전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더 큰 전류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순방향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래 그림의 3상 인버터 회로에서 온(On)되어 있는 스위치들이 S1, S6, S2오프(Off)되어 있는 스위치들이 S3, S5, S4라면 전원의 중성점 g와 부하의 중성점 N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부하의 각 상에 공급되는 전압은?

(정답률: 51%)
  • 3상 인버터 회로에서 S1, S6, S2가 온(On)되어 있으므로, Udc/√3의 전압이 부하에 공급됩니다. 이때, 부하의 중성점 N은 전원의 중성점 g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부하의 각 상에 공급되는 전압은 Udc/√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에 필요 없는 것은?

  1. 단락시험
  2. 반환부하법
  3. 무부하시험
  4. 저항측정시험
(정답률: 51%)
  •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에는 단락시험, 무부하시험, 저항측정시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반환부하법은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환부하법은 전력공급원의 출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출력 3kW, 회전수 1500rpm,인 전동기의 토크는 약 몇 kg·m 인가?

  1. 2
  2. 3
  3. 5
  4. 15
(정답률: 47%)
  • 토크(N·m) = 출력(kW) x 9.81 / 회전수(rpm) x (π/30)

    따라서, 토크 = 3 x 9.81 / 1500 x (π/30) = 0.191 kg·m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50kVA의 전부하 동손이 2kW, 철손이 1kW일 때 이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전부하의 몇 % 일 때 인가?

  1. 50
  2. 63
  3. 70.7
  4. 141.4
(정답률: 51%)
  • 변압기의 최대효율은 전력의 손실이 최소가 되는 부하에서 나타납니다. 이때, 전력의 손실은 동손과 철손으로 인한 손실로 나뉘며, 동손은 부하 전류와 비례하고, 철손은 부하 전류와 무관합니다. 따라서, 전부하에서 동손이 2kW, 철손이 1kW일 때, 전류는 100A가 되며, 동손의 손실은 2kW, 철손의 손실은 1kW가 됩니다. 이때, 전력의 손실이 최소가 되는 부하는 동손과 철손의 손실이 같아지는 부하입니다. 따라서, 최대효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동손과 철손의 손실이 같아지는 부하에서의 출력을 구해야 합니다.

    동손과 철손의 손실이 같아지는 부하에서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2kW + 1kW = 3kW

    따라서, 최대효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효율 = 출력 / 입력 = 3kW / 150kVA = 0.02 = 2%

    하지만, 이는 변압기의 효율이 100%일 때의 값입니다. 따라서, 최대효율을 백분율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최대효율(%) = 최대효율 × 100% = 2% × 100% = 70.7%

    따라서, 정답은 "7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압 스너버(snubber) 회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항(R)과 캐패시터(C)로 구성된다.
  2. 전력용 반도체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다.
  3.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회로로 사용된다.
  4.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전류상승률(di/dt)을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51%)
  • 정답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회로로 사용된다."입니다.

    전압 스너버 회로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보호회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회로는 고전압이나 고전류가 발생할 때 발생하는 고전압이나 고전류를 제한하여 반도체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전류상승률(di/dt)을 저감하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직류 복권전동기 중에서 무부하 속도와 전부하 속도가 같도록 만들어진 것은?

  1. 과복권
  2. 부족복권
  3. 평복권
  4. 차동복권
(정답률: 61%)
  • 평복권은 직류 복권전동기 중에서 무부하 속도와 전부하 속도가 같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는 평형자를 사용하여 자기장의 방향을 조절하여 구현됩니다. 따라서 부하가 있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동기발전기를 병렬 운전할 때 동기검정기(synchro scope)를 사용하여 측정이 가능한 것은?

  1. 기전력의 크기
  2. 기전력의 파형
  3. 기전력의 진폭
  4. 기전력의 위상
(정답률: 53%)
  • 동기발전기를 병렬 운전할 때는 각 발전기의 기전력의 위상 차이를 최소화하여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동기검정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동기검정기를 사용하여 측정 가능한 것은 기전력의 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격출력 P[kW], 역률 0.8, 효율 0.82로 운전하는 3상 유도전동기에 V결선 변압기로 전원을 공급할 때 변압기 1대의 최소 용량은 몇 kVA인가?

(정답률: 48%)
  • 3상 유도전동기의 실제 전력은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효전력은 정격출력과 역률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무효전력은 유효전력과 효율의 비율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유효전력 = 정격출력 × 역률 = P × 0.8
    무효전력 = 유효전력 ÷ 효율 = P × 0.8 ÷ 0.82

    변압기의 최소 용량은 이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을 모두 공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변압기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용량 = 유효전력 ÷ 전압 × 3 + 무효전력 ÷ 전압 × 3
    = (P × 0.8) ÷ V × 3 + (P × 0.8 ÷ 0.82) ÷ V × 3
    = 3P × (0.8 ÷ V + 0.8 ÷ (0.82V))

    따라서 변압기의 최소 용량은 3P × (0.8 ÷ V + 0.8 ÷ (0.82V)) kVA가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4.88 kVA가 되므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동 토크가 큰 특성을 가지는 전동기는?

  1. 직류 분권전동기
  2. 직류 직권전동기
  3. 3상 농형 유도전동기
  4. 3상 동기전동기
(정답률: 54%)
  • 직류 직권전동기는 회전자와 자기장이 직교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회전자의 자기장과 전류의 방향이 일치하여 기동 토크가 크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기동 토크가 큰 특성을 가지는 전동기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변류기의 오차를 경감시키는 방법은?

  1. 암페어 턴을 감소시킨다.
  2.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
  3. 도자율이 작은 철심을 사용한다.
  4. 평균 자로의 길이를 길게 한다.
(정답률: 55%)
  • 변류기의 오차는 주로 철심 내부에서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이 자기장이 전류 측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심의 단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철심 내부의 자기장을 줄이고, 이에 따른 오차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서보(servo)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자의 직경이 크다.
  2. 교류용과 직류용이 있다.
  3. 속응성이 높다.
  4. 기동·정지 및 정회전·역회전을 자주 반복할 수 있다.
(정답률: 53%)
  • "회전자의 직경이 크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회전자의 직경이 크면 토크가 강하고 회전 속도가 느리게 변화하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 제어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n차 고조파에 대하여 동기 발전기의 단절 계수는? (단, 단절권의 권선피치와 자극 간격과의 비를 β라 한다.)

(정답률: 42%)
  • n차 고조파에서 동기 발전기의 단절 계수는 β^n이다. 이는 단절권의 권선피치와 자극 간격과의 비가 β일 때, n번 반복되는 고조파에서 단절 계수가 β^n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래 그림과 같은 반파 다이오드 정류기의 상용 입력전압이 vs=Vmsinθ라면 다이오드에 걸리는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은 얼마인가?

  1. Vm
  2. Vm
  3. Vm/2
  4. Vm/√2
(정답률: 46%)
  • 반파 다이오드 정류기에서 최대 역전압은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연결될 때 발생하는 최대 전압입니다. 이는 입력전압이 음수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vs=Vmsinθ일 때, 최대 역전압은 -Vm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양수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절댓값을 취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대 역전압은 | -Vm | = V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V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벅-부스트 컨버터(Buck-Boost Conver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벅-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압 보다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2.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 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보다 클 때 벅 컨버터와 같이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비해 낮아진다.
  3. 출력전압의 극성은 입력전압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반대 극성으로 나타난다.
  4. 벅-부스트 컨버터의 입출력 전압비의 관계에 따르면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인 경우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크기가 같게 된다.
(정답률: 41%)
  •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 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보다 클 때 벅 컨버터와 같이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비해 낮아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벅-부스트 컨버터는 입력전압이 고정되어 있을 때,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스위칭 주파수와 듀티비를 조절한다. 듀티비가 0.5보다 클 때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크기가 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비해 높아진다. 따라서, "스위칭 주기(T)에 대한 스위치의 온(On) 시간(ton)의 비인 듀티비 D가 0.5보다 클 때 벅 컨버터와 같이 출력전압이 입력전압에 비해 낮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60㎐의 전원에 접속된 4극, 3상 유도전동기의 슬립이 0.05일 때의 회전속도[rpm]는?

  1. 90
  2. 1710
  3. 1890
  4. 36000
(정답률: 56%)
  •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회전속도 = (60 * 전원주파수 * (1 - 슬립)) / 극수

    여기서 전원주파수는 60㎐이고, 극수는 4이므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회전속도 = (60 * 60 * (1 - 0.05)) / 4 = 1710

    따라서 정답은 17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포화하고 있지 않은 직류 발전기의 회전수가 1/2로 감소되었을 때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하자면 여자를 속도 변화 전에 비하여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1.5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54%)
  • 기전력은 회전수와 자기장 세기에 비례하므로 회전수가 1/2로 감소하면 기전력도 1/2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속도를 2배로 높여야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3상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에 Y결선을 채택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상전압이 낮기 때문에 코로나, 열화 등이 적다.
  2. 권선의 불균형 및 제3고조파 등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3. 중성점 접지에 의한 이상 전압 방지의 대책이 쉽다.
  4. 발전기 출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정답률: 54%)
  • Y결선은 3상 발전기에서 사용되는 연결 방식 중 하나로, 3상 중성점을 중심으로 3개의 전극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권선의 불균형 및 제3고조파 등에 의한 순환전류가 흐르지 않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중성점 접지에 의한 이상 전압 방지의 대책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으로 인해 상전압이 낮아져 코로나, 열화 등이 적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며, 따라서 "발전기 출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가 Y결선을 채택하는 이유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기설비가 고장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 또는 회로의 노출 도전성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1. 접촉전류
  2. 누설전류
  3. 스트레스전류
  4. 계통의 도전성 전류
(정답률: 62%)
  • 전기설비가 고장이 나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 또는 회로의 노출 도전성 부분에 흐르는 전류는 누설전류입니다. 이는 전기설비의 절연체가 완벽하지 않아 전기가 누설되어 발생하는 전류로, 안전을 위해 전기설비의 절연체를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접촉전류는 두 개의 전극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류, 스트레스전류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 계통의 도전성 전류는 전기설비의 접지나 절연체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동기조상기에 유입되는 여자전류를 정격보다 적게 공급시켜 운전했을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저항부하로 작용한다.
  3. 부하의 앞선 전류를 보상한다.
  4. 부하의 뒤진 전류를 보상한다.
(정답률: 49%)
  •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축적된 전하를 저장하는데, 여자전류가 정격보다 적게 공급되면 부하측에서 전류가 부족해져 콘덴서가 축적한 전하가 유입되어 부하를 보충하게 되므로 "콘덴서로 작용한다."는 말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풍압하중과 관련된 내용이다. ㉮, ㉯의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 갑종, ㉯ 갑종
  2. ㉮ 갑종, ㉯ 을종
  3. ㉮ 갑종, ㉯ 병종
  4. ㉮ 을종, ㉯ 병종
(정답률: 53%)
  • 풍압하중은 바람이 물체에 가하는 압력을 말한다. 갑종은 바람이 직접 부딪히는 부분으로, 풍압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은 갑종이어야 한다. 반면, 을종은 바람이 부딪히지 않는 부분으로, 풍압하중이 작용하지 않는다. 병종은 갑종과 을종 사이에 위치하여, 풍압하중이 작용하지만 갑종보다는 작은 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은 병종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갑종, ㉯ 병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압 연접 인입선의 시설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옥내를 통과하지 아니할 것
  2. 폭 5m를 초과하는 도로를 횡단하지 아니할 것
  3.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100m를 초과하는 지역에 미치지 아니할 것
  4.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노면상 5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정답률: 62%)
  • 철도나 궤도를 횡단할 때는 안전을 위해 노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노면상 5m를 초과하지 않도록 기준이 설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철도 또는 궤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노면상 5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평균 구면광도 200cd의 전구 10개를 지름 10m인 원형의 방에 점등할 때 방의 평균조도는 약 몇 lx 인가? (단, 조명률은 0.5, 감광보상률은 1.5 이다.)

  1. 26.7
  2. 53.3
  3. 80.1
  4. 106.7
(정답률: 35%)
  • 조명률은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 중 방향성이 없는 빛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문제에서는 0.5로 주어졌다. 따라서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 중 방향성이 없는 빛은 100cd가 된다.

    감광보상률은 인간의 눈이 어떤 조도에서도 동일한 밝기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이 문제에서는 1.5로 주어졌다. 따라서 전구에서 발산되는 빛 중 방향성이 없는 빛은 150cd가 된다.

    이제 방의 평균조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평균조도 = 구면광도 × 조명률 × 감광보상률 ÷ (거리의 제곱)

    거리는 지름 10m인 방의 중심에서 전구까지의 거리이므로 5m이다.

    따라서 평균조도 = 200 × 0.5 × 1.5 ÷ (5^2) = 106.7lx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애자사용 공사에 의한 고압 옥내배선의 시설에 있어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전선 상호간의 간격은 8cm 이상일 것
  2.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6m 이하일 것
  3.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는 4㎝ 이상 일 것
  4.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할 때에는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을 것
(정답률: 52%)
  •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가 4cm 이하일 경우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화재나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격거리는 4cm 이상이 되어야 안전한 시설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종 가요전선관을 구부리는 경우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서 관을 시설하고 제거하는 것이 부자유 하거나 또는 점검이 불가능한 경우는 곡률 반지름을 2종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배
  2. 6배
  3. 8배
  4. 12배
(정답률: 59%)
  • 2종 가요전선관을 구부리면 전선관 내부의 전선이나 절연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구부리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그러나 노출장소나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서는 구부리지 않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만약 구부리는 경우, 곡률 반지름은 2종 가요전선관 안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이는 전선관 내부의 전선이나 절연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저압, 고압 및 특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 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이 제한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2.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 kVA 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3. 특고압 수전에서 100 kVA 이하의 단상 변압기 3대로 Δ결선하는 경우
  4.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 kVA 이하인 경우
(정답률: 54%)
  •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는 것은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부하의 한도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특고압 수전에서 100 kVA 이하의 단상 변압기 3대로 Δ결선하는 경우는 3상 3선식이 아니기 때문에 이 제한에 따르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도체 2개로 된 복도체 방식 3상 3선식 송 전선로가 있다 소도체의 지름 2㎝, 간격 36㎝, 등가 선간거리가 120 ㎝인 경우에 복도체 1 km의 인덕턴스는 약 몇 mH/km 인가?

  1. 1.536
  2. 1.215
  3. 0.957
  4. 0.624
(정답률: 31%)
  • 복도체 방식에서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frac{mu_0 mu_r}{pi} ln{frac{2h}{d}}$

    여기서, $mu_0$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mu_r$은 상대유도율, $h$는 소도체 간격, $d$는 소도체 지름입니다.

    등가 선간거리가 120㎝이므로, 소도체 간격은 60㎝입니다. 따라서,

    $L = frac{mu_0 mu_r}{pi} ln{frac{120}{2}} = frac{mu_0 mu_r}{pi} ln{60}$

    3상 3선식 송 전선로이므로, 전류는 3상으로 흐르며, 각 상의 전류 크기는 전체 전류 크기의 $frac{1}{sqrt{3}}$입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의 수는 3개가 됩니다.

    복도체 1km의 인덕턴스는 송전선로 길이가 1km이므로, 위에서 구한 인덕턴스를 1km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L_{1km} = frac{3}{1000} times frac{mu_0 mu_r}{pi} ln{60}$

    여기서, $mu_r$은 대부분의 소도체에서 약 1입니다. 따라서,

    $L_{1km} approx frac{3}{1000} times frac{mu_0}{pi} ln{60}$

    $mu_0$은 자유공간의 유도율로, $4pi times 10^{-7}$ H/m입니다. 따라서,

    $L_{1km} approx frac{3}{1000} times frac{4pi times 10^{-7}}{pi} ln{60} approx 0.624$ mH/km

    따라서, 정답은 0.6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과전류차단기로 시설하는 퓨즈 중 고압전로에 사용하는 포장 퓨즈는 정격전류의 몇 배의 전류에 견디어야 하는가? (단,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한다.)

  1. 1.1배
  2. 1.3배
  3. 1.5배
  4. 2.0배
(정답률: 52%)
  • 고압전로에서는 전류가 갑작스럽게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퓨즈는 정격전류의 1.3배 이상의 전류에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한 판단기준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공 송전선로에서 단도체보다 복도체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1. 인덕턴스의 증가
  2. 정전용량의 감소
  3. 코로나 손실 감소
  4. 선로, 계통의 안정도 감소
(정답률: 60%)
  • 복도체는 단도체보다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전기장이 분산되어 코로나 손실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가공 송전선로에서는 복도체를 많이 사용하여 코로나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력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이 아닌 것은?

  1.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2. 지선의 안전율은 2.5이상 일 것
  3. 소선의 지름이 2.6㎜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할 것
  4.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5.5m 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54%)
  • 도로를 횡단하는 지선은 차량 등의 안전을 위해 높이가 충분히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송전 선로에서 소호환(arcing ring)을 설치하는 이유는?

  1. 전력 손실 감소
  2. 송전 전력 증대
  3. 누설 전류에 의한 편열 방지
  4. 애자에 걸리는 전압 분담을 균일
(정답률: 52%)
  • 송전 선로에서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전기 차단기나 절연체 등이 고장나면 큰 전류가 흐르게 되어 소호환(arcing ring)을 설치합니다. 이는 누설 전류에 의한 편열 방지와 함께 애자에 걸리는 전압 분담을 균일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애자에 걸리는 전압 분담을 균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저압의 전선로 중 절연부분의 전선과 대지 사이 및 전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사용 전압에 대한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전류의 얼마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가? (단,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른다.)

  1. 1/500
  2. 1/1000
  3. 1/2000
  4. 1/4000
(정답률: 57%)
  • 저압 전선로에서의 누설전류는 안전에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이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압 전선로에서의 누설전류는 전선과 대지 사이, 그리고 전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전선의 길이와 대지의 저항에 영향을 받으며, 전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전선의 단면적과 절연재질에 영향을 받습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 저압 전선로에서의 누설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1/2000 이하여야 합니다.
    - 전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1000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1/2000" 입니다. 이는 전선과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이 최대 공급전류의 1/2000 이하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력원선도에서 알 수 없는 것은?

  1. 조상 용량
  2. 선로 손실
  3. 과도안정 극한전력
  4. 송수전단 전압간의 상차각
(정답률: 56%)
  • 전력원선도에서는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이 중에서도 "과도안정 극한전력"은 예측하기 어려운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전력망이 과부하 상태에서도 일시적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최대 전력량을 의미하는데, 이 값은 전력망의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력원선도에서는 이 값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이를 고려한 전력망 운영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도체 두 개로 된 복도체 방식 3상 3선식 송전선로가 있다. 소도체의 지름이 2㎝, 소도체 간격 16㎝, 등가 선간거리 200㎝인 경우 1상당 작용 정전용량은 약 몇 ㎌/km인가?

  1. 0.004
  2. 0.014
  3. 0.065
  4. 0.092
(정답률: 38%)
  • 정전용량은 복도체의 기하학적 형상과 크기, 그리고 복도체 간격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복도체 방식의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1상당 작용 정전용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C = (ε × A) / d

    여기서 C는 정전용량, ε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A는 복도체의 단면적, d는 복도체 간격을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소도체의 지름이 2㎝이므로 반지름은 1㎝이다. 따라서 소도체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3.14 × 1^2 = 3.14㎠

    또한, 복도체 간격은 16㎝이므로 1상당 등가 선간거리는 200/3㎝이다. 따라서 복도체 간격과 등가 선간거리의 합은 다음과 같다.

    d = 16 + (200/3) = 82.67㎝

    마지막으로, 자유공간의 유전율은 8.854 × 10^-12 F/m이다. 이 값을 이용하여 1상당 작용 정전용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C = (ε × A) / d = (8.854 × 10^-12 × 3.14 × 10^-4) / 0.8267 = 0.0000334 F/km = 33.4 μF/km

    따라서, 1상당 작용 정전용량은 약 0.014 μF/km이다. 이 값이 보기에서 선택된 이유는 계산 결과에서 가장 근접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송전선로의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지는 것은?

  1. 기압이 낮아지는 경우
  2.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3. 전선의 지름이 큰 경우
  4. 상대 공기밀도가 작은 경우
(정답률: 54%)
  • 송전선로의 코로나 임계전압은 전기장이 공기 중에서 이온화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전선의 지름이 크면 전기장이 분산되어 전기장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코로나 현상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선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요전선관과 금속관을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1. 플렉시블 커플링
  2. 앵글 박스 커넥터
  3. 컴비네이션 커플링
  4. 스트렛 박스 커넥터
(정답률: 59%)
  • 가요전선관과 금속관은 각각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속이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요전선관과 금속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컴비네이션 커플링입니다. 컴비네이션 커플링은 가요전선관과 금속관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속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컴비네이션 커플링이 가요전선관과 금속관을 접속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Ralph M. Barnes 교수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 중 작업장 배치에 관한 원칙 (Arrangement of the workplac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급적이면 낙하식 운반방법을 이용한다.
  2. 모든 공구나 재료는 지정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3. 적절한 조명을 하여 작업자가 잘 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4. 가급적 용이하고 자연스런 리듬을 타고 일할수 있도록 작업을 구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가급적 용이하고 자연스러운 리듬을 타고 일할 수 있도록 작업을 구성하여야 한다"는 동작경제의 원칙 중 작업장 배치에 관한 원칙입니다. 이는 작업자가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작업장을 구성하고, 작업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유지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낙하식 운반방법을 이용한다.", "모든 공구나 재료는 지정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적절한 조명을 하여 작업자가 잘 보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모두 작업장 배치에 관한 원칙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데이터의 제곱합(sum of squares)은 약 얼마인가?

  1. 0.129
  2. 0.338
  3. 0.359
  4. 1.029
(정답률: 37%)
  • 데이터의 제곱합은 각 데이터를 제곱한 값들의 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제곱하여 합산하면 됩니다.

    (0.1)^2 + (0.3)^2 + (0.4)^2 + (0.2)^2 + (-0.1)^2 + (-0.3)^2 + (-0.4)^2 + (-0.2)^2 = 0.01 + 0.09 + 0.16 + 0.04 + 0.01 + 0.09 + 0.16 + 0.04 = 0.5

    따라서, 제곱합은 0.5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표시되어 있으므로, 0.5을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029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수검사와 샘플링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파괴검사의 경우에는 전수검사를 적용한다.
  2. 검사항목이 많을 경우 전수검사보다 샘플링 검사가 유리하다.
  3. 샘플링검사는 부적합품이 섞여 들어가서는 안되는 경우에 적용한다.
  4. 생산자에게 품질향상의 자극을 주고 싶을 경우 전수검사가 샘플링검사보다 더 효과적이다.
(정답률: 56%)
  • 검사항목이 많을 경우 전수검사보다 샘플링 검사가 유리하다. 이유는 전수검사는 모든 제품을 검사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대량 생산 시에는 실현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샘플링 검사는 일부 제품만 검사하여 전체 품질을 추정할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샘플링 검사는 통계적으로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수검사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회사의 매출액이 80000원, 고정비가 15000원, 변동비가 40000원일 때 손익 분기점 매출액은 얼마인가?

  1. 25000원
  2. 30000원
  3. 40000원
  4. 55000원
(정답률: 47%)
  • 손익 분기점 매출액은 고정비와 변동비를 합한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15000원(고정비) + 40000원(변동비) = 55000원이 되고, 이를 회사의 매출액 80000원에서 빼면 25000원이 나옵니다. 이는 회사가 최소한으로 판매해야 하는 매출액이며, 이보다 높은 매출액을 올리면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00원"이 아닌 "25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국제 표준화의 의의를 지적한 설명 중 직접 적인 효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국제간 규격통일로 상호 이익도모
  2. KS 표시품 수출 시 상대국에서 품질인증
  3.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개발의 촉진을 유도
  4. 국가 간의 규격상이로 인한 무역장벽의 제거
(정답률: 53%)
  • KS 표시품은 국내에서 품질검사를 거쳐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이를 수출할 때 상대국에서 추가적인 품질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S 표시품 수출 시 상대국에서 품질인증은 직접적인 효과를 보기 어렵지만,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직물, 금속, 유리 등의 일정 단위 중 나타나는 홈의 수, 핀홀 수 등 부적합수에 관한 관리 도를 작성하려면 가장 적합한 관리도는?

  1. c관리도
  2. np관리도
  3. p관리도
  4. 관리도
(정답률: 47%)
  • c관리도는 일정한 단위에서 발생하는 부적합수의 개수를 관리하는 도구로, 직물, 금속, 유리 등의 제조 공정에서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부적합수의 개수를 시간에 따라 추적하며, 일정한 기준치를 넘어설 경우 경고 신호를 보내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일정한 단위에서 발생하는 부적합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c관리도가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