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위험물의 유별 성질에 관한 연결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제2류위험물 - 가연성 고체
  2. 제4류위험물 - 인화성 액체
  3. 제5류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4. 제6류위험물 - 산화성고체
(정답률: 82%)
  • 위험물의 유별 성질에 관한 연결 중 옳지 않은 것은 "제6류위험물 - 산화성고체"이다. 이유는 제6류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나 고체, 산화성 가스, 산화성 고체와 액체 혼합물 등을 포함하는 범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6류위험물 - 산화성고체"라는 표현은 정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방호구조가 아닌 것은?

  1. 두께 1.2m 이상의 석고판 위에 석면시멘트판을 붙인 것
  2.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 그 두께의 합계가 2.0cm 이상인 것
  3.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 한 것
  4.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 이상인 것
(정답률: 25%)
  • 석고판 위에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 그 두께의 합계가 2.0cm 이상인 것은 방호구조가 아니다. 이유는 회반죽은 화재에 대한 내성이 없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르게 파괴되어 방화벽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적린의 착화 온도는 약 몇 ℃ 인가?

  1. 34
  2. 157
  3. 200
  4. 260
(정답률: 60%)
  • 적린의 착화 온도는 260℃이다. 이는 적린이 불에 닿거나 높은 온도로 가열될 때 발화할 수 있는 최소 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소속도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기화속도
  2. 산화속도
  3. 착화속도
  4. 환원속도
(정답률: 65%)
  • 연소는 화학반응 중 하나로,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연소속도는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소속도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산화속도입니다. 산화속도는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산화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연소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내화구종의 기준에서 바닥의 경우 철골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몇 cm 이상인 것이 내화구조에 해당하는가?

  1. 3
  2. 5
  3. 10
  4. 15
(정답률: 80%)
  • 내화구조의 기준에서 바닥은 10c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철골콘크리트조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이는 내화구조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이며, 불이 발생했을 때 바닥이 녹아내리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플래쉬 오버(flash over) 현상이란 어떤 것을 말하는가?

  1. 역화현상
  2. 탱크 밖으로 기름이 분출되는 현상
  3. 연소의 급속한 확대현상
  4. 외부에서의 연소현상
(정답률: 80%)
  • 플래쉬 오버(flash over) 현상은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연소가 급속하게 확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연소체 내부에서 발생한 열과 가스가 연소체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연소가 급속하게 확대되는 것으로, 매우 위험한 현상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체적, 기계적 악조건
  2. 작업자의 불완전한 행동
  3. 무의식적인 사고와 행동
  4. 작업자의 침묵
(정답률: 88%)
  • 작업자의 침묵은 안전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위험한 상황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알리지 않거나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작업자의 침묵은 다른 안전사고 원인들과 연결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들 간의 소통과 상호 감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연성 기체 또는 액체의 연소범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 하한과 연소 상한의 범위를 나타낸다.
  2. 연소 하한이 낮을수록 발화위험이 높다.
  3. 연소 범위가 넓을수록 발화위험이 낮다.
  4. 복원중
(정답률: 69%)
  • "연소 범위가 넓을수록 발화위험이 낮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연소 범위가 넓을수록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많아져 발화위험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가연성 기체의 연소 범위가 5~15%일 때는 연소가 일어나지만, 1% 이하나 25% 이상일 때는 연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소 범위가 좁을수록 발화위험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O2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

  1. 1.5
  2. 1.9
  3. 28.8
  4. 44.1
(정답률: 56%)
  • CO2의 분자량은 대략 44이고, 대기 중의 총 분자량은 대략 5x1018이다. 따라서 CO2의 증기비중은 (44/5x1018) x 100% = 0.00088% 이다. 이는 대략 1.5에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부촉매소화
  2. 냉각소화
  3. 제거소화
  4. 질식소화
(정답률: 88%)
  • 질식소화는 화재 지점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염을 진압하는 소화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재 지점에서 산소를 차단하거나, 산소를 소모시켜 화염을 진압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질식소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증기비중이 가장 큰 물질은?

  1. CH4
  2. CO
  3. C6H6
  4. SO2
(정답률: 71%)
  • 증기비중은 기체 상태일 때 공기 대비 밀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같은 부피의 공기 대비 해당 물질의 질량이 얼마나 더 무겁거나 가벼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C6H6은 분자량이 크고, 분자 내부에 아주 많은 수의 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 대비 밀도가 큽니다. 따라서 증기비중이 가장 큰 물질 중 하나입니다. 반면 CH4, CO, SO2는 분자량이 작고, 분자 내부의 결합 수가 적기 때문에 공기 대비 밀도가 작아 증기비중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불꽃의 색깔에 의한 온도를 측정하였을 때 낮은 온도에서부터 높은 온도의 순서로 나열 한 것은?

  1. 암적색, 백적색, 황적색, 휘백색
  2. 휘백색, 암적색, 백적색, 황적색
  3. 암적색, 황적색, 백적색, 휘백색
  4. 암적색, 휘백색, 황적색, 백적색
(정답률: 78%)
  • 불꽃의 색깔은 불꽃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에 의해 결정되며, 파장이 짧을수록 높은 온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암적색은 파장이 가장 짧고, 휘백색은 파장이 가장 길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부터 높은 온도의 순서로 나열하면 "암적색, 황적색, 백적색, 휘백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A 급 화재에 속하는 것은?

  1. 목재, 섬유화재
  2. 석유, 액화가스 화재
  3. 금속화재
  4. 전기화재
(정답률: 90%)
  • "A 급 화재"는 가장 위험한 화재 등급으로, 물로 직접 소화할 수 없는 화재를 말합니다. "목재, 섬유화재"는 이러한 A 급 화재에 속하는 이유는, 이러한 물질들이 불에 타면 매우 높은 열과 화염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물질들은 불에 타면 연기와 유해가스를 방출하여 인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이 있는 장소에서는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물은 소화약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물의 증발잔열은 약 몇 cal/g 인가?

  1. 79
  2. 538
  3. 750
  4. 810
(정답률: 83%)
  • 물의 증발잔열은 1g의 물이 100℃에서 증발하여 1g의 수증기가 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을 말한다. 이 값은 약 538 cal/g이다. 따라서 정답은 "53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재원인이 되는 정전기 발생 방지법 중 틀린 것은?

  1. 상대습도를 높인다.
  2. 공기를 이온화 시킨다.
  3. 접지시설을 한다.
  4. 가능한 한 부도체를 사용한다.
(정답률: 66%)
  • "공기를 이온화 시킨다."가 틀린 것입니다.

    정전기 발생의 원인 중 하나는 부도체와 마찰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부도체를 사용하여 마찰을 최소화하고 정전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상대습도를 높이는 것은 부도체와의 마찰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접지시설을 설치하여 정전기를 땅으로 흡수시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계단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경사로를 설치할 경우 경사도는 얼마를 넘지 아니하여야 하는가?

  1. 1:2
  2. 1:4
  3. 1:6
  4. 1:8
(정답률: 32%)
  • 경사로를 사용하는 경우, 경사도는 1:8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경사로를 이용해 이동하는 동안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경사도가 너무 가파르면 사람이나 물건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 이하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로를 설치해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복사에 관한 Stefan-Boltzmann의 법칙에서 흑체의 단위표면적에서 단위 시간에 내는 에너지의 총량은 절대온도의 얼마에 비례하는가?

  1. 제곱근
  2. 제곱
  3. 3제곱
  4. 4제곱
(정답률: 76%)
  • Stefan-Boltzmann의 법칙에서 흑체의 단위표면적에서 단위 시간에 내는 에너지의 총량은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진폭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진폭이 증가하면 전자기파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흑체의 단위표면적에서 내는 에너지의 총량도 증가합니다. 이러한 관계식에서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는 이유는 이러한 전자기파의 에너지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위험물질의 자연발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열의 축적을 방지할 것
  2. 저장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할 것
  3. 촉매 역할을 하는 물질과 접촉을 피할 것
  4. 습도를 높일 것
(정답률: 81%)
  • 습도를 높이면 오히려 물질의 화학적 반응이 촉진되어 자연발화의 위험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험물질의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습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주된 연소형채가 분해연소인 것은?

  1. 나프탈렌
  2. 목재
  3. 목탄
  4. 양초
(정답률: 64%)
  • 목재는 분해연소형채이다. 이는 목재가 고온에서 산화되면서 분해되는 연소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나프탈렌은 연소과정에서 증발하면서 연소되는 증발연소형채, 목탄은 고온에서 산화되면서 연소되는 고체연소형채, 양초는 액체연료가 고체연료를 불태우면서 연소되는 혼합연소형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소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화에너지
  2. 가연물
  3. 공기
  4. 촉매
(정답률: 75%)
  • 촉매는 연소의 3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 열입니다. 촉매는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연소 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저임피던스 부하에서 고전류 이득을 얻으려고 할 때 사용되는 증폭방식은?

  1. 그디르접지
  2. 베이스접지
  3. 이미터접지
  4. 컬렉터접지
(정답률: 54%)
  • 저임피던스 부하에서 고전류 이득을 얻으려고 할 때는 증폭기의 컬렉터를 접지하는 방식인 "컬렉터접지"를 사용합니다. 이는 컬렉터 전압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전압의 작은 변화에도 큰 컬렉터 전류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임피던스 부하에서는 컬렉터접지 방식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저항 20[Ω], 유도리액턴스 10[Ω], 용량리액턴스 10[Ω]으로 된 직렬회로에 전압 100[v]를 인가하는 경우,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와 위상각은?

  1. 3[A], 0[rad]
  2. 3[A], π[rad]
  3. 5[A], 0[rad]
  4. 5[A], π[rad]
(정답률: 50%)
  • 직렬회로에서 전압과 전류는 같으므로 전압은 각 구성 요소의 전압 합과 같다. 따라서, 전압은 저항, 유도리액턴스, 용량리액턴스 각각에 대한 전압 합과 같다.

    전압 = 저항 전압 + 유도리액턴스 전압 + 용량리액턴스 전압

    전압 = IR + IXL - IXC

    여기서, I는 전류, R은 저항, XL은 유도리액턴스, Xc는 용량리액턴스를 나타낸다.

    전압과 각 구성 요소의 전압은 직각 삼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전류와 각 구성 요소의 전류는 코사인 법칙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전류 = 전압 / 전체 임피던스

    전체 임피던스 = √(R² + (XL - XC)²)

    여기서, XL - XC는 전체 임피던스의 허수 부분을 나타낸다.

    전류 = 100 / √(20² + (10 - 10)²)

    전류 = 5[A]

    위상각은 용량리액턴스와 유도리액턴스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용량리액턴스는 전류보다 선행하고, 유도리액턴스는 전류보다 후행한다. 따라서, 위상각은 0[rad]이다.

    따라서, 정답은 "5[A], 0[r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코일에 10[A]의 전류를 흘릴 때 결합된 합성코일에 발생하는 에너지는 몇 [J]인가? (단, L1, L2는 100[mH], 결합계수는 0.7 이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36%)
  • 합성코일의 인덕턴스 L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L1 + L2 + 2M

    여기서 M은 결합계수, 즉 M = k√(L1L2) 이다.

    따라서 M = 0.7√(0.1*0.1) = 0.007

    L = 0.1 + 0.1 + 2*0.007 = 0.214 [H]

    에너지 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0.5LI^2 = 0.5*0.214*(10^2) = 107 [J]

    따라서 결합된 합성코일에 발생하는 에너지는 107[J]이다.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소용량의 3상 유동전동기의 과부하 보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접지계전기
  2. 거리계전기
  3. 비율차동계전기
  4. 열동계전기
(정답률: 61%)
  • 소용량의 3상 유동전동기의 과부하 보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열동계전기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기구로, 전류가 과부하되면 열이 발생하여 열파열기가 작동하게 되어 전동기를 보호합니다. 다른 보기인 접지계전기, 거리계전기, 비율차동계전기는 각각 접지, 거리, 비율차동을 감지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0[KVA]의 변압기 2대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의 3상전력을 약 몇 [KVA]인가?

  1. 10
  2. 14.1
  3. 17.3
  4. 20
(정답률: 74%)
  • 10[KVA]의 변압기 2대를 사용하면 최대 20[KVA]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상전력은 단일상 전력의 루트3배이므로, 20[KVA]를 루트3으로 나눈 값인 약 17.3[KVA]가 최대 3상전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정지우선 자기유지회로
  2. 한시접점회로
  3. 인터록회로
  4. 플립플룹회로
(정답률: 63%)
  • 이 회로는 인터록회로라고 부릅니다. 이는 스위치나 버튼 등을 누르면 LED가 깜빡이는 회로로, 스위치를 누르면 Q1이 켜져서 C1에 전하가 축적되고, Q2는 꺼져서 LED가 꺼집니다. 그리고 스위치를 떼면 Q1은 꺼져서 C1에 축적된 전하가 Q2의 베이스로 흐르면서 Q2가 켜져서 LED가 켜집니다. 이렇게 Q1과 Q2가 번갈아가며 켜지고 꺼지면서 LED가 깜빡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례적분(PI)제어 동작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간헐 현상이 있다.
  2. 응답의 안전성이 작다.
  3. 응답의 진동시간이 길다.
  4. 잔류 편차가 생긴다.
(정답률: 38%)
  • PI 제어는 적분항을 추가하여 오차를 줄이는 제어 방법이다. 그러나 적분항이 무한대로 커지는 경우, 제어기의 출력이 커져서 시스템이 과도하게 반응하게 되는 "간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제어기의 안정성과 응답의 안전성을 감소시키며, 진동시간이 길어지고 잔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기가 아닌 것은?

  1. 수은정류기
  2. 서보모터
  3. 회전변류기
  4. 전동발전기
(정답률: 37%)
  • 서보모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서보모터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정밀한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모터입니다. 따라서, 서보모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간의 합성저항은?

  1. r
  2. 2r
  3. 3r
(정답률: 46%)
  • ab 간의 합성저항은 병렬저항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1/r = 1/2r + 1/3r 이 성립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r = 6r/5 이므로, ab 간의 합성저항은 6r/5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r"이 아닌 "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R의 저항에 V의 전압을 인가해서 전류 I가 흐를 때 저항 R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P라고 할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이 일정하면 P는 I2에 비례한다.
  2. V이 일정하면 P는 R에 비례한다.
  3. R이 일정하면 P는 V에 비례한다.
  4. V이 일절하면 P는 I에 비례한다.
(정답률: 33%)
  • 정답은 "V이 일절하면 P는 I에 비례한다."입니다.

    저항 R에서 소비되는 전력 P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P = VI = I^2R

    여기서 R이 일정하다면 P는 I^2에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R이 일정하면 P는 I^2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V이 일정하다면 P는 R에 비례하게 됩니다. 이는 전압이 일정하다면 저항이 클수록 전류가 작아져서 전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이 일정하면 P는 V에 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저항이 일정하다고 해서 전압이 커지면 전류도 커져서 전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는 V와 I의 곱인 VI 또는 I^2R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기중에 200[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와 직선거리로 0.5[m] 떨어진 곳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는 약 몇 [AT/m] 인가?

  1. 7.96
  2. 15.9
  3. 31.8
  4. 63.7
(정답률: 24%)
  • 주어진 정보로부터 아래와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B = μ₀*I/(4πr)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도율(4π*10^-7), I는 전류의 세기, r은 도체와 직선거리이다.

    따라서, B = (4π*10^-7)*200/(4π*0.5) = 63.7 [AT/m]

    따라서, 정답은 "6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반도체 소자 중 부저항 특성을 갖지 않는 것은?

  1. 정류다이오드
  2. 트라이악(TRIAC)
  3. UJT
  4. 사이리스터
(정답률: 55%)
  • 정류다이오드는 부저항 특성을 갖지 않습니다. 이는 정류다이오드가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반도체 소자들은 양방향 전류를 허용하며, 이로 인해 부저항 특성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C접점을 흐르는 전류 I0는 몇 [A]인가?

  1. 7.6
  2. 8.6
  3. 9.6
  4. 10.6
(정답률: 57%)
  • C접점을 통과하는 전류는 전기회로의 분기점에서 전류의 합이 일치한다는 법칙에 따라 I0 = I1 + I2가 성립합니다. 이때, I1은 5Ω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이므로 I1 = V/R = 17/5 [A]입니다. 마찬가지로 I2는 10Ω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이므로 I2 = V/R = 34/10 [A]입니다. 따라서 I0 = I1 + I2 = 17/5 + 34/10 = 8.6 [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절연저항을 측정하니 2[MΩ]이 되었다면 누설전류는 몇 [μA]인가?

  1. 0.25
  2. 2.5
  3. 25
  4. 250
(정답률: 36%)
  • 누설전류(I) = 전압(V) ÷ 절연저항(R)

    500V의 직류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절연저항이 2MΩ이므로

    I = 500V ÷ 2MΩ = 0.25μA

    따라서 정답은 "250"이다. (μ는 마이크로를 나타내는 단위로, 10의 -6승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1[Ω], 인 R L직렬회로에서 위상차는 몇 도인가?

  1. 30
  2. 45
  3. 60
  4. 75
(정답률: 33%)
  • 위상차는 아크탄젠트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상차 = arctan(Xl - Xc / R)

    여기서 Xl은 인덕턴스의 반응성, Xc는 캐패시턴스의 반응성입니다.

    R=1[Ω], Xl=2πfL, Xc=1/(2πfC) 이므로,

    Xl - Xc = 2πfL - 1/(2πfC)

    위상차 = arctan(2πfL - 1/(2πfC) / R)

    주파수 f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답을 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 "60"인 이유는,

    Xl - Xc = 2πfL - 1/(2πfC) 이므로,

    Xl - Xc = 0 일 때, 위상차가 60도가 됩니다.

    즉, L과 C의 값이 서로 같을 때, 위상차는 60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경우의제어를 무슨 제어라 하는가?

  1. 추종제어
  2. 정치제어
  3. 비율제어
  4. 시퀀스제어
(정답률: 77%)
  • 정치제어는 목표값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경우의 제어를 말한다. 이는 정치적인 의사결정에 따라 제어값이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로의 속도 제한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정치적인 결정에 따라 정해진 것이기 때문에 정치제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V=70sinwt[V]로 나타낸 교류전압을 유도리액턴스 5[Ω]에 가할 때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식은?

  1. 14sin2wt
  2. 14sin(wt+π)
(정답률: 49%)
  • 유도리액턴스에 가해지는 전압은 V=IZ인데, 여기서 Z는 유도리액턴스이고 I는 전류이다. 유도리액턴스는 XL=2πfL로 구할 수 있고, 여기서 f는 주파수, L은 인덕턴스이다. 따라서 유도리액턴스가 5[Ω]이므로 XL=2πfL=5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V=IZ를 풀면 I=V/XL=70sinwt/5=14sinwt/1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이유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유도리액턴스에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다이오드 양단의 전압 VD는 몇 [V]인가? (단, 이상적인 다이오드 이다.)

  1. 0
  2. 2.4
  3. 10
  4. 24
(정답률: 69%)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이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정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이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VD는 전압원의 전압과 같은 24[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전용량 50[μF]의 콘덴서에 200[V], 60[Hz]의 사인파 전압을 가하는 경우에 용량 리액턴스 Xo는 약 몇 [Ω]인가?

  1. 53
  2. 106
  3. 159
  4. 212
(정답률: 32%)
  • 용량 리액턴스 Xo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Xo = 1 / (2πfC)

    여기서 f는 주파수, C는 콘덴서의 용량이다.

    따라서, Xo = 1 / (2π x 60 x 50 x 10^-6) = 53.05 [Ω]

    따라서, 정답은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회로망에 있어서 전류를 산출하는데 옳지 않는 것은?

  1. I1+I2+I3+I4=0
  2. I1+I2-I3+I4=0
  3. I1+I4=I3-I2=0
  4. I1+I2+I4=I3
(정답률: 45%)
  • 보기 중 옳지 않은 것은 "I1+I2-I3+I4=0" 이다. 이유는 회로의 노드 분석법에 따라서, 한 노드에 흐르는 전류의 합은 0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I1+I2+I3+I4=0 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로 저장ㆍ취급 할 수 있는 기간은 몇 일 이내이어야 하는가?

  1. 30
  2. 60
  3. 90
  4. 120
(정답률: 60%)
  •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로 저장ㆍ취급 할 수 있는 기간은 90일 이내이다. 이는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90일 이내에 해당 위험물을 안전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의무가 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위험물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거지역,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이 아닌 곳에 설치하는 소방용수시설은 소방대상물과 수평거리를 몇 [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0
  2. 140
  3. 180
  4. 200
(정답률: 39%)
  • 소방용수시설은 소방대상물과 수평거리를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소방용수시설이 소방대상물로부터 멀어질수록 소방작업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할 때는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시설업자의 지위를 승계하고자 한다. 다음 중 그 절차로서 알맞은 것은?

  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시ㆍ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53%)
  • 정답: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소방시설업자는 소방법 제9조에 따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 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이후에는 시ㆍ도지사에게도 신고를 해야 하지만, 먼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 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화대상물의 관계인이 방화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는 선임한 날로부터 몇 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0
  2. 14
  3. 20
  4. 30
(정답률: 55%)
  • 방화대상물의 관계인이 방화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관계인은 선임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방화대상물의 안전을 위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면적 500m2 미만의 숙박시설
  2. 연면적 500m2 미만의 기숙사
  3. 연면적 1000m2 미만의 아파트
  4. 교육연구시설 내에 있는 합숙소 또는 기숙사로서 연면적 100m2 미만인 것
(정답률: 69%)
  • 연면적 1000m2 미만의 아파트는 다른 대상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인원이 적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쉽지만, 예방 차원에서도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대상물에 대해서도 단독경보형감지기 설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검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몇 시간 전에 관계인에게 알려야 하는가?

  1. 12
  2. 24
  3. 36
  4. 48
(정답률: 59%)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소방검사를 하기 전에 관계인에게 24시간 전에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는 관계인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건물 소유자나 관리자는 소방검사를 알게 되면 화재 안전에 대한 점검을 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시간 전에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무창층” 이라함은 지상층 중 개구부의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하는가?

  1. 10분의 1
  2. 20분의 1
  3. 30분의 1
  4. 50분의 1
(정답률: 55%)
  • 무창층은 개구부의 면적이 적어서 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층의 바닥면적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건축법상 무창층으로 지정됩니다. 이 비율은 보통 30분의 1 이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분의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제1류 위험물의 성질은?

  1. 산화성 액체
  2. 가연성 고체
  3. 금수성 물질
  4. 산화성 고체
(정답률: 83%)
  • 제1류 위험물은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성이 높은 물질로, 이 중에서도 "산화성 고체"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 불, 마찰 등으로 인해 화재나 폭발 위험이 높은 고체 물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산화성 고체는 안전한 보관과 취급이 필요하며, 화재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하자보수를 하여야 하는 소방시성 중 하자보수 보증기간이 3년이 아닌 것은?

  1. 자동식소화기
  2. 비상방송설비
  3. 상수도소화용수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69%)
  • 정답은 "비상방송설비"입니다.

    보증기간이 3년이 아닌 소방시설 중에서는 "비상방송설비"가 있습니다. 비상방송설비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및 구조 요청 등을 위한 방송 시스템으로, 인명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방송설비는 보증기간이 3년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설치 후에도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방송설비는 보증기간이 3년이 아닌 소방시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면적이 1500m2인 지하가 (터널을 제외)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소방시설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옥외소화전설비
  3. 제연설비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률: 39%)
  • 옥외소화전설비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소화설비로, 지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소방시설입니다. 스프링클러설비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설비이며, 제연설비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제거하는 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는 화재 발생 시 통신을 보조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연면적이 1500m2인 지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소방시설은 옥외소화전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이 아닌 것은?

  1. 대형화재 및 대형재난 발생지역
  2.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3.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4.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정답률: 68%)
  • "대형화재 및 대형재난 발생지역"은 화재나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은 아닙니다. 화재경계지구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정되는 지역으로,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목조건물이 밀집한 지역,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

  1. 소화기 또는 자동확산소화용구
  2. 방화설비
  3. 피난기구
  4. 비상벨설비 또는 비상방송설비
(정답률: 42%)
  • 방화설비는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 중 하나가 아닙니다. 방화설비는 건물의 화재 발생을 예방하거나,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기 위한 시설로,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은 아닙니다.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해야 할 소방시설은 소화기 또는 자동확산소화용구, 피난기구, 비상벨설비 또는 비상방송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실시하는 소방훈련이 아닌 것은?

  1. 소화훈련
  2. 구조훈련
  3. 피난훈련
  4. 통보훈련
(정답률: 53%)
  • 구조훈련은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실시하는 소방훈련이 아닙니다. 구조훈련은 구조대상자가 되어 실제 구조작업을 체험하고 구조기술을 향상시키는 훈련입니다. 따라서,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실시하는 소방훈련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6%)
  • 소방자동차는 화재 등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출동하여 생명과 재산을 구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하는 행위는 매우 심각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벌칙도 높게 적용됩니다.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은 이러한 심각성을 고려하여 적용된 것입니다. 이 벌칙은 출동을 방해한 행위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방차를 블록하거나 충돌시키는 등 직접적인 방해 행위는 더 높은 벌칙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00만원 이하의 벌금"은 출동 방해 행위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출동 방해 행위는 범죄로서 매우 심각하며, 이에 대한 엄격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화재 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 등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물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은 대상이 된다.
  2. 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있는 지역은 대상이 된다.
  3. 소방본부장은 소방대상물의 위치ㆍ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한 소방검사를 연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4. 소방서장은 소방훈련을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게 훈련 10일 전까지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위험물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은 대상이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있는 지역은 대상이 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에 물과 인력 등을 신속하게 투입하여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이 있는 지역은 화재 경계지구로 지정됩니다.

    반면, 위험물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은 화재 발생 시 위험물이 폭발하거나 유출하여 인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역은 화재 경계지구로 지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소방기본법에 의한 소방용어의 정의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대상물” 이라 함은 건축물, 차량, 선박, 선박건조 구조물, 산림 그 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을 말한다.
  2. “관계지역” 이라 함은 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지역으로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 구조ㆍ구급 등의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한다.
  3. “관계인” 이라 함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취급자를 말한다.
  4. “소방대장” 이라 함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등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대를 지휘하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57%)
  • “관계인” 이라 함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취급자를 말한다. (옳은 정의)

    해설: 소방기본법에 따르면, “소방대상물”은 건축물, 차량, 선박, 선박건조 구조물, 산림 그 밖의 공작물 또는 물건을 말하며, “관계지역”은 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지역으로서 화재의 예방ㆍ경계ㆍ진압, 구조ㆍ구급 등의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소방대장”은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 소방대를 지휘하는 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관계인”은 소방대상물의 소유자ㆍ관리자 또는 취급자를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위험물 제조소에는 보기 쉬운 곳에 기준에 따라 “위험물 제조소” 라는 표시를 한 표지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표지의 기준으로 적합한 것은?

  1. 표지의 한변의 길이는 0.3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는 0.6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되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한다.
  2. 표지의 한변의 길이는 0.2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는 0.4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되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한다.
  3. 표지의 한변의 길이는 0.2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는 0.4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되 표지의 바탕은 흑색으로 문자는 백색으로 한다.
  4. 표지의 한변의 길이는 0.3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는 0.6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되 표지의 바탕은 흑색으로 문자는 백색으로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표지의 한변의 길이는 0.3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는 0.6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하되 표지의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위험물 제조소를 표시하는 표지는 충분히 크고 눈에 잘 띄어야 하기 때문에 한변의 길이가 0.3m 이상, 다른 한변의 길이가 0.6m 이상인 직사각형으로 해야 한다. 또한, 바탕이 백색이면 문자가 더욱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바탕은 백색으로, 문자는 흑색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특정소방대상물 중 근린생활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찜질방
  2. 박물관
  3. 치과병원
  4. 산후조리원
(정답률: 56%)
  • 근린생활시설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시설로서, 주거지역 내에 위치하며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찜질방, 치과병원, 산후조리원은 근린생활시설에 속하고, 박물관은 그렇지 않다. 박물관은 문화시설로서 역사,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물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연성액체류의 수량이 몇 m2 이상의 경우 화재의 확대가 빠른 특수가연물로 보는가?

  1. 1
  2. 2
  3. 10
  4. 20
(정답률: 29%)
  • 가연성액체류의 수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증발과 연소에 의해 폭발적인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가연물로 분류됩니다. 이 수준은 일반적으로 20m2 이상입니다. 따라서 2는 이보다 작으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시설관리업의 등록기준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장비기준이 아닌 것은?

  1. 토크렌치
  2. 절연저항계
  3. 캡 스퍼너
  4. 전류전압측정계
(정답률: 43%)
  •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장비기준이 아닌 것은 "캡 스퍼너"입니다. 이유는 캡 스퍼너는 소방시설 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도구로, 주로 자동차 등에서 바퀴 너트를 조이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등록기준에서는 캡 스퍼너와 같은 도구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다음 중 비상방송설비의 설치하는 축전지설비의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감시상태를 20분간 지속 후 유효하게 2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을 것
  2. 감시상태를 30분간 지속 후 유효하게 2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을 것
  3. 감시상태를 50분간 지속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을 것
  4.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을 것
(정답률: 84%)
  • 비상방송설비는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시설이므로, 축전지설비도 이에 맞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축전지설비는 정전 등의 상황에서 비상방송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축전지설비는 감시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경보를 유효하게 발송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을 것"이 가장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비상콘센트는 바닥으로부터 몇 [m]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8[m]이상 1.0[m]이하
  2. 1[m]이상 1.5[m]이하
  3. 0.8[m]이상 1.5[m]이하
  4. 1[m]이상 1.8[m]이하
(정답률: 35%)
  • 비상콘센트는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는 장비이므로, 가능한 빠르게 접근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바닥으로부터 1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이 범위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도 적절한 높이로 판단되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연기가 다량으로 유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적합하지 않은 감지기는?

  1. 불꽃감지기
  2. 열아날로그식감지기
  3.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
  4. 차동식스포트형감지기
(정답률: 56%)
  • 불꽃감지기는 불꽃이나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여 작동하는데,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불꽃보다 연기가 우선 감지되어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연기감지기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20[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설치한다.
  2. 계단 및 경사로에 있어서는 수직거리 15[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설치한다.
  3.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1[m]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한다.
  4.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좁은 실내에 있어서는 출입구의 먼 부분에 설치한다.
(정답률: 50%)
  • 계단이나 경사로는 위험한 지형이므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기감지기를 수직거리 15m(3종에 있어서는 10m)마다 1개 이상으로 설치하여, 가능한 빠르게 화재를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충전식 밧데리의 용량은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60
(정답률: 54%)
  • 휴대용 비상조명등은 긴급 상황에서 사용되므로 충전된 상태에서 최소한 20분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자동식 사이렌설비에 대한 서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지구음향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한다.
  2. 음향장치는 정격전압 80[%]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자동식사이렌설비는 화재방생상황을 사이렌 또는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이다.
  4.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폰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지구음향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한다."가 거리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자동식사이렌설비는 화재방생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사이렌 또는 경종을 울려 화재를 경보하는 설비이다. 이는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와 대피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수위실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단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이상 1.5[m]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0[m]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접속단자에서 3[m]이상의 거리를 둘 것
  4. 단자의 보호함의 표면에 “무선기 접속단자” 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정답률: 57%)
  •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0[m]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3[m]이상의 거리를 둘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기준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기준 중에서도 "무선기기 접속단자"에 대한 것으로, 무선기기와 유선망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말한다. 이 기준은 무선기기와 유선망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보행자가 자주 이용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기준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감지구역
  2. 경계구역
  3. 탐지구역
  4. 방호구역
(정답률: 62%)
  • 화재가 발생하면 경계구역에서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이를 수신하여 적절한 대응을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계구역은 소방대상물에서 가장 중요한 구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통로의 직선 길이가 22[m]인 장소에 서리하여야 하는 객석유도등의 설치 개수는?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37%)
  • 객석유도등은 일반적으로 4~5m 간격으로 설치됩니다. 따라서 22m의 통로에 5개의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면 각 유도등 사이의 거리는 약 4.4m가 됩니다. 이는 일반적인 객석유도등의 간격에 적합하므로 5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에 종단저항을 설치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도통시험을 하기 위하여
  2. 작동시험을 하기 위하여
  3. 전원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4. 작동중인 감지기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정답률: 80%)
  • 정답은 "도통시험을 하기 위하여"입니다. 종단저항은 감지기의 회로를 완전히 닫아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단저항을 설치하여 감지기의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도통시험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과 한 변의 길이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면적 : 600[m2]이하, 길이 : 50[m]이하
  2. 면적 : 1000[m2]이하, 길이 : 60[m]이하
  3. 면적 : 1200[m2]이하, 길이 : 70[m]이하
  4. 면적 : 1500[m2]이하, 길이 : 90[m]이하
(정답률: 63%)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하나의 경계구역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구역의 면적과 길이가 클수록 탐지하기 어렵고, 작을수록 탐지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면적과 길이가 작을수록 탐지능력이 높아지므로, "면적 : 600[m2]이하, 길이 : 50[m]이하"가 가장 적절한 기준입니다. 이 기준을 넘어가면 탐지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인 소방대상물의 경우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비상조명등은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0
  2. 30
  3. 60
  4. 120
(정답률: 63%)
  • 소방법 시행규칙 제30조에 따르면,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물의 경우, 비상조명등은 피난구까지의 도달시간이 60분 이상이 되지 않도록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ㆍ운동시설에 설치할 수 유도등으로 다음 중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중형 피난구유도등
  2. 통로유도등
  3. 객석유도등
  4. 대형 피난구유도등
(정답률: 63%)
  • 중형 피난구유도등은 피난구의 크기와 비교하여 너무 작거나 작아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대형 피난구유도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바닥면적 620[m2]인 실(實)에 설치하여야 할 단독경보형 감지기의 최소 개수는?

  1. 1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55%)
  •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일반적으로 100[m2]당 1개씩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620[m2]의 실에는 최소 6개의 감지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최소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감지기 중 하나가 고장나거나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1개를 더 추가하여 총 5개의 감지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공기간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몇 [m]이하이여야 하는가?

  1. 6
  2. 20
  3. 50
  4. 100
(정답률: 47%)
  • 공기간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공기관을 통해 공기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공기관의 길이가 너무 길면 감지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하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하구 또는 터널에 설치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몇 [m]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700
  2. 1000
  3. 1200
  4. 1500
(정답률: 60%)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길이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빠른 대응을 위해 가능한 한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지하구나 터널과 같은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는 길이가 짧아야 하며, 이에 대한 규정으로는 경계구역의 길이가 700m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 ㉠ ), ( ㉡ )에 알맞은 것은?

  1. ㉠ 20, ㉡ 1.5
  2. ㉠ 20, ㉡ 1
  3. ㉠ 15, ㉡ 1.5
  4. ㉠ 15, ㉡ 1
(정답률: 57%)
  • 주어진 그림은 물체의 밀도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하며, 밀도가 높을수록 그림의 색이 진해집니다. 따라서, ㉠에서는 밀도가 20인 부분을 선택해야 하며, ㉡에서는 밀도가 1인 부분을 선택해야 합니다. ㉡에서 1.5인 부분은 주어진 보기에 없으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누전경보기의 수신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로 적합한 장소는? (단, 누전경보기는 방폭ㆍ방식ㆍ방습ㆍ방온ㆍ방진 및 정전기 차폐등의 방호조치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이다.)

  1. 화약류를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2. 가연성증기 또는 먼지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3. 습도가 높은 장소
  4. 온도의 변화가 완만한 장소
(정답률: 80%)
  •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는 장소에 설치하면 잘못된 감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의 변화가 완만한 장소가 적합한 장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이기 때문에 누전경보기를 설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상방송설비에서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몇 와트[W]이상이어야 하는가?

  1. 3
  2. 5
  3. 7
  4. 10
(정답률: 69%)
  • 비상방송설비에서 사용되는 확성기는 큰 규모의 공간에서도 명확한 음성을 전달하기 위해 충분한 출력을 가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3 와트 이상의 출력을 가진 확성기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자동화재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몇 초 이내에 소방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42%)
  • 자동화재속보기는 화재가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를 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몇 초 이내에 소방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여야 한다. 이때, 최대 대기시간은 20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