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공기 중의 산소는 용적으로 약 몇 % 정도 인가?

  1. 15
  2. 21
  3. 28
  4. 32
(정답률: 88%)
  • 공기 중의 산소는 약 21% 정도이다. 공기는 주로 질소(N2)와 산소(O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기체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외에도 아르곤,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의 다른 기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산소(O2)는 약 21% 정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2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화재실에 급격히 산소가 공급이 될 경우 순간적으로 연소하여 화재가 폭풍을 동반하여 실외로 분출하는 현상은?

  1. 후래쉬 오버
  2. 보일 오버
  3. 백 드래프트
  4. 슬롭 오버
(정답률: 79%)
  • 백 드래프트는 화재실 내부의 산소가 고갈되어 연소가 불가능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공급되면, 화재실 내부의 고온 가스가 폭발적으로 확장하여 실외로 분출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화재가 진압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다가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것으로, 화재 진압 작업 중에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험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유황
  2. 탄화칼슘
  3. 황린
  4. 이황화탄소
(정답률: 64%)
  • 금수성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와 메탄가스를 생성하며, 이 과정에서 열과 가스가 발생하여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화칼슘은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 물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불타고 있는 유루화재 표면을 포소화약제로 덮어 소화하는 주된 소화법은?

  1. 냉각소화
  2. 질식효과
  3. 연료제거 소화
  4. 연쇄반응차단 소화
(정답률: 83%)
  • 질식효과는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막는 소화법입니다. 불타고 있는 유루화재 표면을 포소화약제로 덮어 불에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막아 불을 꺼내는 것이 주된 소화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질식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안전을 위해서 물속에 저장하는 물질은?

  1. 나트륨
  2. 칼륨
  3. 이황화탄소
  4. 과산화나트륨
(정답률: 79%)
  • 이황화탄소는 물속에 저장될 때 물과 반응하여 황산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기 때문에 물속에서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습니다. 반면, 나트륨과 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고,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접촉하면 폭발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물속에 저장하기에는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연소범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범위에는 상한값과 하한값이 있다
  2. 온도가 올라가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3.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폭발의 위험이 크다
  4. 연소범위는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79%)
  •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폭발의 위험이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연소범위가 좁다는 것은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오히려 폭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엔진에서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정확하게 맞지 않으면 폭발 대신에 엔진이 갑자기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며, 폭발의 위험은 오히려 연소범위가 넓을 때 더 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은 보
  2. 옥외 계단
  3. 지붕틀
  4. 최하층 바닥
(정답률: 78%)
  • 지붕틀은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 중 하나로, 건물의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다른 보기인 작은 보, 옥외 계단, 최하층 바닥은 건물의 구조와 관련이 있지만, 지붕틀만큼 주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코크스의 일반적인 연소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분해연소
  2. 증발연소
  3. 표면연소
  4. 자기연소
(정답률: 81%)
  • 코크스는 고체 형태이기 때문에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표면에 있는 분자들이 기체 상태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표면연소라고 합니다. 따라서 코크스의 일반적인 연소형태는 표면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연물이 서서히 산화되는 축적된 열에 의해 발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해연소
  2. 자기연소
  3. 자연발화
  4. 폭굉
(정답률: 69%)
  • 가연물이 서서히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발화하는 현상을 자연발화라고 한다. 이는 외부적인 영향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가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분해연소나 자기연소와는 다른 개념이다. 폭굉은 폭발적인 연소로 인한 현상이므로 자연발화와도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점화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충격마찰
  2. 대기압
  3. 정전기불꽃
  4. 전기불꽃
(정답률: 93%)
  • 점화원이란 물질을 불태워 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대기압은 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대기압은 공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충격마찰, 정전기불꽃, 전기불꽃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대기압은 점화원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LPG 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체 비중이 공기보다 무겁다.
  2. 순수한 LPG 는 강한 자극적 냄새를 가지고 있다.
  3. 상온,상압에서 기체이다
  4. 액체상태의 LPG가 기화하면 체적이 증가한다.
(정답률: 65%)
  • 순수한 LPG는 강한 자극적 냄새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LPG에는 냄새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서 가스 누출 시 냄새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에 해당하는 것은?

  1. NH4H2PO4
  2. HaHCO3
  3. KHCO3+(NH2)2CO
  4. KHCO3
(정답률: 88%)
  •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화재 발생 시 산화물을 분해하여 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알칼리성 물질과 산성 물질이 혼합되어 있어야 합니다. NH4H2PO4은 약산성 물질로, 이것이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표준상태에서 44.8m3 의 용적을 가진 이산화탄소가스를 모두 액화하면 몇 ㎏ 인가?

  1. 88
  2. 44
  3. 22
  4. 11
(정답률: 49%)
  • 이산화탄소의 표준상태에서의 밀도는 1.98 kg/m³ 이다. 따라서 44.8 m³ 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액화하면 44.8 x 1.98 = 88.704 kg 가 된다.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88 kg 이므로 정답은 "8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B급 화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목탄의 연소
  2. 등유의 연소
  3. 아마인유의 연소
  4. 알코올류의 연소
(정답률: 90%)
  • 목탄은 고온에서 연소하지 않고, 산화되어 연소합니다. 따라서 B급 화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제4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가솔린
  2. 메틸알코올
  3. 아닐린
  4. 트리니트로톨루엔
(정답률: 73%)
  • 메틸알코올, 아닐린, 트리니트로톨루엔은 모두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지만, 가솔린은 제4류 위험물이 아닙니다. 가솔린은 인화성이 있지만, 제4류 위험물의 기준인 폭발성과 강한 자극성을 갖추지 않기 때문입니다. 트리니트로톨루엔은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폭발성과 강한 자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산화탄소가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부피당의 무게가 공기보다 가볍다.
  2. 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이다
  3. 불연성이다.
  4. 전기 절연성이다.
(정답률: 67%)
  • 이산화탄소가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위 부피당의 무게가 공기보다 가볍다." 이다. 이유는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단위 부피당의 무게가 공기보다 무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화점(flash point)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가연성 액체가 증기를 계속 발생하여 연소가 지속될 수 있는 최저온도
  2. 가연성 증기 발생시 연소범위의 하한계에 이르는 최저온도
  3. 고체와 액체가 평행을 유지하며 공존할 수 있는 온도
  4. 가연성 액체의 포화증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는 온도
(정답률: 72%)
  •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가 증기를 발생시켜 연소가 가능한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증기 발생시 연소범위의 하한계에 이르는 최저온도"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0℃ 얼음의 용융잠열과 100℃ 물의 증발잠열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1㎈/g, 22.4㎈/g
  2. 1㎈/g, 539㎈/g
  3. 80㎈/g, 22.4㎈/g
  4. 80㎈/g, 539㎈/g
(정답률: 72%)
  • 0℃ 얼음의 용융잠열은 80㎈/g이고, 이는 얼음 1g을 녹일 때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낸다. 즉, 얼음이 녹을 때 주변으로부터 80㎈의 열이 흡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100℃ 물의 증발잠열은 539㎈/g이다. 이는 물 1g을 증발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을 나타낸다. 즉, 물이 증발할 때 주변으로부터 539㎈의 열이 흡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80㎈/g, 539㎈/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인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1. 칼슘
  2. 아세톤
  3. 마그네슘
  4. 탄화칼슘
(정답률: 74%)
  •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며, 이 과정에서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연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칼슘, 아세톤, 마그네슘은 이와 같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장기간 방치하면 습기, 공온 등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고, 분해열이 축적되면 자연방화 위험성이 있는 것은?

  1. 셀롤로이드
  2. 질산나트륨
  3. 과망간산칼륨
  4. 과염소산
(정답률: 89%)
  • 셀롤로이드는 인조 고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장기간 방치하면 습기와 공온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고 분해열이 축적되면서 자연방화 위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질산나트륨, 과망간산칼륨, 과염소산은 모두 산화제이지만, 셀롤로이드와 같은 유기물에 대한 분해작용은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자연방화 위험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몇 [w] 인가?

  1. 60[W]
  2. 90[W]
  3. 120[W]
  4. 150[W]
(정답률: 61%)
  • 전압과 전류를 곱하여 전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압: 12V
    전류: 10A

    전력 = 전압 x 전류 = 12V x 10A = 120W

    따라서, 소비되는 전력은 12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변압기 여자 전류에 가장 많이 포함된 고조파는?

  1. 제2고조파
  2. 제3고조파
  3. 제4고조파
  4. 제5고조파
(정답률: 79%)
  • 변압기에서 여자 전류에 가장 많이 포함된 고조파는 제3고조파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자기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고조파 중에서 가장 큰 진폭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제3고조파는 전력 손실을 유발하므로, 변압기 설계 시에는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회로에서 전류 I 의 값은 몇 [A] 인가?

  1. 약 0.96[A]
  2. 약 1.61[A]
  3. 약 1.82[A]
  4. 약 1.94[A]
(정답률: 69%)
  • 전류의 크기는 전압과 저항에 비례한다는 오므로, 전압과 저항을 구해서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회로에서 전압은 12[V] 이고, 저항은 7.45[Ω] 이므로, 전류는 I = V/R = 12/7.45 약 1.61[A]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61[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류의 열작용과 관계가 있는 법칙은?

  1. 키르히호프의 법칙
  2. 줄의 법칙
  3. 플레밍의 법칙
  4. 옴의 법칙
(정답률: 83%)
  • 전류의 열작용과 관련된 법칙 중에서, "줄의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전압이나 저항이 어떻게 분배되는지를 설명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각 점에서의 전압이 합쳐지면 전체 전압이 되고, 각 점에서의 저항이 합쳐지면 전체 저항이 되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전류의 열작용과 관련된 법칙 중에서 "줄의 법칙"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심벌의 명칭은?

  1. 열동 과전류계전기 접점
  2. 수동 접점(토글스위치)
  3. 기계적 접점(리미트 스위치)
  4. 계전기 접점
(정답률: 68%)
  • 이 심벌은 "열동 과전류계전기 접점"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전기 회로에서 과전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접점으로, 열동 과전류계전기에 사용됩니다. 이 심벌은 일반적으로 고전압 회로에서 사용되며, 과전류가 발생하면 접점이 열리고 회로가 차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강자성체인 것은?

  1. 니켈
  2. 알루미늄
  3. 구리
(정답률: 77%)
  • 강자성체는 자기장을 유지하는 능력이 강한 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니켈은 다른 보기들보다 자기장을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강자성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세 변의 저항 Ra=Rb=Rc=15[Ω]인 Y결선 회로가 있다. 이것과 대응한 △결선 회로의 각 변의 저항 [Ω]은?

  1. 5[Ω]
  2. 10[Ω]
  3. 25[Ω]
  4. 45[Ω]
(정답률: 49%)
  • Y결선 회로에서, △결선 회로의 각 변의 저항은 Y결선 회로의 세 변의 저항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AB = Ra + Rb = 15[Ω] + 15[Ω] = 30[Ω]

    RBC = Rb + Rc = 15[Ω] + 15[Ω] = 30[Ω]

    RCA = Rc + Ra = 15[Ω] + 15[Ω] = 30[Ω]

    따라서, △결선 회로의 각 변의 저항은 모두 30[Ω]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45[Ω]"이 아니므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5[mH]와 100[mH]의 두 인덕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합성 인덕턴스는 몇 [mH] 인가?

  1. 20[mH]
  2. 40[mH]
  3. 75[mH]
  4. 85[mH]
(정답률: 57%)
  • 두 인덕턴스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L = 1/L1 + 1/L2

    여기서 L1 = 25[mH], L2 = 100[mH] 이므로,

    1/L = 1/25 + 1/100 = 0.04

    L = 1/0.04 = 25[mH]

    따라서, 합성 인덕턴스는 25[m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덕턱스의 측정에 사용되는 브리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맥스웰 브리지(Maxwell Bridge)법
  2. 셰링 브리지(Schering Bridge)법
  3. 헤비사이드 브리지(Heaviside Bridge)법
  4. 헤비 브리지(Hay Bridge)법
(정답률: 55%)
  • 셰링 브리지(Schering Bridge)법은 인덕턴스 측정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디-전기율 측정에 사용되는 브리지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셰링 브리지(Schering Bridge)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류가 흐르고 있는 도체에 자계를 가하면 도체 측면에는 정부의 전하가 나타나 두 면 간의 전위차가 발생하는 현상은?

  1. 홀효과
  2. 톰슨효과
  3. 핀치효과
  4. 제벡효과
(정답률: 53%)
  • 홀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계를 가하면, 도체 내부에서 전자의 운동방향이 바뀌어 정류가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자의 스핀과 운동량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홀효과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에 의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홀효과"입니다. 톰슨효과는 전자가 충돌하여 방향이 바뀌는 현상, 핀치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서 자기장이 생기고 그 자기장이 도체를 압축하여 생기는 현상, 제벡효과는 빛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생기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c,d점 사이의 전위차[V]는?

  1. 15[V]
  2. 30[V]
  3. 45[V]
  4. 60[V]
(정답률: 53%)
  • c와 d는 같은 전위선상에 있으므로 전위차는 c에서 d로 가는 경로에 따라 결정된다. c에서 d로 가는 경로는 c → a → b → d 이므로, c와 d 사이의 전위차는 c에서 a까지의 전위차(30V)와 a에서 d까지의 전위차(15V)를 더한 값인 45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V]"가 아닌 "1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계자권선이 전기자에 병렬로만 연결되어 있는 직류기는 어느 것인가?

  1. 직권기
  2. 복권기
  3. 분권기
  4. 타여자기
(정답률: 68%)
  • 분권기는 계자권선이 전기자에 병렬로만 연결되어 있는 직류기이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조로, 전기 회로에서 많이 사용된다. 직권기와 복권기는 계자권선과 전기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분권기와는 구조가 다르다. 타여자기는 전기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생성하는 기기로, 분권기와는 용도와 구조가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전류 I 는 몇 [A] 인가?

  1. 4[A]
  2. 6[A]
  3. 8[A]
  4. 12[A]
(정답률: 80%)
  • 전류의 크기는 전류계를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는 전류계가 R1과 R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R1과 R2를 통과하는 전류가 전류계에 의해 측정됩니다.

    전류의 크기는 전압과 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이 24V이고, 저항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합하여 6Ω이 됩니다. 따라서, 오므리의 법칙에 따라 전류는 I = V/R = 24/6 = 4[A]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A]"가 되어야 합니다. "6[A]", "8[A]", "12[A]"는 모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회로 소자에 전압을 가했더니 흐르는 전류가 인가한 전압과 동일한 위상이었다. 이회로 소자는?

  1. 커패시턴스
  2. 인덕턴스
  3. 서셉턴스
  4. 저항
(정답률: 61%)
  •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일하다는 것은 전압과 전류가 같은 주기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저항이 있는 회로에서만 가능합니다. 커패시턴스나 인덕턴스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 차이를 유발하므로, 서셉턴스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내부저항이 무한대인 전압계로 그림 A-B간의 전압을 측정하면 몇 [V] 인가?

  1. 0[V]
  2. 1.0[V]
  3. 1.5[V]
  4. 3[V]
(정답률: 61%)
  • 내부저항이 무한대인 전압계는 외부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A-B간의 전압은 그대로 전압계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A-B간의 전압은 3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원에 저항이 각각 R[Ω]인 저항을 △ 결선으로 접속시킬 때와 Y결선으로 접속시킬 때, 선전류의 비는?

(정답률: 52%)
  • Y결선으로 접속할 때 선전류의 비는 1:√3 이다. 이는 Y결선이 △결선보다 더 많은 경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Y결선은 각각의 저항이 다른 두 개의 점에서 만나는 중앙점을 가지며, 이 중앙점을 통해 더 많은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Y결선은 △결선보다 더 효율적인 전기 회로를 형성하며, 선전류의 비가 더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m[Wb]의 자극을 자장의 세기가 H[AT/m]인 곳에 놓았을 때 작용하는 힘 F는 몇[N] 인가?

  1. F=mH
(정답률: 66%)
  • 정답은 "F=mH"이다.

    자장의 세기 H는 자기장이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자극 m이 H의 크기에 영향을 받아 작용하는 힘 F는 m과 H의 곱인 F=mH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자극 m이 주어졌을 때 자장의 세기 H가 클수록 작용하는 힘 F도 커지게 된다. 이는 자기장이 강할수록 자극에 대한 반응이 더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평행판 콘덴서에서 판사이의 거리를 1/2로 하고 판의 면적을 2배로 하면 그 정전용량은 어떻게 되는가?

  1. 1/4로 된다.
  2. 1/2로 된다.
  3. 4배로 된다.
  4. 8배로 된다.
(정답률: 84%)
  • 평행판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판 사이의 거리와 판의 면적에 비례한다. 거리가 1/2로 줄어들면 정전용량은 2배가 된다. 면적이 2배로 늘어나면 정전용량은 또 2배가 된다. 따라서 거리와 면적의 변화를 고려하면 정전용량은 2 x 2 = 4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어요소의 동작 중 연속동작이 아닌 것은?

  1. P동작
  2. PD 동작
  3. PI 동작
  4. ON-OFF 동작
(정답률: 88%)
  • ON-OFF 동작은 제어 대상의 상태를 측정하여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제어기가 출력을 켜고, 기준치 이하이면 출력을 끄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연속적인 제어가 아닌 이산적인 제어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P동작, PD 동작, PI 동작은 모두 연속적인 제어 방식으로, 제어기의 출력이 시간에 따라 조절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가전압을 변화시켜서 전동기의 회전수를 800[rpm]으로 하고자 한다. 이 경우에 회전수는 어느 용어에 해당되는가?

  1. 목표값
  2. 기준값
  3. 조작량
  4. 제어량
(정답률: 51%)
  • 회전수는 제어량에 해당한다. 제어량은 제어 시스템에서 조작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변수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인가전압을 조작하여 회전수를 제어하고자 하기 때문에 회전수는 제어량에 해당한다. 목표값은 원하는 값, 기준값은 비교 대상이 되는 값, 조작량은 제어 시스템에서 조작하는 양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때에는 선임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관할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4일
  3. 21일
  4. 30일
(정답률: 67%)
  •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관할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신속하게 안전관리자의 선임 사실을 알리고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4일 이내에 신고하지 않으면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등을 총칭하는 용어로 규정된 것은?

  1. 방화시설
  2. 소방시설
  3. 소화시설
  4. 방재시설
(정답률: 73%)
  • 소방시설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 등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방화시설"은 화재를 일으키는 시설을 의미하고, "소화시설"은 소화를 위한 시설을 의미하며, "방재시설"은 재해를 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력(消防力)의 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기관이 소방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장비 등에 관한 기준이다.
  2. 소방본부장은 관할구역 내의 소방력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3. 소방자동차 등 소방장비의 분류·표준화와 그 관리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4. 소방력의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43%)
  • 소방력의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이 아니라 소방법 제9조에 따라 시·도지사가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소방력의 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소방본부장은 관할구역 내의 소방력 확충을 위해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소방력의 기준에 관한 사항 중 하나이다. 이는 소방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가진 사람
  2.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경찰공무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산업안전산업기사 또는 전기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사람
(정답률: 77%)
  • 경찰공무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은 소방안전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부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소방용품 중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염제
  2. 수동식 소화기
  3. 소방호스
  4. 송수구
(정답률: 58%)
  • 방염제는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방염제가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방염제는 화재 발생 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 소화설비 중 하나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소화설비를 대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방염제는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소화설비를 구성하는 제품 또는 기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상주 공사감리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일반적인 연면적 기준은? (단, 아파트는 제외한다.)

  1. 연면적 5000[m2]이상
  2. 연면적 1만[m2]이상
  3. 연면적 2만[m2]이상
  4. 연면적 3만[m2]이상
(정답률: 49%)
  • 상주 공사감리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일반적인 연면적 기준은 "연면적 3만[m2]이상"이다. 이는 대규모 상업시설이나 공공시설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성을 고려한 것이다. 연면적이 3만[m2] 이상인 건물은 대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가 크기 때문에, 상주 공사감리를 통해 화재 예방 및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러한 기준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경보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무선통신보조설비
  2. 비상방송설비
  3. 비상콘센트설비
  4. 연소방지설비
(정답률: 79%)
  • 경보설비는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경보를 발송하는 설비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비상방송설비는 대중에게 긴급한 정보를 전달하고 안전한 대처를 돕기 위해 사용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비상방송설비가 경보설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개구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구부의 크기가 반지름 30[㎝]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
  2. 해당 층의 바닥면적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 높이가 1.2[m]이내일 것
  3. 개구부는 도로 또는 차량의 진입이 가능한 빈터를 향할 것
  4. 화재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것
(정답률: 72%)
  • "개구부의 크기가 반지름 30[㎝]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을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개구부의 크기가 반지름 30[㎝] 이상의 원이 내접할 수 있는 이유는, 개구부의 최소 직경이 60[㎝]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내접하는 원의 직경은 원의 반지름의 2배이므로, 반지름 30[㎝] 이상의 원은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아질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방시설업(설계, 감리업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등록사항의 변경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한다.
  2. 감리결과의 보고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공사가 완료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3. 소방감리업자가 등록이 취소된 경우에는 그 처분 내용을 지체 없이 발주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4. 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등에서 공법 등에서 특수한 설계인 경우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심의를 요청한다.
(정답률: 58%)
  • 소방감리업자가 등록이 취소된 경우에는 발주자가 해당 업체를 계속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 처분 내용을 지체 없이 발주자에게 통보하여 다른 업체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발주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방기본법상 도시의 건물밀집지역 등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지역을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사람은로 옳은 것은?

  1. 소방방재청장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3. 행정안전부장관
  4. 시·도지사
(정답률: 69%)
  • 화재경계지구는 소방기본법상 시·도지사가 지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도지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행정안전부장관은 소방기본법상 화재경계지구를 지정할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방시설공사업자가 착공신고한 사항 가운데 중요한 사항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신고서를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에게 변경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30일
  2. 14일
  3. 10일
  4. 7일
(정답률: 36%)
  • 소방시설공사업자가 착공신고한 사항 중요한 사항이 변경된 경우, 변경신고서를 소방서장 또는 소방본부장에게 변경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변경된 사항이 시공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제4류 위험물의 적응 소화설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
  2. 물분무소화설비
  3. 포소화설비
  4.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정답률: 48%)
  • 제4류 위험물은 화재 발생 시 폭발, 화재 확산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소화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제4류 위험물의 적응 소화설비로는 포소화설비와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가 주로 사용됩니다. 물분무소화설비는 일반적인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설비이므로 제4류 위험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옥내소화전설비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특정소방대상물 중 근린생활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m2]인 슈퍼마켓
  2. 바닥면적의 합계가 1200[m2]인 자동차영업소
  3. 바닥면적의 합계가 450[m2]인 골프연습장
  4.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2]인 공연장
(정답률: 67%)
  • 근린생활시설은 주거지역 내에 위치하며,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시설로서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합니다. 골프연습장은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므로 근린생활시설에 해당됩니다. 또한 바닥면적의 합계가 450[m2]로 작은 편이므로 상업시설보다는 근린생활시설에 더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안전교육사의 배치 대상별 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방방재청 : 2명 이상 배치
  2. 소방본부 : 2명 이상 배치
  3. 소방서 : 1명 이상 배치
  4. 한국소방안전협회(본회) : 1명 이상 배치
(정답률: 64%)
  • 옳지 않은 것은 "한국소방안전협회(본회) : 1명 이상 배치"입니다. 이유는 한국소방안전협회(본회)는 교육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소방안전교육사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관에는 소방안전교육사를 배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안전교육사가 수행하는 소방안전교육의 업무에 직접적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방안전교육의 분석
  2. 소방안전교육의 기획
  3. 소방안전관리자 양성교육
  4. 소방안전교육의 평가
(정답률: 67%)
  • 소방안전교육사는 소방안전교육의 분석, 기획, 평가 등 소방안전교육 전반에 걸쳐 업무를 수행하지만, 소방안전관리자 양성교육은 소방안전교육사가 아닌 다른 전문가들이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화재의 조사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소방공무원과 국가경찰공무원은 화재조사를 할 때에는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2. 소방방재청장, 소방본부장, 소방서장은 화재가 발생한 때에는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한 조사를 하여야 한다.
  3. 소방방재청장은 수사기관이 방화 또는 실화의 혐의가 있어서 증거물을 압수한 때에는 화재조사를 위하여 압수된 증거물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4. 화재조사의 방법 및 전담조사반의 운영과 화재조사자의 자격 등 화재조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60%)
  • "화재조사의 방법 및 전담조사반의 운영과 화재조사자의 자격 등 화재조사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가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이 내용은 화재조사에 대한 법적 근거인 '소방법' 제31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내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종합정밀점검 점검자의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방시설관리사가 선임된 소방시설관리사
  2.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시설관리사
  3.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기술사
  4.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기사
(정답률: 56%)
  •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소방설비기사"는 종합정밀점검 점검자의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이 필요한데, 소방설비기사는 해당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

  1.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
  2. 소방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지 아니한 자
  3. 피난시설, 방화구획 또는 방화시설의 패쇄·훼손변경 등의 행위를 한자
  4. 소방시설 등의 점검결과를 보고하지 아니한 자
(정답률: 45%)
  • 과태료 부과 대상이 아닌 것은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아니한 자"입니다. 이는 소방법 제25조에 따라 시설물 소유자 또는 관리자가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방법 위반 사항으로 과태료 부과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반음식점에서 음식조리를 위해 불을 사용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지켜야 하는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방시설에 동물 또는 식물의 기름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설치하였다.
  2. 열이 발생하는 조리기구를 선반으로부터 0.6[m]떨어지게 설치하였다.
  3. 주방설비에 부속된 배기닥트 재질을 0.2[mm] 아연도금 강판으로 사용하엿다.
  4. 가연성 주요 구조부를 단열성이 있는 불연 재료로 덮어씌웠다.
(정답률: 66%)
  • "열이 발생하는 조리기구를 선반으로부터 0.6[m]떨어지게 설치하였다."는 옳은 사항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구와 선반이 충돌하지 않도록 0.5m 이내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주방설비에 부속된 배기닥트 재질을 0.2[mm] 아연도금 강판으로 사용한 이유는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 처리를 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시설 등록사항의 변경시 시.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명칭·상호 또는 영업소의 소재지 변경
  2. 자산규모 변경
  3. 기술인력 변경
  4. 대표자 변경
(정답률: 66%)
  • 소방시설 등록사항의 변경시에는 시.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할 사항이 많지만, 자산규모 변경은 그 중에서 신고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자산규모 변경이 소방시설의 안전성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변경사항들은 소방시설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시.도지사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누전경보기의 전원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여야 한다.
  2.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20[A]이하의 것으로 각극을 개폐할 수 있어야 한다.
  3. 각극에 개폐기 및 15[A]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전원을 분기할 때에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
(정답률: 79%)
  • "전원을 분기할 때에는 다른 차단기에 따라 전원이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누전경보기의 전원 분기 방식 중 하나인 "독립분기" 방식에서만 해당되는 내용이다. 다른 분기 방식인 "공동분기" 방식에서는 다른 차단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해당 내용은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 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차단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은?

  1. 전용분전반
  2. 전용배전반
  3. 공용배전반
  4. 전용수전반
(정답률: 72%)
  •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는 소방회로 전용으로 사용되는 분기 개폐기, 분기 과전류차단기, 그 밖의 배선용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전용분전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용분전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음성입력은 최소 몇 [W] 이상이여야 하는가?

  1. 1[W]
  2. 2[W]
  3. 3[W]
  4. 4[W]
(정답률: 84%)
  •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최소 1[W] 이상의 음성입력이 필요하다. 이는 실내의 소음과 각종 장애물로 인해 음성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음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 1[W] 이상의 출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 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분
  2. 60분
  3. 20분
  4. 30분
(정답률: 81%)
  •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는 긴급 상황에서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설비는 전기가 차단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 전기가 차단되거나 고장이 발생해도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때, 축전지설비의 용량이 작으면 긴급 상황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용량의 축전지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에는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이 때 축전지 용량은 60분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유도등 설치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객석유도등은 객석의 통로, 바닥, 벽, 천장에 설치하여야 한다.
  2. 객석유도등의 조도는 통로바닥의 중심선의 0.5[m] 높이에서 측정하여 0.2[lx]이상이여야 한다.
  3. 복도통로 유도등은 구부런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 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4. 피난구유도등은 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이상의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객석유도등은 객석의 통로, 바닥, 벽, 천장에 설치하여야 한다."이 맞는 설명이다. 이유는 객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황에서 대피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도등이 객석 내부의 여러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대피 경로를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누전경보기의 기능 중 누설 전류를 유기한 변류기의 미소전압을 수신하여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경보장치
  2. 수신기
  3. 차단릴레이
  4. 음향장치
(정답률: 74%)
  • 누전경보기는 누설 전류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데, 이때 미소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해 수신기가 필요합니다. 수신기는 미세한 전압을 감지하여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누전경보기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기가 누전경보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상식 스프트형 감지기의 작동시험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종인 경우에는 실온보다 20℃ 높은 온도이고 풍속이 70[㎝/sec]인 수직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30초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2. 2종인 경우에는 실온보다 30℃ 높은 온도이고 풍속이 85[㎝/sec]인 수직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4.5분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3. 1종인 경우에는 실온에서부터 매분 10℃의 직선적인 비율로 상승하는 수평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4.5분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4. 2종인 경우에는 실온에서부터 매분 20℃의 직선적인 비율로 상승하는 수평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4.5분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정답률: 28%)
  • 보상식 스프트형 감지기의 작동시험에서 옳지 않은 것은 "2종인 경우에는 실온에서부터 매분 20℃의 직선적인 비율로 상승하는 수평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4.5분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2종 감지기는 실온보다 30℃ 높은 온도이고 풍속이 85[㎝/sec]인 수직기류에 투입하는 경우 4.5분 이내에 작동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발신기의 설치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30[m]이하가 되도록 한다.
  2.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이상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3.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m]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지하구에는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 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지하구에는 발신기를 설치하지 아니 할 수 있다.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발신기를 설치하되, 해당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30[m]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에 적합한 기준입니다.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이상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복도나 보행거리가 40[m]이상인 경우에는 추가로 발신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하구는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발신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2.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
  3.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시 충전되도록 할 것
  4. 어둠 속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정답률: 63%)
  •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시 충전되도록 할 것"은 휴대용 비상조명등이 긴급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항상 충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충전이 되어 있지 않다면 긴급 상황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존건축물이 증축·개축되는 경우 당해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할 자동화재속보설비 중 어떤 내용의 공사가 현저하게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특례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가?

  1. 난방공사
  2. 피난설비공사
  3. 방화설비공사
  4. 배관.배선공사
(정답률: 60%)
  • 기존건축물이 증축·개축되는 경우 당해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할 자동화재속보설비 중 어떤 내용의 공사가 현저하게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특례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배관.배선공사"가 현저하게 곤란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유는 자동화재속보설비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이 현저하게 곤란하다고 인정되면 특례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상콘센트에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 그 실내에 무엇을 설치하는가?

  1. 유도등
  2. 휴대용비상조명등
  3. 실내조명등
  4. 비상조명등
(정답률: 78%)
  • 비상콘센트에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할 경우, 비상조명등을 설치합니다. 이는 비상시에 전원이 차단되어도 조명이 유지되어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유도등은 비상시에 긴급한 안내를 위해 사용되며, 휴대용비상조명등은 이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실내조명등은 일반적인 조명용으로 사용되며, 비상시에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상조명등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실내의 용적이 20[m3]이하인 장소
  2.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m]이하인 장소
  3. 목욕실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4. 부식성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정답률: 38%)
  • 감지기는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적시에 대처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0[m]이하인 장소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이유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나 열기가 빠르게 상승하여 높은 곳에 설치된 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늦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장이나 반자의 높이가 낮은 장소에 감지기를 설치하여 빠르게 화재를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에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을 설치하려고 한다. 몇 개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부착높이는 2.7[m]이고, 바닥면적은 600[m2]이다.)

  1. 4개
  2. 9개
  3. 10개
  4. 14개
(정답률: 50%)
  •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은 설치 간격이 9[m] 이하로 되어 있어야 하므로, 바닥면적 600[m2]를 81[m2]로 나누면 7.4이므로, 최소 8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소방대상물의 경우 보통 10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권장되므로, 정답은 "1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몇%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86%)
  •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기준으로, 전압이 너무 낮으면 소리가 충분히 크지 않아 비상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소리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전압이 너무 높으면 소리가 너무 크게 발생하여 청각에 대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교차회로방식의 감지기가 아닌 경우일 때 연기감지기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가 아닌 것은?

  1. 계단의 길이가 25[m]인 경우
  2. 복도의 길이가 20[m]인 경우
  3.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4. 천장의 높이가 18[m]인 경우
(정답률: 35%)
  • 연기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단의 길이가 25[m]인 경우나 천장의 높이가 18[m]인 경우는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연기감지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복도의 길이가 20[m]인 경우는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엘리베이터 권상기실은 엘리베이터 안전을 위한 장소이므로 연기감지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케이블트레이에 정온식감지선형 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블트레이 받침대에 무엇을 이용하여 감지선을 설치해야 하는가?

  1. 보조선
  2. 접착제
  3. 마감금구
  4. 단자부
(정답률: 77%)
  • 케이블트레이 받침대에 감지선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마감금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마감금구는 감지선을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조선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접착제는 감지선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단자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감지선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통로유도등을 바닥에 매설시 조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유도등 직상부 0.5[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1[lx]이상
  2. 유도등 직상부 0.5[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2[lx]이상
  3. 유도등 직상부 1[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1[lx]이상
  4. 유도등 직상부 1[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2[lx]이상
(정답률: 57%)
  • 정답은 "유도등 직상부 1[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1[lx]이상"입니다. 이유는 통로유도등은 보행자나 차량 등이 지나갈 때 안전을 위해 밝게 비춰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도등의 조도는 충분히 밝아야 하며, 이를 위해 유도등 직상부 1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 1lx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유도등 직상부 0.5m의 높이에서 측정하여도 1lx 이상이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m의 높이에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2lx 이상이 되는 것은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될 수 있으므로 1lx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서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요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초 이하로 하는가?

  1. 5초
  2. 10초
  3. 15초
  4. 30초
(정답률: 83%)
  •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에서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요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하는 것이다. 이는 화재 발생 상황에서 빠른 대처와 피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10초 이하로 설정하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긴급 상황에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상콘센트설비 교류전원회로의 공급용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단상 220[V] 1[KVA], 3상 380[V] 2[KVA] 이상
  2. 단상 220[V] 3[KVA], 3상 380[V] 1.5[KVA] 이상
  3. 단상 220[V] 1.5[KVA], 3상 380[V] 3[KVA] 이상
  4. 단상 220[V] 1.5[KVA], 3상 380[V] 1.5[KVA] 이상
(정답률: 65%)
  • 비상콘센트설비는 비상시에 중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공급용량이 충분해야 합니다. 단상 220[V] 1.5[KVA], 3상 380[V] 3[KVA] 이상인 것이 옳은 이유는 이러한 설비가 가동되는 동안에는 다른 전기기기들도 함께 가동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공급용량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비상콘세트설비에 사용되는 자가발전설비는 몇 분 이상 작동이 가능하여야 하는가?

  1. 10분
  2. 15분
  3. 20분
  4. 25분
(정답률: 80%)
  • 비상콘세트설비는 비상상황에서 사용되는 설비이므로, 자가발전설비는 최소한 20분 이상 작동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이는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충분한 시간동안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