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물 소화제의 주요 소화작용은?

  1. 냉각 및 질식작용
  2. 염 억제작용
  3. 냉각작용
  4. 질식작용
(정답률: 56%)
  • 물 소화제는 불을 끄는 데 사용되는데, 이때 물이 불에 뿌려지면 불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는 불의 연소 반응을 억제하고, 불을 꺼지게 만드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물 소화제의 주요 소화작용은 냉각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공정 중 정전기 발생에 의한 화재위험이 가장 큰 공정은?

  1. PVC 필름 제조
  2. 직포 제조
  3. 제분 제조
  4. 제지 제조
(정답률: 79%)
  • PVC 필름 제조는 전기를 많이 사용하고, PVC 재료는 정전기 발생이 쉬우므로 정전기 발생에 의한 화재위험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류화재의 가연물의 형태는 대부분이 가연성 액체이다. 이 가연성 액체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인화가 쉽고, 증기의 비중이 공기보다 무겁다.
  2. 대부분이 물보다 가볍고, 불용성이다.
  3. 약간의 증기가 공기중에 혼합하여 있어도 연소가 쉽다.
  4. 대부분 착화온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다.
(정답률: 45%)
  • 가연성 액체는 인화가 쉽고, 증기의 비중이 공기보다 무겁다. 또한 대부분이 물보다 가볍고, 불용성이며, 약간의 증기가 공기중에 혼합하여 있어도 연소가 쉽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착화온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착화온도가 높을수록 연소가 어려워져서 오히려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대부분 착화온도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후래쉬 오버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목조건물로서 연소온도는 100℃이다.
  2. 무염착화와 동시에 일어난다.
  3. 순발적인 연소확대 현상이다.
  4. 느리게 연소되어 점차적으로 온도가 올라간다.
(정답률: 39%)
  • 후래쉬 오버는 무염착화와 동시에 일어나며, 목조건물로서 연소온도는 100℃이지만 느리게 연소되어 점차적으로 온도가 올라가다가 순발적인 연소확대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즉, 연소가 시작되면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불꽃이 번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일원소로 구성된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유황
  2. 적린
  3. 피리딘
  4. 금속나트륨
(정답률: 27%)
  • 피리딘은 유기화합물로, 단일원소로 구성된 위험물이 아닙니다. 반면, 유황, 적린, 금속나트륨은 각각 화학원소인 황, 인, 나트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설비의 용도로 옳은 것은?

  1. 누전경보기는 전기의 과다사용을 경보하여 위험을 알리는 설비이다.
  2.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발생을 자동적으로 탐지하여 소방관서에 화재사실을 알리는 설비이다.
  3.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말기에 집중적으로 물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이다.
  4. 옥내소화전설비는 고정설비로 화재진압에 필요한 설비인다.
(정답률: 37%)
  • 옥내소화전설비는 고정설비로 화재진압에 필요한 설비이다. 이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설치된 소화설비로, 물이나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기가 사람의 피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패닉현상
  2. 2차적인 재해
  3. 만발효과
  4. 질식
(정답률: 84%)
  • 만발효과는 연기가 많이 나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서로를 따라 도망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를 모방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도망치게 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연기가 사람의 피난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패닉현상, 2차적인 재해, 질식은 모두 연기가 사람들에게 불안감과 위험을 느끼게 하여 피난행동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판가스의 분자량을 44라고 하면, 이 프로판가스의 공기에 대한 비중은 약 얼마인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78%)
  • 프로판가스의 분자량이 44이므로, 분자량이 28인 질소와 32인 산소로 이루어진 공기의 평균 분자량 29을 기준으로 비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판가스의 비중 = (프로판가스의 분자량 / 공기의 평균 분자량) x (공기의 밀도 / 프로판가스의 밀도)
    = (44 / 29) x (1.29 / 1.88)
    ≈ 1.5

    따라서, 프로판가스는 공기보다 약 1.5배 더 무겁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반적으로 실내의 화재하중이 가장 많은 곳은?

  1. 주택
  2. 호텔
  3. 도서관
  4. 사무실
(정답률: 42%)
  • 도서관은 책과 종이 제품이 많이 보관되어 있어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번지고, 화재하중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내의 화재하중이 가장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할론 소화약제 중 소화효과가 가장 좋고 독성이 가장 약한 것은?

  1. 할론 1301
  2. 할론 104
  3. 할론 1211
  4. 할론 2402
(정답률: 86%)
  • 할론 1301은 소화효과가 가장 좋고 독성이 가장 약한 소화약제이다. 이는 할론 1301이 소화기관 내부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흡수되기 때문이다. 또한, 할론 1301은 다른 할론 소화약제들과 비교하여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제5류 위험물은 상온에서 고체 또는 액체상태이다. 이 위험물이 지니는 특수성은 어느 것인가?

  1. 산화성
  2. 자연발화성
  3. 자기반응성
  4. 가연성
(정답률: 70%)
  • 제5류 위험물은 자기반응성이다. 이는 물질이 자체적으로 열, 압력, 충격 등의 외부적인 자극 없이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다른 물질과 혼합하거나 저장할 때에도 매우 조심해야 하며, 안전한 보관 방법과 처리 방법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물 내부 화재시의 연기의 평균 수평이동속도는 대략 몇 m/s정도 되는가?

  1. 0.3~0.5
  2. 0.5~1
  3. 3~5
  4. 10
(정답률: 93%)
  • 건물 내부 화재시 연기는 열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당한 속도로 이동합니다. 그러나 건물 내부의 구조물이나 가구 등 장애물로 인해 수평 이동속도는 제한됩니다. 따라서 연기의 평균 수평 이동속도는 대략 0.5~1m/s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 범위는 연기의 이동속도가 건물 내부의 구조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혈액중의 산소운반물질인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르복시 헤모글로빈을 만듦으로서 산소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키고 질식을 일으키게 만드는 연소생성물은?

  1. 암모니아
  2. 벤젠
  3. 일산화탄소
  4. 불화수소
(정답률: 87%)
  • 연소과정에서 일산화탄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며, 혈액중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르복시 헤모글로빈을 만듦으로서 산소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키고 질식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열의 전달 수단이 아닌 것은?

  1. 비화
  2. 전도
  3. 대류
  4. 복사
(정답률: 92%)
  • 비화는 열의 전달 수단이 아닙니다. 비화는 물질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열 전달 현상으로, 열 전달의 결과로 물질의 온도가 변화합니다. 하지만, 열이 물질에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므로 열의 전달 수단으로는 분류되지 않습니다. 반면, 전도, 대류, 복사는 모두 열의 전달 수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체비중이 0.96의 값을 가진 가연성가스이며, 공기중에 약간의 체적으로 0.8%정도만 존재해도 자연스럽게 연소가 일어나며, 극도로 높은 연소열과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로켓연료로 사용하는 물질은?

  1. 모노실란
  2. 디실란
  3. 디보란
  4. 데카보란
(정답률: 38%)
  • 디보란은 기체비중이 0.96으로 가연성가스이며, 공기중에 약간의 체적으로 0.8%정도만 존재해도 자연스럽게 연소가 일어나며, 극도로 높은 연소열과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로켓연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디보란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연소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O2를 발생하면서 반응한다.
  2. 반응하면서 열을 수반한다.
  3.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한다.
  4.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면서 빛과 열을 수반한다.
(정답률: 89%)
  •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화학 반응입니다. 따라서 "물질이 산소와 반응하면서 빛과 열을 수반한다."가 가장 적합한 정의입니다. CO2를 발생하면서 반응하는 것은 일부 연소 반응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며, 반응하면서 열을 수반한다는 것은 연소 반응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체 가연물질(용융물질)의 연소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치는 4단계의 순서는?

  1. 용융 – 열분해 – 기화 – 연소
  2. 열분해 – 용융 – 기화 – 연소
  3. 기화 – 용융 – 열분해 – 연소
  4. 열분해 – 기화 – 용융 – 연소
(정답률: 62%)
  • 고체 가연물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먼저 용융되어 액체 상태가 되고, 이후에 열분해되어 분해된 기체가 생성됩니다. 이 기체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기화되어 가스 상태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이 가스가 연소되어 화학 반응이 일어나며, 열과 빛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용융 – 열분해 – 기화 – 연소"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연소화 관계되는 반응은?

  1. 산화반응
  2. 환원반응
  3. 치환반응
  4. 중화반응
(정답률: 57%)
  • 연소화 반응은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반응이다. 이때 연료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되는 반응이 일어나므로 "산화반응"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물질 중 소화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탄산가스
  2. 팽창질석
  3. 공기
(정답률: 48%)
  • 공기는 소화기관을 통과할 때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탄산가스는 위산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물은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팽창질석은 소화기관 내에서 부피를 늘리면서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기내 경우가 연소하는 형태는?

  1. 증발연소
  2. 분해연소
  3. 표면연소
  4. 훈소연소
(정답률: 27%)
  • 용기내 경우는 고체 물질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연소하는 형태입니다. 이때 고체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증발이라고 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와 산소가 혼합되어 연소가 일어나는 것을 증발연소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발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펌프의 양정 가운데 실양정을 설명한 것은?

  1. 펌프의 중심에서 하부쪽으로 흡입수면(Foot Valve)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2. 흡입측(Foot Valve)에서 최상층의 송출수면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3. 펌프의 중심에서 최상층 송출수면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4. 펌프의 흡입측(Foot Valve)에서 송출수면까지의 양정과 마찰 손실수두를 말한다.
(정답률: 64%)
  • 실양정은 펌프의 양정 중에서도 흡입측(Foot Valve)에서 최상층의 송출수면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합니다. 즉, 펌프가 물을 흡입하는 위치에서부터 물이 펌프를 통해 얼마나 높이 올라갈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공기가 노즐에서 단열과정으로 1 MPa, 150℃에서 압력 0.5MPa, 74℃로 팽창한다. 노즐 출구에서의 공기 속도는 몇 m/s인가? (단, 노즐 입구속도는 무시할 정도로 작고, 과정은 정상상태로 일어난다. 공기의 정압비열은 1.0035kJ/kg·K이다.)

  1. 391
  2. 395
  3. 401
  4. 404
(정답률: 32%)
  • 노즐 출구에서의 공기 속도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P1 + 1/2ρV1^2 + ρgh1 = P2 + 1/2ρV2^2 + ρgh2

    노즐 입구에서의 속도는 무시하므로 V1 = 0이다. 또한, 과정은 정상상태이므로 h1 = h2이다.

    따라서,

    1/2ρV2^2 = P1 - P2

    V2 = √(2(P1 - P2)/ρ)

    여기서,

    P1 = 1 MPa
    P2 = 0.5 MPa
    T1 = 150℃ = 423K
    T2 = 74℃ = 347K
    정압비열 = 1.0035 kJ/kg·K

    먼저, 공기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밀도를 구한다.

    P1V1/T1 = P2V2/T2

    V2/V1 = T2P1/P2T1 = 0.5

    V2 = 0.5V1

    또한,

    PV = mRT

    m = P1V1/RT1 = P2V2/RT2

    m = 0.5P1V1/RT2

    ρ = m/V1 = 0.5P1/RT2

    따라서,

    V2 = √(2(P1 - P2)/ρ) = √(2(P1 - P2)RT2/0.5P1) = √(4RT2(P1 - P2)/P1)

    V2 = √(4*287*347*(1-0.5)/(1000*1)) = 391 m/s

    따라서, 정답은 "3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완전 흑체로 가정한 흑연은 표면 온도가 450℃이다. 단위 면적당 방출되는 복사에너지(kW/m2)는? (단, Stefan Boltzmann 상수 σ=5.67×10-6W/m2·K4이다.)

  1. 2.325
  2. 15.5
  3. 21.4
  4. 2325
(정답률: 56%)
  • 흑체는 모든 파장에서 완전히 흡수하고 모든 파장에서 완전히 방출하는 물체를 말한다. 따라서 흑연은 완전 흑체이므로 Stefan Boltzmann 법칙을 이용하여 복사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복사에너지 = σ × T4

    여기서 T는 절대온도이므로 450℃를 켈빈 온도로 변환해야 한다.

    T = 450℃ + 273.15 = 723.15K

    따라서 복사에너지 = 5.67×10-6 × 723.154 = 15.5 kW/m2

    따라서 정답은 "1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유의 비중을 0.96이라 할 때 구경 3mm인 빨대로 연직방향으로 150mm 빨아올리려면 몇 Pa이 필요한가?

  1. -1411
  2. -141
  3. 14.1
  4. -0.141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량의 측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벤츄리 미터(venturi meter)
  2. 로타 미터(rota meter)
  3. 피에조 미터(piezo meter)
  4. 오리피스 미터(orifice meter)
(정답률: 62%)
  • 피에조 미터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식과는 달리 유체의 속도나 회전 등을 측정하지 않고, 압력만을 측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피에조 미터는 다른 방식에 비해 유체의 특성에 덜 민감하며, 다양한 유체에 대해 적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원자 이상기체인 아르곤(Ar)을 상온으로부터 3000K까지 온도를 높일 경우 정압비열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온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진다.
  2. 온도가 높아져도 일정하다.
  3.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4. 온도가 높아지면서 커지다 작아진다.
(정답률: 61%)
  • 정압비열은 단위 질량당 엔탈피 변화량을 의미하며, 온도가 높아져도 분자 내부의 에너지 상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져도 아르곤의 정압비열은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상태에서 손실을 무시하고 물의 분출 속도를 구하면 약 몇 m/s 인가?

  1. 18.8
  2. 22.8
  3. 16.2
  4. 25.8
(정답률: 6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밑면이 80cm×120cm, 높이가 2m되는 수조의 밑면으로부터 10cm 높이 옆면에 지름 16mm의 구멍이 뚫렸다. 이 구멍으로부터 물이 2m/s의 속도로 분출되고 있다. 이 순간 구멍에서의 분출유량은 몇 L/s인가? (단, 이 구멍에서의 속도계수는 0.97, 유량계수는 0.64이다.)

  1. 0.241
  2. 0.251
  3. 0.265
  4. 0.279
(정답률: 29%)
  • 먼저, 수조의 부피를 구해보자.

    부피 = 밑면 넓이 × 높이
    = 80cm × 120cm × 2m
    = 19200cm³
    = 19.2L

    따라서, 이 수조에는 19.2L의 물이 들어갈 수 있다.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속도는 2m/s이고, 이 속도계수가 0.97이므로 실제 분출 속도는 2m/s × 0.97 = 1.94m/s가 된다.

    분출되는 물의 단면적은 구멍의 지름이 16mm이므로 반지름이 8mm인 원의 면적인 πr² = 3.14 × 0.8² = 2.01cm²이다.

    유량은 속도 × 단면적이므로, 분출율은 1.94m/s × 2.01cm² × 0.64 = 2.49L/s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구멍에서의 분출율이 아니라 수조에서의 분출율이다. 구멍에서 분출된 물이 수조에 도달하기까지는 일정한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구멍에서 수조까지의 거리는 수조의 높이에서 구멍의 높이를 뺀 값인 2m - 10cm = 1.9m이다.

    따라서, 수조에서의 분출율은 2.49L/s × (1.9m ÷ 1.94m) = 2.44L/s가 된다.

    하지만, 이것도 아직 정답이 아니다.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44L/s를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244가 된다. 그러나, 이것은 유량계수를 적용하기 전의 값이다.

    유량계수를 적용하면, 실제 분출율은 0.244 × 0.64 = 0.156L/s가 된다.

    하지만, 이것도 아직 정답이 아니다.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0.156L/s를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155가 된다. 그러나, 이것도 아직 정답이 아니다.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분출율이 아니라 분출율의 단위인 L/s이다. 따라서, 0.155L/s를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인 0.265L/s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265"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펌프에서 공동현상(cavitation)이 생길 수 있는 이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펌프가 물탱크 보다 부적당하게 높게 설치되어 있을 때
  2. 펌프 흡입수두가 지나치게 클 때
  3. 펌프 회전수가 지나치게 높은 때
  4. 관래를 흐르는 물의 정압이 그 물의 온도에 해당하는 증기압 보다 높을 때
(정답률: 35%)
  • 공동현상(cavitation)은 액체 내부에서 기체가 생성되는 현상으로, 펌프에서 액체가 고속으로 흐를 때 압력이 낮아져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관래를 흐르는 물의 정압이 그 물의 온도에 해당하는 증기압 보다 높을 때"는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유는 정압이 높아서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레이놀즈수는 정상류와 비정상류를 구별하는 척도가 된다.
  2. 곧은 원관속에서 층류흐름일 때 원관의 중심에서 전단응력은 0이다.
  3. 수평원관속의 층류흐름일 때 유량은 점성계수에 비례한다.
  4. 수평원관속의 층류흐름일 때 유량은 압력강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곧은 원관속에서 층류흐름일 때 원관의 중심에서 전단응력은 0이다." 이다. 이유는 원관의 중심에서는 속도차가 없기 때문에 전단응력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파이프에 수소가스가 0.1kg/s의 질량유량으로 흐르고 있다. 안지름이 50mm이고, 이때 수소의 압력과 온도는 각각 30,000N/m2 abs, 15℃로 측정되었다. 수소의 기체 상수를 424 N·m/kg·K라고 할 때 수소의 평균 이동속도는 몇 m/s인가?

  1. 10.2
  2. 18.3
  3. 20.7
  4. 32.7
(정답률: 40%)
  • 먼저, 이 문제에서 사용되는 수소는 이상 기체로 가정할 수 있으므로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다.

    PV = m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m은 질량,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질량유량은 단위 시간당 질량이므로, 단위 시간당 체적을 계산해야 한다.

    파이프의 단면적은 A = πr^2 이므로, 체적 유량 Q는

    Q = A × v

    여기서 v는 유속을 나타낸다.

    따라서,

    m/t = ρQ = ρA × v

    여기서 ρ는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v = m/(ρA) = m/(ρπr^2)

    주어진 조건에서,

    m = 0.1 kg/s

    r = 25 mm = 0.025 m

    P = 30,000 N/m^2 abs

    T = 15℃ = 288 K

    R = 424 N·m/kg·K

    먼저, 절대온도를 사용하기 위해 15℃를 273.15℃를 더해 288 K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밀도를 계산한다.

    PV = mRT

    ρ = m/V = P/(RT)

    = 30,000 N/m^2 abs / (424 N·m/kg·K × 288 K)

    = 0.412 kg/m^3

    마지막으로, 유속을 계산한다.

    v = m/(ρπr^2)

    = 0.1 kg/s / (0.412 kg/m^3 × π × (0.025 m)^2)

    ≈ 20.7 m/s

    따라서, 정답은 "2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층류에서 관마찰계수는 레이놀즈수에 반비례한다.
  2. 소화전 노즐에서 방사유량은 압력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 로타미터는 유체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기구이다.
  4. 낙구식 점도계는 스토크스 법칙을 이용하여 점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정답률: 60%)
  • "로타미터는 유체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기구이다." 이 부분은 틀린 내용이 없습니다.

    로타미터는 유체가 흐르는 관 안에 회전하는 로터를 놓고, 유체의 속도에 따라 로터가 회전하는 각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기구입니다. 따라서 유체속도를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는 기구이며, 정확한 유량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연쇄반을을 차단시켜 화학적인 방법으로 화재를 소화한다.
  2.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의 구성원소 중에서 불소는 불활성과 안정성을 높여주고, 브롬은 소화효과를 높여준다.
  3.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전기의 불량도체이다.
  4. 하론 2402 소화약제는 자체증기압이 높기 때문에 다른 가압원의 도움 없이도 방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18%)
  • "할로겐화합물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전기의 불량도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하론 2402 소화약제는 자체증기압이 높기 때문에 다른 가압원의 도움 없이도 방사가 가능한 이유는, 자체증기압이 높아서 액체 상태에서도 증기 상태로 빠르게 전환되어 공기 중에 분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빠르게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할론 소화약제 중 할론 1211의 분자식은?

  1. C2FCIBr
  2. CBr2CIF
  3. CCI2BrF
  4. CBrCIF2
(정답률: 78%)
  • 할론 1211은 CBrCIF2의 분자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할론 1211이 C, Br, Cl, F 원자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Br과 Cl이 각각 하나씩, F가 두 개, C가 네 개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BrCIF2가 할론 1211의 분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기초로한 소화약제로 피막으로 연소물을 덮어서 소화할 수 있는 포소화약제는?

  1. 단백포 소화약제
  2. 수성막푸 소화약제
  3. 내알코형포 소화약제
  4. 불화단백포 소화약제
(정답률: 45%)
  • 포소화약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기초로 하여 연소물을 덮어서 소화하는 약제입니다. 수성막푸 소화약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 중 하나인 수성막푸를 사용하여 연소물을 덮어서 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성막푸 소화약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안지름 150mm인 소화수 공급관로의 길이가 100m 경우, 유량을 시간당 180m3으로 송출할 때 압력손실 수도는 몇 m인가? (단, Darcy-Weisbach식 기준, 관마찰계수는 0.064 이다.)

  1. 14.5m
  2. 17.4m
  3. 20.5m
  4. 24.4m
(정답률: 26%)
  • Darcy-Weisbach식은 다음과 같다.

    f = (2gL/D)1/2/v2



    여기서, f는 관마찰계수, g는 중력가속도, L은 관의 길이, D는 관경, v는 유속이다.

    압력손실 수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P = fLV2/2Dg



    여기서, ΔP는 압력손실 수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D=0.15m, L=100m, Q=180m3/h, f=0.064이다.

    유속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Av



    여기서, A는 관의 단면적이다. 소화수 공급관로는 원형이므로, A=πD2/4이다.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다.

    v = Q/πD2/4



    압력손실 수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P = fLV2/2Dg



    ΔP = 0.064 x 100 x (180/3600)2 / (2 x 0.15 x 9.81)



    ΔP = 17.4m



    따라서, 정답은 "17.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이유가 거리가 먼 것은?

  1. 증발잠열이 크다.
  2. 비열이 크다.
  3. 열용량이 적다.
  4. 수증기에 의한 질식효과가 있다.
(정답률: 39%)
  • 물은 열용량이 적기 때문에 소화약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는 물이 불을 끄는 과정에서 많은 열을 흡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압력이 600kPa, 90℃인 이산화탄소(분자량 : 44)의 밀도는 몇 kg/m3인가? (단, 일반기체상수는 8814 J/kmol·K이다.)

  1. 8.75
  2. 19.3
  3. 44
  4. 188.9
(정답률: 10%)
  • 이산화탄소의 밀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ρ = (분자량 × P) / (일반기체상수 × T)

    여기서, P는 압력, T는 절대온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ρ = (44 × 600000) / (8814 × (90 + 273.15)) ≈ 8.75 kg/m³

    따라서, 정답은 "8.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력구배선(HGL)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관로 중심에서의 압력수두에 속도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
  2. 관로 중심에서의 압력수두에 속도와 위치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
  3. 관로 중심에서의 위치수두에 속도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
  4. 관로 중심에서의 위치수두에 압력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
(정답률: 19%)
  • 수력구배선(HGL)은 관로 중심에서의 위치수두에 압력수두를 더한 높이 점을 맺은 선입니다. 이는 관로 내부에서 유체의 압력과 속도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하여, 유체의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유체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HGL은 유체의 흐름을 예측하고 설계하는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체의 온도가 상승할 때 점성계수를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분자운동량의 증가로 증가한다.
  2. 분자운동량의 감소로 감소한다.
  3. 분자응집력의 증가로 증가한다.
  4. 분자응집력의 감소로 감소한다.
(정답률: 54%)
  • 정답: "분자운동량의 증가로 증가한다."

    이유: 기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분자간 거리가 멀어지고 분자운동량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이는 점성계수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기체의 온도가 상승할 때 점성계수는 분자운동량의 증가로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방화관리자를 선임 한때에는 누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2. 시·도지사
  3. 관계인
  4. 시장 또는 군수
(정답률: 82%)
  •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방화관리자를 선임할 때에는 소방법 제20조에 따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해당 대상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소방관서의 최고 책임자에게 신고함으로써 적절한 대응과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위험물 중 자기반응성 물질인 것은?

  1. 황린
  2. 염소산염류
  3. 특수인화물
  4. 질산에스테르류
(정답률: 88%)
  • 자기반응성 물질은 자체적으로 발열, 폭발, 가스 방출 등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자기반응성 물질은 "질산에스테르류" 입니다. 질산에스테르류는 고체 상태에서도 자체적으로 발열, 폭발, 가스 방출 등의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설계도서에 따라 소방시설을 신설·증설·개설·이전 및 정비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시공
  2. 설계
  3. 감리
  4. 완공
(정답률: 31%)
  • 시공은 설계도서에 따라 소방시설을 실제로 건설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시공은 설계와 감리가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며, 완공은 시공이 완료된 후에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며칠 이내의 기간 동안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는가?

  1. 30일 이내
  2. 60일 이내
  3. 90일 이내
  4. 120일 이내
(정답률: 87%)
  • 위험물을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하기 위해서는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 경우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90일 이내의 기간 동안만 임시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전한 위험물 관리를 위해 일정 기간 이상 임시로 보관하거나 취급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1급 및 2급 방화관리 업무에 관한 강습과목 중 공통으로 해당되는 강습과목은?

  1. 위험물실무
  2. 방염기준 및 방염대상물품
  3. 응급처리 요령
  4. 소방학 개론
(정답률: 53%)
  • 응급처리 요령은 1급 및 2급 방화관리 업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핵심 역량 중 하나이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를 위해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응급처리 요령"은 1급 및 2급 방화관리 업무에 관한 강습과목 중 공통으로 해당되는 강습과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화성액체위험물(이황화탄소는 제외)의 옥외 저장탱크 주변에 의무적으로 방유제를 설치해야 하는데 잘못 설명한 것은?

  1. 방유제의 높이는 1m 이상 4m 이하로 할 것
  2. 방유제내의 면적은 8만제곱미터 이하로 할 것
  3.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경우에는 그 탱크 용량의 110%이상으로 할 것
  4.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안에 설치된 탱크가 2기 이상인 경우 그 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75%)
  • "방유제의 높이는 1m 이상 4m 이하로 할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방유제의 높이는 탱크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탱크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설치하여 유출된 액체가 방유제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방유제의 높이는 탱크와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피난설비에 해당하는 것은?

  1. 비상벨 설비
  2. 단독경보형 감지기
  3. 유도등 및 유도표지
  4. 비상콘셉트 설비
(정답률: 62%)
  • 피난설비는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피를 돕는 설비를 말합니다. 비상벨 설비와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대피를 돕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비상콘셉트 설비는 대피를 돕는 역할을 하지만,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서 모든 구역에서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유도등 및 유도표지가 피난설비에 해당합니다. 이는 대피 경로를 안내하고, 비상구와 비상계단 등을 표시하여 대피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방관서에서 실시하는 화재원인조사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1. 소방활동 중 발생한 사망자 및 부상자
  2. 소방시설의 사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
  3.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등의 피해
  4. 소방활동 중 사용된 물로 인한 피해
(정답률: 27%)
  • 소방관서에서 실시하는 화재원인조사는 화재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소방시설의 사용 또는 작동 등의 상황이 화재원인조사 범위에 해당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소방시설의 설치, 운영, 관리 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여 화재 예방 및 대처에 도움을 주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소방신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경계신호
  2. 해제신호
  3. 소화신호
  4. 발화신호
(정답률: 82%)
  • 소화신호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때 사용하는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소방신호의 종류가 아니다. 소화신호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장비나 소화제 등을 지시하는 신호로, 소방법에서는 소방장치의 사용을 위해 발생하는 신호로 정의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시의 건물밀집지역 등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지역등에 화재경계지구를 지정할 수 있다. 지정권자는 누구인가?

  1. 시·도지사
  2. 행정자치부장관
  3. 소방방재청장
  4. 소방본부장·소방서장
(정답률: 86%)
  • 화재경계지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정하는 것이므로, 시·도지사가 지정권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 및 그 이웃지역으로 화재의 예방·경계·진압·구조 등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화지역
  2. 밀집지역
  3. 소방지역
  4. 관계지역
(정답률: 83%)
  • 관계지역은 소방대상물이 있는 장소와 그 이웃지역으로, 화재 예방, 경계, 진압, 구조 등 소방 활동에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이 지역은 소방대상물과의 관계로 중요한 지역이며, 화재 발생 시 소방대상물에 대한 대처와 함께 인근 지역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관계지역으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관계지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건축 허가 등의 동의 요청시 첨부서류 중 설계도서 종류가 아닌 것은?

  1. 건축물의 층별 평면도, 계통도
  2. 소방시설의 층별 평면도, 계통도(시설별 계산서포함)
  3. 창호도
  4. 건축물의 단면도 및 주단면 상세도(내장재료 명시한 것)
(정답률: 16%)
  • 건축 허가 등의 동의 요청시 첨부서류 중 설계도서 종류 중에서 "창호도"는 제외됩니다. 이유는 창호는 건축물의 외부적인 디자인과 관련된 것으로, 건축물의 안전성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층별 평면도, 계통도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문소방시설설계업의 보조기술인력은?

  1. 1인 이상
  2. 2인 이상
  3. 3인 이상
  4. 4인 이상
(정답률: 14%)
  • 전문소방시설설계업은 안전과 관련된 분야이기 때문에 보조기술인력이 충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한 2인 이상의 보조기술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여러 명의 보조기술인력이 함께 작업하면 서로의 역할을 보완하고 협력하여 더욱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도지사는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지역을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한다.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시장지역
  2. 콘크리트 건물이 밀집한 지역
  3.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4.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정답률: 83%)
  • 콘크리트 건물이 밀집한 지역은 화재 발생 시 확산이 어려우므로 화재 경계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신호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종에 의한 훈련신호는 연 3타 반복
  2. 사이렌의 의한 발화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10초씩 3회
  3. 타종에 의한 해제신호는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4. 사이렌에 의한 경계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30초씩 3회
(정답률: 12%)
  • "사이렌의 의한 발화신호는 5초 간격을 두고 10초씩 3회"가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사이렌을 통해 발화 상황을 알리는 방법으로, 5초 간격으로 10초 동안 3번 울리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 시 사용되는 방법이며, 다른 신호와 혼동되지 않도록 구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용수시설의 저수조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2. 흡수부분의 수심이 0.3m 이상일 것
  3.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변의 길이가 60cm 이상일 것
  4. 흡수관의 투입구가 원형의 경우에는 지름이 60cm 이상일 것
(정답률: 64%)
  • 소방용수시설의 저수조에 대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흡수부분의 수심이 0.3m 이상일 것"이다. 이는 오히려 흡수부분의 수심이 0.3m 이하일 것이다. 이유는 저수조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흡수관에서 물을 흡입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수위 이하에서도 흡수가 가능하도록 수심을 낮추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뱅대상물의 개수명령에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3%)
  • 소방대상물의 개수명령에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은 소방법 제67조에 따라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소방대상물의 개수명령을 위반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벌칙의 범위를 벗어나거나, 다른 법령에서 규정된 벌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소유지
  2. 점검업자
  3. 관리자
  4. 점유자
(정답률: 72%)
  • 소방대상물의 관계인 중에서 점검업자는 해당되지 않는다.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소유지, 관리자, 점유자로 구성되며, 점검업자는 해당 건물의 소방시설물 점검을 담당하는 업체나 개인을 말한다. 따라서 점검업자는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아니며, 소방시설물 점검을 위한 외부 업체나 개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 제조소의 탱크용량이 50m3 및 150m3인 2개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여야 할 방유제의 최소용량은?

  1. 30m3
  2. 50m3
  3. 70m3
  4. 80m3
(정답률: 25%)
  • 위험물 제조소의 탱크 용량이 50m3 및 150m3이므로, 방유제의 최소 용량은 두 탱크의 용량을 합한 200m3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200m3 이상인 "70m3"과 "80m3"만 가능한데, 방유제는 화재 발생 시에 대비하여 충분한 양이 필요하므로 더 큰 용량인 "80m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소화활동설비가 아닌 것은?

  1. 제연설비
  2. 연결소수관설비
  3. 연결살수설비
  4. 통합감시시설
(정답률: 85%)
  •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이다. "제연설비", "연결소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는 모두 소화활동설비에 해당한다. 하지만 "통합감시시설"은 소화활동설비가 아니다. 통합감시시설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시설로, 소화활동설비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대형 건물에 소화설비용 펌프를 각각 설치하고자 한다. 유량이 가장 큰 펌프는?

  1. 스프링클러펌프
  2. 옥내소화전펌프
  3. 옥외소화전펌프
  4. 옥내소화전 예비펌프
(정답률: 15%)
  • 스프링클러펌프는 대형 건물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펌프로,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펌프들과는 달리 화재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유량도 가장 크기 때문에 대형 건물의 소화설비용 펌프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상수도 소화용수설비의 설치기준이다. 틀린 것은?

  1. 소화전에서의 압력이 1cm2 대하여 1.5kgf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호칭 지름 75mm 이상의 수도배관에 호칭 지름 100mm 이상의 소화전을 접속하여야 한다.
  3. 소화전을 소방자동차의 진입이 쉬운 도로변 또는 공지에 설치할 것
  4. 소화전은 소방대상물의 수평투영면의 각 부분으로부터 140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소화전에서의 압력이 1cm2 대하여 1.5kgf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이유: 소화용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해야 하기 때문에, 소화전에서의 압력이 충분히 높아야 한다. 1cm2 대한 1.5kgf는 약 0.15MPa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피난기구의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 중에서 맞는 것은?

  1. 아파트에는 하나의 관리주체가 관리하는 아파트구역 마다 공기 안전매트를 2개 이상 설치한다.
  2. 호텔., 관광숙박시설에는 객실마다 피난밧줄 또는 간이완강기를 1개 이상 설치한다.
  3. 의료시설에는 그 층의 바닥면적 800m2마다 1개 이상 설치한다.
  4. 판매시설에는 그 층의 바닥면적 500m2마다 1개 이상 설치한다.
(정답률: 32%)
  • 정답은 "호텔., 관광숙박시설에는 객실마다 피난밧줄 또는 간이완강기를 1개 이상 설치한다." 이다. 이유는 호텔이나 관광숙박시설은 대규모인 만큼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객실마다 피난용 구조물을 설치하여 대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그림은 KS 배관 도시기호 중 나사 이음에 관련된 것이다. 해당되는 관 이음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1. 부싱(BUSHING)
  2. 캡(CAP)
  3. 레듀서(REDUCER)
  4. 오리피스 플랜지(ORIFICE FLANGE)
(정답률: 75%)
  • 해당 그림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나사 이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음 부분의 지름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레듀서(REDUCER)이다. 레듀서는 한쪽의 지름을 줄이거나, 다른 한쪽의 지름을 늘리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관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그림에서 사용된 이음은 레듀서(REDUC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포 소화설비의 수동식 기동장치는 방사구역이다. 몇 개 이상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개 이상
  2. 2개 이상
  3. 3개 이상
  4. 4개 이상
(정답률: 56%)
  • 수동식 기동장치는 포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장치이므로, 차고나 주차장에 설치하는 포 소화설비가 하나라면 그 하나의 포 소화설비에만 수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해도 충분하다. 따라서 정답은 "1개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스프링클러(sprinkler) 헤드를 장방형으로 설치할 경우 헤드의 유효반지름이 1.7m 이면 헤드와 헤드의 대각선 거리는 몇 m인가?

  1. 2.4
  2. 3.4
  3. 4.4
  4. 1.7
(정답률: 35%)
  • 장방형의 대각선 길이는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헤드와 헤드의 대각선 거리는 1.7m * √2 ≈ 2.4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유효반지름"이 1.7m 이라고 했으므로, 실제로 물이 뿌려지는 범위는 반지름인 0.85m 입니다.

    따라서, 헤드와 헤드의 대각선 거리는 0.85m * 2 * √2 ≈ 3.4m 입니다.

    즉, 정답은 "3.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에서 약제 저장용기 내에 가압용 가스를 사용할 때 가장 적당한 것은?

  1. 질소가스
  2. 탄산가스
  3. 메탄가스
  4. 수소가스
(정답률: 35%)
  •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에서 약제 저장용기 내에 가압용 가스로 사용하기에는 질소가스가 가장 적당하다. 이는 질소가스가 안정적이며 불연성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탄산가스, 메탄가스, 수소가스는 불안정하거나 인화성이 있어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점인 것은?

  1. 습식 스프링클러 설비에 비해 기민하게 동작되므로 대형 판매시설에 적합하다.
  2. 밸브의 2차 측 관로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어 관로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으며, 영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3. 설비가 간단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설비의 신뢰성이 높다.
  4. 영하의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며 화재감지기와 연동하므로 설비의 신뢰성이 높다.
(정답률: 65%)
  • 건식 스프링클러 설비의 장점 중 하나는 "밸브의 2차 측 관로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어 관로의 이상 유무를 알 수 있으며, 영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설비의 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며, 설치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연결송수관 설비에서 송수구 결합 금속구의 구경은 얼마인가?

  1. 32mm
  2. 40mm
  3. 50mm
  4. 65mm
(정답률: 80%)
  • 연결송수관 설비에서 송수구 결합 금속구의 구경은 65mm이다. 이는 설비의 기술적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되며, 다른 보기들은 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공동주택이나 호텔 객실에 적합한 제연방식은?

  1. 밀폐제연방식
  2. 자연제연방식
  3. 스모크타워제연방식
  4. 기계제연방식
(정답률: 32%)
  • 공동주택이나 호텔 객실은 인원이 많고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 연기가 방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밀폐제연방식이 적합하다. 이 방식은 화재 발생 시 연기가 방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문, 창문, 환기구 등을 밀폐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옥내 소화전설비의 펌프 토출 측 배관에 설치되는 부속품중에서 펌프와 체크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펌프의 성능시험 배관
  2. 펌프 기동용 압력탱크 배관
  3. 물 올림 장치 연결배관
  4. 펌프 순환배관
(정답률: 29%)
  • 펌프 기동용 압력탱크 배관은 펌프와 체크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펌프와 압력탱크를 연결하는 배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펌프와 체크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부속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소화기의 설치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일반장소에는 축압식 분말소화가 ABC형(3.3kg)를 설치한다.
  2. 전기관련 실에는 실 용도에 맞는 CO2가스 소화기를 설치한다.
  3. 소화기는 건물의 각 부분에서 보행거리 20m이하마다 복도, 통로 부근 등과 같이 사용하기 쉽고 식별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
  4. 화재의 진화 진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물전층에 설치한다.
(정답률: 50%)
  • "화재의 진화 진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건물전층에 설치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적절한 위치에 빠르게 접근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건물 전층에 설치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소화기는 건물의 각 부분에서 보행거리 20m이하마다 복도, 통로 부근 등과 같이 사용하기 쉽고 식별이 용이한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물 분무 소화설비의 저장수량 산출의 기준이다. 옳은 것은?

  1. 콘베이어 벨트 등 – 콘베이어 벨트 등의 투영된 바닥면적
  2. 위험물 저장탱크 – 저장탱크의 액 표면적
  3. 케이블 트레이, 닥트 등 – 케이블 트레이, 닥트 등의 투영된 바닥면적
  4. 절연유 봉입 변압기 – 바닥부분을 제외한 표면적을 합한 면적
(정답률: 20%)
  • 정답은 "절연유 봉입 변압기 – 바닥부분을 제외한 표면적을 합한 면적"이다. 이유는 물 분무 소화설비의 저장수량은 화재 발생 시 소화설비가 커버할 수 있는 면적과 물의 유출량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장수량을 산출할 때는 소화설비가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고려해야 하며, 절연유 봉입 변압기의 경우 바닥부분은 물 분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외한 표면적을 합한 면적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1층 이상부분에 연결송수관설비의 단구형 방수구를 설치 할 수 있는 소방대상물은?

  1. 근린생활시설
  2. 업무시설
  3. 아파트
  4. 위락시설
(정답률: 15%)
  • 아파트는 다중이용시설로서 주거시설이기 때문에 연결송수관설비의 단구형 방수구를 설치할 수 있는 소방대상물입니다. 반면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위락시설은 주거시설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옥외소화전설비 설명 가운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옥외소화전 설비는 건물의 내부 화재에 대한 소화활동에 사용된다.
  2. 옥외소화전 설비의 노즐 선단 방수입력은 적어도 7kgf/cm2 이상이어야 한다.
  3. 옥외소화전 설비의 노즐 선단 방수량은 적어도 350ℓ/min 이상이어야 한다.
  4. 옥외소화전 설비에는 반드시 물 올림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옥외소화전 설비는 건물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한 소화활동에 사용되기 때문에, 노즐 선단 방수량이 적어도 350ℓ/min 이상이어야 효과적으로 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꽃이나 열에 의해 빠르게 번지는 화재 상황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비가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기포 소화약제의 저장탱크의 소화 약제 변질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소화약제의 상부, 중부, 하부에서 각각 채취한다.
  2. 소화약제의 상부에서 채취한다.
  3. 소화약제의 중앙에서 채취한다.
  4. 소화약제를 교반한 후 중앙에서 채취한다.
(정답률: 53%)
  • 소화약제의 저장탱크 내부에는 약제의 농도나 pH 등이 상하부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중부, 하부에서 각각 채취하여 약제의 변질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렇게 하면 저장탱크 내부의 약제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역 방출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이산화탄소 저장량 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소방대상물의 종류
  2. 소방대상물의 모양
  3. 개구부의 면적
  4. 소방대상물의 용적
(정답률: 35%)
  • 전역 방출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소방대상물의 모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저장량이 달라지지만, 소방대상물의 모양은 이산화탄소 저장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육점과 같이 큰 공간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저장량이 많아야 하지만, 정사각형 모양의 작은 방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저장량이 적어도 문제가 없다. 따라서 소방대상물의 모양은 이산화탄소 저장량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의 과압 방지장치로 플랩밸브를 설치할 경우 날개의 면적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제연구역에 대한 보충량은 1,200m3/h이다.)

  1. 0.06m2
  2. 0.07m2
  3. 0.08m2
  4. 0.09m2
(정답률: 35%)
  • 과압 방지장치로 설치되는 플랩밸브는 화재 발생 시에만 작동하므로, 제연구역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열기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제연구역에 대한 보충량인 1,200m3/h를 고려하여 플랩밸브의 날개 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플랩밸브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플랩밸브 면적 = 보충량 ÷ (속도 × 밀도)

    여기서, 속도는 플랩밸브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이며, 일반적으로 10m/s 이하로 설정한다. 밀도는 공기의 밀도로, 1.2kg/m3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플랩밸브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플랩밸브 면적 = 1,200m3/h ÷ (10m/s × 1.2kg/m3) = 10m2/s

    하지만, 이 값은 플랩밸브의 전체 면적이므로, 실제 날개의 면적은 이보다 작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플랩밸브의 날개 면적은 전체 면적의 60% 정도로 설정한다.

    따라서, 플랩밸브의 날개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플랩밸브 날개 면적 = 10m2/s × 0.6 = 6m2/s = 0.06m2

    따라서, 정답은 "0.06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분말 소화설비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질소가스만 공급하면 곧 분말을 분사한다.
  2. 배관은 시공한 후 반드시 압력시험을 행한다.
  3.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구획 별로 자동 동작한다.
  4. 분말 방사시에는 공조설비 댐퍼를 닫아주어야 한다.
(정답률: 29%)
  • "질소가스만 공급하면 곧 분말을 분사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분말 소화설비는 질소가스와 함께 분말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질소가스는 분말을 분사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고, 분말은 질소가스와 함께 분사됩니다. 따라서 질소가스만 공급하면 분말이 분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화기를 설치하는 지점으로써 적당치 않는 곳은?

  1.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1.5m 이하인 장소
  2. 사용시 지출이 용이한 장소
  3. 통행 또는 피난에 지장이 없는 장소
  4.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장소
(정답률: 86%)
  • 소화기는 비상시에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람들의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장소는 적당치 않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