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5-20)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2012-05-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가연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프로판
  2. 산소
  3. 에탄
  4. 암모니아
(정답률: 70%)
  • 산소는 가연성 물질이 아닌 것입니다. 가연성 물질은 불에 타면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하는데, 산소는 그 자체로 불에 타지 않으며 오히려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소는 가연성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화재원인이 되는 정전기 발생 방지대책 중 틀린 것은?

  1. 상대습도를 높인다.
  2.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3. 접지시설을 한다.
  4. 가능한 한 부도체를 사용한다.
(정답률: 75%)
  •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해 가능한 한 부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부도체는 정전기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화재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금속이나 물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착화온도가 가장 높은 물질은?

  1. 황린
  2. 아세트알데히드
  3. 메탄
  4. 이황화탄소
(정답률: 47%)
  • 메탄은 분자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 에너지가 낮아서 착화하기 쉽지만, 착화 후에는 반응이 끝나기 때문에 착화온도가 가장 높다. 반면, 황린과 이황화탄소는 분자 구조가 복잡하고 결합 에너지가 높아서 착화하기 어렵지만, 착화 후에는 반응이 계속되어 착화온도가 낮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착화온도가 중간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탄화알루미늄
  2. 칼륨
  3. 과산화수소
  4. 트리에틸알루미늄
(정답률: 51%)
  • 과산화수소는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인 수소와 산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반면에 탄화알루미늄, 칼륨,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 건축물에서 가연성 건축 구조재와 가연성 수용물의 양으로 건물 화재시 화재 위험성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화재하중
  2. 연소범위
  3. 활성화에너지
  4. 착화점
(정답률: 78%)
  • 화재하중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가연성 구조재와 수용물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건물 화재시 화재가 더욱 심각한 위험성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건축물 설계 및 관리 시에는 화재하중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표적인 열의 전달방법이 아닌 것은?

  1. 전도
  2. 흡수
  3. 복사
  4. 대류
(정답률: 81%)
  • 열의 전달 방법 중에서 "흡수"는 열을 전달하는 방법이 아니라, 온도가 높은 물체나 물질이 주변 환경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흡수"는 열의 전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질식소화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2소화기를 사용하여 소화
  2. 물분무의 방사를 이용하여 소화
  3. 포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
  4. 가스 공급밸브를 차단하여 소화
(정답률: 64%)
  • 질식소화는 산소를 차단하여 불을 끄는 방법이기 때문에, 가스 공급밸브를 차단하여 소화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화재를 질식소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Halon 1211 의 분자식으로 옳은 것은?

  1. C2FCIBr
  2. CBr2ClF
  3. CCI2BrF
  4. CBrCIF2
(정답률: 59%)
  • Halon 1211은 CBrCIF2의 분자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분자 내에 브롬(Br), 클로로(Cl), 플루오로(F) 원자가 존재하는 다른 보기와 달리, 브롬(Br), 클로로(Cl) 원자가 존재하는 CBr2ClF와 CCI2BrF와 구별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화재분류중 금속분 화재에 해당되는 것은?

  1. A급
  2. B급
  3. C급
  4. D급
(정답률: 90%)
  • 금속분 화재는 D급에 해당됩니다. 이는 금속이 불에 타지 않고, 오히려 불에 녹아 흐르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급 소화제인 금속 소화제를 사용하여 진화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벤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향족 화합물로 적색 액체이다.
  2. 고체상태에서도 가연성 증기를 발생할 수 있다.
  3. 인화점은 약 14℃ 이다.
  4. 화새 시 CO2는 사용불가이며 주수에 의한 소화가 효과적이다.
(정답률: 74%)
  • 벤젠은 방향족 화합물로, 고체상태에서도 분자 내의 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가연성 증기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체 상태에서도 증기가 발생하여 화재 위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질식소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불활성 기체를 가연물에 방출하는 방법
  2. 가연성 기체의 농도를 높게 하는 방법
  3. 불연성 포소화약제로 가연물을 덮는 방법
  4. 건조 모래로 가연물을 덮는 방법
(정답률: 70%)
  • 질식소화 방법은 가연물에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가연성 기체의 농도를 높이는 방법은 질식소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 방법은 화재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대기압을 나타내는 단위는?

  1. mmHg
  2. cd
  3. dB
  4. Gauss
(정답률: 80%)
  • 대기압을 나타내는 단위는 "mmHg"이다. 이는 수은기압계에서 사용되는 단위로, 1mmHg는 수은이 1mm 상승하는 높이를 의미한다. 대기압은 지표면에서의 공기의 무게로 나타내며, 이를 수은기압계로 측정할 때 사용되는 단위가 mm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소범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한과 하한의 값을 가지고 있다.
  2. 연소에 필요한 혼합 가스의 농도를 말한다.
  3. 동일 물질이라고 환경에 따라 연소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4.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연소 위험성은 높아진다. 연소범위
(정답률: 65%)
  • 정답은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연소 위험성은 높아진다. 연소범위" 이다. 연소범위란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가스 농도의 범위를 말하며,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연소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소 위험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을 경우 연소범위가 좁아져서 연소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고,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을 경우 연소범위가 넓어져서 연소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연소범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BC급 소화성능을 가지는 분말소화약제는?

  1. 탄산수소나트륨
  2. 탄산수소칼륨
  3. 제1인산암모늄
  4. 황산알루미늄
(정답률: 84%)
  • 제1인산암모늄은 ABC급 소화성능을 가지는 분말소화약제 중 하나이다. 이는 제1인산암모늄이 물과 반응하여 산성을 띠는 환경을 만들어내고, 이러한 환경에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인산암모늄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소화작용이 빠르고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떤 기체의 확산속도가 산소보다 4배 빠르다면 이 기체는 무엇으로 예상할 수 있는가?

  1. 질소
  2. 수소
  3. 이산화탄소
  4. 암모니아
(정답률: 71%)
  • 확산속도는 기체 분자의 질량과 관련이 있으므로, 확산속도가 산소보다 4배 빠르다면 분자량이 산소의 절반인 수소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수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청정 소화약제인 HCFC-124 의 화학식은?

  1. CHF3
  2. CF3CHFCF3
  3. CHCOFCF3
  4. C4H10
(정답률: 60%)
  • HCFC-124은 Hydrochlorofluorocarbon의 약자로, 화학식에서 H은 수소, C는 탄소, F는 플루오린, Cl은 염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CHCOFCF3"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소 4kg이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수증기는 몇 kmol 인가?

  1. 1
  2. 2
  3. 4
  4. 8
(정답률: 56%)
  • 수소(H2) 1 mol이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수증기(H2O) 1 mol의 수는 2 mol이다. 따라서 수소 4 kg이 완전 연소할 때 생성되는 수증기의 수는 8 kmol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 아닌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alon 104가 수증기와 작용해서 생기는 유독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1. 포스겐
  2. 황화수소
  3. 이산화질소
  4. 포스핀
(정답률: 73%)
  • Halon 104는 수증기와 작용하여 포스겐을 생성합니다. 포스겐은 유독하며, 호흡기계나 눈, 코, 입 등을 자극하여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lon 104는 안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소의 3대 기본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가연물, 산소, 점화원
  2. 가연물, 산소, 바람
  3. 가연물, 연쇄반응, 점화원
  4. 산소, 점화원, 연쇄반응
(정답률: 85%)
  • 연소란 가연물, 산소, 그리고 점화원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하는 화학반응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소의 3대 기본요소는 가연물, 산소, 그리고 점화원입니다. 바람이나 연쇄반응은 연소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자기연소가 가능한 물질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금속칼륨
  3. 금속나트륨
  4. 황린
(정답률: 65%)
  • 니트로글리세린은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자기연소가 가능한 물질입니다. 이는 니트로기를 함유하고 있어서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자기연소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다음 그림과 같은 탱크에 물이 들어있다. A-B면(5[m]x2[m]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kN]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95
  2. 10.5
  3. 95.5
  4. 955
(정답률: 33%)
  • A-B면에 작용하는 힘은 압력과 면적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물의 밀도는 1000[kg/m^3]이므로, 물의 무게는 부피당 1000[kg/m^3] x 5[m] x 2[m] x 1[m] = 10000[kg]이다. 이 무게가 A-B면에 작용하므로, 압력은 10000[kg] x 9.8[m/s^2] / (5[m] x 2[m]) = 980[kPa]이다. 따라서 A-B면에 작용하는 힘은 980[kPa] x 5[m] x 2[m] = 9800[N] = 9.8[kN]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5.5"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에서 압력차 P1-P2는 약 몇 [Pa]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물의 비중은 1, 벤투리관은 수평으로 놓여 있으며, h는 [m]단위이다)

  1. 1.35×104 h
  2. 1.25×104 h
  3. 13.25×104 h
  4. 12.35×104 h
(정답률: 37%)
  • 벤투리관에서의 압력차는 수은과 물의 높이 차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수은과 물의 높이 차이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력차를 구할 수 있다.

    물의 높이 차이는 0.2 m - 0.1 m = 0.1 m 이다. 수은의 높이 차이는 0.1 m / 13.6 = 0.00735 m 이다.

    압력차는 밀도와 높이 차이에 비례하므로, 수은과 물의 압력차는 다음과 같다.

    P1 - P2 = (13.6 × 9.81 × 0.00735) - (1 × 9.81 × 0.1) = 12.35 × 104 Pa

    따라서, 정답은 "12.35×104 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수평 원관 내 층류 유동에서 유량은?

  1. 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2. 점성에 비례한다.
  3. 지름의 4승에 비례한다.
  4. 압력강하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49%)
  • 수평 원관 내 층류 유동에서 유량은 지름의 4승에 비례한다. 이는 파이프 유동의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유도할 수 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압력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원리를 나타내는데, 이를 적용하면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서로 반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가 일정하다면, 파이프의 지름이 작아지면 유체의 속도는 증가하고, 반대로 파이프의 지름이 커지면 유체의 속도는 감소한다. 이때, 유량은 유체의 속도와 파이프의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파이프의 단면적은 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유량은 지름의 4승에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탱크에서 물의 높이가 4[m]일 때, 수심 2.5[m]에서 받는 계기압력은 약 몇 [Pa]인가?

  1. 24.5
  2. 245
  3. 2,450
  4. 24,500
(정답률: 44%)
  • 물의 밀도는 대략 1000[kg/m^3]이므로, 수심 2.5[m]에서의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 = ρgh = 1000[kg/m^3] x 9.8[m/s^2] x 2.5[m] = 24,500[Pa]

    따라서, 정답은 "24,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중앙 부분에 구멍이 뚫린 정지에 있는 원판에 직경 D의 원형 물제트가 대기압 상태에서 충돌하여, 원판 뒤로 직경 d의 원형 물제트가 V의 속도로 흘러나가고 있을 때, 이 원판이 받는 힘의 크기는 얼마인가? (단, ρ는 물의 밀도이다)

(정답률: 43%)
  • 이 문제는 운동량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이 보존되기 때문에, 물체가 충돌하기 전과 후의 운동량을 구하고 그 차이를 구하여 힘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충돌 전의 운동량을 구해보자. 물체의 질량은 밀도와 부피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충돌 전의 물체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m1 = ρπ(D/2)^2

    물체의 속도는 V이므로,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1 = m1V

    이제 충돌 후의 운동량을 구해보자. 충돌 후에는 물체가 원판을 통과하여 나가기 때문에, 원판과 물체의 운동량이 모두 변한다. 먼저 원판의 운동량 변화를 구해보자. 원판의 질량은 반지름이 D/2인 원의 넓이와 밀도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m2 = ρπ(D/2)^2

    원판의 속도는 0이므로, 충돌 후의 원판의 운동량은 0이 된다.

    p2 = 0

    이제 물체의 운동량 변화를 구해보자. 충돌 후 물체의 질량은 부피가 변하지 않았으므로, 충돌 전과 같다.

    m3 = ρπ(d/2)^2

    물체의 속도는 충돌 후 V'이므로, 운동량은 다음과 같다.

    p3 = m3V'

    따라서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p1 = p2 + p3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1V = m3V'

    V' = (m1V) / m3

    이제 운동량의 변화량을 구해보자.

    Δp = p3 - p1

    = m3V' - m1V

    = V(m1/m3)(D/d - 1)

    따라서 힘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Δp / Δt

    = V(m1/m3)(D/d - 1) / t

    여기서 t는 충돌 시간이다. 충돌 시간은 물체가 원판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π/4)(D/d)V

    따라서 힘은 다음과 같다.

    F = V(m1/m3)(D/d - 1) / [(π/4)(D/d)V)]

    = 4ρV^2π(D/d - 1)/(Dd)

    = 4ρV^2π(D - d)/(Dd)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질소가스가 정상상태, 정상 유동과정으로 가열된다. 이때 입구의 상태는 500[kPa], 35[℃]이고, 출구의 상태는 500[kPa], 1,000[℃]이다.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할 때 질소 1[kg]당 요구되는 전열량은 몇[kJ]인가? (단, 질소의 정압비열 1.0416[kJ/(kg·K)] 이다)

  1. 1,005
  2. 1,010
  3. 1,015
  4. 1,020
(정답률: 31%)
  • 이 문제는 열역학 제1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닫힌 시스템에서 열과 일의 전달로 인해 시스템 내부의 총 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질량이 일정하므로 질량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하므로 내부에너지 변화만 고려하면 된다.

    입구와 출구의 상태가 주어졌으므로, 내부에너지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내부에너지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U = mCvΔT

    여기서, ΔU는 내부에너지 변화, m은 질량, Cv는 정압비열, ΔT는 온도 변화이다. 질량이 1[kg]이므로 m은 생략할 수 있다.

    입구와 출구의 상태를 이용하여 ΔT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ΔT = 출구 온도 - 입구 온도 = 1,000 - 35 = 965[℃]

    따라서, 내부에너지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U = CvΔT = 1.0416 × 965 = 1,003.824[kJ]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 요구되는 전열량은 1,003[kJ]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5"이다.

    이 값이 보기에서 제시된 값과 약간 다른 이유는 Cv 값이 정확히 1.0416[kJ/(kg·K)]인 것이 아니라 근사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이 지름이 D1, D2인 두 개의 동심원 사이에 유체가 흐르고 있다. 유동 단면의 수력직경(Hydraulic Diameter)을 구하면?

  1. D2-D1
(정답률: 53%)
  • 유동 단면의 수력직경은 유체가 흐르는 단면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름이다. 이 경우, 유체가 흐르는 단면은 두 동심원의 내부와 외부 경계면 사이의 영역이므로, 유동 단면의 수력직경은 D2-D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온도 차이 10[℃], 열전도율 10[W/(m·K)], 두께 25[cm]인 벽을 통한 열유속(Heat Flux)과 온도 차이 20[℃], 열전도율 [W/(m·K)], 두께 10[m]인 벽을 통한 열유속이 같다면 k의 값은?

  1. 2
  2. 5
  3. 10
  4. 20
(정답률: 36%)
  • 열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kAΔT/Δx

    여기서 Q는 열유속, k는 열전도율, A는 벽의 면적, ΔT는 온도 차이, Δx는 벽의 두께이다.

    두 벽의 열유속이 같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Q1 = Q2

    k1A1ΔT1/Δx1 = k2A2ΔT2/Δx2

    여기서 A1 = A2이고, ΔT1 = 10℃, ΔT2 = 20℃, Δx1 = 25cm = 0.25m, Δx2 = 10m이므로,

    k1/0.25 = k2/10

    k1 = 0.025k2

    따라서 k2 = 40k1이다. 이때, k1과 k2는 모두 양수이므로, k2의 값은 k1의 값보다 크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중 동점성계수의 차원으로 올바른 것은? (단, M, L, T는 각각 질량, 길이 시간을 나타낸다)

  1. ML-1T-1 
  2. ML-1T-2 
  3. L2T-1
  4. MLT-2
(정답률: 61%)
  • 동점성계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수이며, 이 상수는 두 변수의 단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동점성계수의 차원은 두 변수의 차원을 곱한 후 나눈 것과 같다.

    예를 들어, "ML-1T-1"은 질량(M), 길이(L), 시간(T)의 차원을 갖는 변수 A와 B 간의 동점성계수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동점성계수의 차원은 (M×L×T) ÷ (M×L-1×T-1) = L2T-1 이 된다. 따라서, "L2T-1"이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상태에서 손실을 무시하고 물의 분출속도를 구하면 약 몇 [m/s]인가?

  1. 16.2
  2. 18.8
  3. 19.8
  4. 22.8
(정답률: 49%)
  • 이 문제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먼저, 물이 나오는 부분에서의 압력을 P1, 물이 나오지 않는 부분에서의 압력을 P2, 물의 속도를 v, 물의 밀도를 ρ, 중력 가속도를 g, 물이 나오는 부분과 나오지 않는 부분의 높이 차이를 h라고 하자.

    그러면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P1 + 1/2ρv^2 + ρgh = P2 + 1/2ρv^2

    여기서 P2는 대기압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P2를 없애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v = √(2gh)

    여기서 h는 그림에서 물이 나오는 부분과 나오지 않는 부분의 높이 차이이므로 0.2m이다.

    그리고 중력 가속도 g는 9.8m/s^2이다.

    따라서 v = √(2×9.8×0.2) ≈ 1.98 ≈ 2 [m/s]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손실을 무시하고 물의 분출속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실제로는 더 작은 속도가 나올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8.8"이 정답이 될 수 있다. 이 값은 실제 손실을 고려하지 않은 이론적인 값이 아니라, 실제로 측정한 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펌프의 양정 중 실양정을 설명한 것은?

  1. 펌프의 중심에서 상부쪽으로 송출수면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2. 펌프의 중심에서 하부쪽으로 흡입수면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3. 흡입수면과 송출수면 사이의 수직높이를 말한다.
  4. 흡입수면과 송출수면 사이의 수직높이와 손실높이를 더한 높이를 말한다.
(정답률: 50%)
  • 실양정은 펌프의 작동에 따라 변하는 흡입수면과 송출수면 사이의 수직높이를 말합니다. 즉, 펌프가 물을 흡입하여 송출할 때, 흡입수면과 송출수면 사이의 높이가 변하게 되는데, 이 변화된 높이를 실양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리피스 유량계에서 오리피스의 지름은 3[cm], 관의 안지름은 9[cm]이다. 이 관로에 물을 유동시켰을 때 오리피스 전후에서 압력수두의 차가 12[cm]이었다. 유량 계수가 0.66일 때 유량은 몇[m3/s]인가?

  1. 7.2×10-4
  2. 9.3×10-4
  3. 1.3×10-3
  4. 3.5×10-3
(정답률: 27%)
  • 오리피스 유량계에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Cd Ao √(2gh)

    여기서, Q는 유량, Cd는 유량 계수, Ao는 오리피스의 단면적, g는 중력 가속도, h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수두 차이이다.

    오리피스의 지름이 3[cm]이므로 반지름은 1.5[cm]이다. 따라서 오리피스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o = πro2 = 3.14 × 1.52 = 7.07[cm2]

    관의 안지름이 9[cm]이므로 반지름은 4.5[cm]이다. 따라서 관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p = πrp2 = 3.14 × 4.52 = 63.62[cm2]

    압력수두 차이는 12[cm]이므로, h = 0.12[m]이다.

    유량 계수가 0.66이므로, Cd = 0.66이다.

    중력 가속도는 보통 9.81[m/s2]로 가정한다.

    따라서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0.66 × 7.07 × √(2 × 9.81 × 0.12) = 7.2×10-4[m3/s]

    따라서 정답은 "7.2×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관 내의 유동형태가 급격히 변화하여 물의 운동에너지가 압력파의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은?

  1. 서징현상
  2. 수격현상
  3. 공동현상
  4. 수축현상
(정답률: 75%)
  • 수격현상은 물속에서 유동형태가 급격히 변화할 때, 물의 운동에너지가 압력파의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물속에서 물체가 이동하거나, 파가 만들어지거나, 바람이 불어서 물의 표면이 굴러가는 등의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물의 운동에너지가 압력파로 변환되어 주변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를 수격파라고도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체적탄성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길이의 차원을 갖는다.
  2. 유체의 압축성을 나타내는 물성치이다.
  3. 밀도에 대한 동역학적 점성의 비율을 나타낸다.
  4. 동압하의 온도에 따른 유체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다.
(정답률: 47%)
  • 체적탄성계수는 유체의 압축성을 나타내는 물성치입니다. 이는 유체가 압력을 받았을 때 그 압력에 대해 얼마나 압축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유체의 부피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체적탄성계수는 길이의 차원을 갖지 않습니다. 밀도에 대한 동역학적 점성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동점성계수이며, 동압하의 온도에 따른 유체의 밀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은 온도팽창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처음에 절대온도, 비체적이 각각 T1, v1 인 이상기체 1[kg]을 압력 P로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가열하여 온도를 3T1까지 상승시킨다. 이상기체가 한 일은 얼마인가?

  1. Pv1
  2. 2Pv1
  3. 3Pv1
  4. 4Pv1
(정답률: 43%)
  • 이상기체가 한 일은 PΔV 이다. 이 때 ΔV는 비체적 v1에서 3v1으로 변화하므로, ΔV = 2v1 이다. 따라서 이상기체가 한 일은 PΔV = 2Pv1 이다. 따라서 정답은 "2Pv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체의 밀도 A[kg/m3], 점성계수 B[N·s/m2], 동점성계 수 C[m2/s], 속도기울기(du/dy), D[s-1]라고 할 때, 각각이 다음과 같을 때 전단응력이 가장 큰 것은?

  1. A=1,000, B=0.001, D=0.1
  2. A=1,200, B=0.001, D=0.1
  3. A=1,000, C=5×10-7, D=0.2
  4. A=1,200, C=1×10-6, D=0.1
(정답률: 36%)
  • 전단응력은 τ = μ(du/dy)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μ는 동점성계수로, 유체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μ가 가장 큰 경우, 즉 "A=1,200, C=1×10-6, D=0.1"인 경우 전단응력이 가장 큽니다. 이는 유체의 밀도와 점성계수가 높은 경우, 그리고 동점성계수가 큰 경우 전단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진공 밀폐된 18[m3]의 방호구역에 이산화탄소약제를 방사하여, 27[℃], 101[kPa]상태가 되었다. 이때 방사된 이산화탄소량은 몇[kg]인가? (단, 일반 지체상수는 8,314[J/kmol·K]이다)

  1. 26.4
  2. 29.3
  3. 32.1
  4. 35.8
(정답률: 37%)
  • 이산화탄소의 상태방정식은 PV = nRT 이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일반 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P, V, T가 주어졌으므로 n을 구하면 된다.

    먼저, 부피를 m3에서 L로 변환한다. 18 m3 = 18,000 L 이므로 V = 18,000 L 이다.

    다음으로, 온도를 절대온도인 K로 변환한다. 27 ℃ = 300 K 이므로 T = 300 K 이다.

    마지막으로, 압력을 Pa에서 kPa로 변환한다. 101 kPa = 101,000 Pa 이므로 P = 101 kPa 이다.

    이제 상태방정식에 값을 대입하여 n을 구한다.

    n = PV/RT = (101,000 Pa) x (18,000 L) / (8,314 J/kmol·K x 300 K) = 77.4 kmol

    마지막으로, 몰수를 질량으로 변환한다. 이산화탄소의 몰량은 44 g/mol 이므로 77.4 kmol은 3,405.6 kg이다.

    따라서, 방사된 이산화탄소량은 3,405.6 kg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32.1"인 이유는 단위를 kg으로 바꾸면 소수점 이하 둘째자리가 21이므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자리까지 표기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안지름이 20[cm]인 관 속에 평균유속 2[m/s]인 물이 흐른다면 관의 길이 100[m]사이에서 압력손실수두는 약 몇 [m]인가? (단, 마찰계수는 0.05이다)

  1. 2
  2. 3
  3. 5
  4. 6
(정답률: 50%)
  • 압력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P = f × (L/D) × (ρV^2/2)

    여기서, ΔP는 압력손실, f는 마찰계수, L은 관의 길이, D는 관경, ρ는 물의 밀도, V는 유속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ΔP = 0.05 × (100/0.2) × (1000 × 2^2/2) = 500 [Pa]

    따라서, 압력손실수두는 약 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효율이 75[%]인 원심 펌프가 양정 20[m], 유량 0.1[m3/s]의 물을 송출하기 위한 축동력은 약 몇 [kw]인가?

  1. 16
  2. 20
  3. 26
  4. 40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밀도가 1.24[kg/m3]인 공기가 직경 30[cm]인 관속을 3[kg/s]의 질량유량으로 흐르고 있다. 이 때 관 내의 유량은 몇[m3/s]인가?

  1. 1.82
  2. 2.12
  3. 2.42
  4. 2.72
(정답률: 36%)
  • 유량은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유체의 속도를 구해보자.

    유체의 질량유량은 3[kg/s]이므로,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부피는 3[kg/s] / 1.24[kg/m^3] = 2.419[m^3/s] 이다. 이 부피가 관을 통과하는 속도와 단면적의 곱과 같다는 것을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2.419[m^3/s] = 속도[m/s] × 단면적[㎡]

    단면적은 관의 내부 지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π × 지름[m]^2) / 4 = (π × 0.3[m]^2) / 4 = 0.07069[㎡]

    따라서,

    2.419[m^3/s] = 속도[m/s] × 0.07069[㎡]

    속도[m/s] = 2.419[m^3/s] / 0.07069[㎡] = 34.17[m/s]

    마지막으로, 유량은 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유량[m^3/s] = 속도[m/s] × 단면적[㎡] = 34.17[m/s] × 0.07069[㎡] = 2.42[m^3/s]

    따라서 정답은 "2.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소방시설업자가 등록한 사항 중 대표자를 변경하는 경우 첨부서류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첨부서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이다.)

  1. 소방시설업 등록증
  2. 기술인력의 자격수첩
  3. 인적사항이 적힌 서류
  4. 소방시설업 등록수첩
(정답률: 48%)
  • 기술인력의 자격수첩은 대표자 변경과는 관련이 없는 업무자의 자격증명서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첨부서류이다. 대표자 변경과 관련된 서류는 인적사항이 적힌 서류나 소방시설업 등록수첩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소방신호의 종류 및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발화신호는 화재가 발생한 때 발령
  2. 해제신호는 소화활동이 필요 없다고 안정되는 때 발령
  3. 경계신호는 화재발생 지역에 출동할 때 발령
  4. 훈련신호는 훈련상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 발령
(정답률: 70%)
  • 정답: 경계신호는 화재발생 지역에 출동할 때 발령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설명: 경계신호는 화재 발생 지역에 출동하기 전에 발령되는 신호로, 주변 지역에 경계를 주고 출동 준비를 하도록 알리는 신호이다. 따라서 이미 출동한 후에 발령되는 것이 아니라, 출동하기 전에 발령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행정상 처벌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청문을 실시해야 한다.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소방안전교육사 자격의 취소
  2. 소방용품의 형식승인 취소
  3. 소방시설 관리업의 등록취소
  4. 제품검사 전문기관의 지정취소
(정답률: 52%)
  • 소방안전교육사 자격의 취소는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처벌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청문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해당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품명 및 최대 수량을 표기한다.
  2. 특수가연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에 화기취급 금지표지를 설치한다.
  3.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아서 저장한다.
  4. 쌓는 높이는 5[m]이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56%)
  • "쌓는 높이는 5[m]이하가 되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특수가연물의 종류와 저장 장소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적층 높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안전성 평가를 거쳐 적정한 적층 높이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저장 및 취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관계인이 소방시설공사업자에게 하자보수를 요청할 때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그 사실을 알릴 수 있는 데 그 경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규정에 따른 기간 이내에 하자보수계획을 서면으로 알리지 아니한 경우
  2. 규정에 따른 기간 이내에 하자보수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3. 규정에 따른 기간 이내에 하자보수이행증권을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
  4. 하자보수계획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정답률: 56%)
  • 정답인 "규정에 따른 기간 이내에 하자보수이행증권을 제출하지 아니한 경우"는, 관계인이 소방시설공사업자에게 하자보수를 요청할 때, 이행증권을 제출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기간 내에 제출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이행증권은 하자보수가 완료될 때까지 보증금 역할을 하며, 이를 제출하지 않으면 관계인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이행증권을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알릴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된 기술인력 : 기술사 또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 각 1명
  2. 자본금 : 법인 1억 이상
  3. 자본금 : 개인 자산평가액 2억 이상
  4. 보조기술인력 : 1명 이상
(정답률: 53%)
  • "보조기술인력 : 1명 이상"이 옳지 않은 것은,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기준에서는 보조기술인력이 아닌 전문기술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전문기술인력으로는 기술사 또는 기계분야와 전기분야의 소방설비기사 각 1명이 필요합니다. 보조기술인력은 전문기술인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등록기준에서는 따로 명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방염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섬유류 방염업
  2. 합성수지류 방염업
  3. 벽지류 방염업
  4. 합판·목재류 방염업
(정답률: 70%)
  • 벽지류 방염업은 건축물 내부 장식용 벽지나 바닥재 등을 방화성능을 갖도록 처리하는 업종으로, 섬유나 합성수지류와는 다른 분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동화탐지설비를 설치할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정수량의 5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ㆍ취급하는 것
  2. 지하가(터널 제외)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3. 숙박시설이 있는 수련시설로서 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것
  4. 장례식장 및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
(정답률: 54%)
  • "지하가(터널 제외)로서 연면적 600[m2] 이상인 것"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이유는 지하에 위치한 건물이라면 연면적이 작더라도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에 위치한 건물도 자동화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특정옥외탱크저장소의 구조안전점검에 관한 기록은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0년
  2. 15년
  3. 20년
  4. 25년
(정답률: 46%)
  • 특정옥외탱크저장소의 구조안전점검에 관한 기록은 25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이는 국가기술표준법 제29조에 따라 정해진 기간으로, 안전점검 결과와 관련된 기록은 25년간 보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원인 파악 및 책임 추적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특정소방대상물로서 그 관리의 권원(權原)이 분리되어 있는 것 가운데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지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안전행정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자를 공동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하여야 하는데 그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지하층을 합한 층수가 5층 이상인 건축물
  2.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고층건축물
  3. 지하층을 합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고층건축물
  4.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5층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77%)
  • 특정소방대상물의 관리 권원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해당 건물의 관계인을 공동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해야 합니다. 이때, 공동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해야 하는 건물의 기준은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고층건축물"입니다. 이유는 고층건축물일수록 인명피해가 크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더욱 중요하고, 11층 이상인 건물은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파트인 경우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은?

  1. 연면적 1000[m2] 미만
  2. 연면적 600[m2] 미만
  3. 연면적 1000[m2] 이상
  4. 연면적 600[m2] 이상
(정답률: 40%)
  • 아파트의 경우, 연면적이 1000[m2] 미만인 경우는 건물 규모가 작아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는 아파트는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장지역 등에서 화재로 오인할 만한 우려가 있는 불을 피우거나 연막소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가 신고를 하지 아니하여 소방자동차를 출동하게 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금액은?

  1. 20만원 이하
  2. 50만원 이하
  3. 100만원 이하
  4. 200만원 이하
(정답률: 62%)
  • 해당 위반행위는 「소방법」 제63조 제1항에 따라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소방법 시행규칙」 제38조에 따라 2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인화성 액체인 것은?

  1. 과염소산
  2. 유기과산화물
  3. 질산
  4. 동식물유류
(정답률: 75%)
  • 동식물유류는 인화성 액체입니다. 이유는 동식물유류는 고온에서 쉽게 증기화되며, 고온에서 불이 붙으면 불꽃이 일어나며 폭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하여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그 실시 주기는 어떻게 되는가?

  1. 분기별(3월) 1회 이상
  2. 월 1회 이상
  3. 반년(6월) 1회 이상
  4. 년 1회 이상
(정답률: 46%)
  • 소방특별조사는 화재경계지구 안의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등을 점검하여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소방특별조사는 년 1회 이상 실시되어야 합니다. 다른 주기로는 점검이 불충분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특별조사 결과 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이 화재나 재난⋅재해 예방을 위하여 보완될 필요가 있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 소방대상물의 개수⋅ 이전⋅제거를 관계인에게 명령할 수 있는 사람은?

  1. 소방서장
  2. 행정안전부장관
  3. 해당 구청장
  4. 시⋅도지사
(정답률: 53%)
  • 소방서장은 소방특별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 설비 또는 관리 상황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이며, 화재나 재난⋅재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보완 조치나 개수⋅이전⋅제거 등의 명령을 내릴 권한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행정안전부장관, 해당 구청장, 시⋅도지사도 관련 권한이 있지만, 소방서장이 직접적으로 소방대상물에 대한 평가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전문가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서장은 소방특별조사를 하려면 관계인에게 언제까지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서면으로 알려야 하는가?

  1. 3일 전
  2. 5일 전
  3. 7일 전
  4. 14일 전
(정답률: 66%)
  • 소방서장은 관계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조사대상, 조사기간 및 조사사유 등을 서면으로 알려야 합니다. 이를 위해 관계인에게는 최소 7일 전에 알려주어야 하며, 이는 관계인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신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 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2.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3. 연면적 15000 m2 이상인 것
  4. 가연성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취급하는 시설
(정답률: 56%)
  •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은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해당 건축물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방안전관리대상물로서의 기준과는 별도로 보호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화전⋅급수탑⋅저수조 등의 소방용수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하여야 하는 자는?

  1. 소방청장
  2. 시⋅도지사
  3. 소방본부장
  4. 소방서장
(정답률: 61%)
  • 시⋅도지사는 해당 지역의 공공시설을 관리하는 주체이며,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화전⋅급수탑⋅저수조 등의 소방용수시설도 이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시⋅도지사가 이를 설치하고 유지⋅관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특정소방대상물 중 노유자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신의료기관
  2. 장애인직업재활시설
  3. 아동복지시설
  4. 노인의료복지시설
(정답률: 68%)
  • 노유자시설은 노인, 장애인, 아동 등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을 말하는데, 정신의료기관은 정신질환자를 치료하는 시설이므로 노유자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시설공사의 하자보수 보증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자보수 보증기간은 3년이다.
  2. 계약금액이 300만원 이상인 소방시설 등의 공사를 하는 경우 하자 보수의 이행을 보증하는 증서를 예치 하여야 한다.
  3.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하자보수보증금은 소방시설공사금액의 100분의 3이상으로 한다.
  4. 관계인으로부터 소방시설의 하자발생을 통보받는 공사
(정답률: 42%)
  • "관계인으로부터 소방시설의 하자발생을 통보받는 공사"가 옳지 않은 것이다. 소방시설공사의 하자보수 보증에 대한 사항으로, 계약금액이 300만원 이상인 소방시설 등의 공사를 하는 경우 하자 보수의 이행을 보증하는 증서를 예치해야 한다. 이는 공사가 완료된 후 발생할 수 있는 하자에 대한 보증으로, 공사를 수행한 업체가 하자를 보수하지 않을 경우 이 예치금을 사용하여 보수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하자보수 보증기간은 3년이며,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하자보수보증금은 소방시설공사금액의 100분의 3이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옥외소화전 설비의 배관에 있어서 호스는 구경 몇 mm의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1. 65
  2. 80
  3. 100
  4. 125
(정답률: 66%)
  • 옥외소화전 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호스는 물의 유량과 압력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옥외소화전 설비에서 사용되는 호스의 구경은 65mm입니다. 이는 충분한 물의 유량과 압력을 제공하면서도 호스의 무게와 운반의 편의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옥외소화전 설비의 배관에는 65mm의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수동식 소화기를 각 층마다 설치하고자 한다. 대형수동식 소화기를 설치하는 경우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는 얼마 이내로 배치하여야 하는가?

  1. 10m
  2. 20m
  3. 30m
  4. 40m
(정답률: 60%)
  • 대형수동식 소화기는 보통 50kg 이상의 무게를 가지며, 한 사람이 운반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무거운 장비이다. 따라서, 각 층마다 대형수동식 소화기를 설치할 때는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최대 30m 이내로 배치하여야 한다. 이는 소방대상물 내부에서 불이 발생했을 때, 소화기를 빠르게 찾아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연결송수관설비의 부속장치 및 기구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쌍구형 방수구
  2. 자동배수밸브
  3. 가이드 베인
  4. 체크밸브
(정답률: 61%)
  • 연결송수관설비의 부속장치 및 기구와 관련이 없는 것은 "가이드 베인"입니다. 가이드 베인은 수위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부속장치로, 연결송수관설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쌍구형 방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는 모두 연결송수관설비의 부속장치 및 기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제연설비에서 배출기의 배출측 풍속의 기준은 초속 몇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60%)
  • 제연설비에서 배출기의 배출측 풍속 기준은 초속 20m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기오염방지법에서 규정한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배출측 풍속은 대기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연설비 운영 시에는 이 기준을 준수하여 대기오염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포 소화설비용 펌프의 성능 및 성능시험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성능시험배관은 펌프의 토출측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한다.
  2.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 토출량의 150%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3. 포 소화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45%)
  •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 토출량의 150%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는, 성능시험에서 펌프의 최대 운전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유량측정장치가 정격 토출량의 150% 이상을 측정할 수 없다면, 펌프의 최대 운전능력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펌프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서이다. 펌프가 정격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게 되면, 펌프나 배관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65%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펌프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펌프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어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스프링클러설비중 화재감지기의 작동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고 다시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는 방식은?

  1.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2.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3.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4.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정답률: 60%)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감지기가 작동하여 밸브가 개방되면,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로 흐르지 않고 미리 채워진 파이프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후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면 저장된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합니다. 따라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저장해두기 때문에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보다는 설치 비용이 높지만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보다는 비교적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피난교를 설치하여야 할 층은?(2017년 06월 07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

  1. 지하층 이상
  2. 1층 이상
  3. 2층 이상
  4. 3층 이상
(정답률: 65%)
  • 피난교는 비상시 대피를 위한 시설로, 건물 내부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피난교는 지하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층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화기 설치시 전시시설에 설치하는 소화기 산출방법이다. 다음의 산출방법 중 옳은 것은?

  1. (당해용도의 바닥면적/50 m2)=소화기 개수
  2. (당해용도의 바닥면적/100 m2)=소화기구의 능력단위
  3. (당해용도의 바닥면적/25 m2)=소화기 개수
  4. (당해용도의 바닥면적/20 m2)=소화기구의 능력단위
(정답률: 56%)
  • 정답은 "(당해용도의 바닥면적/100 m2)=소화기구의 능력단위"이다. 이는 소화기의 능력을 단위로 산출하는 방법으로, 당해용도의 바닥면적을 100으로 나눈 값이 소화기구의 능력단위가 된다. 이 방법은 전시시설과 같이 인원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사용되며, 바닥면적이 큰 공간일수록 더 많은 소화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기동용기의 개방에 따라 CO2저장용기가 개방되는 시스템방식은?

  1. 전기식
  2. 가스압력식
  3. 기계식
  4. 유압식
(정답률: 69%)
  • 가스압력식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저장용기 내부에 압축된 CO2 가스를 이용하여 소화제를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기동용기를 개방하면 저장용기 내부의 가스압력이 감소하면서 CO2 가스가 분사됩니다. 이 방식은 전기나 기계, 유압 등의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하고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는 가스압력식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분말소화약제 동일 중량을 저장하는데 저장용기의 내용적이 가장 작게 요구되는 것은?

  1. 제1종 분말
  2. 제2종 분말
  3. 제3종 분말
  4. 제4종 분말
(정답률: 66%)
  • 제1종 분말은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입자 크기 분포가 좁아서 압축성이 높기 때문에 저장용기의 내용적이 가장 작게 요구됩니다. 따라서 분말소화약제 동일 중량을 저장하는데 가장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제2종 분말은 입자 크기 분포가 넓어서 압축성이 낮고, 제3종 분말은 입자 크기가 크고 불규칙하여 압축성이 매우 낮습니다. 제4종 분말은 입자 크기가 매우 작아서 분말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고, 액체나 고체에 녹아들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호대상물 주변에 설치된 벽면적 합계가 20 m2, 방호공간의 벽면적합계가 50 m2, 방호공간 체적이 30 m3인 장소에 국소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를 설치할 때 저장할 소화약제량 (kg/m3)은 얼마인가? (단, 소화약제의 종별에 따른 X, Y의 수치에서 X의 수치는 5.2, Y의 수치는 3.9로 하며, 여유율(k)은 1.1로 한다)

  1. 120
  2. 199
  3. 314
  4. 349
(정답률: 41%)
  • 저장할 소화약제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방호공간의 체적 = 30 m3
    여유율(k) = 1.1

    따라서, 실제 필요한 소화약제량은 다음과 같다.

    30 x 1.1 = 33

    이제 방호대상물과 방호공간의 벽면적합계를 이용하여 소화약제량을 계산할 수 있다.

    방호대상물 주변 벽면적합계 = 20 m2
    방호공간 벽면적합계 = 50 m2

    따라서, 총 벽면적합계는 다음과 같다.

    20 + 50 = 70

    이제 벽면적합계와 소화약제의 종별에 따른 X, Y의 수치를 이용하여 소화약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소화약제량 = (벽면적합계 x X) + (체적 x Y)
    소화약제량 = (70 x 5.2) + (30 x 3.9)
    소화약제량 = 364 + 117
    소화약제량 = 481

    하지만, 여유율을 고려하여 계산한 실제 필요한 소화약제량인 33을 곱해줘야 한다.

    최종적으로, 저장할 소화약제량은 다음과 같다.

    481 x 33 = 15873

    따라서, 저장할 소화약제량은 약 120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랙크식 창고에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경우 건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얼마인가?

  1. 1.7 m 이하
  2. 2.1 m 이하
  3. 2.5 m 이하
  4. 3.2 m 이하
(정답률: 49%)
  •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경우, 건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스프링클러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1.7 m 이하이다. 이는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13의 규정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규정은 건물의 높이, 크기, 사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의 위치와 간격을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거리를 1.7 m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이 3층에 위치하고 있다. 3층에 피난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데 이에 적응되는 피난기구는?

  1. 피난사다리
  2. 완강기
  3. 공기안전매트
  4. 구조대
(정답률: 65%)
  • 입원실이 있는 의원은 환자들이 있기 때문에 피난시에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구조대가 적합한 피난기구입니다. 피난사다리는 구조대보다 불안정하며, 완강기는 화재 발생 시에만 사용 가능하므로 일상적인 피난에는 부적합합니다. 공기안전매트는 낙하 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하나의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2 이상의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어 이산화탄소 저장용기를 공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방호구역이 4개일 때 선택밸브는 몇 개 설치하는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56%)
  • 선택밸브는 방호구역의 개수보다 1개 적게 설치한다. 따라서 방호구역이 4개일 때 선택밸브는 3개가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물분무소화설비가 설치된 주차장 바닥의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는 몇 m 이하마다 설치하여야 하는 가?

  1. 10 m
  2. 20 m
  3. 30 m
  4. 40 m
(정답률: 55%)
  • 물분무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와의 거리가 멀 경우 효과적인 소화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물분무소화설비와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는 최대한 가까이 설치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물분무소화설비와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의 거리는 40m 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0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분말소화설비의 배관 방법 중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배관은 최고 사용압력의 몇 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하는가?

  1. 0.5
  2. 1.5
  3. 2.5
  4. 3.5
(정답률: 52%)
  •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 분말소화설비에서 생성되는 압력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배관은 최소 1.5배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는?

  1. 병원의 응급처치실
  2. 거실
  3. 전자기기실
  4. 통신기기실
(정답률: 77%)
  •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헤드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헤드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거실은 가정 내에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공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헤드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시설 중 호스릴 포소화설비를 적용할 수 있는 소방대상물은?

  1. 지상 1층으로서 방화구획되거나 지붕이 있는 부분
  2. 옥외로 통하는 개구부가 상시 개방된 구조의 부분으로서 그 개방된 부분의 합계면적이 당해 차고 또는 주차장의 바닥면적의 20%이상인 부분
  3. 바닥면적 합계가 1000 m2 미만인 항공기 격납고
  4. 완전 개방된 옥상 주차장
(정답률: 64%)
  • 호스릴 포소화설비는 불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진화시키기 위한 소방시설로, 물을 분사하여 불을 진압하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설비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설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완전 개방된 옥상 주차장"이 호스릴 포소화설비를 적용할 수 있는 소방대상물인 이유는, 옥상 주차장은 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설 중 하나이며, 완전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빠르게 불을 진압할 수 있는 호스릴 포소화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또는 계단실만 단독으로 제연하는 경우 방연풍속은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0.3 m/s
  2. 0.5 m/s
  3. 0.7 m/s
  4. 1.0 m/s
(정답률: 67%)
  • 계단실은 화재 발생 시 인명구조의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화재로부터 안전한 대피를 위해 방화벽 등으로 다른 공간과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계단실 내부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와 열이 증가하여 대피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계단실 내부의 연기와 열을 제어하기 위해 방화문, 환기구, 방화벽 등의 설비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환기구는 계단실 내부의 연기와 열을 제어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계단실 내부의 연기와 열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계단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계단실 내부로 유입하여 연기와 열을 희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계단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환기구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구가 필요하다.

    그런데 계단실은 대개 다른 공간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구가 부재할 경우 계단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되어 공기가 흐르지 않아 연기와 열이 쌓이게 된다. 이는 대피에 어려움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에도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계단실 내부에는 환기구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 환기구의 방연풍속은 0.5 m/s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계단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계단실 내부로 유입하여 연기와 열을 희석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연풍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화용 설비 중 비상전원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옥내소화전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연결살수설비
  4. 포 소화설비
(정답률: 65%)
  • 연결살수설비는 물을 공급받는 라인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주변에 물원이 있는 경우에는 물원에서 직접 물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화용 설비 중 비상전원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것은 연결살수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