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산림기능사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 및 육림기술

1. 왜림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전나무
  2. 가문비나무
  3. 아까시나무
  4. 향나무
(정답률: 79%)
  • 왜림 작업은 숲의 생태계를 회복하고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수종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아까시나무는 생장력이 강하고 빠르게 자라서 숲의 생태계를 빠르게 회복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또한 아까시나무는 다른 나무들과 비교하여 더욱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어서 왜림 작업 후에도 오랫동안 숲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왜림 작업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아까시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임목벌채를 개벌작업으로 실행할 때 1개 벌구를 몇 ha 내외로 실행하는가? (단, 경제림단지내의 경우는 제외한다.)

  1. 1ha
  2. 5ha
  3. 10ha
  4. 20ha
(정답률: 64%)
  • 임목벌채를 개벌작업으로 실행할 때 1개 벌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5ha 내외로 실행됩니다. 이는 벌채 작업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작은 벌구를 만들 경우 벌채 작업이 더욱 복잡해지고 시간과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5ha 정도의 크기로 벌구를 만들어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경제림단지 내의 경우는 벌채 작업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천연갱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천연갱신은 그 임지의 기후와 토질에 가장 적합한 수종이 생육하게 되므로 각종 위해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2. 천연갱신지의 치수는 모수보호를 받아 안정된 생육환경을 제공받는다.
  3. 인공조림에서와 같은 수종 선정의 잘못으로 인한 실패염려가 많다.
  4. 임지가 나출되는 일이 드물어 적당한 수종이 발생하고, 또 혼효되기 때문에 지력유지에 적합하다.
(정답률: 86%)
  • "인공조림에서와 같은 수종 선정의 잘못으로 인한 실패염려가 많다."가 틀린 것이며, 이유는 천연갱신에서도 수종 선정의 잘못으로 인한 실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나무 숲의 갱신은 원칙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벌채하는가?

  1. 개벌작업
  2. 산벌작업
  3. 택벌작업
  4. 중림작업
(정답률: 64%)
  • 대나무 숲은 특성상 뿌리가 얕고 토양이 흙기둥처럼 쌓여있기 때문에 개벌작업이나 산벌작업으로 벌채를 하면 토양이 흩어져서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나무 숲의 갱신은 택벌작업으로 이루어집니다. 택벌작업은 대나무를 자르고 그 자리에 남겨진 줄기와 잎사귀를 바닥에 놓아서 토양을 보호하고, 새로운 대나무가 자라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방법은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대나무 숲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회귀년(回歸年)을 필요로 하는 벌채 방식은?

  1. 개벌 작업
  2. 군상산벌 작업
  3. 택벌 작업
  4. 보잔목 작업
(정답률: 56%)
  • 택벌 작업은 회귀년을 필요로 하는 벌채 방식입니다. 회귀년이란, 나무가 자라는 기간을 말하며, 이 기간 동안 나무가 자라서 벌채를 할 수 있는 크기가 되기 때문에 벌채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택벌 작업은 회귀년에 맞춰서 벌채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성숙한 임분을 대상으로 벌채를 실시할 때 모수가 되는 임목을 산생시키거나 군상으로 남겨 두어 갱신에 필요한 종자를 공급하게 하고 그 밖의 임목은 개벌하는 갱신법은?

  1. 보잔목법
  2. 택벌작업법
  3. 보속작업법
  4. 모수작업법
(정답률: 78%)
  • 모수작업법은 벌채를 실시할 때 모수가 되는 임목을 보호하여 갱신에 필요한 종자를 공급하고, 그 외의 임목은 개벌하여 새로운 임목이 자라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갱신과 자원 보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숙한 임분을 대상으로 하는 벌채 작업에서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풀을 띠모양으로 구획하고 2번의 개벌에 의해서 갱신이 끝나는 벌채 방식은?

  1. 넓은 인적의 개벌작업
  2. 교호대상 개벌작업
  3. 연속대상 개벌작업
  4. 군상개벌작업
(정답률: 71%)
  • 교호대상 개벌작업은 수풀을 띠모양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 안에서 2번의 개벌에 의해 갱신이 끝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인적이 넓은 개벌작업보다 작업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이 끝난 구획은 다른 구획과 겹치지 않아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교호대상 개벌작업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여러 가지 장해 요인이 많아 식재조림하기에 어려운 곳에 종자를 직접 뿌려 조림하기에 적당한 수종은?

  1. 낙엽송
  2. 졸참나무
  3. 전나무
  4. 단풍나무
(정답률: 49%)
  • 졸참나무는 건조하고 가난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빠른 생장력과 높은 생존율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가지 장해 요인이 많은 곳에서도 적응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졸참나무는 빠른 성장과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어서 식재조림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예비벌을 실시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잔존목의 결실 촉진
  2. 부식질의 분해 촉진
  3. 어린나무 발생의 적합한 환경 조성
  4. 벌채목의 반출 용이
(정답률: 81%)
  • 예비벌을 실시하는 목적은 주로 새로운 나무를 심기 전에 기존 나무들을 제거하여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이때 벌채목의 반출 용이는 예비벌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벌채목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현재 리기다소나무로 조성되어 있는 숲을 잣나무 숲으로 전면 갱신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작업종은?

  1. 개벌작업
  2. 제벌작업
  3. 산벌작업
  4. 택벌작업
(정답률: 88%)
  • 정답: 개벌작업

    이유: 리기다소나무는 빠른 성장과 생장력이 강한 나무로, 다른 나무들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전면 갱신을 위해서는 리기다소나무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개벌작업이 가장 적합합니다. 개벌작업은 산림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으로, 나무를 제거하고 지면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리기다소나무를 제거하고 잣나무를 심기 위해서는 개벌작업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낙엽송이나 잣나무와 같은 바늘잎나무는 대개 몇 년을 전후하여 첫 번째 솎아베기를 하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49%)
  • 바늘잎나무는 첫 번째 솎아베기를 15년 후에 한다. 이는 바늘잎나무가 첫 번째 솎아베기를 할 때까지 성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15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나무를 심고 나서 바로 또는 몇 달 뒤에 비료를 주는 것으로, 묘목의 줄기를 중심으로 하여 가장 긴 가지의 길이를'반지름으로 하는 원둘레에 5~10㎝의 깊이로 구멍을 파고 그곳에 비료를 넣어 주는 방법은?

  1. 구덩이 전체 시비법
  2. 구덩이 및 시비법
  3. 구덩이 위 시비법
  4. 측방 시비법
(정답률: 70%)
  • 측방 시비법은 나무의 뿌리가 퍼져 나가는 방향으로 비료를 주는 방법으로, 나무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뿌리가 더욱 깊게 자라도록 돕는다. 따라서 나무의 생장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에서 제벌작업 시 제거되어야 할 나무로 가장 잘 짝지어진 것은?

  1. ①, ⑧
  2. ④, ⑤
  3. ⑦, ⑨
  4. ②, ⑧
(정답률: 96%)
  • 제벌작업을 할 때는 인접한 나무들 중에서 가장 크거나 가장 작은 나무를 제거해야 합니다. 그림에서 ①은 ⑧보다 크기 때문에 ①을 제거하면 ⑧은 가장 큰 나무가 되어 제거 대상이 됩니다. ④와 ⑤는 서로 크기가 같기 때문에 둘 중 아무거나 제거해도 상관 없습니다. ⑦과 ⑨는 ⑧보다 작기 때문에 제거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 ⑧"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림 무육도구로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소형손톱
  2. 제례식 낫
  3. 손도끼
  4. 소형전정가위
(정답률: 66%)
  • 손도끼는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산림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작은 나무를 자를 때나 가지를 베거나 깎을 때는 손톱이나 전정가위가 더 적합하며, 큰 나무를 베거나 제거할 때는 제례식 낫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삽수의 발근을 비교적 잘 되는 수종, 비교적 어려운 수종, 대단히 어려운 수종으로 분류할 때, 비교적잘 되는 수종에 속하는 것은?

  1. 밤나무
  2. 측백나무
  3. 느티나무
  4. 백합나무
(정답률: 50%)
  • 삽수의 발근이 잘 되는 수종은 뿌리가 깊게 내려가는 수종이며, 측백나무는 뿌리가 깊게 내려가기 때문에 비교적 잘 되는 수종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백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부 이북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리기테다소나무의 식재를 권장하고자 할 때 그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결실력이 강하므로
  2. 내충성이 리기다소나무 보다 강하므로
  3. 수지의 분비량이 테에다소나무보다 많으므로
  4. 내한력과 재질이 우수하므로
(정답률: 70%)
  • 리기테다소나무는 내한력이 강하고, 재질이 우수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며, 나무의 특성상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식재를 권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택벌작업의 장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숲땅이 항상 나무로 덮여 있어 보호를 받게 되고, 겉흙이 유실되지 않는다.
  2. 위층의 나무는 햇빛을 잘 받아 결실이 잘 된다.
  3. 양수의 갱신이 잘 된다.
  4. 미관상 가장 아름다운 숲이 된다.
(정답률: 79%)
  • "양수의 갱신이 잘 된다"는 장점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택벌작업은 숲을 벌채하여 나무를 제거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양수의 갱신이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양수의 갱신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나무가 제거되면서 토양이 노출되고, 이로 인해 토양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무가 없어지면서 토양의 영양분도 감소하게 되어 양수의 갱신이 어려워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묘목을 심을 때 뿌리를 잘라주는 주목적은?

  1. 식재가 용이하다.
  2. 양분의 소모를 막는다.
  3. 수분의 소모를 막는다.
  4. 측근과 세근의 발달을 도모한다.
(정답률: 94%)
  • 뿌리를 잘라주는 주목적은 측근과 세근의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입니다. 뿌리를 잘라주면 새로운 뿌리가 더욱 많이 발달하고, 이는 묘목의 생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일반적으로 씨뿌리기에서 흙을 덮는 두께는 씨앗 지름의 몇 배 정도로 하는가?

  1. 씨앗 지름의 1~3배
  2. 씨앗 지름의 4~5배
  3. 씨앗 지름의 5~6배
  4. 씨앗 지름의 7배 이상
(정답률: 85%)
  • 씨앗을 심을 때 흙을 덮는 두께는 씨앗이 충분히 흙과 접촉하여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씨앗 지름의 1~3배 정도로 덮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씨앗이 흙 위에 놓여 있지 않고 충분히 덮여 있어서 건조하지 않고 습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깊게 덮으면 씨앗이 발아하기 어렵고, 너무 얇게 덮으면 씨앗이 건조하여 발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씨앗 지름의 1~3배 정도로 덮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우량목과 불량목의 비율이 어느 정도 되어야만 그 임분은 좋은 채종림이 될 수 있는가?

  1. 우량목 30% 이상, 불량목 10% 이하
  2. 우량목 40% 이상, 불량목 10% 이하
  3. 우량목 50% 이상, 불량목 20% 이하
  4. 우량목 70% 이상, 불량목 30% 이하
(정답률: 81%)
  • 우량목이 많을수록 채종림의 품질이 높아지기 때문에 우량목의 비율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불량목이 너무 많으면 채종림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불량목의 비율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우량목 50% 이상, 불량목 20% 이하인 것이 가장 적절한 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낙엽송(묘령 2년)의 곤포당 본수는?

  1. 100
  2. 200
  3. 500
  4. 1000
(정답률: 61%)
  • 낙엽송(묘령 2년)의 곤포당 본수는 보통 500개입니다. 이는 낙엽송이 묘령 2년이 되면서 충분한 크기와 뿌리를 갖추어 생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개벌작업의 장점은?

  1. 잡초, 관목 등 식생이 무성하게 된다.
  2. 병충해가 한번 발생되어도 크게 번지지 않는다.
  3. 수풀이 단조롭고 아름답다.
  4. 작업이 한 지역에 집중되어 간평하고 경제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답률: 87%)
  • 개벌작업은 한 지역에 집중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작업이 한번에 완료되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묘목을 먼 곳으로 운반할 때 제일 먼저 주의할 사항은?

  1. 무게에 의하여 억눌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손상이 오지 않도록 한다.
  3. 묘목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한다.
  4. 포장을 크게 해야 한다.
(정답률: 84%)
  • 묘목이 건조해지면 생명력이 약해져 쉽게 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묘목을 운반할 때는 묘목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포장재로 묘목을 감싸서 수분이 증발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밤나무를 식재면적 1ha에 묘목간 거리 5m로 정사각형 식재를 할 때 총 소요 묘묙 본수는?

  1. 400본
  2. 500본
  3. 1200본
  4. 3000본
(정답률: 83%)
  • 1ha는 10,000m²이므로, 한 변이 5m인 정사각형을 식재하면 20개의 묘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ha에는 500개의 묘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본"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택벌작업에서 벌채목을 정할 때 생태적 측면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은?

  1. 우량목의 생산
  2. 간벌과 가지치기
  3. 대경목을 중심으로 벌채
  4. 숲의 보호와 무육
(정답률: 82%)
  • 숲의 보호와 무육이 가장 중점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벌채 작업이 숲의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숲은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숲에서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벌채 작업을 할 때는 숲의 생태계를 최대한 보호하고, 숲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의 생존을 위해 무육한 벌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

26. 다음 중 방화림(防火林)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 은?

  1. 소나무
  2. 삼나무
  3. 갈참나무
  4. 녹나무
(정답률: 74%)
  • 갈참나무는 불에 강하고 빠른 성장력을 가지며,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지반을 고르게 유지시켜 방화림 조성에 적합합니다. 또한 재생력이 높아 산불 등으로 인한 피해를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갈참나무가 방화림 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기 중 관계습도와 산불 발생 위험도와의 관계 중 산불이 대단히 발생하기 쉽고, 소방이 곤란한 습도는?

  1. 60% 이상
  2. 50~60%
  3. 40~50%
  4. 30%이하
(정답률: 81%)
  • 산불 발생 위험도는 대기 중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습도가 낮을수록 산불이 발생하기 쉽고 소방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대기 중 관계습도와 산불 발생 위험도와의 관계에서 산불이 대단히 발생하기 쉽고, 소방이 곤란한 습도는 30%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균사를 갖고 있어 일명 사상균(絲狀菌)이라고 불리는 것은?

  1. 진균
  2. 세균
  3. 바이러스
  4. 선충
(정답률: 70%)
  • 사상균은 균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진균"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일종의 생리적인 병해에 해당하는 것은?

  1. 대나무류 개화병
  2.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3. 소나무 잎떨림병
  4. 소나무 뿌리썩음병
(정답률: 85%)
  • 정답: 대나무류 개화병

    설명: 대나무류 개화병은 대나무의 꽃이 열리기 전에 꽃이 죽어버리는 질병으로, 일종의 생리적인 병해입니다. 이 병은 대나무의 생리적인 변화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대나무의 생장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천막벌레나방의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버드나무, 살구나무 등을 가해한다.
  2. 유충이 실로 집을 짓고 모여 산다.
  3. 성충 수컷(♂)은 황갈색을 띠고, 암컷(♀)은 담등색을 띤다.
  4. 1년에 2회 발생한다.
(정답률: 76%)
  • 1년에 2회 발생한다는 설명이 부적절한 이유는 천막벌레나방이 일반적으로 1년 내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천막벌레나방은 따뜻한 지역에서는 연중 발생할 수 있으며, 서리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겨울에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봄부터 가을까지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년에 2회 발생한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포플러잎녹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비교적 지행성인 포플러 계통을 식재한다.
  2. 4 - 4식 보르도액을 살포한다.
  3. 병든 잎이 달렸던 가지를 잘라준다.
  4. 중간기주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곳을 피하고 식재한다.
(정답률: 57%)
  • "병든 잎이 달렸던 가지를 잘라준다."가 틀린 이유는 포플러잎녹병은 균사체가 식물체 내부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이미 감염된 잎을 잘라도 식물체 내부에 균사체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든 잎이 달렸던 가지를 잘라도 질병을 완전히 방제할 수 없으며, 대신에 비교적 지행성인 포플러 계통을 식재하거나 4-4식 보르도액을 살포하고 중간기주 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곳을 피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모잘록병의 방제법이 아닌 것은?

  1. 햇볕이 잘 쬐도록 한다.
  2. 파종량을 적게 하고 복토가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한다.
  3. 인산질 비료를 적게 주어 묘목을 튼튼히 한다.
  4. 병이 심한 묘포지는 돌려짓기를 한다.
(정답률: 82%)
  • 인산질 비료는 묘목을 키우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므로, 모잘록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인산질 비료를 적게 주는 것은 모잘록병의 방제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솔나방은 유충의 몇 령충으로 월동하는가?

  1. 1
  2. 3
  3. 5
  4. 8
(정답률: 79%)
  • 솔나방은 5령충으로 월동합니다. 솔나방은 유충기에서 5번째 발육단계인 5령충으로 성장한 후에 겨울철을 맞이하면서 월동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솔잎혹파리의 방제에는 기생봉을 이식하는 생물학적 방제를 활용하고 있다. 다음 중 솔잎혹파리의 기생봉이 아닌 종은?

  1. 솔잎혹파리먹좀벌
  2. 혹파리등뿔먹좀벌
  3. 솔잎벌
  4. 혹파리살이먹좀벌
(정답률: 75%)
  • 솔잎벌은 솔나무의 잎을 먹이로 삼아 번식하고 성장하는 벌 종으로, 솔잎혹파리의 기생봉이 아닙니다. 솔잎혹파리의 기생봉은 혹파리먹좀벌, 혹파리등뿔먹좀벌, 혹파리살이먹좀벌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하여 매개 전염되는 병은?

  1. 오동나무빗자루병
  2. 대추나무빗자루병
  3. 잣나무 털녹병
  4. 소나무 잎녹병
(정답률: 70%)
  • 담배장님노린재는 오동나무빗자루병의 원인균으로, 이 균은 담배 잎에 감염되어 전염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담배 장님노린재가 있는 담배 재배지에서는 오동나무빗자루병이 매개 전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 )안에 적합한 내용은?

  1. 포살법
  2. 소살법
  3. 경운법
  4. 잠복장소유살법
(정답률: 87%)
  • 이 그림은 "잠복장소유살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벌레나 곤충 등이 자신의 몸에 해를 끼치는 해충을 잡아먹기 위해 잠복하는 곳을 만들어 놓고 그 안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훈증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질식사를 시키는 방법이므로 임내에서의 활용은 어렵다.
  2. 에틸브로아이드를 많이 사용한다.
  3. 묘포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하다.
  4. 약제는 역상으로 해충에 침투한다.
(정답률: 49%)
  • 약제는 역상으로 해충에 침투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약제가 해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질식사를 유발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훈증제는 주로 식물 보호제로 사용되며, 인체나 동물에 대한 독성이 높아 임내에서의 활용은 어렵습니다. 에틸브로아이드는 훈증제 중 하나로, 해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묘포장에서의 활용이 용이한 이유는 훈증제가 해충에 직접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968년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이다.
  2. 유충은 자라서 터널 끝에 번데기방[용실<埇室>]을 만들고 그 안에서 번데기가 된다.
  3. 소나무재선충은 후식 상처를 통하여 수체내로 이동해 들어간다.
  4. 피해고사목을 벌채 후 매개충의 번식처를 없애기 위하여 임지 외로 반출한다.
(정답률: 79%)
  • 틀린 것은 없습니다.

    피해고사목을 벌채 후 매개충의 번식처를 없애기 위하여 임지 외로 반출하는 이유는, 매개충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여 소나무재선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소나무재선충으로 인한 소나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병원체는 자낭균 중에서 나출자낭을 형성하는 Taphrina wiesneri이고 포플러나 복숭아 잎의 뒷면에 나출자낭을 형성하고 오갈병을 일으키는 병은?

  1. 오동나무빗자루병
  2. 벚나무빗자루병
  3. 대추나무빗자루병
  4. 붉나무빗자루병
(정답률: 70%)
  • 벚나무빗자루병은 벚나무 잎의 뒷면에 나출자낭을 형성하고 빗자루 모양의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체인 Taphrina cerasi에 의해 일어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오동나무, 대추나무, 붉나무의 잎에 나출자낭을 형성하는 Taphrina 종에 의해 일어나는 빗자루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용어인 LD 50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험동물의 50%가 죽는 농약의 양이며 ㎎/㎏으로 표시
  2. 농약 독성평가의 어독성 기준 동물인 잉어가 50% 죽는 양이며 ㎎/㎏으로 표시
  3. 시험동물의 50%가 죽는 농약의 양이며 ㎍/g으로 표시
  4. 농약 독성평가의 어독성 기준 동물인 잉어가 50% 죽는 양이며 ㎍/g으로 표시
(정답률: 77%)
  • LD 50은 시험동물의 50%가 죽는 농약의 양이며, 이를 ㎎/㎏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농약의 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기계일반

41. 기계톱 엔진에 있어 크랭크축이 몇 회 회전 시 마다 1회의 폭발, 배기 행정이 일어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75%)
  • 기계톱 엔진은 2서클 엔진으로, 크랭크축이 1회 회전할 때마다 1회의 폭발, 배기 행정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1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끼자루의 길이가 어떤 것이 가장 좋은가?

  1. 작업자 신장의 1/3 정도가 좋다.
  2. 작업자 팔 길이 정도가 좋다.
  3. 작업자 팔 길이보다 짧아야 한다.
  4. 작업자 신장의 1/2이 좋다.
(정답률: 90%)
  • 작업자 팔 길이 정도가 좋은 이유는 도끼를 사용할 때 팔의 길이가 도끼의 힘과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작업자 팔 길이보다 짧으면 힘이 부족하고, 작업자 신장의 1/3보다 길면 불편하고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작업자 신장의 1/2보다 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작업자 팔 길이 정도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기계톱 일일정비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에어필터(공기청정기) 청소
  2. 안내판 손질
  3. 휘발유와 오일의 혼합
  4. 스파크플러그 전극 간격 조정
(정답률: 86%)
  • 스파크플러그 전극 간격 조정은 기계톱의 일일정비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엔진의 점화 시스템과 관련된 작업으로, 기계톱의 성능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림 작업에서 개인 안전복장 착용 시 준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몸에 맞는 작업복을 입어야 한다.
  2. 겨울에는 춥지 않게 목도리를 해야 한다.
  3. 가지치기 작업할 때는 얼굴보호망을 쓴다.
  4. 안전화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정답률: 90%)
  • 정답: "겨울에는 춥지 않게 목도리를 해야 한다."

    이유: 산림 작업 중에는 실외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옷차림이 중요합니다.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해 목이 노출되면 감기나 염증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목도리를 착용하여 목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계톱날을 연마하고자 할 때 필요 없는 공구는?

  1. 평줄
  2. 원형줄
  3. 깊이 제한 척
  4. 쇠톱
(정답률: 75%)
  • 기계톱날을 연마하는 작업은 주로 파일과 연마 돌을 사용합니다. 쇠톱은 나무를 자르는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이며, 기계톱날을 연마하는 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쇠톱은 기계톱날을 연마하는 작업에서 필요 없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삼각톱날의 연마 준비물이 아닌 것은?

  1. 마름모줄
  2. 원형 연마석
  3. 톱니 젖힘쇠
  4. 원형줄
(정답률: 74%)
  • 삼각톱날을 연마할 때는 마름모줄, 원형 연마석, 톱니 젖힘쇠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원형줄은 삼각톱날을 연마하는 데 필요하지 않습니다. 원형줄은 주로 정확한 길이를 재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내연기관에서 인접봉의 역할은?

  1. 크랭크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2. 엔진의 파손된 부분을 용접하는 봉이다.
  3. 크랭크 양쪽으로 연결된 부분을 말한다.
  4. 엑셀 레버와 기화기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정답률: 83%)
  • 인접봉은 크랭크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엔진의 움직임을 전달하고,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인접봉은 엔진의 핵심 부품 중 하나로, 파손되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벌도작업 시 정확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 역할 및 완충과 지레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은?

  1. 안내판
  2. 체인브레이크
  3. 지레발톱
  4. 스파크플러그
(정답률: 93%)
  • 벌도작업 시에는 나무를 자르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때 지지 역할과 완충, 지레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지레발톱은 나무를 자를 때 지레받침대 역할을 하여 안정적인 자르기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레발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삼각톱니 가는 방법 중 톱니 젖힘의 크기는 침엽수와 활엽수 각각 몇 ㎜로 작업하는가?

  1. 침엽수 0.3 - 0.5, 활엽수 0.2 - 0.3
  2. 침엽수 0.2 - 0.3, 활엽수 0.3 - 0.5
  3. 침엽수 0.3 - 0.4, 활엽수 0.4 - 0.6
  4. 침엽수 0.4 - 0.6, 활엽수 0.3 - 0.4
(정답률: 72%)
  • 삼각톱니는 나무의 섬유를 자르는 도구이므로, 나무의 종류에 따라 젖힘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침엽수는 섬유가 더 굵고 단단하기 때문에 젖힘의 크기가 크고, 활엽수는 섬유가 더 얇고 부드러우므로 젖힘의 크기가 작습니다. 따라서, 침엽수는 0.3 - 0.5mm, 활엽수는 0.2 - 0.3mm로 작업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계톱 윤활유의 정액도가 SAE 20W일 때 사용 외기온도는 몇 ℃가 적당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20
  2. -30~-10
  3. -10~10
  4. 30~50
(정답률: 75%)
  • 기계톱 윤활유의 정액도가 SAE 20W일 때, 사용 외기온도는 -30℃에서 -10℃ 사이가 적당합니다. 이는 SAE 20W 등급의 윤활유가 저온에서도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권장되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에서 -10℃ 사이의 온도에서 기계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계톱 작업에서 절삭두께 높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옳게 연마하여 작업능률과 기계 및 체인의 수명을 높여야 하는 것은?

  1. 전동쇠
  2. 지레발톱
  3. 안내판
  4. 깊이제한부
(정답률: 91%)
  • 깊이제한부는 기계톱 작업에서 절삭두께를 조절하는 부품으로, 이를 올바르게 조절하여 작업을 하면 작업능률과 기계 및 체인의 수명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깊이제한부가 옳게 연마되어야 합니다. 전동쇠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톱이며, 지레발톱은 로프나 철사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톱입니다. 안내판은 작업 중에 기계톱의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풀베기 작업, 조림지 정리, 어린나무 가꾸기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예불기 날의 형태는?

(정답률: 61%)
  • 예불기 날의 형태는 "삼각형" 모양입니다. 이는 예불기 작업 시 예불기를 삼각형 모양으로 들고 작업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계톱으로 원목을 절단할 경우 절단면에 피싱무늬가 생기며 체인이 한쪽으로 기운다면 어떤 원인인가?

  1. 측면날의 각도가 서로 다르다.
  2. 창날각이 고르지 못하다.
  3. 톱날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4. 깊이 제한부가 서로 다르다.
(정답률: 62%)
  • 창날각이 고르지 못하다는 것은 톱날의 각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절단면이 고르지 않고 피싱무늬가 생기며 체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계톱의 연료 배합 시 휘발유 20L에 필요한 엔진오일의 양은?

  1. 0.2L
  2. 0.4L
  3. 0.6L
  4. 0.8L
(정답률: 84%)
  • 일반적으로 기계톱의 연료 배합 비율은 1:50입니다. 즉, 1L의 엔진오일에 50L의 휘발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20L의 휘발유에 필요한 엔진오일의 양은 20/50 = 0.4L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4L"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8L"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기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계톱 기화기의 연료유입과 거리가 먼 것은?

  1. 피스톤의 상하운동
  2. 베르누이원리
  3. 연료펌프막
  4. 뜨게실
(정답률: 77%)
  • 기계톱 기화기의 연료펌프막은 기계톱의 작동 원리 중 하나로, 피스톤의 상하운동으로 연료를 흡입하여 기화기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연료펌프막과 기화기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연료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기계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뜨게실은 연료펌프막과 기화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연료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부품입니다. 베르누이원리와 피스톤의 상하운동은 기계톱 작동 원리와 관련된 이론적인 개념이며, 직접적으로 연료유입과 거리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톱날 세우기 각도로 올바른 것은?

  1. 반끌형 : 가슴각 80°
  2. 끌형 : 가슴각 80°
  3. 반끌형 : 창날각 30°
  4. 끌형 : 창날각 35°
(정답률: 70%)
  • 기계톱날의 세우기 각도는 작업할 나무의 종류와 크기, 작업 환경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끌형과 반끌형으로 구분됩니다.

    끌형은 나무를 당겨서 자르는 방식으로, 가슴각이 80도인 이유는 이 각도가 가장 효율적인 자르기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이 각도로 자르면 톱날이 나무를 잘라내는 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작업자의 힘도 덜 들게 됩니다.

    따라서, "끌형 : 가슴각 80°"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내연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솔린기관
  2. LPG기관
  3. 디젤기관
  4. 증기기관
(정답률: 90%)
  • 가솔린기관, LPG기관, 디젤기관은 모두 내연기관에 해당합니다. 내연기관은 연료를 연소시켜서 열에너지를 만들어 피스톤을 움직여서 움직임을 만드는 엔진입니다. 하지만 증기기관은 연료를 연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어 피스톤을 움직여서 움직임을 만드는 엔진입니다. 따라서 증기기관은 내연기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형 동력윈치의 사용에 있어 일일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와이어로프 점검
  2. 기어오일의 점검
  3. 공기여과기 청소
  4. 볼트 및 너트의 점검
(정답률: 57%)
  • 기어오일은 소형 동력윈치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이지만, 일일점검 사항은 아닙니다. 기어오일의 점검은 보통 정기적인 유지보수나 수리 작업 시에 수행됩니다. 따라서, 일일적으로 점검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벌목작업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벌목방향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
  2.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준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3. 잔존목의 이용재적이 많이 나오도록 한다.
  4. 주변 임목의 피해를 가능한 감소시켜야 한다.
(정답률: 92%)
  • 잔존목은 벌목 후 남아있는 나무를 말합니다. 이 나무들은 적절하게 이용되면 추가적인 수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벌목작업 시 잔존목의 이용재적이 많이 나오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벌목작업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으로 가지치기 도끼의 무게는 몇 g 정도인가?

  1. 650~800
  2. 850~1250
  3. 1400~1800
  4. 2000~2500
(정답률: 63%)
  • 가지치기 도끼의 무게는 사용자의 체력과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정확한 무게는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지치기 도끼의 무게는 850~1250g 정도로 제작되며, 이는 가지치기 작업에 적합한 무게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