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산림기능사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 및 육림기술

1. 동령림과 이령림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 중에서 동령림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풍해가 매우 적다.
  2. 갱신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3. 임상유기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된다.
  4. 동령림 내 작은 나무들이 장차 유용임목으로 된다.
(정답률: 68%)
  • 동령림은 갱신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동령림이 대부분의 나무가 늙어서 죽고 새로운 나무들이 자라는 것이 아니라, 작은 나무들이 빠르게 자라서 대신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갱신 주기가 짧아서 동령림은 항상 새로운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묘목의 활착률이 가장 좋은 것은?

  1. T/R율이 3이다.
  2. T/R율이 5이다.
  3. T/R율이 8이다.
  4. T/R율이 10이다.
(정답률: 89%)
  • T/R율이란, 묘목의 높이(T)와 지름(R)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R율이 작을수록 묘목의 지름이 더 굵어지고, 활착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T/R율이 3인 것이 가장 활착률이 좋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나무가 토양용액에 녹아 있는 무기양분을 주로 흡수하는 곳은?

  1. 뿌리
  2. 부름켜
  3. 줄기
(정답률: 95%)
  • 나무의 뿌리는 토양과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어서 토양용액에 녹아 있는 무기양분을 주로 흡수합니다. 따라서 뿌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갱신을 위한 벌채 방식이 아닌 것은?

  1. 개벌작업
  2. 산벌작업
  3. 택벌작업
  4. 간벌작업
(정답률: 67%)
  • 간벌작업은 숲에서 일부 나무를 제거하여 나무들이 더 잘 자라도록 하는 방식으로, 갱신을 위한 벌채 방식이 아니라 숲을 유지하면서 자원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간벌작업은 다른 세 가지 방식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모수작업은 전 재적의 약 몇 %의 나무를 베는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73%)
  • 모수작업은 주로 재적의 90% 이상을 베어내는 작업입니다. 이는 적은 수의 나무만 베어내면 숲의 생태계가 깨질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수작업은 숲의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필요한 나무만을 베어내는 작업으로, 전체 재적의 90% 이상을 베어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채종 직후 노천매장 하는 종자가 아닌 것은?

  1. 소나무, 해송
  2. 단풍나무, 들메나무
  3. 잣나무, 은행나무
  4. 호두나무, 가래나무
(정답률: 62%)
  • 채종 직후 노천매장을 하는 종자는 겨울철에 발아하고 생장하는 종자이므로, 소나무와 해송은 겨울철에 발아하고 생장하는 종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단풍나무와 들메나무는 봄에 발아하고 생장하는 종자이며, 잣나무와 은행나무는 가을에 발아하고 생장하는 종자입니다. 호두나무와 가래나무는 봄과 가을 모두에 발아하고 생장하는 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양 성질의 진단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산정은 건조하고 척박하다.
  2. 북향과 동향사면은 건조한 경우가 많다.
  3. 비옥한 토양일수록 자라고 있는 식물의 종류가 많다.
  4. 산지에 자라고 있는 식물의 종류가 적을수록 척박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북향과 동향사면은 건조한 경우가 많다." 이다. 이유는 북향과 동향사면은 태양광을 받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일조량이 적어 건조한 경우가 많다. 즉, 태양광을 받는 시간과 일조량이 토양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상택벌작업(帶狀擇伐作業)에서 벌채연구(伐採列區)를 한 바퀴 돌아서 벌채하는 기간은?

  1. 윤벌기
  2. 회귀년
  3. 갱신기간
  4. 갱정기
(정답률: 85%)
  • 대상택벌작업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벌채를 실시합니다. 이 주기를 회귀년이라고 합니다. 회귀년은 대개 30년에서 50년 정도의 기간으로, 이 기간 동안 자연적으로 숲이 회복될 수 있도록 벌채를 실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상택벌작업에서는 회귀년이 지난 후에 벌채를 하게 됩니다. 이 때 벌채하는 기간을 벌채연구라고 합니다. 회귀년이 지나면서 숲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벌채를 실시하는 기간에는 숲의 생태계가 크게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침엽수 중 잎 속에 1개의 관다발을 가진 것은?

  1. 해송
  2. 소나무
  3. 리기다소나무
  4. 잣나무
(정답률: 60%)
  • 잣나무는 다른 세 침엽수와 달리 잎 속에 1개의 관다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나무들은 보통 2개 이상의 관다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침엽수의 가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가지밑살의 끝부분에서 자른다.
  2. 가지가 뻗은 방향에 직각되게 자른다.
  3. 수간에 오목한 자국이 생기게 자른다.
  4. 수간에 바짝 붙여 수간축에 평행하도록 자른다.
(정답률: 87%)
  • 침엽수의 가지를 제거할 때는 수간에 바짝 붙여 수간축에 평행하도록 자르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나무의 성장 방향과 가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가지밑살의 끝부분에서 자르면 나무의 생장 방향을 방해하고, 가지가 뻗은 방향에 직각되게 자르면 나무의 균형을 깨뜨리고, 수간에 오목한 자국이 생기게 자르면 나무의 생장 방향을 방해하고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수간에 바짝 붙여 수간축에 평행하도록 자르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토양을 형성하는 암석 중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화강암
  2. 편마암
  3. 석영반암
  4. 현무암
(정답률: 63%)
  • 화성암은 화산활동으로 생성되는 암석을 말합니다. 따라서,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 것은 화산활동과 무관한 암석입니다. 이 중에서 편마암은 퇴적암으로, 강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운반되어 적층되어 생성됩니다. 따라서, 편마암은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파종상에서 1년, 두 번 이식하여 각각 1년씩 보낸 3년생 묘목의 묘령은?

  1. 1 - 1 - 1
  2. 2 - 1
  3. 1 - 2
  4. 3 - 0
(정답률: 91%)
  • "1 - 1 - 1"은 파종상에서 1년간 자라고, 그 후에 두 번 이식하여 각각 1년씩 보낸 묘목이다. 이 경우, 묘목은 총 3년간 자란 것이므로 3년생이 된다. 이식을 두 번 했기 때문에 뿌리가 잘 발달하고, 묘목의 생장이 좋아진다. 따라서 묘령이 "1 - 1 -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좋은 묘목의 조건은?

  1. 뿌리의 발달은 적지만, 키가 큰 것
  2. 직근이 발달하고 가지가 굵은 묘일 것
  3. 직근(直根)이 발달하고 측근(側根)이 적은 것
  4. 지상부와 지하부가 균형 있게 발달되고 T/R율이 작을 것
(정답률: 89%)
  • 지상부와 지하부가 균형 있게 발달되고 T/R율이 작을 것이 좋은 묘목의 조건인 이유는, 이러한 묘목은 뿌리와 줄기가 서로 균형 있게 발달되어 튼튼하고 안정적인 생장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T/R율이 작을수록 묘목이 더욱 안정적으로 자라며, 생장 속도도 느리지만 꾸준하게 성장하여 오랜 기간 동안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묘목은 식물이 잘 자라는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식물이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더욱 강한 생명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간벌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름생장을 촉진하고 숲을 건전하게 만든다.
  2. 빽빽한 밀도로 경쟁을 촉진시켜 나무의 형질을 좋게 한다.
  3. 벌채가 되기 전에 나무를 솎아베어 중간 수입을 얻을 수 있다.
  4. 나무를 솎아 벤 곳에 잡초가 무성하게 되어 표토의 유실을 막고 빗물을 오래 머무르게 하여 숲땅이 비옥해진다.
(정답률: 86%)
  • "빽빽한 밀도로 경쟁을 촉진시켜 나무의 형질을 좋게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간벌은 나무들 사이의 경쟁을 촉진시켜 강한 나무가 살아남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나무의 형질을 좋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나무 종자의 효율을 70%, 1g당의 종자립수를 100, 가을이 되어 1m2 에 남길 묘목의 수를 500 그루, 잔존률을 0.3으로 할 때 m2 당 파종량(g)은?

  1. 23.8g
  2. 25.8g
  3. 28.8g
  4. 30.8g
(정답률: 47%)
  • 파종량(g) = (남길 묘목의 수 ÷ 잔존률) ÷ 종자립수 ÷ 효율

    = (500 ÷ 0.3) ÷ 100 ÷ 0.7

    = 238 ÷ 1000

    = 0.238

    따라서, m2 당 파종량(g)은 0.238g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3.8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파종상의 해가림 시설을 제거하는 가장 적절한 시기는?

  1. 5월 중순 ~ 6월 중순
  2. 7월 하순 ~ 8월 중순
  3. 9월 중순 ~ 10월 상순
  4. 10월 중순 ~ 11월 중순
(정답률: 81%)
  • 파종상의 해가림 시설을 제거하는 가장 적절한 시기는 작물이 자라는 기간인 5월 중순 ~ 6월 중순보다는 이전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작물이 수확되는 시기인 9월 중순 ~ 10월 상순, 10월 중순 ~ 11월 중순보다는 이후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7월 하순 ~ 8월 중순이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작물이 성장하고 있는 시기이지만, 아직 수확하기 전이므로 시설을 제거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작물이 빠르게 자라는데 도움이 되므로, 시설을 제거한 후 작물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중 중에서 결실주기가 5~7년인 수종은?

  1. 소나무
  2. 낙엽송
  3. 상수리나무
  4. 리기다소나무
(정답률: 69%)
  • 낙엽송은 결실주기가 5~7년으로 길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결실주기가 짧거나 길지 않은 수종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크고 작은 나무들이 홍생 되어 있는 복층림으로 이루어진 임상에서 성숙한 임목을 국소적으로 잘라 벌채하는 작업방법은?

  1. 개벌작업
  2. 모수작업
  3. 산벌작업
  4. 택벌작업
(정답률: 79%)
  • 택벌작업은 크고 작은 나무들이 홍생 되어 있는 복층림에서 성숙한 임목을 국소적으로 잘라 벌채하는 작업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나무들을 일부분만 벌채하여 나무들이 자라는데 필요한 자원을 보존하면서도 필요한 나무들을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보호와 경제적인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택벌작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모수작업으로 임목벌채를 시행할 때 모수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음수 수종일 것
  2. 바람의 저항이 강할 것
  3. 결실 연령에 도달할 것
  4. 유전적 형질이 좋은 나무일 것
(정답률: 84%)
  • 정답은 "음수 수종일 것"입니다.

    이유는 모수작업에서는 주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수종을 선택하여 벌채를 시행하기 때문입니다. 음수 수종은 경제적 가치가 낮거나 없는 나무들을 말하며, 모수작업에서는 이러한 나무들을 제외하고 벌채를 시행합니다. 따라서 음수 수종은 모수의 조건으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삽수 발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

  1. 모수의 연령
  2. 수종의 유전성
  3. 삽수의 양분 조건
  4. 모수의 생육환경 조건
(정답률: 55%)
  • 삽수 발근은 모수의 생육환경 조건과는 큰 연관성이 없습니다. 삽수 발근은 주로 모수의 연령, 수종의 유전성, 삽수의 양분 조건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모수의 생육환경 조건은 모수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만, 삽수 발근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채집된 종자를 건조시킬 때 음지 건조를 시켜야 하는 수목종자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소나무류, 해송
  2. 낙엽송, 전나무
  3. 참나무류, 편백
  4. 회양목, 소나무류
(정답률: 55%)
  • 참나무류와 편백은 음지 건조를 시켜야 하는 수목종자입니다. 이는 이들 종자가 수분 함량이 높아서 저장 중에 빠르게 부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음지 건조를 시켜 수분 함량을 낮추어 저장 수명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소나무류와 해송은 건조보관이 가능하고, 낙엽송과 전나무는 습지생활에 적응한 종자로서 건조보관이 어렵지 않습니다. 회양목과 소나무류도 건조보관이 가능하지만, 참나무류와 편백에 비해 저장 수명이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벌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조림자의 경우 쓸모없는 침입수종을 제거한다.
  2. 임분전체의 형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3. 조림목이 임관을 형성한 뒤부터 간벌한 시기에 이르는 사이에 실시한다.
  4. 임상을 정비하여 불량목과 불량품종을 다 제거 하여 간벌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정답률: 69%)
  • 제벌작업이 필요 없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제벌은 숲의 생장을 조절하고, 숲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상을 정비하여 불량목과 불량품종을 다 제거하여 간벌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종자의 정선법 중 풍구, 키, 선풍기 또는 종자풍선 용으로 만든 동력식 장치 등으로 종자에 섞여있는 종자날개, 잡물, 쭉정이 등을 선별하는 방법은?

  1. 입선법
  2. 사선법
  3. 풍선법
  4. 액체선법
(정답률: 88%)
  • 풍선법은 종자에 섞여있는 잡물 등을 선별하는 방법 중 하나로, 풍구, 키, 선풍기 또는 종자풍선 용으로 만든 동력식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일으켜 종자를 섞은 후, 가벼운 잡물은 공기에 의해 떠오르고, 무거운 종자는 바닥에 남아있는 원리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방조림을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는 수종은?

  1. 해송
  2. 동백나무
  3. 사철나무
  4. 느티나무
(정답률: 70%)
  • 느티나무는 바람에 매우 약하고 뿌리가 얕아 바람에 쉽게 뿌리가 뽑히기 때문에 방조림을 만드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우량한 종자의 채집을 목적으로 지정한 숲은?

  1. 산지림
  2. 채종림
  3. 종자림
  4. 우량림
(정답률: 88%)
  • 채종림은 "채집"을 목적으로 지정한 숲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림, 종자, 우량 등의 목적으로 지정된 숲이지만, 채집을 목적으로 지정한 숲은 채종림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

26. “송충이”라고도 불리며, 5령 유충으로 월동을 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잎을 갉아먹는 해충은?

  1. 솔나방
  2. 소나무좀
  3. 솔잎혹파리
  4. 솔껍질깍지벌레
(정답률: 84%)
  • 해당 문제에서 설명된 특징은 "5령 유충으로 월동을 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잎을 갉아먹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솔나방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나무좀은 소나무를 공격하며, 솔잎혹파리는 솔잎에 알을 낳고 유충이 잎을 먹습니다. 솔껍질깍지벌레는 솔나무의 껍질을 파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충과 성충 모두가 나무 잎을 식해하는 해충은?

  1. 참나무재주나방
  2. 솔나방
  3. 어스렝이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78%)
  • 유충과 성충 모두가 나무 잎을 식해하는 해충은 "오리나무잎벌레"입니다. 이는 오리나무잎벌레가 유충 시기와 성충 시기 모두에서 나무 잎을 먹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충과 성충의 식성이 다르거나, 유충 시기에는 나무 잎을 먹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새로 나온 가지에 피해를 주며 가지 끝이 밑으로 꼬부라져 농갈색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낙엽이 되는 병은?

  1. 향나무 녹병
  2. 잣나무 털녹병
  3. 낙엽송 가지끝마름병
  4. 붉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79%)
  • 낙엽송 가지끝마름병은 새로 나온 가지에 피해를 주며 가지 끝이 밑으로 꼬부라져 농갈색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낙엽이 되는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나무의 이름과 증상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 중에 서식하는 균류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

  1. 소나무 잎녹병
  2. 모잘록병
  3. 오동나무 빗자루병
  4. 뽕나무 오갈병
(정답률: 79%)
  • 모잘록병은 토양 중에 서식하는 균류에 의해 전염되는 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나무의 병원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병원체가 나무의 전신으로 퍼져서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다음의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1. 포플러 모자이크병
  2. 벚나무 빗자루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오동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84%)
  • 정답: 포플러 모자이크병

    해설: 포플러 모자이크병은 바이러스에 의한 병으로, 나무의 잎이나 줄기에 갈색 혹은 노란색의 반점이 생기고, 잎이나 줄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 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며, 전염된 나무는 전신에 걸쳐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잎을 가해하지 않는 해충은?

  1. 솔나방
  2. 소나무좀
  3. 미국흰불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82%)
  • 해당 보기 중 "소나무좀"은 소나무의 잎을 직접적으로 가해하지 않는 해충입니다. 소나무좀은 소나무의 껍질에 구멍을 뚫어 먹는 것으로, 소나무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솔나방", "미국흰불나방", "오리나무잎벌레"는 모두 소나무의 잎을 직접적으로 먹어 소나무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대부분 농약의 토양 반감기간은?

  1. 100일 미만
  2. 100일 이상~180일 미만
  3. 180일 이상~360일 미만
  4. 360일 이상
(정답률: 63%)
  • 농약의 토양 반감기간은 해당 농약이 토양에서 절반으로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농약은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데, 이는 토양 내 미생물이나 기타 생물체들이 농약을 분해하여 자연적으로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 반감기간이 짧을수록 농약이 빠르게 분해되어 토양과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대부분 농약의 토양 반감기간은 100일 미만인 이유는, 농작물의 수확 후 다음 작물을 심는 시기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농약이 토양에서 오랫동안 분해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농약 잔류로 인한 토양 오염과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의 토양 반감기간이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나무 잎녹병에 있어서 여름포자(하포자)의 중간 숙주가 되는 것은?

  1. 황벽나무
  2. 잎갈나무
  3. 까치밥나무
  4. 참나무류
(정답률: 65%)
  • 소나무 잎녹병의 원인균인 녹아균은 여름포자(하포자)를 통해 전파됩니다. 이때 중간 숙주가 되는 나무는 황벽나무입니다. 황벽나무는 녹아균의 감염에 대해 높은 감수성을 가지고 있어서, 녹아균이 황벽나무에 감염되면 증상이 빠르게 나타나고, 여름포자를 통해 다른 나무로 전파됩니다. 따라서 황벽나무는 소나무 잎녹병의 예방과 통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나비목 유충의 모식도에서 『가』의 명칭은?

  1. 머리
  2. 다리
  3. 복지
  4. 기문
(정답률: 70%)
  •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복지"가 정답인 이유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머리", "다리", "기문"과는 관련 없습니다.

    "복지"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가나 기업, 단체 등이 제공하는 사회적인 지원으로서, 예를 들어 국가에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교육지원 등을 제공하고, 기업에서는 복지금, 휴가 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복지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복지"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농약에서 보조제를 쓰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협력제는 유효성분의 효력을 증진시킨다.
  2. 전착제는 주제(主劑)의 전착력(展着力)을 좋게 한다.
  3. 계면활성제는 유제의 유화성을 높이는데 쓰인다.
  4. 증량제는 분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쓴다.
(정답률: 75%)
  • 보조제 중 증량제는 유효성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조제들은 유효성분의 효력을 증진시키거나 주제의 전착력을 좋게 하거나 유제의 유화성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환경요인은 수목법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중요 하게 작용한다. 환경요인과 병을 연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강풍 - 잣나무 잎떨림병
  2. 상처 - 밤나무 줄기마름병
  3. 대기오염 - 소나무 그을음잎마름병
  4. 산불, 모닥불 - 리지나뿌리썩음병
(정답률: 59%)
  • 강풍은 잣나무 잎떨림병의 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이 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잣나무 잎떨림병은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강풍이 불어 곰팡이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습도를 낮춰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강풍 - 잣나무 잎떨림병"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살충기작에 의한 살충제의 분류 방법 중 나프탈렌, 크레오소트 등이 속하는 것은?

  1. 소화중독제
  2. 기피제
  3. 화학불임제
  4. 침투성살충제
(정답률: 73%)
  • 나프탈렌과 크레오소트는 기피제에 속합니다. 기피제는 해충이 식물을 먹지 않도록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살충제입니다. 나프탈렌과 크레오소트는 식물의 맛과 냄새를 변화시켜 해충이 먹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기피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잣나무 털녹병의 중간기주로 병의 예방을 위해서 잣나무부근에 식재를 피해야 할 수종은?

  1. 소나무
  2. 비자나무
  3. 참중나무
  4. 까치밥나무
(정답률: 72%)
  • 잣나무 털녹병은 균사인 Phytophthora cinnamomi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며, 이 균사는 물로 전파된다. 따라서, 물이 많이 차는 지형에서는 특히 까치밥나무와 같이 물을 좋아하는 수종을 식재하면 병의 전파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잣나무 부근에는 까치밥나무를 식재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나무와 곰솔의 새잎에 벌레혹(벌레혹)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해충은?

  1. 솔나방
  2. 솔잎혹파리
  3. 소나무좀
  4. 소나무재선충
(정답률: 82%)
  • 솔잎혹파리는 솔과 곰솔의 새잎에 벌레혹을 만들어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인 솔나방은 솔나무의 잎을 먹어서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소나무좀은 소나무의 껍질을 먹어서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의 잎을 먹어서 피해를 주는 해충이지만, 벌레혹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솔잎혹파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사가 급하고 구름지가 많은 지형에서 연소방향 반대사면의 어느 곳이 불을 끌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인가?

  1. 8~9부 능선
  2. 5부 증선
  3. 산복부 부근
  4. 계곡 부근
(정답률: 62%)
  • 경사가 급하고 구름지가 많은 지형에서는 불이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연소방향 반대사면의 고지대에 위치한 장소가 불을 끌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입니다. 이 중에서도 8~9부 능선은 고지대에 위치하면서도 불이 번지는 방향과 반대편에 위치하여 불을 끌기에 적합한 장소입니다. 5부 증선은 고지대에 위치하지만 불이 번지는 방향과 가까워 불을 끌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산복부 부근과 계곡 부근은 지형이 낮아 불이 번지기 쉬우므로 불을 끌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기계일반

41. 기계톱의 오일을 급유하는 과정에서 묽은 윤활유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주된 현상은?

  1. 체인이 작동되지 않는다.
  2. 가이드바의 마모가 빨리된다.
  3. 엔진의 내부가 쉽게 마모된다.
  4. 엔진이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높다.
(정답률: 63%)
  • 묽은 윤활유는 가이드바와 연결된 체인에 충분한 윤활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가이드바와 체인 간 마찰이 증가하게 되어 가이드바의 마모가 빨리 일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림작업도구인 각식재용 양날괭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태에 따라 타원형과 네모형이 있다.
  2. 도끼날 부분은 질긴 뿌리를 자르는 것으로만 사용한다.
  3. 타원형은 자갈이 섞이고 지중에 뿌리가 있는 곳에서 사용한다.
  4. 네모형은 땅이 무르고 자갈이 없으며 잡초가 많은 곳에 사용한다.
(정답률: 74%)
  • "도끼날 부분은 질긴 뿌리를 자르는 것으로만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각식재용 양날괭이는 도끼날 부분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분을 활용하여 산림작업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뾰족한 부분은 뿌리를 파내는 데 사용하고, 평평한 부분은 흙을 파내는 데 사용합니다. 따라서, 각식재용 양날괭이는 다양한 부분을 활용하여 산림작업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냉각되어 있는 기계톱을 시동하려고 한다. 엔진에 시동이 걸렸다가 곧 꺼져버렸다면 어떻게 하여야 되는가?

  1. 초크를 닫는다.
  2. 기화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3. 기화기에 연료공급량을 차단한다.
  4. 초크를 열고 시동 손잡이를 다시 한 번 잡아당긴다.
(정답률: 70%)
  • 기계톱을 시동할 때는 초크를 닫아 기화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기화기에 연료공급량을 높여 시동을 걸어야 한다. 그러나 이미 냉각되어 있는 기계톱을 시동하려고 할 때는 초크를 열어 기화기에 연료공급량을 높이고, 시동 손잡이를 다시 한 번 잡아당겨야 한다. 이는 기계톱의 엔진이 충분한 공기와 연료를 받아 시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은 기계톱의 각 부분의 구조이다. 번호 ④의 지레발톱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악셀레버의 차단기이다.
  2. 기계톱을 조종하는 앞손잡이이다.
  3. 나무를 절삭하며, 보통 안전용 제인덮개로 보호한다.
  4. 정확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역할 및 완충과 받침대 역할을 한다.
(정답률: 84%)
  • 지레발톱은 나무를 절삭하는 역할을 하며, 안전용 제인덮개로 보호된다. 번호 ④인 지레발톱의 역할은 정확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역할 및 완충과 받침대 역할을 한다. 이는 작업 중에 나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고, 진동을 완충시켜 정확한 작업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정확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지역할 및 완충과 받침대 역할을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용도가 같은 도구만으로 바르게 구성된 것은?

  1. 스위스 보육낫, 손도끼
  2. 재래식 낫, 가지치기 톱
  3. 손도끼, 무육용 이리톱
  4. 고지절단용 가지치기톱, 소형손톱
(정답률: 70%)
  • 고지절단용 가지치기톱과 소형손톱은 모두 식물을 가꾸거나 가지치기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용도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임업기계의 분류에서 조림 및 육림기계가 아닌 것은?

  1. 예불기
  2. 지타기
  3. 식혈기
  4. 프로세서
(정답률: 48%)
  • 조림 및 육림기계는 나무를 적절한 크기로 잘라내거나 적절한 위치에 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들을 말합니다. 예불기, 지타기, 식혈기도 모두 나무를 가공하거나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기계들입니다. 하지만 프로세서는 나무를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가공된 나무를 분쇄하거나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조림 및 육림기계가 아닌 것은 프로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산림작업에서 벌채 및 반출공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가공공정
  2. 운반공정
  3. 정체공정
  4. 표준공정
(정답률: 48%)
  • 표준공정은 산림작업에서 직접적으로 나무를 벌채하거나 반출하는 과정이 아니라, 나무를 가공하거나 처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벌채나 반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톱을 장기 보관 시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연료와 오일을 가득 채워둔다.
  2. 건조한 방에 먼저를 받지 않도록 보관한다.
  3. 연간 1회씩 전문적 검사관에 의해 검사를 받는다.
  4. 특수오일로 엔진내부를 보호해주거나 매월 10분씩 가동시켜 준다.
(정답률: 86%)
  • "연료와 오일을 가득 채워둔다."가 틀린 것입니다. 기계톱을 장기 보관할 때는 연료와 오일을 비우고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연료와 오일이 증발하거나 변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관 전에 연료와 오일을 비우고, 엔진 내부를 보호해주는 특수 오일을 사용하거나 매월 10분씩 가동시켜 줌으로써 엔진 내부를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건조한 방에 보관하고, 연간 1회씩 전문적 검사관에 의해 검사를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계톱의 주간정비 항목 중 점화부분의 정비사항 으로 틀린 것은?

  1. 스파크플러그의 정비
  2. 연료통과 연료필터 청소
  3. 스파크플러그의 외부 점검
  4. 점화상태의 점검결과에 따른 플러그 교환
(정답률: 64%)
  • 연료통과 연료필터 청소는 기계톱의 주간정비 항목 중에서는 점화부분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연료통과 연료필터 청소는 연료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합니다. 청소하지 않으면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기계톱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안전장비와 그 주요기능에 대한 설명의 관계가 서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귀마개 - 난청을 예방하는 귀 보호
  2. 얼굴보호망 -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 보호
  3. 안전헬맷 - 떨어지는 나뭇가지나 돌 등으로 부터 보호
  4. 안전복 - 추위나 더위, 오염이나 각종상해로 부터 신체 보호
(정답률: 88%)
  • 얼굴보호망은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산림작업의 기계화가 갖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상품가치의 하락
  2. 생산비용의 절감
  3. 노동생산성의 향상
  4. 중노동으로부터 해방
(정답률: 88%)
  • 산림작업의 기계화는 생산비용의 절감과 노동생산성의 향상, 그리고 중노동으로부터 해방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러나 상품가치의 하락은 기계화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는 기계화로 인해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시장에 공급되는 나무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깨져서 가격이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림도구를 만들기 위한 자루용 원목으로 사용되는 목재로서 가치가 없는 것은?

  1. 침엽수 목재
  2. 목질 섬유가 긴 나무
  3. 탄력이 크고 질긴 나무
  4. 옹이, 갈라진 흠이 없는 나무
(정답률: 78%)
  • 침엽수 목재는 섬유가 짧고 굽은 경향이 있어 자루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계톱날 연마에 사용하는 원형줄을 선택할 때는 톱니의 상부보다 줄 지름의 얼마 정도가 상부 날 위로 올라가는 것을 선택하는가?

  1. 1/2
  2. 1/5
  3. 1/6
  4. 1/10
(정답률: 67%)
  • 기계톱날 연마에 사용하는 원형줄은 톱니의 상부를 연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원형줄의 지름이 상부 날의 뾰족한 부분까지 올라가야 합니다. 이때, 상부 날의 뾰족한 부분은 전체 톱니의 높이 중 일부분이므로, 원형줄의 지름도 전체 톱니의 높이 중 일부분만큼 상승해야 합니다. 이 비율은 대개 1/10 정도로 선택됩니다. 즉, 원형줄의 지름이 전체 톱니의 높이 중 1/10 정도만큼 상승하면 상부 날의 뾰족한 부분까지 연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예불기 작업 시 작업자 간의 최소 안전거리로 적합한 것은?

  1. 3m
  2. 5m
  3. 7m
  4. 10m
(정답률: 86%)
  • 예불기 작업 시에는 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자 간의 최소 안전거리는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10m가 가장 안전한 거리로 판단됩니다. 이는 예불기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예불기 작업 시에는 작업자들이 서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소통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10m가 적합한 거리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림작업용 예불기로 6시간 작업하려면 혼합연료의 적정 소요량은? (단, 예불기는 2행정 가솔린기관으로 전용 오일을 25 : 1로 혼합한 혼합유를 시간당 0.5ℓ 소모한다.)

  1. 1ℓ
  2. 3ℓ
  3. 10ℓ1
  4. 20ℓ
(정답률: 89%)
  • 예불기가 6시간 작업하려면 총 소모되는 혼합유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6시간 x 0.5ℓ/시간 = 3ℓ

    따라서, 혼합연료의 적정 소요량은 3ℓ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림 및 무육작업에 있어 식재작업 시 유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2. 작업자 간의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3. 경사지에서는 상하로 서서 작업한다.
  4. 식재괭이 자루가 안전한가 확인한다.
(정답률: 89%)
  • "경사지에서는 상하로 서서 작업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경사지에서는 가로로 서서 작업해야 안전합니다. 이유는 경사지에서 상하로 서면 미끄러져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산림작업을 위한 개인안전장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화
  2. 안전헬맷
  3. 구급낭
  4. 얼굴보호망
(정답률: 93%)
  • 구급낭은 산림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의료용품이나 구급도구를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는 개인안전장비입니다. 다른 안전장비들은 사고 예방을 위한 보호장비이지만, 구급낭은 사고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한 장비이므로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나라 여름철에 기계톱 사용 시 혼합유 제조를 위한 윤활유 점액도가 가장 알맞은 것은?

  1. SAE 20
  2. SAE 30
  3. SAE 20W
  4. SAE 30W
(정답률: 75%)
  • 여름철에는 기계톱 작업 시 온도가 높아지므로, 윤활유의 점액도가 높은 SAE 30이 가장 적합합니다. SAE 20은 점액도가 낮아 기계 내부에서 마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SAE 20W과 SAE 30W은 겨울철에 사용하기 적합한 윤활유이므로 여름철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톱날의 연마 각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끌형 톱날의 창날각 연마각도는 30°이다.
  2. 대패형 톱날과 반끌형 톱날의 창날각 연마 각도는 각각 35°, 40°이다.
  3. 끌형, 대패형, 반끌형 톱날의 지붕각 연마 각도는 60° 로 동일하다.
  4. 가슴각 연마각도는 대패형 90°, 반끌형 85°, 끌형 80°이다.
(정답률: 62%)
  • 정답은 "대패형 톱날과 반끌형 톱날의 창날각 연마 각도는 각각 35°, 40°이다."입니다. 이유는 대패형과 반끌형 톱날은 창날각이 다르기 때문에 연마 각도도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창날각이란 톱날의 칼날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말합니다. 대패형은 창날각이 작아서 35°로 연마하고, 반끌형은 창날각이 크기 때문에 40°로 연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계톱날의 구성요소 중 목재의 절삭 두께에 영향을 주는 것은?

  1. 창날각
  2. 지붕각
  3. 전동쇠
  4. 깊이제한부
(정답률: 82%)
  • 깊이제한부는 기계톱날의 절삭 깊이를 제한하는 부분으로, 목재의 절삭 두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기계톱날의 구성요소 중 목재의 절삭 두께에 영향을 주는 것은 "깊이제한부"입니다. 창날각, 지붕각, 전동쇠는 모두 기계톱날의 성능과 절삭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만, 목재의 절삭 두께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