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산림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림 및 육림기술

1. 묘목의 굴취시기로 가장 좋지 않은 때는?

  1. 흐린 날
  2. 비오는 날
  3. 바람이 없는 날
  4. 잎의 이슬이 마른 새벽
(정답률: 93%)
  • 비오는 날은 묘목의 굴취를 더욱 심하게 만들어서 묘목이 부패하거나 병해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물이 많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묘목의 뿌리가 썩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비오는 날은 묘목의 굴취시기로 가장 좋지 않은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동령림과 비교한 이령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경영상 산림조사 및 수확이 간편하다.
  2. 병충해 등 유해인자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
  3. 시장의 목재 경기에 따라 벌기 조절에 융통성이 있다.
  4. 숲의 공간구조가 복잡하여 생태적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형태이다.
(정답률: 72%)
  • 이령림의 장점으로 "산림경영상 산림조사 및 수확이 간편하다."는 옳지 않습니다. 이는 동령림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령림은 숲의 공간구조가 복잡하여 생태적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형태이며, 병충해 등 유해인자에 대한 저항력이 높고, 시장의 목재 경기에 따라 벌기 조절에 융통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벌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여름철에 실행한다.
  2. 낫, 톱, 도끼 등의 작업도구가 필요하다.
  3. 침입수종과 불량목 등 잡목 솎아베기 작업을 실시한다.
  4. 간벌작업 실시 후 실시하는 작업단계로서 보육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정답률: 64%)
  • 간벌작업 실시 후 실시하는 작업단계로서 보육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간벌작업은 숲에서 나무를 일부 제거하여 숲의 건강을 유지하고 적정한 생장환경을 조성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간벌작업 이후에는 숲의 상태에 따라 보육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 때, 잡목 솎아베기 작업은 보육작업 중 하나일 뿐, 가장 중요한 단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묘목을 단근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주근 발달 촉진
  2. 활착율이 낮아짐
  3. T/R율이 낮은 묘목 생산
  4. 품질이 안 좋은 묘목 생산
(정답률: 73%)
  • 묘목을 단근할 때 주근 발달이 촉진되어 뿌리가 강해지는 것은 맞지만, 동시에 뿌리가 짧아지고 활착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T/R율이 낮은 묘목이 생산되는 것입니다. 이는 묘목의 생육력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접목의 활착률이 가장 높은 것은?

  1. 대목과 접수 모두 휴면 중일 때
  2. 대목과 접수 모두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3.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고 접수는 휴면중일 때
  4. 대목은 휴면 중이고 접수는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정답률: 80%)
  • 접목의 활착률이 가장 높은 것은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고 접수는 휴면중일 때"입니다. 이는 대목이 활발하게 생장하고 있을 때 접목을 하면 접목 부위에서 대목으로 영양분이 잘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대목이 휴면 중이거나 생리적 활동이 둔화되어 있을 때는 접목이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고 접수는 휴면중일 때 접목을 하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림 부식질의 기능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토양 가비중을 높인다.
  2. 토양 입자를 단단히 결합한다.
  3. 토양수분의 이동, 저장에 영향을 미친다.
  4. 질소, 인산 같은 양분의 공급원으로 제공된다.
(정답률: 57%)
  • 산림 부식질은 토양 가비중을 높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오히려 부식질이 쌓이면 토양 가벼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 가비중을 높인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발아에 가장 오랜 시일이 필요한 수종은?

  1. 화백
  2. 옻나무
  3. 솔송나무
  4. 자작나무
(정답률: 67%)
  • 옻나무는 발아에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다른 나무들은 대부분 1년 이내에 발아가 가능하지만, 옻나무는 그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가장 오랜 시일이 필요한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의 과실이 시과(翅果)로 분류되는 수종은?

  1. 참나무
  2. 소나무
  3. 단풍나무
  4. 호두나무
(정답률: 62%)
  • 단풍나무는 종자의 과실이 시과로 분류되는 수종입니다. 시과란 씨앗 주위에 날개가 있는 열매를 말하며, 단풍나무의 열매인 단풍은 씨앗 주위에 날개가 있는 시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단풍나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참나무속에 속하며 우리나라 남쪽 도서지방 등 따뜻한 곳에서 나는 상록성 수종은?

  1. 굴참나무
  2. 신갈나무
  3. 가시나무
  4. 너도밤나무
(정답률: 61%)
  • 가시나무는 상록성 수종이며, 참나무속에 속합니다. 또한 따뜻한 지방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굴참나무, 신갈나무, 너도밤나무는 이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답은 가시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의 저장과 발아촉진을 겸하는 방법은?

  1. 냉습적법
  2. 노천매장법
  3. 침수처리법
  4. 황산처리법
(정답률: 88%)
  • 노천매장법은 종자를 땅에 직접 묻어서 저장하고,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발아촉진을 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물이나 습기가 적절하게 유지되어 종자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땅의 영양분과 미생물이 종자의 발아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자의 저장과 발아촉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목의 측아 생장을 억제하여 정아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은?

  1. 옥신
  2. 에틸렌
  3. 사이토키닌
  4. 아브시스산
(정답률: 72%)
  • 옥신은 수목의 측아 생장을 억제하는 호르몬으로, 이를 억제함으로써 정아 생장을 촉진시킵니다. 다른 보기들은 수목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이지만, 옥신과는 반대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식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급적 물이 잘 고이는 곳에 묻는다.
  2.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한다.
  3. 낙엽수는 묘목 전체를 땅 속에 묻어도 된다.
  4. 조림지의 환경에 순응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정답률: 79%)
  • 가식 작업은 식물의 뿌리를 묻는 작업으로, 식물의 성장을 돕기 위해 실시한다. 따라서 "가급적 물이 잘 고이는 곳에 묻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물이 잘 고이는 곳에 묻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하는 것도 가식 작업의 목적 중 하나이다. 낙엽수는 묘목 전체를 땅 속에 묻어도 된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며, 조림지의 환경에 순응시키기 위해 가식 작업을 실시하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묘목의 연령을 표시할 때 1/2묘란?

  1. 6개월 된 삽목묘이다.
  2. 뿌리가 1년, 줄기가 2년 된 묘목이다.
  3. 1/1묘의 지상부를 자른지 1년이 지난 묘이다.
  4. 이식상에서 1년, 파종상에서 2년을 보낸 만 3년생의 묘목이다.
(정답률: 53%)
  • 1/1묘란, 지상부를 자른 후 1년이 지난 묘목을 의미합니다. 즉, 묘목이 심어진 후 1년이 지나면 지상부를 자르고, 그 후 1년이 더 지나면 1/1묘가 됩니다. 따라서 "1/1묘의 지상부를 자른지 1년이 지난 묘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숙마찰법으로 종자 탈종이 가능한 수종은?

  1. 벚나무
  2. 밤나무
  3. 전나무
  4. 향나무
(정답률: 61%)
  • 부숙마찰법은 종자의 씨껍질을 깨뜨려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씨껍질이 두껍고 경도가 높은 수종에서 효과적입니다. 벚나무는 씨껍질이 얇고 부드러워 부숙마찰법에 적합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벚나무가 부숙마찰법으로 종자 탈종이 가능한 수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결실을 촉진하기 위한 작업이 아닌 것은?

  1. 환상박피
  2. 솎아베기
  3. 단근처리
  4. 콜히친 처리
(정답률: 69%)
  • 콜히친 처리는 결실을 촉진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콜히친 처리는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열매나 꽃의 생산을 줄이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결실을 촉진하기 위한 작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재생산과 연료생산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하목은 짧은 윤벌기로 모두 베어지고 상목은 택벌식으로 벌채되는 작업종은?

  1. 택벌작업
  2. 산벌작업
  3. 중림작업
  4. 왜림작업
(정답률: 69%)
  • 중림작업은 하목과 상목을 동시에 벌채하는 작업으로, 용재생산과 연료생산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목은 짧은 윤벌기로 모두 베어지기 때문에 적은 노동력으로도 생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중림작업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천연갱신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지를 보호한다.
  2. 생산된 목재가 대체로 균일하다.
  3. 인공갱신에 비해 경비가 적게 든다.
  4. 환경에 잘 적응된 수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89%)
  • 생산된 목재가 대체로 균일하다는 것은 천연갱신의 단점이며, 이는 자연적인 성장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섞여 자라기 때문에 생산된 목재가 균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옳지 않은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량 묘목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것
  2. 뿌리의 발달이 충실한 것
  3. 겨울눈이 충실하고 가지가 도장하지 않는 것
  4. 뿌리에 비해 지상부의 발육이 월등히 좋은 것
(정답률: 90%)
  • 뿌리에 비해 지상부의 발육이 월등히 좋은 것은 우량 묘목의 기준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가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뿌리와 지상부의 균형이 맞지 않아 나무가 불안정하고 쉽게 쓰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량 묘목의 기준으로는 뿌리의 발달이 충실하고 겨울눈이 충실하며 가지가 도장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뿌리에 상처가 없는 것도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특정 임분의 야생동물군집 보전을 위한 임분구성 관리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택벌사업
  2. 대면적 개벌사업
  3. 혼효림 또는 복층림화
  4. 침엽수 인공림 내외에 활엽수의 도입
(정답률: 78%)
  • 대면적 개벌사업은 야생동물군집을 보전하는데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대규모로 숲을 벌여나가는 것으로,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생태계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야생동물군집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모수작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벌채가 집중되므로 경비가 많이 든다.
  2. 토양의 침식과 유실 우려가 거의 없다.
  3. 종자의 비산능력을 갖추지 않은 수종도 가능하다.
  4. 개벌작업보다 신생임분의 구성을 잘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57%)
  • 모수작업법은 적은 범위에서 나무를 적절히 제거하고, 남은 나무들이 자연적으로 번식하도록 하는 작업법입니다. 따라서 개벌작업보다는 신생임분의 구성을 잘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나무들이 자연적으로 번식하면서 생기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나무들이 혼재되어 자연적인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도태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복층구조 유도가 힘들다.
  2. 간벌재 이용에 유리하다.
  3. 간벌양식으로 볼 때 하층간벌에 속한다.
  4. 장벌기 고급 대경재 생산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53%)
  • 도태간벌은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기둥이 없는 구조로, 간격이 넓어 복층구조 유도가 힘들지만 간벌재 이용에 유리하다. 따라서 간벌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도태간벌이 적합하며, 간벌양식으로 볼 때 하층간벌에 속한다. 하지만 장벌기 고급 대경재 생산에는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피에 코르크가 발달되고 잎의 뒷면에 백색성모가 많이 있는 수종은?

  1. 굴참나무
  2. 갈참나무
  3. 신갈나무
  4. 상수리나무
(정답률: 66%)
  • 굴참나무는 코르크가 발달되어 있고 잎의 뒷면에 백색성모가 많이 있는 수종입니다. 다른 보기인 갈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라사키(寺崎)의 상층간벌에 속하는 것은?

  1. A종 간벌
  2. B종 간벌
  3. C종 간벌
  4. D종 간벌
(정답률: 59%)
  • 데라사키(寺崎)의 상층간벌은 D종 간벌에 속합니다. 이는 데라사키(寺崎)의 상층간벌이 다른 간벌과는 달리, 꽃과 열매가 동시에 열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D종 간벌에만 해당되며, 따라서 데라사키(寺崎)의 상층간벌은 D종 간벌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종량을 구하는 공식에서 득묘율이란?

  1. 일정 면적에서 묘목을 얻은 비율
  2. 솎아낸 묘목수에 대한 잔존 묘목수의 비율
  3. 발아한 묘목수에 대한 잔존 묘목수의 비율
  4. 파종된 종자입수에 대한 잔존 묘목수의 비율
(정답률: 70%)
  • 들쭉날쭉한 종자들 중에서 실제로 묘목으로 자라난 것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 득묘율입니다. 파종된 종자입수는 처음에 뿌린 종자의 수를 의미하고, 잔존 묘목수는 그 중에서 살아남은 묘목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득묘율은 파종된 종자 중에서 실제로 묘목으로 자라난 비율을 나타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나무아래심기(수하 식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하 식재는 임내의 미세환경을 개량하는 효과가 있다.
  2. 수하 식재는 주임목의 불필요한 가지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3. 수하 식재는 표토 건조 방지, 지력 증진, 황폐와 유실방지 등을 목적으로 한다.
  4. 수하 식재용 수종으로는 양수 수종으로 척박한 토양에 견디는 힘이 강한 것이 좋다.
(정답률: 74%)
  • 수하 식재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양수 수종이 적합하다. 따라서 "수하 식재용 수종으로는 양수 수종으로 척박한 토양에 견디는 힘이 강한 것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림보호

26. 잡초나 관목이 무성한 경우의 피해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지표를 건조하게 한다.
  2. 병충해의 중간기주 역할을 한다.
  3. 양수 수종의 어린나무 생장을 저해한다.
  4. 임지를 갱신하려 할 때 방해요인이 된다.
(정답률: 78%)
  • 잡초나 관목이 무성한 경우에는 물과 영양분을 경쟁적으로 빼앗아 나무들이 충분한 물과 영양분을 얻지 못하게 되어 지표를 건조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지표를 건조하게 한다."가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매미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 4 - D 액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2. 연간 2회 발생하며 유층으로 월동한다.
  3. 침엽수, 활엽수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다.
  4. 암컷이 활발하게 날아다니며 수컷을 찾아다닌다.
(정답률: 62%)
  • 매미나방은 나무를 해충으로 공격하는 나무해충 중 하나로, 침엽수와 활엽수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매미나방이 나무의 잎, 줄기, 껍질 등을 먹이로 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미나방 방제를 위해서는 나무 종류에 상관없이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산림해충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에 속하는 것은?

  1. 천적 방사
  2. 기생벌 이식
  3. 내충성 수종 이용
  4. 병원 미생물 이용
(정답률: 79%)
  • 임업적 방제법 중 내충성 수종 이용은 해충의 천적인 내충성 동물을 이용하여 해충을 통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해충의 천적인 내충성 동물을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적정한 시기에 산림에 방출하여 해충을 통제합니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해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포플러잎녹병의 중간기주는?

  1. 오동나무
  2. 오리나무
  3. 졸참나무
  4. 일본잎갈나무
(정답률: 68%)
  • 포플러잎녹병은 일본잎갈나무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중간기주는 일본잎갈나무인 이유는 다른 보기인 오동나무, 오리나무, 졸참나무에서는 이 질병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에 속하는 것은?

  1. 솔거품벌레
  2. 도토리거위벌레
  3. 솔껍질깍지벌레
  4. 버즘나무방패벌레
(정답률: 48%)
  • 도토리거위벌레는 나무 속에서 도토리거위의 알을 먹이로 삼아 그 알을 파내어 먹는 완전변태를 하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나무를 해치는 해충이지만, 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은 나뭇가지에 다음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알을 낳는 해충은?

  1. 매미나방
  2. 천막벌레나방
  3. 미국흰불나방
  4. 복숭아심식나방
(정답률: 74%)
  • 해당 그림은 천막벌레나방이 낳는 알의 모양과 유사하며, 다른 보기들과는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천막벌레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가 아닌 것은?

  1. 증산작용이 쇠퇴한다.
  2. 잎의 주변부와 엽맥 사이 조직이 괴사한다.
  3. 소나무류에서는 침엽이 적갈색으로 변한다.
  4. 어린잎의 엽맥과 주변부에 백화현상이나 황화현상을 일으킨다.
(정답률: 58%)
  • 아황산가스는 식물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광합성을 방해하고, 엽맥과 주변 조직을 손상시켜 백화현상이나 황화현상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어린잎의 엽맥과 주변부에 백화현상이나 황화현상을 일으킨다."가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아황산가스에 의한 피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를 전파시키는 주요 매개 곤충은?

  1. 응애
  2. 진딧물
  3. 나무이
  4. 담배장님노린재
(정답률: 78%)
  •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를 전파시키는 주요 매개 곤충은 "담배장님노린재"입니다. 이는 담배장에서 발견되는 작은 벌레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를 몸에 싣고 다른 나무로 이동하면서 전파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응애", "진딧물", "나무이"는 오동나무빗자루병과는 관련이 없는 곤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목병은?

  1. 뽕나무 오갈병
  2. 벚나무빗자루병
  3. 소나무 잎떨림병
  4. 아카시아 모자이크병
(정답률: 72%)
  • 파이토플라스마는 뽕나무 오갈병의 원인균으로, 이 병은 뽕나무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가지와 줄기가 굽어지며, 열매가 작아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파이토플라스마가 뽕나무의 식물조직을 침범하여 생기는 것으로, 병원균이 전염되는 벌레나 접촉으로 인해 전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땅 속에서 월동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솔잎혹파리
  2. 어스렝이나방
  3. 잣나무넓적잎벌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53%)
  • 어스렝이나방은 땅 속에서 월동하지 않고, 겨울철에는 나무껍질이나 나뭇가지 등에 붙어서 겨울을 견디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땅 속에서 월동하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페니트로티온 50% 유제(비중 1.0)를 0.1%로 희석하여 ha당 1000L를 살포하려고 할 때 이때 필요한 소요 약량은?

  1. 500ml
  2. 1000ml
  3. 2000ml
  4. 2500ml
(정답률: 46%)
  • 페니트로티온 50% 유제를 0.1%로 희석하면 500배가 되므로, 1L당 500g의 페니트로티온이 함유됩니다. 따라서 1000L에는 500kg의 페니트로티온이 필요합니다. 1kg는 1000ml이므로, 500kg는 500,000ml 또는 500L입니다. 이를 0.1%로 희석하려면 500L을 500배로 더 많은 양의 물로 희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소요 약량은 500L x 500 = 250,000L 또는 250,000,000ml 또는 250,000L입니다. 이를 1000L로 나누면 250,000,000ml ÷ 1000L = 250,000ml 또는 250L이 됩니다. 이를 2로 나누면 250L ÷ 2 = 125L이므로, 필요한 소요 약량은 125L x 16 = 2000m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상부의 접목부위, 삽목의 하단부 등으로 병원균이 침입하고, 고온다습할 때 알칼리성 토양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은?

  1. 탄저병
  2. 뿌리혹병
  3. 불마름병
  4. 리지나뿌리썩음병
(정답률: 56%)
  • 뿌리혹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병원균이 뿌리 부분에 침입하여 발생하는 병이다. 따라서 "지상부의 접목부위, 삽목의 하단부 등으로 병원균이 침입하고, 고온다습할 때"와 관련된 내용이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내용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포플러잎녹병의 증상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병든 나무는 급속히 말라 죽는다.
  2. 초여름에는 잎 뒷면에 노란색 작은 돌기가 발생한다.
  3. 초가을이 되면 잎 양면에 짙은 갈색 겨울포자퇴가 형성된다.
  4. 중간기주의 잎에 형성된 녹포자가 포플러로 날아와 여름포자퇴를 만든다.
(정답률: 67%)
  • "병든 나무는 급속히 말라 죽는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포플러잎녹병은 나무의 잎이 녹아내리는 증상을 보이며, 초여름에는 노란색 작은 돌기가 발생하고, 초가을이 되면 잎 양면에 짙은 갈색 겨울포자퇴가 형성됩니다. 중간기주의 잎에 형성된 녹포자가 포플러로 날아와 여름포자퇴를 만듭니다. 이 병은 나무를 급속히 말라 죽이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솔나방이 주로 산란하는 곳은?

  1. 솔잎 사이
  2. 솔방울 속
  3. 소나무 수피 틈
  4. 소나무 뿌리 부근 땅 속
(정답률: 71%)
  • 솔나방은 솔나무의 잎사귀 사이에 주로 산란합니다. 이는 솔나무의 잎사귀가 무성한 잎사귀 덩어리를 이루어 솔나방이 숨을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솔잎 사이는 산란 후에도 알이 보호되는 곳으로, 솔잎의 표면이 매끄러워서 알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추나무빗자루병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는?

  1. 베노밀 수화제
  2. 아바멕틴 유제
  3. 아세타미프리드 액제
  4.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정답률: 85%)
  • 대추나무빗자루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므로, 세균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효과가 있는 약제가 필요합니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는 넓은 스펙트럼의 항생제로, 다양한 세균에 대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대추나무빗자루병 방제에 적합합니다. 또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는 식물에 대한 독성이 낮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업기계일반

41. 낙엽송잎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년에 3회 발생한다.
  2. 어린 유충이 군서하여 잎을 가해한다.
  3. 3령 유충부터는 분산하여 잎을 가해한다.
  4. 기존의 가지보다는 새로운 가지에서 나오는 짧은 잎을 식해한다.
(정답률: 48%)
  • 기존의 가지보다는 새로운 가지에서 나오는 짧은 잎을 식해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낙엽송잎벌은 기존의 가지와 새로운 가지 모두에서 잎을 가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세균에 의한 수목 병해는?

  1. 소나무 잎녹병
  2. 낙엽송 잎떨림병
  3. 호두나무 뿌리혹병
  4. 밤나무 줄기마름병
(정답률: 53%)
  • 호두나무 뿌리혹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 병해로, 호두나무의 뿌리에 작은 혹이 생기면서 시작됩니다. 이후 세균이 뿌리를 침입하여 뿌리가 부패하고 죽어나가게 되며, 이는 나무 전체의 생장을 저해시키고 결국 나무가 죽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원체가 침입하는 경로는?

  1. 뿌리를 통한 침입
  2. 수피를 통한 침입
  3. 잎의 기공을 통한 침입
  4. 줄기의 상처를 통한 침입
(정답률: 74%)
  •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원체는 주로 줄기의 상처를 통해 침입합니다. 이는 줄기에 상처가 생기면 그곳으로부터 병원체가 침입하여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밤나무를 관리할 때는 줄기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곤충의 몸 밖으로 방출되어 같은 졸끼리 통신을 하는데 이용되는 물질은?

  1. 퀴논(quinone)
  2. 호르몬(hormone)
  3. 테르펜(terpenes)
  4. 페로몬(pheromone)
(정답률: 83%)
  • 곤충의 몸 밖으로 방출되어 같은 종끼리 통신을 하는 물질은 페로몬입니다. 페로몬은 동일종의 개체들 사이에서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성적인 끌림, 식물의 위치, 위험 신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해 가스에 예민한 수목은 피해를 받으면 비교적 선명한 증상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하여 대기오염의 해를 감정하는 방법은?

  1. 지표식물법
  2. 혈청진단법
  3. 표징진단법
  4. 코흐의 법칙
(정답률: 62%)
  • 지표식물법은 대기오염의 해를 감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유해 가스에 예민한 수목을 이용하여 대기오염의 수준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수목이 대기오염에 노출되면 비교적 빠르게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목의 증상을 관찰하여 대기오염의 수준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대기오염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산림작업용 도구의 자루를 원목으로 제작하려 할 때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옹이가 있으면 더욱 단단해서 좋다.
  2. 목질섬유가 길고 탄성이 크며 질긴 나무가 좋다.
  3. 일반적으로 가래나무 또는 물푸레나무 등이 적합하다.
  4. 다듬어진 각목의 섬유방향은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정답률: 86%)
  • 정답: 일반적으로 가래나무 또는 물푸레나무 등이 적합하다.

    설명: 산림작업용 도구의 자루는 단단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하므로 목질섬유가 길고 탄성이 크며 질긴 나무가 적합합니다. 또한, 다듬어진 각목의 섬유방향은 긴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며, 옹이가 있으면 더욱 단단해서 좋습니다. 따라서, 가장 부적합한 것은 일반적으로 가래나무 또는 물푸레나무 등이 적합하다는 것과 반대되는 답안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4기통 디젤엔진의 실린더 내경이 10㎝, 행정이 4㎝ 일 때 이 엔진의 총배기량은?

  1. 785cc
  2. 1256cc
  3. 4000cc
  4. 3140cc
(정답률: 67%)
  • 총배기량 = 실린더 내경 x 실린더 행정 x 실린더 개수

    따라서, 총배기량 = 10cm x 4cm x 4 = 160cc (한 실린더당)

    4기통 엔진이므로, 총배기량 = 160cc x 4 = 640cc

    따라서, 정답은 "785cc"나 "4000cc"나 "3140cc"가 아니라 "1256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톱에 연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윤활유가 과다하면 출력저하나 시동불량의 현상이 나타난다.
  2. 윤활유로 인해 휘발유가 희석되기 때문에 기계톱에는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를 사용한다.
  3. 휘발유에 대한 윤활유의 혼합비가 부족하면 피스톤, 실린더 및 엔진 각 부분에 눌러붙을 수 있다.
  4. 휘발유와 윤활유를 20 : 1~25 : 1의 비율로 혼합하나 체인톱 전용 윤활유를 사용하는 경우 40 : 1로 혼합하기도 한다.
(정답률: 74%)
  • "윤활유로 인해 휘발유가 희석되기 때문에 기계톱에는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를 사용한다." 인 이유는, 윤활유가 휘발유와 혼합되면 휘발유의 효과가 약화되어 출력이 감소하고 시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옥탄가가 높은 휘발유를 사용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솔린엔진과 비교할 때 디젤엔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효율이 높다.
  2. 토크변화가 작다.
  3. 배기가스 온도가 높다.
  4. 엔진 회전속도에 따른 연료공급이 자유롭다.
(정답률: 60%)
  • 배기가스 온도가 높다는 것은 디젤엔진에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않고 일부가 남아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디젤엔진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배기가스 온도가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계톱의 연속조작 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분 이내
  2. 30분 이내
  3. 45분 이내
  4. 1시간 이내
(정답률: 76%)
  • 기계톱은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때 과열되거나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는 일정 시간마다 쉬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10분 이내의 쉬는 시간을 가지면서 연속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전목집재 후 집재장에서 가지치기 및 조재작업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비는?

  1. 스키더
  2. 포워더
  3. 프로세서
  4. 펠러번처
(정답률: 59%)
  • 전목집재 후 가지치기 및 조재작업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비는 프로세서입니다. 이는 전목을 자동으로 잘라내어 가지를 분리하고, 나무를 원하는 크기로 잘라내어 조재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키더나 포워더는 전체 나무를 운반하는데 적합하며, 펠러번처는 나무를 분쇄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선 집재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타워야더
  2. 아크야윈치
  3. 파르미 트랙터
  4. 나무운반미끄럼틀
(정답률: 57%)
  • "나무운반미끄럼틀"은 가선 집재용 장비가 아닙니다. 이는 나무를 운반하기 위한 도구로, 가선 집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에 "타워야더", "아크야윈치", "파르미 트랙터"는 모두 가선 집재용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대표적인 다공정 처리기계로서 벌도, 가지치기, 조재목 다듬질, 토막내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기계는?

  1. 포워더
  2. 펠러번처
  3. 하베스터
  4. 프로세서
(정답률: 78%)
  • 하베스터는 벌도, 가지치기, 조재목 다듬질, 토막내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공정 처리기계입니다. 다른 보기인 포워더는 원목을 운반하는 기계, 펠러번처는 나무를 벗기는 기계, 프로세서는 나무를 잘라내는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그림과 같이 나무가 걸쳐 있을 때에 압력부는 어느 위치인가?

  1. 1번
  2. 2번
  3. 3번
  4. 4번
(정답률: 71%)
  • 나무가 걸쳐져 있는 부분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부분이 압력부이기 때문에 정답은 4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집재용 도구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로그잭
  2. 피커룬
  3. 캔트훅
  4. 파이크폴
(정답률: 53%)
  • 로그잭은 나무를 베어낼 때 사용하는 도구로, 집재용 도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톱 체인의 수명 연장 및 파손 방지 예방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석유에 넣어 둔다.
  2. 윤활유에 넣어 둔다.
  3. 가솔린에 넣어 둔다.
  4. 구리스에 넣어 둔다.
(정답률: 78%)
  • 정답은 "윤활유에 넣어 둔다."입니다. 이유는 기계톱 체인은 작동 시 마찰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체인의 금속 부품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윤활유는 마찰을 줄여 체인의 부품을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윤활유는 체인의 파손을 예방하는데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윤활유에 넣어 두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임업용 기계톱의 쏘체인 톱니의 피치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서로 접한 3개의 리벳간격을 2로 나눈 값
  2. 서로 접한 2개의 리벳간격을 3으로 나눈 값
  3. 서로 접한 4개의 리벳간격을 3으로 나눈 값
  4. 서로 접한 3개의 리벳간격을 4로 나눈 값
(정답률: 76%)
  • 임업용 기계톱의 쏘체인 톱니의 피치는 "서로 접한 3개의 리벳간격을 2로 나눈 값" 입니다. 이는 쏘체인 톱니의 간격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쏘체인의 리벳이 서로 접하는 3개의 지점을 선택하고, 그 간격을 2로 나눈 값으로 피치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쏘체인의 리벳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예불기 캬브레이터의 일반적인 청소 주기는?

  1. 10시간
  2. 20시간
  3. 50시간
  4. 100시간
(정답률: 43%)
  • 예불기 캬브레이터는 일반적으로 100시간마다 청소를 해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예불기 캬브레이터가 작동하는 동안 먼지와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시간마다 청소를 하면 예불기 캬브레이터의 성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집재거리가 길어 스카이라인이 지면에 닿아 반송기의 주행이 곤란할 때 설치하는 장치는?

  1. 턴버클
  2. 도르래
  3. 힐블럭
  4. 중간지지대
(정답률: 64%)
  • 집재거리가 길어 스카이라인이 지면에 닿아 반송기의 주행이 곤란할 때, 중간지지대를 설치하여 스카이라인을 지지하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다른 보기인 턴버클, 도르래, 힐블럭은 스카이라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중간지지대는 스카이라인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예불기를 휴대 형식으로 구분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등짐식
  2. 손잡이식
  3. 허리걸이식
  4. 어깨걸이식
(정답률: 69%)
  • 허리걸이식은 예불기를 허리에 걸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예불기를 들고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거리가 먼 것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