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1-19)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2016-11-19 기출문제)

목록

1. 여러 대의 CCTV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하는 기기는?

  1. 영상 보상기
  2. 화면 분할기
  3. 영상 증폭기
  4. 영상코드 변환기
(정답률: 알수없음)
  • 화면 분할기는 여러 대의 CCTV 카메라 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에서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영상을 분할하여 보여주는 기기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화면 분할기"이다. 영상 보상기는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기기, 영상 증폭기는 영상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기기, 영상코드 변환기는 영상 신호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CTV 설치 시 전원 케이블 공사 없이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영상과 전원을 동시에 전달하는 방식은?

  1. PAL(Phase Alternation Line)
  2.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3. PTP(Point To Point)
  4. PoE(Power over Ethernet)
(정답률: 알수없음)
  • PoE(Power over Ethernet)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전달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CCTV 설치 시 전원 케이블 공사 없이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영상과 전원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인간 눈의 망막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렌즈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는?

  1. 촬상소자
  2. 전송소자
  3. 전광소자
  4. 증폭소자
(정답률: 알수없음)
  • 촬상소자는 렌즈로 결상된 광학상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 인간 눈의 망막과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간 눈의 망막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정답이 "촬상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무인기계경비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장치에서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각종 신호를 출력한다.
  2. 침입신호를 포함하여 발생되는 모든 신호는 자체의 집중 감시센터에서만 관리한다.
  3. 침입 감지기, 화재 감지기, 비상 스위치 등을 설치할 수 있다.
  4. 경비대상 시설물에 각종 감지기 및 주장치를 설치하여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입신호를 포함하여 발생되는 모든 신호는 자체의 집중 감시센터에서만 관리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무인기계경비시스템의 기본 원칙과는 반대되는 내용이다. 무인기계경비시스템은 주로 경비대상 시설물에 각종 감지기 및 주장치를 설치하여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침입신호를 포함하여 발생되는 모든 신호는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관리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무인경비시스템의 처리 과정 중 ( )안의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통신장치, 관제센터, 주장치
  2. 주장치, 통신장치, 관제센터
  3. 관제센터, 주장치, 통신장치
  4. 통신장치, 주장치, 관제센터
(정답률: 알수없음)
  • 1. 주차장 입구에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 인식기가 차량 번호를 인식한다.
    2. 인식된 차량 번호는 주장치로 전송되어 주차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3. 주차 가능한 차량이면 주차장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문이 열린다.
    4. 차량이 주차장 내부로 진입하면 차량 인식기가 다시 인식하여 주장치로 전송한다.
    5. 차량이 주차장을 떠날 때도 차량 인식기가 인식하여 주장치로 전송된다.
    6. 주차장 내부에 설치된 통신장치를 통해 주장치와 관제센터가 통신한다.
    7. 관제센터에서는 주차장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주차장 이용자들의 문의나 신고에 대응한다.

    따라서, 처리 과정은 "주장치, 통신장치, 관제센터" 순서로 나열된다. 이는 주차장 내부에서의 처리와 관제센터와의 통신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범용 감지기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감도
  2. 복귀도
  3. 안정도
  4. 압전도
(정답률: 알수없음)
  • 압전도는 방범용 감지기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방범용 감지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감도, 복귀도, 안정도는 방범용 감지기에서 중요한 구비조건으로 감지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고주파대 음으로 물체의 위치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기는?

  1. 열선 감지기
  2. 적외선 감지기
  3. 초음파 감지기
  4.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 감지기는 고주파대의 음파를 발생시켜 물체에 부딪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고주파대의 음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체의 위치나 거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음파 감지기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고주파대 음으로 물체의 위치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재 발생 시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면 동작하는 열 감지기는?

  1. 불꽃 감지기
  2. 광전식 연기감지기
  3.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4. 자석 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면 열파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감지기이다. 이는 불꽃 감지기나 광전식 연기감지기와는 달리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도 감지가 가능하며, 자석 감지기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 중에서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선로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시설이 아닌 것은?

  1. 단로기
  2. 전자개폐기
  3. 누전차단기
  4. 과전류계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단로기는 전선로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시설이 아니라, 전기회로에서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선로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절연전선의 종류와 용도가 옳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1. 600 V 비닐절연전선 - 600 V 이상의 옥외 배선용
  2. 600 V 2종 비닐절연전선 - 600 V 이하의 옥내 배선용
  3. 600 V 고무절연전선 - 600 V 이하의 옥내 배선용
  4.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 저압가공 인입선용
(정답률: 알수없음)
  • "600 V 비닐절연전선 - 600 V 이상의 옥외 배선용"은 600V 이상의 전압을 감당할 수 있고, 비닐절연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도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옥외 배선용으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옥외 배선용으로 사용되는 절연전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교류회로에서 P = VI [VA] 로 나타내는 전력은? (단, V : 전압의 실효값, I :전류의 실효값)

  1. 유효전력
  2. 무효전력
  3. 소비전력
  4. 피상전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는 전력은 피상전력이다. 이는 교류회로에서 전압과 전류가 사인파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전압과 전류의 곱이 평균적으로 0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내지만, 실제로 전력으로 사용되는 것은 유효전력이며, 무효전력은 전력의 낭비를 의미한다. 소비전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직류(DC)에서 고압의 범위로 옳은 것은?

  1. 750 V이하인 전압
  2. 600 V를 초과하고 7000 V이하인 전압
  3. 750 V를 초과하고 7000 V이하인 86전압
  4. 7000 V를 초과하는 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DC)에서 고압은 안전 문제로 인해 규제가 있으며, 750V 이상의 전압은 고압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7000V 이상의 전압은 고압전기 설비로 분류되어 더욱 엄격한 규제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750V를 초과하고 7000V 이하인 86전압이 옳은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재 발생 시 소방대가 소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설비는?

  1. 피뢰침설비
  2. 누전경보설비
  3. 비상콘센트설비
  4. 방폭전기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화재 발생 시에는 전기가 차단되어야 하지만, 소방대가 소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부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비상콘센트설비가 사용됩니다. 이 장비는 화재 발생 시에도 전원이 유지되며, 소방대가 소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화기나 호스 등의 장비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압 강하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송전단전압-수전단전압/수전단전압 × 100%
  2. 수전단전압-송전단전압/송전단전압 × 100%
  3. 송전단전압-수전단전압/송전단전압 × 100%
  4. 수전단전압-송전단전압/수전단전압 ×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압 강하율은 전압이 송전선에서 수전선으로 이동하면서 감소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때, 전압 강하율은 수전단전압과 송전단전압의 차이를 수전단전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송전단전압-수전단전압/수전단전압 × 100%"이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접지 공사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상 전압 발생 억제
  2. 노이즈 증가
  3. 전기설비 절연 보호
  4. 감전사고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 공사의 목적은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전기설비의 절연 보호와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노이즈 증가"는 접지 공사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노이즈는 전기적인 신호나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으로, 접지 공사는 노이즈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감전 방지대책(방법)이 아닌 것은?

  1. 보호접지방식을 사용한다.
  2. 누전차단방식을 사용한다.
  3. 이중절연방식을 사용한다.
  4. 이중변압기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중변압기방식은 감전 방지대책이 아니라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전기 설비 구성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기적으로 격리된 두 개의 변압기를 사용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접지방식, 누전차단방식, 이중절연방식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측정기로 옳은 것은?

  1. 메거(megger)
  2. 콜라우시 브리지법(kohlrausch bridge)
  3. 전위강하법(fall of potential method)
  4. 전력계(watt 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측정기로는 메거(megger)가 옳습니다. 메거는 고전압을 가해 절연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절연체가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다른 측정기들은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메거는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OSI 참조모델의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동일 LAN에서 거리의 연장이나 접속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비는?

  1. 허브(hub)
  2. 브리지(bridge)
  3. 라우터(router)
  4. 리피터(repeater)
(정답률: 알수없음)
  • 리피터는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거나 접속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일 LAN에서 거리의 연장이나 접속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보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
  2. 통신제어장치
  3. 중앙처리장치
  4. 데이터전송회선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실제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 전송회선과 같은 다른 장치들이 담당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0 Base T 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이다.
  2. 전송속도는 100 Mbps이다.
  3. 전송매체로 UTP 케이블을 사용한다.
  4. 변조(modulation)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00 Base T는 변조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이더넷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을 디지털 기반 전송 방식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계층 프로토콜이다.
  2. 오류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3.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4. 목적지까지의 라우팅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CP는 전송계층 프로토콜이며, 오류제어와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TCP는 목적지까지의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이며, IP 프로토콜이 이를 담당한다. TCP는 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며, IP 프로토콜이 목적지까지의 라우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에 나타난 디지털 변조 방식은?

  1. 진폭편이변조(ASK)
  2. 위상편이변조(PSK)
  3. 직교진폭변조(QAM)
  4. 주파수편이변조(FSK)
(정답률: 알수없음)
  • 위상편이변조(PSK)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위상을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2진수를 사용하여 0과 1을 각각 다른 위상으로 변조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0과 1에 대해 각각 다른 위상을 사용하여 변조하고 있으므로 PSK 방식으로 변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채널의 대역폭이 1 kHz 이고 신호대잡음비(S/N)가 30 dB 인 경우 샤논(Shannon)의 채널용량(bps)은?

  1. 1000 × log230
  2. 1000 × log231
  3. 1000 × log21001
  4. 1000 × log2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채널용량은 샤논의 공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채널용량 = 대역폭 x log2(1 + S/N)

    여기서 대역폭은 1 kHz, S/N은 30 dB로 주어졌으므로,

    채널용량 = 1,000 x log2(1 + 10^(30/10))

    = 1,000 x log2(1001)

    따라서 정답은 "1000 × log2100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OSI 참조모델의 계층이 아닌 것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브리지 계층
  3. 트랜스포트 계층
  4. 네트워크 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OSI 참조모델에는 "브리지 계층"이라는 계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브리지 계층은 OSI 참조모델의 계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관공사에서 합성수지관 공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공이 용이하고 가볍다.
  2. 절연성이 뛰어나고 부식의 우려가 적다.
  3. 접지가 잘되어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다.
  4. 가격이 저렴하고 전체 공사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수지관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접지가 잘 되어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접지가 잘되어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적다."가 아닌 것이 해당 문제에서는 합성수지관 공사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동영상 압축 방식이 아닌 것은?

  1. H.264
  2. MPEG-2
  3. MPEG-4
  4. JPEG-5
(정답률: 알수없음)
  • JPEG-5은 동영상 압축 방식이 아닌 이미지 압축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H.264, MPEG-2, MPEG-4은 모두 동영상 압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DVR(Digital Video Recod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지에서도 LAN 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화면을 감시할 수 있다.
  2. 오픈 릴식 녹화기이다.
  3. 장시간 저장하여도 화질의 변화가 없다.
  4. 여러 대의 영상을 1대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DVR은 오픈 소스가 아니므로 "오픈 릴식 녹화기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초음파감지기의 오보(오동작)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1. 실내(방 안)에서 사용할 때는 2개 이상의 다른 기종을 사용한다.
  2. 외부의 잡음에는 신호의 검출처리나 회로로 보완한다.
  3. 수정발진 방식을 이용해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4. 초음파 성분을 포함하는 음의 발생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내(방 안)에서 사용할 때는 2개 이상의 다른 기종을 사용한다."는 오보 방지대책이 아닙니다. 이유는 다른 기종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간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IP주소 클래스(class) 중 첫 번째 바이트의 처음 세 비트가 110으로 시작하는 클래스는?

  1. A클래스
  2. B클래스
  3. C클래스
  4. D클래스
(정답률: 알수없음)
  • IP 주소 클래스는 첫 번째 바이트의 값에 따라 구분되며, 첫 번째 바이트의 처음 세 비트가 110으로 시작하는 클래스는 C 클래스입니다. 이는 IP 주소의 첫 번째 바이트가 11000000 ~ 11011111 범위에 속하므로 C 클래스로 분류됩니다. A 클래스는 첫 번째 바이트의 값이 0 ~ 127, B 클래스는 128 ~ 191, D 클래스는 224 ~ 239 범위에 속하며, 나머지는 예약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정보통신망
  2. 방송통신망
  3. 정보통신설비
  4. 전기통신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정보통신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보통신망은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방송통신망은 라디오, TV 등을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통신망이며, 정보통신설비와 전기통신설비는 각각 정보통신망과 방송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설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컴퓨터와 단말기기의 연결을 서로 이웃하는 기기끼리 점대점으로 연결하는 정보통신망의 형태는?

  1. 성형
  2. 링형
  3. 망형
  4. 버스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링형"입니다. 링형은 각 기기가 서로 이웃하는 기기와 직접 연결되어 링 형태로 구성된 정보통신망입니다. 이 링은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한 기기에서 보낸 데이터는 링을 따라 다른 기기로 전달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링형은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정보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정온식 열감지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기를 검출하여 화재신호를 송출한다.
  2.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한다.
  3. 주위 공기가 일정한 농도 이상의 연기를 포함한 경우에 작동한다.
  4. 불꽃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과 자외선의 방사에너지를 검출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온식 열감지기는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하는데, 이는 화재가 발생할 때 일어나는 열의 증가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광기전력효과를 이용한 감지기는?

  1. 열선 감지기
  2. 초음파 감지기
  3. 적외선 감지기
  4. 압력식 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광기전력효과를 이용한 감지기는 적외선 감지기입니다. 이는 광기전력효과를 이용하여 인체나 물체가 적외선을 가로막을 때 그 변화를 감지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적외선 감지기는 인체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압이 1.5V, 내부저항이 10Ω인 건전지 100개를 직렬로 연결하였을 때 합성 저항(R)은?

  1. R=0.1kΩ
  2. R=1kΩ
  3. R=10kΩ
  4. R=100kΩ
(정답률: 알수없음)
  • 100개의 건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1.5V × 100 = 150V가 되고, 내부저항은 10Ω × 100 = 1000Ω가 된다. 따라서, 합성 저항은 내부저항들의 합인 1000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R=1k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석 감지기가 속해있는 감지구역은?

  1. 점 경계
  2. 선 경계
  3. 면 경계
  4. 입체 경계
(정답률: 알수없음)
  • 자석 감지기는 점 형태로 존재하며, 특정 지점에서 자기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석 감지기가 속한 감지구역은 점 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화각(angle of view)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를 말한다.
  2. 밝기와 색도가 다른 미소한 점의 집합체를 말한다.
  3. 한 방향에서 본 물체의 밝기를 표시한 단위를 말한다.
  4. 카메라가 어느 정도 섬세히 피사체를 볼 수 있는가를 정량적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각은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영상의 범위를 각도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CCTV 카메라에서 동화상 전송에 적합한 동축케이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축케이블은 불평형 매체이다.
  2. 피복, 차폐선, 유전체, 중심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3.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필요한 전자기 간섭(EMI) 신호가 중앙심선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아준다.
  4.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평행2선식 케이블의 임피던스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평행2선식 케이블의 임피던스보다 크다." 이다. 동축케이블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필요한 전자기 간섭(EMI) 신호가 중앙심선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아주는 불평형 매체이다. 피복, 차폐선, 유전체, 중심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구조로 인해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동축케이블은 평행2선식 케이블보다 임피던스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CTV 시스템 전선 설계 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전선의 길이는 길어질수록 선로저항은 감소하므로 길이를 길게 한다.
  2. 선로의 접속부분을 최소화하여 선로저항을 작게 한다.
  3. 전선 굵기가 가늘수록 선로저항은 증가하므로 배선은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4. CCTV 전체시스템의 공급전기는 같은 위상의 전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선로저항은 증가한다. 따라서 전선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화재감지기 중 열 감지방식이 아닌 것은?

  1. 차동식 감지기
  2. 보상식 감지기
  3. 이온화식 감지기
  4. 정온식 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화식 감지기는 열 감지방식이 아니라 공기 중의 이온화된 입자를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감지기는 모두 열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외곽침입감지시스템 운용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위 초목상태를 고려한다.
  2. 짙은 안개, 비, 눈 등의 기후 환경을 고려한다.
  3. 오작동 및 오경보를 최소화한다.
  4. 경보 시 식별이 어려워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곽침입감지시스템에서 경보가 울려도 침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다면, 침입자는 경보를 회피하거나 방어 대책을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보 시 식별이 어려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