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1-17)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2018-11-17 기출문제)

목록

1. 폭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발 시 압력이 상승한다.
  2. 수증기폭발은 물리적폭발이다.
  3. 밀가루, 석탄분은 분진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4. 폭연은 폭굉보다 화염전파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증기폭발은 물리적폭발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증기폭발은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화학적 폭발이다.

    "폭연은 폭굉보다 화염전파속도가 빠르다."는 폭연이 가볍고 공기 중에서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이다. 반면 폭굉은 무거운 가스나 액체가 폭발하는 경우로, 확산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물은 열전도도가 클수록 연소하기 쉽다.
  2. 발열을 수반하는 급격한 산화반응이다.
  3. 온도가 높을수록 연소속도가 증가한다.
  4. 연소의 3요소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연물은 열전도도가 클수록 연소하기 쉽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가연물의 연소는 열이 전달되어 일어나는데, 열전도도가 높다는 것은 열이 잘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열전도도가 높을수록 가연물이 빠르게 가열되어 연소하기 쉬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증발연소를 하는 가연물은?

  1. 목재
  2. 나프탈렌
  3. 니트로셀룰로오스
(정답률: 알수없음)
  • 증발연소란 고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연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증발연소를 하는 가연물은 액체 상태인 나프탈렌입니다. 숯과 목재는 고체 상태이며, 니트로셀룰로오스는 액체 상태이지만 증발연소를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착화점이라고도 하며, 직접적인 외부 점화원(불꽃)없이 가열된 열만으로 스스로 연소되는 최저온도는?

  1. 비점
  2. 인화점
  3. 연소점
  4. 발화점
(정답률: 알수없음)
  • 발화점은 물질이 스스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외부 점화원이 없이도 물질이 스스로 연소할 수 있는 온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발화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화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VC(Poly Vinyl Chloride)의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는?

  1. 황화수소(H2S)
  2. 염화수소(HCI)
  3. 암모니아(NH3)
  4. 불화수소(HF)
(정답률: 알수없음)
  • PVC는 Poly Vinyl Chloride의 약자로, 염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PVC가 연소할 때는 염소와 결합된 화합물들이 분해되어 가스가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염화수소(HCI)입니다. 이는 PVC의 주요 구성 성분인 염소와 수소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가스로, 독성이 강하고 눈, 코, 목 등의 점막을 자극하여 심한 경우 호흡곤란, 폐렴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재 시 발생된 열의 전달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대류
  2. 현열
  3. 잠열
  4. 난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재 시 발생된 열은 대류를 통해 전달됩니다. 대류란, 뜨거운 물질이 가열된 공기를 일으켜 상승하고, 그 자리를 차가운 공기가 대신 차지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대류 현상은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고, 그 자리를 차가운 공기가 대신 차지하면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열이 전달됩니다. 따라서, 화재 시 발생된 열의 전달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대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하는 것은?

  1. 적린
  2. 황린
  3. 휘발유
  4. 질산
(정답률: 알수없음)
  • 휘발유는 가연성이 높아서 불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또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제4류 위험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재 시 물을 주수하여 소화활 수 있는 위험물은?

  1. 칼륨
  2. 나트륨
  3. 유황
  4. 칼슐카바이드
(정답률: 알수없음)
  • 유황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을 생성하므로 물을 주수하여 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황은 화재 시 물을 주수하여 소화할 수 있는 위험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지정수량이 500kg이 아닌 것은?

  1. 황린
  2. 철분
  3. 금속분
  4. 마그네슘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지정수량이 500kg이 아닌 것은 "황린"입니다. 황린은 위험물로 분류되지만, 지정수량은 1,000kg 이상이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500kg 이하의 지정수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소화방법은?

  1. 제거소화
  2. 질식소화
  3. 냉각소화
  4. 부촉매소화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법은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일어난 장소에서 연기와 가스를 제거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제거소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포소화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포는 공기포라고도 한다.
  2. 변전실, 금수성물질의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3. 질식과 냉각 등의 소화효과가 있다.
  4. 유류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전실, 금수성물질의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소화약제는 화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소화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며, 특정 화재에만 적응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의 물분무등소화설비가 아닌 것은?

  1. 이산화탄소소화설비
  2. 분말소화설비
  3. 물분무소화설비
  4.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는 법령상 소방시설의 물분무등소화설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는 물분무나 분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소화설비와 분말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는 법령상 소방시설의 물분무등소화설비에 해당하며, 캐비닛형자동소화장치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 중 할론(Halon) 1301의 분자식은?

  1. CF3Br
  2. CCl4
  3. CF2ClBr
  4. C2F4Br2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론 1301은 화학식이 CF3Br인 화합물이다. 이는 카본(C), 플루오린(F), 브로민(Br)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할로겐화합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A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률: 알수없음)
  •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A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 "제3종"입니다. 이는 제3종 분말소화약제가 일반화재뿐만 아니라 유류화재, 전기화재 등 다양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소방기본법상 소방대상물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ㄹ, ㅁ
  4. ㄱ, ㄴ,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ㄹ, ㅁ" 입니다.

    - "ㄴ"은 주택이므로 소방대상물이 아닙니다.
    - "ㄷ"은 주차장이므로 소방대상물이 아닙니다.
    - "ㄱ, ㄷ, ㄹ"은 모두 공장이지만, 소방기본법에서는 공장 중에서도 일부 특정 공장만 소방대상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공장이 소방대상물은 아닙니다.
    - "ㄱ, ㄹ, ㅁ"은 모두 다른 용도의 건물이지만, 소방기본법에서는 각각 아파트, 호텔, 병원 등 특정 건물을 소방대상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소방대상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표준화재 시간-온도곡선(standard fire time-temperature curve)에서 목조건축물과 비교한 내화구조건축물의 화재특성은?

  1. 저온 단기형
  2. 저온 장기형
  3. 고온 단기형
  4. 고온 장기형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화재 시간-온도곡선에서 목조건축물은 저온에서 빠르게 붕괴되는 반면, 내화구조건축물은 저온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고온에서는 장기간에 걸쳐서 붕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화구조건축물의 화재특성은 "저온 장기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연물의 중량
  2. 가연물의 단위중량당 발열량
  3. 화재실의 바닥면적
  4. 화재실의 공기 공급량
(정답률: 알수없음)
  • 화재하중 산정은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의 양을 예측하여 적절한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화재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이때,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가연물의 중량, 가연물의 단위중량당 발열량, 화재실의 바닥면적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실의 공기 공급량은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화재실의 공기 공급량이 적더라도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의 양은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하중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화재실의 공기 공급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기적 점화원이 아닌 것은?

  1. 단락
  2. 접지
  3. 누전
  4. 지락
(정답률: 알수없음)
  • 접지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적 점화원이 아닙니다. 단락, 누전, 지락은 전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점화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피난계단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입구에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2. 계단실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로 할 것
  3.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4.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출입구에 을종방화문을 설치할 것"은 옳은 내용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화염이 출입구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 을종방화문은 일반적인 문과는 달리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있어 화염의 번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화재 등 재난 시 강력한 리더를 따르려는 인간의 피난특성은?

  1. 귀소본능
  2. 좌회본능
  3. 추종본능
  4. 지광본능
(정답률: 알수없음)
  • 재난 상황에서 인간은 생존을 위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이때, 강력한 리더를 따르는 것은 그들이 안전한 장소를 찾아주고, 대처 방법을 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인간의 "추종본능"에 기인합니다. 추종본능은 인간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고, 그들을 따르는 본능적인 성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서도 인간은 강력한 리더를 따르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에서 설명하고 았는 방폭구조는?

  1. 유입(油入)방폭구조
  2. 내압(耐壓)방폭구조
  3. 충전(充塡)방폭구조
  4. 본질안전(本質安全)방폭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폭구조는 내부에 압력이 발생할 수 있는 장비이므로 내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내압(耐壓)방폭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소화약제로서 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2. 비압축성 유체로서 송수가 쉽다.
  3. 수증기 운무에 의한 부촉매소화 효과가 크다.
  4. 첨가제를 사용하여 소화력을 증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증기 운무에 의한 부촉매소화 효과가 크다."가 옳지 않은 이유는, 물은 소화약제로서 수증기 운무에 의해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시키는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은 화재 지점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시키는 효과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할 때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소화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재안전기준(NFSC)상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는?

  1. 마른모래
  2. 팽창질석
  3. 팽창진주암
  4. 이산화탄소소화약제
(정답률: 알수없음)
  • NFSC에서는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로 이산화탄소소화약제를 권장합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소화약제가 전기기기 내부에 존재하는 기름, 유류 등의 연료를 직접적으로 소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소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전기기기 내부에 존재하는 연료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기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산화탄소소화약제는 물과 달리 전기기기 내부에 침투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기기의 내부 부품에 물이 침투하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숙박시설
  2. 운동시설 중 수영장
  3.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4. 방송통신시설 중 방송국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시설 중 수영장은 법령상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법령상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실내장식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에서 정하고 있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험물의 예방규정 작성
  2.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3. 자위소방대의 구성ㆍ운영
  4. 소방시설의 유지ㆍ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물의 예방규정 작성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중 하나가 아닙니다. 위험물의 예방규정 작성은 위험물을 다루는 기관이나 업체에서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는 방화시설의 유지ㆍ관리, 자위소방대의 구성ㆍ운영, 소방시설의 유지ㆍ관리 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액화천연가스(L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성분은 메탄(CH4)이다.
  2. 완전 연소하면 CO2와 H2O가 생성된다.
  3. 도시가스 연료로 주로 사용한다.
  4. 상온에서 가스의 비중은 공기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에서 가스의 비중은 공기보다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LNG가 공기보다 무거운 것을 의미하는데, 실제로는 LNG가 공기보다 가벼우며, 상온에서 기체 상태를 유지한다. 이유는 LNG가 압축되어 액화된 상태에서는 메탄 분자들이 서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전기 대전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전기를 사용한다.
  2. 대전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3. 공기를 이온화한다.
  4. 공기 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 유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전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는 옳은 대전기 대처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대전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면 정전기가 축적되어 더 큰 정전기 방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전체를 절연하지 않고, 대전체와 지면 사이에 접지선을 설치하여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안전장치(안전밸브) 설치위치는?

  1. 선택밸브와 분사헤드 사이에 설치한다.
  2. 약제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설치한다.
  3. 자동폐쇄장치에 설치한다.
  4. 기동용기함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안전장치인 안전밸브는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충전되어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산화탄소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약제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선택밸브와 분사헤드 사이에 설치하면 선택밸브가 열린 상태에서도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폐쇄장치나 기동용기함에 설치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약제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설치하여 안전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화재안전기준(NFSC)상 소화기구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ㄱ: 2, ㄴ: 5
  2. ㄱ: 5, ㄴ: 10
  3. ㄱ: 10, ㄴ: 20
  4. ㄱ: 20, ㄴ: 10
(정답률: 알수없음)
  • 화재안전기준(NFSC)에서는 소화기구 설치 규모를 건물의 총면적에 따라 나누어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총면적이 500㎡ 이하인 건물에는 ㄱ: 10, ㄴ: 20의 소화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이 건물의 총면적이 500㎡ 이하이므로 ㄱ: 10, ㄴ: 20의 소화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화재안전기준(NFSC)상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는 장치는?

  1. 수신기
  2. 시각경보기
  3. 감지기
  4. 발신기
(정답률: 알수없음)
  • 화재안전기준(NFSC)에서는 화재발생 시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해 수신하여 경보하는 장치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바로 "수신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시각경보기, 감지기, 발신기는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화재발생을 직접 감지하거나 경보를 발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재안전기준(NFSC)상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옥내소화전설비는 NFSC 기준에서 최소한의 안전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이 중에서도 가장 낮은 등급인 "등급 4"에 해당한다. 이 등급은 최소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직접적인 대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옥내소화전설비는 최소한의 안전성을 충족하는 등급 4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재안전기준(NFSC)상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중에서 개방형 스프랭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것은?

  1. 습식
  2. 건식
  3. 일제살수식
  4. 준비작동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물이 스프링클러헤드 내부에서 바로 분사되는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헤드와 달리, 먼저 스프링클러헤드 내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스프링클러헤드가 열리면 물이 분사되는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헤드와 구분됩니다. 따라서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것은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은 "일제살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재안전기준(NFSC)장 피난기구 중에 완강기에 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2. 강하 시 로프가 소방대상물과 접촉하여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3. 로프의 길이는 부착위치에서 지면 기타 피난상 유효한 착지 면까지의 길이로 한다.
  4. 완강기는 발 받침대, 포대, 고정금구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완강기는 발 받침대, 포대, 고정금구로 구성되어 있다."가 아닌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입니다.

    완강기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서 건물 내부를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피난기구 중 하나입니다. 발 받침대, 포대, 고정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와 몸을 고정시킬 수 있는 포대, 그리고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금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완강기는 발 받침대, 포대, 고정금구로 구성되어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화재안전기준(NFSC)상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에서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정의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와 연동해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2.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경보설비와 연동해서 경보하는 감지기
  3.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4.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인접 경종 및 사이렌과 연동해서 경보하는 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단독경보형감지기는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의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누전경보기
  2. 비상콘센트설비
  3. 비상벨설비
  4. 자동화재탐지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를 말합니다. 비상콘센트설비는 소화작업을 위해 소방차량 등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상콘센트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부착높이가 25m일 때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는?

  1. 불꽃감지기
  2.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
  3. 차동식분포형감지기
  4. 열연기복합형감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NFSC에서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부착높이가 25m 이하일 때는 불꽃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불꽃감지기가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불꽃을 감지하여 빠르게 화재를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 차동식분포형감지기, 열연기복합형감지기는 불꽃감지기보다 더 높은 감도를 가지지만,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불꽃감지기보다는 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재안전기준(NFSC)상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에서 정하고 있는 방출방식이 아닌 것은?

  1. 방호방출방식
  2. 전역방출방식
  3. 국소방출방식
  4. 호스릴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NFSC에서는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에서 국소방출방식, 전역방출방식, 호스릴방식을 허용하고 있지만, 방호방출방식은 허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방호방출방식이 소화제를 방호막으로 사용하여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지 않고, 화재를 억제하거나 방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FSC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해 직접적인 소화제 방출이 필요한 방출방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정하고 있는 통로유도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복도통로유도등
  2. 거실통로유도등
  3. 계단통로유도등
  4. 비상통로유도등
(정답률: 알수없음)
  • NFSC에서는 피난통로 안내를 위해 "비상통로유도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비상상황에서만 사용되는 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특별한 유도등으로, 다른 유도등과는 구분되어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은 모두 피난통로 안내를 위한 유도등이지만, 비상상황에서만 사용되는 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비상통로유도등"과는 구분되는 종류의 유도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의 적응성에 있어서 3층의 노유자시설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가 아닌 것은?

  1. 구조대
  2. 피난용트랩
  3. 승강식피난기
  4. 미끄럼대
(정답률: 알수없음)
  • 피난용트랩은 주로 1층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바닥으로 내려가는 연기나 열기를 차단하여 안전한 피난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3층의 노유자시설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가 아닙니다. 구조대, 승강식피난기, 미끄럼대는 모두 3층의 노유자시설에 설치해야 할 피난기구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소방기본법령상에서 정하고 있는 소방신호에 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소방선호는?

  1. 경계신호
  2. 발화신호
  3. 훈련신호
  4. 해제신호
(정답률: 알수없음)
  • 해제신호는 비상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로, 위 그림에서는 불이 꺼지고 소리가 멈추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해제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