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4-09)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2022-04-09 기출문제)

목록

1. 표준어로만 묶인 것은?

  1. 웃돈, 위어른, 윗옷
  2. 윗배, 윗쪽, 윗마을
  3. 윗니, 윗입술, 위층
  4. 윗넓이, 웃목, 윗자리
(정답률: 79%)
  • "윗니, 윗입술, 위층"은 모두 표준어로 사용되는 단어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부 단어가 사투리나 방언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표준어로 묶이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밑줄 친 부분의 맞춤법이 틀린 것은?

  1. 그는 절호의 기회를 번번이 놓쳤다.
  2. 싫던지 좋던지 간에 따를 수밖에 없다.
  3. 기다리던 해가 뜨자 금세 주변이 환해졌다.
  4. 경찰이 오자 그의 행동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정답률: 75%)
  • "싫던지 좋던지 간에 따를 수밖에 없다."에서 맞춤법이 틀린 부분은 없습니다.

    해설: 문장은 문법적으로 올바르며, 표현도 자연스럽게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문장은 "좋아하든 싫어하든 어쨌든 따르게 될 상황이다"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1. 그∨보다 좋은∨방법은∨없는∨것∨같다.
  2. 집에서∨부터∨학교까지∨한참을∨달렸다.
  3. 이∨곳은∨내가∨방문한지∨일주일이∨되었다.
  4. 고민을∨하면∨할수록∨답이∨나오지∨않았다.
(정답률: 50%)
  • 정답은 "고민을∨하면∨할수록∨답이∨나오지∨않았다."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띄어쓰기가 부적절하게 되어 있어서 문장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반면, 이 보기는 모든 단어들이 올바르게 띄어쓰기 되어 있어서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 ㉡의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동일한 것은?

  1. ㉠ 집에 가 있어라.
    ㉡ 나에게는 꿈이 있다.
  2. ㉠ 해가 내일은 뜰 것이다.
    내일의 희망이 나를 부른다.
  3. 합리적 판단이 중요하다.
    ㉡ 인간은 합리적인 이성을 가지고 있다.
  4. ㉠ 물이 맑고 깨끗하다.
    맑은 하늘에 해가 떴다.
(정답률: 49%)
  • ㉠, ㉡의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동일한 것은 "㉠ 물이 맑고 깨끗하다.
    맑은 하늘에 해가 떴다." 이다. 이유는 둘 다 형용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 ~ ㉢ 중 객체 높임에 해당하는 것은?

  1. ㉠, ㉡
(정답률: 70%)
  • 보기에서 "㉠"는 "당신"을 뜻하는 객체 높임에 해당한다. "㉡"는 일반적인 높임법, "㉢"는 자신을 뜻하는 자기 높임, "㉠, ㉡"는 객체를 일반적인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 둘 다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문장 중 사동 표현인 것은?

  1. 쥐가 고양이를 물었다.
  2. 모닥불이 눈을 녹인다.
  3. 장난감이 잘 정리되었다.
  4. 정우에게 아름다운 경치가 보였다.
(정답률: 54%)
  • 사동 표현인 것은 "모닥불이 눈을 녹인다." 이다. 이 문장에서 주어는 "모닥불"이고, 동사는 "녹인다"이다. 따라서 "모닥불"이 주어로서 행동을 하고 있으며, 이는 사동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밑줄 친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3인칭 대명사, 가리키는 대상은 보나르도.
  2. ㉡ : 부정칭 대명사, 가리키는 대상은 특정되지 않음.
  3. ㉢ : 재귀 대명사, 가리키는 대상은 보나르도.
  4. ㉣ : 미지칭 대명사, 가리키는 대상은 천재성.
(정답률: 67%)
  • ㉣은 미지칭 대명사이므로 가리키는 대상이 명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리키는 대상은 천재성"이라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국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임법이 발달하였다.
  2. 접속사와 관계 대명사가 있다.
  3.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을 가지고 있다.
  4.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 형태소가 발달하였다.
(정답률: 78%)
  •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을 가지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한국어는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가 자유롭고, 서술어는 문장 끝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접속사와 관계 대명사가 있는 이유는 한국어의 문장 구조가 복잡하고, 문장 내부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학교에 갔다. 그리고 친구를 만났다."라는 두 문장을 "나는 학교에 갔고, 그곳에서 친구를 만났다."라는 한 문장으로 합치면 더욱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접속사와 관계 대명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보기> 를 고려할 때 윗글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산'은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인간의 삶을 대변하고 있다.
  2. '피다'와 '지다'의 반복을 통하여 자연의 영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3.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는 '꽃'의 위치를 통해 꽃과 화자와의 거리를 드러내고 있다.
  4. '갈 봄 여름'이 작품의 앞과 뒤에 반복되면서 계절의 순환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정답률: 54%)
  • "'산'은 일시적이고 순간적인 인간의 삶을 대변하고 있다."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감상으로서 적절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작품에서 드러나는 요소들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윗글의 서술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0번 공통지문 문제)

  1. 인물 간 대화 장면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2. 인물의 구어적 표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3. 서술자는 윤 직원 영감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4. 발화의 양을 달리하여 인물의 태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75%)
  • 발화의 양을 달리하여 인물의 태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이는 서술상 특징이 아니라 인물의 태도를 추론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의 내용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글쓴이는 경쟁이 강자의 이익을 대변한다고 보고 있다.
  2. 글쓴이는 공정한 경쟁을 위한 전제 조건은 협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3. 글쓴이는 서로를 인정하는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쟁의 가치로 보고 있다.
  4. 글쓴이는 경쟁의 불가피성을 전제로 공정한 경쟁의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답률: 65%)
  • 글쓴이는 경쟁의 불가피성을 전제로 공정한 경쟁의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정답은 주어진 보기 중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비슷한 구조를 지닌 문장을 활용하여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2. 다양한 책의 종류를 예시하여 독서의 목적과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3. 질문을 던지고 그에 답하는 형식으로 독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있다.
  4. 쉽고 생생한 비유로 책을 읽는 방법을 설명하며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정답률: 43%)
  • 글에서는 다양한 책의 종류를 예시하여 독서의 목적과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14번 공통지문 문제)

  1. ㉠은 면담자가 관찰한 장면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이다.
  2. ㉡은 면담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질문이다.
  3. ㉢은 생선 상인이 느낀 정서를 구체화하기 위한 질문이다.
  4. ㉣은 면담자가 생선 상인의 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질문이다.
(정답률: 71%)
  • ㉢은 생선 상인이 느낀 정서를 구체화하기 위한 질문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은 면담자가 생선 상인의 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점검하기 위한 질문이다. 이는 면담자가 상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시간의 순서에 따라 사건의 추이를 서술하고 있다.
  2.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깨달음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3. 특정한 현상을 일으킨 다양한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4. 상반되는 세 가지 경험을 제시하고, 차이점을 분석하고 있다.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는 물고기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는 일상에서 볼 수 있는 경험과는 다른 현상이지만, 이를 통해 물고기의 놀라운 능력과 생명력을 깨달음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깨달음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 ~ ㉣의 뜻풀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 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 매우 무성하다.
  2. ㉡ : 바람이 가볍게 슬쩍 부는 모양.
  3. ㉢ : 근본에서 갈라져 나온 것.
  4. ㉣ : 여러 번 단단히 둘러 감거나 감기는 모양.
(정답률: 59%)
  • ㉢의 뜻풀이인 "근본에서 갈라져 나온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나무의 생김새나 바람의 모양이 아니라, 나무나 식물 등의 뿌리나 가지 등이 갈라져서 나온 것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나)를 통해 볼 때 (가)의 (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18번 공통지문 문제)

(정답률: 42%)
  • 문제에서 "" 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는, 이것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가장 적절한 답변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문제와 관련이 없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내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노새 원님'이라는 표현을 통하여 당대 양반들의 사회적 권위를 나타내고 있다.
  2. '생원'의 말을 통하여 말뚝이가 해야 할 일이 제시되고 있다.
  3. '춤과 음악'을 통하여 갈등이 표면적으로 봉합되고 있다.
  4. '채찍'을 통하여 무대 안 가상의 장소가 설정되고 있다.
(정답률: 24%)
  • "'채찍'을 통하여 무대 안 가상의 장소가 설정되고 있다."는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글에서 언급된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글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