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27)

누설비파괴검사기사
(2019-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주조품과 같이 조대한 결정입자 구조의 금속을 초음파탐상시험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잡음 신호가 많아진다.
  2. 저면 반사에코의 크기가 줄어든다.
  3. 감쇠현상이 커 침투력이 감소한다.
  4. 결정입자의 크기가 조대하므로 침투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82%)
  • "결정입자의 크기가 조대하므로 침투력이 증가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결정입자가 작을수록 초음파 파동이 흡수되는 양이 적어져 침투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결정입자가 크면 침투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음파탐상시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 중 하나이지만, "결정입자의 크기가 조대하므로 침투력이 증가한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자성체의 전도체 표면 및 표면직하 결함을 표면 개구 여부에 관계없이 검출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은?

  1. 자분탐상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음향방출시험
  4. 와전류탐상시험
(정답률: 53%)
  •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인 방법으로 비자성체의 전도체 표면 및 표면직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표면 개구 여부에 관계없이 검출할 수 있으며, 빠르고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비자성체의 전도체 표면 및 표면직하 결함을 검출하는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은 와전류탐상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침투탐상시험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대형 부품의 현장 검사가 가능하다.
  2. 미세한 표면 불연속의 검출이 가능하다.
  3. 불연속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서로 다른 침투액을 혼용하여 사용할 경우 감도가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률: 75%)
  • 불연속의 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침투액이 불연속 부위에 침투하여 침투액이 얼마나 깊이 침투했는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침투탐상시험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방사선투과시험을 적용할 때의 제한사항을 나열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결함의 형태에 따라 검출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2. 시험체의 두께에는 제한이 없으나 차폐를 해야 한다.
  3. 시험체 표면의 미세한 균열 검출이 곤라한 경우가 있다.
  4. 방사선에 의한 인체의 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시험체의 두께에는 제한이 없으나 차폐를 해야 한다는 것은 방사선이 시험체를 통과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지만, 시험체 내부의 결함을 더욱 명확하게 검출하기 위해 차폐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0K(캘빈온도)와 동등한 온도를 나타내는 것은?

  1. -360°R
  2. -170°F
  3. 0℃
  4. -273℃
(정답률: 65%)
  • 정답은 "-273℃"입니다.

    0K는 절대온도로서, 분자의 움직임이 완전히 멈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0K는 어떤 물질의 최저 온도로 간주됩니다.

    -360°R은 랭킨 온도 척도에서 0R에 해당하는 온도로, 이는 0K보다 높은 온도입니다.

    -170°F는 화씨 온도 척도에서 -459.67°F에 해당하는 온도로, 이는 0K보다 높은 온도입니다.

    0℃는 섭씨 온도 척도에서 어느 정도 낮은 온도이지만, 0K와는 다른 척도이기 때문에 0K와 동등한 온도가 아닙니다.

    따라서, -273℃는 켈빈 온도 척도에서 0K에 해당하는 온도로, 0K와 동등한 온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공질 금속의 제조방법이 아닌 것은?

  1. 금속분말이나 단섬유를 소결하는 분말야금 방법
  2. 용탕금속 중에 발포제를 직접 첨가해서 발포시키는 방법
  3. 중력 상태에서 용융금속 내의 가스를 뽑아내는 방법
  4. 발포재료 등과 같이 밀도가 작은 재료를 금속과 복합화 시키는 방법
(정답률: 32%)
  • 다공질 금속을 제조하는 방법 중 중력 상태에서 용융금속 내의 가스를 뽑아내는 방법은 없습니다. 이 방법은 가스를 제거하여 금속의 결함을 줄이는 공정으로, 다공질 금속을 만드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다공질 금속을 제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베빗 메탈(Babbit meta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i을 주성분으로 하고 Cu, Si을 첨가한 것으로 실리콘계 화이트메탈이다.
  2. Zn을 주성분으로 하고, Cu, Sn을 첨가한 것으로 아연계 화이트메탈이다.
  3. Sn을 주성분으로 하고, Cu, Sb을 첨가한 것으로 주석계 화이트메탈이다.
  4. Pb을 주성분으로 하고, Cu, Sn을 첨가한 것으로 납계 화이트메탈이다.
(정답률: 32%)
  • 베빗 메탈은 주로 베어링 등의 부품 제작에 사용되는 합금으로, Sn(주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Cu(구리), Sb(안티모니)을 첨가한 것으로 주석계 화이트메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퀘삭강에서 피절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은?

  1. C
  2. Si
  3. Mn
  4. S
(정답률: 50%)
  • 정답은 "S"입니다. 퀘삭강에서 피절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은 주로 황(S)입니다. 황은 강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절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퀘삭강 제조 과정에서는 황을 첨가하여 피절삭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Mg-Al 계 합금에 소량의 Zn과 Mn을 첨가한 합금은?

  1. 자마크(zamak)
  2. 엘렉트론(elektron)
  3. 하스텔로이(hastelloy)
  4. 모넬 메탈(monel metal)
(정답률: 56%)
  • Mg-Al 합금에 소량의 Zn과 Mn을 첨가한 합금은 "자마크(zamak)"이다. 이는 주로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사용되며, 열처리 후 강도와 내식성이 향상된다. 반면, "엘렉트론(elektron)"은 마그네슘 합금으로, 항공기 부품 등에 사용된다. "하스텔로이(hastelloy)"는 고온, 고압 환경에서 사용되는 합금이며, "모넬 메탈(monel metal)"은 내식성이 뛰어난 합금으로, 해양 산업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상온에서 순철의 결정구조로 옳은 것은?

  1. FCC
  2. HCP
  3. BCT
  4. BCC
(정답률: 50%)
  • 순철은 철의 한 종류로, 철의 결정구조는 FCC, BCC, HCP 중 하나입니다. 순철의 결정구조는 BCC입니다. 이는 철의 원자가 BCC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BCC 구조는 각 원자가 8개의 이웃 원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이는 철의 원자 크기와 잘 맞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BCC 구조는 FCC 구조보다 더 밀도가 낮기 때문에, 순철은 더 부드럽고 가공이 쉬운 속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험부의 지름이 5cm인 인장시험편을 표점거리 10cm인 상태로 인장 시험한 결과, 시험 중 최대하중은 500kgf이고, 파단 후 시험부의 지름이 4.5cm였을 때, 인장시험편의 인장강도는 약 몇 kgf/cm2인가?

  1. 100
  2. 25
  3. 50
  4. 5
(정답률: 28%)
  • 인장강도는 최대하중을 인장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인장면적은 시험부의 단면적이므로, 파단 후 시험부의 지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시험부의 지름이 5cm일 때, 인장면적은 (지름/2)^2 x π = (2.5)^2 x π = 19.63cm^2 이다.
    시험부의 지름이 4.5cm일 때, 인장면적은 (지름/2)^2 x π = (2.25)^2 x π = 15.90cm^2 이다.

    따라서, 인장강도는 최대하중 500kgf를 인장면적 15.90cm^2으로 나눈 값인 31.45kgf/c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계산 결과를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선택해야 한다. 31.45kgf/cm^2은 25에 더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금속을 연마한 후 부식시켜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결정면은 결정 입계보다 빨리 부식한다.
  2. 부식 속도는 부식제에 따라 다르다.
  3. 결정의 모든 방향으로 부식 속도는 항상 같다.
  4. 부식 속도는 모든 조직에서 항상 같다.
(정답률: 58%)
  • 금속을 연마하면 결정면이 노출되어 부식이 더 빠르게 일어납니다. 부식 속도는 부식제의 성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부식제에 따라 부식 속도가 다릅니다. 따라서 부식 속도를 측정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부식제의 성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정의 모든 방향으로 부식 속도가 항상 같지 않으며, 부식 속도는 조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l-Cu-Si계 합금으로 Si에 의하여 주조성을 개선하고, Cu로 피삭성을 좋게 한 합금은?

  1. 라우탈
  2. 슈퍼인바
  3. 문쯔메탈
  4. 하이드로날륨
(정답률: 50%)
  • 라우탈 합금은 Al-Cu-Si계 합금으로 Si에 의해 주조성을 개선하고, Cu로 피삭성을 좋게 한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열처리 후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며, 내식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우수한 가공성과 용접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과공석강의 일반적인 조직은?

  1. 초석 Fe3C + Pearlite
  2. γ고용체 + Ferrite
  3. β고용체 + Austenite
  4. δ고용체 + Ferrite
(정답률: 39%)
  • 과공석강의 일반적인 조직은 "초석 Fe3C + Pearlite" 이다. 이는 과공석강이 냉간 성형 후 열처리를 거쳐 얻어지는 조직으로, 강의 주요 성분인 Fe와 C가 결합하여 Fe3C 초석을 형성하고, 이와 함께 Pearlite 구조가 형성된다. Pearlite는 Fe와 C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 강의 강도와 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Ti 합금 중 α+β 조직으로 구성된 합금으로 열처리가 가능하고 쉽게 용접 단조 및 기계가공 할 수 있는 합금은?

  1. Ti – 6wt%Al – 4wt%V
  2. Ti – 5wt%Al – 2.5wt%Sn
  3. Ti – 13wt%V – 11wt%Cr – 3wt%Al
  4. Ti – 11.5wt%Mo – 6wt%Zr – 4.5wt%Sn
(정답률: 29%)
  • "Ti – 6wt%Al – 4wt%V" 합금은 α+β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열처리가 가능하며, Al과 V의 함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용접, 단조, 기계가공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 자동차, 바이크 등의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용접 변형을 발생시키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용접 전류
  2. 아크 전압
  3. 용접 층수
  4. 구속 지그
(정답률: 39%)
  • 구속 지그는 용접 변형을 발생시키는 인자가 아닙니다. 구속 지그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 부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용접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접 전류, 아크 전압, 용접 층수는 용접 변형을 발생시키는 인자이지만, 구속 지그는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크 전류가 일정할 때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늦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빨라지는 아크의 특성은?

  1. 부저하 특성
  2. 절연회복 특성
  3. 전압회복 특성
  4. 아크길이 자기제어 특성
(정답률: 30%)
  • 아크 전압이 높아지면 아크 길이가 길어지고, 아크 전압이 낮아지면 아크 길이가 짧아지는데, 이는 아크 자체가 자기적으로 길이를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길이 자기제어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류가 높고 아크 길이가 특히 긴 경우에 발생하며 용접금속의 비산에 의한 용접봉의 손실을 초래하는 결함은?

  1. 기공
  2. 오버랩
  3. 스패터
  4. 용입 불량
(정답률: 69%)
  • 전류가 높고 아크 길이가 긴 경우에 용접봉에서 용접금속이 떨어져 나가면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금속 조각이 용접 부위 주변에 흩어지는 현상을 스패터라고 합니다. 이러한 스패터는 용접봉의 손실을 초래하고 용접 부위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결함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크 전류가 300A 아크 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20cm/min인 경우 용접 길이 1cm 당 발생되는 용접 입열은 몇 J/cm 인가?

  1. 20000
  2. 22500
  3. 25500
  4. 30000
(정답률: 64%)
  • 용접 입열은 아크 전류, 아크 전압, 용접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용접 입열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접 입열 (J/cm) = (아크 전류 x 아크 전압 x 60) / (용접속도 x 10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 입열 = (300 x 25 x 60) / (20 x 1000) = 22500 (J/cm)

    따라서, 정답은 "22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재를 서로 맞대어 가압하면서 대전류를 통하고 축 방향에 큰 압력을 주어 용접하는 전기 저항 용접법은?

  1. 업셋 용접
  2. 마찰 용접
  3. 스터드 용접
  4. 프로젝션 용접
(정답률: 27%)
  • 업셋 용접은 용접재를 서로 맞대어 가압하면서 대전류를 통하고 축 방향에 큰 압력을 주어 용접하는 전기 저항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마찰 용접", "스터드 용접", "프로젝션 용접"은 업셋 용접과는 다른 용접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누설검사 원리

21. 표준 조건에서 기체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쓰이는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란?

  1. 정해진 시간 동안에 여러 분자들의 최대 이동거리의 평균
  2. 정해진 시간 동안에 여러 분자들의 최소 이동거리의 평균
  3. 한 분자가 다른 분자와 충돌한 후 다음 충돌하기까지 이동하는 거리의 평균
  4. 정해진 시간 동안 두 분자들 사이의 최대와 최소를 평균한 거리
(정답률: 42%)
  • 평균자유행로는 한 분자가 다른 분자와 충돌한 후 다음 충돌하기까지 이동하는 거리의 평균을 의미합니다. 즉, 기체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이동하는 거리를 모두 더한 후, 충돌 횟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한 것입니다. 이 값은 기체 분자들의 운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기체의 밀도, 온도, 압력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침투탐상제에 의한 누설시험의 절차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전처리 → 감압 → 침투처리 → 후처리 → 관찰
  2. 전처리 → 침투처리 → 현상처리 → 관찰 → 후처리
  3. 전처리 → 침투처리 → 가압 → 관찰 → 후처리
  4. 전처리 → 침투처리 → 관찰 → 후처리 → 현상처리
(정답률: 60%)
  • 침투탐상제에 의한 누설시험의 절차는 전처리 → 침투처리 → 현상처리 → 관찰 → 후처리 순서로 진행됩니다.

    전처리는 시편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침투처리는 시편 표면에 침투액을 뿌려 침투시키는 과정입니다.

    현상처리는 침투액이 침투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시편 표면에 현상액을 뿌려주는 과정입니다.

    관찰은 현상액이 침투한 부분을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후처리는 침투액과 현상액을 제거하고 시편 표면을 깨끗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전처리 → 침투처리 → 현상처리 → 관찰 → 후처리"가 옳은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할로겐 다이오드 누설시험을 하는 절차에 대한 설명이다.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의 감도가 시험 도중에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고 검출기를 교정한 후, 다시 시험을 계속하려고 한다. 다음 중 옳은 절차는?

  1. 지금까지 확인한 누설들을 모두 수리하고 나서 시험을 계속한다.
  2. 시험이 중지된 부위부터 시험을 계속한다.
  3. 검출기의 교정 이전에 시험했던 부위들도 포함시켜 시험을 해야 한다.
  4. 이전에 시험했던 모든 부위들을 재시험해야 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검출기의 교정 이전에 시험했던 부위들도 포함시켜 시험을 해야 한다."이다.

    할로겐 다이오드 누설시험에서 검출기의 감도가 저하되는 경우, 검출기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누설이 발생한 부위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검출기에 묻어서 감도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검출기를 교정한 후에는 이전에 시험했던 모든 부위들을 다시 시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검출기의 교정 이전에 시험했던 부위들에서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도 감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내압누설시험하는 기기는 통상적으로 설계압력의 몇 %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검사를 하면 안 되는가?

  1. 25%
  2. 20%
  3. 15%
  4. 5%
(정답률: 56%)
  • 내압누설시험하는 기기는 설계압력의 일정 비율 이상의 압력에서 검사를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설계압력 이하의 압력에서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은 25%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밀폐된 공간에 들어있는 액체가 더 이상 증발하지 않고 평형을 이룰 때, 그 공간의 부분 압력을 이르는 말은?

  1. 증기 압력
  2. 대기 압력
  3. 진공 압력
  4. 아보가드로 압력
(정답률: 32%)
  • 밀폐된 공간에서 액체가 증발하면서 생성된 증기는 공간 내부에서 압력을 만들어냅니다. 이때, 증기가 만들어내는 압력을 증기 압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밀폐된 공간에서 액체가 더 이상 증발하지 않고 평형을 이룰 때, 그 공간의 부분 압력을 이르는 말은 "증기 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압력경계에서의 총 누설률에 기인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유체의 압력, 온도, 결함의 종류
  2. 누설의 기하학적인 형상
  3. 대형용기나 시스템의 제작
  4. 누설되는 유체의 특성
(정답률: 64%)
  • 대형용기나 시스템의 제작은 압력경계에서의 총 누설률에 기인하는 인자가 아닙니다. 이는 누설의 기하학적인 형상, 누설되는 유체의 특성, 그리고 유체의 압력과 온도, 결함의 종류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형용기나 시스템의 제작은 누설의 크기나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진공상자법에 사용되는 진공상자는 충분히 외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진공상자가 견딜 수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외부 압력(kPa)은 얼마인가?

  1. 50
  2. 100
  3. 250
  4. 300
(정답률: 50%)
  • 진공상자는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을 유지하는데, 외부 압력이 너무 크면 상자가 무너질 수 있다. 따라서 진공상자는 충분히 외압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진공상자는 100kPa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50kPa의 게이지 압력으로 시험하는 용기내에 9% 헬륨추적가스를 가압하였다. 이 때 헬륨 분압은 얼마인가? (단, 대기아은 100 kPa 이다.)

  1. 31.5 kPa
  2. 315 kPa
  3. 225 kPa
  4. 22.5 kPa
(정답률: 37%)
  • 헬륨추적가스는 대기압과 함께 가압되었으므로, 총 압력은 250 + 100 = 350 kPa가 된다. 따라서, 헬륨 분압은 350 × 0.09 = 31.5 kP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누설시험에서 헬륨(He)이 추적자 가스로 사용되는 이유와 크게 관련이 없는 것은?

  1. 공기중에서 미량이 존재한다.
  2. 화학적으로 불활성하고 인체에 무해하다.
  3. 원자량이 작아 미세 누설로의 확산이 빠르다.
  4. 수소를 제외한 다른 가스보다 낮은 입자속도를 가진다.
(정답률: 48%)
  • 헬륨은 수소를 제외한 다른 가스보다 낮은 입자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누설된 가스가 헬륨을 포함하고 있다면 헬륨 입자는 다른 가스 입자보다 더 느리게 움직이게 됩니다. 이는 누설원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 유용하며, 이러한 이유로 헬륨은 누설시험에서 추적자 가스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헬륨의 누설시험에서의 역할과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누설시험을 해야 할 이유 중에서 가장 큰 목표는?

  1. 재료의 누출량 손실을 줄임
  2. 환경오염, 운전 방해를 막음
  3. 표준에 벗어난 누설률과 부적절한 제품을 검출
  4. 제품의 신뢰성 확보 및 시스템의 조기 파괴방지
(정답률: 36%)
  • 누설시험을 통해 제품의 누출량을 검사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시스템의 조기 파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암모니아 추적자 가스를 사용하는 화학지시약 누설검출 기법에서 암모니아 증기가 누설되는 것을 알리는 반응물질로 냄새가 없고 제품에 이상이 없는 장점이 기체는?

  1. 염화수소(HCl)
  2. 이산화황(SO2)
  3. 아세틸렌(C2H2)
  4. 이산화탄소(CO2)
(정답률: 53%)
  • 암모니아 추적자 가스를 사용하는 화학지시약 누설검출 기법에서는 누설된 암모니아 증기와 반응하여 색 변화를 일으키는 반응물질을 사용합니다. 이때, 누설된 암모니아 증기는 냄새가 없고 제품에 이상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반응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기체는 냄새가 없고 제품에 이상이 없는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이산화탄소(CO2)는 냄새가 없고 제품에 이상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서도 매우 흔하게 존재하는 기체이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누설률이 1×10-4 Pa·m3/s 정도인 누설의 위치를 지정하려고 할 때 효과적이면서 쉽게 할 수 있는 시험은?

  1. 방사선 추적자 시험
  2. 기포누설 시험
  3. 전자포획 시험
  4. 헬륨 질량분석 시험
(정답률: 62%)
  • 기포누설 시험은 누설 위치를 찾기 위해 가스나 액체를 시스템 내부에 주입한 후, 누설이 발생한 위치에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는 시험이다. 이때, 기포가 발생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누설률이 1×10-4 Pa·m3/s 정도인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포누설 시험이 가장 적합한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배기방출(bake-out)이란?

  1. 펌핑 공정 중 진공 시스템의 열에 의하여 가스가 방출되는 현상
  2. 펌핑 공정 중 진공 시스템의 압에 의하여 가스가 방출되는 현상
  3. 펑핑 공정 중 진공 시스템의 부적합한 가스에 의하여 방출되는 현상
  4. 진공 시스템에서 모든 가스가 방출되는 현상
(정답률: 35%)
  • 배기방출(bake-out)은 펌핑 공정 중 진공 시스템의 열에 의하여 가스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즉, 진공 시스템 내부를 가열하여 가스 분자의 운동 에너지를 증가시켜 가스 분자가 흩어지고 방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할로겐 누설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열양극 할로겐 누설검출기는 폭발성 대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할로겐 누설시험에 사용되는 할로겐 화합물은 분자량이 높다.
  3. 수압시험은 할로겐 스니퍼 누설시험 전에 실시해야 한다.
  4. 할로겐 성분이 있는 재료들이 시험지역에 없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45%)
  • "가열양극 할로겐 누설검출기는 폭발성 대기에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가 틀린 것이 아닌데, 정답은 "할로겐 누설시험에 사용되는 할로겐 화합물은 분자량이 높다."입니다. 이유는 할로겐 누설시험에 사용되는 할로겐 화합물은 분자량이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수압시험은 할로겐 스니퍼 누설시험 전에 실시해야 하는 이유는, 수압시험에서 누설이 발생하면 할로겐 성분이 있는 재료들이 누설된 지역으로 이동하여 할로겐 스니퍼 누설시험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압시험은 누설시험 전에 실시하여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방지해야 합니다. 할로겐 성분이 있는 재료들이 시험지역에 없도록 하는 것도 누설시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진공상자법에서 검사되어지는 검사체의 표면온도는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 표면온도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표면온도의 표준 범위는 5℃~50℃ 이다.
  2. 표준온도 범위를 벗어났다면 국부적인 냉각이나 가열을 해야 한다.
  3. 만일 0℃ 이하의 조건이라면 부동액이 포함된 발포액을 사용해야 한다.
  4. 표면온도가 표준온도 범위 이내라 한다면 발포액 적용시간은 검사 전 1분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45%)
  • "만일 0℃ 이하의 조건이라면 부동액이 포함된 발포액을 사용해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0℃ 이하의 조건에서는 부동액이 포함된 발포액 대신에 저온용 발포액을 사용해야 한다.

    표준온도 범위를 벗어났다면 국부적인 냉각이나 가열을 해야 하는 이유는 검사체의 표면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온도 범위 내로 조절하기 위해 국부적으로 냉각이나 가열을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할로겐 추적가스법으로 누설시험을 할 때 480kPa 이하로 수행할 수 있는 시험의 용적에서 적합한 추적가스는?

  1. R-12
  2. R-14
  3. R-22
  4. R-24
(정답률: 25%)
  • 할로겐 추적가스법은 누설된 가스를 추적하기 위해 누설지점 주변에 추적가스를 분사하고, 추적가스가 누설지점에서 나오면 이를 감지하여 누설지점을 찾는 방법입니다. 이때, 추적가스는 누설가스와 호환성이 있어야 하며, 누설가스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R-12는 냉매로 널리 사용되던 CFC 계열의 냉매 중 하나이며, 누설가스로 R-12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R-12는 누설가스와 호환성이 높고, 누설가스와 유사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할로겐 추적가스법에서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포누설시험을 위해 시험체를 가압할 때 최대 허용압력을 초과함으로써 발생할 수 잇는 것은?

  1. 발포액이 폭발한다.
  2. 의사 누설지시가 나타난다.
  3. 시험체가 손상된다.
  4. 정상적인 누설지시가 추가적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48%)
  • 기포누설시험에서 시험체를 가압할 때 최대 허용압력을 초과하면 시험체의 내부 구조가 파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험체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누설검사에서 사용하는 압력단위의 관계가 서로 틀린 것은?

  1. 100 atm = 760 torr
  2. 1 Pa = 1 N/m2
  3. 1 torr = 1 mmHg
  4. 1 atm = 14.7 psi
(정답률: 36%)
  • 정답은 "1 atm = 14.7 psi"입니다.

    100 atm과 760 torr은 서로 같은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 Pa는 1 N/m^2이므로, 이 둘은 같은 압력을 나타냅니다. 또한, 1 torr은 1 mmHg와 같으므로, 이 둘도 같은 압력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1 atm과 14.7 psi는 서로 다른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 atm은 대기압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14.7 psi는 파운드 페럴 스퀘어 인치(pound-force per square inch)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다른 압력을 나타내므로, 관계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기포누설시험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가압발포액법
  2. 진공상자법
  3. 침지법
  4. 흡인법
(정답률: 48%)
  • 기포누설시험법은 물체나 부품의 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시험법으로, 가압발포액법, 진공상자법, 침지법은 모두 기포누설시험법에 속합니다. 하지만 흡인법은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누설이 발생한 부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이므로 기포누설시험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압력용기의 검출프로브를 이용한 헬륨질량분석법의 절차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헬륨으로 압력용기를 가압한다.
  2. 헬륨을 용기 외부에 적용한다.
  3. 검출프로브로 용기 표면을 탐상한다.
  4. 검출프로브와 탐상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한다.
(정답률: 53%)
  • "헬륨을 용기 외부에 적용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절차는 "헬륨을 압력용기 내부에 가압한다."입니다. 이유는 압력용기 내부에 헬륨을 가압하여 샘플을 추출하기 때문입니다. 용기 외부에 헬륨을 적용하면 샘플 추출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누설검사 시험

41. 기포누설검사에서 검사용액 선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경제성
  2. 표면장력
  3. 비등점
  4. 친유성
(정답률: 56%)
  • 기포누설검사에서는 검사용액이 시료 표면에 잘 붙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검사용액의 표면장력이 중요합니다. 표면장력이 높을수록 검사용액이 시료 표면에 잘 붙어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포누설검사에서 검사용액 선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표면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중벽 탱크의 암모니아 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는 몇 %(압력비)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
  2. 3%
  3. 5%
  4. 10%
(정답률: 35%)
  • 2중벽 탱크는 암모니아 누설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피해와 환경오염 등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암모니아 누설검사를 실시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는 1%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1% 이상의 농도에서는 누설이 발생했을 때 누설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농도가 낮을 경우 누설 위치를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 사이에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 이상의 농도를 유지하여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배관에 대해 기포누설검사-가압법으로 현장검사를 실시할 때 절차상 주의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결함 식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확대경을 사용할 수 있다.
  2. 누설시험 전에 표면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해야 한다.
  3. 모든 개봉부분은 밀봉재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이 없도록 밀폐시킨다.
  4. 기포형성 용액을 붓칠법으로 적용할 때 적용부분은 5cm 이상의 폭을 갖돌고 길게 해준다.
(정답률: 30%)
  • "기포형성 용액을 붓칠법으로 적용할 때 적용부분은 5cm 이상의 폭을 갖돌고 길게 해준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기포형성 용액을 적용할 때 적용부분이 넓을수록 결함을 더 잘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용부분은 5cm 이상의 폭을 갖도록 길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포누설시험에서 누설률의 단위는?

  1. N/m2
  2. Pa·m3/s
  3. std·cm3/s2
  4. kg/m·s2
(정답률: 60%)
  • 기포누설시험에서 누설률은 단위가 "Pa·m3/s"이다. 이는 누설율이 시간당 흐르는 체적의 단위로, 압력의 단위인 파스칼(Pa)과 체적의 단위인 미터의 세제곱(m3)이 결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기포누설시험에서 누설율은 시간당 일정한 압력 하에서 흐르는 체적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할로겐다이오드시험법에서 검사에 앞서 시험압력은 최소한 몇 분 정도 유지해야 하는가?

  1. 10분
  2. 30분
  3. 1시간
  4. 시간에 관계없음
(정답률: 38%)
  • 할로겐다이오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검사에 앞서 최소한 30분 이상의 시간동안 시험압력을 유지하여 안정화된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압력 측정기 중 가장 우수한 압력 측정기로 다른 압력 측정기와 교정에 사용되는 측정기는?

  1. 정하중 시험기
  2. 기압계
  3. 버돈게이지
  4. 압전 압력게이지
(정답률: 67%)
  • 정하중 시험기는 다른 압력 측정기와 교정에 사용되는 측정기입니다. 이는 정확한 압력 측정을 위해 다른 압력 측정기들을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하중 시험기는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가장 우수한 압력 측정기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열 양극할로겐 누설검출기의 한계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높은 인화성 재질 근처, 또는 폭발성 가스가 혼합되어 있는 대기에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다.
  2. 할로겐 추적가스에 장시간 노출되면 누설신호가 사라질 수 있다.
  3. 할로겐 검출기는 대기와 분리되어 있어 시험물체의 주변 공기에 포함된 할로겐 물질과는 거리가 멀다.
  4. 스니터 튜브 통과시간에 따라 응답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정답률: 45%)
  • 할로겐 검출기는 대기와 분리되어 있어 시험물체의 주변 공기에 포함된 할로겐 물질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검출기가 시험물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누설된 할로겐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가열 양극할로겐 누설검출기의 한계점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진공상자법에 의한 기포누설검사의 주된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시험체를 가압할 필요가 없다.
  2. 누출률의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하다.
  3. 10-8Pa·m3/s 정도의 누출 감도를 가진다.
  4. 2~3기압의 차등 압력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정답률: 48%)
  • 진공상자법은 시험체를 진공 상자 안에 넣고, 상자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누출이 발생하면 상자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검사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험체를 가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험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누출률의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하며, 10^-8Pa·m^3/s 정도의 누출 감도를 가진다. 또한 2~3기압의 차등 압력을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검사가 용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기권에서부터 지구의 평균표면까지 공기가 누르는 힘은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준대기압
  2. 게이지압력
  3. 진공압력
  4. 절대압력
(정답률: 67%)
  • 대기권에서부터 지구의 평균표면까지 공기가 누르는 힘은 "표준대기압"이라고 한다. 이는 대기 중의 공기가 지표면에 미치는 압력을 나타내는데, 이 압력은 해발고도 0m에서의 기압을 기준으로 산출된 것이다. 따라서, 표준대기압은 대기압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압력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압력이 일정할대 20℃에서 90m3의 부피를 갖는 기체에 대해 온도를 10℃ 증가시키면 부피는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1. 3m3 감소한다.
  2. 3m3 증가한다.
  3. 50m3 감소한다.
  4. 50m3 증가한다.
(정답률: 35%)
  • 가장 간단한 이유는 가열하면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체 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이면서 서로 멀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가 10℃ 증가하면 부피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3m3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표준상태 1cm3의 부피 속에 들어있는 가스분자의 수는 약 얼마인가? (단, 표준상태 가스 1몰의 분자수는 6.022×1023개, 가스 1몰의 부피는 22.4L 이다.)

  1. 2.69×1013
  2. 2.69×1019
  3. 2.69×1022
  4. 2.69×1025
(정답률: 35%)
  • 표준상태에서 1몰의 가스는 22.4L의 부피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1L의 부피에는 1/22.4 몰의 가스가 들어있다. 따라서 1cm3의 부피에 들어있는 가스분자의 수는 1/1000L의 부피에 들어있는 가스분자의 수와 같으므로, 1cm3의 부피에 들어있는 가스분자의 수는 1/22.4×103몰의 가스분자 수와 같다. 따라서, 1cm3의 부피에 들어있는 가스분자의 수는 6.022×1023×1/22.4×103 = 2.69×1019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69×101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헬륨질량분석기-검출프로브(Detector probe)법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주사속도가 증가하면 검출감도는 감소된다.
  2. 배경 가스는 시험 완료 후에만 제거하면 효과적이다.
  3. 응답시간이 길면 검출감도가 증가된다.
  4. 흡입호스의 길이가 증가하면 검출감도는 증가된다.
(정답률: 53%)
  • "주사속도가 증가하면 검출감도는 감소된다."는 이유는 주사속도가 증가하면 샘플이 검출기로 들어오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검출기가 충분한 시간 동안 샘플을 분석하지 못하고 지나가게 되어 검출감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플라스틱 및 고무류 등을 할로겐족 원소가 포함된 냉매로 누설검사할 때 주의할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1. 스니퍼를 사용할 때 불꽃을 발생할 수 있다.
  2. 쉽게 할로겐을 흡수하여 거짓지시를 나타낼 수 있다.
  3. 추적가스와 시험체가 높은 활성반응을 일으킨다.
  4. 검출기 전극의 열화가 가속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쉽게 할로겐을 흡수하여 거짓지시를 나타낼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플라스틱 및 고무류 등의 물질은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누설검사 시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한 냉매를 사용하면 검출기가 물질의 할로겐족 원소를 감지하여 거짓지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설검사 시에는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냉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헬룸질량분석-벨자(Bell Jar)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압시험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2. 활성기체를 사용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3. 시험체는 가압, 용기는 진공을 적용한다.
  4. 반정량적 방법만으로 검사를 적용할 수 있다.
(정답률: 38%)
  • 헬룸질량분석-벨자(Bell Jar)법은 가압시험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활성기체를 사용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는 시험체를 가압하고, 용기는 진공을 적용하여 시험체 내부의 기체를 분석한다. 이는 시험체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그 기체의 질량을 측정하여 시험체의 화학적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험체는 가압, 용기는 진공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반정량적 방법만으로 검사를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포누설검사-가압법으로 누설검사 시 거품형성 용액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표면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얇은 막을 형성하여야 한다.
  2. 누설에 의해 형성된 거품은 급격히 소멸되지 말아야 한다.
  3. 용액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거품수는 가능한 한 많아야 한다.
  4. 일반 가정용 비눗물이나 세제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9%)
  • "용액 자체에서 만들어지는 거품수는 가능한 한 많아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거품이 많이 생기면 누설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거품이 많이 생기면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거품이 시험표면을 가리면 누설을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거품을 최소화하여 누설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헬륨질량분석기시험에서 400kPa의 게이지 압력으로 시험되어지는 용기 내에 12% 헬륨추적가스를 이용하여 가압되었다. 이때 헬륨분압은 얼마인가? (단, 대기압은 100 kPa 이다.)

  1. 40 kPa
  2. 50 kPa
  3. 60 kPa
  4. 70 Kpa
(정답률: 48%)
  • 헬륨질량분석기시험에서 사용된 용기 내에는 12%의 헬륨추적가스가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내 전체 압력 중 12%는 헬륨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400 kPa의 게이지 압력은 대기압인 100 kPa를 초과한 값이므로, 용기 내 전체 압력은 500 kPa가 된다.

    이 중 12%가 헬륨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므로, 헬륨분압은 500 kPa의 12%인 60 k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 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헬륨질량분석 누설검사 기법 중 누설위치를 찾을 수 있는 것은?

  1. 진공용기법
  2. 진공후드법
  3. 진공적분법
  4. 진공분무법
(정답률: 30%)
  • 진공분무법은 헬륨가스를 샘플에 분무하여 누설된 곳에서 헬륨이 샘플 외부로 누출되어 검출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누설된 곳에서 헬륨이 검출되므로 누설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른 세 가지 기법은 누설을 검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누설위치를 찾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포누설시험에서 결함을 해석 및 평가하는데 검출 감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깨끗한 액체를 사용하고 빛의 조도를 증가시킨다.
  2. 기포 형성시간 및 작업자의 관찰시간을 증가시킨다.
  3. 미세 누설을 검출하기 위해 시험용액의 표면 장력을 증가시킨다.
  4. 시험용액의 오염 등에 기인된 허위지시를 제거시킨다.
(정답률: 56%)
  • 정답: "미세 누설을 검출하기 위해 시험용액의 표면 장력을 증가시킨다."

    설명: 기포누설시험에서 검출 감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깨끗한 액체를 사용하고 빛의 조도를 증가시키는 것, 기포 형성시간 및 작업자의 관찰시간을 증가시키는 것, 시험용액의 오염 등에 기인된 허위지시를 제거시키는 것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험용액의 표면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은 검출 감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표면 장력을 증가시키면 오히려 기포의 형성이 어려워져 검출 감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포누설시험-가압법의 현장검사에서 절차상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표면조건
  2. 발포액 적용방법
  3. 시험품의 두께
  4. 조도
(정답률: 64%)
  • 기포누설시험-가압법의 현장검사에서는 시험품의 두께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는 시험품의 두께가 기포누설시험-가압법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시험품의 두께가 일정 이상 두꺼울 경우에는 기포누설시험-가압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점은 사전에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품의 두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할로겐 누설검사에서 가압기체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체는?

  1. 아세틸렌
  2. 프로필렌
  3. 제네트론
  4. 산소
(정답률: 34%)
  • 할로겐 누설검사에서는 가압기체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체로서, 불활성 기체가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제네트론은 불활성 기체 중에서도 안전성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아세틸렌과 프로필렌은 불활성 기체가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산소는 불활성 기체가 아니지만, 제네트론과 같이 안전성이 높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누설검사 규격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압력변화검사법에서 설계압력이 4 kPa인 소형기기를 검사할 경우에 적용한 최대 압력은?

  1. 4 kPa
  2. 5 kPa
  3. 6 kPa
  4. 8 kPa
(정답률: 48%)
  • ASME Sec. V, Art. 10에서는 누설검사를 위해 압력변화검사법을 사용한다. 이때, 검사 대상 기기의 설계압력보다는 높은 압력을 적용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소형기기의 경우, 설계압력이 4 kPa이므로 이보다 높은 5 kPa의 압력을 적용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5 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누설검사에서 시험체의 표면처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개구부는 밀봉되어야 한다.
  2. 시험체 표면은 기름 등이 제거되어야 한다.
  3. 시험체 표면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할 필요는 없다.
  4. 밀봉재료는 추적자 가스 성분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65%)
  • "시험체 표면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할 필요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시험체 표면은 먼저 기름 등이 제거되어야 하고, 그 후에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해야 합니다. 이는 시험체 표면에 물기가 남아 누설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 따른 진공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프로브법이라고도 하는 방법은?

  1. 적분법
  2. 덮개법
  3. 헬륨 분사법
  4. 헬륨 누출 검지법
(정답률: 39%)
  • 헬륨 분사법은 진공 용기 내부에 헬륨을 분사하여 누출된 헬륨 가스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헬륨 분자가 매우 작아서 누출 구멍으로부터 쉽게 흘러나가기 때문에 민감하게 누출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헬륨 분자는 대기 분자보다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검출 시간이 빠르고 정확합니다. 따라서, 헬륨 분사법은 진공 용기 누출 검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 22인치 길이의 용접부에 대해 누설검사를 하고자 한다. 이때 진공상자의 길이가 6인치라면 진공상자를 최소한 몇 번 사용하여야 하는가?

  1. 3회
  2. 5회
  3. 7회
  4. 9회
(정답률: 48%)
  • 진공상자법에서는 용접부의 전체 길이보다 진공상자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용접부를 여러 번에 나누어 검사해야 한다. 이때, 인접한 검사 구간 사이에는 최소한 1인치 이상의 중첩 구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22인치 길이의 용접부를 6인치 길이의 진공상자로 검사할 때, 인접한 검사 구간 사이에는 최소한 1인치 이상의 중첩 구간이 필요하므로, 검사 구간의 길이는 5인치가 된다. 이렇게 되면, 22인치 길이의 용접부를 5인치 길이의 검사 구간으로 나누면 총 4개의 검사 구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 4번의 검사가 필요하며, 인접한 검사 구간 사이에 1인치 이상의 중첩 구간이 있어야 하므로, 검사 구간의 길이가 5인치이므로, 최종적으로는 5번의 검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5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 교정 방식 통칙(KS A 0083)의 시험조건 중 최소 가검 누출량 측정에 사용되는 헬륨(He)의 최소 순도는?

  1. 97.5%
  2. 98%
  3. 99%
  4. 99.5%
(정답률: 48%)
  • 질량분석계형 누출 탐지기는 매우 민감한 장비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오차를 갖도록 교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헬륨(He)은 가능한 순도가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 순도는 99% 이상이어야 합니다. 97.5%나 98%는 순도가 낮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99.5%는 비용이 높아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99%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 지시계(meter)에 지시되는 양은?

  1. 이온 생성률
  2. 압력변화량
  3. 기포발생량
  4. 진공도
(정답률: 45%)
  • 정답은 "이온 생성률"입니다.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는 누설가스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누설가스가 프로브와 상호작용하여 이온을 생성합니다. 이온 생성률은 이온이 생성되는 속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누설가스의 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시계에 나타나는 양은 이온 생성률에 따라 결정됩니다.

    압력변화량, 기포발생량, 진공도는 누설검사와는 관련이 있지만,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는 지시계에 나타나는 양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에서 사용되는 검사기체로 적당한 것은?

  1. 산소
  2. 수소
  3. 공기
  4. 염소
(정답률: 62%)
  •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에서는 검사 대상 내부에 공기를 가압하여 누설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는 공기가 가장 안전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기는 대기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검사 대상 내부에 누설된 공기를 식별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서는 공기가 적당한 검사기체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 사용되는 진공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절한 접속부, 밸브, 조명 및 게이지가 구비되어야 한다.
  2. 게이지는 0~100kPa의 범위 것이어야 한다.
  3. 진공상자는 사용에 편리한 크기이어야 한다.
  4. 진공상자 개구부 하단을 제외한 상단면 및 측면에 창을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43%)
  • 진공상자는 기포누설검사를 위해 사용되며, 누설 검사 시 압력을 가하지 않고 진공을 이용하여 누설을 검출한다. 따라서 진공상자 개구부 하단을 제외한 상단면 및 측면에 창을 설치하여 누설 검사 대상물을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서, 진공 기술에서 어떤한 장치의 벽에 구멍, 기공, 침투할 수 있는 요소, 또는 압력이나 벽을 가로질러 농도의 차이가 있어서 한 벽면에서 다른 벽면으로 기체가 지나갈 수 있는 요소를 정의한 요소는?

  1. 관통
  2. 침투
  3. 누출
  4. 투과
(정답률: 48%)
  • 정답은 "누출"입니다. 이는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용기 내부의 기체가 용기 벽면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누출"은 진공 기술에서 벽면을 통과하여 기체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관통"은 벽면을 통과하여 기체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침투"는 벽면을 통해 기체가 흡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과"는 벽면을 통과하여 기체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누출과는 달리 기체의 양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규정된 압력변화검사법에서 게이지 합격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1. 정밀도
  2. 분해능
  3. 조립성
  4. 반복성
(정답률: 25%)
  • 압력변화검사법에서 게이지 합격기준 항목 중에서 "조립성"은 제외됩니다. 이는 검사 대상인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조립성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검사 대상인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조립성은 제조 및 설치 단계에서 검사되어야 하며, 이는 ASME Sec. VIII Div. 1, UG-99 및 ASME Sec. I, PG-58 등에서 규정됩니다. 따라서, 압력변화검사법에서는 "조립성"이 합격기준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 전자 포획 할로겐 누설검출기의 추적가스로 권장하는 것은?

  1. 플루오르 황화물(SF6)
  2. 염화메틸렌(CH2Cl2)
  3. 냉매 134a(C2H2F4)
  4. 냉매 22(CHClF2)
(정답률: 42%)
  • 플루오르 황화물(SF6)은 전자 포획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검출기 프로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는 SF6 분자가 전자를 매우 잘 포획하여 전자와 결합하면서 안정적인 분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F6은 누설검사에 매우 유용한 추적가스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 시험 압력 하에서 시험체의 체적이 10m3 일 때, 할로겐 추적가스의 최소량은?

  1. 1m3
  2. 2m3
  3. 3m3
  4. 5m3
(정답률: 39%)
  • 할로겐 추적가스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는 시험체 내부에 할로겐 추적가스를 주입하고, 검출기로 누설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검출기로 감지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고려해야 한다.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서는 ASME Sec. V, Art. 10에 따라 시험 압력 하에서 시험체의 체적에 따라 할로겐 추적가스의 최소량이 정해져 있다. 이 최소량은 시험체의 체적이 클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시험체의 체적이 10m3일 때, 최소한 1m3의 할로겐 추적가스가 필요하다. 이는 시험체의 체적이 5m3일 때보다 높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압력변화검사법에서, 소형 가압시스템의 경우 온도 안정화를 위한 압력 유지시간은?

  1. 최소 5분
  2. 최소 10분
  3. 최소 15분
  4. 최소 20분
(정답률: 48%)
  • 압력변화검사는 누설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는 시스템 내부에 압력을 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을 유지한 후 압력 변화를 측정합니다. 이때, 소형 가압시스템의 경우 온도 안정화를 위해 최소 15분 동안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시스템 내부의 온도가 안정화되어 누설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최소 15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서 누출 틈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기체 중 규정된 헬륨의 순도는?

  1. 99% 이상
  2. 96% 이상
  3. 94% 이상
  4. 92% 이상
(정답률: 57%)
  •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에서는 헬륨 기체를 사용하여 누출 틈을 찾습니다. 이때, 헬륨 기체의 순도가 높을수록 누출 틈을 더욱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정된 헬륨의 순도는 99%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96%, 94%, 92% 이상의 경우에는 누출 틈을 찾는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따라 저장탱크를 누설검사할 때, 밑판의 용접부에 대한 시험 압력은?

  1. 대기압보다 최소한 13.3kPa 낮은 값
  2. 대기압보다 최소한 33.3kPa 낮은 값
  3. 대기압보다 최소한 53.3kPa 낮은 값
  4. 대기압보다 최소한 73.3kPa 낮은 값
(정답률: 39%)
  •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따르면, 저장탱크를 누설검사할 때 밑판의 용접부에 대한 시험 압력은 0.2kgf/㎠ 이며, 이는 대기압보다 최소한 53.3kPa 낮은 값이다. 이는 용접부의 누설을 검사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면서 누설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면 용접부가 파열하거나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압보다 낮은 값으로 시험 압력을 설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누설을 검출하고 찾아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 중 반정량적(semiquantitative) 방법이 아닌 것은?

  1.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
  2.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
  3.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
  4. 열전도 검출기 프로브검사법
(정답률: 39%)
  •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은 누설된 가스를 헬륨로 대체한 후, 헬륨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누설 위치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반정량적인 방법이 아니라 정량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반면, 다른 방법들은 모두 반정량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으로 시험할 때 규정된 절차서 요건 중 필수 변수인 것은?

  1. 가압가스
  2. 용액 적용기기
  3. 기포 형성 용액
  4. 시험 후 처리 기법
(정답률: 25%)
  •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에서는 기포 형성 용액이 필수 변수입니다. 이는 시험 대상물의 표면에 기포 형성 용액을 적용하여 가압가스를 통해 기포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누설이 발생하면 기포 형성 용액이 누출되어 시험자가 누출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포 형성 용액은 누설 검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철 보일러의 구조(KS B 6202)에 따라 온수보일러에 대하여 수압시험을 실시할 때의 사용압력은?

  1. 최고 사용압력의 1.25배, 최소 100 kPa
  2. 최고 사용압력의 1.25배, 최소 200 kPa
  3.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최소 100 kPa
  4.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최소 200 kPa
(정답률: 32%)
  • 주철 보일러의 구조(KS B 6202)에 따르면, 온수보일러에 대한 수압시험의 사용압력은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하며, 최소 200 kPa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보일러가 실제 사용 시에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을 고려하여 시험을 실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최소 200 kP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규정된 게이지(Gag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통 최대압력의 약 2배 압력범위 눈금판이 권장된다.
  2. 어떠한 경우라도 눈금판의 범위는 필요한 최대압력의 1.25배 이하이거나 5.0배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3. 게이지의 위치는 검사원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검사품에 직접 또는 원격 연결해야 한다.
  4. 한 개 이상의 게이지가 필요한 대형 용기, 계통은 기록형 게이지가 권장된다.
(정답률: 57%)
  • "보통 최대압력의 약 2배 압력범위 눈금판이 권장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눈금판의 범위는 필요한 최대압력의 1.25배 이하이거나 5.0배를 초과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게이지의 눈금판이 너무 작거나 크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범위의 눈금판을 사용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 사용되는 기포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 부위에서 터지지 않는 막을 형성해야 한다.
  2. 세척용으로 제조된 비눗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낮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급격히 소멸되지 않아여 한다.
  4. 시험표면에서 가능한 빠르게 건조되어야 한다.
(정답률: 56%)
  • "시험표면에서 가능한 빠르게 건조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기포용액은 시험 부위에서 터지지 않는 막을 형성하고, 세척용으로 제조된 비눗물을 사용해서는 안 되며, 낮은 표면장력으로 인해 급격히 소멸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시험표면에서 가능한 빠르게 건조되어야 하는 이유는, 기포용액이 시험 부위에 남아있으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포용액이 빠르게 건조되도록 보조적인 장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