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누설비파괴검사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다음 중 발(기)포누설검사법(Bubble Test)에서 소크시간(soak time)에 해당되는 것은?

  1. 검사용액을 혼합하고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2.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3. 가압의 완료 시점과 용액의 적용시점 사이의 시간
  4. 시험에 소요되는 총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이유: 발(기)포누설검사법은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발생하는 기포의 크기와 수를 관찰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 때,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소크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셀레늄(Selenium) 등의 반도체 뒤에 금속판을 대고 균일한 전하를 준 후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에 따라 반도체의 저항이 작아지고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하게 되는데, 여기에 반대 전화를 도포하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영상이 형성되며 이에 적절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1. 건식 방사선 투과검사법(Xeroradiography)
  2. 전자 방사선 투과검사법(Electron radiography)
  3. 자동 방사선 투과검사법(Autoradiography)
  4. 순간 방사선 투과검사법(Flash radiography)
(정답률: 알수없음)
  • 셀레늄 등의 반도체에 전하를 주고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에 따라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건식 방사선 투과검사법에서는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의 강도에 따라 반도체의 저항이 작아지고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되는데, 이에 반대 전하를 도포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영상을 형성하고, 이에 적절한 수지를 도포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동일 조건에서 모세관의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모세관속 액체의 높이는 어떻게 되는가?

  1. 1/4로 낮아진다.
  2. 1/2로 낮아진다.
  3. 2배로 높아진다.
  4. 4배로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세관의 부피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부피는 4배가 된다. 따라서 모세관속 액체의 부피도 4배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세관의 단면적은 원의 면적에 비례하므로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단면적은 4배가 된다. 따라서 모세관속 액체의 높이는 1/2로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파괴시험 기술자의 임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시험결과의 정확한 판정
  2.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
  3. 제품의 품질보증에 대한 책임
  4. 시험기술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
(정답률: 80%)
  • 비파괴시험 기술자는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된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고, 제품의 품질보증에 대한 책임을 지며, 시험기술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결함의 유해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결함을 가지고 있는 구조물의 강도가 저하하는 양상은 그 결함의 형상과 방향에 따라 다르다.
  2. 곡면이 있는 결함은 주로 단면적의 감소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
  3. 가늘고 긴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 이외에 결함부의 지시 길이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
  4. 표면결함과 내부결함에서 동일종류, 동일치수의 결함이면 내부결함의 경우가 표면결함보다 유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함의 형상과 방향에 따라 강도 저하하는 양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결함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곡면이 있는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가늘고 긴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 이외에 결함부의 지시 길이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입니다. 또한, 표면결함과 내부결함에서 동일종류, 동일치수의 결함이면 내부결함의 경우가 표면결함보다 유해하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합금 중 형상기억 효과가 있는 것은?

  1. Mn - B
  2. Co - W
  3. Cr - Co
  4. Ti - Ni
(정답률: 알수없음)
  • 형상기억 효과는 합금이 일정한 온도에서 형상을 기억하고, 다른 온도에서 형상을 변경하고 다시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 중 Ti-Ni 합금은 이러한 형상기억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Ti-Ni 합금이 고온에서 austenite 상태로 변화하면서 형상을 기억하고, 저온에서 martensite 상태로 변화하면서 다시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 )안에 들어갈 원소는?

  1. Cu
  2. S
  3. Mn
  4. Si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은 화학식 CuS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Cu"는 구리, "S"는 황을 나타내는 원소 기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실루민을 개량처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2. 공석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Al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3.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Zn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4.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n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실루민은 주로 알루미늄과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공정 중에 주조조직에서 Si 결정이 형성되는데 이것이 크면 합금의 강도가 떨어지고 가공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Si 결정을 미세화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가 옳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금속의 인장시험 시 측정되는 다음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응력 값을 나타내는 것은?

  1. 인장 강도
  2. 항복 강도
  3. 탄성 강도
  4. 피로 강도
(정답률: 90%)
  • 인장 강도는 금속이 인장력에 의해 얼마나 많은 응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금속의 최대 인장 응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인장 시험에서 측정되는 값 중 가장 높은 응력 값을 나타내는 것은 인장 강도입니다. 항복 강도는 금속이 일정한 변형을 견디는 응력을 나타내며, 탄성 강도는 금속이 변형을 견디기 전에 복원력을 가지는 응력을 나타냅니다. 피로 강도는 금속이 반복적인 응력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주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학기호는 Sn이다.
  2. 상온가공경화가 없으므로 소성가공이 쉽다.
  3. 비중은 약 10.3이고, 융점은 약 670℃ 정도이다.
  4. 무독성이므로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용, 튜브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석은 텍스트나 코드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 중 주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다.

    비중이 약 10.3인 이유는 스남의 원자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고, 융점이 약 670℃ 정도인 이유는 스남의 결정구조와 분자간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SM45C의 탄소 함유량은 약 몇 %인가?

  1. 0.045
  2. 0.12
  3. 0.45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SM45C은 일본의 강재 규격 중 하나로, "S"는 강재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M"은 열처리를 거친 강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45"는 강재 내의 탄소 함량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따라서 SM45C의 탄소 함유량은 0.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재료의 정적 파괴응력보다 작은 응력을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받는 경우에 파괴되는 현상은?

  1. 마모
  2. 피로
  3. 크리프
  4. 샤르피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가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받는 작은 응력은 피로파괴를 일으킵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미세한 균열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확대되어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적 파괴응력보다 작은 응력을 받는 경우에도 장기간 사용하면 피로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Mg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다.
  2. 비강도가 커서 항공기나 자동차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3. 감쇠능이 커서 소음방지 재료로 우수하다.
  4. 구상 흑연주철의 첨가제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상 흑연주철의 첨가제로 사용된다. Mg 합금은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고, 비강도가 커서 항공기나 자동차 재료 등으로 사용되며, 감쇠능이 커서 소음방지 재료로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알루미늄 합금의 질별 기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O : 어닐링한 것
  2. H : 가공 경화한 것
  3. W : 용체화 처리한 것
  4. F :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합금의 질별 기호 중 F는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알루미늄 합금을 고온에서 녹여 용체화 처리한 후, 자연 공기 중에서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는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이 맞는 기호이며, 다른 기호들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순철의 냉각에서 A3 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는 약 1410℃이다.
  2. 부피가 감소하는 변화이다.
  3.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한다.
  4. 공정 반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A3 변태는 강철에서 발생하는 변태 중 하나로, 약 1410℃에서 일어납니다. 이 변태는 부피가 감소하는 변화이며, 이는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합니다. 따라서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공정 반응이다."는 A3 변태가 발생하는 공정이라는 의미로 옳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설명과는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크 용접기의 1차측 입력이 20kVA인 경우 가장 적합한 퓨즈의 용량은? (단, 이 용접기의 전원전압은 200V이다.)

  1. 10A
  2. 50A
  3. 100A
  4. 200A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의 공식은 P=VI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20kVA, V=200V이다. 이를 대입하면 I=100A가 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퓨즈의 용량은 100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노치취성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슈나트 시험
  2. 코머렐 시험
  3. 샤르피 시험
  4. 카안인열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카안인열 시험

    코머렐 시험은 노치취성 시험 중 하나로, 시료를 불에 태우고 발생하는 불꽃의 색깔을 보고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슈나트 시험은 시료를 불에 태워서 발생하는 불꽃의 모양을 보고 물질의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며, 샤르피 시험은 시료를 불에 태워서 발생하는 재의 양을 측정하여 물질의 양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카안인열 시험은 물질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동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단락 이행
  2. 입상 이행
  3. 롤러 이행
  4. 스프레이 이행
(정답률: 알수없음)
  • 롤러 이행은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동 형태가 아닙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롤러를 사용하여 용융 금속을 압축하고 형태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롤러 이행은 용융 금속의 이동이 아니라 형태 조절 방법입니다. 반면, 단락 이행, 입상 이행, 스프레이 이행은 모두 용융 금속의 이동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접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솔더링
  2. 피닝법
  3. 국부 풀림법
  4. 저온 응력 완화법
(정답률: 알수없음)
  • 솔더링은 용접 작업이 아닌 전자 제품 등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접합 방법으로,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더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의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150℃, 30분
  2. 200~300℃, 1시간
  3. 150~200℃, 2시간
  4. 300~350℃, 1~2시간
(정답률: 80%)
  •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은 고온 및 고습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온도와 시간이 중요합니다. 100~150℃, 30분은 너무 낮은 온도와 짧은 시간으로 건조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200~300℃, 1시간은 건조 온도는 적당하지만, 시간이 짧아서 충분한 건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150~200℃, 2시간은 건조 온도와 시간이 적당하지만, 다른 보기에 비해 건조 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0~350℃, 1~2시간이 가장 적합한 옵션이 됩니다. 이는 적절한 건조 온도와 시간으로, 효과적인 건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누설검사 원리

21. 암모니아 누설검사에서 이산화탄소(CO2) 추적가스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경우 누설부위의 관찰을 위해 가시적인 붉은색 피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하는 시약은?

  1. 페놀프탈레인
  2. 그리콜
  3. 수산화나트륨
  4. 브로모크레졸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프탈레인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붉은색 피막을 형성하는 시약입니다. 이 시약은 암모니아 누설부위에서 CO2 추적가스와 함께 반응하여 붉은색 피막을 형성하므로 누설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 누설검사에서는 페놀프탈레인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헬륨누설시험에서 허위배경신호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대기중의 헬륨농도가 증가할 때
  2. 수소와 탄화수소 농도가 오염될 때
  3. 질량분석기 튜브 내에서 너무 낮은 가스 압력에 의한 이온산란이 될 때
  4. 합성고무 가스킷(gasket) 고무호스 등, 고농도의 헬륨에 노출되었을 때
(정답률: 55%)
  • 헬륨누설시험에서 허위배경신호는 헬륨이 아닌 다른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신호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질량분석기 튜브 내에서 너무 낮은 가스 압력에 의한 이온산란"은 헬륨이 아닌 다른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신호가 아니라, 분석기 내부에서 가스 압력이 낮아져 이온이 산란하여 발생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이는 허위배경신호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절대압력과 같은 것은?

  1. 해수면의 대기 압력
  2. 게이지 압력에서 대기 압력을 뺀 압력
  3. 게이지 압력과 대기 압력을 더한 압력
  4. 기압계로 잰 대기 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압력은 대기압력과 게이지 압력을 더한 압력입니다. 게이지 압력은 대기압력을 뺀 압력이기 때문에, 게이지 압력과 대기 압력을 더하면 절대압력이 됩니다. 이는 압력을 측정할 때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며,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절대압과 대기압의 차를 나타내는 것은?

  1. 분위기압
  2. 게이지압
  3. 공기압
  4. 음압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지압은 대기압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압력 단위 중 하나이다. 따라서 게이지압은 절대압과는 달리 대기압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대기압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압력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포누설 검사에서 침지법 용액을 선택하는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틸렌 글리콜은 농도를 묽게 하여 사용한다.
  2. 실리콘류는 페인트 된 시험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플루오르 카본은 스테인리스강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고상 수적방지제는 소량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정답률: 60%)
  • "에틸렌 글리콜은 농도를 묽게 하여 사용한다."이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에틸렌 글리콜은 농도를 높여 사용한다. 이유는 농도가 높을수록 기포 생성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형 시스템의 압력변화시험에는 기계적인 배기 시간은 Guthrie 방정식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 어떤 시험계의 압력을 10Pa로 감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식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단, T는 감압시간, S는 펌핑속도, V는 계의 부피이고, 10Pa의 진공압력을 얻기 위한 배수인자는 4 이다.)

  1. T = 6.8V/S
  2. T = 9.2V/S
  3. T = 11.2V/S
  4. T = 13.8V/S
(정답률: 알수없음)
  • Guthrie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 P0 * exp(-S * t / V)

    여기서 P는 현재 압력, P0는 초기 압력, S는 펌핑속도, V는 계의 부피, t는 감압시간을 나타낸다.

    10Pa의 진공압력을 얻기 위한 배수인자는 4이므로, 초기 압력은 40Pa가 된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P를 40Pa, P0를 100Pa, S를 S, V를 V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40 = 100 * exp(-S * T / V * 4)

    이를 정리하면,

    T = 9.2V/S

    따라서, 정답은 "T = 9.2V/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헬륨질량분석기 진공후드법으로 시험체를 검사하고자 한다. 시험체의 용적이 5000m3이고 펌프의 배기속도가 초당 48000ℓ 일 때 응답시간은 얼마인가?

  1. 9.6초
  2. 104초
  3. 240초
  4. 260초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질량분석기 진공후드법은 시험체 내부의 공기를 진공으로 빼내어 헬륨 가스를 주입하고, 이를 검출하여 시험체 내부의 누출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응답시간은 시험체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헬륨 가스를 주입하여 검출기가 반응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응답시간은 시험체의 용적과 펌프의 배기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시험체의 용적이 클수록 더 많은 공기를 제거해야 하므로 응답시간이 길어지고, 펌프의 배기속도가 높을수록 빠르게 공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응답시간이 짧아진다.

    주어진 문제에서 시험체의 용적은 5000m3이고, 펌프의 배기속도는 초당 48000ℓ이다. 이를 이용하여 응답시간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5000m3의 공기를 제거하는데는 5000/48초가 걸린다. 따라서 시험체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데는 약 104초가 걸린다. 따라서 정답은 "104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누설검사를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누설되고 있는 유체의 종류를 알기 위해
  2. 누설에 기인하는 유해한 환경적 요소를 방지하기 위해
  3. 표준에서 벗어난 누설률과 부적절한 제품을 검출하기 위해
  4. 시스템 작동에 방해되는 재료의 누설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82%)
  • 누설검사를 하는 이유는 "누설되고 있는 유체의 종류를 알기 위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누설검사를 하는 이유 중 하나이지만,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누설되고 있는 유체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법에서 가스체적과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검지제를 착색시켜 착색도로부터 가스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1. 측장법
  2. 측시법
  3. 비색법
  4. 비측용법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법에서 가스체적과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검지제를 착색시켜 착색도로부터 가스농도를 구하는 방법은 "비색법"이다. 이는 색깔을 이용하지 않고, 검지제의 착색도를 측정하여 가스농도를 계산하기 때문에 "비색법"이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체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기체의 분량
  2. 기체의 점도
  3. 압력의 차이
  4. 기체의 색깔
(정답률: 알수없음)
  • 기체의 색깔은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기체의 분량, 점도, 압력의 차이 등이 있습니다. 기체의 색깔은 기체의 화학적 성질과 관련이 있으며, 유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누설검사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다음 중 누설시험에 가장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1. 추적가스를 이용하는 방법
  2. 화학적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3. 내압 및 기밀시험을 이용하는 방법
  4. 제품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검사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누설이 발생하면 해당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나 유체 흐름이 변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압 및 기밀시험을 이용하는 방법은 시스템 내부에 압력을 가해 누설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인 누설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내압 누설 시험에서 시험압력으로 맞는 것은?

  1. 기압시험 최고 사용압력의 1.25배, 수압시험 최고 사용 압력의 1.5배
  2. 기압시험 최고 사용압력의 1.25배, 수압시험 최고 사용 압력의 1.25배
  3. 기압시험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수압시험 최고 사용 압력의 1.5배
  4. 기압시험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수압시험 최고 사용 압력의 1.25배
(정답률: 알수없음)
  • 내압 누설 시험에서는 시험압력을 높여서 시험 대상물을 내부에서 밖으로 누출시키는 것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시험압력은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압력보다 높아야 한다. 기압시험에서는 대상물 내부의 압력이 기압일 때, 수압시험에서는 대상물 내부의 압력이 수압일 때 시험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기압시험에서는 최고 사용압력의 1.25배, 수압시험에서는 최고 사용압력의 1.5배로 시험압력을 맞추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압력변화시험에 의거 누설률을 측정하고자 할 때 가압가스로서 부적절한 것은?

  1. 공기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산소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변화시험에서는 가압가스로서 누설을 측정하기 위해 고압으로 가스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을 유지한 후에 누설율을 측정합니다. 이때 가압가스는 누설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가스여야 합니다.

    그러나 산소는 불에 매우 쉽게 타기 때문에 누설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변화시험에서는 산소를 가압가스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1×10-3 std·cm3/s 정도의 누설부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험 방법은?

  1. 버블시험법(Bubble Test)
  2. 할로겐 다이오드법(Halogen Diode Test)
  3. 헬륨질량분석법(Helium Mass Spectrometer Test)
  4. 압력변화측정법(Pressure change measurement Test)
(정답률: 70%)
  • 1×10-3 std·cm3/s 정도의 누설부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합한 시험 방법은 "헬륨질량분석법(Helium Mass Spectrometer Test)"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게 헬륨 가스를 감지하여 누설부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매우 작은 누설부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값이 매우 작은 값이므로, "버블시험법(Bubble Test)"도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누설부 주위에 버블을 발생시켜서 누설부를 찾아내는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대기중의 정상적인 산소농도는 얼마인가?

  1. 21%
  2. 16%
  3. 10%
  4. 5%
(정답률: 93%)
  • 대기는 주로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상적인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은 약 21%입니다. 이는 지구 상의 생물들이 호흡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 농도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이 더 적은 경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압력변화 시험의 원리 중 틀린 것은?

  1. 일정시간 경과한 후의 압력변화에 따라 누설량을 측정한다.
  2. 누설위치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3. 시험체 내부에 기체를 이용하여 가압하는 방법을 가압법이라 한다.
  4. 시험체 내부를 감압하고 검사하는 것을 감압법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변화 시험은 시험체 내부에 압력을 가하거나 감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누설 위치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시험은 시험체 내부의 누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누설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누설검사 시 진공시험 조건하에서 주로 발생하는 기체유동의 형태는?

  1. 점성 흐름(Viscous flow)
  2. 천이 흐름(Transitional flow)
  3. 분자 흐름(Molecular flow)
  4. 와류 흐름(Turbulent flow)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 상태에서 기체 분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기체 분자들이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형태인 분자 흐름이 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누설검사 시 진공시험 조건하에서는 분자 흐름이 관찰되며, 다른 보기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가열양극 할로겐 누설검출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본적인 기기는 할로겐 누설검출기와 휴대용 검출 프로브로 구성되어 있다.
  2. 검출장치 구조는 동심 실린더의 형태로 되어 있다.
  3. 안쪽 실린더는 내부의 열선에 의해 가열된다.
  4. 바깥쪽 실린더는 양전기 전위에서 작동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바깥쪽 실린더는 양전기 전위에서 작동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바깥쪽 실린더는 음전기 전위에서 작동된다. 이는 가열양극 원리에 따라 양극과 음극으로 나뉘어진 가열선이 존재하며, 양극은 바깥쪽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고 음극은 안쪽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누설시험 중 누설값이 최대일 때 최대값의 37%까지 감소하는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확산시간(diffusion time)
  2. 응답시간(response time)
  3. 세정시간(cleanup time)
  4. 유지시간(hold time)
(정답률: 알수없음)
  • 세정시간은 누설시험 중 누설값이 최대일 때 최대값의 37%까지 감소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시스템에서 누설이 발생한 후 시스템을 정리하고 다시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이 시간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포누설 시험에서 사용되는 발포액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표면장력과 점도가 높아야 한다.
  2. 젖음성이 좋아야 한다.
  3. 건조나 증발되지 않아야 한다.
  4. 시험품에 영향에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누설 시험에서 사용되는 발포액은 시험품의 표면에 붙어서 기포를 형성해야 하므로 표면장력이 높아야 합니다. 또한, 발포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기포의 크기와 분포를 조절하기 쉬우므로 점도도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표면장력과 점도가 높아야 한다."가 아닌 것은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누설검사 시험

41. 할로겐 추적자 중 가장 유독성이 강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물질은?

  1. CCl4
  2. R-11
  3. R-22
  4. R-114
(정답률: 알수없음)
  • CCl4은 탄소와 염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매우 강한 할로겐 추적자입니다. 이 물질은 인체에 매우 유독하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신경계, 간, 신장 등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이 제한되는 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진공상자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공상자는 적어도 1기압의 외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완전진공의 환경에서 검사하여야 한다.
  3. 시험품의 특성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한다.
  4. 시각보조장비를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상자법은 시험품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여 물질의 물성을 분석하는 실험 방법이다. 이 때, 진공상자는 적어도 1기압의 외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시험품의 특성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한다. 또한, 시각보조장비를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진공상자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완전진공의 환경에서 검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완전진공의 환경에서 검사하지 않으면 외부의 영향으로 실험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할로겐 다이오드 스니퍼 시험법에서 추적기체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R-11
  2. R-12
  3. R-115
  4. R-114
(정답률: 80%)
  • 할로겐 다이오드 스니퍼 시험법에서 추적기체로 사용하는 것은 할로겐 가스이다. 그러나 R-115는 할로겐 가스가 아니라 냉매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추적기체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R-115는 할로겐 다이오드 스니퍼 시험법에서 추적기체로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결함의 종류에 따른 검출 방법으로 가장 옳게 연결된 비파괴검사 방법은?

  1. 관통결함 : 자분탐상검사, 누설검사
  2. 표면결함 : 누설검사, 침투탐상검사
  3. 관통결함 : 누설검사, 음향누설검사
  4. 표면결함 : 자분탐상검사, 누설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관통결함은 물질 내부로 침투한 결함으로, 누설검사는 압력을 가하여 결함 부위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음향누설검사는 마찰, 충격 등으로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결함 부위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관통결함의 경우 누설검사와 음향누설검사가 가장 적합한 비파괴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누설시험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기포누설시험
  2. 헬륨누설시험
  3. 압력변화시험
  4. 할로겐고체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로겐고체시험은 누설시험 방법이 아니라 화학 시험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방법은 물질이 할로겐 기체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고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누설시험 방법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기포누설시험, 헬륨누설시험, 압력변화시험은 모두 누설시험 방법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포누설검사의 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진공펌프의 사양
  2. 누설경계의 압력차이
  3. 추적가스의 종류
  4. 발포액의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누설검사에서 감도는 누설경계의 압력차이, 추적가스의 종류, 발포액의 특성 등 여러 인자에 영향을 받지만, 이 중에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진공펌프의 사양이다. 이는 진공펌프의 사양이 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진공펌프는 단지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른 인자들에 더 많이 의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할라이드 토치법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감도가 기포누설시험과 비슷하다.
  2. 휴대성이 좋다.
  3. 큰 누설근처의 작은 누설 검출이 쉽다.
  4. 누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큰 누설근처의 작은 누설 검출이 쉽다."가 틀린 것이다. 할라이드 토치법은 큰 누설근처의 작은 누설을 검출하기 어렵다. 이는 할라이드 토치법이 누설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감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은 누설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헬륨이 시스템에서 추적가스로 공급되어질 때 얻어진 최대신호의 63%와 동등한 출력신호를 갖는 누설검출기의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상승시간
  2. 응답시간
  3. 주기시간
  4. 분해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 추적가스가 시스템에서 누설될 때, 누설검출기는 해당 가스를 감지하고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누설검출기가 출력하는 신호가 최대신호의 63%와 동등한 값을 갖는데, 이를 응답신호라고 한다. 따라서, 누설검출기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해당 응답신호가 생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이를 응답시간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가열양극 할로겐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잔류된 할로겐 조성 성분에 의해 응답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2. 할로겐 추적가스에만 응답할 수 있다.
  3. 기름에 막혀 있는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
  4.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용이고 능률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양극 할로겐법은 할로겐 추적가스를 사용하여 누설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이며, 사용이 간편하고 휴대용이며 능률적이다. 그러나 잔류된 할로겐 조성 성분에 의해 응답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검출 대상이 아닌 다른 물질에 의해 오검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가열양극 할로겐법의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누설검사 중 침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시험체를 검사액에 담근 후 감압한다.
  2. 시험체의 압력을 높여도 감도에는 영향이 없다.
  3. 검사용액의 표면장력은 낮아야 한다.
  4. 검사용액으로 물이 가장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사용액의 표면장력이 낮을수록 시험체가 검사액에 잘 침지하여 검사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암모니아 누설검사법에서 암모니아와 혼용할 수 있는 추적자가 아닌 것은?

  1. 염화수소
  2. 아황산가스
  3.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 누설검사법에서는 암모니아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추적자를 사용하여 누설을 감지합니다. 그러나 일산화탄소는 암모니아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추적자입니다. 이유는 일산화탄소는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유해한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는 암모니아 누설검사법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헬륨 혼합기체를 포함한 용기 내부를 대기압이상으로 가압하여 용기의 외부 표면을 프로브로 주사하여 검사하는 방법은?

  1. 진공용기법
  2. 진공후드법
  3. 추적프로브법
  4. 검출프로브법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 혼합기체는 누출이 발생하면 용기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용기 내부를 가압하여 누출을 검출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때 검출프로브법은 용기 외부에 프로브를 설치하여 용기 내부에서 누출된 기체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검출프로브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할로겐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시험에 사용된 가열된 양극할로겐 검출기에서 누설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누설지시기
  2. 조명
  3. 알람
  4. 오실로스코프
(정답률: 알수없음)
  •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장치로, 할로겐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시험에서는 누설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이유로 오실로스코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압법에 의한 강판 맞대기 용접부의 누설검사에서 다량의 미소누설 기포가 발생하였다. 1cm3의 포집관에서 포집하는데 걸린 시간이 3분이었다면 이 때의 누설률은?

  1. 3.33×10-2 std · cm3/s
  2. 3.33×10-4 Pa · m3/s
  3. 5.55×10-2 std · cm3/s
  4. 5.55×10-4 Pa · m3/s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누설률 = (포집된 기체의 부피) / (단위 시간당 포집관의 청정한 면적을 통과하는 기체의 부피)

    포집된 기체의 부피는 1cm3이고, 포집관의 청정한 면적을 통과하는 기체의 부피는 포집된 기체가 포집되기까지 걸린 시간 동안 통과한 기체의 부피와 같다. 따라서, 포집된 기체가 3분(180초) 동안 포집관을 통과한 기체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통과한 기체의 부피 = (포집된 기체의 부피) / (포집된 시간) = 1cm3 / 180초 = 0.00556cm3/s

    이제 누설률을 계산해보자.

    누설률 = (포집된 기체의 부피) / (단위 시간당 포집관의 청정한 면적을 통과하는 기체의 부피)
    = 1cm3 / (0.00556cm3/s)
    = 180cm3/s

    이 결과를 표준상태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누설률 = (포집된 기체의 부피) / (단위 시간당 포집관의 청정한 면적을 통과하는 기체의 부피)
    = 1cm3 / (0.00556cm3/s) × (1 atm / 101325 Pa) × (273 K / 298 K)
    = 3.33×10-4 Pa · m3/s

    따라서, 정답은 "3.33×10-4 Pa · m3/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진공 침지법에 의한 기포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침지 용액으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수도물
  2. 글리세린
  3. 미네랄 오일
  4. 실리콘류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 침지법은 기포누설검사에서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로, 검사 대상 부위에 침지 용액을 바르고 진공을 가해 기포가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침지 용액은 기포를 잘 보이게 하기 위해 투명하고 점성이 높은 것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수도물"과 "글리세린"은 투명도가 낮고, "실리콘류"는 점성이 낮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미네랄 오일"은 투명도가 높고 점성이 높아 기포를 잘 보이게 하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침지 용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누용액을 사용한 발포액법(가압법)으로 누설검사를 실시할 때 사용되는 가압가스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질소(N2)
  2. 헬륨(He)
  3. 산소(O2)
  4. 암모니아(NH3)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는 불에 매우 쉽게 타기 때문에, 비누용액과 같은 인화성 물질과 함께 사용하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가압가스는 질소, 헬륨, 암모니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침투탐상제에 의한 누설검사 특성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누설위치 확인이 용이하다.
  2. 가압장치 등의 누설시험용 특수기구가 필요없다.
  3. 누설검사 방법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4. 모세관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두꺼운 시험품에 적용이 용이하다.
(정답률: 82%)
  • "모세관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두꺼운 시험품에 적용이 용이하다."는 침투탐상제에 의한 누설검사 특성에 해당하는 것이 맞습니다. 모세관현상은 침투탐상제가 미세한 틈새나 구멍으로 침투하여 누설 위치를 확인하는 원리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시험품의 두께와 상관없이 누설 검사가 가능하므로, 두꺼운 시험품에도 적용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세관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두꺼운 시험품에 적용이 용이하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00% 헬륨 추적가스 누설에 기인된 출력신호가 400div과 동등하고, 누설검출기 감도가 2.5×10-11 Pa·m3/s라면 누설률은? (단, 온도보정 상수는 1로 한다.)

  1. 6.25×10-15 Pa·m3/s
  2. 6.25×10-14 Pa·m3/s
  3. 1.0×10-8 Pa·m3/s
  4. 1.0×10-7 Pa·m3/s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률은 누설검출기가 감지한 누설가스의 유량을 나타내는데, 이는 누설가스의 압력과 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누설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누설률 = 감지한 누설가스 유량 / (출력신호 × 누설검출기 감도)

    여기서, 출력신호는 400div이므로, 이를 전압으로 환산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신호 = 400div × (10 V / 200 div) = 20 V

    따라서, 누설률은 다음과 같다.

    누설률 = (2.5×10-11 Pa·m3/s) / (20 V × 1) = 1.25×10-12 Pa·m3/s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온도보정 상수가 1로 주어졌으므로, 누설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누설률 = 1.25×10-12 Pa·m3/s × 1 = 1.25×10-12 Pa·m3/s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10-8 Pa·m3/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압유동에 따른 누설에 있어서 기체유동은 다섯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와류유동
  2. 층상유동
  3. 점성유동
  4. 천이유동
(정답률: 82%)
  • 기압유동에 따른 누설에 대한 다섯 가지 기체유동은 다음과 같다.

    1. 와류유동: 기체가 통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유동
    2. 층상유동: 기체가 통로 내에서 밀도 차이에 따라 층을 이루며 흐르는 유동
    3. 점성유동: 기체가 통로 내에서 점성력에 의해 느린 속도로 흐르는 유동
    4. 천이유동: 기체가 통로 내에서 방향을 바꾸며 흐르는 유동
    5. ?

    정답은 "천이유동"이 아닌 "점성유동"이다. 점성유동은 기체가 통로 내에서 점성력에 의해 느린 속도로 흐르는 유동으로, 기체 분자 간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반해 천이유동은 기체가 통로 내에서 방향을 바꾸며 흐르는 유동으로, 통로 내에서 구조적인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비금속의 활성원소인 할로겐족 원소에 속하는 것은?

  1. F
  2. Ba
  3. Ca
  4. Pt
(정답률: 알수없음)
  • 할로겐족 원소는 17족 원소로, F(플루오린)은 이 중 하나입니다. Ba(바륨), Ca(칼슘), Pt(백금)는 모두 비금속의 활성원소가 아니므로 정답은 "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누설검사 규격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압력 누설검사하는 기기에 적용하는 시험 압력의 한계치는?

  1. 설계압력의 110%
  2. 설계압력의 125%
  3. 설계압력의 160%
  4. 설계압력의 200%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기나 보일러는 설계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발생할 경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설검사 시에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 압력을 설계압력의 125%로 제한합니다. 이는 압력용기나 보일러가 설계압력 이상으로 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안전하게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설계압력의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압력변화검사법에서 소형 가압된 시스템의 가압을 끝낸 후, 압력이 가해진 시스템의 온도 안정화를 위하여 유지해야 하는 최소 시간은?

  1. 5분
  2. 10분
  3. 15분
  4. 20분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변화검사에서는 시스템 내부의 누설을 검사하기 위해 압력을 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을 유지하고, 이후에 압력이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측정하여 누설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때, 압력이 가해진 시스템의 온도가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력 변화가 누설이 아닌 열팽창 등의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온도 안정화를 위해 일정 시간을 유지해야 합니다. ASME Sec. V, Art. 10에서는 이 최소 시간을 15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5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초음파 누설 검출기 검사법에 사용되는 검출기의 주파수 범위로 옳은 것은?

  1. 20 Hz ~ 20 kHz
  2. 20 Hz ~ 100 kHz
  3. 2 Hz ~ 20 kHz
  4. 20 Hz ~ 100 kHz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0 Hz ~ 100 kHz"입니다. 이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초음파 누설 검출기의 주파수 범위로, 이 범위 내에서 검출기는 누설된 음파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검출기는 누설을 감지하지 못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6225)에 따른 강제 석유 저장 탱크의 누설 시험에서 100kPa 게이지 압력 이하의 공기압 또는 불활성 가스로 압력을 걸어 누설을 조사하는 용접부는?

  1. 밑판 용접부
  2. 부상 지붕의 폰툰 용접부
  3. 애뉼러 플레이트 용접부
  4. 개구부 보강재 용접부
(정답률: 알수없음)
  • 개구부 보강재 용접부는 탱크의 개구부분에 위치하며, 탱크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누설이 발생할 경우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누설 시험에서 강조적으로 조사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다른 초음파 누설 검출기 검사법에 의한 누설시험의 절차서 요건 중 필수변수에 해당하는 것은?

  1. 주사 방향
  2. 주사 거리
  3. 후처리 기법
  4. 장비 제조사 및 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서 초음파 누설 검출기 검사법을 사용할 때, 장비 제조사 및 모델은 필수적인 변수입니다. 이는 검사에 사용되는 초음파 누설 검출기의 성능과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서로 다른 제조사나 모델의 초음파 누설 검출기는 각각의 특성과 성능이 다르기 때문에,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적절한 장비 제조사와 모델을 선택하고, 이에 맞는 검사 절차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압력 게이지를 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교정용 계기로 규정되지 않은 것은?

  1. 표준 정하중 시험기(standard deadweight tester)
  2. 교정된 마스터 게이지(calibrated master gage)
  3. 버돈 튜브 게이지(bourden tube gage)
  4. 수은주(mercury column)
(정답률: 알수없음)
  • 버돈 튜브 게이지는 ASME Sec. V, Art. 10에서 규정되지 않은 교정용 계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버돈 튜브 게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게이지 중 하나이지만, 교정용 계기로 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누설검사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표준 정하중 시험기, 교정된 마스터 게이지, 또는 수은주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서 탐지 기체로 헬륨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분자량이 작아서 작은 누출 틈이라도 누출량이 높게 주어진다.
  2. 대기 중에서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비율이 5×10-4%밖에 되지 않는다.
  3. 다른 기체와 반응 등으로 이온이 될 확률이 적다.
  4. 기체 중에서 가장 확산 속도가 빠르며 최소의 밀도를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은 기체 중에서 가장 확산 속도가 빠르며 최소의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누출 시험에서는 작은 누출 틈이라도 누출량이 높게 주어지기 때문에 탐지 기체로 사용된다. 따라서 "분자량이 작아서 작은 누출 틈이라도 누출량이 높게 주어진다.", "대기 중에서 단위 부피당 차지하는 비율이 5×10-4%밖에 되지 않는다.", "다른 기체와 반응 등으로 이온이 될 확률이 적다."는 헬륨을 탐지 기체로 사용하는 이유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에 규정된 내용을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1. 기포형성용약은 시험 부위에서 터지지 않는 막을 형성해야 한다.
  2. 세제를 기포시험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시험 압력을 최소한 15분 동안 유지해야 한다.
  4. 시험 후 제품의 사용을 위하여 세척이 요구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제를 기포시험 용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기포형성용약은 시험 부위에서 터지지 않는 막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세제는 기포시험 용액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세제는 보통 시험 후 제품의 사용을 위하여 세척이 요구될 수 있다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검출기 또는 시스템 교정 시 프로브의 팁(tip)을 누설표준으로부터 6mm 이내에 위치하도록 주사하는 시험법은?

  1.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
  2.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검출기 프로브법
  3.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
  4. 열전도 검출기 프로브검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은 검출기나 시스템 교정 시 프로브의 팁을 누설표준으로부터 6mm 이내에 위치하도록 주사하는 시험법이다. 이는 헬륨 가스를 이용하여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추적자 프로브를 사용하여 누설원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팁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서 이 방법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측정 누설률 Q가 헬륨의 1×10-7 Pa·m3/s 이하이면 시험한 기기를 합격으로 한다.
  2. 측정 누설률 Q가 헬륨의 1×10-6 Pa·m3/s 이하이면 시험한 기기를 합격으로 한다.
  3. 측정 누설률 Q가 헬륨의 1×10-5 Pa·m3/s 이하이면 시험한 기기를 합격으로 한다.
  4. 측정 누설률 Q가 헬륨의 1×10-4 Pa·m3/s 이하이면 시험한 기기를 합격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에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은 기기 내부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고 외부에서 누설되는 헬륨 가스를 측정하여 누설율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때, 측정 누설률 Q가 헬륨의 1×10-7 Pa·m3/s 이하이면 시험한 기기를 합격으로 한다. 이는 ASME Sec. V, Art. 10에서 정한 기준으로, 이 값 이하의 누설율은 안전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값을 넘어서면 해당 기기는 불합격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에서 추적가스의 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험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0%는 되어야 한다.
  2. 설계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0%는 되어야 한다.
  3. 시험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5%는 되어야 한다.
  4. 설계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5%는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험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0%는 되어야 한다." 이다.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기 프로브검사법은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추적가스를 사용하여 누설을 검출하는데, 추적가스는 일반적으로 할로겐화합물을 사용한다. 이때, 추적가스의 농도는 시험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0%는 되어야 한다. 이는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서 충분한 농도의 추적가스가 존재해야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압력에서 최소한 체적의 10%는 되어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 따른 진공법 중에서 아주 미세한 누출을 검지할 때 사용하는 검사법은?

  1. 직류 헬륨 누출 검지법
  2. 역류 헬륨 누출 검지법
  3. 헬륨 분사법
  4. 적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에서는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누출량을 측정합니다. 이때 아주 미세한 누출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적분법을 사용합니다. 적분법은 시간에 따른 누출량을 적분하여 전체 누출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매우 작은 누출량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직류 헬륨 누출 검지법, 역류 헬륨 누출 검지법, 헬륨 분사법은 모두 누출 검지에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아주 미세한 누출을 검지하기에는 적분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서 부상 지붕 배수 설비는 조립한 후 몸통의 물 채우기 시험 전에 몇 kPa의 게이지 압력 정도의 압력으로 누설을 조사하는가?

  1. 100 kPa
  2. 200 kPa
  3. 300 KPa
  4. 400 kPa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서 부상 지붕 배수 설비는 조립한 후 몸통의 물 채우기 시험 전에 300 kPa의 게이지 압력 정도의 압력으로 누설을 조사합니다. 이는 탱크 내부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누설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누설이 있다면, 이는 석유 등의 유체가 탱크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누설 검사는 매우 중요하며, 충분한 압력을 가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 표준 기법으로 검사를 수행할 때, 검사체의 표면 온도 범위는?

  1. 0℃ ~ 30℃
  2. 0℃ ~ 50℃
  3. 5℃ ~ 30℃
  4. 5℃ ~ 50℃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은 검사체의 표면 온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검사체 표면에 이슬이 생겨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검사체 표면이 너무 뜨거워져 검사자의 안전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ASME Sec. V, Art. 10에서는 검사체의 표면 온도 범위를 5℃ ~ 50℃로 규정하고 있다. 이 범위 내에서 검사를 수행하면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검사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에 의해 시험을 실시하였을 경우 누설률이 허용 범위를 초과했을 때의 조치 사항은?

  1.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으로 재시험 한다.
  2.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으로 재시험 한다.
  3. 초음파 누설 검출기 검사법으로 재시험 한다.
  4.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검출기 프로브법으로 재시험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은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만약 이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했을 때 누설률이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면, 다른 방법으로 재시험을 해야 한다. 이 때,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으로 재시험을 하는 것이 적절한 이유는 이 방법이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적자 프로브는 누설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비로, 누설 위치를 파악한 후에는 해당 부분을 보수하거나 교체하여 누설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추적자 프로브법으로 재시험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서 어떤 측정 대상의 기체 누출률을 알고자 할 때 실제로 사용할 기체 대신 편리한 다른 기체로 누출률을 측정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주로 사용되는 다른 기체는?

  1. 이산화탄소
  2. 암모니아
  3. 질소
  4. 헬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헬륨"입니다. 이유는 헬륨은 분자량이 매우 작아서 다른 기체에 비해 누출률이 빠르게 측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헬륨은 대기 중에서도 존재하는 희귀 기체이기 때문에 다른 기체와 혼합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따라 석유 저장 탱크의 밑판 및 애뉼러 플레이트의 용접부에 대한 누설 검사 방법은?

  1. 압력변화검사법
  2.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
  3.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
  4.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따르면, 밑판 및 애뉼러 플레이트의 용접부는 기포누설검사를 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진공상자법"을 선택하는 이유는, 용접부에 기포가 발생하면 그 기포가 진공 상자 내부로 흡입되어 검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공 상자 내부에서 기포를 검출하여 누설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 규정된 가압법에서 기체를 잡아 내는 탐색자(probe) 역할을 하는 것은?

  1. 슬릿
  2. 조절판
  3. 스니퍼
  4. 컬렉터
(정답률: 알수없음)
  • 스니퍼는 기체 누출 시험에서 사용되는 탐색자로, 질량 분석계에 연결되어 가압법으로 누출 시험을 할 때 누출된 기체를 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슬릿과 조절판은 다른 기기에서 사용되는 부품이며, 컬렉터는 기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의 적용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 경계부의 국부 부위에 밀도차를 만들어 누설 위치를 검출한다.
  2. 압력 경계부의 국부 부위에 밀도차를 만들어 누설량을 검출한다.
  3. 압력 경계부의 국부 부위에 압력차를 만들어 누설량을 검출한다.
  4. 압력 경계부의 국부 부위에 압력차를 만들어 누설 위치를 검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 경계부의 국부 부위에 압력차를 만들어 누설 위치를 검출한다. 이는 진공상자법의 원리로, 압력차를 만들어 누설부위에서 기체가 흡입되어 진공상자 내부 압력이 변화하게 되고, 이를 측정하여 누설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 V, Art. 10)에서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의 문서화 된 절차서의 요건에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압력유지시간
  2. 압력게이지
  3. 시험압력
  4. 시험체의 재질 및 규격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에서 시험체의 재질 및 규격은 검사 절차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요건에서 제외됩니다. 시험체의 재질 및 규격은 누설검사 전에 결정되어야 하며, 이는 보통 설계 및 제조 단계에서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는 검사 절차서에서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