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설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5-15)

누설비파괴검사기사
(2021-05-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다음 중 물질의 손상량 평가법으로 비파괴검사방법은?

  1. 레프리카법
  2. 충격시험법
  3. 크리프시험법
  4. 피로시험법
(정답률: 75%)
  • 레프리카법은 물체의 표면에 발생한 손상을 측정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손상 부위의 형상을 복제하여 레프리카를 만들고, 이를 측정하여 손상 정도를 파악합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손상 부위의 형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으로 검사 후 내부 결함의 크기 및 형상을 장기적으로 보전하기 적합하여 많이 사용하는 비파과검사법은?

  1. 누설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77%)
  • 방사선투과시험은 내부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X선이나 감마선을 사용하는 비파과검사법으로, 결함의 크기와 형상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보전하기 적합합니다. 또한 검사 대상이 다양하고 검사 시간이 짧아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가장 깊은 내부 결함 검사에 유리한 비파과검사방법은?

  1. 침투비파괴검사
  2. 누설비파과검사
  3. 초음파비파과검사
  4. 와전류비파과검사
(정답률: 76%)
  • 가장 깊은 내부 결함 검사에 유리한 비파과검사 방법은 초음파비파과검사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내부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깊은 내부 결함까지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침투비파괴검사나 누설비파과검사는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데에 유리하며, 와전류비파과검사는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내부 결함을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압력용기 내에 있는 이상기체에 2배의 압력을 가하면, 이 이상기체의 부피는 몇 배가 되는가? (단, 온도는 일정하다.)

  1. 1/2
  2. 1
  3. 2
  4. 4
(정답률: 64%)
  • 보일의 법칙에 따르면, 일정한 온도와 양의 기체에 대해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압력을 2배로 증가시키면 부피는 1/2로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재질 중 일반적으로 침투탐상시험이 어려운 것은?

  1. 다공성의 세라믹
  2. 티타튬
  3. 고합금강
  4. 주철재료
(정답률: 76%)
  • 다공성의 세라믹은 구조상 많은 구멍이 있어서 침투액이 흡수되거나 침투액이 퍼지는 것이 어려워서 일반적으로 침투탐상시험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Cu-Zn 합금 중 조직이 α+β로 구성되며 상온에서의 전연성은 낮으나 강도가 큰 것은?

  1. 90 Cu - 10 Zn 합금
  2. 80 Cu - 20 Zn 합금
  3. 70 Cu - 30 Zn 합금
  4. 60 Cu - 40 Zn 합금
(정답률: 67%)
  • Cu-Zn 합금은 α+β 조직을 가지며, β 상은 고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Cu-Zn 합금의 강도는 Zn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합니다. 그러나 Zn 함량이 높을수록 전연성은 감소하므로, 상온에서의 전연성을 고려할 때는 적절한 Zn 함량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60 Cu - 40 Zn 합금"이 강도가 크면서도 전연성이 적절한 Cu-Zn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점거리 100mm인 인장시험편의 연신율이 20%였을 때, 인장시험 후 늘어난 표점거리의 길이는 몇 mm인가?

  1. 0.2
  2. 2
  3. 20
  4. 200
(정답률: 66%)
  • 연신율은 (늘어난 길이 / 원래 길이)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연신율이 20%이면 늘어난 길이는 원래 길이의 20%가 됩니다. 표점거리가 100mm이므로, 늘어난 표점거리의 길이는 100mm x 20% = 20m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르코늄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중이 6.5, 융점이 1852℃이며, 내식성이 우수하다.
  2. 비중이 9.0, 융점이 1083℃이며, 전기저항성이 작다.
  3. 비중이 1.7, 융점이 435℃이며, 가공성이 양호하다.
  4. 비중이 7.1, 융점이 420℃이며, 경도가 높다.
(정답률: 55%)
  • 지르코늄은 비중이 6.5으로 높아서 밀도가 높고, 융점이 1852℃로 높아서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우수하여 부식에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e-Fe3C 상태도에서 α-Fe와 Fe3C가 층상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은?

  1. 베이나이트
  2. 펄라이트
  3. 트루스타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66%)
  • Fe-Fe3C 상태도에서 α-Fe와 Fe3C가 층상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은 펄라이트이다. 이는 Fe-Fe3C 상태도에서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α-Fe와 Fe3C가 층상으로 형성되는 미세조직으로, 강도와 연성이 모두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펄라이트는 강철 제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로크웰 경도시험에서 스케일에 따른 누르개 형태 및 총 시험하중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A scale – 다이아몬드 원추형 – 588.4N
  2. B scale – 1.588mm 강구 – 1471N
  3. C scale – 다이아몬드 원추형 – 980.7N
  4. K scale – 다이아몬드 원추형 – 1471N
(정답률: 50%)
  • 로크웰 경도시험에서는 누르개를 사용하여 시편의 경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스케일에 따라 누르개의 형태와 총 시험하중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바르게 연결된 것은 A scale – 다이아몬드 원추형 – 588.4N 입니다. 이는 A 스케일을 사용하며, 누르개의 형태는 다이아몬드 원추형이며, 총 시험하중은 588.4N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소변태점은 660℃이다.
  2. 자기변태점은 768℃이다.
  3. 자기변태는 결정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
  4. 동소변태란 결정격자가 변하지 않는 변태이다.
(정답률: 63%)
  •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자기변태점은 768℃이다."와 "자기변태는 결정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입니다. 자기변태점은 금속이 자기적인 성질을 가지게 되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금속이 자기적인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이는 결정격자의 구조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기변태는 결정격자가 변하는 변태입니다. 반면 동소변태는 결정격자의 구조가 변하지 않는 변태로, 동소체와 고체 용융물 간의 상호 변환이 일어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때의 온도를 동소변태점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의 변태에서 CCT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속냉각변태 곡선이다.
  2. TTT 곡선과 같은 곡선이다.
  3. CAC 곡선과 같은 곡선이다.
  4. 마텐자이트 생성에만 관계되는 곡선이다.
(정답률: 52%)
  • CCT 곡선은 연속냉각변태 곡선이다. 이는 TTT 곡선과는 다르게, 냉각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상황에서의 변태 과정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따라서, CAC 곡선과 같은 곡선이나 마텐자이트 생성에만 관계되는 곡선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78.5%Ni-Fe 합금으로 우수한 고투자율성을 나타내는 합금은?

  1. 인바(Inbar)
  2. 엘린바(Elinvar)
  3. 퍼멀로이(Permalloy)
  4. 니칼로이(Nicalloy)
(정답률: 48%)
  • 퍼멀로이는 78.5%Ni-Fe 합금으로, 자기감도가 높아서 자기장을 잘 유도하고, 전기저항이 낮아서 전기적으로도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자기기, 전력 변환기, 자기 저장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며, 고투자율성을 나타내는 우수한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경질 합금의 소결 고온압착법(Hot Press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성치수와 가까운 형상의 것을 얻을 수 있다.
  2. 로 내에서 1개씩 소결되므로 다량 생산방식을 사용하기 어렵다.
  3. 소결온도와 압력을 잘못 조절하면 액상이 주위에 배어 나와 편석을 일으킨다.
  4. 조직이 조대하고 경도는 향상되며, 상온에서 압착한 소결체보다 표면조다가 낮다.
(정답률: 45%)
  • "조직이 조대하고 경도는 향상되며, 상온에서 압착한 소결체보다 표면조다가 낮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경질 합금의 소결 고온압착법의 특징 중 하나이다. 경질 합금은 고온과 고압에서 소결되면서 조직이 조밀해지고 경도가 향상되며, 표면조도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알루미늄 및 그 합금의 질별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1 : 고온가공에서 냉각 후 자연 시효시킨 것
  2. T4 : 용체화처리 후 자연 시효시킨 것
  3. T5 : 고온 가공에서 냉각 후 인공 시효 경화 처리한 것
  4. T7 : 용체화 처리 후 인공 시효 경화 처리한 것
(정답률: 48%)
  • T7은 용체화 처리 후 인공 시효 경화 처리한 것이 아니라, 용체화 처리 후 인공 시효 처리한 것이 맞습니다. T7은 T6에서 인공 시효 처리를 한 후 다시 냉각하여 경화시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용접결함 중 구조상의 결함에 속하는 것은?

  1. 변형
  2. 융합 불량
  3. 형상 불량
  4. 내식성 불량
(정답률: 56%)
  • 구조상의 결함은 용접 부위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 부위의 강도나 내구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중에서 융합 불량은 용접 과정에서 용접재료가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용접 부위의 강도가 낮아지는 결함입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서의 응력 집중과 같은 상황에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융합 불량은 구조상의 결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 이용하는 용접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피복 아크 용접
  2. 탄산가스 아크 용접
  3.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4.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정답률: 60%)
  • 알루미늄 합금은 산화되기 쉬우므로 용접 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이 가장 적합하다. 불활성 가스는 산화를 방지하면서 용접 부위를 보호하며,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에 적합한 용접열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이 알루미늄 합금을 용접할 때 가장 적합한 용접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0분의 용접작업 중 6분 동안 아크를 발생시키고, 4분 동안 아크를 발생시키지 않고 쉬었다면, 이 용접기의 사용율은?

  1. 20%
  2. 40%
  3. 60%
  4. 100%
(정답률: 67%)
  • 사용율은 작업 시간 대비 아크 발생 시간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분 중 6분 동안 아크를 발생시켰으므로, 사용율은 6/10 = 0.6 = 6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피복 아크 용접봉에 사용되는 피복제 성분 중 아크 안정의 기능을 가지는 것은?

  1. 페로크롬
  2. 페로망간
  3. 산화니켈
  4. 규산칼륨
(정답률: 43%)
  • 규산칼륨은 피복 아크 용접봉에 사용되는 피복제 성분 중에서 아크 안정의 기능을 가지는 성분입니다. 이는 규산칼륨이 용접 시에 산화되어 발생하는 산소를 흡수하여 아크 안정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규산칼륨은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접 품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 후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피닝법
  2. 역변형법
  3.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4. 얇은 판에 대한 점 수축법
(정답률: 52%)
  • 역변형법은 용접 후 변형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라, 용접 전에 미리 부품을 일부 변형시켜 용접 후에 발생할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교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역변형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누설검사 원리

21. 기포누설시험-침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험체는 밀봉되어 있거나 시험도중 밀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시험체를 검사액에 침지한 후 가압하여야 한다.
  3. 검사 용액으로는 물이 가장 좋다.
  4. 대형 용기의 적용에 효과적이다.
(정답률: 45%)
  • 기포누설시험-침지법은 시험체 내부의 기포 누설을 검출하는 시험 방법이다. 시험체가 밀봉되어 있거나 시험 도중 밀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 이유는 시험 도중 외부 공기가 시험체 내부로 유입되면 기포 누설을 검출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체가 밀봉되어 있거나 시험 도중 밀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동일 시험체에 적용하는 누설시험 중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 프로브 시험을 먼저하고 수압시험을 하는 이유는?

  1. 일시적으로 미세한 누설이 막힐 가능성 때문
  2. 할로겐 가스가 오염될 가능성 때문
  3. 시험 물체의 할로겐 가스를 일소시켜 버리기 때문
  4. 물이 시험 물체 내부에 남아 시험 물체의 체적을 변화시키기 때문
(정답률: 44%)
  • 할로겐 다이오드 검출 프로브 시험은 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시험이며, 이 시험을 먼저 하고 수압시험을 하는 이유는 일시적으로 미세한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수압시험을 먼저 하게 되면 누설이 발생한 후에도 물이 계속해서 시험 물체 내부로 유입되어 누설을 감지하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누설 검출 시험을 먼저 하고 수압시험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진공설비에 여러 개 직경이 다른 파이프가 병렬로 연결되었을 때 총컨덕턴스(conductance)를 계산하는 식은? (단, C : 컨덕턴스를 나타낸다.)

  1. 1/Ct = 1/C1 + 1/C2 + 1/C3 … + 1/Cn
  2. Ct = 1/C1 + 1/C2 + 1/C3 … + 1/Cn
  3. Ct = C1 - C2 - C3 … - Cn
  4. Ct = C1 + C2 + C3 … + Cn
(정답률: 55%)
  • 여러 개의 파이프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전체 컨덕턴스는 각 파이프의 컨덕턴스의 합과 같습니다. 이는 각 파이프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컨덕턴스는 각 파이프의 컨덕턴스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t = C1 + C2 + C3 … + C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1 atm과 같은 압력단위는?

  1. 100 kPa
  2. 101.3 kPa
  3. 1000 kPa
  4. 1013 kPa
(정답률: 66%)
  • 1 atm은 대기압을 의미하며, 이는 101.3 kPa와 같습니다. 이는 대기압이 1 atm일 때의 기압을 나타내는 표준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3 k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침지법 발포시험(bubble test)의 최대 감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6 Pa·m3/s
  2. 10-3 Pa·m3/s
  3. 10-2 Pa·m3/s
  4. 10-1 Pa·m3/s
(정답률: 54%)
  • 침지법 발포시험은 시료의 표면장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시료의 표면에 액체를 침지시켰을 때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감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감도가 높을수록 작은 압력 변화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최대 감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0-6 Pa·m3/s"이다. 다른 보기들은 감도가 낮아서 작은 압력 변화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체 방사성동위원소법의 설명 중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시험체가 복합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면 시험전에 동위원소 표면 흡수율을 검사한다.
  2. 침지 후 베타선이 제거될 때까지 깨끗한 기체로 세척한다.
  3. 인체에 직접적인 조사가 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작업한다.
  4. 검사 시에 동위원소의 침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번 침지한다.
(정답률: 67%)
  • "검사 시에 동위원소의 침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번 침지한다."가 틀린 것이다. 동위원소의 침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번 침지하는 것은 오히려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침지로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동위원소는 매우 작은 양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검사 시에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주의사항이 필요하다. 시험체가 복합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면 시험전에 동위원소 표면 흡수율을 검사하고, 침지 후 베타선이 제거될 때까지 깨끗한 기체로 세척해야 한다. 또한 인체에 직접적인 조사가 되지 않도록 신중하게 작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누설률 측정단위가 아닌 것은?

  1. Lb/in3
  2. atm·cm3/s
  3. std·cm3/s
  4. Pa·m3/s
(정답률: 62%)
  • "Lb/in3"은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누설률을 나타내는 단위는 아니다. 누설률은 일반적으로 "atm·cm3/s" 또는 "std·cm3/s"와 같은 압력과 체적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Pa·m3/s"도 누설률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 허위누설신호가 발생하는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시간 증가
  2. 대기 중 헬륨농도 증가
  3. 수소와 탄화수소의 오염
  4. 분석기 튜브 내에서의 이온 산란
(정답률: 48%)
  • 헬륨질량분석 누설시험에서 허위누설신호가 발생하는 원인은 대기 중 헬륨농도가 증가하거나 수소와 탄화수소의 오염, 분석기 튜브 내에서의 이온 산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험시간 증가입니다. 이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분석기 내부의 환경이 변화하고, 누설 신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시간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질량 분석계의 분석관 속에서 이온화된 이온들이 검출기에 들어올 때의 상태는?

  1. 중성(양의 전하나 음의 전하가 아님)을 띰
  2. 양의 전하를 띰
  3. α 입자를 띰
  4. α 입자와 β 입자의 혼합 상태를 띰
(정답률: 54%)
  • 질량 분석계의 분석관에서 이온화된 이온들은 전자를 잃어 양의 전하를 띠게 됩니다. 이는 질량 분석계에서 이온들을 분석하기 위해 전자를 제거하는 과정인 이온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온화된 이온들은 양의 전하를 띠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헬륨 질량분석기에서 이온을 가속시키는 이유는?

  1. 자장 내에서 가벼운 이온과 무거운 이온을 분리하기 위해
  2. 이온을 전자빔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3. 출력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4. 필라멘트의 타버림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률: 53%)
  • 헬륨 질량분석기에서 이온을 가속시키는 이유는 "자장 내에서 가벼운 이온과 무거운 이온을 분리하기 위해"입니다. 이온을 가속시키면 질량이 더 가벼운 이온은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더 빨리 움직이게 되어 무거운 이온과 분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압시험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압기체는?

  1. 공기
  2. 수소
  3. 헬륨
  4. 암모니아
(정답률: 56%)
  • 가압시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압기체는 공기이다. 이는 공기가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기체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실험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누설을 통한 기체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기체 분자량
  2. 압력차이
  3. 누설경로(직경, 길이)
  4. 시스템의 내용적
(정답률: 48%)
  • 시스템의 내용적은 누설을 통한 기체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닙니다. 기체 분자량, 압력차이, 누설경로(직경, 길이)는 누설을 통한 기체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진공상자식 발포누설시험의 가장 큰 장점은?

  1. 10-9 std·cm3/s 정도의 미세한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
  2. 용기 또는 시험부에 대해 직접 가압할 필요가 없다.
  3. 누설률의 정량적 측정이 용이하다.
  4. 주위 분위기에 따른 차등 가압이 용이하다.
(정답률: 56%)
  • 진공상자식 발포누설시험의 가장 큰 장점은 용기 또는 시험부에 대해 직접 가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시험을 더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할로겐누설시험에 사용되는 추적가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염소
  2. 불소
  3. 수소
  4. 브롬
(정답률: 46%)
  • 할로겐누설시험에서는 추적가스로 염소, 불소, 브롬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할로겐 원소이기 때문에 누설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수소는 할로겐 원소가 아니기 때문에 추적가스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온도 °R을 절대온도[K]로 환산하는 식은?

(정답률: 47%)
  • 온도 °R을 절대온도[K]로 환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K = (5/9) x (°R - 491.67)

    이 식에서 5/9는 °R과 K 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491.67은 °R을 절대온도로 변환하기 위한 상수이다. 따라서, °R에서 491.67을 빼고 5/9를 곱하면 절대온도인 K로 변환할 수 있다.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R과 다른 온도 단위를 혼합하거나, °R과 절대온도 간의 관계를 잘못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누설검사에 이용되는 비파괴검사 원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전의 원리
  2. 초음파의 원리
  3. 기체의 열전도율
  4. 방사성동위원소의 계측
(정답률: 43%)
  • 압전의 원리는 전기장이 가해지면 일부 물질은 전기장에 의해 변형되어 전하를 띤다는 원리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누설 여부를 검사하는 누설검사에 이용됩니다. 반면, 초음파의 원리는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탐지하는 원리이고, 기체의 열전도율은 열이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방사성동위원소의 계측은 방사능을 측정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압전의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기체에 의해 작용된 실제 힘을 측정하는 게이지가 아닌 것은?

  1. 멕리오드(Mcleod) 게이지
  2. 버돈(Burdon) 게이지
  3. 다이아프램(Diaphragm) 게이지
  4. 피라니(Pirani) 게이지
(정답률: 52%)
  • 피라니 게이지는 기체의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이다. 따라서 기체에 작용된 실제 힘을 측정하는 게이지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멕리오드 게이지는 진공 상태에서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이고, 버돈 게이지는 압력을 기계적으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게이지이며, 다이아프램 게이지는 압력이 다이아프램을 구부리는 정도를 측정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륨 질량 분석기의 검출 프로브법(가압법)에서 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복잡한 검사품 모양
  2. 검사품 내부에서의 헬륨 추적가스의 농도
  3. 큰 누설로 인한 공기 중 헬륨 추적가스의 오염
  4. 강한 바람으로 인한 누설부위에서의 헬륨추적가스의 확산
(정답률: 45%)
  • 정답은 "복잡한 검사품 모양"입니다. 이유는 검사품의 모양이 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감도는 검사품 내부에서의 헬륨 추적가스의 농도, 큰 누설로 인한 공기 중 헬륨 추적가스의 오염, 강한 바람으로 인한 누설부위에서의 헬륨 추적가스의 확산 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절대압력을 나타내는 식은?

  1. 절대압력 = 게이지압 + 대기압
  2. 절대압력 = 게이지압 - 대기압
  3. 절대압력 = 게이지압 × 대기압
  4. 절대압력 = 대기압 - 게이지압
(정답률: 52%)
  • 정답은 "절대압력 = 게이지압 + 대기압"이다.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포함한 전체 압력을 의미한다. 게이지압은 대기압을 제외한 압력을 의미하므로, 게이지압에 대기압을 더해줘야 전체 압력인 절대압력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압력 = 게이지압 + 대기압"이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누설시험에서 유체 프로브매질의 선택 시 고려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할 물체나 시스템의 모양
  2. 누설시험 중 시험 장소의 환경 요소
  3. 시험할 사람의 자격 등급
  4. 검출할 누설률과 유지시켜야 할 정확도
(정답률: 48%)
  • 시험할 사람의 자격 등급은 유체 프로브매질의 선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유체 프로브매질의 선택은 시험할 물체나 시스템의 모양, 누설시험 중 시험 장소의 환경 요소, 검출할 누설률과 유지시켜야 할 정확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험할 사람의 자격 등급"이 아닌 다른 보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누설검사 시험

41. 진공후드법에 의한 누설검사에서 펌프의 배기속도는 20ℓ/sec 이고 시험체의 내용적은 0.8m3일 때 누설검사 장치의 응답시간은?

  1. 16초
  2. 20초
  3. 32초
  4. 40초
(정답률: 43%)
  • 누설검사 장치의 응답시간은 시험체의 내용적과 펌프의 배기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진공후드법에서 누설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누설율 = (펌프의 배기속도 x 응답시간) / 시험체의 내용적

    따라서, 응답시간은 누설율과 시험체의 내용적, 펌프의 배기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누설율을 1x10-6으로 설정하고, 펌프의 배기속도는 20ℓ/sec, 시험체의 내용적은 0.8m3으로 주어졌다.

    1x10-6 = (20 x 응답시간) / 0.8

    응답시간 = 0.8 x 1x10-6 / 20 = 40초

    따라서, 정답은 "40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진공용기(Bell-Jar)법이 적용 가능한 부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부가 헬륨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용기
  2. 외부가 진공이고, 내부가 대기압에서 사용되는 제품
  3. 제일 가까운 곳에 부착된 교정누설에서의 반응이 수 십분 이상 걸리는 제품
  4. 가늘고 긴 관제품으로 진공법으로는 컨덕턴스가 작게 되어 높은 검출 가도가 얻어지지 않는 제품
(정답률: 31%)
  • "제일 가까운 곳에 부착된 교정누설에서의 반응이 수 십분 이상 걸리는 제품"은 진공용기(Bell-Jar)법이 적용 불가능한 부품이다. 이유는 진공용기(Bell-Jar)법은 내부가 헬륨가스로 밀봉되어 있는 용기에서 외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내부 압력을 낮추는 방법이기 때문에, 제품 내부와 외부 압력 차이가 크면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제일 가까운 곳에 부착된 교정누설에서의 반응이 수 십분 이상 걸리는 제품은 압력 차이가 작아 반응이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진공용기(Bell-Jar)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기포누설시험 용액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에서 시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1. 핵반응성
  2. 누설자속
  3. 이온결합
  4. 표면장력
(정답률: 52%)
  • 기포누설시험은 용액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시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용액의 표면장력입니다. 표면장력이 낮으면 용액이 기계적 충격에 의해 쉽게 누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포누설시험 용액은 표면장력이 높은 용액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으로 모서리 용접부에 대한 누설시험을 할 때 가장 적절한 검사 방법은?

  1. 모서리 용접부는 육안검사만 필요하다.
  2. 검사압력을 2배로 한다.
  3. 모서리 용접부는 다른 시험으로 대치한다.
  4. 시험체의 형태에 맞는 특수 진공상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50%)
  • 모서리 용접부는 일반적인 진공상자로는 검사가 어렵기 때문에 시험체의 형태에 맞는 특수 진공상자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모서리 용접부의 형태에 맞게 디자인된 진공상자를 사용하여 정확한 누설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포누설시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진공상자는 시험체의 형태에 따라 제작하여 사용한다.
  2. 표면에 뿌릴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갖고 시험기간 동안 표면에서 정체되어야 한다.
  3. 하나의 기포가 연속적으로 성장하면 누설지시이다.
  4. 침지법에서는 시험체 내부를 진공배기하여 적용한다.
(정답률: 50%)
  • "침지법에서는 시험체 내부를 진공배기하여 적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기포누설시험에서는 시험체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기압을 적용하여 시험을 진행하는데, 이를 침지법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포누설검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누설검사용액의 성질로 맞는 것은?

  1. 표면장력이 큰 것
  2. 진공 하에서 증발하기 어려운 것
  3. 온도에 의한 열화가 있는 것
  4. 젖음성이 나쁠 것
(정답률: 64%)
  • 기포누설검사에서는 누설검사용액을 검사 대상 부품의 표면에 뿌려서 기포가 생기면 누설이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누설검사용액은 표면장력이 크고, 젖음성이 좋아서 부품 표면에 잘 붙어야 합니다. 또한 검사 후에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하므로 진공 하에서 증발하기 어려운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진공 하에서 증발하기 어려운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헬륨질량분석-진공시스템에서 표준누설 1×10-9 Pa·m3/s, 출력 신호 100 division 및 지시 눈금당 10의 누설률을 가질 때 누설 검출기 감도는? (단, division : 최소 누설률 지시 척도(눈금)이다.)

  1. 2×10-10 Pa·m3/s/div
  2. 2×10-11 Pa·m3/s/div
  3. 2×10-12 Pa·m3/s/div
  4. 2×10-13 Pa·m3/s/div
(정답률: 43%)
  • 누설 검출기 감도는 표준 누설율과 출력 신호, 그리고 눈금당 누설률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눈금당 누설률이 작을수록 누설 검출기 감도는 높아진다.

    보기에서 "2×10-12 Pa·m3/s/div"은 다른 보기들보다 눈금당 누설률이 작기 때문에 누설 검출기 감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금당 누설률이 "10-11 Pa·m3/s/div"인 경우, 누설율이 "1×10-9 Pa·m3/s"일 때 출력 신호는 10 division이 되므로, 누설 검출기는 이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눈금당 누설률이 작은 "2×10-12 Pa·m3/s/div"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은 누설을 탐지하기 위한 검사액의 조건은?

  1. 휘발성이 높아 검사 후 잔류물이 없어야 한다.
  2. 두꺼운 발포액막을 형성해야 한다.
  3. 점도가 높아 부착성이 좋아야 한다.
  4. 검사 부위의 기포형성이 없어야 하고 누설부위에서 연속적인 기포를 형성해야 한다.
(정답률: 46%)
  • 작은 누설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검사액이 누설부위에서 연속적인 기포를 형성해야 합니다. 이는 누설부위에서 액체가 계속해서 새어나와 기포를 형성하면 검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검사 부위에서 기포가 형성되면 검사자가 누설부위를 찾기 어려워지므로 검사 부위의 기포형성은 없어야 합니다. 따라서 "검사 부위의 기포형성이 없어야 하고 누설부위에서 연속적인 기포를 형성해야 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할로겐누설시험의 할로겐추적가스가 함유된 기체가 할라이드 토치의 버너에 유입될 경우 불꽃의 색은 어떤 색으로 변하는가?

  1. 청색
  2. 황색
  3. 적색
  4. 녹색
(정답률: 44%)
  • 할로겐추적가스가 함유된 기체가 할라이드 토치의 버너에 유입될 경우, 불꽃의 색은 녹색으로 변합니다. 이는 할로겐누설시험에서 사용되는 할로겐추적가스가 녹색을 띄기 때문입니다. 이 가스는 불꽃 속에서 할로겐과 결합하여 녹색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녹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가열양극법에서 세라믹 전극으로부터의 이온 방출비에 가장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은?

  1. 온도
  2. 면적
  3. 순도
  4. 전류
(정답률: 46%)
  • 가열양극법에서 세라믹 전극으로부터의 이온 방출비에 가장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은 "전류"이다. 이는 전류가 이온 방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전류는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힘을 나타내며, 이는 전극의 온도, 면적, 순도 등과는 관련이 있지만, 이온 방출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누설검사에 사용되는 온도계 중 접촉식 온도계가 아닌 것은?

  1. 저항 온도계
  2. 유리 온도계
  3. 열전도 온도계
  4. 색 온도계
(정답률: 47%)
  • 색 온도계는 물체의 색깔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접촉식이 아닌 비접촉식 온도계이기 때문에 누설검사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 접촉식 온도계인 저항 온도계, 유리 온도계, 열전도 온도계는 물체와 직접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누설검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암모니아 누설검사에서 암모니아와 혼용해서 사용되는 추적가스가 아닌 것은?

  1. 염화수소
  2. 이산화황
  3. 이산화탄소
  4. 이산화질소
(정답률: 34%)
  • 암모니아 누설검사에서는 암모니아와 혼합해서 사용되는 추적가스로서 이산화질소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산화질소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신에 염화수소, 이산화황,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가열양극 할로겐누설시험에서 누설여부 표시를 나타낸 것이 아닌 것은?

  1. 밀리암페어 메타의 전류가 변화하였다.
  2. 스피커에서 소리가 발생하였다.
  3. 표시등이 커졌다.
  4. 압력게이지가 변화하였다.
(정답률: 44%)
  • 정답은 "밀리암페어 메타의 전류가 변화하였다."입니다. 가열양극 할로겐누설시험에서는 누설된 할로겐 기체가 가열되어 양극에 도달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밀리암페어 메타의 전류가 변화하게 됩니다. 스피커에서 소리가 발생하거나 표시등이 커지는 것은 누설여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압력게이지가 변화하는 것은 누설된 기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누설검사 중 진공법에서 검출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내부체적
  2. 시험 시간
  3. 시스템 밀도
  4. 대기온도
(정답률: 27%)
  • 시스템 밀도는 진공법에서 검출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검출감도는 시스템 내부체적, 시험 시간, 대기온도 등의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시스템 밀도는 시스템 내부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검출감도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헬륨질량분석시험이 아닌 것은?

  1. 할라이드 토치법
  2. 진공 분무법
  3. 진공 후드법
  4. 가압적분법
(정답률: 54%)
  • 할라이드 토치법은 헬륨질량분석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으로, 화학물질의 유기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할라이드 토치법이 헬륨질량분석시험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포누설검사에서 시험체의 표면 상태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1. 기름, 그리스, 페인트 기타 오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2. 걸레로 표면의 물기만 제거하면 된다.
  3. 표면 상태는 시험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시험부 판독을 쉽게 하기 위해 흰 페인트를 엷게 칠한다.
(정답률: 62%)
  • 기포누설검사는 시험체의 표면에 기포를 발생시켜서 기포가 누설되는 부분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이다. 따라서 시험체의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워야 기포가 잘 발생되고 누설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만약 기름, 그리스, 페인트 기타 오물이 남아있으면 기포가 발생되지 않거나 누설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으므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기름, 그리스, 페인트 기타 오물을 제거하여야 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포누설시험을 1개의 작은 누설결함을 검출하였을 경우 조치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5개 미만의 미세한 결함(기포직경 1mm 미만)들에 대해서는 합격으로 판정하다.
  2. 일반적으로 1개의 미세한 결함(기포직경 5mm 미만)에 대해서는 합격으로 판정하다.
  3. 일반적으로 모든 누설결함에 대해서는 불합격 처리하고 수정(repair)한 후 합격으로 판정하다.
  4. 일반적으로 모든 누설결함에 대해서는 불합격 처리하고 수정(repair)한 후 누설시험절차에 따라 재시험을 실시한다.
(정답률: 49%)
  • 기포누설시험에서 1개의 작은 누설결함이 검출되면 해당 제품은 불합격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는 누설결함이 있을 경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결함을 수정하고, 누설시험절차에 따라 재시험을 실시하여 합격 여부를 판정해야 합니다. 이는 모든 누설결함에 대해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조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통상적인 냉매가스 명칭이 아닌 것은?

  1. 프레온
  2. 제네트론
  3. 이소트론
  4. 부탄
(정답률: 48%)
  • 정답: 부탄

    설명: 프레온은 R-12, 제네트론은 R-134a, 이소트론은 R-600a의 상용명칭이다. 하지만 부탄은 상용명칭이 아니며, R-600의 화학식에서 유도된 이름이다. 따라서 부탄은 통상적인 냉매가스 명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체 방사성동위원소(Kr-85)로 누설검사를 할 때 가압 후 계측시간은?

  1. 1분 이내
  2. 30분 이내
  3. 1시간 이내
  4. 2시간 이내
(정답률: 57%)
  • 가압 후 계측시간은 기체 방사성동위원소(Kr-85)의 반감기에 따라 결정된다. Kr-85의 반감기는 10.76년이므로, 초기 농도의 50%가 감소되는 시간은 7.52년이다. 따라서, 누설검사를 할 때 가압 후 계측시간은 30분 이내로 충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헬륨질량분석기 누설검사에서 가장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누설의 존재
  2. 누설 위치
  3. 누설의 모양
  4. 누설 량
(정답률: 55%)
  • 헬륨질량분석기 누설검사는 누설의 존재, 위치, 량을 파악할 수 있지만, 누설의 모양은 파악할 수 없습니다. 누설의 모양은 누설원인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지만, 헬륨질량분석기 누설검사는 단순히 누설의 존재와 위치, 량을 파악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누설검사 규격

6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압력변화검사법에 사용되는 다이얼 지시형 및 기록형 게이지의 눈금판의 범위는?

  1. 최대 압력의 1.25배 ~ 2.5배 범위
  2. 최대 압력의 1.25배 ~ 4배 범위
  3. 최대 압력의 1.5배 ~ 2.5배 범위
  4. 최대 압력의 1.5배 ~ 4배 범위
(정답률: 36%)
  • 압력변화검사법은 보일러나 압력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시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일정 시간 동안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누설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때 사용되는 다이얼 지시형 및 기록형 게이지의 눈금판 범위는 최대 압력의 1.5배 ~ 4배 범위입니다. 이는 검사 중에 예기치 않은 과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압력의 4배까지 측정 가능한 게이지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대 압력의 1.5배 ~ 4배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 사용되는 게이지가 가져야 하는 압력 범위는?

  1. 0 ~ 0.5 psi
  2. 0 ~ 10 psi
  3. 0 ~ 15 psi
  4. 0 ~ 30 psi
(정답률: 47%)
  •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은 보일러 및 압력용기 내부에서 발생한 기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게이지는 검사 대상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압력 범위는 검사 대상의 내부 압력 범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경우,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대상의 내부 압력은 일반적으로 0 ~ 15 psi 범위 내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게이지는 0 ~ 15 psi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 ~ 15 psi"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검사 대상의 내부 압력 범위를 벗어나거나, 검사에 적합하지 않은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설 시험방법(KS B 5648)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탐지 기체는?

  1. 헬륨
  2. 아르곤
  3. 수소
  4. 이산화탄소
(정답률: 52%)
  • 일반적으로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설 시험에서는 헬륨이 사용됩니다. 이는 헬륨가 분자 크기가 작고, 비활성 기체이며, 대기 중에서도 존재하는 희귀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서 누설된 헬륨 기체는 누설을 쉽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설 시험방법(KS B 5648)에서, 가압법과 덮개법을 같이 사용하며, 헬륨을 모아서 검지하므로 작은 누출 탐지에 유리한 검사법은?

  1. 가압 적분법
  2. 흡입 탐침법
  3. 헬륨 누출 검지법
  4. 헬륨 분사법
(정답률: 36%)
  • 가압 적분법은 압력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출이 발생하면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측정하여 누출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누출이 작은 경우에도 민감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헬륨을 모아서 검지하는 헬륨 누출 검지법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작은 누출 탐지에 유리한 검사법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포형성용액 적용 후 진공상자를 배치한다.
  2. 세척용 비누는 기포형성용액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기포형성용액은 붓칠로 적용할 수 있다.
  4. 높은 압력 쪽에 기포형성용액을 적용한다.
(정답률: 40%)
  • "높은 압력 쪽에 기포형성용액을 적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높은 압력 쪽에 기포형성용액을 적용하면, 누설이 발생하면 기포형성용액이 기포를 형성하여 누설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압력 쪽에 기포형성용액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규정된 초음파 누설 검출기 검사법에서 장비 교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은 검사에 사용될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2. 검출기의 감도는 검사 전후와 검사하는 동안 4시간 간격을 넘지 않고 측정해야 한다.
  3. 누설표준은 압력이 조정된 가스 공급기에 부착해야 한다.
  4. 교정하기 전에 검출기는 장비에 대하여 30분 이상 예열을 해야 한다.
(정답률: 34%)
  • "압력은 검사에 사용될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교정하기 전에 검출기는 장비에 대하여 30분 이상 예열을 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검출기가 장비와 같은 온도로 예열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철 보일러의 구조(KS B 6202)에 따라 증기보일러에 대한 수압시험을 수행할 때 규정된 시험 압력은?

  1. 100 kPa
  2. 200 kPa
  3. 300 kPa
  4. 400 kPa
(정답률: 49%)
  • 주철 보일러의 구조(KS B 6202)에 따르면, 증기보일러의 수압시험 압력은 1.5배의 설계압력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증기보일러의 설계압력이 133.3 kPa(1 kgf/cm²)라면, 수압시험 압력은 1.5배인 200 kP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 k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규정된 압력변화검사법에서 누설률 결정 수단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압력유지
  2. 대기압력
  3. 압력상승
  4. 절대압력
(정답률: 43%)
  • 압력변화검사법에서는 시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누설률을 결정합니다. 이 때, 대기압력은 시험 압력과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누설률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대기압력은 누설검사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규정된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 기포 형성 용액의 적용방법이 아닌 것은?

  1. 흘림(flowing)
  2. 침적(immersing)
  3. 분무(spraying)
  4. 솔질(brushing)
(정답률: 48%)
  •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는 기포 형성 용액을 사용하여 검사 대상 부위에 기포를 형성시키는데, 이때 기포 형성 용액을 검사 대상 부위에 침적시키는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들은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침적시키는 방법은 적용되지 않는다. 이는 침적시키는 방법은 검사 대상 부위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기포 형성 용액이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적시키는 방법은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참조 규격에 누설검사 방법이나 기법을 규정하는 경우, 참조 규격에 규정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검사원의 자격인증/인증
  2. 기법/교정 표준
  3. 허용 가능한 검사감도 또는 누설률
  4. 검사 장소/일자
(정답률: 38%)
  • 검사 장소/일자는 누설검사 방법이나 기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참조 규격에서 규정되어야 할 사항이 아니다. 검사 장소/일자는 검사를 수행하는 업체나 기관에서 결정하게 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따른 압력변화검사법에서 기기에 적용 가능한 최대 압력은?

  1. 설계 압력의 1.05배
  2. 설계 압력의 1.15배
  3. 설계 압력의 1.25배
  4. 설계 압력의 1.5배
(정답률: 48%)
  • 누설검사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이며, 이때 압력변화검사법을 사용합니다. 이 검사법에서는 기기 내부에 압력을 가하고,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을 유지한 후에 압력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이때 기기에 적용 가능한 최대 압력은 설계 압력의 1.25배입니다. 이는 기기가 설계된 압력 이상으로 압력을 가하면 기기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최대 압력을 1.25배로 제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으로 시험할 때 시험체 표면온도가 5℃~50℃의 범위를 벗어나 조건에서 검사가 가능한 경우는?

  1. 절차가 실증되는 것을 전제로 다른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
  2. 온도 관계없이 가열 또는 냉각하여 검사할 수 있다.
  3. 거품용액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시험 기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절차가 실증되는 것을 전제로 다른 온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기포누설검사-직접가압법으로 시험할 때 시험체 표면온도가 5℃~50℃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해당 검사 절차가 이전에 실증되어 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경우에는 다른 온도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즉, 이전에 검사 절차가 특정 온도 범위에서 검증되었다면, 다른 온도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압가스 실린더용 밸브(KS B 6214)에 따라 밸브 몸체에 대하여 내압시험을 실시할 때, 물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부속품의 경우에 사용될 수 없는 가압 기체는?

  1. 공기
  2. 질소
  3. 헬륨
  4. 염소
(정답률: 40%)
  • 염소는 물과 반응하여 염소산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여 내압시험을 실시할 때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고압가스 실린더용 밸브(KS B 6214)에 따라 밸브 몸체에 대하여 내압시험을 실시할 때는 염소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의 적용범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압된 상태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2. 진공된 상태에서 정성적으로 측정한다.
  3. 진공된 상태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4. 가압된 상태에서 정성적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36%)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의 적용범위는 진공된 상태에서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이는 헬륨 분자가 매우 작기 때문에 고압 상태에서는 다른 기체와 혼합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공 상태에서 측정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의거하여, 저장탱크에 대한 누설검사를 수행할 때, 밑판의 용접부에 대한 시험 압력은?

  1. 대기압보다 최소한 33.3 kPa 낮은 값
  2. 대기압보다 최소한 53.3 kPa 낮은 값
  3. 대기압보다 최소한 73.3 kPa 낮은 값
  4. 대기압보다 최소한 93.3 kPa 낮은 값
(정답률: 48%)
  • 용접식 강재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KS B 6225)에 의하면, 저장탱크의 밑판은 외부 압력에 대한 내구성을 갖추기 위해 일정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 이 때, 누설검사를 수행할 때는 저장탱크 내부에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밑판의 용접부에 대한 시험 압력은 저장탱크 내부 압력보다는 낮아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대기압보다 최소한 53.3 kPa 낮은 값"이다. 이는 저장탱크 내부 압력이 최소한 53.3 kPa 이상이라는 가정하에, 밑판의 용접부에 대한 시험 압력이 대기압보다 최소한 53.3 kPa 낮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 규정된 가압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흡입 탐침법
  2. 헬륨 분사법
  3. 덮개법
  4. 적분법
(정답률: 23%)
  • 가압법은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 "흡입 탐침법"은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압력을 유지한 후에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누출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흡입 탐침법"은 KS B 5648에서 규정된 가압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따른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 규정된 진공 유지시간은?

  1. 최소 5초
  2. 최소 10초
  3. 최소 20초
  4. 최소 30초
(정답률: 35%)
  • 진공 유지시간은 누설 검사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기포누설검사-진공상자법에서는 최소 10초의 진공 유지시간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서 기포가 충분히 모이고, 검사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누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더 짧은 유지시간으로는 충분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더 긴 유지시간은 검사 시간을 늘리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 10초의 진공 유지시간이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 규정된 실제 누출에 해당되는 것은?

  1. 흡착
  2. 탈착
  3. 틈새 누출
  4. 분리 누출
(정답률: 52%)
  •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에서는 용기 내부에 압력이나 진공을 가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누출이 있는지를 측정한다. 이때 실제 누출에 해당되는 것은 용기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누출이다. 틈새 누출은 용기의 구조상의 결함이나 조립 과정에서 생긴 미세한 간격에서 기체나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틈새 누출을 측정하여 용기의 누출 여부를 판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누설검사(ASME Sec.V Art.10)에 규정된 헬륨 질량분석기 검사-후드법으로 누설검사를 수행할 때 관련 규격에서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교정 누설표준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헬륨 누설률이 1×10-7 Pa·m3/sec 인 누설표준
  2. 최대 헬륨 누설률이 1×10-8 Pa·m3/sec 인 누설표준
  3. 최대 헬륨 누설률이 1×10-9 Pa·m3/sec 인 누설표준
  4. 최대 헬륨 누설률이 1×10-10 Pa·m3/sec 인 누설표준
(정답률: 36%)
  • 헬륨은 분자 크기가 작아 다른 기체에 비해 누설이 쉽습니다. 따라서 보일러나 압력용기와 같은 고압 기기에서는 누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누설검사를 수행하며, 이때 사용되는 누설표준은 최대 헬륨 누설률을 규정합니다.

    최대 헬륨 누설률이 1×10-7 Pa·m3/sec 인 누설표준이 옳은 이유는, 이 값이 현재 산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이 값 이하로 누설률을 유지하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이를 넘어서면 누설이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값을 규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질량 분석계를 이용한 압력 및 진공 용기 누출 시험 방법(KS B 5648)에서 진공 용기의 내벽과 용접 부위, 다공질의 재료로부터 나오는 기체의 방출이나, 용기 벽이나 부품으로부터의 탈착 등에 기인하여 생기는 누출을 정의한 용어는?

  1. 실제 누출
  2. 틈새 누출
  3. 가상 누출
  4. 투과 누출
(정답률: 49%)
  • "가상 누출"은 실제로는 누출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질량 분석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누출량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즉, 측정 도구의 오차나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해 생긴 가짜 누출로 해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