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화약취급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약 및 발파

1. 공업 뇌관용 뇌홍폭분 제조 시 풀민산 수은(Ⅱ)(Hg(ONC)2)와 염소산칼륨(KClO3)의 배합비율은?

  1. 94 : 6
  2. 80 : 20
  3. 20 : 80
  4. 6 : 94
(정답률: 알수없음)
  • 공업 뇌관용 뇌홍폭분은 수은(Ⅱ)과 염소산칼륨을 혼합하여 제조됩니다. 이때, 수은(Ⅱ)과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은(Ⅱ)과 염소산칼륨을 혼합하면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나며,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기체가 뇌관용 뇌홍폭분의 주성분입니다. 이 기체의 성질은 수은(Ⅱ)과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배합비율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험적으로 확인된 결과, 공업 뇌관용 뇌홍폭분의 최적 배합비율은 수은(Ⅱ) : 염소산칼륨 = 80 : 20 입니다. 이 비율에서 생성되는 기체는 안정적이면서도 충분한 폭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업 뇌관용 뇌홍폭분의 제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 :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니트로글리세린 약 얼마정도를 니트로글리콜로 대치하면 난동 다이너마이트라고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글리세린과 니트로글리콜은 화학적으로 유사하지만, 니트로글리콜은 더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니트로글리세린을 일정 비율로 니트로글리콜로 대치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때, 난동 다이너마이트는 니트로글리세린과 니트로글리콜을 혼합한 것으로, 이 중 니트로글리세린의 비율이 10%인 경우에 난동 다이너마이트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뇌관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뇌관은 관체와 내관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기폭 약 및 첨장약이 충전되어 있다.
  2. 뇌관의 규격은 안지름 6.2㎜, 바깥지름 6.5㎜로 되어있다.
  3. 전기뇌관은 보통 공업뇌관에 전교 장치를 한 것이다.
  4. 기폭약으로 풀민산수은(II)를 사용할 때의 뇌관의 관체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폭약으로 풀민산수은(II)를 사용할 때의 뇌관의 관체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며, 추가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조건에서 폭약의 선택이 가장 올바른 것은?

  1. 수분이 있는 곳에서는 내열성 폭약을 사용한다.
  2. 장공폭파에는 비중이 큰 폭약을 사용한다.
  3. 굳은 암석은 동적효과가 적은 폭약을 사용한다.
  4. 강도가 큰 암석은 에너지가 큰 폭약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가 큰 암석은 폭발에 대한 저항력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가 큰 폭약을 사용하여 충분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암석의 폭파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수는?

  1. 누두계수
  2. 암석계수
  3. 전색계수
  4. 폭약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계수는 암석의 폭파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계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폭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거나, 폭파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암석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심빼기 발파에서 평행공 심발법에 해당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노르웨이 심빼기
  2. 부채살 심빼기
  3. 코로만트 심빼기
  4. 피라미드 심빼기
(정답률: 알수없음)
  • 평행공 심발법은 공을 평행하게 날리는 기술로, 공이 떨어지기 전에 바닥에 닿는 각도를 최소화하여 공의 비행거리를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중에서 코로만트 심빼기는 공을 높게 올려서 평행하게 날리는 기술로, 공의 비행거리를 늘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코로만트 심빼기가 평행공 심발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터널 개착법으로 암반이 연약하고 지압이 큰 곳이나 도시의 지하철 공사장에서 많이 사용되며 우리나라에서도 1982년 서울 지하철공사에서 도입한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쉴드공법
  2. NATM 공법
  3. 개착공법
  4. TBM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서울 지하철공사에서 도입한 방법은 NATM 공법입니다. 이는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터널 개착법으로, 암반이 연약하고 지압이 큰 지역에서 사용되며, 지하철 공사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NATM은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의 약자로, 암반을 파내면서 동시에 지반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 방법은 지하철 공사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배면만이 모암과 접촉된 암체는 몇 자유면인가?

  1. 3 자유면
  2. 4 자유면
  3. 5 자유면
  4. 6 자유면
(정답률: 알수없음)
  • 배면만이 모암과 접촉된 암체는 5 자유면입니다. 이는 모암이 4면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체의 배면과 모암의 4면체 중 4면이 만나는 부분에 1면이 추가되어 5 자유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기발파의 결선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직렬결선
  2. 직병렬결선
  3. 병렬결선
  4. 조합결선
(정답률: 알수없음)
  • 조합결선은 직렬결선과 병렬결선을 혼합한 방법으로,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적절히 조합하여 최적의 전기적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결선 방법들보다 더 많은 부품을 사용하고, 더 복잡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거리가 먼 경우에도 전기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명전압 20[V], 전류 1.2[A], 내부저항 3.0[Ω]인 소형 발파기를 사용하여 1.2m 각선이 달린 뇌관 6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50m 거리에서 발파하려고 할 때 소요전압은? (단, 전기뇌관 1개의 저항 0.97[Ω], 모선 1m의 저항은 0.021[Ω]이다.)

  1. 11.104[V]
  2. 12.104[V]
  3. 13.104[V]
  4. 14.104[V]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뇌관 6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기뇌관의 저항이 6배가 되므로 0.97[Ω] x 6 = 5.82[Ω]이 됩니다. 또한, 모선 1m의 저항이 0.021[Ω]이므로 50m의 모선 저항은 50 x 0.021[Ω] = 1.05[Ω]이 됩니다.

    따라서, 전류는 I = V / (R1 + R2) = 1.2[A]가 되고, 전압은 V = I x (R1 + R2) = 1.2[A] x (5.82[Ω] + 1.05[Ω]) = 8.376[V]가 됩니다. 하지만, 내부저항 3.0[Ω]을 고려해야 하므로, 전압은 V = I x (R1 + R2 + R3) = 1.2[A] x (5.82[Ω] + 1.05[Ω] + 3.0[Ω]) = 13.104[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104[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너비가 18m, 높이가 7.5m인 터널에서 Smooth Blasting(스무스 블라스팅)을 실시하려고 한다. Decoupling(디카플링)지수를 1.6으로 하고, 천공지름을 45㎜로 하였을 때 적당한 폭약의 지름은 대략 몇 ㎜인가?

  1. 17
  2. 22
  3. 25
  4. 28
(정답률: 알수없음)
  • Smooth Blasting에서는 폭약의 지름이 천공지름의 1.1배에서 1.3배 사이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폭약의 지름을 45㎜의 1.2배인 54㎜로 가정하고 계산해보자.

    터널의 단면적은 너비와 높이를 곱한 값인 18m x 7.5m = 135m²이다. 이 단면적에 대해 디카플링 지수를 곱하면 폭약의 적정 중량을 구할 수 있다. 디카플링 지수가 1.6이므로 폭약의 적정 중량은 135m² x 1.6 = 216kg이다.

    폭약의 밀도는 대략 1.3g/㎤이므로, 폭약의 부피는 216kg ÷ 1.3g/㎤ = 166,154㎤이다. 이 부피에 대해 구의 부피 공식을 적용하면 폭약의 지름을 구할 수 있다.

    V = (4/3)πr³
    166,154㎤ = (4/3) x 3.14 x r³
    r³ = 166,154㎤ ÷ (4/3) x 3.14
    r³ = 33,230.8
    r = 28.1

    따라서, 폭약의 지름은 대략 28㎜이다. 디카플링 지수와 천공지름 등의 조건에 따라 폭약의 지름이 약간 다를 수 있지만, 가장 근접한 답은 "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암석의 간접인장시험법(Brazilian test)에 의하여 인장강도 측정시 알맞는 식은? (단, St : 인장강도, P : 최대하중, D : 시험편의 지름, L : 시험편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간접인장시험법(Brazilian test)에서는 시험편을 두 개의 반원형으로 나누어 하중을 가해 인장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St = 2P / πD L

    여기서, P는 최대하중, D는 시험편의 지름, L은 시험편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인장강도를 계산하는 식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면파괴가 일어나는 원인 중 흙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1. 건물, 물, 눈과 같은 외력의 작용
  2. 굴착에 의한 흙의 일부의 제거
  3. 지진, 폭파 등에 의한 진동
  4. 수분증가에 의한 점토의 팽창
(정답률: 알수없음)
  • 수분증가에 의한 점토의 팽창은 흙 내부의 미세한 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점토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게 되어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입니다. 이로 인해 흙이 약해져 사면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와 관련이 깊은 것은?

  1. 동적효과
  2. 정적효과
  3. 압축효과
  4. 팽창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는 정적효과와 관련이 깊습니다. 이는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하면서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주변 공기가 압축되고, 이로 인해 정적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정적효과는 전하가 물체에 축적되는 현상으로, 이는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이나마이트를 장기간 저장하면 NG과 NC의 콜로이드화가 진행되어 내부의 기포가 없어져서 다이나마이트는 둔감하게 되고 결국에는 폭발이 어렵게 된다. 이와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고화
  2. 노화
  3. 초화
  4. 니트로화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나마이트가 장기간 저장되면 내부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면서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노화라고 합니다. 노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고 물질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이나마이트가 노화되면 폭발성이 떨어져 폭발이 어려워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흑색화약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합화약류이다.
  2. 폭발할 때에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3. 주성분은 질산칼륨, 황, 숯이다.
  4. 도화선의 심약, 발사약의 점화약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흑색화약은 폭발할 때 연기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인 화약과 달리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주성분인 질산칼륨, 황, 숯이 산화되어 발생하는 가스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흑색화약은 비교적 깨끗한 폭발을 일으키며, 도화선의 심약, 발사약의 점화약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약의 감도시험법이 아닌 것은?

  1. 낙추시험
  2. 가열시험
  3. 순폭시험
  4. 마찰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의 감도시험법 중에서 가열시험은 감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화약이 가열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는 시험법이기 때문에 감도시험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열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통 시험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전기뇌관과 약포와의 결합 여부
  2. 전기뇌관 백금선의 연결누락 여부
  3. 모선과 보조선과의 연결누락 여부
  4. 보조모선과 각선과의 연결누락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보기는 전기뇌관 시험과 관련된 보기들이다. 하지만 "전기뇌관과 약포와의 결합 여부"는 전기뇌관 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보기이다. 따라서, 이 보기가 도통 시험의 목적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RQD(암질지수)값에 의한 현지암의 분류에서 RQD가 91∼100%일 때의 암질은?

  1. 불량
  2. 보통
  3. 양호
  4. 극히 양호
(정답률: 알수없음)
  • RQD 값이 91~100%인 경우, 암체의 연속성이 매우 높고 균일하며, 암체 내부의 균열이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태는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매우 유리하며, 공사나 지하공간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를 "극히 양호"한 암질로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계단식 노천 발파시 암석비산의 중요한 원인으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단층, 균열, 연약면 등에 의한 암석의 강도저하
  2. 과다한 장약량
  3. 초시가 빠른 비전기식 뇌관 사용
  4. 점화순서의 착오에 의한 지나친 지발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계단식 노천 발파는 암석을 폭발시켜 분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초시가 빠른 비전기식 뇌관을 사용합니다. 이는 폭발을 일으키는 뇌관이 빠르게 작동하여 폭발 시간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점화순서의 착오나 지나친 지발시간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21. 누두공 시험발파 결과 장약량이 2.0kg일 때 누두지수가 1.5가 되어 과장약이 되었다. 최소저항선을 동일하게 하였을 때의 표준장약량은 몇 kg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누두지수가 1.5일 때의 누두지수 함수의 값은 2.69이다.)

  1. 0.543kg
  2. 0.643kg
  3. 0.743kg
  4. 0.843kg
(정답률: 알수없음)
  • 누두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누두지수 = (포화압력 / 최소저항선)^(3/2)

    누두공 시험발파 결과에서 누두지수가 1.5일 때, 포화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 = (포화압력 / 최소저항선)^(3/2)

    포화압력 = 1.5^(2/3) * 최소저항선

    포화압력 = 1.5^(2/3) * 2.0 = 2.69

    따라서, 최소저항선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누두지수를 1.5에서 2.0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포화압력을 2.69에서 4.0으로 높여야 한다.

    2.0 = (4.0 / 최소저항선)^(3/2)

    최소저항선 = 4.0 / 2.0^(2/3) = 0.743kg

    따라서, 표준장약량은 0.743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심부에서 심빼기 발파를 먼저하고 그 중심부에서 주위로 확대해 가면서 점화시키며 지하공동 굴착시 과파쇄를 막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조절 발파법은?

  1. 라인드릴링방법(Line drilling method)
  2. 쿠션블라스팅법(Cushion blasting method)
  3. 프리스프리팅법(Presplitting method)
  4. 스무드월블라스팅법(Smooth wall blasting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스무드월블라스팅법은 중심부에서 심빼기 발파를 먼저하고 그 중심부에서 주위로 확대해 가면서 점화시키며 지하공동 굴착시 과파쇄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조절 발파법입니다. 이 방법은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파와 진동을 최소화하여 지하공동 굴착시 발생하는 과파쇄를 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무드월블라스팅법은 지하공동 굴착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발파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너지 중에는 탄성파로 변환되어 발파진동으로 소비된다.
  2. 지반진동은 변위, 입자속도, 가속도의 3성분과 주파수로 표시된다.
  3.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은 수직방향, 진행방향, 접선방향으로 이루어진다.
  4. 발파진동의 진동주파수 대역은 1Hz정도 또는 그 이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진동의 진동주파수 대역은 1Hz정도 또는 그 이하이다."가 틀린 것이다. 발파진동의 진동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으로 1Hz 이상이며, 대부분은 10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다. 이는 발파에 사용되는 폭약의 양과 폭발 위치, 지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화약류 및 발파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교질 다이너마이트 동결온도는 8℃ 이다.
  2. 뇌관의 납판시험에 사용되는 납판두께는 4mm 이다.
  3. 발파계수(c)는 암석계수,전색계수,폭약계수와 관련이 깊다.
  4. 안내판에 따라 천공하는 심빼기 발파는 노르웨이 커트(Norway Cut)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내판에 따라 천공하는 심빼기 발파는 노르웨이 커트(Norway Cut)법이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심빼기 발파는 노르웨이 커트(Norway Cut)법과 미국 커트(American Cut)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내판에 따라 천공하는 심빼기 발파는 노르웨이 커트(Norway Cut)법이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에 열거한 항목 중 단순사면에서 사면선단파괴(toe failure)가 일어날 수 있는 경우는?

  1. 기초지반 두께가 작을 때 또는 성토층이 여러 종류일 때
  2. 사면이 급하고 점착력이 작을 때
  3. 사면이 급하지 않고, 점착력이 크고, 기초지반이 깊을 때
  4. 사면의 하부에 굳은 지층이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사면이 급하고 점착력이 작을 때는 지반의 중력에 의해 사면이 아래로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때, 지반의 마찰력이 부족하면 사면이 미끄러져서 사면선단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면이 급하고 점착력이 작을 때는 단순사면에서 사면선단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발파를 끝낸 후 발파장소에 접근할 수 있는 시간은? (단, 최소시간)

  1. 도화선 발파시 15분 이상 경과 후
  2. 전기 발파시 5분 이상 경과 후
  3. 도화선 및 전기 발파시 30분 이상 경과 후
  4. 도화선 발파시 45분 이상 경과 후
(정답률: 알수없음)
  • 대발파를 끝낸 후 발파장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안전을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야 합니다. 이는 발파로 인해 발생한 폭발물이 완전히 소멸하고, 발파로 인한 위험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화선 발파시 15분 이상, 전기 발파시 5분 이상 경과 후에는 아직 안전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선택지에서는 이를 제외한 "도화선 및 전기 발파시 30분 이상 경과 후"가 최소시간으로 정답이 됩니다. 물론, 실제로는 발파규모와 상황에 따라 안전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항상 전문가의 판단과 안전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약류 운반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화약류는 주변이 한가한 야간에 싣는다.
  2. 도폭선 1500m를 자동차로 운반할 경우에는 그 차량에 경계요원을 태우지 않아도 된다.
  3. 화약류를 다룰 때는 철재 갈고리를 사용해야 한다.
  4. 뇌홍 및 뇌홍을 주로 하는 기폭약은 수분 또는 알코올분이 23% 정도 머금은 상태로 운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운반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 중 "도폭선 1500m를 자동차로 운반할 경우에는 그 차량에 경계요원을 태우지 않아도 된다."는 올바른 내용이 아닙니다. 이유는 화약류 운반 시 안전을 위해 경계요원이 반드시 동승하여 운반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화약류의 제조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은 제조소마다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행정자치부장관
  2. 경찰청장
  3. 지방경찰청장
  4. 경찰서장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위험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제조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은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경찰청은 위험물 관리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찰청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화약류 사용자가 행하여야 되는 내용 중 올바른 것은?

  1. 화약류 사용 상황을 다음달 1일에 관할 경찰서장을 거쳐 허가관청에 보고 하여야 한다.
  2. 화약류 사용 상황을 다음달 7일까지 관할 경찰서장을 거쳐 허가관청에 보고 하여야 한다.
  3. 화약류 사용 상황을 매월 말일에 관할 경찰서장을 거쳐 허가 관청에 보고 하여야 한다.
  4. 화약류 사용 상황을 다음달 5일이내에 관할 경찰서장에게 보고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화약류 사용 상황을 다음달 7일까지 관할 경찰서장을 거쳐 허가관청에 보고 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화약류 사용 신고는 사용 예정일 7일 전까지 보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화약류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다음달 1일이나 매월 말일, 다음달 5일이내에 보고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피뢰침 및 가공지선을 피보호건물로부터 독립하여 설치할 경우 피뢰침 및 가공지선의 각 부분은 피보호건물로부터 몇 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1. 1.5m
  2. 2.0m
  3. 2.5m
  4. 3.0m
(정답률: 알수없음)
  • 피뢰침 및 가공지선은 전기적으로 민감한 장비이므로 외부의 전기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보호건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 거리는 피뢰침과 가공지선의 종류, 전압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2.5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전기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거리로서 국내 전기안전규정에서 규정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폭선 100킬로미터를 폭약으로 환산하면?

  1. 1톤
  2. 2톤
  3. 3톤
  4. 4톤
(정답률: 알수없음)
  • 폭약의 폭발력은 폭약의 양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도폭선의 길이가 100킬로미터이므로, 이를 폭약으로 환산하려면 폭약의 양이 매우 많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폭약의 밀도는 1.5~1.7g/cm³ 정도이며, 1톤은 1000kg이므로 1톤의 폭약은 약 600~700리터 정도의 부피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100킬로미터의 도폭선을 폭약으로 환산하면 매우 큰 양의 폭약이 필요하며, 이를 고려하면 2톤의 폭약이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안정도시험의 결과보고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1. 시험실시 연월일
  2. 시험을 실시한 기기
  3. 시험을 실시한 화약류의 수량
  4. 시험을 실시한 화약류의 제조일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도시험의 결과보고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 "시험을 실시한 기기"입니다. 이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실시한 기기는 안정도시험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결과보고서에는 사용된 기기의 종류와 모델명 등이 기재됩니다. 그러나 이는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므로 결과보고서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약류제조, 관리보안 책임자 면허의 취소사유가 아닌 것은?

  1. 속임수를 쓰거나 옳지 못한 방법으로 면허를 받은 사실이 들어난 때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자격이 취소된 때
  3. 면허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 때
  4. 화약류를 취급함에 있어 고의 또는 과실로 폭발 사고를 일으켜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를 취급함에 있어 고의 또는 과실로 폭발 사고를 일으켜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한 경우는 화약류제조, 관리보안 책임자 면허의 취소사유입니다. 이는 화약류를 취급하는 책임자로서 안전한 취급과 관리를 보장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면허를 취소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면허를 받는 과정에서의 부정행위나 면허의 불법적인 사용 등과 관련된 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화약류 운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중 틀린 것은?

  1. 화약 10kg 이하
  2. 폭약 5kg 이하
  3. 전기뇌관 200개 이하
  4. 도폭선 100m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뇌관은 화약류가 아니라 전기기기로 분류되기 때문에 화약류 운반표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화약류취급소의 정체량 기준중 전기뇌관의 수량은?

  1. 6000개
  2. 5000개
  3. 4000개
  4. 3000개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취급소의 정체량 기준에 따라 전기뇌관의 수량은 3000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제로, 화약류를 다루는 과정에서 전기뇌관이 너무 많아지면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마그마의 분화에 따른 고결단계 중 제일 늦은 단계는?

  1. 기성단계
  2. 열수단계
  3. 정마그마단계
  4. 페그마타이트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마그마의 분화는 기성단계, 열수단계, 정마그마단계, 페그마타이트단계로 나뉩니다. 이 중에서 제일 늦은 단계는 열수단계입니다. 이는 마그마가 지하에서부터 지표면까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결정화되는 단계로, 마그마가 지하에서부터 지표면까지 상승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물질이 녹아들어가며 고결도 물질이 결정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수단계는 마그마의 분화 과정에서 가장 늦게 일어나는 고결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현정질이며 완정질인 광물의 입자로 구성된 화성암의 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입상조직
  2. 유리질조직
  3. 반상조직
  4. 행인상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입상조직은 현정질과 완정질이 혼합된 광물 입자로 이루어진 화성암의 조직을 말합니다. 이러한 입상조직은 화성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화성암의 특징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물의 유해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물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화학적 퇴적물
  2. 쇄설성 퇴적물
  3. 풍화적 퇴적물
  4. 유기적 퇴적물
(정답률: 알수없음)
  • 생물의 유해가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물은 대부분 유기적인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생물체의 유기물이 분해되어 퇴적물로 쌓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기적 퇴적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퇴적물은 오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리적, 무기화학적, 생화학적 변화를 받아 퇴적물의 성분과 조직에 변화가 생기면서 퇴적암으로 되는데 이러한 변화를 무엇이라 하는 가?

  1. 분화작용(differentitation)
  2. 교결작용(cementation)
  3. 속성작용(diagenesis)
  4. 재결정작용(recrystalliz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퇴적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환경적인 영향을 받게 되어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속성작용이라고 합니다. 속성작용은 퇴적물의 조직과 성분에 변화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퇴적암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속성작용은 퇴적암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분화작용은 용암이나 마그마에서 일어나는 작용이고, 교결작용은 퇴적물 입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굳어지는 작용입니다. 재결정작용은 결정의 크기나 모양이 변하는 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셰일이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암석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2. 슬레이트 → 편암 → 편마암 → 천매암
  3. 슬레이트 → 편마암 → 편암 → 천매암
  4. 슬레이트 → 편암 → 천매암 → 편마암
(정답률: 알수없음)
  • 슬레이트는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가장 초기의 암석이며, 이후 천매암이 생성됩니다. 천매암은 슬레이트에서 변성작용이 더욱 진행되어 미세한 혈액마개질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편암이 생성되는데, 이는 천매암에서 더욱 강한 변성작용이 일어나면서 혈액마개질체가 더욱 선명하게 발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마지막으로 편마암은 편암에서 더욱 강한 변성작용이 일어나면서 혈액마개질체가 거의 완전히 변성되어 혈액마암이 형성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 및 지질

41. 변성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규산염 광물은?

  1. 인회석
  2. 석류석
  3. 황철석
  4. 방연석
(정답률: 알수없음)
  • 변성작용은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인해 암석이 변화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규산염 광물 중에서 석류석은 고온 고압에서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께 결합하여 생성되는 광물입니다. 따라서 석류석이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규산염 광물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색광물과 무색광물이 서로 교대로 거친 줄무늬를 나타내는 구조는?

  1. 엽리
  2. 편리
  3. 엽상구조
  4. 편마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유색광물과 무색광물이 서로 교대로 거친 줄무늬를 나타내는 구조는 편마구조입니다. 이는 광물의 결정 구조 중 하나로, 유색광물과 무색광물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광물의 화학 조성과 결정 성장 조건에 따라 형성되며, 지질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원암과 변성암의 연결이 옳지 못한 것은?

  1. 현무암 - 대리암
  2. 사암 - 규암
  3. 화강암 - 편마암
  4. 셰일 - 점판암
(정답률: 알수없음)
  • 현무암은 퇴적암으로서, 대리암은 천연암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암이기 때문에 연결이 옳지 못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변성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가장 중요한 2가지 요인은?

  1. 압력, 온도
  2. 공극, 화학성분
  3. 밀도, 압력
  4. 물(H2O),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변성작용은 물질의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를 일어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압력과 온도입니다. 압력이 증가하면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져 분자 운동이 증가하고,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 운동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물질의 상태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압력과 온도는 변성작용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경사된 단층면에서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내려간 단층으로 장력에 의해 생성되는 것은?

  1. 역단층
  2. 주향단층
  3. 정단층
  4. 층상단층
(정답률: 알수없음)
  • 상반이 하반에 대해 아래로 내려간 단층으로 장력에 의해 생성되는 것은 정단층입니다. 이는 경사된 단층면에서 흐르는 물이 하류 방향으로 흐르면서 하류쪽으로 향하는 압력을 발생시켜 하류쪽으로 향하는 단층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압력은 상류쪽에서 하류쪽으로 향하는 압력 그라디언트(gradient)로 인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페름기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고생대
  2. 중생대
  3. 신생대
  4. 시생대
(정답률: 알수없음)
  • 페름기는 고생대에 속합니다. 고생대는 지구 역사상 가장 오래된 시대로, 약 45억년 전부터 5억년 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지구 내부에서 활발한 화산활동과 대규모 지진 등 지질적인 변동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대량의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페름기는 이러한 환경에서 진화한 생물들이 많이 발견되는 시기로, 고생대의 대표적인 시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지질도상에 주향과 경사가 수평인 지층의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질도상에 주향과 경사가 수평인 지층은 평평한 지형을 나타내며, 이는 ""와 같이 수평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향과 경사가 기울어져 있거나,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산암이 유동하여 굳어질 때 가지게 되는 평행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괴상구조
  2. 유상구조
  3. 유동구조
  4. 호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화산암이 유동하여 굳어질 때 가지게 되는 평행구조를 유상구조라고 합니다. 이는 화산암이 유동할 때 표면에 형성되는 주름 모양의 구조를 말하며, 이 구조가 굳어짐으로써 화산암의 평행한 층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화성암의 종류로 이루어진 것은?

  1. 화강암, 규암, 사암, 역암
  2. 유문암, 조면암, 현무암, 섬록암
  3. 석회암, 응회암, 각력암, 규조토
  4. 편마암, 천매암, 대리암, 편암
(정답률: 알수없음)
  • 유문암, 조면암, 현무암, 섬록암은 모두 화성암의 종류로 분류되는 암석들입니다. 이들은 모두 화성에서 생성된 암석으로, 화성암의 특징인 고온 고압에서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종류는 화성암이 형성된 환경과 조성에 따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석영, 장석, 운모로 이루어진 화강암은 다음 어디에 해당되는가?

  1. 염기성암과 심성암에 해당된다.
  2. 염기성암과 화산암에 해당된다.
  3. 중성암과 반심성암에 해당된다.
  4. 산성암과 심성암에 해당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성암과 심성암에 해당된다." 입니다.

    화강암은 석영, 장석, 운모 등의 광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광물은 모두 굳어진 용암이나 마그마에서 결정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이러한 화강암은 대개 심성암이나 산성암으로 분류됩니다.

    산성암은 광물 조성이 규산염, 알칼리성 광물, 희토류 원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성암은 광물 조성이 규산염, 희토류 원소, 철, 마그네슘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화강암은 이러한 광물 조성으로 인해 산성암과 심성암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 )안의 a와 b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1. MgO , 구조
  2. CaO , 반점
  3. FeO , 압력
  4. SiO2 ,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는 암석의 광학 현미경 사진입니다. 이 사진에서 보이는 물질은 광학적으로 양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SiO2와 같은 광학적으로 양극성을 가지는 물질이 조직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iO2 ,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색광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화강암을 무엇이라 하는 가?

  1. 구상화강암
  2. 반상화강암
  3. 세립질화강암
  4. 우백질화강암
(정답률: 알수없음)
  • 우백질화강암은 유색광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화강암으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색 또는 연한 회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화강암이 형성될 때 유색광물이 많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지질 단면도에서 화성암체 A의 명칭은?

  1. 암맥
  2. 저반
  3. 병반
  4. 광맥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암체 A는 병반입니다. 이는 지질학에서 암석 내부에서 발생한 균열로, 암석이 깨어져서 생긴 것입니다. 이러한 균열은 지하수나 유체가 흐르면서 암석 내부에 침투하고, 암석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질학에서는 이러한 균열을 중요한 지질 구조물로 간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유기적 퇴적암이 아닌 것은?

  1. 석고
  2. 석탄
  3. 쳐트
  4. 규조토
(정답률: 60%)
  • 석고는 화학적으로 유기물이 아닌 무기물로서, 유기적 퇴적암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기물이나 유기물로부터 생긴 퇴적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강성지층과 연성지층이 교호하는 곳에서 횡압력을 받을 때 그림과 같이 주름이 생기는 습곡은?

  1. 복배사
  2. 복향사
  3. 배심습곡
  4. 드래그습곡
(정답률: 알수없음)
  • 강성지층과 연성지층이 교호하는 지점에서 횡압력을 받으면, 연성지층이 강성지층 위로 미끄러지면서 주름이 생기게 됩니다. 이때, 연성지층이 강성지층 위로 미끄러지는 방향이 수직 방향과 일치하면 복배사,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이 직각이면 복향사, 수직 방향과 일직선 상에 있으면 배심습곡,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이 평행하면 드래그습곡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이 평행하므로 정답은 "드래그습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단층을 확인하는 증거가 아닌 것은?

  1. 단층활면
  2. 단층점토
  3. 단층각력
  4. 유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유상구조는 지하수나 바닥퇴적물 등으로 인해 지반 내부에 있는 암석이 부식되어 생긴 구조물로, 단층을 확인하는 증거가 아닙니다. 단층활면, 단층점토, 단층각력은 지반 내부의 암석이나 퇴적물이 단층으로 나뉘어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변성암에 바늘 모양의 광물이나 주상의 광물이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특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엽리
  2. 선구조
  3. 편리
  4. 편마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선구조는 바늘 모양의 광물이나 주상의 광물이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특징을 말합니다. 이는 광물의 결정 구조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변성암에 바늘 모양의 광물이나 주상의 광물이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선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화산회가 쌓여서 만들어진 화성 쇄설암은?

  1. 현무암
  2. 편암
  3. 석회암
  4. 응회암
(정답률: 알수없음)
  • 화산활동으로 인해 쌓인 화산재가 물결치듯 쌓여서 만들어진 쇄설암을 응회암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회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둥근 자갈들의 사이를 모래나 점토가 충진하여 교결케 한 자갈 콘크리트 같은 암석은?

  1. 각력암
  2. 사암
  3. 역암
  4. 셰일
(정답률: 80%)
  • 둥근 자갈들이 교결되어 만들어진 암석을 역암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갈이나 모래 등이 물에 의해 운반되어 적층되고, 그 위에 또 다른 층이 쌓이면서 압력과 온도가 증가하면서 교질화되어 만들어진 암석입니다. 따라서 역암은 퇴적암 중 하나로, 각력암이나 사암과는 구성과 형성 과정이 다릅니다. 셰일은 퇴적암 중 하나이지만, 역암과는 구성과 형성 과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현무암질 마그마가 냉각될 때 광물들의 생성순서를 보여주는 보웬(Bowen)의 반응계열은?

  1. 감람석 → 휘석 → 각섬석 → 흑운모
  2. 감람석 → 각섬석 → 흑운모 → 휘석
  3. 각섬석 → 감람석 → 흑운모 → 휘석
  4. 각섬석 → 감람석 → 휘석 → 흑운모
(정답률: 알수없음)
  • 보웬의 반응계열은 현무암질 마그마가 냉각될 때 광물들이 생성되는 순서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감람석 → 휘석 → 각섬석 → 흑운모" 순서는 감람석이 가장 먼저 생성되고, 그 다음으로 휘석, 각섬석, 흑운모가 순서대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감람석이 냉각속도가 빠른 광물이고, 흑운모가 냉각속도가 느린 광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각속도가 빠른 감람석이 먼저 생성되고, 냉각속도가 느린 흑운모는 나중에 생성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