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2-12)

화약취급기능사
(2012-02-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약 및 발파

1. 다음 중 암반사면의 파괴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평면파괴
  2. 취성파괴
  3. 쐐기파괴
  4. 전도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취성파괴"입니다.

    취성파괴는 암반 내부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괴 현상으로, 암석 내부의 미량한 물질이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암석 구조를 파괴시키는 것입니다.

    반면, 평면파괴는 암석 내부의 약한 평면 구조를 따라 파괴되는 것이고, 쐐기파괴는 암석 내부의 쐐기 모양 구조를 따라 파괴되는 것입니다. 전도파괴는 암석 내부의 결함이나 균열을 따라 파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발파대상 암반의 표준 장약랴을 구하기 위한 시험발파(crater test)에서 장약량 0.75kg, 최소저항선 0.7m 조건으로 시험한 결과 누두지수가 1.05였다면 이 암반에 대한 표준장약량은? (단, 기타 조건은 동일하며, Dambrun의 누두지수 함수 이용)

  1. 1.12kg
  2. 0.78kg
  3. 0.67kg
  4. 0.55kg
(정답률: 알수없음)
  • 누두지수는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크레이터의 지름과 깊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누두지수가 1.05라는 것은 폭발로 인해 발생한 크레이터의 지름이 깊이보다 약간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Dambrun의 누두지수 함수를 이용하여 표준장약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누두지수 = 1.2 × (장약량 / 최소저항선) ^ 0.2

    1.05 = 1.2 × (0.75 / 0.7) ^ 0.2

    누두지수 식을 장약량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장약량 = (누두지수 / 1.2) ^ 5 × 최소저항선

    따라서, 표준장약량을 구하기 위해 위의 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장약량 = (1.05 / 1.2) ^ 5 × 0.7

    장약량 = 0.67kg

    따라서, 이 암반에 대한 표준장약량은 0.67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무스 블라스팅을 위한 발파공의 지름이 45mm이고, 사용폭약은 정밀폭약으로 지름은 17mm일 때 디커플링 지수 (Eccoupling index)는 얼마인가?

  1. 0.4
  2. 1.5
  3. 2.7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디커플링 지수는 발파공과 사용폭약의 지름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디커플링 지수는 발파공의 지름을 사용폭약의 지름으로 나눈 값입니다.

    디커플링 지수 = 발파공 지름 / 사용폭약 지름 = 45mm / 17mm ≈ 2.7

    따라서 정답은 "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폭약을 장전하는 방법 중 역기폭과 비교하여 정기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공 발파에서 효과가 우수하다.
  2. 폭약을 다지기가 유리하다.
  3. 순폭성이 우수하다.
  4. 장전 폭약을 회수하는데 불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공 발파에서 효과가 우수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정기폭은 역기폭과 달리 폭약을 다지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폭약을 다지지 않고 사용합니다. 따라서 폭발 시 폭약의 효과가 덜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공 발파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발파작업장 주변에 전기공작물이 있어서 미주전류가 예상되거나 정전기, 낙뢰 등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뇌관은?

  1. 순발전기뇌관
  2. DS지발전기뇌관
  3. MS지발전기뇌관
  4. 비전기식뇌관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작업장 주변에는 전기공작물이 있어서 미주전류나 정전기, 낙뢰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뇌관은 비전기식뇌관입니다. 비전기식뇌관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 위험이 없으며, 또한 뇌관 내부에 전기적인 부품이 없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따라서 발파작업장 주변에서는 비전기식뇌관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조성에 의한 혼합 화약류의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니트라민류 : 헥소겐
  2. 질산염 화약 : 흑색화약
  3. 염소산염 폭약 : 스프링겔 폭약
  4. 과염소산염 폭약 : 칼릿
(정답률: 60%)
  • "니트라민류 : 헥소겐"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니트라민류는 질소와 아미노기를 함유한 화합물로, 대표적으로 TNT(TriNitroToluene)이 있습니다. 헥소겐은 탄화수소 중 하나로, 주로 연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니트라민류 : 헥소겐"은 조성에 의한 혼합 화약류의 분류로 옳지 않습니다.

    질산염 화약은 질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약으로, 흑색화약은 이 중에서도 흑색을 띠는 것을 말합니다. 염소산염 폭약은 염소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약으로, 스프링겔 폭약은 이 중에서도 스프링겔이라는 인명탄이 포함된 것을 말합니다. 과염소산염 폭약은 과염소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약으로, 칼릿은 이 중에서도 불꽃이 작은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폭약의 겉보기 비중과 감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폭약은 비중이 클수록 폭발속도나 맹도가 크다.
  2. 겉보기 비중이란 폭약량을 약포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3. 폭약은 비중이 작을수록 기폭하기 어렵다.
  4. 지지중 폭약은 탄광 및 장공 발파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폭약은 비중이 작을수록 기폭하기 어렵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폭약의 겉보기 비중이란, 폭약의 질량을 약포의 부피로 나눈 값으로, 폭약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겉보기 비중이 클수록 폭약의 밀도가 높아지므로, 폭발속도나 맹도가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폭약의 감도는 겉보기 비중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폭약의 감도는 폭발에 필요한 에너지와 관련된 것으로, 폭약의 조성과 제조과정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폭약은 비중이 작을수록 기폭하기 어렵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위무게에 대한 폭발염을 높이고, 폭발 후 일산화탄소의 생성을 막기 위해 제조하는 뇌홍폭분의 혼합비는?

  1. 뇌홍 : KNO3 = 80 : 20
  2. 뇌홍 : KClO3 = 80 : 20
  3. 뇌홍 : KNO3 = 70 : 30
  4. 뇌홍 : KClO3 = 70 : 30
(정답률: 알수없음)
  • KClO3은 염소와 산소를 함께 포함하고 있어서 연소 시 산소를 공급해주어 높은 폭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뇌홍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뇌홍의 폭발성을 높이고, 폭발 후 생성되는 일산화탄소의 양을 줄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홍과 KClO3의 혼합비가 80:20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초유폭약(ANFO)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산암모늄과 경유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2. 흡습성이 있어 장기저장이 어렵다.
  3. 뇌관으로 기폭이 가능하여 별도의 전폭약포가 필요없다.
  4. 석회석 및 채석 등 노천채굴에 사용하기가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유폭약(ANFO)은 질산암모늄과 경유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것은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뇌관으로 기폭이 가능하여 별도의 전폭약포가 필요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ANFO는 불완전한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전폭약포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ANFO는 흡습성이 있어 장기저장이 어렵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폭선의 내수시험에서 사용되는 도폭선의 길이과 수압 및 침수시간으로 옳은 것은?

  1. 길이 1.0m, 수압 0.1kg/cm2, 침수시간 1시간 이상
  2. 길이 1.3m, 수압 0.2kg/cm2, 침수시간 2시간 이상
  3. 길이 1.5m, 수압 0.3kg/cm2, 침수시간 3시간 이상
  4. 길이 2.0m, 수압 0.5kg/cm2, 침수시간 4시간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도폭선은 내수시험에서 수압과 침수시간에 따라 침수되는 정도가 결정됩니다.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많은 수압과 침수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길이 1.5m 이상이어야 충분한 내수시험이 가능하며, 수압은 0.3kg/cm2 이상, 침수시간은 3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이 1.5m, 수압 0.3kg/cm2, 침수시간 3시간 이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터널발파의 심빼기 공법 중 평행공 심빼기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라미드 심빼기
  2. 부채살 심빼기
  3. 노르웨이식 심빼기
  4. 코로만트 심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코로만트 심빼기는 평행한 두 개의 공을 이용하여 터널 내부의 흙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터널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이 빠르고 안전합니다. 따라서 터널발파 작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트렌치 발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유 송유관이나 가스 공급관 등을 묻기 위한 도량을 굴착하기 위한 발파이다.
  2. 계단의 높이에 비해 계단의 폭이 좁은 형태의 발파이다.
  3. 정상적인 계단식 발파보다 비장약량이 감소된다.
  4. 트렌치 발파에서 발파공은 경사천공을 실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상적인 계단식 발파보다 비장약량이 감소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트렌치 발파는 계단식 발파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발파를 진행하여 지면을 굴착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지하관로나 파이프 등을 묻기 위한 도량을 굴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트렌치 발파에서는 발파공이 경사천공을 실시하여 지면을 굴착합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계단식 발파보다 비장약량이 감소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트렌치 발파에서도 폭이 좁은 형태로 발파를 진행하기 때문에 발파에 필요한 양은 계단식 발파와 비슷하거나 더 많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렌치 발파에서도 충분한 안전조치와 안전장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발파 위험구역 안의 통행을 막기 위해서 배치하는 경계원에게 확인시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석의 상태 점검
  2. 경계하는 위치
  3. 경계하는 구역
  4. 발파 완료 후의 연락방버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 완료 후의 연락방버"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경계원은 발파 위험구역 안에서 통행을 막기 위해 경계하는 위치와 구역을 파악하고, 비석의 상태를 점검하여 안전한 구역으로 통행을 제한해야 합니다. 발파 완료 후에는 연락방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는 경계원의 주요 업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폭약의 폭발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열소열제로 옳은 것은?

  1. 염화나트륨(NaCl)
  2. 염화수소(HCl)
  3. 질산바륨(Ba(NO3)2)
  4. 질산칼륨(KNO3)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나트륨(NaCl)은 폭약의 폭발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감열소열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염화나트륨이 폭약과 반응하여 열을 흡수하면서 폭발온도를 낮추기 때문입니다. 또한 염화나트륨은 비교적 안전하고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는 감열소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발사약
  2. 파괴약
  3. 기폭약
  4. 화공품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폭발물질 중에서도 화학적 반응에 의해 폭발하는 화공품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리적인 충격이나 열에 의해 폭발하는 것들이지만, 화공품은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폭발하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폭약의 폭발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포의 지름
  2. 발파기의 용량
  3. 폭약의 양
  4. 폭약의 장전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기의 용량은 폭약의 폭발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닙니다. 발파기의 용량은 폭발시킬 수 있는 폭약의 양을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폭약의 폭발속도는 약포의 지름, 폭약의 양, 폭약의 장전밀도 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발파기의 용량은 폭약의 폭발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약의 폭발 생성 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를 설명하는 것은?

  1. 동적효과
  2. 정적효과
  3. 충격열효과
  4. 파열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의 폭발 생성 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는 정적효과입니다. 이는 가스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이로 인해 주변 공기 분자들이 움직이면서 정적인 압력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정적인 압력은 폭발이 일어난 지점 주변의 물체들을 밀어내거나 파괴하는 등의 효과를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 알칼리에 자연 분해되지 않는다.
  2. 건조하면 안전하나 습하면 타격이나 마찰에 의해 폭발한다.
  3. 에테르에 용해되지 않느다.
  4. 외관은 솜과 같고 암실에서 인광을 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셀룰로오스는 총알, 폭죽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외관은 솜과 같고 암실에서 인광을 발한다. 이는 니트로셀룰로오스가 높은 노화 안정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총알 등의 제조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측정시간 동안의 변동 소음에너지를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대수로 변환한 것으로 Leq dB로 표기하는 것은?

  1. 최고 소음 레벨
  2. 최저 소음 레벨
  3. 평균 소음 레벨
  4. 등가 소음 레벨
(정답률: 알수없음)
  • Leq는 "Equivalent Sound Level"의 약자로, 측정시간 동안의 변동 소음에너지를 시간적으로 평균하여 대수로 변환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측정시간 동안의 평균 소음 레벨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시간 동안의 소음 레벨 변화를 고려하여 평균화한 값입니다. 따라서 "등가 소음 레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유면에 평행한 여러개의 발파공을 구멍지름, 공간간격, 천공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전기뇌관으로 동시에 발파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할발파
  2. 지발발파
  3. 정밀발파
  4. 제발발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발발파는 자유면에 평행한 여러개의 발파공을 구멍지름, 공간간격, 천공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전기뇌관으로 동시에 발파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제발"은 "한 번에"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방법은 여러 개의 발파공을 한 번에 발사하기 때문에 "제발발파"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21. 발파 진동속도를 표시할 때 카인(kine)이라는 단위를 쓴다. 다음 중 1카인(kine)과 동일한 것은?

  1. 1cm
  2. 1cm/sec
  3. 1cm/sec2
  4. 1gal
(정답률: 알수없음)
  • 1카인(kine)은 1cm/sec/sec의 가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카인과 동일한 단위는 "1cm/sec2"입니다. "1cm/sec"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1카인과는 다른 단위입니다. "1cm"은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1gal"은 중력가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낙추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약의 폭발속도를 측정하는 시험
  2. 폭약의 충격감도를 측정하는 시험
  3. 폭약의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시험
  4. 폭약의 순폭도를 측정하는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낙추시험은 폭약의 충격감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는 폭약이 외부 충격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폭약의 폭발속도, 마찰계수, 순폭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발파진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로 인하여 발생하는 총 에너지 중에서 일부가 탄성파로 변환되어 발파진동으로 소비된다.
  2.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은 변위, 입자속도, 가속도와 주파수로 표시된다.
  3. 발파진동의 진동파형은 자연지진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
  4. 발파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1Hz 이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1Hz 이하가 아니라 1Hz 이상이다. 발파진동은 폭발이나 지하공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주로 1Hz에서 100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발파진동의 주파수 대역은 1Hz 이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최대 지름이 130cm, 최소 지름이 120cm인 암석을 소할발파할 때의 장약량은 얼마인가? (단, 발파계수 C의값은 0.01로 한다.)

  1. 120g
  2. 130g
  3. 144g
  4. 169g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최대 지름이 130cm, 최소 지름이 120cm이므로, 암석의 평균 지름은 (130+120)/2 = 125cm이다. 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V = (4/3)πr^3 = (4/3)π(125/2)^3 = 819,628.5cm^3

    암석의 밀도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석의 밀도인 2.7g/cm^3을 사용한다. 따라서, 암석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m = ρV = 2.7g/cm^3 x 819,628.5cm^3 = 2,214,052.95g

    암석을 소할발파할 때의 장약량은 다음과 같다.

    W = Cm = 0.01 x 2,214,052.95g = 22,140.53g = 22.14kg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그람(g)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kg을 g으로 변환해준다.

    22.14kg = 22,140g

    따라서, 암석을 소할발파할 때의 장약량은 22,140g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44g"가 아니므로, 정답은 "144g"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암반분류법인 Q분류법에서 Q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Q분류법에서 Q값은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Q = (RMR - 3) + 0.5 * GSI + 0.5 * mi * (D - 100)

    여기서 RMR은 암반강도지수, GSI는 지질학적인성지수, mi는 마찰각, D는 깊이를 나타냅니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RMR이 85, GSI가 60, mi가 0.6, D가 200으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Q값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Q = (85 - 3) + 0.5 * 60 + 0.5 * 0.6 * (200 - 100) = 82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운반표지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수량으로 옳은 것은?

  1. 10kg 이하의 폭약
  2. 200개 이하의 공업용뇌관 또는 전기뇌관
  3. 2만개 이하의 총용뇌관
  4. 100m 이하의 도폭선
(정답률: 80%)
  • 화약류의 운반표지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경우는 운반하는 화약류의 수량에 따라 다릅니다. 이 중에서도 100m 이하의 도폭선은 운반표지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수량으로, 이유는 도폭선이 작은 범위 내에서만 폭발하므로 주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0m 이하의 도폭선은 운반표지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수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약류를 수출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그때마다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경찰서장
  2. 지방경찰청장
  3. 경찰청장
  4. 행정안전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위험물로 분류되기 때문에 수출 또는 수입 시에는 안전관리를 위해 국가에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때, 화약류의 수출 또는 수입을 허가하는 기관은 경찰청입니다. 따라서, 화약류를 수출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화약류 운반신고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화약류 운반개시 12시간전까지 발송시 관할 경찰서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2. 화약류의 운반기간이 경과한 때에는 운반신고필증을 도착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해야 한다.
  3. 화약류를 운반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운반신고필증을 발송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할 필요가 없다.
  4. 화약류의 운반을 완료한 때에는 운반신고필증을 도착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운반을 완료한 경우, 운반신고필증을 도착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해야 합니다. 이는 운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다음 운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꽃불류저장소의 위치·구조 및 설비의 기준 중 저장소의 마루 밑에는 몇 개 이상의 환기통을 설치해야 하는가? (단, 지상 1급저장소에 준하는 환기통 임)

  1. 1개 이상
  2. 2개 이상
  3. 3개 이상
  4. 4개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꽃불류저장소는 가연성 물질이 많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화재 발생 시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환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저장소의 마루 밑에는 지상 1급저장소에 준하는 환기통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환기통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고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여 화재 발생 시 화염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2개 이상의 환기통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화약류의 정체 및 저장에 있어서 폭약 1톤에 해당하는 화공품의 환산수량으로 옳은 것은?

  1. 실탄 또는 공포탄 300만개
  2. 공업용뇌관 또는 전기뇌관 100만개
  3. 도폭선 100km
  4. 미진동파쇄기 10만개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성이 높은 물질로, 안전한 보관이 필요합니다. 이때, 폭약 1톤에 해당하는 화공품의 환산수량은 매우 많습니다. 이 중에서도 공업용뇌관 또는 전기뇌관 100만개가 옳은 이유는, 공업용뇌관이나 전기뇌관은 폭발성이 높은 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용기를 사용하여 폭약 1톤을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많은 양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기발파의 기술상의 기준 중 동력선 또는 전동선을 전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때에는 전선에 몇 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야 하는가?

  1. 4암페어 이상
  2. 3암페어 이상
  3. 2암페어 이상
  4. 1암페어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발파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체를 파괴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전류가 필요합니다. 전류가 낮으면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하지 못하고, 높으면 물체가 과열되어 파괴되기 전에 이미 녹아내리거나 증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선이나 동력선을 전원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충분한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 합니다. 이 때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량은 1암페어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원이라 함은 동시에 동일 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소 인원수를 말한다.
  2. 공실이라 함은 화약류의 제조작업을 하기 위하여 제조소 안에 설치된 건축물을 말한다.
  3. 정체량이라 함은 동일공실에 저장할 수 있는 화약류의 최대수량을 말한다.
  4. 보안물건이라 함은 화약류의 취급상의 위해로부터 보호가 요구되는 장비·시설 등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체량이라 함은 동일공실에 저장할 수 있는 화약류의 최대수량을 말한다. - 정체량은 저장 가능한 최대 수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화약류의 총량을 말한다. 따라서 법령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다.

    정원이라 함은 동시에 동일 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소 인원수를 말한다. - 정원은 한 장소에서 작업 가능한 최소 인원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한 공장의 정원이 50명이면, 그 공장에서는 최소 50명의 종업원이 일해야 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약류저장소가 보안거리 미달로 보안물건을 침범했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은?

  1. 허가취소
  2. 감량 또는 이전명령
  3. 6월 효력정지
  4. 3월 효력정지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저장소는 폭발물을 보관하는 곳으로, 보안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보안거리 미달로 인해 보안물건이 침범되었다면, 해당 화약류저장소의 운영자에게 행정처분이 내려집니다. 이때, 행정처분의 기준은 "감량 또는 이전명령"입니다. 이는 화약류저장소의 운영자에게 경고를 주고, 보안조치를 강화하도록 요구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허가취소", "6월 효력정지", "3월 효력정지"는 더 엄격한 처분으로, 화약류저장소의 운영을 중단시키거나 허가를 취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 설치할 수 있는 화약류저장소는?

  1. 1급 저장소
  2. 3급 저장소
  3. 장난감용 꽃불류저장소
  4. 도화선저장소
(정답률: 80%)
  • 화약류저장소는 화약류안전관리법에 따라 분류되며,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중 3급 저장소는 가장 낮은 등급으로, 화약류의 양과 종류에 제한이 있으며, 안전장치와 화재방지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어 일반적인 상업용 화약류저장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 설치할 수 있는 화약류저장소는 3급 저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화약류의 사용자를 관할하는 경찰서장의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화약류를 발파 또는 연소시킬 경우의 벌칙으로 옳은 것은? (단, 예외사하은 제외)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
  4. 300만원 이하의 벌금형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화약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찰서장의 사용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사용허가를 받지 않고 화약류를 발파 또는 연소시키는 경우에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적용됩니다. 이는 다른 보기에 비해 더 엄격한 처벌이며,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암석의 윤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석윤회는 지구의 내부, 외부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
  2. 암석윤회는 지구가 생성된 이래로 오랜 기간동안 계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3. 암석윤회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질시대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
  4. 암석윤회과정을 통하여 화성암은 퇴적암이 될 수 있고, 퇴적암은 변성암이 될수 있으며, 변성암은 화성암이 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윤회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질시대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지질시대마다 지구 내부 및 외부의 환경이 변화하면서 암석윤회에 소요되는 시간도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지질시대가 바뀌면서 지구 내부의 온도나 압력 등이 변화하면서 암석윤회에 소요되는 시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화성암의 주 구성 광물이다. 경도(굳기)가 가장 큰 것은?

  1. 석영
  2. 백운모
  3. 정장석
  4. 휘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석영"입니다.

    석영은 화성암의 주 구성 광물 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광물입니다. 이는 석영이 굉장히 단단하고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영은 화성암의 구성 요소 중에서 가장 튼튼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화성의 광물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쇄설성 조직을 나타내는 퇴적암은?

  1. 석회암
  2. 암염
  3. 역암
  4. 규조토
(정답률: 59%)
  • 정답: 역암

    설명: 역암은 쇄설성 조직에서 형성되는 퇴적암으로, 주로 강물이나 호수, 바다 등에서 퇴적된 흙, 모래, 자갈 등이 압축되어 형성됩니다. 이 때, 퇴적물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물이 제거되면서 결정화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석회암과 같은 결정질 구조를 갖게 됩니다. 따라서, 석회암과는 달리 역암은 결정질 구조를 갖지 않으며, 퇴적물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역암이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학 조성에 의한 화성암의 분로 중 산성암에 해당하는 암석은?

  1. 화강암
  2. 섬록암
  3. 현무암
  4. 감람암
(정답률: 알수없음)
  • 화강암은 광물 조성에서 규산염, 알칼리 희토암, 희토암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산성성분이 많은 암석입니다. 따라서 화학 조성에 따라 분류할 때 산성암에 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절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층, 습곡의 원인이 된다.
  2. 지표수가 지하로 흘러들어가는 통로가 된다.
  3. 풍화, 침식작용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된다.
  4. 채석장에서 암석 채굴시 절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층, 습곡의 원인이 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절리는 지표수가 지하로 흘러들어가는 통로가 되어 지하수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이로 인해 지하수가 풍화, 침식작용을 촉진시키며, 채석장에서 암석 채굴시 절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절리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 및 지질

41. 주향이 북에서 50°서, 경사가 북동으로 30°일 때 주향, 경사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주황, 경사의 순서임)

  1. S50°E, 30°SE
  2. E50°S, 30°ES
  3. N50°W, 30°NE
  4. W50°N, 30°EN
(정답률: 알수없음)
  • 주향이 북에서 50°서이므로 북쪽에서 서쪽으로 50°만큼 회전한 방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향은 N50°W가 됩니다.

    경사가 북동으로 30°이므로 북쪽에서 동쪽으로 30°만큼 회전한 방향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경사는 지표면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지면의 기울기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사는 북쪽에서 동쪽으로 30°만큼 기울어진 방향을 나타내는 NE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N50°W, 30°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습곡구조에서 구부러져 내려간 가장 낮은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배사
  2. 항사
(정답률: 알수없음)
  • 습곡구조에서 항사는 구부러져 내려간 가장 낮은 부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으로,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항사가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항공기의 비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흐른 무늬가 있는 암석이라는 뜻으로 화산에서 분출된 마그마가 흘러내리면서 굳어져서 평행구조를 가진 화산암은?

  1. 현무암
  2. 화강암
  3. 유문암
  4. 안산암
(정답률: 알수없음)
  • 유문암은 화산에서 분출된 마그마가 느리게 흐르면서 굳어져서 평행구조를 가지는 화산암으로, "흐른 무늬가 있는 암석"이라는 설명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그림에서 단층의 경사이동을 나타낸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층의 경사이동은 가중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경사하강법은 현재 위치에서 기울기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최적값을 찾는 방법입니다.
    - 단층의 경사이동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의 은닉층이 있는 신경망에서 사용됩니다.
    - 이 때, 은닉층의 뉴런 수가 많아지면 경사하강법을 사용하기 어려워집니다.
    - 따라서, 단층의 경사이동은 은닉층의 뉴런 수를 줄이고, 가중치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지각변동인 대보조산운동이 일어난 시기로 옳은 것은?

  1. 제3기
  2. 트라이아스기
  3. 페릉기
  4. 쥐라기
(정답률: 60%)
  • 정답은 "쥐라기"입니다. 대보조산운동은 지각층이 움직이면서 산맥이 형성되는 지질 현상을 말합니다. 쥐라기는 지구 역사상 가장 대규모의 대보조산운동이 일어난 시기로, 이때 힘센 지각변동으로 인해 유럽과 북아메리카 대륙이 분리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공룡들이 번성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지하 심부 암석이 침식을 받아 지표에 노출되면 암석에 작용하던 상부하중이 제거되면서 지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절리는?

  1. 신장절리
  2. 주상절리
  3. 판상절리
  4. 구상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 심부 암석이 침식을 받아 지표에 노출되면 암석에 작용하던 상부하중이 제거되면서 지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절리를 판상절리라고 합니다. 이는 지하 심부 암석이 지표면 아래에서 압력을 받아 변형되면서 형성된 구조물인데, 이 암석이 지표면으로 침식되면서 상부하중이 제거되면서 지표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판상절리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지질도에서 나타나는 부정합은 무엇인가?

  1. 평행부정합
  2. 사교부정합
  3. 비정합
  4. 준정합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질도에서 사각형 ABCD의 대각선 AC와 BD가 만나는 점을 O라고 하면, 삼각형 AOB와 COD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므로 부정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정합을 사교부정합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셰일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변성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형성되는 변성암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2. 천매암 → 편마암 → 슬레이트 → 편암
  3. 편암 → 천매암 → 편마암 → 슬레이트
  4. 편마암 → 편암 → 슬레이트 → 천매암
(정답률: 알수없음)
  • 슬레이트는 가장 낮은 변성정도를 가지며, 천매암은 슬레이트보다 변성정도가 높습니다. 편암은 천매암보다 변성정도가 높으며, 마지막으로 편마암은 가장 높은 변성정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변성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의 순서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현미경으로도 미정이 거의 발견되지 않고 전부 비결정질로 구성되어 있는 화성암의 조직은?

  1. 현정질 조직
  2. 입상 조직
  3. 유리질 조직
  4. 반상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질 조직은 미세한 결정이 없이 비결정질로 이루어져 있어 현미경으로도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화성암의 조직 중에서 현미경으로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은 유리질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성암체의 산출상태에 있어서 모암과 조화적 관입(concordant intrusion) 관계인 것은?

  1. 암상, 병반
  2. 암맥, 암상
  3. 암맥, 저반
  4. 암주, 저반
(정답률: 알수없음)
  • 모암과 조화적 관입 관계란, 화성암체 내에서 모암과 같은 종류의 암이 조화롭게 혼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 모암과 함께 나타나는 다른 종류의 암이 바로 병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암상, 병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규장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혹 석영의 반정을 가진다.
  2. 식물의 화석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3. 흰색이며 비현정질의 치밀한 암석이다.
  4. 화성암으로 산성암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암으로 산성암에 해당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규장암은 알칼리성 암석으로 분류됩니다.

    식물의 화석을 포함하는 이유는 규장암이 지방기름이나 유기물이 적은 환경에서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식물이나 동물의 화석이 잘 보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장암에서는 식물의 화석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야외에서 단층을 확인하는 증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단층점토
  2. 단층면의 주향·경사
  3. 단층각력
  4. 단층면의 긁힌 자국
(정답률: 70%)
  • 단층면의 주향·경사는 야외에서 단층을 확인하는 증거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단층면의 주향·경사가 단층의 형성 과정과는 무관하게 지형의 형태나 지하수의 흐름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층면의 주향·경사는 단층의 형성 과정을 파악하는 데는 유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습곡의 축면이 거의 수평으로 기울어져 있는 습곡은?

  1. 배심습곡
  2. 횡와습곡
  3. 향심습곡
  4. 동형습곡
(정답률: 알수없음)
  • 습곡은 지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축면이 거의 수평으로 기울어져 있는 습곡을 횡와습곡이라고 합니다. 이는 습지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가까운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빠르고 물이 많이 흐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횡와습곡은 물이 많이 흐르는 지형으로, 수직적인 기울기가 크지 않아서 농경지로 이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 )안에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냄새
  2. 경도
  3. 조흔색
  4. 투명도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는 물이 조흔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정답은 "조흔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접촉변성암에 해당하는 것은?

  1. 편암
  2. 혼펠스
  3. 편마암
  4. 천매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혼펠스"입니다.

    접촉변성암은 지열, 압력, 화학작용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존의 암종이 변성되어 생긴 암종을 말합니다.

    "편암"은 화강암의 일종으로, 접촉변성암이 아닙니다.

    "편마암"은 마암의 일종으로, 접촉변성암이 아닙니다.

    "천매암"은 천매암의 일종으로, 접촉변성암이 아닙니다.

    따라서, "혼펠스"는 접촉변성암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파쇄작용이 주원인이 되어 이루어진 변성암은?

  1. 규암
  2. 편암
  3. 대리암
  4. 압쇄암
(정답률: 알수없음)
  • 압쇄암은 파쇄작용이 주원인이 되어 이루어진 변성암입니다. 이는 암세포가 주변 조직을 침범하면서 압력을 가해 파쇄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따라서 압쇄암은 주로 조직의 경계를 침범하면서 생기는 암으로, 다른 보기인 규암, 편암, 대리암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고생대의 마지막 기(紀)는 어느 것인가?

  1. 페름기
  2. 데본기
  3. 캄브리아기
  4. 실루리아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고생대의 마지막 기는 페름기입니다. 이는 지질학적 시대 분류에서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시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카본기, 페름기, 산업기, 신생대로 구성된 고생대의 마지막 기간 중 가장 최근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페름기는 대량멸종이 일어난 시기로 유명하며, 이는 지구상에서 생명체의 다양성이 크게 감소한 시기로서 고생대의 종말을 대표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변성작용은 무엇인가?

  1. 접촉변성작용
  2. 열변성작용
  3. 파쇄변성작용
  4. 광역변성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에서는 모든 점들이 동일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보이므로, 이는 광역변성작용입니다. 광역변성작용은 모든 점들이 동일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되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단층은 무엇인가?

  1. 오버스러스트
  2. 성장단층
  3. 변환단층
  4. 계단단층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단층은 오버스러스트로 분류됩니다. 이는 바위층이 기울어져 있어서 상부에서는 더 이상 적층이 이루어지지 않고, 바위층이 노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이 단층은 상부에서는 평평하게 보이지만, 하부로 내려갈수록 바위층이 기울어져 있어서 더 깊은 곳으로 갈수록 더욱 높아지는 경사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 )안의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① MgO, ② 색상
  2. ① CaO, ② 반점
  3. ① FeO, ② 압력
  4. ① SiO2, ②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광석의 조직 구조이며, 이 광석은 SiO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①은 SiO2이고, ②는 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