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임산가공기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목재이학

1. 목재의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 하는 실용적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목재를 사용할 장소의 평형함수율에 알맞은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비중이 작고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판목판재보다는 정목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75%)
  •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목재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면 수축과 팽윤이 발생할 때 목재의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험재(sample board)의 건조전 함수율이 40%, 무게가 420g이었다. 어떤 건조시간에 시험재의 무게가 350g 이 되었다면 이때에 시험재의 함수율은?

  1. 약 12%
  2. 약 17%
  3. 약 22%
  4. 약 27%
(정답률: 67%)
  • 시험재의 건조전 무게를 W1, 건조전 함수율을 F1, 건조후 무게를 W2, 건조후 함수율을 F2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W1 x F1 = W2 x F2

    여기서 W1 = 420g, F1 = 40%, W2 = 350g이므로,

    420g x 0.4 = 350g x F2

    F2 = (420g x 0.4) / 350g

    F2 = 0.48

    즉, 시험재의 함수율은 약 48%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2%, 17%, 22%, 27%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7%를 선택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목재의 비저항(比抵抗)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의 비저항은 함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진다.
  2. 목재의 비저항은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3. 횡단면의 비저항은 섬유방향의 비저항보다 크다.
  4.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다.
(정답률: 53%)
  •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다. 이는 각 수종의 나무가 가지고 있는 섬유 구조와 밀도, 수분 함량 등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목재라도 수종에 따라 비저항이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목재의 수축률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

  1. 전수축률
  2. 함수율 1% 변화에 따른 수축률
  3. 생재상태에서 기건상태까지의 수축률
  4. 생재상태에서 섬유포화점 이상까지의 수축률
(정답률: 80%)
  • 정답은 "함수율 1% 변화에 따른 수축률"입니다. 이는 목재의 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목재의 상대습도가 1% 변화할 때마다 목재의 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생재상태에서 섬유포화점 이상까지의 수축률"은 목재가 처음 생산될 때의 상태에서 섬유포화점 이상까지의 수축률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목재의 수축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가 수축 또는 팽윤 될 때에 세포내강의 용적도 함께 비례하여 변한다.
  2. 목재의 수축과 팽윤은 길이방향,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낸다.
  3. 정상적인 수축과 팽윤은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에서 결합수의 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서 발생한다.
  4. 찌그러짐과 같이 수축 이방성에 따른 건조결함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높은 함수율에서도 발생한다.
(정답률: 49%)
  • "목재가 수축 또는 팽윤 될 때에 세포내강의 용적도 함께 비례하여 변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목재가 수축 또는 팽윤 될 때에는 세포내강의 용적은 변하지 않고, 세포벽의 구조 변화로 인해 목재의 크기가 변화한다. 이는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에서 결합수의 감소 또는 증가에 따라 발생한다. 목재의 수축과 팽윤은 길이방향, 방사방향 및 접선방향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내며, 찌그러짐과 같은 수축 이방성에 따른 건조결함은 섬유포화점 이상의 높은 함수율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목재 함수율을 측정하는 원리와 측정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전건법(全乾法)
  2. 목재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방법 – 추출법(抽出法)
  3.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습도법(濕度法)
  4.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전기식 수분계(電氣式 水分計)
(정답률: 46%)
  • 목재 함수율은 목재 내의 수분 함량과 밀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것은 수분 함량을 추정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기식 수분계는 목재 내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전기적인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목재 내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 – 전기식 수분계(電氣式 水分計)"가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재의 방향에 의한 열팽창 크기의 순서로 옳은 것은? (단, awℓ : 섬유방향, awr : 방사방향, awt : 접선방향)

  1. awt > awr > awℓ
  2. awt > awℓ > awr
  3. awr > awt > awℓ
  4. awℓ > awt >awr
(정답률: 64%)
  • 정답은 "awt > awr > awℓ"이다. 이유는 목재의 열팽창은 분자의 열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분자의 열운동은 주로 분자 간 충돌로 인해 전달된다. 따라서, 목재의 접선방향인 awt는 분자의 충돌이 가장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장 큰 열팽창이 발생하고, 방사방향인 awr는 충돌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awt보다는 작은 열팽창이 발생하며, 섬유방향인 awℓ은 충돌이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가장 작은 열팽창이 발생한다. 따라서, awt > awr > awℓ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재의 섬유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1,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 강도는 증가한다.
  2.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나, 자유수는 공극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함수율이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4. 일반적인 함수율은 30~45% 범위이다.
(정답률: 75%)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틀린 내용)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컨디셔닝(conditioning)의 처리시간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수종
  2. 재목의 두께
  3. 함수율
  4. 열전도
(정답률: 52%)
  • 컨디셔닝 처리시간은 재목의 두께, 수종, 함수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열전도는 그와는 관계가 적습니다. 열전도는 재목의 내부 열 전달 속도를 나타내는데, 컨디셔닝 처리시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목재의 기본밀도(basic density)를 구하는 올바른 방법은?

  1. 생재질량 / 기건부피
  2. 기건질량 / 기건부피
  3. 전건질량 / 생재부피
  4. 임의의 함수율에서의 질량 / 생재부피
(정답률: 60%)
  • 목재의 기본밀도는 전건질량(oven-dry weight)을 생재부피(green volume)로 나눈 값으로 구합니다. 이는 생재질량과 기건질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목재의 실제 밀도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건질량 / 생재부피"가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건조할 때 세포내강과 간극에 존재하여 가장 먼저 제거되는 수분은?

  1. 결합수
  2. 응축수
  3. 구조수
  4. 자유수
(정답률: 79%)
  • 자유수는 세포내강과 간극에 존재하는 수분 중에서 가장 쉽게 제거되는 수분입니다. 이는 다른 수분들과는 달리 분자 크기가 작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조할 때 가장 먼저 제거되는 수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률: 75%)
  • 헬륨가스는 분자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다른 치환매체에 비해 더욱 작은 공간까지 침투하여 실질 용적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헬륨가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른 치환매체에 비해 더욱 작은 공간까지 측정이 가능하므로, 진비중의 값이 더욱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 값은 1.4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목리방향(αt : αr : αl)간 수축율의 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αt : 접선방향, αr : 방사방향, αl : 섬유방향)

  1. 100 : 60 : 4
  2. 100 : 50 : 3
  3. 10 : 5 : 4
  4. 10 : 5 : 3
(정답률: 69%)
  • 수축율은 섬유방향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αl 값이 가장 작은 것이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100 : 60 : 4"가 가장 적합하다.

    "100 : 60 : 4"는 αt와 αr 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으면서도, αl 값이 매우 작아 수축율이 높은 방향을 나타낸다.

    반면에 "100 : 50 : 3"은 αr 값이 작아서 방사방향으로의 수축율이 낮을 가능성이 있고, "10 : 5 : 4"와 "10 : 5 : 3"은 αt와 αr 값이 너무 작아서 접선방향과 방사방향으로의 수축율이 매우 낮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온도 50℃일때의 전건재의 비열(cal/g·℃)은 얼마인가?

  1. 0.224 cal/g·℃
  2. 0.324 cal/g·℃
  3. 0.524 cal/g·℃
  4. 1.000 cal/g·℃
(정답률: 62%)
  • 전건재의 비열은 해당 물질이 1g 증가할 때 필요한 열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50℃일 때의 전건재의 비열을 구해야 합니다.

    전건재의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표로 제공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건재의 종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전건재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하나가 정답이므로, 보기를 살펴보면서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보기 중에서 정답은 "0.324 cal/g·℃" 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을 찾기 위한 계산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보기를 살펴보면서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떤 목재의 접선방향의 전팽창율이 10%라면 이 목재의 접선방향 전수축률은?

  1. 약 9.1%
  2. 약 12.1%
  3. 약 14.1%
  4. 약 16.1%
(정답률: 45%)
  • 전팽창율과 전수축률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전수축률 = (전팽창율) / (1 + 전팽창율) * 100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팽창율이 10%이므로,

    전수축률 = 10 / (1 + 10) * 100 = 약 9.1%

    따라서, 정답은 "약 9.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목재 음의 손실감쇠(damping of internal friction)를 나타내는 감쇠율(damping ratio)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세포의 크기 및 배열을 고려할 때 목재의 감쇠율은 대부분의 다른 재료에 비해 큰 편이다.
  2.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상승할수록 목재의 감쇠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승한다.
  3. 횡진동에서의 대수감쇠율은 비틀림진동에서의 대수 감쇠율보다 일반적으로 작다.
  4. 진동의 위험이 있는 경우, 다른 강도적 성질이 충죽된다면 고손실감쇠능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64%)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상승할수록 목재의 감쇠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상승한다. → 온도가 낮을수록 감쇠율이 증가한다.

    설명: 목재의 감쇠율은 목재 내부의 마찰력과 관련이 있다. 목재는 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함수율이 상승할수록 섬유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감쇠율이 증가한다. 또한, 온도가 낮을수록 분자 운동이 줄어들어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감쇠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수록 감쇠율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재의 평형함수율과 온도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온도가 증가됨에 따르 목재의 평형 함수율은 감소한다.
  2. 온도의 증가는 추출물의 흡수성을 증가시키지만, 목재의 평형 함수율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3. 온도의 증가는 섬유포화점 증가에 의해 목재의 평형함수율은 증가한다.
  4. 온도의 증가는 목재의 흡수성과 무관하다.
(정답률: 49%)
  • 정답은 "온도가 증가됨에 따르 목재의 평형 함수율은 감소한다."이다. 이유는 온도가 증가하면 목재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고 수증기 포화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목재의 수분포화점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의 평형 함수율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3,000g의 목재를 온도 20℃에서 80℃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이 목재의 비열은 0.2665 ca/g·℃ 이다.)

  1. 15,990 cal
  2. 47,970 cal
  3. 79,950 cal
  4. 91,280 cal
(정답률: 63%)
  • 열량 = 목재의 질량 x 비열 x 온도 변화량
    = 3,000g x 0.2665 ca/g·℃ x (80℃ - 20℃)
    = 3,000g x 0.2665 ca/g·℃ x 60℃
    = 47,970 cal
    따라서 정답은 "47,970 ca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목재의 탄성적 성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탈리그닌화된 목섬유와 같이 리그닌이 없는 식물체는 강성(剛性)이 작다.
  2. 방사조직이 많은 목재일수록 방사방향이 탄성계수가 크다.
  3. 옹이의 주위에 뒤틀린 목리(distorted grain)가 형성되면 강성(剛性)은 감소된다.
  4. 목재의 비중이 커지면, 외력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므로 파괴응력은 증가되고 탄성은 떨어진다.
(정답률: 67%)
  • "목재의 비중이 커지면, 외력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므로 파괴응력은 증가되고 탄성은 떨어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목재의 비중이 커지면, 분자 간의 결합력이 강해지므로 강성(剛性)은 증가하고 탄성계수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파괴응력은 증가하지만 탄성은 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회복 불가능한 크리프를 의미하는 것은?

  1. 이차 크리프(secondary creep)
  2. 일차 크리프(Primary creep)
  3. 크리프 변형계수(creep compliance)
  4. 비교 크리프(relative creep)
(정답률: 67%)
  • 이차 크리프는 일정한 응력 하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크리프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차 크리프와 달리 회복이 불가능하며, 장기간에 걸쳐 물질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차 크리프는 재료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크리프 변형계수는 크리프 변형량과 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며, 비교 크리프는 서로 다른 재료 간의 크리프 현상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목재해부학

21. 다음 유연벽공의 구조 그림에서 A부분의 명칭은?

  1. 벽공환(pit annulus)
  2. 벽공강(pit cavity)
  3. 벽공연(pit border)
  4. 벽공구(pit canal)
(정답률: 79%)
  • A부분의 명칭은 "벽공환(pit annulus)"입니다.

    "벽공환(pit annulus)"은 나무의 잎, 가지, 줄기 등에서 발생하는 작은 구멍으로, 나무의 생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구멍은 벽공연(pit border)과 벽공강(pit cavity)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벽공환(pit annulus)은 이 둘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벽공구(pit canal)은 벽공환(pit annulus)과 벽공강(pit cavity)을 연결하는 작은 관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벽공연(pit border)"이 아닌 "벽공환(pit annulu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접선단면에서 볼 때 다열방사조직의 가장자리에 내부의 평복세포를 직립세포가 둘러싸고 있을 때 이 세포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타일세포
  2. 분비세포
  3. 초상세포
  4. 거대세포
(정답률: 36%)
  • 다열방사조직의 가장자리에 내부의 평복세포를 직립세포가 둘러싸고 있는 세포집단은 초상세포라고 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인 타일세포, 분비세포, 거대세포와는 달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로, 미세조절 신경과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조절되는 세포입니다. 초상세포는 신경과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분비물질을 분비하거나, 혈액 내의 화학물질 농도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분포형식에 의한 방사조직의 분류 중 활엽수의 접선단면에서 비교적 짧고 작은 방사조직이 모여 마치 한 개의 큰 방사조직처럼 보이는 것은?

  1. 확산방사조직(diffuse ray)
  2. 복합방사조직(compound ray)
  3. 연합방사조직(combination ray)
  4. 집합방사조직(aggregate ray)
(정답률: 57%)
  • 집합방사조직은 활엽수의 접선단면에서 비교적 짧고 작은 방사조직이 모여서 한 개의 큰 방사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여러 개의 방사조직이 모여서 하나의 큰 조직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들 조직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집합방사조직은 다른 분포형식과는 달리 하나의 큰 조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개의 작은 조직이 모여서 형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주피(周皮)를 구성하는 3가지 조직으로 맞는 것은?

  1. 코르크형성층, 코르크조직, 코르크피층
  2. 코르크목부, 코르크사부, 코르크피층
  3. 코르크형성층, 코르크사부, 코르크피층
  4. 코르크조직, 사부시원세포, 코르크형성층
(정답률: 60%)
  • 주피(周皮)는 식물의 외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구성하는 3가지 조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코르크형성층: 주피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코르크세포를 형성하는 조직입니다. 코르크세포는 벽이 두껍고 밀도가 높아 물과 기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코르크조직: 코르크형성층 아래에 위치하며, 코르크세포와 코르크사부를 포함하는 조직입니다. 코르크사부는 코르크세포를 연결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코르크피층: 주피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어 기체 교환이 가능한 조직입니다. 이 조직은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호흡에 관여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코르크형성층, 코르크조직, 코르크피층"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천공판(perforation plate)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조직
(정답률: 49%)
  • 도관은 수송 조직으로, 천공판이 발달되어 있어 물과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공판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 도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상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수종은?

  1. 잎갈나무
  2. 소나무
  3. 잣나무
  4. 삼나무
(정답률: 29%)
  • 정상수지구란, 나무가 생장하면서 균형잡힌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지되는 균형상태를 말합니다. 이에 반해 삼나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어, 다른 나무들과는 달리 정상수지구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나무는 정상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형성층의 원주 증대를 하기 위한 방추형시원세포의 분열방식으로 맞는 것은?

  1. 병층분열
  2. 횡분열
  3. 수층분열
  4. 접선분열
(정답률: 44%)
  • 수층분열은 형성층의 원주를 증대시키기 위해 세포가 수직적으로 분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형성층의 두께를 늘리는 데 효과적이며,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대생장을 시작한 2차사부와 2차목부의 조직에 있어 수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한 배열순서가 맞는 것은?

  1. 2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2. 1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3. 2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4. 1차목부 – 형성층 – 1차사부
(정답률: 49%)
  • 정답은 "2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입니다. 이유는 비대생장에서는 2차목부가 최상위 조직이며, 그 아래에 형성층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형성층은 1차사부와 2차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2차사부는 1차사부보다 상위 조직입니다. 따라서, 2차목부 - 형성층 - 2차사부 순서가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활엽수재에서 나타나는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

  1. 교착목리
  2. 은문양
  3. 리플마크
  4. 조안문양
(정답률: 61%)
  • 리플마크는 활엽수재에서 축방향의 목재구성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를 말합니다. 이는 나무의 성장 방향에 따라서 생기는데, 나무의 성장 방향이 바뀌면서 생기는 층계상의 차이가 무늬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따라서 리플마크는 나무의 생장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무늬로, 교착목리나 은문양, 조안문양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나선비후가 관찰되는 수종은?

  1. 주목
  2. 소나무
  3. 향나무
  4. 오리나무
(정답률: 43%)
  • 정답은 "소나무"입니다.

    나선비후는 소나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소나무에서만 발견됩니다. 따라서 나선비후를 관찰하려면 소나무를 찾아가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소나무"가 주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목의 비대 생장에 관계하는 조직은?

  1. 전분열조직
  2. 생장점
  3. 정단분열조직
  4. 유관속형성층
(정답률: 47%)
  • 유관속형성층은 수분과 영양분을 운반하는 유도관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수목의 비대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관속형성층은 수목의 비대 생장에 관계하는 조직입니다. 전분열조직은 뿌리와 줄기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생장점은 줄기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단분열조직은 줄기의 두께를 늘리는 역할을 하지만, 비대 생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축(樹軸)에 대하여 경사된 목리가 아닌 것은?

  1. 선회목리(spiral grain)
  2. 사주목리(diagonal grain)
  3. 교착목리(inter locked grain)
  4. 수심목리(pith grain)
(정답률: 64%)
  • 수심목리는 나무의 중심부인 수축(樹軸)을 따라 나무의 성장 방향과 수직으로 나타나는 목리로, 경사된 목리가 아니라 수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선회목리는 나무의 성장 방향을 따라 나타나는 목리이며, 사주목리는 나무의 성장 방향과 대각선으로 나타나는 목리입니다. 교착목리는 나무의 성장 방향이 서로 교차하여 나타나는 목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세포벽 층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운 층은?

  1. 일차벽(P)
  2. 이차벽 외층(S1)
  3. 이차벽 중층(S2)
  4. 이차벽 내층(S3)
(정답률: 68%)
  • 이차벽 중층(S2)은 세포벽의 구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벽의 강도와 구조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이차벽 중층은 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함께 결합하여 세포벽의 두께와 강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이차벽 중층은 일반적으로 가장 두꺼운 층으로 형성되며, 세포벽의 기능과 구조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도관의 방사방향의 내강 직경을 L, 인접한 접선막 두께를 M이라 할 때 Mork 정의에 의한 춘추재 경계는?

  1. L = M
  2. L = 2M
  3. L = 3M
  4. L = 4M
(정답률: 71%)
  • Mork 정의에 따르면, 춘추재 경계는 가도관 내부에서 인접한 접선막 두께가 서로 같아지는 지점이다. 따라서, 인접한 접선막 두께가 M일 때, 내강 직경이 L인 경우, 춘추재 경계는 L = 2M이 된다. 이는 인접한 접선막 두께가 같아지는 지점이 가운데에 위치하며, 그 지점에서 내강 직경이 2배로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목재 중 비교적 나비가 넓어서 육안으로도 방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은?

  1. 향나무
  2. 참나무류
  3. 버드나무
  4. 포플러류
(정답률: 48%)
  • 참나무류는 비교적 넓은 나비를 가지고 있어서 육안으로도 방사조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무들은 비교적 좁은 나비를 가지고 있거나, 나무의 표면이 매끄러워서 방사조직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참나무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도관이나 목섬유의 세포내강에 가장 가까이 있는 세포벽 층은?

  1. 1차벽
  2. S1
  3. S2
  4. S3
(정답률: 43%)
  • 가도관이나 목섬유의 세포내강에 가장 가까이 있는 세포벽 층은 S3층입니다. 이는 S3층이 가장 내부에 위치하며, S1층과 S2층은 S3층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세포벽 층은 S3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마무리 가공한 목재의 방사단면 표면에 가느다란 골이 관찰된다면 이것은 주로 어느 세포 때문인가?

  1. 침엽수재의 가도관
  2. 활엽수 환공재의 도관
  3. 활엽수재의 유세포
  4. 침엽수재의 유세포
(정답률: 52%)
  • 마무리 가공한 목재의 방사단면 표면에 가느다란 골이 관찰된다면 이것은 활엽수 환공재의 도관 때문입니다. 환공재는 나무의 성장과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나무의 주요한 성분인 수분과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환공재의 도관은 나무의 수송 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마무리 가공한 목재의 방사단면 표면에 나타나는 골은 이 도관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정상 심재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재부는 색소, 고무질, 수지 등이 축적되어 재색이 일반적으로 짙다.
  2. 입목시에 수분의 함유량이 많다.
  3. 모든 세포가 생리적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4. 그 목재의 중량이나 내후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률: 55%)
  • 정답은 "모든 세포가 생리적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다.

    입목시에 수분의 함유량이 많은 이유는 심재가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심재가 생장하는 동안 수분을 많이 흡수하고 저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재는 건조한 환경에서는 쉽게 균열이 생길 수 있으며, 수분 함유량이 많아서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침엽수재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도관
  2. 방사유세포
  3. 가도관
  4. 수지구
(정답률: 66%)
  • 정답은 "도관"입니다. 침엽수재의 구성요소로는 방사유세포, 가도관, 수지구가 포함되지만, 도관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도관은 관목이나 화초 등의 식물에서 발견되는 구조물로, 물과 영양분을 식물 전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침엽수재는 도관 대신에 가도관을 사용하여 물과 영양분을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 갈 알맞은 용어는?

  1. 방사조직
  2. 유연벽공
  3. 유세포
  4. 가도관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식도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식도는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이어지는 소화관 중 하나로, 음식물을 위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파란색 관이 바로 가도관입니다. 가도관은 식도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음식물이 지나가는 길을 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가도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목재화학

41.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가 8000인 천연 섬유소의 분자량은?

  1. 1,296,000
  2. 1,396,000
  3. 1,496,000
  4. 1,596,000
(정답률: 42%)
  • 중합도는 분자량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중합도가 8000이라는 것은 이 섬유소 분자가 8000개의 모노머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자량은 모노머의 분자량을 8000배한 값이 된다. 천연 섬유소의 모노머인 글루코스의 분자량은 162이므로, 분자량은 162 x 8000 = 1,296,0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96,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심재(Heartwood)화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유세포의 죽음
  2. 추출 성분의 감소
  3. 전분의 소실
  4. 활엽수 어떤 수종에서 Tylose의 형성
(정답률: 54%)
  • 심재화 현상은 나무의 내부에서 심재가 형성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는 나무의 성장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추출 성분의 감소와 관련이 없다. 추출 성분의 감소는 나무가 오래되거나 처리과정에서 오랫동안 노출되어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심재화 현상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Flavonoid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halcone
  2. Catechin
  3. Leucoanthocyanidin
  4. β-glycerol
(정답률: 59%)
  • Flavonoid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폴리페놀 화합물 중 하나이며, Chalcone, Catechin, Leucoanthocyanidin은 모두 Flavonoid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β-glycerol은 Flavonoid에 속하지 않습니다. β-glycerol은 글리세롤의 구조 이성질체 중 하나이며, Flavonoid와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셀룰로오스 용해용 용제인 cuoxam(Schweitzers solution)을 화학식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Cu(NH3)4](OH)2
  2. [Cu(en)2](OH)2
  3. [Cd(en)3](OH)2
  4. [FeV3]Na6
(정답률: 60%)
  • 정답은 "[Cu(NH3)4](OH)2"이다.

    Cuoxam은 셀룰로오스를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용해용제이다. 이 용제는 Cu2+ 이온과 암모니아(NH3)가 혼합된 용액으로, 이온적으로는 [Cu(NH3)4]2+ 이다. 이 이온은 수용액에서 OH- 이온과 반응하여 [Cu(NH3)4](OH)2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Cuoxam의 화학식은 [Cu(NH3)4](OH)2이다.

    다른 보기들은 Cuoxam과는 관련이 없는 화합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esner의 정색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2.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3.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4. 리그닌 중의 syring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적색을 나타낸다.
(정답률: 40%)
  • 리그닌 중의 coniferyl aldehyde는 c-HCl 중의 phloroglucionl과 반응하여 자주색을 나타낸다. 이는 phloroglucinol이 coniferyl aldehyde와 결합하여 산화적 결합을 형성하면서 일어난다. 이러한 반응은 lignin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Proto lignin의 특징적인 관능기가 아닌 것은?

  1. 방향핵 및 측쇄의 수산기
  2. 방향핵의 매톡실기
  3. 측쇄의 카르보닐기
  4. 방향핵 및 측쇄의 아세틸기
(정답률: 38%)
  • Proto lignin의 특징적인 관능기는 방향핵 및 측쇄의 수산기, 방향핵의 매톡실기, 측쇄의 카르보닐기, 방향핵 및 측쇄의 아세틸기 중에서 "방향핵 및 측쇄의 아세틸기"가 아닙니다. 이유는 Proto lignin은 방향핵과 측쇄의 수산기, 매톡실기, 카르보닐기, 아세틸기를 모두 가지고 있지만, 아세틸기는 다른 lignin 종류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관능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셀룰로우스 유도체 중 반응 메커니즘이 다르게 제조된 것은?

  1. 질산셀룰로오스
  2. 메틸셀룰로오스
  3. 에틸셀룰로오스
  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정답률: 47%)
  • 질산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에 질산을 첨가하여 제조되며, 다른 유도체들은 메틸, 에틸, 카르복시메틸 등의 화학기를 셀룰로오스에 첨가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질산셀룰로오스는 다른 유도체들과 반응 메커니즘이 다르게 제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셀룰로오스의 고분자적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분자이므로 피브릴을 형성한다.
  2. 분자식을 (C6H6O6)n으로 나타낸다.
  3. 쇄상(鎖狀)의 고분자이다.
  4. 글루코오스를 단위체로 한다.
(정답률: 49%)
  • 분자식을 (C6H6O6)n으로 나타낸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 셀룰로오스의 분자식은 (C6H10O5)n입니다. 이유는 셀룰로오스 분자 내에서 글루코오스 단위가 β-1,4-글리코시딜 결합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ellulose를 cuoxam 용액에 침지하여 팽윤에서 용해까지의 중간단계에서 나타나는 반응은?

  1. Fibril swelling
  2. Intercrystalline swelling
  3. Balloon swelling
  4. Hysteresis
(정답률: 49%)
  • Cellulose는 cuoxam 용액에 침지하면 팽윤(swelling)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팽윤 중간단계에서 나타나는 반응은 Balloon swelling이다. 이는 cellulose 분자가 용액 내에서 팽창하면서, 분자 내부의 공간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팽윤 현상은 cellulose 분자가 용액 내에서 용해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nitrobenzene)으로 산화시켰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은?

  1. 바닐린(Vanillin)
  2. 시린갈데히드(Syringaldehyde)
  3. p-히드록시벤잘데히드(p-Hydroxybenzaldehyde)
  4. 페놀(phenol)
(정답률: 42%)
  • 침엽수재 리그닌을 니트로벤젠으로 산화시키면, 주로 바닐린, 시린갈데히드, p-히드록시벤잘데히드 등의 알데하이드류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바닐린은 가장 많이 얻어지는 성분으로, 이는 리그닌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인 벤질아코히놀(benzylacetone)이 산화되어 생기기 때문입니다. 바닐린은 향료나 의약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매우 중요한 화학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펜토산 정량 시 1/50N 티오항산나트륨의 적정량이 35mL 이었다면 푸르푸랄(furfural)의 양은 약 몇 mg 인가?

  1. 5
  2. 15
  3. 25
  4. 35
(정답률: 24%)
  • 펜토산은 푸르푸랄과 함께 존재하는데, 티오항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적정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50N 티오항산나트륨 용액 1mL에 해당하는 펜토산의 양을 계산하여 적정량인 35mL과 곱해주면 된다.

    1/50N 용액은 0.02N 용액의 1/50이므로, 0.02/50 = 0.0004N 이다. 따라서, 1mL에 해당하는 펜토산의 양은 0.0004 × 72.1 = 0.02884g 이다.

    푸르푸랄과 펜토산의 몰비는 1:1 이므로, 0.02884g의 펜토산은 0.02884g의 푸르푸랄에 해당한다. 이를 mg으로 환산하면 28.84mg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가 아닌 "28.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리그난(lignan) 의 대표적인 결합 형태를 나타낸 것은?

  1. α-α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2. α-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3. β-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4. β-γ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정답률: 52%)
  • 리그난은 두 개의 페놀 화합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화합물로, 대표적인 결합 형태는 β-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입니다. 이는 두 개의 페놀 화합물이 붙어있는 부분이 서로 β-위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ellulose의 결정영역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반응으로서 micelle 표면반응(Intermicellar reaction)에 속하는 것은?

  1. 니트로화반응
  2. 아세틸화반응
  3. 묽은 산염기반응
  4. 아민화반응
(정답률: 34%)
  • 묽은 산염기반응은 cellulose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결정영역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micelle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입니다. 이 반응은 고분자 화합물의 표면에 있는 카르복실기(-COOH)나 아미노기(-NH2)와 같은 기능기와 묽은 산염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어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고분자 화합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알돈산(Aldonic acid)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Gluconic acid
  2. Glucuronic acid
  3. Ribonic acid
  4. Arabinonic acid
(정답률: 32%)
  • 정답은 "Glucuronic acid"입니다. 알돈산은 당분해가 일어나면서 생기는 산으로, 당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알돈산이 생길 수 있습니다. Glucuronic acid는 알돈산 중 하나이며, 다른 보기인 Gluconic acid, Ribonic acid, Arabinonic acid도 모두 알돈산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낙엽송(Larix)의 목분을 냉수 추출하였을 때 용이하게 얻어지는 물질은?

  1. Arabinogalactan
  2. Arabinoxylan
  3. Arabinoglucan
  4. Arabinomannan
(정답률: 38%)
  • 낙엽송의 목분은 주로 Arabinogalacta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낙엽송의 목분을 냉수 추출하면 Arabinogalactan이 용이하게 얻어집니다. 다른 보기들은 낙엽송의 목분에는 존재하지만, Arabinogalactan보다는 적은 양으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목재의 펜토산(pentosan) 정량에 관련되는 성분은?

  1. galactoglucomannan
  2. glucomannan
  3. Holocellulose
  4. Xylan
(정답률: 40%)
  • 목재의 펜토산(pentosan)은 주로 xylan에 해당합니다. Xylan은 목재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주로 나무의 섬유 부분에 존재합니다. Xylan은 주로 펜토산(pentosan)의 형태로 존재하며, 목재의 특성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메톡실기 정량에서 티오항산나트륨 표준액의 적정량(T)이 20mL이고, 티오황산나트륨의 규정농도가(N)가 1/50이며, 시료의 절건량(S)이 2g 일 때 메톡실기의 양은?

  1. 0.1%
  2. 1.0%
  3. 10%
  4. 20%
(정답률: 32%)
  • 메톡실기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메톡실기의 양 = (T × N × S) / 1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메톡실기의 양 = (20 × 1/50 × 2) / 100 = 0.2 / 100 = 0.002 L = 2 mL

    따라서, 정답은 "0.1%"이 아니라 "0.2%"이다. 이유는 계산 결과에서 나온 값인 0.002 L을 백분율로 환산하면 0.2%가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셀룰로오스 크산토겐산나트륨(sodium xanthogenate) 제조시 용해용 펄프를 몇 %의 가성소다 용액에 참지시키는가?

  1. 8%
  2. 18%
  3. 28%
  4. 38%
(정답률: 55%)
  • 셀룰로오스 크산토겐산나트륨은 가성소다와 함께 반응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가성소다는 용해용 펄프를 참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크산토겐산나트륨을 제조할 때는 용해용 펄프를 일정한 농도의 가성소다 용액에 참지시켜야 합니다. 이때 적절한 농도는 18%입니다. 18%의 가성소다 용액을 사용하면 셀룰로오스 크산토겐산나트륨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추출 성분 중 Terpenoid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isoprene 단위로 연결되어 있다.
  2. 침엽수보다 활엽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의 골격에도 다수 존재한다.
  4. 종이제조나 합판공정에서 부수물로서 유리한 영향을 끼친다.
(정답률: 57%)
  • Terpenoids are a class of organic compounds that are composed of isoprene units. This means that they are made up of repeating units of a five-carbon molecule called isoprene. They are found in higher concentrations in angiosperms (flowering plants) than in gymnosperms (non-flowering plants), and are also present in the skeletons of some animals. Terpenoids have a wide range of uses, including in the production of paper and plywood, where they can have a beneficial effect as a byproduct.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리그닌의 산화분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알칼리 니트로벤젠 산화
  2. 수소화분해 산화
  3. 과망간산칼륨 산화
  4. 금속 산화물을 촉매로 하는 접촉 산화
(정답률: 40%)
  • 리그닌은 수소화분해 산화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리그닌이 수소화되어 분해되는 과정이 아니라, 산화되어 분해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리그닌은 과망간산칼리 산화나 금속 산화물을 촉매로 하는 접촉 산화 등의 과정을 통해 분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임산제조학

61. 전나무 UKP 시료를 쇼퍼 리글러형 Freeness Tester의 여수통에 넣고 Freeness Testing을 행하였더니 물 배출량이 350cc였다. 이 펄프의 Freeness는 얼마인가?

  1. 350SR
  2. 450SR
  3. 550SR
  4. 650SR
(정답률: 31%)
  • 전나무 UKP 시료의 Freeness는 65SR이다.

    Freeness Tester는 펄프의 물 배출량을 측정하여 Freeness 값을 나타내는데, 이 값은 SR (Schopper-Riegler) 단위로 표시된다. Freeness 값이 높을수록 펄프의 물 흡수력이 높아지므로, SR 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물 배출량이 350cc인 경우, Freeness Tester의 스케일에서 65SR에 해당하는 값이 나오므로, 이 펄프의 Freeness는 65SR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크라프트 펄프화 공정에서 증해시간과 증해온도 인자를 고려하여 증해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은?

  1. T 지수(T factor)
  2. H 지수(H factor)
  3. L 지수(L factor)
  4. P 지수(P factor)
(정답률: 50%)
  • H 지수는 크라프트 펄프화 공정에서 증해시간과 증해온도 인자를 고려하여 증해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용어입니다. H 지수는 증해시간과 증해온도의 곱으로 계산되며, 이 값이 클수록 증해상태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H 지수는 증해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목재 건조 중에 찌그러짐(collapase)을 일으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수지분이 많은 목재
  2. 목재밀도가 작은 경우
  3. 건조온도가 높을 때
  4. 건조초기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자유수가 제거될 때
(정답률: 49%)
  • 건조초기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자유수가 제거될 때는 목재가 아직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기가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목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찌그러짐을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이것이 목재 건조 중에 찌그러짐을 일으키는 요인 중 하나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찌그러짐을 일으키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재 열기건조(kiln drying)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비건조로서 효과가 크다.
  2. 자본의 회전기간이 짧다.
  3. 건조시간이 단축된다.
  4. 건조결함을 최대한 예방한다.
(정답률: 44%)
  • 정답: "예비건조로서 효과가 크다."

    설명: 목재 열기건조는 자연건조에 비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건조결함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으며, 자본의 회전기간이 짧아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예비건조로서 효과가 크다"는 것은 옳지 않다. 예비건조는 목재를 열기건조하기 전에 먼저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열기건조의 일부분으로서 효과가 크다고 볼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통기(通氣)카울(ventilated caul)은 어느 건조법에 사용하는 기구인가?

  1. 고온건조
  2. 열판건조
  3. 고주파건조
  4. 제습건조
(정답률: 52%)
  • 통기카울은 열판건조에서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열판건조는 고온과 압력을 이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법으로, 이때 통기카울은 열판의 통기구로 사용되어 공기의 순환을 유지하고 건조 효율을 높입니다. 따라서 통기카울은 열판건조에서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목재당화 방법의 하나인 효소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반응 시간이 짧다.
  2. 반응이 상온하에서 이루어진다.
  3. 반응이 상압하에서 이루어진다.
  4. 목재의 가수분해에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목재당화 방법 중 효소법의 장점은 반응이 상압하에서 이루어지며, 목재의 가수분해에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반응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효소법은 반응 시간이 다른 목재당화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원래 180mm 였던 종이가 인장력에 의해 185mm가 되었다. 이 종이의 % 변형률(% strain)은?

  1. 0.58
  2. 1.63
  3. 2.78
  4. 3.73
(정답률: 60%)
  • 변형률은 (종이의 길이 변화량 / 초기 길이)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85-180)/180 x 100 = 2.78 이므로 정답은 2.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천연건조의 할열억제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가급적 박스적(box 積)을 피한다.
  2. 재간 및 잔적간격을 넓힌다.
  3. 가급적 얇은 잔목을 사용한다.
  4. 통풍을 가능한 억제한다.
(정답률: 56%)
  • 천연건조 시에는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얇은 잔목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두꺼운 잔목을 사용하면 통풍이 억제되어 건조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박스적을 피하고 잔적간격을 넓히는 것도 통풍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습강지의 구분은 종이의 습윤지력과 건조지력의 차이가 몇 % 이상일 때로 정의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46%)
  • 습강지의 구분은 종이의 습윤지력과 건조지력의 차이가 15% 이상일 때로 정의하는 것은, 이 차이가 15% 이상이면 종이가 습기를 많이 흡수하여 물성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인쇄나 가공 등의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15% 이상의 차이를 기준으로 습강지를 구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파티클보드 제조시 열압기내에서 열이 하는 역할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접착제가 가능한 한 빠르게 경화할 수 있도록 보드의 온도를 높여준다.
  2. 열압 후 내부응력완화와 스프링 백의 최소화에 기여한다.
  3. 매트내 파티클간에 우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소성을 부여한다.
  4.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층의 함수율을 표층보다 높게 설정한다.
(정답률: 53%)
  •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중층의 함수율을 표층보다 높게 설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파티클보드 제조시 열압기내에서 열은 접착제 경화, 내부응력완화, 스프링 백 최소화, 파티클 결합력 증진 등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중층의 함수율을 표층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은 파티클보드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열전달 효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목재건조와 관계되는 3가지 기본기구 중에 건조 제1단계에 관계되는 기본 기구는?

  1. 결합수 확산
  2. 모세관 유동
  3. 수증기 확산
  4. 결합수와 수증기 확산
(정답률: 40%)
  • 목재건조의 제1단계는 초기 건조 단계로, 목재 내부의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건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수증기 확산입니다. 이때 모세관 유동은 수증기 확산을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모세관은 목재 내부를 통과하는 작은 구멍으로, 이를 통해 수증기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세관 유동은 건조 제1단계에서 수증기 확산을 돕는 중요한 기본 기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잔적 자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통풍의 효과를 얻어 건조를 시키는 방법은?

  1. 태양열 건조
  2. 옥내 송풍 건조
  3. 원심 건조
  4. 옥외 송풍 건조
(정답률: 36%)
  • 원심 건조는 잔적을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회전시켜서 물기를 제거하기 때문에 통풍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심 건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신 Rheinau법에서 주가수분해시 사용되는 산(酸)과 농도(濃度)는?

  1. 황산 71~72%
  2. 인산 93~94%
  3. 질산 37~38%
  4. 염산 41~42%
(정답률: 48%)
  • 주가수분해는 금속과 산화물 사이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금속 이온을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산은 금속과 반응하여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강산성 산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염산이 주로 사용됩니다. 농도는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이 빠르고 효율적이므로, 염산의 농도는 41~42%로 선택됩니다. 다른 산들은 강산성 산이지만 농도가 높지 않거나, 반응이 느리거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목판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백탄은 수피가 없어야 한다.
  2. 흑탄은 수피가 완전해야 한다.
  3.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
  4. 비중이 커야 한다.
(정답률: 55%)
  •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쇄면은 목재를 가공할 때 생기는 표면이며, 금속광택이 없으면 표면이 거칠어져서 마감 작업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목재의 절삭가공 중 종절삭(綜切削)에 있어서 절삭각이나 절입(切込)깊이가 모두 크게 될 때 나타나는 절삭형태는?

  1. 전단형(shear type)
  2. 인렬형(tear type)
  3. 절형(crack type)
  4. 유형(flow type)
(정답률: 48%)
  • 전단형(shear type)은 절삭각이나 절입깊이가 모두 크게 되어 목재가 전단력에 의해 끊어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목재 내부의 결함이나 인장강도가 낮은 부분에서 발생하기도 하며,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는 목재가 깨어지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따라서 전단형은 목재의 내부 결함을 파악하고 적절한 절삭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절삭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동일 수종, 동일 재종의 건조재를 120m3 사용하는 공장이 있다. 건조 소요일수는 평균 6일이라 하면 어느 정도의 용량에 건조실을 만들면 좋은가?

  1. 12m3, 2실
  2. 20m3, 1실
  3. 30m3, 1실
  4. 10m3, 3실
(정답률: 35%)
  • 120m3의 건조재를 6일 동안 건조해야 하므로, 하루에 20m3의 건조재를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20m3의 용량을 가진 건조실을 6일 동안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건조실은 일정 기간마다 청소와 소독이 필요하므로, 건조실을 사용하는 기간을 최대한 짧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12m3의 용량을 가진 건조실을 2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렇게 하면, 하루에 12m3씩 2개의 건조실에서 건조할 수 있으므로, 6일 동안 120m3의 건조재를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펄프 표백에 있어서 염소와 NaOH가 lignin에 작용하는 역할은?

  1. 염소 및 NaOH는 각각 lignin을 용출시킨다.
  2. 염소는 lignin 염소화를, NaOH는 염소화를 촉진시킨다.
  3. 염소는 염소화를, NaOH는 염소화 lignin을 용출시킨다.
  4. 염소 및 NaOH는 가성화로 리그닌을 용출시킨다.
(정답률: 47%)
  • 염소는 lignin을 염소화하여 분해시키고, NaOH는 염소화된 lignin을 용출시켜서 펄프의 표백을 도와줍니다. 따라서 "염소는 염소화를, NaOH는 염소화 lignin을 용출시킨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고송지(rosin)의 주요 화학성분은?

  1. turpemtine
  2. abietic acid
  3. alpha-pinenes
  4. champene
(정답률: 21%)
  • 고송지는 소나무 수액에서 추출된 것으로, 그 주요 화학성분은 abietic acid입니다. 이는 소나무 수액에서 발견되는 주요 화합물 중 하나로, 고송지의 특징적인 향과 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연료용 알콜 및 부동액 다이너마이트용 글리세린의 공급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단 가수분해(전가수분해 및 주가수분해)를 행하는 것은?

  1. Peoria법(NRRL법)
  2. Inventa사법
  3. 개량 Madison법
  4. Giordani-Leone법
(정답률: 33%)
  • Giordani-Leone법은 연료용 알콜 및 부동액 다이너마이트용 글리세린의 생산을 위해 개발된 공정으로, 2단 가수분해(전가수분해 및 주가수분해)를 수행합니다. 이 공정은 전가수분해 단계에서 산화적 조건에서 글리세린을 분해하고, 주가수분해 단계에서는 분해된 글리세린을 산화적 조건에서 촉매와 함께 분해하여 연료용 알콜과 부동액 다이너마이트용 글리세린을 생산합니다. 따라서, Giordani-Leone법이 2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공정이며, 이유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인장 강도가 30 kN/m, 평량이 100 g/m2인 종이의 열단장은 몇 km 인가?

  1. 10.34 km
  2. 20.31 km
  3. 30.58 km
  4. 40.67 km
(정답률: 42%)
  • 열단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단장 = (인장강도 × 평량) ÷ (밀도 × 열팽창계수)

    여기서 밀도는 종이의 밀도인데, 대략 800 kg/m3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열팽창계수는 대략 0.00003/℃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열단장 = (30 kN/m × 100 g/m2) ÷ (800 kg/m3 × 0.00003/℃)
    = 375000 N/m2 ÷ 0.024 kg/m3
    = 15625000 ℃/m

    이제 이 값을 km 단위로 바꾸면,

    열단장 = 15625000 ℃/m × 0.001 km/m
    = 15625 km/℃

    따라서, 1 ℃ 온도 변화에 대한 열단장은 15625 km 이다. 이 값으로부터, 30.58 km 라는 답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목재보존학

81. 목재난연제인 미날리스(Minalith)의 유효성분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NH4)2HPO4, (NH4)2SO4, Na2B4O7, H3BO3
  2. ZnCl2, NH4SO4, H3BO3, Na2Cr2O7·2H2O
  3. ZnCl2, (NH4)2HPO4, H3BO3, Na2Cr2O7·2H2O
  4. ZnCl2, Na2Cr2·2H2O, (NH4)2SO4, H3BO3
(정답률: 31%)
  • 미날리스의 유효성분으로는 목재방염제로서 인산암모늄((NH4)2HPO4)과 황산암모늄((NH4)2SO4)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H4)2HPO4, (NH4)2SO4, Na2B4O7, H3B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크레오소트유 방부제로 생재에 전처리하는 방법과 관계 있는 것은?

  1. 도포법(Brushing)
  2. 보울톤법(Boultoizing)
  3. 침지법(Steeping)
  4. 셀론법(Cellon process)
(정답률: 31%)
  • 크레오소트유는 나무를 방부처리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이때 크레오소트유를 나무에 도포하는 도포법이나 크레오소트유를 나무에 침지시키는 침지법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울톤법은 크레오소트유를 나무 안으로 주입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나무의 내부까지 보다 깊게 방부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크레오소트유 방부제로 생재에 전처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답은 보울톤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목재-플라스틱 복합체(WPC) 제조법이 아닌 것은?

  1. 가압처리법
  2. 방사선법
  3. 상압확산법
  4. 촉매가열법
(정답률: 20%)
  • 상압확산법은 WPC 제조법이 아닙니다. 이는 고온과 고압에서 목재와 플라스틱을 반응시켜 WPC를 만드는 방법이 아니라, 기체나 액체의 상태에서 화학 반응을 통해 WPC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목재변색균을 변재변색균이라 칭하는 이유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심재는 가해하지 않고 변재만 가해하기 때문
  2. 심재보다 변재를 먼저 가해하기 때문
  3. 심재보다 변재 가해를 선호하기 때문
  4. 심재와 변재를 모두 가해하나 변색은 변재에만 발생하기 때문
(정답률: 52%)
  • "심재는 가해하지 않고 변재만 가해하기 때문"이 정답입니다. 목재변색균은 목재를 가해하여 변색시키는 균으로, 이 중에서도 변재변색균은 심재를 가해하지 않고 변재에만 작용하여 목재를 변색시킵니다. 따라서 이 균을 변재변색균이라 칭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세균에 의한 부후에서 세포벽의 공격양식에 따른 3가지 형태로 옳은 것은?

  1. 터널형, 공동형, 침식형
  2. 다이아몬드형, 터널형, 방망이형
  3. 공동형, 방망이형, 천공형
  4. 침식형, 곤본형, 부채형
(정답률: 54%)
  • 세균이 세포벽을 공격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부후의 형태는 다양합니다.

    - 터널형: 세균이 세포벽 내부를 파고들어가는 형태로, 세균이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돕습니다.
    - 공동형: 세균이 세포벽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에서 세균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세포벽이 부식되어 세균이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형태입니다.
    - 침식형: 세균이 세포벽을 부식하여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터널형, 공동형, 침식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곤충의 흡수부위를 3종으로 나눌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피
  2. 기문
  3. 기관
  4. 소화관
(정답률: 30%)
  • 곤충의 흡수부위를 3종으로 나누면 표피, 기문, 소화관이다. 기관은 흡수와는 관련이 없는 기관으로, 이유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용성 방부제로서 비소화합물계 방부제이다.
  2. 제철용 코크스 생산을 위한 석탄의 고온 탄화 시 발생하는 콜타르(coal tar)를 분별 건류하여 생산한다.
  3. 크레오소트유 처리목재의 도장성과 접착성은 매우 좋다.
  4. 목재 내 침투성은 우수하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정답률: 38%)
  • 크레오소트유는 제철용 코크스 생산을 위해 석탄의 고온 탄화 시 발생하는 콜타르를 분별 건류하여 생산됩니다. 따라서 "제철용 코크스 생산을 위한 석탄의 고온 탄화 시 발생하는 콜타르(coal tar)를 분별 건류하여 생산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방부제를 목재 내부로 균일하고 깊게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전처리방법은?

  1. 박피
  2. 인사이징
  3. 프리보오링
  4. 꺽쇠박기
(정답률: 52%)
  • 인사이징은 목재 내부에 방부제를 균일하고 깊게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적 전처리 방법입니다. 목재의 단면을 다양한 각도로 절단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든 후, 이를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압력과 온도로 처리하여 목재 내부에 방부제를 균일하게 침투시킵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효율적이며, 목재 내부의 방부제 침투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목재를 확산법으로 방부처리하려고 할 때 처리용 목재의 적정 함수율은?

  1. 함수율 10% 미만
  2. 함수율 10~20%
  3. 함수율 20~30%
  4. 함수율 50% 이상
(정답률: 40%)
  • 확산법으로 방부처리를 할 때는 처리용 액체를 목재 내부로 흡수시켜야 합니다. 이때, 목재의 적정 함수율은 액체를 흡수시킬 수 있는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함수율이 낮으면 액체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아 방부효과가 떨어지고, 함수율이 높으면 액체가 과도하게 흡수되어 목재의 물성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확산법으로 방부처리를 할 때는 적정 함수율이 50% 이상이어야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목재를 분해하는 미생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목재를 열화시키는 생물에는 미생물뿐이며, 목재를 열화시키는 미생물은 대부분 진균에 속한다.
  2. 목재의 연부후(sotf rot)란 자낭균 및 불완전균에 의한 부후를 말하며, 냉각탑이나 땅에 접하는 목재와 같이 담자균이 생육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환경에서 목재가 부후된다.
  3. 목재는 유기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균에 의해 침해를 받으나, 목재 성분 중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진균류에서는 자낭균만이 목재를 분해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목재의 연부후(sotf rot)란 자낭균 및 불완전균에 의한 부후를 말하며, 냉각탑이나 땅에 접하는 목재와 같이 담자균이 생육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환경에서 목재가 부후된다."입니다. 이유는 자낭균 및 불완전균이 목재를 분해하는 미생물이며, 이들 균은 담자균과는 다른 환경에서 생육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수용성 목재 방부제 중 처리목재의 색을 변색시키지 않는 방부제는?

  1.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CQ)
  2. 구리·아졸화합물계 방부제(CUAZ)
  3.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AC)
  4.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계 방부제(CCFZ)
(정답률: 44%)
  • 알킬암모늄화합물계 방부제(AAC)는 처리목재의 색을 변색시키지 않는 방부제입니다. 이는 AAC가 목재 내부로 침투하여 목재 내부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목재 표면의 색상이 변하지 않아 처리된 목재가 자연스러운 느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흰개미 계급 중 직접 목재 가해에 가담하는 것은?

  1. 병정개미
  2. 일개미
  3. 왕개미
  4. 여왕개미
(정답률: 66%)
  • 일개미는 다른 흰개미 계급들과 달리 목재 가해에 직접적으로 가담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일개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목재의 내화성능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불꽃의 관통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한다.
  2. 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에 비해 열팽창이 커서 연소시 변형이 크다.
  3. 목재는 연소시 표면에 탄화층을 쉽게 형성하여 산소의 공급을 저지한다.
  4. 연소시 목재 표면에 형성된 탄화층은 탄화층 하부로 열의 투과를 방해한다.
(정답률: 45%)
  • "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에 비해 열팽창이 커서 연소시 변형이 크다."가 틀린 것이다. 목재는 금속과 비교하여 열팽창이 작아서 연소시 변형이 적다. 이는 목재의 내화성능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이다. 목재는 연소시 표면에 탄화층을 형성하여 산소의 공급을 저지하고, 탄화층 하부로 열의 투과를 방해하여 내화성능을 높인다. 또한, 목재는 열전도율이 낮아 불꽃의 관통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에 해당하는 가압처리법은?

  1. 공세포법 중 뤼핑법
  2. 공세포법 중 로리법
  3. 온냉욕법
  4. 충세포법
(정답률: 42%)
  • 이 그림은 로리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로리법은 공세포법 중 하나로, 압력을 이용하여 식품을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식품을 밀봉한 후 압력을 가해 가열하면, 물의 끓는점이 상승하여 더 높은 온도에서 가열됩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을 제거하고 식품을 오래 보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벌목 직후 원목 횡단면(목구면)에 청변 발생이 가장 쉬운 수종은?

  1. 소나무
  2. 참나무류
  3. 단풍나무
  4. 자작나무
(정답률: 47%)
  • 소나무는 나무의 구조가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서 벌목 직후에도 청변 발생이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나무는 벌목 직후 원목 횡단면에 청변 발생이 가장 쉽지 않은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수종 중 내후성이 매우 작은 변재에 해당되는 것은?

  1. 물푸레나무
  2. 계수나무
  3. 잎갈나무
  4. 잣나무
(정답률: 30%)
  • 계수나무는 내후성이 매우 작은 변재에 해당됩니다. 이는 계수나무의 목재가 물에 잠기거나 습기에 노출되어도 변색이나 부패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수나무는 수목으로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주로 가구나 문짝, 바닥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직교적층이 나타내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두께 방향으로 팽윤이 약간 증가된다.
  2. 판면방향의 팽윤은 길이방향의 팽윤보다 약간 크다.
  3. 인접한 단판의 길이방향의 팽윤이 커서 측면팽윤이 억제된다.
  4. 수축과 팽윤이 반복됨에 따라 표면에 미세한 할렬이 나타나기도 한다.
(정답률: 38%)
  • 정답은 "인접한 단판의 길이방향의 팽윤이 커서 측면팽윤이 억제된다."이다.

    이유는 직교적층에서는 인접한 단판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쌓이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팽윤이 크게 일어나면 인접한 단판끼리 서로 밀착하여 측면팽윤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교적층에서는 측면팽윤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상압식 주입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포법
  2. 로우리법
  3. 침지법
  4. 온냉욕법
(정답률: 34%)
  • 로우리법은 주사를 사용하지 않는 경구 투여법으로, 상압식 주입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로우리법은 약물을 액체나 고체 형태로 직접 입안에 넣어서 복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압식 주입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는 목재 부후균은?

  1. 갈색부후균
  2. 백색부후균
  3. 녹색부후균
  4. 흑색부후균
(정답률: 58%)
  • 갈색부후균은 셀룰로오스 분해능력이 뛰어나고, 리그닌을 분해하지 못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목재를 분해할 때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갈색부후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방충제 중 호흡독에 속하지 않는 약제는?

  1. sulfuryl fluoride
  2. dichlorbenzene
  3. methyl bromode
  4. pentachlorophenol
(정답률: 31%)
  • 호흡독은 인체의 호흡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호흡독에 속하지 않는 약제는 인체의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제를 의미합니다.

    그 중에서도 pentachlorophenol은 호흡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약제입니다. 이는 pentachlorophenol이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공기 중에서 증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entachlorophenol은 방충제 중 호흡독에 속하지 않는 약제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