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목재이학
1. 목재의 응력과 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목재에서 서로 직교하는 3방향으로 이방성을 나타낸 것은?
3. 목재의 수축 및 팽윤 이방성에 가장 적은 영향을 주는 것은?
4. 목재의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목재의 열전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 시험재의 초기중량이 1500g, 추정된 함수율이 50%일 때 전건중량은?
7. 목재의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목재의 수분 흡착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전건비중이 0.40인 목재의 공극율은?
10. 음파가 목재에 흡수되는 정도는?
11. 목재의 탄성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2. 항온 항습실 내에서 장기간 조습시킨 함수율 15%인 목재의 치수는 2cm×25cm×10cm 중량은 300g일 때 목재의 비중은?
13. 목재의 평형함수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목재 내 수분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목재의 비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목재의 밀도 및 비중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인자로 옳지 않은 것은?
17. 목재의 잔광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와 세포와의 간극 및 세포의 내강에 유리상태로 존재하는 수분은?
19. 목재의 변동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목재의 화학적 조성분이 목재의 수축 및 팽윤에 관여하는 크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2과목: 목재해부학
21. 제재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만들어지는 목리는?
22. 환공재에 해당하는 수종은?
23. 활엽수재의 나선비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4. 정상수지구가 존재하지 않는 수종은?
25. 활엽수재를 해부학적으로 식벽할 때 주요 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26. 침엽수재의 유연벽공이 가장 많이 보이는 세포는?
27. 경사지에 생장한 수간의 횡단면 위쪽에 형성되는 이상재는?
28. 조재와 만재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수종은?
29. 천공의 모양, 나선비후의 유무, 방사조직의 동성 혹은 이성을 관찰할 때 가장 적당한 단면은?
30. 침엽수재에서 가도관의 평균 구성비율은?
31. 방사가도관의 배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2. 성숙재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3. 활엽수재를 구성하는 세포 요소 중에서 양분의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34. 고립관공만 존재하는 수종은?
35. 활엽수재의 벽공실 안쪽에 전부 또는 일부가 2차벽에서 생성된 돌기물로 덮여 있는 벽공은?
36. 활엽수제에서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 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
37. 세포벽에서 가장 두꺼운 층은?
38. 가장 두꺼운 벽의 에피델리얼 세포를 가지고 있는 수종은?
39. 열대 활엽수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0. 세포내강이 좁고 세포벽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운 섬유로서 흡습성이 풍부하며, 인장이상재에 나타나는 목섬유는?
3과목: 목재화학
41. 다음 중 침엽수 아황산 펄프공장의 폐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화합물은?
42. 중량 평균 분자량 과 수평균 분자량 과의 비 가 2.0인 섬유소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일 때, 중량 평균 분자량은?
43. 목분 중의 탄수화물을 가수분해하여 리그닌을 잔사로서 정량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산의 종류와 농도로 적당한 것은?
44. 다음 목재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
45. 다음 중 Hemicellulose를 구성하는 주요 단당류가 아닌 것은?
46. 셀룰로오스의 이론상 가능한 최대 치환도(degree of substiution)는?
47. 목재의 홀로셀룰로오스로부터 레미셀룰로오스를 추출하려고 한다. 추출용 시약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는 것은?
48. 다음 중 Lignan의 용도로서 옳은 것은?
49. 리그난(lignan)은 두 개의 모노리그놀이 결합한 것이다. 그 결합 형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50. 재생셀롤로오스인 레이온과 셀로판의 결정구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51. 목재를 구성하는 주요 원소는?
52. 다음 중 오탄당의 조합으로 맞는 것은?
53. 자일로오스를 산과 함께 가열하면 생성될 수 있는 화합물은?
54. 목재의 주요 헤미셀룰로오스인 자일란을 단리하려고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약은?
55. 목재 헤미셀룰로오스의 구성당 중 자일로오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것은?
56. 목재 중에 들어 있는 Diterpenoid로서 Turpentine을 증류하고 남은 것으로 Colophony 라고도 하는 물질의 명칭은?
57. 다음 중 소나무 수지(resin)의 주성분은?
58. 목재를 구성하는 다당류 중 갈락탄(galactan)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세포벽 층은?
59. 다음 중 목재 리그닌의 관능기가 아닌 것은?
60. 정유(essential oi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임산제조학
61. 펄프 제조 과정에서 중해 작업 전에 실시하는 박피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2. 띠톱 제재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63. 목재를 건조할 때 엔드 코팅을 하는 주요 목적은?
64. 장망초지기에서 테이블 롤의 주요 기능은?
65. 수지처리 압축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목재 건조 전의 초기 함수율이 50%, 평형함수율이 10%, 건조 중 함수율이 20%이면 증발 수분 잔존율은?
67. 눈메꿈(눈막이)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 제지 과정에서 사이징 처리 및 사이징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 회전형 단편 절삭기(Rotary lathe)가 구비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70. 종이의 도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1. 목재의 당화 방법으로 농황산법이 아닌 것은?
72. 집성재 제조용 원료 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3. 화학펄프를 염소 처리하여 표백할 때 가장 활발한 염소화 반응을 위한 pH 조건은?
74. 펄프의 착색에 관여하는 리그닌의 구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 파티클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6. 건조지력 증강제로 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77. 크라프트펄프 제조 시 증해 과정 및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78. 목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9. 요소소지 접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합판 접착 시 램의 지름이 50mm, 면적이 0.196m2인 1본을 열압기로 2m×2m 크기의 합판에 14.5kgf/cm2의 압력을 가하려고 할 때 유압 펌프의 게이지 압력은?
5과목: 목재보존학
81. 목재를 가해하는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2. 방부 처리를 하는데 가압 주입 방법이 아닌 것은?
83. 단판 길이 방향의 팽윤을 감소시켜 측면 팽윤을 억제하는 공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84. 목재 변색균의 방지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5.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
86. 수용성 방부제에 해당하는 것은?
87. 목재의 방부ㆍ방충처리 기준에서 사용환경 범주 H4에 사용할 수 없는 목재방부제는?
88. 방부처리 작업장에서 고농도 오염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9. 목재의 연부후를 발생시키는 균의 분류학적 위치는?
90. 구리ㆍ알킬암모늄 화합물계 방부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1. 목재의 방화제 성분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92. 목재부휴균으로 인한 목재의 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3. 목재의 열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4. 목재의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5. 방부 처리 방법으로 충세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6. 목재를 방충 처리하는데 가장 적절한 화합물은?
97. 박피하지 않는 생재 상태에서 목재를 벌채현장에서 보존 처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98. 목재의 방염 작용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99. 뉴질랜드에서 수입하는 라디에타소나무재가 토양에 접촉되는 토목용으로 사용될 경우 예상 내용 연소가 가장 짧은 것은?
100. 목재 방부처리 시 확산법에 가장 적합한 약제는?
비례한도는 Hook의 법칙이 성립되는 최소한의 응력치입니다. Hook의 법칙은 응력과 변형이 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비례한도 내에서는 응력과 변형이 비례하며, 이 구간을 비례한도라고 합니다. 그러나 비례한도를 넘어서면 목재는 탄성 한계를 초과하게 되어 변형이 비례하지 않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목재가 피로해져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