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생물분류기사(동물)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계통분류학

1. 다음 계통분류에 사용되는 용어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hyphothesy
  2. ancestosy
  3. homology
  4. homoplasy
(정답률: 87%)
  • 이 그림에서는 서로 다른 종들이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homoplasy가 적합하다. Homoplasy는 서로 다른 종이 독립적으로 발전하면서 비슷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공통된 조상을 가지지 않은 종들이 비슷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딱정벌레목(Coleopter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불완전변태를 한다.
  2. 홑눈은 있으나, 겹눈이 없다.
  3. 입은 핥는 형이다.
  4. 앞날개는 단단한 각질로 되어 있다.
(정답률: 78%)
  • 딱정벌레목은 불완전변태를 하며, 홑눈은 있지만 겹눈이 없습니다. 입은 핥는 형태이며, 앞날개는 단단한 각질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딱정벌레가 비행을 할 때 보호와 지지를 위해 강한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환형동물에 포함되는 분류군은?

  1. 다판강
  2. 다지강
  3. 다모강
  4. 갑각강
(정답률: 82%)
  • 환형동물은 몸이 원형이거나 환형을 이루는 동물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다모강은 환형동물 중에서도 실제로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이 속해있는 분류군입니다. 다모강에는 해파리, 새우, 게, 도루묵 등 다양한 동물들이 속해있으며, 이들은 몸이 원형이거나 환형을 이루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모강은 환형동물에 포함되는 분류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분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이명법에 따라 명명하는 방식을 확립한 인물은?

  1. Lamarck
  2. Darwin
  3. Linnaeus
  4. Haeckel
(정답률: 85%)
  • Linnaeus는 분류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이명법에 따라 명명하는 방식을 확립하여 현대 생물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동식물과 식물을 각각 분류하고, 각 종의 이름을 라틴어로 표기하는 체계를 만들어 널리 사용되게 했습니다. 이 체계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국제식물명명규약상 식물군 이름은 기준군의 이름에 지정된 어미를 붙여야 하지만, 전통적으로 사용해오던 이름을 함께 사용해도 되는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미나리과
  2. 벼과
  3. 인동과
  4. 물레나물과
(정답률: 68%)
  • 인동과는 국제식물명명규약에서는 "Araliaceae"로 정의되어 있으며, 이 군의 이름에는 어미 "-aceae"가 붙습니다. 따라서 인동과의 경우에도 기준군의 이름에 어미를 붙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진체강동물이면서 후구동물에 해당하는 동물군은?

  1. 편형동물
  2. 선형동물
  3. 연체동물
  4. 극피동물
(정답률: 65%)
  • 진체강동물은 척추동물의 일종으로서 후구동물에 해당합니다. 후구동물은 몸을 땅바닥에 대고 기어다니는 동물을 말하는데, 이 중에서 극피동물은 몸에 각질로 된 미세한 이둔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거친 지면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동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진체강동물이면서 후구동물에 해당하는 동물군은 극피동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물분류군의 학명은 국제동물명명규약에 따라야 한다. 상과(superfamily)명의 어미에 사용되는 것은?

  1. -oidea
  2. -idae
  3. -inae
  4. -ini
(정답률: 58%)
  • "-oidea"는 상과(superfamily)명의 어미로 사용되며, 이는 그룹 내의 동물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어미는 라틴어 "oides"에서 유래되었으며, "비슷한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oidea"로 끝나는 동물군은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벼과(화본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영과이다.
  2.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수과이다.
  3. 줄기의 단면은 삼각형이며, 열매는 핵과이다.
  4.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수과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줄기의 단면은 둥글며, 열매는 영과이다." 이다.

    벼과(화본과)는 대부분 농작물로 재배되는 식물군으로, 줄기의 단면이 둥글다는 것은 원통형이나 구형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열매가 영과인 것은 씨앗이 하나만 있는 과일로, 대표적으로 벼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열매의 종류에 따른 해당식물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시과 -사과
  2. 수과 - 감
  3. 장과 - 밤
  4. 핵과 - 앵도
(정답률: 81%)
  • 핵과는 씨앗이 핵 안에 있고, 앵도는 씨앗이 앵도 안에 있기 때문에 해당식물의 연결로 옳은 것입니다. 시과는 씨앗이 열매 안에 있지 않고, 사과는 사과씨가 씨앗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수과는 씨앗이 열매 안에 있지만, 감은 수과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장과는 씨앗이 열매 안에 있지만, 밤은 장과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콩꼬투리에 해당되는 열매의 주된 종류는?

  1. 취과(aggregate)
  2. 협과(legume)
  3. 삭과(capsule)
  4. 시과(samara)
(정답률: 83%)
  • 콩꼬투리는 씨앗이 들어있는 열매의 일종으로, 씨앗이 열매의 한 쪽면에 붙어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열매는 대부분 협과(legume)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협과(legu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형태적으로는 거의 차이를 찾아내기가 어려울만큼 아주 근사하지만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을 의미하는 것은?

  1. 동소종(sympatric species)
  2. 이소종(allopatric species)
  3. 생태종(eco species)
  4. 동포종(sibling species)
(정답률: 72%)
  • 동포종은 형태적으로는 매우 비슷하지만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을 의미합니다. 즉, 서로 교배하여 새로운 후손을 낳을 수 없는 종들을 말합니다. 이는 동일한 지역에서 진화한 종들이 서로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형태적으로는 거의 차이를 찾아내기가 어려울만큼 아주 근사하지만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을 동포종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속씨(피자)식물의 일반적인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목부에 도관이 존재한다.
  2. 배주가 심피에 싸여서 암술을 이룬다.
  3. 수분은 주두상에서 수행한다.
  4. 중복수정을 하지 않는다.
(정답률: 88%)
  • 속씨식물의 일반적인 특징은 목부에 도관이 존재하고, 배주가 심피에 싸여서 암술을 이루며, 수분은 주두상에서 수행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중복수정을 하지 않는 것은 다른 특징과는 거리가 먼 특징입니다. 중복수정이란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수정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정보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해치기 때문에 속씨식물은 중복수정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종자식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솔잎란식물
  2. 석송식물
  3. 속새식물
  4. 소철식물
(정답률: 66%)
  • 종자식물은 씨앗을 통해 번식하는 식물을 말합니다. 소철식물은 씨앗을 통해 번식하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소철식물이 종자식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생물학적 종의 개념 설명이다. ( )안에 가 장 적합한 것은?

  1. 지리적으로 격리되고
  2. 생식적으로 격리되고
  3. 집단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4. 생체적으로 변화하고
(정답률: 88%)
  • 생식적으로 격리되는 것은 서로 다른 종이 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이 서로 교배할 수 없거나, 교배해도 생식 불능인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이유로 생식적으로 격리된 종들은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연체동물문의 강 중 치설(radula)이 없는 것은?

  1. 부족강
  2. 복족강.
  3. 두족강
  4. 다판강
(정답률: 66%)
  • 부족강은 치설(radula)이 없는 연체동물이다. 치설은 연체동물의 입에 있는 이빨 모양의 기관으로 먹이를 먹거나 표면을 긁어내는 역할을 한다. 부족강은 대부분 해양생물로서, 대표적인 종으로는 해삼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물종에 있어서 종의 학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속명
  2. 과명
  3. 종소명
  4. 명명자
(정답률: 75%)
  • 속명, 종소명, 명명자는 모두 학명의 구성요소이지만, 과명은 학명의 상위 분류 단위인 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의 학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즉, 종의 학명은 속명과 종소명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과명 아래에 위치한 하위 분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절지동물문의 거미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리는 4쌍이다.
  2. 몸은 체절적 구분이 없는 두흉부와 원시적으로 체절적 구분이 있는 복부의 2부분으로 구분된다.
  3. 협각이 잘 발달되었다.
  4. 머리에 2쌍의 촉각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4%)
  • 거미강에 속하는 거미류는 몸이 두 부분으로 나뉘며, 체절적 구분이 있는 복부와 두흉부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몸은 체절적 구분이 없는 두흉부와 원시적으로 체절적 구분이 있는 복부의 2부분으로 구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머리에 2쌍의 촉각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거미류가 먹이를 잡기 위해 거미줄을 만들어 내는데, 이때 거미줄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머리에 촉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동물모식에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모식(holotype) : 원저자가 학명을 지을 때 근거로 사용한 표본
  2. 총모식(syntype) : 원저자가 원기재시 완모식을 지정하지 않았을 때 모식계열의 모든 표본
  3. 후모식(lectotype) : 모식계열의 중에서 완모식을 제외한 모든 표본
  4. 신모식(neotype) : 완모식, 후모식, 총모식이 분실 또는 파괴되어 존재하지 않을 때 절대적인 필요에 의해 선정한 표본
(정답률: 69%)
  • "후모식(lectotype) : 모식계열의 중에서 완모식을 제외한 모든 표본"에 관한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후모식은 모식계열 중에서 원래 완모식으로 지정된 표본이 분실되거나 파괴된 경우, 새로운 완모식을 지정하기 위해 모식계열 중에서 대표적인 표본을 선택하여 지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후모식은 완모식을 제외한 모든 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모식계열 중에서 완모식으로 지정된 표본을 제외한 나머지 표본들 중에서 선택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변이를 유전적 변이와 비유전적 변이로 분류할 때, 다음 중 비유전적 변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식처에 따른 변이(생태표현형적 변이)
  2. 연령적 변이
  3. 암수모자이크 및 간성
  4. 외상성변이
(정답률: 88%)
  • 비유전적 변이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변이를 말하며, 유전자 자체의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유전적 변이와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암수모자이크 및 간성"이 정답이다. 암수모자이크는 성별에 따라서 발현되는 형질의 차이를 말하며, 간성은 성별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형질의 차이를 말한다. 이러한 형질의 차이는 유전자의 변화가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비유전적 변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동정(Identification)
  2. 명명(Nomenclature)
  3. 분류(Classification)
  4. 검색(Searching)
(정답률: 91%)
  •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동물의 종을 분류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류(Classification)"이 가장 적합하다. 동정은 이미 알고 있는 동물의 종을 확인하는 것이고, 명명은 새로운 종을 명명하는 것이며, 검색은 이미 분류된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환경생태학

21. 다음 ( )안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용어는?

  1. ㉠ 군집, ㉡ 영양분
  2. ㉠ 군집, ㉡ 강우량
  3. ㉠ 생물군계, ㉡ 영양분
  4. ㉠ 생물군계, ㉡ 강우량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생물군계와 강우량을 나타내는 지도이기 때문에, 정답은 "㉠ 생물군계, ㉡ 강우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중독 시 Hunter-Russel증후군으로 일컬어지며 사지 감각이상, 구음장애, 청력장애, 구심성 시야흡착, 소뇌성 운동실조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오염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카드뮴
  2. 메틸수은
  3. 비소
(정답률: 65%)
  • 메틸수은은 신경독성이 강하며,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Hunter-Russel증후군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의 신체에 흡수되면 쉽게 배설되지 않아 농축되어 중독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따라서, 메틸수은이 가장 적합한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DNA, RNA 및 ATP의 구성성분이며, 척추동물의 뼈를 구성하는 필수 원소는?

  1. 질소
  2. 탄소
  3. 산소
(정답률: 86%)
  • 인은 DNA, RNA 및 ATP의 구성성분 중 하나이며, 척추동물의 뼈를 구성하는 필수 원소 중 하나입니다. 질소, 탄소, 산소는 모두 생명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뼈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원소는 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호수는 자체의 물리적 특성과 생물의 독특한 분포에 따라 연안대, 준조광대, 심연대 수역으로 나뉘어지는데 다음 영양단계 중 호수의 심연대에서 주로 분포하는 것은?

  1. 에너지
  2. 생산자
  3. 1차 소비자
  4. 분해자
(정답률: 85%)
  • 정답은 "분해자"입니다. 호수의 심연대는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서 생산자가 거의 없으며, 1차 소비자도 적습니다. 따라서, 심연대에서는 주로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분해자들이 분포합니다. 이들은 죽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만들어내고, 이를 다른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물농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흡수되었다.
  2. 영양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농축 정도가 커진다.
  3. 영양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체내에서 분해된다..
  4. 전형적인 피해 사례로서 수은중독, 카드뮴중독, PCB중독 등이 있다.
(정답률: 91%)
  • 옳지 않은 설명은 "영양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체내에서 분해된다." 입니다. 영양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생물체 내에서 농축 정도가 커지며, 따라서 농축된 독소가 체내에 쌓이게 됩니다. 이는 전형적인 피해 사례로서 수은중독, 카드뮴중독, PCB중독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하천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 소, ㉡ 삼각주
  2. ㉠ 여울, ㉡ 소
  3. ㉠ 소, ㉡ 여울
  4. ㉠ 삼각주, ㉡여울
(정답률: 78%)
  • 이 그림에서 ㉠은 물이 빠져나가는 구멍인 여울을, ㉡은 물이 쌓이는 곳인 소를 나타낸다. 여울은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빠른 곳에서 생기며, 소는 물이 흐르는 속도가 느린 곳에서 생긴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빠른 곳에서 여울이 생기고, 그 여울에서 물이 쌓이면서 소가 생긴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부영양화 현상
  2. 용존산소의 고갈
  3. 적조현상
  4. 열섬현상(heat island)
(정답률: 92%)
  • 열섬현상은 도시 내에서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의 방출로 인해 도시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이지만, 열섬현상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수용능력(carrying capac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생물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2.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
  3. 생물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4.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95%)
  •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수용능력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생물의 종류와 비생물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따라서 수용능력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두 개의 종은 자원이 제한된 조건 아래서 무기한 같이 살지 못하고 또 같은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 할 수 없다는 것은?

  1. 경쟁배타의 원리
  2. 적자생존의 원리
  3. 기생
  4. 세력권다툼
(정답률: 92%)
  • 두 종이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서로 경쟁해야 하며, 이 경쟁에서 이긴 종이 자원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고 번식에도 유리해지기 때문에, 결국 경쟁에서 이긴 종이 살아남고 번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쟁배타의 원리 때문에 두 종은 무기한 같이 살지 못하고, 같은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 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점오염원과 거리가 먼 것은?

  1. 생활하수
  2. 산업시설의 폐수
  3. 축산폐수
  4. 도로의 우수
(정답률: 89%)
  • 도로의 우수는 점오염원이 아니라면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점오염원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도로의 우수는 점이 아닌 선오염원으로서, 비가 내리면 도로 위에 쌓인 오염물질들이 물과 함께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생활하수, 산업시설의 폐수, 축산폐수 모두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점오염원으로서, 집중적으로 관리되지 않으면 주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온대 및 열대지방에서 나타나는 건조한 곳으로 연 강수량이 250mm 이하로 일교차가 심한 지역은?

  1. 툰드라
  2. 사막
  3. 타이가
  4. 열대우림
(정답률: 84%)
  • 사막은 연 강수량이 250mm 이하로 매우 건조한 지역을 말하며,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큽니다. 이러한 조건은 온대 및 열대지방에서 나타나며, 툰드라나 타이가, 열대우림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특히, 물새 서식처에 관한 습지 보전 국제협약은?

  1. 람사르협약
  2. 비엔나협약
  3. 몬트리올의정서
  4. 교토의정서
(정답률: 90%)
  • 람사르협약은 물새와 그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약으로, 습지 보전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촉진하고 습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물새 서식지에 대한 보전을 중요시하는 이들 사이에서는 람사르협약이 가장 중요한 국제협약으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상류 하천의 종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수심 - 깊다
  2. 침식 형태 - 하상 침식
  3. 용존 산소 - 다량
  4. 유량의 변화 - 크다
(정답률: 77%)
  • 정답: "수심 - 깊다"

    설명: 상류 하천은 일반적으로 하류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상류에서는 유속이 빠르고 하천의 경사도가 크기 때문에 토사와 함께 운반되는 물질이 하천 바닥을 침식시키고 수심을 깊게 만듭니다. 따라서 "수심 - 깊다"는 상류 하천의 종적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는?

  1. 풍부도
  2. 우점도
  3. 균등도
  4. 상대밀도
(정답률: 85%)
  • "균등도"는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고르게 분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균등도"인 이유는 다른 지수들과는 달리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고르게 분포하는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지수들은 개체수가 많은 종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등 개체수의 분포와는 관계가 더 복잡하게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같은 종의 생물이 만드는 집합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관
  2. 개체군
  3. 생물군계
  4. 생태계
(정답률: 80%)
  • 개체군은 같은 종의 생물들이 특정 공간에서 함께 살면서 상호작용하는 집합체를 말한다. 이에 비해 상관은 두 개체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며, 생물군계는 생물들을 분류하는 분류 체계를 말하며, 생태계는 생물군계와 그들이 서식하는 환경인 생태적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생태학적 시스템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개체군의 상호작용 중 “죽었거나 죽어가는 생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상호 작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기생
  2. 부생
  3. 공생
  4. 포식
(정답률: 82%)
  • 부생은 죽은 또는 죽어가는 개체에서 얻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존하는 상호작용을 말한다. 이는 다른 개체를 죽이거나 손상시키지 않고도 생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생과는 달리 호스트 개체를 해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정답은 "부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생태학적 천이에서 극상단계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극상은 구체적인 개념으로 실제적으로 극상에 쉽게 도달한다.
  2. 천이의 중간단계이다.
  3. 극상은 기후적 요소와는 관련이 적다.
  4. 종의 경쟁, 구조 및 에너지 흐름이 안정된 상태이다.
(정답률: 84%)
  • 극상은 생태학적 천이에서 최종 단계로, 종의 경쟁, 구조 및 에너지 흐름이 안정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생태계 내에서 모든 종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서로의 존재와 역할이 균형을 이루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극상은 생태계의 건강한 상태를 나타내며,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생태계의 자연적인 과정을 존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1. 군집 피라미드
  2. 먹이 피라미드
  3. 생존 피라미드
  4. 생태 피라미드
(정답률: 82%)
  • 이 그림은 생태계에서 생물들이 서로 영양을 공급하고 받는 관계를 나타내는 생태 피라미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 층마다 생물들이 서로 먹이사슬을 이루며, 상위 생물이 하위 생물을 먹어 에너지를 얻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생태 피라미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개체군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혹독한 기후나 DDT 같은 살충제로 오염된 지역에서의 곤충 개체군의 감소 효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밀도-비의존 효과(density-independent effect)
  2. 밀도-의존 효과(density-dependent effect)
  3. 생물적 개체군 효과(biotic population effect)
  4. 자연 선택 효과(natural selection effect)
(정답률: 74%)
  • 밀도-비의존 효과는 개체군의 감소가 개체군의 밀도와는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혹독한 기후나 DDT 같은 살충제로 오염된 지역에서의 곤충 개체군의 감소는 밀도-비의존 효과에 해당합니다. 이는 개체군의 개별 개체들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환경 요인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약(의정서)은?

  1. 몬트리올 의정서
  2. 리우협약
  3. 도쿄의정서
  4. 런던협약
(정답률: 73%)
  • 정답은 "런던협약"입니다. 런던협약은 1972년에 체결된 국제협약으로, 해양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협약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와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선박이 해양에 배출하는 폐기물의 종류와 양, 처리 방법 등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형태학

41. 식물의 뿌리에서 측근(lateral root)의 발생기원이 되는 조직은?

  1. 표피조직
  2. 피층유조직
  3. 내초
  4. 내피
(정답률: 69%)
  • 식물의 뿌리에서 측근의 발생기원이 되는 조직은 내초입니다. 내초는 식물의 뿌리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한 조직으로, 측근의 발생과 같은 뿌리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측근은 내초에서 발생한 세포들이 분열하여 형성되며, 이후에는 측근에서 뿌리가 더욱 발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내초는 뿌리의 발생과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조류(Aves)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부는 얇고 땀샘이 없다.
  2. 몸은 표피성 깃털로 덮여 있다.
  3. 발은 보통 5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4. 다리에 비늘이 있다.
(정답률: 78%)
  • "발은 보통 5개의 발가락을 가진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일부 조류는 발가락이 4개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타조와 태조는 발가락이 3개이며, 펭귄은 발가락이 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상피조직의 종류는?

  1. 입방상피
  2. 단층원주상피
  3. 다층편형상피
  4. 단층편형상피
(정답률: 87%)
  • 이 상피조직은 세포가 한 층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세포의 밑면에는 원주가 있어서 "단층원주상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생장층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온대지방에서는 보통 한 개의 생장층이 형성된다.
  2. 생장층은 초기에 생장한 춘재 부분과 후기에 생장한 추재 부분으로 구별된다.
  3. 추재와 다음 해에 형성된 춘재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선이 생기지만, 같은 해에 형성된 춘재와 추재 사이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다.
  4. 춘재의 세포는 추재에 비해 세포가 작고, 세포벽이 두껍고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다.
(정답률: 67%)
  • "온대지방에서는 보통 한 개의 생장층이 형성된다."는 일반적인 설명이므로 거리가 먼 것이다.

    "춘재의 세포는 추재에 비해 세포가 작고, 세포벽이 두껍고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다."는 생장층 내부의 구조적 차이를 설명한 것으로, 생장층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후각조직 세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열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2. 1차 세포벽이 균일하지 않게 두꺼워진다.
  3. 소성(plasticity)을 가지고, 지지작용을 한다.
  4. 완전히 성숙했을 때는 죽은 세포이다.
(정답률: 71%)
  • "완전히 성숙했을 때는 죽은 세포이다."는 후각조직 세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후각조직 세포는 분열 기능을 회복할 수 없지만, 다른 세포와 마찬가지로 생명력이 있어서 일정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각조직 세포가 완전히 성숙했을 때 죽은 세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조류의 소화기계로 단단하고 두꺼운 근육질로 전체적으로는 암홍색을 띠며, 먹이와 함계 섭취된 모래알이나 작은 돌에 의해 먹이를 분쇄하여 소화를 돕는 포유류의 위(Stomach)와 같은 기능을 가진 기관은?

  1. 소낭(Crop)
  2. 위강(Gastral Cavity)
  3. 사낭(Gizzard)
  4. 췌장(Pancreas)
(정답률: 67%)
  • 사낭은 조류의 소화기계 중 하나로, 먹이와 함께 섭취된 작은 돌이나 모래알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먹이를 분쇄하여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포유류의 위와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신경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 중추신경계, ㉡ 소뇌
  2. ㉠ 중추신경계, ㉡ 척수
  3. ㉠ 자율신경계, ㉡ 소뇌
  4. ㉠ 자율신경계, ㉡ 척수
(정답률: 76%)
  • 이 그림은 신경계의 구성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앙에 위치한 뇌와 척수는 중추신경계를 이루고, 그 주변에 위치한 신경들은 말초신경계를 이룹니다. 말초신경계 중에서도 자율신경계는 내장기관의 자율적인 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며, 척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으로서 신경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 자율신경계, ㉡ 척수)가 가장 알맞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포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것을 조직(Tissue)이라고 하며 동물조직은 4가지 기본조직(Primary Basic Tissu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본조직 4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지조직(Supporting Tissue)
  2. 상피조직(Epithelial Tissue)
  3. 근육조직(Muscular Tissue)
  4. 신경조직(NervousTissue)
(정답률: 83%)
  • 지지조직은 기능적으로 세포들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조직들을 지지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본조직 4가지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은 어떤 곤충에 관한 설명인가?

  1. 하루살이목
  2. 잠자리목
  3. 풀잠자리목
  4. 날도래목
(정답률: 78%)
  • 이 곤충은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날아다니며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날도래목"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기 목부 구조 중 주축계와 방사계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주축계는 통수요소, 섬유 및 유세포로 구성된다.
  2. 방사계는 통수요소 및 섬유세포로 구성된다.
  3. 주축계의 세포들은 줄기나 뿌리의 장축에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4. 방사계는 줄기나 뿌리의 축에 직각이 되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정답률: 58%)
  • 정답은 "방사계는 통수요소 및 섬유세포로 구성된다."이다. 이유는 주축계와 방사계는 모두 통수요소와 섬유세포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축계의 세포들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방사계의 세포들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뼈를 구성하는 3가지 기본물질과 거리가 먼 것은?

  1. 연골
  2. 골기질
  3. 골아세포
  4. 파골세포
(정답률: 72%)
  • 연골은 뼈를 구성하는 기본물질 중 하나이지만, 실제 뼈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뼈는 골기질과 골아세포, 파골세포로 이루어져 있지만, 연골은 유연하고 탄성이 있어서 뼈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연골은 뼈의 성장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뼈와는 구조와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나열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의 유형 중 특별한 형태의 부세포가 없으며, 공변세포는 보통의 표피세포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공변세포와 주변의 표피세포들 사이를 연결하는 원형질 연락사가 없는 형태는?

  1. 방사형(actinocytic type)
  2. 부등형(anisocytic type)
  3. 부재형(anomocytic type)
  4. 평행형(paracytic type)
(정답률: 75%)
  • 부재형 기공복합체는 특별한 형태의 부세포가 없으며, 공변세포는 보통의 표피세포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공변세포와 주변의 표피세포들 사이를 연결하는 원형질 연락사가 없는 형태입니다. 이는 다른 유형의 기공복합체와는 달리 특별한 형태의 부세포가 없기 때문에 부재형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배를 먹을 때 그 과육에서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데 이것은 어떤 조직의 무슨 세포인가?

  1. 후벽조직 - 보강세포
  2. 후각조직 - 섬유세포
  3. 후각조직 - 보강세포
  4. 후벽조직 - 섬유세포
(정답률: 74%)
  • 배의 과육은 후벽조직에서 생산되며, 이 조직에는 보강세포와 섬유세포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 것은 보강세포에서 나오는 섬유질이기 때문에 "후벽조직 - 보강세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과 같은 열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딸기에서 볼 수 있는 열매 유형으로 취과라고 한다.
  2. 우리가 먹는 부분은 화탁이 비후되어 육질화된 부분이다.
  3. 우리가 씨라고 부르는 부분은 실제로는 수과이다.
  4. 국화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여러 개의 꽃이 발달하여 형성된 열매이다.
(정답률: 71%)
  • "우리가 씨라고 부르는 부분은 실제로는 수과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씨는 열매의 씨앗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이는 열매의 씨앗이 아닌 다른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과피(果皮, pericarp)는 대부분의 경우, 어느 부분이 발달된 것인가?

  1. 꽃잎(petal)
  2. 꽃받침(sepal)
  3. 씨방벽(ovary wall)
  4. 밑씨(ovule)
(정답률: 86%)
  • 과피는 열매의 외부를 덮는 부분으로, 열매는 꽃받침, 꽃잎, 수술 등의 꽃의 부분들이 변형하여 발달한 것입니다. 따라서 과피는 열매의 내부에 있는 씨방벽(ovary wall)에서 발달된 것입니다. 씨방벽은 꽃받침, 꽃잎, 수술 등의 꽃의 부분들과 함께 꽃의 일부분으로 발달하며, 열매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씨방벽이 과피로 변형됩니다. 따라서 과피는 대부분의 경우 씨방벽에서 발달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곤충의 키틴질로 된 외골격 기능 및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외부환경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몸의 수분증산을 돕는다.
  2. 근육의 부착점을 제공한다.
  3. 병원미생물 등 외부 침입자들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4. 외골격으로 인해 절지동물의 경우 계속 탈피를 해야 한다.
(정답률: 82%)
  • "외부환경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몸의 수분증산을 돕는다."는 거리가 먼 설명이다. 외골격의 기능 중 이는 없으며, 다른 세 가지는 각각 근육의 부착점 제공, 외부 침입자로부터 몸 보호, 절지동물의 경우 계속 탈피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가도관과 도관절에 나타나는 이차벽 구조의 패턴이다. 가장 알맞은 것은?

  1. 계문상
  2. 원문상
  3. 나선상
  4. 망문상
(정답률: 53%)
  • 정답은 "원문상"이다. 이차벽 구조의 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데, 이 반복되는 패턴이 직선적인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원문상"이다. "계문상"은 계단식으로 반복되는 패턴, "나선상"은 나선 모양으로 반복되는 패턴, "망문상"은 망사처럼 꼬여있는 패턴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파리목 곤충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용어는?

  1. 평형곤(halter)
  2. 반초시(반시초, helelytra)
  3. 초시(시초, elytra)
  4. 복시(tegmina)
(정답률: 86%)
  • 파리목 곤충은 두 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크고 강력한 날개인 초시(시초, elytra)이고, 다른 하나는 작고 민첩한 날개인 평형곤(halter)이다. 평형곤은 곤충이 비행 중에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하며, 이는 곤충의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평형곤(hal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골격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불수의근이다.
  2. 줄무늬를 가진다.
  3. 근소포체를 가진다.
  4. 뼈에 부착되어 있다.
(정답률: 79%)
  • 정답: "불수의근이다."

    해설: 골격근은 불규칙적인 줄무늬를 가지며, 근소포체를 가지고 있으며, 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불수의근은 심장과 소화기관 등에서 발견되는 부드러운 근육으로, 골격근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동물은?

  1. 개구리
  2. 조류
  3. 성게
  4. 포유류
(정답률: 78%)
  • 이 동물은 바닷속에 살며, 몸이 둥글고 가시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성게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다음 설명에 대한 가장 적합한 현상은?

  1. 서식지 황폐화
  2. 서식지 사막화
  3. 서식지 단편화
  4. 서식지 보편화
(정답률: 8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강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로 인해 주변 생태계와 연결이 끊어져 생물들의 이동이 제한되어 서식지가 단편화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훼손된 자연생태계 교정방법(복원, 회복, 대체, 방치) 중 “복원(restoratio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원래의 생태계로 회귀가 불가능한 경우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르지만 자연 생태계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교정에 중점을 두는 행위
  2. 정확한 회귀는 아니지만 기능이나 구조에서 거의 유사한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으로 자연 생태계의 기능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행위
  3. 훼손된 환경에 대한 교정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원래 존재하던 생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
  4. 생태계 스스로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동안 훼손된 지역을 그대로 두는 것
(정답률: 69%)
  • "복원(restoration)"은 훼손된 환경에 대한 교정 노력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 중 원래 존재하던 생태로 정확히 회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훼손된 지역의 생태계를 가능한 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원래의 생태계로 회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르지만 자연 생태계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교정에 중점을 두는 것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생물의 종과 군집보호를 위한 우선 순위 선정기준이다. 가장 적합한 선정기준은?

  1. 유용성
  2. 생태성
  3. 위험성
  4. 차별성
(정답률: 81%)
  • "차별성"은 다른 선정기준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선정기준이다. 다른 선정기준들은 모두 생물의 종과 군집보호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들 중에서도 가장 독특하고 특별한 특징을 가진 생물종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차별성"을 기준으로 선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야생생물 서식지 단편화가 초래하는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서식지의 단편화로 인해 야생 개체군이 사육 동물이나 식물과 접촉하는 기회가 생기게 된다.
  2. 단편화된 서식지는 면적당 임연부의 면적이 많아지고 종의 영속성을 촉진한다.
  3. 서식지의 단편화는 내부 서식지에 비해 가장자리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급격히 증가시킨다.
  4. 산림이 단편화되면 산림 가장자리 지역의 바람이 강해지고 습도가 낮아지며 온도가 상승하여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률: 83%)
  • "단편화된 서식지는 면적당 임연부의 면적이 많아지고 종의 영속성을 촉진한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해, 서식지가 단편화되면 작은 면적의 서식지가 많아지기 때문에 각 서식지에서의 개체군 밀도가 높아지고, 이는 종의 생존에 유리한 영속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핵심종(keystone species)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핵심종은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를 지탱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2. 핵심종은 생태계내의 영양단계상 주로 하부에 위치하여 상위 포식자와 하위 생산자 또는 초식동물들을 중간에서 조절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는 종이다.
  3. 핵심종은 가장 하위 영양 단계의 생물군의 보전을 위해서 핵심종을 최대한으로 번창시킬 수 있도록 개체군의 크기를 조절해야만 한다.
  4.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핵심종이 사라지면 영양 단계가 붕괴되어 궁극적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가 붕괴된다.
(정답률: 86%)
  • 군집 또는 생태계 내에서 핵심종이 사라지면 영양 단계가 붕괴되어 궁극적으로 그 군집 또는 생태계가 붕괴된다. 이는 핵심종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역할을 대신할 다른 종이 없기 때문이다. 핵심종은 생태계의 안정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보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특정 시간에 어떤 특정 공간을 공유하는 같은 종 개체들의 모임으로서 서로 유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집단을 의미하는 것은?

  1. biome
  2. community
  3. population
  4. mortality
(정답률: 74%)
  • 정답은 "population"입니다. "Population"은 같은 종 개체들의 모임으로서 특정 시간에 어떤 특정 공간을 공유하며 서로 유전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집단을 의미합니다. "Biome"은 지리적으로 유사한 생태계의 모임을 의미하며, "community"는 서로 다른 종이 함께 살아가는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Mortality"는 사망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식물 표본의 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존
  2. 이황화탄소가스
  3. 나프탈렌
  4. 사염화탄소의 혼합액
(정답률: 77%)
  • 오존은 대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질로, 식물 표본의 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품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황화탄소가스, 나프탈렌, 사염화탄소의 혼합액은 모두 식물 표본의 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품 중 하나이지만, 오존은 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보전 ·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배분할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협약은?

  1. UPOV :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2. CITES :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lora and Fauna
  3. KC : Kyoto Convention
  4. CBD :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정답률: 60%)
  • CBD는 생물다양성의 보전,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공정하고 공평하게 배분할 것을 목적으로 한 국제협약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식물의 새로운 품종 보호, 멸종위기 동식물과 식물의 국제무역, 국제통관에 관한 협약 등 다른 목적을 가진 국제협약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보전(conservation)과 보존(preservation)은 생물다양성 유지와 자연자원 관리 등의 행위에 있어 가장 근간이 되는 개념들이다. 다음 중 보전에 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자연 자원의 계획적인 관리를 통해 자연적인 안정성과 현재의 여건에서 진화적인 변화를 유지하기 위한 행위
  2. 자연 자원에 대한 계획적 관리를 전제로 하되 특정개체, 집단 등의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행위
  3. 적응력이나 질병에 대한 내성 등과 같은 특정한 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유지 관리하는 행위
  4. 희귀종을 존속시키기 위해서 행해지는 도입, 또는 인공수정 등과 같은 인위적인 관리를 위한 일련의 행위
(정답률: 70%)
  • "자연 자원의 계획적인 관리를 통해 자연적인 안정성과 현재의 여건에서 진화적인 변화를 유지하기 위한 행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한 종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체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Most Valuable Population
  2. Minimum Variable Population
  3. Minimum Valuable Population
  4. Minimum Viable Population
(정답률: 65%)
  • "Minimum Viable Population"은 한 종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개체수를 의미한다. 이는 해당 종이 유전적 다양성과 자연 선택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개체수를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이 용어가 해당 개념을 가장 명확하게 설명하기 때문에 "Minimum Viable Populatio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메타개체군(meta population)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1. 비교적 안정된 개체수를 지닌 개체군
  2. 이주와 관련된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개체군
  3. 핵심 개체군의 주변에 존재하는 개체군
  4. 모든 개체군의 총합
(정답률: 72%)
  • 메타개체군은 여러 지역에 분포한 개체군들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큰 개체군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이주와 관련된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개체군이 가장 적합한 표현인 이유는, 메타개체군은 각 지역의 개체군이 이주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주는 일시적이고 유동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표현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식물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열대지방의 식물종이 다양하므로 주요 식물원은 대부분 열대지방에 위치한다.
  2. 건조표본을 통해 식물의 분포나 서식지 요구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대중에게 보전의 중요성을 교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4. 희귀종과 위험종의 재배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정답률: 8%)
  • "희귀종과 위험종의 재배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는 식물원의 목적 중 하나로, 이는 이러한 종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있거나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식물원에서 재배하여 보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식물원의 위치, 역할, 기능 등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이 보기는 식물원의 보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증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 분포범위 이동
  2. 식물의 때 이른 개화
  3. 해수면 상승
  4. 택지 면적의 증가
(정답률: 85%)
  •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지구의 기온 상승과 함께 다양한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택지 면적의 증가"는 다른 증거들과는 달리 지구온난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이는 인간의 도시화와 개발로 인해 토지가 점점 더 개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증거는 지구온난화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특정오염물질은 지구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여 생물다양성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물질은?

  1. CFC-114
  2. Halon-1301
  3. HCFC-132
  4. Halon-1211
(정답률: 69%)
  • 정답은 "Halon-1301"이다. 이는 오존 파괴계수가 가장 높은 물질 중 하나로, 화재 진압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Halon-1301은 높은 안전성과 효율성으로 인해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구 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Halon-1301의 사용은 금지되었고, 대체물질을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생물 군집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방법 중 복원 비용이 너무 많이 들거나 예전의 복원 시도 노력이 실패하여 훼손된 지역을 그대로 두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방치
  2. 복원
  3. 회복
  4. 대체
(정답률: 92%)
  • "방치"는 생물 군집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방법 중 하나로, 복원 비용이 많이 들거나 예전의 복원 시도가 실패하여 훼손된 지역을 그대로 두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생태계의 회복이나 대체를 기대할 수 없으며, 훼손된 지역의 생태계가 계속해서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생물 군집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종다양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
  2.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
  3. 한 군집내에 다수의 종들이 비슷한 개체수로 출현하면 종다양도가 낮고, 소수의 종이 출현하거나 소수의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군집은 종다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4.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
(정답률: 77%)
  •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라는 설명은 종다양도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고,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는 종다양도가 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입니다. 이 설명은 종다양도가 군집구조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는데, 다른 설명들은 종다양도의 정의나 종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이상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가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다양성은 이로운 것이다.
  2. 개체군과 생물종의 때아닌 절멸은 이로운 현상이다.
  3. 생태적으로 복잡한 것이 좋다.
  4. 진화는 이로운 현상이다.
(정답률: 92%)
  • "개체군과 생물종의 때아닌 절멸은 이로운 현상이다." 가장 거리가 먼 가정입니다. 이는 보전생물학의 목표인 생물다양성 보전과는 정반대의 의견이기 때문입니다. 생물다양성은 생태계의 안정성과 인간의 생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물종의 절멸은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고 인간의 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생물다양성의 3가지 범주에 포함되는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환경의 다양성
  2. 유전적 다양성
  3.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4. 종 다양성
(정답률: 81%)
  • 환경의 다양성은 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의 다양성을 의미하며, 생물의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개체 내부의 유전자 다양성을 의미하며, 종 내부의 유전적 차이를 나타냅니다.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은 서로 다른 종들이 서로 작용하며 이루어지는 생태계의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종 다양성은 서로 다른 종들의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경의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의 3가지 범주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보전생물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전생물학은 개체군생물학, 분류학, 생태학 등이 중추를 이룬다.
  2. 보전생물학이란 생물다양성 붕괴의 위협에 대응하여 발전한 종합적인 과학이다.
  3. 보전생물학의 목적은 종,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데 있다.
  4.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우선 순위로 하며 장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
(정답률: 76%)
  •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우선 순위로 하며 장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보전생물학의 목적과 관심사를 다른 학문 분야나 생물보호 활동과 구분짓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보전생물학은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다양한 학문 분야와 생물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접근하며, 경제적인 요인들을 우선 순위로 삼지는 않는다. 보전생물학은 생태계의 안정성과 생물다양성 유지를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인간 활동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생태계의 복원과 보호를 추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야생종을 위한 표본추출전략 중 종수준에서 수집의 우선 순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체군과 개체의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종
  2. 자연으로 재도입될 수 있는 종
  3. 진화적 및 분류학적으로 유일한 종
  4. 현지에서의 보전이 불가능한 종
(정답률: 43%)
  • 현지에서의 보전이 불가능한 종은 그 종이 서식하는 지역이나 생태계가 이미 파괴되어서 그 종이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켜서 인공적으로 보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자연환경관계법규

8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광역도시계획 수립을 위해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초조사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국제적 협력강화를 위한 부대시설의 설치
  2. 국제적 협력강화를 위한 부대시설의 설치
  3. 기후 · 지형 · 자원 및 생태 등 자연적 여건
  4. 풍수해 · 지진 그 밖의 재해의 발생현황 및 추이
(정답률: 62%)
  • 해당 문항은 오류가 있어 정답과 해설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의거, 환경부장관이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 할 때, 필요한 자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종의 국명(國名) 및 학명
  2. 종별 생태적·분류학적 특징
  3. 생물종별 국외 분포 현황
  4.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
(정답률: 70%)
  • 생물종의 국명과 학명, 종별 생태적·분류학적 특징, 조사자, 조사기간 및 조사방법은 국내에서 생물종을 보전하고 이용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이지만, 생물종별 국외 분포 현황은 국내에서 생물종을 보전하고 이용하는 데 직접적으로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물종별 국외 분포 현황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을 포획⦁채취⦁훼손하거나 고사시킨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60%)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보호가 필요한 매우 소중한 생물종으로, 그들을 포획⦁채취⦁훼손하거나 고사시키는 것은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률에서는 엄격한 벌칙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엄격한 벌칙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것인데, 이는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환경정책기본법상 환경기준의 설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는 환경기준을 설정하여야 하며, 환경 여건의 변화에 따라 그 적정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
  2.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3. 시·도지사는 지역환경기준을 설정하거나 변경한 경우에는 이를 지체 없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시·도는 해당 지역의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시·도의 조례로 환경기준보다 확대·강화된 별도의 지역환경기준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55%)
  •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환경기준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정 분야에서는 법령이나 규칙으로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기환경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종류와 용량 등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기준을 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기환경기준을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자연공원법령상 공원관리청이 공원구역에서 행위허가를 함에 있어 공원위원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경우(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지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2. 도로·철도·궤도 등의 교통·운수시설을 1킬로미터 이상 신설하거나 1킬로미터 이상 확장 또는 연장하는 경우
  3. 만수면적이 10만제곱미터 이상이거나 총저수용량이 100만세제곱미터 이상이 되는 댐·하구언·저수지·보 등 수자원개발사업을 하는 경우
  4. 5천제곱미터 이상의 개간·매립·간척 그 밖의 토지형질변경을 하는 경우
(정답률: 50%)
  • 공원구역에서 부지면적이 1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는 공원위원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경우이다. 이는 공원관리청이 행위허가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기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 납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통지는 ⌜국고금관리법 시행규칙⌟ 의 서식에 따른다.
  2.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분할납부신청을 받은 시⦁도지사는 분할납부의 사유 등을 검토하여 신청을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그 처리결과를 신청인에게 알려야 한다.
  3.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에 따른 공공기관의 분할납부의 횟수는 2회 이하로 한다.
  4.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금액별 분할납부 횟수는 2억원 초과의 경우는 5회 이하로 한다.
(정답률: 56%)
  • 생태계보전협력금의 부과금액별 분할납부 횟수는 2억원 초과의 경우는 5회 이하로 한다는 것이 옳은 것이다. 이는 자연환경보전법 제25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으며, 대규모 사업 등에서도 부과금액을 분할하여 납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국토기본법상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수립할 수 있는 지역계획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지구단위발전계획
  2. 종합개발계획
  3. 지역개발계획
  4. 수도권발전계획
(정답률: 56%)
  • 국토기본법에서는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수립할 수 있는 지역계획으로 "지구단위발전계획", "종합개발계획", "지역개발계획", "수도권발전계획"을 규정하고 있다. 이 중에서 "지역개발계획"은 특정 지역의 발전 방향과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해당 지역의 자원과 환경 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지역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발전 방향과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지역개발계획"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대기환경기준항목과 측정 방법, 기준치와의 연결이 옳은 것은? (단, 기준치는 1시간 평균치)

  1. 이산화질소(NO2) - 화학 발광법 - 0.06ppm 이하
  2. 아황산가스(SO2) - 적외선 형광법 - 0.10ppm 이하
  3. 오존(O3) - 자외선 광도법 - 0.10ppm 이하
  4. 일산화탄소(CO) - 베타선 흡수법 - 25ppm이하
(정답률: 53%)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대기환경기준항목과 측정 방법, 기준치와의 연결은 다음과 같다.

    - 이산화질소(NO2) - 화학 발광법 - 0.06ppm 이하
    - 아황산가스(SO2) - 적외선 형광법 - 0.10ppm 이하
    - 오존(O3) - 자외선 광도법 - 0.10ppm 이하
    - 일산화탄소(CO) - 베타선 흡수법 - 25ppm이하

    이 중에서 오존(O3)의 경우 자외선 광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기준치는 1시간 평균치로 0.10ppm 이하로 정해져 있다. 이유는 오존이 대기 중에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자외선 광도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적합하며, 1시간 평균치로 기준치를 정하는 것은 오존의 높은 농도가 짧은 시간 동안에도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상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산과 거리가 먼 것은?

  1. 금강산
  2. 지리산
  3. 소백산
  4. 대둔산
(정답률: 69%)
  •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산맥을 의미합니다. 대둔산은 백두대간의 일부로 북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다른 보기인 금강산, 지리산, 소백산은 백두대간과는 거리가 멀어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둔산이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의 효력 발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
  2.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로 7일 후
  3.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로 15일 후
  4.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로 30일 후
(정답률: 53%)
  • 도시⦁군관리계획 결정의 효력 발생일은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로부터 15일 후이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명시되어 있다. 지형도면을 고시한 날은 해당 지역의 지형, 지적, 토지이용 등의 정보를 담은 지도를 공개한 날을 의미한다. 이후 15일이 지나면 해당 지역의 도시⦁군관리계획이 발효되어 시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 수립과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지정주기 등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수치는?

  1. ㉠ 5년, ㉡ 5년
  2. ㉠ 5년, ㉡ 2년
  3. ㉠ 2년, ㉡ 5년
  4. ㉠ 2년, ㉡ 2년
(정답률: 48%)
  • ㉠ 5년, ㉡ 5년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지정주기와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 수립 주기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5년마다 재평가하여 지정여부를 결정하고,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정 및 보완하여 시행한다. 따라서 ㉠ 5년, ㉡ 5년이 가장 알맞은 수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자연공원법상 공원구역에서 공원사업 외의 행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언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와 거리가 먼 것은?

  1. 나무를 베거나 야생식물을 채취하는 행위
  2. 물건을 쌓아 두거나 묶어 두는 행위
  3. 100명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
  4. 자갈을 채취하는 행위
(정답률: 86%)
  • 공원구역에서 공원사업 외의 행위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언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100명의 사람이 단체로 등산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대규모의 인원이 모여서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다른 행위들은 개인적인 행위에 해당하거나 자원을 파괴하는 행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중앙정책위원회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인원수는?

  1. ㉠ 5명 이상, ㉡ 25명 이내
  2. ㉠ 25명 이상, ㉡ 25명 이내
  3. ㉠ 5명 이상, ㉡ 50명 이내
  4. ㉠ 25명 이상, ㉡ 50명 이내
(정답률: 72%)
  •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는 중앙정책위원회의 구성원 수를 "㉠ 5명 이상, ㉡ 25명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책위원회가 환경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수를 보장하면서도, 인원수가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25명 이내의 인원으로 구성된 중앙정책위원회가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국외반출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 생물자원이지만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반출승인대상 생물자원을 국외로 반출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60%)
  • 법률상 국외반출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 생물자원을 반출승인 없이 국외로 반출하는 것은 불법행위이며,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죄목 중 하나인 "국외반출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국외로 반출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해당 죄목을 범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지구단위계획수립 등에 관한 사항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단위계획은 도시의 정비⦁관리⦁보전⦁개발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2. 지구단위계획은 주거⦁산업⦁유통⦁관광휴양⦁복합 등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중심기능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3.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무총리가 정한다.
  4.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
(정답률: 73%)
  •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도시⦁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가 수립하며, 이에 대한 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무총리가 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상 용어의 뜻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용어는?

  1. 무인도서
  2. 우수도서
  3. 지정도서
  4. 특정도서
(정답률: 65%)
  • 해당 법에서 "특별법상"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있으므로, 이는 법에서 특별히 정한 용어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법에서 "특정도서"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특정도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습지보전법상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자가 습지보호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비율 이상에 해당하는 면적의 습지를 훼손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습지보호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 중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면적의 습지가 존치되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 “공동부령이 정하는 비율”이라 함은 지정 당시의 습지보호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 면적의 어느 정도를 말하는 것인가?

  1. 1/5이상 ~ 1/4 미만
  2. 1/4 이상 ~ 1/3 미만
  3. 1/3 이상 ~ 1/2 미만
  4. 1/2 이상
(정답률: 54%)
  • “공동부령이 정하는 비율”은 지정 당시의 습지보호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 면적의 1/2 이상을 말한다. 이는 습지를 보전하기 위해 최소한 반 이상의 면적을 보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정답은 "1/2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은?

  1. 금개구리
  2. 비바리뱀
  3. 수원청개구리
  4. 표범
(정답률: 67%)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 해당하는 것은 멸종위기 등급이 낮지만 보호가 필요한 야생생물로, 이 중에서 "금개구리"는 멸종위기 등급이 낮지만 외래종으로 인해 국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경관보존지역 등의 토지매수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수시
  2. 연1회
  3. 연2회
  4. 연4회
(정답률: 50%)
  •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경관보존지역 등의 토지매수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은 연1회입니다. 이는 해당 보고사항이 매년 업데이트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매년 한 번씩 보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1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 중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인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과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하는 것은?

  1. 생태축
  2. 생태서식지
  3. 대체서식지
  4. 자연유보지역
(정답률: 77%)
  • 정답은 "자연유보지역"입니다. 이는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며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는 지역으로, 군사적 목적 이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무인도입니다. 이 지역은 대통령령에 의해 지정되며,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은 비무장지대로 유지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생태계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자연유보지역은 특정한 법적 지정이 필요한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