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27)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2015-06-27 기출문제)

목록

1. 병원건축에서 미래의 성장과 변화를 위하여 각각의 부문별 확장을 가장 많이 고려한 형식은?

  1. 집중형(Block Type)
  2. 이중복도형
  3. 다익형
  4. 중복도형
(정답률: 79%)
  • 다익형은 각 부서별 확장을 가장 많이 고려한 형식입니다. 이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건물을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익형은 각 부서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학교건축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방식의 유형 중 개방학교형(Open School Type)은 팀티칭 방식의 수업에 유리하다.
  2. 학교의 미술교실은 균일한 조도를 얻기 위하여 북측 채광이 유리하다.
  3. 학교의 배치형식 중 폐쇄형은 화재 및 비상시에 유리하고, 일조ㆍ통풍조건이 우수하여 초등학교에서 주로 볼 수 있다.
  4. 학교의 주차장 계획 시 학생들의 보행동선과 차량동선을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92%)
  • 옳지 않은 설명은 "학교의 배치형식 중 폐쇄형은 화재 및 비상시에 유리하고, 일조ㆍ통풍조건이 우수하여 초등학교에서 주로 볼 수 있다."입니다. 폐쇄형 배치는 화재 및 비상시 대피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며, 일조와 통풍이 불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는 개방형 배치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배수관 트랩(Trap)에서 봉수(封水)의 직접적인 역할이 아닌 것은?

  1. 악취의 실내 침투방지
  2. 배수소음의 제거
  3. 벌레 등의 실내 침입방지
  4. 하수가스의 역류방지
(정답률: 85%)
  • 배수관 트랩은 하수가스의 역류방지, 악취의 실내 침투방지, 벌레 등의 실내 침입방지에 모두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봉수(封水)의 직접적인 역할은 배수소음의 제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배수소음의 제거는 배수관 자체의 구조나 재질 등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수소음의 제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건축물의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자동소화설비는?

  1. 스프링클러 설비
  2. 옥내 소화전 설비
  3. 소화기 및 간이 소화용구
  4. 옥외 소화전 설비
(정답률: 95%)
  • 스프링클러 설비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소화설비입니다. 따라서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자동소화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극장의 평면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시니엄형은 Picture Frame Stage라고도 불리며 강연, 콘서트, 독주 등에 적합한 형식이다.
  2. 오픈 스테이지형은 무대와 객석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형태로 공연자와 관객이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형식이다.
  3. 아레나형은 의도된 무대배경의 설치 및 통일감 있는 무대연출을 쉽게 계획할 수 있는 형식이다.
  4. 가변형은 상연하는 작품의 특성에 따라서 무대와 객석의 규모, 형태 및 배치 등을 변경하여 새로운 공간연출이 가능한 형식이다.
(정답률: 89%)
  • 아레나형은 의도된 무대배경의 설치 및 통일감 있는 무대연출을 쉽게 계획할 수 있는 형식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건축법령상 세부 용도가 공동주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다가구주택
  2. 연립주택
  3. 다세대주택
  4. 기숙사
(정답률: 80%)
  • 다가구주택은 건축법령상 공동주택에 해당되지 않는 이유는 각 가구가 독립적인 출입구와 주거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나 공간이 없으며, 각 가구가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이나 공간이 있어 공동주택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장건축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치계획 시 장래 및 확장계획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체 종합계획을 수립한 후 단일건물을 세부적으로 계획한다.
  2. 아파트형 공장은 토지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동일 건물 내 다수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을 말한다.
  3. 공장의 위치는 동력, 전기, 수도, 용수 등의 여러 설비를 설치하는데 편리한 곳이 좋다.
  4. 공장건축 레이아웃 형식 중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과 제품의 흐름에 따라 기계 및 기구를 배치하는 방식은 공정중심 레이아웃이다.
(정답률: 74%)
  • 아파트형 공장은 토지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동일 건물 내 다수의 공장이 동시에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을 말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공장건축 레이아웃 형식 중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과 제품의 흐름에 따라 기계 및 기구를 배치하는 방식은 공정중심 레이아웃이다." 이다. 공정중심 레이아웃은 생산 공정의 순서와 흐름에 따라 기계 및 기구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미술관 특수전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노라마 전시는 주제의 맥락을 강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펼쳐 연출하는 방식이다.
  2. 하모니카 전시는 전시평면이 동일 공간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기법으로,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을 반복 전시할 경우에 유리하다.
  3. 아일랜드 전시는 벽이나 천장을 직접 활용하여 전시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배치하는 기법으로, 소형보다 대형 전시연출에 유리하다.
  4. 영상 전시는 전시물의 보조적 수단 또는 주요 수단으로써 영상기법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81%)
  • 아일랜드 전시는 소형보다 대형 전시연출에 유리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대형 전시물을 배치하기에 적합한 기법입니다. 이유는 벽이나 천장을 직접 활용하여 전시물을 배치하기 때문에 전시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형 전시물을 배치할 때 유리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축물의 자연채광 방식 중 채광방식의 분류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편측창 채광
  2. 고측창 채광
  3. 양측창 채광
  4. 정측창 채광
(정답률: 62%)
  • 정측창 채광은 건물의 한쪽 면에만 창문을 설치하여 그 면에서만 자연광을 받는 방식이다. 나머지 셋은 건물의 여러 면에 창문을 설치하여 여러 방향에서 자연광을 받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모듈러(Le Modulor)에서 사용되는 치수가 아닌 것은?

  1. 43
  2. 70
  3. 178
  4. 113
(정답률: 67%)
  • Le Modulor에서 사용되는 치수는 43, 70, 113이지만 178은 사용되지 않는 숫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7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상점건축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점의 부대부분은 상품관리공간, 점원후생공간, 영업관리공간, 시설관리공간, 주차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상점 진열창의 빛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진열창 외부의 조도를 내부보다 밝게 한다.
  3. 상점의 평면배치 형식 중 직렬배열형은 통로가 직선으로 계획되어 고객의 흐름이 빠르며 부분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다.
  4. 진열창 내부조명은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이 쓰인다.
(정답률: 89%)
  • 상점 진열창의 빛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서 진열창 외부의 조도를 내부보다 밝게 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진열창 외부가 어두우면 내부의 조명이 반사되어 빛이 반사되어 상품을 보는 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무소건축의 코어 종류별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심코어형(편단코어형)은 바닥면적이 커질 경우 코어 이외에 별도의 피난시설, 설비샤프트 등이 필요해진다.
  2. 중앙코어형(중심코어형)은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특히 고층, 초고층에 적합하다.
  3. 독립코어형(외코어형)은 코어로부터 사무실까지 설비덕트나 배관의 연결이 효율적이므로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다.
  4. 양단코어형(분리코어형)은 코어가 분리되어 있어 방재상 유리하다.
(정답률: 84%)
  • 독립코어형(외코어형)은 코어로부터 사무실까지 설비덕트나 배관의 연결이 효율적이므로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독립코어형은 외벽과 코어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때문에 설비덕트나 배관의 연결이 복잡해지고 시공비용이 더 많이 들어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부엌 작업 순서에 따른 가구 배치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배선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냉장고
  2. 냉장고→조리대→개수대→가열대→배선대
  3. 냉장고→배선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
  4.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정답률: 85%)
  • 정답은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입니다.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가장 중요한 가구이므로 부엌의 가장 적합한 위치에 배치해야 합니다. 개수대는 식기를 씻고 정리하는 곳으로 냉장고와 가까이 위치해야 편리합니다. 조리대는 음식을 조리하는 곳으로 개수대와 가까이 위치해야 합니다. 가열대는 요리를 하기 위한 가구로 조리대와 가까이 위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배선대는 전기 및 가스 배관을 연결하는 곳으로 가열대와 가까이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냉장고→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순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제시한 도시의 물리적 형태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다섯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Edges
  2. Nodes
  3. Paths
  4. Emblem
(정답률: 75%)
  • 케빈 린치가 제시한 도시의 물리적 형태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다섯 가지 요소는 Edges, Nodes, Paths, Districts, Landmarks입니다. Emblem은 이 다섯 가지 요소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Emblem은 특정 지역이나 조직의 상징이나 로고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시의 물리적 형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대 그리스 도시에서 교역이나 집회의 장(場)으로 사용되었던 옥외 공공광장을 지칭하는 용어는?

  1. 팔라초(Palazzo)
  2. 아고라(Agora)
  3. 포럼(Forum)
  4. 아크로폴리스(Acropolis)
(정답률: 86%)
  • 아고라는 고대 그리스 도시에서 교역이나 집회의 장으로 사용되었던 옥외 공공광장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아고라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축법」상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층”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3분의 1 이상인 것을 말한다.
  2. “대수선”이란 건축물의 기둥, 보, 내력벽, 주계단 등의 구조나 외부형태를 수선ㆍ변경하거나 증설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거실”이란 건축물 안에서 거주, 집무, 작업, 집회, 오락,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을 말한다.
  4. “고층건축물”이란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말한다.
(정답률: 80%)
  • 정답: "“지하층”이란 건축물의 바닥이 지표면 아래에 있는 층으로서 바닥에서 지표면까지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3분의 1 이상인 것을 말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해당 정의에서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3분의 1 이상인 것"이라는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평균높이가 해당 층 높이의 1/2 이상인 것"이 맞는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건축가와 그가 한 말을 바르게 연결하지 않은 것은?

  1. 루이스 설리번(Louis H. Sullivan)-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 빅토르 호르타(Victor Horta)-집은 살기 위한 기계
  3.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정육면체, 원뿔, 구, 원통, 피라미드는 위대한 원초적 형태들
  4. 루이스 칸(Louis I. Kahn)-제공하는 공간(Servant Space)과 제공받는 공간(Served Space)
(정답률: 60%)
  • 빅토르 호르타는 "집은 살기 위한 기계"라는 말을 한 것이지만, 이를 보기와 바르게 연결하지 않은 것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축형태의 구성 원리 중 다음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질감
  2. 대비
  3. 리듬
  4. 대칭
(정답률: 87%)
  • 이미지에서는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이 대비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대비는 건축물의 시각적인 효과를 높여주며, 건축물의 형태를 더욱 강조해줍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비는 건축형태의 구성 원리 중 "대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선시대 건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선시대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았기 때문에 엄격한 질서와 합리성을 내세우는 단정하고 검소한 조형이 주류를 이루었다.
  2. 조선시대 서원의 시작은 1543년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서원이다.
  3. 조선시대에는 살림집의 터나 집 자체의 크기를 법령으로 규제하는 가사제한(家舍制限)이 있었다.
  4. 조선시대 중기 이후부터 방바닥 전체에 구들을 설치하는 전면 온돌이 지배층의 주택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정답률: 81%)
  • 조선시대 중기 이후부터 방바닥 전체에 구들을 설치하는 전면 온돌이 지배층의 주택에서 널리 사용되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온돌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었으며, 중기 이후에는 오히려 전면 온돌이 아닌 부분 온돌이 더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의 난방 방식 중 직접난방 방식이 아닌 것은?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온수난방
  4. 복사난방
(정답률: 68%)
  • 온풍난방은 공기를 가열하여 방 안으로 바람을 일으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지만, 직접난방 방식은 바닥이나 벽 등을 가열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온풍난방은 직접난방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