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6-05)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2021-06-05 기출문제)

목록

1. 은행의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출입구는 2개소 이상으로 하고 밖여닫이로 한다.
  2. 고객의 공간과 업무공간 사이에는 원칙적으로 구분이 없도록 한다.
  3. 현금 반송 통로는 관계자 외 출입을 금하며 감시가 쉽도록 한다.
  4. 고객이 지나는 동선은 가능한 한 짧게 한다.
(정답률: 72%)
  • "고객의 공간과 업무공간 사이에는 원칙적으로 구분이 없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은행 건축계획에서는 고객과 업무공간을 분리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구분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고객 출입구를 2개소 이상으로 하고 밖여닫이로 하는 것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설명하는 디자인의 원리는?

  1. 강조
  2. 점이
  3. 대칭
  4. 대비
(정답률: 92%)
  • 이 디자인에서는 중앙에 위치한 점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디자인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칭이라는 원리가 적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빛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광도-칸델라(cd)
  2. 휘도-켈빈(K)
  3. 광속-라드럭스(rlx)
  4. 광속발산도-루멘(lm)
(정답률: 57%)
  • 광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1cd는 1/683 와트의 광도를 가진 광원에서 1 스테라디안 각도 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광도-칸델라(cd)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1.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2. 길찾기(Wayfinding)
  3. 지속가능한 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
  4.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정답률: 85%)
  • 위 그림은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계단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제품, 서비스, 환경 등을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특수전시기법인 디오라마(Diorama) 전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시물을 부각해 관람자가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게 하는 입체적인 기법이다.
  2. 사실을 모형으로 연출해 관람시키는 방법으로 실물 크기의 모형 또는 축소형의 모형 모두가 전시 가능하다.
  3. 조명은 전면 균질조명을 기본으로 한다.
  4. 벽면전시와 입체물을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넓은 시야의 실경을 보는 듯한 감각을 주는 기법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조명은 전면 균질조명을 기본으로 한다."입니다. 디오라마 전시에서는 조명이 다양하게 활용되며, 전면 균질조명 외에도 강조 조명, 색조명 등 다양한 조명 기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거건축 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 전체 건물의 방위는 남쪽이 좋으며, 남쪽 이외에는 동쪽으로 18° 이내와 서쪽으로 16° 이내가 합리적이다.
  2. 주택의 입지 조건은 일조와 통풍이 양호하고 전망이 좋은 곳이 이상적이다.
  3. 한식 주택의 평면구성은 개방적이며 실의 분화로 되어 있고, 양식 주택의 평면구성은 폐쇄적이며 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4. 주택의 생활공간은 개인생활공간, 가사노동공간, 공동생활공간 등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85%)
  • 주택의 평면구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한식 주택의 평면구성은 개방적이며 실의 분화로 되어 있고, 양식 주택의 평면구성은 폐쇄적이며 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가 맞습니다. 한식과 양식 주택의 평면구성은 지역, 시대, 건축가의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개방적이거나 폐쇄적인 구성은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차장법령상 주차장 계획 및 구조ㆍ설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외주차장의 출입구 너비는 3 m 이상으로 하고, 주차대수 규모가 30대 이상이면 출구와 입구를 분리해야 한다.
  2. 횡단보도에서 5m 이내에 있는 도로의 부분에는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를 설치할 수 없다.
  3. 단독주택(다가구주택 제외)의 시설면적이 50m2를 초과하고 150m2 이하일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1대이다.
  4.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 부분에서 17%를, 곡선 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2%)
  • 단독주택(다가구주택 제외)의 시설면적이 50m2를 초과하고 150m2 이하일 경우,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1대이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주택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은 지자체별로 다르며, 대개는 주차 대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일반적인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노외주차장의 출입구 너비는 3 m 이상으로 하고, 주차대수 규모가 30대 이상이면 출구와 입구를 분리해야 한다는 것은 주차장의 안전과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기준입니다. 출입구가 넓으면 차량의 출입이 원활해지고, 출구와 입구를 분리하면 차량의 출입과 이동이 원활해지기 때문입니다.

    횡단보도에서 5m 이내에 있는 도로의 부분에는 노외주차장의 출구 및 입구를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기준입니다. 횡단보도에서 출입구가 설치되면 보행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노외주차장 경사로의 종단경사도는 직선 부분에서 17%를, 곡선 부분에서는 14%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차량의 안전을 위한 기준입니다. 경사로의 경사가 너무 가파르면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무소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심코어는 바닥면적이 작은 소규모 사무소 건축에 유리하다.
  2. 사무공간을 개실형으로 배치할 경우, 임대는 용이하나 공사비가 많이 든다.
  3. 승강기 배치의 경우 4대 이상이면 알코브형으로 배치하되, 10대를 최대한도로 한다.
  4. 기준층 평면의 결정요소는 구조상 스팬의 한도, 설비 시스템상 한계, 자연채광, 피난거리, 지하주차장 등이다.
(정답률: 63%)
  • "승강기 배치의 경우 4대 이상이면 알코브형으로 배치하되, 10대를 최대한도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유는 명확하게 설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축물의 범죄예방 설계 가이드라인」상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는 자연채광과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썬큰, 천창 등의 설치를 권장한다.
  2. 단독주택의 출입문은 도로 또는 통행로에서 직접 볼 수 있도록 계획한다.
  3. 높은 조도의 조명보다 낮은 조도의 조명을 많이 설치하여 과도한 눈부심을 줄인다.
  4. 공적인 장소와 사적인 장소 간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소통을 강화하여 영역성을 확보한다.
(정답률: 54%)
  • 옳지 않은 것은 "공적인 장소와 사적인 장소 간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소통을 강화하여 영역성을 확보한다."입니다. 이유는 이 설명은 옳은 설계기준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공적인 장소와 사적인 장소 간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소통을 강화하여 영역성을 확보하는 것은 범죄예방 설계의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상 건축부문의 권장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피의 모서리 부분은 열교가 발생하지 않도록 단열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2. 건물 옥상에는 조경을 하여 최상층 지붕의 열저항을 높이고, 옥상면에 직접 도달하는 일사를 차단한다.
  3. 건물의 창 및 문은 가능한 한 크게 설계하여 자연채광을 좋게 하고 열획득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4. 건축물 외벽, 천장 및 바닥으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에서 정하는 단열두께보다 두껍게 설치하여 단열부위의 열저항을 높이도록 한다.
(정답률: 73%)
  • "건물 옥상에는 조경을 하여 최상층 지붕의 열저항을 높이고, 옥상면에 직접 도달하는 일사를 차단한다."는 옳은 권장사항입니다.

    "건물의 창 및 문은 가능한 한 크게 설계하여 자연채광을 좋게 하고 열획득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는 옳은 권장사항입니다. 건물의 창과 문이 크면 자연채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열획득 효율도 높아져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서관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서관 건축계획은 모듈러 플랜(modular plan)을 통해 확장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유리하다.
  2. 반개가식은 이용률이 낮은 도서나 귀중서 보관에 적합하다.
  3. 안전개가식은 1실의 규모가 1만 5천권 이하의 도서관에 적합하다.
  4. 참고실(reference room)은 일반열람실과 별도로 하고, 목록실과 출납실에 인접시키는 것이 좋다.
(정답률: 63%)
  • 반개가식은 이용률이 낮은 도서나 귀중서 보관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반개가식은 도서관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이용률과는 관계없이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용률이 낮은 도서나 귀중서 보관에 적합한 것은 다른 건축계획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가)~(라)의 건축용어와 A~D의 건축물 유형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가)B (나)A (다)D (라)C
  2. (가)B (나)D (다)C (라)A
  3. (가)D (나)B (다)A (라)C
  4. (가)D (나)C (다)A (라)B
(정답률: 75%)
  • (가)B: 벽돌은 벽체를 구성하는 재료 중 하나이며, 벽돌로 만든 벽체는 벽돌벽이라고 부릅니다.
    (나)A: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시켜 만든 구조물로, 현대 건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다)D: 지붕은 건물을 덮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붕의 종류에는 슬레이트지붕, 타일지붕, 철제지붕 등이 있습니다.
    (라)C: 기둥은 건물의 구조물 중 하나로, 지붕이나 천장을 받치는 역할을 합니다. 기둥의 종류에는 돌기둥, 철근콘크리트 기둥, 목재 기둥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B (나)A (다)D (라)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병원건축의 분관식(pavilion type)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넓은 대지가 필요하며 보행거리가 멀어진다.
  2. 급수, 난방, 위생, 기계설비 등의 설비비가 적게 든다.
  3. 병동부, 외래부, 중앙진료부가 수평 동선을 중심으로 연결된 형태이다.
  4. 일조 및 통풍 조건이 좋다.
(정답률: 80%)
  • "넓은 대지가 필요하며 보행거리가 멀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분관식 배치는 대지 내에 여러 개의 건물을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대지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넓은 대지가 필요하지 않으며, 보행거리도 짧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치수와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듈치수는 공칭치수를 의미한다.
  2. 고층 라멘 건물은 조립부재 줄눈 중심 간 거리가 모듈치수에 일치해야 한다.
  3. 제품치수는 공칭치수에서 줄눈 두께를 뺀 거리이다.
  4. 창호치수는 문틀과 벽 사이의 줄눈 중심 간 거리가 모듈치수에 일치하도록 한다.
(정답률: 30%)
  • 정답은 "제품치수는 공칭치수에서 줄눈 두께를 뺀 거리이다." 이다.

    고층 라멘 건물은 조립부재 줄눈 중심 간 거리가 모듈치수에 일치해야 하는 이유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건축물 내부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모듈치수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부재들을 조립할 때 정확한 위치에 부재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고층 라멘 건물에서는 모듈치수에 맞추어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건축물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수도직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탱크나 펌프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가 적게 소요된다.
  2. 수도 압력 변화에 따라 급수압이 변한다.
  3. 정전일 때 급수를 계속할 수 있다.
  4. 대규모 급수 설비에 가장 적합하다.
(정답률: 63%)
  • 수도직결방식은 탱크나 펌프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가 적게 소요되며, 정전일 때에도 급수를 계속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 하지만 수도 압력 변화에 따라 급수압이 변하므로, 대규모 급수 설비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규모 급수 설비에서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탱크나 펌프 등의 보조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난방 부하의 변동에 따라 온수 온도와 온수의 순환수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2. 온수순환방식에 따라 단관식, 복관식으로 분류한다.
  3. 증기난방에 비해 방열 면적과 배관의 관경이 작아 설비비를 줄일 수 있다.
  4. 예열시간이 짧고 동결 우려가 없다.
(정답률: 50%)
  • 난방 부하가 증가하면 온수 온도와 순환수량을 쉽게 높일 수 있고, 난방 부하가 감소하면 온수 온도와 순환수량을 쉽게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급탕 배관에 이용하는 신축이음쇠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리브형(sleeve type): 배관의 고장이나 건물의 손상을 방지한다.
  2. 벨로즈형(bellows type): 온도 변화에 따른 관의 신축을 벨로즈의 변형에 의해 흡수한다.
  3.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1개의 엘보(elbow)를 이용하여 나사부의 회전으로 신축 흡수한다.
  4. 신축곡관(expansion loop): 고압 옥외 배관에 사용할 수 있으나 1개의 신축길이가 길다.
(정답률: 45%)
  • 정답은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1개의 엘보(elbow)를 이용하여 나사부의 회전으로 신축 흡수한다."입니다.

    스위블 조인트는 엘보 대신에 나사부를 이용하여 신축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따라서 "1개의 엘보(elbow)"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장애인의 통행이 가능한 계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은 직선 또는 꺾임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2. 계단 및 참의 유효폭은 1.2 m 이상으로 하되, 건축물의 옥외피난계단은 0.8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1.8m 이내마다 휴식을 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된 참을 설치할 수 있다.
  4. 경사면에 설치된 손잡이의 끝부분에는 0.3m 이상의 수평손잡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0%)
  • 옳지 않은 것은 "계단 및 참의 유효폭은 1.2 m 이상으로 하되, 건축물의 옥외피난계단은 0.8m 이상으로 할 수 있다."가 아닌 다른 보기입니다.

    계단 및 참의 유효폭은 1.2 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규정이지만, 건축물의 옥외피난계단은 비상상황에서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0.8m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국의 근현대 건축가와 그의 작품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나상진-부여박물관
  2. 이희태-제주대학교 본관
  3. 김수근-경동교회
  4. 김중업-절두산 성당
(정답률: 51%)
  • 김수근은 경동교회를 설계한 건축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서양 건축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마 양식은 아치(arch)나 볼트(vault)를 이용하여 넓은 내부공간을 만들었다.
  2. 초기 기독교 양식은 투시도법을 도입하였고 장미창(rose window)을 사용하였다.
  3. 비잔틴 양식은 동서양의 문화 혼합이 특징이며 펜던티브 돔(pendentive dome)을 창안하였다.
  4. 고딕 양식은 첨두아치(pointed arch),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 리브 볼트(rib vault)와 같은 구조적이자 장식적인 기법을 사용하였다.
(정답률: 51%)
  • 초기 기독교 양식은 투시도법을 도입하였고 장미창(rose window)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초기 기독교 건축은 대체로 바실리카 양식을 따르며, 로마 양식과 유사한 아치와 볼트를 사용하여 내부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초기 기독교 양식은 투시도법을 도입하였고 장미창(rose window)을 사용하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