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의 저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의 영향면적이 25m2 이상인 경우 기본등분포활하중에 활하중저감계수를 곱하여 저감할 수 있다.
  2.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5 이상으로 한다.
  3. 2개 층 이상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4 이상으로 한다.
  4. 활하중 5kN/m2 이하의 공중집회 용도에 대해서는 활하중을 저감할 수 없다.
(정답률: 52%)
  • "활하중 5kN/m2 이하의 공중집회 용도에 대해서는 활하중을 저감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부재의 영향면적이 25m2 이상인 경우 기본등분포활하중에 활하중저감계수를 곱하여 저감할 수 있는 이유는 해당 부재가 지지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전체 하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재의 영향면적이 클수록 활하중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1개 층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5 이상으로, 2개 층 이상을 지지하는 부재의 저감계수는 0.4 이상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해당 부재가 지지하는 층이 많을수록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저감계수를 더 높게 설정하여 전체 하중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공중집회 용도라도 활하중이 5kN/m2 이하인 경우에도 부재의 영향면적이 25m2 이상이면 활하중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적설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5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2. 최소 지상적설하중은 0.5kN/m2로 한다.
  3. 평지붕적설하중은 기본지상적설하중에 기본지붕적설하중계수, 노출계수, 온도계수 및 중요도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4. 경사지붕적설하중은 평지붕적설하중에 지붕경사도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정답률: 78%)
  • "최소 지상적설하중은 0.5kN/m2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실제로는 최소 지상적설하중은 지역별로 다르며, 국내에서는 0.2kN/m2부터 0.5kN/m2 사이의 범위로 적용됩니다.

    "기본지상적설하중은 재현기간 5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는 기본적인 설계 기준 중 하나입니다. 즉, 50년에 한 번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최대 적설량을 기준으로 하여 건축물의 구조물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계산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평지붕적설하중, 경사지붕적설하중 등을 산정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구조의 사용성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은 필요로 하는 부재 단면의 주변에 분산시켜 배치하여야 하고, 이 경우 철근의 지름과 간격을 가능한 한 크게 하여야 한다.
  2. 미관이 중요한 구조는 미관상의 허용균열폭을 설정하여 균열을 검토할 수 있다.
  3. 특별히 수밀성이 요구되는 구조는 적절한 방법으로 균열에 대한 검토를 하여야 하며, 이 경우 소요수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허용균열폭을 설정하여 검토할 수 있다.
  4. 사용성 검토는 균열, 처짐, 피로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72%)
  •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은 필요로 하는 부재 단면의 주변에 분산시켜 배치하여야 하고, 이 경우 철근의 지름과 간격을 가능한 한 크게 하여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균열이 발생하면 철근이 그 역할을 대신하여 부재의 강도를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철근을 부재 단면의 주변에 분산시켜 배치하고, 철근의 지름과 간격을 크게 하여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부재의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각 날짜에 친 각 등급의 콘크리트 강도시험용 시료 채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루에 1회 이상
  2. 250m3당 1회 이상
  3. 슬래브나 벽체의 표면적 500m2마다 1회 이상
  4. 배합이 변경될 때마다 1회 이상
(정답률: 78%)
  • 정답: "슬래브나 벽체의 표면적 500m2마다 1회 이상"

    이유: 슬래브나 벽체의 표면적은 콘크리트 공사의 규모와 상관없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으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250m3당 1회 이상의 기준은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양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는 빈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내민보에 등변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B점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1. -3kNㆍm
  2. -6kNㆍm
  3. -9kNㆍm
  4. -12kNㆍm
(정답률: 49%)
  • 내민보에 등변분포하중이 작용하므로, 보의 중심에서 왼쪽과 오른쪽으로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B점에서의 휨모멘트는 내력모멘트와 동일하다. 내력모멘트는 하중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하므로, B점에서의 휨모멘트는 (3kN/m) x 2m x 1m = -6kNㆍm 이다. 따라서, 정답은 "-6kNㆍ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강구조의 인장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재의 총단면적은 부재축의 직각방향으로 측정된 각 요소단면의 합이다.
  2. 인장재의 설계인장강도는 총단면의 항복한계상태와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에 대해 산정된 값 중 큰 값으로 한다.
  3. 유효순단면의 파단한계상태에 대한 인장저항계수는 0.80이다.
  4. 순단면적은 전단지연의 영향을 고려하여 산정한 것이다.
(정답률: 25%)
  • 부재의 총단면적은 부재축의 직각방향으로 측정된 각 요소단면의 합이다. 이는 부재가 어떤 형태이든 각 요소단면의 면적을 모두 더한 값이 부재의 총단면적이 되기 때문이다. 이 값은 인장강도를 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응력요소의 평면응력 상태에서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단, 양의 최대 전단응력이며, 면내 응력만 고려한다)

  1. √5×102MPa
  2. √10×102MPa
  3. √15×102MPa
  4. √20×102MPa
(정답률: 28%)
  • 최대 전단응력은 τmax = σx/2 이다.
    주어진 응력 상태에서 x축과 y축에 대한 응력은 같으므로 σx = σy = 10MPa 이다.
    따라서 τmax = 10/2 = √25 = 5MPa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양의 최대 전단응력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답은 "√20×102MPa" 이다.
    이는 τmax = σx/2 × √2 = 10/2 × √2 = √20 이므로, 답은 "√20×102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 내진설계기준에서 중간모멘트골조의 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합면에서 정 휨강도는 부 휨강도의 1/3이상이 되어야 한다.
  2. 부재의 어느 위치에서나 정 또는 부 휨강도는 양측 접합부의 접합면의 최대 휨강도의 1/6이상이 되어야 한다.
  3. 보부재의 양단에서 지지부재의 내측 면부터 경간 중앙으로 향하여 보 깊이의 2배 길이 구간에는 후프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4. 스터럽의 간격은 부재 전 길이에 걸쳐서 d/2 이어야 한다(d는 단면의 유효깊이이다).
(정답률: 50%)
  • "접합면에서 정 휨강도는 부 휨강도의 1/3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옳은 요구사항입니다.

    "부재의 어느 위치에서나 정 또는 부 휨강도는 양측 접합부의 접합면의 최대 휨강도의 1/6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요구사항입니다. 이유는 접합부에서의 최대 휨강도는 일반적으로 부재의 중간부분에서 발생하므로, 이 요구사항은 부재의 전체적인 내진성능을 보장하기에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간모멘트골조의 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접합면에서 정 휨강도는 부 휨강도의 1/3이상이 되어야 한다."가 옳은 요구사항입니다. 이는 접합부에서의 휨강도를 고려하여 내진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로드에 연결한 저항체를 지반 중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및 인발 등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지반의 성상을 조사하는 방법은?

  1. 사운딩
  2. 지반의 개량
  3. 평판재하시험
  4. 동재하시험
(정답률: 69%)
  • 사운딩은 지반 조사 방법 중 하나로, 로드에 연결한 저항체를 지반 중에 삽입하여 회전 및 인발 등에 대한 저항으로부터 지반의 성상을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지반의 성질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른 보기인 지반의 개량, 평판재하시험, 동재하시험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존 콘크리트구조물의 안전성 평가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 및 시험에서 구조 부재의 치수는 위험단면에서 확인하여야 한다.
  2. 철근, 용접철망 또는 긴장재의 위치 및 크기는 계측에 의해 위험단면에서 결정하여야 한다. 도면의 내용이 표본조사에 의해 확인된 경우에는 도면에 근거하여 철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3. 건물에서 부재의 안전성을 재하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직접 평가할 경우에는 보, 슬래브 등과 같은 휨부재의 안전성 검토에만 적용할 수 있다.
  4. 구조물의 평가를 위한 하중의 크기를 정밀 현장 조사에 의하여 확인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소요강도를 구하기 위한 하중조합에서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하중계수는 25%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정답률: 47%)
  • "구조물의 평가를 위한 하중의 크기를 정밀 현장 조사에 의하여 확인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소요강도를 구하기 위한 하중조합에서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하중계수는 25%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정밀 현장 조사를 통해 하중을 확인하는 경우에도 하중계수는 감소시킬 수 없습니다. 하중계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해진 값으로, 하중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관이나 파이프가 입체적으로 구성된 트러스로 중간에 기둥이 없는 대공간 연출이 가능한 구조는?

  1. 절판구조
  2. 케이블구조
  3. 막구조
  4. 스페이스 프레임구조
(정답률: 80%)
  • 스페이스 프레임구조는 강관이나 파이프로 이루어진 입체적인 트러스 구조로, 중간에 기둥이 없어 대공간 연출이 가능합니다. 이는 강한 재료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 건축물에 적합하며, 건축물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 체육관, 공항, 전시장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구조용강재의 명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N: 건축구조용 압연 강재
  2. SHN: 건축구조용 열간 압연 형강
  3. HSA: 건축구조용 탄소강관
  4. SMA: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
(정답률: 59%)
  • HSA는 구조용강재 중 탄소강관을 나타내는 명칭이 아닙니다. HSA는 구조용강재 중 하나이지만, 이는 "고강도 강관"을 나타내는 명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치구조에서 아치의 추력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이 바(tie bar)로 구속
  2. 연속 아치 연결
  3. 스테이 설치
  4. 버트레스 설치
(정답률: 61%)
  • 스테이 설치는 아치의 추력을 보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아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추력을 보강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스테이 설치는 아치의 끝 부분에 철사나 케이블을 설치하여 아치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조적식 구조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린벽은 비내력벽 두께방향의 단위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
  2. 속빈단위조적개체는 중심공간, 미세공간 또는 깊은 홈을 가진 공간에 평행한 평면의 순단면적이 같은 평면에서 측정한 전단면적의 75%보다 적은 조적단위이다.
  3. 유효보강면적은 보강면적에 유효면적방향과 보강면과의 사이각의 코사인값을 곱한 값이다.
  4. 환산단면적은 기준 물질과의 탄성비의 비례에 근거한 등가면적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대린벽은 비내력벽 두께방향의 단위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입니다. 대린벽은 비내력벽이 아닌 내력벽의 일종으로, 내력벽의 두께 방향에 있는 단위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경골목구조 바닥 및 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의 총하중에 의한 최대처짐 허용한계는 경간(L)의 1/240로 한다.
  2. 바닥장선 상호 간의 간격은 650mm 이하로 한다.
  3. 줄기초 기초벽의 두께는 최하층벽 두께의 1.5배 이상으로서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4. 바닥덮개에는 두께 15mm 이상의 구조용 합판을 사용한다.
(정답률: 42%)
  • 바닥덮개에는 두께 15mm 이상의 구조용 합판을 사용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바닥덮개의 두께는 건축법 등 관련 규정에 따라 결정되며, 합판 외에도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균질한 재료로 이루어진 강봉에 중심 축하중 P가 작용하는 경우 강봉이 늘어난 길이는? (단, 강봉은 선형탄성적으로 거동하는 단일 부재이며, 강봉의 탄성계수는 E이다)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강축휨을 받는 2축대칭 H형강 콤팩트부재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계 휨강도 산정 시 휨저항계수는 0.85이다.
  2. 소성휨모멘트는 강재의 인장강도에 소성단면계수를 곱하여 산정할 수 있다.
  3. 보의 비지지길이가 소성한계비지지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횡좌굴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
  4. 자유단이 지지되지 않은 캔틸레버와 내민 부분의 횡좌굴모멘트 수정계수 Cb는 2이다.
(정답률: 46%)
  • 보의 비지지길이가 소성한계비지지길이보다 큰 경우에는 횡좌굴강도를 고려하여야 한다는 이유는, 이러한 경우 보의 횡방향 굴곡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횡좌굴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의 두께와 단면적을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효좌굴길이가 4m이고 직경이 100mm인 원형단면 압축재의 세장비는?

  1. 100
  2. 160
  3. 250
  4. 400
(정답률: 40%)
  • 세장비는 압축 전 길이에서 압축 후 길이를 나눈 값이므로, 세장비 = 압축 전 길이 / 압축 후 길이 입니다.

    유효좌굴길이가 4m이므로, 압축 전 길이는 4m입니다.

    원형단면 압축재의 경우, 압축 전 직경이 100mm이므로 반지름은 50mm입니다.

    압축 후 직경은 압축 전 직경에서 변형률에 따라 감소하게 됩니다. 이 때, 압축재의 재질에 따라 변형률이 다르므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재질의 Young's modulus와 Poisson's ratio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간단하게 정답을 구하기 위해, 압축 후 직경이 50mm에서 40mm로 감소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반지름은 20mm이 됩니다.

    압축 후 길이는 변형률과 압축 전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변형률이 0.0025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압축 후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압축 후 길이 = 압축 전 길이 x (1 - 변형률) = 4m x (1 - 0.0025) = 3.99m

    따라서, 세장비 = 압축 전 길이 / 압축 후 길이 = 4m / 3.99m = 1.0025

    세장비를 소수점 이하에서 반올림하면 1.00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을 찾는 것이므로, 1.00을 100으로 곱한 후 가장 가까운 값인 160을 선택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 단면에서 극한상태에서의 중립축 위치 c(압축연단으로부터 중립축까지의 거리)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0MPa,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00MPa로 가정하며, As는 인장철근량이다)

  1. 120.3mm
  2. 117.6mm
  3. 113.4mm
  4. 109.7mm
(정답률: 55%)
  • 극한상태에서 중립축 위치는 인장측과 압축측의 균형을 이루는 위치이다. 따라서, 인장측의 모멘트와 압축측의 모멘트가 같아지는 위치를 찾으면 된다.

    인장측의 모멘트는 As x fy x (d - a/2) 이고, 압축측의 모멘트는 (b - a) x (h - d/2) x fc/2 이다. 여기서, d는 중립축까지의 거리, a는 압축측 콘크리트 덮개의 두께, b는 인장측 콘크리트 덮개의 두께, h는 보의 높이, As는 인장철근량, fy는 철근의 항복강도, fc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이다.

    따라서, As x fy x (d - a/2) = (b - a) x (h - d/2) x fc/2 이다.

    이를 정리하면, d = (As x fy x (b - a) + (h x fc x (b - a)/2))/(As x fy + h x fc/2) 이다.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d = (400 x 400 x (300 - 30) + (600 x 20 x (300 - 30)/2))/(400 x 400 + 600 x 20/2) = 117.6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7.6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초지반의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즉시침하량은 지반을 탄성체로 보고 탄성이론에 기초한 지반의 탄성계수와 간극비를 적절히 설정하여 산정할 수 있다.
  2. 과대한 침하를 피할 수 없을 때에는 적당한 개소에 신축조인트를 두거나 상부구조의 강성을 크게 하여 유해한 부등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기초는 접지압이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허용침하량은 지반조건, 기초형식, 상부구조 특성, 주위상황들을 고려하여 유해한 부등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45%)
  • "즉시침하량은 지반을 탄성체로 보고 탄성이론에 기초한 지반의 탄성계수와 간극비를 적절히 설정하여 산정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 아닌 이유는, 지반의 탄성계수와 간극비를 적절히 설정하여 산정한 즉시침하량은 실제 지반의 침하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초설계에서는 이 값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여유를 고려하여 허용침하량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