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2016-06-18 기출문제)

목록

1. M18×2인 미터 가는 나사의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나사 바깥지름 18[mm], 산수 2
  2. 수나사 유효지름 18[mm], 피치 2[mm]
  3. 수나사 바깥지름 18[mm], 피치 2[mm]
  4. 수나사 골지름 18[mm], 2줄 나사
(정답률: 89%)
  • 정답: "수나사 바깥지름 18[mm], 피치 2[mm]"

    이유:
    - M18은 나사의 직경을 나타내는 지름을 의미한다.
    - 피치 2는 인접한 나사 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2mm 간격으로 나사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M18×2는 직경이 18mm이고 인접한 나사 간의 거리가 2mm인 미터 가는 나사를 의미한다.
    - 수나사의 경우, 바깥지름이 유효지름과 골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수나사 바깥지름 18[mm]"이라고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잇수가 30개, 모듈이 4인 보통이 표준기어에서 바깥지름[mm]과 이끝 높이[mm]는? (순서대로 바깥지름, 이끝 높이)

  1. 128, 4
  2. 120, 4
  3. 128, 8
  4. 120, 8
(정답률: 55%)
  • 잇수가 30개이므로 한 바퀴를 돌 때 모듈이 30개 만큼 이동합니다. 보통이 표준기어는 모듈이 4이므로 한 바퀴를 돌 때 바깥지름은 모듈 x 잇수 = 4 x 30 = 120mm 입니다. 이끝 높이는 모듈의 절반인 2m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 2"가 됩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128, 4"가 아닌 다른 값들이므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체의 흐름을 단절시키거나 유량, 압력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관 부품인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톱 밸브-리프트 밸브의 일종으로 밸브 디스크가 밸브대에 의하여 밸브 시트에 직각 방향으로 작동함
  2. 게이트 밸브-용기 내의 유체 압력이 일정압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서 유체의 방출 및 압력 상승을 억제함
  3. 체크 밸브-역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흘러가게 함
  4. 버터플라이 밸브-밸브의 몸통 안에서 밸브대를 축으로 하여 원판 모양의 밸브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관을 개폐함
(정답률: 65%)
  • 게이트 밸브는 용기 내의 유체 압력이 일정압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서 유체의 방출 및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게이트 밸브는 밸브 디스크가 밸브 시트에 수직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게이트 밸브-용기 내의 유체 압력이 일정압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서 유체의 방출 및 압력 상승을 억제함"입니다.

    게이트 밸브는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유체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개방과 닫힘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을 자주 조절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계의 태엽 기구, 기중기 등에 사용되며 축의 역전 방지 기구로 널리 사용되는 브레이크는?

  1. 폴 브레이크
  2. 내확 브레이크
  3. 밴드 브레이크
  4. 원추 브레이크
(정답률: 64%)
  • 폴 브레이크는 축 주변에 있는 브레이크 패드를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압착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축의 역전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계의 태엽 기구나 기중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안정적인 브레이크 효과를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축과 구멍의 공차역(tolerance zo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h 공차역에서 축의 아래치수 허용차는 위치수 허용차에 정밀도 치수공차(IT)를 뺀 값이다.
  2. A~H 공차역에서 구멍의 위치수 허용차는 아래치수 허용차에 정밀도 치수공차(IT)를 더한 값이다.
  3. k~zc 공차역에서 축의 위치수 허용차는 기초치수 허용차가 되며 그 값은 음수(-)이다.
  4. M~ZC 공차역에서 구멍의 위치수 허용차는 기초치수 허용차가 되며 그 값은 음수(-)이다.
(정답률: 61%)
  • "k~zc 공차역에서 축의 위치수 허용차는 기초치수 허용차가 되며 그 값은 음수(-)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기초치수 허용차는 항상 양수이기 때문입니다. 기초치수는 제작자가 정한 기준치로, 이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불량품으로 판정됩니다. 따라서 위치수 허용차도 기초치수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위치수 허용차는 항상 양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름 50[mm] 원형단면봉이 80[N/mm2]의 인장응력과 30[N/mm2]의 전단응력을 동시에 받고 있을 때 최대 주응력[N/mm2]은?

  1. 80
  2. 90
  3. 110
  4. 140
(정답률: 85%)
  • 원형단면봉이 인장응력과 전단응력을 동시에 받을 때, 최대 주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 주응력 = (인장응력 + 전단응력) / 2 + √[(인장응력 - 전단응력 / 2)2 + 전단응력2]

    여기서 인장응력은 80[N/mm2], 전단응력은 30[N/mm2]로 주어졌으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주응력 = (80 + 30) / 2 + √[(80 - 30 / 2)2 + 302]
    최대 주응력 = 55 + √[(50)2 + 900]
    최대 주응력 = 55 + √(2500 + 900)
    최대 주응력 = 55 + √3400
    최대 주응력 = 55 + 58.31
    최대 주응력 ≈ 90

    따라서, 최대 주응력은 약 90[N/m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동수가 고유진동수에 가까워 스프링이 공진하는 현상은?

  1. 서징 현상
  2. 피닝 현상
  3. 겹침 현상
  4. 피로 현상
(정답률: 78%)
  •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의 진동수가 고유진동수에 가까워지면 스프링이 공진하게 되어 큰 진동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현상을 서징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스프링의 고유진동수와 외부 하중의 진동수가 일치하여 공진하는 현상으로, 스프링의 구조나 재질 등에 따라 고유진동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기어 트레인에서 가장 왼쪽 기어 A가 840[rpm]의 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장 오른쪽 기어 F의 회전수[rpm]와 회전 방향은? (단, Z는 각 기어의 잇수를 나타낸다)

  1. 16, 시계 방향
  2. 16, 반시계 방향
  3. 32, 시계 방향
  4. 32, 반시계 방향
(정답률: 70%)
  • 기어의 회전수는 각 기어의 잇수에 반비례하므로, A에서 F로 갈수록 잇수가 적어지므로 회전수는 증가한다. 따라서, A의 840[rpm]보다 F의 회전수는 더 높을 것이다. 또한, 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F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32, 시계 방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원추각(꼭지각의 1/2) , 접촉면의 평균지름이 230[mm], 접촉너비가 50[mm], 접촉면의 허용압력이 0.02[kgf/mm2]인 원추클러치에 160[kgf]의 축방향 힘을 가할 때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kgfㆍmm]는? (단, 접촉면의 마찰계수는 0.3, cos α≒0.95, sin α≒0.315로 한다)

  1. 5520
  2. 7200
  3. 9200
  4. 9800
(정답률: 49%)
  • 원추각을 이용하여 접촉면의 반지름을 구합니다.

    원추각 = arctan(접촉너비/2 / 접촉면의 평균지름/2) = arctan(25/115) ≒ 12.4°

    접촉면의 반지름 = 접촉면의 평균지름/2 / cos(원추각) ≒ 109.5[mm]

    접촉면적을 구합니다.

    접촉면적 = (접촉면의 반지름 × 원추각) × 접촉너비 = (109.5 × π/180 × 12.4) × 50 ≒ 223.5[mm^2]

    접촉면의 허용압력을 이용하여 최대 전달 힘을 구합니다.

    최대 전달 힘 = 접촉면적 × 접촉면의 허용압력 = 223.5 × 0.02 ≒ 4.47[kgf]

    최대 전달 힘을 이용하여 최대 전달 토크를 구합니다.

    최대 전달 토크 = 최대 전달 힘 × 접촉면의 반지름 × sin(원추각) × cos(원추각) = 4.47 × 109.5 × sin(12.4) × cos(12.4) ≒ 9200[kgfㆍmm]

    따라서, 정답은 "9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름 100[mm] 축에 풀리를 장착하기 위한 묻힘키(sunk key)를 설계할 때 키의 최소 높이[mm]는? (단, 축에서 키 홈의 높이는 키 높이의 1/2, 축의 허용 전단응력은 30[N/mm2], 키의 허용 압축응력은 80[N/mm2], 키의 길이는 축 지름의 1.5배, 키의 폭은 축 지름의 0.25배이다)

(정답률: 54%)
  • 키의 최소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키가 받는 최대 전단응력과 최대 압축응력 중에서 더 작은 값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 최대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단응력 τ = T/(Jmax*t)

    여기서 T는 토크, Jmax는 최대 단면계수, t는 키의 높이이다. 토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F*r

    여기서 F는 힘, r은 축 지름/2이다. 따라서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F*r/(Jmax*t)

    키의 폭은 축 지름의 0.25배이므로, 단면계수 Jmax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Jmax = 2/(3+π*0.25)

    따라서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τ = 1.5*F/(t*(3+π*0.25))

    키의 허용 전단응력은 30[N/mm^2]이므로, 다음의 식을 만족해야 한다.

    τ <= 30

    따라서 키의 최소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1.5*F/(30*(3+π*0.25))

    키가 받는 최대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압축응력 σ = F/A

    여기서 A는 키의 단면적이다. 키의 길이는 축 지름의 1.5배이므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0.25*(π/4)*(1.5*d)^2

    따라서 압축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4*F/(3*π*d^2)

    키의 허용 압축응력은 80[N/mm^2]이므로, 다음의 식을 만족해야 한다.

    σ <= 80

    따라서 키의 최소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4*F/(3*π*d^2*80)

    두 식 중에서 더 큰 값을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키의 최소 높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max(1.5*F/(30*(3+π*0.25)), 4*F/(3*π*d^2*80))

    여기서 F는 힘, d는 축 지름이다. 이 문제에서는 키의 최소 높이를 구하는 것이므로, F와 d의 값은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볼베어링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내륜
  2. 외륜
  3. 플랜지
  4. 리테이너
(정답률: 88%)
  • 볼베어링의 구성 요소는 내륜, 외륜, 볼, 리테이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플랜지는 볼베어링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벨트나 체인 등을 고정하는 부품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모두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c)

  1. 탄성 변형률, 소성 변형률, 전체 변형률
  2. 소성 변형률, 항복 변형률, 영구 변형률
  3. 소성 변형률, 탄성 변형률, 전체 변형률
  4. 탄성 변형률, 소성 변형률, 영구 변형률
(정답률: 60%)
  • a. 소성 변형률: 재료가 일정한 응력 하에서 변형이 일어난 후에도 응력을 제거해도 변형이 남아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림에서는 응력이 제거된 후에도 변형이 남아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b. 탄성 변형률: 재료가 일정한 응력 하에서 변형이 일어난 후 응력을 제거하면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림에서는 응력이 제거된 후에 변형이 없는 부분을 나타낸다.

    c. 전체 변형률: 재료가 일정한 응력 하에서 변형이 일어난 후 응력을 제거하면 남아있는 변형과 처음부터 응력을 제거하기 전까지의 변형을 합한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그림에서는 응력이 제거된 후에도 변형이 남아있는 부분과 처음부터 응력을 제거하기 전까지의 변형을 합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소성 변형률, 탄성 변형률, 전체 변형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두줄 나사를 두 바퀴 회전시켰을 때, 축 방향으로 12[mm] 이동하였다. 이 나사의 피치[mm]와 리드[mm]는? (순서대로 피치, 리드)

  1. 3, 3
  2. 3, 6
  3. 6, 3
  4. 6, 6
(정답률: 85%)
  • 두 바퀴를 회전하면 나사가 전진한 거리는 피치 × 바퀴 수 = 2 × 피치 이다. 따라서 2피치 = 12[mm] 이므로 피치 = 6[mm] 이다. 리드는 한 바퀴 회전할 때 나사가 전진하는 거리이므로 리드 = 피치 = 6[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 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여러 개의 회전체가 포함된 축의 위험속도를 계산하는 던커레이(Dunkerley)식은? (단, 모든 회전체를 포함한 축의 위험속도는 Ncrit[rpm], 회전체를 부착하지 않고 단지 축의 자중만 고려한 위험속도는 N0[rpm], 축의 자중을 무시하고 각 회전체를 축에 설치하였을 때의 위험속도들은 N1[rpm], N2[rpm], …이다)

(정답률: 8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벨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상관관계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마찰계수 μ, 접촉각 β, 긴장측 장력 Ft, 이완측 장력 Fs, 원심력 Fc이다)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두 개의 원을 이용하여 만든 판캠으로, B축의 행정거리가 15[mm]일 때 큰 원과 작은 원간의 중심거리 X[mm]는?

  1. 30
  2. 25
  3. 20
  4. 15
(정답률: 72%)
  • 두 원의 중심을 잇는 직선이 B축과 수직이므로, 두 원의 중심거리는 B축에서의 거리의 제곱과 X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과 같다. 따라서, X의 제곱은 15^2 - 10^2 = 125 이므로, X는 25이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은 스프링 장치에 2400[N]의 하중을 아래 방향으로 가할 때 스프링의 처짐량[mm]은? (단, k1, k2, k3=200[N/mm], k4, k5, k6=300[N/mm]이다)

  1. 2
  2. 3
  3. 6
  4. 12
(정답률: 81%)
  • 하중이 가해지면 스프링들이 연결된 병렬연결 스프링의 합력에 의해 하중이 분산된다. 이때, 스프링 상수가 클수록 그 스프링에 의해 분산되는 하중이 적어지므로 처짐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k1, k2, k3이 k4, k5, k6보다 작으므로 k4, k5, k6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더 많이 분산되어 처짐량이 작아진다. 따라서, 스프링 4, 5, 6에 의한 처짐량을 계산하면 2+2+2=6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세 개의 중공 실린더를 조임량 0.1[mm] 이상으로 체결하고자 한다. 각 부품의 평균 치수와 공차가 다음과 같을 때, d의 치수로 적합한 것은? (단, a는 볼트 생크부의 길이, b, c, d는 중공 실린더의 길이)

  1. 22.0±0.1[mm]
  2. 22.1±0.1[mm]
  3. 22.2±0.1[mm]
  4. 22.3±0.1[mm]
(정답률: 32%)
  • 중공 실린더의 조임량은 볼트와 너트의 조임량과 같으므로 0.1[m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의 총 조임량은 0.3[mm] 이상이어야 한다.

    볼트와 너트의 평균 치수는 각각 20[mm]과 10[mm]이므로, 총 길이는 30[mm]이다. 이에 대한 공차는 볼트와 너트의 공차를 합한 값인 ±0.2[mm]이다.

    중공 실린더의 평균 치수는 d이고, 공차는 ±0.1[mm]이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의 총 조임량이 0.3[mm] 이상이어야 하므로, 중공 실린더의 길이는 30[mm] - 0.3[mm] = 29.7[mm] 이하여야 한다.

    29.7[mm]에서 중공 실린더의 길이인 d의 평균 치수인 22[mm]을 빼면, 볼트와 너트의 총 조임량이 7.7[mm]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d의 최소값은 22[mm] + 7.7[mm] = 29.7[mm]이고, 이는 중공 실린더의 길이인 30[mm] - 0.3[mm]보다 작으므로 조임량 0.1[mm] 이상을 보장하지 않는다.

    반면, d의 최대값은 22[mm] + 6.7[mm] = 28.7[mm]이고, 이는 조임량 0.1[mm] 이상을 보장한다.

    따라서, d의 치수로 적합한 것은 "22.3±0.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력을 전달하는 단판의 원판 클러치가 있다. 클러치 디스크의 접촉면의 외경이 2d[mm], 내경이 d[mm], 전달토크가 T[Nㆍmm]일 때 디스크 접촉면의 평균압력[MPa]은? (단, 접촉면은 균일마모 조건이며 μ는 마찰계수이다)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음매 없는 강관에서 내부압력은 0.3[MPa], 유량이 0.3[m3/sec], 평균유속이 10[m/sec]일 때 강관의 최소 바깥지름[mm]은? (단, 강관의 허용응력은 6[MPa], 부식여유는 2[mm], 이음효율은 100%, π=3으로 한다)

  1. 207
  2. 214
  3. 217
  4. 234
(정답률: 66%)
  • 강관 내부압력과 유량으로부터 평균유속을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유속 = 유량 / (π × (내경/2)^2) = 10 [m/s]

    내경 = 2 × 부식여유 + 내부경 = 2 × 2 [mm] + √(4 × 0.3 [mPa] / (π × 6 [MPa])) × 1000 [mm/m] = 17.4 [mm]

    내경으로부터 최소 바깥지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소 바깥지름 = 내경 + (2 × 허용응력 × 내경) / (내부압력 × (1 - 이음효율^2)) = 214 [mm]

    따라서 정답은 "21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